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각정보조사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각정보조사실은 일본 내각총리대신 직속 정보기관으로, 국내외 정치, 경제, 치안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내각의 정책 결정에 기여한다. 1952년 창설 이후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현재의 조직 체계를 갖추었으며, 내각정보관을 중심으로 총무, 국내, 국제, 경제 부문과 내각정보집약센터, 내각위성정보센터 등을 운영한다. 과거 군 정보기관의 역사를 계승하여 정보 수집 능력을 발전시켜 왔으며, 특히 1996년 내각정보집약센터 설치를 통해 재해 및 비상 사태에 대한 정보 수집 체계를 강화했다. 또한, 정보 수집 위성 운용 및 분석을 담당하는 내각위성정보센터를 통해 영상 정보 수집 능력을 갖추고 있다. 내각정보조사실은 정치적 중립성 문제와 과거사 문제 등 비판과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내각관방 - 일본 내각관방
일본 내각관방은 내각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핵심 기관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 위기 관리, 홍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시대적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편된다. - 일본의 내각관방 - 일본의 내각관방장관
일본의 내각관방장관은 내각총리대신을 보좌하며 내각의 사무를 통괄하고 정부 대변인 역할을 수행하며 행정 각 부의 조정 및 국회와의 조정 역할을 담당하는 직위이다. - 일본의 정보기관 - 일본 공안조사청
일본 공안조사청은 법무성 산하 정보기관으로, 국내외 단체 및 테러 조직에 대한 정보 수집, 분석, 평가를 수행하며, 감시대상을 확대하고 경제 안보 부서를 신설하여 기술 유출 방지에도 주력하고 있다. - 일본의 정보기관 - 헌병 (일본군)
일본군 헌병은 1881년 프랑스 제도를 모방하여 설치된 군사경찰 조직으로, 군사 및 행정, 사법경찰 역할을 수행하며 한일신협약 이후 한국 독립운동 억압, 태평양 전쟁 시기 점령지에서 악명을 떨쳤고, 전쟁 범죄에도 관여하여 전범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다. - 나가타초 - 5·15 사건
5·15 사건은 1932년 일본 해군 청년 장교들이 이누카이 쓰요시 총리를 암살하고 주요 시설을 공격했으나 실패한 쿠데타 미수 사건으로, 정당 내각 붕괴와 군부 영향력 강화로 이어져 일본이 군국주의 시대로 접어드는 계기가 되었다. - 나가타초 - 국립국회도서관
국립국회도서관은 일본 제국의회의 도서관과 제국도서관을 계승하여 미군 점령기의 민주화 과정을 거쳐 1948년 개관, 1949년 국립도서관과 통합되었으며, 현재 법정납본제도를 통해 수집된 방대한 자료를 국회 및 대중에게 제공하는 일본의 국립도서관이자 국회도서관이다.
| 내각정보조사실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기관명 (한국어) | 내각정보조사실 |
| 기관명 (로마자 표기) | Naikaku Joho Chosasitsu |
| 약칭 | Naicho (나이초) |
| 설립 | 1986년 (내각정보조사실 설립) |
| 전신 | 조사실 (1952년) 내각조사실 (1957년) |
| 관할 | 일본 정부 |
| 본부 | 도쿄도 나가타초 |
| 직원 수 | 170–175명 |
| 상위 기관 | 내각관방 |
| 웹사이트 | 내각정보조사실 공식 웹사이트 |
![]() | |
| 지휘부 | |
| 정보관 | 하라 카즈야 |
| 추가 정보 | |
| 참고 | 일본의 정보 기관으로, 내각관방 소속이다. |
2. 역사
1952년 4월,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 미국이 제안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의 정보기관은 내각정보국, 정보본부, 공안조사청의 3개 기관으로 분리 운용되기 시작했다.
내각정보조사실의 초기 명칭은 관방조사실로, 1952년 총리부 설치령에 따라 관방장관 산하 소규모 기관으로 창설되었다. 당시 미·소 냉전의 영향으로 공산권 정보 수집에 주력했으며, 국내외 정보 수집 및 분석, 특히 소련 공산주의에 대응한 반공 선전 활동을 담당했다. 1957년 내각조사실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가정보기관으로 탈바꿈했으며, 1976년 다시 내각정보조사실로 개칭하고 기능을 보강했다. 1986년 나카소네 내각 시기에는 '내각 종합 조정 기능'을 추가하여 정보 권력기관으로 강화되었다. 2001년에는 행정 개혁에 따라 내각정보조사실장이 내각 정보관으로 승격되고, 위성 정보 등의 임무가 추가되었다.
조직은 내각 정보관 아래 차장, 5개 부문(총무, 국내, 국제, 경제, 내각정보집약 센터), 1개 분석관, 1개 센터(내각 위성정보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업무는 총리 정책 수행을 위한 정보 수집 및 분석, 각 부처와의 연락 및 조정, 외교안보분야 부처 정보의 종합 관리 등이다. 인력 규모는 1995년 120명, 2004년 160여 명 수준이며, 2001년 신설된 내각위성정보센터 인력(320명)을 포함하면 더 늘어난다.
총리관저의 정보수집 능력 강화와 국가안전보장국(일본 NSA)과의 공조를 위해 내각정보관을 3명으로 늘리고, 그중 1명을 국장격인 '내각정보감'으로 임명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이들은 경찰청, 외무성, 방위성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총리에게 보고하고,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외교·안보정책 판단 재료로 활용한다.
