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사슬 아미노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을 포함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이다. 이들은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며, 근육 성장, 에너지 대사, 세포 신호 전달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단백질 분해, 세포 신호 전달, 당뇨병에서의 역할, 운동 효과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보충제 형태로도 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과도한 섭취는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지사슬 아미노산 - 발린
발린은 헤르만 에밀 피셔가 카세인에서 처음 분리한 필수 아미노산으로, 체내 합성이 불가능하여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에너지 대사, 인슐린 저항성, 조혈줄기세포 자가 재생 등에 관여하고 대사 과정 손상 시 특정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가지사슬 아미노산 - 류신
류신은 필수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근육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고 뇌전증 발작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으나, 과다 섭취 시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유청 단백질, 콩, 쇠고기, 연어 등 다양한 식품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 아미노산 - 시스테인
시스테인은 설프하이드릴기를 가진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단백질 구성 성분이며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식품, 제약, 퍼스널 케어 산업에서 활용된다. - 아미노산 - 필수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은 인체 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며,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고 결핍 시 건강 문제를 일으키며, 식품의 단백질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가지사슬 아미노산 | |
---|---|
일반 정보 | |
종류 | 아미노산 |
화학식 | C6H13NO2 (류신), C5H11NO2 (발린), C6H13NO2 (아이소류신) |
분자량 | 131.17 g/mol (류신), 117.15 g/mol (발린), 131.17 g/mol (아이소류신) |
구조 및 특성 | |
특징 | 곁사슬을 가진 아미노산 |
종류 |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 |
생화학적 역할 | |
역할 | 단백질 합성, 에너지 대사, 포도당 신생성 조절, 면역 기능 조절 |
대사 | 근육에서 대사됨 |
관련 질병 | 메이플 시럽뇨증 (branched-chain ketoacid dehydrogenase 결핍) |
건강 | |
효능 | 근육 성장 촉진, 근육 손실 방지, 운동 성능 향상 |
부작용 | 과다 섭취 시 신장 손상, 간 손상 |
섭취 방법 | 음식 (육류, 유제품, 콩류) 보충제 |
기타 | |
생합성 | 식물과 미생물에서만 생합성 가능 |
mTOR 신호 전달 경로 | 활성화 |
2. 필요 요건
미국 의학 연구소의 식품 영양 위원회(FNB)는 2002년에 필수 아미노산에 대한 권장 식이 허용량(RDA)을 제정했다. 19세 이상의 성인은 매일 체중 1kg당 류신 42mg, 아이소류신 19mg, 발린 24mg이 필요하다.[46] 체중이 70kg인 사람은 하루에 류신 2.9g, 아이소류신 1.3g, 발린 1.7g이 필요하다. 총 단백질에 대한 권장 식이 허용량(0.8g/kg/일, 70kg인 사람의 경우 56g)을 충족하거나 초과하는 식단은 가지사슬 아미노산에 대한 권장 식이 허용량을 충족하거나 초과한다.
