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는 1978년 12월 12일에 실시되었다. 총 231석의 국회의원 정수 중 154석은 지역구에서, 77석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되었으며, 중선거구제와 유신정우회 간선제를 병행했다. 선거 결과, 여당인 민주공화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득표율은 야당인 신민당이 근소하게 앞섰다. 1979년 제2차 석유 파동과 YH 사건 등을 거치며 정치적 혼란이 심화되었고,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되면서 10대 국회는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8년 대한민국의 선거 -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978년 5월 18일에 실시된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는 2,583석을 두고 5,577명이 경쟁하여 78.9%의 투표율을 기록, 현직 대의원의 다수 낙선과 신인 대의원의 대거 당선, 기업인들의 약진이 두드러졌으며 유신 체제 하에서 박정희 대통령의 재선을 확정짓고 제10대 국회 전반기 유신정우회 의원 선출 투표로 이어졌다.
  • 1978년 12월 - 우간다-탄자니아 전쟁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은 우간다의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붕괴, 악화된 양국 관계를 배경으로 우간다의 카게라 지역 침공을 계기로 발발하여 탄자니아의 반격과 우간다 반군의 참여, 리비아의 개입 속에 탄자니아군과 우간다 반군 연합군의 승리로 이디 아민 정권이 붕괴되었으나, 양국에 막대한 피해와 우간다의 내전을 초래했다.
  • 1978년 12월 - 유나이티드 항공 173편 추락 사고
    유나이티드 항공 173편 추락 사고는 1978년 연료 부족으로 포틀랜드 외곽에 추락하여 10명이 사망했으며, 조종사 부주의와 의사소통 부족이 원인이 되어 승무원 자원 관리 훈련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항공 안전 규정 강화에 영향을 주었다.
  •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
    1978년 12월 12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도에서는 민주공화당의 현오봉과 무소속의 변정일이 당선되었으며, 총 투표수는 184,716표였다.
  •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시
    1978년 12월 12일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시는 5개의 선거구로 나뉘어 치러졌으며, 김영삼, 이기택 등이 주요 당선자로 선출되어 당시 정치 상황과 민심을 반영하는 지표로 해석된다.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지도 정보
1978년 대한민국 총선 선거구별 결과 지도
1978년 대한민국 총선 선거구별 결과 지도
기본 정보
국가대한민국
선거 종류입법부
이전 선거1973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973년
다음 선거1981년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1981년
투표율77.08% ( 5.72%p)
선출 의석수231석 중 154석
과반 의석수78석
선거일1978년 12월 12일 및 21일
선거명 (한국어)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명 (한자)第十代總選
선거명 (로마자 표기)Je 10-dae chongseon
주요 정당 및 지도자
정당 1민주공화당
지도자 1박정희
박정희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이전 선거 의석 173석
선거 후 의석 168
의석 변동 15석
득표수 14,695,955표
득표율 131.70%
득표율 변동 16.98%p
정당 2신민당
지도자 2이철승
이철승
이철승
이전 선거 의석 252석
선거 후 의석 261석
의석 변동 29석
득표수 24,861,204
득표율 232.82%
득표율 변동 20.27%p
정당 3민주통일당
지도자 3양일동
민주통일당
민주통일당
이전 선거 의석 32석
선거 후 의석 33석
의석 변동 31석
득표수 31,095,507표
득표율 37.39%
득표율 변동 32.75%p
국회의장
선거 전 국회의장정일권
선거 전 국회의장 소속 정당민주공화당
선거 후 국회의장백두진
선거 후 국회의장 소속 정당유신정우회 (대통령 임명)

2. 선거 정보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는 1978년 12월 12일에 시행되었다.[6] 의석 정수는 231석으로, 지역구 154석과 국민회의에서 선출하는 77석으로 구성되었다.[7] 선거 제도는 중선거구제와 간선제(유신정우회)를 병행하였다. 당시 대통령은 박정희 (민주공화당)이었다.[6]

총 유권자 수는 19,489,490명이었다. 지역구 의원의 임기는 6년, 대통령 추천 의원의 임기는 3년이었다. 지역구 선거는 중선거구 단기투표제로, 각 선거구에서 2명의 의원을 선출하였으며, 무소속 출마도 허용되었다.

