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현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동현상은 액체 흐름에서 압력이 낮아져 기포가 생성되고 붕괴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은 프로펠러, 펌프, 밸브 등 다양한 기기에서 발생하며, 소음, 진동, 부품 손상, 효율 감소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공동현상은 관성, 수력학적, 음향, 공기역학적 캐비테이션 등 여러 종류로 나뉘며, 발생 원리와 형태에 따라 분류된다. 캐비테이션 수는 공동현상 발생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는 무차원수이다.
공동현상은 세척, 식품 가공,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간주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유체 접촉면 형상 최적화, 접촉 면적 확대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슈퍼캐비테이션은 물체를 기포로 덮어 항력을 줄이는 기술이며, 자연계에서도 식물, 해양 생물, 지질학적 현상 등에서 관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박공학 - 용골
용골은 선박의 중앙 하부 구조 부재로서 선체의 강도와 형태 유지에 중요하며,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어 선박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는 핵심 부재이다. - 선박공학 - 선체
선체는 선박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 구조를 가지며, 특수 선박의 경우 용도에 맞는 독특한 설계가 적용된다. - 펌프 - 터보펌프
터보펌프는 로켓 엔진에서 연료와 산화제를 연소실로 고압 공급하는 펌프로, 작동 방식에 따라 원심식과 축류식으로 나뉘며 효율적인 설계가 중요하다. - 펌프 - 축류 펌프
축류 펌프는 프로펠러형 임펠러를 사용하여 작동하며, 임펠러 블레이드 위로 흐르는 액체로 압력을 발생시켜 유체를 임펠러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밀어내는 펌프의 한 종류이다. - 유체역학 - 양력
양력은 유체 속에서 물체가 받는 수직 방향의 힘이며, 받음각, 익형, 공기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지며 항공기 날개, 헬리콥터, 선박 프로펠러 등에서 활용된다. - 유체역학 - 무인 항공기
무인 항공기는 조종사 없이 자율 또는 원격 조종으로 비행하는 동력 비행체로,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어 군사 및 민간용으로 활용되지만 안전 및 보안 위협, 사이버 공격, 악의적 사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공동현상 | |
---|---|
개요 | |
정의 | 액체 내에서 압력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기포 생성 및 붕괴 현상 |
관련 분야 | 유체 역학 음향학 재료 과학 |
원리 | |
발생 조건 | 액체 압력이 증기압 이하로 감소 |
기포 형성 | 액체 내 미세한 핵(기포 핵)에서 시작 |
기포 성장 | 주변 액체 증발로 인해 크기 증가 |
기포 붕괴 | 압력 증가 또는 온도 변화로 인해 급격히 수축 및 소멸 |
에너지 방출 | 기포 붕괴 시 고온, 고압 발생 및 충격파 방출 |
유형 | |
공동 현상 진동 | 액체 속에서 물체가 진동할 때 생기는 공동 |
광학 공동 | 레이저 빛을 액체에 집속시킬 때 생기는 공동 |
유체 공동 | 액체의 흐름에 의한 공동 |
영향 | |
긍정적 영향 | 초음파 세척: 정밀 부품 세척 의료: 결석 파쇄, 약물 전달 식품 가공: 균질화 |
부정적 영향 | 유압 기기: 성능 저하 및 소음 발생 선박: 프로펠러 손상 및 효율 감소 댐: 콘크리트 구조물 손상 |
방지 대책 | |
설계 단계 | 유체 흐름 최적화, 압력 강하 최소화 |
재료 선택 | 내 공동 현상성이 우수한 재료 사용 |
운전 조건 | 압력 및 온도 조절, 유속 제한 |
연구 분야 | |
공동 현상 역학 | 기포 생성, 성장, 붕괴 과정 연구 |
공동 현상 손상 | 재료 표면 손상 메커니즘 연구 |
공동 현상 제어 | 기포 발생 억제 및 활용 기술 개발 |
관련 용어 | |
증기압 | 액체가 증발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압력 |
기포 핵 | 액체 내 기포 형성을 시작하는 미세한 입자 또는 불균일성 |
캐비테이션 수 | 유체 흐름 내 공동 현상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무차원 수 |
2. 캐비테이션의 원리 및 물리학
캐비테이션(Cavitation), 또는 공동현상(空洞現象)은 액체의 압력이 국소적으로 해당 액체의 온도에 따른 포화 증기압 이하로 낮아질 때 발생하는 물리 현상이다.[5] 압력이 충분히 낮아지면 액체가 기체 상태로 변하며 빈 공간, 즉 기포(cavity 또는 bubble)가 형성된다. 이는 액체가 끓는 끓음 현상과 유사하지만, 끓음이 온도가 포화 온도까지 상승하여 발생하는 것과 달리, 캐비테이션은 온도는 유지된 채 압력이 포화 증기압 아래로 떨어져 발생한다는 점에서 열역학적 경로가 다르다.[5] 캐비테이션에서 언급되는 증기압은 평형 상태에서의 증기압, 즉 평형 증기압 또는 포화 증기압을 의미한다.
물의 온도(°C) | 압력(kPa) |
---|---|
-10 | 0.260 |
-5 | 0.403 |
0 | 0.611 |
5 | 0.872 |
10 | 1.23 |
15 | 1.71 |
20 | 2.34 |
25 | 3.17 |
30 | 4.25 |
40 | 7.38 |
50 | 12.35 |
100 | 101.3 |
150 | 475.8 |
200 | 1554 |
300 | 8581 |
캐비테이션이 시작되려면 기포가 형성될 수 있는 핵생성 지점이 필요하다. 이는 용기 벽면, 액체 속의 미세한 불순물, 또는 액체 내에 이미 존재하는 작은 기포 등이 될 수 있다.[6] 물의 경우, 대기압의 약 1/50 정도의 낮은 압력이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유지될 때, 액체 속에 존재하는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아주 작은 "기포 핵"을 중심으로 액체가 끓어오르거나 용존 기체가 분리되어 나오면서 작은 기포가 다수 생성된다. 이러한 기포 핵이 없으면 캐비테이션 발생이 어렵다.
생성된 기포는 진공 상태가 아니라, 주변 액체에서 증발한 증기로 채워진 저압 상태이다. 만약 기포가 압력이 높은 영역으로 이동하는 등 기포를 형성시킨 낮은 압력 조건이 사라지면, 주변의 높은 압력을 가진 액체가 기포 내부로 급격하게 밀려 들어오면서 기포는 순식간에 붕괴(내파, implosion)한다. 이 과정에서 기포 내부의 증기는 급격히 압축되어 온도와 압력이 매우 높아지며(수천 켈빈, 수백 기압에 달할 수 있음[4]), 이 에너지는 충격파나 빛의 형태로 방출된다.[4] 이러한 급격한 기포 붕괴는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며, 주변 고체 표면에 손상(에로전)을 일으키기도 한다.
캐비테이션은 빠르게 회전하는 프로펠러 날개 뒤, 펌프 내부, 수력 터빈, 심지어 빠르게 흐르는 강물의 폭포 아래 암석 표면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다.
2. 1. 관성 캐비테이션
관성 캐비테이션은 액체 내 구형 공간의 붕괴를 고려하면서 19세기 후반에 처음 관찰되었다. 액체 부피가 충분히 낮은 압력에 노출되면 파열되어 공간, 즉 기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캐비테이션 개시라고 하며, 빠르게 회전하는 프로펠러의 날개 뒤나 충분한 진폭과 가속도로 액체 내에서 진동하는 모든 표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빠르게 흐르는 강물, 특히 폭포와 같이 낙차가 있는 곳에서도 암석 표면에 캐비테이션을 일으킬 수 있다.이때 생성되는 기포는 진공 상태가 아니라, 주변 매체에서 증기가 증발하여 채워진 저압 증기(가스) 기포이다. 기포를 형성시킨 조건(낮은 압력)이 사라지면, 예를 들어 기포가 압력이 높은 하류로 이동하면, 주변 액체는 더 높은 압력으로 인해 기포 내부로 급격히 붕괴(내파)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액체는 안쪽으로 움직이며 운동량을 축적한다.
기포가 최종적으로 붕괴될 때, 안쪽으로 밀려 들어온 액체의 운동량은 기포 내부의 증기 압력과 온도를 급격하게 증가시킨다. 기포는 원래 크기의 극히 작은 부분으로 붕괴되며, 이때 내부에 압축된 가스는 상당한 양의 에너지를 음향 충격파 및 가시광선 형태로 주변 액체로 방출한다. 완전히 붕괴되는 순간, 기포 내부의 증기 온도는 수천 켈빈에 달하고 압력은 수백 기압에 이를 수 있다.[4]
캐비테이션 개시의 물리적 과정은 끓음과 유사하지만, 증기 형성에 이르는 열역학적 경로에서 차이가 있다. 끓음은 액체의 국부 온도가 포화 온도에 도달하고 충분한 열이 공급되어 액체가 기체로 상전이할 때 발생한다. 반면, 캐비테이션 개시는 특정 온도에서 액체의 국부 압력이 액체의 인장 강도에 해당하는 포화 증기압보다 충분히 낮아질 때 발생한다.[5] 캐비테이션에서 언급되는 증기압은 평형 상태에서의 증기압, 즉 평형 증기압 또는 포화 증기압을 의미한다.
