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 (수메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는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로, 수메르와 시리아 북부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였다. 기원전 3천년기부터 기원전 2천년기에 걸쳐 번성했으며, 유프라테스 강을 통한 교역으로 경제적 부를 축적했다. 아모리인 왕조 시대에는 짐리림 왕의 궁전이 건설되는 등 번영을 누렸으나, 함무라비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후 아시리아와 바빌로니아의 지배를 받다가 헬레니즘 시대에 소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리 - 아모리인
아모리인은 기원전 3천 년기 후반부터 2천 년기 중반까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에서 활동한 셈족 계통의 민족으로, '마르투'로도 불리며 메소포타미아로 이주하여 왕국을 건설하고 함무라비 왕을 배출하기도 했으며, 이들의 언어는 북서셈어족에 속한다. - 아모리인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공존하며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등의 강력한 군주 아래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며 쇠퇴한 문명이다. - 아모리인 - 아수르
아수르는 메소포타미아 북부의 고대 도시이자 국가, 수호신 이름이며 아시리아 문명의 발상지로 종교적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 히타이트 제국 - 아다나
아다나는 8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튀르키예 남부의 고대 도시로,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주요 상업 및 산업 중심지이며, 풍부한 역사 유적과 문화를 간직한 관광 명소이다. - 히타이트 제국 - 트로이아
트로이아는 고대 그리스 신화와 문학에 등장하는 도시로, 터키 북서부의 히사를리크 유적지로 추정되며, 트로이 전쟁의 무대로 유명하고, 1870년 하인리히 슐리만의 발굴을 통해 실제 도시였음이 밝혀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마리 (수메르)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원어명 | تل حريري (아랍어) |
다른 이름 | Tell Hariri |
유형 | 거주지 |
면적 | 60 헥타르 |
건설 시기 | 기원전 2900년경 |
폐기 시기 | 기원전 3세기 |
시대 | 청동기 시대 |
문화 | 동셈족 (키시 문명), 아모리족 |
상태 | 폐허 |
소유 | 공공 |
접근성 | 공개 |
위치 | |
국가 | 시리아 |
주 | 데리조르 주 |
도시 | 아부 카말 |
고고학 | |
고고학자 | 앙드레 파로 |
추가 정보 | |
비고 | 날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중간 연대기에 따라 추정됨. |
2. 지리
마리는 유프라테스강 중류에 위치하여 이란 서부, 메소포타미아 남부와 북부, 카르케미쉬, 아나톨리아 반도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교역로를 장악하고 있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마리는 작은 마을에서 중요한 교역 도시로 성장했다. 마리가 교역한 도시 국가로는 우르, 알레포, 우가리트 등이 있으며, 교역 상품은 대추야자, 올리브, 도자기, 곡물, 목재, 석재 등 다양했다.[14]
마리는 수메르 문화권에 속해 있었지만, 북 시리아의 에블라나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아카드와 같은 계통의 셈족이 거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마리의 이름은 북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의 고대 폭풍의 신인 Itūr-Mēr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신은 도시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 Georges Dossin은 도시의 이름이 폭풍의 신의 이름과 동일하게 표기된 것을 언급하며, 마리가 그를 따라 지어졌다고 결론 내렸다.
마리는 1933년 시리아 동부의 이라크 국경 부근에서 발견되었으며, 1934년 마리 왕 이슈키-마리(Išqi-Mari)의 석상이 발견되어 고대 도시 마리의 유적임이 밝혀졌다.
2. 1. 주요 도시
마리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수메르 도시들과 시리아 북부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중계 지점이었다. 수메르는 건축 자재를 시리아 산악 지역에서 수입했는데, 이 물자들은 마리를 경유했을 것으로 보인다.[16]마리는 기원전 5천년기부터 사람이 살았지만, 도시 국가로서 중요해진 것은 기원전 3천년기와 기원전 2천년기이다. 마리 주민은 셈족으로 추정되며, 북 시리아의 에블라나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아카드 사람들과 같은 계통으로 보인다.
