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사신은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활동한 이슬람 시아파의 분파로, 암살을 주요 전략으로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특히 이란 북부의 알라무트 산성을 거점으로 삼았으며, 하산 사바흐가 이끄는 가운데 종교적, 정치적 적들을 암살했다. 아사신이라는 이름은 대마초를 피우는 사람을 뜻하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창시자 하산 사바흐를 따르는 사람들을 지칭한다는 설이 있다. 몽골의 침략으로 13세기에 세력이 쇠퇴했으며, 현재는 인도에 본거지를 둔 이스마일파의 교단장 아가 칸이 그 후예로 여겨진다. 아사신은 '산의 노인'과 같은 전설과 함께 대중문화에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며, 암살자 캐릭터의 모티브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바스 칼리파국 - 지혜의 집
지혜의 집은 8세기 후반부터 13세기까지 바그다드에 존재하며 이슬람 세계의 지적 중심지 역할을 한 기관으로, 그리스 학술 문헌 번역과 다양한 학문 연구를 지원하며 이슬람 황금기 과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몽골군의 침략으로 파괴되었고 그 중요성은 유럽 르네상스에도 영향을 미쳤다. - 아바스 칼리파국 - 예언자의 모스크
예언자의 모스크는 이슬람 선지자 무함마드가 메디나에 건설하여 이슬람에서 두 번째로 성스러운 장소이며, 그의 거처이자 공동체 중심지로서 여러 왕조를 거치며 확장 및 재건축되어 현재는 대규모 건축물로 무슬림 순례지이자 이슬람 건축 유산이다. - 비밀결사 - 흑수단
흑수단은 범세르비아주의를 내세우며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영토 통합을 목표로 활동한 세르비아의 비밀 결사 조직으로, 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비밀결사 - Phantom in the Twilight
Phantom in the Twilight는 런던을 배경으로 인간의 공포에서 태어난 엠브라와 그들을 지키는 수호자들의 이야기를 그린 2018년 일본-중국 합작 애니메이션으로, 유학생 바일 톤이 '카페 포비든'에 들어가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다.
아사신 |
---|
2. 이름의 유래
아사신이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은 페르시아어 "하사신(حشّاشين)"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이는 '대마초를 피우는 사람'을 뜻하며, 아사신 암살자들이 대마초와 같은 환각제를 복용하고 암살에 나섰다는 전승에 기반한다. 다른 설로는 아사신 교단의 창시자인 하산 사바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67][71][72][73][74][75][76]
아사신파는 8세기 무렵부터 그 존재가 알려졌지만, 실질적인 창시자는 11세기 말 이란에서 활동한 하산 사바흐이다. 하산 사바흐는 알라무트를 거점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암살단을 조직하여 압바스 왕조와 셀주크 투르크 등 이슬람 세계의 주요 인물들을 암살했다.
무슬림들은 시리아로 이동한 아사신들을 '''바티니'''라고 불렀는데, 이는 "겉으로 드러난 신앙과 다른 믿음을 가진 자들"이라는 뜻이다. 시리아 아사신들이 십자군과 같은 이교도들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기 때문이다.
14세기 무렵부터 아사신은 영어 단어 'assassination'(암살)의 어원이 되었다.
3. 역사
13세기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1256년 훌라구 칸이 이끄는 몽골군에 의해 알라무트가 함락되고, 1273년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 의해 시리아 거점이 소탕되면서, 아사신파는 사실상 멸망했다.[109] 이후 아사신파는 극소수 분파로 흩어져 명맥을 유지했으나, 그 실체는 점차 전설화되었다.
