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모리 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모리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1980년대 노트북 컴퓨터의 저장 장치 소형화 요구에 따라 개발되었다. 초창기에는 다양한 규격이 혼재했으나, PCMCIA, 콤팩트플래시(CF), SD 카드 등 표준화된 규격이 등장하며 소형화 경쟁을 거쳤다. 현재는 SD 카드가 가장 널리 사용되며, 게임 콘솔에서도 저장 데이터 저장을 위해 널리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저장 매체 - RAID
    RAID는 여러 디스크를 묶어 용량 증대, 성능 향상, 데이터 중복을 통한 손실 방지 기술이며, 다양한 레벨로 구분되고 하드/소프트웨어로 구현되지만, 데이터 안정성을 보장하지 않으므로 백업이 권장된다.
  • 컴퓨터 저장 매체 -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는 자기 기록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로, 꾸준히 발전하여 대용량 저장이 가능하지만 SSD의 등장으로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으며 웨스턴디지털, 씨게이트, 도시바가 주요 제조업체이다.
메모리 카드
메모리 카드
Memory card
SD 카드
SD 카드
종류플래시 메모리
EEPROM
FeRAM
용도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휴대용 게임기
음악 플레이어
기타 컴퓨터
역사
최초 개발1990년대 초
초기 형태PC 카드 형태의 플래시 메모리
소형화 추세컴팩트플래시
스마트미디어 카드
메모리스틱
SD 카드
현재 주류SD 카드
종류별 설명
SD 카드크기: 작고 휴대성이 용이
용량: 다양 (표준 SD, SDHC, SDXC)
사용 기기: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휴대용 게임기 등
컴팩트플래시크기: SD 카드보다 큼
용량: 대용량 지원
사용 기기: 고급 디지털 카메라, 전문가용 장비
메모리스틱제조사: 소니 (주로 사용)
종류: 메모리스틱 Pro, 메모리스틱 Duo 등
기타xD 픽처 카드
스마트미디어 카드
기술적 특징
인터페이스SPI
SDIO
파일 시스템FAT
exFAT
쓰기 보호물리적 스위치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
수명쓰기 횟수 제한 (플래시 메모리 특성)
활용
데이터 저장사진, 영상, 음악, 문서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저장
저장 매체PC, 디지털 카메라, 휴대 전화 등 기기 간 데이터 이동
백업데이터 백업 및 보관
주의 사항
호환성기기별 지원 규격 확인 필요 (SD, SDHC, SDXC)
안전정전기 방지
물리적 충격 주의
안전한 장소 보관
기타
관련 용어USB 메모리
SSD
HDD

2. 역사

메모리 카드의 역사는 플래시 메모리 기술의 발명과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2] 초기 상업용 메모리 카드 형식으로는 PC 카드(PCMCIA)가 있었으나,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었다. 1994년 이후 콤팩트플래시(CF)를 시작으로 스마트미디어(SM), 미니어처 카드 등 PC 카드보다 작은 크기의 카드들이 등장하면서 휴대용 기기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졌다.

이후 SD 카드, 메모리 스틱 등 다양한 규격의 메모리 카드가 출시되면서 치열한 포맷 전쟁이 벌어졌다. 2000년대 초반에는 SM과 CF가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강세를 보였으나, 점차 SD 카드가 영향력을 확대했다. 2010년대에 이르러서는 기존에 독자 규격을 고수하던 소니올림푸스 같은 주요 제조사들도 SD 카드 슬롯을 채택하면서,[31] SD 카드가 사실상 표준 메모리 카드 포맷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32][33][34]

2. 1. 플래시 메모리의 등장

메모리 카드 기술의 기반은 플래시 메모리다.[2] 플래시 메모리는 1980년 후지오 마수오카가 도시바에서 발명했으며,[3][4] 1987년 도시바에 의해 상용화되었다.[5][6]

2. 2. 초기 메모리 카드 (1980년대~1990년대)

메모리 카드 기술의 기반은 플래시 메모리다.[2] 플래시 메모리는 1980년 도시바에서 근무하던 후지오 마수오카가 발명했으며,[3][4] 1987년 도시바에 의해 상용화되었다.[5][6]

1980년대에 들어 노트북이 점차 보급되면서, 기존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전력 소모가 적고 가벼우며 작은 저장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메모리 카드 개발이 추진되었으며, 일부는 롬 카트리지보다 저렴한 대안으로 여겨지기도 했다.[7]

