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말리아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군은 소말리아의 국군으로, 1950년대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시대에 소말리아 항공대로 창설되었다. 1960년 독립 이후 소말리아 공군과 해군이 창설되었으나, 1991년 내전으로 인해 붕괴되었다. 21세기 들어 재건 노력이 이루어져, 2000년대 이후 과도 정부와 연방 정부가 들어섰고, 아프리카 연합 소말리아 임무(AMISOM)의 지원을 받아 군대를 재건하고 있다. 현재 소말리아군은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훈련 및 장비 지원을 위해 국제 사회와 협력하고 있다. 그러나 탈영률, 부족 간의 충성도 문제, 훈련을 받은 군인들의 행방 불명 등 여러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말리아군
개요
2015년 4월 12일 육군 본부에서 열린 소말리아군 창설 55주년 기념식.
2015년 4월 12일 육군 본부에서 열린 소말리아군 창설 55주년 기념식.
명칭소말리아군
현존 형태2008년 8월
창설일1960년 4월 12일
본부모가디슈, 소말리아
병력 규모약 15,000명 (2020년). 2022년 이후 상당한 성장으로 현재 30,000명 이상으로 추정
지휘부
총사령관하산 셰이크 모하무드
총리총리
국방부 장관압둘카디르 모하메드 누르
국방군 사령관오도와 유수프 라게 소장
구성
군종소말리아 육군
소말리아 해군
소말리아 공군
군수
국내 공급업체해당 없음
해외 공급업체

역사
주요 참전쉬프타 전쟁
1964년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전쟁
소말리아의 오가덴 침공
오가덴 전쟁
라무 사건
소말릴란드 독립 전쟁
1982년 에티오피아-소말리아 국경 전쟁
소말리아 반란
소말리아 전쟁 (2006년~2009년)
이사크 학살
소말리아 내전 (2009년~현재)
인도양 작전 (2014년)
계급
군사 계급소말리아의 군사 계급

2. 역사

소말리아군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원은 고대 소말리아 사회의 전사 문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소말리아 사회는 전통적으로 전사(''와란레'')에게 큰 명예를 부여하고 군사적 역량을 중요하게 여겼다. 종교인을 제외한 모든 소말리아 남성은 잠재적인 군인으로 간주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여러 술탄국들이 정규군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파트 술탄국과 솔로몬 왕조 간의 패권 다툼은 이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켰다.

아달 술탄국과 솔로몬 왕조 사이의 잦은 전투는 양측 모두에게 승리와 패배를 안겨주었다. 특히 에티오피아-아달 전쟁 (1529-1559) 동안, 이맘 아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는 에티오피아 제국의 상당 부분을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지만, 크리스토방 다 가마가 이끄는 포르투갈 군대의 지원을 받은 에티오피아 군대에 의해 저지되었다. 이 전쟁은 양측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혔고,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의 오랜 적대 관계의 기원으로 여겨진다.[15]

20세기 초, 마지르틴 술탄국, 호비오 술탄국 등은 유럽 제국주의 열강에 맞서 기병대를 활용하여 저항했다.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는 이탈리아 장교의 지휘 하에 소말리아인 보병 대대비정규군 부대가 창설되어 국경 경비와 경찰 역할을 수행했다. 이들은 이탈리아-터키 전쟁과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도 참전했다. 영국령 소말릴란드에서는 소말릴란드 낙타 군단이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약했다.

1960년 독립 직후,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은 국경 방어를 위해 국군을 창설했다. 소말리아 경찰군의 기동대와 이전 영국 소말리아 스카우트를 통합하여 5,000명 규모의 소말리아 국군이 탄생했다. 다우드 압둘레 히르시 대령이 초대 사령관을 맡았으며, 장교들은 영국, 이집트, 이탈리아에서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독립 초기에는 만성적인 인력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20]

1961년에는 북부 출신 장교들이 남부 장교들의 지휘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곧 진압되었다. 이후 소련쿠바의 지원을 받아 군사력이 확장되고 현대화되었다. 1964년에는 에티오피아와의 국경 분쟁이 전쟁으로 이어졌고, 소말리아군은 게릴라를 지원하며 에티오피아군과 교전했다. 양측은 수단 하르툼에서 평화 협정을 체결하고 휴전에 합의했다.[24]

1969년에는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여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소장이 집권하고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1970년대에는 제21사단, 제54사단, 제60사단 등이 창설되어 오가덴 전쟁에 참전했다. 소말리아군은 에티오피아의 오가덴 지역을 점령하며 초반에는 승리했지만, 소련의 지원을 받은 에티오피아군과 쿠바군의 반격으로 결국 패배했다.[29]

오가덴 전쟁 이후, 바레 정권은 미국과 군사 협력을 강화했다. 1980년대에는 군대가 계속 확장되었지만, 징병제 도입과 부족주의 심화로 인해 군의 기강이 약화되고 국민들의 불만이 커졌다. 1980년대 중반부터는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반군 단체들의 활동이 증가했고, 바레 정권은 이에 대한 징벌적 조치로 하르게이사를 폭격하는 등 강경 대응을 펼쳤다.[39]

1990년대 초, 내전이 발발하면서 소말리아군은 사실상 해체되었고, 각 부족별 민병대로 분열되었다. 유엔무기 금수 조치를 시행하고 평화유지군을 파병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철수했다.[45]

2000년대 이후, 소말리아 과도 정부(TNG)와 과도 연방 정부(TFG)가 수립되면서 소말리아군 재건 노력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TNG와 TFG는 모두 약한 정부였고, 부족 간의 갈등과 이슬람 법정 연합(ICU)의 부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2006년에는 에티오피아군이 TFG를 지원하기 위해 소말리아에 진입했고, 모가디슈 함락을 통해 ICU를 몰아냈다.[58]

2007년에는 소말리아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SOM)가 승인되었고, 우간다군이 모가디슈에 상륙했다. 그러나 하위예 부족을 중심으로 TFG에 대한 불만이 커지면서, 알 샤바브를 비롯한 반군 세력의 공격이 계속되었다. 2008년에는 TFG와 소말리아 해방 연합(ARS-D) 간의 평화 협정이 체결되었지만, 군대 통합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2009년 이후, 유럽 연합미국 등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아 소말리아군 훈련이 진행되었고, AMISOM과 함께 알 샤바브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2012년에는 소말리아 연방 정부가 수립되었고,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경무기 구매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93] 2013년에는 다히르 아단 엘미가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고, 주바랜드 지역과의 협정을 통해 군대 통합을 추진했지만, 큰 성과는 없었다.

2014년에는 인도양 작전을 통해 알 샤바브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고, 알 샤바브 지도자 목타르 알리 주베르를 사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07] 그러나 알 샤바브의 테러 공격은 계속되었고, 소말리아군은 여전히 부족 중심의 민병대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113]

2. 1. 중세 시대부터 식민지 시대까지

역사적으로 소말리아 사회는 전사(''와란레'')에게 명예를 부여하고 군사적 역량을 보상했다. 종교인을 제외한 모든 소말리아 남성은 잠재적인 군인으로 간주되었다.[13] 소말리아의 많은 술탄국은 각각 정규군을 유지했다. 중세 초기에, 이파트 술탄국의 셰와 정복은 솔로몬 왕조와의 패권 경쟁에 불을 붙였다.

호비오 술탄국의 기병대와 요새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중 소말리아 이탈리아군 포병대


이어진 아달 술탄국과 솔로몬 왕조 사이에도 이와 유사한 많은 전투가 벌어졌으며, 양측 모두 승리를 거두고 패배를 겪었다. 에티오피아-아달 전쟁 (1529-1559) 동안, 이맘 아마드 이븐 이브라힘 알-가지는 여러 에티오피아 황제를 격파하고 ''푸투 알-하바쉬''( "아비시니아 정복")라고 불리는 정복을 시작하여 기독교 에티오피아 제국의 4분의 3을 무슬림 아달 술탄국의 권력 아래 두었다.[13][14] 알-가지의 군대와 그들의 오스만 제국 동맹군은 고대 에티오피아 왕국을 멸망시키기 직전까지 갔지만, 아비시니아인들은 크리스토방 다 가마의 포르투갈 군대의 지원을 확보하여 자율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8] 그러나 이 과정에서 양측 모두 자원과 병력을 고갈시켜 양쪽 세력의 축소를 초래했고, 수세기 동안 지역 역학 관계를 변화시켰다. 많은 역사가들은 소말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의 적대감의 기원을 이 전쟁에서 찾는다.[15] 일부 학자들은 또한 이 분쟁이 양측에서 사용된 화기, 예를 들어 머스킷대포, 아르케부스가 전통 무기보다 가치가 있음을 증명했다고 주장한다.[16]

20세기 초, 마지르틴 술탄국, 호비오 술탄국, 와르상갈리 술탄국 및 데르비쉬 국가는 ''술탄국의 작전'' 동안 제국주의 유럽 열강과의 전투에서 기병대를 사용했다.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에서는 8개의 "아랍-소말리아" 보병 대대, ''아스카리'', 그리고 이탈리아 장교가 지휘하는 여러 비정규 부대의 ''두바츠''가 창설되었다. 이 부대들은 국경 경비대와 경찰 역할을 했다. 또한 1889년부터 1941년까지 이탈리아 왕립 식민지 군단의 일부를 형성하는 소말리아 포병대와 자프티에 (''카라비니에리'') 부대도 있었다. 1911년과 1912년 사이에, 모가디슈 출신 1,000명 이상의 소말리아인들이 이탈리아-터키 전쟁에서 에리트레아 및 이탈리아 군인들과 함께 전투 부대로 복무했다.[17] 이 병력의 대부분은 1935년 에티오피아 침공을 준비하기 위해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로 다시 배치될 때까지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1914년, 소말릴란드 낙타 군단이 영국령 소말릴란드에서 창설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이탈리아의 영국령 소말릴란드 침공 전, 중, 후에 복무했다.[13]

2. 2. 1960년부터 1978년까지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은 1960년 독립 직전에 소말리아 공화국의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국군을 창설했다. 1960년 4월 6일에 관련 법률이 통과되었고, 소말리아 경찰군의 기동대(Darawishta Poliska)가 창설되었다. 1960년 4월 12일은 "국군 기념일"로 지정되었다.[17] 1960년 6월 26일, 영국령 소말리아는 소말리아국으로 독립했고, 5일 후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구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도 독립했다. 1960년 7월 1일, 두 지역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18] 독립 후, Darawishta는 이전 영국 소말리아 스카우트와 합병하여 5,000명 규모의 소말리아 국군을 형성했다. 초대 사령관은 영국 군정 경찰대 소말리아 헌병대의 전직 장교였던 다우드 압둘레 히르시 대령이었다.[19] 영국, 이집트, 이탈리아에서 장교 훈련을 받았지만, 군 복무와 관련된 사회적, 경제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국군은 독립 후 불과 몇 년 만에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 시달렸다.[20]

