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지집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지집합은 수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함수가 0이 아닌 값을 갖는 점들의 집합을 폐포 연산자를 통해 정의하거나, 함수가 0이 아닌 값을 갖는 점들의 집합 자체를 의미한다. 지지집합은 집합론적, 위상적(닫힌), 콤팩트, 유계, 본질적 지지집합 등 다양한 형태로 정의되며, 함수가 0이 아닌 값을 갖는 영역을 나타낸다. 콤팩트 지지집합은 콤팩트한 부분 집합을 지지집합으로 가지는 함수를 의미하며, 유계 지지집합은 유계 집합을 지지집합으로 가지는 함수를 의미한다. 본질적 지지집합은 측도 공간에서 정의되며, 함수의 측도에 의존한다. 지지집합은 확률론, 푸리에 해석, 딥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한국 수학계에서도 위상수학, 해석학, 편미분방정식론, 딥러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지집합 개념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해석학 - 멱급수
    멱급수는 실수 또는 복소수 체에서 정의되며, 수렴 영역과 반지름을 가지며 미분, 적분, 사칙연산이 가능하고 해석 함수와 관련되어 상미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데 활용된다.
  • 실해석학 - 디리클레 함수
    디리클레 함수는 실수에서 정의되어 유리수에서 1, 무리수에서 0의 값을 가지며 모든 점에서 불연속인 함수로, 리만 적분은 불가능하지만 르베그 적분은 가능하고 함수 해석학에서 불연속 함수의 성질 연구에 사용되는 베르 함수에 속하는 예시이다.
  • 위상수학 - 뫼비우스의 띠
    "상상력" 한가 아닌 답변을 바랍니다.
  • 위상수학 - 공간
    공간은 물체의 위치와 운동을 기술하는 배경으로, 시간과 함께 시공간을 구성하며, 학문 분야에 따라 정의와 관점이 다르지만, 현대 물리학에서는 고차원 공간을 가정하기도 한다.
지지집합

2. 정의

X위상 공간이고, f\colon X\to\mathbb R함수라고 하자. 함수 f지지집합(support) \operatorname{supp}f는 함수값이 0이 아닌 정의역의 점들의 집합(\{x\in X\colon f(x)\neq 0\})의 폐포로 정의된다.[1][2][3] 즉,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supp}f=\operatorname{cl}_X\{x\in X\colon f(x)\neq 0\}

여기서 \operatorname{cl}_X는 위상 공간 X에서의 폐포 연산자이다. 이 정의는 위상적 지지집합 또는 닫힌 지지집합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f연속 함수일 때 사용되지만 반드시 연속 함수일 필요는 없다.[4] 지지집합은 f가 0이 아닌 점들의 집합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집합이다.

지지집합이 콤팩트 집합인 함수를 콤팩트 지지 함수(compactly supported function영어)라고 하며, 정의역이 거리 공간이고 지지집합이 유계 집합인 함수를 유계 지지 함수(function with bounded support영어)라고 한다.

상황에 따라서는 위상 구조를 고려하지 않는 집합론적 지지집합이나, 측도론적인 관점에서 정의되는 본질적 지지집합 등 다른 방식으로 지지집합을 정의하기도 한다.

2. 1. 집합론적 지지집합

함수 f : X \to \mathbb{R}실수 값을 갖고, 이 함수의 정의역이 임의의 집합 X라고 하자.

f의 '''집합론적 지지집합'''은 \operatorname{supp}(f) 또는 \operatorname{supp} f로 표기하며, 함수 f의 값이 0이 아닌 정의역 X의 원소들의 부분집합이다.[7] 즉,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operatorname{supp}(f) = \{ x \in X \,:\, f(x) \neq 0 \}

이는 X의 부분집합 중에서, 그 여집합에서 함수 f의 값이 항상 0이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집합이다.[7] 다시 말해, 어떤 집합 Y \subseteq X에 대해 함수 fY에서 '''지지된다'''는 것은 fY의 외부, 즉 X \setminus Y에서 항상 0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집합론적 지지집합 \operatorname{supp}(f)는 이러한 성질을 만족하는 모든 부분집합 Y들의 교집합과 같다.[7]

