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는 1920년 슈투트가르트에서 태어난 독일의 정치인이다. 외교관의 아들로 스위스, 덴마크, 노르웨이 등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철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부상을 입었고, 이후 법학을 공부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만네스만, 발트하우젠 은행, 베링거인겔하임 등에서 근무하며 기업 활동을 하였고, 1954년 기독교 민주연합에 입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69년 연방하원 의원을 거쳐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서베를린 시장을 역임했으며, 1984년부터 1994년까지 독일 연방 대통령을 지냈다. 대통령 재임 기간 중 독일 통일을 이끌었고, 퇴임 후에도 다양한 국제 기구에서 활동했다. 2015년 사망했으며, 그의 연설과 저서는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츠제커가 -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는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로, 이론 물리학, 핵물리학, 철학 분야에서 활동하며 태양계 형성 이론과 항성 내부 핵융합 연구에 기여했고, 전후에는 평화 운동에 참여하며 사회적 책임과 윤리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펼쳤다. - 독일 사람에 관한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 사람에 관한 - 한스요헨 포겔
독일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한스요헨 포겔은 뮌헨 시장, 연방 장관, 서베를린 시장, 사회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독일 정치 발전에 기여했다. - 독일의 공무원에 관한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공무원에 관한 - 한스요헨 포겔
독일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 한스요헨 포겔은 뮌헨 시장, 연방 장관, 서베를린 시장, 사회민주당 대표 등을 역임하며 독일 정치 발전에 기여했다.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리하르트 카를 프라이헤르 폰 바이츠제커 |
출생일 | 1920년 4월 15일 |
출생지 | [[File:Flagge Königreich Württemberg.svg|border|25px]] 뷔르템베르크, 슈투트가르트, 바이마르 공화국 |
사망일 | 2015년 1월 31일 |
사망지 | [[File:Flag of Berlin.svg|border|25px]] 베를린, 독일 연방 공화국 |
배우자 | 마리아네 폰 크레치만 |
자녀 | 4명 |
정당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1954년–2015년) |
서명 | [[File:Von Weizsäcker signature.svg|300px|서명]] |
부모 |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마리아네 폰 그라에베니츠 |
대통령 | |
직책 | [[File:Flag of the President of Germany.svg|20px]] 연방대통령 |
재임 시작 | 1984년 7월 1일 |
재임 종료 | 1994년 6월 30일 |
총리 | 헬무트 콜 |
전임 | 카를 카르스텐스 |
후임 | 로만 헤어초크 |
서베를린 시장 | |
직책 | 서베를린 시장 |
재임 시작 | 1981년 6월 11일 |
재임 종료 | 1984년 2월 9일 |
전임 | 한스요헨 포겔 |
후임 | 에버하르트 디프겐 |
정당 활동 | |
소속 정당 | 기독교민주연합 |
서베를린 기민련 대표 | 재임 시작: 1981년 3월 21일 재임 종료: 1983년 12월 전임: 페터 로렌츠 후임: 에버하르트 디프겐 |
독일 연방의회 | |
직책 | 연방의회 부의장 |
재임 시작 | 1979년 6월 21일 |
재임 종료 | 1981년 3월 21일 |
의장 | 리하르트 슈튀클렌 |
전임 | 리하르트 슈튀클렌 |
후임 | 하인리히 빈델렌 |
지역구 | 서베를린 |
베를린 의회 | |
직책 | 베를린 의회 의원 |
지역구 | 노이쾰른 |
재임 시작 | 1981년 6월 11일 |
재임 종료 | 1984년 6월 15일 |
전임 | 한스 루트비히 쇤탈 |
후임 | 노르베르트 티츠 |
지역구2 | 노이쾰른 2 |
재임 시작2 | 1979년 4월 26일 |
재임 종료2 | 1979년 12월 17일 |
전임2 | 다선거구 |
후임2 | 라이너 기젤 |
독일 연방의회 | |
직책 | 연방의회 의원 |
재임 시작 | 1969년 10월 20일 |
재임 종료 | 1981년 6월 15일 |
전임 | 다선거구 |
후임 | 베르너 돌라타 |
지역구 | 기독교민주연합 명부(라인란트팔츠; 1969–1980) |
학력 | |
모교 | 옥스퍼드 발리올 칼리지 괴팅겐 대학교 (법학 박사) |
군 경력 | |
복무 기간 | 1938년 - 1945년 |
소속 | 독일 육군 |
최종 계급 | [[파일:WMacht H OF2 Hptm Inf.svg|10px]] 육군 예비역 대위 |
2. 어린 시절
슈투트가르트에서 외교관 아버지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와 어머니 마리안네 폰 그레베니츠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카를 폰 바이츠제커는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총리를 지낸 남작 출신이다.
어린 시절, 바이츠제커는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스위스, 덴마크, 노르웨이 등 여러 나라를 옮겨 다니며 살았다.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베른에 머물면서 스위스 김나지움에서 공부했고, 이후 가족은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
17세 때 영국으로 건너가 옥스퍼드 대학교 밸리얼 칼리지에서 철학과 역사를 전공하였다. 그는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교에서도 공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육군 대위로 복무하였다. 1945년 동프로이센에서 부상을 입고 슈투트가르트로 돌아왔다. 이후 괴팅겐에서 역사 공부를 계속하다가 법학으로 전향하여 1955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12]
1938년, 독일로 귀국하여 독일 국방군(Wehrmacht)에 입대, 포츠담(Potsdam) 제23보병사단 제9연대 기관총 중대에 배치되었다.[119][120] 1939년 9월 1일 독일이 폴란드를 침공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폴란드 침공 작전에 참가했다.[122] 다음날 비드고슈치(Bydgoszcz) 근교 전투에서 그의 형이 전사했다.[123] 1941년에는 동부 전선(Ostfront)에서 바르바로사 작전(Unternehmen Barbarossa)에 참가하여 소련군(Rote Armee)과 싸웠다.[125] 1942년 육군 총사령부(Oberkommando des Heeres) 부속 연락 장교가 되었다가 중위(Oberleutnant)로 진급 후 복귀하여 연대장 부관이 되었다. 1944년 5월에는 로마에 있는 아버지를 방문했다.[127] 1945년 4월 동프로이센(Ostpreußen)에서 경상을 입고 후송되어 종전을 맞이했다.[128][129]
1950년부터 1958년까지 만네스만(Mannesmann)에서, 1958년부터 1962년까지 발트하우젠 은행, 1966년까지 제약 회사 베링거인겔하임에서 근무하였다.
