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렝게티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렝게티 국립공원은 탄자니아 북부에 위치한 14,763km² 규모의 국립공원이다. 마사이족이 '끝없는 평원'으로 불렀던 곳으로, 1951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사바나, 초원, 강변 숲 등 다양한 지형을 포함하며, 빅 파이브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이다. 매년 수백만 마리의 누, 얼룩말 등이 이동하는 '대이동'으로 유명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현재는 탄자니아 국립공원 관리청(TANAPA)이 관리하며, 밀렵, 침입종, 산림 벌채 등이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탄자니아의 국립공원 - 킬리만자로 국립공원
킬리만자로 국립공원은 아프리카 최고봉 킬리만자로 산을 중심으로 한 탄자니아 국립공원으로, 세 개의 화산 원뿔로 이루어진 거대한 성층 화산과 다양한 고도별 생태계를 특징으로 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등반 관광지로 유명하다. - 탄자니아의 세계유산 - 킬리만자로 국립공원
킬리만자로 국립공원은 아프리카 최고봉 킬리만자로 산을 중심으로 한 탄자니아 국립공원으로, 세 개의 화산 원뿔로 이루어진 거대한 성층 화산과 다양한 고도별 생태계를 특징으로 하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등반 관광지로 유명하다. - 탄자니아의 세계유산 - 스톤타운
스톤타운은 탄자니아 잔지바르 섬 서해안에 위치한 역사적인 도시로, 아프리카, 아라비아, 인도, 유럽 문화가 융합된 건축물과 스와힐리 문화의 중심지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아프리카의 세계유산 - 악숨
악숨은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 위치한 고대 악숨 왕국의 수도로, 독자적인 문자와 건축 양식을 발전시키고 기독교를 공식 종교로 채택하여 번성했으며, 웅장한 유적과 역사적인 종교적 장소들을 통해 그 흔적을 간직하고 있는 역사적인 지역이다. - 아프리카의 세계유산 - 티야
티야는 에티오피아 소도 지역의 고고학 유적으로, 석비에 새겨진 레리에프와 장례 의식 관련 추정으로 독특한 예술적 가치를 지니며 에티오피아 거석문화의 중요한 증거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세렝게티 국립공원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세렝게티 국립공원 |
스와힐리어 명칭 | Hifadhi ya Serengeti |
위치 | 탄자니아 마라 주 및 시미유 주 |
면적 | 14,763 km² |
연간 방문객 수 | 약 350,000명 |
지정 | |
IUCN 분류 | II (국립공원) |
세계유산 등재 연도 | 1981년 |
세계유산 기준 | (VII), (X) |
세계유산 번호 | 156 |
생물권 보전지역 | 유네스코 세렝게티-응고롱고로 생물권 보전지역 |
역사 | |
설립 | 1951년 |
관리 | |
관리 주체 | 탄자니아 국립공원 관리 공단 |
이미지 | |
![]() | |
![]() |
2. 역사
마사이족은 유럽 탐험가들이 처음 방문하기 200년 이상 전부터 이곳을 "끝없는 평원"이라 부르며 가축을 길러왔다. '세렝게티'라는 이름은 마사이족이 이 지역을 묘사하던 단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1892년 독일인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인 오스카 바우만(Oscar Baumann) 박사가 이곳에 처음 들어왔으며[37], 그는 응고롱고로 분화구에 머무는 동안 무소 세 마리를 사냥했다.
