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즈메이니아데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즈메이니아데빌(Sarcophilus harrisii)은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하는 육식성 유대류로, 현존하는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이다. 태즈메이니아 섬 전역에 분포하며, 밤에 활동하는 야행성 동물로, 썩은 고기를 주로 먹지만, 작은 포유류, 조류, 곤충 등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 1996년 발생한 데빌 얼굴 종양 질환(DFTD)으로 인해 개체 수가 급감하여 멸종 위기에 놓였으며, 현재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한 다양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태즈메이니아를 상징하는 동물로,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염병으로 인한 절멸위기종 - 하와이몽크물범
하와이몽크물범은 하와이 제도 고유종으로, 회색 털과 흰색 배를 가진 날씬한 체형의 멸종 위기 포유류이며, 서식지 감소, 먹이 부족, 상어의 공격, 인간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주머니고양이목 - 태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
태즈메이니아주머니늑대는 주머니고양이목 주머니늑대과에 속하는 멸종된 유대류로, 개와 유사한 외형과 줄무늬를 가지며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서식하다가 유럽인들의 정착 이후 학살로 인해 1936년에 멸종되었다. - 주머니고양이목 - 주머니개미핥기
주머니개미핥기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의 주행성 유대류로, 흰개미를 주식으로 하며 줄무늬와 긴 혀를 가진 것이 특징이나 서식지 파괴와 포식자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포유류 - 캥거루
캥거루는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캥거루과의 유대류로, 발달한 뒷다리와 꼬리를 이용해 뜀뛰기에 능하며 독특한 번식 방식과 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초식 동물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포유류 -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와 태즈메이니아섬에 서식하며 오리 주둥이, 비버 꼬리, 수달 발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반수생 단공목 포유류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태즈메이니아데빌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태 | 멸종 위기 (EN) |
학명 | Sarcophilus harrisii |
명명자 | (Boitard, 1841) |
이명 | Ursinus Harrisii Boitard, 1842 |
한국어 이름 | 태즈메이니아데빌 フクロ아나구마 (袋穴熊) |
영어 이름 | Tasmanian devil |
분포 지역 | 태즈메이니아 주 (재도입된 뉴사우스웨일스 주는 지도에 표시되지 않음)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유대하강 |
목 | 주머니고양이목 |
과 | 주머니고양이과 |
아과 | 주머니고양이아과 |
속 | 태즈메이니아데빌속 (Sarcophilus) |
종 | 태즈메이니아데빌 (S. harrisii) |
신체적 특징 | |
무게 | 0.20 ~ 200g |
2. 분류
"벨제부브의 강아지"는 태즈메이니아 탐험가들이 지옥의 왕자이자 사탄의 조수인 종교적 인물을 언급하며 처음 붙인 속어였다.[7] 탐험가들은 밤에 멀리까지 들리는 데빌의 소리를 처음 들으면서 이 동물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8] 19세기에 사용된 관련 이름으로는 ''Sarcophilus satanicus''("사탄의 육식 애호가")와 ''Diabolus ursinus''("곰 악마")가 있었는데, 이는 모두 이 종을 가차 없이 악독한 존재로 생각한 초기 오해 때문이었다.[7]
