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로미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로미야는 우크라이나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1240년에 처음 언급되었다. 역사를 통해 키예프 루스, 할리치-볼히니아 공국, 폴란드, 합스부르크 제국, 소련의 지배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일부이며, 다양한 문화 유산과 피산카 박물관으로 유명하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어가 주요 사용 언어이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우네주 - 사랑의 터널
사랑의 터널은 우크라이나 클레반 지역에 있는 철도 노선 구간으로, 숲으로 덮인 독특한 풍경을 자랑하며, 클레반 역에서 시작하여 섬유판 공장까지 약 6.4km에 걸쳐 있으며, 숲으로 덮인 구간은 최대 4.9km에 이른다. - 리우네주 - 클레반
클레반은 우크라이나 리우네주의 농촌 정착지로, 12세기 초 스툴라강 강변에서 시작되어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러시아 제국 시대를 거치며 마그데부르크법 부여, 유대인 유입 장려 등의 역사를 지녔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대인 학살과 폴란드인 강제 이주를 겪었으며, 현재는 "사랑의 터널"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의 도시 - 할리치
할리치는 우크라이나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에 위치한 도시로, 89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쇠퇴하여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고, 1994년에 고대 할리치 보호 구역이 설립되었다. -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의 도시 - 로하틴
로하틴은 우크라이나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의 도시로, 마그데부르크 권을 받아 성장했으며, 16세기 이콘 화파 등장, 나스티아 리소프스카(휘렘 술탄)의 비극, 홀로코스트 희생, 테오토코스 석조 출생 교회 등의 역사적 기념물을 간직하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이르핀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부차구에 위치한 이르핀은 1899년 철도 건설 중 형성되어 이르핀 강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현재는 산업, 농업, 휴양 시설과 대학교가 있는 도시이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하르키우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주요 도시이자 하르키우주의 중심지로서, 코사크 요새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지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산업, 과학, 문화 중심지이자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콜로미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공식 명칭 | 콜로미야 |
다른 이름 | |translit=Kolomey}} |
도시 유형 | 도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주 |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 |
지역 | 콜로미야구 |
흐로마다 | 콜로미야 도시 흐로마다 |
역사 | |
설립 | 1240년 |
인구 통계 | |
총 인구 (2022년) | 60821명 |
인구 밀도 | 1494명/km2 |
지리 | |
면적 | 41km2 |
행정 및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콜로미야 웹사이트 (보관됨) 콜로미야 행정 통계 (베르호우나 라다 웹사이트, 연결 끊김) |
2. 역사
콜로미야는 키예프 루스 시대부터 기록에 등장하여 할리치-볼히니아 공국, 폴란드 왕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폴란드 제2공화국, 소련 등 여러 국가의 지배를 거치며 포쿠티아 지역의 주요 도시로 발전해왔다. 특히 중세 시대에는 소금 교역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근대에는 철도 교통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민족이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로 성장했다. 제2차 세계 대전과 홀로코스트로 큰 시련을 겪기도 했으나, 전후 복구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자세한 시대별 역사는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2. 1. 초기 역사 (13세기 ~ 14세기)

콜로미야 정착지는 1240년 히파티우스 연대기[2]와 1241년 갈리치아-볼히니아 연대기에 처음 언급되었는데, 이 시기는 몽골의 루스 침공이 있던 때였다. 처음에는 키예프 루스의 일부였으나, 나중에는 그 계승국 중 하나인 할리치-볼히니아 공국에 속하게 되었다. 1259년에는 보롤다이의 명령에 따라 도시 요새가 불탔다. 13세기 중반부터 콜로미야는 소금 채굴 산업으로 유명했다.[3]
2. 2. 폴란드-리투아니아 시대 (14세기 ~ 18세기)
1340년, 갈리치아-볼히니아 전쟁 이후 폴란드의 국왕 카지미르 3세는 루스 왕국의 남은 지역과 함께 콜로미야를 병합했다. 같은 시기에 새로운 요새가 건설되었고,[2] 도시는 빠르게 이 지역의 주요 상업 중심지 중 하나로 성장하며 인구가 증가했다.1353년 이전부터 콜로미야에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동방 정교회를 위한 두 개의 교구가 존재했다. 1388년, 국왕 브와디스와프 2세 야기에우워는 튜튼 기사단과의 전쟁 자금 마련을 위해 포쿠티아 지역을 몰다비아의 호스포다르 페트루 2세에게 담보로 맡겼다. 도시는 폴란드의 주권 아래 있었지만, 지역의 세관 수입은 빚이 청산될 때까지 몰다비아 측에 넘어갔다. 1412년에는 국왕의 지원으로 도미니코회 수도원과 석조 교회가 세워졌다.


