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줄리어스 니에레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1922년 영국령 탕가니카에서 태어나,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을 결성하여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이끌었다. 1961년 탕가니카의 독립 후 초대 총리를 거쳐 1962년 대통령이 되었으며, 1964년 잔지바르와 통합하여 탄자니아의 초대 대통령을 역임했다. 그는 아프리카 사회주의인 우자마를 주창하고 비동맹주의 외교 정책을 펼쳤으며, 1985년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탄자니아 혁명당 의장으로 활동하다가 1999년 사망했다. 탄자니아의 국부로 존경받으며, 아프리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줄리어스 니에레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줄리어스 니에레레 (1975년 촬영)
존칭하느님의 종, Mwalimu
본명캄바라게 니에레레
출생일1922년 4월 13일
출생지탕가니카 마라 지역 부티아마
사망일1999년 10월 14일
사망지잉글랜드, 런던
안장 장소탄자니아 마라 지역 부티아마
국적탄자니아
정당CCM (1977–1999)
TANU (1954–1977)
배우자마리아 니에레레 (1953년 결혼)
자녀앤드루 부리토
안나 와티쿠
안셀름 마기게
존 귀도 (1957–2015)
찰스 마콩고로 (1959년생)
고드프리 마다라카
로즈메리 니에레레 (1961–2021)
파울레타 니아바나네
거주지
모교포트헤어 대학교
마케레레 대학교 (교육학 디플로마)
에든버러 대학교 (인문학 석사)
직업교사
수상레닌 평화상
간디 평화상
졸리오퀴리 메달
스와힐리어 이름Mwalimu
탄자니아 대통령
재임 시작1964년 10월 29일
재임 종료1985년 11월 5일
제1 부통령아베이드 아마니 카루메
아부드 줌베
알리 하산 음위니
제2 부통령라시디 카와와
총리라시디 카와와
에드워드 소코이네
클레오파 무수야
에드워드 소코이네
살림 아메드 살림
전임자신 (탄자니아-잔지바르 연합 공화국 대통령)
후임알리 하산 음위니
탄자니아-잔지바르 연합 공화국 대통령
재임 시작1964년 4월 26일
재임 종료1964년 10월 29일
부통령아베이드 카루메 (제1)
라시디 카와와 (제2)
전임자신 (탕가니카 대통령)
아베이드 카루메 (잔지바르 인민 공화국 대통령)
후임자신 (탄자니아 대통령)
탕가니카 대통령
재임 시작1962년 12월 9일
재임 종료1964년 4월 26일
총리라시디 카와와
전임엘리자베스 2세 (탕가니카 여왕)
후임자신 (탄자니아-잔지바르 연합 공화국 대통령)
탕가니카 총리
재임 시작1961년 5월 1일
재임 종료1962년 1월 22일
군주엘리자베스 2세
총독경 리처드 턴불
전임자신 (수석 장관)
후임라시디 카와와
탕가니카 수석 장관
재임 시작1960년 9월 2일
재임 종료1961년 5월 1일
군주엘리자베스 2세
총독경 리처드 턴불
전임직책 신설
후임자신 (총리)

2. 생애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1922년 영국탕가니카에서 자나키 민족 족장의 아들로 태어났다. 탕가니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한 독일의 식민지였으나, 국제연맹에 의해 영국에 위임 통치되었다. 니에레레는 교사 교육을 받은 후 영국에서 유학하고 1954년 귀국하여 탕가니카 아프리카 국민 연합(TANU)을 설립하고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TANU는 탕가니카의 120개가 넘는 민족을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이념으로 삼았다. 영국은 탕가니카에 자치권을 부여했고, 니에레레의 TANU는 선거에서 대승을 거두어 1961년에 탕가니카는 독립했다. 1964년, 니에레레는 영국에서 독립한 잔지바르와 탕가니카를 합병하여 탄자니아를 건국했다.

니에레레는 스와힐리어를 공용어로 채택하고, 외교적으로는 비동맹주의를 표방하며 유고슬라비아와 유착 관계를 맺었다. 그러나 1964년 소련과 국교를 맺고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에서 앙골라, 모잠비크,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지원했다.

1960년대에 니에레레는 모부투 세세 세코자이르를 비판하고 콩고 인근 국경 분쟁 해결에 힘썼으며, 아프리카 단결기구 창립을 지지하며 아프리카 국민주의를 추구했다.

1978년부터 1979년까지 니에레레는 우간다의 독재자 이디 아민을 몰아내기 위해 무세베니 군대를 지원하여 우간다 혁명을 성공시켰다. 1985년, 니에레레는 자신의 정책 실패를 공개적으로 인정하고 알리 하산 음위니에게 대통령직을 물려주었다. 1990년까지 TANU 의장직을 맡았으며, 1999년 영국 런던에서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유년 시절 (1922-1934)

율리우스 카마라게 니에레레는 1922년 4월 13일 영국탕가니카 마라 지역 부티아마(Butiama) 마을 므위통고에서 태어났다.[15] 그는 자나키족 추장 니에레레 부리토의 25명의 자녀 중 한 명이었다. 어머니 무가야 냥곰베는 부리토의 22명의 아내 중 다섯 번째였다.[15] 니에레레는 다신교(polytheism) 신앙 속에서 성장했으며, 어머니 집에서 살면서 수수, 옥수수, 카사바 농사를 돕고 염소와 소를 쳤다.

니에레레는 가비주리오에서 자나키족의 전통 할례(circumcision) 의식을 치렀다. 추장의 아들이었기에 권력과 권위에 노출되었고, 공동체 생활을 이해하여 후일 정치 사상에 영향을 미쳤다.

