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탈리아의 국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탈리아의 국기는 이탈리아를 상징하는 세로 줄무늬 삼색기이다. 1797년 프랑스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영향을 받아 치스파다나 공화국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이후 이탈리아의 통일 운동을 거쳐 1946년 이탈리아 공화국 수립과 함께 현재의 모습으로 확정되었다. 녹색, 흰색, 빨간색의 세 가지 색상은 이탈리아의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탈리아 헌법과 관련 법률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이탈리아 국기는 이탈리아의 공식 행사, 공공 건물, 학교 등에서 게양되며, 다른 국기와 함께 게양될 때에는 가장 존중받는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상징 - 랑고바르드의 철관
    랑고바르드의 철관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못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는 철 띠가 부착된 금 서클릿 왕관으로, 랑고바르드 왕국과 이탈리아 왕국의 상징이자 성유물로서 이탈리아 왕의 대관식에 사용되었으며 현재 몬차 대성당에 보관되어 있다.
  • 이탈리아의 상징 - 이탈리아 왕국의 국가
    이탈리아 왕국의 국가는 1831년부터 1946년까지 사용된 "왕실 행진곡"으로, 사르데냐 왕국 시절 국가로 채택되어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기여했으며 왕국 폐지 후에도 역사적 유산으로 남아 기념식 등에서 연주된다.
  • 이탈리아의 통일 - 리소르지멘토
    리소르지멘토는 19세기 이탈리아의 통일 과정을 의미하며, 르네상스 시대 이후 민족 의식 고취와 통일 열망 증대, 나폴레옹 전쟁 시기 이탈리아 민족주의 성장, 사르데냐 왕국 중심의 통일 운동을 거쳐 이탈리아 왕국 건국으로 이어졌으나, 로마 문제와 지역 갈등, 이레덴티즘 등의 과제를 남겼다.
  • 이탈리아의 통일 - 주세페 베르디
    주세페 베르디는 19세기 이탈리아의 대표적인 오페라 작곡가로, 이탈리아 통일 운동의 열망을 담은 오페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리골레토》, 《일 트로바토레》, 《라 트라비아타》, 《아이다》, 《오텔로》, 《팔스타프》 등의 대표작과 《레퀴엠》을 남겼고 이탈리아 통일 왕국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했다.
  • 국기 - 일본의 국기
    일본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붉은 원이 그려진 디자인으로, 태양을 상징하며 1999년 법률에 의해 공식적으로 국기로 지정되었다.
  • 국기 - 독일의 국기
    독일 국기는 검은색, 빨간색, 금색 가로 줄무늬 삼색기로, 자유주의와 통일 독일을 상징하며, 1949년 서독과 동독, 그리고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통일 독일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이탈리아의 국기
국기 정보
이탈리아 국기
국기
비율2:3
채택일1946년 6월 18일 (이탈리아 공화국 설립)
현재 색상 채택일2006년 4월 14일
디자인녹색, 흰색, 빨간색의 세로 삼색기
상선기
이탈리아 상선기
비율2:3
채택일1948년 11월 9일
디자인이탈리아 삼색기에 이탈리아 해군 문장을 변형하여 추가하고 관모를 제거함
관선기
이탈리아 관선기
비율2:3
채택일2003년 10월 24일
디자인이탈리아 삼색기에 이탈리아의 국장을 추가함
해군기
이탈리아 해군기
비율2:3
채택일1947년 11월 9일
디자인이탈리아 삼색기에 이탈리아 해군 문장을 추가함
군기
이탈리아 군기
비율1:1
디자인1:1 비율의 이탈리아 삼색기
색상 정보
녹색파스텔톤 17-6153TC
흰색파스텔톤 11-0601TC
빨간색파스텔톤 18-1662TC
트리콜로레의 의미
설명녹색은 우리 초원을 기억하고, 흰색은 다년생 눈과 붉은 색을 기억하며 전쟁에서 흘린 피를 기억합니다.

2. 역사

1797년 프랑스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영향을 받아 이탈리아 북부에 수립된 치스파다나 공화국에서 초록, 하양, 빨강이 들어간 기를 최초로 사용했다. 이 기는 이후 치살피나 공화국(1798년), 이탈리아 공화국(1802년), 이탈리아 왕국(1805년)에서 유사한 형태로 사용되었으나, 1814년 나폴레옹 퇴위와 함께 사라졌다.

1848년 혁명 당시 이탈리아 삼색기는 이탈리아의 통일 운동인 리소르지멘토(Risorgimento)의 상징이자 자유와 독립의 상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사르데냐 왕국의 국기는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의 국기로 채택되었으며, 중앙에 사보이아 왕가의 문장이 추가되었다. 1946년 군주제 폐지와 함께 현재의 국기가 제정되었다.

2. 1. 프랑스 혁명

프랑스 혁명 직후, 1789년 인권과 시민의 권리 선언 옹호를 바탕으로 사회 혁신의 이상이 이탈리아를 포함한 전 세계에 널리 퍼졌다.[2] [3][4] 이는 이탈리아 반도에서의 자결을 목표로 한 최초의 애국적 움직임과 함께 정치적 혁신으로 이어졌고, 나중에 이탈리아 통일로 이어졌다.

