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오 (일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오 (일본)는 음력 5월 5일에 해당하는 일본의 전통적인 절기이다. 어원은 시작을 의미하는 '단(端)'과 5월을 나타내는 '오(午)'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5월의 첫 번째 말의 날을 의미했으나, 나라 시대 이후 5월 5일로 정착되었다. 단오는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붓꽃을 사용하여 집을 정화하고 악령을 쫓는 풍습이 있었다. 가마쿠라 시대 이후 사무라이 계급이 권력을 잡으면서 남자아이들의 건강과 번영을 기원하는 날로 바뀌었고, 에도 시대에는 잉어 깃발을 장식하는 풍습이 시작되었다. 현재는 어린이날로 지정되어 남녀 아동 모두를 기념하며, 카시와 모치와 치마키를 먹고 붓꽃으로 목욕하는 등의 풍습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민속 축제 - 다나바타
    다나바타는 중국 칠석에서 비롯된 일본 축제로, 견우와 직녀 설화를 바탕으로 소원을 적은 단자쿠를 대나무에 매다는 풍습이 있으며 현대에는 센다이 칠석 축제를 비롯한 다양한 축제가 열린다.
  • 단오절 - 창포
    창포는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특유의 향을 지니며, 단오 풍습 및 약재 등으로 사용되지만 독성 성분으로 인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고, 염색체 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어 분류학적 논쟁이 있다.
  • 단오절 - 그네
    그네는 매달린 좌석을 앞뒤로 흔들며 타는 놀이기구로, 진자의 원리를 이용하며, 동아시아에서 유래하여 전신 협응력과 균형 감각 발달에 도움을 주고 문화 예술 작품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 일본의 연중행사 - 모치바나
    모치바나는 풍요와 다산,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며 떡을 나뭇가지에 꽂아 만든 일본의 장식으로, 각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전해져 오고 특별한 날에 사용되며 현대에는 장식용이나 선물용으로도 활용된다.
  • 일본의 연중행사 - 쓰키미
    쓰키미는 일본의 추석 풍습으로, 음력 8월 15일에 달을 감상하며 억새, 쓰키미 당고, 제철 음식 등을 바치고 풍성한 수확을 기원하는 행사이며, 헤이안 시대에 중국 중추절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어 오늘날에는 가을 달을 즐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화하며 일본 문화 전반에 나타나고 있다.
단오 (일본)
개요
긴타로 인형
긴타로 인형
종류일본의 연중행사
날짜5월 5일
의미남자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입신양명을 기원하는 날
관련 용어고세쿠, 고가쓰닌교, 고이노보리
유래 및 역사
기원중국의 단오에서 유래
일본 유래나라 시대에 일본에 전해짐
무가 사회갑옷, 투구 장식
쇼부(상무, 尚武) 중시
에도 시대서민층으로 확산
남아의 건강과 출세를 기원하는 행사로 정착
메이지 시대음력 5월 5일에서 양력 5월 5일로 변경
쇼와 시대1948년 어린이날로 제정
풍습
5월 인형갑옷, 투구 장식
무사 인형
긴타로 인형
고이노보리(잉어 깃발)잉어가 겪는 역경을 이겨내고 등용문을 통과하여 용이 된다는 중국의 고사 인용
쇼부(菖蒲, 창포)칼 모양의 잎을 가진 창포 사용
액운을 쫓고 건강을 기원
쇼부탕(창포탕)에 몸을 담그거나 창포주를 마심
음식가시와모찌(떡갈잎 떡)
지마키(대나무 잎 떡)
현대의 단오
공휴일어린이날 (5월 5일)
의미남아의 건강한 성장과 행복을 기원
행사5월 인형 장식
고이노보리 게양
가시와모찌, 지마키 먹기
쇼부탕(창포탕)에 몸을 담그기
기타
관련 행사히나마쓰리(3월 3일, 여자아이의 날)
단오절의 기원과 의미
어원'단(端)'은 '처음', '오(午)'는 '다섯'이라는 뜻으로, 초오일(첫 오일)을 의미
유래중국의 단오에서 유래
음양오행설에서 유래
시기논에서 모내기를 시작하는 시기
일본 유입나라 시대에 전해짐
별칭아야메노히(창포의 날)
풍습의 변천
헤이안 시대궁중 행사로 자리 잡음
가마쿠라 시대 ~ 에도 시대무사 계급에서 중시
에도 시대남자아이의 출세를 기원하는 행사로 변화
고이노보리 등장
메이지 시대 이후어린이날로 지정
지역별 단오 풍습
아오모리현탄고노셋쿠(단오절)에 쓰가루 네부타 축제 개최
가가와현쇼부(菖蒲, 창포) 대신 마늘을 사용