2. 1. 가족 배경과 성장 환경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는 1920년 4월 15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외교관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와 어머니 마리안네 폰 그레베니츠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카를 폰 바이츠제커는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총리를 지낸 남작 출신이다.
어린 시절, 바이츠제커는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스위스, 덴마크, 노르웨이 등 여러 나라를 옮겨 다니며 살았다.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베른에 머물면서 스위스 김나지움에서 공부했고, 이후 가족은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
17세 때 영국으로 건너가 옥스퍼드 대학교 밸리얼 칼리지에서 철학과 역사를 전공하였다. 그는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교에서도 공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육군 대위로 복무하였다. 1945년 동프로이센에서 부상을 입고 슈투트가르트로 돌아왔다. 이후 괴팅겐에서 역사 공부를 계속하다가 법학으로 전향하여 1955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112]
그의 형제로는 형 2명과 누나 1명이 있었으며, 큰형은 철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카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였다. 할아버지 카를 폰 바이츠제커는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문화부 장관과 총리를 역임했으며, 1916년에 세습 남작 작위를 받았다.[113]
2. 2. 학창 시절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는 슈투트가르트에서 외교관 아버지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와 어머니 마리안네 폰 그레베니츠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카를 폰 바이츠제커는 뷔르템베르크 왕국의 총리를 지낸 남작이었다.어린 시절, 바이츠제커는 외교관인 아버지를 따라 스위스, 덴마크, 노르웨이 등 여러 나라를 옮겨 다니며 살았다. 1933년부터 1936년까지 베른에 머물면서 스위스 김나지움에서 공부했고, 이후 가족은 베를린으로 이주하였다.
17세 때 영국으로 건너가 옥스퍼드 대학교 밸리얼 칼리지에서 철학과 역사를 공부했다. 또한 프랑스 그르노블 대학교에서도 공부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육군 대위로 복무하였다. 1945년 동프로이센에서 부상을 입고 슈투트가르트로 거주지를 옮겼다. 이후 괴팅겐에서 역사 공부를 계속하다가 법학으로 전향하여 1955년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5]
3.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바이츠제커는 독일 국방군에 입대하여 예비역 대위 계급까지 올랐다. 그는 형 하인리히가 소속된 포츠담 제9보병연대에 합류하여 전쟁 첫날 연대와 함께 폴란드 침공에 참여했다.[122] 이틀째 되는 날, 그의 형 하인리히는 그로부터 약 100미터 떨어진 곳에서 전사했다.[123] 바이츠제커는 다음 날 아침 매장할 수 있을 때까지 밤새 형의 시신을 지켰다.[123]
귀족 출신 보수적인 프로이센인들로 주로 구성된 그의 연대는 7월 20일 음모에 상당한 역할을 했는데, 무려 19명의 장교가 아돌프 히틀러에 대한 음모에 연루되었다.[7] 바이츠제커 자신은 1943년 12월 제복 검열에서 히틀러 암살을 시도한 친구 악셀 폰 뎀 부셰-슈트라이트호르스트를 도와 베를린으로 가는 여행 서류를 제공했다. 그러나 공습으로 제복이 파괴되어 암살 시도는 중단되었다. 1944년 6월 부셰를 만났을 때, 바이츠제커는 7월 20일 계획에 대한 정보를 듣고 지지 의사를 표명했지만, 결국 계획은 실패했다.
바이츠제커는 이후 전쟁 마지막 9개월을 "고통"으로 묘사했다. 그는 1945년 동프로이센에서 부상을 입었고 슈투트가르트로 후송되어 보덴호 근처의 가족 농장에서 전쟁이 끝날 때까지 머물렀다.[128]
4. 전후 활동 및 법조계 경력
바이츠제커는 1945년 학업에 복귀하여 괴팅겐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했다.[130] 1947년부터 1949년까지 나치 독일의 외무차관으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재판을 받고 있던 아버지의 변호를 위해 휴학했다.[131]
이후 법조인 및 기업인으로서 경력을 쌓았다. 1950년 사법연수생이 되었고, 1953년에는 국가 사법시험에 합격했으며, 1955년에는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33] 1953년 마리아네 폰 크레치만과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었다.
1953년부터 5년간 만네스만(Mannesmann)사에서 법률 고문 등으로 일했다.[133] 그 후 1962년까지 아내의 친척이 운영하는 은행에 근무했고, 1966년까지 잉겔하임에 있는 베링거 인겔하임에서 근무했다.[134][135]
4. 1. 학업 복귀와 법학 공부
전쟁이 끝난 후, 바이츠제커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역사 공부를 계속했고 법학을 공부했다.[130] 1947년, 그의 아버지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가 장관 재판의 피고가 되었을 때,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는 변호사 사무소에서 조수로 수습하며 그의 변호를 보조했다.[131][132] 그는 1950년에 첫 번째 법률 국가고시(Staatsexamen)를, 1953년에 두 번째 국가고시를 치렀고, 1955년에 박사 학위(법학 박사)를 받았다.[133] 1953년에 그는 마리아네 폰 크레치만과 결혼했다.4. 2. 기업 활동
바이츠제커는 1950년부터 1958년까지 만네스만에서 근무했다. 처음에는 연구 조교로, 1953년부터는 법률 고문으로, 1957년부터는 경제 정책 부서장으로 일했다.[18] 1958년부터 1962년까지는 아내의 친척이 소유한 발트하우젠 은행의 은행장이었다. 1962년부터 1966년까지는 제약 회사인 뵈링거 잉겔하임의 이사회에서 일했다.[18] 이 회사는 에이전트 오렌지 생산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았다.[18]5. 정치 경력
1954년 기독교 민주연합에 가입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1969년부터 1981년까지 독일 연방하원 의원으로 활동했다. 서베를린 시장(1981~1984)을 거쳐, 1984년 독일 연방 집회에서 제6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바이츠제커는 경쟁 없이 대통령 선거에 나선 유일한 후보였으며, 1989년 5월 23일에 재선되었다. 그는 냉전 종식과 독일의 재통일을 이끌었으며, 통일 독일의 첫 대통령이 되었다.
바이츠제커는 연설로 유명하며, 정치적, 국가적, 세대적 한계를 넘어 여러 논쟁점들을 강연하여 독일 대통령의 의식적 자세를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민주적 원리, 관용, 사회적 책임의 강력한 주창자였으며, 지구촌 기아 문제 해결을 위한 식량 원조 활동에도 참여했다.[150]
퇴임 후에도 정치 및 자선 활동에 참여했다. 그는 의회 개혁을 위한 위원회 의장을 맡았고, 국제 연합의 미래 독립 근로자 그룹 회장과 유럽 연합의 미래를 위한 3인의 현인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99년에는 회고록 《바이마르부터 장벽으로: 독일 정치에서 나의 인생》을 출간했다.