5가지 효소(트레오닌 탈수소효소,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생성효소, 케토산 환원이성질화효소, 다이하이드록시산 탈수소효소, 아미노기전이효소)가 류신, 아이소류신, 발린의 병렬 합성 경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43] 트레오닌 탈수소효소는 트레오닌의 2-케토뷰티르산 및 암모니아로의 탈아미노화 및 탈수를 촉매한다. 아이소류신은 트레오닌 탈수소효소와 함께 음성 피드백 루프를 형성한다. 아세토하이드록시산 생성효소는 두 단계에서 축합 반응을 수행하는 병렬 경로의 첫 번째 효소이다. 즉, 발린 경로에서 피루브산을 아세토아세트산으로 축합하고 아이소류신 경로에서 피루브산과 2-케토뷰티르산을 축합하여 아세토하이드록시뷰티르산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케토산 환원이성질화효소는 이전 단계의 아세토하이드록시산을 환원시켜 발린 경로와 아이소류신 경로 모두에서 다이하이드록시산을 생성한다. 다이하이드록시산 탈수소효소는 다음 단계에서 다이하이드록시산을 전환시킨다. 병렬 경로의 마지막 단계는 최종 생성물인 발린과 아이소류신을 생성하는 아미노기전이효소에 의해 수행된다.[43] 2-옥소아이소발레르산으로부터 류신을 생성하려면 일련의 4가지 효소(아이소프로필말산 생성효소, 아이소프로필말산 이성질화효소, 아이소프로필말산 탈수소효소, 아미노기전이효소)가 더 필요하다.[43]
가지사슬 아미노산의 분해에는 가지사슬 α-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BCKDH)가 관여한다. 이 복합체의 결핍은 단풍시럽뇨병을 유발하며, 과도한 활성은 가지사슬 케토산 탈수소효소 키네이스 결핍증을 유발한다. 관련된 효소로는 가지사슬 아미노산 아미노기전이효소와 3-메틸-2-옥소뷰탄산 탈수소효소가 있다. 가지사슬 α-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는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아실-CoA 유도체로 전환하고, 후속 반응을 거쳐 시트르산 회로에 들어갈 수 있는 아세틸-CoA 또는 석시닐-CoA로 전환된다.[60]
3. 합성
4. 분해
4. 1. 단풍시럽뇨병
가지사슬 α-케토산 탈수소효소 복합체가 결핍되면 혈액과 소변에 가지사슬 아미노산(류신, 아이소류신, 발린)과 독성 부산물이 축적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단풍시럽뇨병이라고 한다.[60] 단풍시럽뇨병을 앓고 있는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급성 투여하면 뇌의 해마 영역에서 DNA 손상이 증가했다.[61] 또한 만성 투여는 급성 투여에 비해 해마뿐만 아니라 뇌의 선조체 영역에서도 DNA 손상을 증가시켰다.[45] 항산화 치료는 이러한 뇌 영역의 DNA 손상을 예방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가지사슬 아미노산이 산화 스트레스 생성을 통해 DNA 손상을 유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45]
5. 세포 신호전달
대부분의 아미노산은 간에서 산화되지만,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주로 골격근 및 기타 말초 조직에서 산화된다.[44] 쥐의 횡격막 근육 생장에 대한 가지사슬 아미노산의 투여 효과를 테스트한 결과, 가지사슬 아미노산 혼합물만이 아미노산 완전 혼합물과 동일한 생장 효과를 가지며,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 혼합물은 쥐의 횡격막 근육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62] 아이소류신 또는 발린 단독 투여는 근육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류신 단독 투여는 가지사슬 아미노산 완전 혼합물만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류신은 p70-S6 키네이스 1를 간접적으로 활성화하고, 번역 개시에서 mRNA에 필수적인 eIF4F 복합체의 조립을 자극한다.[62] p70-S6 키네이스 1은 mTOR 신호전달 경로의 일부이며, 적응성 비대 및 쥐 근육의 회복을 허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3]
휴식 시 단백질 주입은 주입 시작 30분 후 단백질 합성을 자극하고, 추가로 90분 동안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64] 휴식 시 류신을 주입하면 골격근에서 p70-S6 키네이스 1의 인산화에 의해 6시간 동안 자극 효과가 지속되며 단백질 합성이 증가한다.[64] 저항 운동 후 가지사슬 아미노산 투여 없이 저항 운동을 하면 mTOR 인산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심지어 Akt 인산화를 감소시킨다. p70-S6 키네이스 1의 일부 인산화가 발견되었다. 트레이닝 세션 후에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투여했을 때 p70-S6 키네이스 1와 S6의 충분한 인산화가 신호전달 캐스케이드의 활성화를 나타낸다.[64]
6. 제2형 당뇨병에서의 역할
세포 신호전달 외에도 mTOR 경로는 인슐린 분비를 유도하는 β 세포(베타 세포)의 생장에도 역할을 한다.[65] 혈액 내의 높은 농도의 포도당은 류신이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mTOR 신호전달 경로의 과정을 개시한다.[63][66] 포도당, 류신 및 기타 활성인자들의 조합은 mTOR이 β 세포의 증식 및 인슐린 분비에 대한 신호전달을 개시하도록 한다. 더 높은 농도의 류신은 mTOR 경로에서 과활성을 유발하고 S6 키네이스가 활성화되어 세린의 인산화를 통해 인슐린 수용체 기질의 억제를 유도한다.[65][66] 세포에서 mTOR 복합체의 증가된 활성은 궁극적으로 β 세포가 인슐린을 방출하지 못하게 하고 S6 키네이스의 억제 효과가 세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여 제2형 당뇨병의 발병에 기여한다.[65]
메트포르민은 mTOR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인산화하는 AMP 키네이스를 활성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mTOR 복합체가 비활성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진행되도록 한다.[65] 메트포르민은 mTOR 경로에서 류신에 대한 경쟁적 저해제로 작용한다고 제안되었다.