펨버튼에 따르면, 데빌의 가능한 조상들은 음식을 얻기 위해 나무를 타야 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크기가 커지고 많은 유대류의 도약 보행이 나타났을 수 있다. 그는 이러한 적응이 현대 데빌의 특이한 보행을 초래했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9] 대부분의 먹이가 추위로 죽으면서 쿠올과 주머니늑대의 조상을 포함한 몇몇 육식 동물만 살아남았다. 데빌 계통이 선택적으로 먹는 주머니늑대가 남긴 시체를 처리하는 청소부로서 생태계의 틈새를 채우기 위해 이 시기에 나타났을 수 있다고 추측된다.[9] 5만~7만 년 된 것으로 여겨지는 더 오래된 표본은 퀸즐랜드의 달링 다운스와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되었다.[13] 현대 데빌이 ''S. laniarius''에서 진화했는지, 아니면 그들이 그 당시에 공존했는지는 불분명하다.[13] 리처드 오웬은 19세기에 뉴사우스웨일스에서 발견된 화석을 토대로 후자의 가설을 주장했다.[13] ''S. moornaensis''로 추정되는 큰 뼈가 뉴사우스웨일스에서 발견되었으며,[13] 이 두 멸종된 큰 종들이 사냥하고 청소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되었다.[13] 수백만 년 전에 몇몇 속의 주머니늑대가 있었고 크기가 다양했으며, 작은 종일수록 먹이를 찾는 데 더 의존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4] 데빌과 주머니늑대가 유사하므로, 공존했던 주머니늑대 속의 멸종은 데빌의 유사한 역사를 증명하는 증거로 인용되었다.[15] ''S. laniarius''와 ''S. moornaensis''의 작은 크기가 변화하는 조건에 더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대응하는 주머니늑대보다 더 오래 생존할 수 있게 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었다.[15] 이 두 종의 멸종이 호주에 인간이 거주하는 시기와 비슷한 시기에 일어났으므로, 인간의 사냥과 토지 개간이 가능한 원인으로 거론되었다.[16] 이 이론에 대한 비판자들은 호주 원주민들이 약 1만 년 전에 사냥용 부메랑과 창을 개발했기 때문에 체계적인 사냥으로 인한 개체 수의 결정적인 감소는 일어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그들은 또한 원주민들이 거주했던 동굴에 데빌의 뼈와 바위 그림이 적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것이 원주민들의 생활 방식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지표라고 주장한다. 1910년의 한 과학 보고서는 호주 원주민들이 육식 동물보다 초식 동물의 고기를 더 선호했다고 주장했다.[17] 멸종의 다른 주요 이론은 가장 최근의 빙하기로 인한 기후 변화 때문이었다.[16]
태즈메이니아 데블의 게놈은 2010년 웰컴 트러스트 생어 연구소에 의해 해독되었다.[18] 모든 다지유라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데블은 14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19] 데블은 다른 호주 유대류 및 태반 포식동물에 비해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인다. 이는 측정된 모든 하위 개체군에서 대립 유전자 크기 범위가 낮고 거의 연속적이었기 때문에 창시자 효과와 일치한다. 대립 유전자 다양성은 샘플링된 하위 개체군에서 2.7–3.3으로 측정되었으며, 이형접합성은 0.386–0.467 범위였다. 메나 존스(Menna Jones)의 연구에 따르면, "유전자 흐름은 50km까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즉, 이동 데이터와 일치하는 소스 또는 근접한 인접 개체군에 대한 높은 할당률을 의미한다. 더 큰 규모(150km에서 250km)에서는 유전자 흐름이 감소하지만 거리에 따른 고립에 대한 증거는 없다." 섬 효과 또한 낮은 유전적 다양성에 기여했을 수 있다. 낮은 개체군 밀도 기간 또한 적절한 개체수 병목 현상을 만들어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켰을 수 있다. 낮은 유전적 다양성은 중-홀로세 이후부터 태즈메이니아 데블 개체군의 특징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데블 안면 종양 질환(DFTD)의 발생은 근친 교배의 증가를 야기한다. 주의 북서부에 있는 데블의 하위 개체군은 다른 데블과 유전적으로 구별되지만,[20] 두 집단 간에 어느 정도 교환이 이루어진다.[21]
