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23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23세기는 철기 사용, 도시 성장, 문명 교류 등 다양한 사건이 일어난 시기이다. 북유럽에서 철이 사용되고, 중부 유럽에 우네치체 문화가 유입되었으며,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천문 관측이 시작되었다. 아카드 제국의 수도 아카드는 고대 이집트의 멤피스를 제치고 세계 최대 도시가 되었으며, 아카드 사르곤은 메소포타미아를 정복했다. 또한, 인더스 문명이 번성하고, 중앙 아메리카에서 옥수수 재배의 초기 증거가 발견되었으며, 중국에서는 순이 통치했다. 이 시기에는 엔헤두안나, 페피 2세, 쿠티크-인슈시나크와 같은 인물들이 활동했으며, '왕의 길'과 '바다의 길'과 같은 도로가 연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제3천년기 - 삼황오제
삼황오제는 중국 문명의 기원과 관련된 신화적 존재로, 세 명의 황과 다섯 명의 제를 아울러 부르는 말이며 시대와 문헌에 따라 구성원에 차이가 있지만 인류 문명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전파했다고 전해진다. - 기원전 제3천년기 - 원시 엘람
원시 엘람은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2900년경까지 이란 고원에서 발생한 문명과 문자를 지칭하며,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교류하며 발전했고, 농업 잉여물 관리를 위해 이란 최초의 문자 형태인 원시 엘람 문자를 사용했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기원전 23세기 | |
---|---|
개요 | |
시대 | 기원전 3천년기 |
연대 | 기원전 23세기 |
기간 | 기원전 2300년 ~ 기원전 2201년 |
주요 사건 | |
정치/군사 | 기원전 2278년~기원전 2224년: 아카드 제국의 나람-신이 재위하다. 기원전 2215년: 구티족이 아카드 제국을 정복하다. |
문화 | 이집트: 제6왕조가 통치하다. 메소포타미아: 아카드 제국의 번성기. |
기타 | 기원전 2300년경: 청동기 시대의 시작. 기원전 2250년경: 나람-신의 전승비 제작. |
년대별 | |
기원전 2300년대 | 기원전 2300년 기원전 2309년 기원전 2307년 기원전 2300년 |
기원전 2290년대 | 기원전 2299년 기원전 2296년 기원전 2294년 기원전 2291년 |
기원전 2280년대 | 기원전 2288년 기원전 2285년 기원전 2283년 기원전 2280년 |
기원전 2270년대 | 기원전 2279년 기원전 2278년 기원전 2271년 기원전 2270년 |
기원전 2260년대 | 기원전 2269년 기원전 2263년 기원전 2260년 |
기원전 2250년대 | 기원전 2255년 기원전 2254년 기원전 2250년 |
기원전 2240년대 | 기원전 2246년 기원전 2240년 |
기원전 2230년대 | 기원전 2234년 기원전 2230년 |
기원전 2220년대 | 기원전 2224년 기원전 2220년 |
기원전 2210년대 | 기원전 2218년 기원전 2215년 기원전 2213년 기원전 2210년 |
기원전 2200년대 | 기원전 2200년 |
2. 주요 사건
- 기원전 2300년경, 북유럽에서 철이 사용되기 시작했고, 같은 시기 중부 유럽(현재의 체코)에는 우네치체 문화가 유입되었다.
- 기원전 23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천문 관측이 시작되었다.
- 기원전 2285년경, 우르에서 달의 신 난나의 대제사장 엔헤두안나가 태어났다.
- 기원전 2278년, 파라오 페피 2세의 재위 기간이 시작되었다.
- 기원전 2240년경, 아카드 제국의 수도 아카드가 고대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4]
- 기원전 2215년 7월경, 헤일-밥 혜성이 태양계 안쪽에 접근했다.
- 기원전 2300년경, 오늘날 파키스탄 동부 - 인도 서부에서 인더스 문명 (하라파)이 번성했다.
- 기원전 2300년경, 나일강에서 자연 호수 (현재 모에리스 호수)까지의 수로를 넓히고 깊게 하여 운하 바흐 유수프가 건설되었다.
-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200년경, "니네베" (현대 쿠윤지크, 이라크)에서 출토된 "남자의 두상" 제작. 현재 이라크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184년, 우르 (현대 무카이이르, 이라크)에서 출토된 엔헤두안나의 원반 제작. 현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인류학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기원전 2300년경 – 2250년경, 페피 1세 메리레와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의 통치, 페피 2세 네페르카레의 통치 시작 (모두 이집트 제6왕조).
