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기늑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갈기늑대는 목덜미의 갈기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개과에 속하는 남아메리카의 포유류이다. 여우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여우와는 유전적으로 관련이 없으며, 덤불개와 가장 가까운 친척 관계를 가진다. 갈기늑대는 황혼기에 활동하며, 단독 생활을 하고, 잡식성으로 작은 동물, 과일 등을 섭취한다. 11월부터 4월까지 번식하며, 한 배에 2~6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서식지 파괴, 로드킬, 질병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IUCN 적색 목록에서 위협 근접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척삭동물 - 오카피
오카피는 기린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콩고 민주 공화국에 서식하며, 초콜릿색 털과 얼룩말과 유사한 줄무늬를 가지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척삭동물 - 가젤
가젤은 소과 가젤속 동물들의 총칭으로, 다양한 하위 종이 존재하며 일부는 다른 속으로 재분류되었고 멸종된 종도 있다. - 플라이스토세 남아메리카의 포유류 - 스밀로돈
스밀로돈은 플라이스토세 시대 아메리카 대륙에 살았던 멸종된 검치호 속으로, 긴 송곳니와 강력한 앞다리, 튼튼한 체격을 지녔으며 대형 초식동물을 사냥했던 최상위 포식자였으나 약 1만 년 전 멸종했다. - 플라이스토세 남아메리카의 포유류 - 퓨마
퓨마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대형 고양잇과 동물로, 넓은 분포와 뛰어난 적응력을 가지며 단독 생활을 하는 사냥꾼이지만, 서식지 감소와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여러 문화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 1815년 기재된 포유류 - 카스피호랑이
카스피호랑이는 카스피해 주변에 서식했던 멸종된 호랑이 아종으로, 붉은 털과 검은 줄무늬가 특징이며 시베리아호랑이와 유전적으로 유사하고, 남획과 서식지 파괴로 1970년대 초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 - 1815년 기재된 포유류 - 가지뿔영양
가지뿔영양은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발견되는 유일한 가지뿔영양속 종으로, 뿔이 갈라진 형태가 특징이며 서반구에서 가장 빠른 육상 포유류이다.
| 갈기늑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Chrysocyon brachyurus |
| 이명 | Canis brachyurus, C. campestris, C. isodactylus, C. jubatus, Vulpes cancrosa |
![]() | |
| 어원 | (황금 개) |
| 몸무게 | 20–30 kg |
| 몸길이 | 110 cm |
| 생물학적 분류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과 | 개과 |
| 속 | 갈기늑대속 (Chrysocyon) |
| 종 | 갈기늑대 (C. brachyurus) |
| 보전 상태 | |
| IUCN 적색 목록 | 준위협 (NT) |
| CITES | 부록 II |
| 서식지 및 생태 | |
| 서식지 | 남아메리카 |
| 먹이 | 잡식성 (주로 작은 동물, 과일) |
| 기타 정보 | |
| 최초 학명 명명자 | 일리거, 1815년 |
2. 명칭
갈기늑대라는 이름은 목덜미의 갈기에서 유래했다. 현지에서는 과라니어로 aguara guasugrn(큰 여우라는 뜻)로 알려져 있으며, 토바 콤어로는 ''kalak'', 포르투갈어로는 lobo-guarápor, 스페인어로는 lobo de crínspa, lobo de los esterosspa, 또는 lobo coloradospa로 불린다. "늑대"를 의미하는 ''lobo''는 라틴어 lupuslat에서 유래했다. ''Guará''와 ''aguará''는 투피-과라니어 ''agoa'rá''(털에 의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볼리비아에서는 ''borochi''라고도 불린다.