태즈메이니아 전역의 다양한 위치에서 채취한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 (MHC) 클래스 I 도메인에 대한 단일 가닥 컨포메이션 다형성 분석(OSCP) 결과, 25가지 다른 유형이 나타났으며 태즈메이니아 북서부와 동부에서 서로 다른 MHC 유형 패턴을 보였다. 주의 동부에 있는 데블은 MHC 다양성이 적다. 30%는 종양과 동일한 유형(유형 1)이고, 24%는 A형이다. 동부에 있는 데블 10마리 중 7마리는 DFTD와 관련된 A, D, G 또는 1형인 반면, 서부 데블은 55%만이 이러한 MHC 범주에 속한다. 25가지 MHC 유형 중 40%는 서부 데블에게만 해당된다. 북서부 개체군은 전체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낮지만, DFTD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더 높은 MHC 유전자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데블을 혼합하면 질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조사된 태즈메이니아의 15개 지역 중 6개는 섬의 동부에 위치해 있었다. 동부에서는 에핑 숲에 두 가지 유형만 있었고, 75%가 O형이었다. 버클랜드-누젠트 지역에는 세 가지 유형만 있었고, 위치당 평균 5.33가지 유형이 있었다. 반대로, 서부에서는 케이프 소렐에서 세 가지 유형이 나왔고, 토가리 노스-크리스마스 힐스에서는 여섯 가지 유형이 나왔지만, 다른 일곱 곳은 모두 최소 여덟 가지 MHC 유형을 가졌고, 웨스트 펜슬 파인에는 15가지 유형이 있었다. 서부 지역은 위치당 평균 10.11가지 MHC 유형을 보였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야생 데블 개체군은 DFTD에 대한 저항력을 빠르게 진화시키고 있다.[22]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속명 ''Sarcophilus''는 "살"을 의미하는 'sarx'와 "사랑하다·좋아하다"를 의미하는 'philus'에서 왔다.[158]。
태즈메이니아데빌은 1807년 조지 프라이도 로버트 해리스에 의해 처음 학문적으로 소개되었으며, 주머니쥐 속 ''Didelphis ursina''로 명명되었다.[174]。1838년 리처드 오웬에 의해 주머니고양이 속 ''Dasyurus laniarius''로, 1841년 피에르 부아타르에 의해 태즈메이니아데빌 속 ''Sarcophilus harrisii''로 분류되었다. 최초 학명의 종소명 ''ursina''는 웜뱃에 먼저 부여되어 사용할 수 없었고, 종소명 'harrisii'는 조지 해리스를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1987년 ''Sarcophilus laniarius''로 재분류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서 발견된 몇 마리의 화석에 불과하여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계통학상, 태즈메이니아데빌과 가장 가까운 육식 유대류는 주머니고양이이며, 더 먼 것은 주머니늑대로 여겨진다.[175]。
태즈메이니아데빌 속에는 3종이 알려져 있으며, 그 중 2종 (''S. laniarius''와 ''S. moornaensis'')은 홍적세 화석종이다. ''S. laniarius''는 현존 종보다 10kg 더 컸다. 3종의 계통 관계는 불분명하며, 현존 종이 ''S. laniarius''의 왜소화라는 설과, 두 종이 병존했다는 설이 있다.
2. 1. 초기 분류 역사
조지 해리스는 아메리카주머니쥐의 일종이라고 생각하여 1807년에 태즈메이니아데빌에 대한 최초의 출판된 설명을 작성했고, 둥근 귀와 같은 곰과 유사한 특징 때문에 ''Didelphis ursina''라고 명명했다. 그는 이전에 런던 동물학회에서 이 주제에 대한 발표를 한 적이 있다.[7] 하지만, 그 특정 이명법 이름은 코알라(후에 ''Vombatus ursinus''로 재분류됨)에게 조지 쇼에 의해 1800년에 주어졌으므로 사용할 수 없었다.[4] 1838년, 한 표본은 리처드 오웬에 의해 ''Dasyurus laniarius''로 명명되었지만,[5] 1877년까지 그는 이를 ''Sarcophilus''로 격하했다. 현대 태즈메이니아데빌은 1841년에 프랑스 자연주의자 피에르 부아타르에 의해 ''Sarcophilus harrisii''("해리스의 육식 애호가")로 명명되었다.[6]1987년에 출판된 데빌의 분류에 대한 후속 개정에서는 몇몇 동물들의 대륙 화석 기록을 기반으로 종명을 ''Sarcophilus laniarius''로 변경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분류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S. harrisii''라는 이름이 유지되었으며 ''S. laniarius''는 화석 종으로 격하되었다.[4]
2. 2. 속 및 종의 변천
