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노하마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노하마역은 1925년 개업한 일본 후쿠오카현 니시구에 있는 역으로, 후쿠오카시 교통국 지하철 공항선과 JR 큐슈 지쿠히선이 교차한다. 1983년 후쿠오카시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지쿠히선이 전철화되었고, 지하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작했다. 고가역으로 2면 4선 구조이며, 후쿠오카시 교통국 관할이다. 2020년 메이노하마 관할역이 폐지되어 텐진 관할역으로 통합되었다. 역 주변은 주택가이며, 후쿠오카시 요트 하버를 본뜬 심볼 마크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시구 (후쿠오카시) - 시모야마토역
시모야마토역은 1986년에 개업한 JR 큐슈 지쿠히 선의 지상역으로, 2개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JR 큐슈 철도 영업 주식회사에 역 업무가 위탁되어 운영된다. - 니시구 (후쿠오카시) - 이마주쿠역
이마주쿠역은 일본 규슈 여객철도 지쿠히 선의 역으로,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지상역이며, JR 큐슈 서비스가 역 운영을 위탁하고 SUGOCA 사용이 가능하며, 1925년에 개설되어 2023년 기준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5,277명이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 - 기온역 (후쿠오카현)
기온역은 1983년에 개업한 후쿠오카 시 지하철 1호선(공항선)의 역으로, 하카타역과 지하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주변은 상업 지역이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 - 니시진역
니시진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사와라구 니시진에 위치한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의 역으로, 메이지도리 아래에 있으며, 1981년 개업 후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 당시 임시역으로 운영되었고, 현재는 후쿠오카역에서 원격 관리되며 니시진 상점가 등 상업 시설과 교육 기관이 주변에 위치한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철도역 - 기온역 (후쿠오카현)
기온역은 1983년에 개업한 후쿠오카 시 지하철 1호선(공항선)의 역으로, 하카타역과 지하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주변은 상업 지역이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의 철도역 - 니시진역
니시진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사와라구 니시진에 위치한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의 역으로, 메이지도리 아래에 있으며, 1981년 개업 후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 당시 임시역으로 운영되었고, 현재는 후쿠오카역에서 원격 관리되며 니시진 상점가 등 상업 시설과 교육 기관이 주변에 위치한다.
메이노하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위치 정보 | |
주소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니시구 메이노하마 4 Chome-8-1, 819-0002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메이노하마 역 |
로마자 표기 | Meinohama-eki |
![]() | |
역 종류 | 고가역 |
운영 주체 | 규슈 여객철도 (JR 규슈) 후쿠오카 시 교통국 (후쿠오카 시 지하철) |
노선 | 지쿠히 선 공항선 |
승강장 | 2면 4선 (섬식 승강장 2개) |
연결 | 버스 터미널 |
역 번호 | JK01 K01 |
개업일 | 1925년 4월 15일 |
비고 | 공동 사용역 (후쿠오카 시 교통국 관할), 직영역 |
전체 비고 | 양 노선 상호 직통 운행 실시 |
이용 현황 (JR 규슈) | |
2020년 일일 승차 인원 | 4,590명 |
JR 규슈 내 순위 | 31위 |
코드 | |
전보 약호 | 메이 |
노선 정보 (JR 규슈) | |
노선 | 지쿠히 선 |
이전 역 (지쿠히 선) | 규다이갓켄토시 (지쿠히 선 쾌속) |
다음 역 (지쿠히 선) | 공항선 |
이전 역 (지쿠히 선) | 시모야마토 (지쿠히 선 완행) |
다음 역 (지쿠히 선) | 공항선 |
노선 정보 (후쿠오카 시 지하철) | |
노선 | 공항선 |
이전 역 (공항선) | 지쿠히 선 |
다음 역 (공항선) | 무로미 |
과거 정보 (국철 시대) | |
노선 | 지쿠히 선 |
이전 역 | 니시신 |
역간 거리 | 2.8km |
기점 역 | 하카타 |
역 기점 거리 | 11.7km |
개업일 (하카타 방면) | 1925년 6월 15일 |
폐지일 | 1983년 3월 22일 |
2. 역사
- 1925년(다이쇼 14년) 4월 15일: 기타큐슈 철도가 마에바루 역(현재의 지쿠젠마에바루 역)까지 연장 개통하면서 '''메이노하마 역'''으로 개설.[12]
- 1937년(쇼와 12년) 10월 1일: 기타큐슈 철도가 국유화되면서 '''메이노하마 역'''으로 개칭되고 지쿠히 선 소속 역이 됨.[14]
- 1983년(쇼와 58년) 3월 22일:
- * 국철 지쿠히 선의 메이노하마 역 - 가라쓰역 구간 전철화(직류 1,500V), 하카타역 - 메이노하마 역 구간 폐지. 메이노하마 역은 고가화되어 지쿠히 선의 기점이 됨.