1934년, 무소마의 Mwisenge 원주민 행정학교에서 교육을 시작했다. 스와힐리어로 교육받았으며, 뛰어난 성적으로 6개월 만에 학년을 건너뛰었다. 자나키 이빨 갈기 의식을 치렀고, 흡연을 시작했을 수 있다. 로마 가톨릭교에 관심을 가져 백색 수도회 Nyegina 선교 센터에서 기독교를 배웠다.

1936년 초등 교육 후, 타보라 정부 학교에서 중등 교육을 받았다. 보이스카우트 부대를 설립하고, 영어 실력을 향상시켰으며, 학교 토론회에 참여했다. 1942년 3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로마 가톨릭교에서 세례를 받고 "줄리우스"라는 이름을 받았다.

1941년 10월, 중등 교육을 마치고 우간다 캄팔라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교원 양성 과정을 위한 장학금을 받고 공부했다.

우간다 마케레레 대학교 본관. 니에레레가 교원 양성 과정을 수학한 곳

2. 2. 학창 시절 (1934-1947)

1934년, 니에레레는 무소마의 므위셍게에 있는 원주민 행정학교에서 교육을 시작했다. 그는 스와힐리어로 교육받았으며, 학교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1] 1936년, 그는 엘리트 학교인 타보라 정부 학교에 진학하여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고 토론회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했다.[1] 1942년, 그는 로마 가톨릭교에서 세례를 받고 '줄리우스'라는 세례명을 받았다.[1]

1941년 10월, 니에레레는 중등 교육을 마치고 우간다 캄팔라시의 마케레레 대학교에서 교원 양성 과정을 위한 장학금을 받아 1943년 1월에 우간다에 도착하여 공부를 시작했다.[2] 마케레레에서 그는 동아프리카의 우수한 학생들과 함께 공부하면서도, 사교 활동보다는 독서에 집중했다.[2] 그는 화학, 생물학, 라틴어, 그리스어 과정을 수강했다.[2] 교황 회칙과 자크 마리탱과 같은 가톨릭 철학자들의 저술을 읽으며 가톨릭 신앙을 더욱 깊이 했다.[2] 그러나 그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존 스튜어트 밀의 저술이었다.[3] 그는 밀의 사상을 자나키 사회에 적용한 여성 예속에 관한 에세이로 문학 경연 대회에서 우승하기도 했다.[4] 니에레레는 마케레레 토론회의 적극적인 회원이자, 대학교 가톨릭 액션 지부 설립자였다.[5]

1943년 7월, 그는 ''탕가니카 스탠다드''에 편지를 써서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해 논하고, 자본주의가 아프리카에 적합하지 않으며 "아프리카 사회주의"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이 편지는 "교육받은 아프리카인"이 사회주의 모델로 나아가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몰로니는 이 편지가 니에레레의 정치적 성숙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라고 평가했다.[7] 1943년, 니에레레는 탕가니카 학생들을 돕기 위해 탕가니카 아프리카 복지 협회(TAWA)를 설립했으나 해체되었고,[8] 이후 탕가니카 아프리카 협회(TAA)의 마케레레 지부를 부활시켰지만, 이 또한 1947년까지 기능을 정지했다.[9] 그는 백인 식민 소수 민족의 인종적 편견을 인식하면서도, 개인은 편견이 없을 수 있음을 인지하고 개인으로 대우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10] 3년 후, 니에레레는 마케레레를 졸업하고 교육학 졸업장을 받았다.[11]

2. 3. 교사 생활과 정치 입문 (1947-1952)

마케레레를 졸업한 니에레레는 과부가 된 어머니를 위해 자나키 지역에 집을 짓고 돌아온 후, 부티아마에서 독서와 농사를 지으며 시간을 보냈다.[1] 그는 국영 타보라 남자 고등학교와 선교 운영인 세인트 메리 고등학교에서 교직을 제안받았지만, 급여가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후자를 선택했다.[2] 타보라 남자 고등학교의 두 교사와 "아프리카 분할 이후 아프리카인이 유럽인보다 더 많은 혜택을 받았다"는 주장에 대해 공개 토론을 하여 승리한 후, 학교에 돌아오는 것이 금지되었다.[3] 수업이 없는 시간에는 지역의 나이 든 주민들에게 무료로 영어 수업을 제공했고,[4] 정치 문제에 대한 강연도 했다.[5] 정부의 물가 감시원으로 잠시 일했지만, 당국이 그의 허위 가격 보고를 무시하자 그 직책을 그만두었다.[6] 타보라에 있는 동안, 니에레레와 결혼하기로 약혼한 마고리 와티하가 초등 교육을 받기 위해 왔지만, 그는 그녀를 어머니에게 보냈다.[7] 대신 무소마의 니예기나 초등학교 교사인 마리아 가브리엘과 교제했는데, 그녀는 심비티 부족 출신이었지만 니에레레와 마찬가지로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다.[8] 그는 그녀에게 청혼했고, 1948년 크리스마스에 비공식적으로 약혼했다.[9]

타보라에서 탕가니카 아프리카 협회(TAA) 지역 지부에 가입하여 재무를 맡으면서 정치 활동을 강화했다.[10] 지부는 설탕, 밀가루, 비누와 같은 기본 생필품을 판매하는 협동조합 상점을 열었다.[11] 1946년 4월, 다르에스살람에서 열린 조직 회의에 참석하여 TAA가 공식적으로 탕가니카의 독립을 지지하기로 선언했다.[12] 티반데바게와 함께 TAA 헌법을 개정하는 작업을 했고, 선거 개혁이 백인 소수 민족에게 더 많은 특권을 주기 위해 고안되었다고 믿어, 이 단체를 이용하여 지역에서 식민지 문서 210에 대한 반대를 조직했다.[13] 세인트 메리 고등학교에서 리처드 월시 신부(아일랜드 출신 사제이자 학교장)는 니에레레에게 영국에서 추가 교육을 받는 것을 고려하라고 격려했다. 월시 신부는 니에레레가 런던 대학교 입학 시험을 치르도록 설득했고, 1948년 1월 2등급으로 합격했다.[14] 식민지 개발 및 복지 계획(Colonial Development and Welfare Scheme)으로부터 자금 지원을 신청했지만 처음에는 실패했고, 1949년 두 번째 시도에서 성공했다.[15] 유학을 수락했지만, 어머니와 형제자매를 부양할 수 없게 된다는 점에 대해 약간의 망설임을 표명했다.[16]