조지 해리스는 1807년에 태즈메이니아데빌에 대한 최초의 설명을 출판하면서 둥근 귀 등 곰과 유사한 특징 때문에 ''Didelphis ursina''라고 명명했다. 그는 이전에 런던 동물학회에서 이 주제에 대한 발표를 한 적이 있다.[7] 하지만, 이 이명법 이름은 코알라(후에 ''Vombatus ursinus''로 재분류됨)에게 조지 쇼가 1800년에 부여했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다.[4] 1838년, 리처드 오웬은 한 표본을 ''Dasyurus laniarius''로 명명했지만,[5] 1877년까지 그는 이를 ''Sarcophilus''로 격하시켰다. 현대 태즈메이니아데빌은 1841년에 프랑스 자연주의자 피에르 부아타르에 의해 ''Sarcophilus harrisii''("해리스의 육식 애호가")로 명명되었다.[6]1987년에 데빌의 분류를 ''Sarcophilus laniarius''로 변경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분류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S. harrisii''라는 이름이 유지되었으며 ''S. laniarius''는 화석 종으로 격하되었다.[4]
태즈메이니아데빌(''Sarcophilus harrisii'')은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한다. ''Sarcophilus'' 속에는 플라이스토세 화석에서만 알려진 다른 두 종, 즉 ''S. laniarius''와 ''S. moomaensis''가 있다. 계통발생학적 분석에 따르면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쿠올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2. 3. 계통 발생학적 위치
조지 해리스는 1807년에 태즈메이니아데빌에 대한 최초의 설명을 발표하면서, 둥근 귀와 같은 곰과 유사한 특징 때문에 아메리카주머니쥐의 일종으로 생각하여 ''Didelphis ursina''라고 명명했다. 그는 이전에 런던 동물학회에서 이 주제에 대한 발표를 한 적이 있다.[7] 하지만, 그 특정 이명법 이름은 조지 쇼가 1800년에 코알라(후에 ''Vombatus ursinus''로 재분류됨)에게 주어졌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었다.[4] 1838년, 리처드 오웬은 한 표본을 ''Dasyurus laniarius''로 명명했지만,[5] 1877년까지 그는 이를 ''Sarcophilus''로 격하했다. 현대 태즈메이니아데빌은 1841년에 프랑스 자연주의자 피에르 부아타르에 의해 ''Sarcophilus harrisii''("해리스의 육식 애호가")로 명명되었다.[6]1987년에 출판된 데빌의 분류에 대한 후속 개정에서는 몇몇 동물들의 대륙 화석 기록을 기반으로 종명을 ''Sarcophilus laniarius''로 변경하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는 분류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S. harrisii''라는 이름이 유지되었으며 ''S. laniarius''는 화석 종으로 격하되었다.[4] 계통발생학적 분석에 따르면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쿠올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태즈메이니아데빌의 특정 계통은 마이오세 동안 나타난 것으로 이론화되었으며, 분자적 증거에 따르면 1,000만 년에서 1,500만 년 전에 쿠올의 조상으로부터 분화되었고,[10] 이때 심각한 기후 변화가 호주에 영향을 미쳐 기후가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건조한 빙하기로 바뀌면서 대량 멸종이 발생했다.[9] 플라이오세 시대의 쿠올과 데빌 사이의 중간 종으로는 멸종된 ''Glaucodon ballaratensis''가 있다.[11] 제놀란 동굴에서 발견된 턱뼈 화석은 마이오세에 있었던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의 나라쿠르트에 있는 석회암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현대 데빌보다 약 15% 더 크고 50% 더 무거운 ''S. laniarius'' 표본을 포함한다.[12]
3. 형태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현존하는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로, 주머니늑대 멸종 이후 유일하게 남은 대형 육식성 유대류이다. 몸길이는 57~65cm, 몸무게는 6~8kg 정도이며,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 검은색 또는 흑갈색 털로 덮여 있고, 가슴과 허리 부위에 흰색 무늬가 있는 경우가 많지만, 약 16%는 이 무늬가 없다.
귀는 털이 얇아 흥분하면 혈색이 비쳐 분홍색이나 붉은색을 띤다. 위턱에 있는 두 개의 날카로운 송곳니는 평생 동안 자란다. 꼬리에는 지방이 저장되어,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개체는 꼬리가 가늘다.
