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모범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모범군은 1645년 잉글랜드 내전 중 의회파에 의해 창설된 군대이다. 기존 트레인드 밴즈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중앙집중식 직업군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토머스 페어팩스가 사령관을, 필립 스킵폰이 보병 소장을 맡았다. 신모범군은 기병, 용기병, 보병, 포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엄격한 규율과 훈련을 통해 네이즈비 전투에서 왕당파를 격파하는 등 제1차 잉글랜드 내전 승리에 기여했다. 그러나 내전 이후 군의 해산 문제, 급여 문제 등으로 의회와 갈등을 겪었고, 제2차 잉글랜드 내전에도 참전했다. 이후 공위 시대를 거치며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등지에서 활동했으나, 1661년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잉글랜드 내전의 부대 및 편성 - 철기대
올리버 크롬웰이 조직한 철기대는 신앙심 깊은 자들을 장교로 등용하고 엄격한 군율을 적용하여 정예화된 기병대로서, 잉글랜드 내전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뉴 모델 아미의 핵심 전력이 되어 의회파 승리에 기여하며 대중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 삼왕국 전쟁 - 토머스 페어팩스
토머스 페어팩스는 1612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잉글랜드 내전에서 의회파를 이끌고 주요 전투에서 승리했으며, 잉글랜드 왕정복고에 기여했다. - 삼왕국 전쟁 - 스코틀랜드 내전
스코틀랜드 내전은 17세기 중반 스코틀랜드에서 종교적, 정치적 갈등으로 인해 발생한 무력 충돌로, 찰스 1세의 종교 정책 반발, 왕당파와 언약도 간 대립, 잉글랜드 내전 연관, 아일랜드 반란 개입 등의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어 스코틀랜드 사회에 큰 피해와 정치적, 사회적 영향을 미쳤다. - 나라별 육군 - 캐나다 육군
캐나다 육군은 1867년 창설되어 캐나다군의 육상 전력을 담당하며 주요 전쟁 및 분쟁 참전, 유엔 평화유지 활동 참여 등의 활동을 수행하고 정규군과 예비군으로 구성되어 오타와 국방본부 내 캐나다 육군 사령관의 지휘를 받는다. - 나라별 육군 - 이집트 육군
이집트 육군은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되어 무함마드 알리 시대에 근대화되었고, 여러 전쟁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현대적인 군대로 운영되고 있다.
| 신모범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존속 기간 | 1645년–1660년 |
| 국가 | 잉글랜드 연방 |
| 충성 | 국무원 (1649년–1653년; 1659년–1660년) 호국경 (1653년–1659년) |
| 종류 | 육군 |
| 별칭 | (번역 필요) |
| 전투 | 제1차 잉글랜드 내전 제2차 잉글랜드 내전 아일랜드 정복 제3차 잉글랜드 내전 제1차 앵글로-네덜란드 전쟁 제2차 앵글로-스페인 전쟁 |
| 지휘관 | |
| 총사령관 | 토머스 페어팩스 조지 몽크 |
| 주요 지휘관 | 올리버 크롬웰 토머스 프라이드 존 램버트 헨리 아이어턴 윌리엄 로크하트 |
2. 설립
1642년 잉글랜드 내전 발발 당시, 왕당파와 의회파(장기 의회) 군대는 모두 지역 기반 비상비군인 '트레인드 밴즈'에 의존했다.[11][12][13] 트레인드 밴즈는 1572년 시작된 제도로, 카운티별 민병대를 조직하고 국왕 임명 장교가 훈련시키는 방식이었다. 런던 트레인드 밴즈는 규모가 크고 훈련이 잘 되었지만, 다른 지역은 병력 규모, 장비, 훈련 수준이 낮았다. 트레인드 밴즈의 약점은 병사들이 고향 밖 복무를 꺼린 점이었다.