- * 후쿠오카시 지하철 1호선(현재의 구코선) 개통, 지하철 1호선과 국철 지쿠히 선 상호 직통 운전 개시. 메이노하마 역은 후쿠오카 시 교통국 관할 역이 됨.
- 1987년(쇼와 62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에 따라 지쿠히 선이 규슈 여객철도(JR 큐슈)에 승계됨.[2]
- 2009년(헤이세이 21년) 3월 7일: IC 카드 하야카켄 사용 개시 (후쿠오카 시 지하철만 해당).
- 2010년(헤이세이 22년) 3월 13일: 지쿠히 선 방면으로 IC 카드 SUGOCA 사용 개시.[16] 하야카켄, nimoca, Suica와도 상호 이용 개시.
3. 역 구조
메이노하마역은 고가역으로, 역 건물 아래에 4개의 선로를 운행하는 2면 상대식 승강장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안쪽 선로는 후쿠오카시 지하철에서, 바깥쪽 선로는 JR 큐슈에서 사용하며, 환승이 용이하다. 역에는 직원이 배치되어 있다.[8]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공항선과 JR 큐슈의 지쿠히 선 두 노선이 상호 운행하고 있으며, 각 노선의 기점 역할을 한다. 공항선 열차의 약 절반이 지쿠히 선으로, 지쿠히 선의 모든 열차가 공항선으로 직통 운전하고 있어, 후쿠오카 공항역 - 가라쓰역, 니시카라쓰역 간의 노선 중간역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JR 큐슈의 차량은 공항선 전 구간에 운행하지만, 후쿠오카 시 교통국 차량은 지쿠히 선 내에서는 지쿠젠마에바루역까지만 운행한다.
후쿠오카 시 교통국과 JR 큐슈의 공동 사용역이지만, 역 자체는 후쿠오카 시 교통국이 관할하고 있다.[9] 1983년 공항선 개업 및 지쿠히 선 부분 폐지, 1987년 국철 분할 민영화를 거쳐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10] 2019년까지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관구 역장 소재역이었으며, 메이노하마 관구역으로서 당역 - 후지사키역 구간을 관리했다.[11] 현재는 텐진 관구역의 피관리역이지만, 텐진 관구역 산하의 메이노하마 역장 소재역으로,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직영역이다.
3. 1. 승강장
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고가역이다. 안쪽 2, 3번 선은 지하철 방면 열차가 사용하며, 메이노하마 차량기지로 이어진다. 바깥쪽 1, 4번 선은 JR 지쿠히 선 직통 열차가 사용한다. 사고나 재해 등으로 운행 계획이 혼란해진 경우에는 지쿠히선 열차도 당역에서 출발/도착하며, 이 경우에는 맞은편 승강장에서 환승하게 된다.회차 운전 시 지쿠히선에서 오는 열차는 1번 선으로 들어가 회송 열차로 한 번 시모야마토 방면으로 이동한 후, 3 또는 4번 선으로 들어가 지쿠히선의 당역 시발 열차가 된다. 이때 지하철에서 오는 당역 종착 열차는 3 또는 4번 선으로 들어가 맞이 연결을 한다. 지하철선의 인상선은 없으며, 지쿠히선의 인상은 차량기지로 가는 선로를 이용하고 있다.
JR의 장거리 승차권은 구입이 불가능하다.[20]
역의 심볼 마크는 후쿠오카시 출신의 그래픽 디자이너 니시지마 이사오가 디자인한 것으로, 역 부근에 있는 코도 요트 하버를 본뜬 요트이다.
역명판은 오랫동안 공항선, 하코자키선의 후쿠오카시 지하철 오리지널 디자인이 아닌, 국철 디자인에 준거한 것(서체는 범용 활자)을 사용했다. 후쿠오카시 지하철의 역 번호 도입 이후에는 역 번호 아이콘이 추가되었지만, 2018년 JR 규슈의 역 번호 도입 시 양쪽 역 번호 아이콘과 요트 심볼 마크를 넣은 후쿠오카시 지하철 오리지널 디자인(한자 표기가 더 큼)으로 갱신되었다.
