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오리는 오리과에 속하는 작은 물새로,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더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한다. 수컷은 머리가 어둡고 측면에 흰색 줄무늬가 있는 특징적인 깃털을 가지며, 암컷과 어린 새는 황갈색이다. 쇠오리는 호수, 연못, 습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식물과 무척추동물을 먹는다. 쇠오리는 3개의 아종으로 나뉘며,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대상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속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 오리속 - 흰뺨검둥오리
흰뺨검둥오리는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다양한 습지에 서식하는 오리과 조류로, 잡식성이며 벼멸구 등 해충을 잡아먹어 친환경 농법에 활용되기도 한다. - 아이슬란드의 새 - 원앙
화려한 수컷과 회갈색 암컷 깃털을 가진 원앙은 동아시아 원산의 오리과 조류로, 부부 금슬 상징으로 여겨지나 실제로는 매년 짝을 바꾸며,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보호받는다. - 아이슬란드의 새 - 아비
붉은목잠수부는 붉은색 멱과 얼룩덜룩한 등을 가진 잠수부과의 조류로, 전 세계에 분포하며 물고기를 주로 먹고 일부일처제 짝짓기 체계를 가지며, 개체수 감소가 보고되지만 국제적인 보호를 받는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수렵할 수 있는 야생동물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수렵할 수 있는 야생동물 - 청둥오리
청둥오리는 북반구에 널리 분포하며 녹색 머리를 가진 수컷과 갈색 깃털의 암컷을 특징으로 하는 오리류로, 잡식성이며 집오리의 조상이고, 사육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보전 문제가 있는 관심대상종이다.
쇠오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강 |
목 | 기러기목 |
과 | 오리과 |
아과 | 오리 아과 |
속 | 오리속 |
종 | 쇠오리 |
일반 정보 | |
명명자 | Linnaeus, 1758 |
영어 이름 | Common Teal |
![]() | |
![]() | |
보전 상태 | |
IUCN | 관심 필요 |
아종 | |
목록 | 미국 쇠오리 쇠오리 오오코가모 |
기타 정보 | |
대한민국 환경부 | 유해 야생동물 |
2. 분류
쇠오리는 오리과(''Anas'')에 속하는 "진짜" 청둥오리 무리에 속하며, 청둥오리(''A. platyrhynchos'') 및 그 친척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쇠오리는 아메리카쇠오리(Anas carolinensis)와 노랑부리청둥오리(''A. flavirostris'')와 슈퍼종(superspecies)을 형성한다.
유라시아 쇠오리와 아메리카쇠오리를 하나의 종으로 취급할지 또는 두 개의 종으로 취급할지는 학계에서 논란이 있다.[1]
칼 폰 린네는 1758년 자연의 체계에서 쇠오리를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명명했다. 그의 라틴어 설명은 ''[Anas] macula alarum viridi, linea alba supra infraque oculos'' – "녹색 반점이 있는 오리, 눈 위와 아래에 흰색 선" 이었다. 린네는 이명법을 사용하여 쇠오리의 학명을 ''Anas crecca''로 명명했다. 린네는 콘라트 게스너, 울리세 알드로반디, 프랜시스 윌러비, 존 레이, 엘레아자르 알빈 등 이전 학자들의 쇠오리에 대한 기록을 언급했다. 모식산지는 유럽의 담수 생태계이다.
학명은 라틴어 ''Anas'', "오리"와 이 종의 스웨덴어 이름인 ''kricka''에서 유래되었다.[2] 보크몰 ''krikkand'', 덴마크어 ''krikand'' 및 독일어 ''Krickente''와 같은 일반적인 이름도 같은 의미이다.
2. 1. 아종
- 쇠오리 (''Anas crecca crecca'') (Linnaeus, 1758): 유라시아 대륙에 주로 분포하며, 일본에 주로 도래한다.[1] 한국에 도래하는 주요 아종이다.