이탈리아 국기는 다른 삼색기들과 마찬가지로, 1790년 프랑스 해군 군함에 도입된 프랑스 국기에서 영감을 받았다.[2] [3][4] 프랑스의 파란색, 흰색, 빨간색 국기는 이탈리아 자코뱅들의 최초 참고 자료가 되었고, 이후 이탈리아 정체성 국기를 만드는 데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이탈리아 국기가 최초로 기록된 사용은 1789년 8월 21일이다. 제노바 공화국의 역사 기록 보관소에는 목격자들이 시위대가 옷에 빨간색, 흰색, 녹색 콕카드를 걸고 있는 것을 보았다는 보고가 있다.[7] 당시 이탈리아 신문들은 프랑스 혁명, 특히 녹색을 파란색으로 대체한 것에 대해 혼란을 야기하며 프랑스 삼색기가 녹색, 흰색, 빨간색이라고 보도했다.[8] 프랑스 삼색기의 색 구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이탈리아에 도착했을 때, 이탈리아 자코뱅들은 자연을 나타내고 따라서 은유적으로 자연 권리 또는 사회적 평등자유(그들이 소중히 여기는 원칙)를 나타낸다는 이유로 파란색 대신 녹색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9]

그 후 빨간색, 흰색, 녹색 콕카드는 1794년 11월 13~14일 루이지 잠보니와 조반니 바티스타 드 롤란디스가 이끄는 볼로냐 대학교 학생 그룹이 볼로냐의 가톨릭 정부를 전복하기 위한 대중 폭동을 계획하려고 시도했을 때 다시 등장했다.[10] 당시 볼로냐는 교황령의 일부였다. 잠보니와 드 롤란디스는 자신들을 "애국자"라고 칭했고, 자코뱅 혁명 이상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삼색 콕카드를 착용했지만, 프랑스 콕카드와 구별하기 위해 수정했다.

2. 2. 나폴레옹 시대

나폴레옹이 이탈리아 반도에 처음 진출했던 시기에 이탈리아 삼색기가 처음으로 기록되었다.[12] 1796년 10월 11일, 나폴레옹은 롬바르디아 군단의 탄생을 알렸다. 이 군대는 롬바르디아의 일반 행정부가 프랑스 삼색기를 따라 구성했다. 주권 이탈리아 국가의 첫 번째 빨강, 흰색, 녹색 국기는 1797년 1월 7일에 채택되었다. 시스파다나 공화국 제14차 의회는 의원 주세페 꼼빠뇨니의 제안에 따라 "...녹색, 흰색, 빨강의 세 가지 색의 ... 표준 또는 깃발을 보편화하기로" 결정했다.[16]

이탈리아 국기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주세페 꼼빠뇨니


주세페 꼼빠뇨니는 "이탈리아 국기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시스파다나 공화국의 국기는 빨간색이 위에 있는 가로 직사각형으로, 흰색 가로띠 중앙에는 월계관 화환과 무기 트로피 및 네 개의 화살로 구성된 문장이 있으며, 이는 공화국을 구성하는 네 개의 주를 나타낸다.

이탈리아 국기가 1797년 1월 7일에 탄생한 장소인 ''살라 델 트리콜로레''(나중에 레조 에밀리아 시의회 회의장이 됨)


시스파다나 공화국과 트랜스파다나 공화국은 1797년에 치살피나 공화국으로 합병되었고, 1798년에 문장이 없는 세로 직사각형 삼색기를 채택했다. 1802년, 치살피나 공화국은 나폴레옹 이탈리아 공화국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새로운 국기가 채택되었는데, 이번에는 녹색 정사각형이 흰색 마름모꼴 안에 있는 빨간색 바탕이었다.[81]

2. 3. 이탈리아 통일 운동 (리소르지멘토)

1848년 혁명 시대에 초록, 하양, 빨강이 들어간 기는 이탈리아의 통일 운동인 리소르지멘토(Risorgimento) 운동을 상징하는 기, 이탈리아의 자유와 독립을 상징하는 기로 널리 사용되었다.[20] 나폴레옹 몰락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에 종속된 국가인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에서는 이탈리아 삼색기를 내걸면 사형을 당했다.

1820년부터 1861년까지 일련의 사건들이 이탈리아의 독립과 통일로 이어졌다. 이탈리아 역사의 이 시기는 "리스조르지멘토"로 알려져 있다. 리스조르지멘토 역사상 이탈리아 삼색기가 처음으로 휘날린 것은 1821년 3월 11일 알레산드리아 시타델라에서 1820년대 혁명 당시였다.

1848년 피에몬테-사르데냐 왕국이 채택한 국기


녹색, 흰색, 빨간색 국기는 1830년 혁명 기간 동안 다시 등장했는데, 주로 이탈리아에서 반란을 시작한 애국자 치로 메노티 때문이었다. 1831년, 삼색기는 주세페 마치니에 의해 젊은 이탈리아의 상징으로 선택되었다.

이탈리아 국기는 1848년 혁명의 상징이었다. 1848년 3월, 밀라노 5일간의 봉기는 수많은 깃발과 삼색 콕케이드가 특징이었다. 애국자들은 밀라노 대성당 지붕에 올라가 교회의 가장 높은 첨탑에 이탈리아 국기를 게양하는 데 성공했다.

삼색기가 널리 사용되었던 1848년 시칠리아 혁명


카를로 알베르토 피에몬테-사르데냐 국왕은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을 시작하여 밀라노를 지원할 준비가 된 그의 군대가 전쟁 깃발로서 흰색 바탕에 사보이 문장이 겹쳐진 삼색기를 사용할 것이라고 밀라노 임시 정부에 보장했다.

산 마르코 공화국은 1848년 오스트리아 제국에 의해 독립을 선포했고, 삼색기를 채택했다. 그들이 채택한 깃발은 이탈리아 독립과 통일 노력과의 관계를 보여주었다.

