NASCAR 컵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ASCAR 컵 시리즈는 NASCAR가 주관하는 최상위 자동차 경주 시리즈이다. 1949년 "Strictly Stock" 디비전으로 시작하여 "Grand National"을 거쳐, 1971년부터 2003년까지는 "Winston Cup Series"로, 2004년부터 2016년까지는 "Nextel Cup Series"와 "Sprint Cup Series"로 불렸다. 2020년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며, 드라이버, 오너, 제조사 챔피언십을 놓고 경쟁한다. 차량은 전방 엔진, 후륜구동 방식을 따르며, 시대별로 다양한 규정 변화를 거쳤다. 경기는 주로 미국 동부 지역의 다양한 형태의 트랙에서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트로페 데 샹피옹
트로페 데 샹피옹은 프랑스 리그 1 우승팀과 쿠프 드 프랑스 우승팀이 시즌 개막 전에 단판 승부로 우승팀을 결정하는 슈퍼컵 대회로, 1949년 기원을 가지며 2009년부터 프랑스 외 지역에서도 개최되고 파리 생제르맹 FC가 최다 우승팀이다. - 1949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요한 크라위프 스할
요한 크라위프 스할은 네덜란드에서 매년 개최되는 슈퍼컵 대회로, 에레디비시 우승팀과 KNVB컵 우승팀이 참가하며,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승부차기로 우승팀을 결정한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NASCAR 컵 시리즈 | |
|---|---|
| 기본 정보 | |
![]() | |
| 종류 | 스톡 카 |
| 국가/지역 | 미국 |
| 창립 | 1949년 |
| 제조사 | 쉐보레 포드 도요타 |
| 엔진 | 쉐보레 포드 도요타 |
| 타이어 | 굿이어 |
| 현재 시즌 | 2023년 나스카 컵 시리즈 |
| 공식 웹사이트 | 나스카 컵 시리즈 |
| 챔피언 | |
| 드라이버 챔피언 | 조이 로가노 |
| 팀 챔피언 | 팀 펜스키 |
| 제조사 챔피언 | 쉐보레 |
| 추가 정보 | |
| 최고 속도 | 321.869 km/h (200 mph) |
2. 역사
1949년 '스트릭틀리 스톡 시리즈'로 시작하여 1950년 '그랜드 내셔널 시리즈'로 이름을 바꾸었다. 1972년부터 R.J. 레이놀즈 타바코 컴퍼니의 후원으로 윈스턴컵 시리즈'로 진행되었지만, 2004년부터 스프린트 넥스텔사의 후원으로 '넥스텔컵 시리즈', 2008년부터는 '스프린트컵 시리즈', 2017년부터는 '몬스터 에너지 NASCAR 컵 시리즈'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6]
NASCAR 컵 시리즈는 미국 6대 스포츠 중 하나인 모터스포츠의 정점에 있으며, 미국에서 레이스당 200만~500만 명의 시청자를 기록한다.[66] 이는 인디카 평균 시청자 수(50만 명)와 비교하면 매우 높은 수치이다.[67] 2009년 데이토나 500은 약 1,600만 명이 시청했다.[68] 시리즈는 캐나다에서 개최되기도 했으며, 일본과 호주에서 전시 레이스가 열렸다.
컵 시리즈 차량은 엔진은 320km/h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지만, 1.5톤이 넘는 차체 중량 때문에 조작성이 떨어진다. 차체와 섀시는 동일한 조건을 위해 엄격하게 규정되며, 전자 장치는 실용적이고 견고하다. 2007년 시즌부터 비용 절감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해 '카 오브 투모로우(CoT)'라는 신형 차량을 도입, 2008년 시즌부터 모든 레이스에서 사용되었다.
2013년에는 CoT의 발전형인 '제너레이션 6(Gen-6)'을 도입했다. Gen-6는 이전보다 베이스 차량에 더 가까운 외관을 가지며, 다운포스 증가와 차체 경량화(엔진 후드와 트렁크 리드를 CFRP로 제작, 68kg 경량화)가 이루어졌다.
2016년 몬스터 에너지가 타이틀 스폰서 계약을 체결하고,[74] 2016년부터 차터 시스템이 도입되어[75] 지난 3시즌 연속 풀타임 참가 팀[76] 중 상위 36개 팀에게 모든 레이스 참가가 보장된다. 결승에는 차터 팀 36대와 예선 통과 오픈 팀 4대를 합쳐 총 40대가 출전한다.[77]
2. 1. 스트릭틀리 스톡 및 그랜드 내셔널 시대 (1949-1971)
1949년, NASCAR는 양산차 기반 레이스인 '스트릭틀리 스톡' 부문을 도입했다. 1949년 6월 19일 샬럿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첫 레이스에서는 짐 로퍼가 우승했고, 레드 바이런이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5] 1949년 시즌은 NASCAR 기록상 그랜드 내셔널/컵 역사상 첫 번째 시즌으로 간주되며, 마틴스빌 스피드웨이는 당시 일정에 포함되어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트랙이다.1950년, NASCAR는 스포츠를 더 전문적이고 권위 있게 만들기 위해 '그랜드 내셔널'로 명칭을 변경했다. 초기에는 주로 흙길 오벌 트랙에서 경주가 열렸으나, 1950년 달링턴 레이스웨이 개장 이후 포장 트랙이 점차 늘어났다. 1959년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가 개장했을 때에도 포장된 레이스 트랙보다 흙길 레이스 트랙에서 더 많은 경기가 열렸다. 1960년대에는 슈퍼스피드웨이 건설과 흙길 트랙 포장으로 흙길 레이스가 감소했다.[6]
1970년 9월 30일, 노스캐롤라이나주 롤리의 스테이트 페어그라운드 스피드웨이에서 마지막 흙길 레이스가 열렸으며, 리처드 페티가 우승했다.[6]
2. 2. 윈스턴 컵 시대 (1971-2003)
R. J. 레이놀즈 담배 회사(R. J. Reynolds Tobacco Company)의 담배 브랜드 윈스턴의 후원을 받아 1971년부터 2003년까지 NASCAR의 주요 시리즈는 윈스턴 컵 시리즈로 불렸다.[7] 1971년, 공중 보건 담배 흡연법(Public Health Cigarette Smoking Act)으로 인해 담배의 텔레비전 광고가 금지되면서, 담배 회사들은 스포츠 행사를 후원하기 시작했고, RJR의 후원은 담배 마스터 정산 협약(Tobacco Master Settlement Agreement) 이후 스포츠 후원을 포함하여 담배 광고의 길을 엄격하게 제한하면서 더욱 논란이 되었다.[7]1972년은 NASCAR의 "현대 시대"의 시작으로, 경기 수가 48개에서 31개로 줄었고, 포인트 시스템은 다음 4년 동안 여러 번 수정되었다.[7] 비포장 트랙과 250마일 미만의 타원형 트랙 경주는 일정에서 제외되었다.[7] NASCAR의 창립자인 빌 프랑스 시니어(Bill France Sr.)는 NASCAR의 통제권을 장남인 빌 프랑스 주니어(Bill France Jr.)에게 넘겼다.[7] 1974년 8월, 프랑스 주니어는 시리즈 홍보 담당자인 밥 랫포드에게 길이와 상금에 관계없이 모든 경기에 동일한 포인트를 부여하는 포인트 시스템을 설계해달라고 요청했고,[8] 이 시스템은 1975년부터 2004년까지 변경되지 않았다.[8]

1979년, 1979 데이토나 500(1979 Daytona 500)은 CBS(CBS)에서 전국 생중계된 최초의 스톡카 경주가 되었다.[72] 마지막 랩에 진입한 선두 주자인 케일 야보로(Cale Yarborough)와 도니 앨리슨(Donnie Allison)은 선두를 다투다가 백스트레치에서 충돌하여 리처드 페티(Richard Petty)가 우승을 차지했고, 야보로, 앨리슨, 그리고 앨리슨의 형제 바비 앨리슨(Bobby Allison)은 전국 텔레비전에서 난투극을 벌였다.[72]
1982년부터 데이토나 500(Daytona 500)은 그 해의 첫 번째 비전시 경기가 되었다. 1981년, 시상식 만찬은 12월 첫째 주 금요일 저녁에 뉴욕시에서 열리기 시작했다.[72]
1985년, 윈스턴은 윈스턴 밀리언(Winston Million)이라는 새로운 시상 프로그램을 도입했다.[10] 1985년부터 1997년까지, 시리즈에서 가장 권위 있는 4개의 경주 중 3개를 우승한 드라이버에게는 100만 달러가 지급되었다.[10] 이 상은 빌 엘리엇(Bill Elliott)과 제프 고든(Jeff Gordon) 단 두 명만이 수상을 하였다.[10] 윈스턴 밀리언은 1998년에 윈스턴 노 불 파이브로 대체되었다.[11]
1990년대에 이 시리즈는 큰 인기를 누렸다.[12] 1994년, NASCAR는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Indianapolis Motor Speedway)에서 첫 브릭야드 400(Brickyard 400)을 개최했다. 1999년, NASCAR는 폭스 방송(Fox Broadcasting), 터너 방송(Turner Broadcasting), NBC(NBC)와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 8년 동안 폭스와 6년 동안 NBC 및 터너와 체결된 이 계약은 24억달러의 가치를 지녔다.[13]
2001년, 픽사(Pixar)는 2006년 애니메이션 영화 ''카''(Cars)의 연구를 위해 NASCAR 트랙을 방문했으며, 이 영화에는 NASCAR 드라이버 리처드 페티(Richard Petty)와 데일 언하트 주니어(Dale Earnhardt Jr.)의 목소리가 담겼다.[14]
2. 3. 넥스텔 및 스프린트 시대 (2004-2016)
2002년 시즌 동안 R.J. 레이놀즈(R.J. Reynolds)는 NASCAR에 2003년 시즌을 끝으로 타이틀 스폰서 계약을 종료하겠다고 통보했다. NASCAR는 넥스텔과 계약을 체결하여 2004년부터 넥스텔 컵 시리즈(Nextel Cup Series)로 시리즈 명칭이 변경되었다.2006년 스프린트와 넥스텔의 합병으로 2008년부터는 스프린트 컵(Sprint Cup)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스프린트 컵 트로피는 티파니 앤 컴퍼니에서 디자인했으며, 은색 바탕에 체크무늬 깃발이 펄럭이는 모습이다.[16]
