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체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계 체조는 기계와 체조를 결합한 스포츠로,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 선수의 신체 능력과 기술을 겨룬다. 고대부터 존재했으며, 19세기 초 독일에서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국제 체조 연맹(FIG)이 주관하며, 올림픽, 세계 선수권 대회 등 다양한 대회가 열린다. 남녀 모두 개인 및 단체 종합, 종목별 경기를 치르며, 난이도와 예술성을 평가한다. 그러나 섭식 장애, 학대적인 코칭, 부상 위험 등 여러 문제점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계 체조 -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구츠무츠
요한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구츠무츠는 현대 체육 교육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체조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인 교재를 출판하고 슈네펜탈 학교에서 체조와 지리 교사로 활동하며 체계적인 체조 교육을 실시했으며, 지리학 교과서와 방법론을 제시하여 지리학자 카를 리터에게 영향을 주었다. - 기계 체조 - 마루운동
마루 운동은 체조 종목의 하나로, 탄력 있는 마루에서 남자는 70초 이내, 여자는 90초 이내의 시간 동안 음악에 맞춰 연기를 펼치며 난이도, 예술성 등을 평가받는 경기이다. - 올림픽 경기 종목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올림픽 경기 종목 - 럭비
럭비는 1823년 잉글랜드 럭비 스쿨에서 유래한 구기 종목으로, 19세기 중반 럭비 풋볼 유니온 설립 후 규칙이 정립되었고, 1895년 럭비 유니온(15인제)과 럭비 리그(13인제)로 분열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럭비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고, 7인제 럭비는 2016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기계 체조 | |
---|---|
기본 정보 | |
![]() | |
종목 | 실내 스포츠 |
성별 | 남녀 모두 |
올림픽 | 1896년 하계 올림픽부터 |
국제 연맹 | 국제 체조 연맹 |
역사 | |
등록 연도 | 1881년 |
관련 용어 | |
별칭 | (정보 없음) |
클럽 | (정보 없음) |
접촉 | (정보 없음) |
팀 | (정보 없음) |
공 | (정보 없음) |
2. 명칭
기계체조(器械體操)는 기계와 체조의 합성어이다. 한국에서는 1931년 10월 31일 제1회 전조선기계체조대회에서 처음으로 '기계체조'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99] 같은 한자문화권인 중화인민공화국이나 중화민국에서는 '''경기체조'''(竞技体操|징지티차오중국어)라 하고 일본에서는 '''체조경기'''(体操競技|타이소쿄기일본어)라고 부른다.
1811년, 독일의 얀은 베를린 교외 하젠하이데에 체육관을 개설하여 젊은이들을 훈련시켰다. 이곳에는 현재 기계 체조의 원형이 되는 나무, 봉, 안마, 평행봉 등이 있었고, 젊은이들은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 기술을 개발하고 경쟁했다. 이러한 노력은 현재의 링, 철봉 등으로 이어졌다.[204][205]
오늘날 영어에서 기계체조를 뜻하는 단어는 Apparatus gymnastics인데 최근에 언론이나 일상적으로 Artistic gymnastics를 사용한다. gymnastics는 독일어로 '''김나스틱'''(Gymnastik)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그리스어의 ‘벌거숭이의’를 뜻하는 '''김노스'''(γυμνος)에서 따온 것이다.[200]
3. 기계체조의 역사
1881년 국제 체조 연맹(FIG)이 설립되었고, 1921년 미국 등 비유럽 국가들이 가입하면서 현재의 형태로 재편성되었다. 체조 경기는 1896년 아테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1903년부터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202]
여자 체조는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부터 단체 경기가, 1950년 제12회 세계 선수권 대회부터는 세계 선수권 대회 경기가 도입되었다. 개인 경기는 1934년 제10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종합이, 제12회 대회에서 종목별 4종목이 추가되어 1952년 헬싱키 올림픽 이후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202]
주요 국가별 기계체조 역사
일본은 1830년 다카시마 슈한이 번의 신병 훈련으로 기계 체조를 도입한 것이 시초이다.[194]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지만 최하위였으나,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남자 단체 우승을 차지한 이후 약 20년 동안 세계 체조계를 주도했다.
