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산균은 당을 젖산으로 발효시켜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인간에게 유익한 세균을 통칭한다. 락토바실루스속에 속하는 경우가 많지만, 다른 속의 세균도 유산균으로 불리기도 한다. 유산균은 젖산 발효를 통해 젖산을 생성하고 다른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며, 호모 유산균과 헤테로 유산균으로 분류된다. 또한, 세균의 모양에 따라 유산구균과 유산간균으로 나뉜다. 유산균은 젖산 생성과 낮은 pH 환경에서 잘 증식하는 특징을 가지며, 식품 산업에서 발효 식품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목에 속하며, 락토바실러스속, 엔테로코쿠스속, 락토코쿠스속, 페디오코쿠스속, 류코노스톡속, 스트렙토코쿠스속 등 다양한 속으로 분류된다. 유산균은 요구르트, 김치, 피클 등 다양한 발효 식품에 사용되며, 식품의 보존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유산균은 소화관 내 상재균총의 일부를 이루며,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바이오틱 - 세균성 질염
세균성 질염은 질 내 정상 세균 불균형으로 혐기성 세균이 과도하게 증식하여 생선 냄새가 나는 질 분비물 증가를 유발하며, 미치료 시 성병 감수성 증가 및 임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질 감염이다. - 프로바이오틱 - 드시모네 포뮬레이션
드시모네 포뮬레이션은 클라우디오 드시모네가 개발한 8가지 균주 혼합 프로바이오틱 제형으로, 염증성 장 질환 환자의 장 건강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VSL#3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다 유통 회사 변경 및 상품명 다양화, 소송 등의 변화를 겪었다. - 유산균목 - 연쇄상구균과
연쇄상구균과는 유산구균속, 락토붐속, 연쇄구균속을 포함하며, 유산구균속은 유제품 발효에, 연쇄구균속은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을 포함한다. - 유산균목 -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은 펩티도글리칸 합성 경로 변화로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 Van-A, Van-B, Van-C, Van-D, Van-E, Van-G의 6가지 유형이 있으며, 리네졸리드 등으로 치료한다.
유산균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역 | 원핵생물역 |
문 | 후벽균문 |
강 | 간균강 |
목 | 유산균목 |
과 | 유산균과 |
속 | 유산균속 |
학명 | |
학명 | Lactobacillus |
명명자 | 베이에링크 1901년 |
하위 분류 | |
종 | L. 아시도필루스 L. 아미글로사스 L. 브레비스 L. 불가리쿠스 L. 카제이 L. 델브루에키 L. 가세리 L. 헬베티쿠스 L. 락티스 L. 파라카제이 L. 플란타룸 L. 류테리 L. 살리바리우스 |
특징 | |
형태 | 간균 |
생장 조건 | 혐기성 또는 미호기성 조건 |
대사 | 당을 분해하여 젖산 생성 |
발견 장소 | 발효 식품, 인간의 장, 구강 등 |
활용 | |
식품 산업 | 요구르트, 치즈, 김치 등 발효 식품 제조 |
건강 | 프로바이오틱스로 활용, 장 건강 개선 효과 |
참고 | |
관련 용어 | 젖산균, 프로바이오틱스 |
주의 사항 | 특정 질환 환자는 섭취 전 전문가와 상담 필요 |
2. 정의
유산균은 생물 분류가 아니라 세균의 활동에 따라 이름을 붙인 것이다. 보통 소비한 당의 과반을 젖산으로 만들어 내면서 인간에게 유익한 균을 유산균으로 부른다. 유산균은 대체로 락토바실루스속(''Lactobacillus'')에 속해 있었지만, 2020년 이후로 여러 개의 속으로 재분류되었다.[68] 락토바실루스속에 속해 있던 균이라도 인간에게 유익하지 않은 것이 있으며, 반대로 락토바실루스속에 속하지 않았던 Streptococcus thermophilus|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영어 등이 유산균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젖산균(LAB)은 막대 모양(간균) 또는 구형(구균)이며, 산성에 대한 내성이 강해 낮은 pH 환경에서 다른 박테리아보다 경쟁 우위를 가진다.[2] 이는 유기산(예: 젖산) 생성으로 인한 산성 증가를 견딜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젖산균은 호흡을 할 수 없어 탄수화물 공급원이 필요하며, 카탈레이스 음성이다.[2] 젖산균은 식품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미생물 그룹 중 하나이며,[2] 비교적 단순한 대사 작용으로 인해 미생물 세포 공장으로도 활용된다.[3]
젖산균(LAB) 속은 두 가지 주요 헥소스 발효 경로에 따라 분류된다.[2]
대장균(''Escherichia coli'')[69]과 뮤턴스(충치)균(''Streptococcus mutans'')[70]도 대사 과정에서 젖산을 만든다. 젖산균(LAB)은 막대 모양(간균) 또는 구형(구균)이며, 산성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낮은 pH 범위).