1964년부터 1970년까지 독일복음교회총회 회장을 역임했고, 1967년부터 1984년까지 독일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시노드와 의회 의원이었다. 회장 재임 초기,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와 칼 프리드리히 폰 바이츠제커 등 독일 복음주의 지식인들이 쓴 각서를 지지하는 기사를 작성했는데, 이들은 오데르-나이세 선을 폴란드의 서쪽 국경으로 수용하는 것을 유럽의 지속적인 평화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보았다. 이는 바이츠제커 자신의 당에서 부정적인 반응을 일으켰지만, 그는 폴란드와의 화해를 증진하는 길을 열었고, 서독과 동독 교회에서 각서가 발표되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5. 1. 정계 입문과 초기 활동
1954년 기독교 민주연합에 가입했고, 1969년 독일 연방하원 의원이 되어 1981년까지 재직했다.[150]
바이츠제커는 1954년 기독교 민주연합(CDU)에 입당했다. 몇 년 후, 헬무트 콜은 그에게 1965년 선거에서 안전한 의석을 제안했고, 심지어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가 그에게 출마를 촉구하는 편지를 두 통이나 쓰도록 할 정도였다. 하지만 바이츠제커는 독일복음교회협의회에서의 일 때문에 이해충돌을 피하고자 이를 거절했다. 1969년 연방의회 선거에서 독일 연방하원(Bundestag) 의원이 되어 1981년까지 재직했다.
1974년 바이츠제커는 처음으로 CDU의 대통령 후보가 되었지만, 집권 중도좌파 연정의 지지를 받은 자유민주당(FDP)의 발터 셸에게 패했다.[20] 1976년 선거를 앞두고 CDU 당수 헬무트 콜은 당의 현직 총리 헬무트 슈미트 몰락을 위한 선거운동에서 그를 그림자 내각에 포함시켰다.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바이츠제커는 독일 연방하원 부의장을 역임했다.[5]
5. 2. 서베를린 시장 (1981-1984)
1974년 연방의회에서 바이츠제커는 CDU의 연방 대통령 후보가 되었지만, 독일 사회민주당(SPD)·자유민주당(FDP) 연립 여당이 지지하는 발터 셸(FDP)에게 패했다.[140] 1976년 헬무트 콜이 이끄는 “그림자 내각”에 입각했다. 1979년부터 1981년까지 독일 연방의회 부의장을 역임했다.1979년 처음으로 서베를린 시장 후보로 서베를린 시의회 선거에 출마하여 제1당을 획득했지만, 정권 탈취는 실패했다.[141] 1981년 시의회 선거에서는 48%의 높은 득표율로 CDU가 다시 제1당이 되었고, 바이츠제커는 서베를린 시장에 취임했다.[142]
바이츠제커는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서베를린의 시장(Regierender Bürgermeister)을 역임했다. 재임 기간 동안 그는 두 개의 국가로 분단되었지만 문화적 국가로서의 독일이라는 개념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그의 연설과 저술에서 그는 동맹국들에 대해 서방 동맹에 굳건히 뿌리를 내린 국가로서 자신들을 바라보되 동쪽에 대한 특별한 의무와 이익을 지닌 국가로 바라볼 것을 반복적으로 촉구했다.[20] 바이츠제커는 의례를 깨고 동베를린의 에리히 호네커(동독 공산당 서기장)를 방문함으로써 서베를린의 점령국인 미국, 프랑스, 영국을 자극했다.[21]
1981년부터 1983년까지 바이츠제커는 기민련(CDU)이 주 의회에서 48%의 의석만 획득한 후 서베를린에서 소수 정부를 이끌었다. 그의 정부는 당시 연방 차원에서 자민당(FDP)과 사회민주당(SPD)이 연정을 맺고 있던 자유민주당(FDP)의 관용을 받았다. 헬무트 콜이 1983년 연방 선거에서 승리하고 자유민주당과 정부를 구성한 후, 바이츠제커도 서베를린에서 같은 일을 했다.[22]
5. 3. 독일 연방 대통령 (1984-1994)
1984년 독일 연방 집회에서 제6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1994년까지 재임하였다. 1989년 5월 23일에 재선되었는데, 두 번째 임기 동안 냉전의 종식과 독일의 재통일을 이끌었으며, 통일 독일의 첫 대통령이 되었다.[143]바이츠제커는 정치적, 국가적, 세대적 한계를 넘어 여러 논쟁점들을 강연하며 독일 대통령의 의식적 자세를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민주적 원리, 관용,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표명했으며, 지구촌 기아 문제 해결을 위한 식량 원조 활동에도 참여했다.[36]
5. 3. 1. 선출 과정
1984년 바이츠제커는 선출되어 서독 대통령이 되었는데, 연방의회에서 카를 카르슈텐스의 뒤를 이었다. 여당인 중도우파 연정과 야당인 사회민주당으로부터 이례적인 지지를 받았다.[20] 그는 녹색당 후보인 루이제 린저를 물리쳤다.[23]바이츠제커는 경쟁 없이 대통령 선거에 나선 유일한 후보였으며, 1989년 5월 23일에 재선되었다.
5. 3. 2. 주요 업적 및 활동
1954년 기독교 민주연합에 가입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고, 1969년부터 1981년까지 독일 연방하원 의원을 역임했다.[138] 1981년부터 1984년까지 서베를린 시장을 지냈다.[142]
1984년 독일 연방 집회에서 제6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43] 당시 바이츠제커는 여당과 야당의 폭넓은 지지를 받아 경쟁 없이 대통령 선거에 나선 유일한 후보였다. 1989년 5월 23일에 재선되었으며,[36] 그의 두 번째 임기 동안 냉전 종식과 독일의 재통일을 이끌었다. 바이츠제커는 통일 독일의 첫 대통령이 되었다.

바이츠제커는 특히 연설로 유명하다. 그는 정치적, 국가적, 세대적 한계를 넘어 여러 논쟁점들을 강연하며 독일 대통령의 의식적 자세를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의 연설과 저술에서 민주적 원리, 관용,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표명했다. 또한, 지구촌 기아 문제 해결을 위한 식량 원조 활동에도 참여했다.
대통령 퇴임 후에도 바이츠제커는 정치 및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그는 당시 사민당-녹색당 연합 정부가 설립한 의회 개혁 위원회의 의장을 맡았다. 또한, 국제 연합의 미래 독립 근로자 그룹 회장과 유럽 연합의 미래를 위한 3인의 현인 그룹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99년에는 자신의 회고록 《바이마르부터 장벽으로: 독일 정치에서 나의 인생》을 출간했다.