3. 1. 기원과 초기 활동
하산 사바흐는 이란에서 태어나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에서 활동하다가 포교사가 되어 이란으로 돌아왔다. 1090년 하산 사바흐는 이란 북부 다이람 산맥의 알라무트 산성을 점령하고, 그곳을 거점으로 강력한 집단공동체를 세웠다.[105] 알라무트 산성은 '매의 둥지'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카스피 해와 바그다드 사이에 위치한 전략적 요충지였다.[105] 마르코 폴로는 자신의 저서 동방견문록에서 이 지방을 낙원에 비유하며, 아름다운 정원과 화려한 누각, 궁전이 있었다고 묘사했다.[106]
하산 사바흐는 압바스 왕조의 주요 인물을 암살하여 권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105] 아사신들은 엄격한 규율과 훈련을 통해 소수 정예의 암살자들을 양성했고, 이들은 상부의 명령에 절대 복종했다. 이들은 단검을 이용한 암살에 능숙했으며, 잔혹하게 목적을 실행했다.[107]
아사신파가 암살한 것으로 알려진 유명 인사들은 다음과 같다. (암살단의 성격상 암살자가 아사신인지 아닌지 불분명한 경우도 많다.)[107]
암살된 인물 | 암살 시기 |
---|---|
셀주크 와지르 니잠 알 물크 | 1092년 |
파티마 와지르 알 아프달 | 1122년 |
아부 하라위 | 1123년 |
알레포의 이븐 알 카샤브 | 1124년 |
트리폴리의 레몽 2세 | 1152년 |
몬페라토의 코라도 | 1192년 |
살라흐 앗 딘(살라딘)도 수차례 아사신의 공격을 받았으나 목숨을 건졌다. 1176년 8월, 시리아 아사신파 지도자 라시드 앗 딘은 살라딘의 침소에 독이 든 과자와 “너는 우리 손안에 있다.”라는 쪽지를 남겼고, 그 후 살라딘은 아사신파를 공격하지 않았다는 전승이 있다.
셀주크 왕조의 왕 세말리크샤 1도 아사신을 징벌하려 했으나, 아사신들은 견고한 요새를 바탕으로 농성 작전을 펼치며 공격을 막아냈다. 이후에도 칼리파나 술탄들의 공격이 있었지만, 아사신 측의 수비는 완벽했다.
힘을 얻은 아사신은 시리아에도 근거지를 만들고 레반트의 십자군들과도 종종 연합했다. 병원기사단의 사주를 받고 예루살렘 총대주교를 암살하기도 했으며,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의 사주로 코라도를 암살했다는 소문도 있었다.
20세기 초 이후 중앙아시아나 인도 등에서의 이스마일파 사료 발굴로 인해, 아사신파에 대한 기존의 견해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사료 조사 결과, "Ḥašīšī"는 "하등한 마약 중독자·폭도"와 같은 욕설이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밝혀졌다. 당시 이스마일파, 특히 니자르파는 급진성 때문에 엄격한 수니파로부터 몹시 혐오당했으며, 이슬람의 얼굴을 한 배신자, 심지어 유대교 신도 마법사라고까지 불렸다.
"Ḥašīšī"라는 말이 이란의 니자르파에 사용되는 일도 거의 없었고, 시리아 사료에서 "Ḥašīšī"가 가리키는 것은 시리아 니자르파로 여겨진다는 점에서, 니자르파 그 자체를 "Ḥašīšī"와 결부시킨 동양학적 견해의 오류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Ḥašīšī"라는 말로 니자르파를 부르는 사료에서도, 실제 대마 흡입에 대해 기술하는 사료는 이스마일파, 반이스마일파 양쪽 모두 존재하지 않으며, 마르코 폴로의 "산의 노인" 전설에 대해서도 대마의 존재·효용은 이 시기에 널리 알려져 있어 성립하지 않는다.