2009년까지 1990년대의 NASCAR 인기 붐은 끝났고, 텔레비전 시청률은 정체되었다. 일부 팬들은 NASCAR가 새로운 시장을 선호하여 미국 남동부의 경기장을 버린 것에 대해 비판했고, 토요타의 참여에 대한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2013년 일본 통신 기업 소프트뱅크가 스프린트를 인수했다. NASCAR는 다양성 증진에 대한 의구심과 레드넥 이미지의 부정적인 영향을 인식했지만, 스포츠를 확장할 기회도 인식했다.[17] NASCAR의 CEO 브라이언 프랑스는 팬들 사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18]
2016년, NASCAR는 레이스 팀 얼라이언스와 연계하여 36개 팀의 모든 레이스 참가를 보장하는 차터 시스템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컵 출전 차량 수를 40대로 줄였다.[19]
2. 3. 1. 체이스 포 더 컵 (2004-2016)
2004년, USAR 후터스 프로 컵 시리즈의 시스템을 참고하여 NASCAR는 '체이스 포 더 넥스텔 컵'(더 체이스)이라는 새로운 챔피언 결정 시스템을 도입했다.[20] 시즌 처음 26개 레이스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상위 10명의 드라이버와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2007년에 12명으로 늘어났다. 체이스 진출자들은 점수가 초기화되었고, 이전 레이스 성적에 따라 보너스 점수가 부여되었다. 2004년부터 2006년까지는 정규 시즌 순위에 따라 1위는 5,050점, 10위는 5,005점으로 시작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각 드라이버가 5,000점으로 초기화되고, 레이스 우승당 10점의 보너스 점수를 받았다.[21]2011년, 플레이오프 자격 기준과 점수 초기화 방식이 변경되었다. 상위 10명의 드라이버와 11~20위 사이의 드라이버 중 레이스 우승 횟수가 가장 많은 2명의 "와일드 카드" 드라이버가 체이스에 진출했다. 이들의 점수는 2,000점으로 초기화되었고, 상위 10명은 레이스 우승당 3점의 보너스를 받았다. 2011년, 토니 스튜어트와 칼 에드워즈가 동점으로 시즌을 마감했지만, 스튜어트가 5승(모두 체이스에서)을 거두어 챔피언이 되었다.[21]
2014년, 체이스 방식이 대폭 변경되었다.[3] 체이스 진출 드라이버는 16명으로 늘어났고, 15자리는 레이스 우승자에게, 나머지 1자리는 우승자가 없을 경우 점수 선두에게 주어졌다. 체이스는 4라운드(16강, 12강, 8강, 챔피언십 4)로 구성된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각 라운드마다 하위 4명이 탈락하고, 레이스 우승자는 다음 라운드에 자동 진출했다. 2016년에는 라운드 명칭이 챌린저, 컨텐더, 엘리미네이터 라운드로 변경되었다. 챔피언십 4(마지막 레이스)에서는 4명의 드라이버가 5,000점으로 시작하며, 레이스에서 가장 높은 순위로 마친 드라이버가 챔피언이 된다.
이 플레이오프 시스템은 시즌 후반 경쟁을 치열하게 만들고, NFL 시즌과의 시청률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도입되었다.[22] 또한, 팀들이 시즌 전체에 걸쳐 최선을 다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도 있었다. 체이스에 진출하지 못한 드라이버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드라이버에게는 100만 달러의 보너스가 주어졌다.
2. 4. 몬스터 에너지 시대 (2017-2019)
2016년 12월, 몬스터 에너지와 NASCAR의 최상위 시리즈 스폰서십 계약이 발표되었다.[27] 2017년부터 시리즈 명칭은 '''몬스터 에너지 NASCAR 컵 시리즈'''로 변경되었다.[27]2017년 시즌, 스테이지 레이싱이 도입되어 레이스가 3개(코카콜라 600은 4개) 스테이지로 나뉘었다. 각 스테이지 상위 10명에게는 보너스 챔피언십 포인트가 부여되었고, 스테이지 우승자는 플레이오프 진출 시 추가 포인트를 획득하게 되었다.
2. 5. NASCAR 컵 시리즈 시대 (2020-)
2020년부터 NASCAR 최고 레벨 경주는 '''NASCAR 컵 시리즈'''로 알려지게 되었다.[27] 계층화된 스폰서십 모델에 따라 버드 라이트, 코카콜라, GEICO, Xfinity가 시리즈의 프리미어 파트너가 되었으며, 코카콜라는 정규 시즌 트로피의 명명권도 갖게 되었다.[28]MENCS 트로피 디자인은 새로운 시리즈 명칭 아래에서도 유지되었으며, 빌 프랑스 컵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9]
3. 챔피언십
NASCAR 컵 시리즈에서는 드라이버, 오너, 제조사 챔피언십 타이틀을 놓고 경쟁한다.[34]
오너 챔피언십은 각 차량에 점수가 부여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드라이버 챔피언십과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된다.[34] 한 오너가 여러 대의 차량을 출전시키는 경우, 각 차량은 별개의 개체로 간주되고 점수가 매겨진다.[34] 드라이버 타이틀을 위한 점수를 얻을 수 없는 드라이버도 오너 챔피언십을 위한 점수를 얻을 수 있다.[34] 예를 들어, 2011 데이토나 500에서 우승한 트레버 베인은 네이션와이드 시리즈 챔피언십에 출전하기로 선택하여 드라이버 포인트를 얻지 못했지만, 우드 브라더스 레이싱을 위해 47점의 오너 포인트를 획득했다.[34]
2013년부터 오너 점수 상위 36개 팀에게 다음 레이스 출전권이 부여되는 방식이 변경되었다.[34] NASCAR 컵 시리즈에서 경기장의 처음 36개 자리는 예선 속도로 결정되며, 다음 여섯 자리는 오너 점수를 기준으로 부여된다. 마지막 자리는 과거 시리즈 챔피언을 위해 예약되어 있으며, 만약 모든 과거 챔피언이 이미 출전한 경우 오너 점수를 기준으로 다른 차량에게 넘어간다.[34] 2005년부터는 오너 점수에 대한 별도의 "챔피언십을 위한 체이스"가 존재한다.[34]
2011년 이전에는 오너 점수를 할당하는 시스템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43대 이상의 차량이 레이스 출전을 시도한 경우, 44위는 31점을 받았고, 이후 순위마다 3점씩 감소했다. 2010년 이후에는 실제로 레이스에 출발하는 차량만 오너 점수를 얻는다.
어떤 상황에서는 팀의 오너 점수가 해당 드라이버의 점수와 다를 수 있다. 2005년, 잭 루쉬가 커트 부쉬를 해고한 후, 97번 팀은 오너 점수에서 8위를 기록했지만, 부쉬는 드라이버 점수에서 10위로 마감했다. 2023년에는 체이스 엘리엇이 부상당한 후, 그의 9번 차량은 오너 점수를 계속 획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엘리엇 본인은 드라이버로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3. 1. 드라이버 챔피언십
NASCAR 컵 시리즈 드라이버 챔피언십은 NASCAR 회장이 한 시즌 동안 가장 뛰어난 컵 시리즈 드라이버에게 주는 상이다. 이 상은 포인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레이스 결과와 승리를 통해 결정된다.[30] 1949년 레드 바이런에게 처음 수여된 이후,[30] 32명의 드라이버가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허브 토마스는 1951년과 1953년에 챔피언십에서 두 번 우승한 첫 번째 드라이버였으며, 리차드 페티,[31] 데일 언하트,[32] 지미 존슨이 7회로 최다 챔피언십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지미 존슨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회 연속 챔피언십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33]2010년 시즌까지 각 레이스의 포인트는 다음과 같았다. 컵 시리즈에서는 통상 43대의 차량이 결승에 진출하므로, 예선을 통과하여 결승을 시작하기만 하면 최소 34포인트를 획득할 수 있었다. 또한, 랩 리더를 기록했을 경우와 해당 레이스의 최다 랩 리더에게는 각각 5포인트의 보너스 포인트가 부여되었다. 2007년 규칙 개정으로 우승자의 획득 포인트가 5포인트 인상되었다.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득점 | 185 | 170 | 165 | 160 | 155 | 150 | 146 | 142 | 138 | 134 |
| 순위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득점 | 130 | 127 | 124 | 121 | 118 | 115 | 112 | 109 | 106 | 103 |
| 순위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득점 | 100 | 97 | 94 | 91 | 88 | 85 | 82 | 79 | 76 | 73 |
| 순위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득점 | 70 | 67 | 64 | 61 | 58 | 55 | 52 | 49 | 46 | 43 |
| 순위 | 41위 | 42위 | 43위 | |||||||
| 득점 | 40 | 37 | 34 |
2011년 규칙 개정으로 포인트 시스템이 변경되어, 우승자에게는 43점의 기본 포인트와 보너스 3점을 합쳐 총 46점이 주어졌다. 2위는 42점, 3위는 41점 등 순위가 내려갈수록 1점씩 줄어드는 방식이었다. 최다 랩 리더와 랩 리더 기록자 전원에게는 각각 1점의 보너스 포인트가 주어졌다.
