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SAMPA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X-SAMPA는 국제 음성 기호(IPA)를 기반으로 하는 음성 표기 시스템이다. IPA의 소문자 라틴 문자를 그대로 사용하고, 백슬래시(\\)를 이스케이프 문자로 활용하여 새로운 기호를 만들며, 발음 구별 기호는 밑줄(_)로 연결하여 표기한다. X-SAMPA는 모음, 자음, 보조 기호 등 다양한 음성 요소를 표현하며, 특히 강세, 음절 분리, 길이, 연결, 발음 구별 기호 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X-SAMPA는 국제 음성 기호(IPA)를 바탕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기본 원칙을 따른다.
2. X-SAMPA의 기본 원칙
X-SAMPA | IPA | 설명 | 예 |
---|---|---|---|
a | 전설 비원순 저모음 | 프랑스어 dame [dam ], 스페인어 padre ["padre ] | |
b | 유성 양순 파열음 | 영어 bed [bEd ], 프랑스어 bon [bO~ ] | |
b\ (또는 B ) | 유성 양순 마찰음 | 카탈루냐어 abans [@Bans ] | |
b_< | 유성 양순 내파음 | ||
c | 무성 경구개 파열음 | 헝가리어 latyak [lAcAk ], 한국어 "잘"[cal ]의 음소 ㅈ | |
d | 유성 치경 파열음 | 영어 dig [dIg ], 프랑스어 doigt [dwa ] | |
d` | 유성 권설 파열음 | 스웨덴어 hord [hu:d` ] | |
d_< | 유성 치경 내파음 | ||
e |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 프랑스어 ses [se ] | |
f | 무성 순치 마찰음 | 영어 five [faIv ], 프랑스어 femme [fam ] | |
g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영어 game [geIm ], 프랑스어 longue [lO~g ] | |
g_< | 유성 연구개 내파음 | ||
h | 무성 성문 마찰음 | 영어 house [haUs ] | |
h\ | 유성 성문 마찰음 | 네덜란드어 huis [h\9y_^s ] | |
i | 전설 비원순 고모음 | 영어 be [bi: ], 프랑스어 oui [wi ], 스페인어 si [si ] | |
j | 경구개 접근음 | 영어 yes [jEs ], 프랑스어 yeux [j2 ] | |
j\ | 유성 경구개 마찰음 | 스페인어 yerba [j\erBa ] | |
k | 무성 연구개 파열음 | 영어 cat [k{t ], 스페인어 carro ["kar:o ] | |
l | 치경 설측음 | 영어 lay [leI ], 프랑스어 mal [mal ] | |
l` | 권설 설측음 | 스웨덴어 sorl [so:l` ] | |
l\ | 치경 설측 탄음 | 일본어 음소 /r/ | |
m | 양순 비음 | 영어 mouse [maUs ], 프랑스어 homme [Om ] | |
n | 치경 비음 | 영어 nap [n{p ], 프랑스어 non [nO~ ] | |
n` | 권설 비음 | 스웨덴어 hörn [h2:n` ] | |
o | 후설 원순 중고모음 | 프랑스어 gros [gRo ] | |
p | 무성 양순 파열음 | 영어 leap [li:p ], 프랑스어 pose [poz ], 스페인어 perro ["per:o ] | |
p\ | 무성 양순 마찰음 | 일본어 fuku [p\M 0kM ], 스카니아어 sju [p\@} ] | |
q | 무성 구개수 파열음 | 아랍어 qasbah ["qQs Gba ] | |
r | 치경 전음 | 에스파냐어 perro ["per:o ] | |
r` | 권설 탄음 | ||
r\ | 치경 접근음 | 영어 red [r\Ed ] | |
r\` | 권설 접근음 | ||
s | 무성 치경 마찰음 | 영어 seem [si:m ], 프랑스어session [se.sjO~ ] | |
s` | 무성 권설 마찰음 | 스웨덴어 mars [mas` ] | |
s\ |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 폴란드어 świerszcz [s\virStS ] | |
t | 무성 치경 파열음 | 영어 too [tu: ], 프랑스어 raté [Rate ], 스페인어 tuyo [tujo ] | |
t` | 무성 권설 파열음 | 스웨덴어 mört [m2t` ] | |
u | 후설 원순 고모음 | 영어 boom [bu:m ], 에스파냐어 su [su ] | |
v | 유성 순치 마찰음 | 영어 vest [vEst ], 프랑스어 voix [vwa ] | |
v\ (또는 P ) | 순치 접근음 | ||
w | 양순 연구개 접근음 | 영어 west [wEst ], 프랑스어 oui [wi ] | |