3. 2. 조직 운영 및 암살
아사신파는 철저한 통제와 비밀 속에서 조직을 운영하며, 엄격한 규율과 훈련을 통해 소수 정예의 암살자들을 양성했다. 이렇게 훈련된 암살자들은 상부의 명령에 절대 복종했다고 전해진다.[107] 이들은 거점을 확보하면서 절대적 권위에 대한 헌신, 종파상의 적대자를 제거한다는 교단의 독특한 성격을 조직적으로 정비해 나갔다. 또한 거미줄처럼 거점을 세우고 전략적으로 암살 활동을 전개했다.암살자들은 단검을 주로 사용했으며, 매우 잔혹하고 숙련된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107] 이들이 암살한 것으로 알려진 주요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암살단의 성격상 암살자가 아사신인지 아닌지 불분명한 경우도 많다.)
- 셀주크 와지르 니잠 알 물크 (1092년)
- 파티마 와지르 알 아프달 (1122년)
- 아부 하라위 (1123년)
- 알레포의 이븐 알 카샤브 (1124년)
- 트리폴리의 레몽 2세 (1152년)
- 몬페라토의 코라도 (1192년)
이슬람의 영웅 살라흐 앗 딘(살라딘)도 여러 차례 아사신의 공격을 받았으나 살아남았다. 1176년 8월, 살라딘이 아사신파에 대한 소탕 작전을 펼칠 때, 시리아 아사신파 지도자 라시드 앗 딘은 살라딘의 침소에 독이 든 과자와 “너는 우리 손안에 있다.”라는 쪽지를 전했고, 그 후 살라딘은 아사신파를 공격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 사건을 계기로 각지에서 ‘신비적인 암살’이 잇달아 일어났고 이슬람 세계는 공황 상태에 빠졌다. 당시 셀주크 왕조의 왕 세말리크샤 1세도 아사신 징벌을 위해 군대를 알라무트 산성으로 보냈지만, 아사신들은 견고한 천연 요새를 이용해 농성 작전을 펼쳤다.
아사신은 이슬람 세력뿐만 아니라 레반트의 십자군과도 협력하거나 대립했다. 병원기사단의 사주를 받고 예루살렘 총대주교를 암살하기도 했고, 코라도 암살은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의 사주로 아사신파가 행한 것이라는 소문도 있었다.
3. 3. 시리아로의 확장
12세기 초, 아사신은 시리아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시리아의 아사신들은 알레포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지역 통치자들과 협력하거나 대립했다.[108] 이들은 다마스쿠스, 모술 등 주요 도시에서 암살을 수행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라시드 앗-딘 시난은 연금술사이자 학교 교사였으며, 하산 2세에 의해 이슬람 관점을 전파하고 암살단의 임무를 계속 수행하기 위해 시리아로 파견되었다. 암살단 수장 중 가장 위대한 인물로 알려진 시난은 처음에는 알-카흐프 성을, 다음에는 마시야프 요새를 본부로 삼았다.[42] 알-카흐프에서 7년 후 시난은 그 역할을 맡아 알라무트와 독립적으로 활동하며 두려움을 샀고, 수도를 마시야프로 옮겼다. 그의 첫 번째 임무 중 하나는 아르-루사파 요새와 칼라아트 알-카와비를 개조하고 후자의 성채에 탑을 건설하는 것이었다. 시난은 또한 타르투스 근처 알리카에 있는 알-'울라이카 성을 점령했다.