세렝게티에 처음 들어온 영국인 스튜어트 에드워드 화이트(Stuart Edward White)는 1913년 북부 세렝게티 탐험을 기록했다. 그는 1920년대에 다시 세렝게티를 찾아 세로네라 주변 지역에 3개월간 머물렀는데, 이 기간 동안 그와 동료들은 사자 50마리를 총으로 쏘아 죽였다.[38]
무분별한 사냥으로 사자 개체 수가 급감하자, 영국 행정 당국은 1921년 이 지역의 3.2km2를 부분적인 사냥 금지 구역으로 지정했고, 1929년에는 금지 구역을 전체 지역으로 확대했다. 1930년에는 세렝게티 남부 및 동부의 2286km2 면적이 추가로 사냥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4] 1930년대 당시 탄자니아 지역을 통치하던 영국 정부는 자연 상태의 동식물 보존에 관한 협약에 따라 국립공원 시스템 구축을 추진했고, 1940년 세렝게티 지역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이러한 조치들은 1951년 세렝게티 국립공원 공식 설립의 기초가 되었다.[39][40] 1948년에는 국립공원 관리를 위한 세렝게티 국립공원 관리 위원회가 설립되어 엄격한 보호 조치가 시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거주하던 마사이족의 이동이 제한되었다. 공원의 경계는 1951년에 최종 확정되었다.[5]
공원 설립 과정의 일환으로 야생동물 보호를 명분 삼아 기존에 거주하던 마사이족은 응고롱고로 고지대로 이주당했다. 이 과정에서 식민 당국의 강제와 기만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상당한 논란이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1959년에는 마사이족의 전통적인 토지 이용 방식을 일부 수용하기 위해 국립공원 동부의 8300km2 면적이 분리되어 다목적 토지 이용 구역인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으로 재설립되었다.[6] 1981년 기준 세렝게티 국립공원의 면적은 12950km2로, 이는 세렝게티 생태계 전체 면적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는 규모이다.[7]
세렝게티는 1950년대 버나드 그르지멕(Bernhard Grzimek)과 그의 아들 마이클(Michael)의 활동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특히 1959년에 그들이 함께 제작한 책과 다큐멘터리 영화 ''세렝게티는 죽지 않는다''(Serengeti Shall Not Die)는 초기 자연 보호 다큐멘터리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세렝게티를 널리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8]
세렝게티는 탄자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공원이며, 응고롱고로 보호지역, 만야라 호수 국립공원, 타랑기레 국립공원, 아루샤 국립공원 등과 함께 탄자니아 북부의 주요 사파리 관광 코스("북 사파리 순회 여행")를 구성하는 핵심 지역으로서 국가 관광 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3. 지리
세렝게티는 탄자니아 북서부, 빅토리아 호 동쪽에 펼쳐진 거대한 사바나 지대에 위치해 있다.[35] 공원은 강변의 숲과 삼림지 뿐만 아니라 목초지와 사바나를 포함하여 총 14763km2의 면적을 아우른다. 이는 시코쿠 (18297.78km2)나 간토 평야 (약 17000km2) 면적의 약 80%에 해당하는 넓이다.[35] 공원은 탄자니아 북쪽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케냐 국경과 접해 마사이 마라 자연보호구와 이어진다. 공원의 남동쪽에는 응고롱고로 보호지역이 있고, 남서쪽에는 마스와 게임 보호구역, 서쪽 경계에는 이코롱고와 그루메티 게임 보호구역이 있으며, 북동쪽과 동쪽에는 롤리온도 게임 통제 지역이 자리 잡고 있다.
"세렝게티"라는 이름은 마사이족이 이 지역을 부르던 단어 'siringet'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땅이 영원히 이어지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3] 이는 마사이족이 200년 이상 가축을 기르며 살아온 '끝없는 평원'을 묘사하는 말이기도 하다.
