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화는 그리스어 '파라볼레'에서 유래한 용어로, 짧은 이야기를 통해 보편적인 진리를 설명하는 수사법이다. 상황 묘사, 행동 묘사, 결과 제시의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도덕적 딜레마나 잘못된 판단으로 인한 결과를 보여주는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다. 비유는 은유와 유사하게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구체적인 이야기로 표현하며, 숨은 의미를 내포하여 행동 지침을 제시하고 어려운 개념을 쉽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기독교의 예수의 비유, 이슬람교의 비유, 19세기 중반의 '깨진 창문의 비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와 같은 고대 철학에서도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설득 기법 - 판례
판례는 법원이 재판 과정에서 제시하는 법률 해석과 적용의 기준을 의미하며, 영미법계와 대륙법계에서 서로 다른 특징을 보이고, 한국은 대륙법계 국가이지만 대법원 판례가 하급심에 사실상 구속력을 가지며 법 해석의 통일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설득 기법 - 악어의 눈물
악어의 눈물은 희생자를 잡아먹으면서 눈물을 흘린다는 고대 이야기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위선적인 감정이나 가짜 후회를 비유적으로 나타내지만, 실제 악어가 눈물을 흘리는 것은 감정적 이유가 아닌 생리적 작용 때문이며, 사회적으로는 가식적인 행태를 비판하는 은유로 사용된다. - 스토리텔링 - 모노가타리
모노가타리는 9세기부터 15세기까지 일본에서 발달한 이야기 문학 장르이며, 헤이안 시대에 정점을 이루었고, 다양한 하위 장르로 나뉘며 도덕적 교훈이나 비유를 담은 우화도 포함한다. - 스토리텔링 - 서사학
서사학은 구조주의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어 화자, 청자, 시점 등의 요소를 분석하여 서사의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고 모든 서사에 적용 가능한 형식 체계를 탐구하는 학문이다. - 수사 기법 - 궤변
궤변은 발언자가 유리한 결론을 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잘못된 논리를 전개하는 것으로, 소피스트로부터 발전하여 정치, 설득 등에 이용되었으며, 다양한 논리적 오류를 포함하고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에 기여한다. - 수사 기법 -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
미끄러운 비탈길 논증은 특정 행위를 금지하기 위해 그 행위가 용납할 수 없는 결론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논증 방식이며, 정치적 논쟁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주장에 사용되고, 개념적, 결정적, 인과적 유형으로 나뉜다.
비화 | |
---|---|
은유, 비유, 상징 | |
정의 | 어떤 것(일반적으로 도덕적이거나 영적인 것)을 설명하거나 예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짧은 이야기 |
특징 | |
목적 | 교훈이나 진리를 전달 |
길이 | 짧음 |
구조 | 단순한 이야기 구조 |
등장인물 | 평범한 인물이나 사물 |
초점 | 이야기 자체보다는 그 안에 담긴 의미에 초점 |
해석 | 해석의 여지가 있으며, 독자 스스로 의미를 파악하도록 유도 |
종류 | |
예시 | 선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 돌아온 탕자의 비유 씨 뿌리는 사람의 비유 |
관련 개념 | |
관련 용어 | 우화 비유 (수사학) 유추 |
참고 | |
참고 자료 | 우화와 비유의 차이점 |
2. 어원
'비화'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 'parable' 등은 그리스어 ''παραβολή''(파라볼레)에서 유래했다. 그리스 수사학에서 이 단어는 가공의 짧은 이야기로 무언가를 설명하는 것을 넓게 의미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단어는 현실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날 수 있는 영적 일이나 도덕적인 일을 가공의 이야기를 이용해 전달하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24]
비화(parable)는 짧은 이야기로 보편적인 진리를 설명하며, 이야기 중에서도 가장 단순한 것 중 하나다. 비화에서는 우선 상황이 간단하게 설명되고, 다음에 행동이 묘사되며, 마지막에 그 결과가 나타난다. 도덕적인 딜레마에 직면하는 인물이나, 위험한 판단을 한 끝에 그 결과에 시달리는 인물이 자주 등장한다. 일반적으로 비화에는 주제와 무관한 세부 묘사나 주변인 묘사는 생략되며, 하나의 단순하고 일관성 있는 행동에 대한 이야기가 된다. 비화의 예로는, 이그나치 크라시츠키 작의 <아들과 부친>, <농부>, <소송 사람들>을 들 수 있다.
민화가 대부분 비화를 확대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설화도 마찬가지지만, 상황 설정으로 마법이 전제로 여겨지는 곳은 다르다. 프로토 타입의 비화는 아폴로그(과장을 포함한 짧은 비화)와는 달리, 사실주의적이고, 인생이 좋게 있는 상황 속에서 실제로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하는 것이다.