7. 가지사슬 아미노산 보충제가 운동에 미치는 영향
가지사슬 아미노산(BCAA)은 포도당에 대해 인슐린과 비슷한 작용을 하여 포도당 수치를 낮춘다. 운동 전에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섭취하면 골격근에서 산화되어 운동 중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간에서 글리코젠 분해를 늘릴 필요가 줄어든다. 무산소 운동 중 포도당 대사로 생성된 피루브산은 젖산으로 전환되는데, 젖산이 축적되면 pH 농도가 6.4까지 낮아지는 대사성 산증을 일으킬 수 있다.[67] 높은 농도의 젖산은 pH가 더 낮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포도당 대사를 멈추게 한다. 가지사슬 아미노산 보충제는 근육 내 젖산 농도를 낮춰 포도당 대사가 계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68] 이는 간에서 글리코젠 분해 속도를 늦추고, 결과적으로 혈장 내 포도당 농도를 낮춘다. 그러나 혈당 수치에 대한 가지사슬 아미노산의 장기적인 영향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꾸준히 보충해도 운동 외 혈당 수치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68]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혈액 내 순환하는 유리 지방산의 양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68] 유리 지방산은 트립토판과 알부민의 결합 자리를 두고 경쟁하며, 혈중 유리 지방산 농도가 낮아지면 알부민에 더 많이 결합하여 유리 트립토판의 농도 또한 낮아진다. 운동 중에는 뇌로 들어가는 유리 트립토판의 양이 늘어나 피로감을 유발하는 5-하이드록시트립타민(5-HT, 세로토닌)이 증가한다.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혈액 내 유리 지방산 농도를 낮춰 뇌로 들어가는 유리 트립토판의 양을 줄이고, 운동으로 인한 피로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69] 뇌에서 트립토판 흡수가 줄어들면 세로토닌의 합성과 방출이 감소한다(쥐 실험 결과).[70] 세로토닌 감소는 90%에 달할 수 있다. 세로토닌 농도가 낮아지면 피로감은 줄어들지만, 집중력 저하, 충동 조절 어려움, 공격적인 행동, 계획 능력 부족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뇌에서 티로신의 흡수를 방해하기도 한다(티로신은 트립토판과 같은 방향족 아미노산이다). 티로신 섭취가 줄어들면 뇌에서 카테콜아민의 합성과 방출이 억제된다. 카테콜아민은 신체 기능 향상과 관련이 있다. 카테콜아민과 세로토닌 합성이 동시에 감소하는 것은 가지사슬 아미노산이 신체 활동에 미치는 비교적 중립적인 영향을 설명해준다.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운동 중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혈청 농도 증가를 줄이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는 글루타민 합성에 사용되는 암모니아의 양을 늘려 혈액에 암모니아가 과도하게 쌓이는 것을 막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68] 뇌의 암모니아 농도가 높아지면 γ-아미노뷰티르산(GABA)와 글루탐산의 농도가 낮아져 중추신경계 피로가 심해진다. 근육 조직의 암모니아 농도 증가는 포스포프럭토키네이스(PFK)의 활성을 높여 근육 피로의 주원인인 젖산을 증가시키기도 한다.[71]
또한 가지사슬 아미노산 보충제는 운동 후 근육 세포의 크레아틴 키네이스 농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레아틴 키네이스는 근육 손상의 지표이며, ATP로부터 인산기를 전달받아 포스포크레아틴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72] 가지사슬 아미노산 보충은 크레아틴 키네이스의 농도를 낮춰 세포 내 ATP 농도를 높이고 피로감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73]