세렝게티 평원의 지형은 사바나에서 언덕이 많은 삼림 지대, 탁 트인 초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대부분은 광활한 초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드문드문 숲과 관목림이 나타나고 강, 늪, 호수 등도 존재한다.[35] 평원 곳곳에는 '코피(kopje)'라고 불리는 화강암 바위 언덕(암석 노출 지형)이 흩어져 있는데, 이는 포식자들이 주변을 살피는 관찰 지점으로 활용된다.[28] 이 지역의 지리적 다양성은 과거 화산 활동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형성된 산과 분화구가 평원의 기본적인 지형을 이루는 데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케냐 고지대에서 발원하여 마사이마라 국립 보호구역을 거쳐 빅토리아 호로 흘러 들어가는 마라 강은 세렝게티 생태계에서 유일하게 연중 마르지 않고 흐르는 강이다.[27]
공원은 지리적 특성에 따라 크게 세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4. 지질
지반 복합체는 고생대 냔지안 시스템 녹색암 (28억 1천만 ~ 26억 3천만 년 전), 고생대 화강암-편마암 플루톤 (27억 2천만 ~ 25억 6천만 년 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억 8천만 년 전에 지질학적 융기를 겪어 코피와 길쭉한 언덕을 형성했다. 신원생대의 모잠비크 벨트는 석영암과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원생대 이코롱고 그룹은 사암, 셰일, 실트스톤으로 구성되어 선형 능선을 이룬다. 공원 남동부 지역에는 신생대 시대의 화산암과 올 도이뇨 렝가이 홀로세 시대의 화산재가 있다. 그루메티 강, 마라 강, 음발라게티 강, 오랑기 강은 서쪽으로 흘러 빅토리아 호로 유입되며, 올두파이 강은 동쪽으로 흘러 올발발 늪으로 들어간다.[22]
공원 동부에는 세렝게티 화산 초원이 있으며, 이곳은 열대 및 아열대 초원, 사바나 및 관목지대 생태 구역에 해당한다. 이 초원은 15만 년 전에 분출한 케리마시 화산의 화산재 퇴적물과 올 도이뇨 렝가이 화산 폭발로 인해 형성되었다. 이 폭발은 탄산염질 응회암 층과 칼사이트 경반토(버티솔)를 만들었는데, 이는 화산에서 분출된 나트륨 탄산염암 용암이 빠르게 풍화된 결과이다.[23][24][25]
5. 생태
세렝게티 국립공원은 탄자니아 북부에 위치하며, 14763km2에 달하는 광활한 지역을 아우른다. 북쪽으로는 케냐 국경과 접하며 마사이 마라 자연보호구와 생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공원 대부분은 드넓은 풀밭과 사바나 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가의 숲과 삼림 지대, 암석 노출 지대 등 다양한 서식 환경을 포함한다.[35]
공원 내에는 탄자니아 국립공원 관리청(TANAPA) 직원, 연구원, 호텔 및 롯지 직원 등 허가된 인원을 제외하고는 인간의 거주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 이는 세렝게티의 독특하고 방대한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공원 관리 본부와 주요 연구 시설, 활주로 등은 세로네라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세렝게티는 다양하고 많은 수의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특히 과거 사냥꾼들이 최고의 사냥감으로 여겼던 다섯 동물, 즉 사자, 표범, 코끼리, 코뿔소, 아프리카들소를 일컫는 빅 파이브가 모두 서식하고 있어 오늘날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끈다. 이 외에도 치타, 가젤, 기린, 누 등 수많은 포유류와 500종이 넘는 다양한 조류가 이곳을 터전으로 삼고 있다.[19][20]
세렝게티 생태계에서 가장 경이로운 장면 중 하나는 바로 누의 대이동이다. 매년 백만 마리가 넘는 누 떼는 풀을 찾아 케냐의 마사이 마라 국립 보호구역까지 약 1500km에 달하는 거리를 이동하는 장대한 여정을 반복한다. 이 대규모 이동은 세렝게티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연 현상이다.
5. 1. 식생
공원은 강변의 숲과 삼림지뿐만 아니라 목초지와 사바나가 14763km2에 걸쳐 펼쳐져 있다.유제류의 이동 외에도, 공원은 다양한 야생 동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유명하다. 특히 사냥꾼들이 최고의 전리품으로 꼽는 다섯 동물, 즉 사자, 표범, 코끼리, 코뿔소, 아프리카들소를 일컫는 빅 파이브 게임이 풍부하여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은 관광객들의 주된 관심 대상이지만, 공원에는 치타, 가젤, 기린, 누, 그리고 다양하고 많은 수의 조류 등 수많은 다른 종들도 서식하고 있다.