x | 무성 연구개 마찰음 | 스코트어 loch [lQx ] | |
x\ | 무성 후치경 연구개 마찰음 | 스웨덴어 sjal [x\A:l ] | |
y | 전설 원순 고모음 | 프랑스어 tu [ty ] 독일어 über [y"b@r ] | |
z | 유성 치경 마찰음 | 영어 zoo [zu: ], 프랑스어 azote [azOt ] | |
z` | 유성 권설 마찰음 | 압하스어 абжа [abz`a ] | |
z\ |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 폴란드어 źrebak [z\rEbak ] | |
A | 후설 비원순 저모음 | 영어 father ["fA:D@ (r\ )] | |
B (또는 b\ ) | 유성 양순 마찰음 | 카탈루냐어 abans [@Bans ] | |
B\ | 양순 전음 | 떠는 흉내 ("부르르") | |
C | 무성 경구개 마찰음 | 독일어 ich [IC ], 영어 human ["Cum@n ] (broad transcription uses [hj -]) | |
D | 유성 치 마찰음 | 영어 then [DEn ] | |
E |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 프랑스어 même [mEm ], 영어 met [mEt ] | |
F | 순치 비음 | 영어 emphasis ["EFf@sIs ] (단, 빨리 말했을 경우. 그렇지 않으면 [Emf -]이 된다.) | |
G | 유성 연구개 마찰음 | 그리스어 γονία [Go"nia ] | |
G\ | 유성 구개수 파열음 | ||
G\_< | 유성 구개수 내파음 | ||
H | 양순 경구개 접근음 | 프랑스어 huit [Hi ] | |
H\ | 무성 후두개 마찰음 | ||
I |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 영어 kit [kIt ] | |
I\ | 중설 비원순 이완 고모음 (IPA에 없음) | ||
J | 경구개 비음 | 스페인어 año [aJo ], 영어 canyon ["k{J@n ] (broad transcription uses [-nj -]) | |
J\ | 유성 경구개 파열음 | 헝가리어 egy [EJ\ ], 한국어 "아자"[aJ\a ]의 음소 ㅈ | |
J\_< | 유성 경구개 내파음 | ||
K | 무성 치경 설측마찰음 | 웨일스어 llaw [KaU ^ ] | |
K\ | 유성 치경 설측마찰음 | 몽골어 монгол [mONG\O_XK\ ] | |
L | 경구개 설측음 | 이탈리아어 famiglia [famiLa ], 카스티야어 llamar [La"mar ], 영어 million ["mIL@n ] (broad transcription uses [-lj -]) | |
L\ | 연구개 설측음 | 영어 음소 /5/ | |
M | 후설 비원순 고모음 | ||
M\ | 연구개 접근음 | 스페인어 fuego [fweM\o ] | |
N | 연구개 비음 | 영어 thing [TIN ] | |
N\ | 구개수 비음 | 일본어 san [saN\ ] | |
O | 후설 원순 중저모음 | 영국 영어 thought [TO:t ], 미국 영어 off [O:f ] | |
O\ | 양순 흡착음 | ||
P (또는 v\ ) | 순치 접근음 | 네덜란드어 음소 /w/ , 영어 음소 /r\/ 의 이음 | |
Q | 후설 원순 저모음 | 영국 영어 lot [lQt ] | |
R | 유성 구개수 마찰음 | 프랑스어 roi [Rwa ] | |
R\ | 구개수 전음 | 독일어 음소 /r/ | |
S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영어 ship [SIp ] | |
T | 무성 치 마찰음 | 영어 thin [TIn ] | |
U |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 영어 foot [fUt ] | |
U\ | 중설 원순 이완 고모음 (IPA에 없음) | ||
V |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 | 영어 strut [str\Vt ] | |
W |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 스코트어 when [WEn ] | |
X | 무성 구개수 마찰음 | 웨일스어 bach [baX ] | |
X\ | 무성 인두 마찰음 | 아랍어 ha’ [X\? ] | |
Y | 근전설 원순 근고모음 | 독일어 hübsch [hYbS ] | |
Z | 유성 후치경 마찰음 | 영어 vision ["vIZ@n ] |
X-SAMPA | IPA | 설명 |
---|---|---|
_" | 중설모음화 | |
_+ | advanced | |
_- | retracted | |
_/ | rising tone | |
_0 | 무성음 | |
_< | 내파음 (IPA는 각각의 내파음에 기호를 따로 지정하고 있다.) | |