캐비테이션 개시가 일어나려면 일반적으로 캐비테이션 "기포"가 형성될 수 있는 핵생성 표면이 필요하다. 이러한 표면은 용기의 벽, 액체 내의 불순물, 또는 액체 속에 녹지 않고 존재하는 미세 기포 등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소수성 표면이 이러한 미세 기포를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기포는 특정 임계 압력(Blake's threshold)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되면 제한 없이 성장하기 시작한다.[6] 만약 캐비테이션 핵 내부에 비압축성 코어가 존재하면, 캐비테이션 임계값은 Blake 임계값보다 상당히 낮아진다.[7] 물에서는 대기압의 약 1/50 정도의 낮은 압력이 아주 짧은 시간 동안 유지될 때, 액체 속에 존재하는 100μm 이하의 아주 작은 "기포 핵"을 중심으로 액체가 끓어오르거나 용존 기체가 분리되어 나오면서 작은 기포가 다수 생성된다. 기포 핵이 없으면 기포 발생이 어렵다.
압력이 변하면 기포의 부피도 변하여 크기가 달라진다. 기포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점점 작아진다. 작아지는 과정에서 프로펠러와 같은 단단한 표면 근처의 기포는 점성과 표면 장력의 영향으로 표면에 달라붙는 경향이 있다. 이때 기포에서 표면으로부터 먼 쪽이 움푹 들어가면서 제트(jet) 형태의 강한 흐름이 발생하여 표면에 충돌하고 기포는 분열된다. 이 제트류는 단단한 표면에 에로전(erosion, 침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기포의 운동 역학은 다음의 레일리-프레셋 방정식으로 기술될 수 있다.
:
여기서 은 기포의 반지름, 와 는 각각 기포 표면과 외부 무한대 지점의 압력, 는 액체의 밀도를 나타낸다.
최종적으로 주변 액체의 압력이 포화 증기압보다 높아지면, 주변 액체는 기포의 중심으로 쇄도하여 기포가 소멸하는 순간 중심에서 서로 충돌한다. 이 충돌로 인해 미세하지만 매우 강한 압력파가 발생하며, 이는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된다. 압력이 매우 높은 경우에는 금속과 같은 재료도 파손될 수 있다. 폭약의 수중폭발 시 대량의 고압 기포가 발생하여 강력한 파괴력을 갖는 캐비테이션 파동이 생기는데, 이를 버블 펄스(bubble pulse)라고 부른다.
수중에서 캐비테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약 30μm 크기의 미세한 기포는 50kHz 이상의 고주파 수중 음파를 매우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특성이 있다.[88]
캐비테이션 공동을 생성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강렬하게 집속된 레이저 펄스(광학 캐비테이션)나 스파크를 통한 전기 방전과 같이 국소적으로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국소적인 온도 상승을 통해 액체를 부분적으로 끓여서 기포를 생성하고, 그 기포의 발달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2. 2. 수력학적 캐비테이션
수력학적 캐비테이션(Hydrodynamic cavitation)은 흐르는 액체에서 국소적인 압력 감소와 그 후의 압력 증가로 인해 증기화, 기포 생성 및 기포 붕괴가 일어나는 과정이다. 공동현상은 액체의 국소 압력이 특정 지점에서 해당 액체의 포화 증기압 아래로 떨어졌다가, 다시 증기압 이상으로 회복될 때만 발생한다. 만약 압력이 증기압 이상으로 회복되지 않으면 이는 플래싱(flashing)이라고 부른다. 파이프 시스템에서는 주로 운동 에너지 증가(예: 단면적 축소)나 파이프 높이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수력학적 캐비테이션은 특정 유속으로 액체를 좁은 채널(예: 오리피스, 벤튜리)을 통과시키거나, 액체 속에서 물체를 기계적으로 회전시켜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좁은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유속이 국소적으로 증가하면 정압이 감소하여 공동현상이 시작될 수 있는 임계 압력(포화 증기압)까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수처리, 에너지 수확, 열 전달 향상, 식품 가공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사용되는 수력 공동현상 기반 반응기의 작동 방식이다.[8]
공동현상 흐름이 진행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흐름 패턴이 나타난다.[9]
- 초기 발생: 시스템에 기체 상(기포)이 처음 나타나는 순간이다. 이는 가장 높은 공동현상 수(cavitation number)에 해당하며, 가장 약한 공동현상 흐름이다.
- 발달된 흐름: 오리피스나 벤튜리 구조에서 공동(cavity)이 커지고 크기가 증가하는 단계이다.
- 초공동현상 (Supercavitation): 가장 강렬한 공동현상 흐름으로, 이론적으로 오리피스의 노즐 영역 전체가 기포로 채워진다. 이 흐름은 시스템에서 가장 낮은 공동현상 수에 해당한다.
- 초크 흐름 (Choked flow): 초공동현상 이후 시스템이 더 이상 유량을 증가시킬 수 없는 상태이다. 상류 압력이 증가해도 유속은 변하지 않으며, 이는 공동현상 수의 증가로 나타난다.
기포가 생성되고 성장한 뒤 붕괴하는 과정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기포 표면에 매우 높은 에너지 밀도, 국소 온도 및 국소 압력을 발생시킨다. 전체 액체 매질은 주변 조건을 유지하지만, 제어되지 않은 공동현상은 기계 장치 등에 손상을 줄 수 있다. 그러나 공동현상 흐름을 제어하면 그 에너지를 유용하게 활용하고 비파괴적으로 만들 수 있다. 제어된 공동현상은 화학 반응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공동현상 기포 내부에 갇힌 증기가 해리되면서 생성되는 자유 라디칼 때문이며, 이를 통해 특정 반응을 촉진하거나 예상치 못한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10] 예를 들어, 일반적인 주변 조건에서는 어려운 생물학적으로 분해하기 힘든 화합물의 광물화에 사용될 수 있다.[20] 또한, 공동현상으로 처리된 옥수수 슬러리는 처리되지 않은 슬러리에 비해 에탄올 생산량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9]
오리피스와 벤튜리는 공동현상을 발생시키는 데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벤튜리는 단면적이 부드럽게 변하기 때문에 주어진 압력 강하에 대해 목 부분에서 더 높은 유속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오리피스는 주어진 파이프 단면적에 더 많은 수의 구멍을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1]
공동현상 현상은 고속 해양 선박 및 발사체의 성능 향상, 재료 가공 기술,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어 및 활용 가능성이 연구되고 있다. 공동현상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공동현상 과정에 대한 수학적 기초 연구가 필수적이며, 기포 공동현상과 초공동현상이 주요 연구 대상이다. 이 분야의 연구는 1868년 헤르만 폰 헬름홀츠(Hermann von Helmholtz)의 연구[12]를 시작으로, 복소 변수 함수 이론을 이용한 2차원 문제 해석[13][14], 근사 및 휴리스틱 모델과의 결합[15][16][17] 등으로 발전해왔다. 최근 연구는 3차원 공동현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선형 수치 방법 개발, 기존 이론의 개선, 점근적 이론 개발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8]
2. 3. 음향 및 초음파 캐비테이션
액체 속 작은 기포가 음향장 속에서 진동하지만, 음향장의 세기가 약해 기포가 완전히 붕괴되지 않는 현상을 비관성 캐비테이션이라고 한다. 이 방식은 관성 캐비테이션보다 침식 작용이 훨씬 약해서, 실리콘 웨이퍼처럼 섬세한 재료를 세척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관성 캐비테이션 역시 음향장에서 발생할 수 있다. 액체 속에 원래 존재하는 미세 기포들이 음향장의 영향으로 진동하다가, 음향 강도가 충분히 높아지면 기포 크기가 커진 뒤 급격하게 붕괴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액체의 압력이 낮아져 Rayleigh-like|레이-리형eng 공동(void)을 만들 정도가 아니더라도 관성 캐비테이션은 일어날 수 있다.
초음파 캐비테이션은 초음파 발생원의 가속도가 필요한 압력 강하를 일으킬 만큼 충분히 클 때 발생한다. 이 압력 강하는 가속도 크기와 압력파가 영향을 미치는 부피에 따라 달라진다. 초음파 캐비테이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무차원 수로는 가르시아-아탕스 수(Garcia-Atance number)가 있다. 고출력 초음파 혼(horn)은 매우 높은 가속도를 만들어 캐비테이션 영역을 생성하는데, 이는 균질화, 분산, 응집 제거, 침식, 세척, 밀링, 유화, 추출, 붕괴 및 소노케미스트리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2. 4. 공기역학적 캐비테이션
기체에서도 고속으로 움직일 경우 유체 역학 원리에 따라 공동현상과 유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21][22] 예를 들어, 납작한 탄두를 가진 총알은 뾰족한 탄두보다 물속에서 더 빠르게 나아가는데, 이는 납작한 탄두가 공동 현상을 일으켜 물과의 마찰을 줄이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원리가 공기 중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공기역학적 공동 현상을 활용하기에 이상적인 형태로 모래 언덕의 모양을 들 수 있다. 모래 언덕은 자연적으로 바람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모래 언덕 형태의 표면을 항공기나 고속으로 달리는 차량에 적용하면, 공기와의 총 마찰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모래 언덕 형태는 공기를 위, 아래, 뒤쪽으로 효과적으로 밀어내어 표면 주변의 압력을 낮추고 마찰을 줄이는 효과를 낸다. 모래 언덕 형태는 물체의 전면 저항을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이는 물속을 나아가는 총알의 예처럼 공기와 접촉하는 총 마찰 면적이 줄어드는 것으로 상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래 언덕 형태를 적용한 항공기나 차량은 속도를 눈에 띄게 높일 수 있다.[23]
3. 캐비테이션의 종류
공동현상은 발생 원인, 형태, 지속 시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관성 캐비테이션'''(en)은 액체 내 압력이 급격히 낮아져 증기로 채워진 빈 공간, 즉 캐비티(en)가 형성되었다가 주변 압력이 다시 높아지면서 급격하게 붕괴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 과정은 19세기 후반 액체 내 구형 공간의 붕괴를 연구하면서 처음 관찰되었다. 캐비티는 진공 상태가 아니라 낮은 압력의 증기로 채워져 있다. 기포가 붕괴할 때는 주변 액체가 안쪽으로 빠르게 밀려 들어오면서 엄청난 운동량을 갖게 되고, 기포 중심의 증기 압력과 온도를 급격하게 상승시킨다. 붕괴 순간에는 기포 내부 온도가 수천 켈빈(K)에 달하고 압력은 수백 기압에 이를 수 있으며[4], 이 에너지는 충격파나 빛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이 시작되려면 일반적으로 액체 내의 미세한 불순물이나 용해되지 않은 작은 기포와 같은 핵생성 지점이 필요하다.[6][7] 관성 캐비테이션은 끓음과 유사하게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현상이지만, 끓음이 온도 상승으로 포화 온도에 도달하여 발생하는 것과 달리, 캐비테이션은 온도는 일정하더라도 압력이 증기압 이하로 낮아질 때 발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5]
'''비관성 캐비테이션'''(en)은 액체 속 기포가 음향장과 같은 외부 힘에 의해 진동하지만, 완전히 붕괴하지는 않는 경우를 말한다. 기포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한다. 이 형태의 캐비테이션은 관성 캐비테이션에 비해 기포 붕괴 시 발생하는 충격이 훨씬 약하기 때문에, 표면 침식(en)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와 같이 손상되기 쉬운 재료의 정밀 세척 등에 활용된다.