영국령 소말리아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의 합병은 두 지역과 주요 씨족 간의 권력 분배 문제로 인해 논란을 야기했다. 1961년 12월, 북부에서 훈련받은 영국 출신 하르게이사의 장교들은 남부 장교들이 부대를 지휘하자 반란을 일으켰다.[18] 이 반란은 다른 북부 부사관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북부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았다.[21]

1962년 10월, 영국 관리들은 하르게이사와 부라오에 두 개의 대대를 감독하는 북부 군사 구역(하르게이사 사령부)과 모가디슈, 베레트웨인, 갈카요, 바이도아에 4개 대대를 감독하는 남부 군사 구역(모가디슈 육군 본부)을 보고했다.[22]

반란 이후 소련 및 쿠바 고문의 지원을 받아 병력이 확장되고 현대화되었다. 미국 의회 도서관은 1990년대 초에 '[1962년] 소련은 소말리아군을 현대화하고 14,000명으로 확대하기 위해 3,200만 미국 달러의 대출을 승인하기로 합의했다. 모스크바는 이후 그 금액을 5,500만 미국 달러로 증액했다.'고 기록했다.[23]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소말리아-소련 논의를 1963년 10월 또는 그 이후로 기록하고, 미국, 서독, 영국, 이탈리아가 1962년과 1963년 동안 소말리아에 서방의 대안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려 했지만 실패했음을 논의한다.[19]

소말리아 무명용사의 묘


1964년, 에티오피아 국방군과의 소말리아인이 거주하는 오가덴을 둘러싼 분쟁이 전쟁으로 번졌다. 1963년 6월 16일, 소말리아 게릴라들은 에티오피아 동부 베르데, 에티오피아 북쪽의 급수 지점인 호다요에서 반란을 시작했다. 소말리아 정부는 처음에는 게릴라군 지원을 거부했지만, 1964년 1월 에티오피아가 오가덴에 증원군을 파견하자 국경을 넘어 지상 및 공중 공격을 시작하고 게릴라에게 지원을 제공했다. 에티오피아 공군은 베레트웨인 북동쪽 페르페르와 갈카요에 대한 보복 공격을 가했다. 1964년 3월 6일, 양측은 휴전에 합의하고, 수단 하르툼에서 협정을 체결하여 국경에서 병력을 철수하고 적대적 선전을 중단하며 평화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소말리아는 게릴라 지원도 종료했다.[24]

바실리 샤흐노비치 장군을 포함한 소련 고문들이 1969년에 도착했다. 전략 연구소는 Military Balance 1970-71에서 처음으로 소말리아를 목록에 올렸고, 총 병력을 12,000명(육군 10,000명, 공군 1,750명)으로 추산했다.[20] 샤흐노비치 장군은 바레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1971년까지 머물렀다. 그리고리 보리소프 장군은 1973~76년에 같은 직책을 맡았다.

1969년 10월 21일, 아브디라시드 알리 셰르마르케 대통령 암살 후 권력 공백 기간 동안 군대는 쿠데타를 일으켜 집권했다.[21] 1965년에 헤르시의 후임으로 육군 참모총장이 된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소장이 최고 혁명 위원회의 대통령으로 임명되었고, 국가는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72년, 국가 안보 법원은 시아드 바레의 동료 쿠데타 주동자인 모하메드 아인안셰 굴레이드 소장(부통령), 살라드 가베이레 케디예 준장, 압둘카디르 델 압둘레 중령에 대한 처형을 명령했다.[22]

1976년 7월, 국제 전략 연구소는 육군이 22,000명, 전차 대대 6개, 기계화 보병 대대 9개, 보병 대대 5개, 특공대 대대 2개, 포병 대대 11개(대공)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했다.[23] T-34 200대와 T-54/55 50대가 인도된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예비 부품 부족으로 모든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제21사단, 제54사단, 제60사단이 창설되어 오가덴 전쟁에 참전했다. 이 사단들은 1970년 초에 창설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소말리아 기술자들이 1978년 3월 오가덴 지역에서 서소말리아 해방 전선이 사용할 포획된 에티오피아 T-34/85 Model 1969 전차를 수리하고 있다.


압둘라 모하메드 파딜 장군, 압둘라히 아흐메드 이로 등 소말리아 군 고위 관계자들은 에티오피아에서 오가덴 전쟁이 될 공격 계획을 수립했다.[25] 이는 대소말리아 (''Soomaaliweyn'')를 건설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26] 공격 시작 시, SNA는 3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으며,[27] 에티오피아군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다. 1977년 7월 24일, 제60사단이 에티오피아 제4보병사단을 격파한 후 고데 전선을 점령하여 오가덴에 대한 지배력을 통합하고 병력을 집중하여 에티오피아의 다른 지역으로 진격할 수 있었다.[28] 이 침공은 소련이 갑자기 에티오피아에 대한 지원을 바꾸면서 종료되었다. 소련은 바레 정권에 대한 보급을 중단하고 에티오피아의 데르그 정권에 대한 원조를 늘렸다. 바실리 페트로프 장군은 에티오피아군 재구성 임무를 맡았고,[30] 약 15,000명의 쿠바 병력이 에티오피아군을 지원했다. 1978년까지 소말리아군은 오가덴의 대부분 지역에서 밀려났지만, 에티오피아군이 고데를 완전히 장악하는 데는 거의 3년이 더 걸렸다.[29]

전쟁 중 대대가 여단으로 대체되었다. 표준 보병 및 기계화 보병 부대는 여단이 되었으며, [대대] 2~4개로 구성되었고 총 병력은 1,200~2,000명이었다.[31]

2. 3. 1978년부터 1991년까지: 쇠퇴와 붕괴

오가덴 전쟁에서 소련의 지원이 에티오피아로 바뀌면서, 바레 정권은 다른 동맹을 찾아야 했다. 1978년 쿠데타 미수는 이러한 필요성을 더욱 강조했다.[33] 결국 바레는 소련의 냉전 시대 숙적인 미국과 손을 잡았고, 미국은 소말리아에 군사 지원을 제공했다. 전쟁 후, 정부는 1978년 쿠데타 시도에 연루된 혐의로 정부 및 군 관계자들을 체포했다.[25][34] 쿠데타 주동자 대부분은 즉결 처형되었지만,[35] 일부는 해외로 도피하여 소말리아 구원 민주 전선(SSDF)을 결성했다. 이는 바레 정권에 대항하는 첫 번째 반체제 그룹이었다.[36]

군대는 오가덴 전쟁 이후에도 계속 성장했다. 1980년에는 육군 병력이 96,000명(전투 병력 60,000명)으로 늘었고, 1984-85년에는 115,000명, 최종적으로 123,000명으로 증가했다.[37] 1981년, 육군 부대/구역 본부 3곳 중 하나는 북서부 워코이 갈베드 지역(제26구역)의 하르게이사에 있었다. 다른 본부는 갈카요와 벨레드웨인에 있었다. 육군에는 7개 사단이 편성되어 있었고, 각 사단은 기계화 보병 여단, 대공포 대대, 포병 대대로 구성되었다.[37] 1984년, 정부는 병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징병제를 도입했지만,[37] 이는 군 복무 기피 현상을 야기했다.

1980년대 시아드 바레는 부족주의를 정치적 자원으로 활용했다.[37] 그는 군과 보안 부대의 요직을 자신의 씨족인 마레한, 둘바한테, 오가덴 출신으로 채웠고, 이들은 MOD 동맹으로 알려졌다.[37] 아담은 "1976년, 오마르 모하메드 파라르 대령이 모가디슈 주둔 전차 여단을 훈련 및 지휘하라는 요청을 받았을 때, 약 540명의 병사 중 적어도 500명이 마레한 클랜 출신임을 알게 되었다. 전차 사단 전체는 마레한 장교인 우마르 하지 마살라가 지휘했다."라고 말했다.[38] 콩파뇽은 1992년에 "대령과 장군은 대통령의 개인적 후원 네트워크의 일부였으며, 지휘를 맡든 임시로 내각에 있든 대통령과 그의 친족에게 충성을 유지해야 했다."라고 썼다.[38] 그 결과, 1990년까지 많은 소말리아인들은 군대를 시아드 바레의 개인 군대로 인식하게 되었다.

1987년, 미국 국방정보국은 육군 병력을 40,000명으로 추정했다.[39] 대통령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는 국방부 장관을 겸임했다. 모가디슈의 SNA 본부에서 4개 구역이 지휘되었다: 하르게이사의 제26구역, 가로웨의 54구역, 두사 마레브의 21구역, 바이도아의 제60구역. 13개 사단이 4개 구역에 배치되었다. 모하메드 사이드 헤르시 모건은 1986년부터 1988년까지 제26구역 사령관이었고, 바레의 아들 마슬라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는 1987년 11월 모가디슈에서 제77구역을 지휘했으며,[40] 이후 육군 총사령관이 되었다.[41]

1980년대 중반, 에티오피아 데르그의 지원을 받는 저항 운동이 전국에서 증가했다. 바레는 징벌 조치를 명령했고, 1988년에는 소말리아 국민 운동(SNM)의 거점인 하르게이사를 폭격했다.[39] 콩파뇽은 "1988년 여름부터 표적이 된 클랜에 대한 정치적 탄압과 파괴 과정에 있던 전 '국가' 군대의 약탈적 부대와 개인의 사적인 폭력 사용이 결합되었는데, 이들은 강간, 살인, 약탈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그들의 권력을 사용했다. ..사적인 불법 폭력과 공적 강압 사이의 구별이 사라졌다. 많은 전직 군인들이 나중에 클랜 민병대 또는 무장 갱단에 합류했다."라고 썼다.

1980년대 미국과 소말리아 간 군사 훈련이 진행되었다. Exercise Eastern Wind '83 이후,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훈련이 완전히 실패했다. …소말리아 군대는 어떤 기준에도 미치지 못했다."라고 보도했다.[42] 'Valiant Usher '86'과 Exercise Eastern Wind '87이 진행되었고,[43] 미 육군은 1989년 발레도글 공군 기지에서 소말리아 제31 특공 여단과 훈련을 실시했다.[44]

1989년, 국제 전략 연구소는 육군이 4개 군단과 12개 사단 본부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했지만,[44] 이는 '이름뿐이었고, 부대, 병력, 장비가 기준 미달이었다. 여단은 대대 규모였다.'[44] 1989-90년에는 6개 군 구역, 12개 사단, 전차 여단, 기계화/보병 여단, 특공 여단, 지대공 미사일 여단, 야전 포병 여단 등이 있었다.[44] 군대는 1990년 초 65,000명에서 그해 말 탈영과 전투 패배로 약 10,000명으로 감소했다.[44]

1989년 11월, 갈카요 제4사단 소속 하위예 장교와 병사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마레한 클랜 출신 병력이 반란을 진압했고, 지역 하위예 마을에 처벌이 가해졌다.[45] 반군이 잠시 갈카요를 점령하고 군사 장비를 압수했지만, 대부분 불태웠다. 정부군은 민간인들을 상대로 보복을 감행했다.[45]

1990년 중반, USC 반군은 모가디슈 주변 대부분의 마을을 점령했다.[45] 1990년 12월, 모가디슈에서 폭력이 증가했고, 정부군과 USC 반군 간 전투가 계속되었다. 1991년 1월, 시아드 바레는 키스마요로 도망쳤다.[45] 이는 내전의 첫 번째 단계의 절정이었다.