세렝게티 국립공원은 2005년부터 마사이 마라 국립 보호구역과 함께 사자 보존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9] 이 생태계에는 3,000마리 이상의 사자가 살고 있다.[10] 아프리카표범의 서식 밀도는 건기 기준으로 100km2당 5.41마리로 추정된다.[11]
아프리카코끼리 무리는 1980년대 밀렵으로 인해 개체 수가 줄었다가 회복되어 2014년에는 5,000마리를 넘어섰다.[12] 아프리카들소 개체 수는 1976년에서 1996년 사이 밀렵으로 감소했으나, 2008년에는 28,524마리로 증가했다.[13] 동부 검은 코뿔소 개체 수는 1980년대 밀렵으로 인해 약 10마리까지 급감했으며, 현재 공원에는 70마리 미만이 생존해 있다.[14] 코뿔소는 주로 잔디, 목본식물인 ''Indigofera'', ''Acacia'' 및 ''Crotalaria'' 같은 초본 식물과 관목을 먹는다.[15]
다른 포유류 육식동물로는 치타,[16] 약 3,500마리의 점박이하이에나, 검은등자칼, 아프리카 황금늑대, 꿀오소리, 줄무늬하이에나, 카라칼, 서벌, 줄무늬몽구스, 그리고 두 종의 수달이 있다. 아프리카 야생 개는 1991년에 자취를 감추었다가 2012년에 다시 이 지역으로 돌아왔다.[17] 그 외 포유류로는 하마, 혹멧돼지, 땅돼지, 땅늑대, 아프리카 야생고양이, 아프리카 사향고양이, 검은꼬리사향고양이, 조릴라, 아프리카 줄무늬족제비, 큰귀여우, 천산갑, 호저, 세 종의 바위너구리, 케이프토끼가 있다.[18] 개코원숭이류인 노랑개코원숭이와 올리브개코원숭이, 버빗원숭이, 망토개코원숭이는 구루메티 강의 숲에서 볼 수 있다.[18]
파충류로는 나일악어, 표범거북, 아프리카가시거북, 무지개아가마, 나일왕도마뱀, 잭슨카멜레온, 아프리카 바위비단뱀, 검은맘바, 목도리코브라, 아프리카 살무사 등이 서식한다.
조류는 500종 이상 관찰되며, 주요 종으로는 마사이 타조, 비서조, 코리느시, 뿔닭, 프랑콜린, 쇠부리갈매기, 아프리카목도리비둘기, 붉은부리물총새, 남부땅코뿔새, 회색관두루미, 이집트신성따오기, 쇠백로, 검은해오라기, 혹부리오리, 안장부리황새, 흰 황새, 골리앗왜가리, 아프리카대머리황새, 노랑부리황새, 점박이두루미, 작은홍학, 넓적부리황새, 압딤황새, 망치머리황새, 하다다따오기, 아프리카바다수리, 분홍등사다새, 탄자니아붉은부리코뿔새, 싸움독수리, 이집트기러기, 모란앵무, 민얼굴기러기, 아프리카얼룩할미새 및 여러 종류의 독수리가 있다.[19][20]
5. 2. 동물
세렝게티 국립공원은 다양한 야생동물의 서식지로 유명하며, 특히 사냥꾼들이 가장 가치 있는 사냥감으로 여겼던 '빅 파이브' 동물인 사자, 표범, 코끼리, 코뿔소, 아프리카물소가 풍부하게 서식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 동물은 오늘날 관광객들에게 큰 관심의 대상이다.2005년부터 세렝게티는 케냐의 마사이 마라 국립 보호구역과 함께 사자 보존 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9] 이 생태계에는 3,000마리가 넘는 사자가 서식하고 있다.[10] 표범의 경우, 건기 동안의 서식 밀도는 100km2당 5.41마리로 추정된다.[11]
코끼리 무리는 1980년대 밀렵으로 인해 개체 수가 크게 줄었으나 이후 회복하여 2014년에는 5,000마리를 넘어섰다.[12] 물소 역시 1976년과 1996년 사이에 밀렵으로 수가 감소했지만, 2008년에는 28,524마리로 증가했다.[13] 반면, 동부 검은 코뿔소는 1980년대 밀렵으로 약 10마리까지 급감했으며, 현재 공원 내에는 70마리 미만이 생존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4] 이 코뿔소들은 주로 잔디나 목본식물인 ''Indigofera'', ''Acacia'', ''Crotalaria'' 같은 초본 식물과 관목을 먹고 산다.[15]
빅 파이브 외에도 공원에는 다양한 포유류가 서식한다. 주요 육식동물로는 치타,[16] 약 3,500마리의 점박이하이에나, 검은등자칼, 아프리카황금늑대, 꿀오소리, 줄무늬하이에나, 카라칼, 서벌, 줄무늬몽구스, 두 종의 수달 등이 있다. 1991년에 자취를 감추었던 아프리카 야생 개는 2012년에 다시 공원으로 돌아왔다.[17] 다른 포유류로는 하마, 혹멧돼지, 땅돼지, 땅늑대, 아프리카들고양이, 아프리카사향고양이, 검은꼬리사향고양이, 조릴라, 아프리카줄무늬족제비, 큰귀여우, 천산갑, 호저, 세 종의 바위너구리, 케이프토끼 등이 있다.[18] 영장류로는 노란 개코원숭이와 올리브개코원숭이, 버빗원숭이, 망토개코원숭이 등이 그루메티 강 주변 숲에서 관찰된다.[18]
파충류로는 나일악어, 표범거북, 톱니날개거북, 무지개아가마, 나일왕도마뱀, 잭슨카멜레온, 아프리카비단뱀, 검은맘바, 목도리코브라, 퍼프애더 등이 서식한다.