2017년에는 스테이지 제도가 도입되면서, 스테이지별 순위에서 1위부터 10위까지 10-9-8-…2-1 포인트가 주어졌다. 결승선 통과 시 순위별 포인트도 1위부터 40-35-34-33…2-1-1-1…으로 변경되었다. 리드 랩에 대한 보너스 포인트는 폐지되었다.
| 연도 | 드라이버 (타이틀 횟수) | 팀 | 차량 번호 | 차량 | 출전 횟수 (총 레이스 수) | 우승 횟수 | 톱 10 | 폴 포지션 | 포인트 (2위와의 점수 차) |
|---|---|---|---|---|---|---|---|---|---|
| 2004[81] | 커트 부쉬 | 라우쉬 펜웨이 레이싱 | 97 | 포드 토러스 | 36 (36) | 3 | 21 | 1 | 6506 (8) |
| 2005[82] | 토니 스튜어트 (2) | 조 깁스 레이싱 | 20 | 쉐보레 몬테카를로 SS | 36 (36) | 5 | 25 | 3 | 6533 (35) |
| 2006[83] | 지미 존슨 | 헨드릭 모터스포츠 | 48 | 쉐보레 몬테카를로 SS | 36 (36) | 5 | 24 | 1 | 6475 (56) |
| 2007[84] | 지미 존슨 (2) | 48 | 쉐보레 몬테카를로 SS/쉐보레 임팔라 SS | 36 (36) | 10 | 24 | 4 | 6723 (77) | |
| 2008[85] | 지미 존슨 (3) | 48 | 쉐보레 임팔라 SS | 36 (36) | 7 | 22 | 6 | 6684 (69) | |
| 2009[86] | 지미 존슨 (4) | 48 | 쉐보레 임팔라 SS | 36 (36) | 7 | 22 | 6 | 6492 (141) | |
| 2010[87] | 지미 존슨 (5) | 48 | 쉐보레 임팔라 | 36 (36) | 6 | 23 | 2 | 6622 (39) | |
| 2011[88] | 토니 스튜어트 (3) | 스튜어트-하스 레이싱 | 14 | 쉐보레 임팔라 | 36 (36) | 5 | 19 | 1 | 2403 (0) |
| 2012[89] | 브래드 케iselowski | 펜스케 레이싱 | 2 | 닷지 차저 | 36 (36) | 5 | 23 | 0 | 2400 (39) |
| 2013[90] | 지미 존슨 (6) | 헨드릭 모터스포츠 | 48 | 쉐보레 임팔라 | 36 (36) | 6 | 24 | 3 | 2419 (19) |
| 2014[91] | 케빈 하비크 | 스튜어트-하스 레이싱 | 4 | 홀덴 VF 코모도어[92] | 36 (36) | 8 | 5 | 20 | 5,043 (1) |
| 2015[93] | 카일 부쉬 | 조 깁스 레이싱 | 18 | 토요타 캠리 | 25 (36) | 5 | 16 | 1 | 5043 (1) |
| 2016[94] | 지미 존슨 (7) | 헨드릭 모터스포츠 | 48 | 홀덴 VF 코모도어[92] | 36 (36) | 5 | 16 | 1 | 5043 (3) |
| 2017[95] | 마틴 트루엑스 주니어 | 퍼니처 로 레이싱 | 78 | 토요타 캠리 | 36 (36) | 8 | 26 | 3 | 5040 (5) |
| 2018[96] | 조이 로가노 | 팀 펜스케 | 22 | 포드 퓨전 | 36 (36) | 3 | 26 | 1 | 5040 (5) |
| 2019 | 카일 부쉬 (2) | 조 깁스 레이싱 | 18 | 토요타 캠리 | 36 (36) | 5 | 27 | 5,040 (5) | |
| 2020 | 체이스 엘리엇 | 헨드릭 모터스포츠 | 9 | 쉐보레 카마로 | 36 (36) | 5 | 22 | 5,040 (5) | |
| 2021 | 카일 래슨 | 헨드릭 모터스포츠 | 22 | 쉐보레 카마로 | 36 (36) | 10 | 26 | 5,040 (6) | |
| 2022 | 조이 로가노 | 팀 펜스케 | 22 | 포드 머스탱 | 36 (36) | 4 | 15 | 5,040 (6) | |
| 2023 | 라이언 블레이니 | 팀 펜스케 | 12 | 포드 머스탱 | 36 (36) | 3 | 18 | 5,035 (1) | |
| 2024 | 조이 로가노 | 팀 펜스케 | 22 |
3. 2. 오너 챔피언십
컵 시리즈 오너 챔피언십은 드라이버 챔피언십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되지만, 각 차량에 개별적으로 점수가 부여된다는 차이점이 있다.[34] 한 오너가 여러 대의 차량을 출전시키는 경우, 각 차량은 별개의 개체로 간주되어 점수가 매겨진다.[34]드라이버 타이틀을 위한 점수를 얻을 수 없는 드라이버라도 오너 챔피언십을 위한 점수는 얻을 수 있다.[34] 예를 들어, 2011 데이토나 500에서 우승한 트레버 베인은 네이션와이드 시리즈 챔피언십에 출전하기로 선택하여 드라이버 포인트를 얻지 못했지만, 우드 브라더스 레이싱을 위해 47점의 오너 포인트를 획득했다.[34]
2013년부터 오너 점수 상위 36개 팀에게 다음 레이스 출전권이 부여되는 방식이 변경되었다.[34] 2005년부터는 오너 점수에 대한 별도의 "챔피언십을 위한 체이스"가 존재한다.[34]
2016년부터 도입된 차터 시스템은 지난 3시즌 연속으로 풀 참전한 팀[76]의 성적에 따라 36개의 차터 팀을 결정하며, 이 팀들은 모든 36개 레이스에 대한 참가가 보장된다.[75] 결승에는 차터 팀 36대와 예선을 통과한 오픈 팀 4대를 합쳐 총 40대가 출전한다.[77]
2007년에는 규칙 개정으로 우승자의 획득 포인트가 5점 인상되었다. 2010년 시즌까지 각 레이스의 포인트는 다음과 같았다.
|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득점 | 185 | 170 | 165 | 160 | 155 | 150 | 146 | 142 | 138 | 134 |
| 순위 |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득점 | 130 | 127 | 124 | 121 | 118 | 115 | 112 | 109 | 106 | 103 |
| 순위 |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득점 | 100 | 97 | 94 | 91 | 88 | 85 | 82 | 79 | 76 | 73 |
| 순위 |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득점 | 70 | 67 | 64 | 61 | 58 | 55 | 52 | 49 | 46 | 43 |
| 순위 | 41위 | 42위 | 43위 | |||||||
| 득점 | 40 | 37 | 34 |
또한, 랩 리더를 기록했을 경우와 최다 랩 리더를 획득했을 경우 각각 5점의 보너스 포인트가 부여되었다.
3. 3. 제조사 챔피언십
제조사 챔피언십은 매년 수여되지만, 드라이버 챔피언십이 더 권위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35] 과거에는 많은 제조사가 참여하여 제조사 챔피언십이 권위 있었고, 주요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었다. Xfinity 시리즈에서는 이 챔피언십이 빌 프랑스 퍼포먼스 컵으로 알려져 있다.[35]2013 시즌까지는 1960~1990년 포뮬러 1 시스템과 유사한 방식으로 점수가 매겨졌다. 우승 제조사는 9점, 다음 제조사는 6점, 세 번째 제조사는 4점, 네 번째 제조사는 3점, 다섯 번째 제조사는 2점, 여섯 번째 제조사는 1점을 받았다. 예를 들어, 특정 레이스에서 시보레가 1위부터 10위까지 차지하고, 포드가 11위, 닷지가 12위를 차지하면 시보레는 9점, 포드는 6점, 닷지는 4점을 얻는 방식이었다.
