맬컴 엑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맬컴 엑스는 1925년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태어난 미국의 흑인 민족주의 운동가이다. 그는 본래 맬컴 리틀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으며, 아버지 얼 리틀은 마커스 가비를 지지하는 범아프리카주의자였다. 맬컴 엑스는 1950년 엑스로 성을 바꾸고,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흑인 분리주의와 흑인 우월주의를 주장했다. 이후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탈퇴하고 수니파 이슬람으로 개종, 무슬림 모스크 인코퍼레이션과 아프로 아메리칸 연대 기구를 설립하여 흑인 인권 운동에 헌신했다. 1965년 암살당했으며, 그의 사상은 흑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이슬람교 - 네이션 오브 이슬람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1930년 월리스 파드 무하마드가 창설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종교 및 문화 운동으로, 흑인 민족주의에 기반한 이슬람 신학을 발전시키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자긍심 고취와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했으며, 일라이저 무하마드 사후 와리스 딘 무하마드의 주류 이슬람 통합 시도와 루이스 파라칸의 전통 교리 옹호 및 재건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개신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이본 리들리
이본 리들리는 영국의 언론인, 작가, 정치인으로, 탈레반에게 납치 후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반전 및 반제국주의적 입장을 보이며 무슬림 인권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 개신교에서 이슬람교로 개종한 사람 - 이브라힘 뮈테페리카
이브라힘 뮈테페리카는 1500년경 이집트에서 태어나 오스만 제국에서 외교관, 인쇄 기술자, 학자로 활동하며, 오스만 제국에 인쇄술을 도입하고 다양한 서적을 출판하여 학문 발전에 기여한 헝가리 출신의 이슬람교 개종자이다.
맬컴 엑스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말콤 리틀 |
출생일 | 1925년 5월 19일 |
출생지 |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 |
사망일 | 1965년 2월 21일 |
사망지 | 미국 뉴욕주 뉴욕 시티, 맨해튼 |
사망 원인 | 총격 암살 |
안장 장소 | 펀클리프 공동묘지 |
직업 | 목사 활동가 |
다른 이름 | 말리크 엘-샤바즈 () 오모왈레 () |
운동 | 흑인 민족주의 범아프리카주의 이슬람주의 |
소속 단체 | 네이션 오브 이슬람 무슬림 모스크 Inc. 아프리카계 미국인 단결 기구 |
배우자 | 베티 샤바즈 (1958년 결혼) |
자녀 | 6명 (아탈라 샤바즈, 쿠빌라 샤바즈, 일리아사 샤바즈 포함) |
친척 | 루이즈 헬렌 노턴 리틀 (어머니) 말콤 샤바즈 (손자) |
![]() | |
말콤 엑스 | |
추가 정보 | |
활동 분야 | 시민권 운동 흑인 해방 운동 |
종교 | 침례교 → 네이션 오브 이슬람 → 수니파 이슬람 |
경력 | 이슬람 운동가 시민 운동가 인권 운동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 최고 위원 겸 대변인 |
부모 | 얼 리틀(아버지), 루이스 노턴(어머니) |
웹사이트 | 공식 웹 사이트 |
기타 | |
"말콤 엑스의 날" 제정 | 그의 사후 전국의 여러 도시에서 기념식이 열리고 수백 개의 거리와 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다. |
2. 생애
맬컴 엑스는 1925년 5월 19일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얼 리틀과 루이스 노턴의 아들로 태어났다. 출생 당시 이름은 맬컴 리틀(Malcolm Little)이었다. 그의 아버지 얼 리틀은 침례교를 믿는 평신도 설교자였고, 동시에 범아프리카주의자였던 마커스 가비를 지지하였다. 얼 리틀은 가비가 세운 만국 흑인 진보 연합(UNIA)에 가입하여 간부로 활동하였다.[442] 어머니 루이즈는 미인으로 피부색이 밝았으며, 서인도 제도 그레나다 출신이었다.[399] 맬컴 엑스는 평생동안 자신의 아버지와 만국 흑인 진보 연합이 설파한 흑인의 자존심과 자기 존중을 잊지 않았다.[443] 엑스는 훗날 아버지의 형제 세 명 가운데 한 명이 백인들에게 린치를 당했고 그로 인해 죽었다고 말했다.[444] 1926년 엑스의 가족들은 쿠 클럭스 클랜의 가혹 행위를 피해 위스콘신주의 밀워키로 이사하였고, 얼마 후 다시 미시간주의 랜싱으로 옮겼다.[445]
가족은 집 땅에 텃밭을 만들고 가축을 길러 거의 자급자족에 가까운 생활을 했으며, 주변의 다른 흑인들처럼 백인에게 아첨하며 일을 나눠 받는 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
2. 1. 생애 초반
맬컴 리틀(Malcolm Little)은 1925년 5월 19일 네브래스카주 오마하(Omaha, Nebraska)에서 그레나다 출신 루이즈 헬렌 리틀(Louise Helen Little, née Langdon)과 조지아주 출신 얼 리틀(Earl Little) 사이의 일곱 자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2] 얼은 과격한 침례교 평신도 연설가였으며, 그와 루이즈는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 활동가 마커스 가비(Marcus Garvey)를 존경했다. 얼은 범아프리카계 미국인 향상 협회(Universal Negro Improvement Association, UNIA)의 지역 지도자였고, 루이즈는 서기 겸 "지부 기자"로 활동하며 지역 UNIA 활동 소식을 ''니그로 월드(Negro World)''에 보냈다. 그들은 자녀들에게 자립심과 흑인 자존심(black pride)을 심어주었다.[3][4][5] 맬컴 엑스는 나중에 백인들의 폭력으로 아버지의 형제 네 명이 사망했다고 말했다.[6]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의 위협으로 인해 얼의 UNIA 활동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말이 돌았고,[7] 가족은 1926년 위스콘신주 밀워키(Milwaukee, Wisconsin)로, 그 직후 미시간주 랜싱(Lansing, Michigan)으로 이사했다.[8] 그곳에서 가족은 백인 미국 내 인종차별(racism in the United States) 단체인 흑색 군단(Black Legion (political movement))의 잦은 괴롭힘을 당했고, 얼은 1929년 그들이 가족의 집을 불태웠다고 비난했다.[9]
말콤이 여섯 살 때, 아버지는 공식적으로 전차 사고로 사망했지만, 그의 어머니 루이즈는 얼이 흑색 군단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믿었다. 백인 인종차별주의자들이 아버지의 죽음에 책임이 있다는 소문이 널리 퍼졌고, 어린 말콤 엑스에게는 매우 충격적인 일이었다. 성인이 된 후에도 그는 이 문제에 대해 상반되는 믿음을 표현했다.[10] 채권자와의 분쟁 후, 루이즈는 생명 보험금(명목상 1,000달러)을 월 18달러씩 받았다.[11] 다른 더 큰 보험 계약자는 남편 얼이 자살했다고 주장하며 보험금 지급을 거부했다.[12]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루이즈는 정원 일부를 임대했고, 아들들은 사냥을 했다.[11]
1930년대에 백인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Seventh-day Adventist) 신자들이 리틀 가족에게 전도했고, 나중에 루이즈 리틀과 그의 아들 윌프레드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에 세례를 받았다. 말콤은 재림교도들이 "내가 본 가장 친절한 백인들"이라고 말했다.[13]
1937년 루이즈가 사귀던 한 남자 – 결혼 가능성이 있었던 – 가 그녀가 그의 아이를 임신했을 때 그녀의 삶에서 사라졌다.[14] 1938년 말, 그녀는 정신 붕괴(Mental breakdown)를 겪었고 칼라마주 주립 정신병원(Kalamazoo State Hospital)에 수용되었다. 아이들은 뿔뿔이 흩어져 위탁 양육(Foster care) 시설로 보내졌다. 말콤과 그의 형제들은 24년 후 그녀의 석방을 이끌어냈다.[15][16]
말콤은 랜싱의 웨스트 중학교(West Junior High School)와 미시간주 메이슨(Mason, Michigan)의 메이슨 고등학교(Mason High School)에 다녔지만, 1941년 고등학교를 졸업하지 못하고 중퇴했다.[17] 그는 중학교 시절에는 뛰어났지만, 백인 교사가 당시 그의 포부였던 법률 전문가가 되는 것은 "흑인에게는 현실적인 목표가 아니다"라고 말한 후 고등학교를 중퇴했다.[18] 나중에 말콤 엑스는 재능과 상관없이 백인 세계는 직업 지향적인 흑인 남성에게 자리를 제공하지 않는다고 느꼈다고 회상했다.[18]

14세부터 21세까지 말콤은 보스턴의 대부분이 아프리카계 미국인 지역(African-American neighborhood)인 보스턴 록스베리(Roxbury, Boston)에서 이복 누이 엘라 리틀-콜린스(Ella Little-Collins)와 함께 살면서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20][21]
미시간주 플린트(Flint, Michigan)에서 잠시 머문 후, 그는 1943년 뉴욕시의 할렘(Harlem) 지역으로 이사하여 뉴 헤이븐 철도(New York, New Haven and Hartford Railroad)에서 일하고 마약 거래, 도박, 폭력배 행위(racketeering), 강도, 매춘 알선(Procuring (prostitution))에 관여했다.[22] 전기 작가 브루스 페리(Bruce Perry)에 따르면, 말콤은 때때로 다른 남자들과 성관계를 가졌는데, 보통 돈을 받고 했지만, 그를 알았던 사람들은 이 추측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23][24] 그는 할렘의 지미 치킨 샥(Jimmy's Chicken Shack)에서 함께 설거지를 하던 존 엘로이 샌포드(John Elroy Sanford)와 친구가 되었는데, 그는 전문 코미디언이 되기를 열망했다. 두 사람 모두 붉은 머리였기 때문에 샌포드는 고향을 따서 "시카고 레드(Chicago Red)"라고 불렸고, 말콤은 "디트로이트 레드(Detroit Red)"로 알려졌다. 수년 후 샌포드는 코미디언이자 배우 레드 폭스(Redd Foxx)로 명성을 얻었다.[32]
1943년 말, 현지 미국 징병제(Conscription in the United States)#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징병위원회에 의해 제2차 세계 대전(World War II) 군 복무를 위해 소환되었을 때, 그는 횡설수설하며 "나는 남쪽으로 보내지고 싶어. 니그로 병사들을 조직하자… 무기를 훔쳐서 [몇몇] 크래커(Cracker (pejorative))들을 죽이자"고 선언하며 정신 질환을 가장했다.[33][34][35] 그는 "군 복무에 정신적으로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33][34][35]
1945년 말, 말콤은 보스턴으로 돌아와 네 명의 공범과 함께 부유한 백인 가정을 대상으로 일련의 강도 사건을 저질렀다.[36] 1946년, 그는 수리한 시계를 찾으러 가게에 들렀다가 체포되었고,[37] 2월 찰스턴 주립 교도소(Charlestown State Prison)에서 절도와 불법 침입 혐의로 8년에서 10년의 형을 선고받고 복역을 시작했다.[38] 2년 후, 말콤은 매사추세츠 교정 시설 – 노퍽(Massachusetts Correctional Institution – Norfolk)(매사추세츠(Massachusetts) 소재)으로 이감되었다.[39][40]
2. 1. 1. 출생과 가계
맬컴 엑스는 1925년 5월 19일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얼 리틀과 루이스 노턴의 아들로 태어났다. 출생 당시 이름은 맬컴 리틀(Malcolm Little)이었다. 그의 아버지 얼 리틀은 침례교를 믿는 평신도 설교자였고, 동시에 범아프리카주의자였던 마커스 가비를 지지하였다. 얼 리틀은 가비가 세운 만국 흑인 진보 연합(UNIA)에 가입하여 간부로 활동하였다.[442] 맬컴 엑스는 평생동안 자신의 아버지와 만국 흑인 진보 연합이 설파한 흑인의 자존심과 자기 존중을 잊지 않았다.[443] 엑스는 훗날 아버지의 형제 세 명 가운데 한 명이 백인들에게 린치를 당했고 그로 인해 죽었다고 말했다.[444] 1926년 엑스의 가족들은 쿠 클럭스 클랜의 가혹 행위를 피해 위스콘신주의 밀워키로 이사하였고, 얼마 후 다시 미시간주의 랜싱으로 옮겼다.[445]
말콤 엑스(Malcolm Little)는 1925년 5월 19일, 네브래스카주 오마하(Omaha, Nebraska)에서 일곱 자녀 중 네 번째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그레나다 출신 루이즈 헬렌 리틀(Louise Helen Little, née Langdon)과 조지아주 출신 얼 리틀(Earl Little)이었다.[2] 얼은 과격한 침례교 평신도 연설가였으며, 그와 루이즈는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 활동가 마커스 가비(Marcus Garvey)를 존경했다. 얼은 범아프리카계 미국인 향상 협회(Universal Negro Improvement Association, UNIA)의 지역 지도자였고, 루이즈는 서기 겸 "지부 기자"로 활동하며 지역 UNIA 활동 소식을 ''니그로 월드(Negro World)''에 보냈다. 그들은 자녀들에게 자립심과 흑인 자존심(black pride)을 심어주었다.[3][4][5] 말콤 엑스는 나중에 백인들의 폭력으로 아버지의 형제 네 명이 사망했다고 말했다.[6]
쿠 클럭스 클랜(Ku Klux Klan)의 위협으로 인해 얼의 UNIA 활동이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말이 돌았고,[7] 가족은 1926년 위스콘신주 밀워키(Milwaukee, Wisconsin)로, 그 직후 미시간주 랜싱(Lansing, Michigan)으로 이사했다.[8]
2. 1. 2. 성장과정
얼 리틀 일가는 인종차별 때문에 한 곳에 정착할 수 없었다. 루이스가 맬컴을 임신하고 있었던 1924년 12월 쿠 클럭스 클랜은 얼 리틀이 만국 흑인 진보 연합에서 활동하는 것을 이유로 떠나라고 협박하여 이사할 수 밖에 없었고, 미시간주 랜싱(Lansing, Michigan)에 살던 1929년에는 집이 불탔다.[451] 1931년 9월 8일, 얼 리틀은 노면 전차에 치어 사망하였다. 경찰의 조사 기록에는 얼 리틀 스스로가 죽기 전에 길에서 미끄러져 전차에 치인 것으로 진술하였다고 되어있지만[452], 흑인 사회에서는 누군가가 고의적으로 얼 리틀을 죽게 하였다는 소문이 돌았다. 1929년 이후 얼 리틀은 지속적인 살해 위협에 시달렸기 때문이다.[453]얼 리틀은 두 개의 생명 보험에 들어있었지만, 생명보험사들은 자살 의혹이 있다는 이유로 보험금 지급을 거부하였다.[454] 보험사가 지급하여야 할 금액은 1,000 달러이었지만 유언 검인 법원은 매달 18 달러의 미망인 수당만을 인정하였다. 맬컴 엑스는 살기 위해 들짐승을 잡아 먹어야 했다.[455]
1938년 루이스 노턴은 신경 쇠약 증상을 보였고, 결국 법원은 노턴을 캘러머주에 있는 정신병원에 수용하도록 명령하였다.[456][457]
맬컴 엑스는 중학교시절 뛰어난 학생이었다. 그러나, 8학년이 지날 때 담임 교사는 맬컴 엑스가 "그 어떤 현실적 목표도 갖고 있지 못한 깜둥이"라고 평했다. 맬컴은 훗날 이 일을 우스개로 말하였지만, 중학생이었던 당시에는 몹시 창피하게 여겼다. 맬컴은 이 일로 세상 어디에서도 흑인을 눈여겨 보는 곳은 없고, 흑인이 아무리 똑똑해도 소용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458] 어머니가 정신병원에 수용된 후 위탁 가정을 전전하던 맬컴은 1941년 2월 이복 누이인 엘라 리틀 콜린스와 함께 살게 되었다.[459]
2. 2. 청소년기
2. 2. 1. 청소년기
콜린스의 집은 보스턴의 흑인 중산층이 모여 사는 록스버리에 있었다. 맬컴은 콜린과 함께 살면서 많은 흑인들이 함께 모여사는 것을 처음 겪었고 이웃들의 삶과 문화에 매료되었다.[460] 1943년부터 맬컴은 직업을 얻기 위해 이 도시 저 도시를 떠돌게 되었다. 보스턴을 떠난 맬컴은 핀트, 미시간, 뉴욕 등으로 옮겨 다니면서 여러 가지 임시직을 거쳤다. 1943년에서 1946년 사이에는 뉴욕 뉴 헤븐 하트포드 철도에서 근무하기도 하였다. 뉴욕의 할렘에 살게 되면서 맬컴은 마약 거래, 도박, 소란 행위, 강도, 매춘 알선 등의 범죄에 빠져들게 되었다.[461] 이 시절 맬컴은 ‘미시간에서 온 머리카락이 붉은 녀석’이란 뜻에서 “디트로이트 레드”(Detroit Red)라고 불렸다.[462] 매닝 매러블 등의 전기 작가들은 이 시기에 맬컴이 돈을 주고 남창과 성교를 하기도 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463]1943년 미국 병무청은 맬컴에게 입영통지서를 발송하였다.[464] 맬컴은 시간을 끌다가 출석한 신체검사장에서 징병을 피하기 위해 "총만 있다면야 당장 크래커 몇을 죽이겠죠"라고 시험관에게 말했다. 크래커는 남부 백인을 가리키는 은어이다.[465] 이 말을 들은 시험관은 “정신 상태가 군복무에 부적합함”이라고 기록하였고, 맬컴은 보충역에 해당하는 4-F 등급을 받았다.[464]
한편 흑인에 대한 부당한 대우와 의무만을 요구하는 것에 반발하여 이때부터 흑인 권리 운동에도 동참하기 시작하였다.