2. 어원

음력에서 '말(午|고jpn)'의 달은 5월에 해당하며, 원래 단오는 5월의 첫 번째 '말의 날(午の日|우마노히jpn)'을 기념하는 절기였다. '단(端|탄jpn)'은 '시작' 또는 '처음'을 의미하고, '오(午|고jpn)'는 십이지 중 '말'과 음력 5월을 뜻한다. 따라서 '단오(端午|단고jpn)'는 본래 '5월의 첫 번째 말의 날'을 의미했다. 하지만 '말'을 뜻하는 '오(午|고jpn)'와 숫자 '다섯'을 뜻하는 '오(五|고jpn)'의 일본어 발음(ご|고jpn)이 같아, 나라 시대 이후 점차 5월 5일로 날짜가 바뀌었다.[2] 홀수가 겹치는 3월 3일(히나마츠리), 7월 7일(칠석), 9월 9일(국화의 날) 등도 비슷한 방식으로 절기로 지정되었다.

2. 1. 일본

음력에서 '말(午|고일본어)'의 달은 5월에 해당하며, 원래 단오는 5월의 첫 번째 '말의 날(午の日|우마노히일본어)'을 기념하는 절기였다. 端|탄일본어은 '시작' 또는 '처음'을 의미하므로, 端午|단고일본어는 본래 '5월의 첫 번째 말의 날'을 뜻했다. 하지만 '말'을 뜻하는 午|고일본어와 숫자 '다섯'을 뜻하는 五|고일본어의 일본어 발음이 같기 때문에, 나라 시대 이후 점차 5월 5일을 가리키는 것으로 의미가 변화했다.[2]

節句|셋쿠일본어는 계절 축제를 의미하며,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는 정월(1월 1일), 히나마츠리(3월 3일), 칠석(7월 7일), 국화의 날(9월 9일)과 함께 일본의 5대 節句|셋쿠일본어 중 하나이다.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여름 또는 장마철의 시작을 알리는 의미도 지닌다.

3. 역사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가 언제 처음 기념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스이코 천황(593–628) 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나라 시대 이후 음력 5월 5일로 날짜가 정해졌다.[3][4][5][6][7]

원래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는 여성들이 붓꽃으로 집을 정화하고 쉬는 날이었으나, 가마쿠라 시대(1185–1333)에 사무라이 계급이 권력을 잡으면서 남자아이들을 위한 날로 성격이 바뀌었다. 이는 붓꽃의 일본어 발음 '쇼부(菖蒲)'가 '상무(尚武)', 즉 무예를 숭상한다는 의미의 단어와 발음이 같아 사무라이에게 길한 식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3][4][5][6][7][11][12][14][15][16]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1333–1573)에 걸쳐 사무라이들은 자녀의 보호를 기원하며 갑옷과 가부토(투구)를 전시하기 시작했다. 에도 시대(1603–1867)에는 이러한 풍습이 더욱 확산되어 사무라이 인형(武者人形|무샤 닌교일본어), 코이노보리(잉어 깃발) 장식, 붓꽃 물에 목욕하는 菖蒲湯|쇼부유일본어 등의 풍습이 생겨났다.[3][4][11][12]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이 그레고리력을 채택하면서 날짜는 양력 5월 5일로 변경되었다.[1] 1948년, 이날은 남녀 구분 없이 모든 어린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어린이날'(こどもの日|고도모노히일본어)로 공식 제정되었다.[8][9][17][18] 쇼와 시대(1926–1989) 이후로는 주거 환경의 변화 등으로 미니어처 형태의 갑옷이나 가부토 장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3][4][11][12]