= (or _= ) | syllabic | |
_> | 방출음 | |
_?\ | 인두음화 | |
_\ | falling tone | |
_^ | non-syllabic | |
_} | 불파음 | |
` | rhoticity in vowels, retroflexion in consonants (IPA uses separate symbols for consonants, see t` for an example) | |
~ (or _~ ) | 비음화 | |
_A | advanced tongue root | |
_a | 설첨음 | |
_B | 특별히 낮은 | |
_B L | low rising tone | |
_c | less rounded | |
_d | 치음 | |
_e | velarized or pharyngealized; also see 5 | |
<F> | 전체적인 하강 | |
_F | falling tone | |
_G | 연구개음화 | |
_H | 높은 | |
_H T | high rising tone | |
_h | 무성 격음화 | |
_j (또는 ' ) | 구개음화 | |
_k | creaky voice | |
_L | 낮은 | |
_l | lateral release | |
_M | mid tone | |
_m | 설단음 | |
_N | 설순음 | |
_n | 비음 방출 | |
_O | more rounded | |
_o | lowered | |
_q | retracted tongue root | |
<R> | 전체적인 상승 | |
_R | rising tone | |
_R F | rising falling tone | |
_r | raised | |
_T | 특별히 높은 | |
_t | 유성 격음화 | |
_v | 유성음 | |
_w | 순음화 | |
_X | 특별히 짧은 | |
_x | 중설 중모음화 |
2. 1. IPA와의 대응
X-SAMPA에서 일반적인 국제 음성 기호(IPA) 소문자 알파벳은 동일하게 사용된다. 새로운 기호를 표현하기 위해 X-SAMPA에서는 역슬래시(\)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IPA에서 'ʘ'로 표기되는 소리는 X-SAMPA에서 'O\'로 표기된다.발음 구별 기호는 수식받는 기호 다음에 오며, 밑줄(_)로 연결된다. 단, 비음화(~) ,음절성 (=), 권설음 및 R 수반음(`)은 예외적으로 밑줄 없이 표기된다.
숫자 발음 구별 기호(_1 ~ _6)는 언어에 따라 음성을 구분하는 데 사용된다.
X-SAMPA | IPA | 설명 | 예 |
---|---|---|---|
a | 전설 비원순 저모음 | 프랑스어 dame [dam ], 스페인어 padre ["padre ] | |
b | 유성 양순 파열음 | 영어 bed [bEd ], 프랑스어 bon [bO~ ] | |
b\ (또는 B ) | 유성 양순 마찰음 | 카탈루냐어 abans [@Bans ] | |
b_< | 유성 양순 내파음 | ||
c | 무성 경구개 파열음 | 헝가리어 latyak [lAcAk ], 한국어 "잘"[cal ]의 음소 ㅈ | |
d | 유성 치경 파열음 | 영어 dig [dIg ], 프랑스어 doigt [dwa ] | |
d` | 유성 권설 파열음 | 스웨덴어 hord [hu:d` ] | |
d_< | 유성 치경 내파음 | ||
e | 전설 비원순 중고모음 | 프랑스어 ses [se ] | |
f | 무성 순치 마찰음 | 영어 five [faIv ], 프랑스어 femme [fam ] | |
g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영어 game [geIm ], 프랑스어 longue [lO~g ] | |
g_< | 유성 연구개 내파음 | ||
h | 무성 성문 마찰음 | 영어 house [haUs ] | |
h\ | 유성 성문 마찰음 | 네덜란드어 huis [h\9y_^s ] | |
i | 전설 비원순 고모음 | 영어 be [bi: ], 프랑스어 oui [wi ], 스페인어 si [si ] | |
j | 경구개 접근음 | 영어 yes [jEs ], 프랑스어 yeux [j2 ] | |
j\ | 유성 경구개 마찰음 | 스페인어 yerba [j\erBa ] | |
k | 무성 연구개 파열음 | 영어 cat [k{t ], 스페인어 carro ["kar:o ] | |
l | 치경 설측음 | 영어 lay [leI ], 프랑스어 mal [mal ] | |
l` | 권설 설측음 | 스웨덴어 sorl [so:l` ] | |
l\ | 치경 설측 탄음 | 일본어 음소 /r/ | |
m | 양순 비음 | 영어 mouse [maUs ], 프랑스어 homme [Om ] | |
n | 치경 비음 | 영어 nap [n{p ], 프랑스어 non [nO~ ] | |
n` | 권설 비음 | 스웨덴어 hörn [h2:n` ] | |
o | 후설 원순 중고모음 | 프랑스어 gros [gRo ] | |