갈기늑대는 개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남아메리카 대륙의 개과 동물들 사이에서도 독특한 분류학적 위치를 차지한다.[4] 비록 외모는 여우와 유사한 점이 있으나, 유전적으로 여우와는 거리가 멀며, 늑대, 코요테, 자칼 등 다른 주요 개과 동물들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적다.[4] 현존하는 가장 가까운 친척은 덤불개이며, 포클랜드늑대와 같은 멸종된 남아메리카 개과 동물들과도 가까운 관계였던 것으로 밝혀졌다.[13][15] 갈기늑대를 포함한 남아메리카 고유의 개과 동물 그룹(세르도키오니나) 내에서의 정확한 계통 관계는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12][15][66] 자세한 계통 분류 및 진화적 관계는 아래 계통 분류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3. 분류
3. 1. 계통 분류
갈기늑대는 겉모습이 여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실제로는 여우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관계가 아니다. 예를 들어, 여우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타원형 동공이 갈기늑대에게는 없다.[4] 갈기늑대는 개과 동물 중에서도 독특한 진화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초기에는 형태학적 유사성 때문에 ''Canis'' 속이나 ''Vulpes'' 속으로 분류되기도 했다.[4] 그러나 핵산 젤 전기영동 연구 결과, 갈기늑대는 연구된 다른 현존 개과 동물들과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73][74][75] 이 연구는 갈기늑대가 플라이스토세 말기 대량 멸종에서 살아남은 유일한 대형 남아메리카 개과 동물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기도 했다. 갈기늑대의 화석은 홀로세와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지층이 있는 브라질 고원에서 발굴되었다.[11]
여러 유전학 및 형태학 연구를 통해 갈기늑대의 계통 관계가 점차 밝혀졌다. 2003년에 발표된 여러 개과 동물의 뇌 해부학 연구에서는 갈기늑대를 포클랜드늑대 및 남아메리카의 ''Pseudalopex'' 속과 함께 분류했다.[12] 이후 DNA 분석 연구들은 멸종된 ''Dusicyon'' 속, 즉 포클랜드늑대와 그 본토 친척들이 갈기늑대와 가장 가까운 관계이며, 약 7백만 년 전에 공통 조상에서 갈라졌음을 보여주었다.[13] 2013년에 발표된 미토콘드리아 DNA의 시토크롬 b 및 COII 유전자 분석 결과 역시 ''Dusicyon'' 속(포클랜드늑대 포함)과 갈기늑대가 하나의 단계통군을 형성한다는 것을 지지한다.[66]
현존하는 개과 동물 중에서는 덤불개( ''Speothos'' 속)가 갈기늑대와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다.[15] 다른 남아메리카 개과 동물들(예: 단이개, 게잡이여우, ''Lycalopex'' 속)과는 상대적으로 더 먼 관계이다.[15] 이들 남아메리카 개과 동물들은 세르도키오니나(Cerdocyonina)라는 아족(subtribe)으로 함께 묶인다.
2015년 연구에서는 갈기늑대의 유전적 특징을 분석하여, 약 24,000년 전 플라이스토세 간빙기 동안 개체 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겪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14]
결론적으로 갈기늑대는 남아메리카 대륙 밖에서 발견되는 늑대, 코요테, 자칼, 여우 등과는 유전적으로 거리가 멀며, 독자적인 진화 경로를 걸어온 개과 동물이다.[4]
4. 형태
갈기늑대는 붉은여우와 외형적으로 약간 유사하지만 다른 속에 속한다. 야생 개과 동물 중 가장 키가 크며, 긴 다리는 키 큰 초원 서식지에 적응한 결과로 보인다.[18] 남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는 개과 동물 중 가장 크다.[62][63][65] 성체의 신체 치수는 아래 표와 같다.
| 특징 | 값 | 출처 |
|---|---|---|
| 20kg ~ 23kg | [63][65] | ||
| 72cm ~ 90cm (최대 110cm) | [63][16] | ||
| 100cm (두개척추 길이 122.5cm ~ 132cm) | [16][63] | ||
| 27.5cm ~ 45cm | [63][16] | ||
| 16.8cm ~ 18cm | [62][63][17] |
털은 옆구리가 붉은 갈색에서 황금색을 띠며 등면은 적갈색이다.[63] 다리와 주둥이, 목 뒤의 길게 자란 털(갈기)은 검은색이다.[63][64] 이 특징적인 검은색 갈기는 세울 수 있으며, 위협을 느끼거나 공격성을 보일 때 몸집을 더 커 보이게 하는 데 사용된다. 꼬리 끝과 목 아래("턱받이"), 귓바퀴 안쪽은 흰색 털로 덮여 있다.[63][64] 드물게 털 전체가 검은색인 흑색증(melanism) 개체도 존재하는데, 2013년 브라질 북부 미나스제라이스주에서 카메라 트랩으로 처음 촬영되었다.[19][20][21]

두개골은 줄어든 분열치(제4 작은어금니), 작은 위쪽 앞니, 가늘고 긴 송곳니가 특징이다.[63][65] 다른 개과 동물처럼 총 42개의 치아를 가지고 있으며, 치아 공식은 위턱 3.1.4.2, 아래턱 3.1.4.3 이다. 코거울은 부시도그와 유사하게 윗입술까지 확장되어 있지만, 수염은 더 길다. 두개골에는 눈에 띄는 시상 능선도 있다.
갈기늑대의 발자국은 개의 발자국과 비슷하지만, 발가락 자국이 벌어진 것에 비해 발바닥 패드가 불균형적으로 작다.[22][23] 개의 발바닥 패드는 갈기늑대보다 최대 세 배 더 크다.[24] 패드는 삼각형 모양이며,[16] 앞발자국은 길이 7cm ~ 9cm, 폭 5.5cm ~ 7cm이고, 뒷발자국은 길이 6.5cm ~ 9cm, 폭 6.5cm ~ 8.5cm이다.[16] 갈기늑대 발자국을 다른 남아메리카 개과 동물의 발자국과 구별하는 한 가지 특징은 셋째와 넷째 발가락의 발바닥이 뿌리 부분에서 합쳐져 있다는 점이다.[63][64]
갈기늑대는 영역 표시에 사용하는 소변에서 나는 독특한 대마초 유사 냄새로도 알려져 있어 "스컹크 늑대"라는 별명을 얻었다.
