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기병연대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7기병연대는 1866년 미국 육군 정규군에 창설되어 아메리카 원주민 전쟁, 남북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다양한 전쟁에 참전했다. 특히 워시타 강 전투, 리틀 빅혼 전투, 운디드 니 학살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하여 부산 교두보 방어에 기여했다. 현재는 기갑 정찰 부대로 재편성되어 제1, 제2, 제3, 제4, 제5 대대가 각각 다른 사단에 배속되어 있으며, 다양한 대중 매체에서도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187보병연대 (미국)
제187보병연대는 "락카산"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미국 육군의 보병 연대로, 여러 주요 군사 작전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4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를 배출했고 현재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어 활약하고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65보병연대
푸에르토리코 출신 군인들로 구성된 미국 육군 제65보병연대는 1899년 창설되어 여러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한국 전쟁 중 집단 군사 재판을 겪기도 했으며, 2016년 미국 의회 금메달을 수여받았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187보병연대 (미국)
제187보병연대는 "락카산"이라는 별칭으로 알려진 미국 육군의 보병 연대로, 여러 주요 군사 작전에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4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를 배출했고 현재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어 활약하고 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75레인저연대
제75레인저연대는 미군의 정예 연대급 부대로, '레인저'라는 명칭은 정예부대의 상징으로 여겨져 각 전쟁마다 강인한 부대들에게 붙여졌으며, 주요 군사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공을 세웠고, 현대에는 신속한 deployment에 특화된 3개의 레인저 대대로 편성되어 있다.
제7기병연대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별칭 | 개리 오웬 (Garryowen) |
표어 | 제7연대는 선두에 있다 (The Seventh First) |
군가 | 개리 오웬 (Garryowen) |
군사 정보 | |
종류 | 기병, 장갑 기병 |
소속 | 미국 육군 |
창설일 | 1866년 9월 21일 |
국가 | 미국 |
현재 사령관 | 미상 |
주둔지 | 포트 카바조스, 텍사스 |
주요 참전 전투 | |
주요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앤드루 J. 스미스 대령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 제임스 W. 포사이스 대령 (후에 소장) 핼 무어 중장 애드나 R. 채피 주니어 준장 (후에 소장) |
기타 | |
부대장 | [[파일:7 Cav Rgt DUI.jpg|100px]] |
부대장 설명 | 연대 고유 부대장 |
2. 역사
제7기병연대는 1866년 창설되어 미국 남북 전쟁, 인디언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 미국의 주요 전쟁에 참전했다.
1866년 7월 28일, 미국 의회는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제7기병연대를 정규군으로 창설했으며, 9월 21일에 조직되었다.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용사이자 남북 전쟁 당시 테네시군에서 뛰어난 기병 지휘관이었던 앤드루 J. 스미스가 초대 연대장(대령)을 맡았고,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부연대장으로 임명되었다.
제7기병연대는 창설 초기 인디언 전쟁에 투입되어 수족 등 여러 원주민 부족과 전투를 벌였다. 1876년 리틀 빅혼 전투에서는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이끄는 부대가 전멸하기도 했지만, 연대는 이후에도 존속하여 운디드니 학살 등 여러 작전에 참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제7기병연대는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여 필리핀 레이테 섬 전투와 루손 섬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한국 전쟁에서는 낙동강 방어선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나,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제1기병사단 소속으로 참전하여 이아 드랭 전투 등에서 활약했다. 이후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도 참전했다.
제7기병연대의 주요 편성 및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1866년 7월 28일 | 정규군에 제7기병연대로 창설 |
1866년 9월 10일 | A 중대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조직 |
1866년 9월 21일 | 연대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조직 |
1883년 | 기병 중대가 공식적으로 부대로 지정 |
1917년 12월 | 제15기병사단에 배속 |
1918년 5월 | 제15기병사단 배속에서 해제 |
1921년 9월 13일 | 제1기병사단에 배속 |
1943년 11월 13일 | 정규군에서 제7기병연대 D 중대로 창설(HHT, 제4기병대대) |
1943년 12월 4일 | 기병대와 보병 편제 및 장비에 따라 부분적으로 개편, D 중대는 제1기병사단 특수 부대 본부 중대로 재지정 |
1945년 7월 25일 | 완전히 보병대로 재편성되었지만 기병대 지정을 유지 |
1949년 3월 25일 | 연대 병력은 중대로 재지정 |
1957년 10월 15일 | 제1기병사단 배속에서 해제 |
1957년 11월 1일 | 전투 병과 연대 시스템에 따라 모 연대로 재편성 및 재지정, 대대는 전투단으로 재지정 |
1960년 7월 1일 | 대한민국에서 해산(전 제1기병사단 본부 중대, 전 제7기병연대, D 중대) |
1960년 7월 2일 | 정규군에서 재창설, 제4정찰대대, 제7기병대대 본부 및 본부 중대와 통합 |
1963년 1월 25일 | 제4기병연대 본부 및 본부 중대로 재지정, 제2보병사단에 배속(HHT, 제4정찰대대) |
1963년 2월 20일 |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활성화(제4기병대대) |
1963년 9월 1일 | 제1대대, 제7기병연대로 재지정(제1전투단) |
1972년 8월 22일 | 텍사스주 포트 후드에서 해산(제1대대) |
1974년 6월 20일 | 텍사스주 포트 후드에서 활성화(제1대대) |
1986년 10월 16일 | 제1기병연대 제1기병대대로 재편성 및 재지정(제1대대) |
1988년 1월 18일 | 대한민국에서 해산, 제2보병사단 배속에서 해제(제4기병대대) |
1989년 2월 16일 | 전투 병과 연대 시스템에서 철수, 미국 육군 연대 시스템에 따라 재편성, 제4기병대대는 제3기갑사단에 배속되어 독일에서 활성화 |
1991년 10월 16일 | 독일에서 해산, 제3기갑사단 배속에서 해제(제4기병대대) |
1996년 4월 5일 | 제2정찰 중대와 통합, 제4기병연대 본부 및 본부 중대로 지정, 제2보병사단에 배속되어 대한민국에서 활성화(HHT, 제4기병대대) |
최근에는 대서양 결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유럽에 파병되기도 했다.