발생 원인에 따라서도 캐비테이션을 분류할 수 있다.
- '''수력 캐비테이션'''(en): 액체가 빠르게 흐르면서 국소적인 압력 변화를 겪을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좁은 통로(오리피스나 벤튜리 관 등)를 통과하거나 프로펠러 날개 표면을 지날 때 유속이 빨라지면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압력이 낮아져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유속과 압력 조건에 따라 초기 발생, 발달된 흐름, 초공동현상(en), 초크 흐름(en) 등 다양한 흐름 패턴이 나타난다.[9] 수력 캐비테이션은 수처리, 에너지 수확, 열전달 향상, 식품 가공 등 다양한 산업 공정에 응용된다.[8][19] 제어되지 않으면 손상을 일으키지만, 제어된 캐비테이션은 화학 반응을 촉진하거나 새로운 반응 경로를 제공하기도 한다.[10]
- '''음향 캐비테이션'''(en): 강한 음향장, 특히 초음파에 의해 액체 내 압력이 주기적으로 변하면서 발생한다. 초음파의 강도가 충분히 높으면 액체 내 미세 기포가 격렬하게 진동하다가 관성 캐비테이션처럼 붕괴할 수 있다. 고출력 초음파 장비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균질화, 분산, 세척, 유화, 음향화학 반응 등에 활용된다.
- '''광학 캐비테이션'''(en) 및 '''전기 방전 캐비테이션''': 강한 레이저 펄스나 스파크 방전과 같이 국소적으로 높은 에너지를 집중시켜 액체를 순간적으로 끓게 만들어 캐비테이션 기포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주로 실험실 환경에서 캐비테이션 기포의 생성 및 소멸 과정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액체가 아닌 '''기체'''에서도 고속으로 흐를 때 유사한 현상이 관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형태의 물체(납작한 탄두, 모래 언덕 모양)는 공기 중에서 주변 압력을 낮추어 마찰 저항을 줄이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를 공기역학적 캐비테이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1][22][23]
3. 1. 2차원 수중익 및 프로펠러의 캐비테이션
공동현상은 수중익이나 프로펠러와 같은 날개 단면의 형상 및 작동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특히 날개의 어느 부분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하는지는 유체 흐름에 대한 날개의 상대적인 각도인 받음각(α)의 크기와 부호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받음각이 양(+)의 값을 가지며 비교적 클 때는 날개 단면 형상과 관계없이 주로 날개 뒷면(en)의 앞쪽 가장자리(en) 부근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받음각이 0도 근처일 경우에는 날개 뒷면에서 두께가 가장 두꺼운 부분이나 뒷쪽 가장자리(en) 부근에서 발생하기 쉽다. 반면, 받음각이 음(-)의 값을 가질 때는 날개 앞면(en)의 앞쪽 가장자리 부근에서 공동현상이 시작되는 경향이 있다. 날개 단면 형상만으로 비교하면, 항공기 날개에 주로 쓰이는 익형(en) 단면은 앞쪽 가장자리 부근에서 공동현상이 잘 관찰되지만, 단순한 원호 형태(en) 단면은 날개 길이의 중앙 부근에서 더 쉽게 발생한다.
프로펠러의 날개는 이러한 2차원 날개 단면들이 축 주위에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이다. 선박 뒤쪽의 불균일한 물의 흐름(en) 속에서 작동하는 프로펠러 날개는 회전 위치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하는 받음각을 경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날개의 각 부분에서는 서로 다른 형태의 공동현상이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공동현상은 발생 부위와 형태에 따라 프로펠러 성능과 선체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여러 종류로 구분한다.
- '''얇은층 공동현상''' (en): 비교적 크지 않은 받음각으로 작동하는 날개 뒷면에 생기는 낮은 압력 때문에, 날개 앞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얇은 막이나 층 형태로 발생하는 공동현상이다. 선박 프로펠러에서는 날개 앞쪽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하는 막 모양의 공동현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 형태는 대체로 안정적이지만, 공동(en) 부피 변화는 선체 진동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 '''기포형 공동현상''' (en): 고속선 프로펠러처럼 날개 두께가 비교적 두껍고 받음각이 작을 때, 날개에서 두께가 최대인 지점 근처에서 발생하는 기포 형태의 공동현상이다. 기포 모양의 공동이 날개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성장하고 소멸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 형태는 매우 불안정하여 프로펠러의 추력 감소나 효율 저하를 일으키고, 기포가 터질 때 발생하는 충격압으로 인해 날개 표면에 침식(en)과 같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공동현상 시험 중 이러한 형태가 관찰되면, 이를 피하기 위해 프로펠러 설계를 변경해야 할 정도로 심각하게 다룬다.
- '''앞면 공동현상''' (en): 받음각이 작거나 음(-)의 값을 가질 때, 날개 앞면의 앞쪽 가장자리 근처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동현상이다. 프로펠러의 중심부(en)에 가까운 날개 단면이나, 프로펠러 날개가 회전 중 가장 아래쪽(6시 방향)에 위치할 때 날개 끝부분에서 관찰되기도 한다. 이 역시 매우 불안정한 형태이며 날개 침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 '''팁 보텍스 캐비테이션''' (en): 프로펠러 날개 끝(en)에서는 강한 와류(en)가 방출되는데, 이 와류의 중심은 압력이 매우 낮다. 이 저압 영역에서 발생하는 끈이나 실 모양의 공동현상을 말한다.
- '''클라우드 캐비테이션''' (en): 얇은층 공동현상(en)이 불안정해지면서 급격하게 부서져 내릴 때, 수많은 작은 공동 기포들이 구름처럼 뭉쳐서 나타나는 형태이다. 매우 격렬한 침식을 유발할 수 있다.
- '''루트 캐비테이션''' (en): 프로펠러 날개가 허브에 연결되는 뿌리 부분(en)의 날개 표면에 부착되어 나타나는 시트(en) 형태의 공동현상이다. 하나의 얇은 기포층으로 보이기도 하고, 작은 기포들이 모여 있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3. 2. 기타 캐비테이션
공동현상은 모습과 발생 원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87]; 트래블링 캐비테이션 (Traveling cavitationeng)
: 수가 적고 큰 기포가 물체 표면 근처에서 주된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현상이다.
; 픽스드 캐비테이션 (Fixed cavitationeng)
: 하나의 큰 캐비티(cavity)가 물체 표면에 붙어 겉보기에는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 볼텍스 캐비테이션 (Vortex cavitationeng)
: 와류(vortex)의 중심부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다른 캐비테이션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쉽게 붕괴되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바이브러토리 캐비테이션 (Vibratory cavitationeng)
: 초음파 진동자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이다. 거시적인 유체 흐름 없이 진동자의 움직임에 따라 기포가 발생하고 붕괴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4. 캐비테이션의 지배 요인
캐비테이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다.[87]
이러한 요인들 중에서 흐름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무차원수로 '''캐비테이션 수''' σ가 정의되어 있다. 이 값은 캐비테이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
여기서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 : 유체가 교란되지 않은 먼 지점에서의 정압
:* : 유체가 교란되지 않은 먼 지점에서의 유속
:* : 해당 온도에서의 액체 증기압
:* : 액체의 밀도
또한, 펌프 등 유체 기계 분야에서는 '''토마의 캐비테이션 수'''(Thoma's sigma) 도 사용된다.
:
여기서 각 기호는 다음을 의미한다.
:* : 유효 흡입 압력 헤드 (Net Positive Suction Head)
:* : 전양정 (Total Head)
5. 캐비테이션의 응용
공동현상(캐비테이션)은 제어되지 않을 경우 손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이를 제어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10] 예를 들어, 고속 해양 선박이나 발사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응용될 수 있다.[12]
기체에서도 공동현상과 유사한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를 더 빠르게 이동시킬 수 있다. 납작한 탄두를 가진 총알이 물속에서 더 빠르게 나아가는 것이 한 예이며, 항공기나 고속 차량 표면에 모래 언덕과 유사한 형태를 적용하여 공기 저항을 줄이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23] 자연계에서는 권총 새우가 집게발을 빠르게 닫아 공동현상을 일으켜 먹이를 사냥하거나[90], 갯가재가 펀치 공격 시 공동현상을 활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공동현상은 여러 기계 장치에서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스크류 프로펠러: 발생하는 기포로 인해 추진 효율이 떨어지고(헛도는 현상), 기포가 터질 때 발생하는 압력파가 프로펠러 표면을 침식시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21세기 잠수함의 스큐드 프로펠러는 이러한 현상을 줄이도록 설계되었지만, 여전히 해수면 가까이에서는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깊이 잠수하면 수압 증가로 인해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
- 펌프: 유체 기계인 펌프 내부, 특히 임펠러와 같은 부품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하여 손상을 일으키기 쉽다.