이때 군대는 해체되어 클랜 파벌로 분열되었다. 1992년 1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33을 통해 무기 금수 조치를 부과했다.[45] 많은 군사 장비가 방치되어 악화되었다.

2019년 5월, ''뉴욕 타임스''는 소말리아 북부 SNA 제5여단의 전 사령관이 1980년대 고문 혐의로 미국 배심원단에 의해 유죄 판결을 받았다고 보도했다.[46] UNOSOM의 주둔은 일부 민병대에게 위협으로 간주되었고, 모가디슈에서 총격전이 벌어졌다. 1993년 10월 모가디슈 전투는 미국 군대의 실패한 작전이었다. UN 군인들은 1995년 3월에 철수했다.[47]

UNOSOM II 철수 이후, 현지 파벌 간 군사적 충돌은 짧고 덜 격렬해졌다. 이는 UN 군사 개입으로 인해 주요 파벌들이 성과를 공고히하는 데 집중했기 때문이다. 1993-95년 소말리아 중남부의 평화 및 화해 구상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48]

2. 4. 1990년대: 혼란기

소말리아 과도 정부(TNG)는 2000년 4월~5월 지부티 아르타에서 열린 평화 회의에서 수립되었으나, 후세인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와 모하메드 데레를 포함한 파벌 지도자들의 군사적, 정치적 반대에 직면했다.[49] TNG는 행정부, 사법 기구, 정규군을 포함하여 주권 국가의 모든 기관을 갖추고 있었지만,[50] 매우 약했고 부족 관계가 공식적인 정부 구조보다 훨씬 더 중요했다.

2001년 11월, TNG군이 로어 샤벨의 마르카를 장악했다는 보도가 있었다.[51] 2002년부터 이스마일 카심 나지가 TNG 군사 책임자를 역임하며 소장 계급을 받았다.[52] TNG의 새로운 군대는 90명의 여성과 2,010명의 남성으로 구성되었으며, 2002년 3월 21일 TNG에 돈을 받고 민간인들이 넘겨준 총과 무장 차량으로 무장했다. 압둘카심 살라트 하산 TNG 대통령은 신병들에게 "모가디슈와 소말리아의 다른 지역을 무법자, 무정부주의자, 법 밖에서 생존을 위해 활동하는 모든 세력과 싸워 평화롭게 하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TNG는 모가디슈의 한 지역만 통제했고, 라이벌 군벌들이 나머지 지역을 통제했다.[53] 2002년 말, 일부 TNG 무기가 도난당하고 약탈당했다.[54]

결국 SRRC와 TNG의 지도부가 화해했고, 2004년 나이로비에서 과도 연방 정부(TFG)가 수립되었다. 푼틀랜드 출신의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55][56]

2. 5. 21세기: 재건 노력

소말리아 과도 정부(TNG)는 2000년 4월에서 5월 사이 지부티의 아르타에서 열린 평화 회의를 통해 수립되었다. 그러나 후세인 모하메드 파라 아이디드와 모하메드 데레를 포함한 여러 파벌 지도자들의 군사적, 정치적 반대에 부딪혔다.[49] TNG는 행정부, 사법부, 정규군 등 주권 국가의 모든 기관을 갖추고 있었지만,[50] 실제로는 매우 약했고, 부족 간의 관계가 공식적인 정부 구조보다 훨씬 중요했다.

2001년 11월, TNG 군이 로어 샤벨 지역의 마르카를 장악했다는 보고가 있었다.[51] 2002년부터 이스마일 카심 나지가 TNG 군사 책임자를 맡았으며,[52] 소장 계급을 받았다. TNG의 새로운 군대는 90명의 여성과 2,010명의 남성으로 구성되었고, 2002년 3월 21일 TNG에 돈을 받고 민간인들이 넘겨준 총과 무장 차량으로 무장했다. 압둘카심 살라트 하산 TNG 대통령은 신병들에게 "모가디슈와 소말리아의 다른 지역을 무법자와 무정부주의자들로부터 평화롭게 만들라"고 지시했다. 그러나 TNG는 모가디슈의 일부 지역만 통제했고, 나머지 지역은 라이벌 군벌들이 통제했다.[53] 2002년 말에는 일부 TNG 무기가 도난당하고 약탈되기도 했다.[54]

결국 SRRC와 TNG의 지도부는 화해했고, 2004년 나이로비에서 소말리아 정치인들에 의해 과도 연방 정부(TFG)가 수립되었다. 푼틀랜드 출신의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55][56] TFG는 나중에 임시 본부를 바이도아로 옮겼다.[55]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대통령은 아프리카 연합에 소말리아 파병을 요청했지만, 이는 헛된 호소였다. 그는 푼틀랜드에서 자신의 민병대를 남쪽으로 데려왔고, 미국은 ARPCT 연합에 자금을 지원했다. 이는 소말리아 중남부의 많은 사람들을 불안하게 만들었고, 이슬람 법정 연합(ICU)으로 신병들이 몰려들게 했다.[57]

2006년 상반기에는 모가디슈를 두고 ARPCT와 ICU 간의 전투가 벌어졌다.[58] ICU는 지역의 지원을 받아 그해 6월 도시를 점령했고, 이후 몇 달 동안 에리트레아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소말리아 중남부에서 통제 구역을 넓혔다.[57] TFG와 ICU 대표들은 아랍 연맹의 후원 아래 하르툼에서 여러 차례 회담을 가졌지만, 양측은 타협하지 못하고 회담은 실패했다.[55] 이후 ICU 내에서 강경 이슬람주의자들이 권력을 잡으면서, 이슬람 극단주의 운동의 탈레반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59]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 군대는 이슬람 법정 연합에 맞서 TFG를 지원하기 위해 소말리아에 진입하여 바이도아 전투에서 승리했다.[60] 12월 28일, 에티오피아군은 ICU로부터 수도 모가디슈를 탈환했다.[61] 이 공격은 TFG가 통치를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58] 에티오피아와 TFG군은 2007년 1월 7일에서 12일 사이에 라스 캄보니에서 ICU를 몰아냈다. 이 과정에서 최소 두 번의 미국 공습 지원이 있었다. 2007년 1월 8일,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바이도아에서 모가디슈에 진입했고, TFG는 기지를 국가 수도로 옮겼다.[62]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대통령은 그의 푼틀랜드 군 참모와 함께 왔고, 압둘라히 알리 오마르는 2007년 2월 10일 소말리아 육군 참모가 되었다.[63]

2007년 1월 20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44를 통해 소말리아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SOM)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2007년 3월 7일에서 8일 사이에는 AMISOM에 배정된 700명의 우간다군이 모가디슈 공항에 상륙했다.[64]

모가디슈에서 하위예 주민들은 이슬람 법정 연합의 패배에 분개했다.[65] 그들은 당시 다로드 부족이 지배했던 TFG를 불신했고, 하위예의 이익 대신 다로드의 이익을 증진하는 데 전념한다고 믿었다. 또한, 1991년 모가디슈에서 하위예 민병대가 다로드 민간인들을 학살한 것에 대한 보복을 두려워했고, 에티오피아의 개입에 크게 반발했다.[66] TFG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TFG의 연방주의 정책이 소말리아를 약하고 분열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에티오피아 정부의 음모라고 비난했다.[67] 수도에서 처음 몇 달 동안 TFG는 주요 전략적 지점에만 머물렀고, 광대한 북서부와 서부 교외는 하위예 반군이 통제했다.[68] 2007년 3월,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 대통령은 도시의 민병대를 강제로 무장 해제할 계획을 발표했다.[66] 알 샤바브를 포함한 ICU의 극단주의 세력은 TFG와 에티오피아군에 대한 일련의 공격을 시작했고,[69] 연합군은 강경하게 대응했다.[70]

모든 교전 당사자들은 광범위한 전쟁법 위반에 책임이 있었다. 민간인들은 그에 따른 교전에 휘말렸다. 반군은 인구 밀집 지역에 민병대를 배치하고 거점을 마련했으며, 주거 지역에서 박격포를 발사하고, 암살과 폭력의 대상으로 공공 및 개인을 목표로 삼았다고 보고되었다.[69] TFG군은 전투 지역에서 민간인에게 적절하게 경고하지 못하고, 구호 활동을 방해하고, 재산을 약탈하고, 살인 및 폭력을 저지르고, 대량 체포 과정에서 구금자를 학대했다고 주장했다.[69] TFG의 군, 경찰 및 정보 요원과 TFG 고위 관리의 개인 경호원도 연루되었다. 피해자들은 종종 TFG 요원을 식별할 수 없었고, TFG 관리와 연계된 민병대와 TFG 경찰관 및 기타 국가 보안 요원을 혼동했다.

2008년 중반, TFG는 이슬람주의 소말리아 해방 연합(ARS-D)의 지부인 지부티와 평화 회담에 참여하기로 결정했고, 2008년 8월 19일 협정이 체결되었다. 현재의 군대는 두 파벌 간의 약한 동맹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2008년 12월, 국제 위기 그룹은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는 동료 마제르틴 부족을 전략적 위치에 배치하여 대체로 복종적이고 충성스러운 장치를 구축했다. 모하메드 와르사메 장군("다르위시") 휘하의 국가 안보국(NSA)과 TFG 육군의 소위 "마제르틴 민병대" 부대는 다른 보안 기관과 병행하여 운영되고 종종 그 위에 있다. 그들의 정확한 수는 파악하기 어렵지만, 추정치는 약 2,000명이다.[71] 그들은 잘 공급되고, 무장되어 있으며, 다른 보안 기관과의 조율 없이 종종 대반란 작전을 수행한다. 단기적으로, 이 전략은 대통령이 원하는 대로 본질적으로 군대를 일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보안 서비스의 사기를 훼손하고 탈영률이 높은 원인이 된다.

군대를 건설하는 데 있어 많은 문제는 TFG 정부 기관의 기능 부족이었다.