2. 1. 창설과 아메리카 원주민 전쟁 (1866년 ~ 1890년)
미국 남북 전쟁이 끝난 후, 정규 기병 연대의 병력은 전쟁과 질병으로 인해 감소했다. 1866년 7월 28일, 미국 의회는 기병 연대 4개를 추가로 승인했다.[2] 제7기병연대는 1866년 7월 28일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정규군으로 창설되었으며, 1866년 9월 21일에 조직되었다.[2]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용사이자 남북 전쟁 당시 테네시군에서 뛰어난 기병 지휘관이었던 앤드루 J. 스미스가 대령으로 진급하여 신설 연대의 지휘를 맡았다.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은 1866년 7월부터 연대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다.1868년 11월 26일, 와시타 강 전투가 벌어졌다. 커스터의 오세이지 정찰병들이 인디언 전쟁 부대의 흔적을 발견했고, 커스터의 부대는 밤이 될 때까지 이 흔적을 따라갔다. 그들은 블랙 케틀 추장의 마을까지 흔적을 따라갔고, 커스터는 부대를 4개 부대로 나누어 동이 트자 마을을 동시에 공격했다.[3] 제7기병연대는 연대 밴드가 개리원을 연주하며 돌격했고[4] 샤이엔족 전사들은 급히 오두막을 나와 나무 뒤와 깊은 계곡에서 엄폐했다. 제7기병연대는 곧 마을을 장악했지만, 남은 모든 저항을 진압하는 데는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6] 블랙 케틀과 그의 아내 메디신 우먼은 말을 타고 도망가다 뒤에서 총에 맞아 사망했다.[8][9]

1873년 6월 20일부터 9월 23일까지, 커스터는 제7기병연대 10개 중대를 이끌고 1873년 옐로스톤 원정에 나섰고, 이 기간 동안 수족 인디언들과 여러 차례 교전을 벌였다. 1873년 8월 4일, 혼징거 블러프 전투가 벌어졌다. 현재의 몬태나주 마일스 시티 근처에서, 제7기병연대의 말들이 풀을 뜯고 있을 때, 추장 레인-인-더-페이스가 이끄는 습격대가 그들을 향해 다가왔다. 커스터는 병사들에게 안장을 얹으라고 명령하고, 캘훈 중위, 그의 부관 윌리엄 W. 쿡 중위와 함께 이 무리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인디언들은 숲 속으로 후퇴했고, 그곳에는 100~300명의 숨겨진 병력이 기습 공격을 가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었다.

며칠 후, 1873년 8월 11일 아침, 제7기병연대는 현재의 몬태나주 커스터 근처 옐로스톤 강 북쪽에 야영하고 있었다. 이른 아침, 피스 바텀 전투가 시작되었는데, 시팅 불의 마을에서 온 전사들이 강 건너편에서 커스터의 야영지를 향해 사격을 가했다.
1876년 6월 25일, 리틀 빅혼 전투에서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지휘하던 제7기병연대 예하 1개 대대가 전멸했다.
1887년, 몬태나 주는 크로우족과 블랙풋 족 인디언 사이의 작은 전쟁이 벌어진 곳이었다. 크로우 사건에서 스워드 베어러와 그의 부하들은 윌리엄슨의 집 주위를 돌며 허공과 윌리엄슨의 발 근처 땅에 총을 쏘았고, 윌리엄슨은 포트 커스터에 있는 육군에 도움을 요청하는 전보를 보냈다. 1887년 11월 4일, 크로우 에이전시 전투가 벌어졌다.

1890년, 대평원의 인디언 부족들 사이에 유령 무용이라 불리는 현상이 퍼져나갔다. 스탠딩 록 인디언 보호구역 근처의 백인 정착민들은 유명한 라코타 족 추장 앉은 황소를 포함한 유령 무용 수행자들의 숫자에 불안감을 느꼈다. 1890년 12월 15일, 40명의 인디언 경찰이 앉은 황소를 체포하기 위해 그의 집에 도착했다. 그가 거부하자 경찰이 들이닥쳤고, 라코타 족인 캐치-더-베어가 소총을 발사하여 불헤드 중위를 맞혔다. 불헤드 중위는 앉은 황소를 가슴에 쏘는 것으로 대응했고, 경찰 레드 토마호크가 이어서 추장의 머리를 쏴 죽였다.
사무엘 화이트사이드 소령 휘하의 제7기병연대 분견대가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12월 28일에는 레드 클라우드의 무리와 포큐파인 버트 남서쪽에서 만나 파인 리지로 이동했다. 1890년 12월 29일 새벽, 운디드 니 학살이 벌어졌다. 포사이스는 무기 반납을 명령하고 라코타족을 "군사 작전 구역"에서 대기 중인 열차로 즉시 이동시켰다. 야영지 수색 과정에서 38정의 소총이 압수되었고, 군인들이 인디언들을 수색하면서 더 많은 소총이 압수되었다. 한 시간도 채 안 되어, 적어도 150명의 라코타족이 사망하고 50명이 부상당했다.[47]
1890년 12월 30일, 드렉셀 선교 전투가 벌어졌다.
미국-인디언 전쟁 중 제7기병연대 소속으로 총 45명이 명예 훈장을 받았다.[51]
명예 훈장 수훈자 | 전투 | 날짜 |
---|---|---|
닐 뱅크로프트 외 23명 | 리틀 빅혼 전투 | 1876년 6월 25–26일 |
에드워드 세틀 고드프리 외 1명 | 베어 포 전투 | 1877년 9월 30일 |
베른하르트 제터 외 1명 | 수족 작전 | 1890년 12월 |
윌리엄 G. 오스틴 외 16명 | 운디드 니 학살 및 화이트 클레이 크릭 | 1890년 12월 29–30일 |
2. 2. 남북 전쟁과 그 이후 (1861년 ~ 1916년)
미국 남북 전쟁이 끝날 무렵, 정규 기병 연대는 전쟁과 질병으로 병력이 크게 줄었다. 1866년 7월, 해산된 의용군 부대 병사들이 정규군에 입대하면서 병력 부족이 다소 완화되었다.[2] 그러나 워싱턴 D.C.에서는 육군이 정원을 채워도 모든 임무를 수행하기에는 규모가 작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육군은 재건을 위해 남부에 주둔할 병력이 필요했고, 서부에서 원주민과 싸우는 의용군 연대를 대체해야 했다. 이에 1866년 7월 28일, 미국 의회는 기병 연대 4개를 추가로 승인했다.[2]제7기병연대는 1866년 7월 28일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정규군으로 창설되었고, 1866년 9월 21일에 조직되었다. 멕시코-미국 전쟁 참전 용사이자 남북 전쟁 당시 테네시군에서 뛰어난 기병 지휘관이었던 앤드루 J. 스미스가 대령으로 진급하여 신설 연대의 지휘를 맡았다. 이후 스미스는 미국 육군에서 사임했고, 새뮤얼 D. 스터지스 대령이 1869년 5월 6일 연대 지휘를 맡았다.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은 1866년 7월부터 연대 부사령관으로 복무했다. 스미스와 스터지스는 주로 연대 행정 업무에 관여했고, 명목상 지휘관이었다. 반면 커스터는 원주민 부족과의 여러 작전과 남부 주 재건 임무에서 연대를 실질적으로 지휘했다.[2] 스터지스는 퇴역할 때까지 연대를 지휘했고, 제임스 W. 포사이스 대령이 1886년 6월 연대 지휘를 맡았다. 포사이스는 1890년 12월 논란이 많은 운디드 니 학살 당시 연대를 지휘했으며, 1894년 준장으로 진급하면서 연대를 떠났다.