- 유압 시스템: 밸브나 배관의 특정 구간에서 유속 변화나 난류로 인해 공동현상이 발생하여 부품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내연 기관: 수냉 엔진의 워터 펌프 내부 임펠러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하여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 로켓 엔진: 액체 연료 로켓의 터보 펌프와 같이 극한 조건에서 작동하는 경우, 공동현상이 주요 고장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일상생활에서는 정원에 물을 뿌릴 때 수도 호스가 꺾인 부분에서 '쉭'하는 소리가 나거나 물이 잠시 하얗게 보이는 현상으로 공동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89] 또한 손가락 마디를 꺾는 소리가 관절 내 액체의 공동현상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5. 1. 화학 공학
산업 분야에서 공동현상은 종종 균질화 (또는 혼합 및 분해) 목적으로 활용된다. 특히 페인트 혼합물이나 우유와 같은 콜로이드 액체 화합물에 부유된 입자를 분해하는 데 유용하다. 많은 산업용 혼합 기계가 이러한 공동현상의 원리를 기반으로 설계된다. 공동현상을 일으키는 방식으로는 임펠러 설계를 이용하거나, 혼합물을 좁은 입구 구멍과 훨씬 넓은 출구 구멍을 가진 환형 개구부를 통해 강제로 통과시키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경우, 액체가 더 큰 부피의 공간으로 가속되면서 압력이 급격히 감소하여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이 방법은 입구 구멍 크기를 조절하는 유압 장치를 통해 제어할 수 있으며, 공정 중에 동적으로 조절하거나 다른 물질에 맞게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다.이러한 유형의 혼합 밸브 표면은 공동현상 기포가 충돌하여 터지는 과정에서 엄청난 기계적 및 열적 국부 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밸브 재료로는 스테인리스강, 스텔라이트, 또는 심지어 다결정 다이아몬드 (PCD)와 같이 매우 강하고 단단한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고출력 초음파를 이용해 공동현상을 발생시키는 초음파 공동현상은 균질화, 분산, 응집 제거, 침식, 세척, 밀링, 유화, 추출, 붕괴 및 소노케미스트리(음파화학) 등 다양한 화학 공정에 응용될 수 있다.
공동현상은 수처리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공동현상 발생 시 국소적으로 만들어지는 극한의 온도와 압력 조건은 물속의 오염 물질과 유기 분자를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공동현상 기포 내부에 갇힌 증기가 분해되면서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분해하기 어려운 생물 내화성 화합물의 광물화를 가능하게 한다.[20] 이는 화학 반응 속도를 높이거나,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일어나기 어려운 특정 반응을 촉진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20] 음파화학 반응 과정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에너지 전달 과정에 화학적 및 플라즈마 기반 메커니즘이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동현상 기포에서 방출되는 이러한 빛을 음파 발광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공동현상 기술은 식물성 기름의 알칼리 정제 과정에 성공적으로 적용된 바 있으며,[24] 물에 잘 녹지 않는 소수성 화학 물질이 공동현상 기포 표면에 끌리는 현상을 이용하여 단백질 폴딩 과정을 돕는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25]
5. 2. 생물 의학
공동현상은 체외 충격파 쇄석술에서 신장 결석을 파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6] 또한, 공동현상을 이용하여 큰 분자를 생물학적 세포 안으로 전달하는 연구(소노포레이션)도 진행 중이다. 질소 공동현상은 세포 내 소기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세포막을 용해시키는 연구 방법으로 사용된다.공동현상은 다양한 질병 치료를 위해 열을 사용하지 않고 비침습적인 방식으로 조직을 분획하는 데 중요하게 활용된다.[27] 혈액-뇌 장벽을 일시적으로 열어 뇌 내로 신경 관련 약물이 더 잘 흡수되도록 돕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28]
고강도 집속 초음파(HIFU)에서도 공동현상이 이용되는데, 이는 암 치료를 위한 비침습적 열 치료 방법이다.[29]
그 외에도 공동현상은 다양한 생물 의학적 현상 및 응용과 관련이 있다.
- 고속 충격으로 인한 상처(예: 총상)에서는 임시적 공동현상과 영구적 공동현상이 함께 나타나며 조직 손상을 유발한다. 하지만 신체 내 밀도 차이 등으로 인해 정확한 상처 발생 과정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30]
- 초음파는 때때로 수술 후 뼈 형성을 촉진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31]
- "손가락 마디를 꺾을 때 나는 소리"는 관절 내 활액에서 공동현상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32]
- 치과 치료 분야에서는 공동현상을 이용해 오존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생성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33]
5. 3. 세척
산업 청소 분야에서 공동현상은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공동현상이 발생할 때 생기는 강력한 힘은 세척 대상 표면에 붙어 있는 입자와 표면 사이의 부착력을 약화시켜 오염 물질을 분리한다.특히 초음파를 이용한 공동현상은 세척액 속에서 미세한 기포들을 터뜨리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파는 오염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제거된 입자가 다시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운반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대표적인 응용 사례로는 초음파 세척기가 있으며, 이는 초음파로 공동현상을 일으켜 안경, 귀금속, 실험 도구 등 다양한 물체 표면의 오염을 정밀하게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고출력 초음파 장비는 이러한 공동현상 원리를 이용해 세척뿐만 아니라 균질화, 분산, 유화 등 다양한 산업 공정에도 응용된다.
그러나 공동현상의 강력한 물리적 힘은 오염 물질뿐만 아니라 세척 대상 자체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세척 대상의 재질이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강도와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5. 4. 식품 및 음료
공동 현상은 식품 및 음료 산업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된다.계란 살균계란 살균에 공동 현상이 적용되기도 한다. 구멍이 뚫린 회전자를 이용해 공동 현상 기포를 만들면 액체 내부에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때 장비 표면은 액체보다 차갑게 유지된다. 이는 기존 방식처럼 뜨거운 표면에 계란이 닿아 굳는 문제를 방지한다. 공동 현상의 강도를 조절하여 단백질 손상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34]
식물성 기름 생산2011년부터 식물성 기름의 탈검 및 정제 과정에 공동 현상 기술이 도입되어 표준 기술로 자리 잡았다. 특히 식물성 기름의 알칼리 정제에 성공적으로 활용된 바 있으며,[24] 동적 공동 현상을 이용하면 화학 물질, 물, 표백 점토 같은 공정 보조제의 사용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35][36][37][38][39]
바이오 연료 생산 및 기타 응용바이오 연료 생산에도 공동 현상이 이용된다. 2011년부터 바이오디젤 생산에 적용되어 표준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수력학적 공동 현상을 트랜스에스테르화 공정에 적용하면 촉매 사용량을 줄이고 품질을 높이며 생산 능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40][41][42] 옥수수 슬러리에 공동 현상을 적용하면, 공동 현상 처리를 하지 않은 슬러리에 비해 건식 분쇄 시설에서의 에탄올 생산량이 더 높아진다.[19]
또한, 우유와 같은 콜로이드 액체에서 입자를 분해하는 균질화 과정에도 공동 현상이 사용된다. 많은 산업용 혼합 기계가 이 원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6. 캐비테이션 손상
공동현상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여겨진다. 프로펠러나 펌프와 같은 유체 기계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하면 심각한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고, 부품 손상 및 효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43] 특히 공동현상으로 인한 소음은 잠수함과 같은 군사 장비의 수동 소나 탐지 가능성을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공동현상으로 생성된 기포(캐비티)는 압력이 높은 영역으로 이동하면 급격하게 붕괴한다. 이 붕괴 과정에서 기포 내부의 증기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압축되어 온도는 수천 켈빈, 압력은 수백 기압에 달할 수 있다.[4] 이때 기포 주변의 액체는 기포 중심으로 매우 빠르게 쇄도하며, 기포가 완전히 소멸하는 순간 서로 충돌하여 강력한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이 충격파는 소음과 진동의 주요 원인이 된다.
특히 기포가 프로펠러 날개나 펌프 임펠러와 같은 고체 표면 근처에서 붕괴할 경우, 기포는 비대칭적으로 수축하며 표면을 향해 매우 빠른 속도의 미세 액체 제트(microjet)를 분출한다. 이 제트류는 마치 작은 망치로 표면을 때리는 것과 같은 충격을 주어 표면에 '''침식(erosion)'''을 일으킨다. 이러한 기포의 동적 거동은 다음의 레일리-프레셋 방정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
비록 개별 기포의 붕괴 에너지는 작지만, 이러한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철과 같은 단단한 금속 표면에도 점차 손상을 입힌다.[44] 공동현상으로 인해 표면에 작은 홈(pitting)이 생기기 시작하면, 이 홈들이 유체 흐름의 난류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기포가 생성되기 쉬운 핵 생성 지점 역할을 하여 침식 속도가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손상은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잔류 응력을 남겨 재료가 응력 부식 균열에 더 취약해지게 만들 수 있다.[45]
결과적으로 공동현상은 유체 기계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부품을 파손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며, 기기 표면의 침식, 진동 및 소음 발생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한다.