일본 정보기관의 기원은 1880년대 군 정보기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에는 군 정보기관과 경찰 중심의 민간인 사찰이 주 임무였다. 1900년대 초 군 헌병대 특무부대를 중심으로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 만주국 수립과 중국 침공을 주도했다. 태평양 전쟁 당시 나가노 정보학교와 만주철도주식회사 조사부를 통해 정보 엘리트를 양성했다. 1928년 장작림 폭사사건, 1931년 유조구 열차 폭파 사건 등이 이들의 공작으로 밝혀졌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과의 첩보전에서 패배했지만, 전후에는 산업, 경제 부문에 집중하여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
내각정보조사실은 1952년 무라이 준을 초대 실장으로 하여 중앙정보국(CIA)의 구조를 모방한 내각총리대신 관방조사실일본어로 창설되었다.[9] 그러나 반대와 관료주의 파벌주의로 인해 계획은 폐기되었다.[9] 1957년 내각조사실|Naikaku Chōsa-Shitsu일본어로 변경되었고,[1] 1986년 CIRO로 개칭되었다.[1]
1996년 4월 11일, 비상사태 발생 시 총리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내각집중정보센터가 일본 총리 관저에 설립되었다.[7] 2007년 8월, '대(對)정보 기능 개선' 문서를 통해 정보 개혁 논의가 이루어졌고, 대(對)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10] 2013년, CIRO의 위성 영상 분석은 태풍 하이옌 피해 복구를 지원했다.[12] 2015년부터 CIRO 요원은 국제 대테러 정보 수집 부대에 파견되고 있다.[13][14] 2016년, Facta는 아베 신조 정부가 CIRO에 데이비드 케이 관련 법률 고문을 감시하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다.[15] 2024년 1월 12일, 미쓰비시 중공업과 내각위성정보센터는 광학 8호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16]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활동 (1952년 ~ 1986년)
1952년 4월,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 미국이 제안하여 만들어졌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일본의 정보기관은 크게 3대 기관으로 분리돼 운용되고 있다. 국가적으로 중추적 역할을 하는 내각정보국, 군사 정보를 담당하는 정보본부, 국내 치안을 담당하는 공안조사청이다.일본의 가장 중추적 정보기관인 내각정보조사실의 초기 명칭은 관방조사실이다. 1952년 총리부 설치령에 따라 관방장관 산하에 창설된 소규모 기관이 시초다. 창설 당시가 세계적으로 미·소 냉전으로 첨예하게 대립하던 때라 이 기관은 미국의 요구에 따라 공산권 정보 수집에 많은 노력을 할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초기 이들의 활동은 국내외의 각종 정보는 물론이고 주로 대공 정보를 포함한 주변국 동향에 대한 정보 수집, 분석이 주임무였다고 한다. 특히 소련의 공산주의에 대응한 반공 선전 홍보 활동도 관방조사실의 역할이었다. 이후 조직이 확대되면서 1957년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명칭을 내각조사실로 바꾸고 사실상 국가정보기관으로 탈바꿈했다. 1976년 다시 명칭을 지금의 내각정보조사실로 바꾸는 한편 직제 개편을 통해 기능과 인력을 대폭 보강하는 등 변화를 거듭했다. 1986년 나카소네 총리 재임 시기에도 또 한차례 변화를 겪는데 당시, 나카소네는 기존 조사실의 정보 기능에 '내각 종합 조정 기능'을 더해, 명실상부한 정보 권력기관으로 탈바꿈 시켰다.[1]
내각정보조사실의 기원은 1952년(쇼와 27년) 총리부에 설치된 '''내각총리대신 관방조사실'''이다.[45] 조사실 설치의 배경은 "치안 관계자뿐만 아니라 각 성 각 기관이 제각각이라고 해도 좋을 국내외 정보를 하나로 모아 이를 분석, 정리하는 연락 기관 사무 기관을 내각에 두어야 한다", "외무성 정보국을 대신할 내각 직속의 정보 기관이 필요하다"[46]는 요시다 시게루 수상의 의향을 받아, 전전에 아사히 신문사 부사장과 정보국 총재를 역임한 오가타 다케토라 부총리와, 전 내무 관료로 국가 지방 경찰 본부 경비과 과장이었던 무라이 준을 중심으로 '''일본판 CIA 구상'''의 선구로서 창설되었다.
요시다 시게루는 이 조사실을 토대로 조직 확장 또는 별도 조직 설립을 통해 일본의 인텔리전스 기능을 강화하려 하였고, 국경이 "내각 정보실 설치 운용 요강"을, 외무성이 "내각 정보국 설치 계획서"를, 법무부 특별심사국이 "파괴활동의 실태를 국민에게 주지시키는 방법 등에 대하여"를 각각 제출하는 등 정보 기관 설치에 관해 경찰, 외무, 법무 각 성청이 각각 안을 제출했다. 최종적으로 무라이 준의 안이 통과되어 조사원은 각 성청에서 파견되었다. 1952년 (쇼와 27년) 4월 9일에 총리부 내부 부국 조직 규정(총리부령)의 일부 개정에 따라, 내각 심의실의 조사 부문을 독립시켜[47], '''내각총리대신 관방조사실'''이 설치되었다. 이 외에 법무부 특별심사국을 발전시킨 공안조사청도 법무성의 외청으로서 설치되었다. 동시기에 아리마스 세이조나 다쓰미 에이이치 등 구(舊) 군인 그룹에 의해 "내각 조사실 별반"의 설립이 제창되어 "목린회"가 발족, 후에 세계정경조사회가 되었다.[48]
그러나, 이후 조사실이 대규모 "중앙 정보 기관"이 되는 일은 없었다. 원인 중 하나는 당시의 여론이다. 오가타 다케토라는 내조를 "전 세계 정보를 모두 캐치할 수 있는 센터로 만들겠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에 대해 요미우리 신문을 중심으로 하는 전국 3개 신문이 "내조의 신설은 전전의 (매스컴 통제와 선전을 담당했던) 내각 정보국의 부활이다"라며 반대 운동을 펼쳤다. 이로 인해 내각 정보국 창설 구상은 후퇴를 면치 못하게 되었다.[49] 또 하나는 내무 관료와 외무 관료의 영역 다툼이었다. 인텔리전스에 대한 이해가 있었던 오가타가 1956년에 사망한 것도 컸다.
1957년 (쇼와 32년) 8월 1일에는 내각법 (법률)의 일부 개정, 내각 관방 조직령 (정령)의 시행 및 총리부 본부 조직령 (정령)의 일부 개정에 따라, 내각총리대신 관방조사실이 폐지됨과 동시에, 내각 관방의 조직으로서 '''내각조사실'''이 설치되었다.