2015년 1월 31일 향년 94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150]
5. 3. 3. 정치적 성향과 대내외 정책
바이츠제커는 1954년 기독교민주연합(CDU)에 입당한 후, 당론과 다른 정치적 견해를 공개적으로 표명해왔다. 빌리 브란트의 동방정책에 회의적이었지만, 국제적 비난을 우려하여 독일 연방하원에서 완전히 막지 말 것을 당에 촉구했다.[20] 1972년 라이너 바르첼을 총리로 추대하려는 불신임 투표에 반대한 CDU 정치인 중 한 명이었다.
1982년부터 1998년까지 독일 연방총리를 지낸 헬무트 콜은 바이츠제커의 초기 후원자였으나, 1971년 바이츠제커가 CDU 의장직에 콜 대신 라이너 바르첼을 지지하면서 관계가 틀어졌다. 대통령 취임 후 바이츠제커는 콜 정부를 여러 차례 비판하며, 오데르-나이세 선 인정과 독일 통일에 대한 인내심 있는 접근을 촉구했다. 1997년 ''슈피겔''지와의 인터뷰 후, 콜은 바이츠제커를 "우리 중 한 명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64]
대통령직이 끝난 후에도 바이츠제커는 더 자유로운 이민 정책을 주장하며, 이중 국적과 독일 시민권법을 ''혈통주의''에서 ''속지주의''로 변경하는 것을 옹호했다. 그는 2001년 주 선거 이후 베를린에서 사회민주당과 PDS(오늘날 ''Die Linke'') 간의 연정을 옹호하기도 했다.[146]
그는 1985년 5월 8일 연설에서 나치 독일의 과거사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역사 속에서 전쟁과 폭력에 휘말리는 죄——이와 무관했던 나라는 거의 없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러나 유대인을 민족으로서 완전히 말살하려 했다는 것은 역사상 전례가 없습니다.
>
> 이 범죄에 손을 댄 것은 소수였습니다. 공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것입니다. 그러나 유대계 동포들은 냉담하게 모른 체하거나, 악의적인 불관용적인 태도를 보이거나, 심지어 공공연히 증오를 퍼붓는 등 고통을 겪어야 했습니다. 이것은 어떤 독일인이라도 보고 들을 수 있었습니다. 시나고그 방화, 약탈, 유대인의 별 표식 강제 착용, 법적 보호 박탈,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끊임없는 모독이 있은 후에, 나쁜 상황을 예상하지 못했을 사람이 있었을까요?
>
> 눈을 감지 않고, 귀를 막지 않고 있던 사람들, 조사하려는 사람들이라면 (유대인들을 강제로) 이송하는 열차를 눈치채지 못했을 리 없습니다. 사람들의 상상력은 유대인 절멸의 방법과 규모에는 미치지 못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현실은, 범죄 자체에 더하여,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던 일을 모른 체하려고 애썼던 것입니다. 당시 아직 어렸고, 그 일의 계획·실행에 참여하지 않았던 저의 세대도 예외는 아닙니다.
>
> 양심을 마비시키고, 자신의 권한 밖이라고 생각하고, 눈을 돌리고, 침묵하는 데는 많은 형태가 있었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엄청난 홀로코스트(대학살)의 전모가 밝혀졌을 때, 아무것도 몰랐고, 기미도 느끼지 못했다고 주장한 사람들이 너무나 많았습니다.
>
> 하나의 민족 전체에 죄가 있다거나, 무죄라는 것은 없습니다. 죄와 무죄는 집단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것입니다.
>
> 인간의 죄에는, 드러난 것도 있고 숨겨진 것도 있습니다. 고백한 죄도 있고 부인한 죄도 있습니다. 충분히 자각하고 그 시대를 살아온 여러분들은 오늘, 한 사람 한 사람 자신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었는지를 조용히 자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오늘날 인구의 대부분은 그 당시 어린아이였거나, 아직 태어나지도 않았습니다. 이 사람들은 자신이 손을 대지 않은 행위에 대해 자신의 죄를 고백할 수 없습니다. 독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들이 회개의 때에 입는 거친 베옷을 입기를 기대하는 것은, 감정을 가진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그러나 선조들은 그들에게 감당하기 어려운 유산을 남겼습니다.
>
> 죄의 유무, 노소를 막론하고, 우리 모두가 과거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모두가 과거의 결과와 관련되어 있으며, 과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
> 마음속에 새기는 것이 왜 이토록 중요한지를 이해하기 위해, 노소 서로 도와야 합니다. 또한 도울 수 있습니다.
>
> 문제는 과거를 극복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런 일은 할 수 없습니다. 나중에 과거를 바꾸거나, 일어나지 않은 일로 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과거에 눈을 감는 자는 결국 현재에도 눈이 멀게 됩니다. 비인간적인 행위를 마음속에 새기려 하지 않는 자는, 다시 그러한 위험에 빠지기 쉽습니다.
>
> 유대 민족은 지금도 마음속에 새기고, 앞으로도 항상 마음속에 새길 것입니다.
>
> 우리는 인간으로서 진심으로 화해를 구하고 있습니다. 바로 이것 때문에, 마음속에 새기지 않고서는 화해는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합니다.
6. 퇴임 후 활동
바이츠제커는 퇴임 후에도 원로 정치인으로서 독일의 정치 및 자선 사업에 오랫동안 참여했다. 당시 사회민주당-녹색당 연립 정부가 독일 연방군 개혁을 위해 설립한 위원회의 위원장을 역임했다.[53] 1994년에는 헨리 키신저와 함께 리처드 홀브룩이 베를린 미국 아카데미를 설립하는 것을 지원했다.[54] 또한 로베르트 보쉬 재단 이사회 이사를 역임하기도 했다.