왕당파는 국왕 찰스 1세가 봉건 제도에 따라 각지에 명령을 내려, 귀족·젠트리가 산하를 소집한 자군을 모아 역전의 병사를 동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회파는 민병 조례로 징병했지만, 이들 민병군은 아마추어에다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출병을 싫어하여 전투 의욕과 사기가 낮아 임시변통으로 군대를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내전 초반의 엣지힐 전투·애드월턴 무어 전투에서는 국왕군에게 고전했다.[11][12][13]
의회군의 지휘관에게서도 의욕 없음과 연계 부족이 보였다. 총사령관 에섹스 백작로버트 데버루와 동부 연합 사령관 맨체스터 백작에드워드 몬태규는 국왕군을 앞에 두고 제대로 싸우지 않고, 자주 진군을 늦추거나 의회의 공격 명령을 거부하여 승기를 놓치는 장면이 있었다. 서부 연합 사령관 윌리엄 월러도 활발한 군사 행동을 전개했지만 양자와의 연계가 없었기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했고, 1644년 7월 2일 마스턴 무어 전투에서는 엄숙한 동맹과 서약으로 동맹을 맺은 스코틀랜드 국민 서약(서약파)의 원군으로 왕당파를 격파했지만, 내전 종결은 요원한 상태였다.[14]
잉글랜드 내전 초기, 왕당파인 기사당과 의회파인 원두당의 군대는 모두 지역 기반의 비상비군인 트레인드 밴즈를 기반으로 했다.[38] 트레인드 밴즈는 1572년에 시작된 제도로, 카운티 별로 민병대를 조직하여 모병하고 국왕이 임명한 장교가 훈련시켰다. 이들은 잉글랜드에서 항시 편재된 유일한 군대였지만, 지역마다 규모, 장비, 훈련 내용에 차이가 컸다.[38] 런던의 트레인드 밴즈는 규모가 크고 훈련도 잘 된 편이었으며, 내전 동안 규모가 2만여 명으로 늘었다.[38]
트레인드 밴즈의 약점은 병사들이 "고향" 밖에서 복무하는 것을 꺼린 점이었다.[1] 1644년 11월 19일, 의회파 동부 연합은 더 이상 병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발표했고, 의회파는 중앙집중식 직업군인 창설을 결정했다.[2] 1645년 2월 17일, 신형군 조례가 제정되고 토머스 페어팩스가 사령관, 필립 스킵폰이 보병 소장으로 임명되었다.[40][41]
신형군 설립은 의회파 군대 내부 고위 장교에 대한 불만 증가와도 관련이 있었다. 1644년 7월 마스턴 무어 전투에서 토마스 페어팩스와 올리버 크롬웰 휘하의 의회군이 승리했지만, 이후 로스트위젤 전투와 제2차 뉴버리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군대 재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42]
1644년 12월, 헨리 베인은 자기부인조례를 제정하여 상원 의원인 두 백작을 해임했다.[43] 올리버 크롬웰은 케임브리지 선거구 하원의원이었기 때문에 기병대 지휘권은 바르톨로메프 베르뮈덴에게 넘겨졌다.[44] 페어팩스는 크롬웰을 기병대 중장으로 임명하여 자기부인조례 예외로 요청, 3개월 단위 임시 지휘권을 받았다.[45]
2. 1. 잉글랜드 내전 초기 상황
1642년 잉글랜드 내전 발발 당시, 왕당파와 의회파(장기 의회) 군대는 모두 지역 기반 비상비군인 '트레인드 밴즈'에 의존했다.[11][12][13] 트레인드 밴즈는 1572년 시작된 제도로, 카운티별 민병대를 조직하고 국왕 임명 장교가 훈련시키는 방식이었다. 런던 트레인드 밴즈는 규모가 크고 훈련이 잘 되었지만, 다른 지역은 병력 규모, 장비, 훈련 수준이 낮았다. 트레인드 밴즈의 약점은 병사들이 고향 밖 복무를 꺼린 점이었다.왕당파는 국왕 찰스 1세가 봉건 제도에 따라 각지에 명령을 내려, 귀족·젠트리가 산하를 소집한 자군을 모아 역전의 병사를 동원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회파는 민병 조례로 징병했지만, 이들 민병군은 아마추어에다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출병을 싫어하여 전투 의욕과 사기가 낮아 임시변통으로 군대를 구성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내전 초반의 엣지힐 전투·애드월턴 무어 전투에서는 국왕군에게 고전했다.[11][12][13]
의회군의 지휘관에게서도 의욕 없음과 연계 부족이 보였다. 총사령관 에섹스 백작로버트 데버루와 동부 연합 사령관 맨체스터 백작에드워드 몬태규는 국왕군을 앞에 두고 제대로 싸우지 않고, 자주 진군을 늦추거나 의회의 공격 명령을 거부하여 승기를 놓치는 장면이 있었다. 서부 연합 사령관 윌리엄 월러도 활발한 군사 행동을 전개했지만 양자와의 연계가 없었기 때문에 고전을 면치 못했고, 1644년 7월 2일 마스턴 무어 전투에서는 엄숙한 동맹과 서약으로 동맹을 맺은 스코틀랜드 국민 서약(서약파)의 원군으로 왕당파를 격파했지만, 내전 종결은 요원한 상태였다.[14]