보통은 냄새가 나지 않지만, 스트레스를 받거나 흥분하면 강한 체취를 풍긴다. 시력은 약하지만, 뛰어난 후각과 청각을 가지고 있다. 유대류의 특징인 육아낭은 캥거루와 달리 뒤쪽으로 열려 있는데, 이는 네 발로 걷고 땅을 파는 습성 때문에 흙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 1. 외형적 특징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현존하는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이다. 땅딸막하고 두꺼운 체형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가 크고 꼬리는 몸길이의 절반 정도이다. 유대류로서는 특이하게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약간 더 길며, 짧은 거리를 13km/h까지 달릴 수 있다. 털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가슴과 엉덩이에 불규칙한 흰색 반점이 있는 경우가 많다(야생 데빌의 약 16%는 흰색 반점이 없다).[24][23]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크다.성별 | 머리와 몸통 평균 길이 | 꼬리 평균 길이 | 평균 체중 |
---|---|---|---|
수컷 | 652mm | 258mm | 8kg |
암컷 | 570mm | 244mm | 6kg |
서부 태즈메이니아의 데빌은 더 작은 경향이 있다.[25] 앞발에 다섯 개의 긴 발가락이 있는데, 네 개는 앞쪽을 향하고 하나는 옆에서 튀어나와 있어 음식을 잡을 수 있다. 뒷발에는 네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발톱은 움츠릴 수 없다.[21]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신체 크기에 비해 현존하는 포유류 육식동물 중 가장 강력한 물기를 가지고 있으며,[32] 턱은 75~80도까지 벌어질 수 있어 고기를 찢고 뼈를 부수는 데 필요한 많은 힘을 생성할 수 있다.[30] 턱의 힘은 부분적으로 비교적 큰 머리 때문이다. 이빨과 턱은 하이에나의 것과 유사하며, 이는 수렴 진화의 한 예이다.[34][36] 굴을 파고 지하 음식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먹이나 짝을 꽉 잡을 수 있는 긴 발톱을 가지고 있다.[36]
얼굴과 머리 꼭대기에 뭉쳐 있는 긴 수염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어둠 속에서 먹이를 찾을 때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주고, 먹이를 먹는 동안 다른 데빌이 가까이 있는지 감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36] 청각이 주요 감각이며, 냄새 감각도 뛰어나며 범위는 1km이다.[29][36] 밤에 사냥하므로 시력은 단색시에서 가장 강해 보인다. 이러한 조건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쉽게 감지할 수 있지만, 고정된 물체를 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29]
주머니늑대 멸종 후에는 현생하는 최대의 육식성 유대류이다. 검은색(또는 흑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 대개 가슴과 허리 부위에 흰 무늬가 있다. 귀의 털은 얇고, 흥분하면 혈색이 비쳐 분홍색이나 붉은색이 선명해진다. 위턱 부분의 두 개의 날카로운 송곳니는 평생 자란다. 꼬리에는 지방이 저장되며,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개체의 꼬리는 가늘다.
; 체고: 30 cm 정도
; 체장(꼬리 미포함): 50 - 60 cm
; 꼬리 길이: 20 - 30 cm
달릴 때는 뒷발을 모아서 내기 때문에, 뒷발보다 앞발이 약간 더 긴 것과 맞물려 우스꽝스러운 움직임이 된다. 사지에 날카로운 발톱을 가지고 있지만, 공격용이 아니라 굴을 파는 데 사용된다. 어렸을 때는 몸이 가벼워 낮은 나무에 기어오르기도 한다. 어린 개체가 나무를 오를 수 있는 것은, 어미의 등에 기어오르는 습성 때문이다[160]。