> 토착적인 내부 권력 투쟁 외에도, TFG는 권위를 확립하고 거버넌스 구조를 재건하는 데 훨씬 더 심각한 문제에 직면했다. 그 통제는 바이도아 너머로 거의 확장되지 않았다. 모가디슈에 대한 통제는 더욱 논란이 많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포위 상태에 있다. 제대로 기능하는 정부 기관은 없다.

또한 2008년 12월, 휴먼 라이츠 워치는 소말리아 국군을 "TFG의 대체로 이론적인 전문 군대"라고 묘사했다. '훈련된 TFG 군대가 나타나는 곳에서 그들은 피해자들에 의해 종종 ENDF(에티오피아 국방군)와 함께 또는 ENDF 장교의 지휘하에 행동하는 에티오피아 훈련 부대로 식별되었다'고 말했다. HRW는 또한 '휴먼 라이츠 워치의 자체 연구에서 광범위한 살인, 강간, 약탈, 폭행, 임의 체포 및 구금 및 고문을 포함한 TFG군의 폭력적인 남용 패턴이 발견되었다. 책임자에는 경찰, 군대 및 정보 요원뿐만 아니라 TFG 고위 관리의 개인 민병대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HRW는 계속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TFG는 이러한 세력의 연루된 광범위한 남용의 피해자들이 공격자가 TFG 경찰관, 다른 TFG 보안 요원인지, TFG 관리와 연결된 민병대인지 식별하는 데 종종 어려움을 겪는 혼란스러운 일련의 보안 세력과 무장 민병대를 배치했다. 또한, 공식적인 지휘 및 통제 구조는 상당 부분 환상이다. TFG 보안군은 종종 여러 역할을 수행하여 하루는 공식적인 상사의 명령에 따라, 다른 날은 부족 민병대로, 다음 날은 자율적이고 사리사욕적인 무장 집단으로 행동한다.'

2009년 4월, 유엔이 주최한 회의에서 기증자들은 안보 개선을 위해 2.5억달러 이상을 약속했다. 이 기금은 AMISOM과 소말리아의 안보를 지원하기 위해 책정되었으며, 6,000명의 보안군과 10,000명의 증강 경찰력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한다.[72] 2009년 6월, 소말리아군은 반군과 싸우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미국 정부로부터 40톤 상당의 무기탄약을 받았다.[73]

2009년 11월, 유럽 연합은 다른 훈련 임무를 보완하고 더 잘 훈련된 소말리아 군인의 총 수를 6,000명으로 늘리기 위해 두 개의 소말리아 대대(약 2,000명의 병력)를 훈련할 의사를 발표했다.[74]대대는 2011년 8월까지 준비될 것으로 예상되었다.[75]

2010년 11월, 새로운 기술 관료 정부가 선출되었다. 취임 후 처음 50일 동안, 새로운 행정부는 정부 군인들에게 첫 번째 월별 수당 지급을 완료했다.[76] 그것은 보안군에 대한 완전한 생체 인식 등록 계획을 발표한 많은 소말리아 행정부 중 첫 번째였다. 4개월 이내에 생체 인식 등록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더 이상의 보고는 거의 없었다. 2011년 8월까지 AMISOM과 소말리아군은 알 샤바브로부터 모가디슈 전체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77]

2011년 2월 현재, 강력한 기득권과 부패한 지휘관이 군대 개혁의 가장 큰 장애물이었다. 일부 새로 인도된 무기는 장교들에 의해 판매되었다. 국제 위기 그룹은 또한 군대의 구조를 공식화하고 추정 8,000명의 SNA를 훈련하는 데 AMISOM의 노력이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효과적인 지휘 계통, 논리적인 군사 형성 및 신뢰할 수 있는 병력 명부의 확립에 대한 저항이 계속되었다. 존경받는 전 육군 참모인 모하메드 겔레 카히예 장군이 개혁을 시도했지만, 그는 소외되고 결국 해임되었다.[78]

2011년 8월, 유럽 연합 훈련 임무 소말리아(EUTM 소말리아)의 일환으로, 900명의 소말리아 군인이 우간다의 이반다 구역에 있는 비항가 군사 훈련 학교를 졸업했다.[79][80] EU에서 150명의 요원이 훈련 과정에 참여하여 연간 약 2,000명의 소말리아 군인을 훈련시켰다.[80] 2012년 5월, 603명의 소말리아 육군 요원이 이 시설에서 훈련을 마쳤다. 그들은 EUTM 소말리아의 후원하에 훈련을 받은 소말리아 국민의 세 번째 배치였다.[81] 총 3,600명의 소말리아 군인을 훈련시킨 EU 임무는 2013년 12월 모든 자문, 멘토링 및 훈련 활동을 모가디슈로 영구적으로 이전했다.[82]

2011년 10월, 도블리 마을에서 소말리아 및 케냐 군사 관계자 간의 주말 예비 회의를 거쳐[83] 케냐 국방군키스마요를 목표로 알 샤바브에 대해 국경을 넘어 공격을 시작했다.[84][85] 2012년 6월 초, 케냐군은 공식적으로 AMISOM에 통합되었다.[86]

2012년 1월, 소말리아 정부군과 그들의 AMISOM 동맹군은 모가디슈 북쪽 외곽에 있는 알 샤바브의 마지막 거점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87] 다음 달, AMISOM과 함께 싸우는 소말리아군은 반군 단체로부터 바이도아를 점령했다.[88] 2012년 6월까지, 연합군은 또한 엘 부르,[89] 아프고예,[90] 그리고 발라드를 점령했다.[91] 국경에서 키스마요 방향으로 케냐군의 진군은 느렸지만, 2012년 6월 1일 아프마도우도 점령되었다고 보고되었다.[92]

소말리아 연방 정부는 2012년 8월/9월에 설립되었다. 2013년 3월 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93이 통과되었다. 이 결의안은 1년간의 임시 기간 동안 경무기 구매 금지 조치를 해제했지만, 대공 미사일 및 야포와 같은 중무기 조달에 대한 제한은 유지했다.[93]

2013년 3월 13일, 다히르 아단 엘미가 모가디슈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고, 그는 압둘카디르 셰이크 디니를 대체했다. 압디리자크 칼리프 엘미는 엘미의 새로운 육군 부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94]

2013년 8월, 소말리아 연방 정부 관계자와 주바랜드 지역 대표들은 아디스아바바에서 협정을 체결했다. 모든 주바랜드 보안 요원 (주로 라스 캄보니 여단)은 소말리아 국군에 통합될 것이었다.[95] 그러나 이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2015년 7월까지 주바 계곡 지역에는 소말리아 국군이 창설되지 않았다.

2013년 11월, 아미솜 지원 유엔 사무소(UNSOA)는 소말리아 국군을 지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들은 알 샤바브에 대항하여 아미솜과 합동 작전에 참여할 10,900명의 소말리아 군대를 더 잘 지원해야 했다.[96] 소말리아 국군 요원은 처음에는 아미솜에 의해 훈련을 받게 되었다. 인권 및 적법 절차 교육을 포함한 특정 유엔 요구 사항이 통과되면, 승인된 소말리아 국군 요원은 식량, 숙소, 연료, 물 및 의료 지원을 받기 시작할 것이다.[97][98]

미상 병사의 묘


2014년 2월, EUTM 소말리아는 모가디슈의 자지라 훈련 캠프에서 첫 번째 "훈련 교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우간다에서 EUTM에 의해 이전에 훈련을 받은 60명의 소말리아 국군 병사들은 국제 인도주의법과 군사 윤리를 포함한 보병 기술 및 절차에 대한 4주간의 재교육 과정을 받게 될 것이다. 훈련은 16명의 EU 훈련 교관에 의해 수행될 것이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소말리아 병사들은 소말리아 국군 신병을 훈련시키기 위한 교관 자격을 갖추게 되며, EUTM 소말리아 요원이 멘토링을 제공할 것이다.[99] 또한 EUTM 소말리아 고문단은 소말리아 국방부와 참모총장에게 전략적 조언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2014년 3월 초, 소말리아 보안군과 아미솜 군대는 알 샤바브에 대한 또 다른 작전을 시작했다.[100] 압디웰리 셰이크 아흐메드 총리에 따르면, 정부는 이후 라브 두레, 후두르, 와지드, 부르두보를 포함한 새로 해방된 지역에서 안정화 노력을 시작했다. 그러나 새로 해방된 지역을 활성화하고 안전하게 지키는 데 충분한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우려가 계속되었다. 3월 26일까지 코릴레이와 엘 부르를 포함한 10개의 마을이 한 달 안에 해방되었다.[101][102] 소말리아 주재 유엔 특별 대표 니콜라스 케이는 군사적 진격을 2007년 AU 군대가 작전을 시작한 이후 가장 중요하고 지리적으로 광범위한 공격이라고 묘사했다.[103]

2014년 7월, 미국과 프랑스 정부는 소말리아 국군에 대한 훈련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4] 미국 국방부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군사 고문도 소말리아에 주둔하고 있다.[105]

2014년 8월, 소말리아 정부는 인도양 작전을 시작했다.[106] 2014년 9월 1일, 미군의 드론 공격으로 알 샤바브 지도자 목타르 알리 주베르가 사망했다.[107] 미국 당국은 이 습격을 알 샤바브에게 중요한 상징적이고 작전적인 손실이라고 칭찬했으며, 소말리아 정부는 무장 단체의 모든 온건파 회원에게 45일간의 사면을 제안했다.[108]

2014년 9월, 소말리아 연방군 20명이 지부티에서 훈련 과정을 시작했다.[109]

2014년 10월, 연방 정부 관계자들은 푼트랜드와 협정을 체결하여 연방 정부와 푼트랜드 당국이 통합된 국군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110] 2015년 4월, 또 다른 양자 조약은 푼트랜드가 소말리아 국군에 3,000명의 병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명시했다.[111] 그러나 이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FGS 군대와 푼트랜드 군대는 분리된 상태로 남아 있다.

2015년 3월, 소말리아 내각은 보안군을 국유화하고 통합하기 위한 새로운 위원회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112] 2015년 4월, 지역 민병대 통합 위원회는 지역 군대의 공식적인 통합을 위한 계획을 발표했다.[124]

2016년 ''이코노미스트''는 소말리아 국군이 탈영률이 높고 많은 병사들이 정부보다는 부족 지도자에게 충성심을 보이고 있어 일관된 군대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113]

3. 조직 및 구조

소말리아군은 1960년 독립 직후 소말리아 신탁통치령과 영국령 소말리아의 군대를 통합하여 5,000명 규모로 창설되었다. 다우드 압둘레 히르시 대령이 초대 사령관을 맡았으며, 장교들은 영국, 이집트, 이탈리아 등지에서 훈련을 받았다.