3. 특성
4. 대사
락토바실루스속 일부 구성원은 다른 내산소성 속과는 달리 호기성 호흡을 수행할 수 있어 통성 혐기성 세균이다. 산소를 사용하면 이러한 박테리아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된다.
5. 분류
1985년에 다양한 속(屬)의 ''Streptococcus'' 종들이 생화학적 특성과 분자적 특징을 바탕으로 락토코쿠스, 엔테로코쿠스, 바고코쿠스, 스트렙토코쿠스로 재분류되었다.[68] 현재 통용되는 분류는 명명법에서 지위를 갖는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 및 국립생물공학정보센터(NCBI)를 기반으로 한다.[6][7]
유산균은 TCA 회로를 가지지 않고 그 발효 양식에 따라 젖산만을 최종 산물로 만들어내는 '''호모 유산균'''과, 비타민 C, 알코올, 아세트산 등 젖산 외의 물질을 동시에 생성하는 '''헤테로 유산균'''으로 분류된다.[32][33] 또한, 그 모양에 따라 구형의 '''유산구균'''과 간상(막대) 모양의 '''유산간균'''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으로 불리며 이용되는 대표적인 세균은 다음과 같다.
1900년대에는 그람 양성균, 젖산 발효 (호모 발효 또는 헤테로 발효)에 의해 락토바실러스속, 페디오코쿠스속, 연쇄상구균속, 류코노스톡속의 4속으로 분류되었고, 형태 (간균 및 구균), 카탈라아제 음성이 조건으로 추가되었다. 1980년대에는 세포벽펩티도글리칸 조성, 균체 지방산 조성을 기준으로 연쇄상구균속에서 락토코커스속과 장구균속이 독립하고, 락토바실러스속에서 카르노박테리움속이 독립했다. 같은 시기에 DNA의 GC 함량이 이용되기 시작했으며, 유산균은 그람 양성의 낮은 GC 함량 군에 포함되었다. 1990년대에 16S rRNA 계통 분석이 도입된 결과, 유산균의 대부분이 락토바실러스목에 포함되게 되었다.
5. 1. 락토바실러스목 (Lactobacillales)
16S rRNA 계통 분석 결과, 유산균 대부분이 락토바실러스목에 포함되었다. 락토바실러스목은 에어로코쿠스과, 카르노박테리움과, 엔테로코쿠스과, 락토바실러스과, 류코노스톡과, 연쇄구균과(스트렙토코쿠스과)의 6개 과로 분류된다.[11][12][13]
락토바실러스목에 속하는 대표적인 세균에는 아비오트로피아, 에어로코쿠스, 카르노박테리움, 엔테로코쿠스, 락토바실루스, 락토코쿠스, 류코노스톡, 오에노코쿠스, 페디오코쿠스, 스트렙토코쿠스, 테트라게노코쿠스, 바고코쿠스, 와이셀라 등이 있다.
5. 1. 1. 락토바실러스속 (''Lactobacillus'')
락토바실러스속은 바실루스강락토바실러스목락토바실러스과에 속하는 그람 양성 간균이며, 락토바실루스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유산균"이라고 부르는 경우 좁은 의미로는 이 속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68] 종에 따라 동형 젖산 발효(젖산만을 생산)하는 것과 이형 젖산 발효(젖산 이외의 물질을 동시에 생산)하는 것이 있다. ''L. delbrueckii'', ''L. acidophilus'', ''L. casei'' 등이 있다.락토바실러스속은 야외에서 쉽게 분리되며, 요구르트 제조에 예로부터 사용되어 왔다.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등 많은 락토바실러스속에 속하는 종이 요구르트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사람이나 동물의 소화관에도 많이 서식하고 있으며, 그 분변에서도 분리된다. 또한 여성의 질 내에 서식하는 데데르라인 간균이라고 불리는 세균군도 주로 락토바실러스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락토바실러스속 일부에는 알코올에 강한 것이 있는데, ''L. fructivorans'', ''L. hilgardii'', ''L. paracasei'', ''L. rhamnosus'' 등이 있다. 이것들은 일본술 양조 현장에서는 "히오치균"이라고 불리며, 이 균의 오염은 일본술의 이상한 냄새나 산미 등의 발생(히오치)의 원인이 되지만, ''L. paracasei , L. plantarum ''는 와인의 말산 발효를 수행한다.[47]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시로타주는, 별명 "야쿠르트균" 또는 "LCS"라고 불린다.