유대류의 특징인 육아낭은 캥거루와 달리 뒤쪽을 향해 붙어있다. 이것은 네 발로 걷고 땅을 파는 습성 때문에 주머니 안에 흙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3. 2. 골격 및 치아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현존하는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이다. 땅딸막하고 두꺼운 체형에 머리가 크고, 꼬리는 몸길이의 절반 정도이다. 유대류로서는 특이하게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약간 더 길다. 털은 보통 검은색이며, 가슴과 엉덩이에 불규칙한 흰색 반점이 있는 경우가 많다(야생 데빌의 약 16%는 흰색 반점이 없다).[24][23] 수컷은 보통 암컷보다 크며, 평균 몸길이는 652mm, 꼬리 길이는 258mm, 평균 체중은 8kg이다. 암컷은 평균 몸길이 570mm, 꼬리 길이 244mm, 평균 체중은 6kg이다.[24]태즈메이니아데빌은 신체 크기에 비해 현존하는 포유류 육식동물 중 가장 강력한 물기를 가지고 있으며, 물기 힘 지수는 181이고 송곳니 물기 힘은 553N이다.[32] 턱은 75~80도까지 벌어질 수 있어 고기를 찢고 뼈를 부수는 데 필요한 큰 힘을 낼 수 있다.[30] 턱의 힘은 부분적으로 비교적 큰 머리 때문이다.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이빨과 턱은 하이에나의 것과 유사하며, 이는 수렴 진화의 한 예이다.[34][36]
개와 마찬가지로 42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지만, 개와 달리 이빨은 태어난 후 교체되지 않고 평생 동안 서서히 계속 자란다.[29][36] 데빌은 굴을 파고 지하 음식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먹이나 짝을 꽉 잡을 수 있는 긴 발톱을 가지고 있다.[36] 이빨과 발톱의 힘은 데빌이 무게가 30kg까지 나가는 웜뱃을 공격할 수 있게 해준다.[37]
3. 3. 기타 신체적 특징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현존하는 가장 큰 육식성 유대류이다. 땅딸막하고 두꺼운 체형을 가지고 있으며, 머리가 크고 꼬리는 몸길이의 절반 정도이다. 유대류로서는 특이하게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약간 더 길며, 짧은 거리를 13km/h까지 달릴 수 있다. 털은 일반적으로 검은색이며, 가슴과 엉덩이에 불규칙한 흰색 반점이 있는 경우가 많다(야생 데빌의 약 16%는 흰색 반점이 없다).[24][23] 수컷은 일반적으로 암컷보다 크다.구분 | 평균 머리와 몸통 길이 | 평균 꼬리 길이 | 평균 체중 |
---|---|---|---|
수컷 | 652mm | 258mm | 8kg |
암컷 | 570mm | 244mm | 6kg |
[24]
앞발에 다섯 개의 긴 발가락이 있는데, 네 개는 앞쪽을 향하고 하나는 옆에서 튀어나와 있어 음식을 잡을 수 있다. 뒷발에는 네 개의 발가락이 있으며, 움츠릴 수 없는 발톱을 가지고 있다.[21]
꼬리에 체지방을 저장하며, 건강한 데빌은 통통한 꼬리를 가지고 있다.[29] 꼬리는 대부분 잡을 수 없으며 생리학, 사회적 행동 및 이동에 중요하다. 꼬리는 데빌이 빠르게 움직일 때 안정성을 돕는 균형추 역할을 한다.[30]
신체 크기에 비해 현존하는 포유류 육식동물 중 가장 강력한 물기를 가지고 있으며, 물기 힘 지수는 181이고 송곳니 물기 힘은 553N이다.[32] 턱은 75~80도까지 벌어질 수 있어 고기를 찢고 뼈를 부수는 데 필요한 많은 힘을 생성할 수 있다.[30] 턱의 힘은 부분적으로 비교적 큰 머리 때문이다. 이빨과 턱은 하이에나의 것과 유사하며, 이는 수렴 진화의 한 예이다.[34][36]
굴을 파고 지하 음식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먹이나 짝을 꽉 잡을 수 있는 긴 발톱을 가지고 있다.[36] 이빨과 발톱의 힘은 데빌이 무게가 30kg까지 나가는 웜뱃을 공격할 수 있게 해준다.[37]
얼굴과 머리 꼭대기에 뭉쳐 있는 긴 수염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어둠 속에서 먹이를 찾을 때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주고, 먹이를 먹는 동안 다른 데빌이 가까이 있는지 감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36] 청각이 주요 감각이며, 냄새 감각도 뛰어나며 범위는 1km이다.[29][36] 밤에 사냥하므로 시력은 단색시에서 가장 강해 보인다. 이러한 조건에서 그들은 움직이는 물체를 쉽게 감지할 수 있지만, 고정된 물체를 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29]
