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진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진세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도 높아지는 세금 제도를 의미한다. 이는 재산과 소득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한 초기 로마 공화정 시대의 세금 제도에서 시작되었으며, 1798년 영국에서 프랑스 혁명 전쟁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근대적 소득세 형태로 도입되었다. 누진세는 단순 누진세율 방식과 초과 누진세율 방식 두 가지로 나뉘며,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고 사회 프로그램의 재원을 마련하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경제 효율성을 저해하고, 조세 회피를 유발하며, 학력 향상에 대한 유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음의 소득세는 누진세의 대안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현재 많은 국가에서 소득세, 상속세, 증여세 등에 누진세 제도를 활용하고 있으며, 각 국가별로 세율과 적용 기준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세와 재분배 - 음의 소득세
    음의 소득세는 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사람들에게 정부가 현금을 지급하여 빈곤층 소득을 보충하는 제도로, 시장 경제의 효율성과 소득 분배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논의되어 왔다.
  • 조세와 재분배 - 부유세
    부유세는 개인이나 가구의 순자산 가치에 부과되는 세금으로, 일부 OECD 국가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과거 시행 국가들은 자본 유출 등의 이유로 폐지했으며, 자산 불평등 해소와 세수 확보를 목표로 하지만 경제적 영향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조세 - 지방세
    지방세는 대한민국과 일본의 지방 자치 단체가 부과하는 세금으로, 일반 경비 충당을 위한 보통세와 특정 목적 사용을 위한 목적세로 구분되며, 한국은 취득세, 재산세, 지방소득세 등이 있고, 일본은 도도부현세와 시정촌세로 나뉜다.
  • 조세 - 연말정산
    연말정산은 납세자가 1년간의 소득에 대해 세금을 정산하는 절차로,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를 통해 환급 또는 추가 납부할 수 있으며, 국세청 홈택스 또는 일본의 신고납세제도 등을 통해 진행된다.
  • 금융에 관한 - 2023년 미국 은행 위기
    2023년 미국 은행 위기는 금리 인상, 채권 가격 하락, 암호화폐 시장 붕괴를 주요 원인으로, 실리콘밸리 은행 등 여러 은행의 파산으로 이어졌으며 미국 금융 시스템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금융 규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금융에 관한 - 원천징수
    원천징수란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자(납세의무자)를 대신하여 소득세를 징수하여 국세청에 납부하는 제도로, 소득세법에 따라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에 적용되며 세금 납부의 편의성을 높이고자 시행된다.
누진세
구글 지도
기본 정보
정의과세 대상 금액이 증가함에 따라 세율이 증가하는 세금
다른 이름점진세
누진세 (graduated tax)
종류소득세
재산세
상속세
증여세
사치세
경제학
측정수츠 지수
효과소득 불평등 완화
소득 재분배 효과
사회 복지 증진
소비 억제 효과
투자 감소 효과
경제 성장 둔화 가능성
역사
기원고대 사회의 세금 징수 방식
발전근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득 불평등 해소 수단으로 도입
20세기 후반 복지 국가 발달과 함께 중요성 증대
찬반 논쟁
찬성소득 재분배를 통한 사회 정의 실현
부의 편중 완화
사회 통합 강화
사회 복지 재원 마련
반대경제적 불평등 심화
투자 의욕 저하
탈세 및 조세 회피 증가
세수 감소 및 경제 성장 둔화
부유층의 국외 이전 증가
법률
소득세법소득세는 일반적으로 누진세율을 적용함
상속세법상속세는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과세함
증여세법증여세는 누진세율을 적용하여 과세함
관련 개념
관련 세금간접세
직접세
비례세
역진세
플랫 택스
경제학 용어세율
과세 표준
세수
소득 불평등
재정 정책
추가 정보
사회적 영향누진세율이 높은 국가일수록 소득 불평등이 낮다는 연구 결과
누진세율이 사회 구성원의 주관적인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경제 성장과의 관계누진세율이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상반됨
일부 연구에서는 누진세율이 경제 성장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
다른 연구에서는 누진세율이 경제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
비판누진세율이 높은 국가는 기업의 투자 유인을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
부유층의 조세 회피를 야기할 수 있다는 비판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
기타 정보
관련 문서세금
조세 정책
소득세
재산세
상속세
증여세
사치세
소득 불평등
재분배 정책

2. 역사

누진세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그 개념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시대가 흐르면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2. 1. 고대와 중세

초기 로마 공화정 시대에는 공공 세금이 주로 소유한 재산과 부동산 가치를 기준으로 부과되었다. 평상시 로마 시민의 세율은 재산 가치의 1% 수준이었으나, 전쟁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는 최대 3%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러한 세금은 토지, 주택, 기타 부동산뿐만 아니라 노예, 동물, 개인 물품, 금전적 자산에도 적용되었으며, 재산 규모에 따라 세금 부담이 달라지는 누진적 성격을 띠었다. 그러나 기원전 167년 이후 로마는 정복한 속주에서 얻는 막대한 부 덕분에 이탈리아 반도 시민들에게는 세금을 부과할 필요가 없어졌다. 1세기 로마 제국이 크게 확장된 후,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약 1%의 재산세와 함께 모든 성인에게 동일한 금액을 부과하는 인두세를 도입했다. 이로 인해 부유층 외의 사람들도 세금을 내게 되면서 세금 제도의 누진성은 이전보다 약화되었다.[17]

무굴 제국 시대 인도에서는 1580년 악바르(Akbar) 황제 통치 시기에 다할살라(Dahsala)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세금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악바르의 재무 장관이었던 라자 토다르 말(Raja Todar Mal)이 1573년 구자라트(Gujarat)에서 처음 고안하여 시행한 것으로, 토지의 생산성을 기준으로 세금을 징수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토지의 비옥도나 생산량에 따라 세금 부담을 달리하는, 생산성에 기반한 징세 시스템이었다.

