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업형 농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업형 농업은 산업 혁명 이후 기술 발전을 통해 식량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였으나,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16세기 영국 농업 혁명은 농업 생산성을 증대시켜 산업 혁명의 기반을 다졌으며, 세계화와 기술 혁신을 거치며 대규모 기업형 농업으로 발전했다. 정밀 농업, 스마트팜 등의 기술은 미래 산업형 농업의 발전을 이끌 것으로 예상되지만, 과도한 화학 비료 및 살충제 사용은 토양 오염과 생태계 파괴를 초래하고, 농촌 사회의 불균형을 심화시킨다. 지속 가능한 농업은 유기농업과 같은 친환경 농법을 통해 환경 문제와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고 농업의 공공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농사 - 농업협동조합
    농업협동조합은 농민의 경제적 이익 증진을 위해 농업 투입재 구매, 생산품 가공, 자금 지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17세기 유럽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 농사 - 단작
    단작은 농업과 임업에서 한 종류의 작물이나 나무만을 재배하는 방식으로, 높은 수확량과 낮은 비용을 가능하게 하지만 토양 고갈, 병충해 증가,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며, 지속 가능한 농업 방식으로의 전환이 대안으로 제시된다.
산업형 농업
개요
정의현대 산업화된 농업의 한 형태
관련 용어집약 농업
특징
목적높은 수확량과 효율성을 추구
방법대규모 단일 재배
화학 비료 사용
살충제 및 제초제 사용
가축의 밀집 사육
기계화
장점식량 생산량 증가
낮은 식량 가격 유지
효율적인 토지 이용
단점환경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대기 오염)
생물 다양성 감소
지속 불가능한 농업 방식
동물 복지 문제
농촌 공동체 붕괴
비판
내용환경 단체 및 시민 단체로부터 환경 파괴 및 동물 학대 등의 문제로 비판받음
지속 가능한 농업, 유기농업 등의 대안 농업 방식이 제시됨

2. 역사적 발전과 미래 전망

산업형 농업은 산업 혁명 시기와 맞물려 발전하기 시작했다.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질소, 칼륨, (NPK)의 역할이 밝혀지면서 합성 비료 제조가 가능해졌고, 이는 더 집약적인 농업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20세기 초반에는 비타민과 동물의 영양에서 비타민의 중요성이 발견되어 비타민 보충제가 개발되었으며, 1920년대에는 일부 가축을 실내에서 사육하여 자연적 위협 요소를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항생제백신의 개발은 가축을 밀집된 환경에서 사육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질병 발생을 억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개발된 화학 물질들은 합성 살충제의 등장을 이끌었으며, 발달된 해운 네트워크와 기술은 농산물의 장거리 유통을 가능하게 했다.

이러한 기술 발전에 힘입어 전 세계 농업 생산량은 1820년부터 1975년까지 약 4배 증가했으며[23], 이는 1800년 10억 명이었던 세계 인구가 2002년 65억 명으로 증가하는 것을 뒷받침했다.[1][24] 같은 기간 농업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농업 종사 인구는 크게 감소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1930년대에 전체 인구의 24%가 농업에 종사했지만 2002년에는 1.5%로 줄어들었다. 생산성 또한 향상되어, 1940년에는 농부 한 명이 11명의 소비자를 부양했지만 2002년에는 90명을 부양하게 되었다.[1][24]

농업 생산 방식의 변화는 농장 수 감소와 소유 집중화 현상을 동반했다. 미국에서는 2000년대 중서부 농업 위기 등으로 농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규모 및 중규모 농업 운영이 줄어들었다.[2] 이러한 변화 속에서 농부들은 금융화와 같은 새로운 산업형 농업의 요소를 받아들이게 되었다. 금융화는 금융 기관의 시장 지배력 확대를 통해 농장 운영의 구조, 가치, 사회 조직 등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브라질 세라도 지역에서는 농부들이 투자자의 도움을 받아 토지를 확보하고 농업을 확장하는 사례가 나타났는데, 이는 투자자들에게 낮은 위험과 높은 수익이 기대되었기 때문이다.[2]