3. 1. 기원
기계체조의 역사는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수렵의 성공을 기원하기 위해 재주를 넘거나 어린이들의 유희를 통해 즐기는 일, 혹은 공중 무용수나 곡예사의 동작에서 운동 형태가 분화되어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202] 원시인들은 생존을 위해 신체를 단련하고 기술을 향상시켰는데, 이것이 스포츠 발생의 기원이 되었다.[201]
이후 곡예나 전쟁에 필요한 준비, 또는 생활의 필요에 의해 사람이 기계를 이용하여 몸을 움직인 역사는 오래되었지만,[203] 정식으로는 18세기 구츠무츠(J.GutsMut-hs)가 세운 기본 체계를 독일 체조의 아버지라고 하는 얀(F.L.Jahn)이 창시했다고 보는 것이 옳다.[204][205] 얀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패배한 조국 청년들의 정신과 신체를 단련하기 위해 안마, 목마, 철봉, 평균대, 평행봉과 같은 기계를 선택하여 그 기계에 맞는 여러 가지 운동 형태를 고안하였다.
3. 2. 역사
기계체조의 역사는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수렵의 성공을 기원하며 재주넘기를 하거나, 어린이들의 유희, 공중 무용수나 곡예사의 동작 등에서 운동 형태가 분화되어 발전했다.[202]
18세기 독일의 구츠무츠(J.GutsMut-hs)와 얀(F.L.Jahn)에 의해 현대적인 기계체조의 기본 체계가 확립되었다.[204][205] 얀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패배한 조국 청년들의 정신과 신체를 단련하기 위해 기계체조를 고안하였다. 그는 안마, 목마, 철봉, 평균대, 평행봉과 같은 기계를 선택하여 여러 운동 형태를 만들었다.
1814년 얀이 경기 대회를 열었지만, 순수한 체조 경기로 인정하기는 어려웠다.[202] 1881년 국제체조연맹(FIG)이 설립되어 국제 시합을 감독하게 되었고,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체조 경기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당시 종목은 철봉, 평행봉, 안마, 링 4개 종목이었고 남자 종목만 있었다. 1930년 세계체조선수권대회와 1932년 하계 올림픽에서 현재와 같은 6종목이 확정되었다.
여자 기계체조는 1928년 하계 올림픽부터 채택되었으며, 초기에는 연기 종목이 매번 달랐으나 1952년 하계 올림픽부터 남자 6개 종목(철봉, 평행봉, 안마, 도마, 링, 마루운동), 여자 4개 종목(평균대, 이단평행봉, 도마, 마루운동)으로 구성된 현재의 체제를 갖추었다.[202]
1970년대 이후 스포츠의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어린 선수들이 많아졌다. 1980년 FIG는 국제 대회 최소 연령을 14세에서 15세로 올렸으나,[13] 1992년 하계 올림픽 당시에는 어린 선수들이 많아 선수 복지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1997년 FIG는 최소 연령을 16세로 다시 올렸다.[14] 이후 20대 선수들도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15]
주요 국가별 기계체조 역사
이 외에도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영국, 캐나다,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대한민국 등 여러 국가들이 기계 체조에서 강력한 경쟁국으로 부상했다.
일본의 기계체조 도입일본에 기계 체조가 처음 도입된 것은 1830년경 다카시마 슈한에 의한 번의 신병 훈련으로 알려져 있다.[194] 징병령 시행으로 일본군의 신병 훈련에도 채택되었고, 이후 학교 교육에도 도입되었다.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지만 최하위였다.[194] 그러나 이를 계기로 국제 대회 참가가 이어졌고, 학생 스포츠로서 활기를 띠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수년 동안 국제 연맹에 가맹하지 못했으나, 외국과의 교류 시합을 통해 성장했다.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서 단체 5위, 종목별 메달을 획득했고, 1960년 로마 올림픽에서 남자 단체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약 20년간 연패를 이어가며 세계 정점에 군림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전후 쇠퇴했으나,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 28년 만에 남자 단체 우승을 차지하며 다시 세계 최고 수준으로 돌아왔다. 2015년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서는 37년 만에 남자 단체 우승을 차지했다.
4. 종목
기계 체조는 다양한 기구를 사용하여 신체의 힘, 유연성, 균형 감각 등을 겨루는 스포츠이다. 남자 종목과 여자 종목으로 나뉘며, 각 종목마다 독특한 기술과 동작을 요구한다.