이후 몇 년 동안 제7기병연대는 미국 서부에서 여러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다. 1874년 블랙 힐스 원정에서는 금을 찾기 위해 사우스다코타의 블랙 힐스 (수우족 등 많은 인디언들에게 신성한 곳)로 탐광자들을 호위했다. 1875년에는 옐로스톤강 계곡으로 철도 측량 팀을 호위하며 원주민 습격대와 끊임없이 접촉했다.[4] 커스터는 갈등을 막기 위해 인디언들과 식량을 나누려 했지만, 내무부 산하 스탠딩 록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거절당했다. 부패한 인디언 에이전트들은 원주민들에게 약속된 물품을 백인 정착민들에게 팔았고, 인디언들에게는 터무니없는 가격으로 판매했다.[4] 커스터는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의 형제 오르빌 그랜트가 범죄자임을 알게 되었고, 그랜트 대통령은 커스터 대령을 직위 해임했다.[4]
1895년부터 1899년까지 연대는 뉴멕시코 (포트 바야드)와 오클라호마 (포트 실)에서 복무했고, 1899년부터 1902년까지 쿠바 (캠프 콜럼비아)에서 해외 파병을 수행했다. 1896년부터 1897년까지 애리조나 준주 포트 그랜트에서 제7기병대 "B" 중대 소속으로 복무한 사병은 작가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였다.
연대는 1904년부터 1907년까지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필리핀에서 복무했으며, 1911년부터 1915년까지 두 번째로 파병되었다. 이곳에서 그들은 섬의 정글과 농촌 지역에서 필리핀 게릴라를 상대로 대 게릴라전을 수행했다.
미국으로 돌아온 연대는 다시 남서부에 주둔하여 애리조나주 (캠프 하비 J. 존스)에서 미국-멕시코 국경을 순찰했으며, 이후 1916년부터 1917년까지 멕시코 징벌 원정에 참여했다. 이 원정에서 제7기병연대는 게레로 전투에서 미국 "마지막 진정한 기병 돌격"으로 여겨지는 작전을 수행했다.[52] 제7기병연대에서 370명의 병력을 지휘하는 조지 A. 도드 대령은 판초 비야를 추격하기 위해 기병대를 이끌고 멕시코 치와와 주로 진입했다. 14일 만에 400마일을 행군한 도드의 지친 기병대는 1916년 3월 29일 비센테 게레로 마을에서 비야의 군대와 조우했다.
제7기병연대는 식량이 부족했고, 잘 방어된 마을과 전투를 벌여야 했다. 여러 출처에 따르면, 게레로에는 200명에서 500명 사이의 비야 군이 있었고, 마을 곳곳에 흩어져 있었다. 오전 8시가 되어서야 공격 명령이 내려졌다. 도드는 부대를 세 개의 분대로 나누어 비야 군의 탈출로를 차단하기 위해 돌격하여 마을을 포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미국인들이 돌격했을 때 세 지점에서 교전이 벌어졌다. 돌격 후 미국인들은 하차하여 도보로 멕시코인과 싸웠다. 게레로는 양쪽에 산으로 둘러싸여 마을을 포위하기 어려웠고, 비야 군은 이를 엄폐물로 사용했다. 또한 모든 탈출로를 막을 기병대가 충분하지 않아 대부분의 멕시코인, 심지어 판초 비야도 탈출했다. 비야 군의 일부는 말을 타고 계곡을 통해 동쪽으로 후퇴했다. 그들을 추격한 일부 미국 기병대는 10마일에 걸쳐 교전을 벌였다. 또 다른 멕시코 군은 멕시코 국기를 게양하며 카란시스타인 척하며 게레로에서 나왔고, 이들은 제7기병연대의 공격을 받지 않았다. 비야는 그의 친구인 엘리시오 에르난데스 장군과 55명의 사망자, 35명의 부상자를 잃었다. 미국군은 5시간의 전투에서 5명의 부상자를 냈다. 도드 대령과 그의 부대는 또한 36마리의 말과 노새, 두 정의 기관총, 많은 소형 화기 및 일부 군수품을 노획했다. 몇몇 사형 선고를 받은 카란시스타 포로들이 석방되었다.
초기에는 게레로 전투가 캠페인의 훌륭한 시작으로 여겨졌지만, 나중에 비야를 전투에서 생포할 수 있었던 가장 근접한 기회였기 때문에 실망스러운 결과로 판명되었다. 그러나 이 전투는 "퍼싱의 징벌 원정의 가장 성공적인 단일 교전"으로 여겨졌다. 후퇴 후 비야 군은 흩어졌고, 다음 3개월 동안 미국 군대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지 않았다. 비야 자신은 무릎 부상을 치료하면서 언덕에 숨어 있었다. 전투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비야는 계곡 끝에 야영을 하고 있다가 퍼싱 기병대가 지나가는 것을 보았다. 비야는 그들이 "잊혀진 사랑"을 부르는 것을 들었고, 이것이 미국인들이 반군에게 가장 가까이 다가간 마지막 순간이 되었다. 승리 소식이 미국에서 널리 퍼지면서 미국 상원은 도드 대령의 준장 진급을 승인했다.
1917년 12월, 미국의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8개월 후, 제7기병연대는 제15기병사단에 배속되었는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프랑스에서 복무하기 위해 고안된 서류상 조직이었으며, 단순한 사령부 이상이 아니었다. 이는 미국이 전쟁에 참전한 후 19개월 동안 제1차 세계 대전 서부 전선에서 기병 부대가 수행할 만한 중요한 역할이 없었기 때문이며, 1918년 11월 11일 독일과의 휴전이 발효되었다.[53] 제7기병연대는 1918년 5월에 이 임무에서 해제되었다.