이 시기 여러 제조사에서 다양한 메모리 카드 형식을 개발했지만, 서로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8] 대표적인 초기 메모리 카드로는 허드슨 소프트미쓰비시가 개발한 Bee 카드, Astron SoftCards,[9] 세가에서 게임 카트리지의 저렴한 대안으로 개발한 세가 카드,[12] NEC의 울트라라이트 노트북에 사용된 메모리 카드,[10][11] 그리고 60핀과 50핀 커넥터를 사용한 미쓰비시의 멜카드(Melcard) 등이 있었다. 일부 메모리 카드는 노트북의 메모리 확장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다.[13][14][15]

이러한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표준을 정립하기 위해 일본 전자 산업 개발 협회(JEIDA)는 1985년부터 메모리 카드 표준 연구를 시작하여 1986년에 JEIDA 메모리 카드 규격을 발표했다.[16] 이후 1989년에는 PC 환경에서의 메모리 카드 표준화를 목표로 하는 산업 협회인 PC 메모리 카드 국제 협회(PCMCIA)가 설립되었다. PCMCIA는 JEIDA와 협력하여 68핀 커넥터 설계를 채택했고, 1990년에 첫 번째 표준인 PCMCIA 타입 I 카드를 발표했다. 이 카드는 나중에 PC 카드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JEIDA 메모리 카드 표준을 통합한 형태였다.[15][17] PC 카드는 상업적으로 출시된 최초의 메모리 카드 형식 중 하나였지만, 이후에는 주로 산업용 기기나 모뎀과 같은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다.[17]

초기 메모리 카드 중 일부는 SRAM(정적 램)을 저장 매체로 사용했다. SRAM 기반 카드는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 리튬 배터리가 필요했지만, 당시의 플래시 메모리보다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었다. 초기의 PCMCIA 카드 중 일부는 1MB~5MB 정도의 용량을 가졌으며, MB당 100USD에 달할 정도로 고가였다.[18] Bee 카드와 같은 다른 초기 카드들은 수정할 수 없는 ROM, 한 번만 기록 가능한 EPROM, 또는 여러 번 쓰고 지울 수 있는 EEPROM 메모리를 사용하기도 했다.[19]

1992년, 샌디스크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한 PCMCIA 카드인 'FlashDisk'를 출시했다. 이 카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별도의 배터리 전원이 필요 없는 최초의 메모리 카드 중 하나였다.[20][18]

2. 3. 소형화 경쟁과 포맷 전쟁 (1990년대 후반~2000년대)

1994년, 기존 PC 카드보다 작은 콤팩트플래시(CF)가 등장하면서 메모리 카드의 소형화 경쟁이 시작되었다. 이후 스마트미디어(SM)와 미니어처 카드 등 더 작은 크기의 카드들이 연이어 출시되었다. 이러한 소형화 추세는 휴대폰, 개인 휴대 단말기(PDA), 소형 디지털 카메라 등 휴대용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이는 휴대 기기에 사용하기에는 이전 세대의 '콤팩트' 카드들이 너무 컸기 때문이다.

2000년에는 SD 카드가 발표되었다. SD 카드는 여러 종류의 전자 장치를 위한 단일 메모리 카드 형식으로 구상되었으며, 장치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확장 슬롯으로도 기능할 수 있었다.[21] 2001년 당시, 스마트미디어는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약 5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강세를 보였고, CF는 전문가용 디지털 카메라 시장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2000년대 초반 메모리 카드는 여전히 가격이 비쌌기 때문에[22], 마이크로드라이브, 포켓집, 데이터플레이와 같은 초소형 회전 디스크 저장 장치들이 잠시 주목받기도 했다. 이들은 당시 플래시 메모리 카드보다 더 큰 용량을 제공했지만, 플래시 메모리 가격이 빠르게 하락하고 용량이 커지면서 2006년경에는 경쟁력을 잃고 시장에서 사라졌다.[20]

플래시 메모리 카드 포맷 간의 경쟁 속에서, 2005년경 SD 카드와 유사한 MMC 카드가 스마트미디어의 자리를 상당 부분 대체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콤팩트플래시소니메모리 스틱, 올림푸스의 XD 카드 등과의 치열한 경쟁은 계속되었다. 산업 및 임베디드 분야에서 PC 카드(PCMCIA) 메모리 카드조차도 여전히 틈새 시장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휴대폰과 PDA에서는 메모리 카드가 더욱 작아졌다.