피아차 델 포폴로(1848년)에서 로마 공화국 선포. 수많은 삼색기가 휘날리는 가운데


1849년 교황령에 대한 반란으로 교황을 폐위시킨 후 형성된 로마 공화국은 깃대 끝에 공화국 로마 독수리가 있는 녹색, 흰색, 빨간색 깃발을 국가 깃발로 채택했다.

2. 4. 이탈리아 왕국 (1861년~1946년)

1861년 이탈리아 왕국 선포와 함께 사르데냐 왕국의 국기가 이탈리아 왕국의 국기로 채택되었다. 이탈리아 왕국의 국기는 녹색, 흰색, 빨간색의 세로 삼색기사보이아 왕가의 문장이 겹쳐진 형태였다.[38] 1946년 군주제 폐지와 함께 지금과 같은 국기가 제정되어 오늘에 이른다.

1848년 혁명 시대에 초록, 하양, 빨강이 들어간 기는 이탈리아의 통일 운동인 리소르지멘토(Risorgimento) 운동을 상징하는 기, 이탈리아의 자유와 독립을 상징하는 기로 널리 사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은 국가 통일을 완성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이탈리아의 참전은 이탈리아 독립 전쟁의 결론으로 간주된다.[48]

1922년 로마 진군파시스트 독재의 수립과 함께 이탈리아 국기는 정권의 상징들에 의해 부분적으로 가려져 상징적 독창성을 잃었다.[53]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1943~1945)의 전쟁기

2. 5.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1943년~1945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1943~1945) 또는 일반적으로 "살로 공화국"으로 알려진 국가는 사보이아 왕가의 문장이 제거된 이전 이탈리아 왕국의 국기를 사용했다. 이 깃발은 현대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기와 동일했다.

그러나 이 깃발은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수평으로 놓인 ''파시오 리토리오''(문자 그대로 리크토르의 다발)를 잡고 있는 은색/검은색 독수리가 그려진 전쟁기가 선전에 매우 흔하게 사용되었다.[56]

2. 6. 이탈리아 공화국 (1946년~현재)

1946년 6월 13일, 이탈리아 공화국이 공식적으로 수립되면서, 이전 국기에 있던 사보이아 왕가 문장이 제거된 삼색기가 국기로 채택되었다.[63] 1947년 3월 24일 제헌의회 회의에서 이탈리아 국기에 대한 내용이 이탈리아 헌법 제12조에 명시되었다.[1]

1997년, 삼색기 제정 200주년을 기념하여 1월 7일이 삼색기의 날로 지정되었다.[69]

2003년에는 비상업적 정부 서비스에 종사하는 비군사 선박을 위해 이탈리아 삼색기에 이탈리아 국장이 새겨진 특별한 국가 깃발이 만들어졌다.[72]

3. 색상

이탈리아 국기의 색상은 녹색, 흰색, 빨간색으로 구성된다.[75] 1948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제12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2006년 4월 14일 국무총리령에 따라 팬톤 색상 번호로 색조가 규정되었다.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 원본 세 개 중 하나. 현재 이탈리아 대통령의 역사 기록 보관소에 보관되어 있다


만약 깃발을 수평으로 걸 경우 녹색 부분은 깃대 쪽에, 흰색은 중앙에, 빨간색은 바깥쪽에 위치해야 하며, 세로로 걸 경우 녹색 부분이 위쪽에 위치해야 한다.[76]

색상을 정확하게 정의해야 할 필요성은 유럽 연합 이사회, 유럽 평의회 및 그 사무국의 본부인 유스투스 리프시우스 건물에서 발생한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2002년 한 이탈리아 MEP이 이탈리아 국기의 색상, 특히 주황색으로 변하는 빨간색이 알아볼 수 없다는 점을 알아챘다. 이러한 이유로 정부는 해당 MEP의 보고에 따라 이탈리아 국기의 색상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기로 결정했다.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된 색상의 이탈리아 국기


2006년부터 사용된 색상의 이탈리아 국기


1946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된 국기. 빨강과 초록의 색조가 약간 다르다.


녹색, 흰색, 빨간색 연기를 내뿜는 이탈리아 공군 아크로팀(Frecce Tricolori), 로마의 조국 제단(Altare della Patria) 상공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세로:가로 비율은 2:3이지만, 군용기는 정사각형(1:1)이다.

3. 1. 색상 규격

이탈리아 국기의 색상은 1947년 12월 27일자 특별호 ''가제타 우피치알레(이탈리아 공보)'' 제298호에 발표되어 1948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75] 제12조에 명시되어 있다.

녹색, 흰색, 빨간색의 색조는 다음 공식 문서에서 처음으로 명시되었다.[77]

  • 2002년 9월 18일자 이탈리아 국무총리실 국무차관의 공문;
  • 2003년 1월 17일자 국무총리실 국무장관의 공문;


이후 다음 문서들이 이전 문서들을 대체했다.[77]

  • 2004년 6월 2일자 총리실 제 EU 3.3.1 / 14545/1호 공문;
  • 2006년 4월 14일자 국무총리령, "공직자 간 의례 및 서열에 관한 일반 조항"


폴리에스터 스타미나의 세 가지 색상의 색상은 2006년 4월 14일 국무총리령 "의례 및 공직자 간 서열에 관한 일반 조항"의 부록 "총리실 - 국무의례부" 제2장 "의례에 관한 일반 조항"의 제5절 "공화국 국기, 국가, 국경일 및 국장"의 제31조 제1항 "공화국 국기 색상 정의"에 명시되어 있으며, ''이탈리아 공보'' 2006년 7월 28일자 제174호에 게재되었다.

