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신은 2012년 방영된 MBC 드라마로, 고려 무신정권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 고려는 외왕내제 체제로 운영되었으며, 무신정변 이후 최충헌, 최우로 이어지는 최씨 무신정권이 60여 년간 지속되었다. 몽골의 침략에 맞서 강화도로 천도하여 항쟁을 벌였으며, 김준을 비롯한 무신들의 활약과 몽골과의 관계를 그린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김주혁, 김규리, 정보석, 박상민 등이 있으며, 시청률은 10% 초반대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환경 시나리오 작품 - 무풍지대
무풍지대는 일제강점기부터 5.16 군사정변 이후까지 한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이정재, 유지광, 김두한, 시라소니 등 주먹 세계 인물과 이승만, 이기붕 등 정치인의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로, 자유당 정권 몰락 과정에서 정치깡패들의 활약상을 묘사하여 김두한 미화 및 폭력 미화 논란과 해동검도 대중화에 기여했다. - 이환경 시나리오 작품 - 야인시대
《야인시대》는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김좌진의 아들 김두한이 거지에서 종로패 두목, 국회의원이 되는 일대기를 그린 SBS 드라마이며, 청년 김두한 액션 장면과 심영의 "내가 고자라니" 대사로 큰 인기를 얻었다. - 무협 드라마 - 무사 백동수
《무사 백동수》는 조선 최고의 검객 백동수와 숙적 여운이 정치적 음모와 암투 속에서 활약하며 우정, 의리, 충성심 등을 다룬 2011년 SBS 드라마이다. - 무협 드라마 -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
연산군 시대를 배경으로 홍길동의 삶과 투쟁을 그린 드라마 역적: 백성을 훔친 도적은 부패한 시대에 의적 활동을 펼치는 홍길동이 혁명가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리고 있으며, 김상중을 비롯한 여러 배우들의 열연과 함께 작품성을 인정받아 2017년 MBC 연기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등 8관왕을 달성했다. - 고려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태종 이방원의 삶과 왕권 강화를 위한 투쟁을 그린 KBS1 대하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높은 시청률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역사 왜곡 논란과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고려를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제국의 아침
《제국의 아침》은 2002년 KBS에서 방영된 고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대하드라마로, 외왕내제 체제 하의 역사적 사실과 주요 등장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김상중 등이 출연했다.
무신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무신 Warrior K |
장르 | 사극 액션 |
각본 | 이환경 |
연출 | 김진민 김흥동 |
출연 | 김주혁 김규리 정보석 박상민 주현 이주현 홍아름 |
작곡가 | 마상우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 횟수 | 56부작 |
제작 | 김호준 주선 |
방송사 | MBC |
방송 기간 | 2012년 2월 11일 ~ 2012년 9월 15일 |
제작 정보 | |
기획 | 김정호 MBC |
기타 | |
상영 시간 | 70분 |
2. 역사적 배경
이 드라마는 고려 왕조 중기의 무신정권 시대를 주요 배경으로 삼고 있다. 특히 고려 시대 몽골의 침략이라는 거대한 외침 속에서 노비 출신의 김준이 최고 권력자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2. 1. 고려 무신정권의 성립
드라마 《무신》은 고려 왕조 중기의 무신정권 시대를 주요 배경으로 삼고 있다. 이 시기는 도망친 궁궐 노비의 아들로 태어나 승려들에게 길러진 김준이 여러 역경을 딛고 무신으로서 최고의 권력자가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격동의 시대였다. 드라마는 주인공 김준이 고려 시대 몽골의 침략 시기를 거치며 계급을 뛰어넘어 최고의 군사 관리가 되고, 결국 고려를 왕 대신 약 60년간 실질적으로 통치하게 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한다. 또한 이 작품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방영되었던 드라마 《무인시대》의 후속편 격으로 볼 수 있으며, 《무인시대》에서 다루었던 무신정권 초기의 사건들 이후 시점을 배경으로 한다.2. 2. 대몽 항쟁
드라마 《무신》은 고려 시대 몽골의 침략 시기를 주요 배경으로 삼고 있다. 주인공 김준은 본래 노비 신분이었으나, 몽골과의 기나긴 항쟁 과정 속에서 점차 신분이 상승하여 최고 군사 지위에 오르게 된다. 결국 그는 고려의 실권을 장악하여 왕을 대신해 약 60년간 권력을 행사하는 인물로 그려진다.[1]또한 이 드라마는 불교 경전의 집대성이라 할 수 있는 대장경 제작 천년을 기념하는 의미를 담아 제작되었다.[2] 이는 몽골의 침략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 속에서도 팔만대장경을 판각하며 국론을 결집하고 외세의 침략에 맞서고자 했던 당시 고려인들의 강인한 의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과 연결된다.