5. 1. 2. 엔테로코쿠스속 (''Enterococcus'')
엔테로코쿠스속(Enterococcus)은 엔테로코쿠스과에 속하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호모 유산 발효를 한다. 회장, 맹장, 대장에 서식하며, ''E. faecalis''(파에칼리스), ''E. faecium''(페시움) 등이 있다. 정장제, 면역 부활, 약제 내성(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 , 비타민 B군 요구 등에 관련된다.[31]5. 1. 3. 락토코쿠스속 (''Lactococcus'')
1985년에 다양한 속(屬)의 ''Streptococcus'' 종들이 생화학적 특성과 분자적 특징을 바탕으로 락토코쿠스, 엔테로코쿠스, 바고코쿠스, 그리고 ''Streptococcus''로 재분류되었다. 이전에는 연쇄상구균을 주로 혈청학적 특성을 기반으로 분류했는데, 이는 현재의 분류학적 정의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락토코쿠스(과거 란스필드 그룹 N 연쇄상구균)는 유제품 생산에서 발효 종균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인간은 연간 1018 (100경)개의 락토코쿠스를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부분적으로 산업적 관련성 때문에 두 L. 락티스 아종(''L. l. 락티스'' 및 ''L. l. 크레모리스'')은 연구를 위한 일반적인 유산균 모델로 널리 사용된다.5. 1. 4. 페디오코쿠스속 (''Pediococcus'')
페디오코쿠스속(''Pediococcus'')은 락토바실러스과에 속하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4연 구균의 배열을 이룬다. 피클 등 발효 식물 제품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많다.5. 1. 5. 류코노스톡속 (''Leuconostoc'')
류코노스톡과에 속하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연쇄상 또는 쌍구균 배열을 이룬다. 자우어크라우트 등 발효 식물 제품에서 분리되며, 와인의 젖산 발효를 수행한다.5. 1. 6. 스트렙토코쿠스속 (''Streptococcus'')
스트렙토코쿠스속은 락토바실러스목 연쇄상구균과에 속하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세포가 연쇄상으로 배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들은 유산균으로도 분류된다.[52]Streptococcus thermophilus영어는 발효유 제품(예: 불가리아 요구르트) 제조에 이용된다.[53]
스트렙토코쿠스속은 충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뮤탄스균()을 포함한다.[70]
5. 2. 방선균문 (Actinobacteria)
방선균문에 속하는 비피도박테리움속(''Bifidobacterium'')은 흔히 비피더스균이라고 불리며, 젖산과 아세트산을 생성하는 이종 유산균의 일종이다.[33]5. 2. 1. 비피도박테리움속 (''Bifidobacterium'')
비피도박테리움속(''Bifidobacterium'')은 방선균문에 속하는 그람 양성의 혐기성 간균으로, 증식 시 V자형, Y자형 등으로 분기된 형태를 보인다. 속칭 비피더스균이라고도 불린다. 이종 유산균의 일종으로, 젖산과 아세트산을 생성한다. Bifidobacterium bifidum|B. 비피덤la이나 Bifidobacterium adolescentis|B. 아돌레센티스la 등이 있다.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은 유아, 특히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의 소화관 내에서 가장 수가 많은 소화관 상재균이다. 그 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른 혐기성 세균으로 대체된다.