6. 1. 펌프 및 프로펠러
펌프의 임펠러나 선박, 잠수함 등의 프로펠러 날개가 유체를 통과하며 회전할 때, 날개 주변의 유체 속도가 빨라지면서 국소적으로 압력이 낮아지는 영역이 형성된다. 날개의 회전 속도가 더욱 빨라져 압력이 해당 액체의 증기압 이하로 떨어지면, 액체가 증발하여 작은 기포들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공동현상이다. 이 기포들은 유체의 흐름을 따라 압력이 높은 영역으로 이동하면 급격하게 붕괴하며, 이때 매우 강력한 국소적인 충격파가 발생한다.이러한 공동현상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간주된다. 펌프나 프로펠러와 같은 장치에서 공동현상은 상당한 소음, 부품 손상, 진동 및 효율성 저하를 유발한다.[43] 공동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은 특히 군사적 목적으로 운용되는 잠수함 등에서 문제가 되는데, 수동 소나에 의해 탐지될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이다.[43]
공동현상 기포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는 매우 작은 영역에 에너지를 집중시켜 고온 지점을 생성하고 소음의 원인이 된다. 비록 작은 기포 하나의 붕괴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철과 같은 단단한 금속 표면도 침식시킬 수 있다.[44] 공동현상으로 인한 표면의 작은 홈(피팅, pitting)은 부품에 심각한 마모를 일으키며, 프로펠러나 펌프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일단 표면이 공동현상의 영향을 받기 시작하면, 침식 속도는 가속화되는 경향이 있다. 생성된 홈들은 유체 흐름의 난류를 증가시키고, 새로운 공동현상 기포가 생성되기 쉬운 핵 생성 지점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홈들은 부품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고 잔류 응력을 남겨, 표면이 응력 부식 균열에 더욱 취약해지게 만든다.[45]
=== 프로펠러 ===
프로펠러의 날개는 2차원 날개 단면들이 연속적으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선박의 경우, 선미의 불균일한 물살 속에서 프로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각 날개 단면이 맞는 유입 유동의 받음각은 계속해서 변하게 된다. 이로 인해 날개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펠러 성능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
고속 프로펠러와 같이 날개 두께가 비교적 두껍고 받음각이 작은 경우에는 날개의 최대 두께 지점 근처에서 기포형 공동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형태의 공동현상은 매우 불안정하여 프로펠러의 성능 저하와 날개 표면의 침식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므로, 설계 단계에서 반드시 회피해야 한다.
받음각이 비교적 작거나 음(-)의 값을 가질 때는, 날개 앞면의 앞날(leading edge) 근처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동현상은 프로펠러 허브(hub)에 가까운 날개 단면이나, 프로펠러 날개가 가장 아래쪽(6시 방향)에 위치할 때 날개 끝부분에서 관찰되는 경우가 많으며, 불안정하여 날개 침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선박용 프로펠러에서 관찰되는 공동현상은 발생 형태와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
종류 | 설명 |
---|---|
팁 보텍스 캐비테이션 (Tip Vortex Cavitation) | 프로펠러 날개 끝에서 방출되는 와류(vortex) 중심부의 압력이 낮아져 발생하는 끈 모양의 공동현상이다. |
시트 캐비테이션 (Sheet Cavitation) | 날개의 앞날 부근에서 발생하는 얇은 막(sheet) 모양의 공동현상이다. |
버블 캐비테이션 (Bubble Cavitation) | 기포(bubble) 모양의 캐비티가 날개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성장하고 붕괴하는 형태이다. |
클라우드 캐비테이션 (Cloud Cavitation) / 포밍 캐비테이션 (Foaming Cavitation) | 시트 캐비테이션이 불안정하게 급격히 붕괴하면서 무수한 작은 기포들이 구름(cloud)처럼 군집을 이루는 형태이다. |
루트 캐비테이션 (Root Cavitation) | 날개가 허브에 연결되는 뿌리(root) 부분의 표면에 부착되어 나타나는 시트 형태의 공동현상이다. |
=== 펌프 ===
펌프 내부에서도 공동현상이 발생하며, 주로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 흡입 공동현상 (Suction Cavitation) ====
펌프 흡입구의 압력이 매우 낮거나 높은 진공 상태가 될 때 발생한다. 이로 인해 액체가 펌프 임펠러의 입구 부분(eye)에서 증기로 변하게 된다. 이 증기는 임펠러를 따라 펌프의 토출 측으로 이동하면서 다시 압력이 높아져 액체로 응축(붕괴)된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격렬한 충격은 임펠러 표면을 직접 공격하여 손상을 입힌다. 흡입 공동현상으로 손상된 임펠러는 표면에서 큰 덩어리의 재료가 떨어져 나가거나, 마치 스펀지처럼 작은 구멍들이 무수히 생기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손상은 결국 베어링 고장 등으로 이어져 펌프의 조기 고장을 유발한다. 흡입 공동현상이 발생할 때는 펌프 케이싱 내부에서 마치 자갈이나 구슬이 굴러가는 듯한 소음이 들리는 경우가 많다.
흡입 공동현상의 일반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46]
- 흡입 측 필터나 배관의 막힘
- 부적절한 흡입 배관 설계 (과도한 굴곡, 좁은 직경 등)
- 펌프가 설계된 운전 범위보다 과도하게 높은 유량으로 작동하는 경우
- 펌프가 요구하는 NPSHa(Net Positive Suction Head available)가 부족한 운전 조건
자동차의 유압 시스템(파워 스티어링, 파워 브레이크 등)에서도 필터가 막히면 흡입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엔진 회전수(RPM)와 동기화되어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고음의 윙윙거리는 소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배출 공동현상 (Discharge Cavitation) ====
펌프의 토출 압력이 비정상적으로 매우 높을 때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펌프가 최고 효율점에서 운전될 때보다 현저히 낮은 유량(예: 최고 효율점 유량의 10% 미만)으로 작동할 때 나타난다. 높은 토출 압력으로 인해 대부분의 유체가 토출구로 나가지 못하고 펌프 내부에서 재순환하게 된다. 이 재순환하는 액체가 임펠러와 펌프 하우징 사이의 좁은 간극을 매우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서 벤투리 효과와 유사하게 국소적인 진공 상태가 형성되어 액체가 증기로 변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펌프를 계속 운전하면 임펠러 날개 끝부분과 펌프 하우징 내벽의 조기 마모가 발생한다. 또한, 과도하게 높은 압력은 펌프의 기계적 씰(seal)과 베어링에도 부담을 주어 조기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임펠러 축(shaft)이 파손될 수도 있다.
=== 배관 설계의 영향 ===
펌프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펌프 흡입구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이 잘 발달되어 안정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펌프 흡입 플랜지에 너무 가깝게 엘보(elbow, 곡관)와 같은 배관 부속품이 연결되면, 유입 흐름이 왜곡되어 펌프의 성능 저하나 신뢰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47]
제대로 발달되지 않은 흐름이 펌프 임펠러로 유입되면, 유체가 임펠러 날개 표면에서 분리되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게 된다. 이는 공동현상으로 인한 기계적 문제, 난류로 인한 진동 및 성능 문제, 임펠러 내부가 유체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는 문제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씰, 베어링, 임펠러의 조기 고장, 유지 보수 비용 증가, 불필요한 전력 소비, 그리고 설계된 값보다 낮은 양정(압력) 및 유량 등의 문제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펌프 제조업체는 일반적으로 펌프 흡입 플랜지 앞에 파이프 직경의 약 10배 정도에 해당하는 직선 배관 구간을 확보하여 유입 흐름을 안정시킬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공간 및 장비 배치 제약으로 인해 이러한 권장 사항을 준수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47]
특히, 양쪽에서 유체를 흡입하는 이중 흡입 펌프(double-suction pump)의 경우, 흡입구 가까이에 엘보가 연결되면 임펠러 양쪽으로 유량이 불균등하게 분배되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엘보는 일반적으로 곡률 바깥쪽으로 더 많은 유량을 보내는 경향이 있어, 이중 흡입 임펠러의 한쪽은 과도한 유량을 받고 다른 쪽은 유량이 부족하게 된다. 유량이 부족한 쪽에서는 심한 난류와 함께 공동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불균형은 펌프의 전반적인 성능(양정, 유량, 전력 소비)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축 방향 추력 불균형을 유발하여 씰, 베어링, 임펠러의 수명을 단축시킨다.[48]
=== 공동현상 완화 방안 ===
펌프 시스템에서 공동현상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 가능하다면 펌프 흡입 측의 압력을 높인다. (예: 액체 수위를 높이거나 가압 탱크 사용)
- 가능하다면 액체의 온도를 낮춘다. (온도가 낮을수록 증기압이 낮아짐)
- 펌프 토출 측 밸브를 조절하여 유량을 줄인다. (주로 배출 공동현상 완화에 효과적)
- 펌프 케이싱 내부에 축적될 수 있는 가스를 주기적으로 배출한다.
6. 2. 제어 밸브
제어 밸브에서도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49] 밸브 전후(상류 및 하류)의 압력 차이, 즉 밸브 내 실제 압력 강하가 설계 시 계산된 허용치보다 클 경우, 액체가 갑자기 끓어 증기로 변하는 플래싱(flashing) 현상이나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액체가 제어 밸브 내부를 흐를 때, 가장 좁은 통로 지점인 '베나 컨트랙타'(vena contractalat)에서 유체의 속도가 가장 빨라진다. 속도가 빨라지면 베르누이의 원리에 따라 압력은 크게 떨어진다. 만약 이 지점에서의 압력이 액체의 증기압보다 낮아지면, 액체가 증발하여 작은 기포들이 만들어진다.
밸브를 통과하여 유로가 다시 넓어지면 유속은 느려지고 압력은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압력이 다시 액체의 증기압보다 높아지면, 앞서 생성되었던 증기 기포들이 급격하게 터지면서(붕괴하면서)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기포 붕괴는 소음과 강한 충격파를 일으켜 밸브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다.