산업화된 농업은 관리 모델의 변화도 가져왔다. 농업 노동은 아웃소싱에 의존하는 경향이 커지고, 관리 및 금융 업무가 중요해졌다.[2] 이러한 관리 모델의 도입은 농업의 사회적 가치 시스템에도 변화를 일으켜, 농부들은 전통적인 농업 방식과 이익 중심의 새로운 방식 사이에서 고민하게 되었다. 일부 농부들은 농업을 생활 방식 그 자체로 여기는 반면, 다른 이들은 순전히 이익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인다. 브라질 세라도의 사례처럼, 이윤 마진 증대를 최우선으로 하는 모델은 관리 및 노동 관련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2]

농업의 집중화는 가축 생산에서도 두드러진다. 미국에서는 소수의 대기업이 시장을 장악하는 수직적 통합이 심화되었다. 전미 농민 연합 회장에 따르면, 4개 회사가 소의 81%, 양의 73%, 돼지의 57%, 닭의 50%를 생산한다.[3] 돼지 농장의 경우, 1967년 미국에 100만 개가 있었으나 2002년에는 114,000개로 크게 줄었으며[1][26], 공장식 농장에서 매년 약 8천만 마리의 돼지가 사육된다.[1][24] 월드워치 연구소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금류의 74%, 쇠고기의 43%, 계란의 68%가 이러한 산업형 시스템을 통해 생산되고 있다.[4][27]

미국 주요 가축 시장 점유율 (상위 4개 기업)[3]
가축 종류점유율
81%
73%
돼지57%
50%


2. 1. 영국 농업 혁명

영국 농업 혁명은 16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영국에서 농업이 크게 발전한 시기를 말한다. 이 기간 동안 농업 생산성과 순 생산량이 대폭 증가하여,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인구 증가를 뒷받침했다. 또한, 농업에 필요했던 많은 노동력이 다른 분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산업 혁명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농업 혁명이 정확히 어떻게 시작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근 역사학자들은 인클로저 운동, 기계화, 윤작, 그리고 품종 개량이라는 네 가지 주요 변화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보고 있다[28].

3. 영향

산업형 농업은 산업 혁명 이후 과학 기술의 발달과 함께 등장하여 농업 생산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합성 비료, 살충제, 항생제, 백신 등의 개발과 기계화, 품종 개량, 집약적 사육 방식 도입 등은 식량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1] 이러한 발전은 급증하는 세계 인구를 부양하고[1][24], 소비자에게 저렴하고 풍부한 식량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농업 생산성 향상은 노동력 절감 효과를 가져와 농업 종사 인구 비율을 크게 감소시켰다.[1][24]

그러나 산업형 농업은 동시에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며 사회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대규모 단일 작물 재배와 공장식 축산은 환경에 심각한 부담을 준다. 과도한 화학 비료와 살충제 사용은 토양과 수질 오염을 유발하고 생태계를 교란하며, 집약적 가축 사육 시설(CAFO)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가축 분뇨는 심각한 수질 오염과 악취 문제를 일으킨다.[1] 또한, 가축 사육 과정에서의 메탄 배출과 농업 전반의 높은 화석 연료 의존도는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경제적으로는 생산성 향상과 효율화 이면에 농업의 기업화, 금융화[2], 수직 통합[3] 등이 심화되면서 소규모 농가의 몰락과 농업 자본의 집중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1][2] 사회적으로는 밀집 사육 환경에서의 동물 복지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며[1], 항생제 오남용으로 인한 항생제 내성[8] 증가는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농업 노동자들의 건강 문제와 먹거리 안전에 대한 우려도 지속적으로 제기된다.[1]