바이츠제커는 국제 투명성 기구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55] 그는 국제 연합의 미래에 관한 독립 연구 그룹의 의장을 역임했으며, 유럽 연합의 미래를 고려하기 위해 로마노 프로디 유럽 집행위원회 위원장이 임명한 세 명의 "현자" 중 한 명이었다. 200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그는 특히 유대인의 재산을 포함하여 나치 박해로 인해 압류된 문화재 반환에 관한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이 위원회는 유타 림바흐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전 소장이 이끌었다. 2014년 11월 바이츠제커는 외교 정책 문제에 대한 토론 포럼인 베르게도르프 원탁회의 의장직에서 물러났다.[57]
7. 사망과 추모
바이츠제커는 2015년 1월 31일 베를린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50][4] 부인 마리안네와 네 명의 자녀 중 세 명이 그의 임종을 지켰다.[4] 그의 사망 소식에 그의 삶과 정치 경력에 대한 찬사가 쏟아졌다. 뉴욕 타임스는 부고 기사에서 바이츠제커를 "국가의 도덕적 양심을 지킨 수호자"라고 칭했고,[4] 가디언은 독일이 그를 지도자로 둔 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평했다.[58]
그의 장례식은 2015년 2월 11일 베를린 대성당에서 국장으로 거행되었다.[59] 요아힘 가우크 대통령,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사회민주당(SPD)), 볼프강 쇼이블레 (기독교민주연합(CDU)) 재무장관, 안트예 폴머 (녹색당) 전 연방의회 부의장이 조사를 낭독했다. 슈타인마이어는 바이츠제커가 프랑스와 폴란드와의 화해를 위해 노력하고 동구권 공산 정권과의 대화를 지지하며 종종 자신의 당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던 외교 관계에서의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59] 장례식에는 앙겔라 메르켈 총리를 포함한 독일의 많은 고위 정치인들이 참석했다. 로만 헤어초크, 호르스트 쾰러, 크리스티안 불프 전 대통령과 헬무트 슈미트, 게르하르트 슈뢰더 전 총리도 참석했다. 네덜란드의 베아트릭스 공주(전 네덜란드 여왕)와 레흐 바웬사 전 폴란드 대통령도 참석했다.[60] 식 후, 군인들이 경례를 하는 가운데 바이츠제커의 관은 다흘렘 숲묘지에 안치되었다.[59] 이후 여러 날 동안 많은 베를린 시민들이 바이츠제커의 묘소를 방문하여 조의를 표하고 꽃을 헌화했다.[61] 2020년 4월 15일, 바이츠제커의 100번째 생일을 맞아 미하엘 뮐러 베를린 시장과 랄프 빌란트 베를린 주 의회 의장이 그의 베를린 봉사에 대한 경의를 표하며 묘소에 화환을 바쳤다.[62]
8. 유산과 평가
바이츠제커는 연설로 유명하며, 정치·국가·세대적 한계를 넘어 여러 논쟁점들을 다루면서 독일 대통령의 의식적 자세를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대중 강연과 저술을 통해 민주적 원리, 관용, 사회적 책임의 강력하고 또렷한 주창자로 알려져 왔다. 또한 지구촌 기아 구조를 위한 식량 원조 활동에도 참여했다.[150]
정계 은퇴 후에도 바이츠제커는 정치와 자선 활동에 계속 참여했다. 독일 의회 개혁을 위한 위원회 의장을 맡았으며, 국제 연합 미래 독립 근로자 그룹 회장 및 유럽 연합 미래를 위한 3인의 현인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
그의 저서로는 『독일의 역사는 계속된다』(1983),[50] 연설 모음집 『독일에서』(1985),[67] 『독일에서 유럽으로』(1991),[68] 회고록 『바이마르에서 베를린 장벽까지: 독일 정치 속 나의 삶』(1999) 등이 있다.[69][70]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 서평에서는 그의 회고록이 그가 살았던 시대에 대한 새로운 사실보다는 "그 사람에 대해서" 무언가를 말해준다고 평가했다.[71] 2009년에는 독일 재통일에 대한 회상을 담은 『통일로 가는 길』을 출판했으나, 디 벨트는 이 책이 너무 균형 잡힌 설명이라며 "지루하다"고 평가했다.[72]
1985년 5월 8일 연방의회 연설 중 "과거에 눈을 감는 자는 결국 현재에도 맹목적이 된다"는 구절은 당시에는 주목받지 못했지만,[147] 일본 잡지 『세계』 1985년 11월호에서 처음 소개되어 유명해졌다.[147] 아사히 신문도 같은 해 11월 3일 칼럼에서 이 구절을 다루었다.[147] 저널리스트 이나 큐키(伊奈久喜)에 따르면, 『세계』 편집장 안에 요스케(安江良介)가 이 구절을 긍정적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이나 큐키는 바이츠제커의 연설이 "나쁜 것은 히틀러와 나치즘이며, 독일 국민·민족도 피해자"라고 언급하고, 1985년 당시 대부분의 인구는 전쟁 당시 어렸거나 태어나지 않았기에 죄를 묻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언급한 점을 지적한다. 또한, 바이츠제커가 나치 무장 친위대원 유해 매장으로 논쟁이 있었던 비트부르크(ビットブルク)에서 자손에게까지 나치의 죄를 묻는 사람들을 비판한 점,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기소된 아버지 변호를 위해 휴학까지 했던 점을 들어 그가 이 구절에 찬성하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사상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실제로 바이츠제커는 회고록에서 아버지의 죄목인 평화에 대한 죄 자체에 법적 근거가 없다고 비난하며 재판도 부당하다고 적고 있다.[147] 그럼에도 이와나미 쇼텐은 1986년 연설 전문을 수록한 이와나미 북클릿[148]과 1991년 단행본[149]을 출판하여 이 구절을 역사 인식을 비판하는 데 사용하게 만들었다.[147]
9. 수상 및 서훈
바이츠제커는 그의 경력 동안 많은 영예를 받았다. 성 요한 기사단 명예 회원 자격,[73] 1993년 존스홉킨스 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 2003년 존스홉킨스 대학교의 폴 H. 니체 국제관계대학원(SAIS)과 슈투트가르트의 로버트 보쉬 재단에서 설립한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교수직을 받았다. 또한 이스라엘의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에서부터 옥스퍼드,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프라하 카를 대학교, 웁살라 대학교 법학부(1995년)[74], 마드라스 인도공과대학교[75]에 이르기까지 11개가 넘는 다른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독일 중앙 유대인 평의회로부터 레오 바크 상을, 기독교-유대인 협력 협회로부터 부버-로젠츠바이크 메달을 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상훈명 |
---|---|
1975년 |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훈장 |
1984년 |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특등대십자훈장 |
1986년 | 카를로스 3세 훈장(스페인) 기사 훈장[78] |
1987년 | 왕국관 훈장(말레이시아) 명예 수상자[79] |
1987년 | 과테말라의 케찰 훈장[80] |
1987년 | 네덜란드 사자 훈장 대십자 기사[81] |
1987년 | 아타튀르크 국제 평화상[82] |
1987년 | 하버드대학교 명예박사 학위 |
1988년 | 팔콘 훈장(아이슬란드) 대십자 훈장[83] |
1988년 | 스웨덴 세라핌 왕립 기사단 기사[84] |
1990년 | 하르낙 메달[85] |
1990년 | 베를린 명예 시민권[86] |
1991년 | 뒤셀도르프시의 하인리히 하이네 상[87] |
1992년 | 왕립 빅토리아 체인(영국)[88] |
1992년 | 유엔난민기구의 난센 난민상[89] |
1994년 | 폴란드 공화국 공로훈장 대십자장[90] |
1995년 | 웁살라대학교 명예박사 학위 |
1995년 | 와세다대학교 명예박사 학위 |
1996년 | 프라하 카렐대학교 명예법학박사 학위 |