에든버러 대학교 올드 컬리지


1949년 4월, 냐에레레는 다르에스살람에서 영국의 사우샘프턴으로 비행했다.[17] 그런 다음 런던에서 에든버러까지 기차로 이동했다.[18] 에든버러에서 냐에레레는 그레인지 교외에 있는 "식민지인들을 위한" 건물에 거처를 마련했다.[19]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학업을 시작하여 짧은 화학 및 물리학 과정을 이수했고 스코틀랜드 대학교 예비 시험에서 고급 영어 시험에도 합격했다.[20] 1949년 10월, 에든버러 대학교 인문대학에서 문학 석사 학위 과정에 입학 허가를 받았다. 그의 학위는 일반 문학 석사 학위였는데, 이는 학부 과정으로 간주되었으며 대부분의 영국 대학교의 문학사 학위와 동등했다.[21]

1949년, 냐에레레는 스코틀랜드에서 유학 중인 영국 동아프리카 지역 출신의 흑인 학생 두 명 중 한 명이었다.[22] 문학 석사 1년차에는 영문학, 정치경제학, 사회인류학 과정을 수강했는데, 사회인류학에서는 랄프 피딩턴의 지도를 받았다.[23] 2년차에는 경제사와 영국사 과정을 선택했는데, 영국사는 리처드 페어스가 강의했고, 냐에레레는 나중에 그를 "영국인들의 속사정을 많이 가르쳐준 현명한 사람"이라고 묘사했다.[24] 3년차에는 로렌스 손더스가 담당하는 헌법학 과정과 윤리철학 과정을 수강했다.[25] 성적이 뛰어나지는 않았지만 모든 과정을 통과할 수 있었다.[26] 그의 윤리철학 교수는 그를 "밝고 활기찬 수업 및 파티 참여자"라고 묘사했다.[27]

냐에레레는 에든버러에서 많은 친구들을 사귀었고,[28] 에든버러에 살고 있는 나이지리아인과 서인도제도인들과 어울렸다.[29] 스코틀랜드에 있는 동안 냐에레레가 인종차별을 경험했다는 보고는 없다. 인종차별을 경험했을 가능성은 있지만, 당시 영국에 있던 많은 흑인 학생들은 백인 영국 학생들이 다른 계층의 사람들보다 일반적으로 편견이 적었다고 보고했다.[30] 수업에서 그는 일반적으로 백인 동료들과 동등하게 대우받았고, 이는 그에게 자신감을 더해주었으며,[31] 그의 다인종주의 신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수 있다.[32] 에든버러에 있는 동안 탕가니카에 있는 자신과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했을 수도 있다. 그와 다른 학생들은 감자 수확을 위해 웨일스 농장으로 일하는 휴가를 떠났다.[33] 1951년, 다른 탕가니카 학생들과 만나고 영국축제에 참석하기 위해 런던으로 여행을 갔다.[34] 같은 해, ''더 스튜던트'' 잡지에 기사를 공동 집필하여 탕가니카를 로디지아 및 냐살란드 연방에 편입하려는 계획을 비판했는데, 그와 공동 저자인 존 케토는 이 계획이 해당 지역에서 백인 소수 민족의 지배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적했다.[35] 1952년 2월, 세계 교회 그룹이 주최한 연방 문제에 관한 회의에 참석했는데, 이 회의에서 연설한 사람들 중에는 의대생이자 미래 말라위 지도자인 해스팅스 반다가 있었다.[36] 1952년 7월, 냐에레레는 일반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대학을 졸업했다.[37] 그 주에 에든버러를 떠나 런던을 거점으로 영국의 교육 기관을 연구하기 위해 단기 영국평의회 방문 연구원 자격을 받았다.[38]

3. 정치 활동

니에레레는 1922년 영국탕가니카에서 태어났다. 영국 유학 후 1954년에 귀국하여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을 설립하고 영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요구했다. 타누당(TANU)은 탕가니카의 여러 민족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영국은 곧 탕가니카에 자치권을 부여했고, 타누당은 선거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1961년 탕가니카는 정식으로 독립하였고, 1964년에는 잔지바르와 합병하여 탄자니아를 건국했다.

니에레레는 스와힐리어를 공용어로 채택하였다. 독립 직후인 1961년부터 1964년까지는 외교적으로 비동맹주의를 표방하면서 요시프 브로즈 티토유고슬라비아와 유착관계를 맺었으나, 1964년에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소련과 국교를 맺고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에서 앙골라, 모잠비크, 기니비사우의 독립을 지원했다.

1960년대에 니에레레는 모부투 세세 세코자이르를 비판하며, 콩고 인근 국경 분쟁을 해결했다. 아프리카 단결기구의 창립을 지지하며 아프리카 국민주의를 추구했다.

1978년에서 1979년까지 우간다의 독재자 이디 아민을 쫓아내기 위해 무세베니의 군대를 도와 우간다의 혁명을 성공시키기도 했다. 니에레레는 1985년에 자신의 정책 실패를 공개적으로 시인하고 후계자인 알리 하산 음위니에게 대통령 자리를 물려주었다.