초기 소말리아군은 북부와 남부 지역 간의 권력 분배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 1961년에는 북부 출신 장교들이 반란을 일으켰지만 곧 진압되었다. 1962년에는 북부와 남부에 각각 군사 구역이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1960년대 소말리아군은 소련의 지원을 받아 병력을 확장하고 현대화했다. 1964년에는 오가덴 지역을 둘러싸고 에티오피아와 전쟁이 발발하기도 했다.

1969년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소장이 쿠데타를 일으켜 집권하면서 소말리아는 소말리아 민주 공화국으로 국호를 변경했다. 1970년대에는 소련 고문들의 지원 아래 군사력이 더욱 강화되었으며, 여러 사단이 창설되었다.

1977년 소말리아는 오가덴 전쟁을 일으켰으나, 소련이 에티오피아를 지원하면서 전세가 역전되었다. 소말리아군은 오가덴 지역에서 철수해야 했다.

전쟁 이후 소말리아군은 계속 확장되었고, 1980년대에는 징병제가 도입되기도 했다. 그러나 시아드 바레 정권은 점차 부족주의를 정치적 자원으로 활용하면서 군 내부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반군 단체들의 활동이 활발해졌고, 바레 정권은 이에 강경하게 대응했다. 1988년에는 하르게이사 폭격과 같은 대규모 탄압이 자행되기도 했다.

1990년대 초, 소말리아는 내전 상태에 돌입했고, 군대는 여러 파벌로 분열되었다. 유엔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33을 통해 무기 금수 조치를 내렸지만, 내전은 계속되었다.

2000년대 들어 소말리아 과도 정부(TNG)와 과도 연방 정부(TFG)가 수립되었지만,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이 지속되었다. 2006년에는 에티오피아군이 TFG를 지원하기 위해 소말리아에 진입하기도 했다.

2007년 소말리아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SOM)가 승인되었고, 이후 소말리아 정부군과 AMISOM은 알 샤바브와 같은 반군 세력에 맞서 싸웠다.

2012년 소말리아 연방 정부가 수립되었고, 이후 군대 재건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2013년에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93을 통해 경무기 구매 금지 조치를 해제하기도 했다.

현재 소말리아군은 유럽 연합 훈련 임무 소말리아(EUTM 소말리아) 등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아 훈련을 받고 있으며, 다나브 여단과 같은 특수 부대도 창설되었다.

소말리아군은 장교와 부사관 및 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급 체계는 다음과 같다.
장교

계급 그룹장군 / 제독 장교선임 장교초급 장교
Sareeye guudsoSareeye gaassoSareeye guutosoGashaanle saresoGashaanle dhexesoGashaanlesoDhammesoLaba xídíglesoXídígleso


부사관 및 병

계급 그룹선임 부사관초급 부사관사병
계급장 없음
Musharax sarkaalsoSadex xaríglesoLaba xaríglesoXaríglesoSadex alíflesoLaba alíflesoAlíflesoDableso


3. 1. 병력 규모 및 구성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이 1960년 독립하기 직전, 소말리아 공화국의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국군이 창설되었다. 이와 관련된 법률은 1960년 4월 6일에 통과되었고, 소말리아 경찰군의 기동대(Darawishta Poliska)가 창설되었다. 1960년 4월 12일은 "국군 기념일"로 지정되었다.[18] 1960년 6월 26일, 영국령 소말리아는 소말리아국으로 독립했고, 며칠 뒤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구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도 독립했다. 1960년 7월 1일, 두 지역은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18] 독립 후, Darawishta는 이전 영국 소말리아 스카우트와 합병하여 5,000명 규모의 소말리아 국군을 형성했다. 초대 사령관은 영국 군정 경찰대 소말리아 헌병대의 전직 장교였던 다우드 압둘레 히르시 대령이었다.[18] 장교들은 영국, 이집트, 이탈리아에서 훈련을 받았다. 그러나 국군은 독립 후 불과 몇 년 만에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 시달렸다.[18]

1961년 12월, 북부에서 훈련받은 영국 출신 하르게이사의 장교들은 남부 장교들이 부대를 지휘하자 반란을 일으켰다.[18] 이 반란은 다른 북부의 부사관에 의해 진압되었지만, 북부의 불만은 가라앉지 않았다.[18]

1962년 10월, 영국 관리들은 하르게이사와 부라오에 두 개의 대대를 감독하는 북부 군사 구역과 모가디슈, 베레트웨인, 갈카요, 바이도아에 있는 4개 대대를 감독하는 남부 군사 구역이 있다고 보고했다.[19]

이후 소련 및 쿠바 고문의 지원을 받아 병력이 확장되고 현대화되었다. 미국 의회 도서관은 1990년대 초에 '[1962년] 소련은 소말리아군을 현대화하고 14,000명으로 확대하기 위해 3200만달러의 대출을 승인하기로 합의했다. 모스크바는 이후 그 금액을 5500만달러로 증액했다.'라고 기록했다.[19]

1964년, 에티오피아 국방군과의 오가덴을 둘러싼 분쟁이 전쟁으로 번졌다. 1963년 6월 16일, 소말리아 게릴라들은 에티오피아 동부 베르데, 에티오피아 북쪽의 급수 지점인 호다요에서 반란을 시작했다. 1964년 1월, 에티오피아가 오가덴에 증원군을 파견한 후, 소말리아군은 국경을 넘어 지상 및 공중 공격을 시작했고 게릴라에게 지원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에티오피아 공군은 베레트웨인 북동쪽의 페르페르와 갈카요에 대한 보복 공격으로 대응했다. 1964년 3월 6일, 소말리아에티오피아는 휴전에 합의했다. 그 달 말, 양측은 수단하르툼에서 협정을 체결하여 국경에서 병력을 철수하고, 적대적인 선전을 중단하며, 평화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소말리아는 또한 게릴라에 대한 지원을 종료했다.[20]

바실리 샤흐노비치 장군을 포함한 소련 고문들이 1969년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전략 연구소는 Military Balance 1970-71에서 처음으로 소말리아를 목록에 올렸고, 총 병력을 12,000명으로 추산했다.[20]

1976년 7월, 국제 전략 연구소는 육군이 22,000명, 전차 대대 6개, 기계화 보병 대대 9개, 보병 대대 5개, 특공대 대대 2개, 포병 대대 11개(대공)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했다.[23]

오가덴 전쟁 발발 당시 소말리아 국군은 35,000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27] 1977년 7월 24일 제60사단이 에티오피아 제4보병사단을 격파한 후 고데 전선을 점령했다.[28] 그러나 전쟁 중 소련이 갑자기 에티오피아에 대한 지원으로 돌아서면서, 소말리아는 거의 모든 공산주의 국가들의 지원을 받는 에티오피아에게 밀려나게 되었다. 소련은 바레 정권에 대한 보급을 중단하고, 대신 에티오피아의 데르그 정권에 대한 원조를 늘렸다.[30] 바실리 페트로프 장군은 에티오피아군을 재구성하는 임무를 맡았다.[30] 소련은 또한 에티오피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약 15,000명의 쿠바 병력을 투입했다. 1978년까지 소말리아군은 오가덴의 대부분 지역에서 밀려났다.[29]

1982년 발람발레와 굴도고브 인근 격전지에서 파괴된 에티오피아군이 노획한 BTR-60 장갑차 2대


오가덴 전쟁 이후 군대는 계속 확장되었다. 육군은 1980년에 96,000명, 1984-85년까지 115,000명, 결국 123,000명으로 성장했다.[37]

1981년에 육군 부대/구역 본부 3곳 중 한 곳이 북서부 워코이 갈베드 지역(제26구역)의 하르게이사에 있었다. 다른 본부는 북중부 무두그 지역의 갈카요와 남중부 히란 지역의 벨레드웨인에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육군에는 7개 사단이 포함되어 있었다.[37]

1984년, 정부는 징병제를 도입하여 병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다.[18] 18세에서 40세의 남성은 2년 동안 징집되었다. 징병과 게릴라 그룹에 대한 캠페인에 대한 반대로 인해 군 복무 기피 현상이 광범위하게 발생했다. 1980년대 후반에 정부는 일반적으로 남성을 강제로 군 복무에 투입하여 병력 요구 사항을 충족했다.

AKM을 든 소말리아 군인이 다국적 연합 훈련 Exercise Bright Star '85 동안 사진을 찍고 있다.


1987년까지 미국 국방정보국은 육군이 40,000명으로 추정했다.[39] 대통령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는 소장 계급을 가지고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다. 국방 차관은 3명이었다. 모가디슈의 SNA 본부에서 4개 구역이 지휘되었다. 하르게이사의 제26구역, 가로웨의 54구역, 두사 마레브의 21구역, 바이도아의 제60구역. 13개 사단(평균 3,300명)이 4개 구역으로 나뉘어 배치되었다.[39]

1989년 6월 1일, 국제 전략 연구소는 육군이 4개 군단과 12개 사단 본부로 구성되어 있다고 추정했다.[113] IISS는 이러한 편성이 '이름뿐이었고, 부대, 병력, 장비가 기준 미달이었다. 여단은 대대 규모였다.'라고 언급했다.[113] 1989-90년에는 6개의 군 구역, 12개 사단 등이 목록에 올랐다.[39] 군대는 1990년 초 65,000명에서 그해 말 탈영과 전투 패배로 인해 약 10,000명으로 규모가 감소했다.[39]

1990년 중반까지 USC 반군은 모가디슈 주변의 대부분의 마을을 점령했다.[45] 1990년 12월 30일부터 모가디슈에서 지역 폭력이 크게 증가했고, 정부군과 USC 반군 간의 지속적인 전투가 벌어졌다. 1991년 1월 27일, 시아드 바레는 많은 지지자들과 함께 수도를 키스마요로 도망쳤다.[32]

이때 군대는 해체되어 클랜 파벌로 분열되었다. 1992년 1월 23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33을 통해 무기 흐름을 교전 중인 민병대 그룹으로 막기 위해 무기 금수 조치를 부과했다.[34]

소말리아 과도 정부(TNG)는 2000년 4월~5월 지부티 아르타에서 열린 평화 회의에서 수립되었다. TNG는 행정부 및 사법 기구, 정규군을 포함하여 주권 국가의 모든 기관을 기술적으로 갖추고 있었다.[50]

2002년부터 이스마일 카심 나지가 TNG 군사 책임자를 역임했다.[52] TNG 관리들에 따르면, TNG의 새로운 군대는 90명의 여성과 2,010명의 남성으로 구성되었으며, 2002년 3월 21일 TNG에 돈을 받고 민간인들이 넘겨준 총과 무장 차량으로 무장했다.[53] 그러나 TNG는 모가디슈의 한 지역만 통제했고, 라이벌 군벌들이 나머지 지역을 통제했다.[53]

