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바흐루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바흐루다크는 벨라루스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새로운 마을"을 뜻하는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다. 1044년 처음 언급되었으며, 13세기에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가 되었다.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러시아 제국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과 소련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벨라루스에 속한다. 이 도시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초기 수도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유대인 문화의 중심지였으나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역사적 유적 복원 및 문화 유산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흐로드나주 - 슬로님
    슬로님은 벨라루스 흐로드나 주에 위치한 도시로, 요새 건설 이후 리투아니아 대공국, 키예프 루스 분쟁 지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중심지를 거쳐 오긴스키 운하 건설과 문화 부흥을 경험하고 폴란드 분할 이후 러시아 제국에 병합, 20세기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를 겪은 후 벨라루스의 일부가 되었다.
  • 흐로드나주 - 미르성
    벨라루스 미르에 위치한 미르 성은 벨라루스 고딕 양식으로 16세기 초에 건설되어 르네상스 양식으로 개조되었고, 전쟁과 가문 간 갈등의 역사를 거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주변 국가들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 벨라루스의 도시 - 흐로드나
    흐로드나는 벨라루스 북서부 네만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다양한 정권의 지배를 거치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중세 시대부터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이자 폴란드 국왕들의 거주지, 현재는 벨라루스의 주요 도시로서 관광 도시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 벨라루스의 도시 - 핀스크
    핀스크는 벨라루스 남서부 브레스트 주에 위치한 도시로, 복잡한 역사를 거치며 전쟁의 영향으로 파괴와 재건을 반복했고, 현재는 벨라루스 공화국의 교통 요충지이다.
나바흐루다크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원어: ,
다른 이름: Navahrudak
폴란드어: Nowogródek
리투아니아어: Naugardukas
이디시어:
나바흐루다크 깃발
깃발
나바흐루다크 문장
문장
중앙 광장
중앙 광장
기본 정보
위치벨라루스 흐로드나 주
설립970–990년
최초 언급1044년
도시 권리 획득1444년
면적13.17 제곱킬로미터
고도292 미터
시간대MSK
UTC 오프셋+3
인구 통계
인구 (2024년)27,936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행정
행정 수반지구 집행위원회 의장
이름페드첸코 세르게이
주소 및 코드
우편 번호231241, 231243, 231244, 231246, 231400
지역 번호+375 1597
차량 번호판4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나바흐루다크 공식 웹사이트
추가 이미지
나바흐루다크 변모 교회
변모 교회
성 미카엘 대천사 교회
성 미카엘 대천사 교회
보리스와 글레브 교회
보리스와 글레브 교회
아담 미츠키에비치 박물관
아담 미츠키에비치 박물관
성

2. 지명 유래

이 지명은 고대 동슬라브어의 "새로운 마을"에서 유래되었다. 10세기 말 키예프 루스의 통제를 받게 된 크리비치족의 외딴 서부 지역에 있는 대규모 정착지였다. 노보고로도크(Nov'gorodok,[4] Nov'gorodok',[5])라는 고대 이름은 두 부분 모두 기울어져 있는데, "노븀고로콤"에서 "노바고로드카"까지, "노보고로드체" 사이이다. 일부 자료에서는 '말리 노브고로드'라고 불린다.

현지인들, 특히 노인들은 오래된 이름 "'''나바그라다크'''"를 사용한다.[6][7][8] 강조점은 "리투아니아 대공국 주민을 위한 재판소"(빌나, 1586) 출판물에 기록되어 있으며, 인쇄물에 "in Novа́gorodku"로 표시되어 있다.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진입할 당시, 전통적인 벨라루스어 발음 ''나바아그라다크''는 폴란드어 ''노보구루데크''에서 유래한 현대 이름 '''노보루도크'''로 변형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도시 이름의 연대기 버전인 ''노보고로드'', ''노브고로도크'', ''노비 고로도크'', ''노보고로도크-리토프스키'' 등이 아마도 이 지역의 오래된 도시 중심지인 라도고샤가 있었음을 나타낸다고 믿는다.

3. 역사

나바흐루다크는 1044년 야로슬라프 1세와 리투아니아 부족 간의 분쟁에 대한 연대기에서 처음 언급되었다.[14] 1252년 이파티예프 연대기에는 "새로운 작은 도시"를 의미하는 "노보고로도크"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15]

13세기 민도우가스에 의해 리투아니아 왕국(후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영토가 되었다.[65][66][67][68][69][70][71] 1569년 루블린 연합으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고, 1795년 제3차 폴란드 분할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그로드노 현에 속했다.[29]

제1차 세계 대전1915년부터 1918년까지 독일군에 점령되었다가,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을 거쳐 폴란드-소비에트 리가 평화 조약에 따라 폴란드령이 되어 노보그루데크 주의 주도가 되었다.