2. 2. 2. 투옥과 석방
1945년 후반 맬컴 엑스는 동료 몇 명과 함께 보스턴에서 강도 행각을 벌였다. 이들은 부유한 백인 여성이 사는 집을 주로 노렸다.[466] 1946년 1월 12일 맬컴은 보석점에서 시계를 훔쳐 나오다 검거되었고,[467] 1월 16일 절도와 불법침입 및 기물 파손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8년을 선고받았다.[468]1946년 2월 27일 맬컴은 찰스타운 스테이트 교도소에 입소하였다. 그는 종교에 대해 매우 적대적인 태도를 보여 얼마 지나지 않아 교도소 내에서 “사탄”이라 불렸다.[469] 수감 중 맬컴 엑스는 독학으로 공부하는 존 엘턴 벰브리를 만나 감화를 받았다. 맬컴은 벰브리를 “벰비”라고 불렀다.[470] 벰브리는 교도소 안에서 누구에게나 존경받는 인물이었다. 맬컴은 자서전에 “나는 그 때까지 살면서 말 뜻그대로 존경받는 인물을 처음 보았다”고 당시의 일을 적었다.[471] 맬컴과 벰브리는 친구가 되었고, 벰브리는 맬컴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도왔다.[472] 맬컴은 닥치는대로 책을 읽었다. 교도소의 전등이 꺼진 이후에도 계속 책을 읽은 적도 많았다.[473]
1948년 맬컴의 형 필버트는 맬컴에게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소개하는 편지를 썼다. 필버트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흑인들의 자기 신뢰 형성과 백인들의 아메리카와 유럽의 지배로부터 아프리카 이산민을 해방시키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고 소개하였다.[474] 맬컴은 형의 편지에도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가입할 생각이 없었지만, 또 다른 형인 레지날드가 “돼지고기를 먹지 말고 담배를 피우지 마라. 그게 널 감옥으로 보냈어.”라고 편지를 보내자,[475] 담배를 끊고 돼지고기가 든 음식을 먹지 않기 시작하였다.[476] 레지날드는 백인을 악마로 여기는 등 그룹의 가르침을 자세히 설명했고,말콤은 과거 백인들과의 관계가 모두 불성실, 불의, 탐욕, 증오로 얼룩졌다는 결론을 내리며 이슬람 민족의 메시지에 귀를 기울였다.
1948년 말, 맬컴은 이슬람 민족의 지도자인 엘라이자 무함마드에게 편지를 썼다. 무함마드는 그에게 과거를 버리고, 겸손하게 기도를 통해 신에게 절하고, 다시는 파괴적인 행동을 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라고 조언했다.[51] 그는 내면의 갈등을 회상했지만, 곧 이슬람 민족의 일원이 되었고, 무함마드와 정기적으로 서신을 주고받았다.
1950년, 맬컴이 감옥에서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국 전쟁에 반대하고 자신을 공산주의자라고 선언한 후, FBI는 그에 대한 파일을 열었다.[54] 그해 그는 자신의 이름을 "말콤 X"로 쓰기 시작했다.[55] 무함마드는 추종자들에게 이슬람 민족에 가입할 때 가족 이름을 버리고 "X"를 사용하라고 지시했는데, 자서전에서 맬컴 X는 "X"가 그가 결코 알 수 없는 진정한 아프리카 가족 이름을 상징한다고 설명했다.
2. 3. 이슬람 귀의
레지날드는 맬컴을 면회하는 자리에서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진행하는 교육 모임에 대해 소개하였다.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백인은 악마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맬컴은 살아오면서 만난 백인들이 모두 정직하지도 않고, 정의롭지도 않으며, 탐욕과 증오만을 보였다는 것을 떠올렸다. 맬컴은 종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다시 고심한 끝에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하였다. 얼마 후 맬컴의 다른 형제들도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일원이 되었다.[477]
1948년 2월 맬컴은 누이의 청원덕분에 실험적으로 운용되던 매사추세츠주의 노포크 교도소로 이감되었다. 노포크 교도소에는 많은 책을 구비한 도서관이 있었다.[478] 그해 하반기에 맬컴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수장이었던 일라이저 무하마드에게 새로운 사람이 될 방법을 묻는 편지를 썼다. 무하마드는 과거의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게 해달라고 알라에게 간절히 기도하라는 답장을 보냈다. 맬컴은 이 답장을 매우 진지하게 받아들였고, 일주일동안 알라에게 쉬지 않고 기도하여 무릎이 상할 정도였다. 이렇게 과거와 단절한 맬컴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일원이 되었다.[479] 맬컴은 수감 생활 동안 종종 일라이저 무하마드와 편지를 교환하였다.[480]
1952년 8월 7일 맬컴은 가석방으로 출옥하였다.[481] 맬컴은 이슬람에 귀의한 이후 감옥 생활에 대해 "책을 읽고, 엘라나 레지날드와 같은 가족의 면회를 받거나 무하마드와 편지를 주고 받으면서 나는 내가 수감되어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않을 만큼 진정 자유로운 삶을 살았다."라고 회고하였다.[482]
1950년, 맬컴이 감옥에서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한국 전쟁에 반대하고 자신을 공산주의자라고 선언한 후, FBI는 그에 대한 파일을 열었다.[54] 그해 그는 자신의 이름을 "말콤 X"로 쓰기 시작했다.[55] 무함마드는 추종자들에게 이슬람 민족에 가입할 때 가족 이름을 버리고 "X"를 사용하라고 지시했으며, "X"는 그가 결코 알 수 없는 진정한 아프리카 가족 이름을 상징한다고 설명했다.[57]
2. 4. 백인 우월주의에 저항
==== 맬컴 X로 개명 ====
교도소에서 출소한 이후 맬컴은 '리틀'이라는 성을 버리고, 알 수 없다는 뜻의 엑스(X)를 자신의 성으로 사용하였다. 1950년 12월 자신의 형 필버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맬컴은 맬컴 엑스라고 서명하였다.[483] 맬컴은 자서전에서 “내 진짜 선조인 아프리카 조상의 성을 알 수 없기에 미지를 뜻하는 엑스를 내 성으로 삼는다. 선조를 노예로 부리던 백인 주인의 성일 뿐인 리틀을 내 성으로 결코 사용하지 않겠다.”고 썼다.[484]
==== 네이션 오브 이슬람(NOI) 활동 초기 ====
1952년 8월 가석방된 후,[58] 맬컴 엑스는 시카고에서 엘라이저 무함마드를 방문했다.[59] 1953년 6월, 디트로이트에 있는 제1사원의 보좌 사원으로 임명되었다.[60] 그 해 말 보스턴 제11사원을 설립했고,[62] 1954년 3월에는 필라델피아 제12사원을 확장했으며,[63] 두 달 후에는 할렘의 제7사원 지도자로 선출되어 회원 수를 급속히 늘렸다.[64] [65]
1953년, FBI는 맬컴 엑스의 공산주의 연루 가능성에서 네이션 오브 이슬람 내 그의 급속한 승진으로 초점을 옮겨 그를 감시하기 시작했다.[66]
1955년,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위해 회원 모집을 계속 성공적으로 이어갔다. 그는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제13사원),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제14사원), 애틀랜타(제15사원)에 사원을 설립했다. 매달 수백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합류했다.[67]
맬컴 엑스는 엘라이자 무하마드 다음으로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서 두 번째로 영향력 있는 지도자로 널리 여겨졌다.[129] 그는 1950년대 초부터 1960년대 초까지 이 단체의 회원 수가 급증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산에 따르면 약 1,200명에서 5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로 증가했으며, 최대 2만 5천 명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30]
그는 복서 무하마드 알리에게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가입하도록 영감을 주었고,[133] 두 사람은 가까워졌다.[134]
==== 존슨 힌튼 사건 ====
1957년 존슨 힌튼 사건이 일어나면서 맬컴 엑스는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97] 4월 26일 뉴욕에서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 셋이 길을 지나다, 경찰 두명이 흑인 한 명을 야경봉으로 구타하는 것을 보았다.[497]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들은 “여기가 앨리바마나 조지아인줄 알아? 여긴 뉴욕이라고!”하고 외쳤다.[498] 그러자 경찰 한 명이 회원 가운데 하나였던 존슨 힌튼을 구타하였다. 존슨 힌튼은 경찰의 폭행으로 두부 열상, 경막하출혈, 뇌진탕 등의 피해를 입었다. 경찰은 흑인 네 명을 모두 경찰서로 끌고갔다.[497]
이 사건을 목격한 한 여성이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운영하는 식당으로 달려가 소식을 전했고[497], 4시간이 지나 맬컴 엑스와 몇 명의 회원들이 경찰서로 찾아가 힌튼의 면회를 요청하였다. 경찰서장은 무슬림은 이곳에 올 수 없다며 거절했지만, 경찰서가 5백명이 넘는 군중으로 둘러쌓이자 맬컴의 면회를 허락하였다.[499] 맬컴은 힐튼과 짧게 대화한 후 구급차를 불러 힐튼을 할렘 병원으로 옮겼다.[500]
힐튼은 경찰이 지켜보는 앞에서 치료를 받은 후 다시 경찰서에 구금되었다.[497] 맬컴은 두어명의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과 함께 보석 보증인을 자청하고 석방을 요구하였지만, 경찰서는 체포 당일에는 보석을 허가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이 때 경찰서 주변엔 4천여명의 사람들이 모여있었다. 맬컴은 더 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보고 경찰서 밖으로 나와 사람들에게 그만 떠나라고 손짓을 하였다.[500] 맬컴이 손짓을 한 뒤 수 분 안에 모였던 모든 사람들이 조용히 자리를 떠났다.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들이 떠난 뒤 경찰관 한 명은 《뉴욕 암스테르담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처럼 영향력을 갖는 사람은 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01]
사건이 있은 다음 달부터 뉴욕 경찰국의 특별수사국은 맬컴 엑스를 사찰하기 시작하였다. 뉴욕 경찰국장은 각 경찰서에 맬컴 엑스가 출소후 그때까지 살았던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조사하여 보고하라고 지시하였다.[502] 10월 대배심은 힐튼을 폭행한 경찰에 대한 기소를 기각하였고, 맬컴 엑스는 경찰위원회에 이 결정을 비난하는 편지를 보냈다. 한편, 뉴욕 경찰국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위장 잠복 요원을 투입하였다.[503]
==== 결혼 ====
1955년 베티 센더스는 맬컴 엑스의 강연을 듣고 매우 감동하였고, 강연이 끝난 뒤 저녁식사를 함께 하였다. 이후 1956년 내내 베티 센더즈는 뉴욕 제7 사원에서 맬컴 엑스의 모든 강연에 참석하였다. 베티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가입하면서 자신의 성도 엑스로 바꾸었다.[504]
맬컴 엑스와 베티 엑스는 별도의 사적인 만남을 갖지는 않았지만, 그들 나름의 방식의 “데이트”를 가졌다. 맬컴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회원들과 박물관이나 도서관에 갈때면 베티를 꼭 초대하여 함께하였다.[505] 1958년 1월 12일 맬컴 엑스는 베티 엑스에게 청혼하였고, 이틀 뒤인 14일 미시간주 랜싱에서 결혼하였다.[506] 둘 사이에는 여섯 명의 딸이 있다. 아탈라(Attallah) (1958년생),[74] 쿠빌라(Qubilah) (1960년생),[78] 일리아사(Ilyasah) (1962년생),[79] 가밀라 룸붐바(Gamilah Lumumba) (1964년생),[80][81] 그리고 쌍둥이 딸 말리카(Malikah) (1965-2021)[82]와 말락(Malaak) (1965년생)이다.[83]
==== 사회활동과 텔레비전 출연 ====
1959년 뉴욕 텔레비전 방송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대한 다큐멘터리 《더 헤이트 댓 헤이트 프로듀스트/The Hate That Hate Produced영어(증오가 만든 증오)》를 방영하였다. 맬컴 엑스 역시 이 프로그램에 출연하였고 자신이 “화이트 아메리카”라 부른 백인 사회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방송과 언론은 사건이 있을 때마다 맬컴의 의견을 요청해왔다.[507]
1960년 11월 피델 카스트로가 국제 연합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뉴욕에 왔다. 카스트로는 뉴욕 채류 기간 동안 할렘에 있는 테레사 호텔에 머물렀고, 맬컴은 할렘 흑인들을 모아 환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카스트로를 만났다.[508] 맬컴 엑스는 카스트로에게 감명을 받아 개인적인 만남을 요청하였다. 카스트로와 맬컴은 두어 시간의 대화를 나눴는데, 대화가 끝난 후 카스트로는 맬컴을 쿠바로 초청하였다.[509] 국제 연합 총회가 열리는 동안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기니의 아메드 세쿠 투레, 잠비아의 케네스 카운다와 같은 아프리카 지역 여러 나라의 국가 원수들 역시 맬컴 엑스를 자국으로 초청하였다.[510]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들어간 1952년부터 탈퇴한 1964년까지 변함없이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믿음을 설파하였다. 그는 흑인이야말로 최초의 인류를 계승한 적자라고 주장하였고,[511] 백인은 "악마"라고 비난하였으며,[512] 백인 우월주의에 맞서 흑인 우월주의를 주장하였다.[511] 미국의 흑인 인권 운동이 인종주의 자체를 부정하였던 것에 비해, 맬컴 엑스는 흑인 분리주의를 지지하였다. 맬컴 엑스는 미국에 흑인 만이 사는 나라를 세우자고 하였다.[513] 맬컴 엑스는 만약 미국에 흑인의 나라를 세울 수 없다면 아프리카로 돌아가자고 주장하였다.[514] 또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이 주도하던 흑인 인권 운동이 권리 획득을 위한 활동에서 비폭력을 강조한 반면, 맬컴 엑스는 흑인들이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서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515] 미국의 북부와 서부에 살던 흑인들 다수는 맬컴 엑스의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였다. 그들은 자유와 평등, 정의, 그리고 흑인에 대한 존중이 실현되는 것을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다고 생각하였다.[516] 많은 흑인들은 흑인 인권 운동의 활동가들보다 맬컴 엑스가 자신들의 불만을 정확히 대변하고 있다고 느꼈다.[517]
