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宣)씨는 중국 주(周)나라 문왕의 아들, 주공의 후손, 송나라 선공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보성을 본관으로 하는 선씨는 고려 우왕 때 귀화한 선윤지를 시조로 하며, 조선 시대에는 무신 선형, 선거이 등이 배출되었다. 현대에는 외교통상부 장관 선준영, 야구 감독 선동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선 (성씨)
성씨 정보
이름쉬안 / 솬 (宣)
발음Xuān (Mandarin)
언어중국어
기원고대 중국어
이형쉬안, Hsuan

2. 기원

선씨(宣氏)의 득성(得姓) 시조는 중국 주(周) 문왕(文王)의 아들인 원창(姬靜, 묘호 선왕 宣王), 문왕(文王)의 넷째 아들 희단(周公)의 후손인 숙손교여(叔孫僑如, 시호 선백 宣伯), 송나라 자력(子力, 시호 선공 宣公)이다. 이들은 황제의 직계 후손들이다. 이 세명의 후손들이 선조들의 시호인 ‘선(宣)’으로 성씨를 삼았으며, 이는 기원전 800~600년대의 일이다.

한반도 보성군을 본관으로 한 선씨(宣氏)들이 이 3명 중 누구의 후손인지는 공식적인 사료가 없어 밝혀내지 못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선(宣)씨는 전라도 보성의 토성(土姓)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조선 시대에 한반도로 이주를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 시대 발간된 《증보문헌비고》에 '''광주 선씨'''(光州 宣氏)와 '''밀양 선씨'''(密陽 宣氏)등이 나타나지만 모두 보성 선씨 각파의 지역적 호칭이며 동원(同源)이다.

2. 1. 한국 선씨의 기원

선씨(宣氏)의 득성(得姓) 시조는 중국 주(周) 문왕(文王)의 아들인 원창(姬靜, 묘호 선왕 宣王), 문왕(文王)의 넷째 아들 희단(周公)의 후손인 숙손교여(叔孫僑如, 시호 선백 宣伯), 송나라 자력(子力, 시호 선공 宣公)이다. 이들은 황제의 직계 후손들이다. 이 세명의 후손들이 선조들의 시호인 ‘선(宣)’으로 성씨를 삼았으며, 이는 기원전 800~600년대의 일이다.

한반도 보성군을 본관으로 한 선씨(宣氏)들이 이 3명 중 누구의 후손인지는 공식적인 사료가 없어 밝혀내지 못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선(宣)씨는 전라도 보성의 토성(土姓)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고조선 시대에 한반도로 이주를 시작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선 시대 발간된 《증보문헌비고》에 '''광주 선씨'''(光州 宣氏)와 '''밀양 선씨'''(密陽 宣氏)등이 나타나지만 모두 보성 선씨 각파의 지역적 호칭이며 동원(同源)이다.

3. 보성 선씨

보성 선씨 시조 '''선윤지'''(宣允祉)는 고려 우왕 때 황명(皇明)으로 문연각학사 자격으로 고려에 와서 전라도관찰사 겸 안렴사(按廉使)로 전라도 해안에 넘나드는 왜구를 소탕하고 민생을 안정시키는 공을 세웠으며, 고려가 망하자 벼슬을 버리고 보성에 정착하였다. 이에 도민들이 한식동(寒食洞)에 생사우(生祠宇)를 세워 선생을 추앙하였고, 1831년(순조31년) 오충사(五忠祠)로 사액되어 후손 형(炯), 거이(居怡), 세강(世綱), 약해(若海)와 함께 오충사에 배향(配享)되어 매년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고려충신 '두문동 72현'의 1명으로 경기도 파주 통일공원내 '고려통일대전'에 위패를 모시고 있다. 1862년에 자헌대부 이조판서(資憲大夫吏曹判書) 겸 지의금부사오위도총관(知義禁府事五衛都摠管)에 증직되었다.

'''선용신'''(宣用臣)을 시조로 하는 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과 도촌면에 사는 선씨들은 선용신이 고려 고종 때의 진사(進士)로 선중의 호적(보성군 호구정장)으로 신원이 입증되었다고 주장한다. 조도계(조성과 도촌에 거주하는) 선씨는 전체 선씨들의 5% 미만이다.

3. 1. 분파

선(宣)씨는 전라남도 보성의 토성으로, 모두 보성 선씨의 분파이다.

