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시르 알딘 알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시르 알딘 알투시는 1201년 이란 북동부 투스에서 태어난 중세 시대의 학자이다. 그는 꾸란, 하디스, 법학, 철학, 수학, 천문학 등 다양한 분야를 공부했으며, 특히 천문학 연구에 기여했다. 훌라구 칸의 지원을 받아 마라게에 천문대를 건설하고, '일칸 천문표'를 저술하여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투시의 대원'을 고안하여 프톨레마이오스의 행성 모형을 개선했다. 그는 또한 삼각법을 독립적인 수학 분야로 정립하고, 윤리학, 철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의 연구는 코페르니쿠스에게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슈하드 출신 - 마샬 마네쉬
    마샬 마네쉬는 영화 《트루 라이즈》, 《빅 레보스키》 등에 출연했으며, 시트콤 《윌 앤 그레이스》와 《내가 그녀를 만났을 때》 등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도 활동한 배우이다.
  • 마슈하드 출신 - 라술 하뎀
    라술 하뎀은 레슬링 선수이며 그의 아버지와 형 또한 올림픽 메달리스트인 이란의 레슬링 명문가 출신이다.
나시르 알딘 알투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시르 알딘 투시
그의 죽음 700주년 기념 이란 우표
이름나시르 알딘 알투시
칭호카와자 나시르
출생1201년 2월 18일 투스, 대 호라산, 화레즘 제국
사망1274년 6월 26일 알카디미야 모스크, 카디미야, 바그다드, 일 한국
민족페르시아인
출신 지역페르시아 (이란)
종교이슬람교
종파시아파 (초기 이스마일파)
열두 이맘파
법학자파리
주요 관심사칼람, 이슬람 철학, 천문학, 수학, 생물학 및 의학, 물리학, 과학
주요 아이디어구면 삼각법, 투시 짝힘
영향아비센나, 파크르 알딘 라지, 무아이예드딘 우르디, 시라지 쿰리
영향을 준 인물마이탐 알 바흐라니, 이븐 할둔, 쿠트브 알딘 시라지, 이븐 알샤티르, 코페르니쿠스
본명نصیرالدین طوسی
로마자 표기Naṣīr al-Dīn al-Ṭūsī
학문적 배경
스승Kamal al-Din ibn Yunus
제자샴스 알딘 알부하리
주요 저서

2. 생애

나시르 알딘 알투시는 이란 투스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부터 쿠란, 하디스, 자파리 법학, 논리학, 철학, 수학, 의학, 천문학 등 다양한 학문을 공부했다.[17]

그는 영적 현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종교법의 상징적 해석(''타윌'')을 따라야 한다고 믿었으며, 종교법 준수가 영적 해석보다 쉽다고 설명했다.[19] 또한 신성한 역사적 기록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사건을 상징하며, 인간이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된 것이라고 말했다.[20]

칭기즈 칸의 군대가 고향을 휩쓸자, 니자리 이스마일리 국가에서 활동하며 과학 분야에 기여했다.[22] 이후 훌라구 칸에게 포로로 잡혔으나, 그의 과학적 지식을 높이 산 훌라구에 의해 과학 고문으로 임명되었다.[25][27] 그는 몽골군의 바그다드 공격에 동행했으며,[28] 시아파 이슬람의 대의를 강화하는 데 힘썼다.[33]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201년, 중세 시대 이란 북동부 호라산 지방 투스에서 시아파 이슬람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학문과 지식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17] 하마단과 투스에서 꾸란, 하디스, 자파리 법학, 논리학, 철학, 수학, 의학, 천문학을 공부했다.[17]

어린 나이에 니샤푸르로 가서 파리드 알딘 다마드에게 철학을, 무함마드 하십에게 수학을 배웠다.[18] 훗날 몽골군에게 살해된 전설적인 수피즘의 대가 아타르 오브 니샤푸르를 만났으며, 파크르 알딘 알 라지의 제자인 쿠트 알딘 알 미스리의 강연을 들었다.