3. 1.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 창립과 독립 투쟁 (1952-1961)

1952년 10월, 니에레레는 SS ''케냐 캐슬''호를 타고 다르에스살람으로 돌아왔다.[1] 그는 기차를 타고 므완자로 간 다음, 호수 여객선을 타고 무소마에 도착하기 전까지 잔자키 땅에 도착했다.[2] 거기서 그는 자신과 약혼녀 마리아를 위해 진흙 벽돌집을 지었다.[3] 그들은 1953년 1월 24일 무소마 선교부에서 결혼식을 올렸다.[4] 니에레레가 탕가니카 원주민 아프리카인들을 위한 주요 학교 중 하나인 세인트 프랜시스 칼리지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일자리를 얻자 그들은 곧 다르에스살람에 더 가까운 푸구로 이사했다.[5]

1953년 부부는 첫 아이인 앤드류를 낳았다.[6] 니에레레는 점점 정치에 더욱 깊이 관여하게 되었고,[7] 같은 해 4월에는 탕가니카 아프리카 협회(TAA) 회장으로 선출되었다.[8] 그가 이 자리를 맡을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뛰어난 연설 능력과 그가 잔자키 출신이었기 때문이었는데, 만약 그가 더 큰 민족 집단 출신이었다면 경쟁 부족 구성원들의 더 큰 반대에 직면했을 수도 있었다.[9] 니에레레의 지휘 아래 TAA는 점점 더 정치적인 차원을 띠게 되었고, 영국 제국으로부터 탕가니카의 독립 추구에 전념하게 되었다.[10]

비폭력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탕가니카의 독립을 위해 선거 운동을 벌이는 동안, 니에레레는 인도 독립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의 모범에서 영감을 받았다.


1954년 7월 7일, 오스카 캄보나의 도움을 받은 니에레레는 TAA를 새로운 정당인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으로 개편했다.[11] 초기 TANU 회원들 중에는 클라이스트 시크스의 세 아들, 도사 아지즈, 그리고 존 루피아가 있었는데, 후자는 국가에서 가장 부유한 원주민 아프리카인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한 기업가였다.[12] 루피아는 그룹의 첫 번째 재무 담당자로서 초기 몇 년 동안 조직에 자금을 대부분 지원했다.[13] 식민지 총독은 데이비드 마콰이아가 토지와 인구 문제에 대한 왕립 위원회에 참석하기 위해 런던으로 파견된 후 생긴 입법평의회의 임시 공석을 채우기 위해 니에레레를 임명했다.[14] 그가 입법평의회에서 한 첫 번째 연설은 국가에 더 많은 학교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15] 그가 공무원의 급여 인상을 위한 정부 규정에 반대할 것이라고 말하자 정부는 니에레레를 해임하기 위해 마콰이아를 런던에서 소환했다.[16]

TANU 회의에서 니에레레는 탕가니카 독립의 필요성을 주장했지만, 아프리카가 주도하는 독립 정부가 유럽과 아시아 소수 민족을 추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7] 그는 인도 독립 지도자 마하트마 간디를 매우 존경했고, 비폭력 저항을 통해 독립을 달성하려는 간디의 접근 방식을 지지했다.[18] 식민 정부는 그의 활동을 면밀히 감시했다.[19] 그들은 니에레레가 이웃 케냐의 마우마우 반란과 같은 폭력적인 반식민지 반란을 선동할 것이라는 우려를 가지고 있었다.[20]

1954년 8월, 국제 연합은 탕가니카에 사절단을 파견했고, 그 후 식민지 독립을 위한 20년에서 25년의 일정을 권고하는 보고서를 발표했다.[21] 유엔은 뉴욕시에서 열리는 신탁통치이사회에서 이 문제를 더 논의할 예정이었고, TANU는 니에레레를 대표로 파견했다.[22] 영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미국은 니에레레가 회의 전에 24시간 이상 머물거나 유엔 본부에서 8블록 반경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기로 동의했다.[23] 니에레레는 주로 루피아가 자금을 지원한 여행의 일환으로 1955년 3월에 뉴욕에 도착했다.[24] 그는 신탁통치이사회에서 "여러분의 도움과 [영국] 관리 당국의 도움으로 우리는 20년에서 25년 전에 스스로 통치하고 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25] 당시 모든 사람들에게 이것은 매우 야심찬 것으로 보였다.[26]

정부는 니에레레의 독립 지지 활동 때문에 그의 고용주에게 그를 해고하도록 압력을 가했다. 뉴욕에서 돌아온 후, 니에레레는 그의 계속되는 고용이 선교사들에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기를 바랐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학교를 사임했다.[27] 1955년 4월 그는 아내와 함께 잔자키 고향으로 돌아왔다.[28] 그는 신문과 석유 회사의 채용 제안을 거절하고,[29] 대신 잔자키족 사이에서 선교 활동을 준비하고 있던 메리놀 선교회의 통역가이자 가정교사로 일자리를 수락했다.[30] 1950년대 후반까지 TANU는 전국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상당한 지지를 얻었다.[31] TANU는 1955년에 10만 명의 회원이었는데, 1957년에는 50만 명으로 증가했다.[32]

3. 2. 탕가니카 총리 재임 (1961-1962)

니에레레는 1954년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연합(TANU)을 창설하고 당수가 되었다. 그는 사회적 평등, 민족 간 평화 유지, 탕가니카 독립을 주장하며 정치 활동을 펼쳤고, 전국적으로 큰 지지를 얻었다. 1960년 선거에서 TANU가 압승을 거두자, 니에레레는 식민지 정부 총리가 되어 사실상 정권을 장악했다. 1961년 탕가니카가 독립하면서 니에레레는 초대 총리가 되었으나, 1962년 초, 총리직을 사임하고 TANU 재건에 전념했다.

