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연륙교는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를 의미하며, 섬과 섬을 잇는 연도교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연륙교는 법률, 언론, 일반인 사이에서 연륙교와 연도교의 용어가 혼용되는 경향이 있어 정확한 용어 사용이 요구된다. 주요 연륙교로는 부산의 가덕대교, 인천의 영종대교, 경기의 강화대교 등이 있으며, 전국적으로 다양한 연륙교가 건설되어 섬 지역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연도교'''(連島橋)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연륙교와 개념상 구분되지만, 연륙교나 방조제로 육지와 연결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는 결국 육지와 섬을 이어주는 기능을 하므로 넓은 의미에서 연륙교에 포함된다.[1]
연륙교는 [열륙꾜]라고 발음하는 것이 올바르다. 일부 방송 매체에서 [연뉵꾜]라고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2]
2. 연륙교와 연도교의 개념
대한민국의 연도교는 여수시 거문도의 거문대교, 제주시 추자도의 추자대교, 옹진군의 신도, 시도, 모도를 연결하는 신시연도교·시모연도교, 군산시 고군산군도의 고군산대교 개통 전 옛 선유교·장자교 등을 제외하면 대개 광의의 연륙교에 속한다.[1]
2. 1. 연륙교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이다.[1] 섬과 섬을 연결하는 다리는 연도교라고 부르지만, 연륙교나 방조제로 육지와 연결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는 결국 육지와 섬을 이어주는 기능을 하므로 넓은 의미에서 연륙교에 포함된다.[1]
여수시 거문도의 거문대교, 제주시 추자도의 추자대교, 옹진군의 신도, 시도, 모도를 연결하는 신시연도교·시모연도교, 군산시 고군산군도의 고군산대교 개통 전 옛 선유교·장자교 등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연도교는 대개 광의의 연륙교에 속한다.[1]
2. 2. 연도교
섬과 섬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연륙교와는 구분되지만, 연륙교나 방조제로 연결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는 결국 육지와 섬을 이어주므로 넓은 의미에서 연륙교에 포함된다.
대한민국의 연도교는 여수시 거문도의 거문대교, 제주시 추자도의 추자대교, 옹진군의 신도, 시도, 모도를 연결하는 신시연도교·시모연도교, 군산시 고군산군도의 고군산대교 개통 전 옛 선유교·장자교 등을 제외하면 대개 광의의 연륙교에 속한다.
2. 3. 한국에서의 연륙교와 연도교
법률, 언론, 일반인들은 연륙교와 연도교를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고 혼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섬과 섬을 연결하는 다리는 연도교, 육지와 섬을 연결하는 다리는 연륙교로 개념상 구분된다. 여수시 거문도의 거문대교, 제주시 추자도의 추자대교, 옹진군의 신도, 시도, 모도를 연결하는 신시연도교·시모연도교, 군산시 고군산군도의 고군산대교 개통 전 옛 선유교·장자교 등을 제외한 대한민국의 연도교는 대개 광의의 연륙교에 속한다. 이는 방조제나 연륙교로 인해 이미 육지와 연결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는 결국 육지와 섬을 이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용어 혼용은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용어 사용이 필요하다.
3. 연륙교의 발음
3. 1. 표준발음법 해설
'연륙교'는 육지와 잇는다는 뜻의 '''연륙'''(連陸)과 다리를 뜻하는 '''교'''(橋)를 합친 말이므로, '연륜', '인륜', '난로', '신라'처럼 [열륙꾜]라고 말하는 것이 올바른 발음이다.(표준발음법 제5장 제20항[1])
3. 2. 언론 보도 사례
문화방송의 강재형 아나운서는 방송 매체의 일부 앵커나 기자들이 연륙교를 [연뉵꾜]라고 잘못 발음하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2]
4. 대한민국의 주요 연륙교
대한민국의 주요 연륙교는 다음과 같다.