1950년대 후반 무렵, 말콤 X는 말콤 샤바즈(Malcolm Shabazz) 또는 엘-하지 말릭 엘-샤바즈(el-Hajj Malik el-Shabazz, "순례자 말콤 족장")라는 새로운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93][94][95] 여전히 말콤 X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96] 그의 시사 및 사건에 대한 논평은 인쇄 매체와 라디오, 텔레비전을 통해 널리 보도되었다.[97]
1960년 9월, 뉴욕시에서 열린 유엔총회에서 말콤 X는 여러 아프리카 국가의 공식 행사에 초청받았다. 그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기니의 아메드 세쿠 투레, 그리고 잠비아 아프리카 민족 의회의 케네스 카운다를 만났다.[98] 피델 카스트로 또한 총회에 참석했고, 말콤 X는 할렘 지역 지도자들의 환영 위원회의 일원으로 그와 공개적으로 만났다.[99] 카스트로는 말콤 X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비공개 회의를 제안했고, 두 시간 동안 이야기를 나눈 후 카스트로는 말콤 X를 쿠바에 초청했다.[100]
1964년 3월 26일, 말콤 X는 킹 목사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만났다. 이는 계획된 만남이 아니었고, 그날 두 사람이 우연히 민권법에 관한 논의를 듣기 위해 미국 국회 의사당을 방문했기에 성사된 것이며, 대화 또한 인사만 나누는 짧은 시간에 끝났다.[435]
====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지도자 ====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이인자로 불렸다.[518]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500여명의 소집단에서 2만 5천명의 회원이 가입한 대중 단체로 만드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519]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회원 수는 출처에 따라 적게는 15,000명에서 많게는 75,00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520][521] 맬컴 엑스의 권유로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가입한 회원 가운데는 훗날 무하마드 알리로 이름을 바꾼 권투선수 캐시어스 클레이도 있었다.[522] 무하마드 알리는 맬컴 엑스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탈퇴하고 수니파 이슬람에 귀의하자 맬컴 엑스를 따라 수니파가 되었다.[523]
맬컴 엑스의 주장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백인들뿐만 아니라 절대다수의 흑인 역시 반대하였다. 그들은 맬컴 엑스가 흑인 우월주의를 내세워 인종 차별을 정당화하고, 자기 방어권을 앞세워 폭력을 인정한다고 비판하였다.[524] 한편, 맬컴 엑스 역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이 이끄는 흑인 민권 운동에 대해 "얼간이들"이라는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525]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D.C.에서 있었던 직업과 자유를 위한 워싱턴 행진에 대해, 맬컴 엑스는 "워싱턴 광대짓"이라고 비난하였고, "살아 있던 동안 한 번도 우리 같은 흑인을 좋아해 본 적도 없는 죽은 지 백년도 더 지난 대통령의 동상 앞에서 백인들에게 쫓겨다니는 짓"이라고 평가하였다.[526]
==== 네이션 오브 이슬람 탈퇴 ====

1964년 3월 26일
1963년 12월 1일 맬컴 엑스는 존 F. 케네디 암살과 관련한 논평을 부탁받은 자리에서 "닭이 자신의 횃대에 돌아온 것과 같은 일"(chickens coming home to roost영어), 즉 사필귀정이라고 답했다. 맬컴은 덧붙여 "닭이 횃대에 돌아온 일로 슬퍼할 수는 없지 않나. 이런 일은 언제나 즐겁다"고 말했다.[527][144] 이 발언은 광범위한 공분을 불러일으켰다.[145]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맬컴 엑스는 파트리스 루뭄바, 메드가 에버스, 버밍햄 교회에서 폭탄 테러를 당한 흑인 소녀들의 살해 사건을 언급하며, 이것들이 "닭이 횃대에 돌아오는" 다른 사례라고 말했다.[144] 케네디 가족에게 애도 메시지를 보냈던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공개적으로 맬컴 엑스를 비난했다.[145] 맬컴에 대한 비난이 커지자 맬컴은 케네디에 대한 발언을 한 지 90일 만에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대변인직을 그만두게 되었다.[528][529]
1964년 3월 8일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 탈퇴를 공표하였다.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교조주의에 빠져 더 이상 어쩔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탈퇴 이유를 밝혔고, 자신이 흑인 민족주의 활동가로 돌아간다고 선언하였다. 또한, 맬컴 엑스는 자신이 예전부터 다른 흑인 인권 운동가들과 함께 활동하고 싶었지만 일라이저 무하마드가 그것을 막았다고 말했다.[530][147]
맬컴 엑스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탈퇴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일라이저 무하마드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교리를 어기고 젊은 비서와 혼외 관계를 가졌다는 소문이었다. 맬컴은 처음엔 그런 소문을 무시했지만 일라이저 무하마드의 아들인 와리스 딘 모하메드가 해당 여성을 고소하자 실제 그런 일이 있었다고 믿게 되었다. 무함마드는 1963년에 이 소문을 확인했으며, 성경의 예언자들이 세운 선례를 언급하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 했다.[531][142] 1964년부터 1965년 사이에 진행된 일련의 전국 TV 인터뷰에서 말콤 X는 엘라이자 무함마드가 여러 건의 아동 강간을 인정했다는 사실을 증언했다.[143] 맬컴 엑스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떠나게 된 다른 요인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 내에 맬컴 엑스를 반대하는 세력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시카고를 중심으로한 맬컴 반대 세력은 맬컴이 수장인 일라이저 무하마드를 재치고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불만을 갖고 있었다.[532]
네이션 오브 이슬람과 결별한 맬컴 엑스는 새로운 이슬람 종교단체인 무슬림 모스크 인코퍼레이션[533][534][149][150]과 범아프리카주의 운동 단체인 아프로 아메리칸 연대 기구를 창립하였다.[535][536][151][152] 1964년 3월 26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맬컴 엑스는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상원에 시민권리법의 제정을 촉구하기 위한 행사에서 만났다. 이 둘은 이 때 딱 한 번 만났을 뿐이었고, 그 뒤로도 만난 적이 없지만, 많은 사진 기자들이 둘의 만남을 촬영하여 보도하였다.[537][538][148]
네이션 오브 이슬람과 결별한 맬컴 엑스는 수니파 이슬람에 귀의하고, 무슬림의 의무 가운데 하나인 메카 순례를 결심하였다.[539][157][158]
2. 4. 1. 맬컴 X로 개명
교도소에서 출소한 이후 맬컴은 '리틀'이라는 성을 버리고, 알 수 없다는 뜻의 엑스(X)를 자신의 성으로 사용하였다. 1950년 12월 자신의 형 필버트에게 보낸 편지에서 맬컴은 맬컴 엑스라고 서명하였다.[483] 맬컴은 자서전에서 “내 진짜 선조인 아프리카 조상의 성을 알 수 없기에 미지를 뜻하는 엑스를 내 성으로 삼는다. 선조를 노예로 부리던 백인 주인의 성일 뿐인 리틀을 내 성으로 결코 사용하지 않겠다.”고 썼다.[484]2. 4. 2. 네이션 오브 이슬람(NOI) 활동 초기
1952년 8월 가석방된 후,[58] 맬컴 엑스는 시카고에서 엘라이저 무함마드를 방문했다.[59] 1953년 6월, 디트로이트에 있는 제1사원의 보좌 사원으로 임명되었다.[60] 그 해 말 보스턴 제11사원을 설립했고,[62] 1954년 3월에는 필라델피아 제12사원을 확장했으며,[63] 두 달 후에는 할렘의 제7사원 지도자로 선출되어 회원 수를 급속히 늘렸다.[64] [65]1953년, FBI는 맬컴 엑스의 공산주의 연루 가능성에서 네이션 오브 이슬람 내 그의 급속한 승진으로 초점을 옮겨 그를 감시하기 시작했다.[66]
1955년,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위해 회원 모집을 계속 성공적으로 이어갔다. 그는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제13사원), 코네티컷주 하트퍼드(제14사원), 애틀랜타(제15사원)에 사원을 설립했다. 매달 수백 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합류했다.[67]
맬컴 엑스는 엘라이자 무하마드 다음으로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서 두 번째로 영향력 있는 지도자로 널리 여겨졌다.[129] 그는 1950년대 초부터 1960년대 초까지 이 단체의 회원 수가 급증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산에 따르면 약 1,200명에서 5만 명에서 10만 명 사이로 증가했으며, 최대 2만 5천 명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130]
그는 복서 무하마드 알리에게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가입하도록 영감을 주었고,[133] 두 사람은 가까워졌다.[134]
2. 4. 3. 존슨 힌튼 사건
1957년 존슨 힌튼 사건이 일어나면서 맬컴 엑스는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497] 4월 26일 뉴욕에서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 셋이 길을 지나다, 경찰 두명이 흑인 한 명을 야경봉으로 구타하는 것을 보았다.[497]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들은 “여기가 앨리바마나 조지아인줄 알아? 여긴 뉴욕이라고!”하고 외쳤다.[498] 그러자 경찰 한 명이 회원 가운데 하나였던 존슨 힌튼을 구타하였다. 존슨 힌튼은 경찰의 폭행으로 두부 열상, 경막하출혈, 뇌진탕 등의 피해를 입었다. 경찰은 흑인 네 명을 모두 경찰서로 끌고갔다.[497]이 사건을 목격한 한 여성이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운영하는 식당으로 달려가 소식을 전했고[497], 4시간이 지나 맬컴 엑스와 몇 명의 회원들이 경찰서로 찾아가 힌튼의 면회를 요청하였다. 경찰서장은 무슬림은 이곳에 올 수 없다며 거절했지만, 경찰서가 5백명이 넘는 군중으로 둘러쌓이자 맬컴의 면회를 허락하였다.[499] 맬컴은 힐튼과 짧게 대화한 후 구급차를 불러 힐튼을 할렘 병원으로 옮겼다.[500]
힐튼은 경찰이 지켜보는 앞에서 치료를 받은 후 다시 경찰서에 구금되었다.[497] 맬컴은 두어명의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과 함께 보석 보증인을 자청하고 석방을 요구하였지만, 경찰서는 체포 당일에는 보석을 허가할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하였다. 이 때 경찰서 주변엔 4천여명의 사람들이 모여있었다. 맬컴은 더 이상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보고 경찰서 밖으로 나와 사람들에게 그만 떠나라고 손짓을 하였다.[500] 맬컴이 손짓을 한 뒤 수 분 안에 모였던 모든 사람들이 조용히 자리를 떠났다. 네이션 오브 이슬람 회원들이 떠난 뒤 경찰관 한 명은 《뉴욕 암스테르담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처럼 영향력을 갖는 사람은 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501]
사건이 있은 다음 달부터 뉴욕 경찰국의 특별수사국은 맬컴 엑스를 사찰하기 시작하였다. 뉴욕 경찰국장은 각 경찰서에 맬컴 엑스가 출소후 그때까지 살았던 일거수 일투족을 모두 조사하여 보고하라고 지시하였다.[502] 10월 대배심은 힐튼을 폭행한 경찰에 대한 기소를 기각하였고, 맬컴 엑스는 경찰위원회에 이 결정을 비난하는 편지를 보냈다. 한편, 뉴욕 경찰국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위장 잠복 요원을 투입하였다.[503]
2. 4. 4. 결혼
1955년 베티 센더스는 맬컴 엑스의 강연을 듣고 매우 감동하였고, 강연이 끝난 뒤 저녁식사를 함께 하였다. 이후 1956년 내내 베티 센더즈는 뉴욕 제7 사원에서 맬컴 엑스의 모든 강연에 참석하였다. 베티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가입하면서 자신의 성도 엑스로 바꾸었다.[504]맬컴 엑스와 베티 엑스는 별도의 사적인 만남을 갖지는 않았지만, 그들 나름의 방식의 “데이트”를 가졌다. 맬컴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회원들과 박물관이나 도서관에 갈때면 베티를 꼭 초대하여 함께하였다.[505] 1958년 1월 12일 맬컴 엑스는 베티 엑스에게 청혼하였고, 이틀 뒤인 14일 미시간주 랜싱에서 결혼하였다.[506] 둘 사이에는 여섯 명의 딸이 있다. 아탈라(Attallah) (1958년생),[74] 쿠빌라(Qubilah) (1960년생),[78] 일리아사(Ilyasah) (1962년생),[79] 가밀라 룸붐바(Gamilah Lumumba) (1964년생),[80][81] 그리고 쌍둥이 딸 말리카(Malikah) (1965-2021)[82]와 말락(Malaak) (1965년생)이다.[83]
