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스니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니아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와 매우 유사한 남슬라브어의 표준어이다. 원래 키릴 문자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아랍 문자를 사용하기도 했다. 1995년 데이턴 협정에서 "보스니아어"로 명명되었으며, 국제 표준화 기구, 미국 지명 위원회, 영국 공무용 지명 상설 위원회 등에서 인정받고 있다. 보스니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간의 차이는 미미하며, 구어체에서 터키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어 - 아레비차
    아레비차는 오스만 제국 시기에 페르시아 문자를 바탕으로 보스니아어에 맞게 변형된 알파벳으로, 보스니아어의 특정 음운을 표기하기 위해 새로운 문자가 추가되었고 모든 모음에 대한 완전한 문자를 도입하여 알파벳의 형태를 갖추었다.
  • 보스니아어 -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 키릴 문자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보스니아에서 널리 쓰인 문자 체계로, 세르비아어 또는 마케도니아어 키릴 문자와 구별되는 글자 모양을 가지며 글라골 문자와 연관성이 깊고,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민족적 소속 논쟁에도 불구하고 보스니아 문화유산으로 여겨진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언어 - 세르비아어
    세르비아어는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슬라브어의 표준화된 방언으로,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발칸 반도를 중심으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세르비아 등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풍부한 문학적 유산을 가진 언어이다.
  • 알바니아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알바니아의 언어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고대 발칸 제어의 유일한 생존 언어로 추정되지만 기원은 불분명하고, 게그어와 토스크어 방언으로 나뉘며 토스크 방언 기반의 표준어가 알바니아와 코소보 등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음운 및 문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리리아어와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
보스니아어
지도 정보
보스니아어가 공용어(짙은 녹색) 또는 소수 언어(밝은 녹색)로 인정되는 국가들
보스니아어는 유네스코 세계 언어 위험 목록의 분류 시스템에 따라 멸종 위기에 처하지 않음
기본 정보
이름보스니아어
고유 이름/
민족보스니아인
사용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보스니아)
산자크(세르비아몬테네그로)
코소보
사용 지역발칸 반도
사용자 수267만 1,970명 (2020년)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슬라브어파
어군슬라브어파
하위 어군남슬라브어군
서부 남슬라브어군서부 남슬라브어군
속하는 언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방언슈토카비아 방언
신 슈토카비아 방언신 슈토카비아 방언
동헤르체고비나 방언동헤르체고비나 방언
문자라틴 문자(가이의 라틴 문자)
키릴 문자(세르비아 키릴 문자)
유고슬라비아 점자
과거 문자아랍 문자(아레비차)
보스니아 키릴 문자(보산치차)
공용어 국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소수 언어 국가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코소보
ISO 639-1bs
ISO 639-2bos
ISO 639-3bos
글롯로그bosn1245
글롯로그 이름보스니아어 표준어
링구아스피어53-AAA-g 의 일부
언어 상태멸종 위기에 처하지 않음
추가 정보
추가 정보세르보크로아티아어 단어의 터키어 기원 목록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페르시아 문학
보스니아 문학 유산 목록
유럽의 이슬람 세계로 가는 다리
주요 특징상호 이해 가능성
다중 중심 언어
방언슈토카비아 방언
차카비아 방언
카이카비아 방언
토를라크 방언
언어 관련 기관
언어 관련 기관보스냐크 연구소
참고
참고키릴 문자는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문자이지만, 실제로는 스릅스카 공화국에서 주로 사용되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서는 주로 라틴 문자가 사용됨.

2. 역사

1631년 무하메드 헤바지 우스크피(Muhamed Hevaji Uskufi)가 편찬한 보스니아어와 터키어 운율 어휘 사전은 최초의 보스니아어 사전으로 기록되어 있다.[20] 그러나 이 사전은 정기적으로 출판된 크로아티아어 사전과 달리 고립된 것이었다.

19세기까지 보스니아어 표준화가 실패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보스니아인 지식인들은 주로 아랍어, 터키어, 페르시아어 등 외국어로 글을 썼고, 아레비차로 쓰인 보스니아어 서적은 매우 드물었다.
  • 보스니아인의 국가적 해방이 늦어지고, 언어 문제가 종교적인 문제로 인식되면서 독자적인 보스니아어에 대한 계획은 큰 관심과 지원을 받지 못했다.


19세기 및 20세기 보스니아인을 위한 언어 규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외부에서 작성되었다. "보스니아인의 부흥" 시기(20세기 초) 보스니아인 저술가들의 어휘는 크로아티아어에 가까웠지만, 보스니아 무슬림의 특징(특히 어휘)을 갖추고 있었다. 이 시기 주요 저술가로는 사프베트-베그 바샤기치(Safvet-beg Bašagić), 무사 차짐 차티치(Musa Ćazim Ćatić), 에드헴 뮬라브디치(Edhem Mulabdić) 등이 있다.