1939년 소련의 침공으로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나, 1941년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6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이 다시 점령하여 벨라루스 영토가 되었고, 파괴된 시설은 전후 복구되었다.[65]

3. 1. 초기 역사 (10세기 ~ 13세기)

나바흐루다크는 발트 요트빙기안 영토에 세워졌다.[9] 10세기 말 동슬라브족, 특히 드레고비치족과 볼히니아족이 나바흐루다크를 건설한 첫 정착민이었다. 1960년대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현대 나바흐루다크 영토에 정착지는 10세기 말에 나타났고, 요새는 11세기 중반에 건설되었다.[9] 9~10세기에 이미 도시가 존재했으며, 비잔틴 제국, 근동, 서유럽스칸디나비아와 무역 관계를 맺었다. 이러한 무역 관계는 호박길과 관련이 있었다. 11세기 전반, 이 도시는 ''작은 성''과 ''성 언덕''에 위치한 방어 시설이 없는 두 개의 정착지로 구성되었다. 11세기 후반, ''성 언덕''의 정착지 주변에 요새가 건설되어 나바흐루다크 데티네츠를 형성했다. 데티네츠 서쪽에 있는 작은 성에는 정착지가 형성되었는데, 12세기에 요새화되어 원형 도시로 변모했다.

데티네츠 영토에서는 아도베로 만들어지고 널빤지 바닥이 있는 장작 난로가 있는 나무로 된 지상 건물이 연구되었다. 도시 주민들의 가장 중요한 활동은 수공예와 무역이었다. 지역 보석 공예의 증거가 자주 나타났는데, ''작은 성''에는 한 구역 전체를 형성하는 주조소와 보석 공방이 있었다.[10] 뼈 절단, 나무 및 돌 가공 또한 흔했다. 작은 성(고대 원형 도시)의 12세기 12호 건물("보야르의 집" 또는 "파왈루시")의 프레스코 석고 조각에서 고대 러시아 문자가 새겨진 낙서가 발견되었다.[11][12] 12~13세기의 무역 관계는 광범위했는데, 이는 많은 수입품으로 입증된다. 키예프에서는 유리 팔찌, 비철금속 장신구, 엔골피온, 성상, 방추차, 도기 사발이, 이란에서는 유리 제품, 비잔틴과 시리아에서는 유리 제품이, 발트에서는 호박이 수입되었다.[13]

나바흐루다크는 소피아 제1 연대기와 노브고로드 제4 연대기에서 1044년, 야로슬라프 1세와 리투아니아 부족 간의 전쟁과 관련하여 처음 언급되었다.[14] 1252년 이파티예프 연대기에서는 "새로운 작은 도시"를 의미하는 ''노보고로도크''로 언급되었다. 나바흐루다크는 10세기 말 키예프 루스의 통제를 받게 된 크리비치족의 외딴 서부 지역의 주요 정착지였다. 그러나 이 가설은 가장 오래된 고고학적 발견이 11세기부터 시작되었다는 점 때문에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15] 13세기에는 민도우가스에 의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영토가 되었다.[65][66][67][68][69][70][71]

3. 2. 리투아니아 대공국 시대 (13세기 ~ 16세기)

13세기에 아시아 유목민의 침략으로 키예프 루스가 붕괴되었고, 이는 몽골 군대의 키예프 공방전 (1240년)으로 절정에 달하여 키예프가 함락되고 이 지역에 지정학적 공백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동슬라브족은 기존 부족의 경계선을 따라 분열되어 여러 독립적이고 경쟁적인 공국을 형성했다. 민도우가스가 도착하기 전에도 노보그루도크에 가톨릭 교회가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28]

노보그루도크 성의 폐허, 18세기에 파괴됨, 나폴레옹 오르다의 그림.


마체이 스트리코프스키는 링골드의 아버지 알기문트가 노보그루도크에서 빌리야강에서 스타로두프, 체르니고프, 투라우, 카라차예프, 그리고 모든 포들라시에와 그 인접한 성, 브레스트, 미엘니크, 드로히친 등을 포함하여 모든 루스와 리투아니아를 통치했으며 평화롭게 영유했다고 주장한다. [16]

민도우가스의 아들 바이실라스가 노보그루도크를 통치했다. 노보그루도크는 민도우가스의 거주지 중 하나였다. 일부에서는 노보그루도크를 리투아니아의 첫 번째 수도로 여기기도 한다.[17] 이후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되었지만,[18][19] 이는 보루타가 민도우가스가 통치한 초기 리투아니아 수도일 가능성에 대한 유일한 동시대 언급이라는 사실로 반박된다.[20] 보루타의 가장 유력한 위치는 셰이므니슈케리알리 언덕으로 확인되었다.[21] 대 러시아 백과사전은 민도우가스의 국가에는 영구적인 수도가 없었지만 그의 초기 거주지는 흑 루스였으며, 그 중심지는 노보그루도크였다고 명시하고 있다.[22]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노보그루도크를 목록에서 제외하고 케르나베, 트라카이, 빌뉴스만 리투아니아의 수도로 언급한다.[23]