1955년에는 국제부에 '군사반'이 설치되어, 전 해군 중좌인 쿠스미 타다오 등을 중심으로 베트남 전쟁의 추이와 오키나와에 주둔하는 미국군의 동향 등을 관찰했다.
60년 안보를 계기로 내각 조사실은 논단의 흐름을 추적하게 되었고, 안전 보장론의 육성을 위해 나카무라 키쿠오, 고사카 마사타카, 와카이즈미 케이, 코타니 슈지로 등 현실주의적인 논객들의 결집을 돕고, 논의를 보급하는 등 했다[50]。
1977년(쇼와 52년)1월 1일에는 내각 조사실 조직 규칙의 시행에 따라 내부 체제가 '''총무 부문''', '''국내 부문''', '''국제 부문''', '''경제 부문''', '''자료 부문'''의 5개 부문으로 된다.
제1차 나카소네 내각 시대에는 당시 내각 관방 장관이었던 고토다 마사하루의 결단에 의해[50] 지금까지 내각 관방 장관에게 행해지던 '장관 보고'가 '총리 보고'로 격상되어, 세계적 스탠다드인 정부 수뇌에게 직접 보고 체제가 확립되었다.
1986년(쇼와 61년)7월 1일에 내각 관방 조직령의 일부 개정에 의해, '내각 조사실'에서 현재의 '''내각 정보 조사실'''이 된다 (5개 부문 체제는 계승).
2. 2. 냉전 이후의 변화 (1986년 ~ 현재)
1986년 나카소네 총리 재임 시기, 내각정보조사실은 기존 조사실의 정보 기능에 '내각 종합 조정 기능'을 더해 정보 권력기관으로 변화하였다.[1] 2001년에는 행정 개혁에 따라 내각정보조사실장이 내각 정보관으로 승격되었고, 정보 체계도 크게 확충되면서 위성 정보 등의 임무도 부여받게 되었다.총리관저의 정보수집 능력을 높이고 국가안전보장국(일본 NSA)과의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내각정보관을 3명으로 늘려 국내, 대외, 방위의 3분야를 담당토록 하고, 3명 가운데 1명을 국장격인 '내각정보감'으로 임명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3명의 정보관은 경찰청, 외무성, 방위성 등에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총리에게 보고하고, 이 정보는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외교·안보정책 판단 재료로 활용된다.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정부 대응이 늦어진 교훈으로 1996년 내각 정보 집약 센터가 추가되었고, 총리 관저의 정보 수집 체제와 위기 관리 체제 개혁이 이루어졌다.[52] 1996년 4월 11일, 심각한 비상사태 발생 시 총리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내각집중정보센터가 일본 총리 관저에 설립되었다.[7]
북한의 미사일과 핵무기도 중요한 과제였다. 1994년 미·북 정상 회담에서 미국은 호소카와 모리히로 총리에게 강경책을 시사했고, 호소카와는 내각정보조사실에 북한 정세 정보 수집을 지시했다. 내각정보조사실은 "공습은 최후의 수단이며, 해상 봉쇄나 공해상에서의 검문이 주가 될 것이다"라는 정세 전망을 했다.[53] 북한 공작원에 의한 파괴 활동에 대비하여 한국 전쟁 당시의 파괴 공작 상황에 대해 연구를 실시했다.[53] 김일성 사망 시, 미국의 정보와 조선인민군의 동향을 파악하여 체제가 안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54]
1998년 북한의 대포동 1호 발사 이후 정보 수집 위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고, 1999년 정보 수집 위성 도입 준비실이 설치되어 본격적인 계획이 시작되었다. 1996년 ~ 1998년 하시모토 정권에서 고토다 마사하루의 발안으로 내각 정보국 설치 법안이 준비되어, 전전의 정보국 부활을 목표로 했다.[55]
2001년 중앙 성청 재편에 따라 내각 정보 조사실장이 폐지되고 '''내각 정보관'''으로 개칭되었다. 같은 해 4월 1일 내각 위성 정보 센터가 설치되었다. 7월 1일에는 자료 부문이 '''정보 관리 부문'''으로 개칭되었지만, 2004년 4월 1일에는 업무는 총무·국내·국제의 3개 부문으로 분산 승계되어 정보 관리 부문은 폐지되었다.
2006년 12월 25일, 각 정부 기관의 상호 연계를 도모하기 위해 "'''카운터 인텔리전스 추진 회의'''"의 설치가 결정되었고[56], 2007년 "카운터 인텔리전스 기능 강화에 관한 기본 방침"이 정해졌다.[57] 같은 해 8월, ''대(對)정보 기능 개선''이라는 문서를 통해 정보 개혁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대(對)정보센터가 설립되었다.[10] 대(對)정보센터는 CIA와 유사한 실제 대외 정보 기관 창설의 기반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다.[11]
2008년 4월 1일, 내각 정보 분석관이 신설되고, 내각 위성 정보 센터의 "관제부"가 "기술부"로 개편되었다. 정부 내의 방첩을 다루는 "'''카운터 인텔리전스 센터'''"도 설치되었다.[58]
2013년 CIRO의 위성 영상 분석은 태풍 하이옌 피해를 입은 타클로반의 비정부 기구(NGO)의 재건 작업을 지원하는 데 사용되었다.[12] 같은 해 11월 13일, 태풍 30호의 피해 상황을 정보 수집 위성의 화상 정보, 공개 정보 등을 기초로 작성한 레이테 섬 타클로반의 태풍 피해 상황 추정 지도를 NGO 등의 활동 지원을 위해 일반 제공을 시작했다.[59]
2013년 12월, 제2차 아베 내각에서 "국가 안전 보장 회의" (일본판 NSC)가 설립되었고, 2014년 1월, 국가 안전 보장 회의의 사무국 "국가 안전 보장국"이 설립되었다. 국가 안전 보장국 정보반장 (내각 참사관)에는 내각정보조사실 출신 경찰 관료가 취임하여 정보 면에서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42]
2015년부터 CIRO 요원은 일반적으로 국제 대테러 정보 수집 부대에 파견되도록 모집되고 있다.[13][14]