또한 세렝게티는 500종 이상의 조류가 관찰되는 곳이기도 하다.[19][20] 대표적인 새로는 마사이타조, 비서조, 코리느시, 투구뿔닭, 회색가슴프랑콜린, 피셔러브버드, 아프리카목도리비둘기, 붉은부리물총새, 남부땅코뿔새, 회색관두루미, 성스러운따오기, 쇠백로, 검은해오라기, 혹부리오리, 안장부리황새, 흰황새, 골리앗왜가리, 마라부황새, 노랑부리황새, 점박이두루미, 작은홍학, 넓적부리황새, 압딤황새, 망치머리, 하다다따오기, 아프리카바다수리, 분홍등사다새, 탄자니아붉은부리코뿔새, 싸움독수리, 이집트기러기, 사랑앵무, 민목기러기, 아프리카할미새 등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독수리도 볼 수 있다.
5. 2. 1. 대이동
대이동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육상 이동이다. 전체 이동 경로는 약 약 804.67km이다. 이동 경로의 남쪽은 응고롱고로 보호구역이며, 이곳에서 1월과 3월 사이에 약 50만 마리의 누가 태어난다. 건기가 시작되는 3월 무렵, 약 150만 마리의 누와 25만 마리의 얼룩말이 케냐의 마사이마라를 향해 북쪽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일런드, 얼룩말, 톰슨가젤도 이 대열에 합류한다. 4월과 5월에는 이동하는 무리가 서부 회랑을 통과한다. 마사이마라에 도달하기 위해 무리는 약 3,000마리의 악어가 기다리는 그루메티 강과 마라 강을 건너야 한다. 강을 건너는 과정에서 악어에게 잡히는 누 1마리당 50마리가 물에 빠져 죽는다. 건기가 끝나는 10월 말이 되면 이동하는 무리는 다시 남쪽으로 향하기 시작한다. 매년 약 25만 마리의 누와 3만 마리의 얼룩말이 이동 과정에서 익사, 포식, 탈진, 갈증 또는 질병으로 인해 목숨을 잃는다.[21]6. 운영 및 보호
유럽 탐험가들이 처음 방문했을 때, 마사이족은 이미 200년 이상 이곳을 '끝없는 평원'이라 부르며 가축을 길러왔다. 세렝게티라는 이름은 마사이족이 이 지역을 묘사하던 단어에서 유래했다. 독일 지리학자이자 탐험가인 오스카 바우만 박사가 1892년 이곳에 들어왔으며[37], 응고롱고로 분화구에서 머무는 동안 코뿔소 세 마리를 사냥했다. 영국인으로는 스튜어트 에드워드 화이트가 1913년 처음 북부 세렝게티를 탐험하고 기록을 남겼다. 화이트는 1920년대에 다시 돌아와 세로네라 주변에서 석 달간 머물며 동료들과 함께 사자 50마리를 사냥했다.[38]
무분별한 사냥으로 사자 개체 수가 급감하자, 영국 식민 당국은 1921년 3.2km2 면적에 부분적인 사냥 금지 구역을 설정했고, 1929년에는 이를 전체 지역으로 확대했다.[39][40] 1930년에는 세렝게티 남부와 동부의 2286km2 면적이 사냥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었다.[4] 이러한 조치들은 1951년 세렝게티 국립공원 설립의 기초가 되었다.[39][40] 1930년대 당시 탄자니아 정부는 자연 상태의 동식물 보존에 관한 협약에 따라 국립공원 시스템 구축을 추진했다. 이 지역은 194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48년에는 국립공원 관리를 위한 위원회가 설립되어 보다 엄격한 보호 조치가 시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거주하던 마사이족의 이동을 제한했으며, 공원의 최종 경계는 1951년에 확정되었다.[5]
공원 설립과 야생동물 보호라는 명목 아래, 이곳에 살던 마사이족은 응고롱고로 고지로 강제 이주당했다. 이 과정에서 식민 당국에 의한 강압과 기만이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등, 이주를 둘러싼 논란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1959년에는 국립공원 동부의 8300km2 면적이 분리되어 응고롱고로 보존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는 마사이족의 전통적인 토지 이용 방식을 일부 허용하는 다목적 토지 이용 구역으로 설정된 것이다.[6] 1981년 당시 세렝게티 국립공원의 면적은 12950km2였다.[7]
세렝게티는 베른하르트 그리짐엑과 그의 아들 미하엘 그리짐엑이 1959년 제작한 책과 다큐멘터리 영화 ''세렝게티는 죽지 않는다''를 통해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8] 이 작품은 자연 보호 다큐멘터리의 중요한 초기 사례로 평가받는다.
