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타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이어는 알타이 산맥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터키어족 내에서 분류가 논쟁의 대상이다. 북부와 남부 방언군으로 나뉘며, 남부 알타이어를 기반으로 표준어가 제정되었다. 러시아어와 함께 알타이 공화국의 공용어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알타이어는 교착어이며, SOV 어순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타이어 -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
    알타이 공화국의 국가는 알타이어와 러시아어로 된 가사로 구성된 알타이 공화국의 공식 국가이다.
  • 알타이 문화 - 크므즈
    크므즈는 튀르크어에서 유래된 말젖 발효 음료로, 젖산균과 효모의 작용으로 산성화와 알코올 생성이 일어나며, 전통적으로 유르트에서 발효하여 결핵, 소화기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알타이 문화 - 부즈
    부즈는 다진 양고기나 쇠고기를 주재료로 하여 양파와 마늘로 맛을 낸 몽골의 찐만두로, 차강사르에 즐겨 먹으며 니슬린 샐러드, 수테 차이, 보드카 등과 함께 곁들여 먹는다.
  • 시베리아의 언어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시베리아의 언어 - 하카스어
    하카스어는 튀르크어족 남시베리아어군에 속하며 러시아 하카스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예니세이 키르기스에서 기원하여 모음 조화 현상과 SOV 어순,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며 사가이 방언과 하스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어가 사용된다.
알타이어
언어 정보
이름알타이어
자기 이름알타이 틸리
사용 국가러시아(알타이 공화국), 몽골, 중국
사용 지역시베리아 고르노알타이 산맥
사용자 수약 71,600명
민족알타이인
문자키릴 문자
언어 계통튀르크어족, 시베리아 튀르크어파
공용어 지정 국가알타이 공화국(러시아)
표준어없음
ISO 639-1없음
ISO 639-2alt
ISO 639-3alt
GlottologAlta1276 (코드 폐기)
하위 언어
구분북부 방언
구분남부 방언
지리적 분포
알타이어 지도
알타이어 종류 지도
사용 국가러시아
사용 지역알타이 공화국, 알타이 지방, 케메로보주
사용자 정보
민족알타이인(첼칸인, 텔레지트인, 투발라르인 포함)
총 사용자 수남부 알타이어와 북부 알타이어 사용자 합계 125,700명
언어학적 분류
어족튀르크어족
하위 어족공통 튀르크어족
하위 어파시베리아 튀르크어군/킵차크어군
세부 분류남부 시베리아/키르기스-킵차크어군
언어 코드
ISO 639-2alt
ISO 639-3atv (북부 알타이어)
alt (남부 알타이어)

2. 분류

알타이어는 알타이 산맥의 고립된 위치와 주변 언어와의 접촉으로 인해 튀르크어족 내에서 그 분류가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쇼르어, 하카스어와 지리적으로 가까워 일부에서는 북부 튀르크어 하위 그룹으로 분류하기도 한다.[4]

키르기스어와 유사성 때문에 킵차크어군과 함께 킵차크-키르기스 하위 그룹으로 묶이기도 하며, 이는 튀르크어족에 속한다.[5][6] 탈라트 테킨은 남부 알타이어를 튀르크어 내 자체 하위 그룹으로, 북부 알타이어 방언을 하부 출림어 및 쇼르어의 콘도마 방언과 함께 분류한다.[7]

2. 1. 종류

전통적으로는 하나의 언어로 간주되었지만, 남부 알타이어는 북부 알타이어 방언과 완전히 상호 이해가 되지 않는다. 현대적 분류에 따르면, 적어도 20세기 중반 이후로 이들은 두 개의 별개의 언어로 간주된다.[8]

문어체 알타이어는 남부 알타이어를 기반으로 하며, 북부 알타이어 아이들은 이를 거부한다. 2006년에는 알타이 지방에서 사용하기 위해 북부 알타이어의 쿠만딘어 방언을 위한 키릴 문자가 만들어졌다.[9]

드미트리가 남부 알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알타이어는 크게 북부 방언군과 남부 방언군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5]

북부 방언군남부 방언군


  • '''남부 알타이어'''[5]
  • * 알타이 본토
  • ** 마이마
  • * 텔렝기트어
  • ** 톨로스
  • ** 추이
  • * 텔레우트어
  • '''북부 알타이어'''[5]
  • * 투바어
  • * 쿠만딘어
  • ** 투라착
  • ** 솔톤
  • ** 스타로바르디니안
  • * 첼칸어 (쿠우, 레베딘이라고도 함)


북부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는 콘도마 쇼르어와 하부 칠림어인데, 이들은 원시 튀르크어의 모음 사이 *d*에 대해 -j-를 가지고 있는 반면, 므라스 쇼르어와 중부 칠림어는 -z-를 가지고 있어 하카스어에 더 가깝다.