3. 1. 한국

단오는 삼한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오랜 역사를 가진 명절이다. 고려 시대에는 9대 명절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임금이 신하들에게 단오 부채를 하사하는 풍습이 있었다. 조선 시대에는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여겨질 만큼 중요한 날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 정책으로 인해 단오 풍속이 위축되기도 했으나, 광복 이후 다시 활성화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3. 2. 일본

端|탄일본어은 '시작'을 의미하며, 午|고일본어는 음력 5월을 나타내는 십이지의 '말'을 뜻하는 중국어의 간략한 형태이다. 요일에도 십이지 동물이 붙는다. 따라서, 端午|단고일본어는 원래 '5월의 첫 번째 말의 날'을 의미했다. 하지만, 午|고일본어는 일본어로 五|고일본어(다섯)의 동음이의어이므로, 나라 시대에는 그 의미가 5월 5일로 바뀌었다.[2] 節句|셋쿠일본어는 계절 축제를 의미한다. 5대 節句|셋쿠일본어에는 정월 お正月|오쇼가쓰일본어 (1월 1일), 히나마쓰리 (3월 3일), 칠석 七夕|다나바타일본어 (7월 7일), 국화의 날 菊の節句|기쿠노셋쿠일본어 (9월 9일)와 더불어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가 있다.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여름 또는 장마의 시작을 알린다.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가 언제부터 기념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지만, 스이코 천황 (593–628년) 시대에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 이후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가 음력 5월 5일로 지정되었다.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는 원래 여성들이 악령을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던 붓꽃으로 지붕을 덮어 집을 정화하고, 여성들이 몸을 쉬는 날이었으나, 가마쿠라 시대 (1185–1333)에 사무라이 계급이 정부를 장악하면서 남자아이들을 위한 날로 바뀌었다. 그 이유는 붓꽃의 잎이 일본도의 칼날처럼 생겨 사무라이를 상징하는 식물이었고, '군사적 가치를 존중한다'는 의미의 尚武|쇼부일본어라는 단어는 菖蒲|쇼부일본어(붓꽃)와 발음이 같아 사무라이에게 길조를 의미하는 식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3][4][5][6][7][11][12][14][15][16] 이 시기부터 악령을 쫓기 위해 5월 5일에 야부사메|流鏑馬|야부사메일본어 (일본 무사들의 말 위에서 하는 활쏘기)가 열렸다.[3][4][5][6][7]

두 개의 (사무라이 인형)


어린이날에 미니어처 일본 갑옷과 가부토|兜|가부토일본어 (투구)를 전시하는 관습은 五月人形|고가쓰 닌교일본어(5월 인형)라고 불리며,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 (1333–1573)에 기원을 두고 있다. 사무라이들은 장마철 전에 갑옷, 兜|가부토일본어, 일본도를 보관함에서 꺼내 관리했다. 이는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 시기였기에, 그들은 자녀를 보호하려는 마음으로 갑옷, 兜|가부토일본어, 일본도를 전시하기 시작했다.[3][4][11][12]

에도 시대 (1603–1867) 동안,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 축제는 성대해졌고, 사무라이 가문은 실제 갑옷, 兜|가부토일본어, 일본도 외에도 武者人形|무샤 닌교일본어(사무라이 인형)을 전시하기 시작했다. 일반 가구에서는 종이 兜|가부토일본어를 전시하기 시작했다. 5월 5일에 붓꽃으로 목욕하는 관습(菖蒲湯|쇼부유일본어)도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3][4][11][12]

