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에스페란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페란티도는 에스페란토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파생 인공어를 통칭한다. 1888년 문돌린코를 시작으로 안티도, 이도, 굴절 없는 에스페란토, 고(古) 에스페란토 등 여러 에스페란티도가 존재하며, 언어 개혁 시도와 유희를 위한 변형도 이루어졌다. 각 에스페란티도는 에스페란토의 문법, 어휘, 철자 등을 변형하여 독자적인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에스페란티도는 문학 작품에서 방언, 속어, 고어의 역할을 하거나, 기계 번역, 특정 목적에 맞게 적용하려는 프로젝트에 활용되기도 한다.

2. 파생어

에스페란토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여러 인공어들을 에스페란티도라고 한다. 대표적인 에스페란티도로는 네오, 안티도, 이도, 굴절 없는 에스페란토, 고 에스페란토 등이 있다. 이도는 에스페란토의 여러 결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언어로, 에스페란티도 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2. 1. 네오(Neo)

아르투로 알판다리가 에스페란토, 이도, 인테르링구아, 노비알을 합쳐 만든 인공어이다.

2. 2. 안티도(Antido)

1907년 르네 드 소쉬르이도에 항의할 목적으로 만든 에스페란티도이다.[1] 굴절 없는 에스페란토는 대격, 복수, 관사 어미 등을 제거하여 좀 더 단순화한 에스페란토이다.[1]

2. 3. 이도(Ido)

'''이도'''는 에스페란티도 중에서 가장 알려진 인공어이다. 수페르시그노(ĝ, ĵ, ŭ, ĉ, ŝ)를 제거하고, 유럽 언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대격을 제거하는 등 7년간의 연구 끝에 에스페란토의 여러 가지 결점을 보완한 언어이다.

이도 (1907)는 에스페란티도의 주요 언어로서, 프랑스어, 영어, 이탈리아어에 대한 친숙성을 바탕으로 이상적인 언어에 대한 서유럽의 기대를 에스페란토와 더 가깝게 일치시키고자 했다. 개혁은 다음을 포함했다. 철자법 변경은 ''ĉ''와 같은 변음 부호를 제거하고 k/q 철자 구분을 재도입했으며, 몇 가지 더 모호한 음소 대비를 제거했다(그 중 하나인 ĥ|/x/eo는 표준 에스페란토에서 사실상 제거되었다). 이탈리아어처럼 부정사는 ''-r''로, 복수는 ''-i''로 끝맺으며, 형용사 일치를 제거하고 고정된 기본 어순을 설정하여 목적격의 필요성을 없앴으며, 어휘에 내재된 성별의 양을 줄여 남성 접미사와 양성 3인칭 단수 대명사를 제공했으며, 대명사와 상관어를 로망스어군과 더 유사한 형태로 대체했으며, 에스페란토가 반의어 접두사 ''mal-''을 사용하는 곳에 새로운 어근을 추가했으며, 서구인들이 기억하기 쉽다고 여겨지는 에스페란토의 다른 정규 파생어를 별도의 어근으로 대체했으며, 영어에서 파생된 ''ŝipo'' 대신 ''navo''와 같이 게르만어와 슬라브어 어휘의 상당 부분을 로망스어 형태로 대체했다.

2. 4. 굴절 없는 에스페란토

대격, 복수, 관사 어미 등을 제거하여 좀 더 단순화한 에스페란티도이다.[5][6][7][8] 1996년 리처드 해리슨(Richard Harrison)이 제안했으며, 아시아 에스페란티스트들의 오랜 불만 사항을 바탕으로 한 에스페란토의 형태론적으로 축소된 변형에 대한 실험적이고 미완성된 제안이다.[9]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10][11]