2016년, Facta는 아베 신조 정부가 CIRO에 데이비드 케이와 관련된 법률 고문을 감시하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데이비드 케이는 표현의 자유에 관한 유엔 특별 보고관으로서 일본의 언론 독립 쇠퇴에 대해 "깊고 진정한 우려"를 표명했다.[15]
2024년 1월 12일, 미쓰비시 중공업과 내각위성정보센터는 광학 8호 위성의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로켓에서 분리되어 궤도에 진입했다고 발표했다.[16]
2. 3. 스파이 스캔들 (2008년)
2008년 1월 17일, 내각정보조사실 관계자가 러시아를 위해 첩보 활동을 하고 기밀 정보를 넘긴 혐의로 기소되었다. 러시아는 이 혐의를 부인했다.[17] 이후 내각정보조사실에 대한 더 큰 책임 요구가 있었다.[18]3. 조직
내각정보조사실의 조직은 총책임자인 내각정보관 아래 차장, 5개 부문(총무부문, 국내부문, 국제부문, 경제부문, 내각정보집약센터)과 1개 분석관(내각정보분석관), 1개 센터(내각위성정보센터)로 구성된다.[19] 각 부문장은 관례적으로 '주간'으로 불린다.[61]
| 부문 | 역할 |
|---|---|
| 총무부문 | 인사, 예산, 학계 전문가 관리[19], 실내 종합 조정, 종합 분석, 정부 전체의 정보 기능 강화[73] |
| 국내부문 | 국내 언론(신문, 잡지, 방송) 기반 정보 수집[19], 국민 의견 및 정치 정보, 국내 신문, 방송, 잡지 등의 논조 분석[73] |
| 국제부문 | 해외 주재 요원 포함, 외국 언론 및 방송 기반 정보 수집[19], 국외 정책 정보 수집 및 분석, 각국 정보기관과의 정보 교환(코린토), 방위성 정보본부의 시긴트(전파 감청) 정보 처리[73] |
| 경제부문 | 국내/국제 경제 정보 연구[19], 국내외 경제 상황 분석[73] |
| 내각정보집약센터 | 재해 및 비상사태 관련 정보 확보[19], 방위성, 경찰청, 소방청, 해상보안청 파견 요원 20명 근무[19] |
| 내각정보분석관 | 특정 지역 및 분야 분석[73] |
| 내각위성정보센터 | 감시 위성 네트워크(예: IGS-광학 및 IGS-레이더 시리즈) 운영[20], 위성 영상 데이터 획득 및 분석[21], 차장 직위는 경찰청 고위 간부[22] |
- 내각상황실
- 내각 대테러 정보 조정 센터
- 국제테러정보집약실: 국제테러정보수집유닛 활동 조정, 국제 테러 정보 집약, 정보 수집 연락 조정[73], 내각관방부장관(사무)이 실장, 내각정보관이 실장 대리 겸임[73]
내각위성정보센터는 내각정보관의 관리에만 속하며, 다른 부서보다 상위로 차장과 동격이다.[62] 자체 센터 소장 및 차장 아래 내부 조직(분과, 부센터 등)을 두고 정보 수집 위성 관리 및 분석을 통합 수행한다.[62]
내각정보조사실은 자체 채용 직원 외에 여러 성청(省庁)에서 파견된 직원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경찰청 출신이 많다.[43] 2005년 기준, 병임자를 포함하여 내각정보조사실 직원은 약 70명, 경찰청 파견 약 40명, 공안조사청 파견 약 20명, 방위성 파견 약 10명, 외무성, 총무성, 소방청, 해상보안청, 재무성, 경제산업성 등에서 약간 명으로 총 170명 정도였다.[66]
4. 주요 활동 및 쟁점
내각정보조사실은 1952년 요시다 내각이 미국의 제안으로 창설한 기관으로, 초기에는 관방조사실이라는 이름으로 총리부 설치령에 따라 관방장관 산하 소규모 기관으로 시작했다. 당시 미소 냉전의 영향으로 공산권 정보 수집에 주력했으며, 국내외 정보와 주변국 동향 분석, 특히 소련 공산주의에 대응한 반공 선전 및 홍보 활동을 펼쳤다.[19] 1957년 내각조사실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가정보기관으로 전환, 197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하며 기능과 인력을 강화했다. 1986년 나카소네 총리 시절에는 '내각 종합 조정 기능'을 추가하여 정보 권력기관으로 변모했다. 2001년 내각정보조사실장이 내각정보관으로 승격되고, 위성 정보 임무를 부여받았다.[19]
내각정보조사실은 총리 직속 정보기관으로, 내각의 중요 정책 관련 국내외 정치, 경제, 치안 정보를 총리 관저에 보고한다.[60] 조직은 내각정보관 아래 차장, 5개 부문(총무, 국내, 국제, 경제, 내각정보집약센터), 1개 분석관, 1개 센터(내각위성정보센터)로 구성된다. 내각위성정보센터는 내각정보관 직속 지휘를 받으며, 국내외 동향을 감시한다.[19] 각 부문장은 '주간'으로 불린다.[61]
내각정보조사실은 각 부처 해외 업무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외교안보 부처 정보수집 부서의 분석 정보도 종합 관리한다.[19] 원천 정보 직접 수집보다는 각 기관 정보를 종합 관리하는 역할로, 인력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다. 1995년 120명, 2004년 160명 수준이었고, 현재 200명 안팎으로 추정된다. 단, 2001년 신설된 내각위성정보센터 인력(출범 당시 320명)을 고려하면 전체 규모는 크게 늘어난다.[19]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을 계기로 1996년 내각정보집약센터가 신설되었다. 북한의 미사일 및 핵무기 문제도 중요 과제였다.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 이후 정보 수집 위성 필요성이 대두, 1999년 준비실 설치, 2001년 내각 위성 정보 센터가 설치되었다.[19] 2006년 "카운터 인텔리전스 추진 회의" 설치, 2008년 내각 정보 분석관 및 "카운터 인텔리전스 센터" 설치.[19] 2013년 태풍 30호 피해 관련 레이테 섬 타클로반 피해 추정 지도 제공.[19]