비화는 은유와 같이, 짧고 일관된 가공의 이야기에 확장된다. 크리스트교의 비화는, 근래에는 확장된 은유로서 연구되고 있다.[25] '비화는 보통 남녀가,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놀랄 만한 사건에 조우한다는 줄기의 이야기'라고 눈치 챈 작가도 있다. 비화는 종교적인 전망을 가진 '신앙의 거인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26] '확장된 은유'라는 것만으로는, 비화를 설명했던 것에는 안 되지만, '확장된 은유'의 특징은, 비화에도 공통되고 있고, 알레고리(우의)의 기본적 요소가 되어 있다.
직유의 경우와는 달리, 비화에서는, 표면상의 이야기와 평행하는 또 하나의 의미는, 통상은 비밀로서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직접 말해지지 않고, 시사될뿐이다. 비화의 특징은, 사람이 얼마나 행동해야할 것인가, 믿어야할 것인가를 시사하는 규범적인 서브텍스트(이른바 '행간'의 메시지)가 존재하고 있는 것에 있다. 비화에는, 인생에서 적절한 행동이란 무엇인가를 이끌어, 시사하는 것에 가세해 빈번히 은유 말씨를 이용하는 것으로, 어렵거나 복잡하기도 한 개념을, 보다 간단하게 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플라톤의 <국가>에서는, <동굴의 비록> (진리의 이해에 대해서, 동굴의 벽에 투자된 그림자에 속여지는 이야기에 의해서, 설명된다)과 같이, 알기 쉬운 구체적인 이야기를 사용하고, 추상적인 논의를 가르치고 있다.[24]
<이솝 우화>를 영역한 조지 파일러 타운센드는, 그 서문으로 '비화 (parable)'를 '말 자체에 담겨진 의미와는 다른, 숨겨진 비밀의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의도하고, 말을 디자인하면서 이용하는 것이며, 청자나 독자에게 특별한 관계를 갖고 있기도 하면, 그렇지 않은 것도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27]
19세기 말에 산 타운센드는, 애매한 것을 의미하는, 당시 있던 'to speak in parables (비화로 이야기한다)'라는 표현에, 영향을 받고 있던 가능성도 있다. 분명히 중요성이 지적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현대의 용법에서의 '비화 (parable)'는, 일반적으로, 의미가 숨겨지거나 비밀로 되고 있다는 것보다는, 완전히 반대로 직재적이고 명백한 경우가 전형적이다. 숨겨진 의미가 중요하게 되는 전형적인 표현은, 알레고리이다. H. W. 파울러는 <Modern English Usage> 중에서, 비화도 알레고리도, 목적은 '청자에게, 당사자에게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따라서 이해에 관련되지 않는 입장으로부터의 판단을 끌어 내는 것을 기대할 수 있는 사안을 제시해, 청자 자신이 올바른 판단을 깨닫도록 계몽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게다가 파울러는, 비화는, 알레고리보다 농밀하고, 독자든지 청자에게는, 이 결론은 당사자의 관심사에도 똑같이 들어맞는다는 원리가 태어나 교훈이 연역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24]
3. 역사
비유는 영적 개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기독교에서는 성경의 복음서에 많은 비유가 등장한다. (예수의 비유) 존 P. 마이어를 포함한 일부 학자들은 이것이 탈무드 시대(서기 2~6세기)에 두드러진 히브리 비교 형식인 ''마샬''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믿는다.[28] 예수의 비유의 예로는 선한 사마리아인과 탕자가 있다. 구약성경의 마샬림에는 나단이 다윗에게 말한 암양의 비유(사무엘기하 12:1-9)[8]와 드고아 여인의 비유(사무엘기하 14:1-13)[9]가 있다.
중세의 성경 해석가들은 종종 예수의 비유를 알레고리로 취급하여, 비유의 모든 요소에 대한 상징적인 대응을 찾았다. 그러나 아돌프 율리허를 시작으로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해석이 잘못되었다고 본다.[12] 율리허는 예수의 비유가 단 하나의 중요한 점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7]
영지주의는 예수가 제자들 사이에서 가르침의 일부를 비밀로 유지했으며, 비유를 사용하여 그 의미를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깨진 유리창의 비화는 경제학의 일부 사고방식을 비판한다.