2014년부터 NASCAR는 시스템을 오너 챔피언십과 유사하게 변경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제조사의 최고 성적 대표가 해당 팀이 랩 리드 또는 이벤트 우승으로 얻은 보너스 포인트를 포함하여 동일한 수의 포인트를 얻게 되었다.[36]
NASCAR 초창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차가 사용되었지만, 1960년대 중반부터는 미국 제조사만이 참여하고 공장 지원을 받게 되었다. 크라이슬러, 포드, 제너럴 모터스는 NASCAR 역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요 경쟁자였다. 플리머스는 1960년대에 헤미 엔진으로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포드가 1970년대 초 레이싱에서 철수하기 전까지는 제조사 챔피언십에서 우승하지 못했다. GM은 1991년에도 NASCAR에 4개의 다른 브랜드를 사용했지만, 3년 이내에 뷰익과 올즈모빌은 사라졌다. 폰티악은 2004년까지 살아남았고, 시보레만 남았다. 2007년에는 일본 제조사인 토요타가 합류하면서 1971년 이후 처음으로 새로운 브랜드가 등장했다. 크라이슬러의 닷지 브랜드는 2001년 15년 만에 복귀했지만, 2012년 이후 떠나 시보레, 포드 및 토요타만 남게 되었다.
2023년 현재 시보레는 851번의 레이스 우승과 42번의 제조사 챔피언십으로 가장 성공적인 제조사이다. 포드는 728번의 우승과 17번의 제조사 챔피언십으로 2위를 차지했다. 닷지는 217번의 우승과 2번의 제조사 챔피언십으로 3위, 플리머스는 191번의 우승과 1번의 제조사 챔피언십으로 4위, 토요타는 180번의 우승과 3번의 제조사 챔피언십으로 5위, 폰티악은 154번의 우승과 1번의 제조사 챔피언십으로 6위를 차지했다. (닷지, 플리머스, 폰티악은 더 이상 NASCAR에 참여하지 않는다.)
현재는 각 제조사에서 최고 순위의 드라이버 순위에 따라 드라이버 포인트와 동일한 점수가 부여된다. 더불어 우승에는 3점, 1랩 이상 리드 획득에 1점, 최다 리드 랩 드라이버의 제조사에 1점이 각각 가산된다. 예를 들어, 토요타가 1-3위를 차지하고 4위에 시보레가 들어왔을 경우, 토요타는 우승차의 43점, 시보레는 4위의 33점을 얻을 수 있다.
4. 차량
컵 시리즈 차량(컵 카)은 전방 엔진, 후륜구동 설계를 따른다. 롤 케이지가 스페이스 프레임 섀시 역할을 하며, 24게이지 판금 차체로 덮여 있다. 폐쇄형 조종석, 펜더, 리어 스포일러 및 공기역학적 스플리터가 있다. 2012년부터 EFI V8 엔진으로 구동되며, 배기량은 358 세제곱인치(약 5.8리터)로 제한된다.[38][39][40][41][42] 현대 기술 덕분에 동일한 기본 엔진 설계를 유지하면서도 제한이 없을 때 900hp에 가깝거나 초과하는 출력을 낼 수 있게 되었다. NASCAR가 기어 규칙을 제정하기 전에는 컵 엔진이 10,000rpm 이상으로 작동할 수 있었다.[43]
최대 보어가 약 10.63cm이고 스트로크가 약 8.26cm인 NASCAR 컵 시리즈 엔진은 9,000rpm에서 평균 피스톤 속도가 80.44fps(24.75 m/s)이다. 최신 컵 엔진은 로드 코스 이벤트, 포코노 레이스웨이의 긴 프런트 스트레치, 마틴스빌 스피드웨이(0.526마일 단축 트랙)에서 9,800rpm, 87.59fps(26.95 m/s)로 작동한다. NASCAR의 1.5~2.0마일 기본 트라이오벌 트랙에서 엔진은 500마일(코카콜라 600 샬럿 레이스의 경우 600 mi) 동안 9,200~9,400rpm으로 작동하면서 850 hp를 훨씬 넘게 생산한다. 현재 NASCAR 컵 엔진의 연석 중량은 대략 약 260.82kg이다.
전면 서스펜션은 더블 위시본 설계이며, 후면 서스펜션은 2022년까지 2링크 리브 액슬 설계에 트레일링 암을 사용했으나, 넥스트 젠 차량부터 더블 위시본과 조절 가능한 내부 충격 장치가 있는 완전 독립형 전면 및 후면 서스펜션으로 변경되었다. 브레이크 로터는 자기 주철 또는 강철로 만들어야 하며 직경이 약 32.31cm를 초과할 수 없다.[44]
차량의 유일한 공기역학적 구성 요소는 프론트 스플리터, 스포일러, 창의 NACA 덕트, 사이드 스커트뿐이다. 후면 디퓨저, 보텍스 제너레이터, 카나드, 휠 웰 통풍구, 후드 통풍구 및 언더 트레이의 사용은 Gen 6 시대까지 엄격히 금지되었지만, 현재의 넥스트 젠 차량은 NASCAR 자매 기관인 IMSA의 GT 데이토나 클래스에 사용되는 디퓨저와 유사한 후면 디퓨저를 특징으로 한다. 특정 트랙에서 차량은 약 200mp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
NASCAR 컵 시리즈 엔진은 Freescale에서 제공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사용하지만, 트랙션 컨트롤 및 ABS 브레이크는 금지되어 있다. 라이브 텔레메트리는 텔레비전 방송에만 사용되지만, 데이터는 차량이 트랙에 있지 않고 차고에 있는 경우 ECU에서 컴퓨터로 기록할 수 있다.
컵 자동차는 로드 코스에서 작동하는 앞 유리 와이퍼를 1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 자동차의 서스펜션, 브레이크, 공기역학 부품도 다양한 경주 트랙에 맞게 차량을 조정하기 위해 선택된다. 언더스티어가 발생하는 자동차는 "타이트"하거나 "푸싱"하다고 하며, 오버스티어가 발생하는 자동차는 "루즈"하거나 "프리"하다고 한다. 프론트 및 리어 공기역학적 다운포스, 스프링 레이트, 트랙 바 기하학, 브레이크 배분, 웨지(크로스 웨이트라고도 함), 캠버 각도 변경, 타이어의 공기압 변경은 모두 코너링 중 타이어 간의 힘의 분배를 변경하여 핸들링 문제를 수정할 수 있다.
날씨 변화도 차량의 핸들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컵 시리즈에서 레인 타이어가 레이스 중에 처음 사용된 것은 2020 뱅크 오브 아메리카 로발 400과 2021 텍사스 그랑프리였다.
4. 1. 차량 규정 변천
NASCAR 컵 시리즈는 시간이 지나면서 차량 규정이 여러 번 바뀌었다.초창기에는 '스트릭틀리 스톡(strictly stock)'이라는 이름처럼 일반 도로용 차량을 거의 개조하지 않고 경주에 사용했다. 안전을 위해 창문을 내리고 외부 조명과 사이드 미러를 제거하거나 테이프로 가리는 정도였다. 1957년에는 연료 분사 방식의 시보레 150 모델이 강력한 성능으로 인해 금지되기도 했다.
1960년대 중반까지는 쉐보레 벨 에어나 포드 갤럭스와 같은 대형 차량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이후에는 중형차에 대배기량 엔진을 탑재한 머슬카가 인기를 끌었다. 1969년부터는 에어로 워리어라고 불리는 특수 모델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어 배기량이 제한되고 호몰로게이션 대수가 늘어나면서 에어로 워리어 시대는 막을 내렸다.
1970년대 오일 쇼크와 자동차 다운사이징 추세에 따라 NASCAR는 1981년부터 휠베이스 요구 사항을 줄이고, 뷰익 리갈, 포드 썬더버드, 쉐보레 몬테카를로, 폰티악 그랑프리 등 다양한 차종이 경쟁하게 되었다. 1987년에는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탤러데가 슈퍼스피드웨이와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에서 리스트릭터 플레이트 사용이 의무화되었다.
1992년부터는 스톡 차체 패널이 제거되고 강철 범퍼가 유리 섬유로 교체되는 등 '스톡'의 요소가 거의 사라졌다. 1995년에는 쉐보레 몬테카를로가 복귀하면서 둥근 차체 형태가 유행했다. 1998년 이후 포드는 4도어 포드 토러스 차체를 사용했다.
2007년에는 '카 오브 투모로우(CoT)'라는 새로운 차량 사양이 도입되어 비용 절감, 균등성, 드라이버 안전에 중점을 두었다. CoT는 차폭이 넓어지고 범퍼가 재설계되었으며, 운전석 위치가 중앙으로 이동하고 리어 윙이 추가되었다. 2010년에는 리어 윙이 스포일러로 다시 변경되었고, 2012년에는 연료 분사 기술이 도입되었다.
2013년에는 제6세대 레이싱카가 도입되어 차량 디자인의 자율성이 높아지고 도로 주행 차량과의 유사성이 강조되었다. 2016년부터는 맥라렌에서 판매하는 디지털 대시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2018년과 2019년에는 쉐보레 카마로와 포드 머스탱이 각각 컵 시리즈에 복귀했다.