2. 4. 5. 사회활동과 텔레비전 출연
1959년 뉴욕 텔레비전 방송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대한 다큐멘터리 《더 헤이트 댓 헤이트 프로듀스트/The Hate That Hate Produced영어(증오가 만든 증오)》를 방영하였다. 맬컴 엑스 역시 이 프로그램에 출연하였고 자신이 “화이트 아메리카”라 부른 백인 사회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방송과 언론은 사건이 있을 때마다 맬컴의 의견을 요청해왔다.[507]1960년 11월 피델 카스트로가 국제 연합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뉴욕에 왔다. 카스트로는 뉴욕 채류 기간 동안 할렘에 있는 테레사 호텔에 머물렀고, 맬컴은 할렘 흑인들을 모아 환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카스트로를 만났다.[508] 맬컴 엑스는 카스트로에게 감명을 받아 개인적인 만남을 요청하였다. 카스트로와 맬컴은 두어 시간의 대화를 나눴는데, 대화가 끝난 후 카스트로는 맬컴을 쿠바로 초청하였다.[509] 국제 연합 총회가 열리는 동안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기니의 아메드 세쿠 투레, 잠비아의 케네스 카운다와 같은 아프리카 지역 여러 나라의 국가 원수들 역시 맬컴 엑스를 자국으로 초청하였다.[510]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들어간 1952년부터 탈퇴한 1964년까지 변함없이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믿음을 설파하였다. 그는 흑인이야말로 최초의 인류를 계승한 적자라고 주장하였고,[511] 백인은 "악마"라고 비난하였으며,[512] 백인 우월주의에 맞서 흑인 우월주의를 주장하였다.[511] 미국의 흑인 인권 운동이 인종주의 자체를 부정하였던 것에 비해, 맬컴 엑스는 흑인 분리주의를 지지하였다. 맬컴 엑스는 미국에 흑인 만이 사는 나라를 세우자고 하였다.[513] 맬컴 엑스는 만약 미국에 흑인의 나라를 세울 수 없다면 아프리카로 돌아가자고 주장하였다.[514] 또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이 주도하던 흑인 인권 운동이 권리 획득을 위한 활동에서 비폭력을 강조한 반면, 맬컴 엑스는 흑인들이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서 폭력을 행사하는 것은 정당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515] 미국의 북부와 서부에 살던 흑인들 다수는 맬컴 엑스의 이러한 주장을 지지하였다. 그들은 자유와 평등, 정의, 그리고 흑인에 대한 존중이 실현되는 것을 마냥 기다릴 수만은 없다고 생각하였다.[516] 많은 흑인들은 흑인 인권 운동의 활동가들보다 맬컴 엑스가 자신들의 불만을 정확히 대변하고 있다고 느꼈다.[517]
1950년대 후반 무렵, 말콤 X는 말콤 샤바즈(Malcolm Shabazz) 또는 엘-하지 말릭 엘-샤바즈(el-Hajj Malik el-Shabazz, "순례자 말콤 족장")라는 새로운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지만,[93][94][95] 여전히 말콤 X로 널리 알려져 있었다.[96] 그의 시사 및 사건에 대한 논평은 인쇄 매체와 라디오, 텔레비전을 통해 널리 보도되었다.[97]
1960년 9월, 뉴욕시에서 열린 유엔총회에서 말콤 X는 여러 아프리카 국가의 공식 행사에 초청받았다. 그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기니의 아메드 세쿠 투레, 그리고 잠비아 아프리카 민족 의회의 케네스 카운다를 만났다.[98] 피델 카스트로 또한 총회에 참석했고, 말콤 X는 할렘 지역 지도자들의 환영 위원회의 일원으로 그와 공개적으로 만났다.[99] 카스트로는 말콤 X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비공개 회의를 제안했고, 두 시간 동안 이야기를 나눈 후 카스트로는 말콤 X를 쿠바에 초청했다.[100]
1964년 3월 26일, 말콤 X는 킹 목사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만났다. 이는 계획된 만남이 아니었고, 그날 두 사람이 우연히 민권법에 관한 논의를 듣기 위해 미국 국회 의사당을 방문했기에 성사된 것이며, 대화 또한 인사만 나누는 짧은 시간에 끝났다.[435]
2. 4. 6.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지도자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이인자로 불렸다.[518]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500여명의 소집단에서 2만 5천명의 회원이 가입한 대중 단체로 만드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519]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회원 수는 출처에 따라 적게는 15,000명에서 많게는 75,000명으로 기록되어 있다.[520][521] 맬컴 엑스의 권유로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가입한 회원 가운데는 훗날 무하마드 알리로 이름을 바꾼 권투선수 캐시어스 클레이도 있었다.[522] 무하마드 알리는 맬컴 엑스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탈퇴하고 수니파 이슬람에 귀의하자 맬컴 엑스를 따라 수니파가 되었다.[523]맬컴 엑스의 주장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백인들뿐만 아니라 절대다수의 흑인 역시 반대하였다. 그들은 맬컴 엑스가 흑인 우월주의를 내세워 인종 차별을 정당화하고, 자기 방어권을 앞세워 폭력을 인정한다고 비판하였다.[524] 한편, 맬컴 엑스 역시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등이 이끄는 흑인 민권 운동에 대해 "얼간이들"이라는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525] 1963년 8월 28일 워싱턴 D.C.에서 있었던 직업과 자유를 위한 워싱턴 행진에 대해, 맬컴 엑스는 "워싱턴 광대짓"이라고 비난하였고, "살아 있던 동안 한 번도 우리 같은 흑인을 좋아해 본 적도 없는 죽은 지 백년도 더 지난 대통령의 동상 앞에서 백인들에게 쫓겨다니는 짓"이라고 평가하였다.[526]
2. 4. 7. 네이션 오브 이슬람 탈퇴
1964년 3월 26일]]1963년 12월 1일 맬컴 엑스는 존 F. 케네디 암살과 관련한 논평을 부탁받은 자리에서 "닭이 자신의 횃대에 돌아온 것과 같은 일"(chickens coming home to roost영어), 즉 사필귀정이라고 답했다. 맬컴은 덧붙여 "닭이 횃대에 돌아온 일로 슬퍼할 수는 없지 않나. 이런 일은 언제나 즐겁다"고 말했다.[527][144] 이 발언은 광범위한 공분을 불러일으켰다.[145] 뉴욕 타임스에 따르면, 맬컴 엑스는 파트리스 루뭄바, 메드가 에버스, 버밍햄 교회에서 폭탄 테러를 당한 흑인 소녀들의 살해 사건을 언급하며, 이것들이 "닭이 횃대에 돌아오는" 다른 사례라고 말했다.[144] 케네디 가족에게 애도 메시지를 보냈던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공개적으로 맬컴 엑스를 비난했다.[145] 맬컴에 대한 비난이 커지자 맬컴은 케네디에 대한 발언을 한 지 90일 만에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대변인직을 그만두게 되었다.[528][529]
1964년 3월 8일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 탈퇴를 공표하였다.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교조주의에 빠져 더 이상 어쩔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탈퇴 이유를 밝혔고, 자신이 흑인 민족주의 활동가로 돌아간다고 선언하였다. 또한, 맬컴 엑스는 자신이 예전부터 다른 흑인 인권 운동가들과 함께 활동하고 싶었지만 일라이저 무하마드가 그것을 막았다고 말했다.[530][147]
맬컴 엑스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탈퇴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일라이저 무하마드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교리를 어기고 젊은 비서와 혼외 관계를 가졌다는 소문이었다. 맬컴은 처음엔 그런 소문을 무시했지만 일라이저 무하마드의 아들인 와리스 딘 모하메드가 해당 여성을 고소하자 실제 그런 일이 있었다고 믿게 되었다. 무함마드는 1963년에 이 소문을 확인했으며, 성경의 예언자들이 세운 선례를 언급하며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려 했다.[531][142] 1964년부터 1965년 사이에 진행된 일련의 전국 TV 인터뷰에서 말콤 X는 엘라이자 무함마드가 여러 건의 아동 강간을 인정했다는 사실을 증언했다.[143] 맬컴 엑스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떠나게 된 다른 요인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 내에 맬컴 엑스를 반대하는 세력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시카고를 중심으로한 맬컴 반대 세력은 맬컴이 수장인 일라이저 무하마드를 재치고 네이션 오브 이슬람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불만을 갖고 있었다.[532]
네이션 오브 이슬람과 결별한 맬컴 엑스는 새로운 이슬람 종교단체인 무슬림 모스크 인코퍼레이션[533][534][149][150]과 범아프리카주의 운동 단체인 아프로 아메리칸 연대 기구를 창립하였다.[535][536][151][152] 1964년 3월 26일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맬컴 엑스는 워싱턴 D.C.에서 열린 미국 상원에 시민권리법의 제정을 촉구하기 위한 행사에서 만났다. 이 둘은 이 때 딱 한 번 만났을 뿐이었고, 그 뒤로도 만난 적이 없지만, 많은 사진 기자들이 둘의 만남을 촬영하여 보도하였다.[537][538][148]
네이션 오브 이슬람과 결별한 맬컴 엑스는 수니파 이슬람에 귀의하고, 무슬림의 의무 가운데 하나인 메카 순례를 결심하였다.[539][157][158]
2. 5. 생애 후반
1957년, 네이션 오브 이슬람(NOI)의 한 사람이 경찰관에게 폭행을 당해 체포되었다. 교단은 이에 항의했고, 말콤과 FOI(신자 중 경호 등을 담당하는 부대) 멤버들을 중심으로 한 군중이 유치장 앞에 모여 동료를 병원으로 보낼 것을 요구했다. 이 요구가 받아들여짐으로써, NOI와 말콤은 일약 유명해졌다. 또한 말콤은 샘 쿡과 무하마드 알리, 빌리 홀리데이 등과 친분이 있었고, 라이오넬 햄프턴 등의 재즈를 보러 가는 등 문화적인 면도 강했다.1962년, 일라이자 무하마드가 십대 소녀에게서 아이를 낳았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NOI에 실망한 말콤은 그의 행위를 고발했다. 그 행위는 NOI에서 자신의 입지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 되었다. 1963년2월에는 NOI가 말콤 암살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리고 NOI를 탈퇴한 말콤이 1964년3월에 무슬림 모스크 잉크를 조직하게 되면서[418] 말콤과 NOI의 긴장은 더욱 강해졌다.
NOI를 탈퇴한 지 몇 주 후, 그를 방문한 몇 명의 이슬람교도의 권유에 따라 말콤은 수니파로 개종했다.[419][420] 이듬해 1964년 4월에는 아프리카·중동에 가서 메카 순례 성취의 의미를 담아 엘 하지 말릭 엘-샤버즈로 정식 개명했다. 또 거기서, 백인이면서도 흑인들을 피부색으로 판단하지 않는 아랍인에게 감명을 받고, 미국에서의 "백인"은 피부색보다는 흑인을 대상으로 했을 때의 태도·행동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얻게 되었다. 또 전 세계에서 모인 모든 피부색의 이슬람교도가 같은 의식에 참여하는 광경에도 감명을 받았다.[421] 특히 지다에서 만난 전 아랍연맹 초대 사무총장인 박사의 영향으로 정통파 이슬람교에 눈뜨게 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파이살 왕자로부터 국빈으로 대접받은 말콤[422]은 순례 의식을 마친 후 파이살 왕자와 함께 현지 이슬람교도들의 환호에 응했다.[423]
게다가 말콤은 새로 설립한 의 지도자로서 아프리카 통일 기구의 회의에 참석하여 범아프리카주의 지도자들과 친목을 다졌고,[424]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와 가나의 크와메 은크루마 등에 초청되어 아프리카 여러 나라를 방문했다.[425]
그때까지 NOI의 강한 영향을 받은 흑인 우월주의자였던 말콤은 이 아프리카·중동 방문을 통해 미국의 흑인 문제는 시민권 문제에 그치지 않는 국제적인 문제라는 시각을 갖게 되고, 흑인은 제3세계와 연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다.[426]
2. 5. 1. 이슬람 성지 여행
맬컴 엑스는 1964년 4월 13일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에서 비행기를 타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지다로 향했다. 맬컴 엑스는 4월 19일까지 메카의 카바 성소를 순례하는 하즈를 마쳤다. 맬컴 엑스는 후일 자서전에서 메카에 모인 수 많은 사람들이 인종을 가리지 않고 평등하게 무슬림으로서 순례하는 것을 보고 크나큰 감명을 받았다고 기록하였다.[540]이후 그는 인종 차별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그의 영향으로 흑인 우월주의자가 된 젊은이들은 그가 백인 우월주의에 굴복했다며 비판을 가하였다. 맬컴 엑스는 메카 순례를 마치고 1964년 대부분의 기간 동안 아프리카와 아라비아, 영국, 프랑스 등지를 비행기와 배편으로 여행하였다.