2004년 과도 연방 정부(TFG)가 수립되었고, 푼틀랜드 출신의 압둘라히 유수프 아흐메드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55] 유수프 대통령은 아프리카 연합이 소말리아에 배치되도록 요청했다. 유수프는 아프리카 연합의 군사력에 대한 헛된 호소 후에 푼틀랜드에서 자신의 민병대를 남쪽으로 데려왔다.[57]

2006년 12월, 에티오피아 군대는 진격하는 이슬람 법정 연합에 맞서 TFG를 지원하기 위해 소말리아에 진입하여 처음에는 바이도아 전투에서 승리했다.[60] 2006년 12월 28일, 에티오피아군은 ICU로부터 수도를 탈환했다.[61] 2007년 1월 8일, 아흐메드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으로 바이도아에서 모가디슈에 진입했고, TFG는 기지를 국가 수도로 옮겼다.[62] 압둘라히 알리 오마르는 2007년 2월 10일 소말리아 육군 참모가 되었다.[63]

2007년 1월 20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744를 통해 소말리아 아프리카 연합 임무(AMISOM)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64]

2008년 중반, TFG는 이슬람주의 소말리아 해방 연합 (ARS-D)의 지부인 지부티와 평화 회담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2008년 8월 19일 협정이 체결되었다. 현재의 군대는 두 파벌 간의 약한 동맹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71]

2009년 11월, 유럽 연합은 다른 훈련 임무를 보완하고 더 잘 훈련된 소말리아 군인의 총 수를 6,000명으로 늘리기 위해 두 개의 소말리아 대대(약 2,000명의 병력)를 훈련할 의사를 발표했다.[74]

2010년 11월, 새로운 기술 관료 정부가 선출되었다. 취임 후 처음 50일 동안, 새로운 행정부는 정부 군인들에게 첫 번째 월별 수당 지급을 완료했다.[76] 2011년 8월까지 AMISOM과 소말리아군은 알 샤바브로부터 모가디슈 전체를 점령하는 데 성공했다.[77]

2011년 8월, 유럽 연합 훈련 임무 소말리아(EUTM 소말리아)의 일환으로, 900명의 소말리아 군인이 우간다의 이반다 구역에 있는 비항가 군사 훈련 학교를 졸업했다.[79] 총 3,600명의 소말리아 군인을 훈련시킨 EU 임무는 2013년 12월 모든 자문, 멘토링 및 훈련 활동을 모가디슈로 영구적으로 이전했다.[82]

2012년 1월, 소말리아 정부군과 그들의 AMISOM 동맹군은 모가디슈 북쪽 외곽에 있는 알 샤바브의 마지막 거점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87]

소말리아 연방 정부는 2012년 8월/9월에 설립되었다. 2013년 3월 6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093이 통과되었다. 이 결의안은 1년간의 임시 기간 동안 경무기 구매 금지 조치를 해제했지만, 대공 미사일 및 야포와 같은 중무기 조달에 대한 제한은 유지했다.[93]

2013년 3월 13일, 다히르 아단 엘미가 모가디슈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육군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고, 그는 압둘카디르 셰이크 디니를 대체했다. 압디리자크 칼리프 엘미는 엘미의 새로운 육군 부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94]

2013년 8월, 소말리아 연방 정부 관계자와 주바랜드 지역 대표들은 아디스아바바에서 협정을 체결했다. 모든 주바랜드 보안 요원 (주로 라스 캄보니 여단)은 소말리아 국군에 통합될 것이었다.[95]

2013년 11월, 아미솜 지원 유엔 사무소 (UNSOA)는 소말리아 국군을 지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그들은 알 샤바브에 대항하여 아미솜과 합동 작전에 참여할 10,900명의 소말리아 군대를 더 잘 지원해야 했다.[96]

2014년 2월, EUTM 소말리아는 모가디슈의 자지라 훈련 캠프에서 첫 번째 "훈련 교관" 프로그램을 시작했다.[99]

2014년 3월 초, 소말리아 보안군과 아미솜 군대는 알 샤바브에 대한 또 다른 작전을 시작했다.[100]

2014년 7월, 미국과 프랑스 정부는 소말리아 국군에 대한 훈련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4]

2014년 8월, 소말리아 정부는 인도양 작전을 시작했다.[106] 2014년 9월 1일, 미군의 드론 공격으로 알 샤바브 지도자 목타르 알리 주베르가 사망했다.[107]

2014년 9월, 소말리아 연방군 20명이 지부티에서 훈련 과정을 시작했다.[109]

2014년 10월, 연방 정부 관계자들은 푼트랜드와 협정을 체결하여 연방 정부와 푼트랜드 당국이 통합된 국군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110]

2015년 3월, 소말리아 내각은 보안군을 국유화하고 통합하기 위한 새로운 위원회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112]

2016년 ''이코노미스트''는 소말리아 국군이 탈영률이 높고 많은 병사들이 정부보다는 부족 지도자에게 충성심을 보이고 있어 일관된 군대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도했다.[113]

237x237px


2014년 2월, 참모총장 엘미는 SAF를 위해 새로운 생체 인식 등록 시스템이 만들어졌으며, 각 사람의 사진을 찍고 지문을 채취할 것이라고 말했다.[116]

2014년 5월~6월 현재, 병력은 약 20,000명(여성 약 1,500명 포함)으로 추정되었다.[125]

2014년 2월, 연방 정부는 1991년 이후 최초로 사령관, 다나브 (소말리아어: "번개")에 대한 6개월 훈련 과정을 마쳤다.[126]

2015년 4월, 연방 국방부는 군대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로드맵을 제시하는 새로운 구울와데 계획(승리 계획)을 발표했다. 이는 UNSOM의 기술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다.[124]

2023년 3월, 2017년 합의에 따라 소말리아 정부는 병력 수를 수정하기로 합의했다.[127]

3. 2. 훈련 및 시설


  • 2011년 9월, 셰리프 셰이크 아흐메드 대통령은 모가디슈의 제지라 지구에 새로운 군사 기지 건설의 기공식을 가졌다. 320만 달러 규모의 이 건설 프로젝트는 유럽 연합(EU)의 자금 지원을 받았으며, 완공까지 6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다.[114]
  • 2013년 6월, 이집트 엔지니어들이 소말리아 국방부의 새로운 본부를 건설하기 위해 도착했다.[115]
  • 2014년 2월, 소말리아는 1980년대 후반 이후 처음으로 자국 내에서 군사 훈련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116] 엘미 참모총장은 "부상당한 군인들을 수용하는 정부와 특별 협약을 맺은 병원들이 있지만, 군만을 위한 병원은 없다. 예전에는 군 소유였지만 운영을 위한 자금 지원이 필요한 병원이 있다."라고 말했다.
  • 2015년 5월, 하산 셰이크 모하무드 대통령은 모가디슈에 새로운 훈련소를 공식적으로 개소했다. 건설은 아랍에미리트 연합 정부와 협력하여 2014년에 시작되었다. 호단 지구에 위치한 이 훈련소는 국내 여러 신규 군사 훈련장 중 하나였다.[117]
  • 2011년 4월, 1,000명의 신병이 우간다에서 훈련을 수료했으며, 이는 EU와의 협약의 일환으로 새로 창설될 제4 여단, 제5여단, 제6여단에 배치될 예정이었다.[118] 훈련 후 탈락률은 약 10%였으며, EUTM 훈련생의 대다수는 해외 기간 이후에도 소말리아군(SNA)에서 계속 복무했다. 제5여단과 제6여단은 모가디슈와 아프고예를 포함한 알 샤바브에 대항하여 싸웠다.[119]
  • 2014년 2월, 연방 정부는 1991년 이후 최초로 사령관, 다나브 (소말리아어: "번개")에 대한 6개월 훈련 과정을 마쳤다.[126] 훈련은 Bancroft Global Development가 실시했으며, 이는 AMISOM이 지불하고 미국 국무부가 상환하는 미국의 민간 군사 계약자이다. 목표는 혼합 부족 부대를 창설하는 것이었다. 다나브 부대는 로어 샤벨레의 왈라웨인 구에 있는 발레도글레 공군기지에 설립되었다.[126] 첫 번째 다나브 부대의 훈련은 2013년 10월에 시작되었으며, 150명의 신병이 참여했다. 2014년 7월 현재, 두 번째 부대의 훈련이 진행 중이었다. 엘미 장군에 따르면, 훈련은 도시와 농촌 환경을 모두 목표로 하며, 게릴라전과 모든 종류의 현대 군사 작전을 위해 병사들을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엘미는 2014년 말까지 미국 보안 요원이 총 570명의 신병 훈련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105]

4. 장비

소말리아군은 창설 이후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사용해 왔다. 다음은 소말리아군이 사용한 주요 장비의 일부이다.


  • 개인 화기
  • 소련제 TT 권총
  • 영국제 스털링 기관단총
  • 헤클러&코흐 G3 및 벨기에 FN FAL 돌격 소총
  • 미국제 M14 소총
  • 소련제 RPD 경기관총
  • 소련제 RPK 경기관총
  • 소련제 RP-46 기관총
  • 프랑스제 AA-52 기관총
  • 벨기에제 FN MAG 기관총
  • 소련제 DShK 중기관총
  • 미국제 M2 브라우닝 0.50구경 중기관총
  • 미국제 M79 유탄 발사기
  • 소련제 RPG-2 유탄 발사기[138]

  • 차량


연도제공 국가품목수량
2012년 5월미국마기루스 트럭16대
2012년 5월미국힐럭스 픽업트럭4대
2012년 5월미국랜드 크루저 픽업트럭6대
2012년 5월미국급수차1대
2012년 5월미국급수 트레일러6대 [139]
2013년 4월지부티장갑 군용 차량15대 [142]
2013년 4월이탈리아장갑 및 병력 수송 차량54대 [143]
2019년나비스타 국방6x6 수송 및 복구 트럭다수 [145]
2021년미국푸마 M36 Mk 6 장갑차6대 [146]


  • 13대의 ACMAT 바스티온 APC가 2016년에 이전될 예정이었으나, 2018년 기준으로 실제 공급은 이루어지지 않았다.[6][7][144]


2015년 4월 현재, 국방부는 구울와데 계획(승리 계획)을 통해 육군의 장비 및 무기 요구 사항을 식별하고 있다.[124]

5. 국제 관계

소말리아군은 1960년 독립 직후 국경 방어를 위해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영국과 이탈리아의 영향을 받았으며, 1961년 북부 장교들의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18] 이후 소련의 지원을 받아 군사력이 강화되었고, 1964년에는 에티오피아오가덴 지역을 두고 분쟁을 겪었다.[19]

1969년 쿠데타로 집권한 시아드 바레 정권은 소련과의 협력을 더욱 강화했다. 그러나 1977년 오가덴 전쟁에서 소련이 에티오피아를 지원하면서 관계가 악화되었고, 소말리아는 미국과 협력하게 되었다.[25][34]

1980년대에는 여러 반군 단체들이 등장하면서 내전이 격화되었다. 1991년 시아드 바레 정권이 붕괴된 후 소말리아군은 사실상 해체되었고, 각 부족별 민병대로 분열되었다.[36] 유엔아프리카 연합의 평화유지군이 파병되었으나, 혼란은 계속되었다.

