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타이 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이 제어는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간의 언어적 연관성을 가리키는 가설이다. 1730년 처음 언급된 이후, 1844년 '알타이어족' 용어가 사용되었고, 한국어와 일본어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확장되었다. 1960년대 이후 우랄-알타이어족 가설은 기각되었지만, 알타이 제어 가설은 여전히 논쟁 중이다. 알타이 제어는 교착어, 모음조화, SOV 어순 등의 특징을 공유하며, 어휘적 유사성도 제시된다.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등은 알타이 제어를 지지하며,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포함하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을 제안했다. 반면, 제라드 클로슨, 게르하르트 되르퍼 등은 알타이 제어가 언어 연합의 결과라고 주장하며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어는 알타이 제어와 관련하여 모음 조화와 기초 어휘의 대응 관계가 연구되고 있으며, 계통 문제는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타이 제어 -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었으나, 알타이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재는 주류 언어학계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 알타이 제어 - 오이라트어
    오이라트어는 러시아, 몽골, 중국의 오이라트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칼미크 공화국에서는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몽골과 중국에서는 몽골어 방언으로 취급되지만 독자적인 문어(토도 문자)를 유지하며 소멸 위기에 처해 지역별로 차이가 나타난다.
  • 북아시아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 북아시아 - 아시아 러시아
    아시아 러시아는 역사적으로 러시아의 아시아 지역을 지칭하는 용어이며, 러시아 제국과 소련 시기를 거쳐 현재는 러시아 연방 내 아시아 지역 또는 시베리아를 의미하는 등 다양한 정의로 사용된다.
  • 중앙아시아 -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공화국은 중앙아시아 내륙국으로 톈산 산맥 중심의 산악 지형이 대부분이며 여러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키르기스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유목민 전통의 문화를 지녔으나, 소련 붕괴 후 독립했음에도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적 어려움, 국경 분쟁, 권위주의적 성향 강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중앙아시아 - 시베리아
    우랄 산맥 동쪽에 위치한 시베리아는 러시아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다양한 유목 민족의 터전이었으나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어 자원 개발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러시아 연방의 일부로서 경제 성장과 함께 환경 문제, 민족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알타이 제어
개요
이름알타이 제어
영어 이름Altaic languages
다른 이름유라시아 횡단어족
언어 정보
사용 지역중앙아시아, 시베리아, 한반도, 일본
유형한때는 어족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언어연합이라는 견해가 우세함
하위 어족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한국어족 (포함될 경우)
일본어족 (포함될 경우)
아이누어 (드물게 포함될 경우)
ISO 639-2tut
ISO 639-5tut
지도 정보
알타이 제어 분포도
알타이 제어 분포도
지도 범례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한국어족 (포함될 경우)
일본어족 (포함될 경우)
아이누어 (드물게 포함될 경우)
이론 관련 정보
논쟁 여부매우 논쟁적임
지지 학자소수의 학자들이 활발히 지지하고 있음
반대 의견언어 접촉의 결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타당함
언어학적 특징
조어고대 알타이어족

2. 역사적 배경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한국어 간의 언어적 연관성에 대한 언급은 1730년 스웨덴 군 장교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의 책에서 처음 등장했다.[110] 니콜라스 포페는 이를 "알타이 제어에 속하는 많은 언어들을 분류하려 했던 최초의 시도"라고 평가했다.

1844년 핀란드 문헌학자 마티아스 카스트렌은 '알타이'[111]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핀우그리아어와 사모예드어를 포함하는 알타이 제어를 제안했는데, 이는 오늘날 우랄알타이어족에 해당한다.

이후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예프게니 폴리바노프는 한국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켰고, 로이 앤드류 밀러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12]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한국어족과 일본어족을 포함한 알타이 제어를 '트랜스유라시아어족'으로,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을 '알타이어파'로 칭한다.

2. 1. 알타이어족 가설의 기원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한국어 사이의 연관성은 1730년 스웨덴 군 장교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의 책에서 처음 언급되었다. 니콜라스 포페는 이를 "알타이 제어에 속하는 많은 언어들을 분류하려 했던 최초의 시도"라고 평가했다.[110]

중앙아시아 동부에 위치한 알타이 산맥은 제안된 어족의 명칭을 부여했다.