2. 2. 근대

최초의 근대적 소득세는 1798년 12월 영국의 총리 젊은 윌리엄 피트가 프랑스 혁명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도입했다. 피트가 도입한 새로운 누진 소득세는 연 소득 60파운드 이상에 대해 1파운드당 2올드 페니(0.83%)의 세율로 시작하여, 소득이 200파운드 이상인 경우에는 최대 2실링(10%)까지 세율이 높아지는 구조였다. 피트는 이 세금으로 연간 1,000만 파운드의 세수를 기대했지만, 1799년 실제 징수액은 600만 파운드를 약간 넘는 수준에 그쳤다.[18]

피트의 누진 소득세는 1799년부터 1802년까지 시행되었으나, 아미앵 조약 체결 후 헨리 애딩턴 총리에 의해 폐지되었다. 애딩턴은 가톨릭 해방 문제로 피트가 사임한 후 1801년에 총리가 된 인물이다. 그러나 1803년 프랑스와의 전쟁이 재개되자 애딩턴은 소득세를 다시 도입했다. 이 소득세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인 1816년(워털루 전투 1년 후)에 다시 폐지되었다.

영국의 현행 소득세 제도의 기초는 1842년 소득세법을 통해 로버트 필 경에 의해 다시 마련되었다. 보수당 소속이었던 필은 1841년 총선 당시 소득세 도입에 반대했으나, 총리가 된 후 심각한 재정 적자에 직면하자 새로운 세금 수입원을 확보하기 위해 소득세를 재도입할 수밖에 없었다. 애딩턴 시기의 제도를 모델로 한 이 새로운 소득세는 연 소득 150파운드 이상인 사람들에게 부과되었다. 처음에는 한시적인 조치로 여겨졌으나, 소득세는 곧 영국 조세 제도의 영구적인 일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1851년 조셉 휴메를 중심으로 소득세 문제를 검토하기 위한 위원회가 구성되었지만, 뚜렷한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다. 이후 재무장관을 역임한 윌리엄 글래드스톤은 소득세에 대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유지했으며, 크림 전쟁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세율을 인상하는 등 제도를 더욱 확대했다. 1860년대에 이르러 누진세는 논란의 여지는 있었지만 영국 재정 시스템의 필수적인 요소로 받아들여졌다.[19]

미국에서는 남북 전쟁 중이던 1862년, 1862년 세입법을 통해 최초의 누진 소득세가 도입되었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이 서명하여 발효된 이 법은 연 소득 800달러 이상에 대해 3%의 정률세를 부과했던 기존의 1861년 세입법을 대체했다. 이후 1913년에는 미국 헌법 수정 조항 16조가 채택되어, 연방 의회가 각 주에 인구를 비례하여 할당하지 않고도 모든 종류의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되었다. 20세기 중반 무렵에는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어떤 형태로든 누진 소득세를 시행하게 되었다.[20]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누진 소득세를 지지했다.[21]

3. 방식

누진세에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다.


  • 단순 누진세율 방식: 과세 표준이 일정 금액 이상이 되었을 때, 그 과세 표준 전체에 대해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 초과 누진세율 방식: 과세 표준이 일정 금액 이상이 되었을 때 그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3. 1. 단순 누진세율 방식

단순 누진세율 방식은 과세 표준이 일정 금액 이상이 되었을 때, 그 과세 표준 전체에 대해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세율이 과세 표준의 변화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계단식으로 변동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특정 구간에서는 과세 표준이 조금만 증가해도 적용되는 세율 구간이 바뀌면서, 오히려 세금 부과액이 과세 표준 증가분보다 더 크게 늘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초과 누진세율 방식과는 다른 점이다.

3. 2. 초과 누진세율 방식

초과 누진세율 방식은 과세표준이 일정 금액을 넘어설 때, 그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서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소득 1,000만 원까지 10%, 1,000만 원 초과 4,000만 원까지 20% 세율이 적용된다면, 소득이 1,500만 원인 경우 1,000만 원까지는 10%, 초과분 500만 원에 대해서만 20%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을 계산한다.

이 방식은 과세표준이 증가함에 따라 적용되는 세율이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특징이 있다. 단순 누진세율 방식과 달리, 과세표준이 약간 증가했다는 이유로 세금 부담액이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오히려 과세표준 증가분보다 세금 증가분이 더 커지는 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는다.[95] 이러한 합리성 때문에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소득세 등의 누진세 계산에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4. 특징 및 평가

독일의 한계소득세율과 평균소득세율은 누진적 구조를 보여준다.


조세의 누진성은 소득 불평등 지표(소득 분포)와 부의 집중(부의 분포)에서 도출된 측정값을 사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지수들이 활용된다.[27]

지수 종류설명
수츠 지수소득 대비 세금 부담의 집중도를 측정
지니 계수세금 부과 전후의 소득 불평등 변화를 측정
카크와니 지수세금의 누진 정도를 측정 (0보다 크면 누진적)
테일 지수집단 간 불평등과 집단 내 불평등을 분해하여 분석
앳킨슨 지수사회 후생 함수에 기반하여 불평등 혐오 정도를 반영
후버 지수완전 균등 분배를 위해 재분배되어야 할 소득의 비율



세율은 두 가지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하나는 추가적인 소득이나 지출 단위에 적용되는 세율인 한계세율이고, 다른 하나는 총 납부 세금을 총 소득이나 지출로 나눈 실효(평균)세율이다. 대부분의 누진세 체계에서는 과세 대상 금액이 증가함에 따라 두 세율 모두 상승하지만, 특정 소득 구간에서는 한계세율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납세자의 평균세율은 한계세율보다 낮다. 환급세액공제나 소득 수준에 따라 결정되는 복지급여가 있는 경우, 저소득 구간에서는 오히려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세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누진세 제도는 물가 상승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만약 세율 구간이 물가 상승에 맞춰 조정되지 않으면, 명목 임금 상승만으로도 납세자가 더 높은 세율 구간으로 이동하게 되어 실질 소득은 그대로임에도 불구하고 세금 부담이 늘어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을 세율 구간 크리프(bracket creep)라고 하며, 이는 경제 전반의 총수요를 위축시킬 수 있는 재정적 끌림(fiscal drag)을 유발할 수 있다.