코이노보리를 묘사한 우타가와 히로시게우키요에. 에도 시대


어린이날에 코이노보리|鯉幟|고이노보리일본어 (잉어 모양의 깃발)를 장식하는 관습은 에도 시대에 시작되었다. 에도 시대 동안, 사무라이 가문은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 기간에 군대를 나타내기 위해 몬|紋|몬일본어 (가문 문장)으로 색칠된 노보리|幟|노보리일본어 또는 吹貫|후키누케일본어 깃발로 마당을 장식하기 시작했다. 그 후 幟|노보리일본어와 吹貫|후키누케일본어가 합쳐졌고, 최초의 鯉幟|고이노보리일본어에도 (현재의 도쿄)에 등장했다. 오늘날 알려진 화려한 鯉幟|고이노보리일본어메이지 시대 (1868–1912)에 인기를 얻었다.[3][4]

일본이 그레고리력으로 전환된 후, 날짜는 새로운 달력의 5월 5일로 변경되었다.[1] 1948년까지 어린이날은 3월 3일의 히나마쓰리, 즉 "여자아이의 날"과 상응하는 날로서 소년을 기념하고 아버지를 기리는 소년의 날 (깃발의 축제라고도 함)로 알려졌다. 1948년, 이름은 남녀 아동 모두를 포함하고 아버지와 함께 어머니를 기리며 가족의 단결이라는 가치를 인정하기 위해 어린이날로 변경되었다.[8][9][17][18]

쇼와 시대 (1926–1989)에는 인기가 무사 인형에서 미니어처 갑옷으로 옮겨갔고, 21세기 이후에는 일본 주택의 크기 때문에 미니어처 兜|가부토일본어가 인기를 얻고 있다.[3][4][11][12]

전통적으로 이 날에 제공되는 음식으로는 카시와모치 (팥소를 넣고 떡갈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와 치마키 (붓꽃 또는 대나무 잎으로 싼 찹쌀떡) 등이 있다.[9][10][18][19] 카시와모치에 사용되는 떡갈나무 잎은 새 잎이 나올 때까지 묵은 잎이 떨어지지 않는 나무로, 자손의 번영을 상징하는 길조로 여겨진다.[3][11]

붓꽃은 약효가 있고 악령을 쫓는다고 믿어지기 때문에, 端午の節句|단고노셋쿠일본어에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붓꽃으로 목욕(菖蒲湯|쇼부유일본어)을 하거나, 얇게 썬 붓꽃 뿌리나 잎을 사케에 담가 마시거나(菖蒲酒|쇼부자케일본어), 얇은 와시 (일본 전통 종이)에 붓꽃을 넣고 베개(菖蒲枕|쇼부마쿠라일본어)에 넣어 잠자리에 들었다.[3][4][7][11][12][16]

4. 풍습

일본의 단오, 즉 단고노셋쿠(端午の節句)에는 남자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행복을 기원하는 다양한 풍습이 있다. 집 안팎을 장식하고 특별한 음식을 먹으며, 창포(菖蒲)를 활용하는 등 액운을 쫓고 복을 부르는 의미를 담은 행사들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풍습은 시대 변화에 따라 조금씩 변형되었지만 기본적인 의미는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4. 1. 일본

일본에서 단고노셋쿠(端午の節句)가 언제 처음 기념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스이코 여왕 통치 시기(593–628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나라 시대 이후로는 5월 5일로 날짜가 고정되었다.

원래 단고노셋쿠는 여성들이 악령을 물리치기 위해 아이리스(창포)를 사용하여 집을 정화하고 휴식을 취하는 날이었다. 그러나 가마쿠라 시대(1185–1333)에 들어서면서 남자아이들을 위한 날로 성격이 바뀌었다. 이는 창포를 의미하는 일본어 단어 '쇼부(菖蒲)'의 발음이 군사적 가치를 존중한다는 의미의 '쇼부(尚武)'와 같았고, 창포 자체가 사무라이를 상징하는 식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11][12][14][15][16]