갓 태어난 새끼(유수)의 체중은 340g ~ 430g이다.[62][63][65] 온몸이 검은 털로 덮여 있고 꼬리 끝만 흰색이지만,[64] 생후 약 70일이 지나면 옅은 적갈색으로 변한다.[63]
5. 생태
갈기늑대는 주로 황혼 무렵에 활동하는 황혼 박명성 동물이며,[63][25] 활동 패턴은 상대 습도와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25] 활동 최고조는 오전 8시~10시와 오후 8시~10시 사이에 나타나며,[25] 춥거나 흐린 날에는 낮에도 활동할 수 있다. 이동할 때는 같은 쪽의 앞다리와 뒷다리를 동시에 움직이는 독특한 걸음걸이인 측대보(pace gait)를 사용한다.[63]
대부분의 대형 개과 동물들과 달리, 갈기늑대는 단독 생활을 하며 무리를 이루지 않는다. 보통 해 질 녘부터 자정 사이에 혼자 사냥하며, 큰 귀로 먹잇감 소리를 듣고 앞발로 땅을 두드려 놀라게 한 뒤 덮친다.[17][26] 일부일처제 짝은 약 30km2의 영역을 공유하며 방어할 수 있지만, 짝짓기 외에는 만남이 드물 수 있다. 영역은 밤에 순찰하며 만든 길들로 표시되며, 특정 장소에 배설물과 소변으로 영역을 표시한다.[65] 소변은 홉이나 대마초와 유사한 독특한 냄새가 나는데, 이는 피라진 성분 때문이다.[28][29]
갈기늑대는 생태계 내에서 다른 생물과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한다. 특히 먹이로 삼는 식물의 씨앗을 배설을 통해 퍼뜨리는 역할을 하며,[32] 잎꾼개미 둥지에 배설하여 씨앗 발아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기도 한다.
주요 포식자는 퓨마와 재규어이며, 특히 재규어에게 많이 잡아먹힌다.[43] 또한 ''Amblyomma'' 속의 진드기, 쇠파리 유충, 거대 신장충 등 다양한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으며,[40][42] 개와의 접촉을 통해 광견병, 파보바이러스 등 여러 질병에 노출될 위험도 있다.[41][40] 야생에서의 정확한 수명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사육 상태에서는 12년에서 15년 정도 사는 것으로 추정된다. 상파울루 동물원에서는 22살까지 산 개체도 보고되었다.[36]
5. 1. 서식지
갈기늑대는 주로 초원, 관목 프레리, 숲과 같은 환경에서 서식한다.[26] 분포 지역은 아르헨티나 북부, 파라과이, 브라질 중부 및 동부, 볼리비아 동부이다.[63] 현재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어 있다.갈기늑대는 주로 황혼 무렵에 활동하며, 활동 패턴은 상대 습도와 온도에 영향을 받는다. 이는 덤불개(*Speothos venaticus*)의 활동 패턴과 유사하다. 활동이 가장 활발한 시간대는 오전 8시에서 10시 사이, 그리고 오후 8시에서 10시 사이이다.[25] 춥거나 흐린 날에는 낮 시간에도 활동할 수 있다. 먹이를 찾을 때는 탁 트인 들판을 선호하고, 휴식을 취할 때는 강기슭 숲과 같이 좀 더 가려진 곳을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더운 날에는 이러한 폐쇄된 지역을 더 찾는다.
회색 늑대, 아프리카 야생 개, 들개와 같은 다른 대형 개과 동물들과 달리, 갈기늑대는 단독 생활을 하며 무리를 이루지 않는다. 보통 해 질 녘부터 자정 사이에 혼자 사냥에 나선다. 큰 귀를 이용해 풀밭 속 먹잇감의 소리를 탐지하고, 앞발로 땅을 두드려 먹이를 놀라게 한 뒤 덮쳐서 잡는다.[17] 먹이를 잡으면 목이나 등을 물어 죽이고, 필요하면 몸을 격렬하게 흔들기도 한다.[26]
일부일처 관계를 맺은 암수 한 쌍은 약 30km2에 달하는 영역을 함께 지키지만, 짝짓기 시기를 제외하고는 서로 만나는 일이 드물 수 있다. 영역 내에는 밤에 순찰하며 만든 길들이 나 있다. 먹이가 풍부한 곳, 예를 들어 불이 나서 작은 척추동물이 드러난 풀밭 등에서는 여러 마리가 모여 먹이를 찾기도 한다.