1844년, 핀란드 문헌학자 마티아스 카스트렌이 '알타이'[111]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그는 핀우그리아어와 사모예드어를 포함하는 알타이 제어를 제안했는데, 이는 오늘날 우랄알타이어족에 해당한다.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퉁구스어족, 몽골어족, 튀르크어족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이 알타이어족을 핀우그리아어족이나 사모예드어족 등 우랄어족과 함께 고려했다 (우랄-알타이어족 설). 그러나 러시아의 역사 언어학자인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이 이를 부정하면서, 현재는 이러한 견해는 기각되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와 예프게니 폴리바노프 등은 한국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켰다. 로이 앤드루 밀러는 한국어와 일본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112]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한국어족과 일본어족을 포함한 알타이 제어를 '트랜스유라시아어족' (Transeurasian languages)이라 칭하며 그 중 한국어족과 일본어족을 제외한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을 아울러 '알타이어파'(Altaic languages)라 칭한다.

1960년대 이후 우랄-알타이어족 가설은 기각되었지만, 알타이어족 가설은 여전히 논쟁 중이다.

2. 2. 한국어와 일본어의 포함 문제

람스테트와 폴리바노프는 1920년대에 한국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23] 로이 앤드루 밀러는 1971년에 일본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26][27] 그 이후로 "거대 알타이어"는 일반적으로 튀르크어, 몽골어, 퉁구스어, 한국어 및 일본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어 왔다.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2017년에 일본어와 한국어가 혼성 언어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녀는 원시 알타이어("트란스유라시아") 화자들이 랴오닝성으로 이주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계통 언어 사용자와 융합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9][30]

3. 주요 특징

알타이 제어 가설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알타이 제어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고 본다.


  • 교착어이다.
  • 모음조화가 있거나 과거에 있었다.
  • SOV 어순(주어-목적어-동사)을 가진다.
  • 두음법칙이 있어 어두에 특정 자음(/r/, /l/)이 쓰이지 않는다.
  • 부동사(converb)가 있다.
  • 모음교체, 자음교체가 없다.
  • 문법적 성이 없다.
  • 대개 유기음이 없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광의의 알타이어족에 포함되는 한국어족(한국어, 제주어)과 일본어족(일본어, 류큐어)도 과거에 모음조화와 같은 일부 특징을 공유했던 흔적이 있다.[83]

스타로스틴(Starostin) 등의 연구(2003)에 따른 자음 대응표는 다음과 같다.[89]

알타이어 조어튀르크 조어몽골 조어퉁구스 조어한국 조어일본 조어
0-¹, j-, ph-², j-, -b-, -h-², -bppp
t-, d-³, tt, tʃ4, -dttt
kk-, -k-, -ɡ-5, -ɡx-, k, xk, hk
pbb-6, h-², bp-, bpp
td-, tt, tʃ4d-, dʒ-7, tt, -r-t-, d-, t
kk-, k, ɡ8k-, ɡk-, ɡ-, ɡk-, -h-, -0-, -kk
bbb-, -h-, -b-9, -bbp, -b-p-, w, b10, p11
dj-, dd, dʒ4dt, -r-d-, t-, t, j
ɡɡɡ-, -h-, -ɡ-5, -ɡɡk, -h-, -0-k-, k, 012
tʃʰt
d-, tʃd-, dʒ-4, tʃs-, -dʒ-, -s-t-, -s-
jd-, j
sssss-, h-, ss
ʃs-, tʃ-13, ss-, tʃ-13, sʃss
zjssss
mb-, -m-mmmm
nj-, -n-nnnn
j-, nʲdʒ-, j, nn-, nʲ14m-, n, m
ŋ0-, j-, ŋ0-, j-, ɡ-15, n-16, ŋ, n, m, hŋn-, ŋ, 00-, n-, m-7, m, n
rrrrrr, t17
rrrr, t
lj-, ln-, l-, lln-, rn-, r
j-, lʲd-, dʒ-4, lln-, rn-, s
jjj, hjj, 0j, 0



그 외, 모음 대응표, 운율 대응표, 형태 대응표, 동근어표, 기초 어휘표도 만들어졌지만, 알타이 어족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은 아직 부족하다.

3. 1. 음운론적 특징

알타이 제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음운론적 특징을 공유한다.

스타로스틴(Starostin) 등의 연구(2003)에 따른 자음 대응표는 다음과 같다.[89]

알타이어 조어튀르크 조어몽골 조어퉁구스 조어한국 조어일본 조어
²²
³4
6, ²,
47
8
4
4
14
4


3. 2. 문법적 특징

알타이 제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문법적 특징을 공유한다.