2002년 9월 18일 및 2003년 1월 17일자 총리실 차관 통달에서 국기에 사용되는 녹색, 흰색, 적색의 색조에 대해 팬톤 색상 번호에 의한 규격화가 처음으로 이루어졌다.[129] 2004년 6월 2일자 총리실 차관 통달 및 2006년 4월 14일자 총리령에 따라 녹색, 흰색, 적색의 색조는 현재의 팬톤 색상 번호로 개정되었다.[129]

설명번호RGBCMYKHSV16진수
style="background:#008C45"|[https://www.pantone.com/color-finder/17-6153-TCX Fern Green]17-6153 TCX0, 140, 69100%, 0%, 51%, 45%150°, 100%, 55%#008C45
style="background:#F4F5F0"|[https://www.pantone.com/color-finder/11-0601-TCX Bright White]11-0601 TCX244, 245, 2400%, 0%, 2%, 4%72°, 2%, 96%#F4F5F0
style="background:#CD212A"|[https://www.pantone.com/color-finder/18-1662-TCX Flame Scarlet]18-1662 TCX205, 33, 420%, 84%, 80%, 20%357°, 84%, 80%#CD212A


4. 다른 이탈리아 공식 기

이탈리아 해군기는 이탈리아 해군의 문장이 새겨진 국기를 포함한다. 상선(그리고 바다의 일반 시민)은 성벽 크라운과 복음을 펼친 사자가 없고, 대신 칼 대신 PAX TIBI MARCE EVANGELISTA MEVS라는 비문이 새겨진 문장을 사용하는 민간기로 구분된다.[66] 방패는 베네치아, 제노바, 아말피, 피사의 ''레푸블리케 마리나레''를 상징한다.[67]

2003년 비상업적 정부 서비스에 종사하는 비군사 선박을 위해 특별히 국가 깃발이 만들어졌는데, 이탈리아 삼색기에 이탈리아 국장이 새겨져 있다.[72]

4. 1. 고위 공공기관 기

이탈리아 대통령기는 1802년부터 1805년까지 존속했던 이탈리아 공화국의 기에서 유래했으며, 파란색 테두리에 금색 이탈리아 국장이 배치된 형태이다. 이 파란색은 공군, 카라비니에리군, 육군, 해군으로 구성되고 대통령이 통수권을 가지는 이탈리아군을 상징하는 사보이아 파란색이다.[63]

1965년, 국방부 주도로 국가원수를 위한 다른 깃발을 제정하는 계획이 추진되었다. 트리콜로레에 국장을 배치하는 제안도 있었지만, 멕시코 대통령기(멕시코 국기와 같은 디자인)와 혼동될 수 있다는 이유로 기각되었다. 대통령기는 카라비니에리(국가헌병대)에 소속된 콜라치엘리(대통령 의장대) 사령관이 관리하고 있다.

이탈리아 공화국 헌법에는 부통령에 관한 규정은 없지만, 헌법 86조 규정에 따라 대통령의 직무를 대행하는 상원의장(임시 국가원수)의 깃발이 1986년에 제정되었다. 이 깃발은 푸른 바탕에 흰색 사각형을 놓고, 은색 국장을 배치한 정사각형 깃발이다.

2001년에는 전직 대통령의 깃발도 제정되었다. 대통령기에 준하는 디자인으로, 대통령 경험자에 대한 의례를 보여주는 장식이 추가되었다.

이탈리아 공화국 임시 국가원수기

4. 2. 해상기

멕시코의 국기와 구별하기 위해 이탈리아 국기의 하얀색 부분 가운데에 상징표를 넣은 해상기를 사용한다.[92]

이탈리아의 해상기
깃발설명
--해군군함기는 국기에 해군의 문장을 배치한 것이다. 문장의 방패는 4등분되어 있으며, 베네치아(왼쪽 위 사자), 제노바(오른쪽 위), 아말피(왼쪽 아래), 피사(오른쪽 아래) 등 해상권을 장악하여 번영했던 4개의 해양 공화국을 상징한다. 성벽관은 이탈리아 해군의 기원을 로마 제국과 연결짓기 위해 카바냐리 제독이 1939년에 추가했다.[67]
--상선기(시민용 해상기)는 군함기와 비슷하나, 성벽관이 없고 베네치아 문장의 사자가 칼 대신 PAX TIBI MARCE EVANGELISTA MEVS(나의 복음서 저자 마르코여, 너에게 평화를)라고 새겨진 책을 들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66]
--관선기는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장이 가운데에 있다.


5. 옛 깃발

1797년 프랑스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영향을 받아 이탈리아 북부에 수립된 치스파다나 공화국에서 초록, 하양, 빨강이 들어간 기를 최초로 사용했다.[2] 1798년에 수립된 치살피나 공화국, 1802년에 수립된 이탈리아 공화국, 1805년에 수립된 이탈리아 왕국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가 사용되었다. 이들 기는 181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퇴위할 때까지 사용되었다.

1848년 혁명 시대에 초록, 하양, 빨강이 들어간 기는 이탈리아의 통일 운동인 리소르지멘토(Risorgimento)를 상징하며, 이탈리아의 자유와 독립을 상징하는 기로 널리 사용되었다.