갈기늑대는 암수 모두 소변을 통해 의사소통하며,[27] 사냥 경로를 표시하거나 먹이를 숨겨둔 장소를 표시하는 데 사용한다.[26] 이 소변은 매우 독특한 냄새를 풍기는데, 어떤 사람들은 홉이나 대마초 냄새와 비슷하다고 느낀다. 이 냄새는 피라진이라는 화학 물질 때문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 물질은 홉과 대마초에도 들어 있다.[28][29] 네덜란드의 로테르담 동물원에서는 이 냄새 때문에 경찰이 대마초 흡연자를 찾으러 출동했던 일화도 있다.[28][30]
5. 2. 먹이

갈기늑대는 잡식성 동물로, 먹이 구성은 동물과 식물이 거의 비슷한 비율을 차지한다.[68] 주로 설치류, 토끼, 아르마딜로 같은 작은 포유류를 비롯하여 조류와 그 알, 파충류, 어류, 복족류, 기타 육상 연체동물, 곤충 등 작거나 중간 크기의 동물을 사냥한다.[26][33][34][35][64][31] 식물성 먹이로는 사탕수수, 덩이줄기, 구근, 뿌리, 다양한 과일 등을 먹으며,[26][33][34][35] 특히 늑대 사과(*Solanum lycocarpum*)는 가장 중요한 먹이 중 하나이다.[32][35][37] 기록된 먹이 종류는 식물 116종, 동물 178종을 포함하여 총 301가지에 달한다.[31] 건기에는 동물을 더 많이 섭취하는 경향이 있다.[35] 분변 분석 결과 큰개미핥기, 덤불개, 목도리페커리를 먹은 흔적이 발견되었으나, 직접 사냥했는지 사체를 먹었는지는 불분명하다.[36][32]
브라질 중부 지역의 배설물 분석 연구(N=105) 결과는 다음과 같다.[68]
| 먹이 종류 | 비율 (%) |
|---|---|
| 동물성 먹이 | 53.3 |
| 식물성 먹이 | 46.7 |
| 세부 항목 | 비율 (%) |
| 늑대 사과 열매 | 25.7 |
| 설치류 | 22.0 |
| 조류 | 13.8 |
| 벼과 및 사초과 등 초본 | 11.8 |
| 아르마딜로류 | 9.2 |
| 망고 등 과일 | 9.2 |
토마토와 유사한 과일인 늑대 사과는 일부 지역에서 갈기늑대 식단의 40%에서 최대 90%까지 차지할 정도로 중요한 먹이원이다.[32][35][37] 다른 과일과 달리 계절에 상관없이 연중 내내 섭취하며,[32][35] 갈기늑대는 이 과일을 적극적으로 찾아 먹는다. 섭취 후 배설을 통해 씨앗을 퍼뜨려 늑대 사과 식물의 번식에 기여하며,[32] 이 과일이 갈기늑대의 내부 기생충 구제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64][65] 그 외 바나나, 구아바 등 다른 과일도 먹는다.[69]
갈기늑대는 주로 해 질 녘부터 자정 사이에 단독으로 사냥한다. 뛰어난 청각을 이용해 풀밭 속 먹잇감의 소리를 탐지하고,[17][63] 앞발로 땅을 두드려 숨어있는 먹이를 놀라게 한 뒤 덮쳐서 잡는다.[17] 먹이를 잡을 때는 목이나 등을 물어 죽이며, 필요하면 격렬하게 흔들기도 한다.[26] 먹이를 쫓아가거나, 땅을 파거나, 공중으로 뛰어올라 날아가는 새를 잡기도 하며,[8][63][64] 사냥 성공률은 약 21%로 보고되었다.[8] 이빨과 턱이 비교적 약해 작은 동물만 사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두 마리가 협력하여 팜파스사슴을 사냥하거나 가축을 습격한 사례도 있다.[32] 쓰러진 동물의 사체를 먹기도 하며,[8] 먹고 남은 먹이는 땅에 묻어 보관하는 저장 행동을 보인다.[69]
과거 사육 환경에서는 육류 위주 식단으로 인해 방광 결석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현재 동물원에서는 결석 유발 성분(시스틴 등)이 적은 고기와 특수 사료, 과일, 채소를 균형 있게 제공한다.