기원전 2900년경부터 번영했던 마리는 기원전 24세기에 알려지지 않은 세력에 의해 파괴되면서 쇠퇴했다. 이 파괴로 마리는 유프라테스 중류 지역에서 중요성을 잃고 작은 촌락으로 전락했다. 누가 이 파괴를 일으켰는지는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아카드의 사르곤(Sargon)이 언급되기도 하고, 마리의 경쟁 도시였던 에블라가 지목되기도 한다.
이후 메소포타미아로 들어온 아모리인 왕조 아래에서 마리는 다시 부흥했다. 두 번째 황금기는 기원전 19세기인 기원전 1900년경에 시작되었다. 마리 왕 짐리림의 궁전은 300개 이상의 방을 갖춘 당시 최대 규모였으며, 그 명성은 알레포(야므하드)나 우가리트 등 주변 도시 국가와 왕국에까지 널리 알려졌다.
마리는 바빌론 제1왕조의 함무라비에 의해 기원전 1759년경 다시 파괴되었다. 마리 왕국의 문서고에서 발견된 점토판 중에는 함무라비가 이전 동맹 관계였던 짐리림을 공격하여 짐리림이 패배한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마리가 멸망한 후, 텔카가 유프라테스 중류 지역의 주요 도시 국가로 패권을 차지했다.
마리가 작은 마을에서 중요한 교역 도시로 성장한 배경에는 경제와 취급 품목의 다양성이 있었다. 마리는 유프라테스강 중부에 위치하여 이란 서부, 메소포타미아 남부와 북부, 카르케미쉬, 아나톨리아 반도 등 다양한 지역을 연결하는 교역로를 장악했다. 마리가 교역한 도시 국가로는 우르, 알레포, 우가리트 등이 있다. 마리를 통과하는 상품은 대추야자, 올리브, 도자기, 곡물, 목재, 석재 등으로 점차 다양해졌다.
종류 | 주요 도시 | 설명 |
---|---|---|
수메르 도시 | 니푸르, 기르수, 라가시, 마라드, 우루크, 우바이드, 우르, 에리두, 키시 | 파란색으로 표시 |
엘람 도시 | 수사, 안샨 | 청록색으로 표시 |
아카드 제국 도시 | 마리, 아카드 | 녹색으로 표시 |
아모리인 도시 | 이신, 라르사 | 분홍색으로 표시 |
바빌로니아 도시 | 바빌론 | 주황색으로 표시 |
아시리아 도시 | 아수르, 니네베, 님루드, 두르샤루킨 | 보라색으로 표시 |
현대 도시 | 모술, 바그다드, 테헤란 | 회색으로 표시 |
마리는 기원전 5천 년부터 사람이 살았지만, 기원전 3천 년기와 2천 년기에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다. 마리 주민은 셈족으로, 에블라와 아카드인의 이동으로 추정된다.
3. 역사
마리는 하부 메소포타미아와 북부 시리아 도시들을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번영했다. 수메르는 북부 시리아에서 원목과 석재를 수입하여 건설에 사용했는데, 이 재료들은 마리를 거쳐 수메르로 운반되었다. 기원전 2900년부터 마리는 번영하기 시작하여 기원전 2550년경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기원전 2350년경, 마리는 파괴되었다. 이 파괴로 인해 마리의 중요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작은 마을로 축소되었다. 누가 도시를 파괴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다. 아카드의 사르곤이 마리를 통과하여 서쪽으로 원정을 떠났다는 기록이 있는 반면, 마리의 전통적인 경쟁 도시였던 에블라가 파괴했다는 주장도 있다.
마리는 아모리트 왕조 아래에서 다시 번영했다. 기원전 1900년경, 마리의 왕 짐리-림의 왕궁은 300개의 방을 포함하는 거대한 규모로, 이 시대 최대의 왕궁이었다. 얌카드와 우가리트의 왕이 이 왕궁을 방문하고 싶어 했다는 기록이 있을 정도로 주변 도시에 명성이 높았다.