시난이 직면한 첫 번째 과제 중 하나는 누르 앗-딘의 지속적인 위협과 타르투스에 있는 템플 기사단의 존재였다. 1173년, 시난은 예루살렘의 아말릭에게 타르투스 근처 암살단 마을에 부과된 공물을 취소하는 대가로 누르 앗-딘에 대항하는 동맹을 제안했다. 협상에서 돌아오던 중 타르투스 근처에서 템플 기사단 기사 월터 뒤 메닐이 암살단 사절단을 매복해 살해했는데, 이는 템플 기사단 대사관 오도 드 생 아망의 승인을 받은 행위였다. 아말릭은 기사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지만, 오도는 교황만이 뒤 메닐을 처벌할 권한이 있다고 주장하며 거부했다. 아말릭은 뒤 메닐을 납치해 타이어에 감금했다. 시난은 정의가 실현되었다며 국왕의 사과를 받아들였다. 누르 앗-딘과 아말릭 모두 자연사하면서 동맹의 의미는 없어졌다.[43]
이러한 발전은 살라딘에게 더할 나위 없이 좋았는데, 그는 이집트를 넘어 예루살렘과 시리아로 세력을 확장하기를 원했고, 먼저 다마스쿠스를 점령했다. 예루살렘 왕국은 13세의 나병 환자 보두앵 4세가 이끌었고, 시리아는 누르 앗-딘의 아들인 11세의 아스-살리 이스마일 알-말리크가 이끌었으며, 그는 시리아에서 캠페인을 계속하여 알레포를 공격했다. 1174년 말 또는 1175년 초에 알레포를 포위하는 동안 살라딘의 진영은 시난과 아스-살리의 섭정 귐쉬테긴이 보낸 암살단에 의해 침투당했다. 아부 쿠바이스의 아미르 나시흐 알-딘 후마르테킨은 공격으로 사망했지만 살라딘은 무사했다. 이듬해 아자즈를 점령한 후 암살단이 다시 공격하여 살라딘에게 부상을 입혔다. 귐쉬테긴 역시 암살 시도에 연루된 것으로 여겨졌다. 알레포로 눈을 돌린 살라딘은 곧 그 도시를 정복했고, 아스-살리와 귐쉬테긴이 계속 통치하도록 허용했지만, 자신의 주권 하에 두었다.[44] 살라딘은 다시 암살단에 주목하여 1176년 마시야프를 포위했다. 요새를 점령하는 데 실패한 그는 휴전으로 합의했다.
1177년까지 시난과 아스-살리의 갈등은 아스-살리와 누르 앗-딘의 재상인 시하브 앗-딘 아부-살리의 암살로 이어졌다. 아스-살리가 시난에게 살인을 요청하는 편지는 귐쉬테긴에 의해 위조된 것으로 밝혀져 그가 제거되었다. 아스-살리는 암살단으로부터 알-하지라 마을을 빼앗았고, 이에 시난의 추종자들은 알레포의 시장을 불태웠다.[47]
기독교 수도사로 위장한 암살단은 타이어의 주교 구역에 침투하여 대주교 조시우스와 몽페라토의 콘라드의 신뢰를 얻었다. 1192년 그들은 그곳에서 콘라드를 칼로 찔러 죽였다. 살아남은 암살자는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배후로 지목했는데, 그는 미망인이 샹파뉴의 앙리 2세와 얼마나 빨리 결혼했는지를 보면 얻을 것이 많았다. 이 설명은 이븐 알-아시르가 살라딘을 콘라드와 리처드 모두를 죽이기 위한 시난과의 음모의 배후로 지목한 점에 의해 논란이 된다.[48]
콘라드는 시난의 마지막 암살 사건이었다. 위대한 암살단 라시드 앗-딘 시난은 1193년에 사망했는데, 그 해는 살라딘도 사망했다. 그는 알-카흐프 성에서 자연사했고, 9세기와 10세기에 이스마일파 활동의 비밀 거점이었던 살라미야에 묻혔다. 그의 후계자는 알라무트의 통제를 받는 나스르 알-'아자미였고, 그는 1194년에 헨리 6세 황제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51]
3. 4. 쇠퇴와 멸망
13세기 몽골 제국의 훌라구 칸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아사신파는 괴멸되었다. 훌라구의 몽골군은 페르시아 지역의 아사신파 요새들을 차례로 점령했고, 1256년 12월 5일에는 아사신파의 근거지인 알라무트가 함락되었다.[109] 이 공격으로 아사신파의 유서 깊은 도서관이 불에 타, 경전, 기록, 외교 문서 등 수많은 자료가 소실되었다. 1273년에는 시리아의 아사신 교단도 맘루크 왕조의 술탄 바이바르스에 의해 소탕되었다.[109] 이후 아사신파는 소수 분파로 명맥을 유지했으나, 그 실체는 점차 전설화되었다.[109]4. 아사신파의 특징