모술에서 알투시는 샤라프 알딘 알 투시의 제자인 카말 알딘 유누스(1242년/히즈라력 639년 사망)와 함께 수학과 천문학을 공부했다.[21]

2. 2. 쿠히스탄과 알라무트 시대

나시르 알딘 알투시는 1201년 중세 시대 이란 북동부 호라산 지방 투스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학문을 시작했다. 그는 시아파 이슬람 가정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학문과 지식을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17] 그는 어린 나이에 니샤푸르로 가서 파리드 알딘 다마드에게 철학을, 무함마드 하십에게 수학을 배웠다.[18]

칭기즈 칸의 군대가 그의 고향을 휩쓸었을 때, 그는 니자리 이스마일리 국가에 고용되었으며, 요새에서 요새로 이동하면서 과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기여를 했다.[22] 처음에는 무흐타심 나시르 알딘 압드 알 라힘 이븐 아비 만수르 치하의 쿠히스탄 지역에서 활동했다. 그는 나중에 니자리 이맘 알라 알딘 무함마드 아래에서 경력을 계속하기 위해 알라무트와 마이문-디즈의 주요 성으로 보내졌다.[23][24] 그는 훌라구 칸 휘하의 몽골군에게 마이문-디즈가 함락된 후 포로로 잡혔다.[25]

투시는 몽골 제국의 훌레구가 이란 지역을 정복하러 왔을 때, 알라무트의 니자르파 제26대 교주 알라웃딘 무함마드 (무함마드 3세)와 제27대 교주 루크누딘 후르샤| رکن‌الدین خورشاهfa에 의해 알라무트 근방의 마이문 디즈라는 요새에 유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집사』나 13세기 후반의 역사가 카샤니 등은 쿠히스탄의 태수 무흐타심의 노여움을 사 알라무트의 교주 알라웃딘에게 연행되었다는 사실만 기록하고 있지만, 『와사프 사』나 티무르 제국 시대의 역사가 혼다미르에 따르면, 투시는 쿠히스탄 체류 중에 아바스 왕조 마지막 칼리프무스타심에게 송시를 써서 보내 재상(와지르) 무아이두딘 무함마드 이븐 알알카미를 통해 무스타심을 섬기려고 했다. 재상 이븐 알알카미는 투시의 학식이 높아 칼리프 궁정에 들어가면 자신의 지위가 위태로워질 것이라고 두려워하여, 송시를 돌려보내고 태수 무흐타심에게 칼리프와 서신을 주고받은 투시는 방심할 수 없는 인물이니 경계하라고 촉구했다. 이 서신을 읽은 무흐타심은 노하여 투시를 감금하고, 알라무트의 알라웃딘을 방문했을 때 그도 연행하여 알라무트 측에 넘겼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다른 전승에서는 교주 알라웃딘이 태수 무흐타심에게 투시가 보호를 받고 있는 것에 질투하여 수하의 페다이인을 파견하여 알라무트로 갈 것을 권했다. 투시가 이를 거부하자 교주는 죽이겠다고 협박하여 억지로 연행시켰다고도 한다. 어쨌든 원치 않는 형태로 알라무트로 끌려온 것으로 보이며, 1246년에 그가 쓴 『제 지시의 주해』(Sharḥ Ishārāt)에는 현재의 어려운 상황에서 구원받기를 바라는 신에 대한 기도가 언급되어 있으며, 알라무트 시대 투시의 환경은 매우 좋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투시는 당시 호라산 남부 쿠히스탄에 있던 니자르파의 태수(하킴)인 나시르 앗딘 무흐타심의 보호를 받아 인간의 도덕, 가족, 정치에 대한 윤리를 논한 『나시르의 윤리학』을 헌정했다. 무흐타심은 당시 철학 등 여러 학문에 정통하고 현명하며 관대한 인물로 알려져 있었으며, 『나시르 사화』의 저자인 주즈자니는 1224년부터 여러 차례 이 태수를 접견했는데, 그는 무흐타심을 호라산 지방 최고의 철학자이자 현자로 평가했다. 1220년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 제국군이 마와라안나흐르를 침공했고, 6월에는 제베가 호라즘 제국의 알라웃딘 무함마드를 쫓아 니샤푸르에 도착했다. 다음 1221년 2월에는 전년 11월 니샤푸르에서 칭기즈의 넷째 딸 툼루인의 사위인 토쿠차르가 전사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호라산 정복군을 지휘하던 톨루이에 의한 동시의 철저한 파괴가 기록되었으며, 투시는 이러한 전란을 피하기 위해 당시 학식과 인망이 모두 높았고 몽골의 전화를 면한 많은 사람들을 보호했던 무흐타심의 궁정에 다른 학자들과 함께 갔을 것으로 보인다.

이 쿠히스탄 시대에, 앞서 언급한 『나시르의 윤리학』 외에도 『복종의 정원』(Rauḍat al-taslīm), 『품행과 행동』(Sair wa Sulūk), 『우정과 거절에 대한 논문』(Risāla dar Tawallā wa Tabarrā) 등 많은 이스마일파의 교리에 관련된 저서와 논문을 저술했다.