톰 울프 펜실베이니아 주지사가 산업형 농업을 위해 제102회 펜실베이니아 농업 박람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처럼 산업형 농업은 식량 생산 증대라는 명백한 성과를 거두었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윤리적 문제들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6][7] 산업형 농업의 다양한 측면을 평가하고, 긍정적인 효과는 유지하면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3. 1. 이점

산업형 농업은 여러 가지 이점을 가져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저렴하고 풍부한 식량 공급이다. 대량 생산 시스템과 기술 발전을 통해 이전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많은 양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전반적인 식량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 또한, 가공 및 유통 기술의 발달은 소비자들에게 다양하고 편리한 형태의 식품을 제공하는 데 기여했다. 이 외에도 산업형 농업은 재배, 수확, 가공, 판매 등 여러 단계에 걸쳐 일자리를 창출하고 관련 산업의 성장을 이끌며 경제 전반에 기여하는 측면도 있다.

미국은 산업형 농업을 성공적으로 도입하여 "세계 어느 국가보다 성공적인 농업 개발 프로그램"을 이룩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9]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을 통해 식량 생산 비용을 낮추었고, 이는 소비자들이 식료품에 지출하는 비용 부담을 크게 줄이는 결과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20세기 중반과 비교했을 때, 세기 말 미국 가계의 가처분 소득 대비 식료품 지출 비중은 현저히 감소했다.[9] 이는 산업형 농업이 풍부한 식량을 저렴하게 공급하여 대중의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했음을 보여준다.

3. 1. 1. 인구 증가

산업 혁명과 맞물려 발전한 산업형 농업은 인구 증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질소, 인, 칼륨(NPK)을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비료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농업 생산량은 획기적으로 늘어났다. 또한 20세기 초 비타민과 동물 영양소의 중요성이 밝혀지면서 비타민 보충제가 개발되었고, 1920년대부터 일부 가축을 실내에서 사육하는 것이 가능해져 자연재해나 질병으로부터 가축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항생물질과 백신의 발견은 밀집 사육 환경에서 가축이 질병에 걸릴 위험을 크게 줄여 실내 사육을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농업 기술의 발전은 식량 생산량의 비약적인 증가로 이어졌다. 세계 농업 생산량은 1820년부터 1975년 사이에 4배나 증가했으며[23], 이는 이전 시대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실제로 세계 인구는 1800년 약 10억 명 수준에서 2002년에는 65억 명까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24] 농업 생산성 자체도 크게 향상되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전체 인구 대비 농업 노동자의 비율이 1930년대 24%에서 2002년 1.5%로 크게 감소했지만, 같은 기간 동안 한 명의 농민이 부양할 수 있는 소비자 수는 11명에서 90명으로 오히려 8배 이상 증가했다.[24]

역사적으로 식량 생산 방식의 변화는 인류가 부양할 수 있는 인구 규모와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다.

  • 약 30,000년 전 수렵 채집 사회에서는 약 600만 명의 인구를 유지했다.
  • 약 3,000년 전 원시적인 농업이 시작되면서 인구는 약 6,000만 명으로 늘어났다.
  • 약 300년 전 논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집약 농업 단계에서는 약 6억 명을 부양할 수 있었다.
  • 오늘날의 '''산업형 농업'''은 60억 명이 넘는 막대한 인구를 부양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세계 인구 추정 (단위: 천 명)
연도세계 인구아프리카아시아유럽중앙 아메리카・남아메리카북아메리카*오세아니아각주
8000 BCE8,000[29]
1000 BCE50,000[29]
500 BCE100,000[29]
1 CE200,000 plus[30]
1000310 000
1750791 000106 000502 000163 00016 0002 0002 000
1800978 000107 000635 000203 00024 0007 0002 000
18501 262 000111 000809 000276 00038 00026 0002 000
19001 650 000133 000947 000408 00074 00082 0006 000
19502 518 629221 2141 398 488547 403167 097171 61612 812
19552 755 823246 7461 541 947575 184190 797186 88414 265
19602 981 659277 3981 674 336601 401209 303204 15215 888
19653 334 874313 7441 899 424634 026250 452219 57017 657
19703 692 492357 2832 143 118655 855284 856231 93719 443
19754 068 109408 1602 397 512675 542321 906243 42521 564
19804 434 682469 6182 632 335692 431361 401256 06822 828
19854 830 979541 8142 887 552706 009401 469269 45624 678
19905 263 593622 4433 167 807721 582441 525283 54926 687
19955 674 380707 4623 430 052727 405481 099299 43828 924
20006 070 581795 6713 679 737727 986520 229315 91531 043
20056 453 628887 9643 917 508724 722558 281332 15632 998**