아사신파의 조직은 최고 교장을 중심으로 엄격한 위계질서를 따랐다. 최고 교장은 '산장로(山長老)'라고 불렸으며, 알라무트 산성에 거주하며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했다. 조직은 최고 교장 아래에 각 지역을 담당하는 대수도원장과 일반 전도사들로 구성되었다.[107]
아사신파 구성원들은 신앙심과 용맹함에 따라 신참, 대사제로 나뉘었고, 이들은 강도 높은 훈련을 거쳐 암살자로 양성되었다. 실제 암살 임무는 주로 최하층 암살자들이 맡았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비밀리에 계획을 세우고, 주로 군중이 많은 공공장소에서 암살을 실행했다. 이는 대중에게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고 적들에게 공포감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이었다.[107] 공격 후 암살자들은 현장에서 죽임을 당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들을 '피다이', 즉 '자기 희생자'라고 불렀다. 이들은 최고 교장의 명령에 목숨을 바쳐 복종하는 광신도들이었다.
암살자들이 죽음 앞에서도 태연했던 점 때문에 이들이 해시시(hashish)에 중독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널리 퍼졌다. 그러나 이들이 실제로 마약을 사용했는지, 환각 상태에서 암살을 저질렀는지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107]
5. 대마와 낙원 체험
암살교단이 신참 소년들에게 대마를 복용시켰다는 설은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등 여러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110] 대마는 삼과의 일년초인 삼을 일컫는 말로, 섬유를 얻기 위해 재배되지만, 번식력이 강해 중동과 중앙아시아 등지에서는 시골에서 흔히 자생한다. 이 식물의 ‘마취’ 성분은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THC(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라는 알칼로이드(식물염기)이다. 아사신의 어원이기도 한 해시시는 대마초에서 추출한 수지 성분을 고형으로 만든 것이다.
대마는 흥분, 환각 작용을 일으키며, 종교적 쾌감과 유사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10] 고대 그리스의 헤로도토스가 쓴 '역사'에는 스키타이 사람들이 대마 씨를 달구어진 돌 위에 던져 '대마탕'에 들어가 기분을 좋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는 사우나와 같은 것으로, 대마의 흥분 작용은 전쟁에 임할 때 용기를 불러일으키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
산장로는 신참들에게 대마를 복용시켜 종교적 쾌감을 체험하게 하고, 이를 '낙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로 여겼을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110] 프랑스 시인 샤를 보들레르는 '인공 낙원'이라는 작품에서 대마 복용에 따른 심리적 변화를 묘사했다. 보들레르에 따르면 대마 복용은 세 가지 단계를 거치는데, 처음에는 별것 아닌 것도 재미있게 느껴져 웃게 되고, 다음에는 쾌감이나 불쾌감과 함께 무력감이 퍼지며 감각이 마비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절대적인 행복을 느끼며 모든 철학적 문제가 해결되고 모순이 사라지는, '신'이 되는 듯한 특별한 감각을 경험한다.