16세기에 이 사건이 있은 지 3세기 후 마체이 스트리코프스키는 그의 연대기에서 노보그루도크가 13세기 국가의 수도였다는 이론을 처음으로 제안했다. 민도우가스의 아들이자 계승자인 바이실라스는 노보고로도크 근처의 라브라셰프 수도원에서 수도 서약을 했고,[25] 그곳에 정교회 수녀원을 세웠다. 민도우가스와 볼히니아에 피신한 그의 친척들 사이의 적대감은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과의 대규모 전쟁으로 이어져 도시를 상대로 여러 차례 주요 군사 작전을 벌였다. 이러한 작전으로 인해 민도우가스는 리보니아 기사단과 동맹을 맺게 되었다. 1253년, 민도우가스는 교황의 이름으로 리투아니아 국왕으로 즉위했다. 바이실라스는 그의 아버지를 대신하여 갈리치아-볼히니아 왕국과 평화를 맺고 노보그루도크와 모든 리투아니아 도시를 로만 다닐로비치에게 넘겨주었다.[26] 1258년에 평화를 깨뜨린 후, 바이실라스는 다시 노보그루도크의 공작이 되었고, 그 후 그것을 전체 국가와 함께 슈바른에게 넘겨주었다. 골든 호드 타타르족은 1255년, 1274년, 그리고 마지막으로 1279년에 노보그루도크를 반복적으로 공격했다.

19세기 도시의 풍경.


1314년, 이 성은 튜튼 기사단에 의해 포위되었다. 1321년, 1341년, 1390년, 그리고 마침내 1394년에 튜튼 기사단에 의해 다시 공격을 받았다.

분할 통치 공국의 중심지였던 노보루드크는 1329년부터 카리요타스 공작이 소유했고, 1358년부터 그의 아들 표도르가 소유했으며, 1386년부터는 카리부타스가 소유했다.[27] 당시 노보루드크는 인구가 전적으로 리투아니아인으로 구성된 트라카이 보이보드십의 일부였으며, 따라서 노보루드크는 리투아니아 본토의 일부였다.

1392년부터 노보루드크는 석조 노보루드크 성이 건설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공 영지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 14세기 말과 15세기 초에 비타우타스는 리프카 타타르족을 노보그루도크와 그 주변 지역에 정착시켰다. 1428년, 그는 도시와 주변 마을을 그의 아내 울리아나에게 평생 소유하도록 기록했다. 1415년, 노보그루도크에서 열린 정교회 주교 회의에서 그리고리 차믈락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시노드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정교회를 사실상 자치 교회로 선언하고, 교회 내부 행정을 개혁했다.[28] 1422년, 비타우타스는 로마 가톨릭 변용 교회를 노보그루도크에 설립했고, 이곳에서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인 요가일라와 할샤니의 소피아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29][30][31] 이 결혼은 야기에우워 왕조의 시작을 알렸다. 그들의 아들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는 1444년에 도시 특권을 부여했다.[32] 크레보 연합 (1385년) 이후, 이곳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부였으며, 1569년 루블린 연합 이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되었다.

3. 3.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시대 (16세기 ~ 18세기)

13세기 민도우가스에 의해 리투아니아 왕국(후의 리투아니아 대공국) 영토가 되었다.[65][66][67][68][69][70][71] 크레보 연합 (1385년) 이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의 일부였으며, 1569년 루블린 연합 이후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에 속하게 되었다.

14세기 말과 15세기 초, 비타우타스는 리프카 타타르족을 노보그루도크와 그 주변 지역에 정착시켰다. 1428년, 그는 도시와 주변 마을을 그의 아내 울리아나에게 평생 소유하도록 기록했다. 1415년, 노보그루도크에서 열린 정교회 주교 회의에서 그리고리 차믈락이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이 시노드는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정교회를 사실상 자치 교회로 선언하고, 교회 내부 행정을 개혁했다.[28] 1422년, 비타우타스는 노보그루도크에 로마 가톨릭 변용 교회를 설립했고, 이곳에서 폴란드 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인 요가일라와 할샤니의 소피아의 결혼식이 거행되었다.[29][30][31] 이 결혼은 야기에우워 왕조의 시작이었다. 1444년, 그들의 아들 카지미에시 4세 야기에우워는 도시 특권을 부여했다.[32]

1505년, 타타르족이 도시를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507년부터 1795년까지 노보그루데크 주의 수도였다.[32] 1511년 7월 26일, 지그문트 1세 국왕에 의해 마그데부르크법을 부여받았고, 이는 1562년, 1595년 및 1776년에 재확인되었다.[30][33] 이 도시는 왕실 도시였다.[30] 1568년에는 도시에 10개의 교회가 있었다.[34] 1581년부터 1775년까지 리투아니아 재판소의 회기 일부를 개최했다. 1595년 3월 18일, 지그문트 3세 국왕은 도시에 대천사 미카엘을 묘사한 문장을 부여했다.[31] 브레스트 연합 (1595-1596) 이후, 정교회 관구 부서는 루테니아 유니에이트 교회가 되었다. 1597년, 지그문트 3세는 노보그루도크 시민들에게 가톨릭 축일인 주현절오순절에 연 2회, 2주 동안 박람회를 열 수 있는 특권을 부여했다. 16세기, 노보그루도크는 종교 개혁의 중심지 중 하나이기도 했다.