  • 교착어이다.
  • 모음조화가 있거나 과거에 있었다.
  • SOV 어순, 즉 주어-목적어-동사어순을 가진다.
  • 두음법칙이 있어 어두에 특정 자음이 쓰이지 않는다. 유음 /r/, /l/로 시작되는 단어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부동사(副動詞, converb)가 있다.
  • 모음교체, 자음교체가 없다.
  • 문법적 성(gender)이 없다.
  • 대개 유기음이 없었다.[39]


G. 클로슨(G. Clauson, 1956), G. 되르퍼(G. Doerfer, 1963), A. 셰르바크(A. Shcherbak, 1963)에 따르면, 알타이 제어의 유형론적 특징인 강한 후첨 교착 형태와 주어-목적어-동사 (SOV) 어순은[55] 종종 여러 언어에서 함께 나타난다.[57][58][59]

스타로스틴(Starostin) 등의 연구(2003)에 따른 자음 대응표는 다음과 같다.[89]

알타이어 조어튀르크 조어몽골 조어퉁구스 조어한국 조어일본 조어
²²
³4
6, ²,
47
8
4
4
14
4


3. 3. 어휘적 특징

스타로스틴 등은 2003년 출판한 알타이어족 어원 사전에서 약 2,800개의 동원 어휘를 제시하고 있으며, 단순 차용어를 최대한 배제하면서 상세한 조어 재구를 시도하고 있다.[113] 스타로스틴은 1991년 논문에서 알타이어족의 조어가 매우 오래 전으로 소급하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각 하위 어족이 스와데시-야혼토프 목록 중 15–20%의 어휘만을 공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114] 알타이 어원 사전에서는 '눈', '귀', '목', '뼈', '피', '물', '돌', '해', '둘' 등의 기초 어휘를 공통 어원으로 제시하였다.

1991년, 스타로스틴은 제안된 알타이 어족 구성원들이 110 단어의 스워데시-야콘토프 목록에서 대략 15~20%의 공통 어휘를 공유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공유 비율은 다음과 같다.[49]

  • 튀르크어-몽골어: 20%
  • 튀르크어-퉁구스어: 18%
  • 튀르크어-한국어: 17%
  • 몽골어-퉁구스어: 22%
  • 몽골어-한국어: 16%
  • 퉁구스어-한국어: 21%


2003년의 ''어원 사전''에는 2,800개의 제안된 어족어 세트 목록과 더불어, 알타이조어 재구성에 대한 몇 가지 중요한 변경 사항이 포함되어 있다. 저자들은 튀르크어와 몽골어 사이, 그리고 몽골어와 퉁구스어 사이의 차용어를 공통 어휘와 구별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튀르크어와 퉁구스어에는 나타나지만 몽골어에는 나타나지 않는 단어들을 제시했다. 다섯 갈래 언어 사이의 다른 모든 조합도 이 책에 등장한다. '눈', '귀', '목', '뼈', '피', '물', '돌', '해', '둘'과 같은 항목을 포함하여 144개의 공유된 기본 어휘 항목을 나열한다.[50]

스타로스틴(Starostin) 등의 연구(2003)에 따른 자음 대응표는, 동 연구에서의 알타이어 조어의 내적 구성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89]

알타이어 조어튀르크 조어몽골 조어퉁구스 조어한국 조어일본 조어
| ², ², | | |
³, | 4, | | |
| | | |
| 6, ², | | |
| 4 | 7, | |
8 | | | |
| | | |
| 4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
| | | |
| | | |
| | | |
| | | |
| 4, | | |
| | | |



그 외, 모음 대응표, 운율 대응표, 형태 대응표, 동근어표, 기초 어휘표도 만들어졌으며, 각 표의 대응 관계를 살펴보면 각 여러 언어의 대응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그것은 알타이 어족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이 아직 되지 않는다.