결정적으로 포맷 전쟁의 승기는 SD 카드 쪽으로 기울었다. 2010년부터 소니(이전까지 메모리 스틱만 사용)와 올림푸스(이전까지 XD 카드만 사용)가 자사의 신제품에 추가적으로 SD 카드 슬롯을 탑재하기 시작하면서[23] SD 카드는 사실상 표준 메모리 카드 포맷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24][25][26]

3. 주요 메모리 카드 포맷

메모리 카드는 다양한 규격(포맷)으로 발전해 왔으며, 각 포맷은 크기, 저장 용량, 데이터 전송 속도, 디지털 권리 관리(DRM) 기술 적용 여부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초기에는 PC 카드(PCMCIA)와 같은 규격이 사용되었으나, 디지털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더 작은 크기의 카드들이 등장했다.

주요 메모리 카드 포맷들은 다음과 같다.


  • PC 카드 (PCMCIA): 초기에 노트북 등에서 사용된 규격이다.
  • 콤팩트플래시 (CF): PC 카드보다 작은 크기로 등장했으며, 특히 전문가용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이후 CFast, CFexpress와 같은 고속 규격으로 발전했다.
  • 스마트미디어 (SM): 한때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으나, 이후 다른 규격에 밀려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메모리 스틱 (MS): 소니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규격으로, 다양한 크기(Duo, Micro M2 등)와 성능(PRO, PRO-HG 등)의 파생 규격이 있다. 매직게이트라는 DRM 기술을 사용한다.
  • 멀티미디어카드 (MMC): SD 카드의 전신 격인 규격으로, 크기를 줄인 RS-MMC, MMCmicro 등의 변형이 있었다.
  • SD 카드 (Secure Digital Card):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기본 SD 카드 외에 크기를 줄인 miniSD, 마이크로SD 카드가 있으며, 용량과 속도에 따라 SDHC, SDXC, SDUC 등의 규격으로 발전했다. CPRM이라는 DRM 기술을 지원한다.
  • xD-Picture 카드 (xD): 주로 올림푸스후지필름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유니버설 플래시 스토리지 (UFS): 스마트폰 내장 메모리 등에 사용되는 고속 규격으로, 카드 형태의 외장 메모리 규격도 존재한다.
  • XQD 카드: 고성능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규격으로, CFexpress Type B와 물리적 호환성을 가진다.
  • 나노 메모리 (NM) 카드: 화웨이가 개발한 독자 규격으로, 나노 SIM 카드와 크기가 동일하다.
  • SxS 카드: 소니샌디스크가 개발한 전문가용 비디오 카메라 규격이다.


이 외에도 미니어처 카드, 인텔리전트 스틱, 시리얼 플래시 모듈 등 다양한 포맷이 존재했거나 특정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는 SD 카드와 그 파생 규격(특히 마이크로SD)이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문가용 고성능 장비에서는 CFexpress와 같은 규격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3. 1. PC 카드 (PCMCIA)

PC 카드는 PC 메모리 카드 국제 협회(PCMCIA)가 1990년에 발표한 메모리 카드 표준이다.[15][17] 이는 일본 전자 산업 개발 협회(JEIDA)가 1986년에 개발한 JEIDA 메모리 카드 표준을 통합한 것으로,[16][15] 최초의 상업용 메모리 카드 포맷 중 하나로 출시되었다. 초기에는 노트북 컴퓨터의 메모리 확장이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7][15]

초기 PC 카드 중 일부는 SRAM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했으며, 데이터 유지를 위해 배터리가 필요했다.[18] 1992년 샌디스크플래시 메모리를 기반으로 하여 배터리 전원이 필요 없는 PC 카드 형태의 'FlashDisk'를 출시했다.[20][18] PC 카드는 메모리 저장 기능뿐만 아니라 모뎀과 같은 다양한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도 활용되도록 기능이 확장되었다.[17] PC 카드의 물리적 크기는 85.6 × 54 × 3.3 mm이며, 타입 I 외에도 타입 II, 타입 III 등의 규격이 존재한다.