3. 1. 서양의 비유
비화는 영적 개념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기독교에서 비화의 가장 유명한 예는 성경에서 찾을 수 있으며, 특히 신약 성서의 복음서에는 많은 비화가 등장한다. '''예수의 비유'''는 여러 자료를 통해 역사적 사실로 널리 인정받고 있지만, 존 P. 마이어 등의 연구자들은 이것이 히브리어 속담이나 격언을 의미하는 마샬/마샤림에서 유래했다고 본다.[28] 예수의 비화로는 선한 사마리아인과 방탕 아들이 대표적이다. 구약 성서의 마샤림에는 나탄이 다윗에게 전하는 <어린 양의 비화> (사무엘하 12:1-9)와 <테코아의 여자>의 비화 (사무엘하 14:1-13) 등이 있다.
일부 신약 성서 연구자들은 예수의 비유에만 '비화(parable)'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28] 이는 일반적인 용법은 아니다. 방탕 아들과 같이 비화는 예수 가르침의 핵심이었으며, 정경과 외경 모두에서 나타난다.
중세 시대에는 성서 해석에서 예수의 비유를 세부적인 알레고리로 취급하여, 이야기 속 모든 요소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아돌프 유리햐 이후, 현대 비평가들은 이러한 해석을 부적절하고 비판적이지 않다고 본다.[29] 유리햐는 비화가 대개 하나의 중요한 점을 전달하려는 의도를 가진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최근 대부분의 연구자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28]
이슬람교의 신비주의 철학인 수피즘 전통에서도 비화(교훈담)는 가르침과 가치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드리스 샤나 앤서니 데 메로와 같은 현대 작가들은 수피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현대의 이야기 중에도 비화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19세기 중반에 등장한 분열창의 비화는 경제학적 오류를 보여주는 예시로 사용된다.
3. 2. 이슬람교의 비유
이슬람교의 경전 꾸란 Q39:28-30에는 "꾸란에는 모든 종류의 비유가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꾸란 구절에는 선과 악의 나무의 비유 (Q14:32-45), 두 남자의 비유, 거미집의 비유 등이 있다. Q16:77에는 노예와 그의 주인의 비유, 눈먼 자와 시력을 가진 자의 비유가 나온다.[15]
4. 특징
비화(parable)는 보편적인 진리를 설명하는 짧은 이야기로, 이야기 중에서도 가장 단순한 것 중 하나이다. 비화에서는 먼저 상황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다음에 행동을 묘사하며, 마지막에 그 결과를 보여준다. 종종 도덕적인 딜레마에 직면하는 인물이나, 위태로운 판단을 한 끝에 그 결과에 시달리는 인물이 등장한다. 이그나치 크라시츠키의 작품인 「아들과 아버지」, 「농부」, 「소송인들」이 비화의 예시이다.
민담의 많은 부분은 비화를 확대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동화도 마찬가지지만, 상황 설정에서 마법이 전제된다는 점이 다르다. 프로토타입 비화는 아폴로그(과장을 포함한 짧은 비화)와는 달리, 사실주의적이며, 인생의 흔한 상황에서 실제로 일어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게 만든다.
비화는 은유와 마찬가지로, 짧고 일관된 가공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기독교의 비화는 최근 확장된 은유로서 연구되고 있다.[18] 비유는 종교적인 전망을 가진 "신앙의 거인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19] '확장된 은유'의 특징은 비화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알레고리(우의)의 기본적인 요소가 된다.
직유와는 달리, 비화에서 표면상의 이야기와 평행하는 또 다른 의미는, 일반적으로 비밀로 숨겨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직접적으로 말해지는 것은 아니며, 시사될 뿐이다. 비유의 특징은, 사람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무엇을 믿어야 하는지를 시사하는 규범적인 서브텍스트(소위 "행간"의 메시지)가 존재한다는 점에 있다. 비유에는 인생에서 적절한 행동이 무엇인지를 이끌어내고 시사하는 것 외에도, 은유적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난해하거나 복잡한 개념을 보다 쉽게 논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이 있다. 플라톤의 『국가』에서는 「동굴의 비유」처럼, 알기 쉬운 구체적인 이야기를 사용하여 추상적인 논의를 가르치고 있다.[17]
H.W. 파울러는 비유도 알레고리도, 목적은 "듣는 이에게, 본인에게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따라서 이해관계와 관계없는 입장에서의 판단을 이끌어낼 수 있는 사안을 제시하고, 듣는 이 자신이 올바른 판단을 깨닫도록 계몽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파울러는, 비유는 알레고리보다 농밀하며, 독자나 듣는 이에게는 이 결론은 당사자의 관심사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것이다, 라는 원리가 생겨 교훈이 연역되는 것이라고 한다.[17]
5. 다른 수사법과의 관계
비화는 은유, 직유, 우화, 알레고리 등 다른 수사법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각각의 수사법은 서로 유사점과 차이점을 지니며, 비화를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은유''':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현상을 사용하여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은유와 유사하다. 비유는 짧고 일관성 있는 이야기를 형성하기 위해 확장된 은유라고 할 수 있다.