남자 종목
- 도마: 고대 로마 시대 군인들의 말타기 훈련에서 유래한 종목으로, 뜀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도움닫기, 발구르기, 손짚기, 공중 자세, 착지 등의 기술을 평가하며, 뜀틀의 높이는 135cm이다.[1]
- 마루운동: 12m x 12m영어 크기의 탄력 마루 위에서 덤블링, 물구나무서기, 균형 잡기 등 다양한 동작을 연기하는 종목이다. 남자 선수는 음악 없이 60~70초 동안 연기를 펼친다.[1]
- 안마: 손잡이가 달린 안마 기구 위에서 다리를 흔들고 교차하는 등 상체 근력을 이용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종목이다.[2]
- 링: 높은 곳에 매달린 두 개의 링을 잡고 버티거나 흔들면서 힘과 균형 감각을 보여주는 종목이다. 링의 높이는 마루에서 2.5m이다.[3]
- 평행봉: 1811년 독일의 얀이 뜀틀과 안마 운동의 연습용 기구였던 평행봉의 활용법을 개발하면서 하나의 운동 종목이 되었다. 두 개의 평행한 봉 위에서 팔로 지지하거나 매달린 채 흔들기, 돌기, 물구나무서기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1]
- 철봉: 1813년 독일의 얀이 처음 시작한 운동이다. 철봉에 매달려 흔들기, 돌기 등 다양한 동작을 펼친다.[195]
여자 종목
- 도마: 남자와 동일하게 뜀틀을 이용하지만, 뜀틀을 가로로 놓고 실시하며 높이는 125cm이다.[1]
- 이단평행봉: 높이가 다른 두 개의 봉 사이를 이동하며 다양한 동작을 연기하는 종목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소콜이 남자 평행봉을 개량한 것이다.[25]
- 평균대: 길이 500cm, 너비 10cm의 좁은 대 위에서 균형을 잡으며 걷기, 뛰기, 점프, 돌기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종목이다.[26]
- 마루운동: 여자 종목은 음악에 맞춰 60~90초 동안 연기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남자 마루운동과 유사하다.[1]
4. 1. 도마

고대 로마 제국의 군인들이 말타기 훈련에 목마를 사용한 데서 비롯된 운동이다. 도움닫기, 발구르기, 손짚기, 공중 자세, 착지 등의 기술을 평가한다.[1] 뜀틀의 높이와 놓인 위치에 따라 뜀틀을 넘으며, 손짚기와 공중에서의 자세, 안정된 착지가 중요하다. 달리는 힘, 뛰어오르는 힘, 순발력, 민첩성, 조정력을 기를 수 있다.[1]
뜀틀은 길이 95-105 cm, 높이 135 cm(여자는 125cm)이며, 남자는 뜀틀을 세로로, 여자는 가로로 놓고 실시한다. 남녀 모두 규정 및 자유 연기 두 가지가 있다. 남자는 구름판 위치가 자유이며,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뛰어넘는다. 도움닫기 길이는 자유롭게 선택한다. 여자는 두 손을 뜀틀 위에 대고 시행해야 한다.[1]
독일에서 개발된 로이터판(뜀틀)을 도마 앞에 놓고, 달려오다가 로이터판을 밟은 다음 도마를 두 손으로 짚고 뛰어넘는다. 경기에서는 다리를 벌리거나 모으고, 웅크리거나 쭉 펴고 엉덩이를 구부린 자세로 넘을 수 있다. 앞으로, 옆으로 재주넘기 등 어려운 동작으로 묘기를 연출할 수 있다. 두 손은 도마의 앞·뒤쪽 어느 부분이나 짚을 수 있지만, 착지지점이 제한되어 벗어나면 감점된다. 선수의 연기는 정해진 난이도에 따라 평가된다.[1]
종목별 결승 경기를 제외하고 한 번의 도마 연기를 실시한다. 도움닫기 후 두 다리를 모아 발구름하여 몸을 띄워(발구름 직전 도움짚기를 할 수도 있다) 양손을 마 위에 놓고 버티는 동작을 한다. 도마는 기구의 두 축 주위를 1회 또는 여러 번 비트는 동작을 포함한다. 첫 번째 연기 후, 선수는 시작 위치로 돌아와 주심의 신호에 따라 두 번째 연기를 한다.[1]
4. 2. 마루운동