결론적으로 산업형 농업은 저렴하고 풍부한 식량을 대량으로 공급함으로써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인구 증가를 가능하게 한 핵심 동력이 되었다. 미국과 같은 국가는 산업형 농업을 성공적으로 발전시킨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미국에서는 1930년부터 2000년까지 농업 생산성이 연평균 2%씩 꾸준히 증가했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식료품을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결과로 이어졌다. 실제로 미국 가계의 가처분 소득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50년 22%에서 20세기 말에는 7%까지 크게 감소했다.[31] 이는 산업형 농업이 식량의 대량 생산을 통해 가격을 낮추고 접근성을 높여 결과적으로 더 많은 인구를 부양하는 데 크게 기여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3. 2. 대가

산업형 농업은 산업 혁명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인류에게 풍부한 식량을 제공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질소, , 칼륨 등 식물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의 발견과 비료의 합성은 농업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였고, 비타민, 항생제, 백신 등의 개발은 가축의 실내 사육과 대규모 밀집 사육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1820년부터 1975년까지 세계 농업 생산량을 4배 증가시켰으며[23], 급증하는 세계 인구를 부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24]

그러나 이러한 생산성 향상과 효율성 추구는 여러 가지 대가를 동반한다. 산업형 농업의 목표는 낮은 비용으로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여 물질적 풍요를 이루는 것이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사회적, 윤리적 문제들은 오늘날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6][7] 산업형 농업은 단일한 시스템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방법의 집합체이며, 각각의 요소가 지닌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부작용 사이의 균형을 신중하게 평가해야 한다.[6][7]

주요 문제점으로는 우선 환경 파괴를 들 수 있다. 집약적 가축 사육 시설(CAFO) 등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동물 배설물은 수질 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며[1], 이를 정화하는 데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서는 1995년 돼지 분뇨 저장 라군이 터져 의 오염 물질이 유출되어 수백만 마리의 물고기가 폐사하는 심각한 환경 재앙이 발생하기도 했다.[1] 또한, 합성 비료살충제의 과도한 사용은 토양과 수질 오염을 심화시키고 생태계를 교란하며,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배출되는 메탄 가스와 농업 전반의 높은 화석 연료 의존도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사회적, 윤리적 문제 역시 심각하다. 공장식 축산으로 대표되는 밀집 사육 환경은 동물 복지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으며, 동물 권리 단체들은 이러한 사육 방식이 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준다고 비판한다.[1] 또한, 항생제의 오남용은 항생제 내성이라는 심각한 공중 보건 문제를 야기하고[8], 살충제 잔류물 등은 먹거리 안전에 대한 불안감을 높인다. 산업형 농업 시스템은 농업 노동자들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쳐, 폐 질환이나 근골격계 질환, 드물지만 인수공통감염병의 위험에 노출시키기도 한다.[1] 농업의 기업화와 금융화는 소규모 농가의 몰락과 농촌 공동체의 변화를 초래하기도 한다.[2]