최근에는 의약품 및 건강 보조 식품 분야에서 비피더스균은 좁은 의미의 유산균(락토바실러스목(Lactobacillalesla)에 속하는 것)과는 다른 기술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좁은 의미의 유산균은 유산균이나 락토민이라는 명칭으로 기술된다.[54][55]
6. 유산균과 식품
유산균은 요구르트나 유산 음료 등의 발효 유제품, 김치나 일부 절임 음식, 피클, 자우어크라우트, 템페, 된장, 젓갈[45], 나레즈시 등 다양한 발효 식품 제조에 사용된다.[56] 유산균 발효는 이러한 식품에 산미를 중심으로 한 맛과 향의 변화를 가져오며, 유산에 의해 식품의 pH를 낮춰 부패나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다른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식품의 장기 보존을 가능하게 한다.[56]
유산균 발효 시에 비타민 C를 생산하는 균주가 있으며, 마유주나 자우어크라우트 등은 발효 전보다 비타민 C 농도가 높아진다.[56] 송아지는 체내에서 비타민 C를 합성할 수 있으므로 우유에서 섭취할 필요가 없어 우유에는 비타민 C가 거의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우유를 발효시켜 만든 요구르트에는 미량이나마 비타민 C가 포함되어 있다.[56]
한편, 다른 발효 식품 제조 과정에서 유산균이 잡균으로 혼입되는 것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락토바실러스속의 ''L. fructivorans'', ''L. hilgardii'', ''L. paracasei'', ''L. rhamnosus'' 등 알코올에 강한 유산균은 술 양조 및 발효 중에 증식하면 이취나 산미를 발생시켜 술의 상품 가치를 잃게 한다. 일본술 양조 현장에서는 이를 '''히오치''' 또는 '''부조'''라고 하며, 이러한 균은 "히오치균"으로 불린다. 히오치로 인해 혼입된 유산균에 의해 양조 후 부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저온 살균법)이 사용되는데, 양조한 술을 65℃에서 23초간 가열하면 이러한 균을 불활성화할 수 있다.[57] 가열은 에도 시대부터 행해졌다.
와인에서도 보존 중 유산균 발효로 인해 이취나 산미가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그 원인을 규명하려 했던 루이 파스퇴르의 연구로 음식이 부패하는 메커니즘이 해명되었고, 파스퇴르법(저온 살균법) 발명으로 이어졌다.
''L. lactis''는 니신이라는 항균 펩타이드 (박테리오신)를 생산한다. 니신은 황색포도상구균이나 리스테리아균 등 식품 부패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식품 첨가물로 세계 각지에서 널리 사용된다.
7. 유산균과 건강
락토바실러스속과 비피도박테리움속은 사람의 소화관 및 여성의 질 내에 상재하며, 상재세균총의 일부를 이룬다. 유산균은 구강 내 충치를 제외하고는 직접적인 질병 원인이 되는 경우는 없으며, 생체에 유익한 방어 기전으로 기능한다고 여겨져 "유익균"으로 불리기도 한다. 극히 드물게 유산균혈증과 같은 감염증의 원인이 되는 경우도 보고된다.
비피더스균(''B. infantis'', ''B. breve'', ''B. bifidum'', ''B. longum'' 및 ''B. adolescentis'' 모두)은 균체 내에 비타민 B, B, B, B, C, 니코틴산(B), 엽산(B) 및 비오틴(B)을 축적하고, 균체 외에는 비타민 B, B 및 엽산을 생산한다.[36] 사람(성인) 장 내 평균량의 비피더스균의 추정 비타민 생산량은 비타민 B, B, B, C 및 엽산으로 소요량의 14-38%를 차지하며 무시할 수 없는 비율로 여겨진다.[36] 다만, 이 중 비타민 B12에 대해서는, 내인자와 결합된 비타민 B가 흡수되는 회장 부위에서 더 멀리 떨어진 대장에서 비타민 B가 생산되므로, 사람은 대장에서 만들어진 비타민 B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37]
생육에 이용하는 기질과 생육 장소에 따른 차이로 장관 유산균, 동물성 유산균, 식물성 유산균, 해양 유산균 등으로 구분된다.[31][38]
나이신은 34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다환식 항균 펩타이드이며, 식품의 보존료 등으로 사용되며, ''Lactococcus lactis''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다. 프로세스 치즈나 육류, 음료 등에 첨가하여 가공에 사용된다. 많은 박테리오신이 일반적으로 근연종만을 저해하는 데 반해, 나이신은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등을 포함한 넓은 범위의 종에 대해 효과가 있다.[51]
비피도박테리움속 세균은 유아, 특히 모유 수유를 하는 아기의 소화관 내에서 가장 수가 많은 소화관 상재균이다. 그 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다른 혐기성 세균으로 대체된다.