만약 f(x) = 0이 유한 개의 점 x를 제외한 모든 X의 원소에서 성립한다면, 즉 \operatorname{supp}(f)유한 집합이라면, 함수 f는 '''유한 지지집합'''을 갖는다고 한다.[7] 이는 대부분의 점에서 함수값이 0임을 의미한다.[7]

지지집합의 개념은 함수의 공역이 실수가 아닌 경우에도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역이 0을 포함하는 임의의 집합 M이거나, 항등원(0의 역할을 하는 원소)을 가지는 대수 구조(예: , 모노이드)인 경우에도 함수 f: X \to M의 지지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7]

  • 예를 들어, 자연수에서 정수로 가는 함수들의 집합 \mathbb{Z}^\mathbb{N}(정수 수열들의 집합)을 생각해보자. 이 중에서 유한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들의 부분집합은, 0이 아닌 항이 유한 개인 정수 수열 전체의 집합이며, 이는 가산 집합이다.[7]


유한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는 군환이나 자유 아벨 군과 같은 대수적 구조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7]

2. 2. 위상적 지지집합 (닫힌 지지집합)

X위상 공간이고 f: X \to \mathbb{R} (또는 \mathbb{C})가 함수일 때, f위상적 지지집합 또는 닫힌 지지집합 \operatorname{supp}(f)f(x) \neq 0인 점 x \in X들의 집합의 폐포로 정의된다.[1][2][3]

:\operatorname{supp}(f) := \operatorname{cl}_X\left(\{x \in X \,:\, f(x) \neq 0 \}\right)

여기서 \operatorname{cl}_X는 위상 공간 X에서의 폐포 연산을 의미한다. 즉, 지지집합은 f가 0이 아닌 점들의 집합(\{x \in X \,:\, f(x) \neq 0 \})을 포함하는 가장 작은 닫힌 집합이다. 폐집합들의 교집합은 항상 폐집합이므로, \operatorname{supp}(f)f의 집합론적 지지집합을 포함하는 모든 닫힌 집합들의 교집합과 같다.

이 정의는 주로 연속 함수에 적용되지만, 함수 f가 반드시 연속일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4]

예를 들어, 실수선 \mathbb{R}에서 정의된 함수 f: \mathbb{R} \to \mathbb{R}

:f(x) = \begin{cases} 1 - x^2 & \text{if } |x| < 1 \\ 0 & \text{if } |x| \geq 1 \end{cases}

와 같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함수는 열린 구간 (-1, 1)에서 f(x) \neq 0이고, 이 구간 밖에서는 f(x) = 0이다. 따라서 집합 \{x \in \mathbb{R} \,:\, f(x) \neq 0 \} = (-1, 1)이다. 이 집합의 폐포는 닫힌 구간 [-1, 1]이므로, f의 (닫힌) 지지집합은 \operatorname{supp}(f) = [-1, 1]이다.

만약 지지집합 \operatorname{supp}(f)가 콤팩트 집합이면, 함수 f콤팩트 지지 함수(compactly supported function영어)라고 부른다. 만약 정의역 X거리 공간이고 지지집합이 유계 집합이면, 유계 지지 함수(function with bounded support영어)라고 한다.

2. 3. 콤팩트 지지집합

위상 공간 X에서 정의된 함수 f\colon X\to\mathbb R의 지지집합(\operatorname{supp}f)이 콤팩트 집합일 때, 이 함수 f콤팩트 지지 함수(compactly supported function|영어 또는 function with compact support|영어)라고 한다. 즉, f의 지지집합 \operatorname{supp}f=\operatorname{cl}\{x\in X\colon f(x)\neq 0\}X콤팩트 부분 집합인 경우이다. 여기서 \operatorname{cl}폐포 연산자다.