2. 2. 신형군 창설 배경
잉글랜드 내전 초기, 왕당파인 기사당과 의회파인 원두당의 군대는 모두 지역 기반의 비상비군인 트레인드 밴즈를 기반으로 했다.[38] 트레인드 밴즈는 1572년에 시작된 제도로, 카운티 별로 민병대를 조직하여 모병하고 국왕이 임명한 장교가 훈련시켰다. 이들은 잉글랜드에서 항시 편재된 유일한 군대였지만, 지역마다 규모, 장비, 훈련 내용에 차이가 컸다.[38] 런던의 트레인드 밴즈는 규모가 크고 훈련도 잘 된 편이었으며, 내전 동안 규모가 2만여 명으로 늘었다.[38]
트레인드 밴즈의 약점은 병사들이 "고향" 밖에서 복무하는 것을 꺼린 점이었다.[1] 1644년 11월 19일, 의회파 동부 연합은 더 이상 병력을 유지할 수 없다고 발표했고, 의회파는 중앙집중식 직업군인 창설을 결정했다.[2] 1645년 2월 17일, 신형군 조례가 제정되고 토머스 페어팩스가 사령관, 필립 스킵폰이 보병 소장으로 임명되었다.[40][41]
신형군 설립은 의회파 군대 내부 고위 장교에 대한 불만 증가와도 관련이 있었다. 1644년 7월 마스턴 무어 전투에서 토마스 페어팩스와 올리버 크롬웰 휘하의 의회군이 승리했지만, 이후 로스트위젤 전투와 제2차 뉴버리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군대 재편 필요성이 제기되었다.[42]
1644년 12월, 헨리 베인은 자기부인조례를 제정하여 상원 의원인 두 백작을 해임했다.[43] 올리버 크롬웰은 케임브리지 선거구 하원의원이었기 때문에 기병대 지휘권은 바르톨로메프 베르뮈덴에게 넘겨졌다.[44] 페어팩스는 크롬웰을 기병대 중장으로 임명하여 자기부인조례 예외로 요청, 3개월 단위 임시 지휘권을 받았다.[45]
2. 3. 설립 및 성격
의회는 기존 세 방면의 군대에서 차출한 2만 2천 명 규모의 신형군 편성을 승인하였다. 신형군은 기병 6,600명(11개 연대), 보병 14,400명(12개 연대), 용기병 1,000명으로 구성되었다.[48] 용기병은 존 오키 대령 지휘 아래 독립 부대가 되었다.[49] 신형군은 연대 수를 줄이고 병사 수를 늘려 장교, 부사관 부담을 줄였다.[48] 토머스 페어팩스는 잉여 인원을 해고하거나 낮은 계급으로 재입대하도록 설득했다.[48] 표준 급여는 보병 하루 8 페니, 기병 2 실링이었고, 기병은 말을 스스로 준비해야 했다.[53] 신병은 로버트 램이 쓴 《의회군 병사 교리》에 따른 종교적 열망을 교육받았다.[53]신형군이 청교도 급진파의 온상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토머스 호턴이나 토머스 프라이드는 당시 중도적 입장으로 분류되었고, 페어팩스 역시 장로교 온건파로 종교적 균형을 위해 노력하였다. 다만, 페어팩스는 에식스 백작이나 맨체스터 백작과 같이 군사적으로 무능한 지휘관을 축출하려 하였다.[48]
옥스퍼드 영어 사전에 따르면 '신모범군'이라는 구절은 1845년 토머스 칼라일의 저작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7세기 또는 18세기 문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1646년 2월의 기록에는 '신모델화된 군대'(New Modelled Army)가 언급되어 있다.

2. 4. 신형군의 청교도적 성격 논란
3. 복장, 장비 및 전술
3. 1. 기병

신형군의 정예 부대는 기병 연대였다. 신형군의 기병은 조총기병이라 불린 형태로 무장하였는데 칼에 베이는 것을 어느 정도 보호해 주는 무두질한 담황색 가죽 코트인 버프코트 위로 가슴 앞 뒤를 보호하는 흉갑을 입고 투구로는 가재꼬리 팟헬멧을 착용하였다.[55] 이들은 중장갑 흉갑 기병으로 무장하지 않았다.
기병 연대는 6개의 중대로 구성되어 있었고 중대 하나에 배속된 인원은 100 명으로 전투원 외에도 드럼 연주자, 수의사, 부사관 등 전문가가 배속되어 있었다. 기병 한 명이 대열에서 차지하는 면적은 한 변 길이 약 61 cm인 정사각형으로 간주되었고 전장에서 연대는 3개 중대로 구성된 대대 둘로 나뉘어 배치되었고 대령 급의 연대장과 중령급 부관이 나누어 지휘하였다.[41]
신형군 기병은 돌파후 도주하는 적을 쫒지 말고 대열을 재정비 하는 교전 수칙을 따랐고 왕당파의 기병보다 규율이 엄정하였다.[50] 이는 신형군 기병대가 돌격하여 적군을 격파하고, 재편성하여 다른 목표에 다시 돌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반면에 왕당파의 기병은 적의 진영이 무너지면 전리품을 챙기기 위해 약탈하느라 진영이 무너지는 경우가 흔했다.