7. 1. 구강 내 유산균
사람의 구강 내에는 ''Lactobacillus''속을 포함한 많은 세균이 서식하고 있다. 주요 종으로는 ''L. oris'', ''L. casei'', ''L. salivarius'', ''L. brevis'' 등이 있다.[30] 이 ''Lactobacillus''속은 충치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889년 치과의사인 밀러(Miller)가 『사람 구강의 미생물』이라는 연구서를 출판한 이후 20세기 중반까지 유산균이 충치의 주된 원인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재는 젖산을 생산하는 능력은 높지만, 치아 표면에 부착하는 능력이 낮고, 치태 내 세균 수도 적기 때문에 충치 유발성은 강하지 않고(주된 원인은 아님), 충치 진행을 촉진하는 것으로 여겨진다.7. 2. 소화관 내 유산균
건강한 사람의 장내에는 많은 종류의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거의 모든 사람의 장내에서 락토바실러스속이나 비피도박테리움속의 유산균이 검출된다.[60] 이 유산균들은 "장내 유익균"의 일종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장내 상재 세균총(장내 미생물총)에서 이러한 세균의 비율을 늘리는 것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가설이 있다.[60] 다만 그 유효성에 대해서는, 의의가 있다는 실험 결과와 관련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각각 복수로 나와 결론이 나지 않았다.7. 3.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
일리야 메치니코프는 소장 내 독성 화합물이 흡수되면 해가 된다는 자가 중독설을 주장했고, 불가리아 유산균 섭취를 통해 자가 중독을 방지하고 장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58] 장내 상재 세균총의 균형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는데, 살아있는 균을 포함하는 것을 '''프로바이오틱스''', 유익균의 영양원을 포함하는 것을 '''프리바이오틱스'''라고 부른다.초기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유산균은 대부분 위에서 사멸했지만, 제제 기술 및 새로운 유산균주 개발로 살아있는 균을 장에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가열 사균체도 질병 예방 효과를 갖는다는 보고가 있다.[60] 유익균은 유기산을 생성하고, 웰시균으로 대표되는 유해균은 부패 물질 및 발암성 물질을 생성한다.
일본에서는 특정 보건용 식품(토쿠호)에 식품 기능 표시가 인가되며, 유산균 포함 요구르트 섭취를 통해 변비나 설사 개선, 유익균 증식, 유해균 감소, 장내 환경 개선 등이 확인되었다.[61] 혈압이나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 꽃가루 알레르기 등의 알레르기 증상 경감 등의 연구 보고도 있다.[62] 대장은 장내 세균 발효 산물인 낙산 등 단쇄 지방산을 주된 에너지원으로 활동한다.[63]
7. 4. 데데르라인 간균
Döderlein-Bakteriende은 사춘기 이후 건강한 여성의 질 내에 서식하는 다수의 그람 양성 간균이다. 이 명칭은 발견자인 알베르트 데이델라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특정 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주로 락토바실러스속으로 구성된 다양한 세균의 집단이다. 사춘기 이후 여성의 질 상피에는 여성 호르몬의 작용으로 글리코겐이 축적되는데, 이러한 유산균은 박리된 세포의 글리코겐을 영양원으로 정착한다. 이들 세균이 생산하는 젖산에 의해 질 내 pH는 산성으로 유지되며, 이것은 다른 병원성 세균의 침입 및 증식을 억제한다. 즉, 데이델라인 간균은 "질의 자정 작용"을 담당하며, 생체 방어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8. 유산균 연구
루이 파스퇴르는 와인 보존 중 유산균 발효로 인해 발생하는 이취 및 산미의 원인을 규명하는 과정에서 음식 부패 메커니즘을 밝혀냈고, 이는 파스퇴르법이라는 저온 살균법 발명으로 이어졌다. 유산균은 1857년에 발견되었으며, 1919년에 분류 체계의 기초가 확립되었다.[33] 식품 가공에는 순수 배양된 종균(스타터)이 사용된다.[33]
내염성 유산균(호염성 유산균) 중 일부( ''Pediococcus halophilus''[64], ''Lactobacillus plantarum'', ''Tetracoccus'' sp., ''Pediococcus acidilactici''[65] 등)는 간장, 된장, 어장 등의 발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일부 내염성 유산균( ''Lactobacillus fructivorans'')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식품을 변패시키기도 한다.[66]
8. 1. 유산균과 축산업
사일리지는 가축용 사료의 일종으로, 목초 등 사료 작물을 사일로에서 발효시킨 것이다. 사일로에 채워진 목초는 혐기성 세균에 의해 젖산(유산)이나 초산 등의 유기산 성분 비율이 증가하고, pH가 낮아져 목초 부패의 원인이 되는 곰팡이나 호기성 세균의 활동을 억제하여 장기 보존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발효를 성공시키기 위해 수분량 조정이나 유산균 첨가 등 농가마다 다양한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다. 발효가 잘 된 사일리지는 풍부한 유기산을 포함하여 소 등 가축의 비육에 크게 기여한다. 젖산 비율이 높은 것이 양질의 사일리지로 여겨지며, pH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수분 함량은 75% 전후로 조절되지만, 40% 정도로 조절한 것은 헤일리지(haylage, 저수분 사일리지)라고 부른다. 헤일리지는 기밀성이 좋지 않으면 호기성 발효가 일어나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67]。참조
[1]
논문