당역은 지쿠히선의 기점이지만, 승강장 옆에 있는 기로 포스트는 12.5km로 되어 있다. 이것은 지쿠히선의 하카타역에서 토리카이역 경유의 거리이며, 이 12.5의 숫자는 1963년에 이전하기 전의 하카타역(역사 참조) 위치에서의 거리를 나타낸다.[21]
열차 운행에 혼란이 발생할 경우에는 3번 선에서 지쿠히 선 열차가 출발하고, 4번 선에 지하철선 당역 종착 열차가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
4. 이용 현황
2020 회계 연도에 이 역은 하루 평균 4,690명(승차 인원만 해당)이 이용했으며, JR 큐슈에서 가장 붐비는 역 중 31위를 기록했다.[3] 같은 기간 동안 이 역의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 부분은 하루 36,269명의 승객을 기록했다.[4]
JR 큐슈와 후쿠오카 시 교통국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역으로, 두 노선이 상호 운행한다.
- '''JR 큐슈''' - 2023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5,636명'''이다.[34]
- 후쿠오카 시 교통국으로부터의 직통 인원은 포함되지 않는다.
- JR 큐슈 관내의 역 중에서는 야하타역에 이어 30위이다.
- 국철 시대에는 급행 정차역이었으며, 1974년 1일당 승강객은 약 3,000명이었다.[25]
- '''후쿠오카 시 교통국''' - 2023년도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19,288명'''이다.[26]
- 후쿠오카 시 교통국에서는 하카타역, 텐진역, 후쿠오카 공항역, 텐진미나미역, 니시진역 다음으로 많다.
- JR 큐슈로부터의 직통 인원은 포함되지 않은 수치이다. JR 큐슈로부터의 1일 평균 직통 인원은 '''24,728명'''이며, 이를 합산한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44,016명'''이다.
최근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아래 표와 같다.
5. 역 주변
역 주변은 고층 아파트가 줄지어 선 주택가이다. 역 앞에는 버스 터미널이 있어, 많은 버스가 발착하고 있다.
- 니시구청
- 메이노하마 나들목(후쿠오카 고속 도로 1호선)
- 하카타 만
- 후쿠오카시 요트 하버
- 니시 시민 센터
- * 후쿠오카 시립 니시 도서관
- 니시 보건소
- 헬로 워크 후쿠오카 니시
- 일본 연금 기구 니시 후쿠오카 연금 사무소
- 오도 공원
- 노코 섬행 시영 페리 선착장
- 이온 몰 마리나 타운점
- 맥스밸류 익스프레스 메이노하마역 앞점
- 니시테쓰 스토어 메이노하마점
- 웨스트 코트 메이노하마
- 마리노아 시티 후쿠오카
- 니시후쿠오카 마리나 마리노아
- 후쿠오카 시립 우치하마 초등학교
- 후쿠오카 시립 우치하마 중학교
- 후쿠오카 시립 메이노하마 초등학교
- 후쿠오카 시립 메이키타 초등학교
- 후쿠오카 시립 아타고하마 초등학교
- 후쿠오카 시립 메이노하마 중학교
- 후쿠오카 시립 후쿠시게 초등학교
- 후쿠오카 시립 후쿠오카 여자고등학교
- 규슈 전력 주식회사 후쿠오카 니시 영업소
- 메이노하마 기독교 교회
- 훼미리마트(JR 큐슈 리테일 운영) JR 메이노하마역점 (역 고가 아래)
- 세븐일레븐 후쿠오카시 지하철 메이노하마역점 (역 컨코스 내)
- 에키마치 1초메 메이노하마
- * 롯데리아
- * 시애틀즈 베스트 커피
'''니시테쓰 버스(西鉄バス)''' 노선 (2024년 3월 16일 현재)
- 북구 (마리나 타운·노코 페리 터미널·노가타 방면) ☆는 북구 → 남구에 정차. ('''남구에서 북구는 경유하지 않음''')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종점 |