2. 3. 훌레구의 서정과 마라게 천문대 건설

알투시는 1256년 몽골 지도자 훌레구의 군대가 공격한 알라무트 성에 있었다. 일부 자료에서는 알투시가 몽골군에게 알라무트의 방어를 배신했다고 주장한다.[27] 훌레구는 자신의 군대가 알라무트를 파괴한 후, 자연 과학에 관심이 많았던 훌레구는 알투시를 매우 존경하며 과학 고문이자 그의 측근 위원회의 상임 위원으로 임명했다.[27] 알투시는 1258년 몽골군이 바그다드를 공격하여 주민을 학살했을 때 훌라구 휘하의 몽골군과 함께 있었던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28] 쿠라이쉬 제국의 종말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9][30][31]

그 직후, 그는 종교 재단의 재정을 관리하는 전적인 권한을 부여받았고, 바그다드 포위 공격이 끝난 후 많은 시아파 사원을 방문했다.[28] [32] 권력의 자리에 있던 알투시는 페르시아와 이라크 전역에서 12이맘파 시아파의 대의를 강화할 수 있었다.[33]

칭기즈 칸의 원정으로 투스가 멸망하자, 그는 이스마일파 등으로 피신하며 전전하다가 결국 일 칸국훌레구 휘하에서 일하게 되었다. 훌레구는 투시를 위해 1259년 마라게에 천문대를 건설했으며, 그는 천문학 발전에 기여한 마라게 천문학자들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마라게에서 천문학을 배운 유명한 학자로는 무아야드 알딘 우르디, 의학자 쿠트부딘 시라지 등이 있다.

3. 주요 업적

나시르 알딘 알투시는 약 150편의 저서를 남겼으며, 이 중 25편은 페르시아어로, 나머지는 아랍어로 작성되었다.[36] 페르시아어, 아랍어, 오구즈어로 된 논문도 한 편 있다.[34] 그의 저술은 종교 및 비종교적 주제를 모두 다루었으며,[36] 유클리드, 아르키메데스, 프톨레마이오스 등 고대 학자들의 작품에 대한 최종적인 아랍어 번역본도 포함되어 있다.[36]

나시르 알딘 알투시의 천체 관측기 연구, 이스파한 1505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 ''세르 와 술루크 (여행)'' - 자서전[26]
  • ''키타브 알-샤클 알-카타 (Kitāb al-Shakl al-qattāʴ)'' - 완전 사변형에 관한 책으로, 5권으로 구성되어 삼각법을 요약하였다.
  • ''알-타드키라 피 일름 알-하야 (Al-Tadhkirah fi'ilm al-hay'ah)'' – 천문학 회고록. 압드 알-알리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알-후세인 알-비르잔디와 나잠 니샤푸리가 해설서를 썼다.
  • ''아클라크-이 나시리'' – 윤리에 관한 저서.
  • ''알-리살라 알-아스툴라비야 (al-Risalah al-Asturlabiyah)'' – 천체 관측기에 관한 논문.
  • ''지즈-이 일카니'' (''일칸 조 테이블'') – 1272년에 완성된 주요 천문학 논문.
  • ''샤르 알-이샤라트'' (''아비센나의 이샤라트에 대한 해설'')
  • ''아와사프 알-아슈라프'' - 페르시아어로 된 짧은 신비주의-윤리적 저서.[35]
  • ''타즈리드 알-이티카드'' (신념의 요약) – 시아파 교리에 대한 해설.
  • ''탈키스 알-무하살'' (요약의 요약).
  • ''마트루브 알-무미닌 (Maṭlūb al-muʾminīn)'' (신실한 자의 소망)[19]
  • ''아그하즈 우 안잠 (Aghaz u anjam)'' - 꾸란의 비의적 해석[20]


그의 시 한 구절은 다음과 같다.

> 아는 자, 자신이 안다는 것을 아는 자는,

> 지혜의 말을 타고 하늘의 궁창을 뛰어넘는다.

> 모르는 자,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아는 자는,

> 절름발이 조랑말이라도 목적지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 모르는 자,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자는,

> 영원히 무지의 늪에 빠져 있으리라.

니샤푸르에 머무는 동안 투시는 뛰어난 학자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그의 산문 저술은 150편이 넘어 이슬람 작가 한 명이 저술한 가장 방대한 컬렉션 중 하나로 꼽힌다.