The role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other related disease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human clinical trials
[2]
서적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Current Progress in Advanced Research
Caister Academic Press
[3]
논문
Lactic acid bacteria: from starter cultures to producers of chemicals
2018-10
[4]
논문
Lactic metabolism revisited: metabolism of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fermentations and food spoilage
2015
[5]
논문
Aerobic metabolism in the genus Lactobacillus: impact on stress response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food industry
2017-04
[6]
웹사이트
Lactobacillales
https://lpsn.dsmz.de[...]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2023-03-20
[7]
웹사이트
Lactobacillales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23-03-20
[8]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3-11-20
[9]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3-11-20
[10]
웹사이트
LTP_08_2023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3-11-20
[11]
웹사이트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3-05-10
[12]
웹사이트
bac120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13]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3-05-10
[14]
서적
Probiotics and Prebiotics: Scientific Aspects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15]
서적
Lactobacillus Molecular Biology: From Genomics to Probiotics
Caister Academic Press
[16]
논문
Protective effect of Lactococcus laudensis and Pediococcus parvulus against neuropathy due to amyloid-beta in Caenorhabditis elegans
2022-11
[17]
서적
Bacterial Polysaccharides: Current Innovations and Future Trends
Caister Academic Press
[18]
논문
Lantibiotic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structure, function and applications
2002-08
[19]
논문
Applications of the bacteriocin, nisin
1996-02
[20]
논문
Lactic acid bacteria – Potential for control of mould growth and mycotoxins: A review
2010-04
[21]
논문
Diversity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rhizosphere of olive trees and desert truffles of Tunisia
2013
[22]
논문
Bacteria as growth-promoting agents for citrus rootstocks
2016-09
[23]
논문
Lactic acid bacteria: promising supplements for enhancing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kombucha
2015-02-24
[24]
논문
Lactic acid bacteria in the quality improvement and depreciation of wine
1999
[25]
논문
Linking wine lactic acid bacteria diversity with wine aroma and flavour
2017-02
[26]
논문
Pre-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in sour beer production
2019
[27]
서적
Bacteriophage: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28]
서적
Th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of Prokaryotes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Pearson Prentice Hall
[30]
논문
The microbiology of primary dental caries in humans
2001-10
[31]
간행물
乳酸菌の同定の考え方とその手法
https://doi.org/10.1[...]
1991
[32]
서적
乳酒の研究
八坂書房
[33]
간행물
乳酸菌の特性と利用について
https://doi.org/10.4[...]
1998
[34]
간행물
乳酸菌の栄養に関する研究(第9報)ヘテロ型桿状乳酸菌の栄養
https://doi.org/10.1[...]
1957
[35]
간행물
ビフィズス菌
https://doi.org/10.1[...]
1988
[36]
논문
ヒト由来''Bifidobacterium''によるビタミン産生
https://doi.org/10.4[...]
1984
[37]
논문
Vitamin B12 in meat and dairy products.
2015-02
[38]
논문
植物性乳酸菌の食品発酵性と食餌モデル培地における生育
https://doi.org/10.3[...]