1994년부터 콤팩트플래시, 스마트미디어 등 더 작은 크기의 메모리 카드 포맷들이 등장하면서 PC 카드는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는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현재는 주로 산업용 장비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모뎀과 같은 특정 입출력 장치를 연결하는 용도로 틈새 시장을 유지하고 있다.

3. 2. 콤팩트플래시 (CF)

콤팩트플래시(CompactFlash, CF)는 1994년 PC 카드(PCMCIA) 규격보다 작은 메모리 카드 포맷으로 처음 등장한 규격 중 하나이다.[20] 초기 디지털 카메라, 특히 전문가용 시장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2001년에는 해당 시장의 상당 부분을 점유했다. 이후 SD 카드메모리 스틱 등 다른 규격과의 경쟁 속에서도 꾸준히 사용되었다.

콤팩트플래시는 물리적 크기에 따라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 타입 I (CF-I): 두께 3.3mm
  • 타입 II (CF-II): 두께 5.5mm. 주로 마이크로드라이브와 같은 초소형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는 데 사용되었다.


기술 발전에 따라 더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후속 규격들이 등장했다. CFast는 CF와 동일한 폼 팩터지만 SATA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속도를 높였고, CFexpress는 PCI 익스프레스와 NVMe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더욱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CFexpress는 크기에 따라 Type A, Type B, Type C로 나뉜다. 이러한 고성능 카드들은 주로 전문가용 고해상도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장비에 사용된다.

이름약자폼 팩터 (mm)DRM
콤팩트플래시 ICF-I43 × 36 × 3.3없음
콤팩트플래시 IICF-II43 × 36 × 5.5없음
CFexpress Type ACFA20 × 28 × 2.8알 수 없음
CFexpress Type BCFX38.5 × 29.8 × 3.8알 수 없음
CFexpress Type C-54 × 74 × 4.8알 수 없음


3. 3. 스마트미디어 (SM)

스마트미디어(SM)는 1994년 이후 PC 카드보다 작은 메모리 카드 포맷들이 등장하면서 콤팩트플래시(CF)에 이어 출시된 규격 중 하나이다. 당시 휴대 전화, PDA, 콤팩트 디지털 카메라 등 휴대용 기기에서 더 작은 크기의 메모리 카드를 필요로 하는 추세에 맞춰 개발되었다.

2001년에는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서 50%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널리 사용되었으나,[2] 이후 SD 카드MMC, 메모리 스틱, 콤팩트플래시 등 다른 규격과의 경쟁이 치열해졌다. 2005년경에는 SD 카드와 MMC 카드에게 시장 점유율을 상당 부분 내주게 되었다.

스마트미디어 카드는 최대 128 MB 용량까지 출시되었으며, 3.3 V와 5 V 두 가지 전압 규격으로 작동했다. 카드의 크기는 45 × 37 × 0.76 mm로 매우 얇은 것이 특징이었다. 별도의 DRM 기술은 적용되지 않았지만, 카드마다 고유 ID를 이용한 제한적인 복사 방지 기능은 포함하고 있었다. 현재는 기술 발전과 다른 메모리 카드 규격의 보급으로 인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4. 메모리 스틱 (MS)

소니(Sony)가 개발한 독자적인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DRM 기술인 매직게이트(MagicGate)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초기에는 디지털 카메라, PDA, PSP 등 소니 제품군에 주로 사용되었다.

메모리 스틱은 이후 다양한 크기와 성능을 가진 파생 규격으로 발전하였다. 주요 규격은 다음과 같다.

이름약자폼 팩터 (mm)DRM
메모리 스틱MS50.0 × 21.5 × 2.8매직게이트
메모리 스틱 DuoMSD31.0 × 20.0 × 1.6매직게이트
메모리 스틱 PRO DuoMSPD31.0 × 20.0 × 1.6매직게이트
메모리 스틱 PRO-HG DuoMSPDX31.0 × 20.0 × 1.6매직게이트
메모리 스틱 Micro M2M215.0 × 12.5 × 1.2매직게이트



2005년경 메모리 스틱은 SD 카드MMC와 시장에서 경쟁하였으나, 점차 SD 카드가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2010년부터는 소니의 신제품들조차 기존의 메모리 스틱 슬롯과 함께 추가적인 SD 카드 슬롯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31][23] 이는 메모리 카드 포맷 전쟁 이후 SD 카드를 선호하는 추세가 강해졌음을 보여준다.[32][33][34][24][25][26]