3. 1. 천문학

투시는 훌레구 칸을 설득하여 더 정확한 점성술 예측을 위한 천문대를 건설하도록 했다. 1259년 아제르바이잔의 아라스 강 남쪽, 마라게 서쪽에 라사드 카네 천문대가 세워졌다.[37]

나시르 알딘 알투시의 천문대


이곳에서 투시는 ''Zij-i ilkhani'' (''일 칸의 천문표'')에 묘사된 행성 운동의 매우 정확한 표를 만들었다. 이 책에는 행성의 위치와 별의 이름을 계산하기 위한 천문표가 포함되어 있다. 그의 행성계 모델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시대에 지동설이 개발될 때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와 코페르니쿠스 사이에서 그는 많은 사람에게 그의 시대에 가장 뛰어난 천문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의 행성 모델을 위해, 그는 두 개의 원운동의 합으로부터 선형 운동을 생성하는 투시 커플이라고 불리는 기하학적 기술을 발명했다. 그는 이 기술을 사용하여 프톨레마이오스의 문제적인 이심원[40]을 많은 행성에 적용했지만, 이븐 알샤티르와 알리 쿠쉬지가 나중에 사용한 수성에 대한 해결책을 찾을 수 없었다.[41] 투시 커플은 나중에 이븐 알샤티르의 지구 중심 모델과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코페르니쿠스 모델에 사용되었다.[42] 그는 또한 춘분의 연차 세차 운동 값을 계산했으며, 아스트롤라베를 포함한 일부 천문 기기의 제작 및 사용에 기여했다.

투시는 지구가 정지해 있음을 보여주기 위해 관찰 증거를 사용한 프톨레마이오스를 비판하며, 그러한 증거가 결정적이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와 그의 16세기 해설자 알비르잔디는 지구의 부동성은 자연 철학에서 발견된 물리적 원리만을 통해 입증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43] 투시의 프톨레마이오스에 대한 비판은 나중에 코페르니쿠스가 1543년에 지구의 자전을 옹호하기 위해 사용한 주장과 유사했다.[44]

은하수의 실제 본질에 대해, 투시는 그의 ''Tadhkira''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

> 은하수, 즉 은하는 매우 많고 조밀하게 뭉쳐진 작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들의 밀집과 작음으로 인해 흐린 덩어리처럼 보인다. 이 때문에 그것은 색깔이 우유와 비슷하다고 여겨졌다.[45]

3세기 후, 은하수가 많은 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증거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망원경을 사용하여 은하수를 연구하고 그것이 실제로 수많은 희미한 별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발견한 1610년에 나왔다.[46]

투시의 저서 『세계의 구조 학습서(''al-Tadhkira fī ʿIlm al-Hayʾa'')』의 사본에 있는 「투시의 대원(Tusi-couple)」


1272년에 투시는 행성의 위치를 계산하고, 항성의 이름을 기록한 천문표 『일칸 천문표』를 작성했다. 그는 두 개의 원운동에서 직선상의 움직임을 얻는, '''투시의 대원''' (Tusi-couple) 이라고 불리는 행성 모형을 고안하여, 프톨레마이오스의 행성 운행 모형의 난점 중 하나였던 이심원의 제거에 성공했다. 지동설이 나타날 때까지, 투시의 우주 체계는 가장 진보해 있었다. 또한 천문학상의 분점의 세차 운동이 51초임을 계산했다.

3. 2. 수학

알투시는 천문학과 별개로 삼각법에 대한 논문을 최초로 저술했다.[48] 그의 ''사변형에 관한 논문''에서 천문학과 구별되는 구면 삼각법에 대한 광범위한 설명을 제공했다.[49] 알투시의 저서를 통해 삼각법은 오랫동안 연관되어 있던 천문학과는 별개의 순수 수학 분야로 자리 잡았다.[50][51]

그는 구면 삼각법에서 직각삼각형의 여섯 가지 경우를 처음으로 나열했다.[52] 이는 알렉산드리아의 메넬라오스가 저술한 구면 삼각법에 관한 책인 ''스파에리카''와 초기의 이슬람 수학자 아부 알와파 알부즈자니, 알자야니의 이전 연구를 따른 것이다.