1964년 4월, 이복 누이 엘라 리틀-콜린스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말콤 엑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제다로 향하는 비행기에 올랐다. 이는 모든 능력 있는 무슬림에게 의무적인 메카 순례, 즉 하즈의 시작이었다. 미국 시민권과 아랍어 구사 능력 부족으로 인해 그의 무슬림 신분이 의심받으면서 제다에서 발이 묶였다.[159][160]
그는 비자 승인과 함께 압둘 라흐만 하산 아잠의 저서 『무함마드의 영원한 메시지』를 받았고, 저자에게 연락했다. 아잠의 아들이 그의 석방을 주선하고 개인 호텔 스위트룸을 빌려주었다. 다음날 아침 말콤 엑스는 파이살 왕자가 그를 국가 귀빈으로 지정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161] 며칠 후, 하즈 의식을 마친 말콤 엑스는 왕자를 알현했다.[162]
말콤 엑스는 나중에 "파란 눈의 금발부터 흑인 아프리카인까지" 모든 피부색의 무슬림들이 평등하게 교류하는 것을 보면서 이슬람이 인종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말했다.[163]
2. 5. 2. 미국에 돌아와서
여행에서 돌아온 맬컴 엑스는 자신이 세운 무슬림 모스크 인코퍼레이션과 아프로 아메리칸 연대 회의를 통해서 자신의 주장을 계속해 나갔다. 맬컴 엑스는 여러 대학에서 강의 요청이 쏟아지는 유명인사였으며[541][542], 미국 사회노동당에서 연설을 하기도 하였다.[543]맬컴 엑스와 네이션 오브 이슬람 사이에 긴장이 고조되기 시작하였다. 1964년 2월, 한 때 맬컴 엑스가 지도하였던 네이션 오브 이슬람 제7 사원의 준군사조직 프루이트 오브 이슬람(Fruit of Islam영어, 이슬람의 열매)는 맬컴 엑스의 차량를 폭파시키기도 하였다.[544] 주로 흑인 사회를 다루는 시카고의 월간 잡지 에버니(Ebony영어, 흑단나무)는 1964년 9월호에 맬컴 엑스가 자신의 가족들을 보호하기 위해 M1 카빈을 들고 창문에 기댄 모습이 담긴 사진을 개재하였다.[545]

맬컴 엑스는 흑인 이슬람교를 떠난 후 종교 단체인 무슬림 모스크 사(Muslim Mosque, Inc.)(MMI)[149][150]와 범아프리카주의(Pan-Africanism)를 주창한 세속 단체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연합(Organization of Afro-American Unity)(OAAU)를 설립했다.[151][152] 1964년 3월 26일, 워싱턴 D.C.에서 상원의 시민권 법안에 대한 논의에 참석한 자리에서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만났다. 단지 사진 촬영을 위한 짧은 만남이었다. 미국 국회 의사당에서 이루어진 이 만남은 사진 촬영만으로 끝났다.
4월, 말콤 X는 "투표 또는 총탄"이라는 제목의 연설을 통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현명하게 투표권을 행사할 것을 조언했지만, 정부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완전한 평등을 계속해서 막는다면 무기를 들고 싸워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155][156]
미국으로 돌아온 후 말콤 X는 다양한 청중 앞에서 연설했다. 그는 MMI와 OAAU가 주최하는 회의에서 정기적으로 연설했으며, 대학 캠퍼스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연사 중 한 명이었다.[190] 그는 또한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공개 회의에서 연설하며, 그들의 밀리턴트 노동 포럼에서 연설하기도 했다.[192]
2. 5. 3. 네이션 오브 이슬람과의 갈등
1964년 내내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과의 갈등이 심화되면서 반복적으로 협박을 받았다.[194]2월, 7번 사원의 지도자는 맬컴 엑스의 차량 폭파를 지시했다.[195] 3월, 무함마드는 보스턴의 목사 루이스 X(후에 루이스 퍼라칸으로 알려짐)에게 "말콤과 같은 위선자들은 목이 잘려야 한다"고 말했다.[196] 4월 10일자 「무함마드 스피크스」에는 맬컴 X의 잘린 머리가 튀어 오르는 만화가 실렸다.[197][198]
6월 8일, FBI 감시는 베티 샤바즈에게 남편이 "사실상 죽은 목숨"이라는 전화 통화를 기록했다.[199] 4일 후, FBI 정보원은 "맬컴 X가 제거될 것이다"라는 정보를 입수했다.[200] 같은 달,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뉴욕 퀸즈 이스트 엘름허스트에 있는 맬컴 엑스의 주택을 되찾기 위해 소송을 제기했다. 그의 가족은 퇴거 명령을 받았지만,[201] 1965년 2월 14일—퇴거 연기 심리 전날 밤—집은 화재로 파괴되었다.[202]
7월 9일, 무함마드의 보좌관 존 알리(FBI 비밀 요원으로 의심됨)[203]는 맬컴 엑스를 언급하며 "존경하는 엘라이자 무함마드에 반대하는 사람은 누구든 자신의 생명을 위험에 빠뜨린다"고 말했다.[204] 12월 4일자 「무함마드 스피크스」에서 루이스 X는 "말콤과 같은 사람은 죽어 마땅하다"고 썼다.[205]

1964년 9월호 「Ebony」는 맬컴 엑스가 창밖을 내다보며 M1 카빈 소총을 들고 있는 사진을 게재하여 이러한 위협에 대한 그의 저항을 보여주었다.[206][207]
2. 5. 4. 죽음
1965년 2월 21일 맬컴 엑스는 뉴욕 맨해튼의 오더번 볼룸에서 아프로 아메리칸 연대 기구와 관련한 연설을 준비하고 있었다. 오더번 볼룸에는 400여 명의 청중이 있었다.[546] 이 때, 한 쪽에서 "검둥이! 내 주머니에서 손 빼!"("Nigger! Get your hand outta my pocket!")하는 고함 소리가 들렸다.[547][548] 맬컴 엑스와 그를 보호하고 있던 경호원들은 재빨리 몸을 피했으나, 맬컴 앞에 나타난 암살자는 단신 산탄총으로 맬컴의 가슴을 쏘았다.[549] 맬컴이 쓰러지자 두 명의 암살자가 더 나타나 반자동 권총으로 맬컴에게 16 발을 쏘았다.[549] 맬컴 엑스는 컬럼비아 장로교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오후 3시 30분 사망하였다.[549] 검시 보고서에는 맬컴 엑스가 가슴, 왼쪽 어깨, 양 팔과 양 다리에 21발의 총상을 입었으며, 이 가운데 가슴을 관통한 열 발의 총상이 치명상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550]총을 쏜 사람들 가운데 토머스 헤이건(탈매지 헤이어)은 그 자리에서 군중들에게 잡혔고,[551] 나머지 두 사람, 노먼 3X 버틀러(무하마드 아부둘 아지즈)와 토머스 15X 존슨(칼릴 이슬람) 역시 목격자의 증언을 토대로 체포되었다. 이들은 모두 네이션 오브 이슬람 소속이었다.[552] 나중에 잡힌 두 사람은 자신들이 쏜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토머스 헤이건은 나중에 잡힌 두 사람이 총을 쏜 것이 아니지만, 다른 암살자들에 대해 아는 바가 없다고 증언하였다.[553] 세 사람 모두 유죄 판결을 받았다.[554]
노먼 3X 버틀러는 범행을 부인하다가 재판 진행 중 범행을 인정했다. 나중에 무하마드 아부둘 아지즈로 이름을 바꾼 그는 1985년 가석방되어 1998년 제7사원의 수장이 되었다. 가석방 이후 무자히 할림은 자신이 맬컴 엑스를 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다.[555] 한편 칼릴 이슬람으로 이름을 바꾼 존슨은 1987년에 석방됐다. 카릴은 수감 중에 네이션 오브 이슬람을 탈퇴하고 수니파 무슬림이 되었는데, 그 역시 2009년 사망할 때까지 자신의 무죄를 주장해왔다.[556] 무자히 할림으로 이름을 바꾼[557] 토머스 헤이건은 2010년에 가석방되었다.[558]
2021년, 무하마드 압둘 아지즈와 칼릴 이슬람(이전 이름 노먼 3X 버틀러와 토마스 15X 존슨)은 재판 중 FBI와 뉴욕 경찰이 중요 증거를 은폐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검토 이후 살인 유죄 판결에서 벗어났다.[231]
며칠 만에 암살 배후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논쟁이 공개적으로 벌어졌다. 인종평등회의(Congress of Racial Equality) 지도자 제임스 파머는 암살 배후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아닌 현지 마약상들이라고 발표했다.[255] 다른 이들은 경찰 보호의 부재, 암살범들이 오듀본 댄스 홀에 쉽게 진입한 점, 그리고 경찰이 범죄 현장을 보존하지 못한 점을 들어 뉴욕시 경찰국(NYPD), 연방수사국(FBI), 중앙정보국(CIA)을 비난했다.[256][257]
샤바즈 가족은 맬컴 엑스 암살에 루이스 퍼라칸이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제기한 사람들 중 하나이다.[261] 1993년 연설에서 루이스 퍼라칸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이 책임질 가능성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266][267]
암살 배후에 누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270]
2. 6. 사후
맬컴 엑스는 1965년 2월 27일 할렘의 흑인 기독교 교회에서 장례식이 거행되었으며, 하츠데일의 페른클리프 공동묘지에 안장되었다.[562][237] 장례식에는 존 루이스, 베이어드 러스틴과 같은 흑인 인권 운동 활동가들이 참석하였다.[561][235][238] 배우이자 운동가인 오시 데이비스는 고별사를 통해 맬컴 엑스를 "우리의 빛나는 흑인 왕자... 우리를 너무나 사랑했기에 죽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던" 사람으로 묘사했다.[239]장례식은 할렘에 있는 1천 석 규모의 하나님의 교회 믿음의 성전 밖에 설치된 확성기를 통해 생중계되었고,[235][236] 현지 방송국에서도 생방송으로 중계했다.[237] 2월 23일부터 26일까지 유니티 장례식장에서 열린 조문 기간에는 약 1만 4천 명에서 3만 명의 조문객이 참석했다.[234][559] 매장은 친구들이 삽을 들고 직접 마무리했다.[240] 배우 루비 디와 후아니타 포이티어(시드니 포이티어의 아내)는 그의 가족을 위한 집과 자녀들의 교육 자금을 모으기 위해 위원회를 설립했다.[241]
3. 사상과 신념
맬컴 엑스는 자서전 이외에는 아무런 책도 출판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의 철학은 1952년부터 1965년 사이에 그가 했던 수많은 인터뷰와 연설을 통해 살펴볼 수 밖에 없다.[563] 특히 맬컴 엑스가 말년에 한 연설은 대부분 녹음되어 있고, 사후에 출판되었다.[564]
=== 네이션 오브 이슬람 시기 ===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 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영예로운 일라이저 무하마드는 우리에게 이렇게 가르치십니다"라는 말로 연설을 시작하곤 했다.[565] 이 시기 맬컴 엑스의 연설은 자신의 견해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교리를 구분하기 어려웠으며,[566][567] 스스로를 일라이저 무하마드의 복화술 인형으로 비유하기도 하였다.[565]
맬컴 엑스는 흑인이 인류의 기원이며,[511] 백인은 6천 6백년 전 사악한 과학자 "야곱"이 만들어낸 악마 같은 인종이라고 주장했다.[512]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흑인이 우월한 인종이며 백인의 멸종은 시간문제라고 믿었다.[568] 그는 역사가 백인이 악마임을 증명한다고 말했다.[286] 그는 "강간하고, 약탈하고, 노예로 삼고, 훔치고, 사람들에게 지옥의 폭탄을 떨어뜨리는 자... 이런 짓을 하는 자는 악마밖에 안 된다"라고 말했다.[287]
맬컴 엑스는 미국 민권 운동의 인종 통합 노선에 반대하며 인종 분리와 흑인 국가 건설을 주장했다.[513] 미국이 흑인 국가를 거부하는 이유는 흑인들의 값싼 노동력이 사라지기 때문이며, 흑인들은 여전히 노예로 살고 있다고 말했다.[569] 그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바보"라고 비난하고 다른 시민권 지도자들을 백인 기득권층의 "꼭두각시"라고 지칭하며 모든 종류의 인종 통합에 강력하게 반대했다.[109] 1963년 워싱턴 행진을 "워싱턴의 희극"이라고 비판했다.[112]
미국 민권 운동이 인종차별에 맞서 싸우는 동안, 맬컴 엑스는 백인과의 완전한 분리를 주장했다.[114]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아프리카로 돌아가야 하며, 미국 내 흑인을 위한 별도의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5] 그는 시민권 운동의 비폭력 전략을 거부하고 흑인은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자신을 방어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116]
=== 독자적 견해 ===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 탈퇴 후, 여러 나라를 여행하면서 생각이 크게 바뀌었다. 그는 민권 운동가와 연대하기를 희망하였으며,[530], 흑인 문제를 인종 문제가 아닌 인권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297] 2200만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공통된 목표는 인간으로서 존중받는 것이며, 시민권 획득에 앞서 인권 회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7]
1959년, 맬컴 엑스는 엘라이자 무함마드의 대표로 알아크사 모스크를 방문하여 종교 지도자들을 만났다.[294] 1964년에는 가자 지구의 칸 유니스 난민촌을 방문, 칸 유니스 학살 생존자인 팔레스타인 시인 하룬 하심 라시드를 만나기도 했다.[294]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회원들을 만나 "시온주의 논리(Zionist Logic)"라는 수필을 이집트 가제트에 기고, 시오니즘을 제국주의적 사업이라고 비판했다.[294][295] 그는 "아랍 팔레스타인의 현재 점령은 역사적으로 타당하거나 합법적인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유럽 제국주의자들이 아랍 세계를 분열시키고 아프리카 지도자들 사이에 불화를 일으키기 위해 이스라엘을 배치했다고 비판했다.[295]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맬컴 엑스는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언급하며, 1965년 디트로이트 연설에서 "자유로운 팔레스타인"을 지지했다.[296] 그는 시민권 운동을 인권 문제로 확장하여 국제적인 문제로 만들고, 유엔에 문제를 제기하여 세계 신흥 국가들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8]
맬컴 엑스는 미국 정부가 흑인을 보호할 의지나 능력이 없다면 스스로를 보호해야 하며, "필요한 모든 수단"을 통해 자유, 정의, 평등을 확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299]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평등권 투쟁과 제3세계 국가들의 독립 투쟁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이 있다고 강조하며, 흑인이 전 세계적으로 다수임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300][301]