미국 텍사스의 갈기늑대에서 장내 기생충인 극두동물 ''Pachysentis canicola''가 발견된 바 있다.[39]
5. 3. 번식

갈기늑대의 번식기는 주로 11월부터 4월까지이다. 하지만 사육 환경에서는 광주기의 영향을 받아 북반구에서는 10월에서 2월, 남반구에서는 8월에서 10월 사이에 번식하는 경향을 보인다.[31][63][65] 이는 광주기가 주로 수컷의 정액 생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보인다.[31] 일반적으로 암컷은 1년에 한 번 발정하며, 자연적으로 배란하지만 수컷의 존재가 발정 유도에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다.[31]
구애 행동은 다른 개과 동물과 비슷하며, 서로에게 자주 접근하고 회음부나 항문 부위를 탐색하는 것이 특징이다.[8] 교미는 4일간의 발정 기간 동안 이루어지며, 최대 15분까지 지속된다. 갈기늑대가 생산하는 정액의 양은 다른 개과 동물에 비해 적은 편이다.[31]
임신 기간은 60일에서 65일(또는 62~66일[63]) 정도이다.[26] 한 배에 보통 2~6마리(일부 자료에서는 2~5마리[63])의 새끼를 낳으며, 7마리를 낳은 기록도 있다. 야생에서는 카나스트라 산맥에서 5월에 출산이 관찰되었으나, 사육 상태에서는 6월에서 9월 사이에 출산이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36]
새끼는 태어날 때 340g에서 430g 사이의 무게이며, 온몸이 검은 털로 덮여 있다. 이 검은 털은 생후 10주가 지나면 붉은색으로 변한다. 눈은 생후 약 9일경에 뜬다.[63] 새끼는 약 4개월(또는 15주[63]) 동안 어미 젖을 먹는다.[32][8] 생후 3주부터는 부모가 되새김질하여 토해준 먹이를 먹기 시작하며, 이는 10개월까지 이어진다.[32][8] 사육 환경에서는 아비가 새끼에게 먹이를 토해내어 주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64][65] 생후 3개월이 되면 어미가 먹이 활동을 할 때 함께 따라다니기 시작한다.[32]
양육에는 암수 모두 참여하지만, 주로 암컷이 담당한다.[32] 수컷의 양육 참여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사육 상태에서 관찰된 것이며, 야생에서의 역할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8]
새끼는 생후 1년이 되면 완전히 성장하고[26] 성적으로 성숙하여 태어난 곳을 떠나지만[8], 실제 번식은 생후 2년 이후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4] 암컷의 경우 2살이 될 때까지 번식하지 않을 수도 있다.[31]
갈기늑대는 야생에서 번식에 어려움을 겪으며 유아 사망률이 높다.[31] 사육 상태에서의 번식은 더욱 어려우며, 특히 북반구의 온대 지역에서 그렇다.[31]
야생에서의 수명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12~15년으로 추정된다.[62][64] 상파울루 동물원에서는 22살까지 산 개체가 있었다는 보고도 있다.[36]
6. 인간과의 관계
갈기늑대는 일반적으로 수줍음이 많고 경계심이 강해 먼저 도망가기 때문에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협을 거의 가하지 않는다.[34] 하지만 대중적으로 닭을 훔치는 동물로 인식되며, 과거에는 소, 양, 돼지에게도 해를 끼친다고 여겨졌으나 이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밝혀졌다.[34] 그럼에도 일부 농부들은 가축, 특히 가금류를 지키기 위해 갈기늑대를 경계하며 때로는 보복하기도 한다.[47] 브라질에서는 닭을 보호하기 위해 '브라질 포덴고' 또는 '크리올로 포덴고'라 불리는 포르투갈 포덴고의 브라질 변종을 사용하기도 했다. 양을 공격한다는 비난을 받기도 하여 인간과의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47]
역사적으로 포르투갈과 스페인 식민지화 시대에 유럽인들은 이베리아늑대에 대한 반감을 갈기늑대에게 투영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심었다.[46] 또한, 브라질 일부 지역에서는 갈기늑대의 눈과 같은 신체 일부가 행운의 부적으로 여겨져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64] 민담에서는 닭을 쏘아보기만 해도 죽일 수 있다고 믿거나,[64] 신체 부위나 배설물이 기관지염, 신장 질환, 뱀 물린 데 약효가 있다고 여겨졌다.[8][64] 이빨, 심장, 귀, 마른 대변 등이 약재나 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믿었으며,[55] 볼리비아에서는 갈기늑대 가죽으로 만든 안장이 불운을 막아준다고 믿기도 했다.[8] 하지만 이러한 믿음 때문에 대규모로 신체 부위가 거래되지는 않았다.[8] 공원 쓰레기를 뒤지거나[69] 사탕수수 밭을 망친다는[70] 이야기도 전해진다.
인간과의 관계는 지역에 따라 두려움, 관용, 혐오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8] 브라질 도시 사회에서는 갈기늑대에 대해 동정심을 느끼고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힘과 용맹함의 상징으로 여기면서도 위험한 동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55] 그러나 동물원 방문객 중 상당수는 갈기늑대를 알아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8]
갈기늑대는 과라니족에게도 친숙한 동물이었으며, 초기 유럽인들도 원주민의 이름(yaguaraçú|야과라수grc)을 사용했다.[31] 스페인 자연학자 펠릭스 데 아사라는 이 종의 생물학을 처음 기술한 사람 중 하나이다.[55] 브라질에서는 세라도 지역 보존의 상징 종으로 여겨지며,[31] 2020년 9월 발행된 200 헤알 지폐[56]와 1993-1994년 유통된 100 크루제이루 헤알 동전[57]에 도안으로 사용되었다.