그의 ''섹터 도형에 관하여''에는 평면 삼각형에 대한 유명한 사인 법칙이 나타난다.[53]

: \frac{a}{\sin A} = \frac{b}{\sin B} = \frac{c}{\sin C}

그는 또한 구면 삼각형에 대한 사인 법칙을 언급했고,[54][55] 탄젠트 법칙을 발견하여 이러한 법칙에 대한 증명을 제공했다.[53]

3. 3. 철학 및 윤리학

투시는 철학 분야에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의 철학 저서 중에는 동료 철학자 아비센나와의 논쟁도 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철학 저서는 나시르 윤리학이다.[65] 이 저서에서 그는 이슬람 가르침을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윤리와 비교하여 논한다. 투시의 책은 무슬림 세계, 특히 인도와 페르시아에서 인기 있는 윤리 서적이 되었다.[65] 투시의 저서는 시아파 이슬람 신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서 ''타르기드''(정화)는 시아파 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66] 그는 또한 논리학 분야에 다섯 편의 저서를 기고했으며, 이는 동시대 사람들에게 높이 평가받았고 무슬림 세계에서 명성을 얻었다.[66]

3. 4. 기타

알투시는 색상에 대해 아리스토텔레스 및 이븐 시나와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모든 색상이 흑색과 백색 사이의 단일 선상에 있다고 보았고, 이븐 시나는 흑색에서 백색으로 가는 세 가지 경로(회색, 빨간색, 녹색)를 설명했다. 반면 알투시는 레몬색(노란색), 피(빨간색), 피스타치오(녹색), 남색(파란색), 회색을 경유하는 최소 다섯 개의 경로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알투시의 색상 이론은 카말 알딘 알-파리시의 광학 교과서에 포함되어 19세기까지 중동에서 널리 퍼졌으며, 색 공간을 2차원으로 보는 데 영향을 주었다.[56]

알투시는 저서 『아흐라크-이 나시리』에서 생물학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밝혔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 사다리 개념을 변형하여 인간을 동물, 식물, 광물, 원소 위에 두었다. 그는 광물에 가장 가까운 존재로 "파종이나 경작 없이, 단지 원소의 혼합으로 자라는 풀"[58]을, 식물 중에서는 대추야자를 가장 발달된 존재로 보았다. 대추야자는 "스스로 땅에서 떨어져 영양을 찾아 이동하는 것"[58]만 제외하면 동물의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알투시는 "식물의 영역과 인접해 있는" 가장 낮은 동물로 지렁이와 특정 곤충들을 언급했다.[59] 그는 "완성 단계에 도달하는" 동물들은 뿔, 뿔, 이빨, 발톱과 같은 "완전히 발달된 무기"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기관들이 각 종의 생활 방식에 적응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는 자연 신학을 예견하는 것이었다.

알투시는 훈련된 를 예로 들며, "규율과 지시를 받아들이는 지혜와 인식을 가진" 종이 가장 고귀하다고 말했다. 그는 관찰 학습을 가장 진보된 학습 형태로 보았으며, 특정 동물들이 이를 통해 훈련 없이도 모방을 통해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알투시는 이러한 능력이 동물 계층의 최고점이며, 인간 계층의 첫 번째 단계와 인접해 있다고 보았다.[60]

알투시는 인간을 동물에 속한다고 보았지만, "인간 영혼을 소유함으로써, [...] 인류는 ''다른'' 동물들 사이에서 구별되고 특수화된다."[61]고 말했다.

일부 학자들은 알투시의 생물학적 저술에서 진화 이론의 초기 형태를 발견하기도 하지만, 알투시가 종의 변화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

알투시는 화학 분야에서 초기 질량 보존의 법칙을 언급했다. 그는 화학 반응을 통해 물질이 다른 물질로 변환될 수 있지만,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의 총 질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생각했다. 이는 닫힌 계의 총 질량이 화학 반응 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질량 보존의 법칙의 전조였다. 알투시는 화학적 변환이 자연 법칙에 의해 지배되며 관찰, 실험 및 논리적 추론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고 믿었다.[62][63][64]

알투시는 철학 분야에서도 많은 저술을 남겼으며, 동료 철학자 아비센나와의 논쟁도 포함되어 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철학 저서는 ''Nasirean Ethics''(나시르 윤리학)이다.[65] 이 책에서 그는 이슬람 가르침을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윤리와 비교하여 논했다. 투시의 책은 무슬림 세계, 특히 인도와 페르시아에서 인기 있는 윤리 서적이 되었다.[65] 그의 저서 ''타르기드''(정화)는 시아파 신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66] 그는 또한 논리학 분야에 다섯 편의 저서를 기고하여 무슬림 세계에서 명성을 얻었다.[66]

4. 영향 및 유산

남반구의 달에 있는 지름 60km의 충돌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나시레딘으로 명명되었다.[67] 1979년 소련 천문학자 니콜라이 스테파노비치 체르니흐가 발견한 소행성 10269 투시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8] 이란의 케. 엔. 투시 기술 대학교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의 샤마키 천문대 역시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13년 2월, 구글은 그의 812번째 생일을 두들로 기념했는데, 아랍어 웹사이트에서 그를 "알 파르시"(페르시아인)라고 칭했다.[69][70] 그의 생일은 또한 이란에서 기술자의 날로 기념된다.[71]