세금 정책이 부의 불평등을 완화하는지 혹은 악화시키는지, 그리고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정치인들과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논쟁이 있다.

개별 세금 자체의 누진성(예: 소득세)과 국가 전체 조세 제도의 누진성은 구분해서 평가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국가는 누진적인 세금과 역진적인 세금(예: 부가가치세)을 조합하여 세수를 확보한다. 따라서 정부 전체 과세 제도의 누진성은 단순히 특정 세금 하나만 보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세금을 고려하여 각 소득 계층이 부담하는 총 세금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이렇게 산정된 누진성의 정도가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다양한 관점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구체적인 장점과 단점은 아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1. 장점

누진세는 세제를 평가하는 여러 기준 중 수직적 형평성(능력주의 원칙)을 충족시키는 제도로 평가받는다.[86] 이는 소득이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세금을 부담해야 한다는 원칙에 부합한다.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소득 불평등 완화: 누진세는 고소득자에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고 저소득자의 세율 부담을 낮춤으로써 소득 재분배 효과를 가져와 소득 불평등을 직접적으로 줄이는 데 기여한다.[12] 특히, 누진세를 통해 확보된 재원이 이전 지불이나 사회 안전망 같은 누진적인 정부 지출에 사용될 경우 그 효과는 더욱 커진다.[11] 세금 부과 전후의 소득 분배 상태를 나타내는 지니 계수의 변화는 누진세의 소득 불평등 완화 효과를 보여주는 지표로 활용된다.[33] 근대 이후 많은 국가는 부의 집중을 완화하고 국민 전체에 부를 분배하여 사회 복지를 실현하는 수단으로 누진세를 활용해왔다. 또한, 소득 격차 심화로 인한 사회 불안을 억제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상속세와 함께 누진 소득세는 부의 세습으로 인한 신분 계급 고착화를 막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경제학자 토마스 피케티와 에마뉘엘 사에즈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세금 정책의 누진성 약화가 부유층의 자본 집중을 용이하게 하여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켰다고 분석했다.[13] 경제학자 로버트 H. 프랭크는 부유층 감세 혜택이 주로 과시적 소비(위치재)에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며, 누진세를 통해 확보된 재원을 공교육 개선이나 의학 연구 등 사회 전체에 더 유익한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위치적 외부 효과 해결 수단으로 누진세를 제안했다.[34][35]

  • 소비 촉진: 누진세는 소득 중 소비 비중(소비성향)이 높은 중·저소득층의 가처분 소득을 늘려 소비를 진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면, 소비성향이 낮은 고소득층에게는 높은 세율을 적용하여, 저축 등으로 흘러갈 수 있는 자금이 소비로 이어지도록 유도한다. 이는 국가 전체의 평균 소비성향을 높이고, 승수효과를 통해 총수요를 확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 경제의 자동 안정 장치 역할: 경기 호황기에는 소득 증가에 따라 자동으로 세수가 늘어나 과열을 억제하고, 경기 침체기에는 소득 감소에 따라 세수가 줄어들어 경기 하강을 완충하는 자동 안정화 기능을 수행한다.

4. 2. 단점

OECD가 2008년에 발표한 보고서는 소득세의 누진성과 경제 성장 간의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실증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14] 누진세는 세금이 없는 경우나 정률세, 정액세에 비해 경제 효율성을 저해하며,[87] 세금의 누진성 상승은 경제 효율성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88] 보수 성향의 세금재단 측에서는 누진세가 고소득층의 저축, 투자, 위험 감수, 높은 생산성의 노동을 저해하여 투자, 위험 감수, 기업가 정신 및 생산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36][37]

구체적인 예로, 누진소득세는 근로자의 동기 부여를 저하시켜 노동 공급을 감소시킨다.[87] 일본에서는 많은 파트타이머 주부들이 연소득 103만을 초과할 경우 배우자 공제 대상에서 제외되어 소득세를 납부해야 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해, 근로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고용 시간을 조절하는 경우가 있다. 베스트셀러 작가 애거서 크리스티는 "세금을 내기 위해 일 년에 한 권은 써야 하지만, 그 이상 쓰면 국세청을 살찌우는 꼴일 뿐"이라고 언급하며 높은 세율 때문에 집필 속도를 늦춘 사례도 있다.[89]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하이예크는 누진세 제도가 자유로운 사회의 원칙과 양립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누진세가 경제적 부에 대한 편견을 만들고 생산 연령층의 동기를 저해하며, 실제로는 빈곤층이 아닌 다수결 투표로 세금 변경을 주도할 수 있는 중산층에게 혜택이 돌아가게 만들어 부를 다수의 민주적 투표에 종속시키는 결과를 낳는다고 비판했다.[49] 하이예크는 대신 정률세를 옹호했다.

