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형석 (작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형석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숭실고보에서 윤동주와 함께 안창호에게 사사받았다. 일본 조치 대학에서 철학 학위를 취득하고, 1947년 월남하여 서울중앙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수필가로 활동했다. 그의 수필은 기독교적 실존주의를 바탕으로 현대인의 삶의 지표를 제시하며, 주요 저서로는 《고독》, 《영원과 사랑의 대화》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남평양숭실고등보통학교 동문 - 주영섭 (극작가)
    주영섭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직후 활동한 극작가로, 좌익 연극 활동을 하다 친일 연극을 연출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광복 후 월북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행적이 묘연하다.
  • 평남평양숭실고등보통학교 동문 - 안세희 (물리학자)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안세희는 연세대학교 교수와 총장을 지냈으며 한국물리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나, 권위주의 정권 협력과 사촌 형인 안두희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 평양 김씨 - 김내성
    김내성은 한국 최초의 추리소설 작가로,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까지 대중소설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쳤으며, 추리소설과 대중소설 작품 활동 외에도 정치 활동을 하였고, 사후에는 김내성추리문학상이 제정되었다.
  • 평양 김씨 - 김성진 (철학자)
    김성진은 소비에트 소련 군정 시대에 출생하여 고려대학교,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고대 그리스 철학, 중세 기독교 철학, 환경 생태 철학을 연구했으며, 철학 상담 치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대한민국의 철학자이다.
  • 운산군 출신 - 이태영
    한국 최초의 여성 변호사인 이태영은 여성법률상담소를 설립하여 여성 인권 신장에 기여하고 호주제 폐지 및 가족법 개정 운동을 주도했으며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법조인, 여성운동가, 정치인이다.
  • 운산군 출신 - 조영식
    조영식은 경희대학교 설립자로서 교육, 사회운동, 세계 평화에 헌신하며 네오르네상스운동을 통해 오토피아 건설을 목표하고 문화적 복리주의에 기반한 지구공동사회 건설을 지향한 인물이다.
김형석 (작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형석
원어 이름김형석
한자 표기金亨錫
출생일1920년 4월 23일
출생지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운산군
국적대한민국
직업철학 교수, 작가
종교개신교(장로회)
학력
대학일본 도쿄 조치 대학철학학사
가족
배우자김옥수 (2003년 5월 사별)
자녀2남 4녀
장녀김성예(대학 교수)
장남김성진(대학 교수 및 철학자)
차남김성우(대학 교수 및 공학박사)
친척김민경(친손녀), 김이경(친손자), 김하연(친손자)
경력
대학교수연세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 객원교수
고려대학교 철학과 석좌교수
가톨릭대학교 철학과 초빙교수
한양대학교 철학과 석좌교수
숭실대학교 철학과 객원교수
작품 활동
장르순수 수필 문학, 서양 서구 철학
주요 작품수필집 《고독이라는 병》, 《영원과 사랑의 대화》
영향
영향을 받은 인물안창호, 박두성, 최현배, 김두종, 이희승, 이병도, 윤일선, 이인, 정인승, 염상섭, 최규남, 이관구, 방정환, 현진건, 심훈, 도상봉, 안호상, 이태규, 박술음, 주요섭, 장기원, 박종홍, 양주동, 윤극영, 노유상, 손우성, 김호식, 김호직, 고형곤, 이주홍, 공병우, 임응구, 권영대, 이숭녕, 김내성, 박태원, 이시형, 피천득, 이상, 장기려, 윤석중, 안수길, 김용호, 김화랑, 임응식, 한갑수, 장만영, 이기령, 조풍연, 최영해, 황순원, 강소천, 전혁림, 박두진, 손응성, 송지영, 이춘녕, 송몽규, 윤동주, 허웅, 최상수, 김성한, 현승종, 최신해, 박문원, 남광우
영향을 준 인물안병욱, 조연현, 박귀희, 윤천주, 김수영, 선우 휘, 정병욱, 동완, 손창섭, 안병무, 김수환, 정한숙, 김춘수, 방기환, 이응백, 정한모, 이기백, 문국진, 김윤성, 송범, 변훈, 김자림, 박노수, 김요섭, 윤일주, 김동길, 선우 연, 최영섭, 강신항, 이기문, 서기원, 미승우, 신일철, 문국진, 강용준, 정진석, 송병수, 고은, 이어령, 정양모, 이시형, 최창권, 장가용, 황동규, 박동규, 김지하, 김현, 최인호, 이건무, 송우혜
기타
활동 시작일1947년 3월 5일