- '''직유''': 어떤 것을 다른 것과 "같다"고 표현하는 은유적 구성(예: "의로운 사람은 물가에 심어진 나무와 같다")과도 유사하다. 그러나 직유의 의미와 달리 비유의 의미는 암묵적이다(비록 비밀은 아니지만).
- '''우화''': 민담의 많은 부분은 비유를 확대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설화도 마찬가지이지만, 상황 설정에서 마법이 전제된다는 점이 다르다.
- '''알레고리''': 숨겨진 의미가 중요하게 되는 전형적인 표현은 알레고리이다.
5. 1. 은유와 직유
비화는 은유 및 직유와 유사하다. 그리스어 ''파라볼레(παραβολή)''에서 유래한 비화는 짧은 이야기로 보편적인 진리를 설명하며, 가장 단순한 이야기 형태 중 하나이다. 상황, 행동, 결과가 간결하게 제시되며, 주제와 무관한 세부 묘사는 생략된다. 이그나치 크라시츠키의 작품들이 그 예시다.[24]비화는 확장된 은유로 볼 수 있으며, 평범한 사람들이 일상에서 겪는 놀라운 사건을 통해 영적이거나 도덕적인 교훈을 전달한다.[25] 직유와 달리 비화의 숨겨진 의미는 암시적이지만,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고 무엇을 믿어야 하는지에 대한 규범적인 메시지, 즉 '행간'을 담고 있다.
플라톤의 <국가>에 나오는 <동굴의 비유>처럼, 비화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이야기를 통해 쉽게 설명한다.[24] 이솝 우화를 번역한 조지 파일러 타운센드는 비화를 '숨겨진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디자인된 말'로 정의했다.[27] 현대에는 비화의 의미가 직설적이고 명백한 경우가 많지만, 숨겨진 의미가 중요한 경우는 알레고리에 해당한다. H. W. 파울러는 비화와 알레고리 모두 듣는 이가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내리도록 이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24]
5. 2. 우화
영어의 "parable" 등, 여러 유럽어에서 '비유'에 해당하는 단어는 그리스어 ''παραβολή''(파라볼레)에서 유래했지만, 이 단어는 그리스 수사학에서 가공의 짧은 이야기로 무언가를 설명하는 것을 광범위하게 의미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 단어는 현실에서 자연스러운 형태로 일어날지도 모르는 것에 대해 영적이거나 도덕적인 일을 가공의 이야기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게 되었다.[24]
비유(parable)는 보편적인 진리를 설명하는 짧은 이야기 중 하나로, 상황, 행동, 결과를 간결하게 묘사한다. 도덕적 딜레마나 위험한 판단으로 인해 결과에 시달리는 인물이 주로 등장하며, 주제와 무관한 세부 묘사는 생략된다. 이그나치 크라시츠키의 <아들과 부친>, <농부>, <소송 사람들>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민담은 비유를 확대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설화도 비슷하지만 마법이 전제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프로토타입 비유는 아폴로그(과장을 포함한 짧은 비화)와 달리 사실주의적이며, 실제 일어날 법한 상황을 제시한다.
비유는 은유처럼 짧고 일관된 가공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기독교의 비유는 확장된 은유로서 연구되기도 한다.[25] 비유는 평범한 사람들이 일상에서 놀라운 사건에 직면하는 이야기로, 종교적 '신앙의 거인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다.[26] '확장된 은유'라는 특징은 비유와 알레고리(우의)에 공통적이다.