p | 무성 양순 파열음 | 영어 leap [li:p ], 프랑스어 pose [poz ], 스페인어 perro ["per:o ] | |
p\ | 무성 양순 마찰음 | 일본어 fuku [p\M 0kM ], 스카니아어 sju [p\@} ] | |
q | 무성 구개수 파열음 | 아랍어 qasbah ["qQs Gba ] | |
r | 치경 전음 | 에스파냐어 perro ["per:o ] | |
r` | 권설 탄음 | ||
r\ | 치경 접근음 | 영어 red [r\Ed ] | |
r\` | 권설 접근음 | ||
s | 무성 치경 마찰음 | 영어 seem [si:m ], 프랑스어session [se.sjO~ ] | |
s` | 무성 권설 마찰음 | 스웨덴어 mars [mas` ] | |
s\ |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 폴란드어 świerszcz [s\virStS ] | |
t | 무성 치경 파열음 | 영어 too [tu: ], 프랑스어 raté [Rate ], 스페인어 tuyo [tujo ] | |
t` | 무성 권설 파열음 | 스웨덴어 mört [m2t` ] | |
u | 후설 원순 고모음 | 영어 boom [bu:m ], 에스파냐어 su [su ] | |
v | 유성 순치 마찰음 | 영어 vest [vEst ], 프랑스어 voix [vwa ] | |
v\ (또는 P ) | 순치 접근음 | ||
w | 양순 연구개 접근음 | 영어 west [wEst ], 프랑스어 oui [wi ] | |
x | 무성 연구개 마찰음 | 스코트어 loch [lQx ] | |
x\ | 무성 후치경 연구개 마찰음 | 스웨덴어 sjal [x\A:l ] | |
y | 전설 원순 고모음 | 프랑스어 tu [ty ] 독일어 über [y"b@r ] | |
z | 유성 치경 마찰음 | 영어 zoo [zu: ], 프랑스어 azote [azOt ] | |
z` | 유성 권설 마찰음 | 압하스어 абжа [abz`a ] | |
z\ |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 폴란드어 źrebak [z\rEbak ] | |
A | 후설 비원순 저모음 | 영어 father ["fA:D@ (r\ )] | |
B (또는 b\ ) | 유성 양순 마찰음 | 카탈루냐어 abans [@Bans ] | |
B\ | 양순 전음 | 떠는 흉내 ("부르르") | |
C | 무성 경구개 마찰음 | 독일어 ich [IC ], 영어 human ["Cum@n ] (broad transcription uses [hj -]) | |
D | 유성 치 마찰음 | 영어 then [DEn ] | |
E | 전설 비원순 중저모음 | 프랑스어 même [mEm ], 영어 met [mEt ] | |
F | 순치 비음 | 영어 emphasis ["EFf@sIs ] (단, 빨리 말했을 경우. 그렇지 않으면 [Emf -]이 된다.) | |
G | 유성 연구개 마찰음 | 그리스어 γονία [Go"nia ] | |
G\ | 유성 구개수 파열음 | ||
G\_< | 유성 구개수 내파음 | ||
H | 양순 경구개 접근음 | 프랑스어 huit [Hi ] | |
H\ | 무성 후두개 마찰음 | ||
I | 근전설 비원순 근고모음 | 영어 kit [kIt ] | |
I\ | 중설 비원순 이완 고모음 (IPA에 없음) | ||
J | 경구개 비음 | 스페인어 año [aJo ], 영어 canyon ["k{J@n ] (broad transcription uses [-nj -]) | |
J\ | 유성 경구개 파열음 | 헝가리어 egy [EJ\ ], 한국어 "아자"[aJ\a ]의 음소 ㅈ | |
J\_< | 유성 경구개 내파음 | ||
K | 무성 치경 설측마찰음 | 웨일스어 llaw [KaU ^ ] | |
K\ | 유성 치경 설측마찰음 | 몽골어 монгол [mONG\O_XK\ ] | |
L | 경구개 설측음 | 이탈리아어 famiglia [famiLa ], 카스티야어 llamar [La"mar ], 영어 million ["mIL@n ] (broad transcription uses [-lj -]) | |
L\ | 연구개 설측음 | 영어 음소 /5/ | |
M | 후설 비원순 고모음 | ||
M\ | 연구개 접근음 | 스페인어 fuego [fweM\o ] | |
N | 연구개 비음 | 영어 thing [TIN ] | |
N\ | 구개수 비음 | 일본어 san [saN\ ] | |
O | 후설 원순 중저모음 | 영국 영어 thought [TO:t ], 미국 영어 off [O:f ] | |
O\ | 양순 흡착음 | ||
P (또는 v\ ) | 순치 접근음 | 네덜란드어 음소 /w/ , 영어 음소 /r\/ 의 이음 | |
Q | 후설 원순 저모음 | 영국 영어 lot [lQt ] | |
R | 유성 구개수 마찰음 | 프랑스어 roi [Rwa ] | |
R\ | 구개수 전음 | 독일어 음소 /r/ | |
S | 무성 후치경 마찰음 | 영어 ship [SIp ] | |