국제 체조 연맹에서 공인한 규격인 사방 12m 탄력 마루 위에서 선수들은 다양한 동작을 연기한다. 유연성, 힘, 도약, 자세 유지, 균형 요소를 결합한 동작과 여러 묘기를 선보인다. 연기는 처음부터 끝까지 율동적이어야 하고, 동작 간 조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선수는 배정된 구역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1] 주로 옆으로 재주넘기 후 앞이나 뒤로 손 짚고 재주넘기, 공중제비를 하는 연속 동작으로 시작하고 끝난다. 한 발 균형잡기, 두 손으로 마루 짚고 다리 벌려 물구나무서기, 발레와 유사한 동작, 재주넘기, 도약 등을 연기 중간에 추가한다. 선을 밟거나 벗어나면 감점된다.[1]마루운동 기술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구르기: 앞구르기, 뒤구르기, 옆구르기 등
- 돌기: 손짚고 앞돌기, 손짚고 옆돌기, 손짚고 뒤돌기 등
- 공중돌기: 앞공중돌기, 뒤공중돌기, 옆공중돌기, 몸펴뒤공중돌기 및 기타 특기 기술
구성 시 불필요한 반복이나 재주넘기를 위한 긴 도움닫기는 피해야 하며, 정지 기술은 2회까지 허용되고 시간은 2초로 제한된다.[1] 남자 마루운동은 덤블링이 중심이며, 여러 동작이 결합하여 연기를 구성한다.[1]
점프, 공중 회전, 물구나무서기 정지 동작, 무용 요소를 연기에 포함해야 한다. 남자 연기는 힘, 정지, 평균, 재주넘기 기량을 보이도록 구성하며, 시간은 50~70초 이내이다. 여자 연기는 예술적인 뜀뛰기, 무용 동작, 스텝, 회전, 재주넘기를 섞어 구성한다. 마루 넓이를 충분히 활용하도록 구성하며, 불필요한 반복이나 뜀뛰기, 재주넘기 전 긴 도움닫기는 피해야 한다. 여자 연기 시간은 60~90초 이내이다.[1]
남자 종목은 50~70초, 여자 종목은 음악에 맞춰 60~90초 동안 연기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서로 유사하다.[1]
4. 3. 남자 종목
'''도마'''는 고대 로마 제국 군인들이 말타기 훈련에 목마를 사용한 데서 비롯된 운동이다. 뜀틀의 높이와 놓인 위치에 따라 도움닫기, 발구르기, 손짚기, 공중 자세를 이용하여 뜀틀을 넘으며, 손짚기와 공중에서의 멋진 자세, 안정된 착지 자세가 매우 중요하다. 도마는 달리는 힘, 뛰어오르는 힘을 기를 수 있고, 순발력·민첩성·조정력을 향상시킨다.[1]
뜀틀은 길이 95-105 cm, 높이 135cm(여자는 125cm)이며, 남자는 뜀틀을 세로로, 여자는 가로로 놓고 실시한다. 남녀 모두 규정 및 자유 연기 두 가지가 있다. 남자의 경우 구름판을 놓는 위치는 경기자의 자유이며, 모든 뛰어넘기는 한 손 또는 두 손으로, 도움닫기의 길이는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여자의 경우 모든 뛰어넘기는 두 손을 뜀틀 위에 대고 시행해야 한다.[1]
독일에서 개발된 특수 형태의 구름판인 로이터판(뜀틀)을 도마 앞에 놓고 선수는 달려오다가 도마가 가까워지면 있는 힘을 다해 로이터판을 밟은 다음 도마를 두 손으로 짚고 뛰어넘는다. 경기에서는 두 다리를 벌리고 뛰어넘거나, 다리를 모으고 웅크린 자세로 뛰어넘거나, 다리를 쭉 펴고 엉덩이를 구부린 자세로 뛰어넘을 수 있으며, 앞으로 재주넘기와 옆으로 재주넘기 등 여러 가지 묘기를 연출할 수 있다. 두 손은 도마의 앞·뒤쪽 어느 부분이나 짚을 수 있지만 착지지점이 제한되어 있어 이 지점을 벗어난 곳에 손이 닿으면 감점을 당한다. 선수의 연기는 정해진 난이도에 따라 평가된다.[1]
뛰는 그룹은 2가지 서로 다른 도마를 사용하는 종목별 경승경기를 제외하고, 한번의 도마 연기를 실시한다. 각 도마경기는 도움닫기, 두 다리를 모아 발구름하여 몸을 뛰워(발구름 직전 도움짚기를 할 수도 있고 할지 않을 수도 있다) 양손을 마 위에 놓고 간단하게 버티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도마는 기구의 두 축 주위를 1회 또는 복수로 비트는 동작을 포함한다. 첫 번째 도마연기 후에 선수는 재빨리 시작 위치로 돌아와 기구 주심의 신호에 따라 두 번째 도마연기를 해야 한다.[1]

마루 운동은 스프링이나 폼 블록으로 지지되는 합판 위에 단단한 폼으로 덮인 12x 크기의 카펫 위에서 진행된다. 이는 압축 시 힘으로 반응하는 단단한 표면을 제공하여 체조 선수가 일반적인 바닥에서보다 더 높은 높이와 부드러운 착지를 할 수 있게 한다. 남자 선수는 음악 없이 60~70초 동안 연기를 하며, 루틴 동안 바닥의 각 모서리를 최소 한 번 이상 터치해야 한다. 루틴에는 유연성, 힘, 균형 및 파워를 보여주는 텀블링 패스와 서클, 스케일, 프레스 핸드스탠드 등 비 아크로바틱 기술도 포함되어야 한다.