2. 3. 외왕내제 체제
고려는 조선과 다르게 외왕내제 체제로 운영되었다. 고려 초기 태조 왕건은 통천관을 사용했는데, 이는 당시 중국 황제가 쓰던 황관이었다. 광종대부터 원종대까지 대외적으로 외왕내제 체제였다.3. 주요 등장인물
이 드라마는 고려 무신정권 시대를 배경으로, 노비 출신에서 최고 권력자가 된 김준 (김주혁 분)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최씨 정권의 핵심 인물인 최우 (정보석 분), 그의 딸 최송이 (김규리 분), 충직한 가신 최양백 (박상민 분) 등도 주요하게 등장한다. 김준의 연인인 월아와 안심(홍아름 분, 1인 2역) 역시 극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실존 및 가상 인물들이 등장하여 당시의 시대상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자세한 등장인물 정보는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3. 1. 실존 인물
이 드라마는 고려 중기 무신정권 시대를 배경으로 하며, 노비 출신으로 최고 권력자의 자리에 오른 실존 인물 김준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1] 김준 외에도 최씨 정권을 이끈 최충헌, 최우, 최항 등 당대의 주요 무신들과 고려 고종을 비롯한 왕족, 이규보와 같은 문신들이 등장한다. 또한 고려-몽골 전쟁 시기를 다루면서 사르타이, 쿠빌라이 칸 등 몽골 제국의 인물들도 비중 있게 그려진다. 드라마는 이들 실존 인물을 중심으로 당시의 정치적 격변과 사회상을 보여주고자 했다. 각 인물군에 대한 자세한 소개는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3. 1. 1. 김준과 그 주변 인물
- 김준 (김주혁 분): 도망친 궁궐 노비의 아들로 태어나 승려들에게 길러졌다. 전쟁 통에 집에서 쫓겨난 후, 주인을 위해 목숨을 건 격구 경기에 참여하며 평화주의적인 태도를 버리게 된다. 몽골의 침략 시기에 계급이 상승하여 최고 군사 관리가 되었고, 결국 고려 왕을 대신하여 60년간 무신정권의 마지막 집권자가 된다.
배우 | 역할 | 비고 |
---|---|---|
김주혁 | 김준 | 본작의 주인공 |
홍아름 | 월아 / 안심 | 김준의 첫사랑(월아) / 김준의 두 번째 사랑이자 아내(안심). 1인 2역. |
강신일 | 수법 | 김준을 아들처럼 키워준 승려 |
박해수 | 김윤후 | 승려 출신의 장수 |
진선규 | 갑이 | 김준의 동료 |
이현걸 | 가필 | 김준의 동료 |
김용운 | 구필 | 김준의 동료 |
3. 1. 2. 최씨 무신정권 인물
배역 | 배우 | 비고 |
---|---|---|
최충헌 | 주현 | 최씨 정권의 창시자, 고려 무신 |
최우 | 정보석 | 최충헌의 아들, 고려 무신 |
최항 | 백도빈 | 최우의 서자, 고려 무신 |
최의 | 이도영 | 최항의 아들, 고려 무신 |
송이(우봉 최씨) | 김규리 | 최우의 딸, 김약선의 부인 |
김약선 | 이주현 | 최우의 사위, 고려 무신 |
정씨부인 | 김서라 | 최우의 첫째 부인 |
대씨부인 | 김유미 | 최우의 둘째 부인 |
김준 | 김주혁 | 노예 출신 무신, 최씨 정권을 무너뜨린 인물 |
최양백 | 박상민 | 최충헌의 가신, 고려 무신 |
최향 | 정성모 | 최충헌의 동생, 고려 무신 |
임연 | 안재모 | 고려 무신, 김준 정권 타도 시도 |
만종 | 김혁 | 고려 승려, 최충헌 암살 시도 |
송길유 | 정호빈 | 고려 무신 |
박송비 | 김영필 | 고려 무신 |
이공주 | 박상욱 | 고려 무신 |
대집성 | 노영국 | 고려 무신 |
주숙 | 정선일 | 고려 무신 |