2004년 과도 연방 정부(TFG)가 수립되었고, 2006년에는 이슬람 법정 연합(ICU)이 모가디슈를 장악했다. 에티오피아의 군사 개입으로 ICU는 축출되었지만, 알 샤바브 등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저항이 이어졌다.[57]

2012년 소말리아 연방 정부가 수립된 후, 국제사회의 지원을 받아 소말리아군 재건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부족주의, 부패, 알 샤바브의 위협 등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다.[113]

6. 문제점 및 과제

소말리아군은 독립 이후 여러 문제점과 과제를 안고 있었다.


  • 초기 인력 부족: 독립 직후 군 복무의 사회적, 경제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인력 부족에 시달렸다.[18]
  • 지역 갈등: 영국령 소말리아와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의 통합으로 인해 권력 분배를 둘러싼 논쟁이 발생했다. 1961년 북부 출신 장교들이 남부 장교들의 지휘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다.[19]
  • 잦은 전쟁: 1964년 에티오피아와의 오가덴 지역 분쟁, 1977년 오가덴 전쟁 등 잦은 전쟁을 치렀다.
  • 외세 의존: 소련, 쿠바, 미국의 지원을 번갈아 받으며 군사력을 강화했지만, 이는 외세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 내부 쿠데타: 1969년 쿠데타로 군사 정부가 집권했으며, 1978년에도 쿠데타 미수 사건이 발생했다.
  • 부족주의 심화: 시아드 바레 대통령은 군대와 보안 부대의 핵심 요직을 자신의 출신 부족으로 채우면서 군대를 사병화하여 부족주의를 심화시켰다.[20]
  • 내전 발발: 1980년대 후반, 정부의 억압과 부족주의 심화에 대한 반발로 여러 반군 단체가 등장하면서 내전이 발발했다.
  • 군대 해체: 1990년대 초 내전이 격화되면서 군대는 해체되고 클랜 파벌로 분열되었다.
  • 무기 금수 조치: 유엔은 1992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733을 통해 무기 금수 조치를 부과하여 교전 중인 민병대 그룹으로의 무기 흐름을 막으려 했다.
  • 개혁 시도와 실패: 과도 정부 수립 이후 군대 재건을 위한 노력이 있었으나, 부패, 부족주의, 지휘 체계 미비 등으로 인해 번번이 실패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omalia's defence minister, military chief, arrive in Beledweyne https://www.hiiraan.[...] 2023-07-12
[2] 웹사이트 Somali government reappoints General Odowa Raage as Somali National Army (SNA) Commander https://www.hiiraan.[...] 2024-11-12
[3] 논문 Rebuilding armies in southern Somalia: What currently should donors realistically aim for? 2021
[4] 웹사이트 As ATMIS Looks To Withdraw https://theglobalobs[...]
[5] 웹사이트 Somalia: China Donates Military Equipment to Somalia to Aid War Against Terrorists https://allafrica.co[...] 2022-03-19
[6]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Armstrade.sipri.org 2019-01-05
[7] 웹사이트 United States ordered Acmat Bastion APCs for African partners http://www.defencewe[...] 2019-01-05
[8] 서적 Understanding Statebuilding: Traditional Governance and the Modern State in Somalilan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2-24
[9] 웹사이트 Investigating genocide in Somaliland http://www.aljazeera[...] Al Jazeera 2017-04-25
[10] 간행물 Strategic Survey, 1989–1990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1990
[11] 문서 Geldenhuys
[12] 논문 “Contemporary Warfare in Africa,” in Restructuring the Global Military Sector Vol. 1: New Wars Pinter 1997
[13] 서적 The History of Ethiopia Greenwood Press 2006
[14] 서적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2005
[15] 서적 Somalia: Nation in Search of a State Westview Press 1987
[16] 서적 Cambridge illustrated atlas, warfare: Renaissance to revolution, 1492–1792
[17] 서적 Journal of the Royal United Service Institution, Whitehall Yard, Volume 57, Issue 2 https://books.google[...]
[18] 논문 Beyond Polarity: Negotiating a Hybrid State in Somaliland 2010
[19] 학술지 The United States, Ethiopia and the 1963 Somali–Soviet Arms Deal: Containment and the Balance of Power Dilemma in the Horn of Africa 1998-12
[20] 간행물 ISS Military Balance 1970-71
[21] 논문 Who Assassinated the Somali President in October 1969? The Cold War, the Clan Connection, or the Coup d’État 2017
[22] 웹사이트 SOMALIA: From Finest to Failed State (PART III) http://www.hiiraan.c[...] 2024-07-10
[23] 간행물 IISS Military Balance 1976–77
[24] 웹사이트 Profile of new leaders. Garad Abdiqani voices his support:Rep of. SOOL,SANAG& CAYN http://www.somaliaon[...] 2013-03-19
[25] 웹사이트 Brothers in Arms Part I http://wardheernews.[...] WardheerNews 2012-02-28
[26] 학술지 The Ogaden and the Fragility of Somali Segmentary Nationalism 1989-10
[27] 문서 The Ethiopia-Somalia War
[28] 학술지 Soviet intervention and the Ogaden counter-offensive of 1978
[29] 논문 "From Lash to Red Star: The Pitfalls of Counter-Insurgency in Ethiopia, 1980–82" 2002
[30] 웹사이트 Opposing Foreign Intervention's Impact on the Course of Civil Wars: The Ethiopian-Ogaden Civil War, 1976–1980 http://info.newcastl[...] 2012-12-28
[31] 문서 Country Study 1982
[32] 웹사이트 IRIN Special Report on Central Somalia http://www.africa.up[...] 1999-05-13
[33] 서적 The Suicidal State in Somalia 2016
[34] 간행물 ARR: Arab report and record Economic Features, ltd. 1978
[35] 간행물 New people New People Media Centre: Comboni Missionaries 2005
[36] 서적 The collapse of the Somali state: the impact of the colonial legacy https://books.google[...] HAAN Publishing 2016-11-12
[37] 문서 Hussein M. Adam, the chapter author, cites interviews with Colonel Abdullahi Kahim, Toronto, 1 and 3 August 1992. Kahim served as director of finance and administration in the Ministry of Defence from 1977 to 1987.
[38] 문서 Adam cites interview with Colonel Farah.
[39] 웹사이트 Military Intelligence Summary, Vol IV, Part III, Africa South of the Sahara https://www.dia.mil/[...] 1987-11
[40] 서적 Samuel M. Makinda, 'Clan Conflict and Factionalism in Somalia,' in Paul B. Rich, ''Warlord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pringer, 2016, 127.
[41] 서적 Samuel M. Makinda, 'Clan Conflict and Factionalism in Somalia,' in Paul B. Rich, ''Warlord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pringer, 2016, 127; ''The Suicidal State in Somalia: The Rise and Fall of the Siad Barre Regime,'' By Mohamed Haji Ingiriis, p328.
[42] 뉴스 U.S. Losing Interest in Military Bases in Somalia: Port, Airstrip No Longer Are Key Part of Plans for Gulf of Aden Emergency https://www.latimes.[...] 2021-12-29
[43] 웹사이트 Restoring Hope in Somalia with the Unified Task Force http://www.marines.m[...] United States Marine Corps
[44] 웹사이트 Bring-Backs From Somalia Deployment – SPOILS OF WAR http://www.usmilitar[...] 2018-04-04
[45]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8-04-04
[46] 뉴스 "Ex-Lyft and Uber Driver in Virginia Was Responsible for Torture in Somalia in '80s, Jury Finds" https://www.nytimes.[...] 2019-05-24
[47] 문서 See also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on Somalia, S/1995/231 (March 28, 1995).
[48] 웹사이트 The search for peace: A history of mediation in Somalia since 1988 http://www.interpeac[...] Interpeace 2009-05
[49]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4-04-08
[50] 간행물 "Somalia: Sovereign Disguise for a Mogadishu Mafia" 2002-03
[51] 웹사이트 Government military takes control of Marka http://www.irinnews.[...] 2018-04-04
[52] 웹사이트 The Lives of 18 American Soldiers Are Not Better Than Thousands of Somali Lives They Killed, Somalia's TNG Prime Minister Col. Hassan Abshir Farah says http://www.somaliawa[...] Somalia Watch 2007-01-17
[53] 웹사이트 War Clouds Over Somalia http://www.merip.org[...] Middle East Report 2002-03-22
[54] 웹사이트 somalilandtimes.net http://somalilandtim[...] 2018-04-04
[55] 웹사이트 Background and Political Developments http://www.africa-un[...] AMISOM 2014-02-11
[56] 웹사이트 Arms flows and conflict in Somalia http://books.sipri.o[...] SIPRI 2014-02-10
[57] 웹사이트 The search for peace: A history of mediation in Somalia since 1988 http://www.interpeac[...] Interpeace 2009-05
[58] 웹사이트 Ethiopian Invasion of Somalia http://www.globalpol[...] Globalpolicy.org 2010-06-27
[59] 웹사이트 Local Security Systems in Somali East Africa http://ipss-addis.mo[...] Palgrave 2007
[60] 웹사이트 Somali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1-10-05
[61] 뉴스 Profile: Somali's newly resigned President Abdullahi Yusuf Ahmed http://news.xinhuane[...] 2013-09-05
[62] 뉴스 Somali President in Capital for Consultations http://www.51voa.com[...] 2014-02-17
[63] 웹사이트 Somalia's army commander sacked as new ambassadors are appointed http://www.shabelle.[...] Shabelle Media Network 2012-11-09
[64] 뉴스 More Ugandan troops arrive in Mogadishu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2007-03-08
[65] 뉴스 Power vacuum in Somalia as factions fight http://www.garoweonl[...] 2014-02-11
[66] 간행물 The Leading Factions Behind the Somali Insurgency https://jamestown.or[...] 2007-04-26
[67] 간행물 Somalia: What Went Wrong?
[68] 간행물 The rise and fall of Mogadishu's Islamic Courts http://www.chathamho[...]
[69] 웹사이트 Somalia comes full circle http://www.isn.ethz.[...] ISA 2014-02-11
[70] 웹사이트 Somalia: The Next Challenge – Homeland Security Today http://www.enoughpro[...] Center for American Progress 2014-02-18
[71] 간행물 Crisis Group interviews, Mogadishu, Baidoa 2008-04
[72] 웹사이트 Removed: news agency feed article https://www.theguard[...] 2015-12-09
[73] 뉴스 US gives Somalia about 40 tons of arms, ammunition https://www.reuters.[...] Reuters 2009-06-29
[74] 뉴스 EU to provide 100 troops for training Somali force https://www.reuters.[...] 2009-11-17
[75] 웹사이트 Shabellle news media – Just another WordPress site http://shabelle.net/[...] 2011-05-05