유고슬라비아 성립 시기에는 세르비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라틴 문자가 지배적이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후 보스니아인들은 "보스니아어"라는 명칭 아래 원래의 어휘로 돌아갔다. 1990~2000년대부터 보스니아어는 이슬람권 및 동양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증가하고, 음소 /h/가 부활하는 등 독특한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20세기 초 "보스니아인의 르네상스" 시대로 회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1. 문자 체계의 변화

원래 키릴 문자를 썼었으나, 오스만 제국 시절에는 세르보크로아트어의 언어들 중 유일하게 아랍 문자를 썼다. 아랍 문자를 이용한 정서법을 사용한 다른 슬라브어계 언어로는 벨라루스어가 있다.

이 아랍 문자는 아레비차(Arebicabs)라고 하며, 아브자드(자음문자)인 아랍 문자를 알파벳으로 전용하여 표기하는 정서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아랍 문자의 사용은 19세기까지 이어지다가 20세기로마자로 대체되었다.

구 보스니아어 알파벳: ''보산치차''(윗줄)과 ''아레비차''(아랫줄), 현대 ''라티니차''(가운데 줄)와 비교


보스니아인들은 구어 수준에서는 세르비아인이나 크로아티아인보다 언어적으로 더 동질적이지만, 이들 국가와 달리 19세기에 표준어를 정착시키지 못했다. 이는 적어도 두 가지 요인이 결정적이었다.

  • 오스만 제국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보스니아 엘리트들은 주로 외국어(아랍어, 페르시아어, 오스만 튀르크어)로 글을 썼다.[20] 아레비차 문자로 쓰인 보스니아어 구어 문학은 비교적 적고 드물었다.
  • 보스니아인들의 민족 해방은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보다 뒤쳐졌고, 종교적 문제가 문화적 또는 언어적 문제보다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에 보스니아어 프로젝트는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큰 관심이나 지지를 불러일으키지 못했다.


현대 보스니아어 표준어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형성되었다. 어휘적으로는 이슬람-동양계 차용어가 더 빈번하게 사용되며, 음운론적으로는 /x/(문자 'h') 음소가 보스니아크어 구어 및 언어 전통의 독특한 특징으로 많은 단어에서 부활되었다. 또한, 20세기 초 보스니아크 르네상스를 중심으로 보스니아크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문학 전통을 반영하는 문법, 형태론, 철자법의 변화도 있다.

보스니아어는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보스니아인들은 다른 문자도 사용하거나 만들었지만, 표준이 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보산치차(Bosančica, "보스니아 고유 문자"라는 뜻), 베고비차(Begovica, 귀족용)를 만들었다. 또한 아랍 문자아레비차(Arevica)라고 부르며 사용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보스니아인 보스니아어 화자들은 구어 수준 어휘에서는 역사적 경위로 언어학적으로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와 같다. 그러나 표준화는 역사적 경위로 인해 결국 19세기까지 실패로 끝났다. 참고로, 최초의 보스니아어 사전은 1631년에 무하메드 헤바지 우스크피(Muhamed Hevaji Uskufi)에 의해 편찬된 보스니아어와 터키어의 운율 어휘 사전이다.

1631년 쓰인 보스니아어 사전. 보스니아어가 아랍문자로 표기되어 있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쓰이고 출판된 크로아티아어 사전과 달리, 우스크피의 사전은 고립된 단독의 것이었다. 이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 보스니아인 지식인들은 글을 쓰거나 출판할 때 대개 외국어(아랍어, 터키어, 페르시아어)를 사용했다. 개변된 아랍 문자로 쓰인 보스니아어 서적은 적고 매우 희박했다.
  • 보스니아인의 세르비아-크로아티아로부터의 국가적 해방은 상당히 늦었다. 또한 언어 문제의 본질은 문화적인 것이 아니라 종파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독자적인 보스니아어에 대한 계획은 관심이나 지원을 얻기 어려웠다.


19세기 및 20세기 보스니아인을 위한 언어 규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외부에서 작성되었다. 아마도 보편적인 보스니아인 저술가들(세기의 전환기에는 "보스니아인의 부흥"이라고 불렸다)의 어휘는 오히려 크로아티아 쪽(서부 예 방언의 어휘, 라틴 문자)이었고, 보스니아 쪽이 아니었다. 그러나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보스니아 무슬림의 특징(특히 어휘)을 갖추고 있었다. "보스니아인의 르네상스"의 주요 저술가는 석학이자 정치인이자 시인인 사프베트-베그 바샤기치(Safvet-beg Bašagić)와 '저주받은 시인'(poète maudit) 무사 차짐 차티치(Musa Ćazim Ćatić), 그리고 소설가 에드헴 뮬라브디치(Edhem Mulabdić)이다.

유고슬라비아가 성립하여 정체가 변화한 시기의 어휘는 세르비아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라틴 문자가 지배적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후 보스니아인과 보스니아인들은 국가의 표준어로서 "보스니아어"라는 명칭 아래 원래의 어휘로 돌아갔다.

문어에서는 보스니아어는 1990~2000년대부터 독특한 모습을 취하기 시작했다. 어휘는 이슬람권이나 동양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음성적으로, 음운적으로 특히 음소 /h/는 보스니아인의 화법이나 관습적 특징으로 많은 단어에서 부활하고 있다. 더욱이 문법, 형태론, 철자에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20세기 초 "보스니아인의 르네상스" 시대로의 회귀가 보인다.