8. 연구
식이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간성뇌증의 일부 사례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다.[47] 이들은 간성뇌증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질 수 있지만, 사망률, 영양, 전반적인 삶의 질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48]
8. 1. 근위축성 측삭경화증과의 관련성
특정 연구에서는 프로 미식축구 선수들과 이탈리아 축구 선수들 사이에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높은 발병률과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특정 스포츠 보충제 사이에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49] 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환자에게서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것과 유사한 세포 과흥분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기본 메커니즘은 세포 과흥분성이 세포에 의한 칼슘 흡수를 증가시켜, 특히 칼슘 완충 능력이 낮은 신경 세포의 세포 사멸을 초래한다는 것이다.[49] 그러나 가지사슬 아미노산과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사이의 연결 고리는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다. 가지사슬 아미노산은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을 앓고 있는 쥐에게서 관찰된 것과 유사한 과흥분성을 유발할 수 있지만, 장기간에 걸쳐 제공된 가지사슬 아미노산이 풍부한 식단이 실제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과 유사한 증상을 유도하는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하다.[49]8. 2. 기타 연구 결과
혈중 가지사슬 아미노산 농도는 비만,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사람 및 식이 유발 당뇨병을 앓고 있는 쥐에서 증가하며, 가지사슬 아미노산이 비만과 당뇨병의 병인에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50][51]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제한한 식단은 정상 체중 쥐의 포도당 내성을 개선하고 날씬함을 촉진하며,[52] 비만 쥐의 인슐린 감수성과 정상 체중을 회복시키고[53] 비만 쥐의 인슐린 감수성을 촉진한다.[54] 마른 쥐와 비만 쥐에서 가지사슬 아미노산 제한의 이러한 이점은 류신 제한이 아니라 아이소류신과 발린에 의해 매개된다.[55]파리에서 식이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제한하면 수명이 연장되는 반면,[56] 쥐에서 가지사슬 아미노산을 제한하면 수컷은 수명이 연장되고 노쇠가 감소하지만 암컷은 수명이 연장되지 않는다.[57] 쥐에서 가지사슬 아미노산만으로 식이 보충제를 섭취하면 수명이 단축되고 비만이 촉진된다.[58] 그러나 가지사슬 아미노산이 풍부한 필수 아미노산 보충제를 섭취하면 쥐의 수명이 연장된다.[59] 혈액 중 가지 사슬 아미노산 농도가 높을수록 췌장암 발병 위험이 상승한다는 보고가 있다.[40]
9. 보충제
운동 후 근육 손상을 억제하고 근육 피로와 근육통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38], 보충제로서 판매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 Primer on Branched Chain Amino Acids
https://web.archive.[...]