2013년 국가 안전 보장 회의(일본판 NSC), 2014년 국가 안전 보장국 설립으로 정보 연계가 강화되었다.[19] 내각정보관은 3명으로 증원, 국내/대외/방위 분야 담당, 1명은 국장급 '내각정보감'이다. 이들은 경찰청, 외무성, 방위성 등에서 정보 수집/분석, 총리 보고하며, 국가안전보장회의 외교·안보정책 판단 자료로 활용된다.[19]
내각정보조사실 직원은 내부 직원과 인텔리전스 커뮤니티 출신 파견자로 구성된다. 내부 직원은 국가공무원 일반직(구 II종) 합격자 중 우수 인재를 매년 수 명 내각 사무관으로 채용, 경찰대학 어학 연수, 재외공관 파견 등 경력 개발을 거쳐 정보 전문가로 육성한다. 내각 중요 정책 정보 수집·분석에 장기간 관여하는 특수성이 있다.[64] 2005년 기준 직원 구성은 내각정보조사실 자체 채용 약 70명, 경찰청 파견 약 40명, 공안조사청 파견 약 20명, 방위청 파견 약 10명, 기타 성청 파견 약간 명 등 총 170명 규모였다.[66]
민주당 정권에서는 오자와 그룹 동향, 민주당 대표 선거 표 계산, 지방 의회 정세 등 국내 정치 정보 수집에 관여했다.[69] 아베 신조 정권에서는 선거 유세 '고향 소재' 수집, 정치인 스캔들 수집, 각료 후보 신원 조사, 정국 및 여론 동향 조사 등 정치적 정보 수집 경향을 보였다.[71]
세계정경조사회, 국제정세연구회, 국민출판협회 등은 간부에 내각정보조사실 및 경찰 퇴직자가 취임하고, 자금도 내각정보조사실에서 주로 지출, 사실상 "별동대" 역할, 공개 정보 기반 해외 정세 및 국내 미디어 동향을 분석한다.[85]
4. 1. 정보 수집 및 분석
내각정보조사실은 1952년 4월, 요시다 내각이 미국의 제안을 받아들여 만들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일본의 정보기관은 크게 세 기관으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는데, 내각정보조사실은 국가적으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군사 정보는 정보본부, 국내 치안은 공안조사청이 담당한다.[19]초기 명칭은 관방조사실로, 1952년 총리부 설치령에 따라 관방장관 산하에 창설된 소규모 기관이었다. 당시 세계적으로 미소 냉전이 심화되면서 미국의 요구에 따라 공산권 정보 수집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초기 활동은 국내외 정보는 물론, 주변국 동향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이 주 임무였으며, 특히 소련 공산주의에 대응한 반공 선전 홍보 활동도 수행했다. 1957년 정부 조직 개편에 따라 내각조사실로 명칭을 변경하고 국가정보기관으로 탈바꿈했으며, 1976년 현재의 내각정보조사실로 명칭을 변경하고 기능과 인력을 보강했다. 1986년 나카소네 총리 재임 시기에는 정보 기능에 '내각 종합 조정 기능'을 더해 정보 권력기관으로 변화했다. 2001년에는 내각정보조사실장이 내각 정보관으로 승격되고, 정보 체계가 확충되면서 위성 정보 등의 임무도 부여받았다.[19]
내각정보조사실의 조직은 총책임자인 내각 정보관 산하에 차장이 있고, 그 아래 5개 부문(총무, 국내, 국제, 경제, 내각정보집약센터)과 1개 분석관, 1개 센터(내각 위성정보 센터)를 두고 있다. 내각 위성정보 센터는 내각 정보관이 직접 지휘하며 국내외 동향을 감시한다. 내각정보조사실은 국가 수반인 총리의 중요 정책 수행을 위한 정보 수집과 분석을 주로 하며, 각 부처와의 연락 및 조정 업무도 담당한다. 또한, 각 부처의 해외 업무에도 영향력을 행사하여 외교안보분야 부처의 정보수집 부서가 분석한 정보에 대해서도 종합, 관리한다.[19]
내각정보조사실은 원천 정보를 직접 수집하기보다는 각급 정보기관이 얻은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인력 규모는 크지 않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1995년 120명, 2004년 160명 수준이었으며, 현재는 200명 안팎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2001년 신설된 내각위성정보센터의 인력이 출범 당시 320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전체 인력은 크게 늘어난다.[19]
총리관저의 정보수집 능력을 강화하고 국가안전보장국(일본 NSA)과의 공조를 강화하기 위해 내각정보관을 3명으로 늘려 국내, 대외, 방위 3분야를 담당하게 하고, 그중 1명을 국장격인 '내각정보감'으로 임명한다. 3명의 정보관은 경찰청, 외무성, 방위성 등에서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총리에게 보고한다. 내각정보조사실이 수집, 분석한 정보는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외교·안보정책 판단 재료로 쓰이며 정보 수집과 분석이 일원화된다.[19]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정부 대응이 늦어진 것을 교훈 삼아 1996년 내각정보집약센터가 추가되었다. 또한 북한의 미사일과 핵무기 문제도 중요한 과제로, 1994년 미·일 정상 회담에서 미국은 호소카와 모리히로 총리에게 강경책을 시사했고, 호소카와는 내각정보조사실에 북한 정세 정보 수집을 지시했다. 1998년 대포동 1호 발사 이후 정보 수집 위성의 필요성이 높아져 1999년 정보 수집 위성 도입 준비실이 설치되었고, 2001년 내각 위성 정보 센터가 설치되었다.[19]
2006년에는 각 정부 기관의 상호 연계를 위한 "카운터 인텔리전스 추진 회의"가 설치되었고, 2008년에는 내각 정보 분석관이 신설되고, 정부 내 방첩을 담당하는 "카운터 인텔리전스 센터"도 설치되었다.[19]
2013년 태풍 30호 피해 상황을 정보 수집 위성의 화상 정보 등을 바탕으로 작성한 레이테 섬 타클로반의 피해 상황 추정 지도를 NGO 지원을 위해 제공했다.[19]