3. 5. SD 카드 (Secure Digital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는 2000년에 여러 종류의 전자 기기를 위한 단일 메모리 카드 형식으로 발표되었다. 초기 목표는 다양한 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표준을 제공하고, 장치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한 확장 슬롯으로도 기능하는 것이었다.[21]

2005년경, SD 카드는 멀티미디어 카드(MMC)와 함께 이전의 스마트미디어 카드를 상당 부분 대체하며 시장 점유율을 높여갔다. 하지만 당시에는 소니메모리 스틱이나 컴팩트플래시와의 경쟁도 치열했다. 산업 및 임베디드 분야에서는 PC 카드(PCMCIA)가 여전히 사용되었고, 휴대 전화나 PDA에서는 더 작은 크기의 메모리 카드가 요구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SD 카드는 점차 시장의 주류로 자리 잡았다. 특히 2010년 이후, 이전까지 독자 규격인 메모리 스틱을 고수하던 소니나 XD 카드를 사용하던 올림푸스 같은 주요 제조사들이 자사 제품에 SD 카드 슬롯을 추가하기 시작하면서[23], 메모리 카드 포맷 전쟁은 사실상 SD 카드의 승리로 기울게 되었다.[24][25][26]

SD 카드는 다양한 크기와 규격으로 발전했다.

  • SD 카드: 기본 형태로, 크기는 32mm × 24mm × 2.1mm이다.
  • 미니SD 카드: 더 작게 만든 규격으로, 크기는 21.5mm × 20mm × 1.4mm이다.
  • 마이크로SD: 가장 작은 규격으로, 크기는 15mm × 11mm × 0.7mm이다. 초기에는 트랜스플래시(TransFlash) 또는 T-플래시(TF)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 외에도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인 SD 고속(High Speed) 규격이나 저장 용량을 늘린 SDHC 규격 등이 개발되었다. 또한, 와이파이 기능이 내장된 와이파이 SD 카드(Eye-Fi, FlashAir 등)도 등장했다. SD 카드 계열은 콘텐츠 보호를 위한 디지털 권리 관리(DRM) 기술로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을 지원한다.

3. 6. xD 픽처 카드 (xD)

xD-Picture 카드(xD-Picture Card, 약자: xD)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 규격 중 하나이다. 크기는 20 × 25 × 1.7 mm이며, 디지털 권리 관리(DRM) 기능은 없다. xD-Picture Card Type M과 같은 하위 규격도 존재한다.

과거 올림푸스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2010년 이후 올림푸스를 포함한 여러 제조사들이 SD 카드를 주요 저장 매체로 채택하면서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었다.[31] 이는 메모리 카드 시장의 포맷 전쟁에서 SD 카드가 사실상 표준으로 자리 잡게 된 흐름과 관련이 있다.[32][33][34]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규격이다.

3. 7. 기타 포맷


  • '''멀티미디어카드 (MMC)''': SD 카드의 전신으로 개발된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크기를 줄인 RS-MMC (Reduced Size MultiMediaCard)와 더 작은 MMCmicro 카드 등의 파생 규격도 존재했다.
  • '''유니버설 플래시 스토리지 (UFS)''': 고성능 저장장치 규격으로, 카드 형태의 외장 메모리 규격도 존재한다.
  • '''XQD 카드''': 주로 고성능 디지털 카메라캠코더에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이후 CFexpress Type B 규격과 물리적/전기적으로 호환된다.
  • '''나노 메모리 (NM) 카드''': 중국의 화웨이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나노 SIM 카드와 동일한 크기(12.3 × 8.8 × 0.7 mm)로 만들어져, 스마트폰의 SIM 카드 슬롯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 '''SxS (S-by-S) 카드''': 소니샌디스크가 공동 개발한 전문가용 비디오 카메라용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익스프레스카드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27]
  • '''CFexpress''': XQD 카드 등을 기반으로 개발된 차세대 고속 메모리 카드 규격이다. Type A, Type B, Type C 세 가지 폼 팩터가 있으며, Type B는 XQD 카드와 호환성을 가진다.