로버트 노직은 그의 저서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에서 "노동으로 얻은 소득에 대한 과세는 강제 노역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하며,[51] 누진세를 통한 소득 재분배에 반대하고 정부 역할을 최소화하는 '최소 국가'를 옹호했다.[52]

지방 정부 차원에서는 누진세 도입을 꺼리는 경향이 있는데, 인접한 지역 간 세율이 다를 경우 주민들이 세율이 낮은 곳으로 이주하려는 현상(발로 투표하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러한 효과는 국가 단위에서는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다.[90]

5. 음의 소득세

소득세 감면 효과를 보여주는 음의 소득세 그래프


음의 소득세(Negative Income Tax, NIT)는 특정 소득 수준 이하의 가구에 대해 정부가 세금을 걷는 대신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22] 이 개념은 여러 학자에 의해 논의되었지만, 주로 1962년 저서 자본주의와 자유에서 이를 제안한 밀턴 프리드먼의 공으로 여겨진다. 프리드먼은 NIT가 기존의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복지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NIT가 행정 비용이 적게 들고, 수혜자의 자존감을 해치지 않으면서 저소득층에게 직접적인 소득 지원을 제공하는 단일 시스템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22]

NIT 시스템 하에서는 정부가 정한 특정 소득 기준을 넘는 개인은 국가에 세금을 납부하지만, 그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개인은 오히려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게 된다. 이러한 개념의 이론적 뿌리는 윌리엄 페티, 빌프레도 파레토, 폴 새뮤얼슨 등 여러 경제학자들의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NIT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기존의 다른 복지 제도가 가진 문제점, 예를 들어 수급자가 일을 해서 소득이 늘면 오히려 정부 지원금이 더 크게 줄어들어 근로 의욕을 잃게 되는 '복지 덫'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이다. NIT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보조금이 점진적으로 줄어들도록 설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정한 최소 기준 소득을 넘어서면 수혜자는 납세자로 전환된다.

밀턴 프리드먼은 NIT의 다섯 가지 구체적인 장점을 제시했다.[23]

# 가구는 다른 복잡한 복지 프로그램에 의존하지 않고 NIT를 통해 얻는 소득으로 직접 생계를 꾸릴 수 있다.

# 수혜자에게 현금으로 직접 지원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지원 방식이다.

# NIT는 기존의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하나로 통합하여 보편적인 지원 프로그램으로 기능할 수 있다.

# 다른 복지 시스템에 비해 행정 비용이 적게 든다.

# 최저임금법과 같은 다른 정부 개입과 달리 시장의 작동 원리를 크게 방해하지 않는다.

1995년 미국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대다수가 기존 복지 시스템에 NIT를 도입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4] 미국 연방 정부는 NIT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968년부터 1982년까지 여러 주에서 네 차례의 대규모 사회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 NIT 수혜자들은 노동 시간을 다소 줄이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청소년의 경우 그 정도가 더 컸다(최대 4주 감소). 이는 소득 지원이 보장되는 관대한 시스템 하에서는 어느 정도 예상될 수 있는 결과로 해석되었다.[25]

NIT 개념은 리처드 닉슨 행정부의 가족 지원 계획(1969년)에 영향을 미쳤으며, 1975년에는 저소득 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근로 소득 세액 공제(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형태로 일부 도입되었다.[26] EITC는 오늘날에도 시행되고 있지만, 프리드먼이 처음 제안했던 순수한 형태의 NIT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6. 비판적 관점

누진세는 소득 재분배와 사회적 형평성 제고라는 목적을 가지지만, 여러 비판적 관점 또한 존재한다. 주요 비판으로는 경제 활동의 동기를 저해하여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주장과, 개인의 재산권자유를 침해한다는 자유지상주의적 관점이 있다.[49][51] 대표적으로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누진세가 자유 시장 경쟁의 동기를 약화시킨다고 보았으며,[49] 로버트 노직은 노동 소득에 대한 과세를 강제 노동에 비유하며 비판했다.[51] 또한, 복잡한 세법조세 피난처 등을 이용한 조세 회피 문제로 인해 누진세의 본래 취지가 제대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적인 비판도 제기된다.[53][55] 이러한 비판들은 누진세 제도의 설계와 운영에 있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쟁점들을 보여준다.

6. 1. 하이에크의 관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누진세 제도의 시행이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사회의 원칙과 양립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고소득에 대한 세금 인상이 경제적 부에 대한 편향을 만들고, 생산 활동에 대한 동기를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오스트리아 학파 사상은 철학적, 도덕적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재정 문제가 사회가 실천하는 도덕 철학의 기초와 관련이 있다고 믿었다. 하이에크는 누진세가 자유 시장 경쟁의 동기를 저해하고, 부가 다수의 민주적 투표에 종속되게 만들어 정치 권력의 부당한 이전을 초래한다고 비판했다.[49]

하이에크는 누진세의 급격한 확산이 실제로는 실현되지 못한 기만적인 정당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역사적, 방법론적 조건이 누진세 도입을 야기했으며, 이 제도가 비합리적인 전제 위에 세워져 재분배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누진세는 빈곤층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주지 못했고, 오히려 세금 변경을 요구할 수 있는 다수를 형성하는 중산층에게 혜택이 돌아갔다.[49]

이러한 이유로 하이에크는 정률세(비례세)를 옹호했다. 에스토니아는 유럽에서 이러한 정률세 제도를 채택한 초기 국가 중 하나이다.[50]

자유주의자로 분류되는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밀턴 프리드먼은 소득이 개인의 기여도에 따라 분배되어야 하며, 누진세와 같은 소득 재분배 정책에는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은 빈곤 문제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는 태도를 일관되게 보여주었다.[94]

6. 2. 노직의 관점

로버트 노직은 그의 저서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에서 노동으로 얻은 소득에 대한 과세는 강제 노역과 마찬가지라는 주장을 펼쳤다.[51] 그는 과거의 노예 제도와는 차이가 있음을 인정하면서도, 그것(노동 소득 과세)이 똑같이 비도덕적이라고 믿었다. 노직은 정부가 경제를 포함한 대부분 영역에서 역할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는 '최소 국가' 개념을 옹호하며, 정부가 자유 시장 경제의 결과를 바꾸려는 '재분배'를 시행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세금 수입은 도로 보수와 같은 기본적인 사회 유지 활동에만 사용되어야 한다.[52]