안정 링은 바닥에서 5.8m 떨어진 지점에서 와이어 케이블에 매달려 있으며, 체조 선수가 자유롭게 매달리고 흔들 수 있도록 높이가 조정된다. 체조 선수는 링 자체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면서 균형, 힘, 파워,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어야 한다. 최소한 하나의 정적 근력 동작이 필요하지만, 일부 체조 선수는 두세 개를 포함하기도 한다.
4. 3. 1. 안마
안마는 손잡이를 중심으로 한 양편 옆면을 골고루 이용하여 몸을 곧게 뻗어 펴고 양손으로 버티어 실시하는 운동으로, 주로 상지대 근력을 이용한다.[2]현재 국제체조경기에서 사용하는 안마는 겉에 가죽이 씌워져 있으며, 길이 1.6m, 폭 34~36cm이다. 안마 한가운데의 받침대를 포함해 바닥에서 꼭대기까지의 높이는 약 110cm이며, 구부러진 나무로 만든 높이 12cm의 손잡이(안장머리) 2개가 말(안마) 위에 40~45cm의 간격을 두고 끼어져 있다. 체조선수는 두 손으로 말 위에 있는 손잡이를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한 다리나 두 다리를 빙빙 돌리거나 두 다리를 가위처럼 교차시키는 등 몸통과 다리를 쉬지 않고 움직인다. 이러한 움직임과 더불어 몸의 방향을 바꾸고 손의 위치를 말의 앞쪽(목)과 가운데(안장), 뒤쪽(엉덩이)으로 계속 바꾸어야 한다. 또한, 동작을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왼쪽과 오른쪽으로 동작의 방향을 바꾸는 것도 필요하다.
경기 시 주로 사용되는 기술로는 다리엇갈리기, 선회돌기, 틀어옮기기, 들어옮기기 등이 있다. 경기 시 연기 구성에 유의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진동과 선회에서 정지하지 않고 실시해야 하며, 발엇갈리기의 바로와 반대 동작을 구사해야 하고, 안마의 세 부분을 반드시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또한 모든 동작은 반드시 스윙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경기 도중 아주 경미한 중단도 있어서는 안 된다. 힘기와 버티기 동작은 해서는 안 된다.[2]
4. 3. 2. 링
높은 천장에 매달린 줄에 고리가 달린 운동 기구로, 모든 체조 종목 가운데 가장 많은 힘을 필요로 한다. 특히 어깨, 팔, 손 등을 버티는 골격 근력이 주로 작용하며, 근육의 탄력성을 요구한다. 링은 굵기가 28mm인 나무로 만들어져 있으며, 안쪽 지름은 18cm이다. 현재 국제 경기에서 사용되는 2개의 링은 바닥에서 5.5m 높이에 늘어져 있는 가죽끈에 매달려 있는데, 링 자체의 높이는 마루에서 2.5m이고 링 사이의 간격은 50cm로 국제체조연맹에서 공인한 규격이다.[3]링 체조는 링이 전혀 흔들리지 않는 정지된 상태에서 연기를 해야 한다. 링 체조는 앞뒤로 신체를 움직이는 스윙 동작, 힘, 자세 유지를 결합한 체조이다. 힘을 필요로 하는 대표적인 동작으로는 크로스라고도 하는 아이언크로스(두 팔을 양쪽으로 쭉 뻗고 몸을 수직으로 유지하는 동작)와 레버(몸을 수평으로 쭉 뻗은 상태에서 두 팔을 곧게 펴고 매달려 있는 것)가 있다. 경기 구성 시에는 줄의 흔들림이 없어야 하며, 진동 기술, 힘으로 하는 기술, 정지 기술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2회의 물구나무서기가 들어가야 하는데, 그 가운데 하나는 힘으로 실시하고, 다른 하나는 진동을 이용하여 실시해야 한다.[3]
4. 3. 3. 평행봉
1811년 독일의 얀이 뜀틀과 안마 운동의 연습용 기구였던 평행봉의 활용법을 개발하면서 평행봉은 하나의 운동 종목이 되었다. 평행봉 운동은 어깨, 팔, 가슴 근육의 힘을 키워주고, 정확한 동작과 아름다운 자세를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주의력과 침착성도 향상시켜 준다.평행봉 운동은 팔로 지지하거나 매달린 상태에서 진동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42~48cm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된 두 개의 나무봉은 단면이 지름 5cm의 타원형이며, 길이는 3.5m, 높이는 1.7m로 국제 체조 연맹의 공인 규격을 따른다. 봉의 높이와 폭은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선수들은 몸을 흔들어 움직이는 동작, 도약, 힘, 균형 등을 보여주어야 하며, 특히 흔들기와 도약이 가장 중요하다. 봉 아래에서의 움직임, 봉을 놓았다가 다시 잡는 동작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정지 기술로는 물구나무서기나 엘자(L자) 버티기 등이 있으며, 주로 상지대 근력을 사용하여 수행한다. 경기 기술은 자세 유지 영역과 진동 영역으로 나뉜다.