마르코 폴로는 산장로가 부하들에게 대마초에서 추출한 해시시를 먹여 쾌활하고 환각 상태에 빠지게 한 후, '정원'으로 들여보내 꿈같은 낙원을 경험하게 했다고 기록했다.[110] 소년이 깨어나면 산장로에게 불려가 낙원으로 돌아가고 싶다면 알라를 위해 목숨을 바쳐 나쁜 자를 죽이라고 지시받고, 암살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사신들이 실제로 대마를 사용했는지, 그리고 이것이 암살 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
6. 전설과 민속
아사신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는 암살자들의 훈련과 관련된 전설에서 비롯되었다. 일부 역사가들은 하시시를 사용한 훈련에 대한 이야기가 꾸며낸 것이라고 주장한다.[86] 블라디미르 이바노프와 같은 학자들은 암살이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정치적 공격으로부터 보호를 확보하려는 격려적인 자극을 제공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한다.[86]
마르코 폴로는 알라무트의 무함마드 3세가 젊은 추종자들을 하시시로 "낙원"으로 이끌고 그들만이 그들을 다시 돌아갈 수 있게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무함마드 3세가 예언자나 마법사라고 생각한 그의 제자들은 그만이 그들을 "낙원"으로 돌려보낼 수 있다고 믿고 그의 모든 요청을 기꺼이 수행할 의지가 있었다고 한다.[87]
7. 대중문화 속의 아사신
아사신은 중세 문화의 일부였으며, 악마화되거나 낭만화되었다. 중세 예술과 문학에 자주 등장했으며, 기사의 숙적이나 십자군 전쟁의 악당으로 묘사되기도 했다.[92] '암살자'라는 단어는 다양한 형태로 전문적인 청부 살인자를 지칭하는 용어로 유럽에서 이미 사용되었다. 1320년에 완성된 단테 알리기에리의 ''지옥'' 제19곡에서 단테는 '배신자 암살자'(lo perfido assassin)에 대해 언급하기도 했다.[93]
현대에 아사신은 다양한 게임, 소설, 영화 등에서 주요 소재로 다루어지고 있다. 특히, 어쌔신 크리드 게임 시리즈는 아사신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역사를 다루며 큰 인기를 얻었다.
- 액션 롤플레잉 게임 시리즈인 ''Exile''은 시간을 여행하는 시리아 암살자가 다양한 종교적 역사적 인물과 현대 세계 지도자를 암살하는 것을 중심으로 전개된다.[96][97]
- 어쌔신 크리드 비디오 게임 시리즈는 레반트 지역을 넘어 확장되어 기록된 역사 전체에 걸쳐 존재했던 고도로 허구화된 Ḥashshāshīn 조직을 묘사한다.[98] 이 시리즈는 소설, 만화, 비디오 게임, 만화, 보드 게임, 단편 영화 및 극장 개봉 영화로 구성된 프랜차이즈로 발전했다.
- 패러독스 인터랙티브의 그랜드 전략 게임 ''크루세이더 킹즈 II''의 DLC인 ''이슬람의 검''에서 하샤신은 시아 이슬람과 관련된 성스러운 단체이다.
- 넷플릭스 시리즈 ''마르코 폴로''에서 황제 쿠빌라이 칸은 하샤신 암살자 집단의 공격을 받는다.[99]
- 루이스 라무르는 저서 ''The Walking Drum''에서 암살자와 알라무트의 요새를 주인공의 노예가 된 아버지의 장소로 사용했다.[100]
- 테리 프래쳇의 판타지 소설 시리즈인 디스크월드의 많은 작품은 앵크-모포크를 배경으로 하며, 여기에는 암살자 길드가 포함된다.
- 조지 R. R. 마틴의 소설 시리즈 ''얼음과 불의 노래''와 TV 시리즈 ''왕좌의 게임''에 등장하는 암살자 길드인 무면인들은 아사신 교단에서 영감을 받았다.[101]
- 비주얼 노벨의 페이트 프랜차이즈는 암살자 클래스로 소환될 수 있는 19명의 망령인 하산 이 사바흐를 통해 이 종파를 매우 두드러지게 묘사한다.
- 배트맨 코믹스 및 관련 미디어에서 암살자 동맹은 아사신 교단의 가공의 분파이다.
- 터키 텔레비전 시리즈 ''우야니쉬: 뷔위크 셀축루''에서 아사신 교단과 하산 이 사바흐는 악당으로 묘사된다.[102]
- 댄 브라운의 책 ''천사와 악마''는 하샤신의 현대적 후손을 주요 인물로 한다.