2022년에는 넥스트 젠(Next Gen)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7세대 차량이 도입되었다. 넥스트 젠은 센터 락 휠, 리어 디퓨저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공기역학 및 다운포스 패키지를 개선했다. 또한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제조사 | 차종 | 참전 연도 | 타이틀 |
|---|---|---|---|
| 알파 로메오 | 알파 로메오 줄리에타 | 1962[101] | 0 |
| 아메리칸 모터스 | 1950년대 초 | 0 | |
| 허드슨 호넷 | 1950년대 초 | 3 | |
| AMC 마타도어 | 1971-78 | 0 | |
| 애스턴 마틴 | 1953[102] | 0 | |
| 오스틴-힐리 | 1961-62 | 0 | |
| 크라이슬러 | 1952 & 1959[103] | 0 | |
| 1953-57; 1965-68 | 2 | ||
| 1964 | |||
| 닷지 챌린저/ | 1966-77; 2005-2007 | ||
| 닷지 매그넘 | 1978-80 | ||
| 1981–85 | |||
| 닷지 인트레피드 | 2001-04 | ||
| 닷지 어벤저 | 2007 (COT) | ||
| 닷지 챌린저 R/T | 2008-2012 | ||
| 크라이슬러 300 | 1954-56 | 2 | |
| 크라이슬러 임페리얼 | 1983-85 | ||
| 플리머스 벨베데레 | 1959-67 | 2 | |
| 플리머스 로드 러너/슈퍼버드 | 1968-74 | ||
| 1950년대 | |||
| 포드 | 1955년 - 1959년, 1966년 - 1967년 | 13 | |
| 포드 선더버드 | 1959년 - 1960년, 1977년 - 1997년 | ||
| 포드 갤러시 | 1960년 - 1966년 | ||
| 포드 토리노/탈라데가 | 1968년 - 1977년 | ||
| 포드 토러스 | 1998년 - 2005년 | ||
| 포드 퓨전 | 2006년 - 2018년 | ||
| 포드 머스탱 | 2019년[104] - (현재) | ||
| 머큐리 몬트레이 | 1950년대–1962 | 1 | |
| 머큐리 마로더 | 1963–1966 | ||
| / | 1966-67 | ||
| / | 1968-80 | ||
| 머큐리 쿠거 | 1970년대-1980년대 | ||
| / | 1949-57[105][106] | 0 | |
| 1959[107][108] | 0 | ||
| 제너럴 모터스 | 뷰익 리갈 | 1981-85, 1988-91 | 2 |
| 뷰익 센추리 | 1976-80 | ||
| 1970년대 | |||
| 1986-87 | |||
| 1980년대 | |||
| / | 1949-55[109][110] | 0 | |
| 시보레 벨에어 | 1955-58 | 27 | |
| 시보레 셰벨/말리부 | 1964–80 | ||
| 1973–77 | |||
| 시보레 임팔라 | 1979년 - 1980년, 2010년 - 2012년 | ||
| 시보레 임팔라 SS | 2007년(COT) - 2009년 | ||
| 1989년 - 1994년 | |||
| 시보레 몬테카를로/몬테카를로 SS | 1971년 - 1988년, 1995년 - 2007년 | ||
| 홀덴 VF 코모도어[92] | 2013년 - 2017년 | ||
| 시보레 카마로 | 2018년[111][112] - (현재) | ||
| 1949-60 | 4 | ||
| // | 1976-92 | ||
| 1986-87 | |||
| 1959-63 | 3 | ||
| 폰티악 파이어버드 | 1970 | ||
| 1981-2004 | |||
| 1970년대 | |||
| 폰티악 템페스트 | 1960년대 | ||
| 폰티악 GTO | 1960년대 | ||
| 재규어 | 재규어 XK120 | 1953-56 | 0 |
| 카이저-프레이저 | 카이저 헨리 J | 1949-54 | 0 |
| MG | 1954 | 0 | |
| MG MGA | 1960-63 | ||
| 패커드 | / | 1950-56[113][114] | 0 |
| 포르쉐 | 포르쉐 356 | 1953-54 | 0 |
| 스터드베이커 | // | 1950-62[115] | 0 |
| 토요타 | 토요타 캠리 | 2007년 - (현재) | 2 |
| 트라이엄프 | 1960[116] | 0 | |
| 터커 | 터커 토피도 | 1950 | 0 |
| 폭스바겐 | 폭스바겐 비틀 | 1953 | 0 |
| 1952-54[117][118][119] | 0 |
4. 1. 1. 제1세대 (1948-1964)
이 시리즈가 "스트릭틀리 스톡(strictly stock)"이라는 이름으로 결성되었을 때, 차량들은 말 그대로 생산 차량이었으며 개조는 허용되지 않았다. "스톡카"라는 용어는 경주에 사용되는 차량이 개조되지 않은 일반 도로용 차량임을 의미했다. 드라이버들은 공장에서 설치된 벤치 시트와 AM 라디오가 그대로 장착된 상태로 경주에 참가했다. 트랙에 깨진 유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창문은 내려졌고, 외부 조명은 제거되거나 테이프로 가려졌으며, 사이드 미러는 제거되었다. 1957년형 연료 분사 방식의 150 모델 쉐보레(일명 "블랙 위도우")는 NASCAR에 의해 금지된 최초의 차량이었다. 1957년형 쉐보레는 59번의 우승으로 컵 시리즈에서 경주한 모든 차량 중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다. 1960년대 중반 이전에는, 차량들은 일반적으로 쉐보레 벨 에어나 포드 갤럭스와 같은 풀 사이즈 차량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프런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의 시판 차량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1949년부터 1970년경까지는 북미 시장에서 최소 500대를 판매한 차량이라면 어떤 차량이라도 참전할 수 있었다. 1957년, 기계식 연료 분사 장치를 탑재하여 오벌 트랙에서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던 시보레 150영어의 사용이 금지되었고, 이후 차량은 기화기만 허가되었다. 1960년대 중반까지는 대배기량 엔진을 탑재한 풀 사이즈 차량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1966년 이후에는 중형차에 풀 사이즈 대배기량 엔진을 탑재한 머슬카로 대체되었다. 1969년부터 1970년에는 특별한 대배기량 엔진과 대형 에어로 파츠가 장착된 차량의 호몰로게이션을 별도로 취득하여, 양자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극히 고성능의 레이스 차량을 만들어내는 에어로 워리어라고 불리는 스페셜 모델의 규제 때문에, 특수한 공력 부가물을 장착한 차량의 배기량을 5L까지 제한함으로써, 사실상 이러한 차량의 오벌 트랙에서의 경쟁력을 잃게 만들었다. 호몰로게이션 대수도 그전까지의 최소 500대에서 최소 3000대로 대폭 인상되었기 때문에, 에어로 워리어의 시대는 불과 2년 정도 만에 막을 내렸다. 같은 시기에 시판차 그 자체의 섀시를 사용하는 스톡 바디에서, 강관 프레임 섀시에 바디 외판을 덮는 현재와 같은 파이프 프레임 바디로의 이행도 진행되었다.