1405년, 콜로미야는 도시 권리를 확정받고 마그데부르크 법을 부여받아 제한적인 자치권을 얻었다.[4][5] 이는 도시 발전을 촉진하여 유럽 각지에서 많은 이주민을 끌어들였다. 기존의 우크라이나인과 폴란드인 외에도 아르메니아인, 유대인, 헝가리인 등이 정착했다. 1411년에는 헝가리와의 전쟁에서 도움을 준 대가로 블라흐 호스포다르인 알렉산더 1세에게 25년간 도시의 통치권이 넘어갔다.[5] 1443년, 폴란드 국왕 브와디스와프 3세는 시민들에게 소금 거래 특권을 부여했다. 소금은 당시 매우 귀중한 자원이었다.
성의 방어 기능이 약화되자, 1448년 폴란드 국왕 카지미에시 4세는 도시 위 언덕의 성을 몰다비아 공작 일리아슈의 미망인 마리아에게 지참금으로 주었다. 마리아는 그 대가로 성을 보수하고 강화했다. 1456년에는 도시를 통과하는 모든 상인이 지역 시장에서 상품을 판매하도록 강제할 수 있는 특권이 부여되어 도시의 경제적 번영에 기여했다. 당시 이 지역은 비엘리치카, 보흐니아와 함께 폴란드의 주요 소금 생산지 중 하나였다.
이후 한 세기 동안 비교적 평화로웠으나, 킵차크 칸국이 쇠퇴하면서 오스만 제국이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했다. 1485년 술탄 바예지트 2세가 흑해 북부 연안의 항구 도시인 빌호로드드니스트로우스키와 킬리야를 점령하면서 몰다비아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이 커졌다. 이에 몰다비아의 통치자 스테판 대왕은 동맹을 모색하기 위해 콜로미야를 방문하여 폴란드 국왕에게 경의를 표하고 폴란드 왕관령의 봉신이 되었다. 이 의식에는 양측에서 약 2만 명의 기사가 참여하여 도시 역사상 가장 큰 행사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의식 후 얀 카르노프스키가 이끄는 3천 명의 폴란드 기사가 스테판 대왕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어 전투 승리에 기여했다.
1490년, 폴란드의 우크라이나인에 대한 지배 강화에 반발하여 페트로 무하가 이끄는 무하의 반란이 일어났다. 이 반란에는 코사크, 후출인 등 다른 우크라이나 민족과 루마니아인들이 참여했으며, 몰다비아의 스테판 대왕의 지원을 받았다. 이는 폴란드의 지배에 맞선 초기 우크라이나 민족 봉기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반란군은 콜로미야를 비롯한 포쿠티아 지역의 여러 도시를 점령하고 서쪽으로 리비우 근처까지 진격했으나, 리비우 점령에는 실패했다.[5][6]
몰다비아의 슈테판 첼 마레 대공 사후, 이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압박과 내부 분쟁, 자연재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콜로미야는 1502년, 1505년, 1513년, 1520년에 연이어 화재 피해를 입었다.
2. 3. 합스부르크 시대 (18세기 ~ 20세기 초)
폴란드 분할의 첫 번째 분할(1772년 7월 5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조약)의 결과로 콜로미야[8]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귀속되었다. 그러나 콜로미야는 수익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벨츠의 성주 에바리스트 쿠로파트니츠키에게 팔려 도시의 소유주가 되었다. 이 귀족은 새로운 성모 마리아 교회를 지원했지만, 도시의 성장을 가속화할 재정적 수단은 부족했다.