이장용 | 이석준 | 고려 문신, 최향의 측근 |
최춘명 | 임종윤 | 고려 무신, 최향의 측근 |
정숙첨 | 정욱 | 고려 문신 (특별출연) |
정안 | 이경영 | 고려 문신 |
3. 1. 3. 최향 주변 인물
- 정성모 : 최향 역 - 고려 무신, 최우의 동생
- 김서라 : 정씨부인 역 - 최향의 부인
- 백도빈 : 최항 역 - 최우의 아들
- 김혁 : 만종 역 - 고려 승려
- 이석준 : 이장용 역 - 고려 문신, 이전 최향의 측근
- 임종윤 : 최춘명 역 - 고려 무신, 이전 최향의 측근
3. 1. 4. 고려 왕실 인물
- 이승효 : 고종 역 - 고려 23대 황제
- 백승우, 강태성 : 원종 역 - 고려 24대 황제
- 방준서, 최다은 : 정순왕후 역 - 원종의 부인
- 진대원 : 태자 역 - 원종의 아들
- 한인수 : 회안공 역 - 고려황실 종친
- 김지완 : 영녕공 역 - 고려왕실 종친
- 박예진 : 영녕공의 부인 역 - 몽케의 딸
- 문회원 : 신안공 역 - 고려황실 종친
- 유동혁 : 안경공 역 - 고려 임시 왕
3. 1. 5. 몽골 제국 인물
배역 | 배우 | 설명 |
---|---|---|
오고타이 | 송용태 | 몽골 2대 대칸 |
탈녀가네 | 서지연 | 오고타이의 부인 |
자꾸예 | 조덕제 | 몽골 사신 |
완안자연 | 이기영 | 몽골군에 소속된 동진국 장군 |
합진 | 유승봉 | 몽골군 대원수(강동성 전투) |
살리타이 | 이동신 | 몽골군 부원수(강동성 전투) → 몽고군 대원수(1~2차 여몽전쟁) |
탕꾸 | 정은찬 ↔ 윤동환 | 몽고골 군관(강동성 전투) → 몽골군 부원수(1~2차 여몽전쟁) → 몽골군 대원수(3차 여몽전쟁) |
포리대완(푸타우) | 김강일 ↔ 조상구 | 몽골 사신(강동성 전투) → 몽골 장수(1~3차 여몽전쟁) |
포리대완(푸타우)의 부장 | 손종학 | |
테케 | 지성환 | 몽골 군관(1~2차 여몽전쟁) |
디쥬 | 김길동 | 몽골 군관(1~2차 여몽전쟁) |
우예르 | 김시원 | 몽골 군관(1~2차 여몽전쟁) |
일라 | 김원중 | 몽고 군관(1차 여몽전쟁) |
바이누 | 윤영목 | 몽골 군관(1차 여몽전쟁) |
비벤 | 공호석 | 몽골 군관(1차 여몽전쟁) |
홍복원 | 이원재 | 고려의 반역자, 몽골 장수 |
이현 | 안홍진 | 고려의 반역자, 몽골 장수, 몽고 다루가치 |
몽케 | 김경룡 | 몽골 4대 대칸 |
쏭주 | 김영석 | 몽골군 부원수(5차 여몽전쟁), 몽케의 이복동생 |
예꾸 | 정흥채 | 몽골 대왕, 몽케의 숙부 |
아무간 | 김윤태 | 몽골군 대원수(4~5차 여몽전쟁) |
몽케다이 | 하성광 | 몽골 군관(5~8차 여몽전쟁) |
파양 | 이재연 | 몽고 군관(5~8차 여몽전쟁) |
보후지 | 정병호 | 몽골 군관(5~8차 여몽전쟁) |
자랄타이 | 방형주 | 몽골 군관(6~8차 여몽전쟁) |
무당 | 윤갑수 | 예꾸의 진영에서 굿을 한 무당 |
쿠빌라이 | 김명국 | 원나라 초대 황제(몽고 5대 대칸) |
카단 | 류성훈 | 몽골 대신 |
아수 | 최영균 | 몽골 군관 |
바얀 | 이기열 | 원나라 대승상 |
도케 | 강상구 | 몽골 사신 |
홍고이 | 김영석 | 몽골 사신 |
헤이더 | 이병욱 | 원나라 다루가치 |
우야손탈 | 신준영 | 원나라 다루가치 |
3. 1. 6. 기타 무신
- 김철기 : 김경손 역
- 백재진 : 김중온 역
- 임종윤 : 최춘명 역
- 전노민 : 문대 역 (카메오)
- 백인철 : 이자성 역
- 김주영 : 이원정 역
- 권태원 : 박서 역
- 전헌태 : 김취려 역
- 이석구 : 조충 역
- 손선근 : 박훤 역
- 최익준 : 박득분 역
- 여호민 : 조숙창 역 (조충의 아들)
- 최덕문 : 승도들을 고문하는 장수 역 (1회), 이희적 역 (20회) (특별출연)
- 정호빈 : 송길유 역
- 김영필 : 박송비 역
- 노영국 : 대집성 역