1655년 9월, 러시아-폴란드 전쟁 중 A. 트루베츠코이 공작의 병사들에게 점령되었다. 1661년, 폴란드-리투아니아 군대에 의해 탈환되었으며, 4년 동안 세금 납부가 면제되었다.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노보그루도크는 수많은 화재와 전염병으로 고통받았다. 1706년 대북방 전쟁 동안 스웨덴군에 점령되었고, 이후 도시를 불태우고 성을 폭파한 모스크바 군대에 점령되었다. 1751년 5월 1일, 화재로 큰 피해가 발생했다. 1784년 9월 23일, 폴란드 국왕이자 리투아니아 대공인 스타니스와프 아우구스트 포니아토프스키가 이 도시에 도착하여 네스비시에서 돌아오는 길에 도시, 노보그루도크 성의 폐허, 재판소 및 도시 기록 보관소를 방문했다.

1790년, 제6 리투아니아 보병 연대가 이 도시에 주둔했다.[35] 헌법 수호 전쟁 중 1792년 6월 초, 미하일 크레체트니코프가 이끄는 33,000명의 차르 군대가 노보그루도크를 공격했다. 1792년 6월 중순, 미르 전투에서 패배한 후, 뷔르템베르크 공 루이 휘하의 리투아니아군은 노보그루도크를 거쳐 그로드노로 후퇴했다. 유제프 비엘라크 장군 군단에 속한 타타르족은 도시를 떠난 마지막 무리 중 하나였다. 그들은 앞서 스톨브치 전투에서 러시아 병사들에 맞서 네만강 도하를 영웅적으로 방어했다. 18세기 말, 노보그루도크에는 6개의 수도원, 5개의 가톨릭 교회, 3개의 동방 정교회, 유대교 회당, 타타르 사원이 있었다.

다음은 노보그루도크를 덮친 화재와 전염병의 목록이다.

연도사건
1578년화재
1590년전염병
1592년전염병
1599년화재
1603년전염병
1613년화재
1652년화재
1708년전염병
1751년화재 (167채의 집, 4개의 교회, 시청 및 지사 사무실 소실)


3. 4. 러시아 제국 시대 (18세기 ~ 20세기 초)

1795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제3차 분할로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다.[29] 1796년부터 슬로님 주, 1801년부터 리투아니아 주, 1843년에는 민스크 주에 속했다. 아담 미츠키에비치는 이 도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 중 하나인데, 현지 변모 교회에서 세례를 받고 어린 시절을 보냈다.[29]

19세기 아담 미츠키에비치의 집


카누티 루시에츠키의 1846년 성 언덕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12년, 나폴레옹의 ''그랑 다르메''에 점령된 후 현지 주민으로 구성된 폴란드 제20 보병 연대와 제19 울란 연대가 창설되었다.[36] 1817년에는 나무집 428채와 석조 가옥 9채가 있었고, 유대인, 벨라루스인, 폴란드인, 립카 타타르인, 러시아인이 주로 거주했다.[29] 1831년 7월 22일, 11월 봉기 중 Y. 카쉬츠와 M. 메제예프스키의 부대가 노보그루도크를 잠시 점령했다.

1834년 도미니코회 학교가 폐쇄된 후, 차르 정부는 1858년 노보그루도크 김나지움으로 바뀐 5개 반 학교를 열었다. 1837년에는 비포장 도로 4개와 포장된 거리 및 골목길 9개가 있었다. 1월 봉기 당시 V. 보르조보가티가 이끄는 반란 단체가 결성되었고, 1863년에는 노보그루도크 출신 펠리치안 라쉬케비치 신부가 이 봉기에 참여했다. 1월 봉기 이후 반가톨릭주의 탄압으로 차르 정부는 김나지움을 폐쇄하고 가톨릭 교회를 정교회로 개조했다.[29]

1896년, 랍비 요세프 요젤 호르비츠는 노바르도크 예시바를 설립했는데, 이 예시바는 전쟁 전 유럽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유대교 고등 종교 교육 기관 중 하나였으며 무사르 운동의 중심지였다.

1905년에는 최초의 가스 가로등이 등장했고, 1910년에는 석조 건물 76개와 목조 건물 1074개가 있었으며, 1914년에는 6개의 교육 기관이 있었다. 1907년부터 1909년까지 폴란드 교육을 지원하는 폴란드 사회 "계몽"의 지방 지부가 이 도시에서 활동했다.[37]

3. 5. 20세기 이후

1905년, 나바흐루다크에 최초로 가스 가로등이 설치되었다. 1910년에는 석조 건물 76개와 목조 건물 1074개가 있었으며, 1914년에는 6개의 교육 기관이 운영되었다. 1907년부터 1909년까지는 폴란드 교육을 지원하는 폴란드 사회 "계몽"의 지방 지부가 활동하기도 했다.[37] 당시 나바흐루다크에는 번성하는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으며, 1900년에는 5,015명의 인구가 거주했다.[38]

나바흐루다크의 아담 미츠키에비치 저택


제1차 세계 대전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을 거치며 나바흐루다크는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폴란드-소비에트 리가 평화 조약에 따라 폴란드령이 되었고, 노보그루데크 주의 중심지가 되었다.