3. 2. 용기병
신형군에는 1개 연대, 12개 중대 규모의 용기병이 있었으며, 존 오키 대령이 지휘하였다.[56] 용기병은 보병에서 선발된 기병으로 총사와 같은 장비를 착용하였으나, 말에 타는 동안 다리를 보호하기 위해 튼튼한 천으로 만든 각반을 입었다. 이들은 스넵펀스 방식의 수발총으로 무장하였다.[56]전장에서 용기병의 주요 역할은 적진의 총사를 소탕하는 것이었다. 네이즈비 전투에서는 적 기병대를 추격하는 데에도 동원되었다.[57]
1650년 오키의 용기병대는 일반 기병 연대로 전환되었다.[41] 이후 던바 전투와 같이[41] 필요에 따라 용기병 중대를 모집한 경우도 추후에 일반 기병에 배속시켰다.
3. 3. 보병
신형군 보병 연대는 10개 중대로 구성되었으며, 7개 중대는 머스킷총사와 파이크 장창병이 100명 단위로 혼성 편재되어 대위가 지휘했다.[56] 나머지 3개 중대는 연대장(대령) 직할의 200명 규모 중대, 부관인 중령의 160명 규모 중대, 소령의 140명 규모 중대로 구성되었다.[56]신형군 보병에게는 붉은 외투가 지급되었다. 당시 군수품은 최저가 경쟁 입찰로 구매했는데, 베네치아 레드 염료가 가장 저렴하여 원가 절감 차원에서 도입된 것이다. 이렇게 도입된 붉은 외투는 이후 잉글랜드군의 상징이 되었다.[56] 연대는 보통 색상보다는 지휘관의 이름으로 불렸다. 중대의 깃발은 지휘관의 계급에 따라 대령은 단색, 중령은 단색기 모퉁이에 성 조지 십자가, 소령은 성 조지 십자가에 불꽃 무늬를 두어 구분하였다.[41]
신형군의 보병 편제는 장창병 1명당 총사 2명이었지만,[41] 실제 전투에서는 장창병과 총사가 동일한 수로 투입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58] 장창병은 모리온 투구를 쓰고, 버프 코트 위로 흉갑과 등받이를 착용하였고, 테세트를 착용하기도 했다. 이들의 무기는 16피트 길이의 파이크와 검이었다.[58] 장창병은 무거운 무기와 장갑 때문에 이동 속도가 느렸고, 부대 이동 속도는 이들을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테세트는 종종 버리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병사들은 장창 뒤쪽을 1-2피트 잘라내기도 했는데, 이는 규정 위반이었다.[58] 지휘관들은 완전 군장 행군 훈련으로 부대원이 무게에 익숙해지도록 했다. 삼왕국 전쟁 후반 크롬웰의 아일랜드 침공 당시 신형군은 비정규전을 겪으며 일시적으로 장창을 포기하기도 하였다.[58] 장창병의 역할은 기병으로부터 총사를 보호하는 것이었다. 당시 화승총은 재장전과 발사에 많은 시간이 걸렸기 때문에, 장창병은 긴 파이크로 바리케이드를 구성하여 기병 돌격을 저지했다. 또한 근접전에서는 장창 밀기 전투가 벌어졌다.[41]

최소한 잉글랜드 내전 기간 동안 총사들은 갑옷을 입지 않았지만,[58] 투구 착용 여부는 불확실하다. 이들은 탄띠에 12개 나무통("12사도")을 매달고 다녔다.[59] 총사는 점화용 질 좋은 화약 1파운드, 현장 탄환 제작용 납 2파운드, 일반 흑색 화약 2파운드를 지니고 다녔고, 실제로는 더 많은 3파운드의 납을 지니고 다녔다.[60] 총사는 보통 6열 대형으로 배치되어 앞열 사격 후 맨 뒤로 물러나 재장전하고, 다음 열이 최일선이 되어 사격 후 뒤로 물러나는 것을 반복했다. 머스킷은 재장전에 시간이 오래 걸려 근접전 시 머스킷을 몽둥이처럼 휘둘렀다. 총사에게 지급된 도검은 품질이 좋지 않아 불쏘시개용으로 쓰이다 망가지기 일쑤였다.[56]
신형군에는 최소 두 중대 파이어록 수발총 부대가 있었으며, 이들은 붉은 외투 대신 "황갈색 외투"를 입었다.[58] 수발총대의 초기 지휘관은 존 데스보로이었다.[41]
3. 4. 포병
신형군은 기병, 보병과 함께 포병을 별도로 편성하였다. 포병 사령관은 보병 연대의 로버트 해먼드 대령의 형제였던 토머스 해먼드 중장이었다.[41] 포병은 공성전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요새의 방벽을 폭파하여 보병의 공격로를 만드는 것이 주요 임무였다.[61]
3. 5. 보급
초기에는 텐트를 사용하지 않고 전장 인근의 건물에 주둔하였으며, 마땅한 집이 없으면 헛간을 쓰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역이 스코틀랜드나 아일랜드와 같은 인구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확대되자 텐트를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신형군의 텐트는 하나 당 6 명이 사용할 수 있었다.[62] 스코틀랜드 전역에서는 비스킷과 치즈가 식량으로 지급되었고 한 번에 지급한 배급량은 7일 분량이었다.[58]4. 내전 승리와 그 이후
1645년 2월부터 시작된 신모범군의 편성은 늦어져 왕당파와의 대결은 6월 14일 네이즈비 전투까지 미뤄졌다. 개전 초에는 고전을 면치 못했지만 전투는 페어팩스, 크롬웰 등 지휘관들의 분전으로 신모범군의 대승으로 끝났다. 전후 소탕 작전도 순조롭게 진행되어 1646년에 제1차 내전은 의회파의 승리로 끝나고 승리에 기여한 신모범군 및 크롬웰의 위신은 높아졌다.