- 기원전 2288년경, "여왕 메리에-안크네스와 그의 아들 페피 2세" 조각상 제작 (이집트 제6왕조). 현재 알라바스터 조각상은 브루클린 미술관에 소장되어있다.
- 기원전 2254년경 – 기원전 2218년경, 수사 (현대 슈시, 이란)에서 발견된 나람신의 석비 제작 (아마도 시파르에서).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기원전 2250년경, 중앙 아메리카에서 옥수수 재배의 초기 증거가 나타났다.
- 기원전 2220년경, 스코틀랜드 셰틀랜드 제도에 스코르드 오브 브루스터 농장이 설립되었다.
- 기원전 2220년경, 마운트 에지컴](알래스카) 화산이 오늘날 알래스카 시트카 근처에서 분화했다.
- 기원전 2215년경, 구티 군대가 자그로스 산맥에서 내려와 아카드 제국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아가데를 완전히 파괴했다.
- 기원전 2334년 – 기원전 2279년: (단기 연대기) 아카드 사르곤의 메소포타미아 정복.
2. 1.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23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천문 관측이 시작되었다.[4] 아카드 제국의 수도 아카드는 고대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사르곤의 딸이자 우르의 달의 신 난나를 섬긴 여사제 엔헤두안나는 기원전 2285년경에 태어났다. 「닌메샤라(이난나 여신 찬가)」 등 작품을 남긴 엔헤두안나는 이름이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문학가로 여겨진다.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184년에 제작된 엔헤두안나의 원반은 현대 무카이이르인 우르에서 출토되었으며, 현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인류학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기원전 2254년경 – 기원전 2218년경, 수사 (현대 슈시, 이란)에서 나람신의 석비가 제작되었다. 아마도 시파르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기원전 2215년경, 구티인 군대가 자그로스 산맥에서 내려와 아카드 제국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아가데를 완전히 파괴했다. 이 시기 아모리인과 후루리인도 아카드 국내로 계속 침입했다.
수메르인이 지배하는 메소포타미아에서는 페르시아만을 거쳐 인도양에 이르는 항로가 정비되었다. 딜문(현 바레인), 마간(현 오만), 멜루하(인더스 문명 지대)가 번영하였다.
2. 2. 이집트
thumb, 기록상 가장 오래 통치한 군주로 추정되는 인물의 피라미드 단지 유적]]- 기원전 2300년경: 나일강에서 자연 호수 (현재 모에리스 호수)까지의 수로를 넓히고 깊게 하여 운하 바흐 유수프가 건설됨.
-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250년경: 페피 1세 메리레와 메렌레 넴티엠사프 1세의 통치, 페피 2세 네페르카레의 통치 시작 (모두 이집트 제6왕조).
- 기원전 2289년경: 94년에 걸친 재위 기간 끝에 파라오 페피 2세가 100세로 사망.
- 기원전 2288년경: "여왕 메리에-안크네스와 그의 아들 페피 2세" 조각상 제작 (이집트 제6왕조). 현재 알라바스터 조각상은 브루클린 미술관에 소장.[2]
- 기원전 2278년: 파라오 페피 2세의 재위 기간 시작.
- 기원전 2240년경: 아카드 제국의 수도 아카드가 고대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됨.[4]
2. 3. 유럽
- 기원전 2300년경 - 북유럽에서 철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 기원전 2300년경 - 중부유럽(근대의 체코)에 우네치체 문화가 유입되기 시작했다.
- 기원전 2300년경 - 유럽에서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 * 서유럽에서는 종형 비커 문화 (후기 비커 문화), 중앙유럽에서는 우네치체 문화가 이에 해당한다.
- * 잉글랜드의 스톤헨지 근교에서 발견된 "에임즈베리의 궁수"는 이 세기 후기 비커 문화의 인물이다.
- 기원전 2220년경: 스코틀랜드 셰틀랜드 제도에 스코르드 오브 브루스터 농장이 설립되었다.
2. 4. 아시아
- 기원전 2300년경: 오늘날 파키스탄 동부 - 인도 서부에서 인더스 문명 (하라파)이 번성했다.