| 제조사 | 차종 | 참전 연도 | 타이틀 |
|---|---|---|---|
| 알파 로메오 | 알파 로메오 줄리에타 | 1962[101] | 0 |
| 아메리칸 모터스 | 1950년대 초 | 0 | |
| 허드슨 호넷 | 1950년대 초 | 3 | |
| AMC 마타도어 | 1971-78 | 0 | |
| 애스턴 마틴 | 1953[102] | 0 | |
| 오스틴-힐리 | 1961-62 | 0 | |
| 크라이슬러 | 1952 & 1959[103] | 0 | |
| 1953-57; 1965-68 | 2 | ||
| 1964 | |||
| 닷지 챌린저/ | 1966-77; 2005-2007 | ||
| 닷지 매그넘 | 1978-80 | ||
| 1981–85 | |||
| 닷지 인트레피드 | 2001-04 | ||
| 닷지 어벤저 | 2007 (COT) | ||
| 닷지 챌린저 R/T | 2008-2012 | ||
| 크라이슬러 300 | 1954-56 | 2 | |
| 크라이슬러 임페리얼 | 1983-85 | ||
| 플리머스 벨베데레 | 1959-67 | 2 | |
| 플리머스 로드 러너/슈퍼버드 | 1968-74 | ||
| 1950년대 | |||
| 포드 | 1955년 - 1959년, 1966년 - 1967년 | 13 | |
| 포드 선더버드 | 1959년 - 1960년, 1977년 - 1997년 | ||
| 포드 갤러시 | 1960년 - 1966년 | ||
| 포드 토리노/탈라데가 | 1968년 - 1977년 | ||
| 포드 토러스 | 1998년 - 2005년 | ||
| 포드 퓨전 | 2006년 - 2018년 | ||
| 포드 머스탱 | 2019년[104] - (현재) | ||
| 머큐리 몬트레이 | 1950년대–1962 | 1 | |
| 머큐리 마로더 | 1963–1966 | ||
| / | 1966-67 | ||
| / | 1968-80 | ||
| 머큐리 쿠거 | 1970년대-1980년대 | ||
| / | 1949-57[105][106] | 0 | |
| 1959[107][108] | 0 | ||
| 제너럴 모터스 | 뷰익 리갈 | 1981-85, 1988-91 | 2 |
| 뷰익 센추리 | 1976-80 | ||
| 1970년대 | |||
| 1986-87 | |||
| 1980년대 | |||
| / | 1949-55[109][110] | 0 | |
| 시보레 벨에어 | 1955-58 | 27 | |
| 시보레 셰벨/말리부 | 1964–80 | ||
| 1973–77 | |||
| 시보레 임팔라 | 1979년 - 1980년, 2010년 - 2012년 | ||
| 시보레 임팔라 SS | 2007년(COT) - 2009년 | ||
| 1989년 - 1994년 | |||
| 시보레 몬테카를로/몬테카를로 SS | 1971년 - 1988년, 1995년 - 2007년 | ||
| 홀덴 VF 코모도어[92] | 2013년 - 2017년 | ||
| 시보레 카마로 | 2018년[111][112] - (현재) | ||
| 1949-60 | 4 | ||
| // | 1976-92 | ||
| 1986-87 | |||
| 1959-63 | 3 | ||
| 폰티악 파이어버드 | 1970 | ||
| 1981-2004 | |||
| 1970년대 | |||
| 폰티악 템페스트 | 1960년대 | ||
| 폰티악 GTO | 1960년대 | ||
| 재규어 | 재규어 XK120 | 1953-56 | 0 |
| 카이저-프레이저 | 카이저 헨리 J | 1949-54 | 0 |
| MG | 1954 | 0 | |
| MG MGA | 1960-63 | ||
| 패커드 | / | 1950-56[113][114] | 0 |
| 포르쉐 | 포르쉐 356 | 1953-54 | 0 |
| 스터드베이커 | // | 1950-62[115] | 0 |
| 토요타 | 토요타 캠리 | 2007년 - (현재) | 2 |
| 트라이엄프 | 1960[116] | 0 | |
| 터커 | 터커 토피도 | 1950 | 0 |
| 폭스바겐 | 폭스바겐 비틀 | 1953 | 0 |
| 1952-54[117][118][119] | 0 |
4. 1. 2. 제2세대 (1965-1980)
1965년, 개조된 섀시가 도입되었다. 미드사이즈 자동차인 포드 페어레인과 플리머스 벨베데레가 채택되었다. 포드 토리노 탈라데가와 같이 NASCAR 경주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자동차가 등장했는데, 포드 토리노 탈라데가는 둥근 앞부분을 가지고 있었고, 닷지 차저 데이토나와 플리머스 슈퍼버드는 지붕 높이보다 높은 리어 윙과 상어 모양의 노즈 캡을 갖춰 시속 약 321.87km의 경주 속도를 낼 수 있었다. Ford Boss 429 엔진을 장착한 포드 기반의 머큐리 스포일러는 시속 약 321.22km의 속도를 기록했다. 1971년부터 NASCAR는 포드 및 크라이슬러의 특수 자동차(별명 에어로 워리어스)를 약 4998.05cm3로 제한하여 경쟁에서 배제하기 위한 규칙을 개정했다.[80] 이 규칙의 영향을 받은 자동차로는 포드 탈라데가, 머큐리 스포일러 II, 닷지 차저 500, 닷지 차저 데이토나 및 플리머스 슈퍼버드가 있다.
1970년 8월부터 NASCAR는 약 5997.67cm3 이상의 엔진에 제한 플레이트를 사용했다. NASCAR는 최대 엔진 배기량을 약 7046.44cm3에서 약 5997.67cm3로 낮추는 규칙을 점차 시행했다. 1974년, 최대 엔진 배기량은 430입방인치에서 358 입방인치로 증가했다. 1975년, NASCAR는 최대 소형 블록 엔진 배기량을 약 5997.67cm3에서 현재의 약 5866.57cm3로 줄였다. 이러한 전환은 1977년까지 완료되지 않았으며, 미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레이싱에 대한 공장 지원을 종료하고 1973년 오일 쇼크가 발생한 시기와 일치했다.

4. 1. 3. 제3세대 (1981-1991)
1970년대 후반 자동차 다운사이징으로 인해 NASCAR는 규정 변경이라는 도전에 직면했다. 1981년부터 휠베이스 요구 사항이 약 279.40cm로 감소하면서, 뷰익 리갈, 포드 썬더버드, 쉐보레 몬테카를로, 폰티악 그랑프리 등이 경쟁했다.[47]1987년 NASCAR 윈스턴 컵 시리즈에서 빌 엘리엇은 의 속도 기록을 세웠으나, 바비 앨리슨의 사고로 인해 탤러데가 슈퍼스피드웨이와 데이토나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에서 리스트릭터 플레이트 사용이 의무화되었다.[48]
1989년, GM 중형 모델이 V6 엔진과 전륜구동으로 전환되었지만, NASCAR 레이서들은 구형 V8 후륜구동 구동계를 유지하면서 차체 형태만 유지했다.
4. 1. 4. 제4세대 (1992-2007)
1992년은 "스톡" 자동차 경주에서 "스톡"의 모든 유사성을 제거한 세대인 제4세대 차량의 시작을 알렸다. 스톡 차체 패널이 제거되고, 강철 범퍼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유리 섬유로 교체되었다.[80] 1994년에는 러스티 월리스가 1993년에 두 번의 악명 높은 공중 충돌을 겪은 후 모든 차량에 루프 플랩이 추가되었다.[80] 1995년에는 새롭게 디자인된 쉐보레 몬테카를로가 스포츠로 복귀하면서 둥근 차체 형태의 유행이 시작되었다.[80] 포드 썬더버드는 1997년 이후 단종되었고, 포드는 2도어 중형 차체를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4도어 포드 토러스 차체가 사용되었다(하지만 NASCAR 레이서들은 실제로는 열리는 문이 없다).[80]
레이싱에 사용된 자동차의 제조업체와 모델은 생산 차량(닷지 차저 R/T, 쉐보레 임팔라 SS, 토요타 캠리, 포드 퓨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NASCAR 컵 시리즈 자동차와 실제 생산 차량 사이의 유사점은 코, 헤드라이트 및 테일 라이트 데칼, 그리고 그릴 영역의 약간의 형태와 페인팅에 국한되었다.[80] 1998년까지 후드, 루프 및 데크리드는 여전히 스톡 차량과 동일해야 했다.[80] 이는 NASCAR가 포드 토러스 데크리드를 상당 부분 수정하여 차량이 필요한 템플릿에 맞도록 허용하면서 제거되었다.[80]

이 시기에 NASCAR는 특정 차량 모델이 지나치게 우위를 점하게 되면 시즌 중에 규칙 변경을 의무화하는 관행을 시작했다. 이로 인해 일부 팀이 더 유리한 핸디캡을 받기 위해 샌드백킹을 시도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경우가 많았다.[80]
포드 토러스 경주용 자동차의 악명 높은 방식과 제조사가 자동차를 "오프셋" 자동차로 바꾼 방식(차량은 타원형 모양 때문에 경주 트림에서 악명 높게 비대칭적이었음) 때문에 NASCAR는 이러한 관행을 종료하여 동등성을 강조하고 2003년에 새로운 차체 규칙을 단축 서킷 경주와 유사하게 만들었다.[80] 오프셋 차량이 경주 관계자에게 부담이 되면서 "승인된 차체 구성"( "일반 템플릿"이라고도 함) 디자인이 나왔다.[80]
4. 1. 5. 카 오브 투모로우 (COT) (2007-2012)
2007년, NASCAR는 "카 오브 투모로우"(CoT)로 알려진 새로운 차량 사양을 도입했다.[49] CoT는 2007년 3월 브리스톨 모터 스피드웨이에서 처음 등장했으며, 처음에는 16개의 선별된 이벤트에서만 사용되었다.[49] NASCAR는 원래 2009년 시즌 시작까지 모든 레이스에 CoT를 사용할 계획이었지만, 2008년 시즌 시작으로 변경되었다.CoT의 설계는 비용 관리, 균등성, 드라이버 안전에 중점을 두었다.[49] 차량 폭은 넓어졌고, 범프 앤 런 전술의 효과를 줄이기 위해 범퍼가 재설계되었으며, 차량 높이는 높아져서 키가 큰 드라이버를 수용하고 공기역학적 항력을 증가시켰다. 운전석은 차량 중앙에 더 가깝게 이동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스포일러를 대체하는 리어 윙의 추가였다. 윙은 0도에서 16도 사이로 조정할 수 있었고 여러 가지 엔드 플레이트 구성으로 사용되었다.
새로운 규칙은 1998년 포드 토러스 출시 이후 만연해 있던 차량의 비대칭 차체를 제거했다. NASCAR는 모든 CoT가 제조사 및 모델에 관계없이 공통 차체 템플릿을 준수하도록 요구했다.