알타이 공화국의 표준어는 이 중 남부 방언군의 알타이-키지 방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3. 공용어 지위

러시아어와 함께 알타이어는 알타이 공화국의 공용어이다. 공용어는 알타이-키지라고 불리는 집단이 사용하는 남부 알타이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최근 몇 년 동안 북부 알타이 공화국으로도 확산되었다.

4. 음운

다음은 북알타이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튀르크어 동어선의 결과와 관련된 특징이다.[10][11][12]


  • */ag/ — 원시 튀르크어 */ag/는 북알타이어 전역에서 /u/, /aw/, /aʁ/의 세 가지 변이형으로 나타난다.
  • */eb/ — 원시 튀르크어 */eb/는 방언에 따라 /yj/ 또는 /yg/로 나타난다.
  • */VdV/ — 몇몇 어휘적 예외(차용일 가능성)를 제외하고, 원시 튀르크어 모음 사이의 */d/는 /j/가 된다.


알타이어의 음운은 방언에 따라 다르다.

4. 1. 자음

알타이어의 자음 음소
순음치경음경구개 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mncolspan="2" |colspan="2" |ŋ
파열음pbtdcolspan="2" |cɟkɡ
파찰음colspan="2" |colspan="2" |colspan="2" |colspan="2" |
마찰음colspan="2" |szʃʒxɣ
접근음colspan="2" |lcolspan="2" |jcolspan="2" |
R음colspan="2" |ɾ~rcolspan="2" |colspan="2" |colspan="2" |



유성 경구개 파열음 /ɟ/는 방언에 따라, 특히 어두에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유성 파찰음 /d͡z/로 인식될 수 있다. "아니오"라는 단어 ''јок''의 형태로는 [coq] (쿠 방언)과 [joq] (쿠만디 방언)이 있다. 심지어 방언 내에서도 이 음소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13][14][15]

4. 2. 모음

알타이어에는 8개의 모음이 있다. 이 모음은 장모음 또는 단모음일 수 있다.

알타이어의 모음 음소
colspan="2" rowspan="2" |전설 모음후설 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폐쇄비원순 모음itrtrɯtrɯːtr
원순 모음ytrtrutrtr
비원순 모음etrtratrtr
원순 모음øtrøːtrotrtr



모음 문자
대문자소문자전사 예
(로마자 표기와
가나에 의한 유사음)
Ааa
Ееä
Ооo
Ӧӧö
Ууu
Ӱӱü
Ыыy
Ииi



알타이어의 모음 체계의 기본이 되는 단모음 음소는 8개이다.

장모음을 표기하기 위한 전용 문자는 없으며, 모음 문자를 두 개 겹쳐서 나타낸다. 이중 모음은 없고, 반모음 й||이tut을 동반한 아이 aй||아이tut, 에이 eй||에이tut 등이 있다.

모음 조화는 а||아tut, ы||으tut, о||오tut, у||우tut의 4개의 후설 모음과 е||에tut, и||이tut, ӧ||외tut, ӱ||위tut의 4개의 전설 모음이다.

5. 문자

알타이어는 1928년부터 1938년까지 로마자를 사용했지만, 1938년부터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알타이어의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33글자에 더해 Јј, Ҥҥ, Ӧӧ, Ӱӱ 4개의 문자가 추가되었다.[16]

5. 1. 선교사의 키릴 문자

알타이어의 첫 번째 표기 체계는 1840년대 알타이 정신 선교단의 선교사들이 텔레우트 방언을 기반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발명했으며, 주로 교회 간행물에 사용되었다.[16] 얼마 지나지 않아 알타이어로 된 첫 책이 인쇄되었고, 1868년에는 첫 번째 알타이 알파벳이 출판되었다. 이 알파벳은 안정적인 형태가 없었으며, 판마다 달랐다.

이 문자들의 일부 목록은 다음과 같다.