마리는 기원전 1800년경 아시리아의 공격을 받아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기원전 1759년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에게 완전히 파괴되었다. 짐리림과의 오랜 동맹을 배반하고 전투에서 그를 격파한 함무라비의 지배하에 들어갔다는 기록이 점토판에 남아있다. 기원전 1800년 이후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이 마리에 거주했지만,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이끄는 그리스인이 도착하는 기원전 4세기까지 도시는 아시리아인들과 바빌로니아인들이 지켰다.
3. 1. 수메르 문명
마리는 유프라테스 강에서 2km가 채 안 되는 거리에 있으며, 유프라테스 계곡과 계곡 주변의 스텝 지대의 경계에 자리 잡고 있었다. 마리는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수메르 도시들과 시리아 북부의 도시들을 연결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중계 지점으로서 번영을 누렸다. 수메르는 목재나 석재와 같은 건축 자재를 시리아의 산악 지역에서 수입했는데, 이는 마리를 경유했을 것으로 여겨진다.[1]
3. 2. 아카드 제국
마리는 기원전 5천년기부터 취락이 있었지만, 도시 국가로서 중요해진 것은 기원전 3천년기 및 기원전 2천년기이다. 마리의 주민은 셈족으로 보이며, 북 시리아의 에블라나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아카드에 사는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여겨진다.
기원전 2900년경부터 시작된 마리의 번영기는 기원전 24세기에 정체불명의 세력에 의해 도시가 파괴되면서 막을 내렸다. 이 파괴로 인해 유프라테스 중류 지역에서 마리의 중요성은 상실되었고, 작은 촌락 정도로 전락했다. 누가 이 파괴를 일으켰는지에 대해서는 역사학자들 사이에서 의견이 분분하다. 아카드의 사르곤을 언급하는 학자도 있는데, 사르곤은 시리아나 아나톨리아 등 서방 원정 과정에서 마리를 통과했다고 언급했기 때문이다.[2]
3. 3. 바빌로니아
마리는 기원전 1800년경 아시리아의 공격으로 도시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기원전 1759년에는 바빌로니아의 함무라비에게 완전히 파괴되었다. 수많은 점토판 기록에 따르면, 함무라비는 오랜 동맹 관계였던 짐리림을 배신하고 전투에서 격파한 후 마리를 자신의 지배하에 두었다.[1] 기원전 1800년 이후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이 마리에 거주하였지만, 알렉산드로스 3세가 이끄는 그리스인이 도착하는 기원전 4세기까지 마리는 아시리아인들과 바빌로니아인들이 지켰다.[1]
마리는 함무라비에 의해 기원전 1759년경 다시 파괴되었다. 마리 왕국의 문서고 점토판에는 함무라비가 옛 동맹 상대였던 짐리림에게 적대하여 짐리림이 전투에서 패배한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이 파괴의 경위를 알 수 있다. 마리가 멸망한 후 초기 카시트 왕조 및 카시트 왕조 시대에 들어서자, 같은 유프라테스 중류역의 텔카가 주요 도시 국가가 되어 패권을 잡았다.[1]
이후, 아시리아인과 바빌로니아인이 마리의 옛 터전에 드문드문 살았지만, 그리스인의 도래 무렵에는 단순한 촌락이 되었고, 그 후 역사에서 사라졌다.[1]
3. 4. 아시리아
마리는 아시리아인이 마리의 옛 터전에 드문드문 살았지만, 그리스인의 도래 무렵에는 단순한 촌락이 되었고, 그 후 역사에서 사라졌다.
3. 5. 신바빌로니아 제국
Ma-ri|마리sem는 기원전 7세기 말 칼데아인들이 바빌론을 중심으로 건설한 신바빌로니아 제국을 가리킨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 통치 시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메소포타미아 전역과 시리아, 팔레스타인 지역을 정복하고 번영을 누렸다. 신바빌로니아 제국은 바빌론의 공중정원, 이슈타르 문과 같은 웅장한 건축물을 건설하고, 천문학과 수학 등 과학 기술을 발전시켰다. 그러나 기원전 6세기 페르시아 제국에 의해 멸망하였다.