- 박해수 : 김윤후 역
- 안재모 : 임연 역
- 최재호 : 류송절 역
- 윤철형 : 최준문 역
- 이동신 : 사르타이 역 (몽골 장수)
- 조상구 : 푸타우 역 (몽골 장수)
- 정선일 : 주숙 역
- 배진섭 : 오승적 역
3. 1. 7. 문신
역할 | 배우 |
---|---|
이규보 | 천호진 |
이인로 | 허현호 |
최온 | 정동규 |
유경 | 최규환 |
최자 | 정규수 |
류경 | 김승욱 |
유승단 | 박종관 |
민희 | 서광재 |
박승선 | 최운교 |
김희제 | 윤영준 ↔ 김정균 |
노지정 | 이달형 |
류능 | 이승형 |
선인렬 | 정호근 |
강윤소 | 임승대 |
내관 (고종, 원종의 내관) | 김익태 |
3. 1. 8. 승려
4. 에피소드
- 2011년 고려시대의 침몰선박에서 발굴된 유물[25]이 재현되었다.[26]
- 2012년 8월에는 출연 중이던 배우 승규가 귀가 중 오토바이 사고로 세상을 떠났다.[27][28]
5. 시청률 및 평가
:'''최저 시청률'''과 '''최고 시청률'''은 시청률 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2012년 | |||||
---|---|---|---|---|---|
회차 | 방송일 | TNmS 시청률[14] | AGB 시청률[15] |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대한민국(전국) | 서울(수도권) | ||
제1회 | 2월 11일 | 7.4% | 9.8% | 7.1% | 7.7% |
제2회 | 2월 12일 | 7.6% | 9.5% | 8.4% | 9.2% |
제3회 | 2월 18일 | 6.8% | 7.8% | 7.2% | 8.2% |
제4회 | 2월 19일 | 8.7% | 8.8% | 8.2% | 8.3% |
제5회 | 2월 25일 | 9.5% | 10.3% | 9.5% | 10.2% |
제6회 | 2월 26일 | 9.8% | 10.9% | 9.7% | 10.2% |
제7회 | 3월 3일 | 10.7% | 10.8% | 10.2% | 11.1% |
제8회 | 3월 4일 | 11.6% | 12.2% | 11.8% | 12.5% |
제9회 | 3월 17일 | 9.0% | 9.7% | 9.6% | 10.2% |
제10회 | 3월 18일 | 8.6% | 9.2% | 10.0% | 10.7% |
제11회 | 3월 24일 | 9.4% | 10.6% | 9.8% | 11.3% |
제12회 | 3월 25일 | 10.5% | 11.1% | 10.8% | 12.1% |
제13회 | 3월 31일 | 10.3% | 13.9% | 10.6% | 11.3% |
제14회 | 4월 1일 | 10.9% | 12.0% | 12.2% | 13.2% |
제15회 | 4월 7일 | 8.3% | 9.8% | 9.0% | 9.9% |
제16회 | 4월 8일 | 10.0% | 11.5% | 11.2% | 12.4% |
제17회 | 4월 14일 | 10.2% | 11.6% | 10.1% | 11.0% |
제18회 | 4월 15일 | 10.0% | 10.2% | 10.6% | 11.4% |
제19회 | 4월 21일 | 9.5% | 10.4% | 9.5% | 10.2% |
제20회 | 4월 22일 | 11.2% | 12.3% | 10.3% | 11.2% |
제21회 | 4월 28일 | 9.7% | 10.7% | 10.0% | 10.6% |
제22회 | 4월 29일 | 11.3% | 13.2% | 11.0% | 11.8% |
제23회 | 5월 5일 | 9.8% | 10.5% | 11.3% | 12.4% |
제24회 | 5월 6일 | 10.7% | 11.5% | 12.3% | 13.8% |
제25회 | 5월 12일 | 9.2% | 10.3% | 10.5% | 11.8% |