4. 게임용 메모리 카드

(내용 없음 - 하위 섹션 '개요'에서 모든 내용을 다루고 있어 중복을 피하기 위해 본문 생략)

4. 1. 개요

오래된 비디오 게임 콘솔 중 상당수는 저장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를 사용했다. 게임 카트리지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각 카트리지 내부에 배터리로 백업되는 휘발성 RAM을 사용하여 해당 게임의 저장 데이터를 보존했다. 이러한 RAM이 없는 카트리지는 비밀번호 시스템을 사용하거나 아예 진행 상황을 저장할 수 없었다. SNK가 1990년에 출시한 네오 지오 AES는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었던 최초의 비디오 게임 콘솔이다. 네오 지오 AES 메모리 카드는 네오 지오 MVS 아케이드 캐비닛과도 호환되어, 사용자가 가정용 콘솔과 아케이드 시스템 간에 저장 데이터를 옮길 수 있었다.[29][30] 메모리 카드는 가정용 콘솔이 게임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읽기 전용 광 디스크로 전환하면서 보편화되었는데, 터보그래픽스-CD나 세가-CD와 같은 시스템이 그 시작이었다.

6세대 비디오 게임 콘솔까지는 메모리 카드가 각 제조사의 독점 형식을 기반으로 했다. 이후 세대의 시스템들은 FAT32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산업 표준 파일 시스템 형식을 메모리 카드에 적용했다.

현대의 가정용 콘솔은 일반적으로 게임 저장 데이터용으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를 사용하며, 게임 저장 데이터나 기타 정보를 옮기기 위해 USB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메모리 카드 리더를 통해 다른 형식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콘솔은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이용한 저장 방식을 구현하기도 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휴대용 게임기는 낮은 전력 소비, 더 작은 물리적 크기, 그리고 기계적 복잡성 감소 등의 이유로 여전히 게임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독자적인 규격의 메모리 카트리지를 사용한다.

네오 지오 2 KiB 메모리 카드


플레이스테이션 128 KiB 메모리 카드


드림캐스트 (VMU) 128 KiB 메모리 카드


Xbox 360 메모리 카드

4. 2.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

플레이스테이션 (PS1)은 게임 저장을 위해 독자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했다. 이 카드는 128KB 용량에 15개의 저장 블록을 가졌다. 휴대용 기기인 포켓스테이션 역시 동일한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했다.

플레이스테이션 2 (PS2)도 독자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했으며, 용량은 8MB(7998KB)로 증가했다. 또한, PS2는 외장형 또는 확장 베이(EXPANSION BAY) 방식의 40GB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지원하여, 플레이스테이션 BB 유닛에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휴대용 게임기인 PSP는 범용 저장 매체인 메모리 스틱 듀오를 채택했다.

플레이스테이션 3 (PS3)와 플레이스테이션 4 (PS4)는 기본 저장 장치로 범용 2.5인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사용했다. PS3의 초기 모델(CECHA00형)은 추가적으로 메모리 스틱 (듀오), SD 카드, 컴팩트플래시 카드를 읽을 수 있는 슬롯을 갖추고 있었다.

플레이스테이션 비타는 다시 독자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했으며, 4GB, 8GB, 16GB, 32GB, 64GB 등 다양한 용량으로 출시되었다.

플레이스테이션 5 (PS5)는 기본 내장된 SSD 외에도 사용자가 저장 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범용 M.2 SSD 슬롯을 제공한다. 단, PS5 본체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M.2 SSD는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한 개만 추가할 수 있다.

4. 3. 닌텐도

닌텐도는 초기 콘솔부터 다양한 형태의 저장 매체를 사용해왔다. 패밀리 컴퓨터 시절에는 디스크 시스템용 디스크를 사용했으며, 슈퍼 패미컴 시대에는 위성 방송 서비스인 사테라뷰와 연동되는 8M 메모리 팩이나 게임 다운로드 서비스 닌텐도 파워를 위한 SF 메모리 카세트, GB 메모리 카트리지를 선보였다. 이들은 모두 닌텐도 고유의 독자 규격이었다.