그러나 내전이 끝나자, 재정난으로 군의 유지가 어려워지는 동시에, 독립파가 침투한 군을 의회를 장악한 장로파가 경계하여 군의 해산을 획책하기 시작했다. 부담이 큰 것은 사실로, 신모범군 창설 전부터 각지에 할당한 주할 과세(후에 월할 과세로 변경)와 소비세로 충당했던 수입은 지출보다 적어 항상 적자였으며, 병사에게 급료를 지불하지 못해 지연 및 장래에 대한 지불 약속(지불 증서 발행)으로 미룰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의회(장로파)는 군 해산을 꾀하여 일부만 아일랜드 왕국 원정에 보냈고, 나머지는 해산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에 격렬하게 반발한 병사들은 곤궁함도 겪으며 정치에 강한 불만을 품고, 이미 군 내부에 퍼져 있던 분리파의 일파인 평등파에 들어가 정치 개혁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의회와 군의 대립이 시작되어 오래도록 지속되는 구도가 되었다.
크롬웰은 의회와 군 사이에서 고뇌했지만, 1647년에 군에 몸을 담아 상관 페어팩스 및 부하이자 사위인 헨리 아이어턴 등과 의회와 군의 이해 조정을 시도했고, 군 내부에서도 평등파와 독립파의 이해 조정에 진력했다. 그것이 『제언 요목』·『인민 협정』 발표 및 패트니 논쟁 참석으로 이어졌으며, 때로는 평등파의 폭동도 있었지만, 크롬웰은 재빨리 진압하여 간신히 군의 충성을 지켜냈다. 이와 전후하여, 의회파의 연금에서 탈출한 찰스 1세가 의회파와의 관계가 악화된 스코틀랜드와 화해하고, 다음 해 1648년에 이 발발하자 신모범군은 페어팩스, 크롬웰의 지휘하에 다시 동원되어 프레스턴 전투에서 크롬웰과 존 램버트가 이끄는 군은 스코틀랜드 군을 격파하여 단기간에 제2차 내전을 끝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회의 군에 대한 냉담한 태도는 여전했고, 찰스 1세와의 화해 공작과 이에 항의하는 군을 무시했기 때문에, 12월 6일에 군은 정치 개입을 결단하여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의회 장로파는 추방되었고, 독립파와 군 간부가 주도권을 잡은 럼프 의회는 1649년에 찰스 1세를 처형하고 잉글랜드 공화국을 창설하여 청교도 혁명은 새로운 단계에 들어섰다.