사회주의 노동자당 주최 포럼에서 맬컴 엑스는 자본주의를 비판했다.[192] 어떤 시스템을 원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확답을 피했지만, 제3세계 신흥 독립국들이 사회주의로 향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언급했다.[302] 사회주의에 대한 질문에 "흑인에게 좋은가?"라고 반문한 뒤, 긍정적인 답변을 듣자 찬성한다고 답했다.[302][303]
맬컴 엑스는 흑인과 백인의 분리를 더는 요구하지 않았지만,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의 자결을 의미하는 흑인 민족주의를 옹호했다.[304] 그러나 북아프리카 혁명가들을 만난 후 흑인 민족주의에 대한 지지를 재고하기 시작했다.[305]
하지 이후, 맬컴 엑스는 백인과 인종차별에 대한 견해가 바뀌었음을 밝혔다. 메카에서 온 편지에서 그는 백인들과의 경험이 인종에 대한 생각을 재정비하고 이전 결론을 버리도록 했다고 썼다.[306] 암살 직전, 그는 나세르, 벤 벨라, 느크루마의 영향을 받아 인종차별의 위험성을 깨달았으며, 과거 흑인 무슬림으로서 후회되는 일이 많았다고 고백했다.[307]
3. 1. 네이션 오브 이슬람 시기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 대변인으로 활동하면서 "영예로운 일라이저 무하마드는 우리에게 이렇게 가르치십니다"라는 말로 연설을 시작하곤 했다.[565] 이 시기 맬컴 엑스의 연설은 자신의 견해와 네이션 오브 이슬람의 교리를 구분하기 어려웠으며,[566][567] 스스로를 일라이저 무하마드의 복화술 인형으로 비유하기도 하였다.[565]맬컴 엑스는 흑인이 인류의 기원이며,[511] 백인은 6천 6백년 전 사악한 과학자 "야곱"이 만들어낸 악마 같은 인종이라고 주장했다.[512]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흑인이 우월한 인종이며 백인의 멸종은 시간문제라고 믿었다.[568] 그는 역사가 백인이 악마임을 증명한다고 말했다.[286] 그는 "강간하고, 약탈하고, 노예로 삼고, 훔치고, 사람들에게 지옥의 폭탄을 떨어뜨리는 자... 이런 짓을 하는 자는 악마밖에 안 된다"라고 말했다.[287]
맬컴 엑스는 미국 민권 운동의 인종 통합 노선에 반대하며 인종 분리와 흑인 국가 건설을 주장했다.[513] 미국이 흑인 국가를 거부하는 이유는 흑인들의 값싼 노동력이 사라지기 때문이며, 흑인들은 여전히 노예로 살고 있다고 말했다.[569] 그는 마틴 루터 킹 주니어를 "바보"라고 비난하고 다른 시민권 지도자들을 백인 기득권층의 "꼭두각시"라고 지칭하며 모든 종류의 인종 통합에 강력하게 반대했다.[109] 1963년 워싱턴 행진을 "워싱턴의 희극"이라고 비판했다.[112]
미국 민권 운동이 인종차별에 맞서 싸우는 동안, 맬컴 엑스는 백인과의 완전한 분리를 주장했다.[114]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아프리카로 돌아가야 하며, 미국 내 흑인을 위한 별도의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5] 그는 시민권 운동의 비폭력 전략을 거부하고 흑인은 "어떤 수단을 써서라도" 자신을 방어하고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116]
3. 2. 독자적 견해
맬컴 엑스는 네이션 오브 이슬람 탈퇴 후, 여러 나라를 여행하면서 생각이 크게 바뀌었다. 그는 민권 운동가와 연대하기를 희망하였으며[530], 흑인 문제를 인종 문제가 아닌 인권 문제로 인식하기 시작했다.[297] 2200만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공통된 목표는 인간으로서 존중받는 것이며, 시민권 획득에 앞서 인권 회복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7]1959년, 맬컴 엑스는 엘라이자 무함마드의 대표로 알아크사 모스크를 방문하여 종교 지도자들을 만났다.[294] 1964년에는 가자 지구의 칸 유니스 난민촌을 방문, 칸 유니스 학살 생존자인 팔레스타인 시인 하룬 하심 라시드를 만나기도 했다.[294] 이후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회원들을 만나 "시온주의 논리(Zionist Logic)"라는 수필을 이집트 가제트에 기고, 시오니즘을 제국주의적 사업이라고 비판했다.[294][295] 그는 "아랍 팔레스타인의 현재 점령은 역사적으로 타당하거나 합법적인 근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유럽 제국주의자들이 아랍 세계를 분열시키고 아프리카 지도자들 사이에 불화를 일으키기 위해 이스라엘을 배치했다고 비판했다.[295]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맬컴 엑스는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지속적으로 언급하며, 1965년 디트로이트 연설에서 "자유로운 팔레스타인"을 지지했다.[296] 그는 시민권 운동을 인권 문제로 확장하여 국제적인 문제로 만들고, 유엔에 문제를 제기하여 세계 신흥 국가들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8]
맬컴 엑스는 미국 정부가 흑인을 보호할 의지나 능력이 없다면 스스로를 보호해야 하며, "필요한 모든 수단"을 통해 자유, 정의, 평등을 확보해야 한다고 역설했다.[299] 그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평등권 투쟁과 제3세계 국가들의 독립 투쟁 사이에 "직접적인 연결"이 있다고 강조하며, 흑인이 전 세계적으로 다수임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300][301]
사회주의 노동자당 주최 포럼에서 맬컴 엑스는 자본주의를 비판했다.[192] 어떤 시스템을 원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확답을 피했지만, 제3세계 신흥 독립국들이 사회주의로 향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라고 언급했다.[302] 사회주의에 대한 질문에 "흑인에게 좋은가?"라고 반문한 뒤, 긍정적인 답변을 듣자 찬성한다고 답했다.[302][303]
맬컴 엑스는 흑인과 백인의 분리를 더는 요구하지 않았지만,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의 자결을 의미하는 흑인 민족주의를 옹호했다.[304] 그러나 북아프리카 혁명가들을 만난 후 흑인 민족주의에 대한 지지를 재고하기 시작했다.[305]
하지 이후, 맬컴 엑스는 백인과 인종차별에 대한 견해가 바뀌었음을 밝혔다. 메카에서 온 편지에서 그는 백인들과의 경험이 인종에 대한 생각을 재정비하고 이전 결론을 버리도록 했다고 썼다.[306] 암살 직전, 그는 나세르, 벤 벨라, 느크루마의 영향을 받아 인종차별의 위험성을 깨달았으며, 과거 흑인 무슬림으로서 후회되는 일이 많았다고 고백했다.[307]
4. 평가와 비판
역사가 로빈 D. G. 켈리(Robin D.G. Kelley)는 맬컴 엑스를 범 아프리카주의자, 흑인 운동의 아버지, 이슬람 지지자, 사회주의자등 여러 소명을 가진 인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마틴 루터 킹 2세나 랠프 애버내시 등 다른 흑인 인권운동가와 비교하여 폭력적이고 과격하다는 비판과, 이슬람 신자라는 점에 반감을 가진 흑인기독교 신자들의 비판도 존재한다.
맬컴 엑스는 역사상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311][312][313] 그는 흑인 미국인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아프리카 유산과의 연결을 회복시킨 공로를 인정받고 있으며,[314] 미국 흑인 사회에 이슬람교가 확산되는 데 큰 역할을 했다.[315][316][317] 특히 미국 북부와 서부 도시에 거주하는 많은 흑인 미국인들은 주류 시민권 운동보다 맬컴 엑스가 불평등에 대한 불만을 더 잘 표현했다고 느꼈다.[118][119] 한 전기 작가는 맬컴 엑스가 그들의 좌절감을 표현함으로써 "백인 미국이 흑인 미국의 정당한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치러야 할 대가를 분명히 했다"고 말한다.[318]
1960년대 후반, 점점 더 급진적인 흑인 운동가들은 흑인 권력 운동[68][319], 흑인 예술 운동[68][320], 그리고 "흑인은 아름답다"라는 슬로건의 광범위한 채택[321]등 그들의 운동을 주로 맬컴 엑스와 그의 가르침에 기반을 두었다. 1963년 맬컴 엑스는 알렉스 헤일리와 협력하여 자서전인 ''말콤 X 자서전''을 집필했으며,[322] 이 책은 암살 후 몇 달 만에 출판되었다.[323][324]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 젊은이들 사이에서 그의 삶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 힙합 그룹 퍼블릭 에너미는 말콤 X를 아이콘으로 삼았고,[325] 그의 이미지는 여러 곳에 등장했다.[326][327] 1992년에는 ''말콤 X''라는 영화가 개봉되었고,[329] 1998년 ''타임''지는 ''말콤 X 자서전''을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논픽션 서적 10권 중 하나로 선정했다.[330]
맬컴 엑스는 여러 허구 인물에게 영감을 주었다. 마블 코믹스 작가 크리스 클레어몬트는 맬컴 엑스가 X-Men의 인물 매그니토에게 영감을 주었고, 마틴 루터 킹은 프로페서 X에게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332][333][334]
5. 출연 작품
- 아이 엠 낫 유어 니그로
- 1972년 다큐멘터리 영화 ''맬컴 X''는 아놀드 펄과 마빈 워스가 ''맬컴 X 자서전''을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 덴젤 워싱턴은 스파이크 리 감독의 1992년 영화 ''맬컴 X''에서 주인공을 연기했다.[376] 로저 에버트와 마틴 스콜세지는 이 영화를 1990년대 최고의 영화 10편 목록에 포함시켰다.[377] 워싱턴은 1981년 오프브로드웨이 연극 ''When the Chickens Came Home to Roost''에서도 맬컴 X 역을 맡았었다.[378]
- 제임스 얼 존스는 1977년 영화 ''최고의 선수''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79]
- 딕 앤서니 윌리엄스는 1978년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킹''[380] 과 1989년 ''아메리칸 플레이하우스''에서 제프 스테트슨의 연극 ''회의'' 공연[381]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
- 알 프리먼 주니어는 1979년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뿌리: 다음 세대''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82]
- 모건 프리먼은 1981년 텔레비전 영화 ''예언자의 죽음''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83]
- 게리 두르단은 2000년 텔레비전 영화 ''세계의 왕''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85]
- 조 모턴은 2000년 텔레비전 영화 ''알리: 미국의 영웅''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86]
- 마리오 반 피블스는 2001년 영화 ''알리''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87]
- 린제이 오웬 피에르는 2013년 텔레비전 영화 ''베티 & 코레타''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88]
- 프랑수아 바티스트는 2013년 초연된 무대극 ''마이애미의 어느 밤''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89]
- 니겔 댓치는 2014년 영화 ''셀마''[390] 과 2019년 텔레비전 시리즈 ''하렘의 대부''[391]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
- 킹즐리 벤-아디르는 동명의 연극을 바탕으로 한 2020년 영화 ''마이애미의 어느 밤''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92]
- 제이슨 앨런 카넬은 2023년 텔레비전 시리즈 ''하렘의 대부'' 시즌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93]
- 아론 피에르는 2024년 텔레비전 시리즈 ''천재'' 시즌에서 맬컴 엑스 역을 연기했다.[394]
- 『말콤 X 암살의 진상/Who Killed Malcolm X?영어』(2020년, 레이첼 드레츠킨, 필 벨터센 감독)
- 『피의 형제들: 말콤 X와 무하마드 알리/Blood Brothers: Malcolm X & Muhammad Ali영어』(2021년, 마커스 A. 클라크 감독)
- 『지니어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말콤 X』(2024년)
- 1986년, 작곡가 앤서니 데이비스의 오페라 ''맬컴 X의 삶과 시대, X''가 뉴욕시티 오페라에서 초연되었다.[374] 2023년에는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로버트 오하라 연출로 공연되었으며, 윌 리버먼이 주연을 맡아 호평을 받았다.[375]
참조
[1]
웹사이트
Malcolm X's Grandson Working on Memoirs in Miami
http://www.sfltimes.[...]
2010-07-00
[2]
서적
The African American Experience: Psychoanalytic Perspectives
Jason Aronson
[3]
논문
[4]
논문
[5]
학술지
The Garveyite Parents of Malcolm X
1989-03-00
[6]
논문
[7]
논문
[8]
논문
[9]
논문
[10]
논문
[11]
논문
[12]
논문
[13]
웹사이트
Malcolm X and Seventh-day Adventism
https://www.blacksda[...]
[14]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뉴스
How Malcolm X's murder rippled through his hometown
https://eu.lansingst[...]
2015-02-21
[18]
논문
[19]
웹사이트
Timeline of Malcolm X's Life
https://www.pbs.org/[...]
PBS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The Meaning and Measure of Malcolm X: Critical Remembrance and Rightful Reading
[27]
웹사이트
Malcolm X's Daughter Disputes Claims in New Bio on Father
https://www.npr.org/[...]
NPR
2011-04-20
[28]
논문
Speculative Nonfiction: Manning Marable's Malcolm X
[29]
학술지
The Sexuality of Malcolm X
http://eprints.notti[...]