  • 복수 접미사 -j의 손실 (새로운 복수 정관사 ''laj'' (''la jo''의 약자)와 복수 대격 전치사 ''naj''는 제외). 단수는 ''unu'' 또는 ''la''로 표시하고, 복수는 새로운 단어 ''jo''와 ''laj'' (''la jo'') (그리고 아마도 ''naj'')로 표시한다.
  • 대격 (접미사 -n)을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이나 다른 어순을 위한 새로운 전치사 ''na''로 대체
  • 동사 시제의 손실: 과거, 현재, 미래는 모두 동사 원형 어미 -i로 통합되지만, 명령형, 조건형, 단일 능동 및 수동 분사 (''-anta'' 및 ''-ita'')는 유지된다.
  • 연결사 플러스 형용사에서 동사로의 전환. (예: ''boni'' 대신 ''esti bona.'') 이 사용법은 표준 에스페란토에도 존재한다.[12]


초기 버전에서는 문자 ''ŭ''가 ''w''로 대체되었지만, 최신 버전에서는 일반 에스페란토와 동일한 알파벳을 사용한다.[5]

2. 5. 고(古) 에스페란토

고 에스페란토는 에스페란토를 마치 고어처럼 보이도록 만든 변형된 에스페란토이다.

3. 언어 개혁 시도

에스페란토를 대체하거나 개선하려는 여러 시도가 있었다. 리즘(riism)과 같이 에스페란토 틀 내에서 제한적인 개선을 제안하는 경우는 에스페란티도(Esperantido)로 간주하지 않는다.[1]

다음은 몇 가지 문자 대체 제안이다.


  • 'c', 'ŭ', 'j'에 대해 영어와 프랑스어에서 사용되는 'ts', 'w', 'y'를 사용하고, 'ĵ' 및 'ĝ'에 대해 영어 'zh' 및 'j' 또는 프랑스어 'j' 및 'dj'를 사용한다.
  • 스페인어국제 음성 기호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ĥ'에 대해 'X'를 사용한다. 다른 제안에서는 드물게 사용되는 문자 'ĥ'를 완전히 제거하고, 'x'를 'ks' 및 'kz'로 사용한다.
  • 'kv'에 대해 'Qu'를 사용한다.
  • 마찰음에는 단일 문자를, 파찰음에는 이중 문자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제안에서 'j'와 'dj'는 'ĵ'와 'ĝ'( 및 )를 대신한다. 'ŝ'와 'ĉ'( 및 )의 경우, 'ŝ'에 대해 'c' 또는 'x'를 사용하고, 'ĉ'에 대해 'tc' 또는 'tx'를 사용하는 두 가지 주요 접근 방식이 있다. 'c, tc' 접근 방식은 프랑스어 'ch, tch'와 유사하며, 'x, tx' 접근 방식은 바스크어, 카탈루냐어, 포르투갈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형태의 템플릿은 제거하였다.

3. 1. 1894년 에스페란토 개혁안

제거됨

자멘호프는 1894년에 언어에 대한 몇 가지 변경 사항을 제안했지만, 에스페란토 커뮤니티에서 거부되어 자멘호프가 스스로 포기했다.

4. 주요 에스페란티도

아르투로 알판다리가 에스페란토, 이도, 인테르링구아, 노비알을 합쳐 만든 인공어인 '''네오'''(Neo)와, 1907년 르네 드 소쉬르이도에 항의할 목적으로 만든 에스페란티도인 '''안티도(Antido)'''가 있다.

'''이도'''는 에스페란티도 중에서 가장 알려진 인공어이다. 수페르시그노(ĝ, ĵ, ŭ, ĉ, ŝ)를 제거하고, 유럽 언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대격을 제거하는 등 7년간의 연구 끝에 에스페란토의 여러 가지 결점을 보완하였다.

'''Universal''' (1923–1928)은 자음군을 분리하기 위해 슈와를 추가하고, 비음 모음으로 대격를 표시하며, 포괄칭 및 배타칭 대명사를 사용하고, 복수를 위해 부분적인 반복을 사용하며 (''tablo'' "table", ''tatablo'' "tables"), 반의어에 대한 전위(inversion)를 사용한다. (''mega'' "big", ''gema'' "little"; ''donu'' "give", ''nodu'' "receive"; ''tela'' "far", ''leta'' "near").