일부 학자들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가 알투시를 포함한 이슬람 학자들의 연구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고 믿는다.[11][12][13][14][15][16] 특히 투시 부부와 코페르니쿠스가 수학적 천문학에서 이쿼트를 제거하는 기하학적 방법의 유사성은 표절 의혹을 불러일으킨다.[13][15] 두 방법이 기하학적으로 일치할 뿐만 아니라, 둘 다 각 정점에 대해 동일한 문자 체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우연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13][15]

알투시의 연구가 코페르니쿠스에게 직접 전달되었다는 증거는 없지만, 수학과 이론이 유럽으로 전파되었다는 증거는 있다.[11][12] 유대인 과학자와 순례자들이 중동의 과학적 아이디어를 유럽으로 가져왔을 가능성이 있으며,[12] 아브너 오브 부르고스라는 유대인 학자가 알투시 부부의 불완전한 버전을 포함하는 책을 썼다는 사실도 이러한 가능성을 뒷받침한다.[11] 또한, 알투시의 천문대가 있는 마라게에서 스페인을 거쳐 유럽으로 이슬람 천문학 지식이 전달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1][12] 그레고리 초니아데스가 알투시의 연구를 그리스어로 번역했을 가능성도 있다.[12]

하지만 코페르니쿠스가 알투시의 연구를 표절했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으며, 표절이 아니라는 주장도 존재한다.[13][72][73][74] 투시 부부가 특별한 원리가 아니며, 유클리드의 연구를 통해 스스로 도출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72][73] 코페르니쿠스가 프톨레마이오스 천문학의 문제점에 대한 불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알투시의 연구 없이도 독자적으로 투시 부부를 발견했을 개연성이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73]

5. 저서

나시르 알딘 알투시는 약 150개의 저서를 남겼으며, 이 중 25개는 페르시아어로, 나머지는 아랍어로 작성되었다.[36] 또한 페르시아어, 아랍어, 오구즈어로 된 논문이 한 편 있다.[34]


  • ''세르 와 술루크 (여행)'' - 자서전[26]
  • ''키타브 알-샤클 알-카타 (Kitāb al-Shakl al-qattāʴ)'' - 완전 사변형에 관한 책. 삼각법을 요약한 5권의 책.
  • ''알-타드키라 피 일름 알-하야 (Al-Tadhkirah fi'ilm al-hay'ah)'' – 천문학에 관한 회고록. 이 작품에 대한 많은 해설서가 쓰여졌으며, 샤르 알-타드키라 (알-타드키라에 대한 해설)라고 불린다. 압드 알-알리 이븐 무함마드 이븐 알-후세인 알-비르잔디와 나잠 니샤푸리가 해설서를 썼다.
  • ''아클라크-이 나시리'' – 윤리에 관한 저서.
  • ''알-리살라 알-아스툴라비야 (al-Risalah al-Asturlabiyah)'' – 천체 관측기에 관한 논문.
  • ''지즈-이 일카니'' (''일칸 조 테이블'') – 1272년에 완성된 주요 천문학 논문.
  • ''샤르 알-이샤라트'' (''아비센나의 이샤라트에 대한 해설'')
  • ''아와사프 알-아슈라프'' - 페르시아어로 된 짧은 신비주의-윤리적 저서.[35]
  • ''타즈리드 알-이티카드'' (신념의 요약) – 시아파 교리에 대한 해설.
  • ''탈키스 알-무하살'' (요약의 요약).
  • ''마트루브 알-무미닌 (Maṭlūb al-muʾminīn)'' (신실한 자의 소망)[19]
  • ''아그하즈 우 안잠 (Aghaz u anjam)'' - 꾸란의 비의적 해석[20]
  • 『나시르의 윤리학』(Akhlāq al-Nāsirī: 페르시아어)
  • 『일칸 천문표』(Zīj-i Īl-khānī)


그의 시 한 구절:

>아는 자, 자신이 안다는 것을 아는 자는,

>지혜의 말을 타고 하늘의 궁창을 뛰어넘는다.

>모르는 자,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아는 자는,

>절름발이 조랑말이라도 목적지에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모르는 자,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모르는 자는,

>영원히 무지의 늪에 빠져 있으리라.