NINTENDO64에서는 컨트롤러에 장착하는 건전지 방식의 컨트롤러 팩과 자기 디스크를 사용하는 주변기기 64DD용 디스크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했다. 이후 닌텐도 게임큐브Wii에서도 독자 규격의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휴대용 기기인 게임보이 어드밴스용 주변기기 플레이얀을 시작으로, 닌텐도 DSi, 3DS, 그리고 가정용 콘솔인 Wii, Wii U, 닌텐도 스위치 시리즈에 이르러서는 범용 SD 카드나 microSD 카드를 저장 매체로 채택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Wii, Wii U, 그리고 Lite 모델을 제외한 닌텐도 스위치 시리즈에서는 USB 단자를 통해 외부 USB 메모리나 외장 HDD/SSD 연결을 지원하여 저장 공간 확장이 용이해졌다.

아래는 닌텐도 게임기에서 사용된 주요 저장 매체 목록이다.

4. 4. Xbox


  • Xbox: 8MB 용량의 독자 규격 메모리 유닛을 사용했다.
  • Xbox 360: 64MB 또는 512MB 용량의 독자 규격 메모리 유닛을 사용했으며, 모델에 따라서는 전용 하드 디스크도 사용했다. 하드 디스크는 구형 360, 360 S, 360 E 모델별로 형태가 달라 서로 호환되지 않았다.
  • Xbox Series X/S: 씨게이트(Seagate)에서 제조한 독자 규격의 스토리지 확장 카드를 사용한다. 용량은 512GB, 1TB, 2TB로 출시되었다.

4. 5. 세가

세가는 다양한 게임 콘솔에서 독자적인 메모리 카드 규격을 사용했다. 메가 CD에서는 '''백업 RAM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게임 데이터를 저장했다. 이후 세가 새턴에서는 '''파워 메모리'''라는 이름의 메모리 카드를 도입했으며, 일부 주변기기(FDD 오퍼레이터 등)를 통해 범용 플로피 디스크를 저장 매체로 활용하기도 했다. 드림캐스트는 독특한 형태의 '''비주얼 메모리'''(VMU)를 사용했는데, 이는 액정 화면이 달려 있어 미니 게임 등을 즐길 수도 있었다. VMU는 모여라 고질라 게임과 함께 선행 발매되기도 했다. 또한 드림캐스트용으로 더 큰 용량의 '''메모리 카드 4X'''도 출시되었다.

세가 콘솔별 메모리 카드
콘솔메모리 카드 종류비고
메가 CD백업 RAM 카트리지
세가 새턴파워 메모리범용 플로피 디스크도 사용 가능 (FDD 오퍼레이터 등)
드림캐스트비주얼 메모리 (VMU)
메모리 카드 4X
VMU는 모여라 고질라와 함께 선행 발매됨


4. 6. NEC

NECPC 엔진PC-FX 콘솔은 다음과 같은 독자 규격의 저장 매체를 사용했다.

'''PC 엔진'''

  • 천의 소리 2(건전지식)
  • 천의 소리 BANK
  • 백업 부스터(II)
  • 세이브군, 메모리 베이스 128(일부 PC 엔진 타이틀만 지원)


'''PC-FX'''

  • PC-FX 백업 메모리 팩 (건전지식)

4. 7. SNK

SNK는 1990년에 네오 지오 AES를 출시했는데, 이는 저장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었던 최초의 비디오 게임 콘솔이었다. 네오 지오 AES의 메모리 카드는 네오 지오 MVS 아케이드 캐비닛과도 호환되었다. 이를 통해 플레이어는 가정용 콘솔과 아케이드 시스템 사이에서 저장 데이터를 자유롭게 옮길 수 있었다.[29][30]

5. 비교표

표준SDUFS 카드CFastXQDCFexpress
버전3.04.06.07.0[28]8.01.02.01.02.01.02.01.02.04.0
출시2010년 2분기2011년 1분기2017년 1분기2018년 2분기2020년 1분기2016년 2분기?2008년 3분기2012년 3분기2011년 4분기2014년 1분기2017년 2분기2019년 1분기2023년 3분기
버스UHS-IUHS-IIUHS-IIIPCIe 3.0 x1PCIe 4.0 x2UFS 2.0UFS 3.0SATA-300SATA-600PCIe 2.0 x1PCIe 2.0 x2PCIe 3.0 x2PCIe 3.0 x1/x2/x4PCIe 4.0 x1/x2/x4
속도104 MB/s156 MB/s624 MB/s985 MB/s3938 MB/s600 MB/s1200 MB/s300 MB/s600 MB/s500 MB/s1000 MB/s1970 MB/s최대 4 GB/s최대 8 GB/s