3. 3. 탕가니카 대통령 재임 (1962-1964)

니에레레는 1961년 탕가니카가 영국으로부터 정식으로 독립한 이후, 1962년에 탕가니카에 대통령제가 도입되자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6] 그는 동아프리카를 동아프리카 연방으로 통합하는 구상을 제시하였고,[17][18] 1963년 아프리카 통일 기구 창립 회의에 참석하였다.

3. 4. 탄자니아 대통령 재임 (1964-1985)



1964년, 잔지바르탕가니카가 통합하여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니에레레는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19] 그는 스와힐리어를 공용어로 채택하였다.

니에레레는 1967년 아루샤 선언을 발표하여 탄자니아의 사회주의화를 추진했다.[20] 이 선언에 따라 은행과 주요 기업들이 국유화되었고, '우자마(Ujamaa)' 정책이 시행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를 강화하여 탄잠 철도 건설, 군사 기지 건설 등 다양한 지원을 받았다.[20][21] 마오쩌둥의 영향을 받아[22][23] 중국 인민복과 유사한 '탄자니아 수트'를 즐겨 입었다.[24]

1977년, 니에레레는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 동맹(TANU)과 잔지바르의 아프로-시라지당(ASP)을 통합하여 탄자니아 혁명당(CCM)을 창당했다.[29]

1978년, 우간다이디 아민 대통령이 탄자니아를 침공하면서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이 발발했다. 니에레레는 강력하게 반격하여 1979년 탄자니아군이 우간다 수도 캄팔라까지 진격, 아민 정권을 축출했다.[31] 이는 아프리카 국가가 무력으로 다른 아프리카 국가의 정권을 전복시킨 전례 없는 사건이었다. 이 행위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OAU, 현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들 사이에서 내정 불간섭 원칙 위배 논란을 일으켰지만,[36][37] 니에레레는 인도주의를 호소하며 아민 정권의 대량 학살을 비판했다.[38]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탄자니아는 경제난에 직면했다. 전기, 상하수도 등 기본적인 인프라가 붕괴되고, 생필품 부족 사태가 발생했다.[31] 니에레레는 경제 운영 실패의 책임을 지고 1985년 대통령직에서 사임했으며, 알리 하산 음위니가 후임 대통령이 되었다.

4. 퇴임 이후

니에레레는 1985년에 자신의 정책이 실패했음을 공개적으로 시인하고 후계자인 알리 하산 음위니에게 대통령 자리를 물려주었다. 1990년까지 타누당(탄자니아 혁명당) 의장직을 맡았으며, 탄자니아 혁명당 당수직을 유지하며 상당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1999년 영국 런던에서 향년 77세로 사망했다.

5. 정치 이념

줄리어스 니에레레, 입법평의회 의장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에든버러 대학교 유학 시절 고전적 자유주의와 패비안 사회주의 전통, 아담 스미스와 존 스튜어트 밀의 저서에 영향을 받아 정치 철학을 발전시켰다. 그는 "내 정치 철학 전체를 그곳에서 발전시켰다"고 말했다.

니에레레는 1961년 12월 9일 탕가니카 독립 이후 인종차별에 반대하며 총리직을 사임하고 탕가니카 아프리카 민족연합(TANU) 개편과 "우리 자신의 민주주의 방식"을 만드는 데 힘썼다. 그는 '우자마(Ujamaa)'라는 글을 통해 아프리카 사회주의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는데, 이는 식민 시대와는 다른 "국가 윤리"를 제공하고 냉전 속에서 탕가니카의 독립적인 방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그의 이념은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한 형태인 우자마(Ujamaa)로 알려져 있다.[10]

정치 경제학자 이사 G. 쉬브지(Issa G. Shivji)는 니에레레가 "원칙을 중시하는 위대한 인물"이었지만, 권력을 잡았을 때는 "때때로 실용주의, 심지어 마키아벨리즘이 그의 공표된 원칙들을 압도했다"고 평가했다.

1962년, 에든버러 대학교는 니에레에게 명예 법학 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5. 1. 아프리카 사회주의와 우자마

니에레레의 이념은 우자마(Ujamaa)로 알려진 아프리카 사회주의의 한 형태였다.[10] 그는 사회주의를 아프리카에 대한 외부 개념이 아니라 전통적인 아프리카 생활 방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사회주의적 사고방식"은 이미 전통적인 아프리카 사회에 존재했다.[39] 1962년 그의 발언에 따르면, "우리는 아프리카에서 사회주의로 '개종'할 필요가 없으며, 민주주의를 '배울' 필요도 없습니다. 둘 다 우리의 과거, 즉 우리를 낳은 전통 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40] 그는 이상적인 사회의 모델로 전통적인 아프리카 마을과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를 제시했다. 몰로니는 니에레레가 "'전통 사회'의 목가적인 마을 생활에 대한 낭만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냈다고 설명하며, 이를 아프리카 과거에 대한 "몽상적인 시각"이라고 묘사했다.[40]

니에레레는 평등주의와 평등한 사회 건설을 확고히 믿었고, "계급 없는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그의 견해에 따르면, 우자마(Ujamaa)의 평등은 모든 재능과 능력이 충분히 활용되는 정의로운 사회에 대한 개인의 헌신에서 비롯되어야 한다. 그는 개인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이 동일한 사회를 원했고, 개인이 궁극적으로 공공선을 증진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이것을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개인의 권리와 사회에 대한 의무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었고, 서구 국가들이 개인의 권리에 너무 많은 중점을 두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로 인해 발생하는 이기적인 물질주의를 혐오했다.