생태계 내에서는 공생 관계를 맺기도 한다. 갈기늑대가 잎꾼개미 둥지 근처에 배설하면, 개미들은 똥을 이용해 곰팡이 정원을 가꾸고 씨앗은 둥지 밖 쓰레기 더미에 버리는데, 이 과정에서 씨앗의 발아율이 높아진다. 갈기늑대의 주요 포식자로는 퓨마와 재규어가 있다.[43] 또한, 귀에 기생하는 ''Cochliomyia hominivorax'' 파리나 ''Amblyomma'' 속의 진드기로 고통받기도 한다.[40]
6. 1. 보존
갈기늑대는 넓은 지리적 분포와 인공 환경에 대한 적응력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종으로 간주되지는 않지만, 개체수 감소로 인해 위협 근접종(Near Threatened, NT)으로 분류된다.[48] 1996년까지는 IUCN에 의해 취약종(Vulnerable, VU)으로 분류되었다.[36]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I에도 등재되어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36][60]브라질의 생물다양성 보존을 위한 치코 멘데스 연구소(ICMBio)는 IUCN 기준을 따르면서도 갈기늑대를 취약종으로 간주한다.[50][51] 브라질 내에서도 주별로 보존 상태 평가가 다른데, 상파울루와 미나스 제라이스에서는 취약종이지만, 파라나, 산타카타리나, 히우그란데두술에서는 각각 "위기종(Endangered, EN)"과 "심각한 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으로 더 심각하게 분류된다.[51][55] 우루과이에서는 1990년 포획 이후 발견 사례가 없어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며,[61] 보존에 "우선순위"가 있는 종으로 간주된다.[52] 아르헨티나에서는 심각한 위험 상태는 아니지만 개체수가 감소하고 단편화되고 있음을 인정한다.[52] 볼리비아[53]와 파라과이[54]에서의 상황은 불확실하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갈기늑대는 분포하는 모든 국가에서 사냥으로부터 보호받고 있다.[8]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에서는 법으로 갈기늑대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6] 2005년 추정 개체수는 23,600마리 이하(브라질 21,746마리, 파라과이 830마리, 아르헨티나 660마리)였다.[61]
갈기늑대가 직면한 주요 위협은 서식지 파괴와 로드킬이다.[48] 산림 벌채, 농지 개발, 도시 성장으로 서식지가 줄어들고 분단되고 있으며,[61][48] 고속도로 교통량 증가는 로드킬 위험을 높인다.[48] 서식지 감소로 갈기늑대가 먹이를 찾아 도시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가축과의 접촉이 늘어나고, 이는 개로부터 질병에 감염될 위험을 증가시킨다.[49][61] 야생 및 가축화된 개는 갈기늑대에게 질병을 옮길 뿐만 아니라 직접 공격하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갈기늑대는 인간과의 관계에서 오해와 갈등을 겪어왔다. 일반적으로 수줍음이 많아 인간에게 직접적인 위협은 거의 가하지 않지만,[34] 닭을 훔칠 가능성이 있다는 인식 때문에 부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었다. 과거에는 소, 양, 돼지에게도 위협이 된다고 여겨졌으나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34]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가축이나 어린 아이들에게 잠재적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남아있다. 특히 브라질에서는 가축, 특히 가금류 포식으로 인한 농부들의 보복 사냥이 이루어지며,[47] 양을 공격한다는 비난도 받는다.[47] 브라질에서는 닭을 보호하기 위해 '브라질 포덴고' 또는 '크리올로 포덴고'라 불리는 포르투갈 포덴고의 브라질 변종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포르투갈과 스페인 식민지화 시대에 유럽인들이 이베리아늑대에 대한 혐오감을 갈기늑대에게 투영한 것도 부정적인 인식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46] 민담에서는 닭을 쏘아보기만 해도 죽일 수 있다고 여겨지거나,[64] 공원 쓰레기를 뒤지거나[69] 사탕수수 밭을 망친다는[70] 이야기도 있다.