- 움베르토 에코의 ''바우돌리노''에서 한 무리의 모험가들은 산의 노인에게 노예가 되어 마약을 맞고 낙원을 보고 수년 동안 그 조직을 섬기다가 탈출한다.
- 이집트 텔레비전 시리즈 Ḥashāshīn[103] (영어: The Assassins).
참조
[1]
서적
The Chronicle of ibn al-Athir for the Crusading Period from al-Kamil fi'l-Ta'rikh. Part 1, 1097–1146.
[2]
서적
The Damascus Chronicle of the Crusades. Extracted and translated from the Chronicle of ibn al-Qalānisi.
[3]
서적
The Travels of Marco Polo
https://books.google[...]
Read Books Ltd
2013
[4]
서적
Cultural Sociology of the Middle East, Asia, and Africa: An Encyclopedia
Sage
2012
[5]
서적
The Templars and the Assassins: The Militia of Heave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1
[6]
서적
Lewis
2003
[7]
서적
Lewis
2003
[8]
서적
The Gesta Tancredi of Ralph of Caen (Crusade Texts in Translation), p. 172
Ashgate Publishing
[9]
서적
History of the World Conqueror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0]
서적
Lewis
2003
[11]
웹사이트
Gerdkūh, in Encyclopedia of Iranica, Volume X, Fasc. 5, p. 499
http://www.iranicaon[...]
2020-04-21
[12]
간행물
The Annals of the Saljuq Turks: Selections from al-Kamil fi’l-Tarikh of ibn al-Athir
Routledge Publishing
2002
[13]
서적
Wasserman
[14]
간행물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8
[15]
서적
Lewis
2003
[16]
서적
Lewis
2003
[17]
서적
The Annals of the Saljuq Turks: Selections from al-Kamil fi'l-Tarikh ibn al-Athir, 1097–1146
Routledge Publishing
[18]
간행물
The Chronicle of Ibn al-Athir for the Crusading Period from al-Kamil fi’l-Ta’rikh. Part 1, 1097–1146
2010
[19]
서적
Lewis
2003
[20]
서적
Wasserman
[21]
간행물
The Annals of the Saljuq Turks: Selections from al-Kamil fi’l-Tarikh ibn al-Athir
[22]
서적
Lewis
2003
[23]
서적
Lewis
2003
[24]
서적
Lewis
2003
[25]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wo: The Kingdom of Jerusalem and the Frankish East, 1100–1187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서적
Lewis
2003
[27]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One, The First Hundred Years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8]
서적
Lewis
2003
[29]
간행물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wo: The Kingdom of Jerusalem and the Frankish East, 1100–1187
[30]
서적
Lewis
2003
[31]
간행물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First Hundred Years
[32]
서적
Lewis
2003
[33]
서적
Lewis
2003
[34]
서적
Lewis
2003
[35]
간행물
A History of the Crusades: The First Hundred Years
[36]
서적
God's War: A New History of the Crusades
Harva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The Assassins : A Radical Sect in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38]
뉴스
Who is Ahmad al-Hassan al-Yamani, and why do so many Shīʿas think he is the promised messiah?
https://www.abc.net.[...]
2019-04
[39]
간행물
Filiu, Apocalypse in Islam , 2011
[40]
서적
The Assassins : A Radical Sect in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Lewis (2003)
[42]
서적
Lewis (2003)
[4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wo: The Kingdom of Jerusalem and the Frankish East, 1100–1187
[44]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wo: The Kingdom of Jerusalem and the Frankish East, 1100–1187
[45]
서적
Saladin and the Fall of the Kingdom of Jerusalem
[46]
서적
The Castles of the Assassins
Craven Street Books
[47]
서적
Lewis (2003)
[48]
서적
The Annals of the Saljuq Turks: Selections from al-Kamil fi’l-Tarikh ibn al-Athir, 1146–1193
Routledge Publishing
[49]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wo, The Later Crusades 1187–1311,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50]
서적
Letters from the East : Crusaders, Pilgrims and Settlers in the 12th–13th centuries
https://www.worldcat[...]
