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전 25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원전 25세기는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 등지에서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이다.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수메르 초기 왕조 시대의 전쟁과 셈족의 침입이 있었고, 이집트에서는 제4왕조가 멸망하고 제5왕조가 건설되어 피라미드 건설이 시작되었다. 유럽에서는 스톤헨지 건설이 시작되었고, 아시아에서는 쌀이 말레이시아에 도입되었으며, 아메리카에서는 페루 지역 주민들이 생선과 조개에 의존하여 생활했다. 이 시기에는 스키, 꿰매어 만든 배, 키클라데스 대리석 조각상 등 다양한 발명품과 예술 작품이 등장했고, 인더스 문명이 번성하여 도시 시설이 발달했으며, 수메르인들은 전쟁에 당나귀를 사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25세기 - 락롱꾸언
락롱꾸언은 씩뀌 왕국의 2대 왕으로 묘사되며, 낀즈엉브엉의 아들이자 어우꺼와 결혼하여 100명의 아들을 낳았고, 장남 훙브엉에게 반랑 왕국을 세우게 한 베트남 건국 신화의 중요한 인물이다. - 기원전 제3천년기 - 삼황오제
삼황오제는 중국 문명의 기원과 관련된 신화적 존재로, 세 명의 황과 다섯 명의 제를 아울러 부르는 말이며 시대와 문헌에 따라 구성원에 차이가 있지만 인류 문명에 필요한 다양한 기술과 지식을 전파했다고 전해진다. - 기원전 제3천년기 - 원시 엘람
원시 엘람은 기원전 3100년경부터 기원전 2900년경까지 이란 고원에서 발생한 문명과 문자를 지칭하며,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교류하며 발전했고, 농업 잉여물 관리를 위해 이란 최초의 문자 형태인 원시 엘람 문자를 사용했다. - 날짜 - 12세기
12세기는 서기 1101년부터 1200년까지의 기간으로, 유럽, 아시아, 중동 등지에서 정치적, 사회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알턴 조약 체결, 십자군 전쟁, 12세기 르네상스, 북송과 남송의 교체, 가마쿠라 막부 성립 등의 주요 사건이 발생했다. - 날짜 - 14세기
14세기는 유럽과 아시아의 정치적, 사회적 변동, 즉 흑사병의 유행, 백년 전쟁, 명나라와 조선의 건국, 티무르 제국의 부상, 일본의 남북조 시대 등의 주요 사건들을 포함하며, 몽골 제국의 쇠퇴와 함께 새로운 지역 강국들이 등장하여 유라시아 대륙의 정치 지형을 재편하고 흑사병으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겪은 시기이다.
기원전 25세기 |
---|
2. 주요 사건
기원전 2900년경부터 기원전 2334년경까지 메소포타미아에서 전쟁이 계속되었다.[1] 기원전 2498년경 이집트 제4왕조가 몰락하고 이집트 제5왕조가 건설되면서 피라미드 건설이 시작되었다.[1] 기원전 2500년경 스톤헨지 환상열석 건설이 시작되어 이후 500년간 계속되었다.[1]
기원전 2500년경에는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말레이시아에 쌀이 도입되었다.[1]
- 페루 사람들은 물고기와 조개류를 주식으로 삼았다.[1]
- 유럽과 지중해 서부에는 거석기념물 문화가 퍼지기 시작했다.[1]
- 코카서스 지역에서는 승목문 토기문화의 초기 징후가 나타났다.[1]
- 스페인 남동부에는 고대 이집트 양식의 토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지중해를 통해 정착했다.[1]
- 기원전 2492년에는 하이크가 아르메니아를 건국했다는 전설이 있다.
- 기원전 2410년경 셈족이 메소포타미아를 침입하기 시작했고,[1] 아모리인과 가나안인은 시리아와 레바논 지역을 점유했다.[1]
- 몰타 파올라에서는 지하 사원 단지인 할-사프리니 지하묘지가 발굴 및 개발되었으며, 이후 묘지로 사용되었다.
- 모헨조다로는 약 약 18.13km2 크기에 인구는 약 2만 명에서 5만 명이었다.