갈기늑대는 약용이나 부적을 위한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브라질 일부 지역에서는 눈과 같은 신체 일부가 행운의 부적으로 여겨져 사냥되었다.[64] 배설물 등도 약용으로 쓰인다는 믿음이 있었다.[64] 스포츠 헌팅이나 사육 목적의 포획, 해로운 동물로 간주되어 구제 대상이 되는 경우도 개체수 감소의 원인이다.[61]
보존 노력의 일환으로 갈기늑대는 브라질의 카라사 국립공원과 에마스 국립공원 등 여러 보호 구역에서 서식하고 있다. 또한 사육 상태에서도 잘 적응하여 아르헨티나, 북미(종 생존 계획), 유럽(유럽 멸종 위기 종 프로그램)의 많은 동물원에서 성공적으로 번식하고 있다.[44] 2012년 기준으로 전 세계 300개 이상의 기관에서 총 3,288마리의 갈기늑대가 사육되었다.[45] 스미소니언 국립 동물원은 북미의 갈기늑대 종 생존 계획을 조정하며 번식, 야생 연구, 서식지 보호, 대중 교육 등에 힘쓰고 있다.[17]
일본에서는 크리소키온 브라키우루스(갈기늑대)로서 특정 동물로 지정되어 있다.[71] 갈기늑대는 치타에 버금가는 다리 힘을 가졌다고 알려져 있으나, 짧은 거리를 달린 후 멈춰서 안전을 확인하는 습성 때문에 인간에게 쉽게 사냥당하기도 했다.[72]
참조
[1]
MSW3
[2]
iucn
Chrysocyon brachyurus
2022-02-18
[3]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journal
Names of Some South American Mammals
https://www.biodiver[...]
[5]
journal
Chrysocyon brachyurus
https://repository.s[...]
Th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1985-05-24
[6]
웹사이트
Maned wolf is a strange cross between a fox and a deer, and you've never seen anything like it
https://www.yahoo.co[...]
2022-07-08
[7]
서적
The wild canids: their systematics, behavioral ecology and evolution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8]
서적
Canids: Foxes, Wolves, Jackals and Dogs. Status Survey and Conservation Action Plan
IUCN/SSC Canid Specialist Group
[9]
웹사이트
Injured Brazilian Wolf Is First Wild Animal Treated With Stem Cells
https://www.popsci.c[...]
2011-01-15
[10]
문서
Novo Dicionário da Língua Portuguesa
Nova Fronteira
1986
[11]
웹사이트
Chrysocyon brachyurus - Maned wolf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12]
journal
External brain anatomy of the Canidae
[13]
journal
The origins of the enigmatic Falkland Islands wolf
[14]
journal
Population Structure of mtDNA Variation due to Pleistocene Fluctuations in the South American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Illiger, 1815): Management Units for Conservation
[15]
journal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2005
[16]
journal
Ecology and social organization of the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17]
웹사이트
Maned Wolf Facts
http://nationalzoo.s[...]
2015-11-05
[18]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19]
웹사이트
WWF-Brazil partner photographs unique black maned wolf
http://www.wwf.org.b[...]
WWF-Brazil
2013-10-14
[20]
웹사이트
Black Maned Wolf is the People's Choice
http://www.worldland[...]
2015-03-10
[21]
journal
First ever record of a black-coloured maned wolf
http://www.canids.or[...]
2017
[22]
간행물
Manual de identificação, prevenção e controle de predação por carnívoros
http://www.academia.[...]
Associação Pró-carnívoros/IBAMA
2002
[23]
간행물
Guia de Rastros e outros vestígios de mamíferos do Pantanal
https://www.research[...]
Embrapa Pantanal
2008
[24]
서적
Guia de rastros e outros vestígios de mamíferos do Pantanal
Embrapa Pantanal
[25]
학위논문
Nutrição e ecologia nutricional de cervídeos brasileiros em cativeiro e no Parque Nacional das Emas - Goiás
Universidade de Sao Paulo Sistema Integrado de Bibliotecas - SIBiUSP
[26]
웹사이트
Un lobo de crin llamado Aguará Guazú
http://www.internatu[...]
2007-04-23
[27]
journal
On the social behaviour of maned wolves (Chrysocyon brachyurus)
https://www.research[...]
[28]
magazine
Maned Wolf Pee Demystified
https://www.wired.co[...]
2011-03-10
[29]
학위논문
The Captive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Nutritional Considerations with Emphasis on Management of Cystinuria
http://hdl.handle.ne[...]
University of Maryland
2005-05-12
[30]
뉴스
Ganz weit draußen (VI): Warum Haig Balian jetzt im Amsterdamer Tierpark lebt; Eine Vorliebe für echte Hyänen; Als Filmproduzent hat er erlebt, was Fressen und Gefressenwerden heißt – er ließ das Kino hinter sich, um als Zoodirektor die Tiere in Szene zu setzen
https://global.facti[...]
2006-09-02
[31]
서적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maned wolf :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CRC Press
[32]
Doctorate
Biologia e conservação do lobo-guará na Estação Ecológica de Águas Emendadas, DF.
http://www.carnivore[...]