깃발사용 기간국가비고
--697년-1797년베네치아 공화국
--958년-1137년아말피 공국
--961년-1574년몬페라토 변경백국
--11세기-1406년피사 공화국
--1115년-1532년피렌체 공화국
--1130년-1816년시칠리아 왕국
--1264년-1597년페라라 공국
--1282년-1799년, 1799년-1816년나폴리 왕국
--1395년-1447년, 1450년-1797년밀라노 공국
--1398년-1805년피옴비노 후국
--1416년-1792년, 1814년-1847년사보이아 공국
--1447년-1450년황금 암브로시아 공화국
--1452년-1796년, 1814년-1859년모데나 레조 공국
--1452년-1796년, 1814년-1859년모데나 레조 공국
--1530년-1708년만토바 공국
--1532년-1569년피렌체 공국
--1545년-1802년, 1814년-1859년파르마 공국
--1569년-1801년, 1815년-1859년토스카나 대공국
--1796년-1797년치스파다나 공화국
--1797년-1802년치살피나 공화국
--1801년-1807년에트루리아 왕국
--1802년-1805년나폴레옹 점령기 이탈리아 공화국
--1805년-1814년나폴레옹 점령기 이탈리아 왕국
--1815년-1866년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1816년-1861년양시칠리아 왕국
--1816년-1848년사르데냐 왕국
--1849년로마 공화국
--1849년로마 공화국군기
--1849년-1919년오스트리아 연해 지대
--1860년양시칠리아 왕국


6. 유사한 국기

이탈리아 국기는 프랑스 삼색기에서 유래한 국기 계열에 속하며, 색상 배열이 같기 때문에 멕시코 국기와 비슷해 보이지만, 사용되는 색조가 다르다. 이탈리아 삼색기는 더 밝은 녹색과 빨간색을 사용하며, 가로세로 비율도 멕시코 국기(4:7)와 달리 2:3이다.[113]

아일랜드 국기도 이탈리아 국기와 매우 유사하지만, 빨간색 대신 주황색을 사용하고(두 국기에 사용되는 색조는 매우 유사함),[114] 가로세로 비율이 1:2로 다르다.

헝가리 국기는 이탈리아 국기와 같은 색상을 사용하지만, 빨강, 흰색, 녹색 삼색기가 가로로 배열되어 있다.

7. 상징적 의미

이탈리아 국기의 세 가지 색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가장 일반적인 해석은 다음과 같다.[104][105]

색상의미
녹색초원과 지중해 마키
흰색알프스의 눈
빨간색이탈리아 통일 전쟁에서 흘린 피



종교적인 해석으로는, 이탈리아 국기의 세 가지 색깔은 삼덕을 상징한다.[106]

색상의미
녹색희망
흰색믿음
빨간색자애(사랑)



나폴레옹 시대에는 녹색은 희망, 흰색은 믿음, 빨간색은 사랑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초기 이탈리아 삼색 콕케이드에서 녹색은 자연법 즉, 사회적 평등자유를 상징했다.[9]

8. 법적 보호

이탈리아 형법 제292조는 이탈리아 국기를 모욕하는 행위를 처벌한다.[103] 국기나 국가색을 띤 깃발을 모욕적인 표현으로 비방하면 1000EUR에서 5000EUR의 벌금에 처해진다. 공개적인 장소나 공식 행사에서 같은 행위를 하면 벌금이 5000EUR에서 10000EUR로 늘어난다.[103]

국기를 공개적이고 의도적으로 파괴, 분산, 손상, 훼손 또는 더럽히는 행위는 최대 2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다.[103] 형법상 국기는 국가의 공식 깃발뿐만 아니라 국가색을 띤 다른 모든 깃발을 의미한다.[103]

9. 게양 및 관리

이탈리아 국기는 모든 수준의 학교, 대학 캠퍼스, 투표소, 도지사 관저, 경찰서, 법원, 중앙 우체국 외부에 게양되어야 한다.[95][96] 또한 삼색기의 날(Tricolour Day)(1월 7일), 라테라노 조약(Lateran Treaty) 기념일(2월 11일), 해방기념일(Liberation Day (Italy))(4월 25일), 노동절(Labour Day)(5월 1일), 유럽의 날(Europe Day)(5월 9일), 이탈리아 공화국 기념일(Festa della Repubblica)(6월 2일), 나폴리 4일간의 사건(Four days of Naples) 기념일(9월 28일), 이탈리아 수호성인(성 프란치스코(Francis of Assisi)) 축일(10월 4일), 유엔의 날(United Nations Day)(10월 24일; 이때는 삼색기와 유엔기(flag of the United Nations)를 함께 게양해야 함), 그리고 국가 통일 및 군대의 날(National Unity and Armed Forces Day)(11월 4일)과 같은 공공 기념일에도 게양되어야 한다.[76]

다른 국기와 함께 게양될 때는 이탈리아 국기가 가장 영예로운 위치를 차지하며, 가장 먼저 게양되고 가장 나중에 내려진다. 다른 국기(national flag)들은 알파벳 순서대로 배열되어야 한다. 두 개 이상의 국기가 함께 게양될 경우, 이탈리아 국기는 오른쪽(관찰자의 왼쪽)에 배치되어야 하며, 세 개의 국기가 일렬로 게양될 경우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유럽 연합기도 정부 청사에서 매일 게양된다. 회원국에 속한 외국 방문객이 있을 경우에는 이탈리아 국기보다 우선한다. 조기를 게양할 때는 외부에 게양된 국기를 반기(half-mast)로 내리고, 그 외에 게양된 국기에는 검은 리본 두 개를 달 수 있다.[97]

삼색기는 항상 완벽한 상태로 완전히 펼쳐져 있어야 하며, 물이나 땅에 닿아서는 안 된다.[76] 어떠한 경우에도 천에 그림이나 글씨를 쓰거나 인쇄해서는 안 된다.[98] 또한, 이탈리아 국기는 단순한 장식이나 테이블 커버, 커튼과 같은 일반적인 천으로 사용할 수 없다.[99]