''에스페란트''(circa|1998)는 에스페란토의 문법을 완전히 위반하지 않으면서 비트는 말하기 방식이다.

4. 1. 문돌린코(Mundolinco)

'''문돌린코'''는 1888년에 만들어진 최초의 에스페란티도이다. 에스페란토와 비교하여 형용사와 부사를 접미사 ''-e''로 결합하고, 목적격 및 형용사 일치 규칙을 없앴으며, 동사 활용을 변경하고, 분음 부호를 제거했으며, 어휘를 라틴어에 더 가깝게 만들었다. 예를 들어, 에스페란토의 입자 ''plej'' "가장"을 대신하여 최상급 ''-osim-''을 사용했다.

4. 2. 소쉬르(Saussure)

페르디낭 드 소쉬르(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형제)는 1907년 이도에 대한 답변으로 시작하여 이후 '안티도 1'(Antido 1)으로 불린 수많은 에스페란티도 제안을 발표했는데, 이는 1937년 좀 더 보수적인 에스페란토 II로 마무리되기 전까지 에스페란토와 점점 더 멀어져 갔다. 에스페란토 II는 'j'를 'y'로, 'kv'를 'qu'로, 'kz'를 'x'로, 그리고 발음 구별 기호를 'j' (''ĵ'' 및 ''ĝ''), 'w' (''ŭ'') 및 이중 자음 'sh' (''ŝ''), 'ch' (''ĉ'')로 대체했다. 수동태 '-iĝ-'를 '-ev-'로, 불확정 어미 '-aŭ'를 부사 '-e'로, 명사의 대격 '-on'을 '-u'로, 명사의 복수형을 '-n'으로(예: "회원"을 의미하는 'membrojn' 대신 'membrun') 대체했다. 형용사 일치 규칙을 폐지하고, 일치표를 분리하고, 'kaj' "그리고"와 같은 다른 작은 문법적 단어를 'ey'로 변경했으며, 대명사를 명사와 유사하게 취급하여, 'li' "그"의 복수형은 'ili' "그들"이 아닌 'lin'이고, 'ĝi' "그것"의 대격은 'ju'가 되도록 했다.

4. 3. 로마니초(Romániço)

로망스어 어휘만 사용하는 에스페란티도이다. 이름은 "로망스어로"를 의미하는 형용사인 라틴어 단어 ''romanice''에서 유래되었다.[2] 인테르링구아와 달리, 현대 로망스어의 단어 형태를 직접 사용하므로 철자가 대부분 라틴어와 유사하다.[3] 에스페란토의 모든 비로망스어 어휘와 일부 문법을 로망스어 구조로 대체하고, 다소 불규칙한 철자를 허용하며, 격, 형용사 일치, 시제와 법을 위한 동사 굴절, 고유 성(性)과 같이 비판받는 일부 요소를 제거하지만, 품사를 위한 ''o, a, e'' 접미사와 교착어 형태론을 유지한다. 또한, Romániço는 이중자 ''çh''(''ĉ''), ''kh''(''ĥ''), ''sh''(''ŝ''), ''th''(에스페란토에 해당 없음; 무성 치 마찰음 θ|무성 치 마찰음영어 또는 기식된 무성 치경 파열음 tʰ|무성 치경 파열음영어을 나타냄)를 사용한다.[4]

4. 4.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Esperanto sen Fleksio)

'''굴절 없는 에스페란토'''는 대격, 복수, 관사 어미 등을 제거하여 좀 더 단순화한 에스페란토이다.