2. 2. 표준화 과정

보스니아인들은 구어 수준에서는 세르비아인이나 크로아티아인보다 언어적으로 더 동질적이지만, 19세기에 표준어를 정착시키지 못했다. 여기에는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

  • 오스만 제국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보스니아 엘리트들은 주로 외국어(아랍어, 페르시아어, 오스만 튀르크어)로 글을 썼다.[20] 아레비차 문자로 쓰인 보스니아어 구어 문학은 비교적 적고 드물었다.
  • 보스니아인들의 민족 해방은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보다 뒤쳐졌고, 종교적 문제가 문화적 또는 언어적 문제보다 중요했기 때문에 보스니아어 프로젝트는 당시 지식인들 사이에서 큰 관심이나 지지를 받지 못했다.


현대 보스니아어 표준어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형성되었다. 어휘적으로는 이슬람-동양계 차용어가 더 빈번하게 사용되며, 음운론적으로는 /x/(문자 'h') 음소가 보스니아크어 구어 및 언어 전통의 독특한 특징으로 많은 단어에서 부활되었다. 또한, 20세기 초 보스니아크 르네상스를 중심으로 보스니아크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문학 전통을 반영하는 문법, 형태론, 철자법의 변화도 있다.

보스니아어는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보스니아인들은 다른 문자도 사용하거나 만들었지만, 표준이 되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보산치차(Bosančica, "보스니아 고유 문자"라는 뜻), 베고비차(Begovica, 귀족용)를 만들었다. 또한 아랍 문자아레비차(Arevica)라고 부르며 사용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보스니아인 보스니아어 화자들은 구어 수준 어휘에서는 역사적 경위로 언어학적으로 세르비아어크로아티아어와 같다. 그러나 표준화는 역사적 경위로 인해 결국 19세기까지 실패로 끝났다. 최초의 보스니아어 사전은 1631년에 무하메드 헤바지 우스크피(Muhamed Hevaji Uskufi)에 의해 편찬된 보스니아어와 터키어의 운율 어휘 사전이다.

그러나 정기적으로 쓰이고 출판된 크로아티아어 사전과 달리, 우스크피의 사전은 고립된 것이었다. 이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 보스니아인 지식인들은 글을 쓰거나 출판할 때 대개 외국어(아랍어, 터키어, 페르시아어)를 사용했다. 개변된 아랍 문자로 쓰인 보스니아어 서적은 적고 매우 희박했다.
  • 보스니아인의 세르비아-크로아티아로부터의 국가적 해방은 상당히 늦었다. 또한 언어 문제의 본질은 문화적인 것이 아니라 종파적인 것이었기 때문에, 독자적인 보스니아어에 대한 계획은 관심이나 지원을 얻기 어려웠다.


19세기 및 20세기 보스니아인을 위한 언어 규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외부에서 작성되었다. 보편적인 보스니아인 저술가들(세기의 전환기에는 "보스니아인의 부흥"이라고 불렸다)의 어휘는 오히려 크로아티아 쪽(서부 예 방언의 어휘, 라틴 문자)이었고, 보스니아 쪽이 아니었다. 그러나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보스니아 무슬림의 특징(특히 어휘)을 갖추고 있었다. "보스니아인의 르네상스"의 주요 저술가는 석학이자 정치인이자 시인인 사프베트-베그 바샤기치(Safvet-beg Bašagić)와 '저주받은 시인'(poète maudit) 무사 차짐 차티치(Musa Ćazim Ćatić), 그리고 소설가 에드헴 뮬라브디치(Edhem Mulabdić)이다.

유고슬라비아가 성립하여 정체가 변화한 시기의 어휘는 세르비아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라틴 문자가 지배적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후 보스니아인과 보스니아인들은 국가의 표준어로서 "보스니아어"라는 명칭 아래 원래의 어휘로 돌아갔다.

문어에서는 보스니아어는 1990~2000년대부터 독특한 모습을 취하기 시작했다. 어휘는 이슬람권이나 동양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음성적으로, 음운적으로 특히 음소 /h/는 보스니아인의 화법이나 관습적 특징으로 많은 단어에서 부활하고 있다. 더욱이 문법, 형태론, 철자에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20세기 초 "보스니아인의 르네상스" 시대로의 회귀가 보인다.

3. 문자



보스니아어는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가 사용되었다. 원래는 키릴 문자를 썼으나, 오스만 제국 시절에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중 유일하게 아랍 문자를 썼다. 이 아랍 문자는 아레비차(Arebica|아레비차bs)라고 불렸으며, 19세기까지 사용되다가 20세기로마자로 대체되었다.

보스니아인들은 보산치차(Bosančica), 베고비차(Begovica)와 같은 고유 문자도 만들었으나 표준화되지는 않았다.