4. 현대적 논쟁

알타이 제어 가설은 20세기 중반부터 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으며, 지지자와 비판자 간의 논쟁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1991년 비교 어휘 분석을 통해 알타이 어족 가설을 지지했지만, 이 어족이 인도유럽어족이나 핀-우그리아어족보다 오래되어 현대 언어에서 공통 요소가 적게 나타난다고 설명했다.[49] 로이 밀러는 알타이 가설을 옹호하며, 비판론자들의 주장은 어휘 대응에만 국한되며, 동사 형태론적 유사성이 이 이론의 강력한 증거라고 주장했다.[38][39] 2003년에는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안나 디보, 올레그 무드락이 어휘 목록을 확장하고 음운론적, 문법적 주장을 추가한 ''알타이 제어 어원 사전''을 출판했다.[50]

반면, 제라드 클로슨, 게르하르트 되르퍼, 오노 스스무 등은 알타이 제어 가설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57][58][59][37][56][40][41][42] 이들은 투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간의 유사성이 차용과 우연의 일치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알타이 제어를 트랜스유라시아어족으로 칭하고, 그 하위 분류로 알타이어파를 제안했다.[115] 로베이츠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의 초기 화자들이 만주 북서부의 농경민이었으며, 농경 관련 어휘의 공통 조어형을 재구하여 이를 뒷받침했다.[116] 이는 알타이어족이 중앙아시아 유목민에서 유래했다는 기존 가설과 상반된다.[117]

일부 학자들은 언어 연합 가설을 제시하여 알타이 제어 간의 유사성을 설명하기도 한다. 클로슨, 도르퍼, 셰르바크는 투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이 공통 조상이 아닌 오랜 접촉을 통해 언어 수렴 현상을 겪었다고 주장했다.[57][58][59] 아샤 페렐츠바이크는 몽골어와 튀르크어의 초기 기록 분석을 통해 이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유사해졌으며, 이는 언어 접촉의 결과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8][60]

4. 1. 지지자

펜티 알토, 안나 V. 디보, 칼 H. 멩게스, 로이 앤드루 밀러, 올레그 A. 무드락, 니콜라스 포페, 마르티너 로베이츠, 구스타프 욘 람스테트, 게오르기 스타로스틴,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존 C. 스트리트, 탈랏 테킨 등이 알타이 제어 가설을 지지한다. 이들은 주로 음운론적, 문법적, 형태론적 유사성을 강조한다.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1991년에 알타이 제어의 비교 어휘 분석을 발표했다. 그는 분석이 알타이 어족 구성을 뒷받침한다고 결론 내렸지만, 이는 "인도유럽어족이나 핀-우그리아어족과 같은 유라시아의 다른 언어족보다 오래되었으며, 이것이 현대 알타이어가 공통 요소를 거의 보존하지 못하는 이유"라고 말했다.[49]

1991년과 1996년에 로이 밀러는 알타이 가설을 옹호하며, 클로슨과 되르퍼의 비판은 어휘 대응에만 적용되며, 이 이론에 대한 가장 강력한 증거는 동사의 형태론적 유사성에 있다고 주장했다.[38][39]

2003년,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안나 디보와 올레그 무드락은 1991년의 어휘 목록을 확장하고 다른 음운론적, 문법적 주장을 추가한 ''알타이 제어 어원 사전''을 출판했다.[50]

마르티너 로베이츠는 (한국어족과 일본어족을 포함한) 알타이 제어를 '트랜스유라시아어족' (Transeurasian languages)이라 칭하며 그 중 한국어족과 일본어족을 제외한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을 아울러 '알타이어파'(Altaic languages)라 칭한다.

4. 2. 비판자

제라드 클로슨(1956, 1959, 1962), 게르하르트 되르퍼(1963, 1966, 1967, 1968, 1972, 1973, 1974, 1975, 1981, 1985, 1988, 1993), 오노 스스무(1970, 2000), 유하 얀후넨(1992, 1995), 클라우스 쇠니히(2003), 슈테판 게오르크(2004, 2005), 알렉산더 보빈(2005, 2010, 2017), 알렉산더 셰르바크, 알렉산더 B. M. 스티븐(2008, 2010)은 알타이 제어 가설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이다.[57][58][59][37][56][40][41][42] 이들은 투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이 공유하는 단어와 특징이 대부분 차용된 것이며, 나머지는 우연의 일치로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4. 3. 대안 가설