6. 3. 조세 허점

현행 미국 세법은 부유층이 정당한 세금을 내지 않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는 현행 세제가 주로 개인의 임금에 과세하고, 상류층이 주로 소득을 얻는 투자 소득에는 상대적으로 과세가 미흡하기 때문이다. 저명한 투자자 워렌 버핏임금뿐 아니라 투자 소득에도 비례하여 부유층에 세금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이 "아마 사무실에서 가장 세금을 적게 내는 사람일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53]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이른바 '버핏 규칙'을 제안했다. 이는 연 소득 100만달러가 넘는 고소득자에게 최소 30%의 세율을 적용하자는 내용으로, 투자 소득 또한 과세 대상 소득으로 명확히 하려는 목표를 가졌다.[54] 그러나 이 규칙은 2012년 3월 의회에서 부결되었다. 이후 조 바이든 행정부 역시 '버핏 규칙'의 정신을 이어받아 '공정한 몫을 내는 법안' (Paying a Fair Share Act|eng)을 추진했으나, 2023년 8월 기준으로 의회에서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일부 최상위 부유층은 현행 세법을 이용하여 세금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제프 베조스는 2007년과 2011년에 연방 소득세를 전혀 내지 않았으며, 일론 머스크 역시 2018년에 연방 소득세를 납부하지 않은 것으로 보도되었다.[55] 이는 조세 제도의 허점을 이용한 부의 집중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7. 심리적 요인

"부자들에게 세금을!" 배너, 국제사회주의청년연맹의 금융거래세 캠페인


2011년 심리학자 시게히로 오이시(Shigehiro Oishi), 울리히 쉬마크(Ulrich Schimmack), 에드 디에너(Ed Diener)는 54개국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를 통해 누진세가 주관적 행복과 긍정적인 연관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반면, 전체 세율이나 정부 지출 규모 자체는 주관적 행복과 뚜렷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연구진은 "누진세가 증가할수록 주관적 행복 수준이 높아지는 연관성은 교육 및 대중교통과 같은 공공재에 대한 시민들의 만족도를 매개 변수로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덧붙였다.[16] 세법 교수 토마스 D. 그리피스(Thomas D. Griffith) 역시 인간의 행복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하며, 사회적 불평등이 행복을 크게 감소시키기 때문에 소득을 재분배하는 효과가 있는 누진세 구조가 사회 전체의 복지와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56]

누진세는 고소득자의 소득을 일부 제한하고 저소득층을 위한 정부 사회 프로그램의 재원을 마련하는 수단으로 자주 활용된다. 이 때문에 누진세 강화 요구는 때때로 질투나 계급 투쟁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35][57][58]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러한 요구를 공정성 실현 또는 사회 정의 추구의 한 형태로 보기도 한다.[58][59]

누진세가 개인의 행복 증진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유한 민주주의 국가들이 누진세 강화를 주저하는 경향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예일 대학교의 정치학자 케네스 셰브(Kenneth Scheve)와 뉴욕 대학교의 데이비드 스타사베이지(David Stasavage)는 비교 정치 연구 저널에 발표한 연구에서 그 이유를 탐구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많은 유권자들이 모든 시민이 세금 문제에 있어 동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동등 대우 공정성 규범'이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는 상황에서도 일부 국가들이 부유층에 대한 세금 인상을 꺼리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분석했다. 케네스 셰브는 "누진세는 증가하는 불평등에 대응하기 위한 강력한 정책 도구이지만, 부유한 민주주의 국가들은 이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는 영국, 미국, 독일 등에서의 조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일부 유권자들은 공정한 세제란 개인이 노력을 통해 부를 축적했는지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은 투표권이나 법적 보호와 같은 영역에서 모든 시민이 동등하게 대우받아야 한다는 신념과 연결되어, 세금 역시 소득에 관계없이 동일한 세율을 적용해야 공정하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따라서 누진세 정책이 특정 국가의 소득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평등이라는 개념에 근거하여 누진세 강화에 반대하는 상당한 규모의 여론이 존재한다. 이러한 반대는 고소득층과 부유층에 대한 세금 인상을 통해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려는 사회적 합의 형성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60]

8. 다른 나라의 누진세

전 세계 대부분의 세제는 누진적인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과세 소득이 특정 소득구간에 해당하면, 개인은 해당 소득 범위 내의 각 달러에 대해 정해진 세율을 납부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의 누진세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하위 섹션에서 다루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 외에도 다음과 같은 사례들이 있다.

'''캐나다'''

캐나다의 연방 소득세율(2021년 기준)은 다음과 같다.[74]

과세 소득 구간 (CAD)세율
0 CAD ~ 49020CAD15%
49020CAD ~ 98040CAD20.5%
98040CAD ~ 151978CAD26%
151978CAD ~ 216511CAD29%
216511CAD 초과33%


  • 주(Province)별 소득세는 별도로 부과될 수 있다.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치마히팔렘방 같은 일부 지방 자치 단체에서 누진적인 자동차세를 시행했으며,[77][78] 이는 해당 지역의 재정 수입 증대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소득세 구간은 다음과 같다.[83]

과세 소득 구간 (NZD)세율
0 NZD ~ 14000NZD10.5%
14001NZD ~ 48000NZD17.5%
48001NZD ~ 70000NZD30%
70001NZD ~ 180000NZD33%
180000NZD 초과39%


  • 근로자가 소득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45%의 세율이 적용될 수 있다. 모든 값은 NZD 기준이며, 근로자 부과금(ACC levy 등)은 제외된 세율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의 누진 소득세율(2012-2013 회계연도 기준)은 다음과 같다.[84]

과세 소득 구간 (AUD)세율
0 AUD ~ 18200AUD0%
18201AUD ~ 37000AUD19%
37001AUD ~ 80000AUD32.5%
80001AUD ~ 180000AUD37%
180000AUD 초과45%


  • 위 세율은 거주자 기준이며, 메디케어 부과금(Medicare levy)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8. 1. 미국



미국의 세제는 누진세 구조를 가지고 있다. 과세 대상 소득이 특정 소득구간에 해당하면, 개인은 해당 소득 범위 내의 각 달러에 대해 정해진 세율을 납부한다. 예를 들어, 세금 공제 후 소득(조정, 공제 및 면제 후 소득)이 10000USD인 사람은 1달러부터 7550USD까지는 각 달러당 10%, 7551USD부터 10000USD까지는 각 달러당 15%의 세금을 납부하여 총 1122.5달러를 납부하게 된다.