1919년 6월 15일, 판초 비야는 미국과 마지막 전투를 벌였다. 시우다드 후아레스 전투에서 비야 군과 카란사 군은 엘파소, 텍사스에서 리오 그란데를 건너 남쪽에 있는 시우다드 후아레스에서 교전을 벌였다. 제7기병연대는 임시로 포트 블리스에 주둔하고 있다가 비야 저격수들이 제82야전포병연대의 미국 군인을 사살하고 부상시키자 전투에 대응했다. 제12보병연대, 제82야전포병, 제5기병연대, 제7기병연대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산타페 다리를 건너 멕시코로 신속하게 진입했다. 적을 향해 진격하면서 제7기병연대는 주력 부대의 측면을 엄호한 다음 포병 사격의 엄호 아래 비야 군을 돌격하여 격파했다.
제7기병연대의 주요 편성 및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다.
시기 | 내용 |
---|---|
1866년 7월 28일 | 정규군에 제7기병연대로 창설 |
1866년 9월 10일 | A 중대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조직 |
1866년 9월 21일 | 연대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조직 |
1883년 | 기병 중대가 공식적으로 부대로 지정 |
1917년 12월 | 제15기병사단에 배속 |
1918년 5월 | 제15기병사단 배속에서 해제 |
1921년 9월 13일 | 제1기병사단에 배속 |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1917년 ~ 1945년)
제7기병연대는 1921년 9월 13일 제1기병사단에 배속되어 1957년까지 유지되었다.[2] 제2차 세계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기 직전까지 기마 기병 훈련을 계속했으며, 1940년과 1941년에는 루이지애나주에서 여러 훈련 기동에 참여했다.[2]1941년 12월 7일, 일본 제국의 진주만 공격으로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제1기병사단의 기병들은 전쟁을 준비했고, 1943년에 배치 명령을 받았다. 제7기병연대는 말을 텍사스에 남겨두고 보병화되어 태평양 전선에 투입되었다.[2] 1943년 6월, 오스트레일리아로 이동하여 6개월 동안 정글전 훈련을 받았다.[2]
1944년 1월, 뉴기니 섬의 오로 만으로 이동했으나 예비대로 유지되었고, 이후 "브루어 임무부대"로 편성되어 아드미럴티 제도의 로스 네그로스 섬 전투에 투입되었다. 3월 4일, 제2대대, 제7기병연대가 도착하여 제5기병연대를 교대했다.[54] 일본군의 공격을 격퇴하고, M3 경전차와 105mm 곡사포 등의 지원을 받아 활주로를 점령했다.[55]
하우웨이 점령 작전에서 제2대대, 제7기병연대는 구축함과 제76비행대 키티호크의 지원을 받으며 일본군 벙커를 제압했다.[57][58][59][60] 마누스 섬에서는 제8기병연대가 로렌가우 비행장을 공격하는 동안, 제7기병연대는 루고스에 상륙하여 지역 방어를 맡았다.[62] 로섬 주변에서는 6일간의 전투 끝에 일본군 진지를 격퇴했다.[62] 아드미럴티 제도 전역은 1944년 5월 18일에 종료되었으며, 제7기병연대는 43명이 전사하고 17명이 부상당했다.[2]


1944년 10월 20일, 레이테 섬 상륙 작전이 시작되었다. 제7기병연대는 타클로반 비행장 점령을 위해 카타이산 반도로 진격하고, 산호세를 점령했다.[63] 타클로반 공격에서 일본군의 저항을 격파하고 도시를 점령했다.[64] 이후 사마르 섬 건너편의 산 후아니코 해협 확보 작전을 준비했다.[64] 바밧농에 상륙하여 지역을 확보하고, 카리가라를 공격하여 점령했다.[64] 섬의 중앙 산맥에서 제12기병연대를 교대하여 전투를 계속했다.[64] 1944년 12월 29일, 빌라바 마을을 점령하고 35명의 일본군을 사살했다.[64] 제77보병사단 병력에게 교대될 때까지 잔적 소탕 작전과 순찰을 수행했다.[64]
루손 섬과 남부 필리핀 탈환은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의 태평양 전쟁 절정이었다.[66] 1945년 1월 27일, 제7기병연대는 루손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링가옌 만에 상륙했다.[67] 김바로 진격 중 빌라시스에서 일본군의 매복 공격을 받았으나 격퇴했다.[68] 비행 열을 편성하여 마닐라로 진격하는 동안, 제7기병대는 도시 동쪽의 라 메사 유역 보호 구역 근처에서 일본군과 교전했다.[63]
와와 댐 전투에서 일본군 방어선을 돌파하고, 안티폴로 공격을 통해 3월 12일 제43 보병사단에게 교대될 때까지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63] 안티폴로 전투에서 제7기병대 B 중대 소속 캘빈 T. 루이스 일등병은 적 벙커를 격파한 공로로 사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63]
4월 20일, 제7기병연대는 케손 주 인판타 점령을 준비했다. 1945년 5월 6일, 산타 마리아 계곡을 통해 남쪽으로 이동하여 라몬 만으로 향했다.[70] 카파탈린 제재소에서 일본군의 저항을 격파하고 5월 13일에 라몬 만에 도착했다.[70] 5월 25일, 케손 주 인판타를 점령하고 주변 지역을 확보했다.[70] 1945년 6월 1일까지 루손 섬 남부 대부분을 확보했지만, 일본군의 저항은 계속되었다.[70]
루손 전투는 1945년 6월 30일에 공식적으로 종결되었고, 제7기병연대는 다운폴 작전인 일본 본토 침공을 준비했다.[70] 7월 20일, 완전히 보병 편제로 재편성되었으나 기병 연대로 지정되었다.[70]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 폭탄 투하로 일본의 항복이 강요되면서 침공은 중단되었다.[70] 1945년 9월 2일, 요코하마에 상륙하여 일본 점령 임무를 시작했다.[2] 9월 8일, 도쿄에 진입하여 주일본 미국 대사관과 맥아더 장군의 관저를 경비하는 임무를 맡았다.[2] 1949년 3월 25일, 새로운 조직표에 따라 재편되었다.[2]