마르티너 로베이츠한국어족일본어족을 포함한 알타이 제어를 '트랜스유라시아어족'(Transeurasian languages)이라 칭하며 그 중 한국어족과 일본어족을 제외한 몽골어족, 튀르크어족, 퉁구스어족을 아울러 '알타이어파'(Altaic languages)라 칭한다.[115] 로베이츠 (2020)는 트랜스유라시아어족의 초기 화자 집단이 본래 만주 북서부 지역의 농경민이었고 유목 생활상은 나중에 획득하게 된 것이라고 주장하며, 농경에 관한 어휘들의 공통 조어형을 재구하여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116] 이는 알타이어족이 기원전 4천년 경의 중앙아시아의 유목민 집단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기존의 가설을 뒤집은 것이다.[117]

Robbeets와 Johanson (2010)은 "알타이어족"이라는 명칭을 "범유라시아어족"으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알타이어족"은 때때로 일본어족, 한국어족 및 기타 언어 또는 어족을 포함했지만 특정 저자에 한해서였던 반면, "범유라시아어족"은 항상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 일본어족 및 한국어족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48]

Robbeets와 Savelyev (2020)는 "알타이어족"을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으로만 구성된 "범유라시아어족"의 하위 그룹으로 구별하는 동시에 "범유라시아어족"을 "알타이어족"에 일본어족과 한국어족을 더한 것으로 유지하려는 노력을 했다.

클라슨, 도르퍼, 셰르바크는 (1956–1966) 공통 조상 대신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이 언어 연합을 형성한다고 제안했다. 이는 공통 조상 때문이 아니라 집중적인 차용과 오랜 접촉을 통한 언어 수렴으로 유사성을 띠게 된 언어 집합이다.[57][58][59]

아샤 페렐츠바이크는 2011년에 일반적으로 유전적으로 관련된 언어와 어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초기 형태가 현대 형태보다 더 유사하다고 관찰했다. 그러나 그녀는 몽골어와 튀르크어의 가장 오래된 기록 분석을 통해 그 반대가 나타났으며, 이는 이들이 추적 가능한 공통 조상을 공유하지 않고 언어 접촉과 지역적 효과를 통해 더욱 유사해졌음을 시사한다고 주장한다.[8][60]

5. 한국어와 알타이어족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등은 2003년 출판한 알타이어족 어원 사전에서 약 2,800개의 동원 어휘를 제시했다. 여기에는 '눈', '귀', '목', '뼈', '피', '물', '돌', '해', '둘' 등 기초 어휘가 포함되어 있으며,[113][50] 이들은 알타이어족 언어 간의 공통 조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

스타로스틴은 1991년 논문에서 알타이어족 조어가 매우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오늘날 각 하위 어족은 스와데시-야혼토프 목록 중 15–20%의 어휘만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114] 그는 110개 단어 목록에서 튀르크어-한국어는 17%, 몽골어-한국어는 16%, 퉁구스어-한국어는 21%의 공통 어휘 비율을 가진다고 제시했다.[49]

비교 대상공통 어휘 비율
튀르크어-몽골어20%
튀르크어-퉁구스어18%
튀르크어-한국어17%
몽골어-퉁구스어22%
몽골어-한국어16%
퉁구스어-한국어21%



한국어의 계통은 여전히 논쟁 중이다. 알타이 제어 가설, 고립어 가설, 다른 어족과의 연관 가설 등이 제시되고 있다. 1920년대에 G.J. 람스테트와 E.D. 폴리바노프는 한국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킬 것을 주장했다.[23] 1960년, 니콜라스 포페는 한국어가 튀르크어-몽골어-퉁구스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고 보았다.[16]

많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가 튀르크어, 몽골어, 퉁구스어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50] 2017년, 마틴 로베츠는 한국어가 혼성 언어로 시작되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29][30]

스타로스틴의 어휘 비교 분석에 따르면, 잠재적인 유사 관계를 가진 동근어가 15%에서 20%의 비율로 대응 관계가 인정되었다. 그는 알타이어가 인도유럽어족이나 핀 우고르어파와 같은 다른 유라시아 어족보다 오래되었으며, 이것이 후대의 알타이어 간의 대응 관계가 적은 것을 설명한다고 결론지었다.

2003년, 클라우스 쉐니히(Claus Schönig)는 알타이어가 발생적·유전적 관계에서 공통되는 기초 어휘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했다. 스타로스틴을 대표로 하는 사전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88]의 편찬 과정에서 여러 연구자들이 2800개의 동근어 집단을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했지만, 다른 연구자와의 사이에서 논의가 지속 중이다.