- 수메르인이 지배하는 메소포타미아에서 페르시아만을 거쳐 인도양에 이르는 항로가 정비되었다.
- * 딜문(현 바레인), 마간(현 오만), 멜루하(인더스 문명 지대)가 번영하였다.
- * 이 시대의 동남 아라비아 문화는 전기 청동기 시대(움 안 나르 문화)로 구분된다.
- 시리아에서는 "왕의 길"과 "바다의 길"과 같은 간선 도로가 연결되었다.
-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바다크샨 지방의 사리 상 광산이 라피스 라줄리 산지로서 번영하였다.
- 기원전 2285년경 - 우르에서 달의 신 난나의 대제사장 엔헤두안나가 태어났다.
- 기원전 2254년경 – 기원전 2218년경: 수사 (현대 슈시, 이란)에서 나람신의 석비가 제작되었다(아마도 시파르에서).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기원전 2240년경
- * 아카드 제국의 수도 아카드가 고대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4]
- * 엘람 왕 쿠티크-인슈시나크가 즉위(~ 기원전 2220년경). 이 왕 치하에서 엘람은 수사 및 안샨 등 이란 고원 남서부 전역을 지배하였다.
- * 아카드 왕 나람신이 에블라를 정복하였다.
- 기원전 2215년경
- * 구티 군대가 자그로스 산맥에서 내려와 사기가 떨어진 아카드 제국 군대를 격파하고, 수도 아가데를 점령하여 완전히 파괴하였다.
- * 7월경: 혜성 할레-봅이 태양계 내부를 방문하여 서기 1997년까지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
-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200년경: "니네베" (현대 쿠윤지크, 이라크)에서 출토된 "남자의 두상" 제작. 현재 이라크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184년: 우르 (현대 무카이이르, 이라크)에서 출토된 엔헤두안나의 원반 제작. 현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인류학 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 기원전 2334년 – 기원전 2279년: (단기 연대기) 아카드 사르곤의 메소포타미아 정복.
- 기원전 2234-2184년경 - 중국의 전설적인 왕인 순의 치세.
- * 전 왕 요는 아들 단주가 아닌, 덕망 있는 자인 순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이것이 중국 최초의 선양으로 여겨진다).
- * 요는 후계 후보로 은자인 허유를 거론하기도 했지만, 소보와 함께 굳게 거절당했다고 전해진다.
- 기원전 2215년경 - 구티인의 군대가 자그로스 산맥에서 메소포타미아로 진출하여 아카드 군대를 격파하였다.
- * 이 시기에 구티인 외에도 아모리인과 후루리인이 아카드 국내로 계속 침입하였다.
2. 5. 기타 지역
- 기원전 2300년경 북유럽에서 철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
- 기원전 2300년경 중부유럽(근대의 체코 지역)에 우네치체 문화가 유입되기 시작했다.[2]
- 기원전 23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천문 관측이 시작되었다.[3]
- 기원전 2285년경 우르에서 달의 신 난나의 대제사장 엔헤두안나가 태어났다.[4]
- 기원전 2240년경 아카드 제국의 수도 아카드가 고대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
- 기원전 2215년 7월경 헤일-밥 혜성이 태양계 안쪽에 접근했다.
- 기원전 2300년경 오늘날 파키스탄 동부 - 인도 서부에서 인더스 문명 (하라파) 번성.
- 기원전 2300년경 북유럽에서 금속 사용 시작.
- 기원전 2300년경 오늘날 체코에서 우네티체 문화 등장.
- 기원전 2300년경 운하 바흐 유수프(현재 이름)는 나일강에서 자연 호수 (현재 모에리스 호수)까지의 수로를 넓히고 깊게 하여 운하를 만들면서 건설됨.
-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200년경 "니네베" (현대 쿠윤지크, 이라크)에서 출토된 "남자의 두상" 제작. 현재 이라크 박물관, 바그다드에 소장.
- 기원전 2300년경 – 기원전 2184년 우르 (현대 무카이이르, 이라크)에서 출토된 엔헤두안나의 원반 제작. 현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고고인류학 박물관, 필라델피아에 소장.
- 기원전 2285년경 우르의 달의 신 난나의 여대제사장 엔헤두안나 출생.