Huntington College of Health Sciences
2011-03-22
[2]
간행물
Exercise encourages BCAA catabolism: effects of BCAA supplementation on skeletal muscle during exercise
2004-06
[3]
간행물
Biosynthesis of Branched Chain Amino Acids: From Test Tube to Field
1995-07
[4]
간행물
Metabolic and Physiological Roles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2014
[5]
간행물
The PI3K/Akt and mTOR/P70S6K signaling pathways in human uveal melanoma cells: interaction with B-Raf/ERK
2010-01
[6]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s,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7]
간행물
Mechanisms of human insulin resistance and thiazolidinedione-mediated insulin sensitization
2009-11
[8]
간행물
DNA damage in an animal model of maple syrup urine disease
2012
[9]
간행물
Signaling pathways and molecular mechanisms through which branched-chain amino acids mediate translational control of protein synthesis
2006-01
[10]
간행물
Akt/mTOR pathway is a crucial regulator of skeletal muscle hypertrophy and can prevent muscle atrophy in vivo
2001-11
[11]
간행물
Branched-chain amino acids activate key enzymes in protein synthesis after physical exercise
2006-01
[12]
간행물
Leucine signaling in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and obesity
2012-03
[13]
간행물
Role of AKT/mTORC1 pathway in pancreatic β-cell proliferation
2012-07
[14]
간행물
Muscle fatigue and lactic acid accumulation
1986
[15]
간행물
Effect of BCAA supplementation on central fatigue, energy metabolism substrate and muscle damage to the exercise: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2019-08
[16]
간행물
The effect of acute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prolonged exercise capacity in a warm environment
2004-12
[17]
간행물
Oral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s that reduce brain serotonin during exercise in rats also lower brain catecholamines
https://epublication[...]
2013-11
[18]
간행물
Ammonia metabolism in exercise and fatigue: a review
[19]
서적
The biochemical basis of sports performa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12-06
[20]
간행물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and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 exercise recovery: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17-10
[21]
간행물
Nutrition in hepatic encephalopathy
2010-06
[22]
간행물
Branched-chain amino acids for people with hepatic encephalopathy
2017-05
[23]
간행물
Stronger is not always better: could a bodybuilding dietary supplement lead to ALS?
2011-03
[24]
간행물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metabolic signalling and insulin resistance
2014-12
[25]
간행물
A branched-chain amino acid-related metabolic signature that differentiates obese and lean humans and contributes to insulin resistance
2009-04
[26]
간행물
Decreased Consumption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Improves Metabolic Health
2016-07
[27]
간행물
Restoration of metabolic health by decreased consumption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2018-02
[28]
간행물
Branched-chain amino acid restriction in Zucker-fatty rats improves muscle insulin sensitivity by enhancing efficiency of fatty acid oxidation and acyl-glycine export
2016-07
[29]
간행물
The adverse metabolic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are mediated by isoleucine and valine
2021-05
[30]
간행물
Branched-Chain Amino Acids Have Equivalent Effects to Other Essential Amino Acids on Lifespan and Aging-Related Traits in Drosophila
2020-01
[31]
간행물
Lifelong restriction of dietary branched-chain amino acids has sex-specific benefits for frailty and lifespan in mice
2021-01
[32]
간행물
Branched chain amino acids impact health and lifespan indirectly via amino acid balance and appetite control
2019-05
[33]
간행물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promotes survival and supports cardiac and skeletal muscle mitochondrial biogenesis in middle-aged mice
2010-10
[34]
웹사이트
A Primer On Branched Chain Amino Acids
http://www.hchs.edu/[...]
Huntington College of Health Sciences
2011-03-22
[35]
간행물
Exercise Promotes BCAA Catabolism: Effects of BCAA Supplementation on Skeletal Muscle during Exercise
http://jn.nutrition.[...]
2011-03-22
[36]
논문
Therapeutic use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burn, trauma, and sepsis
http://jn.nutrition.[...]
2011-03-22
[37]
논문
Nutrition in hepatic encephalopathy
http://ncp.sagepub.c[...]
[38]
논문
Branched-chain amino acids supplementation attenuates the accumulation of blood lactate dehydrogenase during distance running
https://pubmed.ncbi.[...]