보스니아어는 구어 수준에서는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와 언어학적으로 같았으나, 표준화는 19세기까지 실패했다. 최초의 보스니아어 사전은 1631년에 무하메드 헤바지 우스크피(Muhamed Hevaji Uskufi)가 편찬했으나, 널리 쓰이지 못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보스니아 지식인들은 주로 외국어(아랍어, 터키어, 페르시아어)를 사용했고, 아랍 문자로 쓰인 보스니아어 서적은 매우 드물었다.

# 보스니아인의 국가적 해방이 늦었고, 언어 문제는 종파적인 문제로 여겨져 독자적인 보스니아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부족했다.

19세기 및 20세기 보스니아인을 위한 언어 규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외부에서 작성되었다. "보스니아인의 부흥"이라 불린 시기(20세기 초)의 보스니아인 저술가들의 어휘는 크로아티아 쪽에 가까웠으나(서부 예 방언의 어휘, 라틴 문자), 보스니아 무슬림의 특징(특히 어휘)을 갖추고 있었다. 주요 저술가로는 사프베트-베그 바샤기치(Safvet-beg Bašagić), 무사 차짐 차티치(Musa Ćazim Ćatić), 에드헴 뮬라브디치(Edhem Mulabdić) 등이 있다.

유고슬라비아 성립 시기에는 세르비아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고 라틴 문자가 지배적이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후, 보스니아인들은 "보스니아어"라는 명칭 아래 원래 어휘로 돌아갔다.

문어에서 보스니아어는 1990~2000년대부터 독특한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슬람권 및 동양 언어에서 차용한 어휘가 증가하고, 음소 /h/가 부활하는 등 문법, 형태론, 철자에서 20세기 초 "보스니아인의 르네상스" 시대로 회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 1. 라틴 문자

보스니아어는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원래 키릴 문자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절에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중 유일하게 아랍 문자를 썼다. 20세기에 들어서 로마자로 대체되었다.

키릴 문자라틴 문자IPA 표기
А аA a
Б бB b
В вV v
Г гG g
Д дD d
Ђ ђĐ đ
Е еE e
Ж жŽ ž
З зZ z
И иI i
Ј јJ j
К кK k
Л лL l
Љ љLj lj
М мM m



키릴 문자라틴 문자IPA 표기
Н нN n
Њ њNj nj
О оO o
П пP p
Р рR r
С сS s
Т тT t
Ћ ћĆ ć
У уU u
Ф фF f
Х хH h
Ц цC c
Ч чČ č
Џ џDž dž
Ш шŠ š


3. 2. 키릴 문자

보스니아어는 원래 키릴 문자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절에는 세르보크로아트어 중 유일하게 아랍 문자를 사용했다. 아랍 문자를 이용한 정서법을 사용한 다른 슬라브어계 언어로는 벨라루스어가 있다.

이 아랍 문자는 아레비차(Arebica|아레비차bs)라고 하며, 아브자드(자음 문자)인 아랍 문자를 알파벳으로 전용하여 표기하는 정서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아랍 문자의 사용은 19세기까지 이어지다가 20세기로마자로 대체되었다.

보스니아어 알파벳 표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 IPA 표기 포함)는 아래와 같으며 키릴 문자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다.

키릴 문자라틴 문자IPA 표기
А аA a
Б бB b
В вV v
Г гG g
Д дD d
Ђ ђĐ đ
Е еE e
Ж жŽ ž
З зZ z
И иI i
Ј јJ j
К кK k
Л лL l
Љ љLj lj
М мM m
Н нN n
Њ њNj nj
О оO o
П пP p
Р рR r
С сS s
Т тT t
Ћ ћĆ ć
У уU u
Ф фF f
Х хH h
Ц цC c
Ч чČ č
Џ џDž dž
Ш шŠ š



보스니아인들은 보산치차(Bosančica, "보스니아 고유 문자"라는 뜻), 베고비차(Begovica, 귀족용) 등 다른 문자도 사용하거나 만들었지만, 표준이 되지는 않았다.

3. 3. IPA 표기

키릴 문자라틴 문자IPA 표기
А аA aa
Б бB bb
В вV vv
Г гG gɡ
Д дD dd
Ђ ђĐ đ
Е еE eɛ
Ж жŽ žʒ
З зZ zz
И иI ii
Ј јJ jj
К кK kk
Л лL ll
Љ љLj ljʎ
М мM mm
Н нN nn
Њ њNj njɲ
О оO oɔ
П пP pp
Р рR rɾ
С сS ss
Т тT tt
Ћ ћĆ ć
У уU uu
Ф фF ff
Х хH hx
Ц цC cts
Ч чČ č
Џ џDž dž
Ш шŠ šʃ


4. 음운론

보스니아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나뉜다.

보스니아어의 모음은 5개로, 모두 단모음이다. 자음은 마찰음경구개음 등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유성음무성음은 구분되지만, 유기음은 구분되지 않는다.

자음 군에서는 모든 자음이 마지막 자음의 유/무성에 따라 유성음 또는 무성음이 된다. 단, 접근음은 이 규칙에서 예외이며, 외래어나 고유명사 등에서도 예외가 나타날 수 있다.