리어 윙은 몇 년 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다. 그 모습은 종종 비판을 받았고, 2009년 아론 499에서 칼 에드워즈가 경험한 것과 같이 고속 스핀에서 차량이 공중에 뜨도록 만든다는 비난을 받았다. 2010년, NASCAR는 윙을 원래의 스포일러로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이 전환은 마틴스빌 스피드웨이에서 열린 2010년 굿디스 패스트 페인 릴리프 500부터 시작되었다.[50]
2011년, NASCAR는 차량의 코를 한 번 더 변경하여, 스플리터의 크기를 줄이고 지지대를 단단한 전면 밸런스로 대체했다.[51]

2012년에는 NASCAR가 연료 분사 기술을 도입하면서 주요 엔진 변경이 발생했다. NASCAR는 처음에는 2011년 시즌 중간에 연료 분사로 전환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그 시즌 전에 2012년까지 변경을 연기하기로 결정했다.[52]

4. 1. 6. 제6세대 (2013-2021)
2013년, 제조사들은 NASCAR 컵 시리즈 차량의 브랜딩에 대한 자율성을 높여 제6세대(Generation 6) 레이싱카를 만들었다. 이러한 변화는 2011년 Xfinity 시리즈에서 그랬던 것처럼, 차량이 도로 주행 차량과 더 비슷해지도록 하기 위해 이루어졌다.[53]모든 NASCAR 컵 시리즈 차량은 2016년부터 맥라렌에서 판매하는 디지털 대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54] 이 대시에는 16개의 사용자 정의 프리셋 화면이 포함되어 있어,[55] 운전자가 랩 타임 및 엔진 진단과 같은 여러 추가 요소와 함께 이전의 모든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총 24개의 데이터 요소를 제공한다. 정보는 게이지, 숫자, 막대 그래프 또는 LED로 표시될 수 있다.[56]
이 세대 동안 주로 세단 모델을 기반으로 한 차량으로 경쟁을 벌였지만,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세단의 판매 감소로 인해 포니 카(쿠페 기반 모델)가 컵 시리즈로 복귀하게 되었으며, 쉐보레는 2018년에 쉐보레 카마로로, 이듬해 포드는 포드 머스탱으로 전환했다.
4. 1. 7. 넥스트 젠 (2022-)
2022년, NASCAR는 넥스트 젠(Next Gen)이라는 이름의 완전히 새로운 7세대 차량을 도입했다.[57][58] 6세대 차량에서 더 발전한 넥스트 젠은 로드 레이싱 자동차에 사용되는 센터 락 휠, 리어 디퓨저와 같은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개선된 공기역학 및 다운포스 패키지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넥스트 젠 차량은 비용을 절감하고 GM(Chevrolet), 포드, 토요타와 경쟁할 새로운 OEM 업체를 유치하기 위한 것이다.[59][60][61][62]넥스트 젠은 강관 스페이스 프레임이 채용되었지만, 6단 시퀀셜 시프트, 독립 현가 리어 서스펜션, BBS제 18인치 센터 록 휠 등[99], 처음 채용된 요소가 많다.[100]
2023년, 헨드릭 모터스포츠가 출전시킨 대폭 수정된 넥스트 젠 카마로가 2023년 르망 24시에 참가하여, 출전한 62대의 차량 중 39위를 기록했다.[63]
5. 경기
NASCAR 컵 시리즈는 주로 미국 동부 주에서 개최되며, 미시시피 강 서쪽에는 7개의 트랙만 존재한다. 컵 시리즈 경기는 표준화된 트랙에서 진행되지 않으며, 2024 시즌에는 오벌 트랙 31개와 로드 코스 5개에서 경주가 열린다.
트랙의 길이는 마틴스빌 스피드웨이의 약 0.85km부터 탤러데가 슈퍼스피드웨이의 약 4.28km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오벌 트랙은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있지만, 3개 트랙은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있다. 2021년에는 브리스톨 모터 스피드웨이에서 흙길 레이싱이 다시 열리기도 했다.
일부 트랙은 브리스톨 모터 스피드웨이처럼 완전한 오벌 형태이지만, 현재 컵 대회에서 사용되는 트랙의 절반 이상은 트라이-오벌 형태이다. 다링턴 레이스웨이의 독특한 "계란" 모양, 삼각형의 포코노 레이스웨이, 직사각형의 인디애나폴리스 모터 스피드웨이 등 다양한 형태의 트랙이 존재한다.
NASCAR는 주로 오벌 트랙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지만, 소노마 레이스웨이와 왓킨스 글렌 인터내셔널은 시계 방향으로 진행되는 복잡한 로드 코스이다. 1963년 이후, 매년 최소 한 번 이상 로드 코스에서 경주가 열리고 있다.
트랙의 코너는 다양한 뱅킹 각도를 가지고 있다. 뉴햄프셔 모터 스피드웨이는 7도의 가장 평평한 뱅킹을, 탤러데가 슈퍼스피드웨이는 33도의 가장 가파른 뱅킹을 가지고 있다. 트랙의 직선 구간 역시 뱅킹 각도가 다르며, 도버 인터내셔널 스피드웨이는 9도의 뱅킹을 가지고 있다.
경기 속도는 트랙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가장 빠른 트랙은 탤러데가 슈퍼스피드웨이로, 평균 최고 속도는 188.354mph이고, 1987년 빌 엘리엇이 세운 예선 랩 기록은 212.809mph이다.[65] 가장 느린 트랙은 소노마 레이스웨이(평균 속도 83.6mph)와 마틴스빌 스피드웨이(평균 속도 82.2mph)이다.
참조
[1]
웹사이트
NASCAR : NASCAR Drivers, Race Standings & News — NASCAR.com
http://www.nascar.co[...]
2015-11-16
[2]
웹사이트
NASCAR introduces Premier Partners of NASCAR Cup Series: Busch Beer, Coca-Cola, GEICO, Xfinity
https://www.nascar.c[...]
NASCAR Digital Media, LLC.
2019-12-05
[3]
간행물
NASCAR Announces Chase for the Sprint Cup Format Change
http://www.nascar.co[...]
NASCAR
2014-01-30
[4]
웹사이트
NASCAR Cup Series: 2019 Daytona 500 TV ratings the lowest on record
https://beyondthefla[...]
2019-02-21
[5]
웹사이트
Strictly Stock Standings and Statistics for 1949
http://racing-refere[...]
2007-05-09
[6]
서적
NASCAR Cleans Up
2004-09
[7]
뉴스
Name changes slated for Grand National, LMS series
https://www.newspape[...]
1985-10-30
[8]
서적
How Do They Do That?: Winston Cup Point System
2001-10
[9]
서적
NASCAR Chronicle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2006
[10]
웹사이트
Darlington Legends: Million Dollar Bill
http://www.darlingto[...]
2009-07-05
[11]
웹사이트
Winston to Substitute "No Bull 5" for "Winston Million"
http://www.theautoch[...]
2009-07-05
[12]
웹사이트
NASCAR's Greatest Moments – Part 3
http://www.autoracin[...]
2009-03-12
[13]
웹사이트
NASCAR Pulls into Prime Time
https://www.forbes.c[...]
2009-08-22
[14]
간행물
Meet the Mater
https://ew.com/artic[...]
2006-06-19
[15]
간행물
Conheça os atores de Carros
http://www.fastdrive[...]
2006-06-29
[16]
웹사이트
"Nextel Cup Unveiled"
https://web.archive.[...]
2008-08-04
[17]
웹사이트
"Is NASCAR losing traditional fan base?"
https://archive.toda[...]
2009-03-12
[18]
웹사이트
"NASCAR's Brian France: Finally Answering the Clue Phone?"
http://insiderracing[...]
2009-03-02
[19]
웹사이트
NASCAR ANNOUNCES LANDMARK NEW OWNERSHIP STRUCTURE
https://www.nascar.c[...]
NASCAR
2016-02-09
[20]
웹사이트
"The USAR Championship Trail"
http://www.circletra[...]
2008-08-04
[21]
웹사이트
10-race Chase for the Cup crowns series champ
http://www.nascar.co[...]
NASCAR
2011-01-28
[22]
웹사이트
"''Nextel Cup finale gets big ratings''"
https://www.usatoday[...]
2008-08-04
[23]
뉴스
Monster Energy replaces Sprint as title sponsor for NASCAR's top series
https://www.usatoday[...]
Gannett Company
2016-12-01
[24]
웹사이트
NASCAR unveils new brand identity and Premier Series mark, name
http://www.nascar.co[...]
NASCAR Wire Service
2016-12-19
[25]
뉴스
Monster Energy extends Cup deal through '19
http://www.espn.com/[...]
[26]
웹사이트
2017 Monster Energy NASCAR Cup Series trophy reveal
https://www.nascar.c[...]
NASCAR Digital Media LLC
2017-08-31
[27]
웹사이트
The Latest: Kyle Busch wins NASCAR's Cup Series championship
https://wtop.com/mot[...]
WTOP-FM
2019-11-17
[28]
간행물
Busch, Coca-Cola, GEICO, Xfinity Become Premier Partners Of NASCAR Cup Series
https://www.forbes.c[...]
2019-12-05
[29]
뉴스
NASCAR renames championship trophy after France family
https://www.washingt[...]
2020-02-13
[30]
웹사이트
NHOF: New Class Unveiled Tonight
http://nascar.speedt[...]
Fox Sports
[31]
웹사이트
Richard Petty Information
http://www.nascar.co[...]
Turner Sports
[32]
간행물
Earnhardt Information
http://sportsillustr[...]
CNN Sports
[33]
뉴스
Jimmie Johnson wins fifth straight NASCAR Sprint Cup championship
http://www.nydailyne[...]
2010-11-21
[34]
간행물
NASCAR announces 2013 competition changes
http://www.nascar.co[...]
NASCAR
2012-10-16
[35]
웹사이트
CHEVROLET CLINCHES BILL FRANCE PERFORMANCE CUP IN NASCAR NATIONWIDE SERIES
http://www.speedwaym[...]