평행봉 경기는 두 개의 봉을 이용하여 돌기, 흔들기, 물구나무서기 등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즉, 흔들기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 두 손을 놓고 하는 기술, 정지 기술, 힘을 보여주는 기술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한다. 연기의 대부분은 흔들기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과 두 손을 놓고 하는 기술로 이루어져야 하며, 연기 중에는 적어도 한 번은 힘을 보여주는 기술과 봉 위 또는 아래에서 두 손을 놓고 하는 B난도 기술을 포함해야 한다. 정지 기술은 2회 이내로 제한되며, 대부분의 기술이 물구나무서기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강한 근력이 필요하다.
경기 시에는 진동 기술, 양손을 봉에서 놓고 하는 기술, 정지 기술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며, 힘으로 표현되는 기술이 포함되면 좋다. 정지 기술은 3회를 초과할 수 없으며, 봉 위에서 봉 아래로 양손을 동시에 놓았다 잡는 기술이 포함되어야 한다.[1]
4. 3. 4. 철봉
1813년 독일의 얀이 자신이 운영하는 하젠하이데의 체조장에서 수평봉을 만들어 시작한 것이 철봉 운동이다. 매달리는 힘이 중심이 되며, 매달려 흔들기, 돌기 운동이 기본 동작이다. 이 운동을 하면 매달리는 힘과 팔, 어깨, 가슴 부위의 근육이 발달된다.철봉운동은 철봉에 매달린 자세에서 진동을 이용하여 하는 운동으로 기계체조 종목 가운데 가장 불안정한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이 다양하여 관중들이 보기에는 흥미있는 종목이다. 1975년 1월 1일 세계 체조 협회에서 규정한 철봉은 광택이 나는 강철로 되어 있으며 지름 2.7cm, 길이 2.35~2.5m이고, 높이는 바닥에서 약 2.5m이다.[195] 선수들은 대개 손 보호대를 착용하고 규정 경기시간은 15~30초이다. 경기내용에 포함되는 운동은 다음과 같다.
- 철봉에 매달려 있다가 봉 위로 몸을 들어 올려 지탱하는 업스타트
- 물구나무 선 자세에서 팔을 쭉 뻗은 채 몸을 봉 주위로 돌리며 손을 서로 교차시키거나 봉에서 떼었다가 방향을 바꾸는 휘돌기
- 양손을 봉에서 떼어 봉 위로 도약했다가 다시 봉을 잡는 운동
마무리는 양다리를 벌리고 봉을 뛰어넘거나, 앞 또는 뒷방향으로 공중제비 돌며 착지하는 것이다.
기술의 분류는 철봉에 손을 잡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되는데, 잡기의 명칭으로는 바로잡기, 엎어잡기, 엇걸어잡기, 한손엎어잡기, 틀어잡기 등이 있으며, 기술로는 차오르기, 흔들어오르기, 앞뒤크게 휘돌기 등이 있다. 구성상 유의해야 할 점은 진동기술과 크게 휘돌기의 방향전환, 틀기기술, 양손을 철봉에서 놓았다가 다시잡는 기술이 포함되어 시작에서부터 착지시까지 멈추지 않고 동작이 연결되어야 한다.
4. 4. 여자 종목
여자 종목에는 도마, 이단평행봉, 평균대, 마루 운동이 있다.도마는 고대 로마 제국 군인들의 말타기 훈련에 목마를 사용한 데서 비롯되었다. 뜀틀의 높이와 위치에 따라 도움닫기, 발구르기, 손짚기, 공중 자세를 이용하여 뜀틀을 넘으며, 손짚기와 공중에서의 자세, 안정된 착지가 중요하다. 여자는 뜀틀을 가로로 놓고 실시하며, 모든 뛰어넘기는 두 손을 뜀틀 위에 대고 시행해야 한다.