- 기원전 2400년경 ~ 기원전 2200년경 스톤헨지 건설
- 남아메리카에서 장거리 무역로의 증거가 발견되었다.[1]
2. 1. 메소포타미아
기원전 2900년경부터 기원전 2334년경까지 메소포타미아에서 전쟁이 계속되었다.[1] 기원전 2450년경 수메르 초기왕조 제3a기가 끝나고 제3b기가 시작되었으며, 기원전 2410년경에는 셈족이 메소포타미아를 침입하기 시작했다.[1]2. 1. 1. 초기 왕조 시대 전쟁 (기원전 2900년경 ~ 기원전 2334년경)
기원전 2900년경부터 기원전 2334년경까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는 초기 왕조 시대의 전쟁이 계속되었다.[1] 기원전 2410년경에는 고대 셈족 언어 사용 민족이 메소포타미아를 침입하여 정복하기 시작했으며, 이 시기까지 수메르의 왕들은 더 이상 자동적으로 도시 신의 최고 사제가 되지 않았다.[1]2. 1. 2. 셈족의 침입 (기원전 2410년경)
기원전 2410년경 수메르의 왕들은 더 이상 자동으로 도시 신의 최고 사제가 되지 않았다.[1] 같은 시기 고대 셈족 언어 사용 민족이 메소포타미아를 침투하고 정복하기 시작했다.[1]2. 2. 이집트
기원전 2498년경 이집트 제4왕조가 몰락하고 우세르카프가 이집트 제5왕조를 세우면서 피라미드 건설이 시작되었다.[1] 우세르카프는 멘카우라 왕의 딸 켄타카우스 1세를 왕비로 삼아 왕위를 계승했으며, 사카라에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를 건립했다. 이 시대에 태양신 라가 최고신이 되었고, 왕의 칭호에 '태양신의 아들'이라는 이름이 추가되었다.이후 사후레 왕(기원전 2487년경 즉위)은 지중해 동부 연안과 무역을 하고 레바논 삼나무를 수입했으며,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왕(기원전 2475년경 즉위) 시대의 기록을 마지막으로 팔레르모 석의 기록이 끊어진다.
2. 2. 1. 제4왕조 몰락과 제5왕조 건설 (기원전 2498년경)
기원전 2498년경 이집트 제4왕조가 멸망하고 우세르카프에 의해 이집트 제5왕조가 개창되었다.[1] 우세르카프는 제4왕조의 멘카우라 왕의 딸인 켄타카우스 1세를 왕비로 삼아 왕위를 계승했다.
우세르카프의 치세에 사카라의 조세르왕의 피라미드 바로 북쪽에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가 건립되었다.[1] 우세르카프의 시대에 태양신 라가 이집트의 최고신이 되었고, 왕의 칭호에 태양신의 아들이라는 이름이 추가되었다.[1]
2. 2. 2. 제5왕조 파라오들의 통치
- 기원전 2487년경 - 이집트에서 사후레 왕이 즉위하였다.
- * 사후레 왕의 강변 신전 벽화에는 지중해 동부 연안 무역이 묘사되어 있으며, 레바논 삼나무의 수입도 확인되었다.
- 기원전 2475년경 - 이집트에서 네페리르카레 카카이 왕이 즉위하였다.
- * 이집트 제1왕조부터 제5왕조까지의 가장 오래된 기록인 팔레르모 석은 이 왕의 기록에서 끊어진다.
2. 3. 기타 지역
기원전 2500년경 말레이시아에 쌀이 도입되었고[1], 페루 사람들은 물고기와 조개류를 주식으로 삼았다.[1]유럽과 지중해 서부에는 거석기념물 문화가 퍼지기 시작했고[1], 코카서스 지역에서는 승목문 토기문화의 초기 징후가 나타났다.[1] 스페인 남동부에는 고대 이집트 양식의 토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지중해를 통해 정착했다.[1]
기원전 2500년경 몰타 파올라에서는 지하 사원 단지인 할-사프리니 지하묘지가 발굴 및 개발되었으며, 이후 묘지로 사용되었다.