- 기원전 2254년경 – 기원전 2218년경 수사 (현대 슈시, 이란)에서 발견된 나람신의 석비, 아마도 시파르에서 제작. 현재 루브르 박물관, 파리에 소장.
- 기원전 2250년경 중앙 아메리카에서 옥수수 재배의 가장 초기의 증거.
- 기원전 2240년경 아카드, 아카드 제국의 수도가 되어 고대 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능가하며 세계 최대 도시가 됨.
- 기원전 2220년경 스코틀랜드 셰틀랜드 제도에 스코르드 오브 브루스터 농장 설립
- 기원전 2220년경 마운트 에지컴](알래스카) 화산이 오늘날 알래스카 시트카 근처에서 분화.
- 기원전 2215년경 구티 군대가 자그로스 산맥에서 내려와 사기가 떨어진 아카드 제국 군대를 격파. 그들은 아카드의 수도 아가데를 점령하여 완전히 파괴함.
- 기원전 2215년경 7월경 혜성 할레-봅이 태양계 내부를 방문하여 서기 1997년까지 다시 돌아오지 않음.
- 기원전 2300년경
- 유럽에서 청동기 시대가 시작된다.
- 서유럽에서는 종형 비커 문화 (후기 비커 문화), 중앙유럽에서는 우네티체 문화가 이에 해당한다.
- 잉글랜드의 스톤헨지 근교에서 발견된 "에임즈베리의 궁수"는 이 세기 후기 비커 문화의 인물이다.
- 수메르인이 지배하는 메소포타미아에서 페르시아만을 거쳐 인도양에 이르는 항로가 정비된다.
- 딜문(현 바레인), 마간(현 오만), 멜루하(인더스 문명 지대)가 번영한다.
- 이 시대의 동남 아라비아 문화는 전기 청동기 시대(움 안 나르 문화)로 구분된다.
- 시리아에서는 "왕의 길"과 "바다의 길"과 같은 간선 도로가 연결된다.
-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바다크샨 지방의 사리 상 광산이 라피스 라줄리 산지로서 번영한다.
- 나일강과 모에리스 호를 잇는 운하가 만들어진다.
- 일본 산나이 마루야마 유적의 종말기 (기원전 3900년경 - ).
- 기원전 2300-2200년경 - 남성 두상 (이라크 국립 박물관 소장)이 니네베에서 제작된다.
- 기원전 2240년경
- 엘람 왕 쿠티크-인슈시나크가 즉위( - 기원전 2220년경).
- 이 왕 치하에서 엘람은 수사 및 안샨 등 이란 고원 남서부 전역을 지배하에 둔다.
- 아카드 왕 나람신이 에블라를 정복한다.
- 기원전 2215년경 - 구티인의 군대가 자그로스 산맥에서 메소포타미아로 진출하여 아카드 군대를 격파한다.
- 이 시기에 구티인 외에도 아모리인과 후루리인이 아카드 국내로 계속 침입한다.
3. 주요 인물
- 사르곤 - 아카드 제국의 창시자이다.
- 엔헤두안나 - 사르곤의 딸이자, 이름이 알려진 최초의 문학가이다.
- 나람신 - 아카드 제국의 군주이자, 사르곤의 손자이다.
- 쿠티크-인슈시나크 - 고대 엘람 시대의 엘람 왕이다.
3. 1. 메소포타미아
- 기원전 2334-2279년 - 사르곤이 메소포타미아 전역을 정복하였다.[1]
- 기원전 2285년~2250년경 - 알라바스터로 제작된 엔헤두안나의 헌납 원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소장)이 우르에서 제작되었다.[4] 엔헤두안나는 아카드 왕 사르곤의 딸이자 우르의 달의 신 난나를 섬긴 여사제였다.[4] 「닌메샤라(이난나 여신 찬가)」 등 작품을 남겼으며, 이름이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문학가로 여겨진다.[4]
3. 2. 이집트
- 기원전 2289년경 - 페피 2세가 94년에 걸친 재위 기간 끝에 100세로 사망하다.[1]
- 기원전 2288~2224년 - 이집트 왕 페피 2세와 앙크네스메리라 2세의 조각상(브루클린 미술관 소장)이 제작되다.[2]
- 기원전 2285년~2250년경 - 알라바스터로 제작된 엔헤두안나의 헌납 원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소장)이 우르에서 제작되다.[3]
- 엔헤두안나는 사르곤(아카드)의 딸이자 우르의 달의 신 난나를 섬긴 여사제이며, 「닌메샤라(이난나 여신 찬가)」 등 작품을 남겼으며, 이름이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문학가이다.[3]
3. 3. 엘람
- 기원전 2240년경 쿠티크-인슈시나크가 엘람의 왕위에 올랐다( - 기원전 2220년경).[1]
- 쿠티크-인슈시나크 왕의 통치 아래 엘람은 수사 및 안샨 등 이란 고원 남서부 전역을 지배했다.[1]
3. 4. 기타
4. 발명, 발견, 과학사
- 기원전 2300년경
- * 유럽에서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 ** 서유럽에서는 종형 비커 문화(후기 비커 문화), 중앙유럽에서는 우네티체 문화가 나타났다.