1978년 7월 6일 제10대 국민회의에서 박정희가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대의원 2578명 중 2577명의 찬성으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6] 국민회의의 선거일은 1978년 12월 21일이었다.

3. 선거 제도

각 선거구에서 2명의 의원을 단기 비례 대표제를 통해 선출하였다.

4. 투표율

전국 선거인수 19,489,490명 중 15,023,370명이 투표하여, 투표율 77.1%를 기록하였다.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별 투표율
서울부산경기강원충북충남전북전남경북경남제주
68.1%74.3%76.0%84.8%85.6%82.7%82.3%79.6%79.6%80.7%86.1%


5. 선거 결과

정당별 의석수
정당득표수득표율의석수
신민당4,861,20432.8%61
민주공화당4,695,96531.7%68
민주통일당1,095,0577.39%3
무소속4,160,18728.09%22
유신정우회--77
합계15,023,340100%231



의석수는 민주공화당 68석, 신민당 61석으로 여당인 민주공화당이 제1당이 되었다. 그러나 득표에서는 도시 지역뿐 아니라 농촌 지역에서도 선전한 야당 신민당민주공화당(31.7%)을 근소한 차이로 앞서 제1당(32.8%)이 되었다. 선거 결과는 야당에 대한 국민의 지지와 유신 체제에 대한 불만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가 되었다.

1979년 3월 12일에 제10대 국회가 개원했다.[9] 같은 해에는 제2차 석유파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계기로 노동쟁의가 빈발했다. 그리고 같은 해 8월의 YH 사건을 계기로, 야권 세력과 종교계, 언론인 등에 의한 반유신 투쟁은 격렬해졌다. 10월에는 박정권과의 대결 자세를 분명히 한 신민당 총재 김영삼이 미국의 뉴욕타임스와의 회견에서 한 발언을 둘러싸고 국회의원 제명을 당하는 사건(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이 일어나, 그의 지지 기반인 부산과 마산에서 의원 제명에 항의하는 학생과 시민들과 경찰 간의 충돌 사건(부마 민주 항쟁)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부마항쟁에 대한 대응을 둘러싸고 정권 내에 갈등이 일어나, 결국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은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게 피살(박정희 암살 사건)되고, 18년에 걸친 정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1980년 10월 22일의 국민투표에서 개헌안이 승인됨에 따라, 10월 27일제5공화국 헌법이 채택·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개원한 지 약 1년 반밖에 되지 않은 제10대 국회가 해산되고, 국회의 권한은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로 이양되었다.[9]

5. 1. 정당별 득표 및 의석

wikitext

정당별 의석수 및 득표율
정당득표수득표율(%)의석수
신민당4,861,20432.861
민주공화당4,695,96531.768
민주통일당1,095,0577.393
무소속4,160,18728.0922
유신정우회--77
합계15,023,340100231



의석수는 민주공화당 68석, 신민당 61석으로 여당인 민주공화당이 제1당이 되었다. 그러나 득표에서는 도시 지역뿐 아니라 농촌 지역에서도 선전한 야당 신민당이 민주공화당(31.7%)을 근소한 차이로 앞서 제1당(32.8%)이 되었다. 선거 결과는 야당에 대한 국민의 지지와 유신 체제에 대한 불만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가 되었다.