미국은 개인 면제 및 기타 여러 세금 공제(예: 근로소득세 공제, 주택 담보 대출 상환액 등)를 적용하며, 비과세 소득 수준을 넘어서는 소득에 대해 10%에서 39.6%까지 7단계의 소득세 구간을 설정하고 있다. 2021년 기준 미국 개인 납세자의 연방 소득세율은 다음과 같다.[64]

과세 소득 구간 (USD)세율
0USD ~ 9950USD10%
9950USD ~ 40525USD12%
40525USD ~ 86375USD22%
86375USD ~ 164925USD24%
164925USD ~ 209425USD32%
209425USD ~ 523600USD35%
523600USD 초과37%



미국의 연방 세제에는 저소득 가구를 위한 주 및 지방세 공제가 포함되어 있어, 재산세와 같이 때로는 역진적인 성격을 띠는 세금 부담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고소득 가구의 경우, 공제를 제한하고 26%에서 28%의 정률 세율을 적용하는 최저 대체세(AMT)의 적용을 받을 수 있으며, 더 높은 세율은 소득 17.5만달러부터 시작된다. 또한, 독신 신고자의 경우 소득 11.25만달러부터 공제가 단계적으로 축소되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주 및 지방세와 특정 다른 공제에 대한 공제가 완전히 제한되어 누진성이 강화되며, 이는 소득 30.630000000000003만달러 이상인 개인에게 적용된다.[65] 역진적인 주 및 지방세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의 많은 주에서는 누진적인 소득세를 시행하고 있다.[66] 32개 주와 컬럼비아 특별구는 누진세율 소득세를 시행하고 있으며[67], 세율 구간은 주마다 다르다.

미국 연방 세제의 누진성은 1960년대 이후 크게 약화되었다. 특히 1980년대 레이건 행정부와 2000년대 부시 행정부 시기에 누진성 감소가 두드러졌다.[68] 트럼프 행정부 시기인 2017년에 시행된 2017년 감세 및 일자리법은 미국 세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 법안은 고소득 가구의 세금을 상당히 낮추고 기업의 공제 허점을 확대했으며, 연방 법인세율을 21%로 인하하는 조치를 포함했다.[69] 개인 소득세의 7단계 세율 구조는 유지되었지만, 7개 구간 중 5개 구간의 세율이 1% 이상 인하되었다.[70] 예를 들어, 2017년 감세 및 일자리법 시행 이전에는 공제 후 총소득이 25만달러인 기혼 부부에게 33%의 세율이 적용되었으나, 2023년과 2024년에는 최고 세율이 24%로 감소했다. 이러한 변화는 고소득층의 실수령액을 이전 해에 비해 상당히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으로 분석된다.[71]

8. 2. 유럽

알바니아는 2014년에 정률세에서 누진세로 전환했다.[72] 연구에 따르면 누진세 체계는 소득 불평등 완화 및 정부 세수 증대와 같은 정책 목표 달성에 더 효과적일 수 있지만, 정책 입안자는 투자와 기업가 정신에 대한 잠재적 영향을 신중하게 평가하고 강력한 세무 행정 및 집행 조치를 통해 누진세 체계 내에서의 탈세를 막아야 한다고 지적되었다.[72]

다음은 일부 유럽 국가들의 개인 소득세율 예시이다.

'''벨기에''' (2021년 소득 기준)[73]

소득 구간 (EUR)세율
0EUR ~ 13540EUR25%
13540EUR ~ 23900EUR40%
23900EUR ~ 41360EUR45%
41360EUR 초과50%



'''덴마크'''[75]

덴마크의 개인 소득에 대한 주 세율은 하위 과세 기준에서 12.11%, 상위 과세 기준(즉, DKK 544800DKK 초과 소득)에서 15%이다. 지방세(전국 평균 24.971%), 노동 시장세, 교회세와 같은 추가 세금도 개인 소득에 적용된다.

'''독일''' (2020년 과세 연도, 독신 납세자 기준)[76]

소득 구간 (EUR)세율
0EUR ~ 9744EUR0%
9744EUR ~ 57918EUR14% ~ 42% (점증)
57918EUR ~ 274612EUR42%
274612EUR 초과45%



'''노르웨이''' (2020년 기준)[79]

소득 구간 (NOK)세율
180800NOK ~ 254500NOK1.9%
254500NOK ~ 639750NOK4.2%
639750NOK ~ 999550NOK13.2%
999550NOK 초과16.2%



'''스웨덴'''[80]

소득 구간 (SEK)주 소득세율
0SEK ~ 413200SEK0%
413200SEK ~ 591600SEK20%
591600SEK 초과25%


  • 지방세는 별도로 부과된다.


'''영국''' (잉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81]

소득 구간 (GBP)세율
0GBP ~ 12570GBP0%
12571GBP ~ 50270GBP20%
50271GBP ~ 150000GBP40%
150000GBP 초과45%



'''스코틀랜드'''[82]

스코틀랜드에는 다른 영국 국가보다 더 많은 세율 구간이 있다.