6. 3. 댐 월류
댐 월류(spillway) 위로 물이 흐를 때, 월류 표면의 불규칙성은 고속 흐름에서 흐름 분리의 작은 영역을 유발하고, 이러한 영역에서는 국소적으로 압력이 낮아진다. 유속이 충분히 높으면 압력이 물의 국소 증기압 이하로 떨어져 증기 기포가 형성될 수 있다.이렇게 형성된 증기 기포가 하류의 고압 영역으로 이동하면 급격히 붕괴하면서 매우 높은 충격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 충격 압력은 월류 표면에 손상을 입히는데, 이를 공동현상 손상이라고 한다.
실험 연구에 따르면,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슈트(chute)나 터널형 월류에서는 깨끗한 물이 12m/s에서 15m/s 사이의 속도로 흐를 때 공동현상 손상이 시작될 수 있다. 유속이 20m/s까지는 경계를 유선형으로 만들거나, 표면 마감을 개선하거나, 내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여 표면을 보호함으로써 어느 정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50]
물속에 약간의 공기가 섞여 있으면, 이 공기-물 혼합물은 압축성을 가지게 되어 기포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높은 압력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51] 따라서 월류 바닥 근처의 유속이 매우 높아 공동현상 발생 위험이 클 경우, 인공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통기 장치(aerator)를 설치하여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통기 장치는 수십 년간 사용되어 왔지만, 공기가 흐름 속으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는 메커니즘과 유입된 공기가 월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여전히 연구가 진행 중인 어려운 과제이다.[52][53][54][55]
월류 통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월류 바닥이나 측벽에 램프(ramp)나 오프셋(offset)과 같은 작은 편향 장치를 설치하여 고속의 물 흐름을 월류 표면에서 살짝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렇게 흐름이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면서 생긴 공간(nappe 아래 공동)에는 저압이 형성되고, 이 압력 차이로 인해 외부의 공기가 흐름 속으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통기 장치 설계에는 편향 장치와 함께 효율적인 공기 공급 시스템이 포함된다.
6. 4. 엔진
일부 대형 디젤 엔진에서는 높은 압축비와 작은 실린더 벽 때문에 공동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실린더 벽의 진동은 실린더 벽 반대편의 냉각수에 번갈아 가며 낮은 압력과 높은 압력을 유발한다. 그 결과 실린더 벽에 구멍이 생기게 되고, 결국 냉각수가 실린더 안으로 새어 들어가거나 연소 가스가 냉각수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냉각수에 화학 첨가제를 넣어 실린더 벽에 보호층을 형성하게 할 수 있다. 이 보호층은 공동현상으로 인해 손상되더라도 스스로 복구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냉각 시스템의 압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냉각수 주입구 캡 스프링 압력으로 조절)도 공동현상 발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1980년대 이후로는 일부 소형 가솔린 엔진의 새로운 설계에서도 공동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엔진을 더 작고 가볍게 만들려는 요구에 따라 냉각수 용량을 줄이고 냉각수 유속을 높이는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이로 인해 유속과 정압이 급격하게 변하는 구간이 생겼다. 특히 열 전달이 높은 영역에서 이러한 압력 변화로 인해 증기 방울이 발생하고, 이 방울들이 표면에 부딪히면서 처음에는 보호 산화물 층(주조 알루미늄 재질의 경우)을 파괴하고, 이후 새롭게 형성된 표면을 반복적으로 손상시켰다. 이는 실리케이트 기반 억제제와 같은 일부 부식 억제제의 작용을 방해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불어 재료 온도가 상승하면서 금속과 합금 성분 간의 전기화학적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영향으로 엔진이 고부하 및 고속으로 작동할 때 몇 시간 만에 깊은 구덩이가 형성되어 엔진 헤드를 관통하는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는 유기 부식 억제제를 사용하거나, 근본적으로 공동현상을 유발하는 조건을 피하도록 엔진 헤드를 설계함으로써 대부분 해결할 수 있었다.
7. 캐비테이션 방지 및 해결책
공동현상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으로, 여러 문제를 일으킨다. 프로펠러나 펌프와 같은 장치에서는 소음, 부품 손상, 진동, 효율성 저하 등을 유발한다.[43] 특히 공동현상 기포가 붕괴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와 소음은 수동 소나에 쉽게 탐지될 수 있어 군사 잠수함 운용에 큰 제약을 준다. 또한 기포 붕괴 시 발생하는 고압은 금속 표면을 침식시켜[44] 프로펠러나 펌프 임펠러 등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일단 표면에 공동현상 손상(피팅)이 발생하면, 표면 거칠기 증가로 난류가 심해지고 새로운 기포 핵 생성 위치를 제공하여 침식 속도가 가속화된다. 이는 응력 부식 균열의 위험도 높인다.[45] 조류 발전 터빈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설비에서도 블레이드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로 인식된다.[43]
이러한 공동현상을 방지하거나 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일반적인 방법이 있다.
- 흡입 압력 증가: 펌프나 유체 시스템의 입구 압력을 높여 액체가 쉽게 증기화되지 않도록 한다.
- 액체 온도 감소: 액체의 온도를 낮추면 증기압이 낮아져 공동현상 발생 가능성이 줄어든다.
- 유량 조절: 펌프의 토출 밸브를 조절하여 유량을 줄이면, 유속 감소로 인해 압력 강하 폭이 줄어 공동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 가스 배출: 시스템 내부에 용해되어 있거나 유입된 가스를 주기적으로 배출하여 기포 핵 생성을 줄인다.
- 형상 최적화 및 접촉 면적 확대: 유체가 접촉하는 부품(임펠러 날개, 밸브 등)의 형상을 최적화하여 국소적인 저압 영역 발생을 최소화한다. 즉, 유체 압력이 액체의 포화 증기압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설계하며, 필요하다면 프로펠러나 임펠러의 크기를 키워 접촉 면적을 넓힘으로써 단위 면적당 압력 차이를 줄여 공동현상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펌프'''
펌프에서는 흡입 측과 토출 측 모두에서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원인에 맞는 해결책이 필요하다.
- 흡입 배관 개선: 펌프 흡입구로 유입되는 흐름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펌프 흡입 플랜지 앞에 충분한 길이(일반적으로 펌프 흡입구 직경의 10배 정도)의 직선 파이프를 설치하여 와류나 편류 없는 균일한 흐름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47] 특히 엘보와 같이 흐름을 급격히 변화시키는 부속을 흡입구 가까이에 설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이는 불균일한 흐름을 유발하여 임펠러 한쪽에 과도한 부하를 주거나 반대쪽에 난류 및 공동현상을 일으켜 펌프의 성능 저하와 부품 수명 단축을 초래하기 때문이다.[48]
- 흡입 공동현상 방지: 필터나 흡입 배관의 막힘을 제거하고, 펌프가 설계된 NPSH(Net Positive Suction Head)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46]
- 배출 공동현상 방지: 펌프가 과도하게 낮은 유량(일반적으로 최고 효율점의 10% 미만)에서 작동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조절한다. 높은 토출 압력은 유체가 배출되지 못하고 펌프 내부에서 순환하게 만들며, 이때 임펠러와 하우징 사이의 좁은 간극을 고속으로 통과하면서 벤투리 효과와 유사한 원리로 압력이 낮아져 증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임펠러 베인 팁과 하우징의 마모, 씰 및 베어링의 조기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제어 밸브'''
제어 밸브에서는 밸브를 통과하며 발생하는 압력 강하가 클 때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49] 밸브 내부 또는 직후의 가장 좁은 통로(베나 컨트랙타, vena contracta)에서 유속이 최대가 되고 압력이 최소가 되는데, 이때 압력이 액체의 증기압 이하로 떨어지면 기포가 발생한다. 이후 하류에서 압력이 다시 회복되면 증기 기포가 붕괴되어 공동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밸브 전후의 압력 차이를 적절히 관리하거나, 공동현상에 강한 재질의 밸브를 사용하거나, 여러 단의 감압 밸브를 사용하는 등의 설계적 고려가 필요하다.
'''댐 월류'''
댐의 월류(spillway)에서는 고속으로 흐르는 물이 표면의 작은 불규칙성이나 구조물 형상 변화 지점에서 압력 강하를 겪으며 공동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유속이 12m/s ~ 15m/s 이상이 되면 콘크리트 표면 손상이 시작될 수 있다.[50] 이를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사용된다.
- 표면 처리 및 설계: 월류 표면을 매끄럽게 마감하거나 유선형으로 설계하여 흐름 박리를 최소화한다. 내마모성이 강한 재료를 사용하기도 한다.
- 통기 장치(Aeration device): 유속이 매우 빠른 경우(예: 20m/s 이상), 월류 바닥이나 벽면에 인공적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통기 장치를 설치한다.[51] 주입된 공기는 물과 혼합되어 혼합물의 압축성을 높여 기포 붕괴 시 발생하는 충격 압력을 완화시킨다.[52][53][54][55] 통기 장치는 보통 램프나 오프셋 같은 구조물을 이용해 물 흐름을 표면에서 살짝 띄우고, 그 아래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계된다.
'''엔진'''
고출력 디젤 엔진이나 일부 현대 가솔린 엔진의 냉각 시스템에서도 공동현상이 발생하여 실린더 벽이나 엔진 헤드를 손상시킬 수 있다. 실린더 벽의 진동이 냉각수 내에 국소적인 저압 영역을 만들어 기포를 발생시키고, 이 기포가 붕괴하면서 벽면을 침식시키는 것이다.
- 냉각수 첨가제: 냉각수에 특수 화학 첨가제를 넣어 금속 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게 한다. 이 보호층이 공동현상 충격을 대신 흡수하고 손상되더라도 다시 생성되어 금속 자체를 보호한다.
- 냉각 시스템 압력 유지: 냉각 시스템 내부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유지(가압)하여 냉각수의 끓는점을 높이고 증기 발생을 억제한다.