지역 | 교량 이름 | 위치 | 길이 | 개통일 | 비고 | |
---|---|---|---|---|---|---|
부산 | 가덕대교 | 강서구 눌차동 ~ 송정동 | 960m | 2010년 12월 14일 | ||
남항대교 | 서구 암남동 ~ 영도구 영선동4가 | 2008년 7월 9일 | PCT 거더 공법 | |||
부산대교 | 중구 중앙동7가 ~ 영도구 봉래동1가 | 694m | 1980년 1월 30일 | 타이드 아치 공법 | ||
부산항대교 | 영도구 청학동 ~ 남구 감만동 | 2014년 5월 22일 | 사장교 | |||
영도대교 | 중구 남포동1가 ~ 영도구 대교동1가 | 214.8m | 2013년 11월 27일 | 두개교[1] | ||
인천 | 영종대교 | 서구 원창동 ~ 중구 운북동 | 2000년 11월 21일 | 현수교, 트러스교, 강합성상자형교 | ||
영흥대교 | 옹진군 영흥면 내리 ~ 선재리 | 1.25km | 2001년 11월 15일 | 사장교 | ||
인천대교 | 연수구 송도동 ~ 중구 운남동 | 2009년 10월 19일 | 사장교 | |||
교동대교 | 강화군 교동면 봉소리 ~ 양사면 인화리 | 2.11km | 2014년 7월 1일 | 사장교 | ||
석모대교 | 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 내가면 황청리 | 1.41km | 2017년 6월 28일 | FCM 공법 | ||
인천 | 경기 | 강화대교 | 강화군 강화읍 갑곳리 ~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 | | ||
선재대교 |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 ~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 550m | 2000년 11월 17일 | |||
강화초지대교 |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 1200m | 2002년 8월 28일 | 아치교 | ||
충남 | 안면연륙교 |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 남면 신온리 | 208m | 1970년 12월 10일 | 거더교 | |
안면대교 |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 ~ 남면 신온리 | |||||
전북 | 고군산대교 |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리 ~ 신시도리 | 400m | 2016년 7월 5일 | 새만금 방조제에서부터 신시교, 고군산대교, 무녀교, 선유교, 장자교 순으로 연결 | |
전남 | 거금대교 | 고흥군 금산면 신촌리 ~ 도양읍 소록리 | 2028m | 2011년 12월 16일 | ||
거북선대교 |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 종화동 | |||||
고금대교 | 완도군 고금면 가교리 ~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 | |||||
김대중대교 | 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 2013년 12월 27일 | ||||
나로1대교 |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 동일면 덕흥리 | |||||
나로2대교 | 고흥군 봉래면 신금리 ~ 동일면 봉영리 | |||||
돌산대교 | 여수시 남산동 ~ 돌산읍 우두리 | 450m | ||||
목포대교 | 목포시 달동 ~ 죽교동 | 3.06km | 2012년 6월 29일 | |||
백야대교 |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 화양면 안포리 | 325m | 2005년 4월 14일 | |||
천사대교 | 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 미개통 | ||||
서남문대교 | 신안군 도초면 발매리 ~ 비금면 수대리 | |||||
소록대교 | 고흥군 도양읍 소록리 ~ 봉암리 | 1160m | 2009년 3월 2일 | |||
신안1교 | 신안군 안좌면 마진리 ~ 팔금면 장촌리 | |||||
신지대교 |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 신지면 송곡리 | |||||
압해대교 | 신안군 압해읍 신장리 ~ 목포시 대양동 | 2008년 5월 22일 | ||||