4. 사회와 문화
마리는 전제 군주제였으며, 왕은 행정의 모든 측면을 통제했고, 행정관 역할을 한 서기관들의 도움을 받았다.[11] 림 시대에는 마리가 수도 외에 테르카, 사가라툼, 카투난 및 투툴의 4개 주로 나뉘어 각 주마다 자체 관료 제도를 갖추고 있었다.[11] 정부는 수확량의 일부를 대가로 마을 사람들에게 쟁기와 농기구를 제공했다.[12]
두 번째 왕국이 번성했을 때, 약 4만 명의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13] 이들은 동셈어를 사용했으며, 에블라어와 매우 유사한 방언을 사용했다.[14] 반면 샄카나쿠 시대에는 아카드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있었다.[15] 서셈어 이름은 두 번째 왕국 시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했고,[16] 청동기 시대 중반에는 아모리인 부족이 유프라테스 중류와 하부르 계곡 목축 집단의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아모리인의 이름은 샄카나쿠 시대 말, 심지어 통치 왕조 구성원 사이에서도 나타나기 시작했다.[15]
림 시대에는 인구가 주로 아모리인이었지만, 아카드 이름을 가진 사람들도 포함되었다. 아모리인어가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지만 아카드어는 기록 언어로 남아 있었다. 마리의 목축 아모리인들은 ''하네안''이라고 불렸으며, 이들은 ''야미니테스''(남쪽의 아들들)와 ''심알리테스''(북쪽의 아들들)로 나뉘었고, 통치 가문은 ''심알'' 분파에 속했다. 이 왕국은 테르카 지역에 살던 수트족 부족의 고향이기도 했다.
마리 시민들은 정교한 머리 모양과 복장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바빌론에서 240km 이상 상류에 위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일부를 이루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리는 메소포타미아 남부 도시들이 만든 교역 전초 기지 역할을 했다는 시각도 있다.
마리가 작은 마을에서 중요한 교역 도시로 도약한 배경에는 고대 사회에서 마리의 경제와 취급하는 품목의 다양성이 있었다. 마리는 유프라테스강 연안 중부에 위치해 이란 서부, 메소포타미아 남부와 북부, 카르케미쉬, 아나톨리아 반도 등 다양한 지방을 연결하는 교역로를 장악하고 있었다. 마리가 교역한 것으로 확인된 도시 국가에는 우르, 알레포, 우가리트 등이 있으며, 대추야자, 올리브, 도자기, 곡물, 목재, 석재 등 다양한 상품을 취급했다.
4. 1. 종교
마리 사람들은 수메르와 셈족의 신들을 모두 숭배하는 다신교 신앙을 가졌다. 도시 대부분의 역사에서 다간이 판테온의 수장이었고, 메르는 수호신이었다.[14] 다른 신으로는 셈족 신인 풍요의 여신 이슈타르, 아타르, 그리고 태양신 샤마슈가 있었다. 샤마슈는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신으로 여겨졌으며 모든 것을 알고 본다고 믿었다.[14] 수메르 신으로는 닌후르사그, 두무지, 엔키, 아누, 엔릴이 있었다.쐐기 문자로 쓰여진 도시의 이름은 북부 메소포타미아와 시리아의 고대 폭풍의 신인 메르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신은 도시의 수호신으로 여겨졌다.[14] Georges Dossin은 도시의 이름이 폭풍의 신의 이름과 동일하게 표기된 것을 언급하며, 마리가 그를 따라 지어졌다고 결론 내렸다.[16]

제1왕국과 제2왕국은 수메르 남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은 아모리 시대에도 마리의 문화에 계속 영향을 미쳤지만, 이전 시대보다 영향력이 적었고, 명확한 시리아 기원을 반영하는 왕의 인장에서 눈에 띄는 뚜렷한 시리아 스타일이 우세했다.[14]
예언은 마리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신전에는 예언자들이 있어 왕에게 조언을 하고 종교 축제에 참여했다.[14]
4. 2. 법과 제도
함무라비는 바빌론의 왕으로, 함무라비 법전으로 유명하다. 함무라비 법전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법과 제도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법전은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동해보복의 원칙을 따르지만, 신분에 따라 처벌이 달랐다. 메소포타미아의 법과 제도는 왕의 권력을 강화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후대의 법 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4. 3. 예술과 건축