1939년 소련의 침공으로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가, 1941년 나치 독일에게 점령되었다. 이후 다시 소련이 이 지역을 점령했고, 전쟁으로 파괴된 시설들은 전후 빠르게 복구되었다.

1997년, 나바흐루다크와 나바흐루다크 구는 하나의 행정 구역으로 통합되었다. 나바흐루다크는 엘블롱크, 크리니차 모르스카, 레멘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57]

2011년 9월 10일,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수도로서 마그데부르크법 제정 500주년을 기념하는 기념비가 도시 중심부에 설치되었다.[58]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나바흐루다크 성의 복원 및 보존 계획이 진행되었다. 이 계획은 나바흐루다크 성의 일곱 개 탑과 성벽을 모두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했다.[59] 2016년에는 나바흐루다크 성이 국가 예산 지원을 받을 수 있는 27개 유적 목록에 포함되었다.[60]

3. 5. 1. 제1차 세계 대전과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중, 1915년 9월 22일부터 1918년 12월 27일까지 도시는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다.[17] 1915년 9월 22일, 노보그루도크는 독일 제국의 제10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러시아-독일 전선은 도시에서 동쪽으로 20km 떨어진 세르베치 강을 따라 위치해 있었다. 독일군은 발전소, 협궤 철도망, 전화선을 건설했고, 폴란드어 및 벨라루스어 학교의 설립도 허용되었다.

미츠키에비치의 집은 보병대장 라인하르트 폰 셰퍼-보야델의 거처가 되었으며, 그는 제17 예비 군단의 사령관이었다. 전선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원수 파울 폰 힌덴부르크가 노보그루도크를 방문했다. 1918년 3월 25일, 독일 통치하의 노보그루도크는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의 일부로 선언되었다. 1918년 12월 27일, 독일군 기병대가 노보그루도크를 떠났고, 저녁에 볼셰비키가 도시에 입성하여 유대인과 러시아인들에게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곧, 일부 폴란드 활동가들이 체포되었고, 1919년 3월에는 볼셰비키가 성 유적에서 그들 중 일부를 사형시켰다.

1919년 1월 1일, 벨라루스 CP(b)의 결의 및 회의에 따라,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19년 5월 25일, 노보그루도크 벨라루스어 체육관이 개교했다.

1919년 노보그루도크에 주둔한 제10 리투아니아 울란 연대의 기병대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동안, 노보그루도크는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1919년 3월 중순부터, 폴란드군 부대가 노보그루도크 근처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1919년 4월 18일 새벽, 몇 시간의 전투 끝에, 77 Pułk Piechoty (II RP)|폴란드 제2 카우나스 소총 연대pl의 Leon Zawistowski|레온 자비스토프스키pl 소령과 제10 리투아니아 울란 연대의 두 개 기병대가 도시를 점령했다. 서부 소총 사단 출신의 많은 공산주의 폴란드인들이 적군 측에서 전투를 벌였다. 도시를 점령하면서, 폴란드군은 대량의 군사 무기와 탄약 창고를 확보했으며, 약 300명의 포로를 붙잡았다.[40] 폴란드-볼셰비키 전선은 세르베치 강과 우쉬치 강을 따라 이전 독일 참호선에서 몇 달 동안 멈춰 있었다.

1920년 7월 19일 아침, 적군은 다시 노보그루도크를 점령했다. 바르샤바 전투와 이후 니멘 강 전투에서 참패한 후, 1920년 10월 1일, 폴란드군은 다시 도시를 점령했다. 이들은 제1 및 제5 군단 보병 연대 연대, 제16 보병 연대, 그리고 제1 군단 포병 연대의 3개 포대였으며, 대부분 제1 군단 보병 사단에 소속되었다.

1920년 10월 폴란드에 의해 최종적으로 점령되었으며, 리가 조약에 의해 제2 폴란드 공화국의 일부로 확정되었다.

3. 5. 2.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소비에트 연방이 침공하여 점령했고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65]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이 소련을 공격했고, 7월 4일에는 독일이 나바흐루다크를 점령했다.[65] 그 후 소련이 이 지역을 다시 점령했으며, 파괴된 시설은 전후 바로 복구되었다.[65]

3. 5. 3. 현대 벨라루스

1939년 소비에트 연방의 침공으로 점령된 후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65] 1941년 6월 22일 나치 독일이 소련을 공격했고, 7월 4일 나바흐루다크가 점령되었다.[65] 이후 소련이 다시 이 지역을 점령했고, 파괴된 시설은 전후 바로 복구되었다.[65]