그의 사회주의에 대한 생각은 유럽의 사회민주주의마르크스주의와는 거의 관련이 없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의 계급 투쟁 개념을 혐오했다. 칼 마르크스의 ''자본''에서 인용했지만, 마르크스와 블라디미르 레닌과 같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과학적 사회주의" 개념을 비판했다. 그는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주장하는 혁명적인 도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노력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회주의 사회를 건설한다는 생각은, 자본주의나 프롤레타리아가 거의 또는 전혀 없고 니에레레의 견해에 따르면 전통 사회가 경쟁적인 경제 계급으로 계층화되지 않은 포스트 식민지 아프리카에는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니에레레는 아프리카 대부분에서 "우리는 부족 공동체주의와 많은 자본주의를 구축하지 못한 식민지 유산에서 우리의 사회주의를 시작해야 합니다"라고 말했다.

그의 정책은 일반적으로 '''우자마 촌 구상'''으로 알려진 사회주의 정책이었으며, 아프리카 민족 사회 고유의 사회주의적 농업 집단화 방식인 우자마를 중시하고, 은행과 기업의 국유화 등 통제 경제를 통해 사회의 평등화를 도모하려는 그의 이상주의의 표현이었다.

5. 2. 민주주의와 일당제

니에레레는 민주주의를 원칙적으로 강조했다.[2] 그는 민주주의를 "국민에 의한 정부... 이상적으로는 국민, 모든 국민이 자유로운 토론을 통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정부 형태"라고 설명했다.[3] 이는 성직자 테오도어 파커(Theodore Parker)가 제시한 정의와 가까운데, 그는 파커의 영향을 인정했다.[4] 또한 다양한 아프리카 원주민 사회에서 발견되는 지역적 의사결정 형태의 영향을 받았으며,[5] 니에레레는 모든 사람이 동의할 때까지 문제를 논의하는 것이 "전통적인 아프리카 민주주의의 본질"이라고 말했다.[6] 그는 자유민주주의의 가치를 받아들였지만 민주주의를 "아프리카화"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7] 그는 포스트 식민지 아프리카 국가들이 서구 국가들과는 매우 다른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따라서 다른 거버넌스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8]

특히 그는 일당 국가 내에서 대의 민주주의 제도를 선호했다.[9] 그는 탄자니아에서 서로 다른 목표를 가진 다른 정당과 정치 조직의 결성에 반대하며, 이것들이 그의 조화로운 사회에 대한 생각을 방해하고 취약한 국가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고 우려했다.[10] 그는 영국에서 관찰한 사실상의 양당제를 비판하며 "축구 정치"라고 묘사했다.[11] 그의 말에 따르면, "'하나의' 정당이 있고 그 정당이 '전체 국가'와 동일시될 때, 민주주의의 기반은 두 개 이상의 정당이 있을 때, 각 정당이 지역 사회의 일부만을 대표할 때보다 더 확고하다!"[12] 그는 이러한 아이디어에 대한 주장을 반복적으로 저술했는데, 종종 서구 자유주의자들을 대상으로 했다.[13]

1965년 의회 선거 이후, 같은 당의 다른 후보들이 대부분의 의석을 놓고 경쟁한 것에 대해 니에레레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나는 서구 사람들이 회의적인 것을 비난하지 않는다. 그들이 알고 있는 유일한 민주주의는 다당제였고, 그들이 본 유일한 일당제는 비민주적이었다. 그러나 다수의 정당이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14] 니에레레에게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것은 여러 정당의 존재가 아니라 정치적, 시민적 자유의 보존이었다.[15] 그는 일당 국가에서도 언론의 자유가 가능하다고 믿었다.[16] 그러나 경쟁하는 정치 집단의 결성에 대한 그의 반대는 비판가들로 하여금 그의 사상에 반민주적인 함의가 있다고 주장하게 만들었다.[17]

5. 3. 범아프리카주의와 민족주의

니에레레는 아프리카 민족주의자이자 범아프리카주의자였다.[16] 그는 식민주의를 혐오했으며,[16] 탄자니아의 식민 국가에 반대할 의무를 느꼈다.[17] 식민주의에 반대하는 운동에서 니에레레는 미국 독립 혁명프랑스 혁명의 이면에 있는 원칙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인정했다.[18] 그는 또한 1947년 인도 공화국 건설로 이어진 인도 독립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19]

유럽 식민주의에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니에레레는 백인 유럽인들에게 적대적이지 않았다. 그는 모든 유럽인이 식민주의자나 인종차별주의자는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17] 독립 전에 그는 식민주의에 맞선 비인종주의 전선을 주장하며,[20] 동아프리카의 유럽계와 아시아계 소수 민족에게 동등한 권리를 부인하려는 아프리카 민족주의자들에게 도전했다.[21] 1951년 에든버러에서 작성한 수필에서 그는 "우리는 동아프리카에 속하고 우리의 인종 집단에는 속하지 않는 사회를 건설해야 합니다... 우리 모두는 탄자니아인이며, 우리 모두는 동아프리카인입니다."라고 제안했다.[22] 그는 인종 평등은 개인이 법적으로 인종차별로부터 보호받는 개별적인 차원에서 지켜져야 하며, 정부에 특정 의회 의석이 다른 인종 집단에 할당되는 방식으로 제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23]

니에레레는 범아프리카주의자였지만,[16] 국가 통치와 범아프리카주의적 가치 사이의 긴장을 인식하고 1964년 연설에서 이를 "범아프리카주의자의 딜레마"라고 언급했다.[24] 그는 아프리카 대륙의 통합을 추구했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을 인식하고 지역 연합체 구성을 우선시했다. 1960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독립 아프리카 국가 회의에서 동아프리카 연방 결성을 촉구하는 논문을 발표했다.[25] 그는 탕가니카가 인접한 케냐와 우간다가 그럴 수 있을 때까지 영국 제국으로부터의 독립 달성을 연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의 견해로는, 세 나라가 독립과 동시에 통합하는 것이 독립 이후에 통합하는 것보다 훨씬 쉬웠다.[25]

1962년에 탕가니카에 대통령제가 도입되자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동아프리카를 동아프리카 연방으로 통합하는 구상을 제시하였고,[26][27][28], 1964년 탕가니카와 잔지바르의 통합을 통해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을 수립했다.[29]