- 설계 개선: 엔진 설계 단계에서 냉각수 유로 형상 등을 최적화하여 국소적인 고속 유동이나 급격한 압력 변화가 발생하는 지점을 최소화한다. 특히 현대의 작고 가벼운 엔진 설계에서 냉각수 유속이 빨라지면서 공동현상 문제가 부각되기도 했는데, 유기 부식 억제제 사용이나 공동현상 발생 조건을 피하는 설계로 대응하고 있다.
8. 슈퍼캐비테이션
수중에서 이동하는 물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면, 이에 따라 캐비테이션에 의한 기포 발생량이 증가하여 결국 물체를 거의 완전히 덮어 버리는 현상을 슈퍼캐비테이션이라고 부른다. 슈퍼캐비테이션은 선단부를 제외하고 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게 해 주므로, 점성 저항에서 자유로워져 수중에서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빠른 이동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이 현상을 적극적으로 이용한 예로는 슈퍼캐비테이션 프로펠러가 있다. 물체 전체에 슈퍼캐비테이션을 이용한 대표적인 예는 소련의 어뢰인 쉬크발이다. 쉬크발은 선단부에서 인위적으로 대량의 기포를 발생시켜 생성된 공동(cavity) 안에 어뢰 전체를 감싸 물의 항력을 크게 줄인다. 이를 통해 수중에서 200노트(약 370킬로미터 매시) 이상의 속도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 자연에서의 캐비테이션
빠르게 흐르는 강물, 특히 폭포와 같이 낙차가 있는 곳에서는 암석 표면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가설은 다이아몬드 생성 과정에서 캐비테이션의 역할을 제기한다. 특히 킴벌라이트 화산관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이 순수한 탄소를 다이아몬드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극심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1883년 크라카토아 분화 당시 기록된 가장 큰 세 번의 소리는 화산 목구멍에서 형성된 거대한 캐비테이션 기포 세 개(각각 이전보다 더 컸음)의 폭발로 이해되기도 한다. 용해된 가스로 가득 차고 높은 압력을 받은 마그마가 다른 마그마와 만나면서 기포가 커지고 합쳐져 폭발했을 수 있다.[56][57]
캐비테이션은 관다발 식물의 물관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58][59] 수액이 국소적으로 기화하면 도관 요소나 가도관이 수증기로 채워지게 된다. 식물은 캐비테이션이 발생한 물관부를 복구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키가 50cm 미만인 식물은 뿌리압으로 수증기를 다시 용해시킬 수 있다. 더 큰 식물은 방사유세포나 가도관의 가장자리 구멍을 통해 삼투 현상을 이용하여 용질을 물관부로 전달한다. 이 용질이 물을 끌어당겨 압력을 높이고 수증기를 다시 용해시킨다. 일부 나무에서는 증산 작용이 활발한 여름철에 캐비테이션으로 인한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어떤 낙엽수는 가을에 기온이 떨어지면서 캐비테이션 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에 잎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여겨진다.[59]
특정 식물의 포자 분산 메커니즘에도 캐비테이션이 활용된다. 예를 들어, 고사리류의 포자낭은 포자를 공중으로 발사하는 투석기처럼 작동한다. 포자낭의 환대 세포에서 물이 증발하면 압력이 감소하고, 압축 압력이 약 9 MPa에 도달하면 캐비테이션이 발생한다. 이 급격한 현상으로 환대 구조에 저장된 탄성에너지가 방출되어 포자가 발사되는데, 이때 초기 가속도는 중력 가속도의 최대 105배에 달할 정도로 매우 크다.[60]
수생 동물에서도 캐비테이션 현상이 관찰된다. 빠르게 헤엄치는 동물의 꼬리나 지느러미 주변에서 기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주변 수압이 낮은 해수면 근처에서 더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캐비테이션은 돌고래나 참치와 같이 강력한 유영 능력을 가진 동물의 최대 속도를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61] 돌고래는 꼬리에서 발생하는 캐비테이션 기포 붕괴 시 통증을 느낄 수 있어 스스로 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참치는 신경 종말이 없는 뼈로 된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어 통증을 느끼지 않지만, 캐비테이션 기포가 지느러미 주변에 증기 막을 형성하면 속도가 느려진다. 실제 참치에서 캐비테이션으로 인한 손상과 유사한 병변이 발견되기도 했다.[62]
일부 해양 생물은 캐비테이션을 생존에 유리하게 이용한다. 권총 새우는 특수한 집게발을 빠르게 튕겨 캐비테이션을 발생시키고, 이때 발생하는 충격파로 작은 물고기를 사냥한다. '스매셔(smasher)' 타입의 사마귀 새우 역시 캐비테이션을 이용하여 조개류와 같은 먹이를 기절시키거나 껍데기를 부순다.[63] 환도상어는 긴 꼬리를 채찍처럼 휘둘러 작은 물고기 떼를 기절시키는데, 이때 꼬리 끝부분에서 캐비테이션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64][65]
해안 침식 과정에서도 캐비테이션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66] 파도가 해안 절벽에 부딪힐 때, 파도 속의 거품이 암석의 균열 속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때 압력 변화로 인해 일부 기포가 급격히 붕괴(내파)하면서 강력한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이 충격파가 암석의 일부를 파괴하여 침식을 유발할 수 있다.
10. 캐비테이션의 역사
1754년,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1707–1783)는 공동 현상의 가능성에 대해 처음으로 추측했다.[67] 이후 1859년, 영국 수학자 윌리엄 헨리 베산트(1828–1917)는 유체 내 구형 공동의 붕괴 역학 문제에 대한 해법을 발표했다. 이 문제는 1847년 조지 스토크스(1819–1903)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문제로 제시했던 것이다.[68][69] 1894년에는 아일랜드의 유체 역학자 오스본 레이놀즈(1842–1912)가 끓는 액체와 좁은 튜브 안에서 증기 기포가 어떻게 형성되고 붕괴하는지를 연구했다.[70]
"공동 현상(cavitation)"이라는 용어는 1895년 존 아이작 손이크로프트(1843–1928)와 시드니 워커 바나비(1855–1925)의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이 용어는 영국의 엔지니어 로버트 에드먼드 프로우드(1846–1924)가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1][72] 공동 현상에 대한 초기 실험 연구는 1894년에서 1895년 사이에 손이크로프트와 바나비, 그리고 영국-아일랜드계 엔지니어 찰스 알저논 파슨스(1854–1931)에 의해 수행되었다. 특히 파슨스는 이 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스트로보스코프 장치를 만들기도 했다.[73][74][75] 손이크로프트와 바나비는 프로펠러 날개 뒷면에서 공동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처음으로 관찰한 연구자들이었다.[76]
1917년, 영국의 물리학자 레일리 경(1842–1919)은 베산트의 연구를 바탕으로, 표면 장력과 점성을 무시한 비압축성 유체 내에서의 공동 현상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발표하고 유체 내 압력을 계산했다.[77] 레일리 경과 영국 엔지니어 스탠리 스미스 쿡(1875–1952)이 개발한 이 모델은 증기 기포가 붕괴할 때 매우 높은 압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이 선박 프로펠러에서 관찰되는 손상의 원인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78][79] 이러한 고압 발생에 대한 실험적 증거는 1952년 마크 해리슨이 음향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처음으로 수집했고,[80][81] 1956년에는 베르니프리드 귯이 슐리렌 사진술을 이용해 확인했다.[82]
1944년, 소련의 과학자 마크 이오시포비치 콘펠드(1908–1993)와 L. 수보로프는 공동 현상이 일어날 때 고체 표면 근처의 기포가 대칭적으로 붕괴하지 않는다는 점을 제안했다. 대신, 고체 표면 반대편에서 기포에 딤플(움푹 들어간 부분)이 생기고 이것이 액체 제트로 발전하여 고체 표면을 손상시킨다고 설명했다.[83] 이 가설은 1951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의 모리스 래트레이 주니어의 이론 연구를 통해 뒷받침되었고,[84] 1961년 같은 대학의 찰스 F. 노드와 앨버트 T. 엘리스에 의해 실험적으로 최종 확인되었다.[85]
한편, 기포가 있는 액체에서 강한 충격파(SW)의 전파에 대한 연구는 1957년부터 1960년까지 소련 과학자 블라딜렌 F. 미닌 교수에 의해 선구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들을 통해 충격파의 에너지 변환 메커니즘, 감쇠 및 구조 형성 등 기본적인 법칙들이 밝혀졌다.[86] 특히 미닌은 충격파의 작용 아래 기포가 비대칭적으로 붕괴하며, 이 과정에서 누적 제트가 형성되어 기포를 파편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86]
참조
[1]
웹사이트
The US Navy secretly designed a super-fast futuristic aircraft resembling a UFO
https://metro.co.uk/[...]
2019-04-18
[2]
간행물
Impact of Leading Edge Roughness in Cavitation Simulations around a Twisted Foil
2020
[3]
간행물
Ideal Cavitation Eros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 Erosion Curves.
https://www.research[...]
2010-01-03
[4]
간행물
Free radical generation by ultrasound in aqueous and nonaqueous solutions
1985
[5]
웹사이트
Cavitation and Bubble Dynamics
http://authors.libra[...]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2-27
[6]
서적
IEEE Ultrasonics Symposium, 2005
2005-09
[7]
간행물
Nucleation threshold of carbon black ultrasound contrast agent
https://hal.archives[...]
[8]
간행물
Direct and indirect thermal applications of hydrodynamic and acoustic cavitation: A review
2020-05-05
[9]
간행물
Engineered Lateral Roughness Element Implementation and Working Fluid Alteration to Intensify Hydrodynamic Cavitating Flows on a Chip for Energy Harvesting
2020-01
[10]
웹사이트
HYDRODYNAMIC CAVITATION
https://davidstopar.[...]