소득 구간 (GBP)세율
12571GBP ~ 14667GBP19%
14667GBP ~ 25296GBP20%
25297GBP ~ 43662GBP21%
43663GBP ~ 150000GBP41%
150000GBP 초과46%



'''이탈리아''' (2020년 10월 기준)[85]

소득 구간 (EUR)세율
0EUR ~ 15000EUR23%
15000EUR ~ 28000EUR25%
28000EUR ~ 50000EUR35%
50000EUR 초과43%


참조

[1] 웹사이트 progressive http://www.merriam-w[...]
[2] 백과사전 progressive http://www.bartleby.[...]
[3] 웹사이트 progressive tax http://wordnetweb.pr[...] Princeton University 2023-02-17
[4] 서적 Concepts of Taxation Dryden Press
[5] 서적 Public Finance: A Contemporary Application of Theory to Policy Dryden Press
[6] 서적 A Dictionary of Taxation Edgar Elgar
[7] 학술지 Measurement of Tax Progressivity 1977-09
[8] 웹사이트 Internal Revenue Service https://www.irs.gov/[...] 2009-03-27
[9] 백과사전 Luxury tax http://concise.brita[...]
[10] 학술지 Clothing Exemptions and Sales Tax Regressivity 1969-09
[11] 서적 The Spirit Level: Why Greater Equality Makes Societies Stronger Bloomsbury 2011-04-26
[12] 학술지 A note on minimally progressive taxation and absolute income inequality
[13] 학술지 Income Inequality in the United States, 1913–1998 http://elsa.berkeley[...]
[14] 웹사이트 Do Tax Structures Affect Aggregate Economic Growth? Empirical Evidence From A Panel of OECD Countries http://search.oecd.o[...] OECD 2008-10-14
[15] 웹사이트 The Upside of Income Inequality http://www.american.[...]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2007-05
[16] 학술지 Progressive Taxation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Nations 2012
[17] 웹사이트 Roman Taxes http://www.unrv.com/[...] 2014-04-12
[18] 웹사이트 A tax to beat Napoleon http://www.hmrc.gov.[...] HM Revenue & Customs 2023-02-18
[19] 서적 Anglo-American Corporate Taxation: Tracing the Common Roots of Divergent Approach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학술지 Exploring the Origins and Global Rise of VAT 2011
[21] 학술지 What Marxist Tax Policies Actually Look Like https://brill.com/vi[...] 2019-07-08
[22] 웹사이트 Negative income tax, explained https://mitsloan.mit[...] 2024-04-26
[23] 학술지 The Negative Income Tax and the Evolution of U.S. Welfare Policy https://pubs.aeaweb.[...] 2003-08-01
[24] 학술지 "Is There a Consensus Among Economists in the 1990's?" https://www.weber.ed[...]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1992-05
[25] 학술지 A Comparison of the Labor Supply Findings from the Four Negative Income Tax Experiments https://www.jstor.or[...] 1985
[26] 학술지 Optimal tax theory: the journey from the negative income tax to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https://go.gale.com/[...] 2010-04-01
[27] 서적 Measuring Inequality
[28] 웹사이트 Unequal Inequalities: Do Progressive Taxes Reduce Income Inequality? http://ftp.iza.org/d[...]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2012-10
[29] 서적 The Economics of Welfare
[30] 웹사이트 Inequality and Unsustainable Growth: Two Sides of the Same Coin?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1
[31] 학술지 Distributive Politics and Economic Growth https://dash.harvard[...] 1994-05
[32] 학술지 Unemployment and long-run economic growth: The role of income inequality and urbanisation http://diposit.ub.ed[...]
[33] 학술지 More than a Dozen Alternative Ways of Spelling Gini http://siteresources[...]
[34] 웹사이트 Positional Externalities Cause Large and Preventable Welfare Losses http://www.aeaweb.or[...]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35] 웹사이트 Are Positional Externalities Different from Other Externalities?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2003-06
[36] 웹사이트 What Is the Evidence on Taxes and Growth? http://taxfoundation[...] Tax Foundation 2012-12-18
[37] 웹사이트 Comments on Who Pays? A Distributional Analysis of the Tax Systems in All 50 States http://taxfoundation[...] Tax Foundation 2013-02-20
[38] 웹사이트 Fiscal policy can make the difference https://blogs.imf.or[...]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2017-10-11
[39] 웹사이트 Becker Explores the Roots of Upward Mobility https://bfi.u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2013-10-15
[40] 논문 11 Economic inequality and educational attainment across a generation
[41] 서적 Access and Persistence of Students from Low - Income Backgrounds in Canadian Post - Secondary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Educational Policy Institute 2008-05
[42] 논문 11 Economic inequality and educational attainment across a generation http://www.irp.wisc.[...]
[43] 논문 Education, Inequality and Income Inequality http://eprints.lse.a[...] Suntory and Toyota International Centres for Economics and Related Disciplines, LSE 2001-05
[44] 웹사이트 Growth in Means-Tested Programs and Tax Credits for Low-Income Households http://www.cbo.gov/p[...] Congressional Budget Office 2013-02-11
[45] 웹사이트 Why Some Tax Units Pay No Income Tax http://www.taxpolicy[...] Tax Policy Center 2011-07
[46] 논문 Tax Policy and Human Capital Formation https://ssrn.com/abs[...] 2012-07-31