Ashgate
2013
[51]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wo, The Later Crusades 1187–1311
[52]
서적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Columbia University Press
[53]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hree: The Kingdom of Acre and the Later Crusades
[54]
서적
Lewis (2003)
[55]
웹사이트
Nezāri Isma'ilism of the Alamut Period, Encyclopedia Iranica
http://www.iranicaon[...]
[56]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hree: The Kingdom of Acre and the Later Crusades
[57]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Islam, First Edition (1913–1936)
https://referencewor[...]
[58]
웹사이트
[59]
웹사이트
Memoirs of the Lord of Joinville, Chapter III.4
http://etext.lib.vir[...]
[60]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ume Two: The Kingdom of Jerusalem and the Frankish East, 1100–1187
[61]
서적
Lewis (2003)
[62]
논문
The Eagle Returns: Evidence of Continued Isma'ili Activity at Alamut and in the South Caspian Region following the Mongol Conquests
https://www.academia[...]
[63]
간행물
The New Islamic Dynasties: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Manual
[64]
서적
Lewis (2003)
[65]
서적
Lewis (2003)
[66]
서적
Lewis (2003)
[67]
서적
Daftary 1998
[68]
서적
A History of Secret Societies
https://archive.org/[...]
Citadel Press
[69]
서적
Daftary, 2007
[70]
서적
Daftary 1998
[71]
서적
Samarkand
Interlink Publishing Group
[72]
서적
The Assassins – Holy Killers of Islam
Crucible
[73]
서적
[74]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76]
서적
[77]
서적
The Ismaili Assassins: A History of Medieval Murder
https://books.google[...]
Pen and Sword
2020-10-19
[78]
서적
[79]
서적
The Assassins: A Radical Sect in Islam
https://books.google[...]
Phoenix
2010-09-15
[80]
서적
[81]
서적
The Secret Order of Assassins: The Struggle of the Early Assassins Ismâʻîlîs Against the Islamic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09-15
[82]
서적
[83]
웹사이트
The Travels of Marco Polo, the Venetian
http://public-librar[...]
2023-10-03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Alamut and Lamasar: two mediaeval Ismaili strongholds in Iran, an archaeological study
https://books.google[...]
Ismaili Society
2010-09-15
[87]
서적
The Most Noble and Famous Travels of Marco Polo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문서
Stuttgart und Tübingen
1818
[95]
문서
London
1835
[96]
웹사이트
Hardcore Gaming 101: Exile / XZR
http://www.hardcoreg[...]
Hardcore Gaming 101
2009-04-11
[97]
웹사이트
Sunsoft scores Telenet Japan franchises
http://www.neoseeker[...]
2009-12-10
[9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Assassin's Creed by IGN
http://www.ign.com/a[...]
2011-11-12
[99]
웹사이트
"Marco Polo" Hashshashin (TV Episode 2014) – Plot Summary
https://www.imdb.com[...]
2018-07-21
[100]
서적
The walking drum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1984
[101]
웹사이트
The real history of game of thrones the faceless men
https://www.denofgee[...]
2018-06-29
[102]
웹사이트
Uyanış Büyük Selçuklu dizisi oyuncuları ve karakterleri açıklandı! İşte Uyanış Büyük Selçuklu oyuncu kadrosu
https://www.cnnturk.[...]
2021-02-26
[103]
간행물
The Assassins
https://www.imdb.com[...]
Synergy, United Media Services
2024-03-11
[104]
웹인용
hashish - definition of hashish by the Free Online Dictionary, Thesaurus and Encyclopedia
http://www.thefreedi[...]
Thefreedictionary.com
2013-04-11
[105]
서적
낙원
도서출판 들녘
[106]
서적
앞의 책
[107]
서적
앞의 책
[108]
서적
앞의 책
[109]
서적
앞의 책
[110]
서적
앞의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