약산연도교 |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 ~ 약산면 우두리 | |||||
완도대교 |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 2012년 3월 29일 | 달도 ~ 완도 연륙교 | |||
은암대교 | 신안군 암태면 오상리 ~ 자은면 유각리 | |||||
중앙대교 | 신안군 팔금면 원산리 ~ 암태면 와촌리 | |||||
증도대교 | 신안군 증도면 증동리 ~ 지도읍 탄동리 | |||||
지도대교 | 신안군 지도읍 탄동리 ~ 읍내리 | |||||
회진대교 | 장흥군 회진면 대리 ~ 회진면 노력리 노력도 | |||||
진도대교 |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 |||||
경남 | 거제대교 |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 1971년 4월 8일 | |||
남해대교 |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 660m | 1973년 6월 22일 | |||
늑도대교 | 사천시 늑도동 | 늑도 ~ 초양도 연륙교 | ||||
삼천포대교 | 사천시 대방동 | 모개도 ~ 사천시 연륙교 | ||||
창선교 | 남해군 삼동면 지족리 ~ 창선면 지족리 | |||||
창선대교 |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 사천시 늑도동 | |||||
초양대교 | 사천시 늑도동 ~ 대방동 | |||||
거가대교 |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 ~ 부산 강서구 천성동 | 3.5km | 2010년 12월 13일 |
4. 1. 부산광역시
교량 이름 | 위치 | 길이 | 개통일 | 비고 |
---|---|---|---|---|
가덕대교 | 강서구 눌차동 ~ 송정동 | 960m | 2010년 12월 14일 | |
남항대교 | 서구 암남동 ~ 영도구 영선동4가 | 2008년 7월 9일 | PCT 거더 공법 | |
부산대교 | 중구 중앙동7가 ~ 영도구 봉래동1가 | 694m | 1980년 1월 30일 | 타이드 아치 공법 |
부산항대교 | 영도구 청학동 ~ 남구 감만동 | 2014년 5월 22일 | 사장교 | |
영도대교 | 중구 남포동1가 ~ 영도구 대교동1가 | 214.8m | 2013년 11월 27일 | 두개교[1] |
4. 2. 인천광역시
교량 이름 | 위치 | 길이 | 개통일 | 비고 |
---|---|---|---|---|
영종대교 | 서구 원창동 ~ 중구 운북동 | 2000년 11월 21일 | 현수교, 트러스교, 강합성상자형교 | |
영흥대교 | 옹진군 영흥면 내리 ~ 선재리 | 1.25km | 2001년 11월 15일 | 사장교 |
인천대교 | 연수구 송도동 ~ 중구 운남동 | 2009년 10월 19일 | 사장교 | |
교동대교 | 강화군 교동면 봉소리 ~ 양사면 인화리 | 2.11km | 2014년 7월 1일 | 사장교 |
석모대교 | 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 내가면 황청리 | 1.41km | 2017년 6월 28일 | FCM 공법 |
4. 3. 경기도 (인천광역시 관할 섬 포함)
교량 이름 | 위치 | 길이 | 개통일 | 비고 |
---|---|---|---|---|
강화대교 | 강화군 강화읍 갑곳리 ~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 | | ||
선재대교 | 옹진군 영흥면 선재리 ~ 안산시 단원구 대부남동 | 550m | 2000. 11. 17. | |
강화초지대교 | 강화군 길상면 초지리 ~ 김포시 대곶면 약암리 | 1200m | 2002. 8. 28. | 아치교 |
영종대교 |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 중구 운북동 | 2000. 11. 21. | 현수교, 트러스교, 강합성상자형교 | |
영흥대교 |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내리 ~ 선재리 | 1.25km | 2001. 11. 15. | 사장교 |
인천대교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 중구 운남동 | 2009. 10. 19. | 사장교 | |