1979년 3월 12일에 제10대 국회가 개원했다. 같은 해에는 제2차 석유파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를 계기로 노동쟁의가 빈발했다. 그리고 같은 해 8월의 YH사건을 계기로, 야권 세력과 종교계, 언론인 등에 의한 반유신 투쟁은 격렬해졌다. 10월에는 박정권과의 대결 자세를 분명히 한 신민당 총재 김영삼이 미국의 뉴욕타임스와의 회견에서 한 발언을 둘러싸고 국회의원 제명을 당하는 사건(김영삼 총재 의원직 제명 파동)이 일어나, 그의 지지 기반인 부산과 마산에서 의원 제명에 항의하는 학생과 시민들과 경찰 간의 충돌 사건(부마민주항쟁)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부마항쟁에 대한 대응을 둘러싸고 정권 내에 갈등이 일어나, 결국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은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게 피살( 박정희 암살 사건)되고, 18년에 걸친 정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1980년 10월 22일의 국민투표에서 개헌안이 승인됨에 따라, 10월 27일제5공화국 헌법이 채택·제정되었다. 이에 따라 개원한 지 약 1년 반밖에 되지 않은 제10대 국회가 해산되고, 국회의 권한은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로 이양되었다.

5. 2.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

지역총 의석 수획득 의석 수
민주공화당 (DRP)신민당 (NDP)민주통일당 (DUP)무소속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style="background:" |
서울특별시2291111
부산광역시104501
경기도168701
강원도105302
충청북도83410
충청남도147502
전라북도126402
전라남도208714
경상북도229805
경상남도188703
제주특별자치도21001
합계146[4]68[4]61[4]3[4]22[4]


5. 3. 대통령 추천 국회의원(유신정우회) 선출

1978년 12월 21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은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한 국회의원 73명과 예비후보 14명을 찬반투표를 통해 선출하였다.[10] 출석 대의원 수는 2,573명이었으므로 통과에는 과반인 1,287표가 필요했다. 투표 결과, 총 2,581명의 대의원 중 2,573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이 중 2,539명이 찬성하여 박정희 대통령이 임명한 국회의원 선출이 승인되었다.[2]

찬성반대무효투표수불참재적 대의원수
서울376943892391
부산143111450145
경기319003190319
강원149201510151
충북130101310131
충남229412340234
전북200102012203
전남310113120312
경북373213763379
경남284222881289
제주260127027
합계2,53923112,57382,581



선출된 국회의원(유신정우회) 명단은 다음과 같다.[2]

민주공화당갈봉근고재규김봉기김성환김세배김영광김영수김영자김옥렬김용호
김윤환김종하김주인박동망박준규박현서박형규백두진백영훈변우량
서영희선우련송방용신광순신동순신범식신상철신상초신철균심규택
안갑준오준석윤이윤여훈윤인식이건호이도환이동원이명춘이상익
이석제이성근이승윤이량우이영근이자헌이정석이정식이종률이종식
이종찬이철희이해원장기선장지량전부일전정구정병학정일영정재호
정희채조병규조상호조일제조홍래천병규최경록최대현최영희최우근
최태호태완선한기춘한옥신한태연함명수현기순