2. 생애

김형석은 1920년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나 대동군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5] 숭실중학교를 다녔으며, 이 시기 윤동주 시인과 교류했다.[6] 상지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 1947년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하여 서울의 중앙고등학교에서 7년간 교사로 재직했다.[7] 1954년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1985년 정년퇴임하였고, 같은 해 명예교수가 되었다.[7]

2. 1. 학창 시절과 월남 이전 (1920-1947)

1920년 4월 23일(음력 3월 5일),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운산군에서 태어나, 평양시 만경대구역 일대(당시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송산리)에서 성장했다.[8][5] 숭실고보에 다니면서 윤동주 시인과 함께 도산 안창호에게 가르침을 받았다.[9][6] 1943년에는 일본예수회가 설립한 조치 대학철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받았는데, 재학 중 김수환 추기경과 함께 공부하기도 했다.[10]

1944년 부친상을 겪고 이듬해 1945년 광복을 맞이했다. 그러나 일본 제국 패망 후 북한 지역에 소련 군정이 들어서고 점차 공산주의화가 진행되자, 장로교 신자였던 그는 신앙의 자유를 찾아 월남을 결심했다.

1947년 2월 8일, 홀어머니, 부인 김옥수(훗날 2003년 5월 상배), 큰딸 김성예[11] 교수, 큰아들 김성진[12] 교수 등 가족과 동갑내기 친구인 안병욱[13] 교수 및 그의 가족 등 총 8명과 함께 평안남도 룡강을 떠나 평양을 탈출했다. 이들은 황해도 수안군을 거쳐 예성강에서 배를 얻어 타고 경기도 개풍군 벽란도항에 도착했다. 그곳에서 다시 배를 갈아타고 황해삼팔선을 넘어 경기도 강화군 교동면에 이르렀으며, 이후 중고 어선을 빌려 영종도를 거쳐 인천부 제물포(현재의 인천 중구) 월미도에 최종 상륙했다. 1947년 3월 5일, 일행은 경인선 열차를 타고 서울에 도착하여 월남을 마쳤다.[7]

2. 2. 교육 활동 (1947-1985)

1947년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한 후,[7] 같은 해 9월부터 1954년 2월까지 약 7년간 서울중앙중학교와 서울중앙고등학교에서 국어 교사 및 교감으로 재직했다.[18][7] 정진석 추기경은 김형석이 서울중앙중학교 교사로 재직할 당시 가르쳤던 제자 중 한 명이다.[18]

1954년 8월부터는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임용되어 1985년 2월 정년 퇴임할 때까지 후학을 양성했다.[7] 1985년 퇴임과 함께 연세대학교 명예교수가 되었다.[7]

2. 3. 저술 및 철학 활동

그의 수필기독교실존주의를 바탕으로 현대 서구 사회의 인본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며, 부드럽고 시적인 문장으로 독자들에게 깊은 감명을 준다.