특히, X실수선(\mathbb{R}) 또는 n차원 유클리드 공간(\mathbb{R}^n)일 경우, 부분 집합이 콤팩트하다는 것은 그 집합이 닫혀 있고 유계라는 것과 동치이다. 따라서 이런 공간에서는 함수가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다는 것은 유계 지지집합(function with bounded support|영어)을 갖는다는 것과 같다. 정의역이 거리 공간의 구조를 가질 때, 지지집합이 유계 집합인 함수를 유계 지지 함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원본 소스에서 언급된 대로 지지집합이 [-1, 1]연속 함수 f : \mathbb{R} \to \mathbb{R}를 생각할 수 있다. 만약 f : \mathbb{R}^n \to \mathbb{R}매끄러운 함수이고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다면, f는 열린 부분 집합 \mathbb{R}^n \setminus \operatorname{supp}(f)에서 항등적으로 0이므로, 모든 차수의 f편미분 역시 이 영역에서 항등적으로 0이 된다.

콤팩트 지지집합 조건은 함수가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조건보다 더 강하다. 예를 들어, 함수 f(x) = \frac{1}{1+x^2}|x| \to \infty일 때 f(x) \to 0이므로 무한대에서 사라지지만, 지지집합이 \mathbb{R} 전체이므로 콤팩트하지 않다.

:f(x) = \frac{1}{1+x^2}

유클리드 공간에서 실수 값을 가지며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매끄러운 함수는 특별히 범프 함수(융기 함수)라고 불린다. 몰리파이어(완화자)는 범프 함수의 중요한 특수한 경우로, 분포 이론(초함수론)에서 매끄럽지 않은 (일반화된) 함수를 컨볼루션(합성곱)을 통해 근사하는 매끄러운 함수열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양호한 상황에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들의 공간은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함수들의 공간에서 조밀하다. 이는 임의의 작은 오차 \varepsilon > 0에 대해,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함수 f를 적절한 콤팩트 부분 집합 C \subset \mathbb{R}를 이용하여 콤팩트 지지 함수 I_C(x) f(x)로 근사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즉, 모든 x \in X에 대해 다음 부등식을 만족하도록 C를 선택할 수 있다.

:|f(x) - I_C(x)f(x)| < \varepsilon

여기서 I_C는 집합 C지시 함수이다.

콤팩트 공간 위의 모든 연속 함수는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다. 왜냐하면 콤팩트 공간의 모든 닫힌 부분 집합은 정의상 콤팩트하기 때문이다.

2. 4. 유계 지지집합

정의역이 거리 공간의 구조를 가졌을 때, 함수의 지지집합이 유계 집합인 경우, 이 함수를 '''유계 지지 함수'''(function with bounded support영어)라고 한다.

위상 공간 X에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는 그 닫힌 지지집합이 X콤팩트 부분 집합인 함수를 의미한다. 만약 X가 실수선 또는 n차원 유클리드 공간 (\mathbb{R}^n)이라면, 부분 집합이 콤팩트일 필요충분조건은 그 집합이 닫혀 있고 유계인 것이므로, 이러한 공간에서는 함수가 '''유계 지지집합'''을 갖는다는 것과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다는 것은 동치이다.[1][2][3] 결과적으로 실수선 \mathbb{R} 위에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는 곧 '''유계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이며, 이러한 함수는 양의 무한대(+\infty)와 음의 무한대(-\infty)에서 0으로 소멸한다.

2. 5. 본질적 지지집합

X가 보렐 측도 \mu를 갖는 위상 측도 공간 (예: \R^n, 또는 르베그 측도를 갖춘 \R^n의 르베그 가측 부분 집합)일 때, 일반적으로 \mu 거의 어디서나 같은 함수는 동일하게 취급한다. 이 경우, 가측 함수 f : X \to \R본질적 지지집합\operatorname{ess\,supp}(f)로 표기하며, f = 0F 외부에서 \mu 거의 어디서나 성립하도록 하는 X의 가장 작은 닫힌 집합 F로 정의된다. 다르게 말하면, 본질적 지지집합은 f = 0\mu 거의 어디서나 성립하는 가장 큰 열린 집합의 여집합이다.[5]

\operatorname{ess\,supp}(f) := X \setminus \bigcup \left\{\Omega \subseteq X : \Omega\text{ is open and } f = 0\, \mu\text{-almost everywhere in } \Omega \right\}.