5. 4. 외교 정책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외교 정책에서 몇 가지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잔지바르 혁명 이후, 아베이드 카루메가 이끄는 새 정부는 소련, 동구권 국가, 중화인민공화국으로부터 빠르게 인정을 받았다.[19] 서방 국가들이 카루메 정부 인정을 주저하는 동안, 니에레레는 이러한 반응과 서방의 이해 부족에 분노했다.[19]

1964년 4월, 니에레레는 카루메를 방문하여 탕가니카와 잔지바르의 정치적 통합을 발표했다. 그는 이것이 냉전의 권력 투쟁과는 관련이 없으며, 범아프리카주의 이념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다. "우리 대륙의 통합은 모스크바나 워싱턴을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없습니다."[19]라고 그는 강조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니에레레가 잔지바르가 냉전 대리전에 휘말리는 것을 막기 위해 통합을 추진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9]

"탕가니카와 잔지바르의 연합 공화국" 임시 헌법은 니에레레를 대통령으로, 카루메를 초대 부통령으로 지명했다.[19] 1964년 10월, 국가는 탄자니아라는 새 이름을 얻게 되었다.[19]

카루메는 예측 불가능한 인물로, 냐에레에게 여러 차례 어려움을 안겨주었다.[19] 1969년 잔지바르 당국이 쿠데타 모의 혐의로 14명을 체포했을 때, 본토 당국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비밀 재판과 처형이 이루어져 니에레레를 당황하게 했다.[19] 또한 카루메와 혁명 평의회 회원들이 아랍 소녀들을 강제 결혼시키는 등의 행위는 니에레레를 더욱 곤혹스럽게 만들었다.[19] 카루메는 정향 가격 상승으로 얻은 외환 보유고를 탄자니아 중앙 정부로부터 숨기기도 했다.[19] 1972년 4월, 카루메는 암살당했다.[19]

5. 4. 1. 비동맹 중립 외교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냉전 시기에 미국과 소련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탄자니아의 국익을 우선시하는 비동맹 중립 외교 노선을 견지했다.[19] 잔지바르 혁명 이후, 아베이드 카루메가 일당 독재 국가의 대통령을 자처하며 아랍인 소유 토지를 흑인 아프리카 농민들에게 재분배하기 시작하자, 수많은 아랍인과 인도인들이 섬을 떠났고, 섬에 거주하던 대부분의 영국인 공동체도 마찬가지였다.[19] 서방 국가들은 카루메 정부를 인정하기를 주저했지만, 소련, 동구권 국가들과 중화인민공화국은 신속하게 인정하고 원조를 제공했다.[19] 니에레레는 서방의 이러한 반응과 흑인 잔지바르인들이 왜 혁명을 일으켰는지에 대한 서방의 이해 부족에 분노했다.[19]

이후 니에레레는 카루메와 만나 탕가니카와 잔지바르의 정치적 통합을 발표했는데, 이는 범아프리카주의 이념에 대한 반응으로 제시되었다.[19] 그러나 니에레레가 통합을 원한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잔지바르가 냉전 대리 전쟁에 휘말리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는 주장도 있다.[19]

5. 4. 2. 중국과의 관계

녜레레는 마오쩌둥이 이끄는 중화인민공화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3] 1964년 8월, 중국 교관 7명과 통역 4명이 탄자니아 군대와 함께 일하도록 허용했다.[13] 서구 열강은 중국의 지원을 경계했지만, 녜레레는 탄자니아 군 장교 대부분이 영국에서 훈련받았고 서독과도 공군 훈련 협정을 체결했다는 점을 들어 이를 반박했다.[14]

1965년 2월, 녜레레는 8일 동안 중국을 국빈 방문하여 중국의 사회경제적 프로젝트가 탄자니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14] 녜레레는 평등주의적 가치를 공유했기 때문에 마오쩌둥의 중국에 매료되었고,[15] 정부의 검소함과 경제성 강조에 영감을 받았다.[15] 같은 해 6월,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가 다르에스살람을 방문했다.[14] 중국은 탄자니아에 수백만 파운드의 대출과 보조금을 제공하고, 다르에스살람 인근 방직 공장, 농기계 공장, 실험 농장, 라디오 송신기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투자했다.[15]

녜레레는 잠비아와 탄자니아를 잇는 철도 건설 자금을 구하기 위해 서방 국가를 찾았으나 거절당했다. 결국 1970년, 그는 중국의 지원을 받아 이 철도 건설을 추진했다.[15]

5. 4. 3. 주변국과의 관계

줄리어스 니에레레는 동아프리카 지역의 통합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1960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에서 열린 독립 아프리카 국가 회의에서 동아프리카 연방 결성을 제안했다.[17] 그는 탕가니카의 독립을 연기해서라도 케냐, 우간다와 함께 통합된 국가를 이루는 것이 더 쉽다고 주장했다.[17] 1967년 6월에는 동아프리카 여러 국가와 협력 조약을 체결하고, 탄자니아 아루샤동아프리카 공동체(EAC) 본부와 사무국을 설치했다.[25] 그러나 1977년, 케냐의 조모 케냐타가 더 많은 의결권을 요구하면서 동아프리카 공동체는 해산되었다.[30]

니에레레는 우간다의 이디 아민 정권과 대립했다. 1978년, 이디 아민이 탄자니아를 침공하자 니에레레는 강력하게 반격하여 1979년 탄자니아군이 우간다 수도 캄팔라까지 진격해 아민 정권을 무너뜨렸다.(탄자니아-우간다 전쟁)[31] 이는 아프리카 국가가 다른 아프리카 국가의 정권을 무력으로 타도한 전례 없는 일이었으며, 내정 불간섭 원칙 위반 논란을 일으켰다.[36] 그러나 니에레레는 아민 정권이 남아프리카의 백인 정권보다 더 많은 학살을 자행했다고 주장하며 인도주의를 내세웠다.[38]