2007-09
[39]
논문
Mechanisms of human insulin resistance and thiazolidinedione-mediated insulin sensitization
http://www.pnas.org/[...]
2011-03-22
[40]
간행물
血液中分岐鎖アミノ酸濃度と膵臓がん罹患の関連について
https://epi.ncc.go.j[...]
多目的コホート研究(JPHC Study)、国立がん研究センター
[41]
웹인용
A Primer on Branched Chain Amino Acids
http://www.hchs.edu/[...]
Huntington College of Health Sciences
2011-03-22
[42]
저널
Exercise encourages BCAA catabolism: effects of BCAA supplementation on skeletal muscle during exercise
2004-06
[43]
저널
Biosynthesis of Branched Chain Amino Acids: From Test Tube to Field
1995-07
[44]
저널
Metabolic and Physiological Roles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2014
[45]
저널
The PI3K/Akt and mTOR/P70S6K signaling pathways in human uveal melanoma cells: interaction with B-Raf/ERK
2010-01
[46]
서적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s,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7]
저널
Nutrition in hepatic encephalopathy
2010-06
[48]
저널
Branched-chain amino acids for people with hepatic encephalopathy
2017-05
[49]
저널
Stronger is not always better: could a bodybuilding dietary supplement lead to ALS?
2011-03
[50]
저널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metabolic signalling and insulin resistance
2014-12
[51]
저널
A branched-chain amino acid-related metabolic signature that differentiates obese and lean humans and contributes to insulin resistance
2009-04
[52]
저널
Decreased Consumption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Improves Metabolic Health
2016-07
[53]
저널
Restoration of metabolic health by decreased consumption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2018-02
[54]
저널
Branched-chain amino acid restriction in Zucker-fatty rats improves muscle insulin sensitivity by enhancing efficiency of fatty acid oxidation and acyl-glycine export
2016-07
[55]
저널
The adverse metabolic effects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are mediated by isoleucine and valine
2021-05
[56]
저널
Branched-Chain Amino Acids Have Equivalent Effects to Other Essential Amino Acids on Lifespan and Aging-Related Traits in Drosophila
2020-01
[57]
저널
Lifelong restriction of dietary branched-chain amino acids has sex-specific benefits for frailty and lifespan in mice
2021-01
[58]
저널
Branched chain amino acids impact health and lifespan indirectly via amino acid balance and appetite control
2019-05
[59]
저널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promotes survival and supports cardiac and skeletal muscle mitochondrial biogenesis in middle-aged mice
2010-10
[60]
저널
Mechanisms of human insulin resistance and thiazolidinedione-mediated insulin sensitization
2009-11
[61]
논문
DNA damage in an animal model of maple syrup urine disease
2012-06
[62]
저널
Signaling pathways and molecular mechanisms through which branched-chain amino acids mediate translational control of protein synthesis
2006-01
[63]
저널
Akt/mTOR pathway is a crucial regulator of skeletal muscle hypertrophy and can prevent muscle atrophy in vivo
2001-11
[64]
저널
Branched-chain amino acids activate key enzymes in protein synthesis after physical exercise
2006-01
[65]
저널
Leucine signaling in the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and obesity
2012-03
[66]
저널
Role of AKT/mTORC1 pathway in pancreatic β-cell proliferation
2012-07
[67]
저널
Muscle fatigue and lactic acid accumulation
1986
[68]
저널
Effect of BCAA supplementation on central fatigue, energy metabolism substrate and muscle damage to the exercise: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2019-08
[69]
저널
The effect of acute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prolonged exercise capacity in a warm environment
https://archive.org/[...]
2004-12
[70]
저널
Oral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s that reduce brain serotonin during exercise in rats also lower brain catecholamines
https://epublication[...]
2013-11
[71]
논문
Ammonia metabolism in exercise and fatigue: a review
https://archive.org/[...]
[72]
서적
The biochemical basis of sports performa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73]
논문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and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 exercise recovery: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201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