함수 f의 본질적 지지집합은 함수 f뿐만 아니라 측도 \mu에도 의존하며, (집합론적) 닫힌 지지집합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 : [0, 1] \to \R가 무리수에서는 0, 유리수에서는 1디리클레 함수이고, [0, 1]르베그 측도를 갖는다고 하자. 이때 f의 (집합론적) 지지집합은 전체 구간 [0, 1]이지만, 유리수 집합의 르베그 측도는 0이므로 f는 0 함수와 거의 어디서나 같다. 따라서 f의 본질적 지지집합은 공집합이다.

수학 분석에서는 두 집합이 다를 경우, (집합론적) 닫힌 지지집합 대신 함수의 본질적 지지집합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operatorname{ess\,supp}(f)는 종종 간단히 \operatorname{supp}(f)로 표기하고 그냥 '지지집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6]

3. 성질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정의는 위상 공간 X에서 실수 값을 갖는 연속 함수 f : X \to \R의 경우이다. 이때 함수 f의 '''지지집합''' \operatorname{supp}(f)f(x) \ne 0인 점 x \in X들의 집합의 폐포로 정의된다.

:\operatorname{supp}(f) := \overline{\{ x \in X \mid f(x) \ne 0 \}}

폐포의 정의에 따라 지지집합은 항상 닫힌 집합이다.

위상 공간 X에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는 닫힌 지지집합이 X콤팩트 부분 집합인 함수이다. X가 실수선 또는 n차원 유클리드 공간 \R^n인 경우, 부분 집합이 콤팩트일 필요충분조건은 닫혀있고 유계인 것이므로, 함수가 유계 지지집합을 갖는 것과 같다.

예를 들어, 함수 f : \R \to \Rf(x) = \max(1 - |x|, 0)으로 정의될 때, 이 함수는 콤팩트 지지집합 [-1, 1]을 갖는 연속 함수이다. 만약 f : \R^n \to \R매끄러운 함수라면, f는 열린 부분 집합 \R^n \setminus \operatorname{supp}(f)에서 항등적으로 0이므로, 모든 차수의 f편미분 역시 \R^n \setminus \operatorname{supp}(f)에서 항등적으로 0이다.

콤팩트 지지집합 조건은 함수가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조건보다 더 강하다. 예를 들어, f(x) = \frac{1}{1+x^2}로 정의된 함수 f : \R \to \R|x| \to \infty일 때 f(x) \to 0이므로 무한대에서 사라지지만, 지지집합 \R은 콤팩트하지 않다.

유클리드 공간에서 실수 값을 갖는 콤팩트 지지집합 매끄러운 함수범프 함수(융기 함수)라고 불린다. 몰리파이어(완화자)는 분포 이론(초함수론)에서 매끄럽지 않은 (일반화된) 함수를 근사하는 매끄러운 함수의 수열을 컨볼루션(합성곱)을 통해 생성하는 데 사용되므로 범프 함수의 중요한 특수한 경우이다.

좋은 경우,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는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함수 공간에서 조밀하게 존재한다. 극한의 언어로 표현하면, 모든 \varepsilon > 0에 대해,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실수선 \R 위의 함수 f는 적절한 \R의 콤팩트 부분 집합 C를 선택하여 근사할 수 있다. 즉, 모든 x \in X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C가 존재한다.

:\left|f(x) - I_C(x) f(x)\right| < \varepsilon

여기서 I_CC지시 함수이다.

콤팩트 위상 공간의 모든 연속 함수는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다. 이는 콤팩트 공간의 모든 닫힌 부분 집합은 실제로 콤팩트하기 때문이다.