제26회 | 5월 13일 | 10.7% | 12.4% | 13.1% | 14.0% |
제27회 | 5월 19일 | 10.6% | 11.6% | 10.6% | 11.9% |
제28회 | 5월 20일 | 11.4% | 12.5% | 12.5% | 14.0% |
제29회 | 5월 26일 | 9.7% | 10.4% | 10.1% | 11.2% |
제30회 | 5월 27일 | 10.5% | 11.4% | 10.4% | 11.9% |
제31회 | 6월 2일 | 11.2% | 12.7% | 12.3% | 14.2% |
제32회 | 6월 3일 | 11.6% | 12.7% | 10.7% | 11.6% |
제33회 | 6월 9일 | 10.5% | 11.8% | 10.5% | 11.4% |
제34회 | 6월 10일 | 12.1% | 13.6% | 10.8% | 12.3% |
제35회 | 6월 16일 | 10.6% | 10.7% | 10.0% | 10.9% |
제36회 | 6월 17일 | 11.4% | 11.8% | 11.7% | 13.0% |
제37회 | 6월 23일 | 10.4% | 12.0% | 10.5% | 11.2% |
제38회 | 6월 24일 | 13.1% | 15.1% | 13.1% | 14.1% |
제39회 | 6월 30일 | 11.2% | 12.0% | 11.6% | 13.1% |
제40회 | 7월 1일 | 12.8% | 14.1% | 12.3% | 13.7% |
제41회 | 7월 7일 | 11.4% | 12.6% | 10.6% | 11.7% |
제42회 | 7월 8일 | 13.0% | 14.0% | 13.2% | 14.8% |
제43회 | 7월 14일 | 12.6% | 14.5% | 12.2% | 13.0% |
제44회 | 7월 15일 | 13.6% | 15.1% | 12.6% | 13.5% |
제45회 | 7월 21일 | 11.1% | 12.0% | 11.4% | 11.0% |
제46회 | 7월 22일 | 12.8% | 14.4% | 12.0% | 12.8% |
제47회 | 8월 12일 | 8.6% | 9.6% | 7.0% | 8.0% |
제48회 | 8월 18일 | 10.3% | 11.8% | 10.1% | 11.3% |
제49회 | 8월 19일 | 13.6% | 16.1% | 12.0% | 13.0% |
제50회 | 8월 25일 | 12.5% | 15.4% | 10.9% | 11.8% |
제51회 | 8월 26일 | 13.3% | 15.4% | 11.5% | 12.1% |
제52회 | 9월 1일 | 12.8% | 14.0% | 11.2% | 12.7% |
제53회 | 9월 2일 | 14.9% | 16.6% | 13.0% | 13.8% |
제54회 | 9월 8일 | 11.3% | 12.1% | 10.0% | 10.3% |
제55회 | 9월 9일 | 11.8% | 12.8% | 12.2% | 13.7% |
제56회 | 9월 15일 | 11.8% | 12.7% | 11.1% | 11.8% |
평균 시청률 | 10.8% | 12.0% | 10.8% | 11.7% | |
스페셜 | |||||
제1회 | 9월 16일 | 7.0% | 7.8% | 5.8% | 6.6% |
6. 수상
wikitext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2012 | MBC 연기대상 | 연속극 부문 남자 최우수상 | 김주혁 | 후보 |
정보석 | 후보 | |||
연속극 부문 여자 최우수상 | 김규리 | 후보 | ||
연속극 부문 남자 우수상 | 박상민 | 후보 | ||
이주현 | 후보 | |||
연속극 부문 여자 우수상 | 홍아름 | 후보 | ||
아역상 | 노정의 | 후보 |
참조
[1]
웹사이트
Warrior K :: MBC Global Media
https://content.mbc.[...]