결국 산업형 농업이 가져온 식량 생산의 증대라는 혜택 이면에는 환경 오염, 생태계 파괴, 동물 복지 문제, 먹거리 안전 위협, 농촌 사회 구조 변화 등 우리가 감당해야 할 다양한 '대가'가 존재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히 기술 발전의 부작용을 넘어,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과 사회를 위해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3. 2. 1. 경제

산업형 농업의 발전은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전 세계 농업 생산량은 1820년부터 1975년까지 약 150년 동안 4배 증가했으며[23], 이는 1800년 10억 명 수준이었던 세계 인구가 2002년 65억 명으로 증가하는 동안 식량 공급을 가능하게 한 주요 요인이었다.[1][24] 이러한 생산성 증가는 농업 과정의 자동화와 함께 진행되었고, 농업에 종사하는 인구 비율은 크게 감소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1930년대에 전체 인구의 24%가 농업에 종사했지만, 2002년에는 1.5%로 줄어들었다. 같은 기간 동안 농업 노동자 1명이 부양할 수 있는 소비자 수는 1940년 11명에서 2002년 90명으로 증가했다.[1][24]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농업 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농가의 수가 줄어들고 농지 소유는 소수에게 집중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특히 2000년대 미국 중서부 농업 위기 이후 농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소규모 및 중규모 농업 운영은 더욱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2] 이러한 상황은 농부들이 금융화와 같은 산업형 농업의 새로운 경향에 적응하도록 만들었다.

금융화는 금융 기관의 역할이 확대되고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커지는 현상을 의미하며, 농장 운영의 구조, 가치관, 사회 조직 등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농부들은 투자자의 자본이나 다른 자본 조달 방법을 통해 농업을 지속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예를 들어, 브라질 세라도 지역에서는 토지 가용성과 투자 매력 때문에 외부 투자자들이 농업에 참여하게 되었다.[2] 투자자들은 낮은 위험과 높은 수익을 기대하며 브라질 시장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투자했다.[2]

이러한 변화는 농업 경영 방식에도 영향을 미쳐, '관리 모델'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 모델은 농업 노동 자체보다는 관리 및 금융 업무에 중점을 두며, 실제 농작업은 아웃소싱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2] 관리 모델의 도입은 농업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전통적으로 생활 방식으로서의 농업과 순수한 이익 추구를 위한 농업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하기도 했다.[2] 브라질 세라도의 사례처럼, 일부 지역에서는 농업 모델이 이윤 마진 극대화에 초점을 맞추고, 관리 및 노동 관련 결정이 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향이 강해졌다.[2]

산업형 농업의 또 다른 특징은 시장의 집중화이다. 미국에서는 소수의 대기업이 주요 축산물 시장을 장악하는 수직 통합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전미 농민 연합 회장에 따르면, 4개의 회사가 미국 내 도살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3][25]

축종상위 4개 기업 시장 점유율 (미국)
81%
73%
돼지51%[25] (다른 자료에서는 57%[3])
50%



이러한 집중화는 개별 농가의 수 감소로도 이어진다. 미국의 돼지 농장 수는 1967년 100만 개에서 2002년 11만 4천 개로 크게 줄었다.[1][26] 전미 돼지 생산자 위원회에 따르면, 공장식 농장에서 매년 약 8천만 마리의 돼지(전체 약 9천 5백만 마리 중)가 사육되고 있다.[1][24] 월드워치 연구소는 전 세계적으로 가금류의 74%, 쇠고기의 43%, 계란의 68%가 이러한 공장식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다고 보고했다.[4][27]

3. 2. 2. 환경

(내용 없음)

3. 2. 3. 사회

산업형 농업은 사회에 여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해결해야 할 과제들도 안고 있다.