1997년 | 그단스크(단치히)시 명예 시민권[91] |
2003년 | 체코 백색 사자 훈장 대십자 훈장[93] |
2005년 | 메르카토르 교수상, 뒤스부르크에센 대학교[92] |
2009년 | 베를린 아메리칸 아카데미의 헨리 A. 키신저 상[94] |
2012년 |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의 이해와 관용을 위한 상[95][96] |
10.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아버지 |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어머니 | 마리아네 폰 그라에베니츠 |
아버지 쪽 조부 | 카를 폰 바이츠제커 |
아버지 쪽 조모 | 파울라 폰 마이봄 |
어머니 쪽 조부 | 프리드리히 폰 그라에베니츠 장군 |
어머니 쪽 조모 | 마리아네 클로츠 |
아버지의 아버지 쪽 증조부 | 카를 하인리히 바이츠제커 |
아버지의 아버지 쪽 증조모 | 소피 아우구스테 댐 |
아버지의 어머니 쪽 증조부 | 빅토르 폰 마이봄 |
아버지의 어머니 쪽 증조모 | 아말리 레스 |
어머니의 아버지 쪽 증조부 | 카를 알렉산더 프란츠 폰 그라에베니츠 |
어머니의 아버지 쪽 증조모 | 소피 에르네스티네 회링 |
어머니의 어머니 쪽 증조부 | 요한 카를 클로츠 |
어머니의 어머니 쪽 증조모 | 마리 루이제 슈프뢰서 |
참조
[1]
웹사이트
Erster Bürger seines Staates
http://www.sueddeuts[...]
Süddeutsche Zeitung
2010-04-15
[2]
웹사이트
Gauck würdigt "großen Deutschen"
http://www.deutschla[...]
Deutschlandfunk
2015-02-11
[3]
뉴스
Er ist immer unser Präsident geblieben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15-02-11
[4]
뉴스
Richard von Weizsäcker, 94, Germany's First President After Reunification, Is Dead
https://www.nytimes.[...]
2015-01-31
[5]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1984–1994)
http://www.bundespra[...]
Bundespräsidialamt
[6]
웹사이트
Collections Search -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https://collections.[...]
[7]
서적
Potsdam. Staat, Armee, Regiment
[8]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Seine Familie war bis zuletzt bei ihm
http://www.bz-berlin[...]
B.Z. Berlin
2015-02-01
[9]
웹사이트
Marianne von Weizsäcker
http://www.bundespra[...]
Bundespräsidialamt
[10]
웹사이트
Lehrstuhl für Volkswirtschaftslehre – Finanzwissenschaft und Industrieökonomik
http://www.vwl.wi.tu[...]
Technical University of Munich
[11]
뉴스
Richard von Weizsäcker trauert um seinen Sohn
https://www.welt.de/[...]
2008-06-15
[12]
뉴스
Unter Brüdern
http://www.zeit.de/1[...]
1993-01-29
[13]
웹사이트
Chefarzt: Prof. Dr. med. Fritz von Weizsäcker
https://www.schlossp[...]
[14]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Ein Zeuge des 20. Jahrhunderts
http://www.br.de/nac[...]
Bayrischer Rundfunk
2015-01-31
[15]
뉴스
Odenwaldschule: Familie Weizsäcker bricht Schweigen
http://www.spiegel.d[...]
2010-03-27
[16]
뉴스
Was wir über den tödlichen Angriff auf Fritz von Weizsäcker wissen
https://www.spiegel.[...]
2019-11-20
[17]
뉴스
Son of former German President Richard von Weizsäcker stabbed to death
https://www.bbc.com/[...]
2019-11-20
[18]
뉴스
German president's son Fritz von Weizsäcker stabbed to death in lecture in Berlin
https://www.thetimes[...]
2019-11-21
[19]
뉴스
What we know about the killing of former German president's son
https://www.dw.com/e[...]
2019-11-21
[20]
뉴스
A Patrician President in Bonn; Richard von Weizsacker (Published 1984)
https://www.nytimes.[...]
1984-05-24
[21]
뉴스
Facing Up To Germany's Past
https://www.nytimes.[...]
1994-06-23
[22]
서적
Die informelle Koalition. Richard von Weizsäcker und die Berliner CDU-Regierung (1981–1983)
Deutscher Universitäts-Verlag
2005
[23]
웹사이트
Die Bundesversammlungen 1949 bis 2010
http://www.bundestag[...]
Deutscher Bundestag
[24]
서적
Richard von Weizsäcker. Reden und Interviews (vol. 1), 1. Juli 1984 – 30. Juni 1985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1986
[25]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Der Präsident, den die Deutschen liebten
http://www.berliner-[...]
Berliner Kurier
2015-01-31
[26]
웹사이트
Speech in the Bundestag on 8 May 1985 during the Ceremony Commemorating the 40th Anniversary of the End of War in Europe and of National-Socialist Tyranny
http://www.lmz-bw.de[...]
Landesmedienzentrum
[27]
뉴스
Richard von Weizsäcker, 94, Germany's First President After Reunification, Is Dead
https://www.nytimes.[...]
2015-01-31
[28]
뉴스
Reagan Joins Kohl in Brief Memorial at Bitburg Graves
https://www.nytimes.[...]
1985-05-06
[29]
뉴스
'All of Us Must Accept the Past,' The German President Tells M.P.'s
https://www.nytimes.[...]
1985-05-09
[30]
웹사이트
Denkmal für die im Nationalsozialismus verfolgten Homosexuellen
http://www.gedenkort[...]
Memorial site for the persecuted homosexual victims of National Socialism
[31]
뉴스
Möglichkeiten, das Gewissen abzulenken
http://www.spiegel.d[...]
1985-05-13
[32]
서적
Richard von Weizsäcker. Reden und Interviews (vol. 5), 1. Juli 1988 – 30. Juni 1989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1989
[33]
뉴스
Bonn Journal; Facing the Mirror of German History
https://www.nytimes.[...]