5. 1. 한국어의 기초 어휘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등이 2003년 출판한 알타이어족 어원 사전에는 약 2,800개의 동원 어휘가 제시되어 있으며, 이 중에는 '눈', '귀', '목', '뼈', '피', '물', '돌', '해', '둘' 등의 기초 어휘가 포함되어 있다.[113][50] 이러한 어휘들은 알타이어족 언어 간의 공통 조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

스타로스틴은 1991년 논문에서 알타이어족의 조어가 매우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오늘날 각 하위 어족은 스와데시-야혼토프 목록 중 15–20%의 어휘만을 공유한다고 주장했다.[114] 그는 110개 단어 목록에서 튀르크어-한국어는 17%, 몽골어-한국어는 16%, 퉁구스어-한국어는 21%의 공통 어휘 비율을 가진다고 제시했다.[49]

비교 대상공통 어휘 비율
튀르크어-몽골어20%
튀르크어-퉁구스어18%
튀르크어-한국어17%
몽골어-퉁구스어22%
몽골어-한국어16%
퉁구스어-한국어21%


5. 2. 한국어의 계통 문제

한국어의 계통은 여전히 논쟁 중이다. 알타이 제어 가설, 고립어 가설, 다른 어족과의 연관 가설 등이 제시되고 있다.

1920년대에 G.J. 람스테트와 E.D. 폴리바노프는 한국어를 알타이어족에 포함시킬 것을 주장했다.[23] 1960년, 니콜라스 포페는 한국어가 튀르크어-몽골어-퉁구스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고 보았다.[16] 그의 견해에 따르면 세 가지 가능성이 있었는데, (1) 한국어는 다른 세 언어와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지만 알타이어 기층의 영향을 받았다, (2) 한국어는 다른 세 언어가 서로 관련된 것과 같은 수준으로 관련되어 있다, (3) 한국어는 다른 세 언어가 일련의 특징적인 변화를 겪기 전에 갈라져 나왔다는 것이다.

많은 언어학자들은 한국어가 튀르크어, 몽골어, 퉁구스어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에 대해 이의를 제기한다.[50]

2017년, 마틴 로베츠는 한국어가 혼성 언어로 시작되었다고 제안했다. 그녀는 튀르크어, 몽골어 및 퉁구스어의 조상 언어의 원향이 북서부 만주 어딘가에 위치해 있었고, 이들 원시 알타이어("트란스유라시아") 화자 집단이 남쪽으로 현대 랴오닝성으로 이주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대부분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유사한 언어를 사용하는 농업 공동체에 동화되었다고 보았다. 이 두 언어의 융합은 원시 한국어를 낳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9][30]

세르게이 아나톨리예비치 스타로스틴(Sergei Anatolyevich Starostin)의 어휘 비교 분석에 따르면, 잠재적인 유사 관계를 가진 동근어가 15%에서 20%의 비율로 대응 관계가 인정되었다.

튀르크어몽골어퉁구스어
튀르크어-20%18%
몽골어-22%
퉁구스어-
한국어17%16%21%



스타로스틴은 알타이어가 인도유럽어족이나 핀 우고르어파와 같은 다른 유라시아 어족보다 오래되었으며, 이것이 후대의 알타이어 간의 대응 관계가 적은 것을 설명한다고 결론지었다.

2003년, 클라우스 쉐니히(Claus Schönig)는 알타이어가 발생적·유전적 관계에서 공통되는 기초 어휘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했다.

스타로스틴을 대표로 하는 사전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88]의 편찬 과정에서 안나 V. 디보(Anna V. Dybo), 올레크 A. 무드라크(Oleg A. Mudrak), 일리야 그런토프(Ilya Gruntov), 마르틴 로베츠(Martine Robbeets) 등의 연구에서는 2800개의 동근어 집단을 추출하여, 이 동근어 집단을 기초로 음운적 대응 관계, 문법적 대응 관계, 알타이 조어의 내적 재구를 시도했지만, 다른 연구자와의 사이에서 논의가 지속 중이다.