'r'은 특정 단어에서 음절의 핵이 되어 모음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드물게 'l'도 음절 핵이 될 수 있다. 이는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마케도니아어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4. 1. 모음

보스니아어의 모음은 간단하며 5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모음은 단모음이다.

라틴 문자키릴 문자IPAX-SAMPA설명한국어 어림
iиii비원순 전설 고모음
eеeE비원순 전설 고반모음
aаäa비원순 중설 광모음
oоoo원순 후설 고반모음
uуuu원순 후설 고모음우(단, 입술을 둥글게 함)


4. 2. 자음

보스니아어의 자음 체계는 복잡하며, 마찰음경구개음에는 독특한 특징이 있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유성음 여부는 음소적으로 대립하지만, 유기음은 그렇지 않다.

라틴 문자키릴 문자IPA설명영어에서의 근사치
떨림소리rрr치경 떨림소리arr'ambar처럼 혀를 말아서 발음
접근음vвʋ순치 접근음'v'ase
jјj구개 접근음'y'es
측음lлl측면 치경 접근음'l'ock
ljљʎ측면 구개 접근음olu'me
비음mмm양순 비음'm'an
nнn치경 비음'n'ot
njњɲ구개 비음any'on
마찰음fфf무성 순치 마찰음'ph'ase
sсs무성 치경 마찰음's'ome
zзz유성 치경 마찰음'z'ero
šшʃ무성 치경 후부 마찰음'sh'eer
žжʒ유성 치경 후부 마찰음isi'on
hхh무성 성문 마찰음'h'at
파찰음cцʦ무성 치경 파찰음ots'
џʤ유성 후치경 파찰음odge'
čчʧ무성 후치경 파찰음'ch'air
đђʥ유성 치경 경구개 파찰음chedu'le
ćћʨ무성 경구개 파찰음atu're
파열음bбb유성 양순 파열음b'use
pпp무성 양순 파열음op'
dдd유성 치경 파열음'd'og
tтt무성 치경 파열음't'alk
gгɡ유성 연구개 파열음'g'od
kкk무성 연구개 파열음uck'



자음 군 내의 자음은 모두 유성이 되거나 무성이 된다. 자음 군 내의 모든 자음은 마지막 자음이 유성 자음이면 유성이 되고, 마지막 자음이 무성 자음이면 무성이 된다. 이 법칙은 접근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자음 군 안에 유성 접근음과 무성 자음이 공존할 수 있다. 또한 외래어(예를 들어, “Washington”은 “Vašin'''g'''ton”(라틴) 또는 Вашингтон|Vashingtonru으로 표기됨)나 고유명사, 자음이 하나의 음절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유성 자음과 무성 자음이 연속될 수 있다.

'''r'''은 단어에 따라 음절의 핵이 되어 모음과 같은 역할을 한다(경우에 따라 긴 악센트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빠른 말씨 "''na vrh brda vrba mrda''"는 4개의 단어에 음절 r을 포함하고 있다. 비슷한 특징은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마케도니아어에 있다. 매우 드문 경우지만, '''l'''이 마찬가지로 음절이 될 수 있다("Vltava"라는 강 이름에서 'l'은 음절의 핵이다). 전문 용어 안의 '''lj''', '''m''', '''n''', '''nj'''도 마찬가지다.

5. 사용 국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구유고슬라비아 국가인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코소보에도 소수의 사용 인구가 있다.

6. 논쟁 및 인정

"보스니아어"라는 명칭은 일부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에게 논란의 대상이다. 이들은 이 언어를 "보스니아크어"(bošnjački|보슈냐치키sh)라고도 부른다. 그러나 보스니아크어 언어학자들은 "보스니아어"(bosanskibs)라는 명칭만이 정당하며, 크로아티아인과 세르비아인 모두 이 명칭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논란은 "보스니아어"라는 명칭이 모든 보스니아인의 언어임을 암시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며, 보스니아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 세르비아인은 그들의 방언에 대해서는 그러한 명칭을 거부한다.[21]

이 언어는 1995년 데이턴 협정에서 "보스니아어"로 명명되었으며, 당시 합법성과 국제적 인정을 받았다고 관찰자들은 결론지었다.[21]

국제 표준화 기구(ISO),[22] 미국 지명 위원회(BGN) 및 영국 공무용 지명 상설 위원회(PCGN)는 보스니아어를 인정한다. 또한, 유엔, 유네스코 및 인터넷 번역 서비스를 포함한 번역 및 통역 인증 기관과 같은 기관에서도 보스니아어의 지위를 인정한다.[23]

대부분의 영어권 백과사전(루트리지, 글로톨로그,[24] 에스놀로그,[25] 등)[26]은 이 언어를 "보스니아어"로만 등록한다. 미국 의회 도서관은 이 언어를 "보스니아어"로 등록하고 ISO 번호를 부여했다. 영어권 국가의 슬라브어 연구소는 "보스니아크어"가 아닌 "보스니아어" 또는 "보스니아어/크로아티아어/세르비아어" 강좌를 제공한다(예: 컬럼비아,[27] 코넬,[28] 시카고,[29] 워싱턴,[30] 캔자스).[31] 독일어권 국가에서도 Bosniakischde가 아닌 Bosnischde라는 이름으로 이 언어가 가르쳐진다(예: ,[32] 그라츠,[33] 트리어).[34] 매우 드문 예외는 있다.