2001
[39]
서적
からだの中の外界 腸のふしぎ
講談社
2013-04-20
[40]
서적
見た目の若さは、腸年齢で決まる
PHP Science World
2009-12-04
[41]
논문
場を浄める乳酸菌
1988
[42]
논문
パン生地発酵と乳酸菌[前編]
https://doi.org/10.4[...]
1998
[43]
논문
パン生地発酵と乳酸菌[後編]
https://doi.org/10.4[...]
1999
[44]
논문
木曽地域で食される“すんき漬”の抗アレルギー効果に関する疫学的検討
https://hdl.handle.n[...]
2007
[45]
논문
好塩性・好アルカリ性乳酸菌の多様性と特性
https://doi.org/10.5[...]
2009
[46]
논문
近年の乳酸菌の分類体系と''Carnobacteriaceae'' 科および ''Aerococcaceae'' 科の分類学的特徴
https://doi.org/10.4[...]
日本乳酸菌学会
2012
[47]
논문
品種別赤ワイン仕込経過中の乳酸菌の分布と分離同定
1997
[48]
웹사이트
エンテロコッカス フェカーリス | 菌の図鑑 | ヤクルト中央研究所
https://institute.ya[...]
[49]
논문
人工飼料育蚕から分離した乳酸菌の起病性 (5) Streptococcus faecalisの起病性に及ぼすビタミンB群の影響
https://agriknowledg[...]
日本蠶絲學會
1982
[50]
논문
大麦焼酎粕由来発酵大麦エキス(FBE)からのナイシン生産
https://doi.org/10.6[...]
2009
[51]
논문
ナイシン―類稀な抗菌物質―
https://doi.org/10.1[...]
2010
[52]
논문
Interactions between microorganisms in a simple ecosystem: yogurt bacteria as a study model
[53]
논문
Analysis of Lactobacillus phages and bacteriocins in American dairy products and characterization of a phage isolated from yogurt
[54]
문서
一般用医薬品の区分リストについて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医薬食品局安全対策課長通知
2007-03-30
[55]
문서
一般的にはある製品に成分としてビフィズス菌({{Snamei|Bifidobacterium}})に属する菌と乳酸菌(例えばアシドフィルス菌({{Snamei|Lactobacillus acidophilus}})やフェカリス菌({{Snamei|Enterococcus faecalis}}))に属する菌が含まれていた場合、成分表示には後者が「乳酸菌(アシドフィルス菌)」「乳酸菌(フェカリス菌)」と書かれる一方、前者は乳酸菌と書かれずに「ビフィズス菌」と書かれる。
[56]
논문
内陸アジアの遊牧民の製造する乳酒に関する微生物学的研究
https://doi.org/10.1[...]
2001
[57]
서적
改訂醸造学
1993-03
[58]
서적
不老長寿論
大日本文明協会事務所
1912
[59]
웹사이트
腸内細菌の全体像をつかみ、予防医学に役立てる
http://www.riken.go.[...]
理化学研究所
2004-02
[60]
논문
プロバイオティクスの歴史と進化
https://doi.org/10.1[...]
2011
[61]
웹사이트
乳酸菌類を含む食品
contents/sp_health_l[...]
国立栄研健康食品
[62]
웹사이트
主な学会発表
http://www.calpis.co[...]
カルピス研究所
[63]
논문
短鎖脂肪酸の生理活性
https://doi.org/10.5[...]
1997
[64]
논문
味噌熟成中の酵母と乳酸菌に関する研究
https://doi.org/10.6[...]
1981
[65]
논문
みそ, しょうゆ醸造と微生物
https://doi.org/10.1[...]
1970
[66]
논문
耐塩性乳酸菌による食品の変敗とその防止
https://doi.org/10.6[...]
2008
[67]
논문
サイレージ抽出培養液および原材料由来乳酸菌培養液を添加したイネ「チネリア・ママ」サイレージの発酵品質
http://id.nii.ac.jp/[...]
2008-02-15
[68]
저널
A taxonomic note on the genus Lactobacillus: Description of 23 novel genera, emended description of the genus Lactobacillus Beijerinck 1901, and union of Lactobacillaceae and Leuconostocaceae
https://www.microbio[...]
2020
[69]
웹사이트
https://microbialcel[...]
[70]
웹사이트
https://pubmed.nc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