마리는 초기 왕조 시대부터 금속공학, 제련, 염색, 도자기 제조의 중심지였다. 특히 시리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바퀴 공방이 있었던 곳이기도 하다.제2왕국의 마리는 농업과 무역을 기반으로 경제가 중앙 집권화되어 운영되었다. 공동 조직을 통해 곡물을 공동 곡창에 저장하고 사회적 지위에 따라 분배했으며, 왕국의 가축 떼도 통제했다. 금속 및 섬유 생산자와 군 관계자 등 일부 그룹은 궁전에서 직접 지원을 받았다. 에블라는 중요한 무역 파트너이자 경쟁자였으며, 마리는 레반트와 메소포타미아를 연결하는 도로의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아모리트 시대에도 마리는 유프라테스 계곡을 따라 관개 농업에 기반을 둔 경제를 유지했다. 바빌로니아 등 다른 왕국에서 온 상인들을 위한 무역 중심지였으며, 남쪽과 동쪽에서 온 상품은 강 배를 통해 북쪽, 북서쪽, 서쪽으로 운송되었다. 주요 무역 품목은 이란 고원에서 서쪽 크레타까지 수출된 금속과 주석이었다. 그 외에도 키프로스의 구리, 아나톨리아의 은, 레바논의 목재, 이집트의 금, 올리브 오일, 와인, 직물, 그리고 현대 아프가니스탄의 보석 등이 거래되었다.
마리 유적에서는 2만 5천 장 이상의 점토판, 즉 '''마리 문서'''가 발견되어 당시의 습관과 사람들의 이름 등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14]
마리 왕 '''짐리림''' 시대의 궁전은 300개 이상의 방을 갖춘 당시 최대 규모의 궁전이었다. 그 명성은 알레포(야므하드)나 우가리트 등 인근 도시 국가와 왕국에까지 널리 알려졌다. 안뜰에는 석고 벽에 붓과 아교, 흙 그림 물감으로 그려진 벽화가 있는데, 바빌로니아 문명과 크레타 섬의 미노아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는 지적이 있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Babylon, 2200 BC - AD 75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7-11-20
[2]
간행물
Les Temples d’Ishtarat et de Ninni-zaza
Librairie Orientaliste. Paris: Paul Geuthner
1967
[3]
웹사이트
Year Names of Sargon
http://cdli.ox.ac.uk[...]
[4]
서적
The Archaeology of Ela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 Ancient Iranian Stat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5]
서적
The Elamite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
[6]
서적
Sargonic and Gutian Periods
https://www.academia[...]
[7]
서적
The Amorite Dynasty of Ugarit: Historical Implications of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Parallels
https://books.google[...]
BRILL
2019
[8]
서적
Sargonic and Gutian Periods
https://www.academia[...]
[9]
뉴스
Here Are the Ancient Sites ISIS Has Damaged and Destroyed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5-09-01
[10]
뉴스
Destruction at the ancient site of Mari in Syria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 Media Limited
2018-04-19
[11]
문서
From the Mari Archives: An Anthology of Old Babylonian Letter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5
[12]
논문
A HURRIAN RITUAL AGAINST TOOTHACHE: A REANALYSIS OF MARI 5
2018
[13]
논문
Satellite imagery-based monitoring of archaeological site damage in the Syrian civil war
https://doi.org/10.1[...]
2017
[14]
문서
『ラルース図説世界史人物百科 I』
[15]
문서
日本考古学用語では「土層 (考古学)|土層」。
[16]
문서
위 지도에는 우바이드(30°58′N 46°05′E)와 우르(30°57′N 46°06′E)가같은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