공개적인 애도 행사 시에는 국기를 반기로 게양할 수 있으며, 검은색 벨벳 조각 두 개를 천에 부착할 수 있다. 삼색기가 장례식에 사용될 때는 검은색 벨벳 조각 부착이 의무적이다.[100] 공개 행사에서는 삼색기가 항상 맨 앞에서 행진해야 한다.[101]

이탈리아 국기를 정확하게 접는 방법은 깃발을 구성하는 세 개의 수직 띠를 고려하는 것이다.[102]

이탈리아 국기를 올바르게 접는 방법을 보여주는 이미지(시계 방향)


깃발은 색 띠의 경계에 따라 접어야 한다. 먼저 빨간색 띠를 접고 그 위에 녹색 띠를 접어 흰색 띠만 보이도록 한 다음, 빨간색과 흰색을 녹색으로 완전히 덮어 녹색만 보이도록 접어야 한다. 즉, 깃발을 접었을 때 유일하게 보이는 색깔은 녹색이어야 한다.[100][101][102]

10.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과 이탈리아는 1884년 수교 이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이탈리아는 의료지원단을 파견하여 대한민국을 지원하였다. 양국은 정치,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와 협력을 증진하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는 주요 7개국(G7) 및 유럽연합(EU) 회원국으로서 국제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탈리아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양국 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고,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참조