[47] 논문 Optimal Progressive Labor Income Taxation and Education Subsidies When Education Decisions and Intergenerational Transfers Are Endogenous 2013-05
[48] 서적 From the Ballot to the Blackboard: The Redistributive Political Economy of Edu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웹사이트 The power to tax: a lecture of Hayek https://mpra.ub.uni-[...] 2010
[50] 논문 Estonia: Taxation System and Implementation of Flat Income Tax https://tile.loc.gov[...] 2006-12
[51] 서적 23. Anarchy, State and Utopia https://www.degruyt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1-19
[52] 논문 Liberalism and Nozick's `Minimal State' https://www.jstor.or[...] 1978
[53] 웹사이트 Buffett says he's still paying lower tax rate than his secretary https://money.cnn.co[...] 2013-03-04
[54] 웹사이트 Buffett Rule: What It Means, Criticism, FAQs https://www.investop[...]
[55] 웹사이트 Warren Buffett Defends Paying the Least Among America's Richest https://www.newsweek[...] 2021-06-08
[56] 논문 Progressive Taxation And Happiness https://lira.bc.edu/[...]
[57] 웹사이트 Class Warfare: The Mortal Enemy Of Economic Growth And Jobs https://www.forbes.c[...] 2012-10-17
[58] 웹사이트 Warren Buffett Rule: Class Warfare or Tax Fairness?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09-19
[59] 웹사이트 Egypt constitution panel rejects article on progressive taxation http://english.ahram[...] Ahram Online 2013-11-11
[60] 웹사이트 Beliefs about political equality prevent consensus on progressive taxes https://news.yale.ed[...] 2022-07-19
[61] 간행물 Form 1040 Instructions (2003), 2003 Tax Rate Schedules https://www.irs.gov/[...]
[62] 간행물 Form 1040 Instructions (2004), 2004 Tax Computation Worksheet—Line 43 https://www.irs.gov/[...]
[63] 웹사이트 The Distribution of Household Income and Federal Taxes, 2010 http://cbo.gov/publi[...] US Congressional Budget Office 2013-12-04
[64] 웹사이트 IRS provides tax inflation adjustments for tax year 2021 https://www.irs.gov/[...] 2020-10-26
[65] 법률 26 USC 55 https://www.law.corn[...]
[66] 간행물 Who pays? A distributional analysis of the tax systems in all 50 states https://itep.org/who[...] Institute on Taxation and Economic Policy 2018
[67] 웹사이트 State Individual Income Tax Rates and Brackets https://taxfoundatio[...]
[68] 논문 How Progressive is the U.S. Federal Tax System? A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 2007-01-01
[69] 웹사이트 6 Ways the Trump Administration Is Rigging an Already Unfair Tax Code https://www.american[...] 2020-10-28
[70] 웹사이트 How Trump's Tax Reform Plan Affects You https://www.thebalan[...]
[71] 웹사이트 Trump Tax Brackets: Did My Tax Rate Change? - SmartAsset https://smartasset.c[...] 2024-03-24
[72] 논문 Comparative Study on Flat Tax and Progressive Tax in Albania https://www.research[...] 2023-05-00
[73] 웹사이트 Belgium - Individual - Taxes on personal income https://taxsummaries[...] 2021-04-22
[74] 웹사이트 Canadian income tax rates for individuals - current and previous years https://www.canada.c[...] 2020-12-30
[75] 웹사이트 Denmark - Individual - Taxes on personal income https://taxsummaries[...] 2021-04-22
[76] 웹사이트 Germany - Individual - Taxes on personal income https://taxsummaries[...] 2021-04-22
[77] 논문 The Effect of Progressive Tax on Regional Income (Study at One of The Centers of Income Management in Cimahi City) https://www.research[...] 2023-04-00
[78] 논문 The Effect of Progressive Tax Implementation, Tax Sanctions and Tax Knowledge on the Level of Motor Vehicle Taxpayer Compliance in Palembang City: Case Study on WPOP Joint Office Samsat City of Palembang I https://www.research[...] 2023-05-00
[79] 웹사이트 Norway - Income Tax - KPMG Global https://home.kpmg/xx[...] 2021-03-02
[80] 웹사이트 Belopp och procent inkomstår 2013 - privat https://www.skatteve[...] 2021-04-22
[81] 웹사이트 Income Tax rates and Personal Allowances https://www.gov.uk/i[...] 2021-04-22
[82] 웹사이트 Income Tax in Scotland https://www.gov.uk/s[...] 2021-04-22
[83] 웹사이트 Tax rates for individuals https://www.ird.govt[...] Inland Revenue Department (New Zealand) 2022-11-09
[84] 웹사이트 Individual income tax rates http://www.ato.gov.a[...] Australian Taxation Office 2013-05-15
[85] 웹사이트 Italian Taxes & Tax Advantages For Expats Explained https://expatra.com/[...] 2023-10-23
[86] 서적 ミクロ経済学 第2版 東洋経済新報社 2002-00-00
[87] 서적 財政学[第2版] 東京大学出版会 1996-00-00
[88] 서적 クルーグマン ミクロ経済学 東洋経済新報社 2007-00-00
[89] 서적 人間臨終図巻・下巻 徳間書店 1987-00-00
[90] 서적 クルーグマン ミクロ経済学 東洋経済新報社 2007-00-00
[91] 서적 脱貧困の経済学 筑摩書房
[92] 서적 競争と公平感-市場経済の本当のメリット 中央公論新社 2010-00-00
[93] 서적 ノーベル経済学賞の40年〈上〉-20世紀経済思想史入門 筑摩書房 2012-00-00
[94] 간행물 2010年9月 日本における貧困議論の現状と展望 http://research.n-fu[...]
[95] 뉴스 視点:格差是正へ所得税改革が急務=土居丈朗氏 https://jp.reuters.c[...] Reuters 2014-12-30
[96] 간행물 竹中平蔵・櫻井よしこ連載対談 目を覚ませ、日本人 第5回 https://yoshiko-saku[...] Voice (雑誌) 2001-05-00
[97] 서적 経済ってそういうことだったのか会議 日本経済新聞社 2002-00-00
[98] 서적 竹中平蔵の特別授業-きょうからあなたは「経済担当補佐官」 集英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 2005-00-00
[99] 웹사이트 パート収入はいくらまで所得税がかからないか https://www.nta.go.j[...]
[100]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