참고: 라티노 생 플렉시오네

''에스페란토 센 플렉시오''(굴절 없는 에스페란토)는 1996년 리처드 해리슨(Richard Harrison)이 제안한 것으로,[5][6][7][8] 아시아 에스페란티스트들의 오랜 불만 사항을 바탕으로 한 에스페란토의 형태론적 축소 실험 제안이다.[9]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10][11]

  • 복수 접미사 -j의 손실 (새로운 복수 정관사 ''laj'' (''la jo''의 약자)와 복수 대격 전치사 ''naj'' 제외). 단수는 ''unu'' 또는 ''la''로, 복수는 ''jo'', ''laj'' (''la jo''), ''naj''로 표시한다.
  • 대격 (접미사 -n)을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이나 다른 어순을 위한 전치사 ''na''로 대체.
  • 동사 시제의 손실: 과거, 현재, 미래는 모두 동사 원형 어미 -i로 통합. 명령법, 조건법, 분사 (''-anta'', ''-ita'')는 유지.
  • 연결사+형용사 → 동사 전환 (예: ''boni'' 대신 ''esti bona''). 이 용법은 표준 에스페란토에도 존재한다.[12]


초기 버전은 ''ŭ''를 ''w''로 대체했지만, 최신 버전은 일반 에스페란토와 동일한 알파벳을 사용한다.[5]

4. 5. 폴리에스포(Poliespo)

폴리에스포(Poliespo)는 대부분의 에스페란티도가 에스페란토를 단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반면, 에스페란토를 상당히 더 복잡하게 만든 형태이다. 다합성 형태 외에도 체로키어의 음운론과 어휘의 많은 부분을 통합한다. 14개의 모음(그중 6개는 비음 모음)과 3개의 성조를 가지고 있다.[1]

5. 유희를 위한 에스페란티도

주로 재미를 위해 만들어진 에스페란토 파생어들이 있다.


  • '''유니버설(Universal)'''(1923–1928):[13] 자음군을 분리하기 위해 슈와를 추가하고, 비음 모음으로 대격을 표시하며, 포괄칭 및 배타칭 대명사를 사용하고, 복수를 위해 부분적인 반복을 사용하며, 반의어에 대한 전위(inversion)를 사용한다.
  • '''에스페란트'(Esperant')''' (circa|시르카eo 1998):[14] 에스페란토의 문법을 완전히 위반하지 않으면서 비트는 말하기 방식이다. 형태론적 변화가 있는데, 명사 어미 '-o'를 제거하고, 복수 어미 '-oj'는 집합 접미사 '-ar-'로 대체하며, 형용사는 '-a' 어미를 잃고 머리 명사와 결합한다.

5. 1. 유니버설(Universal)

문법적으로 더 독창적인 에스페란티도 중 하나는 ''Universal''(1923–1928)이다.[13] 이 언어는 자음군을 분리하기 위해 슈와를 추가하고, 비음 모음으로 대격을 표시하며, 포괄칭 및 배타칭 대명사를 사용하고, 복수를 위해 부분적인 반복을 사용하며 (''tablo'' "table", ''tatablo'' "tables"), 반의어에 대한 전위(inversion)를 사용한다. (''mega'' "big", ''gema'' "little"; ''donu'' "give", ''nodu'' "receive"; ''tela'' "far", ''leta'' "near"). 전위의 예는 다음과 같다.

:''Al gefinu o fargu kaj la egnifu o grafu.''

:그는 읽기를 마쳤고 [''직역하면'' 읽기 위해] 그녀는 쓰기 시작했다.

반의어는 ''al'' "그" 와 ''la'' "그녀" (''li'' "그/그녀"와 비교), ''ge-'' (완료) 및 ''eg-'' (시작) 상, ''fin-'' "끝내다" 및 ''nif-'' "시작하다", 그리고 ''graf-'' "쓰다" 및 ''farg-'' "읽다" 이다.

''Universal''의 반복 복수와 전위된 반의어는 음악 언어 솔레솔을 연상시킨다.

5. 2. 에스페란트'(Esperant')

Esperant'|에스페란트eo (circa|시르카eo 1998)[14]에스페란토의 문법을 완전히 위반하지 않으면서 비트는 말하기 방식이다.

변화는 형태론적이다.