주요 이점으로는 소비자에게 저렴하고 풍부한 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편리함을 제공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농작물 재배부터 수확, 가공,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 걸쳐 여러 단계에서 경제 성장에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점의 이면에는 다음과 같은 환경 및 사회적 비용 문제가 존재하며,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 항생제 내성 문제 심화[8]
  • 과도한 어획 등으로 인한 어업 피해 발생
  • 가축 분뇨 등으로 인한 지표수 및 지하수 오염 문제와 이를 정화하기 위한 비용 발생
  • 살충제 사용으로 인한 인체 건강 위험 증가
  • 가축 사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등 온실가스로 인한 오존 오염 증가
  • 화석 연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지구 온난화 가속화

4. 동물

"집약적 가축 사육 시설"(Concentrated Animal Feeding Operation, CAFO) 또는 "공장식 축산"은 수십만 마리에 달하는 많은 수의 동물을 주로 실내의 제한된 공간에 밀집시켜 사육하는 방식을 말한다. 주로 , 돼지, 칠면조, 등이 대상이 된다. 이러한 시설의 주된 목표는 가능한 낮은 비용으로 최대한 많은 양의 고기, 달걀, 우유를 생산하는 것이다.

사육 과정에서는 사료와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며, 동물의 건강 유지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항생제 투여, 비타민 보충, 성장 호르몬 사용과 같은 인공적인 방법이 동원되기도 한다. 다만, 성장 호르몬은 닭고기 생산에는 사용되지 않으며, 유럽 연합에서는 어떤 동물에게도 사용이 금지되어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 많은 동물을 가두어 발생하는 스트레스로 인한 공격성 등 원치 않는 행동을 제어하기 위해, 자연적인 습성을 없앤 온순한 품종을 개발하거나, 닭을 개별 케이지에 가두는 등 물리적 제약을 가하기도 한다. 심지어 닭의 부리를 잘라 서로 쪼아 상처 입히는 것을 방지하는 등 동물의 신체를 변형시키는 경우도 있다. 체중 증가는 유전적으로 개량된 품종에 고열량 사료를 풍부하게 제공하여 촉진된다.

미국에서는 1972년 연방 청정 수질법(Clean Water Act) 제정 이후 특정 기준 이상의 가축 사육 시설을 CAFO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는 호수와 강의 수질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미국 환경 보호국(EPA)은 CAFO를 지하수 오염의 잠재적 원인 중 하나로 지목했다. 실제로 미국 17개 주에서 CAFO와 관련된 지하수 오염 사례가 보고되었다. 예를 들어,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는 천만 마리가 넘는 돼지가 연간 1,900만 톤에 달하는 막대한 양의 분뇨를 배출한다. 미국 연방 정부는 이러한 폐기물 처리 문제를 인식하고 동물 배설물을 라군이라는 저장 시설에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라군은 크기가 7.5acre에 달하기도 한다. 하지만 방수 처리가 미흡한 라군은 폐기물이 지하수로 누출될 위험이 있으며, 폭우 시에는 비료로 사용하기 위해 뿌려진 분뇨가 하천으로 유출될 수도 있다. 1995년 노스캐롤라이나에서는 라군이 터지면서 의 오염된 물이 뉴 강(New River)으로 흘러 들어가 약 8백만에서 천만 마리의 물고기가 폐사하는 심각한 환경 재앙이 발생하기도 했다.

좁은 공간에 동물을 대량으로 밀집시키고, 막대한 양의 배설물과 죽은 동물이 발생하는 현실은 윤리적인 문제를 제기한다. 많은 동물 권리 및 동물 복지 활동가들은 이러한 공장식 축산이 동물에게 극심한 고통을 주는 잔인한 행위라고 비판한다. 또한, 공장식 축산 시설이 늘어나면서 대기 오염과 지하수 오염에 대한 우려뿐만 아니라, 오염 문제와 항생제 및 성장 호르몬 사용이 인간의 건강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한 걱정도 커지고 있다.