어린이날에 작은 크기의 일본 갑옷과 투구를 전시하는 풍습은 가마쿠라 시대에서 무로마치 시대(1333–1573) 사이에 시작되었다. 당시 사무라이들은 장마철 전에 갑옷, 투구, 일본도 등을 꺼내 관리했는데, 이때 자녀 보호의 염원을 담아 전시하기 시작한 것이 유래가 되었다.[11][12]

에도 시대(1603–1867)에는 단고노셋쿠 축제가 더욱 성대해졌다. 사무라이 가문에서는 실제 갑옷과 함께 사무라이 인형(무사 인형)을 전시하기 시작했고, 일반 서민 가정에서도 종이로 만든 갑옷을 장식했다. 5월 5일에 창포를 넣은 물에 목욕하는 풍습(쇼부유, 菖蒲湯) 역시 이 시기에 시작되었다.[11][12]

일본이 그레고리력을 채택하면서 단고노셋쿠는 양력 5월 5일로 옮겨졌다. 1948년, 기존에 남자아이의 날로 여겨지던 이날은 남녀 모든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7][18]

쇼와 시대(1926–1989)에는 사무라이 인형 대신 미니어처 갑옷 장식이 유행하기 시작했으며, 21세기에 들어서는 일본 주택의 크기 변화에 따라 작은 크기의 투구 장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11][12]

전통적으로 단고노셋쿠에는 가시와모치(柏餅, 단팥소를 넣은 떡을 떡갈나무 잎으로 싼 것)와 지마키(粽, 찹쌀을 댓잎이나 갈댓잎 등에 싸서 찐 것)를 먹는다.[18][19] 가시와모치를 싸는 떡갈나무 잎은 새잎이 돋아날 때까지 오래된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자손 번영을 상징하는 길조로 여겨진다.[11]

창포는 약효가 있고 악령을 쫓는 힘이 있다고 믿어져 단고노셋쿠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창포 잎이나 뿌리를 넣은 물에 목욕을 하고(쇼부유), 잘게 썬 창포 뿌리나 잎을 술에 담가 마시기도 하며, 종이로 만든 창포를 베개 밑에 넣고 자는 풍습도 있다.[11][12][16]

5. 현대의 단오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ango no Sekku p2QnPijAEmEC Google books 2005
[2] 웹사이트 端午の節句と5月人形 http://www.ningyo-ky[...] Japanese Doll Association 2014-05-07
[3] 웹사이트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4] 웹사이트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5] 웹사이트 https://www.dwc.dosh[...] Doshisha Women's College of Liberal Arts 2018-04-18
[6] 웹사이트 https://www.townnews[...] Town news-Sha Co., LTD. 2020-02-14
[7] 웹사이트 https://www.gekkeika[...] Gekkeikan 2023-02-06
[8] 웹사이트 Kid's Corner: Children's Day https://www.ny.us.em[...] Consulate General of Japan in New York 2019-05-05
[9] 웹사이트 Kodomo no hi: Children's Day Celebration http://aboutjapan.ja[...] Japan Society 2018-05-03
[10] 뉴스 For Children's Day, Sweets, Of Course https://www.nytimes.[...] 1991-05-01
[11] 웹인용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12] 웹인용 https://www.touken-w[...] Nagoya Japanese Sword Museum Nagoya Touken World 2023-02-04
[13] 서적 Tango no Sekku p2QnPijAEmEC Google books 2005
[14] 웹인용 https://www.dwc.dosh[...] Doshisha Women's College of Liberal Arts 2018-04-18
[15] 웹인용 https://www.townnews[...] Town news-Sha Co., LTD. 2020-02-14
[16] 웹인용 https://www.gekkeika[...] Gekkeikan 2023-02-06
[17] 웹인용 Kid's Corner: Children's Day https://www.ny.us.em[...] Consulate General of Japan in New York 2019-05-05
[18] 웹인용 Kodomo no hi: Children's Day Celebration http://aboutjapan.ja[...] Japan Society 2018-05-03
[19] 뉴스 For Children's Day, Sweets, Of Course https://www.nytimes.[...] 1991-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