이단평행봉은 높은 봉과 낮은 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수들은 봉 사이를 이동하며 다양한 동작을 연기한다.
평균대는 길이 500cm, 너비 10cm의 좁은 대 위에서 균형을 잡으며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종목이다.
4. 4. 1. 이단 평행봉
이단평행봉은 매달리기와 흔들기가 대부분이지만 매우 다양한 동작을 연기할 수 있다. 국제 체조 연맹 규정에 따르면, 높은 봉의 높이는 마룻바닥으로부터 2.3m, 낮은 봉의 길이는 1.5m이다. 이 점을 제외하면 그 크기와 구조는 남자 체조의 평행봉과 같다. 철봉 기술 중 차오르기나 팔로 지지하여 돌기 등의 기술이 많다. 그러나 두 개의 봉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철봉처럼 역동적인 큰 돌기 형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길게 매달려 하는 기술은 낮은 봉에 방해를 받게 되어 도중에 다른 봉으로 옮기거나 다른 기술로 전환해야 한다. 이처럼 높은 봉에서 낮은 봉으로, 또는 낮은 봉에서 높은 봉으로 옮기는 방법이 이단평행봉만의 독특한 운동 특성이다.[25]경기 구성 시 유의할 점은 기구에 매달려 시작할 때부터 착지 동작까지 자연스럽게 연결되어야 하며, 높은 봉과 낮은 봉으로의 이동을 골고루 사용하고 한 봉에서의 돌기 운동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연기 중 순간적인 정지 형태는 2회까지만 허용된다.
불균형 평행봉(영국에서는 비대칭 평행봉)은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소콜이 남자 평행봉을 개량한 것이다. 1928년 암스테르담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국제 경기에 선보였으며, 서로 다른 높이에 설치된 두 개의 수평봉으로 구성된다. 선수들은 봉 위에서 스윙, 피루엣, 봉 사이 이동, 릴리즈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상급 선수들은 손에 생기는 물집이나 찢어짐(립)을 방지하고 봉을 꽉 잡기 위해 가죽 그립을 착용한다. 선수들은 때때로 분무기로 물을 묻혀 그립을 적시거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초크를 바르기도 한다. 그립을 착용하지 않을 경우 손과 봉에 초크를 바를 수도 있다.
4. 4. 2. 평균대
국제 체조 연맹 규정에 따르면, 평균대는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길이 500cm, 너비 10cm, 높이 120cm이다.[26] 선수는 손을 짚어 도약하거나 점프를 해서 대 위에 오르며 경기를 시작한다. 평균대에서의 기술은 마루운동과 비슷하지만, 운동하는 지지면이 제한되고 높이가 다르다는 조건에서 이루어진다.경기 내용에는 걷기, 뛰기, 점프, 돌기, 앉기 외에도 눕는 자세, 균형 유지 자세, 정지된 자세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1분 10초에서 1분 30초 사이에 평균대의 모든 면을 이용하여 정적인 요소와 동적인 요소를 조화롭게 구성해야 하며, 연속적인 연결성과 우아함, 산뜻함, 창의성이 발휘된 기술을 선보여야 한다. 평균대에서 정지 요소는 3회까지 허용된다.[25]
5. 경기 방식
기계 체조의 올림픽 및 세계 선수권 대회 경기는 여러 날에 걸쳐 예선, 단체 결승, 개인 종합 결승, 종목별 결승으로 나뉜다.
- 단체 종합 예선: 한 팀에서 최대 6명 중 각 종목에 1명씩 5명이 경기를 펼쳐, 상위 4명의 득점을 합산하여 순위를 매긴다.[27]
- 단체 종합 결승: 각 종목에 5명의 선수가 경기를 펼친 후, 각 선수들의 가장 높은 점수 4개를 더한 값을 합산한다. 예를 들어 남자 마루 종목에서 5명의 선수가 각각 13.4, 13.5, 12.7, 13.2, 13.3점을 받았다면, 가장 낮은 12.7점을 제외한 53.4점을 기록한다. 이 방식으로 마루, 안마, 링, 도마, 평행봉, 철봉 6개 종목의 총점을 합산하여 단체 순위를 결정한다.[27]
- 개인 종합 결승: 단체 예선 경기에서 각 선수가 획득한 모든 종목의 점수를 더하여 상위 점수로 순위를 매긴다. 남자는 6개 종목, 여자는 4개 종목의 점수를 합산한다.[27]
- 종목별 결승: 단체 종합 예선에서 각 종목별 상위 점수를 받은 8명의 선수들이 결승에서 메달 순위를 다툰다. 남녀 선수 모두 같은 경기장에서 경기를 펼친다.[27]
1989년부터 "새 생명" 규칙이 적용되어 한 세션의 점수가 다음 세션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즉, 단체 결승에서의 성적은 개인 종합 결승이나 종목별 결승 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단체 예선 점수는 단체 결승에 반영되지 않는다.