[1] 문서 Costituzione della Repubblica Italiana Art. 12 Gazzetta Ufficiale 1947-12-22
[2] 웹사이트 Le drapeau français – Présidence de la République http://www.elysee.fr[...] 2013-02-13
[3] 웹사이트 Otto mesi prima di Reggio il tricolore era già una realtà http://www.radiomarc[...] 2016-01-14
[4] 웹사이트 I simboli della Repubblica http://www.quirinale[...] 2016-01-14
[5] 서적 Giovani del terzo millennio https://books.google[...] Armando Editore 2017-03-09
[6] 웹사이트 Il verde no, perché è il colore del re. Così la Francia ha scelto la bandiera blu, bianca e rossa ispirandosi all'America http://www.italiaogg[...] 2017-03-09
[7] 논문 La vera origine del tricolore italiano http://www.risorgime[...] 2019-09-22
[8] 논문 La vera origine del tricolore italiano http://www.risorgime[...] 2019-09-22
[9] 웹사이트 I valori – Il Tricolore http://www.150anni.i[...] 2017-05-03
[10] 웹사이트 Mostra Giovan Battista De Rolandis e il Tricolore https://web.archive.[...] 2017-08-20
[11] 논문 La vera origine del tricolore italiano http://www.risorgime[...] 2019-09-22
[12] 서적 Libro familiare di me sacerdote ed avvocato Giovanni Francesco Damilano 1775–1802 Fondo Adriani, Historical Archive of the City of Cherasco
[13] 웹사이트 L'Esercito del primo Tricolore http://www.difesa.it[...] 2017-03-08
[14] 웹사이트 Il significato dei tre colori della nostra Bandiera Nazionale http://www.radiomarc[...] 2017-08-20
[15] 웹사이트 Les Italiens dans l'Armée napoléonienne: Des légions aux Armées de la République italienne et du Royaume d'Italie http://www.napoleon-[...] Centre d'études napoléoniennes 2009-05-13
[16] 웹사이트 The tri-coloured standard http://www.esteri.it[...]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08-10-05
[17] 문서 Verbale della Sessione XIV del Congresso Cispadano 1797-01-07
[18] 웹사이트 Bologna, 28 ottobre 1796: Nascita della Bandiera Nazionale Italiana http://www.radiomarc[...] 2016-01-14
[19] 웹사이트 facsimile of the 1922 English translation http://www.gutenberg[...] Project Gutenberg 2008-10-05
[20] 서적 Il tricolore italiano (1796–1870) Anonima per l'Arte della Stampa 1932-07-01
[21] 문서 Unidentified source
[22] 문서 Unidentified source
[23] 웹사이트 Il corbezzolo simbolo dell'Unità d'Italia. Una specie che resiste agli incendi http://www.altovaste[...] 2011-10-03
[24] 문서 Unidentified source
[25] 서적 Movements in European Histo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문서 Unidentified source
[27] 문서 Statuto Albertino Art. 77 1848-03-04
[28] 서적 Movements in European History
[29] 문서 Unidentified source
[30] 논문 Margaret Fuller's Roman Diary 1940-06-01
[31] 웹사이트 1860 – La nuova bandiera dei Corpi di Fanteria e Cavalleria http://www.difesa.it[...] Ministero della Difesa 2013-01-19
[32] 문서 Unidentified source
[33] 문서 Unidentified source
[34] 웹사이트 Storia minima della bandiera italiana – 2 http://www.cisv.it/a[...] 2017-02-28
[35] 웹사이트 States and Regents of the World – Central Italy 1859–1860 https://web.archive.[...] 2017-02-28
[36] 웹사이트 Museo centrale del Risorgimento – Complesso del Vittoriano http://www.romartgui[...] 2016-03-07
[37] 웹사이트 Regno di Sardegna, Regno d'Italia, Repubblica Italiana http://www.sunuraghe[...] 2013-03-19
[38] 법률 Regio decreto n. 2072 del 24 settembre 1923, convertito nella legge n. 2264 del 24 dicembre 1923
[39] 웹사이트 Storia della bandiera italiana http://www.radiomarc[...] 2016-01-14
[40] 웹사이트 Il Giornale di Vicenza.it – Dossier – Vicenza – Italia 150° – 3 – Bandiera invece del gonfalone. Vicenza è l'unica città d'Italia http://www.ilgiornal[...] 2016-01-14
[41] 웹사이트 La bandiera fatta a pezzi (per salvarla dal nemico) http://www.corriere.[...] 2017-02-10
[42] 뉴스 Giorni del tricolore Oliosi festeggia la sua bandiera http://www.larena.it[...] 2015-02-04
[43] 웹사이트 La bandiera fatta a pezzi (per salvarla dal nemico) Il vessillo di Oliosi a Roma con i tricolori storici http://www.corriere.[...] 2015-02-04
[44] 뉴스 Giosue Carducci Italian poet https://www.britanni[...] 2017-08-22
[45] 웹사이트 150 anni di D'Annunzio, l'ideatore dello scudetto sulle maglie da gioco https://www.fantagaz[...] 2016-02-19
[46] 웹사이트 "L'ultimo giorno del Re": 120 anni dopo Monza rivive l'attentato a Umberto I https://milano.corri[...] 2020-07-15
[47] 서적 The Force of Destiny. A History of Italy Since 1796 Allen Lane 2007
[48] 웹사이트 Il 1861 e le quattro Guerre per l'Indipendenza (1848–1918) http://www.piacenzap[...] 2015-03-06
[49] 웹사이트 La Grande Guerra nei manifesti italiani dell'epoca http://www.benicultu[...]
[50] 서적 Il Manuale di Storia in Italia, di Piergiovanni Genovesi https://books.google[...] FrancoAngeli 2009-06-11
[51] 문서 Soldati di terra e di mare! [...] A voi la gloria di piantare il Tricolore d'Italia su i termini sacri che natura pose a confine della Patria nostra, a voi la gloria di compiere, finalmente, l'opera con tanto eroismo iniziata dai nostri padri.
[52] 문서 Le nostre truppe hanno occupato Trento e sono sbarcate a Trieste. Il tricolore sventola sul castello del Buonconsiglio e sulla torre di San Giusto
[53] 서적 Italy and its Monarchy Yale University Press 1989
[54] 서적 The sacralization of politics in fascist Ita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6
[55] 웹사이트 I dirigibili, il tricolore e la tenda rossa: il Polo Nord di Umberto Nobile, pilota aristocratico http://www.repubblic[...] 2016-05-13
[56] 법률 Foggia della bandiera nazionale e della bandiera di combattimento delle Forze Armate decreto legislativo del Duce della Repubblica Sociale Italiana e Capo del Governo n. 141 del 28 gennaio 1944, XXII EF (GU 107 del 6 maggio 1944 XXII EF)
[57] 문서 Con il tricolore d'Italia risorse la Patria e si affermò la democrazia repubblicana che oggi unisce pacificamente gli italiani tutti.
[58] 법률 Croatian Official Gazette No. 65/1991 and No. 27/1992
[59] 법률 Croatian Official Gazette No. 15/1997
[60] 법률 Official Gazette of the Italian Republic No. 104 of 7 May 1998
[61] 웹사이트 La Repubblica italiana | Treccani, il portale del sapere http://www.treccani.[...] Treccani.it
[62] 웹사이트 Treaty of Peace with Italy – Paris, 10 February 1947 http://www.istrianet[...]
[63] 웹사이트 2 giugno. Ricordo di un galantuomo: Umberto II di Savoia, ultimo Re d'Italia https://www.cristina[...]