미국 질병 통제 예방 센터(CDC)에 따르면, 공장식 축산 환경은 농장 노동자들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동자들은 급성 및 만성 폐 질환이나 근골격계 부상을 겪을 수 있으며,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염되는 감염병에 노출될 위험도 있다. 다만, 이러한 인수공통감염병의 실제 전파 사례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작물

녹색 혁명 시기에는 이전에 개발되었으나 주로 산업화된 국가에서만 사용되던 기술들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여기에는 살충제 사용, 관개 시설 확충, 합성 질소 비료 도입 등이 포함된다.

녹색 혁명 과정에서 이루어진 주요 기술 개발 중 하나는 일부에서 "기적의 씨앗"이라 불린 고수량 품종(HYV)의 생산이었다.[20] 과학자들은 옥수수, , 등 주요 작물의 고수량 품종을 만들었다. 이 품종들은 기존 품종보다 질소 흡수 능력이 뛰어나도록 개량되었다. 하지만 질소를 과도하게 흡수한 곡물은 수확 전에 쓰러지기 쉬웠으므로, 식물의 키를 줄이는 반왜성 유전자를 품종의 게놈에 도입했다. 일본 왜성 밀 품종에서 Orville Vogel이 개발한 Norin 10 밀은 녹색 혁명 밀 품종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했다.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개발하여 널리 보급된 최초의 고수량 쌀 품종인 IR8은 인도네시아 품종 "Peta"와 중국 품종 "Dee Geo Woo Gen"을 교배하여 만들어졌다.[21]

애기장대(Arabidopsis)와 에 대한 분자유전학 연구가 가능해지면서, 키 감소(''reduced height'', rh), 지베렐린 불감응(''gibberellin insensitive'', gai1), 가는 벼(''slender rice'', slr1)와 관련된 돌연변이 유전자들이 복제되었다. 이 유전자들은 세포 분열에 영향을 주어 줄기 성장을 조절하는 식물 호르몬인 지베렐린산의 세포 신호 전달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줄기 성장이 현저히 감소하여 왜성 표현형을 나타낸다. 키가 작은 식물은 물리적으로 더 안정적이며, 줄기 성장에 투입될 동화산물이 곡물 생산으로 재분배되어, 특히 화학 비료 사용 시 상업적 수확량 증대 효과를 높인다.

고수량 품종(HYV)은 적절한 관개, 살충제, 비료가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전통 품종보다 훨씬 뛰어난 생산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투입 요소가 부족할 경우, 전통 품종이 고수량 품종보다 더 나은 성과를 보일 수도 있다. 고수량 품종에 대한 한 가지 비판점은 이들이 주로 F1 잡종으로 개발되어 농민들이 이전 해에 수확한 종자를 저장하여 다음 농사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농민들은 매 시즌 새로운 종자를 구매해야 하므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

6. 지속 가능한 농업

산업형 농업은 생산성 향상을 통해 낮은 비용으로 제품을 공급하여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했지만, 동시에 환경 파괴, 자원 고갈 등 다양한 부작용과 문제점을 낳았다.[6][7]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으로 지속 가능한 농업이라는 아이디어와 실천 방식이 등장했다. 지속 가능한 농업은 다음의 세 가지 주요 목표를 통합한다.



이러한 목표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정의되며, 농부소비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지속 가능한 농업은 산업형 농업이 초래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대안으로 여겨진다.

6. 1. 유기농업 방식

유기농업 방식은 과학적 지식의 일부 측면과 매우 제한적인 현대 기술을 전통적인 농업 방식과 결합하며, 산업형 농업의 일부 방식을 수용하고 다른 방식은 거부한다. 유기농 방식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생물학적 과정에 의존하며, 이러한 과정은 종종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지며, 전체론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 반면, 화학 물질에 의존하는 농업은 즉각적이고 고립된 효과와 환원주의 전략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통합 다영양 양식(IMTA)은 이러한 전체론적 접근 방식의 한 예시이다. 통합 다영양 양식은 한 종의 부산물(폐기물)을 재활용하여 다른 종의 투입물(비료, 사료)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먹이를 주는 양식업(예: 어류, 새우)은 무기 추출(예: 해조류) 및 유기 추출(예: 조개류) 양식업과 결합하여 환경 지속 가능성(생물 완화), 경제적 안정성(제품 다양화 및 위험 감소) 및 사회적 수용성(더 나은 관리 방식)을 위한 균형 잡힌 시스템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22]