만약 X가 보렐 측도 \mu를 갖는 위상 측도 공간 (예: \R^n 또는 르베그 측도를 갖춘 \R^n르베그 가측 부분 집합)이라면, 일반적으로 \mu 거의 어디에서나 같은 함수를 동일시한다. 이 경우, 가측 함수 f : X \to \R본질적 지지집합 \operatorname{ess\,supp}(f)f = 0F 외부에서 \mu 거의 어디에서나 성립하도록 하는 X의 가장 작은 닫힌 부분 집합 F로 정의된다. 동등하게, \operatorname{ess\,supp}(f)f = 0\mu 거의 어디에서나 성립하는 가장 큰 열린 집합의 여집합이다.[5]

:\operatorname{ess\,supp}(f) := X \setminus \bigcup \left\{\Omega \subseteq X : \Omega\text{ is open and } f = 0\, \mu\text{-almost everywhere in } \Omega \right\}.

함수 f의 본질적 지지집합은 f뿐만 아니라 측도 \mu에도 의존하며, 닫힌 지지집합보다 엄격하게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f : [0, 1] \to \R이 무리수에서는 0, 유리수에서는 1디리클레 함수이고, [0, 1]이 르베그 측도를 갖는다면, f의 (닫힌) 지지집합은 전체 구간 [0, 1]이지만, f가 0 함수와 거의 어디에서나 같으므로 f의 본질적 지지집합은 공집합이다.

해석학에서는 두 집합이 다를 때 닫힌 지지집합 대신 함수의 본질적 지지집합을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항상 있으므로, \operatorname{ess\,supp}(f)는 종종 간단히 \operatorname{supp}(f)로 표기하며 지지집합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6]

집합 X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f유한 지지집합을 가진다는 것은, \operatorname{supp}(f)유한 집합이 되는 것, 즉 유한 개의 예외를 제외한 모든 x \in X에 대해 f(x) = 0을 만족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자연수 집합 \mathbf{N}에서 정수 집합 \mathbf{Z}로의 함수 중 유한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들은 0이 아닌 항이 유한 개뿐인 수열(실질적인 유한 수열)에 해당하며, 이는 가산 집합을 이룬다.

슈바르츠 분포(초함수)에도 지지집합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분포 f와 유클리드 공간의 열린 집합 U에 대해, 지지집합이 U에 포함되는 임의의 시험 함수 \phi에 대해 f(\phi) = 0이 만족될 때, 분포 fU 위에서 사라진다고 한다. 분포 f의 지지집합 \operatorname{supp}(f)f가 사라지는 가장 큰 열린 집합의 여집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랙 델타 함수 \delta(x)의 지지집합은 한 점 집합 \{0\}이다. 실수 직선 상의 측도(확률 측도 포함)는 슈바르츠 분포의 특별한 경우이므로, 측도의 지지집합도 같은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4. 예시


  • 실수선 \R에서 정의된 함수 f : \R \to \R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f(x) = \begin{cases} 1 - x^2 & \text{if } |x| < 1 \\ 0 & \text{if } |x| \geq 1 \end{cases}

이 함수 f는 열린 구간 (-1, 1)에서 0이 아니고, 이 집합의 폐포는 닫힌 구간 [-1, 1]이다. 따라서 f의 '''지지집합''' 또는 '''닫힌 지지집합''' \operatorname{supp}(f)[-1, 1]이다.[1][2][3] 이 지지집합 [-1, 1]콤팩트 집합이므로, 함수 f는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연속 함수이다.

  • 실수선 \R에서 정의된 함수 g : \R \to \R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g(x) = \frac{1}{1+x^2}

이 함수 g|x|가 무한대로 갈 때 g(x)가 0으로 수렴하므로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함수이다. 하지만 이 함수의 지지집합은 실수 전체 집합 \R이고, \R은 콤팩트 집합이 아니므로 g는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지 않는다.