[36]
웹사이트
NASCAR simplifies manufacturer points system
http://www.nascar.co[...]
2015-11-16
[37]
웹사이트
Waltrip race team finds important asset in partner
http://www.nascar.co[...]
2008-02-15
[38]
웹사이트
New NASCAR Rule Will Restrict Gear Ratios
https://apnews.com/a[...]
2021-10-15
[39]
웹사이트
Horsepower reduction among 2015 rules package changes
https://web.archive.[...]
2016-02-26
[40]
웹사이트
NASCAR reportedly considering Sprint Cup engine horsepower reduction in 2015 – MotorSportsTalk
https://web.archive.[...]
2016-05-02
[41]
웹사이트
How NASCAR Engines Work
https://auto.howstuf[...]
2008-12-29
[42]
웹사이트
How NASCAR Engines Work
https://auto.howstuf[...]
2008-12-29
[43]
웹사이트
Debut of new rules could offer glimpse at road ahead
https://www.usatoday[...]
2008-08-25
[44]
웹사이트
Article explaining brake systems
http://www.nascar.co[...]
[45]
웹사이트
article on the speed record
http://www.russwicks[...]
[46]
웹사이트
"1951-01"
http://www.racing-re[...]
2009-06-30
[47]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NASCAR Cup Series cars
https://www.nascar.c[...]
2021-10-05
[48]
웹사이트
Wallace wins Daytona's first truck race
https://www.espn.com[...]
2009-03-19
[49]
웹사이트
Harvick pleased after testing Car of Tomorrow
http://www.nascar.co[...]
2005-08-29
[50]
웹사이트
Drivers take spoiler for spin at Charlotte
https://www.espn.com[...]
2010-03-26
[51]
웹사이트
5 Things You Should Know About NASCAR's New Nose.
http://joegibbsracin[...]
2010-11-18
[52]
웹사이트
NASCAR defers fuel injection to 2012 season
http://www.nascar.co[...]
2011-01-22
[53]
웹사이트
CUP: Automakers Help NASCAR Find G Spot
https://web.archive.[...]
Fox Sports
2013-02-14
[54]
웹사이트
Digital dashboards aim to improve racing for NASCAR drivers ... and fans
https://www.usatoday[...]
2016-02-18
[55]
웹사이트
NASCAR feels carbon fiber impact
http://www.nascar.co[...]
NASCAR Media Group, LLC
2015-01-05
[56]
웹사이트
Digital dash amplifies communication between teams, drivers
http://www.nascar.co[...]
2016-02-18
[57]
웹사이트
NASCAR Next Gen Car
https://www.jayski.c[...]
NASCAR Digital Media, LLC.
2021-05-06
[58]
웹사이트
Next Gen car debut delayed until 2022 due to coronavirus pandemic
https://www.nascar.c[...]
NASCAR Digital Media, LLC
2020-04-02
[59]
웹사이트
Generation next: 2021 the target for Gen-7 race car
https://www.nascar.c[...]
NASCAR Digital Media, LLC.
2019-02-04
[60]
간행물
Next-Gen: What We Know about NASCAR's New Car
https://www.autoweek[...]
2019-12-30
[61]
웹사이트
NASCAR Next Gen car to feature single lug nut
https://racingnews.c[...]
2020-03-03
[62]
간행물
NASCAR settles on Next-Gen specs
https://racer.com/20[...]
2020-03-03
[63]
웹사이트
NASCAR Garage 56 makes history by finishing Le Mans
https://www.jayski.c[...]
NASCAR Digital Media
2023-06-12
[64]
웹사이트
Flock Won Rainy Race Back in 1956
http://www.mainstree[...]
2009-06-26
[65]
웹사이트
gnextinc.com
https://web.archive.[...]
2015-11-16
[66]
웹사이트
NASCAR 2017 TV ratings
http://www.espn.com/[...]
[67]
웹사이트
IndyCar Season Second-Most Watched on NBCSN
http://www.sportsmed[...]
[68]
웹사이트
2009 NASCAR Sprint Cup TV Ratings'
http://www.jayski.co[...]
2009-08-21
[69]
문서
Strictly Stock Standings and Statistics for 1949
http://racing-refere[...]
2007-05-09
[70]
문서
NASCAR Cleans Up
Speedway Illustrated
2004-09
[71]
간행물
How Do They Do That?: Winston Cup Point System
Stock Car Racing
2001-10
[72]
서적
NASCAR Chronicle
Publications International, Ltd.
2006
[73]
웹사이트
ソフトバンク、Sprint子会社化を完了
https://www.itmedia.[...]
ITmedia Inc.
2019-03-06
[74]
뉴스
Monster Energy replaces Sprint as title sponsor for NASCAR's top series
http://www.usatoday.[...]
ガネット・カンパニー
2016-12-01
[75]
웹사이트
FAST FACTS FOR NASCAR'S TEAM OWNER CHARTER SYSTEM
http://www.nascar.co[...]
2017-06-09
[76]
문서
ここでいう「チーム」とはカーナンバーを単位とするチームのことであり、複数台を所有するチームオーナーを意味するものではない。
[77]
문서
デイトナ500のみ予選ルールが異なる。詳しくは[[デイトナ500]]を参照。
[78]
뉴스
NASCAR:チェイスシステムにワイルドカードを導入、ポイントシステムも変更
http://www.nifty-kai[...]
FMotorsports kaigai
2011-01-27
[79]
url
http://www.nascar.co[...]
[80]
url
NASCAR Announces Chase for the Sprint Cup Format Change
http://www.nascar.co[...]
プレスリリース
2014-01-30
[81]
웹사이트
NASCAR Nextel Cup standings for 2004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2]
웹사이트
NASCAR Nextel Cup standings for 2005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3]
웹사이트
NASCAR Nextel Cup standings for 2006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4]
웹사이트
NASCAR Nextel Cup standings for 2007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5]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08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6]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09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7]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10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8]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11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89]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12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90]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13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91]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14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92]
문서
北米ではシボレー・SSとして販売されたが
[93]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15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94]
웹사이트
NASCAR Sprint Cup standings for 2016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95]
웹사이트
Monster Energy NASCAR Cup standings for 2017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96]
웹사이트
Monster Energy NASCAR Cup standings for 2018
https://www.racing-r[...]
USA Today Sports Media Group
2019-01-30
[97]
url
Racing-Reference.info
http://www.racing-re[...]
2009-06-30
[98]
뉴스
Stock Car Body Rules – Simple As ABC
http://www.hotrod.co[...]
hotrod.com
2004-05-01
[99]
웹사이트
BBSジャパン、2022年から供給するF1全チーム、NASCARの統一ホイールをお披露目【東京オートサロン2022】
https://www.as-web.j[...]
auto sport Web
2022-01-18
[100]
웹사이트
引退したアーンハートJr.とボウヤーがNASCARの“Next-Gen”車両を初体験「ブレーキングは別次元」
https://www.as-web.j[...]
auto sport Web
2022-01-18
[101]
url
Racing-reference.info 1962 International 200 results
http://www.racing-re[...]
2009-05-18
[102]
서적
Northeast American Sports Car Races 1950-1959
2010
[103]
뉴스
Daytona Destiny
http://www.oldcarswe[...]
oldcarsweekly.com
2009-04-16
[104]
웹사이트
NASCAR:フォード、2019年からマスタングベースの新型カップカー投入を表明
https://www.as-web.j[...]
オートスポーツWeb
2019-02-20
[105]
서적
American Cars, 1946-1959: Every Model, Year by Year
2008
[106]
뉴스
Luxury Lincolns doubled as race cars in the 1950s
http://www.reviewjou[...]
reviewjournal.com
2009-01-30
[107]
서적
The Official NASCAR Trivia Book: With 1001 Facts and Questions to Test Your Racing Knowledge
2012
[108]
웹사이트
Fantasy NASCAR Racing
http://fantasynascar[...]
[109]
웹사이트
1950 NASCAR Grand National Recap
http://auto.howstuff[...]
[110]
웹사이트
1954年式キャデラック、ジュニア・ジョンソン車
http://public.fotki.[...]
[111]
웹사이트
Chevrolet unveils 2018 Camaro ZL1 Monster Energy Series race car
https://www.nascar.c[...]
NASCAR.com
2017-08-10
[112]
웹사이트
【ビデオ】シボレー、来季から「カマロ ZL1」でNASCARに参戦!
https://jp.autoblog.[...]
Autoblog Japan
2017-08-16
[113]
웹사이트
Red Duvall drove his Packard to 14th place in the 1953 GN race
http://www.floridast[...]
[114]
웹사이트
Herb Thomas ran this Packard in the '55 GN race - car was owned by Walt Chapman
http://www.floridast[...]
[115]
웹사이트
Driver Biography
http://www.studebake[...]
StudebakerRacing.com
[116]
웹사이트
1960 International 200
http://www.racing-re[...]
racing-reference.info
[117]
웹사이트
1952 Motor City 250
http://www.racing-re[...]
racing-reference.info
[118]
웹사이트
1953-32
http://racing-refere[...]
racing-reference.info
[119]
웹사이트
1954 Raleigh 250
http://www.racing-re[...]
racing-reference.in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