АаБбГгДдJjЕеЖжЗзIiЙй
КкЛлМмНнҤҥOoӦӧПпРрСс
ТтУуӰӱЧчШшЫы


5. 2. 1922-1928년 키릴 문자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1921년에 알타이어로 서적 출판이 재개되었으며,[17] 선교사 알파벳과 유사한 문자를 사용했다. 이때, 러시아어 단어를 더 잘 표기하기 위해 많은 혁명 후 문자들이 채택되었다. 해당 문자는 다음과 같다(비 러시아 문자 굵게 표시):

АаБбВвГгДдЈјЕеЖжЗзИи
ЙйКкЛлМмНнҤҥОоӦӧПпРр
СсТтУуӰӱФфХхЦцЧчШшЩщ
ЪъЫыЬьЭэЮюЯя



같은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몽골 문자를 알타이어 표기에 사용하는 것을 고려했다.[18]

5. 3. 1928-1938년 로마자

1928년부터 1938년까지 로마자를 썼다.[19] 라틴 문자는 1922년부터 1938년까지 사용되었다. 1931년에 출판된 최종 버전은 다음과 같다.[19]

ÇçDdEeFfGgIiJj
KkLlMmNnŅņOoƟɵPpRrSs
ŞşTtUuVvXxYyZzƵƶЬь



라틴 문자는 현대 키릴 문자에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20]

라틴 (1922–1938)현대 키릴 문자 (1944년 이후)
CЧ
ÇЈ
JЙ
ņҥ
ƟӦ
ŞШ
YӰ
ƵЖ
ЬЫ


5. 4. 1938-1944년 키릴 문자

1928년부터 1938년까지는 로마자를 썼으나, 1938년 이후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1938년, '소련 민족 언어 및 문학 연구소'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알타이어를 위한 새로운 알파벳 디자인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새로운 알파벳은 33개의 모든 러시아 문자와 더불어, 음소 /d͡ʒ/와 /ŋ/를 각각 나타내는 이중 자모 '''Дь дь''' 및 문자 '''Ҥҥ'''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알파벳은 알타이어의 모든 음운 목록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없었기 때문에 나중에 거부되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 연구소의 첫 번째 수정된 알파벳은 알타이어의 모음 /ø~œ/와 /y/를 위해 Ёё와 Юю 자소를 사용하지 않았고, 두 개의 이중 자모와 두 개의 문자를 추가했다. /d͡ʒ/를 위한 '''Дь дь''', /ŋ/를 위한 '''Нъ нъ''', /ø~œ/를 위한 '''Ӧӧ''', 그리고 /y/를 위한 '''Ӱӱ'''였다. 그러나 두 번째 수정에서는 Нъ нъ가 '''Ҥҥ'''로 대체되었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알파벳이 만들어졌다.

АаБбВвГгДдДь дьЕеЁёЖжЗз
ИиЙйКкЛлМмНнНъ нъ, ҤҥОоӦӧПп
РрСсТтУуӰӱФфХхЦцЧчШш
ЩщЪъЫыЬьЭэЮюЯя



알타이어 사용자는 첫 번째 변형을 받아들였지만, 일반적으로 Ҥҥ보다 '''Н' н''''을 선호했다.

АаБбВвГгДдДь дьЕеЁёЖжЗз
ИиЙйКкЛлМмНн''Н н''''ОоӦӧПп
РрСсТтУуФфХхЦцЧчШш
ЩщЪъЫыЬьЭэЮюЯя



문어는 19세기 후반부터 존재했지만, 1928년로마자를 채용한 정자법이 정해졌고, 그 후 1938년키릴 문자로 개정되었다. 또한 알타이어의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33글자에 Ј, Ӧ, Ÿ, Ӱ 4글자가 추가되었다.

5. 5. 현대 표준 알타이어 알파벳

1928년부터 1938년까지는 로마자를 썼으나, 1938년 이후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알타이어의 두 번째 키릴 문자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었고, 1944년에 개혁이 이루어졌다. Ёёru 및 Ююru의 사용은 완전히 중단되었고, 대신 '''Ӧӧalt''' 및 '''Ӱӱalt'''의 사용이 채택되었다. Дь дьalt는 '''Јјalt'''를 선호하여 중단되었고, Н' н'alt에 대해서는 마침내 '''Ҥҥalt'''을 받아들였다.

Ёёru, Ююru, Яяru 문자는 여전히 사용되지만, 비토착 러시아 차용어에만 사용하도록 제한되었다. 따라서 현대 표준 알타이어에서 해당 소리는 토착어에 대해 '''йаalt''', '''йоalt''' 및 '''йуalt'''로 표기된다. 그래서 каяalt '절벽, 바위'와 коёнalt '토끼'로 표기되던 단어는 이제 각각 '''кайаalt'''와 '''койонalt'''으로 표기된다.

에르에스
에프ъ
ь



문어는 19세기 후반부터 존재했지만, 1928년로마자를 채용한 정자법이 정해졌고, 그 후 1938년키릴 문자로 개정되었다. 또한 알타이어의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 러시아어에서 사용되는 33글자에 더해 Јtut, Ӧtut, Ÿtut, Ӱtut 4글자가 추가되었다.