6. 당선자

6. 1. 지역구 당선자

시·도선거구 / 당선자
서울특별시종로구·중구동대문구성동구성북구
정대철 (신민당)민관식 (민주공화당)송원영 (신민당)이인근 (민주공화당)김재만 (신민당)양일동 (민주통일당)조세형 (신민당)정래혁 (민주공화당)
height="6" colspan="8" |
도봉구서대문구마포구·용산구영등포구
고흥문 (신민당)홍성우 (무소속)김재광 (신민당)오유방 (민주공화당)박경원 (민주공화당)노승환 (신민당)박한상 (신민당)강병규 (민주공화당)
height="6" colspan="8" |
관악구강남구강서구rowspan="2" colspan="4" |
김수한 (신민당)정희섭 (민주공화당)정운갑 (신민당)이태섭 (민주공화당)남재희 (민주공화당)김영배 (신민당)
height="6" colspan="8" |
부산직할시중구·영도구서구·동구부산진구·북구동래구
예춘호 (무소속)김상진 (신민당)김영삼 (신민당)박찬종 (민주공화당)정해영 (신민당)김임식 (민주공화당)이기택 (신민당)양찬우 (민주공화당)
height="6" colspan="8" |
남구rowspan="2" colspan="6" |
김승목 (신민당)김재홍 (민주공화당)
height="6" colspan="8" |
경기도인천시수원시·화성군의정부시·양주군·파주군성남시·광주군·여주군·이천군
김은하 (신민당)류승원 (민주공화당)이병희 (민주공화당)유용근 (신민당)박명근 (민주공화당)김형광 (신민당)정동성 (민주공화당)오세응 (무소속)
height="6" colspan="8" |
평택군·용인군·안성군부천시·안양시·시흥군·옹진군고양군·김포군·강화군연천군·포천군·가평군·양평군
유치송 (신민당)서상린 (민주공화당)이택돈 (신민당)윤국노 (민주공화당)오홍석 (신민당)김유탁 (민주공화당)오치성 (민주공화당)천명기 (신민당)
height="6" colspan="8" |
강원도춘천시·춘성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원주시·원성군·홍천군·횡성군강릉시·명주군·삼척군속초시·양양군·인제군·고성군
손승덕 (민주공화당)김준섭 (신민당)박영록 (신민당)김용호 (민주공화당)김효영 (민주공화당)김진만 (무소속)정일권 (민주공화당)함종빈 (무소속)
height="6" colspan="8" |
영월군·평창군·정선군rowspan="2" colspan="6" |
장승태 (민주공화당)엄영달 (신민당)
height="6" colspan="8" |
충청북도청주시·청원군충주시·중원군·제천군·단양군보은군·옥천군·영동군진천군·괴산군·음성군
김현수 (민주통일당)이민우 (신민당)이종근 (민주공화당)이택희 (신민당)육인수 (민주공화당)이용희 (신민당)오용운 (민주공화당)이충환 (신민당)
height="6" colspan="8" |
충청남도대전시 동구·중구천안시·천원군·아산군금산군·대덕군·연기군논산군·공주군
임호 (무소속)김용태 (민주공화당)김종철 (민주공화당)정재원 (신민당)이준섭 (민주공화당)유한열 (신민당)정석모 (민주공화당)박찬 (무소속)
height="6" colspan="8" |
부여군·서천군·보령군청양군·홍성군·예산군서산군·당진군rowspan="2" colspan="2" |
김종필 (민주공화당)조중연 (신민당)장영순 (민주공화당)한건수 (신민당)심현직 (민주공화당)한영수 (신민당)
height="6" colspan="8" |
전라북도전주시·완주군군산시·옥구군·이리시·익산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남원군·순창군
이철승 (신민당)유기정 (민주공화당)김현기 (신민당)채영철 (민주공화당)김광수 (민주공화당)최성석 (신민당)설인수 (민주공화당)손주항 (무소속)
height="6" colspan="8" |
정읍군·김제군고창군·부안군rowspan="2" colspan="4" |
장경순 (민주공화당)김원기 (신민당)박용기 (무소속)이호종 (민주공화당)
height="6" colspan="8" |
전라남도광주시 동구·서구목포시·무안군·신안군여수시·여천군·광양군순천시·구례군·승주군
이필선 (신민당)김녹영 (민주통일당)최영철 (민주공화당)임종기 (신민당)이도선 (민주공화당)박병효 (신민당)유경현 (민주공화당)허경만 (신민당)
height="6" colspan="8" |
나주군·광산군담양군·곡성군·화순군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영암군·완도군
김윤덕 (신민당)한갑수 (무소속)문형태 (민주공화당)고재청 (신민당)신형식 (민주공화당)김수 (무소속)길전식 (민주공화당)윤재명 (무소속)
height="6" colspan="8" |
해남군·진도군영광군·함평군·장성군rowspan="2" colspan="4" |
김봉호 (민주공화당)임영득 (무소속)김재식 (민주공화당)이진연 (신민당)
height="6" colspan="8" |
경상북도대구시 중구·서구·북구대구시 동구·남구포항시·영일군·울릉군·영천군경주시·월성군·청도군
한병채 (무소속)이만섭 (민주공화당)이효상 (민주공화당)신도환 (신민당)권오태 (무소속)조규창 (신민당)박숙현 (민주공화당)박권흠 (신민당)
height="6" colspan="8" |
김천시·금릉군·상주군안동시·안동군·의성군구미시·군위군·성주군·선산군·칠곡군달성군·경산군·고령군
박정수 (무소속)정휘동 (무소속)김상년 (민주공화당)박해충 (신민당)신현확 (민주공화당)김현규 (무소속)박준규 (민주공화당)김종기 (신민당)
height="6" colspan="8" |
영덕군·청송군·울진군영양군·영주군·봉화군문경군·예천군rowspan="2" colspan="2" |
문태준 (민주공화당)황병우 (신민당)김창근 (민주공화당)박용만 (신민당)채문식 (신민당)구범모 (민주공화당)
height="6" colspan="8" |
경상남도마산시·진해시·창원군진주시·삼천포시·진양군·사천군충무시·통영군·거제군·고성군울산시·울주군
박종규 (민주공화당)황낙주 (신민당)구태회 (민주공화당)이상민 (무소속)최재구 (민주공화당)김동욱 (신민당)이후락 (무소속)최형우 (신민당)
height="6" colspan="8" |
의령군·함안군·합천군밀양군·창녕군양산군·김해군남해군·하동군
김상석 (민주공화당)이상신 (신민당)박일 (신민당)하대돈 (민주공화당)김택수 (민주공화당)신상우 (신민당)신동관 (민주공화당)최치환 (무소속)
height="6" colspan="8" |
산청군·함양군·거창군rowspan="2" colspan="6" |
노인환 (민주공화당)김동영 (신민당)
height="6" colspan="8" |
제주도제주시·북제주군·남제주군rowspan="2" colspan="6" |
현오봉 (민주공화당)변정일 (무소속)