세렝게티는 풍부한 종 다양성과 생태학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또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보호 지역 관리 기준에 따라 생태계 및 생태 과정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II등급(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30]
탄자니아의 모든 국립공원은 탄자니아 국립공원 관리청(TANAPA)에서 관리한다. 초기 공원 관리자 중 한 명인 마일스 터너는 밀렵 방지 활동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31] 그의 자서전 ''My Serengeti Years: the Memoirs of an African Game Warden''에는 국립공원 초기의 역사가 자세히 담겨 있다.
세렝게티는 탄자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공원으로, 응고롱고로 보호지역, 만야라 호수 국립공원, 타랑기레 국립공원, 아루샤 국립공원 등과 함께 탄자니아 북부 사파리 관광의 핵심 지역이며 국가 관광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7. 위협 요인
마우 산림 지역의 산림 벌채는 마라 강의 수문학적 변화를 일으켰다.[32] 또한, 침입종 식물인 시암 잡초, 선인장, 구절초, 멕시코 해바라기 등도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33] 1996년 연구에 따르면 공원 서쪽 지역의 인구는 연간 4%씩 증가하고 있으며,[20] 가축 사육 역시 늘어나 농업과 목축에 사용되는 토지 면적이 증가했다. 2001년 세계 보전 감시 센터의 연구 결과, 매년 약 20만 마리의 동물이 밀렵으로 희생되는 것으로 추정된다.[20]
참조
[1]
뉴스
Black rhino dies aged 43 in Tanzania's Serengeti National Park
https://english.news[...]
Xinhua News
2022-04-17
[2]
서적
Serengeti II: Dynamics,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an Ecosyste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간행물
Heartbreak on the Serengeti (continued)
https://www.national[...]
2019-09-26
[4]
웹사이트
Serengeti National Park travel information - Tanzania
https://www.serenget[...]
2021-08-03
[5]
논문
Ways of seeing Africa: colonial recasting of African society and landscape in Serengeti National Park
https://www.research[...]
[6]
논문
Land rights in conservation areas in Tanzania
[7]
논문
Threats to the Serengeti herds
[8]
논문
Political animals: ''Serengeti Shall Not Die'' and the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9]
서적
Conservation Strategy for the Lion ''Panthera leo'' in Eastern and Southern Africa
IUCN
[10]
간행물
Conservation status of the lion (''Panthera leo'' Linnaeus, 1758) in Tanzania
SCI Foundation, MNRT-WD, TAWISA & IGF Foundation
[11]
논문
Counting cats for conservation: seasonal estimates of leopard density and drivers of distribution in the Serengeti
https://repozitorij.[...]