4. 문화유산

소규모 노보그루도크 성에서 1955년부터 1962년까지 소련 과학 아카데미 레닌그라드 고고학 연구소가 발굴 조사를 한 결과, "조각 유리"라고 불리는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는 중세 연구에서 "야드비가 유리"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조각 유리의 한 종류이다.[54] 노보그루도크에서 발견된 "성 야드비가의 잔"(이 이름으로 에르미타주 박물관에 소장)에는 사자, 그리핀, 두 마리의 뱀이 생명의 잔을 휘감는 형태의 생명의 나무가 조각되어 있다.[55] 대영 박물관에 따르면, 이 유물은 보편적인 문명의 물질 문화에서 뛰어난 작품 100선 안에 든다.[56]

벨라루스 국영 프로그램 "벨라루스의 성"에 따르면, 2012-15년에 나바흐루다크 성의 구조와 역사적 발전을 복원하고 유적을 보존할 계획이었다.[59] 13세기부터 16세기까지의 유물을 보관하는 건물을 복원하는 것은 비실용적이라는 결론이 내려졌다. "견고한 폐허" 개념이 승인되었고, 나바흐루다크 성의 일곱 개의 모든 탑과 성벽을 드러내는 것이 목표였다. 성은 16세기 규모로 지정될 것이다.[59]

''코스텔나야 탑'' 유적은 금속 구조물과 벽돌 보강재로 보존될 것이다. 과학자들이 안정화가 성공했다고 확신하면 보강재는 제거될 것이다.[59] ''쉬토프카'' 탑의 손실도 부분적으로 복원될 것이다. 탑은 지붕으로 덮이지만 미완성 상태로 남을 것이며, 박물관이 개관할 계획이다.[59] 지하에 있는 13세기 교회는 공개될 것이다. 궁전의 벽돌 조적은 약 50센티미터 높이에서 공개될 것이다. 성벽도 부분적으로 공개될 것이다.[59] 수로 정비와 남쪽 경사면의 토양 침식을 막기 위한 수평 배수도 계획되어 있다.[59] 2016년 6월 3일자 각료회의 결의안에 따라, 나바흐루다크 성은 보존 비용을 국가 예산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27개의 객체 목록에 포함되었다.[60]

나바흐루다크의 주요 문화유산은 다음과 같다.


  • 노보그루도크 성: 14세기에 건설되었고, 1706년 스웨덴군에 의해 불탔으며, 현재는 폐허로 남아 있다.
  • 정교회 성 보리스와 글레브 교회: 벨라루스 고딕 양식으로 1519년에 건설을 시작했지만, 1630년대까지 완공되지 못했다. 19세기에 대대적인 수리를 거쳤다.
  • 로마 가톨릭 변모 교회 (1712–23, 오래된 고딕 양식 건물의 현존하는 예배당 포함): 아담 미츠키에비치가 세례를 받은 곳이다.
  • 시인의 옛집에 있는 아담 미츠키에비치 박물관: 그의 조각상과 1924–1931년 폴란드 행정부가 그를 기리기 위해 만든 "불멸의 언덕"이 있다.
  • 유대인 저항 박물관: 게토 수감자들의 영웅적인 탈출 경로를 따라 붉은 조약돌 길이 있다.
  • 카스투스 카찬 미술관
  • 성 미카엘 교회: 1751년과 1831년에 개조되었다.
  • 중앙 광장의 무역 열
  • 노보그루데크 주 사무소와 주지사 관저를 포함한 전쟁 전 행정 건물


하르카비 가문의 일부 구성원들은 노보그루도크의 오래된 유대인 묘지에 묻혀 있다.

5. 인물


  • 알렉산드르 사크 (1890–1937), 벨라루스 가톨릭 사제로 정교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한 인물이다.[1]
  • 파발 나바라 (1927-1983), 벨라루스 망명 공인이며 영국-벨라루스 협회의 공동 설립자이다.[2]

6. 기후

이 지역의 쾨펜 기후 구분 하위 유형은 "Dfb" (따뜻한 여름 대륙성 기후)입니다.[61]

노보그루도크 (1991–2020) 기후 데이터[62]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4.1°C5.4°C12.7°C22°C25.9°C28.3°C29.8°C29.7°C25.1°C18.4°C11.1°C5.8°C29.8°C
평균 최고 기온 (°C)-2.2°C-1.1°C4°C12.2°C18°C21.3°C23.4°C22.8°C17.1°C10.1°C3.5°C-0.8°C10.7°C
평균 기온 (°C)-4.3°C-3.6°C0.5°C7.4°C12.9°C16.2°C18.2°C17.6°C12.5°C6.6°C1.4°C-2.6°C6.9°C
평균 최저 기온 (°C)-6.3°C-5.8°C-2.4°C3.3°C8.2°C11.6°C13.8°C13.2°C8.8°C3.9°C-0.5°C-4.5°C3.6°C
최저 기온 기록 (°C)-18.4°C-16.4°C-9.8°C-3.2°C1.3°C5.8°C9.3°C7.8°C2°C-3.2°C-8.8°C-13.4°C-18.4°C
강수량 (mm)54.3mm45.8mm44.3mm45.7mm76mm77.7mm104.8mm62.8mm66.4mm61.9mm55.2mm52mm746.9mm
평균 강수일 (≥ 1.0 mm)12.811.010.68.710.210.111.38.48.59.811.012.2124.6