기원전 2492년에는 하이크가 아르메니아를 건국했다는 전설이 있다.
기원전 2410년경 셈족이 메소포타미아를 침입하기 시작했고[1], 아모리인과 가나안인은 시리아와 레바논 지역을 점유했다.[1]
기원전 2500년경 노르웨이 북부 라다이 섬에서는 스키 벽화가 그려졌고, 그린란드에 최초의 이누이트 이주민이 정착하였다.
기원전 2500년경에서 기원전 2000년경 사이 모헨조다로는 약 약 18.13km2 크기에 인구는 약 2만 명에서 5만 명이었다.
중앙아시아 북동부와 시베리아 남부에서는 아파나시에보 문화가 쇠퇴하였고[1], 시베리아 남부에서는 몽골로이드 계통의 오크네프 문화가 발생하였다.[1]
발루치스탄에서는 쿠리 문화가 성립되었고(- 기원전 2000년)[1], 중심지는 폴라리강 지류의 쿠드강 우안의 Nindowari영어 유적이다.
아나톨리아의 Alaca Höyük영어 왕묘가 축조되었으며(- 기원전 2300년경)[1], 하티인의 도시 아린나로 추정되며, 수많은 청동제 스탠다드가 출토되었다.
키클라데스 문명 중기(MC I기)가 시작되었다.
소아시아의 트로이 (히사리크) 유적 제II층 G 시대(- 기원전 2200년경)에[1] 슐리만이 서사시 『일리아스』 당시의 트로이 지층이라고 추정했지만, 오늘날에는 부정되고 있다. 이 지층에서 황금 제품을 포함한 "프리아모스의 보물(푸시킨 미술관 소장)"이 출토되었다.
아프리카의 누비아(수단)에서는 Kerma culture영어가 시작되었다(- 기원전 1500년경).[1]
2. 3. 1. 스톤헨지 건설 (기원전 2500년경 ~ 기원전 2200년경)
기원전 2500년경 스톤헨지 환상열석의 건설이 시작되어 이후 500년간 계속되었다.[1] 기원전 2400년경 ~ 기원전 2200년경에도 스톤헨지 건설은 이어졌다.2. 3. 2. 인더스 문명의 번영 (기원전 2450년경)
기원전 2450년경, 인더스 문명은 통합기(하라파 IIIB기)를 맞이하여 하라파, 모헨조다로, 칼리반간 등의 도시가 번영하였다. 특히, 인더스 문명에서는 가정의 화장실과 도로변의 배수구를 직접 연결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시스템을 세계 최초로 구축하였다.2. 3. 3. 동아시아
- 기원전 2500년경 일본에서는 조몬 시대 후기가 시작되었다.
- * 한랭화로 인해 간토 지방에서는 인구 감소가 계속되었다. 이 시대의 유적으로는 오모리 조개 무덤과 오유 환상 열석이 있다.
- 기원전 2500년경 타이완 근처에 있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몽골로이드(라피타인의 조상)가 남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 같은 시기 중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화 발전이 있었다.
- * 쓰촨성에서는 바오둔 문화가 발전하였다.
- * 후베이성에서는 스자허 문화가 성립되었다.
- * 산시성에서 허난성에서는 룽산 문화가 전개되었다.
- ** 산시성을 대표하는 이 시대 최대 규모의 도시 유적인 타오쓰 유적이 형성되었다.
- ** 허난성 쑤양 유적에서는 약 300기의 매장묘 유적이 발견되었다.
2. 3. 4. 아메리카
기원전 2500년경 남아메리카에서 장거리 무역로의 증거가 발견되었다.[1] 같은 시기, 안데스 고지대에서는 카랄 유적을 중심으로 카랄 문화(노르테 치코 문화)가 발전하였다.3. 발명, 발견, 과학사
- 기원전 2500년경: 스웨덴 호팅의 습원에서 가장 오래된 스키가 발견되었다.[1]
- 기원전 2500년경: 이집트에서 꿰매어 만든 배의 가장 오래된 사례가 제작되었다.