1988-10-22
[34]
서적
Richard von Weizsäcker. Reden und Interviews (vol. 7), 1. Juli 1990 – 30. Juni 1991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1992
[35]
뉴스
Richard von Weizsäcker, German president 1920–2015
http://www.ft.com/in[...]
2015-01-31
[36]
웹사이트
Die Bundesversammlungen 1949 bis 2010
https://web.archive.[...]
Deutscher Bundestag
2015-10-06
[37]
웹사이트
Ansprache von Bundespräsident Richard von Weizsäcker beim Staatsakt zum "Tag der deutschen Einheit"
http://www.bundespra[...]
Bundespräsidialamt
2015-04-11
[38]
뉴스
Borders Will Stay, Bonn's President Says in Poland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0-05-03
[39]
뉴스
Germans Lay Beloved Statesman Brandt to Rest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2-10-18
[40]
뉴스
A New German Seriousness on the Asylum Problem
https://www.ny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93-01-14
[41]
뉴스
German Electoral College to Pick New President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4-05-23
[42]
뉴스
Germans Applaud "Schindler's List"
https://www.ny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94-03-02
[43]
문서
Translated by User:Zwerg Nase
[44]
서적
Richard von Weizsäcker. Reden und Interviews (vol. 7), 1. Juli 1990 – 30. Juni 1991
Presse- und Informationsamt der Bundesregierung
1992
[45]
뉴스
Economic Slide Rekindles Debate on Capitals
https://www.ny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1993-04-21
[46]
뉴스
Weizsäcker und sein Traditionsbruch
http://www.spiegel.d[...]
1992-06-29
[47]
뉴스
Weizsaecker Urges Openness to Truth of the Past : W. German President Makes Rare Israel Visit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85-10-09
[48]
뉴스
Bonn Official in Britai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86-07-02
[49]
뉴스
Seit Goebbels der schlimmste Hetzer im Land!
http://www.spiegel.d[...]
2010-11-22
[50]
간행물
Eine Kooperation auf neuem Niveau
http://magazin.spieg[...]
1987-07-06
[51]
서적
Weizsäcker 1997
[52]
뉴스
Violations Von Weizsaecker Starts State Visit to Moscow : End Bloc Thinking, Bonn President Says
https://www.latimes.[...]
1987-07-07
[53]
뉴스
Germans Plan To Trim Army And Rely Less On the Draft
https://www.nytimes.[...]
2000-05-24
[54]
뉴스
In Berlin, a Showcase of American Talent and Thought Marks an Anniversary
https://www.nytimes.[...]
2003-12-25
[55]
웹사이트
Advisory Council
https://web.archive.[...]
[56]
웹사이트
Kinkel, Weizsäcker call for release of Nigeria's Obasanjo – An international campaign led by TI is to increase the pressure on Nigeria's rulers
https://web.archive.[...]
1996-09-29
[57]
뉴스
Abschiedsfeier für Alt-Bundespräsident von Weizsäcker
http://www.abendblat[...]
Hamburger Abendblatt
2014-11-07
[58]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obitua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5-02-02
[59]
웹사이트
Berlin pays last respects to former president
http://www.dw.de/ber[...]
Deutsche Welle
[60]
웹사이트
Die Gäste der Trauerfeier – Abschied von Richard von Weizsäcker
https://www.handelsb[...]
Handelsblatt
[61]
웹사이트
Berliner pilgern zum Grab von Richard von Weizsäcker
http://www.bild.de/r[...]
Bild
2015-02-12
[62]
뉴스
Zum 100. Geburtstag: Müller ehrt Richard von Weizsäcker
https://www.sueddeut[...]
2020-04-14
[63]
간행물
Näher den Grünen als Kohl
http://magazin.spieg[...]
1987-07-06
[64]
뉴스
Die Zierde der Partei
http://www.spiegel.d[...]
1997-09-22
[65]
뉴스
Erinnerungen an Richard von Weizsäcker: Er hat uns befreit
http://www.spiegel.d[...]
2015-01-31
[66]
서적
Weizsäcker 1997
[67]
서적
Von Deutschland aus / Richard von Weizsäcker
http://d-nb.info/850[...]
Deutsche Nationalbibliothek
[68]
서적
Von Deutschland nach Europa : die bewegende Kraft der Geschichte / Richard von Weizsäcker
http://d-nb.info/910[...]
Deutsche Nationalbibliothek
[69]
서적
Vier Zeiten : Erinnerungen / Richard von Weizsäcker
http://d-nb.info/950[...]
Deutsche Nationalbibliothek
[70]
서적
From Weimar to the Wall : my life in German politics / Richard von Weizsäcker. Transl. from the German by Ruth Hein
http://d-nb.info/961[...]
Deutsche Nationalbibliothek
[71]
뉴스
Ein Mann der indirekten Sprache
https://www.faz.net/[...]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1998-05-29
[72]
뉴스
Memoiren – Richard von Weizsäcker eckt nicht an
https://www.welt.de/[...]
2009-09-16
[73]
간행물
Verzeichnis der Mitglieder der Balley Brandenburg des Ritterlichen Ordens St. Johannis vom Spital zu Jerusalem
Johanniterorden
2011
[74]
웹사이트
Honorary doctorates - Uppsala University, Sweden
http://www.uu.se/en/[...]
2023-06-09
[75]
웹사이트
Landmarks – 1991
http://www.iitm.ac.i[...]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Madras
2015-04-13
[76]
웹사이트
The greatest German friend Poland has ever had
http://www.dw.de/the[...]
Deutsche Welle
2015-02-01
[77]
웹사이트
Merkel, Gauck laud Richard von Weizsäcker
http://www.dw.de/mer[...]
Deutsche Welle
2015-02-01
[78]
웹사이트
Royal Decree 389/1986
https://boe.es/diari[...]
Spanish Official Journal
2017-10-18
[79]
웹사이트
Senarai Penuh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Tahun 1987
http://www.istiadat.[...]
Ceremonial and International Conference Secretariat, Prime Minister's Department of Malaysia
2016-06-06
[80]
웹사이트
Muere Richard von Weizsäcker, primer presidente de la Alemania reunificada
http://www.abc.es/in[...]
2015-01-31
[81]
웹사이트
Inkomend staatsbezoek
https://www.koninkli[...]
Het Koninklijk Huis
2015-05-03
[82]
웹사이트
Atatürk Uluslararası Barış Ödülü
https://www.ayk.gov.[...]
2015-07-03
[83]
웹사이트
Order of the Falcon
http://falkadb.forse[...]
1988-07-04
[84]
웹사이트
Hedersdoktor vid fakulteten avliden
http://www.jur.uu.se[...]