  • 디리클레 함수 f : [0, 1] \to \R유리수에서는 1, 무리수에서는 0의 값을 갖는 함수이다. 이 함수의 (닫힌) 지지집합은 함수값이 0이 아닌 점들의 집합(여기서는 유리수 집합 \mathbb{Q} \cap [0, 1])의 폐포이므로, 전체 구간 [0, 1]이 된다. 하지만 르베그 측도를 부여하면, 유리수 집합은 측도가 0이므로 함수 f는 거의 모든 점에서 0이다. 따라서 f의 '''본질적 지지집합''' \operatorname{ess\,supp}(f)공집합 \emptyset이다.[5]

  • 유클리드 공간 \R^n에서 정의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매끄러운 함수를 '''융기 함수'''(bump function)라고 부른다. 융기 함수는 해석학의 여러 분야, 특히 분포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몰리파이어는 융기 함수의 중요한 예시이다.

  • 어떤 집합 C의 '''지시 함수''' I_Cx \in C이면 I_C(x) = 1, x \notin C이면 I_C(x) = 0인 함수이다. 지시 함수 I_C의 지지집합은 일반적으로 집합 C의 폐포 \overline{C}이다. 만약 C가 닫힌 집합이라면, 지지집합은 C 자체가 된다.

  • 자연수의 집합 \mathbb{N}에서 정수의 집합 \mathbb{Z}로 가는 함수, 즉 정수열 (a_n)_{n \in \mathbb{N}}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 '''유한 지지집합'''을 갖는 수열은 0이 아닌 항이 유한 개인 수열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1, 2, 3, 0, 0, 0, \dots)은 유한 지지집합 \{1, 2, 3\}을 갖는 수열이다.

  • 분포(distribution) 또는 초함수(generalized function)에 대해서도 지지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랙 델타 함수 \deltax=0을 제외한 모든 점에서 0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그 지지집합은 한 점 집합 \{0\}이다. 즉, \operatorname{supp}(\delta) = \{0\}이다.

5. 응용

지지집합 개념은 다양한 수학 및 관련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몰리파이어''': 유클리드 공간에서 정의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매끄러운 실수값 함수를 '''범프 함수'''(융기 함수)라고 한다. 몰리파이어는 이러한 범프 함수의 중요한 예시로, 분포 이론에서 매끄럽지 않은 함수(일반화된 함수 또는 초함수)를 컨볼루션을 통해 매끄러운 함수열로 근사하는 데 사용된다.

  • '''확률론''': 확률론에서 확률 분포의 지지집합은 해당 분포를 따르는 확률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들의 집합의 폐포로 이해할 수 있다. 형식적으로 확률 변수 X의 지지집합은 P\left(X \in R_X\right) = 1을 만족하는 가장 작은 닫힌 집합 R_X \subseteq \R이다. 실제 적용에서는 이산 확률 변수의 경우 P(X = x) > 0x 값들의 집합 R_X = \{x \in \R : P(X = x) > 0 \}으로, 연속 확률 변수의 경우 확률 밀도 함수 f_X(x)가 0보다 큰 값들의 집합 R_X = \{x \in \R : f_X(x) > 0 \}으로 정의하기도 한다.[8] 또한, 확률 밀도 함수의 가능도의 로그를 지칭하는 데 '지지 집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9]

  • '''분포(초함수) 이론''': 디랙 델타 함수 \delta(x)와 같은 분포(초함수)에 대해서도 지지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 분포 f의 지지집합은 f가 사라지는(즉, 해당 영역에 지지집합을 갖는 모든 시험 함수 \phi에 대해 f(\phi)=0이 되는) 가장 큰 열린 집합의 여집합이다. 예를 들어, 디랙 델타 함수 \delta(x)의 지지집합은 \{0\}이다. 실수선 상의 측도(확률 측도 포함)는 분포의 특별한 경우이므로, 같은 방식으로 측도의 지지집합도 정의할 수 있다.