2017-08-00
[30]
학술지
Malcolm X, Sexual Hearsay, and Masculine Dissemblance
2013-00-00
[31]
학술지
Roundtable – Manning Marable, Malcolm X: A Life of Reinvention
2013-02-00
[32]
논문
[33]
논문
[34]
문서
[35]
논문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서적
Autobiography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논문
[67]
논문
[68]
논문
[69]
논문
[70]
논문
[71]
논문
[72]
논문
Malcolm X as a Husband and Father
[73]
논문
[74]
논문
[75]
잡지
Yolanda King and Attallah Shabazz: Their Fathers' Daughters
https://www.rollings[...]
2016-06-19
[76]
웹사이트
X Patriot
https://books.google[...]
2016-06-19
[77]
논문
[78]
논문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뉴스
Malikah Shabazz, daughter of Malcolm X, found dead at her home in New York
https://www.washingt[...]
2021-11-24
[83]
논문
[84]
논문
[85]
학술지
Narrating Muslim Masculinities: The Fruit of Islam and the Quest for Black Redemption
2012-09-01
[86]
논문
[87]
논문
[88]
논문
[89]
논문
[90]
논문
[91]
논문
[92]
논문
[93]
웹사이트
Definition of hajj
https://www.dictiona[...]
2023-03-09
[94]
웹사이트
Malcolm X: Why El-Hajj Malik El-Shabazz Matters
https://therevealer.[...]
2023-03-09
[95]
서적
Black Crescent: The Experience and Legacy of African Muslims in the America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6]
논문
[97]
논문
[98]
논문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논문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harvard
[107]
harvard
[108]
harvard
[109]
harvard
[110]
뉴스
The Playboy Interview: Martin Luther King
https://playboysfw.k[...]
1965-01-01
[111]
웹사이트
Famous Martin Luther King quote ripping Malcom X was fake, author discovers
https://www.independ[...]
2023-05-10
[112]
harvard
[113]
웹사이트
Timeline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2005-05-19
[114]
harvard
[115]
harvard
[116]
harvard
[117]
harvard
[118]
harvard
[119]
서적
The 60s Without Ap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20]
harvard
[121]
harvard
[122]
harvard
[123]
harvard
[124]
harvard
[125]
harvard
[126]
harvard
[127]
잡지
Farrakhan's Grand Illusion
https://newrepublic.[...]
2016-05-11
[128]
harvard
[129]
harvard
[130]
harvard
[131]
harvard
[132]
harvard
[133]
harvard
[134]
서적
King of the World: Muhammed Ali and the Rise of an American Hero
Vintage Books
[135]
harvard
[136]
harvard
[137]
harvard
2021-07-01
[138]
harvard
[139]
harvard
[140]
harvard
[141]
논문
[142]
논문
[143]
웹사이트
Malcolm X Exposes Elijah Muhammad
https://www.youtube.[...]
2019-02-02
[144]
뉴스
Malcolm X Scores U.S. and Kennedy
https://www.nytimes.[...]
1963-12-02
[145]
논문
[146]
논문
[147]
뉴스
Malcolm X Splits with Muhammad
https://www.nytimes.[...]
1964-03-09
[148]
뉴스
Martin Luther King Jr. met Malcolm X just once. The photo still haunts us with what was lost.
https://www.washingt[...]
2014-01-18
[149]
논문
[150]
논문
[151]
논문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논문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논문
[161]
논문
[162]
논문
[163]
서적
Autobiography
[164]
논문
[165]
논문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논문
[172]
논문
[173]
논문
[174]
논문
Malcolm X in Europe
[175]
논문
[176]
harvard_reference
[177]
harvard_reference
[178]
웹사이트
1964 Republican Convention: Revolution from the Right
http://www.smithsoni[...]
2008-08-01
[179]
harvard_reference
Malcolm X in Europe
[180]
웹사이트
Malcolm X Oxford Debate
http://www.brotherma[...]
Malcolm X: A Research Site
1964-12-03
[181]
harvard_reference
[182]
harvard_reference
[183]
harvard_reference
[184]
harvard_reference
[185]
harvard_reference
[186]
harvard_reference
[187]
harvard_reference
[188]
웹사이트
Black British History: Remembering Malcolm's Visit to Smethwick
http://www.irr.org.u[...]
Institute of Race Relations
2005-02-10
[189]
뉴스
Britain's Most Racist Election: The Story of Smethwick, 50 Years On
https://www.theguard[...]
2014-10-15
[190]
harvard_reference
[191]
harvard_reference
[192]
harvard_reference
[193]
웹사이트
Malcolm X
http://whospeaks.lib[...]
1964-06-02
[194]
웹사이트
The Malcolm X Project at Columbia University
http://www.columbia.[...]
[195]
harvard_reference
[196]
harvard_reference
[197]
harvard_reference
[198]
웹사이트
On My Own
http://www.columbia.[...]
Nation of Islam
1964-04-10
[199]
harvard_reference
[200]
harvard_reference
[201]
harvard_reference
[202]
harvard_reference
[203]
harvard_reference
[204]
harvard_reference
[205]
harvard_reference
[206]
harvard_reference
[207]
웹사이트
Mystery of Malcolm X
https://books.google[...]
1964-09-01
[208]
뉴스
Google Commemorates a Very Controversial Civil-Rights Figure, Yuri Kochiyama
https://www.washingt[...]
2016-05-19
[209]
harvard_reference
[210]
harvard_reference
[211]
논문
[212]
논문
[213]
논문
[214]
논문
[215]
논문
[216]
뉴스
Police Save Suspect From the Crow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5-02-22
[217]
논문
[218]
뉴스
Malcolm X Jury Finds 3 Guilt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6-03-11
[219]
뉴스
3 Get Life Terms in Malcolm Cas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6-04-15
[220]
논문
[221]
뉴스
Who Really Killed Malcolm X?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2-27
[222]
뉴스
Muslim Man Denies Author's Claim That He Killed Malcolm X
https://www.huffpost[...]
HuffPost
2020-02-27
[223]
서적
We Are Not What We Seem: Black Nationalism and Class Struggle in the American Century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224]
논문
[225]
뉴스
Malcolm X Killer Heads Mosque
http://news.bbc.co.u[...]
BBC News
2014-10-02
[226]
웹사이트
The Man Who Didn't Shoot Malcolm X
http://nymag.com/new[...]
New York
2014-10-02
[227]
논문
[228]
뉴스
Quiet Life of an 'X'-Assassin
https://nypost.com/2[...]
New York Post
2018-06-20
[229]
논문
[230]
논문
[231]
뉴스
2 Men Convicted of Killing Malcolm X Will Be Exonerated Decades Later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1-11-17
[232]
뉴스
Man Exonerated in Malcolm X Murder Sues New York City After Talks Fail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07-15
[233]
서적
The Dead Are Arising: The Life of Malcolm X
Liveright
2020
[234]
논문
[235]
논문
[236]
논문
[237]
뉴스
Harlem Is Quiet as Crowds Watch Malcolm X Rit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5-02-28
[238]
논문
[239]
웹사이트
Malcolm X's Eulogy
http://malcolmx.com/[...]
The Official Website of Malcolm X
2016-08-09
[240]
논문
[241]
논문
[242]
웹사이트
Telegram from Martin Luther King Jr. to Betty al-Shabazz
http://kingencyclope[...]
The Martin Luther King Jr. Research and Education Institute
2018-05-28
[243]
논문
[244]
논문
[245]
논문
[246]
harvard
[247]
뉴스
Malcolm X
https://www.nytimes.[...]
1965-02-22
[248]
잡지
Death and Transfiguration
http://content.time.[...]
1965-03-05
[249]
harvard
[250]
harvard
[251]
뉴스
Malcolm Called a Martyr Abroad
https://www.nytimes.[...]
1965-02-26
[252]
웹사이트
How World Saw Malcolm X's Death
http://fultonhistory[...]
1965-03-13
[253]
harvard
[254]
웹사이트
The Nightmare of Violence
http://fultonhistory[...]
1965-03-13
[255]
harvard
[256]
harvard
[257]
harvard
[258]
문서
The Last Days of Malcolm X
[259]
harvard
[260]
harvard
[261]
harvard
[262]
harvard
[263]
harvard
[264]
harvard
[265]
harvard
[266]
harvard
[267]
뉴스
Brother Minister: The Martyrdom of Malcolm X
https://www.washingt[...]
1995-02-17
[268]
웹사이트
Farrakhan Admission on Malcolm X
http://www.cbsnews.c[...]
CBS News
2000-05-14
[269]
웹사이트
Farrakhan Responds to Media Attacks
http://www.finalcall[...]
2000-05-15
[270]
harvard
[271]
웹사이트
Release Government Files on Malcolm X Assassination
https://www.bostongl[...]
2015-01-10
[272]
뉴스
Kennedy, King, Malcolm X relatives and scholars seek new assassination probes
https://www.washingt[...]
2019-01-25
[273]
웹사이트
Kennedy and King Family Members and Advisors Call for Congress to Reopen Assassination Probes
https://spartacus-ed[...]
Spartacus Educational
2019-01
[274]
뉴스
Malcolm X family says letter shows NYPD and FBI conspired in his murder
http://www.theguardi[...]
2021-02-21
[275]
웹사이트
Daughter of Former NYPD Officer Says Malcolm X Assassination Letter is Fake
https://www.ny1.com/[...]
2021-02-26
[276]
웹사이트
Malcolm X's family plans $100M wrongful death lawsuit against CIA, FBI – National Globalnews.ca
https://globalnews.c[...]
[277]
뉴스
Witness to Malcolm X assassination comes forward with account questioning NYPD response
https://www.nydailyn[...]
2023-07-25
[278]
웹사이트
The daughters of Malcolm X sue the CIA, FBI and NYPD over the civil rights leader's assassination
https://apnews.com/a[...]
2024-11-15
[279]
백과사전
Malcolm X
Basic Civitas Books
[280]
harvard
[281]
웹사이트
God's Judgement of White America
http://www.malcolm-x[...]
2016-04-02
[282]
harvard_reference
[283]
harvard_reference
[284]
harvard_reference
[285]
harvard_reference
[286]
harvard_reference
[287]
harvard_reference
[288]
harvard_reference
[289]
harvard_reference
[290]
harvard_reference
[291]
harvard_reference
[292]
harvard_reference
[293]
harvard_reference
[294]
웹사이트
When Malcolm X visited Gaza in September 1964
https://www.middleea[...]
2024-02-25
[295]
웹사이트
Socialist Viewpoint ... news and analysis for working people
https://www.marxists[...]
2024-02-25
[296]
웹사이트
What did Malcolm X say about Palestine, Gaza and Zionism?
https://www.newarab.[...]
2024-02-21
[297]
간행물
The Negro's Fight
1964-08-25
[298]
harvard_reference
[299]
harvard_reference
[300]
harvard_reference
[301]
harvard_reference
[302]
harvard_reference
[303]
harvard_reference
[304]
harvard_reference
[305]
harvard_reference
[306]
harvard_reference
[307]
문서
Malcolm X: The Minutes of Our Last Meeting
[308]
뉴스
Manning Marable's 'Reinvention' of Malcolm X
https://www.npr.org/[...]
NPR
2011-04-05
[309]
논문
The Sexuality of Malcolm X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2017-08
[310]
뉴스
Malcolm X's Daughter Disputes Claims in New Bio on Father
https://www.npr.org/[...]
NPR
2011-04-20
[311]
서적
100 Greatest African American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Prometheus Books
[312]
서적
Freedom on My Mind: The Columbia Documentary History of the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313]
서적
The Black 100: A Ranking of the Most Influential African-Americans, Past and Present
Citadel Press
[314]
harvard_reference
[315]
서적
The Heart of Islam: Enduring Values for Humanity
HarperCollins
[316]
harvard_reference
[317]
book
The Black Studies Reader
Routledge
[318]
harvard_reference
[319]
harvard_reference
[320]
book
A Nation Within a Nation: Amiri Baraka (LeRoi Jones) & Black Power Politic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321]
harvard_reference
[322]
harvard_reference
[323]
book
Autobiography
[324]
harvard_reference
[325]
harvard_reference
[326]
harvard_reference
[327]
harvard_reference
[328]
book
Malcolm X and The Organization of Afro-American Unity: African American Defense League (A2DL – OAAU)
https://archive.org/[...]
Kindle Books
[329]
harvard_reference
[330]
magazine
Required Reading: Nonfiction Books
http://content.time.[...]
1998-06-08
[331]
book
Conversations with John A. Williams
University Press of Mississippi
[332]
website
Real Life Inspirations Behind Some of the Best Comic Book Villains
http://screenrant.co[...]
2014-03-30
[333]
website
The secret to 'X-Men's' success
http://www.cnn.com/2[...]
2011-06-03
[334]
book
The Ages of the X-Men:Essays on the Children of the Atom in Changing Times
[335]
magazine
The 'Black Panther' Revolution
https://www.rollings[...]
2018-02-18
[336]
news
New Hollywood Podcast: Michael B. Jordan Talks How 'Black Panther' Shifted Hollywood's Idea Of Representation
https://deadline.com[...]
2019-01-09
[337]
website
Empty Lot Holds Dreams for Rowena Moore
http://www.brotherma[...]
1989-03-11
[338]
website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 Nebraska, Douglas County
http://www.nationalr[...]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339]
website
NRHP: Malcolm X House Site
http://www.e-nebrask[...]
Nebraska State Historical Society
[340]
website
Nebraska Historical Marker: Malcolm X
http://www.e-nebrask[...]
Nebraska State Historical Society
[341]
website
Malcolm X House, 1875, Roxbury, MA
https://historicbost[...]
[342]
news
Malcolm X's Early Home in Boston Gets U.S. Historic Designation
https://www.nytimes.[...]
2021-03-04
[343]
website
MALCOLM X HOUSE
https://www.boston.g[...]
[344]
website
50 Years, 12 Students and the Takeover That Changed Everything
https://dailynexus.c[...]
2018-10-18
[345]
website
North Hall Takeover 50 Years Later
https://news.ucsb.ed[...]