2. 4. 한국 전쟁 (1950년 ~ 1953년)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에 주둔 중이던 제7기병연대는 한반도로 파견되어 조선인민군에 맞서 싸웠다. 제7기병연대는 제1기병사단의 일부로서, 낙동강 방어선 전투와 같은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다. 특히, 제1기병사단이 북쪽으로 진격할 때 항상 선두에 서서 24시간 이내에 적 전선을 넘어 106마일을 전진하는 놀라운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제7기병연대는 3개의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상했다.[2]그러나 1950년 7월 26일부터 7월 29일까지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이 발생했다. 서울에서 남동쪽으로 100마일 떨어진 노근리의 철도교 부근에서, 제7기병연대 제2대대 병사들이 한국인 피난민들을 학살한 것이다.[72] 당시 지휘관들은 피난민 행렬 속에 북한군 침투자가 숨어 있을 수 있다고 우려했고, 필요하다면 발포하라는 명령을 내렸다.[72] 이로 인해 제2-7기병연대의 병력과 장교들은 주로 여성과 어린이인 무고한 민간인들에게 발포하여 노근리 학살을 자행했다.[72]
2005년 대한민국 정부 조사 위원회는 이 사건으로 인해 노근리에서 사망한 150명, 실종 13명, 부상 55명의 이름을 확인했으며, 그 중 일부는 나중에 부상으로 사망했다.[73] 위원회는 다른 많은 피해자에 대한 보고서가 제출되지 않았다고 밝혔다.[73] 생존자들은 사망자 수가 400명에 가깝다고 주장한다.[74] 1999년 AP통신이 처음 사건에 대해 보도했고, 과거 제7연대에 소속되었던 퇴역 군인도 한국인 생존자의 증언을 뒷받침하는 증언을 했다.[102]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6.25 전쟁은 "종료"되었지만, 한국과 북한은 여전히 기술적으로 전쟁 상태에 있다.[2]
2. 5. 냉전 시대와 베트남 전쟁 (1954년 ~ 1975년)
미국은 냉전 시기에 제7기병연대를 주로 정찰 임무에 투입했다. 이들은 M14 소총, 패튼 전차, OH-13 헬리콥터 등 새로운 장비들을 지급받았다.[103]제1기병사단의 제3여단 소속으로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제1, 제2, 제5대대는 M16 소총, M1911A1 권총, M79 유탄 발사기 등으로 무장했다. 벨 UH-1 이로쿼이 "휴이" 헬리콥터의 도입으로 제1기병사단은 "공중 기동" 부대로 변모했다.[103] 특히 제1대대와 제2대대는 이아 드랭 전투에서 북베트남군과 격전을 벌였다. 이 전투는 베트남 전쟁에서 미군이 처음으로 대규모 교전을 치른 사례 중 하나였다.[103]
베트남 전쟁 기간 동안 제7기병연대에서는 7명의 명예 훈장 수훈자가 배출되었다.[103][104]
- 루이스 알바네제(en:Lewis Albanese) 일등병 (제5대대 B중대)
- 더글러스 B. 포넷(en:Douglas B. Fournet) 중위 (제1대대 B중대)
- 존 노블 홀콤(en:John Noble Holcomb) 하사관 (제2대대 D중대)
- 월터 조셉 마름 주니어(en:Walter Joseph Marm, Jr.) 소위 (제1대대 A중대)
- 윌리엄 D. 포트(en:William D. Port) 일등병 (제5대대 C중대)
- 헥토르 산티아고-콜론(en:Héctor Santiago-Colón) 특수병 (제5대대 B중대)
- 제임스 M. 스프레이베리(en:James M. Sprayberry) 중위 (제5대대 D중대)
한편, 제3 및 제4 정찰 대대는 각각 서독과 대한민국에 주둔했다.
2. 6.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 (1990년 ~ 2011년)
제1대대 및 제4대대는 1991년 1월부터 2월에 걸쳐 「사막의 폭풍」 작전에 참가했다.[80]월터 샤프 중령이 지휘한 제1대대는 제1기병사단의 사단 기병 대대로서 투입되었으며, 사단 항공 여단으로 임무가 규정되었다. 제1대대는 본부 소대, 2개의 지상 중대(A 중대, B 중대), 2개의 항공 중대(C 소대, D 중대)와, 포트 후드에서 비활성화되었던 제2기갑사단 제1기병연대 제2대대 A 중대가 E 중대의 잠정 명칭으로 파견 직전에 추가 배치되어 총 5개의 중대로 구성되었다. 「사막의 폭풍」 작전 직전까지, 제1대대는 동남아시아에 파견되어 있었다. 이라크 파견 후에는 이라크-사우디아라비아-쿠웨이트 국경 지대에서 각종 정찰 임무에 종사하는 한편, 제1기병사단의 선도 등을 맡았다. 1993년의 재편성 후에도, E 중대는 제1대대의 일부로서 존속했다. 1994년에는 기존의 E 중대가 C 중대로 개명되었고, 기존의 C 중대가 E 중대로 개명되었다.
테리 L. 터커(Terry L. Tucker) 중령이 지휘한 제4대대는 제3기갑사단의 사단 기병 대대로서 투입되어 페이즈 라인 불릿 전투에 참가했다. 대대는 1992년부터 제3기갑사단과 함께 비활성화되었다. 1996년, 제3대대는 한국의 캠프 펠럼(후에 캠프 개리 오웬으로 개명)에서, 비활성화된 제17기병연대 제5대대의 장비와 인원을 활용하여, 항공 여단으로서 재활성화되었다. 2006년에는 한국의 캠프 하비에서, 제2보병사단 제1중여단 전투단의 일부로서 재배치되었다.
2003년 3월 22일, 테리 페럴(Terry Ferrell) 중령이 이끄는 제3대대는 제3보병사단의 전방 정찰 부대로서, 「이라크 자유」 작전에 투입되어 많은 전투에 참여했다.
윌리엄 R. 샐터 중령(William R. Salter)을 지휘관으로 맞이한 제1대대는, 제1기병사단 제5여단 전투단의 일부로서 2004년 4월 1일부터 2005년 4월 1일까지 실시된 이라크 자유 작전 II(Operation Iraqi Freedom II)에 파견되어, 바그다드의 알 라시드 지구를 둘러싼 격전이나 Route Irish의 수비 임무에도 참가했다. 또한 2005년 1월에 실시된 민주 선거 때에는 제1대대가 경비를 담당했다. 제1대대는 이 작전 기간의 활약으로 공로 부대 표창을 받았다.
그 후, 제1대대는 케빈 S. 맥와터스 중령(Kevin S. MacWatters)의 지휘 하에 제1기병사단 제1여단에 무장 정찰 중대로서 배치되어, 2006년 10월 6일부터 2008년 1월 15일까지의 이라크 자유 작전 06-08에 파견되었다. 또한 바그다드 다국적 사단(Multi-National Division-Baghdad, MND-B)에도 참가하여, 타지 지구에 전개하여 급조 폭발물(IED) 및 차량 폭탄(VBIED)의 수색 및 제거에 종사했다.