[76] 웹사이트 Security Council Meeting on Somalia http://www.somaliwey[...] Somaliweyn.org
[77] 웹사이트 Al-Shabaab 'dug in like rats' http://www.iol.co.za[...] 2011-08-10
[78] 간행물 Somalia: The Transitional Government on Life Support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11-02-20
[79] 뉴스 900 newly trained Somali soldiers dispatched from Ugandan military school http://www.bar-kulan[...] Bar-Kulan 2011-09-02
[80] 뉴스 Special Forces in Mogadishu http://hiiraan.com/n[...] Hiiraan Online 2011-09-07
[81] 뉴스 IRIN News 2012-05-14
[82] 뉴스 EU military training programme launches in Somalia http://sabahionline.[...] 2014-02-26
[83] 웹사이트 Kenya launches offensive in Somalia http://news.national[...] 2011-10-16
[84] 웹사이트 Somalia government supports Kenyan forces' mission http://www.standardm[...] Standardmedia.co.ke
[85] 웹사이트 Joint Communique – Operation Linda Nchi http://www.mfa.go.ke[...]
[86] 뉴스 Kenya: Defense Minister appointed as acting Internal Security Minister http://www.garoweonl[...] 2012-06-19
[87] 웹사이트 Al-Shabaab Evicted from Mogadishu http://www.somaliare[...] Somalia Report
[88] 뉴스 Ethiopian forces capture key Somali rebel stronghold https://af.reuters.c[...] 2012-02-22
[89] 웹사이트 Ethiopian troops seize main rebel town in central Somalia http://www.moderngha[...] 2012-03-26
[90] 뉴스 Somali al-Shabab militant stronghold Afgoye 'captured' https://www.bbc.co.u[...] BBC 2012-05-25
[91] 뉴스 Somali forces capture rebel stronghold https://www.google.c[...] 2012-06-27
[92] 뉴스 Somalia forces capture key al-Shabab town of Afmadow https://www.bbc.co.u[...] BBC 2012-05-31
[93] 뉴스 UN eases oldest arms embargo for Somalia http://www.theaustra[...] 2013-03-06
[94] 뉴스 Somalia changes its top military commanders Shabelle.net
[95] 뉴스 Somalia: Jubaland gains recognition after intense bilateral talks in Ethiopia http://www.garoweonl[...] 2013-08-28
[96] 웹사이트 Support to Somali National Army (SNA) http://unsoa.unmissi[...] 2015-04-24
[97] 웹사이트 Resolution 2124 http://unscr.com/en/[...]
[98] 웹사이트 Briefing to the UN Security Council by Ambassador Nicholas Kay, Special Representative of the Secretary-General (SRSG) for Somalia, 11 March 2014 http://reliefweb.int[...]
[99] 웹사이트 EUTM Somalia starts its training activities in Mogadishu http://eeas.europa.e[...] EUTM Somalia
[100] 뉴스 Somalia: Federal Govt, AMISOM troops clash with Al Shabaab http://www.garoweonl[...] 2014-03-11
[101] 뉴스 SOMALIA: The capture of Qoryooley is critical for the operations to liberate Barawe, Amisom head says http://www.raxanreeb[...] 2014-03-22
[102] 뉴스 SOMALIA: Elbur town falls for Somali Army and Amisom http://www.raxanreeb[...] 2014-03-26
[103] 뉴스 Somalia, AU troops close in on key Shebab base http://www.globalpos[...] 2014-03-22
[104] 뉴스 US and France agrees to train Somali National army http://buraannews.co[...] Buraan News 2014-07-11
[105] 뉴스 US-Trained Somali Commandos Fight Al-Shabab http://www.voanews.c[...] 2014-07-31
[106] 뉴스 SOMALIA: President says Godane is dead, now is the chance for the members of al-Shabaab to embrace peace http://www.raxanreeb[...] 2014-09-05
[107] 뉴스 Pentagon Confirms Death of Somalia Terror Leader http://www.garoweonl[...] 2014-09-05
[108] 뉴스 US confirms death of Somalia terror group leader http://www.wsvn.com/[...] 2014-09-05
[109] 뉴스 Djibouti to train federal government forces http://goobjoog.com/[...] 2014-09-17
[110] 뉴스 Somalia: Puntland clinches deal with Federal Govt http://www.garoweonl[...] 2014-10-14
[111] 뉴스 Somalia: Puntland to contribute 3000 soldiers to Nat'l Army, another deal signed http://www.garoweonl[...] 2015-04-12
[112] 뉴스 Somali Cabinet Ministers agree financial management committee to work temporarily http://goobjoog.com/[...] 2015-03-19
[113] 뉴스 Most-failed state https://www.economis[...] 2016-09-10
[114] 뉴스 President Sharif Opens Military Camp in Capital http://www.somaliare[...] SomaliaReport 2011-09-16
[115] 뉴스 Egypt to help re-build Somali Ministry of Defence http://sabahionline.[...] 2013-06-05
[116] 뉴스 Somali National Army commander: Reviving army will take time http://sabahionline.[...] 2014-02-20
[117] 뉴스 Somali president officially opens new military training centre in Mogadishu http://goobjoog.com/[...] 2015-05-12
[118] 웹사이트 Sunatimes.com – East Africa Investigative Media http://sunatimes.com[...] 2018-04-04
[119] 뉴스 Somalia: Rival Soldiers in Deadly Battle Again As PM Calls for Calm http://allafrica.com[...] 2014-06-09
[120] 뉴스 Hope alive in Somalia as UN partially lifts arms embargo http://www.kenyacent[...] 2013-03-09
[121] 웹사이트 Report S/2013/440 of the Monitoring Group on Somalia and Eritrea pursuant to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060 (2012): Eritrea http://www.securityc[...] UN Monitoring Group on Somalia and Eritrea 2014-06-26
[122] 논문 Assistance to Locally Appropriate Military Forces in Southern Somalia 2020
[123] 뉴스 Somalia's Year of Delivery http://goobjoog.com/[...] 2015-01-31
[124] 웹사이트 Report of the Secretary – General on Somalia – S /2015/331 https://www.un.org/g[...]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2015-05-18
[125] 뉴스 Female soldiers increasingly joining military ranks in Somalia http://www.dailystar[...] 2014-05-30
[126] 뉴스 Somalia trains its first commandos after the collapse of the central government https://www.hiiraan.[...] 2014-02-08
[127] 웹사이트 Somali Leaders Agree to Increase Troop Numbers https://www.voanews.[...] 2023-10-24
[128] 뉴스 PM meets Italian Defence minister, IFAD director and addressed Rome 3 students http://laanta.net/?p[...] 2013-02-02
[129] 뉴스 SOMALIA: Parliament approves Somalia's military treaty with Italy http://www.raxanreeb[...] 2014-11-04
[130] 뉴스 UAE, Somalia sign military cooperation agreement http://www.kuna.net.[...] 2014-11-07
[131] 뉴스 Turkey-Somalia military agreement approved http://www.todayszam[...] 2012-11-09
[132] 뉴스 SOMALIA: Ministry of Defense signs an agreement of military support with Turkish Defense ministry http://www.raxanreeb[...] 2014-02-28
[133] 뉴스 Press Release: Erdogan's Somalia Visit http://goobjoog.com/[...] 2015-01-25
[134] 웹사이트 First Turkish military base in Africa to open in Somalia http://www.dailysaba[...] 2016-09-11
[135] 웹사이트 Somali Lawmakers Demand Inquiry on Alleged Troops Fighting in Tigray https://www.voanews.[...] Voice of America 2021-01-26
[136] 웹사이트 The United States Should Sanction Somalia's President for Human Trafficking https://nationalinte[...] National Interest 2021-02-01
[137] 웹사이트 Farmaajo confirms Somali troops trained in Eritrea during final speech as President https://www.hiiraan.[...] Hiiraan 2022-05-23
[138]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2009/2010 Jane's Information Group 2009-01-27
[139] 뉴스 PRESS RELEASE: AMISOM hands over military vehicles to the Somali National Army http://amisom-au.org[...] 2012-05-18
[140] 뉴스 U.S. eases arms restrictions for Somalia http://www.upi.com/T[...] 2013-04-09
[141] 뉴스 SOMALIA: U.S donates military vehicles to newly trained Somali Commandos https://web.archive.[...] 2014-04-07
[142] 뉴스 Djibouti donates armoured vehicles to Somalia http://sabahionline.[...] 2015-04-13
[143] 뉴스 Italy Hands over Military Consignment to Somali Government http://goobjoog.com/[...] 2015-03-12
[144] 논문 Cameroon's Bastion APCs now in action http://j7dw4xlk473ro[...] 2019-01-09
[145] 웹사이트 Navistar to supply trucks to Somalia https://www.defencew[...] 2024-07-10
[146] 웹사이트 US provides Puma APCs to Somalia https://www.defencew[...] 2024-07-10
[147] 뉴스 AIR DEFENSE ACTIVITY IN SOMALIA https://www.cia.gov/[...] 2022-02-23
[148] 웹사이트 Military Intelligence Summary, Vol IV, Part III, Africa South of the Sahara https://www.dia.mil/[...] 1987-11
[149] 뉴스 AIRCRAFT DELIVERY https://www.cia.gov/[...] 2022-02-23
[150] 웹사이트 Security Sector Reform in Somalia: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https://reliefweb.in[...]
[151] 웹사이트 UNSOS supports ATMIS to acquire helicopters to fight al-Shabaab https://thesomalidig[...] 2023-10-21
[152] 웹사이트 Somalia receives Bell 412 https://www.scramble[...] 2023-08-17
[153] 뉴스 Somalia to Make Task Marine Forces to Secure Its Coast http://allafrica.com[...] 2012-08-09
[154] 간행물 The Most Failed State https://www.newyorke[...] 2019-07-13
[155] 뉴스 UAE committed to contribute US$1 million to support Somali naval security capabilities, says Gargash http://www.uaeintera[...] 2013-03-24
[156] 뉴스 Somalia: Military Chief warns counterfeit military ranks https://web.archive.[...] 2014-08-12
[157]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https://www.marines.[...] Library of Congress 2021-10-21
[158] 서적 Somalia: a country study https://www.marines.[...] Library of Congress 2021-10-21
[159] 웹사이트 Image of General Odowaa Rageh https://i.ytimg.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