참조

[1] 서적 Dominion: The Power of Man, the Suffering of Animals, and the Call to Mercy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2
[2] 논문 Financialization of work, value, and social organization among transnational soy farmers in the Brazilian Cerrado https://cdr.lib.unc.[...] 2018
[3] 간행물 Testimony by Leland Swenson http://commdocs.hous[...] U.S. National Farmers' Union 2000-09-12
[4] 간행물 State of the World 2006 http://www.worldwatc[...] Worldwatch Institute
[5] 웹사이트 Agricultural Revolution in England 1500 – 1850 http://www.bbc.co.uk[...] BBC 2002-09-19
[6] 간행물 Agricultural Economies of Australia and New Zealand http://www.abarecono[...] Australian Bureau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7] 간행물 Evolution of the Farm Office http://www.regional.[...] The Regional Institute
[8] 웹사이트 INDUSTRIAL AGRICULTURE IS FAR WORSE THAN YOU THINK https://thehumanelea[...] 2020-09-13
[9] 웹사이트 U.S. Agricul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by Bruce Gardner, University of Maryland http://eh.net/encycl[...] 2007-08-18
[10] 간행물 FAO Energy-Smart Food for People and Climate http://www.fao.org/d[...]
[11] 뉴스 "Make farming energy efficient." Atlanta Journal-Constitution http://www.ajc.com/o[...] Atlanta Journal-Constitution 2011-06-03
[12] 간행물 The Costs and Benefits of Industrial Agriculture http://www.ucsusa.or[...]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01-03
[13] 간행물 Macrosocial Accounting Project http://www.sarep.ucd[...] Dept.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s, Univ. of California, Davis, CA
[14] 간행물 impact-global-food-crisis-poor-evidence http://www.odi.org.u[...] 2010
[15] 논문 The Fragile State of Industrial Agriculture: Estimating Crop Yield Reductions in a Global Catastrophic Infrastructure Loss Scenario 2024-01
[16] 간행물 Fact Sheet #1: A Brief History and Background of the EPA CAFO Rule http://www.lpes.org/[...] MidWest Plan Service, Iowa State University 2003-07
[17] 웹사이트 NSAC – CAFOs & Clean Water Act http://sustainableag[...] 2012-11-18
[18] 웹사이트 North Carolina's Hog Waste Lagoons: A Public Health Time Bomb http://www.edf.org/n[...]
[19] 문서 McFarms Go Wild Dollars and Sense 1998-07
[20] 문서 1970
[21] 웹사이트 Rice Varieties: IRRI Knowledge Bank http://www.knowledge[...] 2006-08
[22] 논문 Integrating seaweeds into marine aquaculture systems: a key toward sustainability 2001
[23] 문서 Dominion St. Martin's Griffin
[24] 문서 Dominion St. Martin's Griffin
[25] 간행물 Testimony by Leland Swenson U.S. National Farmers' Union 2000-09-12
[26] 뉴스 Md. Hog Farm Causing Quite a Stink The Washington Post 1999-05-23
[27] 간행물 State of the World 2006 Worldwatch Institute
[28] 웹사이트 Agricultural Revolution in England 1500 - 1850 https://www.bbc.co.u[...] BBC 2002-09-19
[29] 웹사이트 Historical Estimates of World Population http://www.census.go[...] US Census Bureau
[30] 웹사이트 Historical Estimates of World Population http://www.census.go[...] US Census Bureau
[31] 웹사이트 U.S. Agriculture in the Twentieth Century by Bruce Gardner, University of Maryland http://eh.net/encyc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