제7연대 제2대대는 당초 제1기병사단 제3여단 전투단에 배치되었으나, 곧 제39여단 전투단으로 이동했다. 이라크 파견 당시 지휘관은 찰스 포시 중령(Charles Forshee)이었다. 이라크 파견 7주 만에 포시 중령은 해임되었고, 후임으로 제임스 유진 레이니(James Eugene Rainey) 중령이 파견되었다. 2004년 8월, 제2대대는 나자프 전투 (2004)에 종사하는 미 해병대 부대를 지원하기 위해 전선에 파견되었다. 11월, 팔루자 전투 당시, 제2대대는 다시 해병대를 지원했다.

그 후, 제2대대는 포트 블리스로 보내져 신설된 제4여단 전투단에 배치된다. 2006년 10월, 다시 이라크에 파견되어 모술에 전개했다.
2007년 12월, 미 본토로 돌아왔다. 2008년, 이라크 자유 작전 08-10의 지원 부대로 다시 이라크로 보내졌다. 대대는 아마라에 설치된 개리 오웬 전방 기지(FOB Garryowen)를 거점으로, 미산 주 북부 전역의 점령 임무에 종사했다. 이 기간 동안, 2004년 12월에 발생한 영국군 헌병 살해 사건의 범인을 쫓던 이라크 경찰의 수사에 협력하여, 용의자 체포 작전에도 참여했다. 2009년 1월 이라크 지방 선거에서의 보안 임무에도 종사하여, 실제로 몇몇 대규모 은닉 화기 집적소를 적발했다.
제7연대 제5대대는 1978년에 비활성화되었으나, 육군이 제창한 모듈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제3보병사단에서 추출된 3개 방공 포병 대대를 기반으로 재편성되어 2005년에 장갑 정찰 대대로 재배치되었다. 그 후, 지휘관으로 클리프 휠러 중령(Cliff Wheeler)을 맞이하여, 제1여단 전투단 예하 부대로서 라마디에 배치되었다. 2007년 4월, 제6해병연대 전투단의 지원 부대로서 라마디에서 하바니야 호(Habbaniyah) 남부, 그리고 팔루자를 통과하는 연락 도로 루트 아이언 동부까지의 소탕 작전에 종사했다. 화력 및 기동성이 우수했기 때문에, 제5대대는 소탕 작전에서 가장 넓은 담당 구역이 할당되었다. 그 후 제5대대는 8개월 동안, 현지 유지를 위해 보안 임무, 대반란 임무에 종사하여, 루트 미시간, 루트 아이언, 루트 산후안, 루트 골드 등의 연락 도로, 그리고 사크리위야(Saqliwiyah), 북 사크리위야, 아마리야(Amariyah), 파리스(Farris) 등의 마을의 안전을 확보·유지했다. 2007년 12월, 대대는 2개 해병 소총 대대와 교대하는 형태로 칼수 전방 기지(FOB Kalsu)의 제3보병사단 제2여단 전투단 예하로 이동한다. 그들은 그대로 사야피야의 마을에 대한 공격 및 소탕 작전에 대비하여 추가 훈련을 받게 된다. 제5대대는 미드 전초 지점을 설치하여, 이것을 거점으로 모든 주요 도로를 확보하고, 담당 작전 지역 내의 모든 건물 및 도로의 소탕을 실시했다. 2008년 3월에 이러한 임무를 완료하고, 4월에는 제187보병 "라카산스" 연대와 교대하는 형태로 미 본토의 포트 스튜어트에 보내졌다. 그 후 20개월 동안, 제5대대는 제1중여단 예하 부대로서, 민간 방위 지원 임무(Defense Support of Civil authorities, DSCA)의 일환으로 화학, 생물, 방사능, 핵, 폭발물 대책 임무(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Nuclear, Explosive Consequence Management Reaction Force, CCMRF)에 종사했다.
2. 7. 최근 역사 (2012년 ~ 현재)
2012년 11월, 제2대대 제7기병연대는 프랑스군이 이전에 주둔했던 타가브 전진기지와 나글루 고지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아프가니스탄 RC-East의 카피사 및 카불 지역에 배치되었다.[83] 2012년 9월부터 2013년 5월까지 제3기병대대 제7기병연대는 북부 지역 사령부(독일 에리히 페퍼 소장)의 마자르-이-샤리프에 위치한 마르말 기지에 배치되었다. 랜스 바니 중령의 지휘 아래, 기병대는 쿤두즈 지역에서 태스크 포스 개리 오웬으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83] 2013년 1월, 제5기병대대 제7기병연대는 아파치 전진기지에서 작전을 수행하며 칼라트 구, 자불 주,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었다.[83]


제1기병연대 제1대대는 2018년 5월부터 2019년 2월까지 대서양 결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텍사스주 포트 후드에서 유럽으로 파병되어 제1기병사단의 제1기갑여단 전투단에 배속되었다.[83] 제1대대는 해상, 철도를 통해 이동했으며, 유럽 전역에서 900km 이상을 이동하여 폴란드 Świętoszów에 사령부를 설치했다. 폴란드에서 머무는 동안, 제1대대는 폴란드 주최 측인 제10기갑기병여단과 협력 관계를 맺었다. 이 협력 관계는 제1대대가 2018년 11월 폴란드 Świeżoszów에서 독일 호헨펠스 훈련장으로 이동하여 연합 결의 XI를 지원할 때까지 지속되었다.[83]
제1대대가 파병 기간의 대부분을 폴란드 Świeżoszów에 사령부를 두고 있었지만, 다양한 나토 동맹국과 협력하기 위해 여러 부대가 유럽 전역으로 지속적으로 파견되었다. A 중대, C 중대, D 중대는 각각 파브라데 훈련장, 리투아니아; 헝가리 타타 및 바르팔로타, 헝가리; 그리고 슬로바키아 레스트에 파견되었다.[84][85][86] Świeżoszów에 남아 있던 B 중대를 포함한 각 중대는 파트너 국가와 합동 통합 화력 실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실사격 훈련에는 일반적으로 "적대적" 상황 훈련이 수반되었다. 제1대대는 폴란드 제10기갑기병여단, 리투아니아 기계화 보병 여단 "아이언 울프", 헝가리 육군 제5 및 제25 기계화 보병 여단, 그리고 슬로바키아 공화국 육군 제112 기계화 보병 대대와 협력했다.[87]
제1대대는 2018년 11월 연합 결의 XI에 참가하기 위해 독일 호헨펠스 훈련장으로 이동했다. 이 훈련에는 16개 나토 동맹국과 파트너 국가에서 5,500명 이상이 참가했다. 10일간의 적대적 훈련이 호헨펠스 훈련장에서 열렸으며, 16명의 모든 참가자가 아군 또는 반대 세력 (OPFOR)으로 활동했다. 제1대대는 2018년 12월 말 그라펜뵈어 훈련장으로 이동하여 2019년 1월 13일부터 25일까지 여단 실사격 훈련에 참여했다.[87] 제1대대는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재배치 작전을 수행했다.[87]
3. 구성
부대 | 예하 | 주둔지 |
---|---|---|
제1기병사단 제1여단전투단 | 포트 후드 | |
-- 제2전대 | 제1기병사단 제3여단전투단 | 포트 후드 |
![]() | 제3보병사단 제2여단전투단 | 포트 스튜어트 |
제4전대 | 제2보병사단 제1여단전투단 | 캠프 험프리스 |
제5전대 | 제3보병사단 제1여단전투단 | 포트 스튜어트 |
4. 대중 매체
- 1941년,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중령이 이끌던 제7기병연대 예하 부대가 수족 인디언과의 전투에서 전멸한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They Died with Their Boots On|그들은 부츠를 신은 채 죽었다영어》가 제작되었다.[39]
- 1956년 영화 7기병에서는 휴가를 마치고 돌아온 벤슨 대위(랜돌프 스콧)가 리틀 빅혼 전투 직후 부대원 절반이 사망한 것을 발견하고, 동료들로부터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경멸받는 이야기가 묘사된다.