Uppsala Universitet
2015-01-31
[85]
웹사이트
Harnack Medal
http://www.mpg.de/18[...]
Max-Planck-Gesellschaft
2015-05-03
[86]
웹사이트
Richard Freiherr von Weizsäcker
http://www.parlament[...]
Abgeordnetenhaus Berlin
2016-11-25
[87]
웹사이트
Literaturpreis Gewinner
http://www.literatur[...]
2015-05-03
[88]
뉴스
Ordensträger auf Empfang
http://www.tagesspie[...]
Tagesspiegel
2012-06-28
[89]
웹사이트
Past Laureates
http://www.unhcr.org[...]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Refugees
2015-05-03
[90]
웹사이트
Order Zaslugi
https://www.prezyden[...]
[91]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http://www.gdansk.pl[...]
2008-07-11
[92]
웹사이트
Dr. Richard von Weizsäcker übernimmt Mercatorprofessur
https://www.uni-due.[...]
Universität Duisburg-Essen
2015-05-03
[93]
웹사이트
List
http://www.hrad.cz/e[...]
President of the Czech Republic
2015-05-03
[94]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Receives 2009 Henry A. Kissinger Prize
http://www.americana[...]
The American Academy in Berlin
2015-05-03
[95]
웹사이트
Verleihung des "Preises für Verständigung und Toleranz" am 17. November 2012
http://www.jmberlin.[...]
Jüdisches Museum Berlin
2012-11-06
[96]
웹사이트
Jüdisches Museum Berlin ehrt Richard von Weizsäcker
http://www.juedische[...]
Jüdische Allgemeine
2015-05-03
[97]
웹사이트
Zum Tode von Richard von Weizsäcker, Altbundespräsident und ehemaliger Schirmherr von Aktion Deutschland Hilft
http://www.aktion-de[...]
Aktion Deutschland Hilft
2015-01-31
[98]
웹사이트
Danke, Richard von Weizsäcker!
http://www.koerber-s[...]
Körber-Stiftung
2015-02-02
[99]
웹사이트
Club of Budapest
http://www.clubofbud[...]
Club of Budapest
2015-05-03
[100]
웹사이트
Honorary Members
http://www.clubofrom[...]
Club of Rome
2015-05-03
[101]
웹사이트
Kuratorium
http://www.fvms.de/s[...]
Freya von Moltke Stiftung
2015-05-03
[102]
웹사이트
Richard von Weizsäcker Kuratoriumsmitglied des Hannah Arendt-Zentrums
http://www.presse.un[...]
Universität Oldenburg
2002-12-13
[103]
웹사이트
Humboldt-Universität trauert um Richard von Weizsäcker
https://www.hu-berli[...]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2015-01-31
[104]
웹사이트
Prof. Dr. Dr. h.c. Gesine Schwan zur Präsidentin der HUMBOLDT-VIADRINA School of Governance gewählt
http://www.gesine-sc[...]
Gesine Schwan
2010-06-15
[105]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ission on the Balkans
http://www.cls-sofia[...]
Centre for Liberal Studies, Sofia
2015-05-03
[106]
웹사이트
Human Rights Award > Jury > 1995–2000
http://www.nuernberg[...]
Human Rights Office, City of Nuremberg
2015-05-03
[107]
웹사이트
The Boards & Advisory Council Philharmonic Orchestra of Europe e.V.
http://www.philharmo[...]
Philharmonic Orchestra of Europe
2015-05-03
[108]
웹사이트
Board of Directors
http://www.psqonline[...]
Political Science Quarterly
2015-05-03
[109]
웹사이트
Kuratorium
http://www.theodor-h[...]
Theodor Heuss Stiftung
2015-05-03
[110]
웹사이트
Beirat
https://web.archive.[...]
Viktor-von-Weizsäcker-Gesellschaft
2015-05-03
[111]
문서
「フライヘア(Freiherr)」は「男爵」と和訳される神聖ローマ帝国以来の貴族称号で個人の名前ではない。
[112]
서적
ヴァイツ(1998年)
[113]
서적
ヴァイツ(1998年)
[114]
서적
ヴァイツ(1998年)
[115]
서적
ヴァイツ(1998年)
[116]
서적
ヴァイツ(1998年)
[117]
서적
ヴァイツ(1998年)
[118]
서적
ヴァイツ(1998年)
[119]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0]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1]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2]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3]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4]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5]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6]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7]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8]
서적
ヴァイツ(1998年)
[129]
서적
ヴァイツ(1998年)
[130]
서적
ヴァイツ(1998年)
[131]
서적
ヴァイツ(1998年)
[132]
문서
最終的に懲役5年、1950年に恩赦で釈放。父親の罪状についてヴァイツゼッカーは「侵略戦争を指導した」とする平和に対する罪(いわゆるA級戦犯)を回想録で「まったく馬鹿げた非難だった。真実をちょうど裏返しにした奇妙な話である」と全面的に否定し、裁判の不当性を強く非難している。また、ウィンストン・チャーチルはこの訴追について「致命的な誤りだ」と発言した。なおヴァイツゼッカーは父親がナチス親衛隊の名誉少将に任じられていた点や、外務次官として独ソ不可侵条約締結をとりまとめ、またユダヤ人迫害への加担でも有罪になっていることなどについて回想録では一切触れていない。
[133]
서적
ヴァイツ(1998年)
[134]
문서
この会社は当時ベトナム戦争で使用される枯葉剤の原料を生産していた。
[135]
서적
ヴァイツ(1998年)
[136]
문서
この年に連邦大統領に就任したため、その他の職は退任している。
[137]
서적
ヴァイツ(1998年)
[138]
서적
ヴァイツ(1998年)
[139]
서적
ヴァイツ(1998年)
[140]
서적
ヴァイツ(1998年)
[141]
서적
ヴァイツ
1998
[142]
서적
ヴァイツ
1998
[143]
서적
ヴァイツ
1998
[144]
웹사이트
ワイツゼッカー元独大統領死去=戦争責任めぐり名演説
https://web.archive.[...]
2015-01-31
[145]
웹사이트
ワイツゼッカー元ドイツ大統領死去
https://web.archive.[...]
2015-01-31
[146]
서적
演説
2009
[147]
뉴스
ワイツゼッカー演説の謎
日本経済新聞
2014-08-24
[148]
서적
荒れ野の40年 ウァイツゼッカー大統領演説全文
岩波ブックレット
1986-02
[149]
서적
ヴァイツゼッカー演説の精神 過去を心に刻む
岩波書店
1991-12
[150]
뉴스
폰 바이체커 전 독일 대통령 별세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1-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