씨족 (지역)창시자인구 (2015년)
결성 선씨15
관성 선씨11
광주 선씨12
귀녕 선씨9
나주 선씨15
달성 선씨11
문화 선씨19
밀양 선씨18
보상 선씨10
보성 선씨선윤지41,876
보승 선씨10
산양 선씨33
선성 선씨10
송산 선씨10
순창 선씨7
실성 선씨10
연일 선씨31
원주 선씨9
월성 선씨11
장수 선씨42
장흥 선씨14
전주 선씨6
진성 선씨16
진주 선씨47
창녕 선씨7
창평 선씨7
청주 선씨45
평양 선씨19
포성 선씨12
한양 선씨7
행주 선씨38
호성 선씨15
황주 선씨29



보성 선씨중국에서 학사로 고려에 귀화한 선윤지를 창시자로 한다.

3. 2. 조도계 선씨

조도계 선씨는 전라남도 보성의 토성으로, 모두 보성 선씨의 분파이다.

씨족 (지역)창시자인구 (2015년)
결성 선씨15
관성 선씨11
광주 선씨12
귀녕 선씨9
나주 선씨15
달성 선씨11
문화 선씨19
밀양 선씨18
보상 선씨10
보성 선씨중국에서 학사로 고려에 귀화한 선윤지41,876
보승 선씨10
산양 선씨33
선성 선씨10
송산 선씨10
순창 선씨7
실성 선씨10
연일 선씨31
원주 선씨9
월성 선씨11
장수 선씨42
장흥 선씨14
전주 선씨6
진성 선씨16
진주 선씨47
창녕 선씨7
창평 선씨7
청주 선씨45
평양 선씨19
포성 선씨12
한양 선씨7
행주 선씨38
호성 선씨15
황주 선씨29


4. 보성선씨 족보

보성 선씨는 1681년(신유년)에 족보 편찬을 시작하였으나 초고만 남기고 완성되지 못했다. 1681년 신유족보 초고에서 선복주는 오선개조안렴공(吾宣皆祖按廉公)이라는 시를 남겨 안렴공(선윤지)이 시조임을 기록하였다.

1749년에는 보성 선씨 최초로 족보가 완성되었는데, 이를 기사보라고 하며, 보성 선씨의 시조가 선윤지라고 기록되어 있다. 1785년에는 기사보를 수정, 보완하여 을사보를 발간하였는데, 여기에는 문송영제가 수록되어 있다. 문송영제란 보성 선씨 간 시조 논쟁에 대한 1768년에 보성군수가 보성 선씨의 시조는 선윤지임을 밝힌 송사 결과 판결문이다.

이후 1847년 정미보, 1851년 신해보, 1855년 을묘보, 1875년 을해보, 1893년 계사보, 1917년 정사보, 1930년 경오보(참의공파보), 1942년 임오보(옥암공파보), 1947년 정해보(선전공파보), 1955년 을미보가 발간되었다. 1978년에는 선윤지 후손과 선원지 후손이 합보하여 무오보를 발간하였으나, 선원지 후손이 다시 분파하여 별보를 만들었다. 1997년에는 정축보가 발간되었다.

5. 주요 인물

선형(1434년 ∼ 1479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선윤지의 5세손이다. 1451년(문종 1년)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454년(단종 2년) 경흥부사로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456년(세조 2년) 경상좌도수군처치사, 안주목사, 한성부윤, 판종성부사를 역임하고, 한명회를 수행하여 신임을 얻었다. 1463년(세조 9년) 인수부윤, 한성부윤을 거쳐 1465년(세조 11년) 경상도제언순찰사가 되어 경주 북천의 수로를 건설하는 공을 세웠다. 1467년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고, 이시애의 난 평정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 3등의 상을 받고 '''유성군'''으로 봉군되었다. 1469년(예종 1년) '''병조판서'''가 되고, 1470년(성종 1년)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성종 즉위에 공이 있어 좌리공신 4등에 녹훈되었다. 지중추부사를 거쳐 우의정에 추증되었고, 유성군 책봉 당시 봉토로 받은 현재의 서울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 시호는 평양(平襄)이다.

선거이(1545년 ∼ 159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사신(思愼), 호는 친친재(親親齋)이다. 선형의 증손이다. 1579년(선조 12년) 무과에 급제하여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일의 계청군관이 되었다. 이순신과 함께 녹둔도 전투에서 여진족을 토벌했고, 이순신이 투옥되자 구명 운동에 나섰다. 1590년(선조 23년)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고 1591년(선조 24년) 진도군수를 겸임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이억기에게 군사를 넘겨주고 이순신과 함께 ‘한산도 대첩’에서 승전했다. 1592년 전라도 병마절도사(종2품)로 다시 임명되어 독산산성 전투에서 승전하였으나 왜군의 총탄에 부상을 당했다. 1593년 부원수 겸 전라도 병마절도사로서 권율과 함께 ‘행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뒀다. 진주성 방어 명령에 불복하여 병력을 보존하고 호남을 방위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여, 선무공신에 오르지 못하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정유재란 당시 울산성 전투에 참전하여 전사했다. 이순신의 친구이자 전우였으며, 임진왜란 당시 육-해군 최고위 직책을 가진 군인이었다.