- 아메리카쇠오리 (''Anas crecca carolinensis'') (Gmelin, 1789): Green-winged Teal영어.[1] 북아메리카 대륙에 주로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아종 쇠오리에 섞여 드물게 관찰된다. 수컷은 옆면에 가로 흰 줄무늬가 없고 어깨에 세로 흰 줄무늬가 있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암컷과 어린 새는 두 아종 간의 식별이 어렵다. 두 아종의 특징을 모두 가진 잡종으로 추정되는 개체도 관찰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은 유라시아 청둥오리와 아메리카쇠오리를 분리하고 있다.[1] 이 아종을 쇠오리와 다른 독립종 ''Anas carolinensis'' (Gmelin, 1789)로 보는 견해도 있다.

- 큰쇠오리 (''Anas crecca nimia'') (Friedmann, 1948): 알류샨 열도에 분포한다.[1]
3. 형태
쇠오리는 현존하는 오리류 중 가장 작은 종 중 하나로, 몸길이는 34cm에서 43cm이며, 수컷은 평균 360g, 암컷은 평균 340g이다. 날개 길이는 17.5cm에서 20.4cm이며, 날개 편 길이는 53cm에서 59cm이다. 부리 길이는 3.2cm에서 4cm이며, 부척골은 2.8cm에서 3.4cm이다.
혼인색을 띤 수컷은 멀리서 보면 어두운 머리, 누런 뒤쪽, 측면을 따라 흰색 줄무늬가 있어 회색으로 보인다. 머리와 목 윗부분은 밤색이며, 눈 바로 앞에서 시작하여 목 뒷부분 위쪽으로 이어지는 반달 또는 물방울 모양의 넓고 무지개빛을 띠는 짙은 녹색 반점이 있다. 이 반점은 얇은 황백색 선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색의 단일 선이 반점의 앞쪽 끝에서 시작하여 부리의 기저부를 따라 굽어진다. 가슴은 작은 둥근 갈색 반점이 있는 황갈색이다. 배의 중앙은 흰색이며, 나머지 몸 깃털은 대부분 흰색에 얇고 촘촘한 검은색 잔물결 무늬가 있어 가까운 거리에서도 중간 회색으로 보인다. 바깥쪽 어깨 깃털은 흰색이며, 바깥쪽 날개에 검은색 테두리가 있어 새가 휴식을 취할 때 흰색 측면 줄무늬를 형성한다. 주 날개깃은 짙은 회갈색이며, 거울깃은 흰색 팁이 있는 무지개빛 검정 녹색을 띤다. 큰 위날개 덮개의 황백색 팁과 함께 거울을 형성한다. 겨드랑이는 흰색이며, 회색 날개깃, 안쪽 덮개에 짙은 반점, 짙은 앞쪽 가장자리가 있다. 꼬리와 꼬리 덮개는 검은색이며, 각 측면의 덮개 중앙에 밝은 황갈색 삼각형 반점이 있다.
번식기가 아닌 (이클립스) 깃털에서는 수컷이 암컷과 더 비슷하게 보이며, 색상이 더 균일하고 머리가 어둡고 흔적이 있는 얼굴 무늬가 있다. 암컷 자체는 황갈색이며 날개와 등에 약간 더 어둡다. 어두운 회갈색 머리 윗부분, 목 뒷부분, 눈꼬리 및 깃털 패턴을 가지고 있다. 패턴은 머리와 목에 촘촘한 짧은 줄무늬, 나머지 몸에 비늘 모양의 반점이며, 전체적으로 휴식 중일 때 작은 청둥오리 암컷과 매우 비슷해 보인다. 날개는 수컷과 비슷하게 착색되어 있지만, 회색 대신 덜 넓은 팁이 있는 갈색 위날개 덮개와 거울깃의 더 넓은 팁이 있다. 암컷의 꼬리깃에는 황백색 팁이 있으며, 배 중앙은 어두운 줄무늬가 있는 흰색이다.
어린 개체는 암컷과 매우 유사하게 착색되어 있지만 패턴이 더 강하다. 솜털 어린 새끼는 다른 물오리류와 같이 위는 갈색, 아래는 노란색이며, 노란색 눈썹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부화 시 15g에 불과한 작은 크기로 알아볼 수 있다.