일부 크로아티아어 언어학자(즈본코 코바치, 이보 프란이코비치, 요십 실리치)는 "보스니아어"라는 명칭을 지지하는 반면, 다른 언어학자(라도슬라브 카티치치, 달리보르 브로조비치, 토미슬라브 라단)는 "보스니아어"라는 용어만이 적절하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보스니아어와 보스니아크어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것을 가리킨다고 한다. 중앙 통계청과 같은 크로아티아 국가 기관은 "보스니아크어"와 "보스니아어"라는 두 가지 용어를 모두 사용한다. 2001년 인구 조사에서는 "보스니아크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35]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보스니아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36]

대다수의 세르비아어 언어학자들은 "보스니아크어"라는 용어만이 적절하다고 주장하며,[37] 이는 1990년대 초에 합의되었다.[38]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헌법의 원래 형태는 2002년 볼프강 페트리치에 의해 연방 헌법 제29차 수정에서 변경될 때까지 이 언어를 "보스니아크어"라고 불렀다.[39][4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헌법의 원문은 에서 합의되었으며 크레시미르 주박과 하리스 실라지치가 1994년 3월 18일에 서명했다.[4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내 세르비아계 지역인 스릅스카 공화국sr의 헌법은 세르비아어 이외의 언어나 민족 집단을 인정하지 않았다.[42] 보스니아크인들은 1992년부터 세르비아인이 통제하는 지역에서 대부분 추방되었지만, 전쟁 직후 그 지역에서 시민권 회복을 요구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헌법에 보스니아어를 언급하는 것을 거부했고, 그 결과 고등 대표 볼프강 페트리치가 헌법 수정을 강행했다. 그러나 스릅스카 공화국sr 헌법은 이 언어를 "보스니아크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라고 언급한다.[43] 세르비아인들은 공식적으로 이 언어를 인정해야 했지만, 그 명칭을 인정하는 것을 피하고 싶어했기 때문이다.[44]

세르비아는 초등학교에서 보스니아어를 선택 과목으로 포함하고 있다.[45] 몬테네그로는 보스니아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2007년 헌법은 몬테네그로어가 공식 언어이지만,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알바니아어, 크로아티아어도 공식적으로 사용된다고 명시하고 있다.[46][47]

7. 다른 언어와의 차이점

철학자 콘스탄틴은 1423년에서 1426년 사이에 쓰여진 ''Skazanie izjavljenno o pismeneh''(스카자니예 이즈야블례노 오 피스메네흐)에서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 슬로베니아어, 체코어, 크로아티아어와 함께 보스니아어도 언급했다.[48] 1436년 7월 3일 코토르(Kotor)시의 공증인 문서에는 공작이 소녀를 사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그 소녀는 "보스니아 여성, 이단자, 보스니아어로 예베나(Djevena)라고 불린다"라고 묘사되어 있다.[48][49]

히에로니무스 메기저(Hieronymus Megiser)는 1603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출판한 ''Thesaurus Polyglottus''(테사우루스 폴리글로투스)에서 달마티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와 함께 보스니아 방언을 언급한다.[50][51] 마티야 디브코비치(Matija Divković)는 1611년 그의 저서 ''Nauk krstjanski za narod slovinski''(나욱 크르스트얀스키 자 나로드 슬로빈스키, 슬라브 민족을 위한 기독교 교리)에서 "라틴어에서 진정하고 참된 보스니아어로의 번역"(''A privideh iz dijačkog u pravi i istinit jezik bosanski'')을 주장한다.[54]

무하메드 헤바지 우스쿠피 보스네비(Muhamed Hevaji Uskufi Bosnevi)는 1632년 사전 ''Magbuli-arif''(마그불리-아리프)의 언어를 보스니아어라고 언급한다.[55] 바르톨 카시치(Bartol Kašić)는 1640년 그의 저서 ''Ritual rimski''(리투알 림스키, 로마 의식서)에서 사용된 언어를 ''naški''(나시, 우리말) 또는 ''bosanski''(보스니아어)라고 부른다. 그는 차카비아 방언 지역에서 태어났지만, 슈토카비아어 이카비아어를 기반으로 한 "공통어"(lingua communisla)를 채택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에 "보스니아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56][57]

야코프 미칼야(Jakov Mikalja)(1601–1654)는 1649년 그의 사전 ''Blagu jezika slovinskoga''(블라구 예지카 슬로빈스코가, 슬라브어 보물)에서 "가장 아름다운 단어"를 포함하고 싶다고 밝히면서 "모든 일리리아 언어 중에서 보스니아어가 가장 아름답다"고 말하고, 모든 일리리아 작가들이 그 언어로 글을 써야 한다고 말한다.[56][57] 18세기 보스니아 연대기 작가 뮬라 무스타파 바셰스키야(Mula Mustafa Bašeskija)는 수집된 보스니아 시의 연감에서 "보스니아어"는 아랍어보다 훨씬 풍부하다고 주장하며, 보스니아어에는 "가다"라는 동사에 45개의 단어가 있다고 말한다.[54]