니에레레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에 반대하며 남아프리카 해방 운동을 지원했다. 1961년 탕가니카 수상으로서 탕가니카 노동자들의 남아프리카 금광 공급을 중단시켰다.[17] 1975년에는 보츠와나, 잠비아와 함께 전선 국가들(FLS)을 결성하고 의장을 맡아,[26] 로디지아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맞섰다. 또한, 이들 국가로부터의 경제적 자립을 위해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의 전신인 남부 아프리카 개발 조정 회의(SADCC)를 설립했다.[27]

6. 유산과 평가

니에레레는 탄자니아의 "국부(國父)"[6]이자 '므왈리무'(선생님)[39]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탕가니카와 잔지바르를 통합하고,[6] 탄자니아를 안정적인 국가로 이끈 지도자로 평가받는다.[6] 특히, 아프리카의 다른 많은 지도자들과 달리, 니에레레는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을 했으며 권력에 대한 욕심을 보이지 않았다.[40]

니에레레를 기리는 부티아마에 있는 므왈리무 니에레레 박물관 센터 입구


탄자니아 도도마에 있는 니에레레 광장 중앙에 있는 동상


thumb 지폐의 니에레레 초상]]

니에레레는 '우자마 촌 구상'으로 알려진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다.[39] 그는 아프리카 전통 사회의 공동체 정신인 우자마를 강조하고, 은행과 기업 국유화를 통해 평등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 비록 그의 경제 정책은 가뭄, 수출 작물 생산 소홀, 1970년대 석유 위기 등으로 인해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39] 교육과 의료 분야에서는 주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고드프리 므와키카길레는 니에레레의 평등과 사회 정의 이상이 탄자니아를 아프리카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평화로운 국가 중 하나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니에레레는 아프리카 민족주의 역사에서 타협하지 않는 사회주의자로 기억되며, 그의 사상은 탄자니아뿐만 아니라 다른 아프리카 국가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니에레레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와 ''베니스의 상인''을 스와힐리어로 번역 출판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했다.

2005년에는 그의 시성 절차가 시작되었다.[6]

7. 수상

간디 평화상 (1995년)[1]

참조

[1] 뉴스 Obituary: Julius Nyerere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3-10-15
[2] 서적 Emerging World Law, Volume 1 Institute for Economic Democracy
[3] 웹사이트 Letters from Thane Read asking Helen Keller to sign the World Constitution for world peace. 1961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1
[4] 웹사이트 Letter from World Constitution Coordinating Committee to Helen, enclosing current materials https://www.afb.org/[...]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023-07-03
[5] 웹사이트 Preparing earth constitution Global Strategies & Solutions The Encyclopedia of World Problems http://encyclopedia.[...] 2023-07-15
[6] 웹사이트 Beatification cause for Julius Nyerere http://www.catholics[...] 2021-10-14
[7] 웹사이트 Servo di Dio Julius Kambarage Nyerere http://www.santiebea[...] 2021-10-14
[8] 웹사이트 Tanzanians wonder whether Nyerere saint or sinner https://www.reuters.[...] 2019-12-27
[9] 웹사이트 "Teatrino africano" di Giancarlo Coccia https://altafortediz[...]
[10] 웹사이트 URIA SIMANGO um homem uma causa https://www.academia[...]
[11] 웹사이트 Mwalimu: The Legacy of Julius Kambarage Nyerere (2009) – The List https://film.list.co[...]
[12] 간행물 根本(2006b)
[13] 간행물 根本(2006b)
[14] 간행물 根本(2006b)
[15] 뉴스 ニュースの顔 ローデシア解決に影響力を増す ニエレレ・タンザニア大統領 朝日新聞 1976-10-03
[16] 서적 Kenyatta and the Politics of Kenya Dent
[17] 서적 African Political Leadership: Jomo Kenyatta, Kwame Nkrumah, and Julius K. Nyerere Krieger Publishing Company
[18] 논문 The Politics of the Independence of Kenya
[19] 간행물 根本(2006a)
[20] 서적 Nyerere of Tanzania Victor Gollanz
[21] 서적 Indian Ocean and India's Security Mittal Publications
[22] 서적 Mwalimu: The Influence of Nyerere Britain-Tanzania Society
[23] 서적 Julius Nyerere Ohio University Press
[24] 서적 Nyerere of Tanzania Victor Gollanz
[25] 보도자료 TIlE TREATY FOR EAST AFRICANCO·OPERATION ACT 1967 http://kenyalaw.org/[...] Kenya Law 2018-06-30
[26] 서적 The A to Z of the Non-Aligned Movement and Third World Scarecrow Press 2010-04-06
[27] 서적 Beyond Capitalism versus Socialism in Kenya and Tanzania
[28] 간행물 根本(2006a)
[29] 서적 China's Policy in Africa, 1958-71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웹사이트 – Born in anonymity http://www.ms.dk/sw2[...] Ms.dk 2019-06-02
[31] 간행물 根本(2006a)
[32] 뉴스 Uganda: Country Pays Tanzania Shs120 Billion Amin War Debt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19-06-01
[33] 서적 Military power and politics in black Africa
[34]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Volume 1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5] 서적 Security and Democracy in Southern Africa https://books.google[...] IDRC
[36] 서적 War in Uganda: The Legacy of Idi Amin Tanzania Publishing House
[37] 서적 African Interventionist States Routledge
[38] 논문 The Uganda–Tanzania War, the fall of Idi Amin, and the failure of African diplomacy, 1978–1979 Routledge
[39] 간행물 #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 根本(2006a)
[40] 간행물 #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 根本(2006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