  • '''푸리에 해석 및 편미분 방정식''': 푸리에 해석에서는 분포의 '''특이 지지'''(singular support)를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분포가 매끄러운 함수가 아닌 점들의 집합으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의 푸리에 변환x=0을 제외하면 1/x에 비례하는데, 이 변환된 분포의 특이 지지는 \{0\}이다. 다변수 분포의 경우, 특이 지지 개념은 '''파면 집합'''(wave front set)을 정의하고 파동 방정식과 관련된 호이겐스 원리를 해석학적으로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분포끼리의 곱셈 가능 조건(예: 각 분포의 특이 지지가 서로소여야 함)과 같은 분포 이론의 고유한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6. 한국 수학계의 연구 동향

지지집합 개념, 특히 콤팩트 지지집합은 현대 수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떤 함수가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다는 것은 그 함수의 지지집합(support)이 위상 공간 ''X''의 콤팩트 부분 집합이라는 의미이다.[1][2] 실수선(R)이나 유클리드 공간 Rn과 같이 익숙한 공간에서는, 부분 집합이 콤팩트하다는 것이 닫혀 있고 유계라는 것과 동일하므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는 유계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와 같다.[1] 예를 들어, 함수 f(x) = \max(0, 1 - |x|)는 닫힌 구간 [-1, 1]을 콤팩트 지지집합으로 갖는 연속 함수이다.[1]

콤팩트 지지집합 조건은 함수가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조건보다 더 강력하다. 예를 들어, 함수 f(x) = \frac{1}{1+x^2}|x| \to \infty일 때 f(x) \to 0이므로 무한대에서 사라지지만, 그 지지집합은 실수 전체 R이므로 콤팩트하지 않다.[1]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매끄러운 함수(미분 가능한 함수)는 특별히 '''융기 함수'''라고 불리며, 해석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특히 몰리파이어(완화자)는 융기 함수의 한 예시로, 분포 이론(초함수론)에서 매끄럽지 않은 함수나 일반화된 함수(초함수)를 합성곱을 통해 매끄러운 함수열로 근사하는 데 사용된다.[1][2]

이러한 콤팩트 지지집합의 개념은 한국 수학계의 여러 연구 분야에서도 기초적인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위상수학: 일반적인 위상 공간에서의 집합의 성질을 다루므로, 다양한 공간에서 정의된 함수의 지지집합과 그 콤팩트성 연구는 기본적인 주제이다. 콤팩트 공간 위에서는 모든 연속 함수가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다는 성질 등이 연구될 수 있다.[1][2]
  • 해석학: 함수 공간의 성질을 연구하는 해석학에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들의 공간은 중요한 대상이다. 예를 들어, 양호한 조건 하에서 콤팩트 지지집합을 갖는 함수들은 무한대에서 사라지는 함수들의 공간에서 조밀하다는 성질은 함수 근사 이론의 기초가 된다.[1][2] 이는 임의의 함수를 다루기 좋은 콤팩트 지지집합 함수로 근사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f(x) - I_C(x)f(x)| < \varepsilon을 만족하는 콤팩트 집합 ''C'' 상의 지시 함수 ''IC''를 이용), 다양한 함수 공간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 편미분방정식론: 완화자를 이용한 근사 방법은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성이나 정칙성을 연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매끄럽지 않은 해를 매끄러운 함수로 근사하여 분석하는 기법에서 콤팩트 지지집합 개념이 중요하게 사용된다.[1][2]


비록 주어진 자료만으로는 한국 수학계의 구체적인 최신 연구 동향을 상세히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지지집합과 콤팩트 지지집합 개념은 위상수학, 해석학, 편미분방정식론 등 다양한 수학 분야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며 관련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조

[1] 서적 Real Analysis, 2nd ed. John Wiley
[2] 서적 Linear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I, 2nd ed. Springer-Verlag
[3] 서적 PDE and Martingale Methods in Option Pricing Springer-Verlag
[4] 서적 Real and Complex Analysis, 3rd ed. McGraw-Hill
[5] 서적 Analysis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6] 문서 Essential supremum and essential infimum
[7] 서적 Computational homology Springer 2004
[8] 웹사이트 Support of a random variable https://www.statlect[...] 2017-11-29
[9] 서적 Likelihood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