- 미국 텔레비전 앤솔로지 시리즈 《환상특급》의 130번째 에피소드인 "제7기병대는 유령으로 구성된다"는 제7기병대를 주요 소재로 다루며, 1963년 12월 6일 CBS에서 방영되었다.
- 1965년 11월 이아 드랭 전투에서 제1, 2대대의 경험은 해럴드 G. 무어 중장과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 특파원 조셉 L. 갤러웨이의 저서 《우리는 한때 군인이었다...그리고 젊었다》에 묘사되었다. 이 책은 2002년 영화 《우리는 군인이었다》로 각색되었으며, 멜 깁슨이 무어 역, 배리 페퍼가 갤러웨이 역을 맡았다.
- 1991년 TV 미니시리즈 ''아침의 별 아들''은 조지 A. 커스터 중령의 생애와 제7기병대를 다루며, 리틀 빅혼 전투에서 제7기병대 5개 중대가 전멸하는 것으로 끝을 맺는다.
- 비틀즈의 애니메이션 영화 《옐로우 서브마린》에서는 링고 스타를 구출하는 장면에 제7기병대가 등장한다.
- 그래픽 노벨 《와치맨》에서는 등장인물 에이드리언 바이트가 요한 묵시록의 4기사를 암시하는 말로 제7기병대의 말을 사용한다.
-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의 주인공 네이선 올그렌 대위는 과거 제7기병연대 소속으로 리틀 빅혼 전투에 참전했으며, 상관이었던 커스터 중령을 싫어했다는 설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2]
웹사이트
7 Cavalry History
https://1cda.org/his[...]
[3]
간행물
Hoig 1980, p. 124
[4]
웹사이트
7th U.S. Cavalry Early History
http://www.us7thcava[...]
[5]
간행물
Greene 2004, p. 129
[6]
간행물
Greene 2004, pp 128–130
[7]
웹사이트
8. Osage and Sharpshooters
https://waba.oncell.[...]
[8]
간행물
Lewis, 2004, p. 231
[9]
웹사이트
National Park Service, 1999.
http://www.nps.gov/a[...]
[10]
간행물
Greene 2004, p. 126
[11]
간행물
Greene 2004, p. 128
[12]
간행물
Lubetkin, Clash on the Yellowstone, supra at 21
[13]
간행물
Lubetkin, Jay Cook's Gamble, supra at 247
[14]
간행물
Lubetkin, Jay Cooke's Gamble, supra, at 250
[15]
논문
The Inter-tribal Balance of Power on the Great Plains, 1760–1850.
1982-04
[16]
서적
Parading Through History: The making of the Crow Nation in America, 1805–1935
Cambridge
1995
[17]
간행물
Annual Report of the Commissioner of Indian Affairs, 1873
Washington
1874
[18]
간행물
Indian Affairs: Laws and Treaties
Washington
1904
[19]
웹사이트
Charles Braden
http://valor.militar[...]
2016-11-01
[20]
문서
Custer, George A., Official Report, 15 August 1873
[21]
웹사이트
Denver Public Library
https://dp.la/item/4[...]
[22]
웹사이트
Confirmed by one of his surviving Arikara scouts, Little Sioux
http://www.astonishe[...]
Astonisher.com
2012-03-15
[23]
웹사이트
Little Sioux's Story of the Battle of the Little Bighorn
http://www.astonishe[...]
Astonisher.com
2012-03-15
[24]
서적
Scalp Dance: Indian Warfare on the High Plains, 1865–1879.
Stackpole Books
1997
[25]
서적
Last Stand: Famous Battles Against the Odds.
Arms & Armour
1993
[26]
웹사이트
The official record of a court of inquiry convened at Chicago, Illinois, January 13, 1879, by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upon the request of Major Marcus A. Reno, 7th U.S. Cavalry, to investigate his conduct at the Battle of the Little Big Horn, June 25–26, 1876
http://digital.libra[...]
[27]
서적
Lakota Noon, the Indian narrative of Custer's defeat
Mountain Press
1997
[28]
서적
Parading Through History. The making of the Crow Nation in America, 1805–1935
Cambridge
1995
[29]
간행물
Annual Report of the Commissioner of Indian Affairs, 1873
Washington
1874
[30]
간행물
Brininstool, 60–62
[31]
간행물
Wooden Leg, Thomas B. Marquis (interpreter), A Warrior Who Fought Custer, p. 246|Sun Bear, "A Cheyenne Old Man", in Marquis, The Cheyennes of Montana, p. 86|Kate Big Head, Thomas B. Marquis (interpreter), She Watched Custer's Last Battle
[32]
간행물
Fox, pp. 10–13
[33]
서적
Pretty-shield: Medicine Woman of the Crows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32
[34]
웹사이트
Custer's Last Battle
http://ebooks.librar[...]