대표적인 수필집으로는 《영원과 사랑의 대화》, 《오늘을 사는 지혜》, 《현대인과 그 과제》 등이 있다. 저서 《예수》 역시 그의 기독교 사상을 평이한 문체로 설명하는 수필 형식의 글이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발행 연도저서 제목
1960고독
1961영원과 사랑의 대화
1985그대여 이날을 헛되이 보내려나
1988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하여
1990그대와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
1991인생, 소나무 숲이 있는 고향
1991나는 사랑한다. 그러므로 나는 있다
1995망치들고 철학하는 사람들
1998모든 자녀들에게 꿈이 있다
2002철학의 세계
2012나의 인생 나의 신앙
2016우리는 무엇으로 행복해지나
2016어떻게 믿을 것인가
2016백년을 살아보니


3. 사상 및 철학

종교가 만약에 교리가 되면 오히려 인간이 구속된다. 종교는 진리로 내 안에 들어와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자유로워진다.[19]

4. 저서

김형석의 수필기독교실존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인본주의 가치를 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부드럽고 시적인 문체로 많은 독자들에게 감동을 주었다. 대표적인 수필집으로는 《영원과 사랑의 대화》, 《오늘을 사는 지혜》, 《현대인과 그 과제》 등이 있다. 저서 《예수》는 그의 기독교 사상을 쉬운 문체로 설명한 수필 형식의 글이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 연도제목
1960고독
1961영원과 사랑의 대화
1985그대여 이날을 헛되이 보내려나
1988인생의 의미를 찾기 위하여
1990그대와 나누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
1991인생, 소나무 숲이 있는 고향
1991나는 사랑한다. 그러므로 나는 있다
1995망치들고 철학하는 사람들
1998모든 자녀들에게 꿈이 있다
2002철학의 세계
2012나의 인생 나의 신앙
2016우리는 무엇으로 행복해지나
2016어떻게 믿을 것인가
2016백년을 살아보니


5. 학력

wikitext

연도내용
1938년 2월평양 숭실고보 자퇴[20]
1939년 3월평양 제3고보 졸업
1943년 3월일본 조치 대학철학학사


참조

[1] 뉴스 Retirement of Professor Kim Hyung-suk of Yonsei University [延世大 정년퇴임하는 金亨錫 교수] The Chosunilbo [조선일보] 1985-09-04
[2] 웹사이트 Work far from over for 93-year-old philosopher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3-09-04
[3] 서적 Korea Annual Hapdong News Agency 1996
[4] 웹사이트 At age of 100, philosopher says ‘I love; therefore I am’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9-08-21
[5] 웹사이트 Centenarian Philosopher Kim Hyung-suk 'The most fruitful time of your life is between 60 and 90' (100세 철학자 김형석 "살아보니 열매 맺는 60~90세 가장 소중) https://www.joongang[...] The JoongAng [중앙일보] 2020-09-28
[6] Youtube Kim Hyung-suk, the Student of Ahn Changho and Schoolmate of Yun Jong-ju, Unveiling His 40 Years Routine (안창호의 제자이자 윤동주의 동창인 김형석, 그가 40년 동안 빠짐없이 한 루틴 대공개!) https://www.youtube.[...] TV Chosun Life 2023-03-15
[7] 웹사이트 Work far from over for 93-year-old philosopher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3-09-04
[8] 웹사이트 김형석 (2) 선한 삶 몸소 보여주신 부모님… 신앙 길잡이 http://news.kmib.co.[...] 국민일보
[9] 웹사이트 (인문학 이야기) 김형석 교수의 장수 비결과 행복론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10] 뉴스 [역경의 열매] 김형석 (5) 학도병 징집 압박에 기도… 신검서 ‘불합격’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20-12-21
[11] 문서 출생지
[12] 문서 출생지
[13] 문서 출생 및 사망 정보
[14] 문서 안병욱 교수와의 관계
[15] 문서 광복 이후 거주지
[16] 문서 안병욱 교수의 누나와 관련된 정보
[17] 문서 안병욱 교수와의 관계
[18] 뉴스 [역경의 열매] 김형석 (11) 중앙중·고서 7년간 교편… 학교 밖에선 성경공부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20-12-29
[19] 웹인용 100세 철학자의 쓴소리 "기독교 안믿으면 지옥? 그건 독선" https://news.naver.c[...] 2020-02-07
[20] 문서 숭실고등학교 명예 졸업장 수여 199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