선극례(1556년 ~ 1597년)는 선윤지의 9세손으로, 자는 예중(禮中), 호는 의재(義齋)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수사로 재임하다 전사하였으며, 대호군(大護軍)이 되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선세강(1576년 ∼ 1636년)은 선윤지의 9세손으로, 자는 사거(士擧), 호는 매곡(梅谷)이다. 1603년(선조 36) 무과에 급제하여 병자호란 때 경상좌도병마절도사 허완(許完)과 함께 전사하였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고, 전라남도 장흥의 포충사(褒忠祠), 보성의 오충사(五忠祠)에 제향되었다.

선약해(1579년 ∼ 1643년)는 선윤지의 10세손으로, 자는 백종(伯宗)이다. 1605년(선조 38) 무과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1631년(인조 9) 경상좌수사를 제수받아 청나라 심양에 사행(使行)하였다. 숭명배청(崇明排淸)의 대의(大義)에 입각하여 일을 처리하고 외국의 위력에 굴복하지 않아 품계가 승진되었다. 철종 임술년에 가선대부 병조참판(兵曹參判) 겸 의금부 훈련원도사에 추증되었다.

선여경(1551년 ∼ ?)은 조도계열 선용신의 후손으로, 자는 경숙(敬叔)·응원(應遠), 호는 도암(道庵)이다.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두 아들과 종형제들과 함께 어가를 호종하였고, 평양성 전투를 전후하여 공을 세우고 순절하였다.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녹훈(錄勳)되었고, 이들 6충신을 기리기 위하여 전라남도 보성군(寶城郡) 정흥리 호음동에 ‘선씨육충유장비(宣氏六忠遺庄碑)’를 세웠다.

5. 1. 조선시대

선형(1434년 ∼ 1479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으로, 선윤지의 5세손이다. 1451년(문종 1년) 무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454년(단종 2년) 경흥부사로서 세조 즉위에 공을 세워 원종공신 2등에 책록되었다. 1456년(세조 2년) 경상좌도수군처치사, 안주목사, 한성부윤, 판종성부사를 역임하고, 한명회를 수행하여 신임을 얻었다. 1463년(세조 9년) 인수부윤, 한성부윤을 거쳐 1465년(세조 11년) 경상도제언순찰사가 되어 경주 북천의 수로를 건설하는 공을 세웠다. 1467년 황해도관찰사에 임명되었고, 이시애의 난 평정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 3등의 상을 받고 '''유성군'''으로 봉군되었다. 1469년(예종 1년) '''병조판서'''가 되고, 1470년(성종 1년) 경기도관찰사가 되었으며, 이듬해 성종 즉위에 공이 있어 좌리공신 4등에 녹훈되었다. 지중추부사를 거쳐 우의정에 추증되었고, 유성군 책봉 당시 봉토로 받은 현재의 서울대학교 뒷산에 안장되었다. 시호는 평양(平襄)이다.

선거이(1545년 ∼ 1598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자는 사신(思愼), 호는 친친재(親親齋)이다. 선형의 증손이다. 1579년(선조 12년) 무과에 급제하여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일의 계청군관이 되었다. 이순신과 함께 녹둔도 전투에서 여진족을 토벌했고, 이순신이 투옥되자 구명 운동에 나섰다. 1590년(선조 23년) 전라우도 수군절도사에 임명되었고 1591년(선조 24년) 진도군수를 겸임했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이억기에게 군사를 넘겨주고 이순신과 함께 ‘한산도 대첩’에서 승전했다. 1592년 전라도 병마절도사(종2품)로 다시 임명되어 독산산성 전투에서 승전하였으나 왜군의 총탄에 부상을 당했다. 1593년 부원수 겸 전라도 병마절도사로서 권율과 함께 ‘행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뒀다. 진주성 방어 명령에 불복하여 병력을 보존하고 호남을 방위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여, 선무공신에 오르지 못하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정유재란 당시 울산성 전투에 참전하여 전사했다. 이순신의 친구이자 전우였으며, 임진왜란 당시 육-해군 최고위 직책을 가진 군인이었다.

선극례(1556년 ~ 1597년)는 선윤지의 9세손으로, 자는 예중(禮中), 호는 의재(義齋)이다.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수사로 재임하다 전사하였으며, 대호군(大護軍)이 되고 선무원종공신 1등에 녹훈되었다.

선세강(1576년 ∼ 1636년)은 선윤지의 9세손으로, 자는 사거(士擧), 호는 매곡(梅谷)이다. 1603년(선조 36) 무과에 급제하여 병자호란 때 경상좌도병마절도사 허완(許完)과 함께 전사하였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고, 전라남도 장흥의 포충사(褒忠祠), 보성의 오충사(五忠祠)에 제향되었다.