참조

[1] 서적 Infomatic Practices https://books.google[...] New Saraswati House India Pvt Ltd
[2] 서적 Inside NAND Flash Memor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
[3] 웹사이트 Unsung Hero https://www.forbes.c[...] 2002-06-24
[4] 특허
[5] 웹사이트 1987: Toshiba Launches NAND Flash https://www.eweek.co[...] 2012-04-11
[6] 웹사이트 1971: Reusable Semiconductor ROM Introduced https://www.computer[...]
[7] 웹사이트 What MSX? (GB) https://archive.org/[...] 1985
[8] 웹사이트 InfoWorl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90-02-05
[9] 웹사이트 MSX Computing (GB) : Haymarket Publishing : Free Download, Borrow, And Streaming : Internet Archive https://archive.org/[...] 1984
[10] 웹사이트 NEC's 4.4-Pound UltraLite Sets a New Standard for Portable Machines https://books.google[...] Ziff Davis, Inc. 1988-11-15
[11] 웹사이트 InfoWorld https://books.google[...] InfoWorld Media Group, Inc. 1989-10-30
[12] 서적 Service Games: The Rise and Fall of SEGA: Enhanced Edition https://books.google[...] Smashwords Edition 2013-12-20
[13] 문서 http://www.bitsavers[...] 2024-08-00
[14] 웹사이트 PC Mag https://books.google[...] Ziff Davis, Inc. 1993-01-26
[15] 서적 PCMCIA System Architecture: 16-Bit PC Cards https://books.google[...] Addison-Wesley Professional 1995-01-25
[16] 문서 https://www.cqpub.co[...] 2024-08-00
[17] 웹사이트 PC Mag https://books.google[...] Ziff Davis, Inc. 1993-12-21
[18] 웹사이트 PC Mag https://books.google[...] Ziff Davis, Inc. 1993-12-21
[19] 웹사이트 What MSX? (GB) https://archive.org/[...] 1984
[20] 웹사이트 25 Years of CompactFlash: A Look Back at the Pioneering Format https://www.pcmag.co[...]
[21] 웹사이트 Popular Science https://books.google[...] Bonnier Corporation 2000-05-27
[22] 웹사이트 PCWorld.com – DataPlay Shows Breakthrough in Storage Media https://www.pcworld.[...] 2001-06-08
[23] 웹사이트 Sony Does SD; Panasonic Intros First SDXC Cards | 2010 CES — CNET Blogs http://ces.cnet.com/[...] Ces.cnet.com 2010-01-06
[24] 뉴스 Format-Krieg entschieden: SD-Card setzt sich durch https://archive.toda[...] Chip-online 2010-01-14
[25] 뉴스 Camera trends come into focus for 2010 https://web.archive.[...] NBC News 2010-01-13
[26] 뉴스 FEATURE: Playing Your Cards Right at Retail http://www.marketnew[...] 2010-06-04
[27] 웹사이트 SanDisk and Sony Announce SxS Memory Card: Digital Photography Review http://www.dpreview.[...] Dpreview.com
[28] 웹사이트 SD + PCIe/NVMe Card New Innovations in SD Cards Lead the Way to Mobile Everything https://www.flashmem[...]
[29] 웹사이트 The Official NEO-GEO Memory Card FAQ by Billy Pitt http://www.neogeopro[...]
[30] 잡지 This Fall Everything Turns To Gold With Neo-Geo: The Player's Gold Card Keeps Them Coming Back For More https://archive.org/[...] 1990-11-00
[31] 웹인용 Sony does SD; Panasonic intros first SDXC cards | 2010 CES — CNET Blogs http://ces.cnet.com/[...] Ces.cnet.com 2010-01-06
[32] 뉴스 Format-Krieg entschieden: SD-Card setzt sich durch http://www.chip.de/n[...] Chip-online 2010-01-14
[33] 뉴스 Camera trends come into focus for 2010 http://www.msnbc.msn[...] msnbc 2010-01-13
[34] 뉴스 FEATURE: Playing Your Cards Right at Retail http://www.marketnew[...] 2010-06-04
[35] 웹인용 SD + PCIe/NVMe card New Innovations in SD Cards Lead the Way to Mobile Everything https://www.flashme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