4. 1. 제1차 잉글랜드 내전 승리
신형군이 전장에 투입된 것은 1645년 4월 말에서 5월 초 무렵이었다. 당시 서머싯주 톤턴에서 공방전이 소강상태에 빠진 사이 옥스퍼드 공방전이 시작되었고 신형군은 톤턴 수비 강화를 위해 기병 1개 연대와 보병 4개 중대를 파견하였다.[45] 왕당파가 레스터를 점령하자 의회파는 페어팩스에게 옥스퍼드를 떠나 북쪽으로 진군하라고 명령하였다.[45] 6월 14일 신형군은 네이즈비 전투에서 국왕 찰스 1세의 규모는 작지만 정예였던 부대와 싸워 승리하였고,[45] 웨스트컨트리로 진군하여 7월 10일 랭포드의 왕당파 부대를 격파하였다.[45] 이후 신형군은 잉글랜드의 서부와 남부를 돌며 전투를 지속하여 왕당파 장악 지역을 축소시켰다.[45] 1646년 초 마지막 왕당파 요새가 항복한 직후 찰스 1세가 항복하며 제1차 잉글랜드 내전이 종료되었다.[45]4. 2. 인민협정
제1차 잉글랜드 내전의 승리 이후 신형군은 장기의회에 불만을 품었다.[63] 급여가 정기적으로 지급되지 않았고, 의회가 군인의 내전 중 범죄 행위에 대한 사면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대부분 청교도였던 신형군 병사들은 의회가 국왕 복위와 국교 유지를 원한다는 것을 알고 종교 문제에 있어서도 불만을 가졌다.신형군은 각 연대별 2명의 대표를 선출했는데, 이들은 "선동가"로 불렸다.[63] 1647년 6월 4일 뉴마켓에서 군사평의회를 조직하고 의회에 요구사항을 담은 결의문을 전달하였다.[63]

신형군은 수평파에 동조하여 《인민협정》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보편적 참정권, 선거구 개혁, 2년 임기 의회, 종교 자유, 고리대금 투옥 금지 등의 내용이 담겨 있었다.[64]
의회가 국왕과 타협하려 한다는 우려 속에 신형군은 런던으로 진군하였다. 10월 말과 11월 초 사이에는 푸트니 토론을 열고 《인민협정》과 《건의요목》을 놓고 토론하였다.[65]
4. 3. 제2차 잉글랜드 내전
신형군은 의회와 갈등을 겪고 있었지만 지휘체계는 온전히 남아있었다.[66] 1648년 7월 제2차 잉글랜드 내전이 일어나자 다시 전장에 투입될 수 있었다. 신형군은 서리와 켄트, 웨일즈에서 왕당파를 제압한 후 8월 프레스턴 전투에서 스코틀랜드군을 격파했다.[66]스코틀랜드군 격파 후, 신형군의 다수를 차지하는 급진주의자들은 국왕을 "피를 뒤집어 쓴 찰스 스튜어트"(Charles Stuart, that man of blood영어)로 부르며 처형을 주장하였다.[67] 고위 귀족들 역시 찰스 1세가 의회파의 요구를 수락하기보다 또다시 군대를 모으고 대립할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고, 결국 국왕을 처형하자는 급진파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장기의회가 125 대 58로 군부의 항의를 거부하자 고위 귀족들은 의회를 재구성하기로 결심하고 쿠데타를 일으켰다.[67] 1648년 토머스 프라이드에 의해 실행된 프라이드의 숙청으로 잉글랜드 하원은 독립파와 고위귀족에 의해 장악되었다. 이로서 크게 규모가 줄어든 채 개원한 잔부의회는 1649년 1월 30일 59명의 의원의 서명으로 찰스 1세의 참수를 결의하였다.[67]
4. 4. 1649년 항명 사건
1649년 신모범군에서 임금 및 정치적 요구와 관련된 세 차례의 항명 사건이 발생했다. 첫 번째는 존 휴슨 대령의 연대에서 발생했다. 이들은 레벨러의 프로그램이 실현될 때까지 아일랜드에서 복무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가 임금 체불 없이 해고되었다. 비숍스게이트 반란에서는 런던 비숍스게이트에 주둔한 에드워드 왈리 대령의 연대 군인들이 휴슨 연대와 비슷한 요구를 하다가 런던에서 쫓겨났다.2주도 채 안 되어 더 큰 규모의 항명 사건인 밴버리 반란이 일어났다. 윌리엄 톰슨 대위가 이끄는 400명의 레벨러 동조자들은 정치적 요구를 위해 솔즈베리로 이동했다. 올리버 크롬웰은 야습을 통해 이들을 진압했고, 톰슨 대위는 도주 후 사망했다. 나머지 반란 가담자들은 버포드 교회에 수감되었다가 일부 처형되었다.
4. 5. 아일랜드 전역
1649년 8월 15일 신형군은 아일랜드에 상륙하여 크롬웰의 아일랜드 정복을 시작하였다. 아일랜드는 크롬웰의 공격을 여러 차례 막아내고 있었다. 1650년 3월 킬케니에서 아일랜드군은 의회파 군대를 능숙하게 막아내었으나 수적 열세로 항복을 강요당했다.[70]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벌어진 얼스터 공격에서도 신형군 약 2천 명이 사망하였고 그 해 말까지 이어진 샤를몬트 공방전에서도 이러한 피비린내 나는 전투가 계속되었다.[71]아일랜드인들은 "추격자"로 부르던 토라이/tóraíga 유격대를 구성하여 신형군을 괴롭혔다.[72]
1649년에서 1653년까지 아일랜드 침공에 동원된 의회군은 약 4만 3천 명 가량이었고 아일랜드 개신교도 9천여 명이 여기에 합세하였다.[70]
신형군은 드로이다 공방전과 같은 요새 습격 작전에서 두각을 나타내었지만, 클론멜 포위전과 같이 잘 방어된 지역의 공격에서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73]
4. 6. 스코틀랜드 전역
1650년 아일랜드 전역의 전투가 계속되는 동안 잉글랜드 내전의 확전인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전쟁이 함께 치러졌고, 신형군의 일부는 1차 내전 당시 동맹이었으나 이제는 찰스 2세의 편에 선 언약도와 싸우기 위해 스코틀랜드에 파견되었다.[74] 이들은 수적 열세에도 스코틀랜드군에게서 승리를 거두었고 우스터의 회전에서 왕당파를 완파하여 내전을 종결지었다.[74] 앤드루 캐릭 고우의 1886년 작, ''던바 전투에서의 크롬웰'' 에서는 이 전투를 묘사하고 있다.