참조

[1] 서적 The Uralic Languages Routledge
[2] 논문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3] 서적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Edinburgh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Altaic Languages https://oxfordre.com[...] 2016
[5] 서적 Transeurasian Linguistics Routledge 2016-09-30
[6] 서적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University of Utah Press 2007
[7] 서적 Linguistic Diversity in Space and Time Chicago University Press 1992
[8]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9] 간행물 Altaic Languages https://oxfordre.com[...] 2023-07-11
[10] 서적 The Rise and Fall of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11] 논문 Review of Robbeets, Martine (2015):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www.academia[...]
[12] 논문 Turkish Linguists against the West: The Origins of Linguistic Nationalism in Atatürk's Turkey http://www.jstor.org[...] Taylor & Francis, Ltd. 2023-07-11
[13] 문서 Early contacts of Turks and problems of Proto-Turkic reconstruction. 2012
[14] 문서 About the names of Chanyu family and branch tribes of Xiongnu. 2018
[15]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Transeurasian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6] 서적 Introduction to Altaic Linguistics. Otto Harrassowitz, Wiesbaden 1965
[17] 문서 "The truth about Strahlenberg's classification of the languages of Northeastern Eurasia." 1997
[18] 문서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https://web.archive.[...] Taylor & Francis 2008
[19] 웹사이트 Browse by Language Family http://www.ethnologu[...] Ethnologue 2013-06-18
[20]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2009
[21] 논문 The Role of Paradigmatic Morphology in Historical, Areal and Genealogical Linguistics: Thoughts and Observations in the Margin of Paradigm Change. In the Transeurasian languages and Beyond https://brill.com/vi[...] 2017-05-19
[22] 서적 Nihongo: In Defence of Japanese. 1986
[23] 서적 Einführung in die altaische Sprachwissenschaft 1952
[24] 서적 Vergleichende Grammatik der altaischen Sprachen. Teil I. Vergleichende Lautlehre Otto Harrassowitz, Wiesbaden 1960
[25] 문서 "Genetic connections among the Altaic languages." 1991
[26] 논문 "Review of Karl H. Menges, ''Altajische Studien II. Japanisch und Altajisch'' (1975)" https://www.jstor.or[...] 1976
[27] 서적 Japanese and the Other Altaic Languag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1
[28] 문서 "Summary report of the Altaic panel." Mouton de Gruyter, Berlin 1990
[29] 논문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2017
[30] 서적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Mouton de Gruyter 2015
[31] 논문 Altaicization and De-Altaicization of Japonic and Koreanic https://www.research[...] 2020-08
[32] 논문 "Review of N. Poppe, ''Vergleichende Grammatik der altaischen Sprachen, Teil I'' (1960)" 1962
[33] 학위논문 The genetic relationship of the Ainu language University of Hawaii 1978
[34] 서적 The Genetic Relationship of the Ainu Languag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2
[35] 서적 Indo-European and Its Closest Relatives: The Eurasiatic Language Famil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0–2002
[36] 서적 Language Isolates Routledge
[37] 서적 Grundwort und Sprachmischung: Eine Untersuchung an Hand von Körperteilbezeichnungen. Franz Steiner
[38] 문서
[39] 서적 Languages and History: Japanese, Korean and Altaic. Institute for Comparative Research in Human Culture
[40] 간행물 "[Review of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 (2003)]"
[41] 간행물 "[http://www.ingentaconnect.com/content/jbp/dia/2005/00000022/00000002/art00009?token=005418488f488b387e2a46762c47655d76702a252c2a766c7b673f7b2f267738703375686f4997755709 Reply (to Starostin response, 2005)]"
[42] 간행물 "The end of the Altaic controversy" [review of Starostin et al. (2003)]
[43] 간행물 "[http://www.ingentaconnect.com/content/jbp/dia/2005/00000022/00000002/art00008?token=00541ba51aae7dd8d6c573d257025255c232b465340514d3874747c4e7547543c7e386f642f466fad2e3 Response to Stefan Georg's review of the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
[44] 웹사이트 "[http://www.phil.muni.cz/linguistica/art/blazek/bla-004.pdf Current progress in Altaic etymology.]" 2006-01-30
[45] 간행물 "How the actional suffix chain connects Japanese to Altaic."
[46] 간행물 "[http://starling.rinet.ru/Texts/compmeth.pdf In defense of the comparative method, or the end of the Vovin controversy.]" RSUH Publishers, Moscow
[47] 서적 "The high and low spirits of Transeurasian language studies"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Wiesbaden
[48] 서적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49] 서적 Altajskaja problema i proisxoždenie japonskogo jazyka Nauka, Moscow