- 기원전 2500년경: 키클라데스 대리석 조각상에서 피리와 키타라를 사용한 흔적이 발견되었다.
- 기원전 2500년경: 인더스 문명은 전성기에 약 480000km2의 면적을 차지했으며, 이는 현재 파키스탄 영토의 절반을 조금 넘는 크기였다. 중심지는 파키스탄의 인더스 강 유역이었지만, 정착지는 마크란 해안, 발루치스탄, 아프가니스탄, 동부 펀자브, 쿠치, 사우라슈트라까지 뻗어 있었다. 하라파, 모헨조다로, 칼리반간, 돌라비라와 같은 도시와 로탈, 수트카겐도르, 소크타 코와 같은 항구, 그리고 수많은 마을이 있었다. 이들은 관개 시설을 이용하여 농업을 하고 도시를 건설했으며, 하수 시설, 청동, 교환 토큰(초기 화폐), 상형 문자를 사용했다. 각 도시의 거대한 벽돌 목욕탕 외에도 한 마을에는 목욕탕이 있었다.
- 기원전 2500년경: 우아카 프리에타에서는 면화와 박을 재배했다.
- 기원전 2500년경: 수메르인들은 전쟁 전차에 가축화된 당나귀를 사용했다.
4. 인물
기원전 25세기의 주요 인물로는 이집트 제4왕조의 마지막 파라오인 솁세스카프가 있었다. 기원전 2494년경 우세르카프가 이집트 제4왕조를 멸망시키고 이집트 제5왕조를 개창하였다. 그는 제4왕조 멘카우라 왕의 딸 켄타카우스 1세를 왕비로 삼아 왕위를 계승했다. 그의 치세에 사카라의 "조세르왕의 피라미드" 바로 북쪽에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가 건립되었다. 이 시기에 태양신 라가 이집트의 최고신이 되었고, 왕의 칭호에 태양신의 아들이라는 이름이 추가되었다.
이후 기원전 2491년 우세르카프, 기원전 2477년 사후레, 기원전 2467년 네페리르카레, 기원전 2460년 솁세스카레, 기원전 2458년 네페레프레, 기원전 2422년 니우세르레, 기원전 2414년 멘카우호르가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로 즉위하였다. 이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4. 1. 이집트 제5왕조 파라오
기원전 2494년경 우세르카프가 이집트 제4왕조를 멸망시키고 이집트 제5왕조를 개창하였다. 그는 제4왕조 멘카우라 왕의 딸 켄타카우스 1세를 왕비로 삼아 왕위를 계승했다. 기원전 2491년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로 즉위한 그의 치세에 사카라의 "조세르왕의 피라미드" 바로 북쪽에 "우세르카프의 피라미드"가 건립되었다. 이 시기에 태양신 라가 이집트의 최고신이 되었고, 왕의 칭호에 태양신의 아들이라는 이름이 추가되었다.기원전 2487년경 사후레 왕이 이집트에서 즉위하였다. 사후레 왕의 강변 신전 벽화에는 지중해 동부 연안 무역이 묘사되어 있으며, 레바논 삼나무의 수입도 확인되었다.
기원전 2477년 사후레가, 기원전 2467년 네페리르카레가, 기원전 2460년 솁세스카레가, 기원전 2458년 네페레프레가, 기원전 2422년 니우세르레가, 기원전 2414년 멘카우호르가 각각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로 즉위하였다.
기원전 2475년경 네페리르카레 왕이 이집트에서 즉위하였다. 이집트 제1왕조부터 제5왕조까지의 가장 오래된 기록인 팔레르모 석은 이 왕의 기록에서 끊어진다.
5. 사망
사망 연도 | 인물 | 설명 |
---|---|---|
기원전 2500년 | 솁세스카프 | 이집트 제4왕조의 파라오 |
기원전 2491년 | 우세르카프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기원전 2477년 | 사후레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기원전 2467년 | 네페리르카레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기원전 2460년 | 솁세스카레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기원전 2458년 | 네페레프레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기원전 2422년 | 니우세르레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기원전 2414년 | 멘카우호르 | 이집트 제5왕조의 파라오 |
6. 연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