5. 공위 시대
내전 종결 이후에도 잉글랜드에서는 왕당파의 봉기가 지속되었고, 신모범군은 이들을 진압하는 데 투입되었다.[75] 호국경 정치가 이어진 잉글랜드의 공위시대 동안 가장 큰 반란은 1655년 봉인된 매듭 사건이었다.[75]
잉글랜드-스페인 전쟁 당시 잉글랜드 연방은 1654년 스페인에 선전포고를 하고 신형군을 카리브해의 히스파니올라섬에 파견했지만, 자메이카 점령을 제외하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76] 반면 플란데런 전역에서는 튀렌 군대와 합류한 윌리엄 록허트 휘하 신형군이 됭케르크 전투에서 용맹함을 보여 프랑스와 스페인 양국을 놀라게 했다.[76]
1650년 5월, 크롬웰은 스코틀랜드 원정에 나서 9월 3일 던바 전투와 이듬해 1651년 9월 3일 우스터 전투에서 승리하여 찰스 2세를 망명으로 몰아넣고 내전을 종결시켰다.[30] 그러나 군과 의회의 대립은 계속되었고, 1653년 4월 럼프 의회는 군과 동조한 크롬웰의 쿠데타로 해산되었다.[31] 7월에는 베어본즈 의회가 개회했지만, 이 역시 군에 대한 지급 감액을 시도하여 12월에 해산되었고, 통치 장전에 따라 군을 지지 기반으로 삼은 크롬웰을 호국경으로 하는 정권이 발족되었다.[31]
침례교도와 퀘이커 신자가 군 내부에 증가하며 군의 통제를 어지럽히기도 했다. 침례교도는 찰스 플리트우드 아래에서 가톨릭 탄압 정책을 펼쳐 점령 통치를 혼란시켰고, 퀘이커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 군 내부에 신자를 늘려 비폭력주의를 실천하여 군에 지장을 초래했다.[32]
1654년 9월 소집된 제1 의회는 군 통수권을 의회 고유의 권한으로 할 것을 주장하여 국무 회의 및 크롬웰과 대립, 1655년 1월 해산되었다.[33] 8월 군정감 설치로 군사 독재가 강화되었지만, 1656년 9월 제2 의회 소집 후 군정감이 폐지되었다.[33] 1657년 의회가 크롬웰의 국왕 즉위를 제안했으나 군의 반대로 무산되고, '겸손한 청원과 권고'가 공포되어 사실상 왕정에 가까운 체제가 만들어졌다.[33]
크롬웰 사후, 리처드 크롬웰이 호국경이 되었지만 군은 제3 의회와 협력하려는 리처드에게 압력을 가해 1659년 4월 의회를 해산시키고 5월 럼프 의회를 부활시켜 리처드를 사임하게 만들었다.[10] 그러나 군은 럼프 의회와 대립했고, 이후 정세 혼란 속에서 국민의 지지를 잃고 주도권을 상실했다.[10]
1658년 크롬웰이 사망하고 신형군은 공위시대와 함께 저물어갔다.[76] 1659년에는 신형군 내부에서 파벌 갈등이 심화되었고, 스코틀랜드 주둔 몽크 장군 휘하의 신형군이 왕정복고 이전에 런던으로 진군하였다.[45] 1661년 제5왕국파가 일으킨 반란을 진압한 후, 신형군은 해산 명령을 받았다.[45] 몽크의 신형군 보병 연대는 왕정복고 후 찰스 2세의 콜드스트림 근위대에 통합되었다.[45]
신형군 퇴역 장교와 병사 일부는 포르투갈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77] 1662년 8월 3천 명의 잉글랜드 여단이 포르투갈에 상륙했고,[77] 1663년 6월 8일 이스트레모스에서 스페인군을 격파하여 포르투갈의 독립에 기여하였다.[78]
참조
[1]
웹사이트
Trained Bands
http://wiki.bcw-proj[...]
2020-03-13
[2]
서적
East Anglia and the Great Civil War
Elliot Stock
1897
[3]
DNB
Poyntz, Sydenham
[4]
DNB
Massey, Edward
[5]
간행물
Die Veneris, Februarii 28, 1644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016-05-28
[6]
웹사이트
English Heritage Battlefield Report: Naseby 1645
https://historicengl[...]