참조

[1] encyclopedia al-Tusi, Khwajah Nasir (1201-74) https://www.muslimph[...] Routledge
[2] MathGenealogy
[3] encyclopedia ṬUSI, NAṢIR-AL-DIN i. Biography http://www.iranicaon[...] 2018-08-05
[4] book The Arabic Version of Ṭūsī's Nasirean Ethics https://brill.com/di[...] Brill 2015
[5] book The great caliphs : the golden age of the 'Abbasid Empire Yale University Press 2009
[6] book The Mathematic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Early History of Trigonomet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7] 웹사이트 Al-Tusi_Nasir biography http://www-history.m[...] 2018-08-05
[8] book the cambridge history of scienc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ṬUSI, NAṢIR-AL-DIN i. Biography – Encyclopa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2018-08-05
[10] Webarchive James Winston Morris, "An Arab Machiavelli? Rhetoric, Philosophy and Politics in Ibn Khaldun’s Critique of Sufism", Harvard Middle Eastern and Islamic Review 8 (2009), pp 242–291. http://escholarship.[...] 2010-06-20
[11] journal Abner of Burgos: The Missing Link between Nasir al-Din al-Tusi and Nicolaus Copernicus? https://brill.com/vi[...] 2018-08-14
[12] journal A Scholarly Intermediary between the Ottoman Empire and Renaissance Europe https://www.journals[...] 2014-03
[13] book Early Physics and Astronomy: A Historical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1993-03-11
[14] 웹사이트 Nicolaus Copernicus https://plato.stanfo[...] 2004-11-30
[15] journal Copernicus, the Man, the Work, and Its History https://www.jstor.or[...] 1973
[16] journal Late 0Medieval Planetary Theory http://dx.doi.org/10[...] 1966-10
[17] 간행물 Khwajah Nasir al-Din Tusi: The philosopher/vizier and the intellectual climate of his times Routledge
[18] 간행물 Nasir al-Din Tusi Otto Harrossowitz
[19] journal Alamūt, Ismailism and Khwāja Qāsim Tushtarī's Recognizing God http://dx.doi.org/10[...] 2018-04-16
[20] journal Hierohistory in Qāḍī l-Nuʿmān's Foundation of Symbolic Interpretation (Asās al-Taʾwīl): The Birth of Jesus https://www.academia[...]
[21] 웹사이트 Sharaf al-Din al-Tusi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2] book The Eagle's Nest: Ismaili Castles in Iran and Syria I.B. Tauris
[23] 웹사이트 اسماعیلیان سده‌های میانه در سرزمین‌های ایران {{!}} The Institute of Ismaili Studies http://akdn2stg.prod[...] 2020-03-31
[24] book Encyclopedia of Medieval Philosophy: Philosophy Between 500 and 1500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
[25] book A History of Iran: Empire of the Mind Basic Books
[26] Citation Salvation and Imamate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1-17
[27] journal Khvājah Naṣīr al-Dīn Ṭūsī's "Āghāz va Anjām": An Introduction and Abridged Translation https://www.jstor.or[...] 2001
[28] 웹사이트 Nasir al-Din al-Tusi - Biography https://mathshistory[...] 2022-07-04
[29] book The history of Habib al Sir https://noorlib.ir/b[...] Khayyaam 2001
[30] book Rozat al Jannaat https://lib.eshia.ir[...] Esma'ilian 1970–1971
[31] book The biography and philosophical ideas of Khawja Nasir al-Din Tus Amir Kabir 2001
[32] encyclopedia al-Ṭūsī https://referencewor[...] Brill 2022-07-04
[33] book The History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From the Prophet to the Present https://www.jstor.or[...]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1
[34] 간행물 The Islamic Intellectual Tradition in Persia Curzon Press
[35] journal A New Look at Ṭūsī's Awṣāf al-ashrāf 2020-04-29
[36] 간행물 Tusi Brill 2007
[37]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https://books.google[...] BRILL 2014-11-28
[38] MathGenealogy
[39] MathGenealogy
[40] 서적 The cosmos: a historic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6
[41] 논문 Al_Qushj%C4%ABs_Reform_of_the_Ptolemaic_Model_for_Mercury https://www.academia[...] Arabic Sciences and Philosophy 1993
[42] 서적 Revisiting the Astronomical Contacts Between the World of Islam and Renaissance Europe: The Byzantine Connection https://books.google[...] The occult sciences in Byzantium 2006
[43] 간행물 Freeing Astronomy from Philosophy: An Aspect of Islamic Influence on Science http://digitool.Libr[...] 2001
[44] 논문 "Tusi and Copernicus: The Earth's Motion in Contex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5] 서적 Nasir al-Din Tusi’s Memoir on Astronomy (al-Tadhkira fi `ilm al-hay’ a’) Edition, Translation, Commentary, and Introduction Springer-Verlag 1993