6. 문법

알타이 어족SOV(주어-목적어-동사) 어순, 교착어적 특징, 모음조화 현상 등 일본어와 매우 유사한 유형을 보인다. 문법 관계는 명사의 이나 동사의 활용을 나타내는 접미사어간 말에 부착시켜 나타낸다. 접미사는 6종으로, 주격 (접미사는 없음), 대격 (~을 : -ni/-nytut), 속격 (~의 : -ning/-nyngtut), 여격 (~에, ~에게 : -ga/-getut), 위격 (~에서 : -da/-detut), 탈격 (~으로부터 : -dang/-dengtut)이 있다.

6. 1. 대명사

알타이어에는 6개의 인칭 대명사가 있다.

표준/남부 방언의 인칭 대명사
단수복수
1인칭мен|men|나altбис|bis|우리alt
2인칭сен|sen|너 (단수)altслер|sler|당신들 (복수, 존칭)alt
3인칭ол|ol|그/그녀/그것altолор|olor|그들alt



대명사의 활용은 다음 표에 요약되어 있다.

표준/남부 방언의 대명사 활용
주격мен|menaltсен|senaltол|olaltбис|bisaltслер|sleraltолор|oloralt
대격мени|menialtсени|senialtоны|onyaltбисти|bistialtслерди|slerdialtолорды|olordyalt
소유격мениҥ|meniŋaltсениҥ|seniŋaltоныҥ|onyŋaltбистиҥ|bistiŋaltслердиҥ|slerdiŋaltолордыҥ|olordyŋalt
여격меге|megealtсеге|segealtого|ogoaltбиске|biskealtслерге|slergealtолорго|olorgoalt
처격менде|mendealtсенде|sendealtондо|ondoaltбисте|bistealtслерде|slerdealtолордо|olordoalt
탈격менеҥ|meneŋaltсенеҥ|seneŋaltоноҥ|onoŋaltбистеҥ|bisteŋaltслердеҥ|slerdeŋaltолордоҥ|olordoŋalt
도구격мениле|menilealtсениле|senilealtоныла|onylaaltбисле|bislealtслерле|slerlealtолорло|olorloalt



다양한 방언의 대명사는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쿠만딘 방언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21]

쿠만딘 방언의 인칭 대명사
단수복수
1인칭мен|men|나altпис|pis|우리alt
2인칭сен|sen|너 (단수)altснер|sner|당신들 (복수, 존칭)alt
3인칭ол|ol|그/그녀/그것altанар|anar|그들alt


참조

[1] 웹사이트 Southern Altai https://www.ethnolog[...]
[2] 웹사이트 Northern Altai https://www.ethnolog[...]
[3] 서적 The Turkic Languages Routledge
[4] 웹사이트 Northern Turkic https://www.ethnolog[...]
[5] 논문 La Classification des Dialectes de la Langue Turque d'Altaï
[6] 백과사전 Алтайский язык https://bigenc.ru/li[...] 2021-07-28
[7] 논문 A New Classification of the Chuvash-Turkic Languages https://dergipark.or[...] 1989-01
[8] 서적 Алтайский язык Nauka
[9] 웹사이트 В Алтайском крае издана азбука кумандинского языка http://www.indigenou[...] 2006
[10] 서적 Диалект Черневых Татар (Туба-Кижи): грамматический очерк и словарь. Наука
[11] 서적 Диалект Кумандинцев (Куманды-Кижи): грамматический очерк, тексты, переводы и словарь. Наука
[12] 서적 Диалект Лебединских Татар-Чалканцев (Куу-Кижи) Наука
[13] 서적 A History of Afghanistan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4] 서적 A History of Afghanistan Издательство «Наука»
[15] 서적 Алтайский язык.
[16] 문서 V. N. Tadikin. Orthography of the Altai language (in Russian)
[17] 웹사이트 Basic Dates of Altai Book History https://web.archive.[...]
[18] 문서 М.S. Katashev. National-language construction in the Mountainous Altai in the 1920s–1930s: Experience, History, Problems.
[19] 문서 А. Тыбыкова. Об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и и унификация алфавита алтайского языка (рус.)
[20] 서적 Ойротско-русский словарь ОГИЗ
[21] 서적 Горно-Алтайская типография
[22] 웹사이트 Иисус Христостыҥ ада-ӧбӧкӧлӧри https://ibt.org.ru/r[...] 2024-08-18
[23] 서적 The Turkic Languages Routledge
[24] 웹사이트 Northern Turkic https://www.ethnolog[...]
[25] 논문 La Classification des Dialectes de la Langue Turque d'Altaï
[26] 백과사전 Алтайский язык https://bigenc.ru/li[...] 2023-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