T | 무성 치 마찰음 | 영어 thin [TIn ] | |
U |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 영어 foot [fUt ] | |
U\ | 중설 원순 이완 고모음 (IPA에 없음) | ||
V | 후설 비원순 중저모음 | 영어 strut [str\Vt ] | |
W | 무성 양순 연구개 마찰음 | 스코트어 when [WEn ] | |
X | 무성 구개수 마찰음 | 웨일스어 bach [baX ] | |
X\ | 무성 인두 마찰음 | 아랍어 ha’ [X\? ] | |
Y | 근전설 원순 근고모음 | 독일어 hübsch [hYbS ] | |
Z | 유성 후치경 마찰음 | 영어 vision ["vIZ@n ] |
X-SAMPA | IPA | 설명 |
---|---|---|
_" | 중설모음화 | |
_+ | advanced | |
_- | retracted | |
_/ | rising tone | |
_0 | 무성음 | |
_< | 내파음 (IPA는 각각의 내파음에 기호를 따로 지정하고 있다.) | |
= (or _= ) | syllabic | |
_> | 방출음 | |
_?\ | 인두음화 | |
_\ | falling tone | |
_^ | non-syllabic | |
_} | 불파음 | |
` | rhoticity in vowels, retroflexion in consonants (IPA uses separate symbols for consonants, see t` for an example) | |
~ (or _~ ) | 비음화 | |
_A | advanced tongue root | |
_a | 설첨음 | |
_B | 특별히 낮은 | |
_B L | low rising tone | |
_c | less rounded | |
_d | 치음 | |
_e | velarized or pharyngealized; also see 5 | |
<F> | 전체적인 하강 | |
_F | falling tone | |
_G | 연구개음화 | |
_H | 높은 | |
_H T | high rising tone | |
_h | 무성 격음화 | |
_j (또는 ' ) | 구개음화 | |
_k | creaky voice | |
_L | 낮은 | |
_l | lateral release | |
_M | mid tone | |
_m | 설단음 | |
_N | 설순음 | |
_n | 비음 방출 | |
_O | more rounded | |
_o | lowered | |
_q | retracted tongue root | |
<R> | 전체적인 상승 | |
_R | rising tone | |
_R F | rising falling tone | |
_r | raised | |
_T | 특별히 높은 | |
_t | 유성 격음화 | |
_v | 유성음 | |
_w | 순음화 | |
_X | 특별히 짧은 | |
_x | 중설 중모음화 |
X-SAMPA에서 자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3. 자음
== 폐쇄음 ==
X-SAMPA에서 폐쇄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파열음 p b p_d b_d t d t` d` c J\ k g q G\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 style="width: 1em; background:#ccc" | 비음 m F n n` J N N\ colspan="6" style="background:#ccc" | 마찰음 p\ B f v T D s z S Z s` z` C j\ x G X R X\ ?\ H\ <\\ h h\\ 접근음 B_o v\ r\ r\` j M\ 전동음 B\ r * style="background:#ccc" | R\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탄음 *† *† 4 r` style="background:#ccc" | colspan="2"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설측 마찰음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K K\ * * * colspan="2" | colspan="7" style="background:#ccc" | 설측 접근음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l l` L L\ colspan="2" | colspan="7" style="background:#ccc" | 설측 탄음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l\ * * * colspan="2" | colspan="7" style="background:#ccc" |
== 파열음 ==
p b
p_d b_d
t d
t` d`
c J\
k g
q G\
>\
?