  • 명사 어미 '-o'가 제거된다. 이는 시에서와 같다. ''Knabo''는 ''knab'''이 된다.
  • 복수 어미 '-oj'는 집합 접미사 '-ar-'로 대체된다. ''Knaboj''는 ''knabar'''가 된다.
  • 형용사는 '-a' 어미를 잃고 머리 명사와 결합한다. ''Bela knabino''는 ''belknabin'''이 된다.
  • 직접 목적어에서 대격 어미 '-n'은 전치사 ''je''로 대체된다. ''Knabon''은 ''je knab'''이 된다.
  • 동사는 명사가 되고, 이전 시제 및 법 어미는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 '''이것은 부사 또는 전치사구일 수 있다.''' ''donu hodiaŭ''는 ''hodiaŭu don',''이 되고, ''estas en la ĉielo''는 ''est' ĉielas.''가 된다.
  • '''동사가 가치 접미사를 포함하는 경우, 이것은 동사에서 분리될 수 있다.''' ''fariĝu''는 ''iĝu far'''가 된다.
  • '''이러한 옵션이 없으면 ''jen''이 자리 표시자로 사용될 수 있다.''' ''amas''는 ''jenas am'''이 된다. 시제 어미가 어디로 끝나는지는 대체로 스타일 선택이다.
  • 이전 동사의 주어는 명사일 경우 전치사 ''de''를 취하거나, 대명사일 경우 소유격이 된다. ''knabo amas''는 ''am' de knab',''가 되고, ''kiu estas''는 ''kies est'''가 된다.
  • 관사 ''la''는 앞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면 ''l''가 된다.


예시:

: 소년들은 예쁜 소녀를 사랑한다.

: 에스페란토: Knaboj amas la belan knabinon.

: 에스페란트: Jenas am' de knabar' je l' belknabin'.

문자 그대로 "소년들의 그룹의 사랑이 그 예쁜 소녀에게 있다."

아래의 에스페란트 ''주기도문''을 참조하라.

6. 에스페란토의 특수화

에스페란토는 특정 목적에 맞게 적용하려는 다양한 프로젝트가 있다.[1] 그중 하나로 DLT 에스페란토(1983)가 있는데, 이는 기계 번역을 위한 피벗 언어로 에스페란토를 적용한 것이다.

6. 1. DLT 에스페란토

기계 번역을 위한 피벗 언어로 에스페란토를 적용한 것이다.

7. 문학에서의 에스페란티도 활용

에스페란토는 속어, 방언적 변이, 고어가 거의 없다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여러 작가들은 문학 작품에서 다양한 효과를 내거나, 특정 국가 문학의 언어적 변이를 번역하기 위해 이러한 요소들이 필요하다고 느꼈다.[1]

7. 1. 방언

때때로, 에스페란토 작가들은 표준 에스페란토와 이도를 사용하여 이탈리아어의 두 방언으로 쓰인 연극을 번역하는 등, 개혁 프로젝트가 방언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사용해 왔다.[1]

7. 2. 라 소시올렉타 트리오포(La Sociolekta Triopo)

할벨릭(Halvelik) (1973)은 사회언어학적 방언 역할을 하는 에스페란토의 하위 레지스터인 Popido|포피도eo( "대중적인 관용어" )를 만들었다. 포피도는 다른 특징들 중에서도 에스페란토의 굴절 체계를 많이 없앴다. 예를 들어 표준 에스페란토는 다음과 같다.

:''Redonu al tiu viro lian pafilon.''

:"저 남자에게 그의 총을 돌려줘."

포피도에서는 다음과 같다.

:''Redonu al tu vir la pistol.''

:("la"는 "lia"에 해당하는 Popido의 표현이며, Popido의 정관사는 "lo"이다.)

1969년에 할벨릭은 중세 영어, 중고 독일어 등과 같은 역할을 하는 고대 에스페란토를 라 소시올렉타 트리오포(La Sociolekta Triopo)의 파트 I으로 출판했다.

속어가 이 삼합체를 완성하는데, 이것은 Gavaro|가바로eo라고 불린다.