6. 2. 통일주체국민회의(유신정우회) 선출 의원

1978년 12월 21일,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들은 박정희 대통령이 추천한 국회의원 73명과 예비후보 14명을 찬반투표를 통해 선출하였다.[10] 출석 대의원 수는 2,573명이었으므로 통과에는 과반인 1,287표가 필요했다.[10] 투표 결과, 총 2,581명의 대의원 중 2,573명이 투표에 참여했고, 이 중 2,539명이 찬성, 23명이 반대, 11명이 무효표를 던져 찬성으로 통과되었다.[2][3]

찬성반대무효투표수불참재적 대의원수
서울376943892391
부산143111450145
경기319003190319
강원149201510151
충북130101310131
충남229412340234
전북200102012203
전남310113120312
경북373213763379
경남284222881289
제주260127027
합계2,53923112,57382,581



선출된 유신정우회 소속 의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2]


7. 선거 이후

1979년 10월 8일에는 고귀남(高貴男)과 김성환(金聖煥)이 사망으로 의원직에 결원이 발생했다. 1980년 5월 22일에는 남재한(南載漢)과 이승윤(李承潤)이 재무부 장관에 지명되어 결원이 발생했고, 8월 13일에는 이호동(李鎬東)과 최경록(崔慶禄)이 주일 대사에 임명되어 결원이 발생했다. 8월 27일에는 김유복(金遺腹)과 최태호(崔泰浩)가 사퇴하여 결원이 발생했다.

8. 각주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 data handbook, Volume II
[2] 뉴스 80년대엔 복지사회 기필코 이룩 3기 유정의원 77명 선출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1978-12-21
[3] 뉴스 80년대엔 복지사회 기필코 이룩 3기 유정의원 77명 선출 https://www.joongang[...] JoongAng Ilbo 1978-12-21
[4] 뉴스 三年制議員(삼년제의원)73명 大統領推薦(대통령추천)대로選出(선출) https://newslibrary.[...]
[5] 문서 긴급조치 9호
[6] 서적 한국정치의 현재-민주화의 다이나믹스 유비각
[7] 문서 朴正熙 대통령이 추천한 후보자 명부에 대한 12월 21일 일괄 투표 승인 및 선출
[8] 웹사이트 歴代選挙情報システム 한국중앙선거관리위원회
[9] 웹사이트 대한민국국회 - 국회의 역사 https://www.assembly[...] 2022-08-11
[10] 웹인용 80年代(연대) 福祉社會(복지사회) 꼭이룩 https://newslibrary.[...] 2019-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