Historic England
2023-05-17
[7]
웹사이트
An agreement of the free people of England April 30 1649
https://www.marxists[...]
[8]
ODNB
Sealed Knot (act. 1653–1659)
2004
[9]
문서
1911, 2009
[1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ldstream Guards
http://www.coldstrea[...]
2014-04-26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松村、P497
[37]
논문
올리버 크롬웰의 신형군(新型軍)과 그 신앙적 성격에 관한 연구
http://www.riss.or.k[...]
2011
[38]
서적
The Royalist War Effort 1642–1646
Routledge
2003
[39]
웹사이트
Trained Bands
http://wiki.bcw-proj[...]
2023-06-06
[40]
간행물
Choosing Officers for the New Model Army, February to April 1645
2014
[41]
서적
The English Civil War:A Military History of the Three Civil Wars
Wordsworth Editions
2000
[42]
간행물
Cromwell and the Self-Denying Ordinance
1975
[43]
서적
The King's War, 1641–1647
Penguin Classics
1958
[44]
웹사이트
Surnames beginning 'V' in The Cromwell Association Online Directory of Parliamentarian Army Officers
https://www.british-[...]
2017
[45]
서적
Civil War: The Wars of the Three Kingdoms 1638–1660
Abacus
2004
[46]
DNB 인용
Poyntz, Sydenham
[47]
DNB 인용
Massey, Edward
[48]
간행물
Choosing Officers for the New Model Army, February to April 1645
2014
[49]
간행물
Some Notes on the Raising and Origins of Colonel John Okey's Regiment of Dragoons, March to June, 1645
2009
[50]
서적
Battles and Generals of the Civil Wars
Seeley Service & Company
1968
[51]
서적
Journal of the House of Commons: Volume 4, 1644–1646
HMSO
1802
[52]
간행물
The Original Officer List of the New Model Army
1986
[53]
서적
The Souldiers Catechism: Composed for the Parliaments Army, Consisting of Two Parts Wherein are Chiefly Taught: 1. the Justification, 2. the Qualifications of Our Souldiers. Written for the Incouragement and Instruction of All that Have Taken Up Armes in this Cause of God and His People, Especially the Common Souldiers
J. Wright
1644
[54]
뉴스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and its chief word detective
https://www.bbc.com/[...]
BBC
2013-05-03
[55]
서적
History of the Sword
Dover Publications
1998
[56]
서적
Cromwell's War Machine
Pen and Sword Military
2005
[57]
웹사이트
English Heritage Battlefield Report: Naseby 1645
https://historicengl[...]
[58]
서적
Cromwell's Army: A history of the English soldier during the civil wars, the Commonwealth and the Protectorate
Methuen & Co Ltd
1972
[59]
서적
Great Military Battles
Spring Books
1969
[60]
서적
Cromwell's Army: A history of the English soldier during the civil wars, the Commonwealth and the Protectorate
Methuen & Co Ltd
1972
[61]
서적
Cromwell in Ireland
St. Martin's Press
1999
[62]
서적
Cromwell's Army: A history of the English soldier during the civil wars, the Commonwealth and the Protectorate
Methuen & Co Ltd
1972
[63]
웹사이트
Solemn Engagement of the Army. 1647 (annotated)
https://web.archive.[...]
2012-03-09
[64]
웹사이트
An agreement of the free people of England April 30 1649
https://www.marxists[...]
[65]
서적
Constitutional Royalism and the search for settlement, c.1640-1649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66]
문서
Great Rebell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67]
서적
Charles I
Weidenfeld & Nicolson
1968
[68]
서적
Twenty-Two Turbulent Years 1639-1661
Upfront Publishing
2013
[69]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the Revolutions and Wars of England, Scotland, and Ireland, 1639-1660
Scarecrow Press
2004
[70]
서적
God's Executioner – Oliver Cromwell and the Conquest of Ireland
Faber & Faber
2008
[71]
서적
Ireland under the Stuarts and under the Interregnum
Longmans, Green, and Co.
1909
[72]
서적
The Origin and History of Irish Names of Places
1883
[73]
서적
Cromwell in Ireland
St. Martin's Press
1999
[74]
서적
The Last Highlander: Scotland's Most Notorious Clan Chief, Rebel & Double Agent
HarperCollins UK
2012
[75]
서적
The King's War, 1641–1647
Penguin Classics
1958
[76]
웹사이트
Surnames beginning 'V' in The Cromwell Association Online Directory of Parliamentarian Army Officers
https://www.british-[...]
British History Online
2017
[77]
논문
"The English Contingent in Portugal, 1662–1668"
1960
[78]
서적
The Last Ironsides: The English Expedition to Portugal, 1662-1668
Helion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