알베르토 포르티스(Alberto Fortis)(1741–1803)는 그의 저서 ''Viaggio in Dalmazia''(비아조 인 달마지아, 달마티아 여행)에서 몰라히의 언어를 일리리아어, 몰라히어, 보스니아어라고 부른다.[58] 마티야 페타르 카탄치치(Matija Petar Katančić)는 1831년에 "슬라보-일리리아어에서 보스니아어 발음으로 옮겨진" 것으로 묘사된 성경 번역 6권을 출판했다.[59]

마티야 마주라니치(Matija Mažuranić)는 1842년 저서 ''Pogled u Bosnu''(포글레드 우 보스누, 보스니아를 바라보다)에서 보스니아인들의 언어를 터키어 단어가 섞인 일리리아어(19세기 동의어남슬라브어군)라고 언급하고, 그들이 보스니아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라고 더 언급한다.[60] 이반 프란요 유키치(Ivan Franjo Jukić)는 1851년 저서 ''Zemljopis i Poviestnica Bosne''(젬료피스 이 포비예스트니차 보스네, 보스니아의 지리와 역사)에서 보스니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던 유일한 터키 영토로서 마을에서 고지대에 이르기까지 터키어 사용자가 전혀 없이 순수하게 남아 있었다고 말한다. 그는 "[...] 보스니아에서는 보스니아어가 아닌 다른 언어는 사용되지 않으며, 가장 큰 터키인[즉, 무슬림] 신사들은 베지르에게 있을 때만 터키어를 사용한다"고 말한다.[61]

이반 쿠쿨예비치 사크친스키(Ivan Kukuljević Sakcinski)는 1858년 저서 ''Putovanje po Bosni''(푸토바녜 포 보스니, 보스니아 여행)에서 무슬림 보스니아인들이 무슬림 신앙으로 개종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전통과 슬라브 정서를 보존했으며, 어휘에 터키어 단어를 추가하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가장 순수한 보스니아어 변종을 사용한다고 말했다.[62]