2023-04-25
[2]
웹사이트
MBC <무신> 고려를 채우는 테스토스테론의 향기
http://tenasia.hanky[...]
2012-02-10
[3]
웹사이트
God of War
http://content.mbc.c[...]
2015-02-10
[4]
웹사이트
Kim Ju-hyeok and Kim Gyu-ri dating
http://koreajoongang[...]
2012-09-05
[5]
웹사이트
ละครเรื่อง คิมจุน วีรบุรุษกู้แผ่นดิน
http://www.tv5.co.th[...]
2015-08-30
[6]
문서
のち2013年10月17日から2014年1月9日まで(予定)日本語字幕版が[[BSジャパン]]で毎週月曜日から金曜日までの昼13時から14時にかけて放送。
[7]
웹사이트
武神 公式サイト
http://www.bushin-d.[...]
[8]
인용
MBC ‘무신’ 시청률 반토막, KBS ‘넝쿨째굴러온당신’ 30% 육박
http://entertain.nav[...]
헤럴드POP
2018-01-22
[9]
인용
막방 ‘무신’, 역사의식 고취 “고려의 자존심을 잃지 말라”
http://entertain.nav[...]
헤럴드POP
2018-01-22
[10]
뉴스
`암흑시대' 고려사 복원 활발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1-29
[11]
뉴스
(인터뷰-이환경 ‘제국의 아침’작가) “사극 통해 민족사관 전달 중”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02-03-03
[12]
뉴스
<연합인터뷰> 「제국의 아침」 작가 이환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2-03-03
[13]
뉴스
(기자의 눈)이진영/KBS에서 밀려난 ‘고려史’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04-08-20
[14]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참조.
http://www.tnms.tv/r[...]
[15]
웹사이트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참조.
http://www.nielsenko[...]
2017-11-11
[16]
뉴스
(긴급) MBC ‘무신’ 결방 소식에 시청자들 뿔났다
http://www.newsway.k[...]
뉴스웨이
2012-03-07
[17]
뉴스
'해품달' 이어 '무신'도 결방 확정 '초유의 사태'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2-03-07
[18]
뉴스
‘무신’ 김정호 CP “시청률 아쉬움이 크다”
http://news.donga.co[...]
스포츠동아
2012-06-25
[19]
뉴스
MBC '무신', 28·29일 결방..박태환 경기 본다
http://star.mt.co.kr[...]
머니투데이
2012-07-19
[20]
뉴스
'런던 올림픽' 중계, "무한걸스, 나가수2, 무신 결방 확정"
http://www.frontiert[...]
프런티어타임스
2012-07-20
[21]
뉴스
‘닥터진’, 오늘(5일) 20분 앞당겨 방송 ‘무신은 결방’
http://www.tvreport.[...]
TV리포트
2012-08-05
[22]
뉴스
‘섹션’ 방송 코앞 1시간 늦은 편성 “무신, 닥터진 장담못해”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2-08-05
[23]
뉴스
무신 결방 ‘차동민 이인종 출전’ 태권도 중계
http://artsnews.mk.c[...]
아츠뉴스
2012-08-11
[24]
뉴스
오늘 '무한도전' '신사의 품격' 결방없이 가는 걸로~ ”
http://osen.mt.co.kr[...]
OSEN
2012-08-11
[25]
뉴스
태안 앞바다서 열린 고려시대 '타임캡슐'
https://news.naver.c[...]
부산일보
2011-10-06
[26]
뉴스
‘무신’, 최충헌의 장기돌에 비밀이?!…독특한 장기돌 화제
http://tvdaily.mk.co[...]
티브이데일리
2012-02-25
[27]
뉴스
김홍취 역 탤런트 이승규 오토바이 사고사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8]
뉴스
강대성, 함효주, 김형은, 전영중…꿈 못피우고 교통사고로 떠난 이름들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3-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