교동대교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봉소리 ~ 양사면 인화리 | 2.11km | 2014. 7. 1. | 사장교 |
석모대교 | 인천광역시 강화군 삼산면 석모리 ~ 내가면 황청리 | 1.41km | 2017. 6. 28. | FCM 공법 |
4. 4. 충청남도
安眠聯陸橋|안면연륙교중국어는 1970년 12월 10일에 개통되었으며,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와 남면 신온리를 연결하는 총길이 208m의 거더교이다.[1] 안면대교는 태안군 안면읍 창기리와 남면 신온리를 연결하는 다리이다.[1]
4. 5. 전라북도
고군산대교는 군산시 옥도면 무녀도리와 신시도리를 잇는 다리이다. 길이는 400m이다. 2016년 7월 5일에 개통되었다. 새만금 방조제에서부터 신시교, 고군산대교, 무녀교, 선유교, 장자교 순으로 연결된다.4. 6. 전라남도
교량 이름 | 위치 | 길이 | 개통일 | 비고 |
---|---|---|---|---|
거금대교 | 고흥군 금산면 신촌리 ~ 도양읍 소록리 | 2028m | 2011. 12. 16. | |
거북선대교 |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 ~ 종화동 | | | ||
고금대교 | 완도군 고금면 가교리 ~ 강진군 마량면 마량리 | | | ||
김대중대교 | 신안군 압해읍 복룡리 ~ 무안군 운남면 성내리 | 2013. 12. 27. | ||
나로1대교 | 고흥군 포두면 남성리 ~ 동일면 덕흥리 | | | ||
나로2대교 | 고흥군 봉래면 신금리 ~ 동일면 봉영리 | | | ||
돌산대교 | 여수시 남산동 ~ 돌산읍 우두리 | 450m | | | |
목포대교 | 목포시 달동 ~ 죽교동 | 3.06km | 2012. 6. 29. | |
백야대교 | 여수시 화정면 백야리 ~ 화양면 안포리 | 325m | 2005. 4. 14. | |
천사대교 | 신안군 암태면 신석리 ~ 압해읍 송공리 | | 미개통 | ||
서남문대교 | 신안군 도초면 발매리 ~ 비금면 수대리 | | | ||
소록대교 | 고흥군 도양읍 소록리 ~ 봉암리 | 1160m | 2009. 3. 2. | |
신안1교 | 신안군 안좌면 마진리 ~ 팔금면 장촌리 | | | ||
신지대교 | 완도군 완도읍 가용리 ~ 신지면 송곡리 | | | ||
압해대교 | 신안군 압해읍 신장리 ~ 목포시 대양동 | 2008. 5. 22. | ||
약산연도교 | 완도군 고금면 덕동리 ~ 약산면 우두리 | | | ||
완도대교 | 완도군 군외면 원동리 | 2012. 3. 29. | 달도 ~ 완도 연륙교 | |
은암대교 | 신안군 암태면 오상리 ~ 자은면 유각리 | | | ||
중앙대교 | 신안군 팔금면 원산리 ~ 암태면 와촌리 | | | ||
증도대교 | 신안군 증도면 증동리 ~ 지도읍 탄동리 | | | ||
지도대교 | 신안군 지도읍 탄동리 ~ 읍내리 | | | ||
회진대교 | 장흥군 회진면 대리 ~ 회진면 노력리 노력도 | | | ||
진도대교 | 진도군 군내면 녹진리 ~ 해남군 문내면 학동리 | | |
4. 7. 경상남도
지역 | 교량 이름 | 위치 | 길이 | 개통일 | 비고 | |
---|---|---|---|---|---|---|
경남 | 거제대교 | 통영시 용남면 장평리 ~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 | 1971. 4. 8. | |||
남해대교 |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 | 660m | 1973. 6. 22. | |||
늑도대교 | 사천시 늑도동 | 늑도 ~ 초양도 연륙교 | ||||
삼천포대교 | 사천시 대방동 | 모개도 ~ 사천시 연륙교 | ||||
창선교 | 남해군 삼동면 지족리 ~ 창선면 지족리 | |||||
창선대교 |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 사천시 늑도동 | |||||
초양대교 | 사천시 늑도동 ~ 대방동 | |||||
거가대교 |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 ~ 부산 강서구 천성동 | 3.5km | 2010. 12. 13. |
참조
[1]
사전
표준발음법 제5장
http://krdic.naver.c[...]
네이버 국어사전
[2]
뉴스
'[말글살이] ‘연륙교’의 발음은?'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2-01-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