The Current
2018-10-09
[346]
website
Malcolm X Homesite
https://www.michmark[...]
Michigan Historical Markers
[347]
book
Inside Charter Schools: The Paradox of Radical Decentralizatio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348]
book
African-American Holidays, Festivals and Celebrations
https://archive.org/[...]
Omnigraphics
[349]
news
Berkeley Honors Controversial Civil Rights Figure
2005-05-20
[350]
harvard_reference
[351]
harvard
[352]
뉴스
'Not Much of a Block,' but It's Named for a King
https://www.nytimes.[...]
2009-01-18
[353]
웹사이트
El Shabazz Playground: NYC Parks
https://www.nycgovpa[...]
New York City Department of Parks and Recreation
[354]
뉴스
Boston residents will get to vote on changing the name of Dudley Square. Here's why.
https://www.boston.c[...]
2019-09-19
[355]
웹사이트
The Big Beat
http://www.texasmont[...]
1997-12-00
[356]
뉴스
Malcolm X, Cesar Chavez Get Nods for Lansing Street, Plaza Names
2010-09-14
[357]
뉴스
Turkey Names Street Leading to U.S. Embassy 'Malcolm X Road'
https://www.bloomber[...]
Bloomberg News
2018-10-14
[358]
뉴스
Turkey renames street of new US Embassy to Malcolm X Avenue
https://www.cnn.com/[...]
2018-10-15
[359]
웹사이트
Turkey: New US Embassy street to be named 'Malcolm X'
https://www.aa.com.t[...]
Anadolu Agency
2018-10-13
[360]
뉴스
Newark Students, Both Good and Bad, Make Do
https://www.nytimes.[...]
1993-05-15
[361]
뉴스
Malcolm X's Widow Sees Signs of Hope
1991-02-26
[362]
웹사이트
A Day in the Life
http://www.higheredu[...]
2000-00-00
[363]
웹사이트
Home
https://shabazzacade[...]
Shabazz Public School Academy
[364]
논문
Master's Thesis: Malcolm X Liberation University: An Experiment in Independent Black Education
http://www.lib.ncsu.[...]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004-10-06
[365]
뉴스
Big Crowd Welcomes New Library Warmly
1996-01-07
[366]
harvard
[367]
웹사이트
Malcolm X and Dr. Betty Shabazz Memorial and Educational Center Launches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05-05-17
[368]
harvard
[369]
뉴스
A Revelation in Letters: Educated, Tender Malcolm X
1999-09-02
[370]
뉴스
Malcolm X Trove to Schomburg Center
https://www.nytimes.[...]
2003-01-08
[371]
웹사이트
New MPACS Scholarship Honours Malcolm X's Legacy
https://uwaterloo.ca[...]
University of Waterloo
2021-06-28
[372]
웹사이트
Peace Incubator participant helps establish new Malcolm X PACS Scholarship
https://uwaterloo.ca[...]
University of Waterloo
2021-06-28
[373]
웹사이트
Malcolm X inducted into the Nebraska Hall of Fame
https://nebraskapubl[...]
Nebraska Public Media
2024-05-22
[374]
뉴스
Malcolm X finally arrives at New York's Metropolitan Opera
https://www.npr.org/[...]
2023-11-23
[375]
웹사이트
X: The Life and Times of Malcolm X
https://www.metopera[...]
Metropolitan Opera
[376]
뉴스
'Malcolm X,' as Complex as Its Subject
https://www.nytimes.[...]
1992-11-18
[377]
웹사이트
The Best Films of the 1990s
http://www.combustib[...]
Combustible Celluloid
[378]
뉴스
The Stage: Malcolm X and Elijah Muhammad
https://www.nytimes.[...]
1981-07-15
[379]
뉴스
Ali's Latest Victory Is 'The Greatest'
https://www.nytimes.[...]
1977-05-21
[380]
뉴스
TV: 6-Hour 'King,' Drama of Civil Rights Drive
https://www.nytimes.[...]
1978-02-09
[381]
뉴스
An Imaginary Meeting of Dr. King and Malcolm X
https://www.nytimes.[...]
1989-05-03
[382]
뉴스
TV: End of 'Roots II' Delineates 60's
https://www.nytimes.[...]
1979-02-25
[383]
웹사이트
The Deification of Morgan Freeman: An Incomplete Filmography
https://archive.nyti[...]
2011-08-28
[384]
뉴스
Opera: Anthony Davis's 'X (The Life and Times of Malcolm X)'
https://www.nytimes.[...]
1986-09-29
[385]
서적
The Boxing Filmography: American Features, 1920–2003
McFarland & Company
[386]
웹사이트
Review: 'Ali: An American Hero'
https://variety.com/[...]
2000-08-30
[387]
뉴스
Master of the Boast, King of the Ring, Vision of the Future
https://www.nytimes.[...]
2001-12-25
[388]
웹사이트
Review: 'Betty & Coretta'
https://variety.com/[...]
2013-01-30
[389]
웹사이트
L.A. Legit Review: 'One Night in Miami…'
https://variety.com/[...]
2013-08-05
[390]
뉴스
A 50-Mile March, Nearly 50 Years Later
https://www.nytimes.[...]
2014-12-24
[391]
웹사이트
'Godfather Of Harlem': Nigél Thatch To Star As Malcolm X In Epix Drama Series
https://deadline.com[...]
2018-09-21
[392]
웹사이트
Regina King Directing Debut 'One Night In Miami' Underway With Kingsley Ben-Adir, Eli Goree, Aldis Hodge & Leslie Odom Jr As '60s Icons
https://deadline.com[...]
2020-01-07
[393]
웹사이트
Why does Nigél Thatch not play Malcolm X in "Godfather of Harlem" Season 3?
https://www.newsweek[...]
2023-01-15
[394]
웹사이트
'Genius: MLK/X' Sets 4 Leads, Including Kelvin Harrison Jr. As Martin Luther King Jr., Aaron Pierre As Malcolm X
https://deadline.com[...]
2022-09-28
[395]
뉴스
ブラック・パワー
https://www.latimes.[...]
LAタイムズ
2022-02-24
[396]
문서
『マルコムX 』 p.137
[397]
웹사이트
Malcolm X selected for Nebraska Hall of Fame
https://www.wowt.com[...]
WOWT
2022-09-13
[398]
서적
Ideology and Identity: Malcolm X
Jason Aronson
2012
[399]
문서
「マルコムX」
[400]
문서
『マルコムX 』 p.49
[401]
웹사이트
マルコムXバイオグラフィ
https://www.notableb[...]
[402]
문서
『マルコムX 』 p.27
[403]
문서
マルコムXに関する記述
[404]
문서
『マルコムX 』 p.52-53
[405]
문서
慈善事業に関する記述
[406]
서적
Kingu bokushi to marukomu ekkusu
https://www.worldcat[...]
講談社
1994
[407]
뉴스
How Malcolm X's murder rippled through his hometown
Lansing State Journal
2015-02-21
[408]
문서
第8学年終了後
[40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410]
문서
『マルコムX 』 p.99-100
[411]
문서
『マルコムX 』 p.102
[412]
문서
『マルコムX 』 p.147
[413]
문서
『マルコムX 』 p.141
[414]
문서
『マルコムX 』 p.142
[415]
문서
『マルコムX 』 p.138
[416]
문서
『マルコムX 』 p.192
[417]
문서
『マルコムX 』 p.378-379
[418]
웹사이트
Malcolm X: Who was he, why was he assassinated, and who did it?
https://www.washingt[...]
ワシントン・ポスト
2021-11-18
[419]
서적
The Portable Malcolm X Reader
Penguin
2013
[420]
문서
Perry, p. 261.
[421]
서적
Autobiography
[422]
서적
The Last Speeches
Pathfinder Press
1989
[423]
서적
The Last Speeches
Pathfinder Press
1989
[424]
서적
Malcolm X
[425]
서적
The Life and Work of Malcolm X
Alpha Books
2002
[426]
서적
Malcolm X Speaks
[427]
비디오
マルコムX暗殺の真相
2020
[428]
웹사이트
マルコムX氏暗殺、遺族が再捜査求める 警察当局の関与の可能性示す新証拠
https://www.bbc.com/[...]
BBC
2021-02-22
[429]
뉴스
New claims surrounding Malcolm X assassination surface in letter written on former NYPD officer’s death bed
https://abcnews.go.c[...]
2021-02-22
[430]
뉴스
マルコムX暗殺、潜入作戦実行の元警官新証言 当局関与の可能性は?
https://news.tbs.co.[...]
2021-02-22
[431]
뉴스
マルコムX暗殺 半世紀経て2人の有罪取り消しへ 米検察申し立て
https://mainichi.jp/[...]
2021-11-18
[432]
뉴스
マルコムX殺害で有罪判決受けた男性2人、有罪取り消しへ 半世紀経て
https://www.cnn.co.j[...]
2021-11-18
[433]
뉴스
マルコムX氏暗殺、2人の有罪取り消し 判決から55年
https://www.bbc.com/[...]
2021-11-03
[434]
음반
ファイア・ミュージック
[435]
뉴스
マルコムXとキング牧師、知られざる2人の親密な関係
http://www.cnn.co.jp[...]
2010-05-22
[436]
비디오
マルコムX 暗殺の真相
2020
[437]
서적
[438]
서적
The Soul of a Butterfly: Reflections on Life's Journey
Simon & Schuster
2004
[439]
서적
내 머리로 생각하는 역사이야기
푸른나무
2009
[440]
서적
교양인을 위한 세계사
책과함께
2007
[441]
웹사이트
Interview with Gordon Parks
http://www.malcolm-x[...]
[442]
서적
1991
[443]
서적
2002
[444]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lcolm X
[445]
서적
2002
[446]
서적
2002
[447]
서적
1991
[448]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lcolm X
[449]
서적
[450]
서적
[451]
서적
[452]
서적
[453]
서적
Malcolm X
[454]
서적
[455]
서적
Malcolm X
[456]
서적
Malcolm X
[457]
서적
Untitled
[458]
서적
Untitled
[459]
서적
Untitled
[460]
서적
Untitled
[461]
서적
Untitled
[462]
서적
Malcolm X
[463]
서적
Malcolm X
[464]
서적
Untitled
[465]
서적
Autobiography
[466]
서적
Untitled
[467]
서적
Untitled
[468]
서적
Malcolm X
[469]
서적
Untitled
[470]
서적
Untitled
[471]
서적
Autobiography
[472]
서적
Untitled
[473]
서적
Untitled
[474]
서적
Untitled
[475]
서적
Untitled
[476]
서적
Untitled
[477]
서적
Untitled
[478]
서적
Untitled
[479]
서적
Untitled
[480]
서적
Untitled
[481]
서적
Malcolm X
[482]
서적
Autobiography
[483]
서적
Malcolm X
[484]
서적
Autobiography
[485]
서적
Untitled
[486]
서적
Untitled
[487]
서적
Malcolm X
[488]
서적
Untitled
[489]
서적
Untitled
[490]
서적
Untitled
[491]
서적
null
[492]
서적
Malcolm X
[493]
서적
null
[494]
서적
Malcolm X
[495]
서적
Rediscovering Malcolm's Life
[496]
서적
null
[497]
서적
Malcolm X
[498]
서적
null
[499]
서적
null
[500]
서적
Malcolm X
[501]
서적
null
[502]
서적
Malcolm X
[503]
서적
Malcolm X
[504]
서적
null
[505]
서적
null
[506]
서적
Malcolm X as a Husband and Father
[507]
서적
null
[508]
서적
Malcolm X
[509]
서적
null
[510]
서적
null
[511]
서적
When the Word Is Given
[512]
서적
null
[513]
서적
When the Word Is Given
[514]
서적
End of White World Supremacy
[515]
서적
When the Word Is Given
[516]
서적
null
[517]
서적
null
[518]
서적
null
[519]
서적
When the Word Is Given
[520]
서적
Malcolm X
[521]
서적
null
[522]
서적
null
[523]
서적
The Soul of a Butterfly: Reflections on Life's Journey
Simon & Schuster
2004
[524]
서적
Malcolm X
[525]
서적
null
[526]
웹사이트
Timeline
http://www.pbs.org/w[...]
2008-07-27
[527]
뉴스
Malcolm X Scores U.S. and Kennedy
The New York Times
1963-12-02
[528]
서적
Natambu
[529]
서적
Perry
[530]
뉴스
Malcolm X Splits with Muhammad
The New York Times
2008-08-01
[531]
서적
Perry
[532]
서적
Perry
[533]
서적
Perry
[534]
서적
Malcolm X Speaks
[535]
서적
Perry
[536]
서적
By Any Means Necessary
[537]
서적
Perry
[538]
서적
Malcolm X Speaks
[539]
서적
Perry
[540]
서적
Autobiography
[541]
서적
Terrill
[542]
서적
Karim
[543]
서적
Perry
[544]
서적
Karim
[545]
간행물
Mystery of Malcolm X
Ebony
1964-09-01
[546]
뉴스
Malcolm X Shot to Death at Rally Here
The New York Times
2008-08-01
[547]
서적
Karim
[548]
서적
Evanzz
[549]
서적
Perry
[550]
서적
Malcolm X
[551]
서적
Perry
[552]
서적
Kondo
[553]
서적
Kondo
[554]
서적
Rickford
[555]
웹사이트
Malcolm X Killer Heads Mosque
http://news.bbc.co.u[...]
2008-08-01
[556]
웹사이트
The Man Who Didn't Shoot Malcolm X
http://nymag.com/new[...]
2008-08-01
[557]
서적
Rickford
[558]
서적
Malcolm X
[559]
서적
The Autobiography of Malcolm X
[560]
서적
Rickford
[561]
서적
unspecified
unspecified
[562]
뉴스
Harlem Is Quiet as Crowds Watch Malcolm X Rites
unspecified
The New York Times
1965-02-28
[563]
서적
Malcolm X
Basic Civitas Books
1999
[564]
서적
unspecified
unspecified
[565]
서적
When the Word Is Given
unspecified
[566]
서적
unspecified
unspecified
[567]
서적
When the Word Is Given
unspecified
[568]
서적
When the Word Is Given
unspecified
[569]
서적
unspecified
unspecifi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