2013년 국가 안전 보장 회의(일본판 NSC)가 설립되고, 2014년 사무국인 국가 안전 보장국이 설립되었다. 국가 안전 보장국은 내각정보조사실과의 정보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19]
내각정보조사실은 국내외 정치, 경제, 치안에 관한 정보를 총리 관저에 보고한다.[60] 4개 부문(총무, 국내, 국제, 경제)과 2개 센터(내각 정보 집약 센터, 내각 위성 정보 센터)로 구성되며, 각 부문의 장은 "주간"이라고 불린다.[61] 내각 위성 정보 센터는 다른 부서보다 한 단계 위로 취급되며, 정보 수집 위성의 관리·분석 등을 통합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카운터 인텔리전스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내각정보관을 센터장으로 하는 카운터 인텔리전스 센터를 둔다.[62]
내각정보관, 내각심의관 1명, 차장 1명, 내각참사관, 조사관 9명, 내각정보분석관 6명[63], 내각 사무관 등이 업무를 수행한다.[64] 직원 수는 법령으로 규정하지 않고, 업무 내용에 따라 경찰 관료 출신자를 유연하게 받아들인다.[65] 2005년 기준 내각정보조사실 직원 약 70명, 경찰청 파견 약 40명, 공안조사청 파견 약 20명, 방위청 파견 약 10명, 외무성, 총무성 등에서 파견된 약간 명을 포함하여 총 170명 정도였다.[66]
내각정보조사실 직원은 내부 직원과 인텔리전스 커뮤니티 출신 파견자로 구성된다. 내부 직원은 국가공무원 일반직(구 II종) 합격자 중 우수한 인재를 매년 수 명 규모로 내각 사무관으로 채용한다. 이들은 경찰대학 어학 연수, 재외공관 파견 등 경력을 쌓으며 정보 전문가로 성장한다. 내각정보조사실 직원은 내각의 중요 정책에 관한 정보 수집·분석에 오랫동안 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특수한 입장이다.[64]
내각정보조사실은 내각관방에 설치된 내각 직속 정보기관으로, 내각의 중요 정책에 관한 정보 수집 분석을 담당한다.[67] 경찰이나 공안조사청과는 달리 내각이 중요한 정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대상으로 하며, 국내외 정세에 따라 요구되는 정보가 변화한다.[68] 민주당 정권 하에서는 오자와 그룹 동향, 민주당 대표 선거 표 계산, 지방 의회 정세 등 국내 정치 정보 수집에도 관여했다.[69] 아베 신조 정권 하에서는 선거 가두 연설 '고향 소재' 수집, 정치인 스캔들 수집, 각료 후보 신원 조사, 정국 및 여론 동향 조사 등 정치색이 강한 정보 수집을 했다.[71]
내각정보조사실은 싱크탱크 등에 조사를 위탁하기도 한다. 특히 세계정경조사회, 국제정세연구회, 국민출판협회는 간부에 내각정보조사실 및 경찰 퇴직자가 취임하고, 자금도 대부분 내각정보조사실에서 지출되는 등 사실상 "별동대"로 기능하며,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해외 정세 및 국내 미디어 동향을 분석한다.[85]
4. 2. 특정 비밀 보호법과의 관계
내각정보조사실 자체 채용 내부 직원은 정보 수집·분석 전문가 경력 관리를 염두에 두고 채용되지만, 최근 특정 비밀 보호법 관련 업무 증가로 일반 행정 업무가 늘었다. 이 때문에 신입 직원들은 정보 업무 훈련 부족으로 정보 전문가 성장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64]4. 3. 언론 감시 논란
민주당 정권 하에서는 오자와 그룹의 동향이 최대 관심사로 여겨졌으며,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의 표 계산이나 반란자의 동향, 지방 의회의 정세 등, 이른바 '국내 정치 정보'의 수집 등에도 관여했다[69]。아베 신조 정권 하에서는 선거 가두 연설에서 이른바 '고향 소재' 수집 등에도 관여했다. 남아있는 보고서 중, 2008년 이전의 보고서에서는 1 선거구당 A4 용지 1장, 2018년경에는 많을 때 30장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70]。
또한 정치인의 스캔들 수집, 각료 후보에 대한 신원 조사, 정국이나 여론의 동향 조사도 실시하고 있으며, 다른 정보 관청에 비해 정치색이 강한 정보 수집을 하고 있다[71]。
5. 비판 및 논란
일본 정보기관은 1880년대 군 정보기관에서 기원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이어졌다. 초기에는 군 정보기관이 주를 이루었으나, 내부적으로는 경찰을 중심으로 민간인 사찰이 주요 임무였다. 1900년대 초 대륙 침략이 강화되면서 군 헌병대 소속 특무부대를 중심으로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 만주국 수립과 중국 침공을 주도하는 등 공작활동을 벌였다. 태평양 전쟁 당시 나가노 정보학교와 만주철도주식회사 조사부라는 세계 정상급 정보 엘리트 양성 기관을 보유했던 일본은, 현재도 그 노하우와 전통을 살려 정부, 군 정보 요원뿐만 아니라 종합상사원, 언론인 등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정보수집을 하고 있다.
1928년 만주 심양역에서 일어난 장쭤린 폭사사건이나 만주사변의 단초가 된 1931년 유조구 열차 폭파 사건 등은 모두 일본 정보기관의 공작으로 훗날 밝혀졌다. 그러나 제2차 대전에서 미국과의 첩보전에서 완패하여 대량의 전력 손실을 입었고, 이는 패전으로 이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전후 일본 정보기관은 군사 및 안보보다는 주로 산업, 경제 부문에 노력을 기울여 정보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전쟁에서 패했지만, 이후 급속한 산업 발전으로 경제 대국을 이룬 것은 정보 분야의 획기적인 전환 덕분이었다.