== 비음 ==
m
F
n
n`
J
N
N\
== 마찰음 ==
p\ B, f v, T D, s z, S Z, s` z`, C j\, x G, X R, X\ ?\, H\ <\\, h h\\
== 접근음 ==
B_o
v\
r\
r\`
j
M\
== 전동음 ==
양순 전동음은 `B\`로, 치경 전동음은 `r`로, 구개수 전동음은 `R\`로 표기한다.
== 탄음 ==
순치 탄음은 X-SAMPA 기호가 없다. 치경 탄음은 `4`, 권설 탄음은 `r`로 표기한다.
== 설측 마찰음 ==
K K\
== 설측 접근음 ==
== 설측 탄음 ==
치경 설측 탄음은 `l\`로 나타낸다.
== 비폐쇄음 ==자음 (비폐쇄음) 설음 내파음 방출음 O\ 양순음 b_< 양순음 _> 예: |\ 설단 치경 ("치음") d_< 치경음 p_> 양순음 !\ 설단 (후) 치경 ("권설음") J\_< 경구개음 t_> 치경음 =\ 설단 후치경 ("경구개") g_< 연구개음 k_> 연구개음 |\|\ 측면 치경 ("측면") G\_< 구개수음 s_> 치경 마찰음
== 흡착음 ==
양순 흡착음 기호는 `O\`이다.
치 흡착음 기호는 `|\`이다.
후치경 흡착음 기호는 `!\`이다.
경구개치조 흡착음 기호는 `=\`이다.
치경 설측 흡착음 기호는 `||\`이다.
== 내파음 ==
b_<
d_<
J\_<
g_<
G\_<
== 방출음 ==
방출음 기호는 `_>`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동시 조음 ==
X-SAMPA에서 동시 조음은 둘 이상의 조음 위치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자음을 의미한다.
공통 조음 | |
---|---|
W | 무성 구개음화 연구개 접근음 |
w | 유성 구개음화 연구개 접근음 |
H | 유성 구개음화 경구개 접근음 |
s\ | 무성 구개음화 후치경(치경구개) 마찰음 |
z\ | 유성 구개음화 후치경(치경구개) 마찰음 |
x\ | 무성 "경구개-연구개" 마찰음 |
== 파찰음 및 이중 조음 ==
X-SAMPA에서 파찰음 및 이중 조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ts | 무성 치경 파찰음 |
dz | 유성 치경 파찰음 |
tS | 무성 후치경 파찰음 |
dZ | 유성 후치경 파찰음 |
ts\ |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 |
dz\ |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
tK | 무성 치경 설측 파찰음 |
dK\ | 유성 치경 설측 파찰음 |
kp | 무성 순구개 파열음 |
gb | 유성 순구개 파열음 |
Nm | 순구개 비음 |
3. 1. 폐쇄음
X-SAMPA에서 폐쇄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파열음 | p b | p_d b_d | t d | t` d` | c J\ | k g | q G\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 | ? | style="width: 1em; background:#ccc" | | |||||
---|---|---|---|---|---|---|---|---|---|---|---|---|---|---|---|---|
비음 | m | F | n | n` | J | N | N\ | colspan="6" style="background:#ccc" | | ||||||||
마찰음 | p\ B | f v | T D | s z | S Z | s` z` | C j\ | x G | X | R | X\ | ?\ | H\ | <\\ | h h\\ | |
접근음 | B_o | v\ | r\ | r\` | j | M\ | ||||||||||
전동음 | B\ | r | * | style="background:#ccc" | | R\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
탄음 | *† | *† | 4 | r` | style="background:#ccc" | | colspan="2" |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
설측 마찰음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K K\ | * | * | * | colspan="2" | | colspan="7" style="background:#ccc" | | |||||||||
설측 접근음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l | l` | L | L\ | colspan="2" | | colspan="7" style="background:#ccc" | | |||||||||
설측 탄음 | colspan="2" style="background:#ccc" | | l\ | * | * | * | colspan="2" | | colspan="7" style="background:#ccc" | |
3. 1. 1. 파열음
p bp_d b_d
t d
t` d`
c J\
k g
q G\
>\
?