선약해(1579년 ∼ 1643년)는 선윤지의 10세손으로, 자는 백종(伯宗)이다. 1605년(선조 38) 무과에 급제,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다. 1631년(인조 9) 경상좌수사를 제수받아 청나라 심양에 사행(使行)하였다. 숭명배청(崇明排淸)의 대의(大義)에 입각하여 일을 처리하고 외국의 위력에 굴복하지 않아 품계가 승진되었다. 철종 임술년에 가선대부 병조참판(兵曹參判) 겸 의금부 훈련원도사에 추증되었다.

선여경(1551년 ∼ ?)은 조도계열 선용신의 후손으로, 자는 경숙(敬叔)·응원(應遠), 호는 도암(道庵)이다. 1583년(선조 16) 무과에 급제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두 아들과 종형제들과 함께 어가를 호종하였고, 평양성 전투를 전후하여 공을 세우고 순절하였다.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녹훈(錄勳)되었고, 이들 6충신을 기리기 위하여 전라남도 보성군(寶城郡) 정흥리 호음동에 ‘선씨육충유장비(宣氏六忠遺庄碑)’를 세웠다.

5. 2. 현대

현대 인물로는 초대 외교통상부 장관 선준영, 前 하이마트 회장 선종구, 국회의원 선경식, 선병렬, 배우 선동혁, 야구 감독 선동열, MBC 프로듀서 선혜윤이 있다.

중국 인물로는 쉬안 쩡(쉬안 쩡); (13세기 초), 남송 왕조의 고위 관료, 쉬안 샤푸(쉬안 샤푸; 1899–1938), 국민당에 의해 암살된 공산주의 요원, 쉬안 징린(宣景琳; 1907–1992), 여배우, 쉬안 밍즈(쉬안 밍즈; 1952년 출생), 전 UMC의 전무, 쉬안 쉬안 또는 제시카 쉬안 (1970년 출생), 홍콩 배우, 쉬안 짠, 고전 소설 ''수호전''의 등장인물이 있다.

5. 3. 기타 (중국, 홍콩)

선거이(宣居怡, 1545년 ∼ 1598년)는 조선 임진왜란 시기의 무신으로, 이순신의 친구이자 전우였다. 선형(宣炯)의 증손이다. 임진왜란 당시 육-해군 최고위 직책을 가진 단 2명의 군인 중 한 명이었다.

선거이는 1592년 한산도 대첩에서 이순신, 이억기와 함께 승전했다. 1593년에는 부원수 겸 전라도 병마절도사로서 도원수 권율과 함께 행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그러나 같은 해 진주성 전투에서는 병력 보존을 이유로 조정의 명령에 불복하여, 전후 선무공신에 오르지 못했다. 1598년 임진왜란 마지막 전투인 울산성 전투에 참전하여 전사했다.

선극례(宣克禮)는 임진왜란 당시 경상좌수사로 재임 중 전사한 인물이다. 선세강(宣世綱)은 병자호란 때 전사하였으며, 선약해(宣若海)는 청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숭명배청의 대의를 지켰다. 선여경(宣餘慶)은 임진왜란 때 평양성 전투 등에서 공을 세우고 순절하였다.

현대 인물로는 초대 외교통상부 장관 선준영, 前 하이마트 회장 선종구, 국회의원 선경식, 선병렬, 배우 선동혁, 야구 감독 선동열, MBC 프로듀서 선혜윤이 있다.

중국 인물로는 후한의 정치가 선병, 명나라의 학자 선윤지가 있다. 쉬안 쩡(쉬안 쩡)은 남송의 고위 관료였고, 쉬안 샤푸(쉬안 샤푸)는 국민당에 의해 암살된 공산주의 요원이었다. 쉬안 징린(宣景琳)은 여배우, 쉬안 밍즈(쉬안 밍즈)는 UMC의 전무였다. 쉬안 쉬안 또는 제시카 쉬안, 선루는 배우이며, 쉬안 짠은 ''수호전''의 등장인물이다.

2020년 중화인민공화국 통계에서 선(宣)씨는 인구순 상위 100개 성에 포함되지 않았다.[2] 타이완의 2018년 통계에서는 321번째로 흔한 성으로 503명이 있었다.[3]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taiwan.cn[...] Taiwan.cn 2009-01-06
[2] 웹사이트 《二〇二〇年全国姓名报告》发布_部门政务_中国政府网 http://www.gov.cn/xi[...] 2021-02-08
[3] 웹사이트 全國姓名統計分析 https://www.ris.gov.[...] 중화민국내정부 2018-10
[4]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