The Century Company
1892
[35]
뉴스
Northern Cheyenne break vow of silence
http://www.helenair.[...]
Helena Independent Record
2005-06-28
[36]
서적
The Flight of the Nez Perce
G. P. Putnam's Sons
[37]
웹사이트
Yellow Wolf: His Own Story
https://archive.org/[...]
Caxton Press (United States)
[38]
문서
Greene 2004
[39]
문서
Brown, p. 390
[40]
문서
Hampton, p. 296
[41]
문서
Josephy, p. 632
[42]
문서
Greene, pp. 5–6
[43]
웹사이트
Battle at Crow Agency
http://www.anishinab[...]
2019-04-20
[44]
문서
United States Cavalry Association, p. 28
[45]
문서
'Selfless Service: The Cavalry Career of Brigadier General Samuel M. Whitside from 1858 to 1902.'
U.S.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46]
문서
Utley, p. 211.
[47]
웹사이트
The Last Days of the Sioux Nation
https://yalebooks.ya[...]
Yale University Press
2007-08-04
[48]
간행물
Wounded Knee
2008-06
[49]
문서
Derived from Nelson Miles' report of some 300 snow covered forms during his inspection of the field three days later, Miles in a letter states: "The official reports make the number killed 90 warriors and approximately 200 women and children.".
[50]
문서
Brown, pp. 179–180
[51]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 Indian Wars Period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8-03
[52]
웹사이트
2nd Battalion, 7th Cavalry Regiment
https://www.globalse[...]
[53]
문서
Randy Stern: The Horse Soldier, 1776–1943
[54]
문서
Frierson, The Admiralties: Operations of the 1st Cavalry Division, pp. 58–60.
[55]
문서
Miller, Cartwheel: The Reduction of Rabaul, p. 338.
[56]
문서
Frierson, The Admiralties: Operations of the 1st Cavalry Division, pp. 61–63.
[57]
문서
Frierson, The Admiralties: Operations of the 1st Cavalry Division, p. 80.
[58]
문서
Gill, Royal Australian Navy 1942–1945, p. 378.
[59]
문서
Casey, Amphibian Engineer Operations, p. 240.
[60]
문서
Odgers, Air War Against Japan 1943–1945, pp. 174–175.
[61]
문서
Casey, Amphibian Engineer Operations, pp. 240–241.
[62]
문서
Frierson, The Admiralties: Operations of the 1st Cavalry Division, pp. 103–116.
[63]
서적
The 1st Cavalry Division in World War II
Turner Publishing Co.
1947
[64]
서적
Leyte: The Return to the Philippines
Pickle Partners Publishing
2013
[65]
서적
Leyte: The Return to the Philippines
Pickle Partners Publishing
2013
[66]
웹사이트
United States Army in WWII – the Pacific – Triumph in the Philippines
https://play.google.[...]
Pickle Partners
2014
[67]
서적
United States Army in WWII – Triumph in the Philippines
Pickle Partners Publishing
2013
[68]
웹사이트
A Few Marines
http://npshistory.co[...]
2023-04-24
[69]
웹사이트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Vol. 1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Army
2023-04-24
[70]
서적
The 1st Cavalry Division in World War II
Turner Publishing Co.
1947
[71]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June–November 1950)
http://www.history.a[...]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Department of the Army
2020-09-16
[72]
서적
The Bridge at No Gun Ri: A Hidden Nightmare from the Korean War
https://books.google[...]
Henry Holt and Company
2015-11-16
[73]
서적
No Gun Ri Incident Victim Review Report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74]
뉴스
Koreans Give Horrifying Accounts of Alleged Attack
1999-11-17
[75]
웹사이트
1st Cavalry Division History – Korean War, 1950–1951
http://www.first-tea[...]
[76]
서적
Disaster in Korea: The Chinese Confront MacArthur
Texas A&M University Press
2008-11-17
[77]
서적
The Korean War 1950–53
Osprey Publications
[78]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 Vietnam (A–L)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8-03
[79]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 Vietnam (M–Z)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8-03
[80]
문서
AR 600-8-27 p. 26 paragraph 9-14 & p. 28 paragraph 2-14
[81]
웹사이트
Combined arms live fire exercise for Afghan Army
https://www.dvidshub[...]
2019-01-02
[82]
웹사이트
From motorcycle restoration to Afghan National Army adviser | ISAF - …
http://www.isaf.nato[...]
2014-08-14
[83]
웹사이트
Atlantic Resolve Armored Brigade Rotation Fact Sheet
http://www.eur.army.[...]
2019-01-15
[84]
웹사이트
Ironhorse and Iron Wolf Brigades Train Together
https://www.dvidshub[...]
2019-01-15
[85]
웹사이트
Ambassador to Hungary visits Comanche Troop
https://www.dvidshub[...]
2019-01-15
[86]
뉴스
1-7 Cavalry Regiment conducts CALFEX with Slovakian forces
http://www.forthoods[...]
2019-01-15
[87]
웹사이트
Combat training exercise puts interoperability at forefront
https://www.army.mil[...]
2019-01-15
[88]
웹사이트
1st Cavalry Division reactivates division cavalry squadron
https://www.army.mil[...]
1st Cavalry Division Public Affairs Office
2023-03-21
[89]
문서
4th Squadron only.
[90]
문서
Troop B, 1st Battalion only 1st Battalion unit entitled.
[91]
문서
Permanent Order 202-20
[92]
웹사이트
Permanent Orders 056-01
http://www.history.a[...]
U.S. Army Human Resources Command
2013-06-20
[93]
문서
28. MARADMINS Number: 055/12 dated 2/1/12 authorizes NUC 2007–2008.
[94]
웹사이트
General Order No. 2
http://www.apd.army.[...]
Army Publishing Directorate
1956-02-02
[95]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96]
웹사이트
http://www.themennon[...]
[97]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 Indian Wars Period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8-03
[98]
서적
"The Horse Soldier 1776-1943"
[99]
웹사이트
Commanders of the 7th Cavalry Regiment
http://www.us7thcava[...]
[100]
서적
No Gun Ri Review
http://en.wikisource[...]
U.S. Department of the Army
2001-01-01
[101]
서적
No Gun Ri Incident Victim Review Report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02]
뉴스
War's hidden chapter: Ex-GIs tell of killing Korean refugees
1999-09-29
[103]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 Vietnam (A-L)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8-03
[104]
웹사이트
Medal of Honor Recipients - Vietnam (M-Z)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9-08-03
[105]
문서
AR 600-8-27 p. 26 paragraph 9-14 & p. 28 paragraph 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