참조

[1] 웹사이트 Структура райисполкома / Райисполком / Власть / http://www.novogrudo[...] 2015-11-12
[2]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24 г. и среднегодовая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за 2023 год по Республике Беларусь в разрезе областей, районов, городов, поселков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 https://www.belstat.[...] 2024-05-11
[3] 웹사이트 Vaišelga https://www.vle.lt/s[...] 2021-07-07
[4] 문서 «И зашли за реку Велю, и потом перешли реку Немон и нашли в чотырех милях от реки Немна гору красную, и сподобалася им, и вчинили на неи город и назвали его Новъгородок». Летопись Красинского // ПСРЛ. — М., 1980. — Т. 35. — С. 129; Евреиновская летопись // ПСРЛ. — Т. 35. — С. 215; Летопись Рачинского // ПСРЛ. — Т. 35. — С. 146; Ольш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 ПСРЛ. — М., 1980. — Т. 35. — С. 174; Румянц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 ПСРЛ. — Т. 35. — С. 194.
[5] 문서 Ипа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 ПСРЛ. — С-П., 1908. — Т. 2. стб. 828—829, 835—836, 859, 873—874
[6] 서적 Расійска-беларускі слоўнік / Укладальнікі: М. Байкоў, С. Некрашэвіч. — Менск: Дзяржаўнае выдавецтва Беларусі, 1928.
[7] 뉴스 Гарады з «памылкамі» ў назвах: Навагрудак ці Навáградак? https://www.svaboda.[...] Радыё Свабода, Вінцук Вячорка, Ігар Карней 2019-08-30
[8] 서적 Назвы населеных пунктаў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Гродзенская вобласць: нарматыўны даведнік / І. А. Гапоненка і інш.; пад рэд. В. П. Лемцюговай. — Мн.: Тэхналогія, 2004. — 469 с.
[9] 서적 Міндаўг. Пачатак вялікага гаспадарства. Менск, 2005. C. 6
[10] 웹사이트 Касцюм жыхароў Беларусі ХХ—ІІІ стст. http://pawet.net/lib[...]
[11] 웹사이트 Дом боярина XII в. в древнерусском Новогрудке // Краткие сообщения Института археологии — Вып. 99. — 1964 — С. 97–102.
[12] 웹사이트 Фресковая роспись «дома боярина» в окольном городе Новогрудка (по материалам коллекции фрагментов штукатурки) http://www.academia.[...]
[13] 서적 Древний Новогрудок. Л., 1981
[14]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Новогрудка http://gorod.novogru[...]
[15] 웹사이트 Oshchestvo Srednevekovoj Litvy http://viduramziu.li[...] Viduramziu.lietuvos.net 2013-02-18
[16] 서적 Kronika polska, litewska, żmódzka i wszystkiej Rusi Macieja Stryjkowskiego. T. 1 https://rcin.org.pl/[...] nakład Gustawa Leona Glücksberga, Księgarza
[17] 백과사전 Pinkas Hakehillot Polin: Novogrudok http://www.jewishgen[...] Jewishgen.org
[18] 웹사이트 Великое княжество Литовское http://www.spsl.nsc.[...]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публичная научно-техническая библиотека СО РАН 2017-10-23
[19] 서적 Міндовг http://history.org.u[...] Institute of History of Ukraine
[20] 웹사이트 The Myth of Navahrudak {{!}} Orbis Lituaniae https://ldkistorija.[...] Vilnius University 2021-06-14
[21] 웹사이트 Šeimyniškėliai mound – where the Voruta castle stood https://www.visitauk[...] 2021-06-14
[22] 웹사이트 МИНДОВГ https://bigenc.ru/do[...] Great Russian Encyclopedia 2021-09-29
[23] 웹사이트 Lithuania - Settlement patterns - Services https://www.britanni[...] 2021-06-14
[24] 서적 Kronika polska, litewska, żmódzka i wszystkiéj Rusi Macieja Stryjkowskiego Wydawnictwa Artystyczne i Filmowe
[25] 웹사이트 Following the Tracks of a Myth http://viduramziu.li[...]
[26] 문서 Полное собрание русских летописей. Ипатьевская летопись. Москва, 1998. pp.880-881
[27] 웹사이트 Навагрудак. Летапіс гісторыі http://www.gaiba.nar[...] www.gaiba.narod.ru 2019-04-19
[28] 서적 Biskupstwo turowsko-pińskie w XI-XVI wieku Trans Humana
[29] 웹사이트 Historie z Nowogródka https://www.przewodn[...] 2019-10-17
[30] 문서 Melchior Jakubowski, Maksymilian Sas, Filip Walczyna, Miasta wielu religii. Topografia sakralna ziem wschodnich dawnej Rzeczypospolitej, Muzeum Historii Polski, Warsaw 2016, p. 248 (in Polish)
[31] 웹사이트 Jubileusz 975 rocznicy powstania Nowogródka http://www.powiat.su[...] 2019-10-17