19세기 중반 렘베르크-체르니우치 철도가 연결되면서 도시에 번영이 찾아왔다. 1848년 콜로미야에는 동부 갈리치아 최초의 공공 도서관 중 하나가 세워졌다.[3] 1861년에는 페트로 코즐라니우크, 바실 스테파니크, 마르코 체렘시나 등이 다녔던 김나지움이 개교했다.[3]
1882년까지 이 도시의 인구는 약 24,000명에 달했으며,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민족 | 인구 수 |
---|---|
유대인 | 약 12,000명 |
루테니아인 | 약 6,000명 |
폴란드인 | 약 4,000명 |
총계 | 약 24,000명 |
19세기 말까지 상업이 발달하면서 갈리치아 전역에서 더 많은 주민들이 콜로미야로 유입되었다. 출판사와 인쇄소도 설립되었다.[3] 또한, 새로운 예수회 가톨릭 교회와 1874년 루터교 교회가 건설되었다. 1901년까지 인구는 34,188명으로 증가했으며, 그 중 약 절반이 유대인이었다.
2. 4. 20세기 초 ~ 제2차 세계 대전
1900년 기준, 유대인 인구는 16,568명으로 도시 인구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 유대인 공동체는 대시나고그를 포함하여 약 30개의 시나고그를 운영했다. 그러나 1910년에는 유대인들의 주류 판매가 금지되었고, 1911년에는 소금 및 포도주 관련 직업에 종사하는 것마저 금지되는 등 차별적인 조치가 시행되었다.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콜로미야는 러시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사이의 격전지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대인들은 오스트리아를 지지한다는 이유로 박해를 받았으며, 많은 유대인 가옥이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러시아군은 1914년 9월 도시를 점령했으나, 1915년 오스트리아군이 다시 탈환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면서 콜로미야와 주변 지역은 부활한 폴란드와 서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사이의 분쟁 지역이 되었다. 1919년 폴란드-우크라이나 전쟁 중에는 야코브 자디크 장군이 이끄는 루마니아 육군에 의해 무혈 점령되었다가 폴란드 당국에 인도되었다.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백과사전은 이를 폴란드 부르주아와 지주에 의한 점령으로 기록하고 있다.[2] 같은 해 폴란드-볼셰비키 전쟁 중에는 젤리고프스키 장군 휘하의 폴란드 사단이 베사라비아와 부코비나를 거쳐 폴란드로 복귀하는 길에 콜로미야에 잠시 머물렀다. 당시 콜로미야는 루마니아에 의해 일시적으로 점령된 상태였으며, 국경은 스타니슬라프(현 이바노프란키우스크)와 콜로미야 사이의 오티니아 마을 근처에 설정되었다.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이후 콜로미야는 폴란드 영토가 되어 스타니슬라프보이보드십 내 포비아트(군)의 수도가 되었다. 1931년까지 인구는 41,000명 이상으로 증가했으며, 유대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후츨인 포함), 독일인, 아르메니아인, 헝가리인 및 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블라흐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도시는 주요 철도 중심지로 발전했고, 폴란드 육군 제49후츨 소총 연대의 주둔지이기도 했다. 1918년부터 1939년까지 매주 목요일에는 도시의 주요 광장에서 시장이 열렸다. 시내에는 폴란드 시인 프란치셰크 카르핀스키와 아담 미츠키에비치의 기념비가 세워졌고, 1485년 몰다비아의 슈테판 3세가 폴란드 왕국의 카지미에시 4세에게 경의를 표했던 장소 근처에는 오벨리스크가 건립되었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노동자 파업이 발생하기도 했는데, 이는 1923년 콜로미야에서 결성된 서우크라이나 공산당에 의해 조직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 1921년에는 콜로미야에 음악 학교가 설립되었다.[3]
1939년 나치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콜로미야는 폴란드 군이 루마니아 방면으로 후퇴하며 방어 거점을 마련하려 했던 소위 루마니아 교두보 계획에서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여겨졌다.
2. 5. 소련 시대 (1944년 ~ 1991년)
1944년 3월 28일, 붉은 군대는 나치 독일 점령 하에 있던 콜로미야를 해방시켰다. 당시 도시에는 약 200명의 유대인만이 생존해 있었으며, 이전에 소련으로 강제 이주되었거나 피신했던 일부 유대인들도 살아남았다.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를 재건하기 위해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동부와 소련의 다른 지역에서 건설 노동자, 교사, 의사, 기술자 등 많은 숙련된 전문가들이 콜로미야로 이주해 왔다. 그러나 홀로코스트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유대인 공동체는 이전의 모습을 회복하지 못했다.