내각정보조사실은 관저 지하에 설치되어 대규모 재해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정보 집약, 분석, 연락 및 체제 정비를 수행한다.[74] 한신·아와지 대지진 당시 관저의 정보 수집 체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점을 반성하여, 1995년 2월 21일 내각조사실을 대규모 재해 발생 시 피해 상황 및 응급 대응 정보 전달 창구로 하는 각의 결정이 내려졌다. 1996년 5월 11일에는 긴급 중요 정보를 24시간 체제로 수집하기 위한 "내각정보집약센터"가 설치되었다.[75] 이는 국제부 "국제 2부"를 개편한 것으로, 방위성, 경찰청, 소방청, 해상보안청에서 파견된 직원으로 구성된다.[76]
내각정보집약센터는 긴급 시 연락망을 정비하는 "시스템 정비반", 국내외 언론 보도를 확인하는 "서무반", 통신사의 속보를 정리하는 "뉴스반"으로 구성되며, 5개 반이 교대로 상주하며 24시간 체제로 대규모 재해 및 중대한 사고, 사건 관련 정보를 처리한다. 방위성, 경찰청, 소방청, 해상보안청, 기상청 등과 직통 핫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76] 통신사 전용 회선도 보유하고 있다. 긴급 시에는 자위대나 경찰 헬리콥터를 이용한 헬리콥터 텔레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기도 한다.[64]
관저 지하에는 내각정보집약센터로부터 보고를 받아 사태 대처를 수행하는 관저 위기 관리 센터도 설치되어 있다.[77] 긴급 상황 발생 시 내각조사실에서 내각총리대신에게 보고되어 초동 대응 체제가 갖춰지고, 관저 위기 관리 센터에 내각 위기 관리 감과 "내각 관방 부장관보(사태 대처·위기 관리 담당)부"(통칭 "사태실"[78]) 직원이 참여한다.[79]
5. 1. 정보기관의 정치적 중립성 문제
민주당 정권 하에서는 오자와 그룹의 동향이 최대 관심사로 여겨졌으며, 민주당 대표 선거에서의 표 계산이나 반란자의 동향, 지방 의회의 정세 등, 이른바 '국내 정치 정보'의 수집 등에도 관여했다[69]。아베 신조 정권 하에서는 선거 가두 연설에서 이른바 '고향 소재'地元ネタ|지모토네타일본어의 수집 등에도 관여했다. '고향 소재'의 예는 사이타마현의 '굵은 면 야키소바'에 대한 언급이나, 야마가타현에서 쌀 품종인 '쓰야히메'를 수출했다는 것이다. 다만, 이 중 어느 것을 내각정보조사실이 수집했는지는 불분명하다[70]。남아있는 보고서 중, 2008년 이전의 보고서에서는 1개 선거구당 A4 용지 1장, 2018년경에는 많을 때 30장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70]。
또한 정치인의 스캔들 수집, 각료 후보에 대한 신원 조사, 정국이나 여론의 동향 조사도 실시하고 있으며, 다른 정보 관청에 비해 정치색이 강한 정보의 수집을 하고 있다[71]。
참조
[1]
웹사이트
JAPAN'S NATIONAL SECURITY POLICY INFRASTRUCTURE - CAN TOKYO MEET WASHINGTON'S EXPECTATION?
https://www.stimson.[...]
2008-11
[2]
웹사이트
Intelligence in the New Japan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https://www.cia.gov/[...]
[3]
PDF
https://www.rand.org[...]
2024-08
[4]
웹사이트
Name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Positions
http://www.cas.go.jp[...]
Cabinet Secretariat
2013-12-20
[5]
웹사이트
Japan to set up new spy agency
https://www.france24[...]
2011-02-21
[6]
웹사이트
The Cabinet Law
https://japan.kantei[...]
[7]
웹사이트
Japan's Growing Intelligence Capabilities
http://andreworos.wa[...]
2008-06-09
[8]
웹사이트
Abe administration considering creating MI6-style spy agency
https://www.japantim[...]
2015-03-06
[9]
문서
Davis and Gustafson, page. 183
[10]
문서
Davis and Gustafson, page. 188
[11]
서적
Yukio Kubota “Spin Doctor “Information Manipulation” Techniques Used by Professional Fir Erasers” Kodansha+α Shinsho p.101
[12]
웹사이트
2013年11月 フィリピン台風被災状況推定地図 タクロバン周辺全体
http://www.cas.go.jp[...]
[13]
웹사이트
To Fight Terror, Japan Must Fix Its Intelligence Apparatus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14]
웹사이트
Japan's counterterrorism efforts falling short
https://www.japantim[...]
2016-03-05
[15]
웹사이트
The Silencing of Japan's Free Press
https://foreignpolic[...]
Foreign Policy
2016-05-27
[16]
웹사이트
Japan successfully launches an intelligence-gathering satellite to watch for North Korean missiles
https://apnews.com/a[...]
2024-01-12
[17]
웹사이트
A Japanese Faces Spy Charges
http://www.moscowtim[...]
The Moscow Times
2008-01-17
[18]
웹사이트
Japan's Cabinet urges tighter controls amid Russian spy scandal
http://www.globalsec[...]
2009-06-24
[19]
웹사이트
Organizational Structure | Cabinet Secretariat
https://www.cas.go.j[...]
[20]
뉴스
Japan Places Eighth Reconnaissance Satellite in Orbit – Via Satellite -
https://www.satellit[...]
2018-06-13
[21]
웹사이트
Briefing Memo
http://www.nids.go.j[...]
2006-05
[22]
문서
Dover, Goodman and Hillebrand, page 203
[23]
웹사이트
Japan's sports intelligence can help national-level gathering capabilities
https://asia.nikkei.[...]
[24]
웹사이트
内閣危機管理監
http://www.cas.go.jp[...]
Cabinet Secretariat
2011-02-27
[25]
웹사이트
内閣情報官
http://www.cas.go.jp[...]
Cabinet Secretariat
2011-02-27
[26]
웹사이트
内閣情報官
http://www.cas.go.jp[...]
Cabinet Secretariat
2011-02-27
[27]
웹사이트
内閣情報官
http://www.cas.go.jp[...]
Cabinet Secretariat
2011-02-27
[28]
뉴스
The Untold Story of Japan's Secret Spy Agency
https://theintercept[...]
2018-05-19
[29]
웹사이트
Top Intelligence Post Vacant
http://jsw.newpacifi[...]