수컷의 부리는 어두운 회색이며, 이클립스 깃털에서는 종종 기저부에 약간의 밝은 녹색 또는 갈색 색조를 띤다. 암컷과 어린 개체의 부리는 기저부에 분홍색 또는 황색을 띠며, 끝을 향해 짙은 회색이 된다. 새가 나이가 들수록 회색이 기저부로 확장된다. 발은 수컷은 짙은 회색이고 암컷과 어린 개체는 회색 올리브 또는 회갈색이다. 홍채는 항상 갈색이다.
여름에 털갈이를 한다. 이클립스 시 수컷은 암컷과 유사하지만 윗부분이 더 어둡고 부리가 회색이다. 비행 깃털은 동시에 털갈이를 하며 새는 최대 4주 동안 날지 못한다.[3]
4. 생태
쇠오리는 번식기가 아닐 때에는 매우 큰 무리를 이루는 습성이 있다. 비행 시에는 빠르고 꼬이는 무리가 도요새와 비슷하다. 짧은 다리에도 불구하고 오리류 중에서는 땅에서도 꽤 민첩하게 움직인다. 번식기에는 타이가 늪이나 넓은 갈대밭이 있는 작은 호수 및 연못과 같이 키 큰 식물이 있는 담수 습지에서 주로 서식한다. 겨울에는 기수나 해안가의 만입 및 석호에서도 발견된다. 비번식기에는 호소, 연못, 하천, 갯벌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특히 담수 지역을 선호한다. 월동이 끝나는 2월 말~3월에 짝을 형성하여 번식지로 이동한다. 11월~1월경에는 수컷이 암컷에게 활발하게 과시 행위를 보인다.
쇠오리는 일반적으로 물 위에 떠 있거나, 거꾸로 물에 잠기거나, 풀을 뜯어 먹는 방식으로 먹이를 먹는다. 머리를 물속에 담그기도 하고 때로는 먹이를 잡기 위해 잠수하기도 한다. 번식기에는 주로 수생 동물 무척추동물을 먹는데, 예를 들어 갑각류, 곤충 및 그들의 유충, 연체동물, 벌레 등이 있다. 겨울에는 곡물성 식단으로 바뀌어 사초와 곡물을 포함한 수생 식물과 풀의 씨앗을 먹는다. 번식기 동안에는 주행성이며, 겨울에는 종종 황혼이나 심지어 야행성으로 먹이를 먹는다. 식성은 주로 식물성이며, 하천이나 호소 등의 수면에서 닿는 범위의 조류나 물풀 등을 먹는다. 야간에 채식하는 경우가 많다.
수컷은 "피리핏", 암컷은 "쾍쾍" 하는 소리를 낸다.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물 근처, 풀 아래 땅에 둥지를 짓는다. 암수는 겨울에 짝을 이루어 함께 번식지로 이동하며, 3월경에 시작한다. 번식은 그 후 몇 주 후에 시작되며, 가장 북쪽 지역에서는 5월까지 시작되지 않는다. 둥지는 마른 잎과 솜털로 덮인 깊은 구멍으로, 물 근처의 빽빽한 초목 속에 지어진다. 암컷이 알을 낳기 시작하면 수컷은 암컷을 떠나 깃갈이를 한다. 수컷은 일반적으로 겨울에만 새끼를 만난다. 암컷은 초지의 지상에 둥지를 만들고, 4월 하순~7월 상순에 평균 8개의 알을 낳는다. 알의 평균 크기는 45×33mm이다. 알은 21~23일 동안 품는다. 새끼는 부화 직후 둥지를 떠나 어미의 보살핌을 받으며 약 25~30일 후 비상한다. 다른 많은 오리류와 마찬가지로 포란, 육추는 암컷만 한다. 새끼는 26~30일 정도에 어미로부터 독립한다. 수컷과 새끼를 데리고 있는 암컷은 일반적으로 따로 겨울 지역으로 이동한다. 첫 겨울 이후, 새끼는 성조 깃털로 깃갈이를 한다. 기록된 최대 수명은 27년 이상이다.
5. 분포
쇠오리는 구북구 전역에서 번식하며, 번식지에서 훨씬 남쪽에서 겨울을 난다. 온대 유럽의 온화한 기후에서는 여름과 겨울 서식지가 겹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영국과 아일랜드에서는 소규모 여름 개체군이 번식하지만, 훨씬 더 많은 수의 시베리아 쇠오리가 겨울에 도착한다. 코카서스 지역, 서부 소아시아, 흑해 북쪽 해안, 심지어 아이슬란드 남쪽 해안과 베스트만나에이야르에서도 연중 관찰할 수 있다.