채점은 국제체조연맹(FIG)의 규칙에 따라 이루어지며, 기술의 난이도와 완성도, 예술성 등을 평가한다. 2005년까지는 A 심판이 기술 점수를, B 심판이 감점을 매기는 방식이었다. 현재는 10점 만점제가 폐지되었지만, 체조 특유의 아름다움이 손상되고 어려운 기술만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6. 경기 규칙
기계 체조 각 종목별로 기술 요소, 시간 제한, 감점 요인 등이 규정되어 있다. 2006년부터는 10점 만점 제도가 폐지되고 난이도 점수(D 점수)와 실시 점수(E 점수)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206]
경기 종목 필수 요소는 도마를 제외하고 남자는 10개 요소, 여자는 8개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30초 이내의 너무 짧은 연기는 5.0점의 감점을 받는다.
감점 요인은 다음과 같다.
2005년까지 채점 방식은 A 심판의 기술 점수와 B 심판의 감점을 합산하는 방식이었다. 기술 점수는 구성된 연기 구성에서 10점 만점으로, 난도 요구, 특별 요구, 난도 가산점 등으로 구성되었다. 현재는 공정성을 위해 10점 만점제가 폐지되었지만, 체조 특유의 아름다움이 손상되고 어려운 기술만 채우는 연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금지 기술 및 금지 행위도 규칙으로 정해져 있으며, 이를 어길 시 감점 대상이 된다. 예를 들어, 마루 운동에서 한 손 물구나무, 안마에서 일부 기술을 제외한 동일 기술 3회 이상 반복, 링에서 같은 기술 3회 이상 연기, 마루 운동 및 도마에서 라인 오버, 기구 낙하 등이 있다.
7. 채점
2006년부터 10점 만점 제도가 폐지되고 기록 경기 제도로 변경되었다. 이전까지는 10점 만점 제도가 유지되어 왔으나, 선수들의 연기 수준이 평준화되면서 채점 규칙에 변별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새로운 채점 시스템에서는 두 개의 패널이 각 루틴을 심사하여 수행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한다. 최종 점수는 D 점수(난도 점수)와 E 점수(실시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된다.
- D 점수 (난도 점수): 기술 요구 사항, 난이도 값 및 연결 값(중단 없이 연속해서 수행되는 기술)을 평가한다.
- E 점수 (실시 점수): 실행 및 예술성을 평가하며, 최대 10점이다.
D 점수에는 제한이 없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점수는 무한대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주요 대회에서의 루틴 평균 점수는 일반적으로 10점 초반에서 중반대에 머물러 있다.
2005년까지의 채점은 A 심판의 기술 점수와 B 심판의 감점을 합산하여 산출되었다.
구분 | 내용 |
---|---|
기술 점수 (A 심판) | 10점 만점으로, 다음 항목으로 구성 |
세부 항목 | 5.0점: 연기 실시에 부여 |
2.8점: C 난도 이하 기술 실시에 따라 부여 (A, B, C 난도별 횟수 제한) | |
0.6점: 각 종목별 특별 요구 기술 실시에 부여 | |
1.6점: D 난도 이상 기술 실시에 따라 부여 | |
기술 난도 | A, B, C, D, E, 슈퍼 E 난도로 구분되며, 슈퍼 E 난도가 가장 어렵다. |
조합 가산점 | 기술 조합에 따라 가산점 부여 |
도마 종목 기술 점수 | 기술 자체에 7~10점의 기술 점수 설정 |
감점 (B 심판) | 기술의 불완전함, 금지 기술/행위에 대해 감점 적용 |
새로운 채점 방식에 대해 릴리아 포드코파예바, 스베틀라나 보긴스카야 등 일부 체조 선수와 코치들은 반대 의견을 표명했다.[28] 어려운 기술만 난무하게 되어 기계 체조 고유의 아름다움이 손상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었다.
8. 체조 주관 기관
국제 체조 연맹(FIG)은 전 세계 체조 경기를 총괄하는 기구로, 122개 국가의 단체가 모여 있다.[23] 산하 대륙별 연맹으로는 유럽 체조 연합(UEG), 범미주 체조 연합(PAGU), 아시아 체조 연합(AGU), 아프리카 체조 연합(UAG) 등이 있다.
9. 주요 대회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
하계 유니버시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