냉전 시기 콜로미야는 소련의 중요한 군사 기지 중 하나가 되었다. 이전에 카미신에 주둔했던 제73 공병 여단 RVGK가 개편된 소련 전략로켓군 제44 로켓 사단 사령부가 이곳에 배치되었다. 이 로켓 사단은 소련 해체 직전인 1990년 3월 31일에 해체되었다.[9]
2. 6.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1991년 ~ 현재)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콜로미야는 우크라이나의 일부가 되었다.
독립 직후 콜로미야의 많은 산업 기업들이 문을 닫거나 사라졌다. "콜로미야실마시" 공장, "자호체르노", "엘렉트로오스나스트카" 공장, "9월 17일" 공장, 제화 공장, 목공 공장, KRP(완전 개폐 장치) 공장, 발로바 거리 인쇄소, 브러시 제조업체, 직조 공장 등이 폐업했다. 또한, 이르찬 영화관, 키로프 영화관, "유니스트"(청춘) 영화관, 트릴로브스코호 공원(구 키로프 공원)에 있던 여름 극장 등 4개의 영화관과 지역 영화 상점도 문을 닫았다. 이로 인해 많은 주민이 일자리를 잃고 해외로 나가 일자리를 구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소련 시대부터 운영되던 일부 기업들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커튼 공장, 제지 공장, 메탈로자보드, 프루트 공장(프로그래밍 가능한 전자 교육 단말기), 치즈 공장, "콜로미야실마시"(일부), 콜로미야 건축 자재 관리 공장, 콜로미야 모터 컴퍼니, 제지 공장, 발로바 거리 의류 공장, 마제파 거리 인쇄소, 통조림 과일 공장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과거 이들 기업 대부분은 장비, 숙련된 노동자, 엔지니어링 인력 면에서 상당히 발전하여 구 소련 및 해외에서도 널리 알려졌으며, 여러 교대 근무를 통해 많은 제품을 생산하며 지역 경제에 크게 기여했다.
콜로미야는 폴란드의 니사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많은 콜로미야의 이전 거주자들이 니사로 이주해야 했다.
2015년 말부터는 우크라이나 제10 산악 여단의 본부가 콜로미야에 주둔하게 되었다.[10]
행정적으로는 2020년 7월 18일까지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로 분류되어 콜로미야 라이온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라이온 자체에 속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2020년 7월 우크라이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이바노-프란키우스크주의 라이온 수가 6개로 축소되면서 콜로미야 시는 콜로미야 라이온에 통합되었다.[11][12]
3. 인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생략)
3. 1. 언어
2001년 우크라이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모국어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다:[13]언어 | 인구 | 비율 |
---|---|---|
우크라이나어 | 57,214 | 93.11%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 | 3,075 | 5.00% |
기타 또는 미결정 | 1,159 | 1.89% |
합계 | 61,448 | 100.00% |
4. 경제
콜로미야의 주요 산업 시설은 다음과 같다.
시설명 |
---|
콜로미야실마쉬 |
17일 공장 |
건설 자재 공장 |
가정 서비스 공장 결합 |
5. 문화
이반 오사르케비치 이름을 딴 학술 지역 우크라이나 드라마 극장이 운영되고 있다.
5. 1. 박물관
콜로미야는 2000년에 건설된 피산카 박물관으로 유명하다. 이 박물관은 제10회 국제 후츨 축제 기간인 2000년 9월 23일에 문을 열었다. 야로슬라바 트카추크 관장이 처음 피산카 모양의 박물관 아이디어를 냈고, 지역 예술가 바실 안드루슈코와 미로슬라프 야신스키가 이 아이디어를 실현시켰다. 박물관 건물은 달걀 모양으로 높이 14m, 지름 10m이며, 돔 외부와 내부 일부가 피산카를 닮도록 칠해져 있다.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박물관이 있다.