[32] 웹사이트 Nowogródek https://encyklopedia[...] 2019-10-17
[33] 문서 Wanda Rewieńska, Miasta i miasteczka magdeburskie w woj. wileńskim i nowogródzkim, Lida 1938, p. 11 (in Polish)
[34] 서적 ВКЛ. энциклопедия
[35] 서적 Rodowody pułków polskich i oddziałów równorzędnych od r. 1717 do r. 1831 Towarzystwo Wiedzy Wojskowej
[36] 서적 Rodowody pułków polskich i oddziałów równorzędnych od r. 1717 do r. 1831 Towarzystwo Wiedzy Wojskowej
[37] 서적 Życie społeczno-kulturalne Oświata
[38] 웹사이트 JewishGen.org http://data.jewishge[...] Data.jewishgen.org 2013-02-18
[39] 웹사이트 Наваградак — царкоўная сталіца Вялікага Княства Літоўскага (ХIV — XV стст.) http://mestechki.inf[...] Гарады Беларусі ў кантэксце палітыкі, эканомікі, культуры: зборнік навук. артыкулаў / Гродз.дзярж. ун-т; рэдкалегія: І. П. Крэнь, І. В. Соркіна (адк. рэдактары) і інш. — Гродна: ГрДУ, 2007.
[40] 문서 Wyprawa wileńska
[41] 문서 Miasta wielu religii. Topografia sakralna ziem wschodnich dawnej Rzeczypospolitej Muzeum Historii Polski
[42] 웹사이트 Антисоветский блог: Массовая депортация жителей Западной Беларуси 1940 года https://antisovetsky[...] Антисоветский блог 2019-04-25
[43] 웹사이트 Сталинские репрессий при "воссоединения" Беларуси в 1939г. https://anton55555.w[...] Заметки о политике и о жизни 2019-04-25
[44] 웹사이트 "Слушали. Постановили: расстрелять". Историк Игорь Кузнецов о советских репрессиях в Беларуси https://news.tut.by/[...] TUT.BY 2019-04-25
[45] 웹사이트 Туннель http://pda.sb.by/pos[...]
[46] 웹사이트 Побег из гетто http://jrmn.info/esc[...]
[47] 문서 Холокост и еврейское сопротивление на оккупированной территории СССР http://jhist.org/sho[...]
[48] 서적 Oświata...
[49] 웹사이트 В августе 44-го. И после https://warspot.ru/1[...] warspot.ru 2019-04-28
[50] 뉴스 Лесные братья http://www.belgazeta[...] Информационно-аналитический еженедельник «БелГазета» (www.belgazeta.by) 2006-04-17
[51] 서적 Была вайна… Беларускі Рэзыстанс 2003
[52] 뉴스 Салідарнасць Камандзір беларускіх «лясных братоў» (фота друкуюцца ўпершыню) http://www.gazetaby.[...] Сайт газеты «Салідарнасць» (www.gazetaby.com) 2007-11-04
[53] Youtube Беларускі пасляваенны антысавецкі супраціў 1944−1957 гг. https://www.youtube.[...]
[54] 웹사이트 НЕМОГРАДАС — Летописный Новогородок http://www.gaiba.nar[...]
[55] 뉴스 Какие тайны хранят развалины Новогрудского замка https://www.kp.ru/da[...]
[56] 문서 О резном бокале из Новогрудка / Средневековая Русь — М., 1976.- с. 214. https://docs.google.[...]
[57] 웹사이트 История Новогрудка | НОВОГРУДОК.BY http://novogrudok.by[...] 2019-04-25
[58] 웹사이트 В Новогрудке открыли памятный знак к 500-летию получения городом магдебургского права http://tutgrodno.com[...]
[59] 웹사이트 РЭКАНСТРУКЦЫЯ ЗАМКА ПРАЦЯГВАЕЦЦА http://novgazeta.by/[...] Новае жыццё
[60]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Совета Министров от 03.06.2016 № 437 О некоторых вопросах обеспечения сохранности историко-культурных ценностей http://www.governmen[...]
[61] 웹사이트 Climate Summary for Navahrudak http://www.weatherba[...]
[62]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Novogrudok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12
[63]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novogrudok.go[...] Navahrudak 2020-01-13
[64] 웹사이트 Miasto Elbląg zrywa współpracę z rosyjskimi miastami partnerskimi http://elblag24.pl/m[...] 2022-03-05
[65] 서적 Mindaugo knyga: istorijos šaltiniai apie Lietuvos karalių
[66] 문서 Mindaugas ir Vakarai : vokiečių militarinių ordinų veikla ir Mindaugo santykiai su Roma.
[67] 문서 The Russian Empire: Historical and Descriptive
[68] 문서 The Medieval Expansion of Europe
[69] 웹사이트 Mindaugas, the King of Lithuania http://www.exploring[...]
[70] 문서 Lietuvos karalystei – 750 (Kingdom of Lithuania -750)' http://www.voruta.lt[...]
[71] 서적 Codex diplomaticus Lithuaniae e codicibus manuscriptis in Archivio secreto Regiomontano asservat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