3. 1. 2. 비음
m
F
n
n`
J
N
N\
3. 1. 3. 마찰음
p\ B, f v, T D, s z, S Z, s` z`, C j\, x G, X R, X\ ?\, H\ <\\, h h\\3. 1. 4. 접근음
wikitextB_o
v\
r\
r\`
j
M\
3. 1. 5. 전동음
양순 전동음은 `B\`로, 치경 전동음은 `r`로, 구개수 전동음은 `R\`로 표기한다.3. 1. 6. 탄음
순치 탄음은 X-SAMPA 기호가 없다. 치경 탄음은4
, 권설 탄음은 r`
로 표기한다.3. 1. 7. 설측 마찰음
K
K\
3. 1. 8. 설측 접근음
3. 1. 9. 설측 탄음
치경 설측 탄음은 `l\`로 나타낸다.3. 2. 비폐쇄음
wikitable자음 (비폐쇄음) | |||||
---|---|---|---|---|---|
설음 | 내파음 | 방출음 | |||
O\ | 양순음 | b_< | 양순음 | _> | 예: |
|\ | 설단 치경 ("치음") | d_< | 치경음 | p_> | 양순음 |
!\ | 설단 (후) 치경 ("권설음") | J\_< | 경구개음 | t_> | 치경음 |
=\ | 설단 후치경 ("경구개") | g_< | 연구개음 | k_> | 연구개음 |
|\|\ | 측면 치경 ("측면") | G\_< | 구개수음 | s_> | 치경 마찰음 |
3. 2. 1. 흡착음
양순 흡착음 기호는 `O\`이다.치 흡착음 기호는 `|\`이다.
후치경 흡착음 기호는 `!\`이다.
경구개치조 흡착음 기호는 `=\`이다.
치경 설측 흡착음 기호는 `||\`이다.
3. 2. 2. 내파음
b_<
d_<
J\_<
g_<
G\_<
3. 2. 3. 방출음
방출음 기호는 `_>`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3. 3. 동시 조음
X-SAMPA에서 동시 조음은 둘 이상의 조음 위치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자음을 의미한다.공통 조음 | |
---|---|
W | 무성 구개음화 연구개 접근음 |
w | 유성 구개음화 연구개 접근음 |
H | 유성 구개음화 경구개 접근음 |
s\ | 무성 구개음화 후치경(치경구개) 마찰음 |
z\ | 유성 구개음화 후치경(치경구개) 마찰음 |
x\ | 무성 "경구개-연구개" 마찰음 |
3. 4. 파찰음 및 이중 조음
X-SAMPA에서 파찰음 및 이중 조음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ts | 무성 치경 파찰음 |
dz | 유성 치경 파찰음 |
tS | 무성 후치경 파찰음 |
dZ | 유성 후치경 파찰음 |
ts\ | 무성 치경구개 파찰음 |
dz\ |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
tK | 무성 치경 설측 파찰음 |
dK\ | 유성 치경 설측 파찰음 |
kp | 무성 순구개 파열음 |
gb | 유성 순구개 파열음 |
Nm | 순구개 비음 |
4. 모음
X-SAMPA는 모음의 높이(고모음, 중모음, 저모음), 혀의 위치(전설, 중설, 후설), 입술 모양(원순, 비원순)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제공한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