- 콜로미야 역사 박물관
- 후츨시나 및 포쿠티아 민속 예술 국립 박물관
5. 2. 종교
복되신 동정 마리아 수태 교회는 1709년에 세워졌다.6. 지리
방향 | 지역 |
---|---|
북서 | 나드비르나, 오티니아 |
북 | 틀루마치 |
북동 | 오베르틴, 흐비즈데츠 |
서 | 페체니진, 란친 |
동 | 자볼로티우, 스니아틴 |
남서 | 야블루니우 |
남 | 코시우, 쿠티 |
남동 | 바슈키우치 (체르니우치 주) |
6. 1. 기후
7. 자매 도시
콜로미야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5]
8. 저명한 출신 인물
- 에드먼드 버글러 (1899–1962), 오스트리아 출생 미국 정신분석학자
- 아르템 차페예 (1981년 출생), 우크라이나 작가
- 에마누엘 포이어만 (1902–1942), 미국계 유대인 첼리스트
- 하임 그로스 (1904–1991), 미국계 유대인 조각가 겸 교육자
- 로만 그리고르추크 (1965년 출생), 우크라이나 축구 선수 겸 감독
- 미로슬라프 이르찬 (1897–1937), 우크라이나 극작가
- 올레나 유르코우스카 (1983년 출생), 우크라이나 육상 선수, 5회 패럴림픽 챔피언, ''우크라이나 영웅''[16][17][18][19]
- 미에치스와프 야겔스키 (1924–1997), 폴란드 정치인 겸 경제학자
- 프란치셰크 카르핀스키 (1741–1825), 폴란드 17세기 시인
- 힐렐 리히텐슈타인 (1814–1891), 헝가리 유대인 랍비
- 칼 마라모로쉬 (1915–2016), 오스트리아 출생 미국 바이러스학자, 곤충학자 및 식물 병리학자
- 도브 노이 (1920–2013), 이스라엘 민속학자, 2004년 이스라엘상 수상자
- 야키프 팔리 (1923–2019), 트라브니키 강제 수용소 경비병으로 활동했으며, 미국에서 추방된 마지막 나치 관련 인물 중 한 명
- 스타니스와프 루제비치 (1889–1941), 폴란드 수학자
- 유제프 산델 (1894–1962), 폴란드계 유대인 미술사학자 겸 평론가, 미술상, 수집가
- 지그문트 알렉산데르 브네크 (1918–1944), 폴란드 군 장교
- 올레샤 스테판코 (1988년 출생), 우크라이나 미인 대회 출신, 2011년 미스 유니버스 대회에서 1위 (우크라이나 역대 최고 성적)
- 안제이 잘루츠키 (1941년 출생), 폴란드 외교관
참조
[1]
웹사이트
Коломыйс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2]
Ukrainian Soviet Encyclopedia
Kolomyia
http://leksika.com.u[...]
[3]
간행물
Kolomyia (КОЛОМИЯ)
http://resource.hist[...]
Encyclopedia of History of Ukraine
2007
[4]
웹사이트
town`s website
http://kolomyya.org/[...]
[5]
웹사이트
Kolomea history
http://www.castles.c[...]
[6]
웹사이트
Mukha's Rebellion
http://www.encyclope[...]
[7]
웹사이트
Semen Vysochan
https://web.archive.[...]
[8]
서적
Atlas des peuples d'Europe centrale
1991
[9]
웹사이트
44th Missile Division
http://www.ww2.dk/ne[...]
[10]
웹사이트
На Прикарпатті створять нову гірську штурмову бригаду - Народна армія
http://na.mil.gov.ua[...]
Narodna armiya
2015-09-22
[11]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07-18
[12]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13]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14]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15]
웹사이트
Коломия уклала партнерські угоди з Дрокією та Ришканами
http://kolrada.gov.u[...]
Kolomyia
2020-04-02
[16]
웹사이트
Olena Iurkovska
https://www.paralymp[...]
International Paralympic Committee
[17]
웹사이트
Юрковська Олена Юріївна
http://who-is-who.ua[...]
[18]
웹사이트
Документ 287/2006
http://zakon1.rada.g[...]
Verkhovna Rada
2006-04-03
[19]
웹사이트
Viktor Yushchenko Decorates Paralympist Olena Yurkovska With Golden Star Order
http://photo.ukrinfo[...]
Ukrinform
2006-04-06
[20]
웹인용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07-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