University of Campinas
2002
[33]
journal
Diet, habitat use, and home ranges of sympatric canids in central Brazil
2002-11
[34]
웹사이트
Chrysocyon brachyurus (maned wolf)
https://animaldivers[...]
[35]
journal
Diet of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in central Brazil
[36]
논문
Avaliação do risco de extinção do lobo-guará ''Chrysocyon brachiurus'' (Illiger, 1815) no Brasil
http://www.icmbio.go[...]
2013
[37]
학위논문
Dieta, disponibilidade alimentar e padrão de movimentação de lobo-guará, ''Chrysocyon brachyurus'', no Parque Nacional da Serra da Canastra, MG.
http://pos.icb.ufmg.[...]
UFMG
2015-09-15
[38]
논문
Diet and Habitat use by Maned Wolf Outside Protected Areas in Eastern Brazil
[39]
논문
Redescrip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achysentis canicola'' Meyer, 1931 (Acanthocephala: Oligacanthorhynchidae) from the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Illiger, 1815) in Texas
https://doi.org/10.1[...]
2022-12-28
[40]
논문
Ecology and social organization of the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1984
[41]
논문
Exposure of Free-Ranging Maned Wolves (''Chrysocyon brachyurus'') to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 Agents in the Noël Kempff Mercado National Park, Bolivia
2005-06
[42]
논문
Conservation of the Maned Wolf: fruitful relationships in a changing environment
http://www.canids.or[...]
[43]
서적
Biology and conservation of wild felids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44]
웹사이트
Maned wolf - Chrysocyon brachyurus
http://zootierliste.[...]
[45]
서적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Maned Wolf: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CRC Press
[46]
웹사이트
El lobo de crin: salvar al cánido de nombre desafortunado de Suramérica
http://es.mongabay.c[...]
2024-09-19
[47]
웹사이트
Predadores Silvestres e Animais Domésticos – Guia Prático de Convivência
https://www.icmbio.g[...]
2024-09-19
[48]
문서
Vergara-Wilson et al., 2021, p. 51
[49]
문서
Garcia et al., 2020, p. 1
[50]
웹사이트
PORTARIA 444 DE 17 DE DEZEMBRO DE 2014
http://www.icmbio.go[...]
2019-12-02
[51]
서적
Livro vermelho da fauna brasileira ameaçada de extinção
https://www.gov.br/i[...]
Ministério do Meio Ambiente. Secretaria de Biodiversidade e Florestas.
2008
[52]
문서
Soler, L. (2013). "Maned Wolf in Argentina". In: Conserot-McCrea, A. G., & Santos, E.F.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Maned Wolf: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Nova Iorque: CRC Press. pp. 203–220.
[53]
문서
Emmons, L.H. (2013). "Environmental Influences on Maned Wolf Ecology in Bolivia". In: Conserot-McCrea, A. G., & Santos, E.F.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Maned Wolf: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Nova Iorque: CRC Press. pp. 221–234.
[54]
문서
Cartes, J.L.; et al. (2013). "The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in Paraguay". In: Conserot-McCrea, A. G., & Santos, E.F.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Maned Wolf: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Nova Iorque: CRC Press. pp. 235–247.
[55]
서적
Ecology and conservation of the maned wolf :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s
CRC Press
2013-10-24
[56]
뉴스
Cédula de R$ 200 entra em circulação hoje
https://agenciabrasi[...]
Agência Brasil
[57]
웹사이트
100 Cruzeiros Reais, Brazil
https://en.numista.c[...]
2019-12-02
[58]
웹사이트
The Maned Wolf and why its urine smells of cannabis
https://www.alchimia[...]
2023-09-28
[59]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60]
웹사이트
Chrysocyon brachyurus
https://www.speciesp[...]
UNEP
[61]
웹사이트
Chrysocyon brachyurus(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6)
https://doi.org/10.2[...]
Paula, R.C. & DeMatteo, K.
[62]
논문
Chrysocyon brachyurus
https://doi.org/10.1[...]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63]
문서
イヌ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64]
서적
タテガミオオカミ
平凡社
[65]
웹사이트
Chrysocyon brachyurus
https://animaldivers[...]
[66]
논문
The origins of the enigmatic Falkland Islands wolf
https://doi.org/10.1[...]
[67]
논문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predation on Pampas deer (Ozotoceros bezoarticus) in central Brazil
[68]
논문
Diet of maned wolf, Chrysocyon brachyurus, in central Brazil
https://doi.org/10.1[...]
[69]
웹사이트
Chrysocyon brachyurus - Vertebrate Collection
https://www3.uwsp.ed[...]
2023-04-15
[70]
트윗
上野動物園
2023-04-15
[71]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2020-03-10
[72]
서적
タテガミオオカミ
データハウス
[73]
저널
Genome sequence, comparative analysis and haplotype structure of the domestic dog
[74]
저널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http://www.biomedcen[...]
[75]
저널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