[50]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
[51] 간행물 "[https://pure.mpg.de/pubman/item/item_2630213_5/component/file_2630221/shh1046.pdf?mode=download Bayesian phylolinguistics reveal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anseurasian family]"
[52] 웹사이트 "[https://www.shh.mpg.de/1025823/transeurasian-bayesian Structure of Transeurasian language family revealed by computational linguistic methods]" https://web.archive.[...]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2018-12-22
[53] 간행물 Triangulation supports agricultural spread of the Transeurasian languages 2021
[54] 간행물 Permutation test applied to lexical reconstructions partially supports the Altaic linguistic macrofamily 2021
[55] 서적 "The suffixing preference" MIT Press
[56] 서적 "Turko-Mongolic Relations." Routledge
[57] 간행물 "[http://altaica.ru/LIBRARY/CLAUSON/Clauson_against.pdf The case against the Altaic theory]"
[58] 서적 "Bemerkungen zur Verwandtschaft der sog. altaische Sprachen" Franz Steiner, Wiesbaden
[59] 문서
[60] 간행물 The Unity and Diversity of Altaic https://www.annualre[...] 2023-01-17
[61] 문서
[62] 웹사이트 "[http://www.spekali.tsu.ge/index.php/en/article/viewArticle/2/16 The Homeland Problem of Indo-European Language-Speaking Peoples]" 2010
[63] 문서
[64] 웹사이트 NE Indian languages and the origin of Sino-Tibetan https://www.rogerble[...] 2021-10-28
[65] 문서 Munda languages are father tongues, but Japanese and Korean are not.
[66] 서적 Transeurasian Verbal Morphology in a Comparative Perspective: Genealogy, Contact, Chance. https://books.google[...]
[67] 간행물 "Das Japanische in vergleichender Sicht"
[68] 문서
[69] 간행물 "Accent, Liquids, and the Search for a Common Origin for Korean and Japanese" American Association of Teachers of Japanese
[70] 서적 The Origin of the Indo-Iranians https://books.google[...] Brill
[71] 서적 Afrasian Languages. Nauka, Moscow.
[72] 문서
[73] 학술지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https://www.cambridg[...] 1999-03
[74] 서적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University of Utah Press
[75] 서적 Linguistic Diversity in Space and Time Chicago
[76] 서적 The Rise and Fall of Languages Cambridge
[77]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78] 간행물 The Japanese inflectional paradigm in a Trans-Eurasian perspective. https://www.research[...] Benjamins
[79] 문서 アレキサンダー・ヴォヴィン
[80] 문서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Taylor & Francis
[81] 웹사이트 Turks, Kalmyks http://starling.rine[...]
[82] 문서
[83] 문서
[84] 서적 日本語 歴史と構造 三省堂
[85] 간행물 The language of the Transeurasian farmers https://library.oape[...] Benjamins
[86] 간행물 The Transeurasian homeland: where, what and when?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87] 학술지 Bayesian phylolinguistics reveal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anseurasian family. https://academic.oup[...]
[88] 문서
[89] 문서
[90] 문서 日本語系統論の現在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Kōjien
[97] 문서
[98]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99] 학술지 Telling general linguists about Altaic
[100] 서적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https://archive.org/[...] Edinburgh University Press
[101] 웹인용 Altaic Languages https://oxfordre.com[...] 2016
[102] 서적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University of Utah Press
[103] 서적 Linguistic Diversity in Space and Time Chicago University Press
[10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5]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저널 Review of Robbeets, Martine (2015):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www.academia[...]
[107] 저널 New Trends in European Studies on the Altaic Problem 2020-03
[108] 서적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books.google[...] De Gruyter Mouton
[109] 문서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In; Sanchez-Mazas, Blench, Ross, Lin & Pejros eds. ''Human migrations in continental East Asia and Taiwan: genetic,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evidence.'' 2008. Taylor & Francis.
[110] 문서 Poppe 1965:125
[111] 문서 알타이산맥에서 유래함
[112] 문서 Poppe 1976:470
[11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Altaic Languages
[114] 서적 Altajskaja problema i proisxoždenie japonskogo jazyka Nauka, Moscow
[115] 간행물 Bayesian phylolinguistics reveal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ranseurasian family https://pure.mpg.de/[...]
[116] 서적 The Transeurasian homeland: where, what, and when?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117] 뉴스 "한국어, 9000년전 中 동북부 요하서 유래했다" 새 학설 - 동아사이언스 https://m.dongasci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