겨울에는 지중해 주변, 특히 이베리아 반도 전체와 서쪽으로 모리타니까지 확장되는 지역, 일본과 대만에서 높은 밀도로 분포한다. 남아시아에서도 중요한 겨울 서식지를 찾을 수 있다. 그 외 중요한 겨울 서식지로는 거의 전체 나일강 유역, 근동과 페르시아만 지역, 북부 이란의 산맥, 대한민국, 그리고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대륙이 있다. 더 고립된 겨울 서식지로는 빅토리아 호, 세네갈강 하구, 상부 콩고강의 늪, 니제르강의 내륙과 해양 삼각주, 그리고 중앙 인더스강 유역이 있다. 자이르 내륙, 말레이시아, 그린란드, 미크로네시아의 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얍에서도 길잃은 개체가 관찰되었으며, 북아메리카 해안에서 캘리포니아와 사우스 캐롤라이나까지 정기적으로 기록되며, 뉴펀들랜드 섬에서도 매년 관찰된다.
이탈리아에서 겨울을 나는 쇠오리를 추적한 결과, 대부분 2월 중순에서 3월 사이에 겨울 서식지를 떠나 흑해-지중해 이동 경로를 이용하여 5월까지 중앙 유럽에서 우랄 산맥 동쪽까지 번식지에 도달했다. 이러한 느린 이동은 이동 초기에 주로 남동부 유럽에서 긴 체류를 하기 때문이다.[4]
쇠오리는 미국의 쇠오리에 비해 흔하지 않지만, 여전히 매우 풍부하다. 개체수는 주로 겨울철 조류 수를 통해 평가되며, 약 75만 마리가 지중해와 흑해에서, 25만 마리가 온대 서부 유럽에서, 그리고 11만 마리 이상이 일본에서 매년 기록된다. 1990년과 1991년에는 보다 상세한 조사가 이루어져, 이란에서 마리 이상, 파키스탄에서 약 마리, 아제르바이잔에서 약 마리, 인도에서 약 마리, 이스라엘에서 마리, 투르크메니스탄에서 마리 이상, 그리고 대만에서 거의 마리가 겨울을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는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로 보이며, 1990년대에는 연간 1~2% 정도의 완만한 감소세를 보였는데, 이는 아마도 습지의 배수 및 오염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쇠오리는 IUCN과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된다.[1]
일본에서는 겨울새로서 전국에 날아오며, 전국에서 흔히 보인다. 시가지의 하천이나 공원의 연못 등에서도 관찰된다. 주부 지방 이북의 고원이나 홋카이도의 습원에서는 극소수가 번식하고 있다. 오리류 중에서 겨울의 이동이 빠르고, 봄의 이동이 늦은 편이다. 월동 중에는 무리 지어 생활하며, 간토 지방에서는 9월경부터 4월경에 걸쳐 볼 수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흰뺨검둥오리와 마찬가지로 쇠오리도 식용으로 사용된다. 맛은 흰뺨검둥오리에 뒤지지 않을 정도로 뛰어나다고 하지만, 몸집이 훨씬 작아 얻을 수 있는 고기의 양이 흰뺨검둥오리의 1/4 정도이므로, 사냥의 표적으로 노려지는 기회는 적다.
흰뺨검둥오리나 청둥오리에 비해 경계심이 강해, 사람의 모습을 감지하면 즉시 도망치는 습성이 있다. 쇠오리는 한국의 겨울철 조류 탐조 활동에서 중요한 관찰 대상 중 하나이다.[1]
7. 보전 상태
쇠오리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관심대상(LC)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5] 쇠오리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성 물새 보존 협정''(AEWA)의 적용 대상 종이다.
참조
[1]
IUCN
Anas crecca
2021-11-19
[2]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3]
간행물
RSPB Handbook of British Birds
[4]
저널
Spring migratory routes and stopover duration of satellite-tracked Eurasian Teals ''Anas crecca'' wintering in Italy
[5]
IUCN
2014-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