참조

[1] 서적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www.wipo.int/[...] WIPO 2007-10-19
[2] 웹사이트 World Atlas of Languages: Bosnian https://en.wal.unesc[...] 2023-11-30
[3] 서적 Linguasphere Linguasphere Observatory 1999
[4]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Blackwell 2010
[5] 서적 On the Internal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Survey https://www.phil.mun[...] 2021-10-26
[6] 서적 Lexical layers of identity: words, meaning, and culture in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Dissertation Die kroatische Standardsprache auf dem Weg zur Ausbausprache https://www.zora.uzh[...] University of Zurich, Faculty of Arts, Institute of Slavonic Studies 2022-06-08
[8] 학술지 Pluricentricity in the classroom: the Serbo-Croatian language issue for foreign language teaching 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worldwide De Gruyter
[9] 서적 Languages and Nationalism Instead of Empires Routledge 2024-01-23
[10] 웹사이트 Art. 6 of the Constitution of the Feder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ohr.int/o[...]
[11] 웹사이트 European charter for regional or minority languages: Application of the charter in Serbia http://www.coe.int/t[...] Council of Europe
[12] 서적 Handbook on Policing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Springer
[13] 서적 The Politics of Language and Nationalism in Modern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9-01-15
[14] 학술지 Persian Literature in Bosnia-Herzegovina 1994-07-02
[15] 서적 Die Kultur der Bosniaken, Supplement I: Inventar des bosnischen literarischen Erbes in orientalischen Sprachen Adolf Holzhausens
[16] 서적 Das unbekannte Bosnien: Europas Brücke zur islamischen Welt Bohlau
[17] 잡지 What Language Do People Speak in the Balkans, Anyway? https://www.atlasobs[...] 2019-02-11
[18] 서적 Eine Analyse der Metaphern in der kroatischen Linguistikfachzeitschrift Jezik von 1991 bis 1997 https://books.google[...] Kovač
[19] 웹사이트 Serbian, Croatian, Bosnian, Or Montenegrin? Or Just 'Our Language'? http://www.rferl.org[...] 2010-10-08
[20] 웹사이트 Collection of printed books in Arabic, Turkish and Persian http://www.ghb.ba/in[...] 2014-05-16
[21] 서적 Language and Identity in the Balkans: Serbo-Croatian and Its Disintegr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ISO 639-2 Registration Authority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3] 서적 The Slavic Languag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Bosnian http://glottolog.org[...]
[25] 웹사이트 Bosnian https://www.ethnolog[...]
[26] 서적 The World's Major Languages Routledge
[27] 웹사이트 Spring 2016 Bosnian-Croatian-Serbian W1202 section 001 http://www.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8] 웹사이트 BCS 1133 – Continuing Bosnian-Croatian-Serbian I – Acalog ACMS™ http://courses.corne[...] Cornell University
[29] 웹사이트 Courses http://slavic.uchica[...]
[30] 웹사이트 Bosnian Croatian Serbian https://slavic.washi[...] University of Washington 2015-08-26
[31] 웹사이트 Why Study Bosnian, Croatian, Serbian (BCS) with the KU Slavic Department? https://slavic.ku.ed[...] University of Kansas 2012-12-18
[32] 웹사이트 Institut für Slawistik » Curricula https://slawistik.un[...] University of Vienna
[33] 웹사이트 Bosnisch/Kroatisch/Serbisch http://translationsw[...] University of Graz 2015-08-26
[34] 웹사이트 Slavistik – Bosnisch-Kroatisch-Montenegrinisch-Serbisch https://www.uni-trie[...] University of Trier 2015-07-28
[35] 웹사이트 13. Stanovništvo prema materinskom jeziku, po gradovima/općinama, popis 2001. http://web.dzs.hr/Hr[...]
[36] 웹사이트 3. Stanovništvo prema materinskom jeziku – detaljna klasifikacija – popis 2011 http://web.dzs.hr/Hr[...] 2014-01-19
[37] 웹사이트 [Projekat Rastko] Odbor za standardizaciju srpskog jezika http://www.rastko.rs[...]
[38] 서적 Language Policy in Bosnia-Herzegovina Lit Verlag
[3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Federation of Bosnia and Herzegovina http://www.ohr.int/p[...] High Representative for Bosnia and Herzegovina 2010-06-03
[40] 간행물 Decision on Constitutional Amendments in the Federation http://www.ohr.int/d[...] High Representative for Bosnia and Herzegovina 2014-01-19
[41] 간행물 Washington Agreement http://www.usip.org/[...] 2014-01-19
[4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ka Srpska http://www.usefounda[...] U.S. English Foundation Research 2010-06-03
[43] 웹사이트 Decision on Constitutional Amendments in Republika Srpska http://www.ohr.int/p[...] High Representative for Bosnia and Herzegovina 2010-06-03
[44] 서적 Language and Identity in the Balkans: Serbo-Croatian and its Disintegra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5] 뉴스 Language Battle Divides Schools http://www.iwpr.net/[...] 2005-08-02
[46] 웹사이트 Vlada Crne Gore http://www.pravda.go[...] 2009-03-18
[47] 웹사이트 Crna Gora dobila novi Ustav http://www.cafemonte[...] Cafe del Montenegro 2007-10-20
[48] 서적 Bosna i Bošnjaci: Jezik i pismo http://www.muhsinriz[...] Preporod
[49] 서적 Trgovanje bosanskim robljem do god. 1661
[50] 서적 Leksikografija
[51] 서적 Bosna i Bošnjaci: Jezik i pismo http://www.muhsinriz[...] Preporod
[52] 웹사이트 DIVKOVIĆ: OTAC BOSANSKE KNJIŽEVNOSTI, PRVI BOSANSKI TIPOGRAF http://ivanlovrenovi[...] IvanLovrenovic.com 2012-01-30
[53] 웹사이트 Matija Divković – otac bosanskohercegovačke i hrvatske književnosti u BiH http://www.hrvatska-[...] www.hrvatska-rijec.com 2011-04-17
[54] 서적 Bosna i Bošnjaci: Jezik i pismo http://www.muhsinriz[...] Preporod
[55] 웹사이트 Aljamiado and Oriental Literature in Bosnia and Herzegovina (1463-1878) http://www.pozitiv.s[...] pozitiv.si
[56] 서적 Bosna i Bošnjaci: Jezik i pismo http://www.muhsinriz[...] Preporod
[57] 서적 Iz prošlost hrvatskog jezika Izabrani kraći spisi
[58] 서적 Viaggo in Dalmazia https://books.google[...] Presso Alvise Milocco, all' Appoline
[59] 웹사이트 str165 http://katalog.hazu.[...] 2014-01-09
[60] 서적 Pogled u Bosnu https://books.google[...] Tiskom narodne tiskarnice dra, Lj. Gaja
[61] 서적 Pogled u Bosnu https://books.google[...] Bérzotiskom narodne tiskarnice dra. Ljudevita Gaja
[62] 서적 Putovanje po Bosni https://books.google[...] Tiskom narodne tiskarnice dra, Lj. Gaja
[63] 뉴스 Serbian, Croatian, Bosnian, Or Montenegrin? Or Just 'Our Language'? http://www.rferl.org[...] Radio Free Europe 2009-03-28
[64] 서적 Lexical layers of identity: words, meaning, and culture in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웹사이트 Halilović za N1: Dužni smo osluškivati javnu riječ https://www.youtube.[...] N1 (TV channel) 2018-04-26
[66]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Bosnian (Cyrillic) https://unicode.org/[...]
[67]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Bosnian (Latin) https://unicode.org/[...]
[68]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69] 논문 「ボスニア語」の形成 http://src-h.slav.ho[...]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2009-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