Japan Security Watch
2017-01-20
[30]
웹사이트
国家安全保障局長に北村滋氏 谷内氏退任、後任内閣情報官は滝沢氏
https://www.sankei.c[...]
2019-09-11
[31]
웹사이트
内閣情報官 瀧澤 裕昭(たきざわ ひろあき)|内閣官房ホームページ
https://www.cas.go.j[...]
[32]
뉴스
政府 内閣情報官に警察庁 原和也警備局長を起用
https://www3.nhk.or.[...]
NHK
2023-06-27
[33]
웹사이트
ないかく‐じょうほうちょうさしつ〔‐ジヤウホウテウサシツ〕【内閣情報調査室】 デジタル大辞泉
https://kotobank.jp/[...]
[34]
웹사이트
内閣官房内閣情報調査室
https://web.archive.[...]
リクナビ
2019-03-01
[35]
간행물
軍事研究 2006年 9月号別冊 ワールドインテリジェンスvol2 日本の対外情報機関 p.26
[36]
간행물
内閣官房内閣情報調査室 採用案内 2019
https://www.cas.go.j[...]
[37]
웹사이트
ビジネスにおけるリスクの早期警戒とインテリジェンスの役割
http://j-strategy.co[...]
戦略検討フォーラム
2016-06-07
[38]
웹사이트
国家公務員一般職(大卒程度試験)採用パンフレット
http://www.cas.go.jp[...]
2016-07-01
[39]
뉴스
内調に諜報員配置 情報収集強化へ新部門 政府検討
http://www.sankei.co[...]
産経新聞
2016-06-07
[40]
웹사이트
安倍政権「内調ブーム」に騙されるな――「内調」の虚像と実像 #1
https://bunshun.jp/a[...]
2019-09-12
[41]
웹사이트
「国家安全保障会議」について(「国家安全保障会議の創設に関する有識者会議」説明資料)
https://www.kantei.g[...]
内閣官房 国家安全保障会議設置準備室
2013-12-24
[42]
뉴스
NSCの組織編成全容判明 部門長は防衛省3 外務2、警察1 内調とも連携
https://web.archive.[...]
2013-11-14
[43]
뉴스
前川・前事務次官に激怒して、安倍官邸が使った「秘密警察」
https://gendai.media[...]
2018-05-01
[44]
뉴스
朝日新聞
2004-09-21
[45]
웹사이트
内閣情報調査室の歴史について
https://www.cas.go.j[...]
内閣官房ホームページ
2024-11-25
[46]
서적
謀略列島―内閣調査室の実像
新日本出版社
[47]
서적
昭和戦中期の総合国策機関
吉川弘文館
[48]
서적
謀略列島―内閣調査室の実像
新日本出版社
[49]
문서
2019
[50]
문서
2005
[51]
문서
2005
[52]
문서
2005
[53]
문서
2005
[54]
문서
2005
[55]
간행물
文藝春秋
文藝春秋
2015-03
[56]
웹사이트
カウンターインテリジェンス推進会議の設置について (平成18年12月25日内閣総理大臣決定)
https://www.cas.go.j[...]
2023-03-25
[57]
웹사이트
カウンターインテリジェンス機能の強化に関する基本方針の概要
https://www.cas.go.j[...]
2023-03-25
[58]
웹사이트
カウンターインテリジェンス・センターの設置に関する規則 (平成20年3月4日内閣総理大臣決定)
https://www.cas.go.j[...]
2023-03-25
[59]
간행물
フィリピン台風被災状況推定地図 タクロバン周辺全体
http://www.cas.go.jp[...]
[60]
서적
官邸ポリス 総理を支配する闇の集団
講談社
2018-12-10
[61]
문서
2005
[62]
간행물
日本政府の情報機能(第7回)
http://ichigayadairo[...]
[63]
뉴스
内調に諜報員配置 情報収集強化へ新部門 政府検討
https://web.archive.[...]
2013-09-17
[64]
간행물
内閣情報調査室パンフレット(抜粋)
http://www.cas.go.jp[...]
[65]
간행물
4/18 舛添 問2 今般の北朝鮮のミサイル発射事案を受けて
http://www.ombudsman[...]
[66]
간행물
第162回国会 衆議院安全保障委員会第6号 議事録
http://kokkai.ndl.go[...]
2005-04-08
[67]
서적
なぜ、インテリジェンスは必要なのか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21-06-25
[68]
문서
2019
[69]
간행물
「内閣情報調査室」解体のすすめ | 【公式】三万人のための総合情報誌 選択
https://www.sentaku.[...]
[70]
뉴스
政府も党も 進む「私的機関」化
朝日新聞
2018-07-27
[71]
뉴스
3日改造もオンナ、カネに悪戦苦闘…大物議員醜聞脱落 野田聖子氏起用も検討
http://www.iza.ne.jp[...]
[71]
뉴스
948人の最高権力者 世論引き戻す妙手は…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72]
서적
スピンドクター モミ消しのプロが駆使する「情報操作」の技術
[73]
웹사이트
内閣情報調査室の組織体制について
https://www.cas.go.j[...]
[74]
문서
2007
[75]
간행물
我が国の情報機能・秘密保全 - 参議院
https://www.sangiin.[...]
[76]
문서
2007
[77]
간행물
千葉県危機管理フォーラム2018 p.55
https://www.pref.chi[...]
[78]
뉴스
外出なんて無理!“危機管理”弁当 | 永田町・霞が関のサラめし | NHK政治マガジン
https://www.nhk.or.j[...]
[79]
서적
シン・ゴジラが語る我が国の危機管理
近代消防社
2020-07-15
[80]
서적
令和4年年次報告書
衆議院情報監視審査会
2023-06-08
[81]
문서
2009
[82]
문서
2007
[83]
문서
2009
[84]
문서
就任・退任は閣議を経て発令される
[85]
문서
2007
[86]
웹사이트
内閣府本府等所管公益法人一覧
http://www8.cao.go.j[...]
[87]
웹사이트
国会会議録検索システム
http://kokkai.ndl.go[...]
[88]
웹사이트
内閣 平成16年度省庁別財務書類
http://www.cas.go.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