- ** 잉글랜드 스톤헨지 근교에서 발견된 에임즈베리의 궁수는 이 시기 후기 비커 문화의 인물이다.
- * 수메르인이 지배하는 메소포타미아에서 페르시아만을 거쳐 인도양에 이르는 항로가 정비되었다.
- ** 딜문(현 바레인), 마간(현 오만), 멜루하(인더스 문명 지대)가 번영하였다.
- ** 이 시대의 동남 아라비아 문화는 전기 청동기 시대(움 안 나르 문화)로 구분된다.
- * 시리아에서는 왕의 길과 바다의 길 같은 간선 도로가 연결되었다.
- *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 바다크샨 지방의 사리 상 광산이 라피스 라줄리 산지로서 번영하였다.
- * 나일강과 모에리스 호를 잇는 운하가 만들어졌다.
- * 일본 산나이 마루야마 유적의 종말기 (기원전 3900년경 - )이다.
- 기원전 2300-2200년경 - 니네베에서 남성 두상 (이라크 국립 박물관 소장)이 제작되었다.
- 기원전 2254-2218년경 - 시파르에서 아카드 왕 나람신의 개선 기념비(루브르 박물관 소장)가 제작되었다.
- 기원전 2250년 - 제4기홀로세메갈라야 절의 첫 해 (인류세 7750년)이다.
- 기원전 2250년경 - 후루리인의 도시 국가 우르케시(텔 모잔 유적)의 왕 투프키쉬 엔단의 치세이다.
5. 예술, 문화
- 기원전 2300년경
- * 유럽에서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 ** 서유럽에서는 종형 비커 문화(후기 비커 문화), 중앙유럽에서는 우네티체 문화가 이에 해당한다.
- ** 잉글랜드의 스톤헨지 근교에서 발견된 "에임즈베리의 궁수"는 이 세기 후기 비커 문화의 인물이다.
- * 시리아에서는 "왕의 길"과 "바다의 길"과 같은 간선 도로가 연결되었다.
- * 현재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바다크샨 지방의 사리 상 광산이 라피스 라줄리 산지로서 번영하였다.
- * 일본 산나이 마루야마 유적의 종말기 (기원전 3900년경 - )였다.
- 기원전 2300-2200년경 - 니네베에서 남성 두상 (이라크 국립 박물관 소장)이 제작되었다.
- 기원전 2288~2224년 - 이집트 왕 페피 2세와 앙크네스메리라 2세의 조각상(브루클린 미술관 소장)이 제작되었다.
- 기원전 2285년~2250년경 - 우르에서 알라바스터로 제작된 엔헤두안나의 헌납 원반(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소장)이 제작되었다.
- * 이 원반에 이름이 남아있는 엔헤두안나는 아카드 왕 사르곤의 딸이자 우르의 달의 신 난나를 섬긴 여사제이다.
- * 「닌메샤라(이난나 여신 찬가)」 등 작품을 남겼으며, 이름이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문학가로 여겨진다.
- 기원전 2254-2218년경 - 시파르에서 아카드 왕 나람신의 개선 기념비(루브르 박물관 소장)가 제작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ICS chart containing the Quaternary and Cambrian GSSPs and new stages (v 2018/07) is now released!
http://www.stratigra[...]
2019-02-01
[2]
웹사이트
Welcome to the Meghalayan age
https://earthsky.org[...]
2018-09-18
[3]
웹사이트
Largest Cities Through History
http://geography.abo[...]
2009-11-11
[4]
웹인용
Largest Cities Through History
http://geography.abo[...]
2020-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