---|---|---|
1 | 메이노하마 → 아타고하마 4초메 | 노코 페리 터미널 |
98 | 메이노하마역 북구 → 나가라 단지 → 마리나 타운 | 노코 페리 터미널 |
1 ☆ | 메이노하마역 남구 → 신무로미 → 하시모토 → 노가타 → (하시모토역) → 후지가오카 단지 → 이키오카 중학교(壱岐丘中学校) → 하네도 → 간타케 영업소 | |
1-5 ☆ | 메이노하마역 남구 → 신무로미 → 나카무라 → 주로쿠초 단지 | 노가타 |
- 남구 (후지사키·후쿠오카 타워·텐진·하카타역·현청·하시모토역·산요 고교·노가타 방면)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종점 |
---|---|---|
1·1-5 | 메이노하마역 남구 → 후지사키 → 후쿠오카 타워 남구 | 의료센터 구내 |
7 | 메이노하마역 남구 → 무로미 3초메 → 쇼다이 3초메 → 롯폰마츠 → 국체도로 → 텐진 | 나노츠 4초메 |
급행 105 | 후쿠시게 3초메 → 오다베 1초메 → 하라 → 아라에 4각 → 벳푸역 앞 → 롯폰마츠 → 소후타 학원 입구 → 야쿠인 오도리 → 야쿠인역 앞 → 와타나베도리 1초메 | 하카타역 |
525 | 아타고 1초메 → 도시 고속 → 텐진 | (케이고사마치·롯폰마츠 방면) |
526 | 아타고 1초메 → 도시 고속 → 텐진 → 국체도로 → 캐널시티 하카타 앞 → 기온마치 | 하카타역 |
1 | 신무로미 → 하시모토 → 노가타 → 후지가오카 단지 → (하시모토역) → 이키오카 중학교(壱岐丘中学校) 앞 → 하네도 → 간타케 영업소 | |
1 | 신무로미 → 하시모토 → 노가타 → 후쿠오카 니시료 고교 앞 | 산요 고교 앞 |
1-4 | 토바시 → 외환상선 → 후쿠오카 니시 우체국 앞 → (하시모토역) → 노가타 | (1-6으로) |
1-5·525 | 신무로미 → 이시마루 3초메 → 나카무라 → 주로쿠초 단지 | 노가타 |
1-6 | 외환상선 → 후쿠오카 니시 우체국 앞 → 이시마루 3초메 → 나카무라 → 시모야마토 단지 → 미야노마에 단지 → 나마노마츠바라 단지 남 → 웨스트힐즈 → 이키마츠다이 → 노가타 | (1-4로) |
1-7 | 차량 기지 앞 → 시모야마토 → 나카무라 → 시모야마토 단지 → 시모야마토역 입구 → 나마노마츠바라 단지 | 산요 고교 앞 |
526 | 외환상선 → 후쿠오카 니시 우체국 앞 → 이시마루 3초메 → 나카무라 → 시모야마토 단지 → 미야노마에 단지 → 나마노마츠바라 단지 남 → 웨스트힐즈 | 노가타 |
'''쇼와 버스(昭和自動車)''' (남구 쇼와 버스 승차장에서 출발)
- 마리노아 시티선
- * 메이노하마 → 오도 → 오도 중앙 → 오도 공원 → 마리노아 시티 후쿠오카
'''메이노하마 택시(姪浜タクシー)''' (북구 택시 승차장 부근에 정차)
- 이마주쿠 메이노하마선
- * 오도 → 나마노마츠바라 → 오타니 → 나가토 해변 공원 앞 → 이마주쿠역 → 아오키 → 이마주쿠 야외 활동 센터
6. 인접역
- - 지하철 공항선·지쿠히 선
- 쾌속(지하철선 내는 각 역에 정차)
무로미역 (K02) - '''메이노하마역 (K01·JK01)''' - (평일은 시모야마토역 (JK02)) - 큐다이가쿠켄토시역 (JK04)
- 보통
무로미역 (K02) - '''메이노하마역 (K01·JK01)''' - 시모야마토역 (JK02)
7. 기타
- 1981년(쇼와 56년) 7월 26일, 후쿠오카시 지하철 1호선 무로미역 - 텐진 구간이 개통되었다.[15]
- 당시 지하철 메이노하마 차량기지 - 당역 - 무로미역 구간은 미완성이었다. 그래서 차고에 들어가는 지하철 차량은 터널 출구에서 지쿠히선 연락선까지 스스로 주행한 후, 축전지식 기관차 BB-1이 견인하여 지쿠히선 당역 구내를 통과하여 차량기지에 들어가는 방식을 사용했다.