2020-01-17
[11]
간행물
Bubble Behavior in Hydrodynamic Cavitation: Effect of Turbulence
[12]
간행물
Über diskontinuierliche Flüssigkeits-Bewegungen
https://www.biodiver[...]
1868
[13]
서적
Jets, wakes and cavities
Academic Press
1957
[14]
서적
Theory of jets of ideal fluid
Nauka
1978
[15]
서적
Hydrodynamics of Flows with Free Boundaries
Naukova dumka
1969
[16]
서적
Cavitation
Mc Graw Hill Book Company
1970
[17]
서적
Dimensionality and similarity methods in the problems of the hydromechanics of vessels
Sudostroyenie
1970
[18]
서적
The Hydrodynamics of Cavitating Flows
Backbone Publishing Company
2011
[19]
특허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Alcohol Yield from Grain
http://www.arisdyne.[...]
Arisdyne Systems Inc.
[20]
간행물
A review of applications of cavitation in biochemical engineering/biotechnology
[21]
웹사이트
Asymmetric electrode arrangement of an aerodynamic plasma actuator. | Download Scientific Diagram
https://www.research[...]
[22]
웹사이트
Simultaneous Investigation of Flexibility and Plasma Actuation Effects 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an Oscillating Airfoil
https://www.research[...]
[23]
웹사이트
Aerodynamic Cavitation for Aircraft
https://contest.tech[...]
[24]
웹사이트
Edible Oil Refining
http://www.ctinanote[...]
Cavitation Technologies, Inc.
2016-01-04
[25]
웹사이트
Sandia researchers solve mystery of attractive surfaces
http://www.sandia.go[...]
2006-08-02
[26]
간행물
Cavitation Bubble Cluster Activity in the Breakage of Kidney Stones by Lithotripter Shock Waves
[27]
웹사이트
University of Michigan. ''Therapeutic Ultrasound Group, Biomedical Engineering Department, University of Michigan''.
http://www.histotrip[...]
[28]
간행물
Focused Ultrasound-Induced Blood-Brain Barrier Opening: Association with Mechanical Index and Cavitation Index Analyzed by Dynamic Contrast-Enhanced Magnetic-Resonance Imaging
[29]
간행물
Hyperecho in ultrasound images of HIFU therapy: Involvement of cavitation
2005-07-01
[30]
간행물
Wound ballistics of military rifle bullets: An update on controversial issues and associated misconceptions
2009-09-01
[31]
웹사이트
Physio Montreal Article "Ultrasound"
http://www.physiomon[...]
[32]
간행물
'Cracking joints'. A bioengineering study of cavitation in the metacarpophalangeal joint
1971-07
[33]
간행물
Influence of gaseous ozone in peri-implantitis: bactericidal efficacy and cellular response. An in vitro study using titanium and zirconia
http://dx.doi.org/10[...]
2011-08-13
[34]
뉴스
How The Food Industry Uses Cavitation, The Ocean's Most Powerful Punch
https://www.npr.org/[...]
NPR
2017-12-13
[35]
웹사이트
Application of Controlled Flow Cavitation in Oil & Fats Processing
https://lacongress.a[...]
arisdyne systems
2022-05-19
[36]
웹사이트
US Patent for Methods for reducing soap formation during vegetable oil refining Patent (Patent # 10,968,414 issued April 6, 2021) - Justia Patents Search
https://patents.just[...]
[37]
웹사이트
US Patent for Oil degumming systems Patent (Patent # 10,344,246 issued July 9, 2019) - Justia Patents Search
https://patents.just[...]
[38]
웹사이트
US Patent for Method for degumming vegetable oil Patent (Patent # 9,845,442 issued December 19, 2017) - Justia Patents Search
https://patents.just[...]
[39]
웹사이트
US Patent for Method for reducing neutral oil losses during neutralization step Patent (Patent # 9,765,279 issued September 19, 2017) - Justia Patents Search
https://patents.just[...]
[40]
웹사이트
Hero BX adopts cavitation tech to reduce catalyst use, monos
http://www.biodiesel[...]
Biodiesel Magazine
2022-05-19
[41]
웹사이트
US Patent for Process for production of biodiesel Patent (Patent # 9,000,244 issued April 7, 2015) - Justia Patents Search
https://patents.just[...]
[42]
웹사이트
US Patent Application for PROCESS FOR IMPROVED BIODIESEL FUEL Patent Application (Application #20100175309 issued July 15, 2010) - Justia Patents Search
https://patents.just[...]
[43]
journal
Cavitation inception and simulation in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for modelling tidal stream turbines
[44]
journal
Simultaneous observation of cavitation collapse and shock wave formation in cavitating jet
2018-06-01
[45]
book
Engineering trib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
[46]
뉴스
Common Causes of Cavitation in Pumps
https://info.triangl[...]
Triangle Pump Components
2018-07-16
[47]
웹사이트
A new tailpipe design for GE frame-type gas turbines to substantially lower pressure losses
http://cat.inist.fr/[...]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2012-08-02
[48]
간행물
Daishowa Reduces Pump Maintenance by Installing Fluid Rotating Vanes
Pulp & Paper
1992
[49]
간행물
Control valve handbook
Emerson Process Management
2005
[50]
conference
Rapid Flow in Spillway Chutes with and without Deflectors – A Model-Prototype Comparison
[51]
conference
The Effect of Entrained Air on Cavitation Pitting
[52]
journal
Study of Air Entrainment and Aeration Devices
http://espace.librar[...]
[53]
journal
Flow downstream of an Aerator. Aerator Spacing
http://espace.librar[...]
[54]
journal
Aeration and De-aeration at Bottom Aeration Devices on Spillways
http://espace.librar[...]
1994-06
[55]
journal
Predicting the Filling of Ventilated Cavities behind Spillway Aerators
http://espace.librar[...]
[56]
웹사이트
Volcano Watch — Volcanoes, Landslides, and Angry Gods—A Pacific Northwest Connection
https://volcanoes.us[...]
USGS
2017-05-28
[57]
book
Volcanoes: Geological & Geophysical Setting, Theoretical Aspects & Numerical Modeling, Applications to Industry & Their Impact on the Human Health
BoD – Books on Demand
2020-04-30
[58]
journal
Cavitation in water: a review
2006
[59]
journal
New evidence for large negative xylem pressures and their measurement by the pressure chamber technique
1996
[60]
journal
The Fern Sporangium: A Unique Catapult
https://hal.archives[...]
[61]
magazine
Dolphins swim so fast it hurts
https://www.newscien[...]
2008-03-31
[62]
journal
Speed limits on swimming of fishes and cetaceans
[63]
웹사이트
Sheila Patek clocks the fastest animals
http://www.ted.com/t[...]
TED
2011-02-18
[64]
journal
Thresher Sharks Use Tail-Slaps as a Hunting Strategy
[65]
Youtube
THRESHER SHARKS KILL PREY WITH TAIL
https://www.youtube.[...]
2013-07-12
[66]
book
Environmental Geomorphology
https://archive.org/[...]
Elsevier
[67]
journal
Théorie plus complete des machines qui sont mises en mouvement par la réaction de l'eau
https://babel.hathit[...]
1754
[68]
book
A Treatise on Hydrostatics and Hydrodynamics
https://archive.org/[...]
Deighton, Bell, and Co.
1859
[69]
book
The Examinations for the Degree of Bachelor of Arts, Cambridge, January 1847.
George Bell
1847
[70]
journal
Experiments showing the boiling of water in an open tube at ordinary temperatures
https://www.biodiver[...]
1894
[71]
논문
Torpedo-boat destroyers
https://babel.hathit[...]
1895
[72]
서적
Handbook on Applications of Ultrasound: Sonochemistry for Sustainability
CRC Press
2012
[73]
논문
On the formation of cavities in water by screw propellers at high speeds
https://books.google[...]
1897
[74]
논문
The application of the compound steam turbine to the purpose of marine propulsion
https://books.google[...]
1897
[75]
논문
Experimental apparatus shewing cavitation in screw propellers
https://babel.hathit[...]
1913
[76]
논문
Report of the Committee on Hydrodynamics. Division of Physical Scien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https://books.google[...]
1932
[77]
논문
On the pressure developed in a liquid during the collapse of a spherical cavity
https://babel.hathit[...]
1917
[78]
문서
(Rayleigh, 1917), p. 98, where, if P is the hydrostatic pressure at infinity, then a collapsing vapor bubble could generate a pressure as high as 1260×P.
[79]
논문
Investigations into the causes of corrosion or erosion of propellers
https://babel.hathit[...]
1919
[80]
논문
An experimental study of single bubble cavitation noise
1952
[81]
논문
Entstehung der Stoßwellen bei der Kavitation
1956
[82]
서적
History of Shock Waves, Explosions and Impact: A Chronological and Biographical Refer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Verlag
2009
[83]
논문
On the destructive action of cavitation
1944
[84]
문서
Rattray, Maurice, Jr. (1951) [https://thesis.library.caltech.edu/1493/1/Rattray_m_1951.pdf ''Perturbation effects in cavitation bubble dynamics.''] Ph.D. thesis,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asadena, California, USA).
[85]
논문
On the mechanism of cavitation damage by nonhemispherical cavities in contact with a solid boundary
https://authors.libr[...]
1961
[86]
논문
History of technical protection. 60 years in science: to the jubilee of Prof. V.F. Minin
IOP Publishing
2018
[87]
서적
キャビテーション
槇書店
[88]
간행물
未来兵器の科学 : おもしろサイエンス
日刊工業新聞社
[89]
간행물
流れのふしぎ : 遊んでわかる流体力学のABC
講談社
2004-08-20
[90]
간행물
"〔解説〕ポンプキャビテーション現象の基礎知識[第1回]"
https://www.ebara.co[...]
荏原製作所
201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