[64] 문서 Il tricolore non è abbassato, non sarà abbassato. Esso è stato ribenedetto, riconsacrato dalla insurrezione dei patrioti, dal sangue dei partigiani e dei soldati d'Italia combattenti contro il nazi-fascismo nella nuova lotta di liberazione.
[65] 웹사이트 Vittori porta nello Spazio il tricolore http://www.asi.it/it[...]
[66] 법률 Decreto legislativo del capo provvisorio dello stato n. 1305 del 9 novembre 1947 (GU 275 del 29 novembre 1947)
[67] 웹사이트 La Bandiera della Marina Militare http://www.marina.di[...]
[68] 웹사이트 1950–1958. In Somalia per l'AFIS: la prima missione di pace http://www.carabinie[...]
[69] 법률 Celebrazione nazionale del bicentenario della prima bandiera nazionale Legge n. 671 del 31 dicembre 1996 http://www.parlament[...]
[70] 법률 Article 1 of the law n. 671 of 31 December 1996 ("National celebration of the bicentenary of the first national flag")
[71] 문서 null null
[72] 법률 Ratifica ed esecuzione del Memorandum di Intesa tra il Ministero della difesa della Repubblica italiana e il Comando Supremo delle Forze Alleate in Atlantico riguardo alla bandiera dell’unità per ricerche costiere della NATO http://legxiv.camera[...] 2003-10-24
[73] 법률 Article 1 of the law n. 222 of 23 November 2012 null 2012-11-23
[74] 웹사이트 Verbali del Consiglio dei Ministri della Repubblica Sociale Italiana settembre 1943 – aprile 1945/24 novembre 1943 https://it.wikisourc[...] 2019-09-29
[75] 웹사이트 La Costituzione della Repubblica Italiana http://www.governo.i[...] 2016-01-14
[76] 웹사이트 Il tricolore http://www.radiomarc[...] 2016-03-22
[77] 웹사이트 Dopo 206 anni codificati i toni del nostro simbolo nazionale http://www.radiomarc[...] 2020-06-13
[78] 법률 Stendardo de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http://www.gazzettau[...] 2000-10-09
[79] 법률 Decreto de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del 9 ottobre 2000 http://gazzette.comu[...] 2000-10-09
[80] 법률 Foggia ed uso dell'emblema dello Stato http://www.infoleges[...] 1948-05-05
[81] 웹사이트 Lo Stendardo presidenziale http://www.quirinale[...] 2017-03-04
[82] 서적 Flags and arms across the world https://archive.org/[...] McGraw-Hill 1980
[83] 웹사이트 I Simboli della Repubblica – the Standard http://www.quirinale[...] 2017-12-26
[84] 웹사이트 Previous Presidential Standard (1965–1990,1992–2000) https://flagspot.net[...] 2017-12-26
[85] 문서 Foglio d'ordini del 11 febbraio 1948 null 1948-02-11
[86] 문서 Foglio d'ordini n. 76 del 22 settembre 1965; Decreto de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del 22 marzo 1990 e del 29 giugno 1992 null 1965-09-22
[87] 웹사이트 Lo Stendardo Presidenziale http://www.carabinie[...] 2008-10-05
[88] 문서 null null
[89] 법률 Insegna distintiva degli ex Presidenti della Repubblica http://gazzette.comu[...] 2001-05-17
[90] 법률 Decreto de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n. 19/N del 14 ottobre 1986 null 1986-10-14
[91] 웹사이트 presidenza.governo.it – Bandiera.pdf http://presidenza.go[...] 2019-09-23
[92] 웹사이트 La bandiera Italiana http://www.radiomarc[...] 2016-02-17
[93] 법률 Regio decreto del 22 aprile 1879 null 1879-04-22
[94] 법률 Disposizioni generali sull'uso della bandiera della Repubblica italiana e di quella dell'Unione europea http://www.parlament[...] 1998-02-05
[95] 법률 Decreto del presidente della Repubblica 7 aprile 2000, n. 121, articolo 6 null 2000-04-07
[96] 법률 Legge 5 febbraio 1998, n. 22 null 1998-02-05
[97] 웹사이트 The Rules of Protocol regarding national holidays and the use of the Italian flag http://www.governo.i[...] 2008-10-05
[98] 법률 art. 5, comma 2, D.P.R. 7 April 2000, n. 121 null 2000-04-07
[99] 법률 art. 5, comma 1, D.P.R. 7 aprile 2000, n. 121 null 2000-04-07
[100] 웹사이트 Schemi di esposizione della bandiera italiana – Le "istruzioni per l'uso" sono leggi dello Stato – Come si espone – COME SI ESPONGONO LE BANDIERE. La storia del Tricolore http://www.radiomarc[...] 2017-02-09
[101] 웹사이트 Corriere della Sera – Come si piega la bandiera http://www.corriere.[...] 2017-02-09
[102] 웹사이트 Come si piega la bandiera tricolore? http://www.associazi[...] 2017-02-09
[103] 법률 null null
[104] 웹사이트 Il significato dei tre colori della nostra Bandiera Nazionale http://www.radiomarc[...] 2018-08-20
[105] 웹사이트 Perché la bandiera italiana è verde bianca rossa https://www.lettera4[...] 2018-08-20
[106] 웹사이트 Dal discorso di Giosuè Carducci, tenuto il 7 gennaio 1897 a Reggio Emilia per celebrare il 1° centenario della nascita del Tricolore http://www.radiomarc[...] Comitato Guglielmo Marconi International 2008-10-05
[107] 웹사이트 7 gennaio, ecco la festa del Tricolore http://www.municipio[...] 2017-02-11
[108] 웹사이트 Al via al Quirinale le celebrazioni per il 2 giugno con il Cambio della Guardia d'onore http://www.aostasera[...] 2016-01-21
[109] 웹사이트 Il Sacrario delle Bandiere al Vittoriano http://www.marina.di[...] 2017-02-19
[110] 웹사이트 SIAS – Sistema Informativo degli Archivi di Stato https://web.archive.[...] 2017-03-04
[111] 웹사이트 Sardegna Cultura – Luoghi della cultura – Musei http://www.sardegnac[...] 2017-03-04
[112] 웹사이트 Origini della bandiera tricolore italiana http://elearning.uni[...] 2017-03-02
[113] 웹사이트 Bandiera Messico https://web.archive.[...] 2016-02-17
[114] 웹사이트 Bandiera Irlanda http://www.bandiere-[...] 2016-02-17
[115] 웹사이트 210 anni di Tricolore http://www.legioprae[...] 2017-05-04
[116] 웹사이트 Cartoline dal Risorgimento https://web.archive.[...] 2016-02-14
[117] 웹사이트 Il 26 aprile 1859 http://www.artesuart[...] 2017-05-04
[118] 웹사이트 Giacomo Balla. Interventismo 1915–2015 http://www.arte.it/c[...] 2016-02-18
[119] 문서 Tricolore le Insegne e il Vessillo
[120] 웹사이트 La bandiera dei tre colori (con file audio) https://web.archive.[...] 2016-02-11
[121] 문서 La bandiera dei tre colori
[122] 웹사이트 Inno di Garibaldi http://ingeb.org/son[...] 2016-02-12
[123] 웹사이트 Graziano Romani – Tre Colori http://www.ilpopolod[...] 2016-02-18
[124] 문서 Dall'Alpi allo Stretto
[125] 문서 Il bianco l'é la fede che ci incatena
[126] 문서 Noi pure l'abbiamo la nostra bandiera
[127] 문서 I tre colori della tua bandiera non son tre regni ma l'Italia intera
[128] 문서 Sii benedetta!
[129] 웹사이트 Dopo 206 anni codificati i toni del nostro simbolo nazionale http://www.radiomarc[...] 2016-06-01
[130] 서적 Movements in Europea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