- 2009년(헤이세이 21년) 3월 7일, IC 카드 하야카켄 사용이 개시되었다. (처음 1년 동안은 후쿠오카시 지하철만 대응)
- 2010년(헤이세이 22년) 3월 13일, 지쿠히선 방면으로 IC 카드 SUGOCA 사용이 개시되었고,[16] 하야카켄, nimoca, Suica와도 상호 이용이 시작되었다.
- 2013년(헤이세이 25년) 3월 23일, 위에 언급된 IC 카드 외에 ICOCA, TOICA, Kitaca, PASMO, manaca, PiTaPa와도 상호 이용이 시작되었다.
- 2020년(레이와 2년) 4월 1일, 메이노하마 관할역이 폐지되고 텐진 관할역으로 통합되면서 메이노하마역은 텐진 관할역의 피관리역이 되었다.[10]
참조
[1]
서적
Kodansha
[2]
문서
Teishajo
[3]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0年度)
https://www.jrkyushu[...]
2023-09-08
[4]
웹사이트
Fukuoka City Subway)
https://subway.city.[...]
2023-09-08
[5]
서적
週刊 JR全駅・全車両基地
朝日新聞出版
2012-09-30
[6]
서적
停車場変遷大事典 国鉄・JR編 Ⅱ
JTB
1998-10-01
[7]
문서
日本国有鉄道旅客局(1984)『鉄道・航路旅客運賃・料金算出表 昭和59年4月20日現行』。
[8]
문서
常磐緩行線|常磐線綾瀬駅・紀勢本線和歌山市駅・予土線若井駅および鹿児島交通枕崎線が接続していた時代の枕崎駅があり、若井駅は現在も同様の措置が採られている。
[9]
문서
同じく地下鉄乗り入れで管轄が変わった例として、御陵駅(京都市交通局・京阪電気鉄道|京阪)や竹田駅 (京都府)|竹田駅(京都市交通局・近畿日本鉄道|近鉄)、天神橋筋六丁目駅(大阪市高速電気軌道|Osaka Metro・阪急電鉄|阪急)、綾瀬駅(東京メトロ千代田線・東日本旅客鉄道|JR東日本)がある。渋谷駅(東急田園都市線・東京メトロ半蔵門線)も地下鉄乗り入れ後は東京地下鉄|東京メトロ(変更当時は帝都高速度交通営団|営団)に管轄が変わったが、現在は東急電鉄|東急管轄に戻っている。
[10]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元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3
[11]
PDF
入札結果表(天神)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公式ウェブサイト
2023-12-08
[12]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5年4月23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3]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官報』1925年6月1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4]
간행물
「鉄道省告示第359号・第360号」『官報』1937年9月29日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5]
문서
国土交通省鉄道局監修『鉄道要覧』平成28年度版、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p.175
[16]
뉴스
交通新聞社
2010-03-16
[17]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平成26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3
[18]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平成27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3
[19]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平成30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3
[20]
문서
開業当初は博多連絡の一部中長距離区間の硬券(地図式常備券と準常備券)を福岡市営地下鉄の定期券発売所で販売していたが、硬券の廃止以降は長距離の連絡乗車券の窓口発売を行っていない。一方JR九州では駅構内に所在したJR九州旅行姪浜支店が事実上姪浜駅のJR窓口として連絡乗車券やJR単独券を取り扱っていた。さらにはJR九州様式の姪浜駅入場券(入場券は別途福岡市営地下鉄の券売機でも地下鉄様式で販売)もマルス端末または常備券で発売していたが、2014年3月31日に同支店が閉店したため不可能になった。
[21]
웹사이트
姪浜駅のキロポストに隠された秘密 実際のキロ程と食い違う理由とは
https://www.tetsudo.[...]
鉄道コム
2019-07-20
[22]
문서
旧:生活列車→am/pm
[23]
문서
旧:姪浜デイトス・駅構内に食料品やカフェ、ファッション、サービス店等の店が約30店舗ある商業施設 姪浜駅は1号店にあたる
[24]
문서
デジタルツーカー時代に開店。その後、J-フォンショップ・ボーダフォンショップを経てソフトバンクショップとなった。
[25]
서적
福岡駅風土記
葦書房
1974
[26]
PDF
令和6年度 地下鉄概要パンフレット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7]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平成28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0-08-31
[28]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17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0-08-24
[29]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18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0-03-27
[30]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19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0-08-24
[31]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0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1-08-25
[32]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1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9-02
[33]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2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3-01
[34]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3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