직유와 달리, 비유에서 표면상의 이야기와 평행하는 또 다른 의미는 숨겨져 있지 않지만, 직접적으로 말해지지는 않고 암시된다. 비유는 사람이 어떻게 행동하고 믿어야 하는지를 시사하는 규범적인 서브텍스트(행간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또한 은유적 표현을 통해 어렵거나 복잡한 개념을 쉽게 논의하도록 돕는다. 플라톤의 <국가> 속 <동굴의 비유>처럼 구체적인 이야기로 추상적인 논의를 가르친다.[24]
<이솝 우화>를 번역한 조지 파일러 타운센드는 비유를 '말 자체의 의미와 다른 숨겨진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고안된 말'이라고 정의했다.[27] 19세기 말 타운센드는 'to speak in parables (비화로 이야기한다)'라는 표현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현대 용법에서 '비유 (parable)'는 의미가 숨겨져 있기보다는 명백한 경우가 전형적이며, 숨겨진 의미가 중요한 표현은 알레고리이다. H.W. 파울러는 비유와 알레고리 모두 '청자가 직접 관계없는 입장에서 판단을 내리고,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깨닫도록 계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파울러는 비유가 알레고리보다 농밀하며, 독자나 청자에게 교훈이 자신의 관심사에도 적용된다는 원리를 제시한다고 덧붙였다.[24]
6. 대표적인 비유
비유는 정신적 개념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기독교에서 비유의 가장 유명한 예는 성경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신약 성서의 복음서에는 많은 비유가 등장한다. '''예수의 비유'''는 역사적 사실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존 P. 마이어(John P. Meier) 등의 연구자들은 히브리어로 속담이나 격언을 뜻하는 마샬/마샤림에서 유래했다고 본다.[28] 예수의 비유에는 선한 사마리아인과 탕자가 대표적이다. 구약 성서의 마샤림에는 나단이 다윗에게 전하는 사무엘하 12장 1-9절의 어린 양의 비유와 사무엘하 14장 1-13절의 드고아 여인의 비유가 있다.
신약 성서 연구자 중에는 예수의 비유에만 '비유(parable)'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지만,[28] 이는 일반적인 용법은 아니다. 탕자의 비유처럼, 비유는 예수 가르침의 핵심이었으며, 정경과 외경 모두에서 나타난다.
중세에는 성서를 해석할 때 예수의 비유를 세세한 알레고리로 취급하여, 이야기의 모든 요소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아돌프 율리허 이후, 근대 비평가들은 이러한 해석을 부적절하다고 비판한다.[29] 율리허는 비유가 보통 하나의 중요한 점을 전달하려는 의도를 가진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최근 대부분의 연구자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28]
이슬람교의 신비주의 철학인 수피즘에서도 비유는 교훈과 가치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이드리스 샤나 앤서니 데 멜로와 같은 현대 학자들은 수피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현대의 이야기 중에도 비유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19세기 중반에 등장한 깨진 창문의 비유는 경제학적 오류를 보여주는 예시로 사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Fable and Parable
http://www.differenc[...]
Difference Between
2012-11-06
[2]
서적
What are they saying about the parables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3]
서적
Die gleichnisreden Jesu
https://books.google[...]
J.C.B. Mohr (P. Siebeck)
1888
[4]
서적
A Marginal Jew: Rethinking the Historical Jesus
https://books.google[...]
Doubleday
1994
[5]
웹사이트
parable | Origin and meaning of parable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s://www.etymonli[...]
[6]
문서
παραβολή
https://www.perseus.[...]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n Perseus
[7]
문서
A Marginal Jew
Doubleday
1994
[8]
웹사이트
oremus Bible Browser : 2 Sam 12:1-9
http://bible.oremus.[...]
[9]
웹사이트
oremus Bible Browser
http://bible.oremus.[...]
[10]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English Usag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1]
문서
Aesop's Fables
Belford, Clarke & Co.
1887
[12]
문서
Die Gleichnisreden Jesu
Mohr [Siebeck]
1888
[13]
웹사이트
The Epistle of Barnabas (translation J.B. Lightfoot)
http://www.earlychri[...]
2021-10-20
[14]
웹사이트
Plutarch's Lives (Clough)/Life of Cicero - Wikisource, the free online library
https://en.wikisourc[...]
2024-05-02
[15]
서적
A Complete Index to Sale's Text, Preliminary Discourse, and Notes
Kegan Paul, Trench, Trubner, and Co
1896
[16]
웹사이트
What are they saying about the parables
https://books.google[...]
2010-02-19
[17]
문서
Modern English Usage
Oxford, Clarendon Press
1958
[18]
문서
The Language of the Gospel: Early Christian Rhetoric
Harper & Row
1964
[19]
간행물
Parable, Metaphor, and The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1974-12
[20]
문서
Aesop's Fables
Belford, Clarke & Co.
1887
[21]
문서
A Marginal Jew
Doubleday
1994
[22]
문서
Die Gleichnisreden Jesu
Mohr [Siebeck]
1888
[23]
웹인용
What are they saying about the parables
http://books.google.[...]
2010-02-19
[24]
문서
Modern English Usage
Oxford, Clarendon Press
1958
[25]
문서
The Language of the Gospel: Early Christian Rhetoric
Harper & Row
1964
[26]
간행물
Parable, Metaphor, and The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Religion
1974-12
[27]
문서
Aesop's Fables
Belford, Clarke & Co.
1887
[28]
문서
A Marginal Jew
Doubleday
1994
[29]
문서
Die Gleichnisreden Jesu
Mohr [Siebeck]
18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