[46] 웹사이트 Galileo Galilei https://archive.toda[...] University of St Andrews 2007-01-08
[47] 웹사이트 Arabic and Islamic Philosophy of Language and Logic http://plato.stanfo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08-12-05
[48] 백과사전 trigonometry https://www.britanni[...] 2011-04-25
[49]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s: An Introduction Addison Wesley 1993
[50]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Motilal Banarsidass 2003
[51] 서적 The genius of Arab civilization : source of Renaissance Taylor & Francis 1983
[52] 웹사이트 One of al-Tusi's most important mathematical contributions was the creation of trigonometry as a mathematical discipline in its own right rather than as just a tool for astronomical applications. In Treatise on the quadrilateral al-Tusi gave the first extant exposition of the whole system of plane and spherical trigonometry. This work is really the first in history on trigonometry as an independent branch of pure mathematics and the first in which all six cases for a right-angled spherical triangle are set forth http://www-history.m[...]
[53] 서적 The Mathematics of Egypt, Mesopotamia, China, India, and Islam: A Sourcebook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54] 기타 Also the 'sine law' (of geometry and trigonometry, applicable to spherical trigonometry) is attributed, among others, to Alkhujandi. (The three others are Abul Wafa Bozjani, Nasiruddin Tusi, and Abu Nasr Mansur). University of Peshawar 1991
[55] 기타 Bijli suggests that three mathematicians are in contention for the honor, Alkhujandi, Abdul-Wafa and Mansur, leaving out Nasiruddin Tusi. Idarah-i Adabiyat-i Delli 2004
[56] 간행물 Color theory and color order in medieval Islam: A review 2013
[57] 간행물 A three-dimensional color space from the 13th century 2012
[58] 서적 The Nasirean Ethics Allen & Unwin 1964
[59] 서적 The Nasirean Ethics Allen & Unwin 1964
[60] 서적 The Nasirean Ethics Allen & Unwin 1964
[61] 서적 The Nasirean Ethics Allen & Unwin 1964
[62] 간행물 Conservation of Mass in Fourteenth Century Chemistry 1979
[63]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Mass in the Arabic-Islamic Golden Age: Physics, Metaphysics, and Chemistry 2002
[64] 간행물 Nasir al-Din al-Tusi and the Problem of the Equilibrium of Weights 1991
[65] 서적 Light from the East http://dx.doi.org/10[...] 2011
[66] 서적 Light from the East: How the Science of Medieval Islam Helped to Shape the Western World https://www.bloomsbu[...] I.B.Tauris 2011
[67] 간행물 2003ASPC..289..157B Page 157 Adsabs.harvard.edu 2003
[68] 서적 10269 tusi - Mano biblioteka - Google knygos https://books.google[...] 2013-02-27
[69] 웹사이트 Nasir al-Din al-Tusi's 812th Birthday https://doodles.goog[...] 2013-02-19
[70] 뉴스 In Persian نگاه عربی به خواجه نصیرالدین طوسی در گوگل http://www.bbc.co.uk[...] 2013-02-19
[71] 웹사이트 مرکز تقويم موسسه ژئوفيزيک دانشگاه تهران http://calendar.ut.a[...] 2020-02-24
[72] 논문 Copernicus and Nasīr Al-DĪn AL-TŪSĪ https://doi.org/10.1[...] 1973-06-01
[73] 논문 A Critique of the Arguments for Maragha Influence on Copernicus http://dx.doi.org/10[...] 2014-04-15
[74] 웹사이트 A rebuttal of recent arguments for Maragha influence on Copernicus http://dspace.librar[...] 2018
[75] 문서 Muḥammad ibn Muḥammad ibn Ḥasan Ṭūsī 、[[:en:Nasir_al-Din_al-Tusi]]
[76] 웹사이트 "Tusi, Nasir al-Din al." .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7 December 2007 http://www.britannic[...] 2021-05-09
[77]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Middle East Westview Press 2005
[78]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Arab Empire and the founding of Western pre-eminence Spellmount 2006
[79] 서적 A Syriac encyclopaedia of Aristotelian philosophy: Barhebraeus (13th c.), Butyrum sapientiae, books of ethics, economy, and politics: a critical edition, with introduction, translation, commentary, and glossaries Brill 2004
[80] 웹사이트 Tusi http://www.dictionar[...]
[81] 서적 The great caliphs : the golden age of the 'Abbasid Empir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09
[82] 서적 The Mathematic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The Early History of Trigonomet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