[12]
간행물
Aerial Total Count of Elephants and Buffaloes in the Serengeti-Mara Ecosystem
http://www.kws.go.ke[...]
WWF-World Wide Fund For Nature
2014
[13]
논문
Evaluating the protection of wildlife in parks: the case of African buffalo in Serengeti
[14]
뉴스
How black rhinos and local communities help each other in Namibia
https://news.mongaba[...]
Mongabay Environmental News
2015
[15]
논문
The burning question: does fire affect habitat selection and forage preference of the black rhinoceros ''Diceros bicornis'' in East African savannahs?
[16]
뉴스
Tanzania: Concern As Serengeti Leopards Resort to Cannibalism
https://allafrica.co[...]
allafrica
2019-07-23
[17]
웹사이트
Why did Serengeti's wild dogs disappear? Study challenges controversial hypothesis
https://news.mongaba[...]
2019
[18]
서적
Animals of the Serengeti, and Ngorongoro Conservation Area
2014
[19]
웹사이트
Bird Checklist for Serengeti National Park
http://www.exoticbir[...]
2021-05-28
[20]
웹사이트
Eastern Africa: the Greater Serengeti grassland ecosystem in northern Tanzania {{!}} Ecoregions {{!}} WWF
https://www.worldwil[...]
2021-06-07
[21]
서적
Where Is the Serengeti?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2019
[22]
서적
Geology of National Parks of Central/ Southern Kenya and Northern Tanzania: Geotourism of the Gregory Rift Valley, Active Volcanism and Regional Plateaus
Springer
2018
[23]
웹사이트
Global Volcanism Program {{!}} Ol Doinyo Lengai
https://volcano.si.e[...]
2021-05-25
[24]
웹사이트
Hawaiian Volcano Observatory
https://volcanoes.us[...]
2021-06-25
[25]
문서
Kindt, R., Lillesø, J.-P. B., van Breugel, P., Bingham, M., Sebsebe Demissew, Dudley, C., Friis, I., Gachathi, F., Kalema, J., Mbago, F., Minani, V., Moshi, H. N., Mulumba, J., Namaganda, M., Ndangalasi, H.J., Ruffo, C.K., Jamnadass, R. and Graudal, L. 2011.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eastern Africa.'' Volume 5: Description and tree species composition for other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types. Forest & Landscape Working Paper 65-2011
[26]
웹사이트
Serengeti National Park
https://www.protecte[...]
Protected Planet, United Nations Environment World Conservation Monitoring Centre
2021-05-24
[27]
웹사이트
Geology of Serengeti National Park - Tanzania
https://www.serenget[...]
2021-07-14
[28]
웹사이트
Serengeti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2023-10-21
[29]
웹사이트
Seronera Airport (SEU) @ OurAirports
https://ourairports.[...]
2023-10-21
[30]
웹사이트
Category II: National Park
https://www.iucn.org[...]
2016
[31]
웹사이트
Serengeti – Myles Turner
http://www.serengeti[...]
2016-10-22
[32]
간행물
A New Threat in the Serengeti to the World's Greatest Animal Migration
http://www.takepart.[...]
2021-05-23
[33]
웹사이트
Conservation
https://grumetifund.[...]
2021-05-26
[34]
웹사이트
Serengeti-Ngorongoro Biosphere Reserve, Tanzania
https://en.unesco.or[...]
2023-01-24
[35]
서적
スチーブン・ジェイ・グールド監修、ロジャー・オズボーン/マイケル・ベントン著、木畑郁生日本語版監修、池田比佐子訳 『進化地図』 河出書房新社 2011年 180ページ
[36]
웹사이트
Serengeti National Park
https://whc.unesco.o[...]
2023-04-27
[37]
웹사이트
Dr. Oscar Baumann
http://www.ntz.info/[...]
[38]
웹사이트
Stewart Edward White
http://www.ntz.info/[...]
[39]
웹인용
Serengeti
https://web.archive.[...]
2009-05-20
[40]
웹인용
Serengeti, Heartbreak on the Serengeti -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https://archive.toda[...]
2009-05-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