7. 3. 고어체와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토(Arcaicam Esperantom)

원시 에스페란토는 이론적으로 고어체의 필요성을 충족시킬 수 있지만, 광범위하게 사용하기에는 생존한 자료가 너무 적다. 하지만 헤랄두 마토스는 몇 개의 소네트를 만들었다.[15]

어휘의 여러 항목들이 고어체로 변했다.[15]

1931년 칼만 칼로차이는 헝가리어 최초의 텍스트(12세기)인 장례 설교와 기도문을 번역하여, 에스페란토가 속라틴어에서 파생된 로망스어인 것처럼 허구의 고어 형태를 만들었다.

마누엘 할벨릭은 1969년에 에 관한 책으로 더 나아갔다. 처음에 그는 도입된 고어체의 문제를 연구하고, 앙드레 셰르필로가 1743년 프랑스어 변비를 다룬 논문을 비표준 철자 q|ㅋeo, w|ㅜeo, x|ㅋㅅeo, ſ|ㅅeo를 사용하여 번역한 것,[17] 오토 하스프라의 악센트와 겹자음을 사용한 La Enfermita Reĝedzino|라 엔페르미타 레제지노eo 번역과 같은 이전 시도를 언급했다.[17]

마지막으로, 그는 현대 에스페란토의 허구적 조상의 문법을 제시했다. 이는 여격과 및 로 끝나는 소유격을 포함하는 더 복잡한 일련의 굴절, 인칭과 수를 위한 별도의 동사 굴절, 및 와 같은 이중자음의 "유지", 를 사용하여 를 나타내고, 문자 , , , 를 사용하는 등 원시 에스페란토를 반영한다.

8. 에스페란토, 인터나시아, 이도, 에스페란트', 아르카이캄 에스페란토 비교

이도는 에스페란티도 중에서 가장 알려진 인공어이다. 수페르시그노(ĝ, ĵ, ŭ, ĉ, ŝ)를 제거하고, 유럽 언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대격을 제거하는 등 7년간의 연구 끝에 에스페란토의 여러 가지 결점을 보완한 언어이다.

에스페란토의 주기도는 다음과 같으며, Internasia, 이도, ''Esperant

'' 및 ''Arcaicam Esperantom'' 버전과 비교된다.

에스페란토Internasia이도''EsperantArcaicam Esperantom


참조

[1] 웹사이트 The Spelling of Esperanto http://www.spellings[...] 1987
[2] 웹사이트 About Romániço http://www.romaniczo[...] 2021-10-27
[3] 서적 Daughters of Esperanto https://books.google[...] Lincom Europa
[4] 웹사이트 Romániço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www.romaniczo[...] 2021-10-27
[5] 웹사이트 Esperanto sen fleksio http://www.herezono.[...] 2013-12-29
[6] 웹사이트 Some Internet resources relating to constructed languages http://www2.cmp.uea.[...] Richard Kennaway 2005-01-07
[7] Webarchive Esperanto sen Fleksio http://www.allverbs.[...] Allverbs 2008-03-31
[8] Webarchive МОВЫ СВЕТУ http://languages.mie[...] Languages of the world 2013-12-30
[9] 서적 Daughters of Esperanto Lincom
[10] 웹사이트 Esperanto sen Fleksio http://www.rickharri[...] 2004
[11] 웹사이트 Esperanto sen Fleksio http://jerome.desqui[...] 2004-11-25
[12] 웹사이트 Evolution Is Proof of Life http://claudepiron.f[...] 2023-03-08
[13] 문서 Universal http://www.math.bas.[...]
[14] 웹사이트 Lernu je Esperant' http://www.meeuw.org[...] Meeuw.org 1999-05-17
[15] 웹사이트 Plena Ilustrita Vortaro de Esperanto 2020 https://vortaro.net/[...] 2020
[16] 뉴스 "Elektronika Bulteno de EASL" https://www.angelfir[...]
[17] 서적 Arkaika Esperanto http://www.universal[...]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