4. 분포 및 서식지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 섬에 분포하며, 특히 섬의 북동부 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이들은 건조한 숲이나 나무가 많은 지역을 선호하지만, 가끔 도로 주변에서도 발견된다.[95]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태즈메이니아 섬 전역과 도시 외곽, 그리고 간조 시 태즈메이니아 본토와 연결되는 로빈스 섬에서 서식한다.[95] 북서부 개체군은 포스 강 서쪽에서 매쿼리 헤드 남쪽까지 분포한다.[1] 브루니 섬에서는 19세기부터 서식 기록이 있었으나, 1900년 이후로는 발견되지 않고 있다.[1] 1990년대 중반에는 배저 섬에 불법적으로 도입되었으나, 2007년에 태즈메이니아 정부에 의해 제거되었다.[40]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주요 서식지는 연 강수량이 낮거나 보통인 태즈메이니아 동부 및 북서부 지역이다.[21] 특히 건조한 경엽수림과 해안 숲을 선호하며, 태즈메이니아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주의 남서부 버튼그래스 평원에서는 개체군 밀도가 낮지만, 건조하거나 혼합된 경엽수림과 해안 황무지에서는 높게 나타난다. 이들은 키 큰 숲보다는 개방된 숲을, 습한 숲보다는 건조한 숲을 선호한다.[20] 또한, 도로 근처에서 사체를 찾다가 차량에 치여 죽는 경우도 많다.[95]
4. 1. 분포 지역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섬 전역에 분포하며, 특히 북동부에 많이 서식한다. 건조한 숲과 나무가 많은 곳을 선호하며, 도시 외곽을 포함한 섬의 모든 서식지에서 발견된다.[95] 로빈스 섬과 같이 간조 시 태즈메이니아 본토와 연결되는 섬에서도 서식한다.[95] 북서부 개체군은 포스 강 서쪽과 매쿼리 헤드까지 남쪽으로 위치해 있다.[1]태즈메이니아데빌은 과거 호주 본토에도 서식했지만, 약 3,500년 전 주머니늑대가 멸종된 시기와 함께 멸종되었다.[39] 멸종 원인으로는 딩고의 도입, 인간 활동 증가, 기후 변화 등이 제시되었다.[39]
데빌의 "핵심 서식지"는 "연 강수량이 낮거나 보통인 동부 및 북서부 태즈메이니아 지역"으로 여겨진다.[21] 특히 건조한 경엽수림과 해안 숲을 선호하며, 키 큰 숲보다는 개방된 숲을, 습한 숲보다는 건조한 숲을 선호한다.[20]
2020년 말, 태즈메이니아데빌은 뉴사우스웨일스의 배링턴 탑스 지역에 있는 오지 아크(Aussie Ark)가 운영하는 보호구역에 호주 본토에 재도입되었다.[44] 이는 3,000년 이상 만에 데빌이 호주 본토에 살았던 첫 번째 사례였다.[44]
자동차는 태즈메이니아데빌에게 큰 위협이 된다. 특히 로드킬(Road Kill)이 자주 발생하는데, 데빌이 죽은 동물의 사체를 먹으려다 차량에 치이는 경우가 많다.[95] 연구에 따르면 데빌은 운전자가 감지하고 피하기 어려운 동물 중 하나이며, 로드킬을 줄이기 위해 교통 속도 감소, 대체 경로 제공, 교육 캠페인, 경고등 설치 등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4. 2. 과거 분포와 멸종
태즈메이니아데빌은 과거 호주 본토에도 서식했지만, 약 3,500년 전 주머니늑대와 함께 멸종되었다.[39] 멸종 원인으로는 딩고 도입, 인간 활동 증가, 기후 변화 등이 거론된다.[39]
데빌은 태즈메이니아 섬의 도시 외곽을 포함한 모든 서식지와, 간조 시 태즈메이니아 본토와 연결되는 로빈스 섬에 분포한다.[95] 19세기부터 브루니 섬에도 있었지만, 1900년 이후에는 기록이 없다.[1]
본토에서 데빌이 사라진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기후 변화, 호주 원주민과 딩고의 확산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86][87] 직접적인 사냥, 딩고와의 경쟁, 3,000년 전부터의 인간 증가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엘니뇨-남방진동 (ENSO)이 강해지면서 짧은 수명을 가진 데블이 이에 민감하게 반응했을 수도 있다. 딩고가 없는 태즈메이니아에서는 유럽인 도착 당시에도 육식성 유대류가 여전히 활동했다.[88]
4. 3. 호주 본토 재도입 시도
태즈메이니아데빌은 과거 호주 본토에도 서식했지만, 3,500년 전 주머니늑대가 멸종된 시기와 함께 멸종되었다. 멸종 원인으로는 딩고 도입, 인간 활동 증가, 기후 변화 등이 제안되었다.[39]한 연구에서는 딩고가 적은 지역에 질병(DFTD)이 없는 태즈메이니아데빌을 호주 본토에 재도입하는 모델을 제시했다. 데빌은 딩고보다 가축과 토착 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며, 본토 개체군은 추가적인 보험 개체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41] 2015년 9월, 면역 처리가 된 사육 데빌 20마리가 나라와타푸 국립공원에 방사되었으나[42], 이후 두 마리가 차에 치여 죽었다.[43]
2020년 말, 태즈메이니아데빌은 뉴사우스웨일스의 배링턴 탑스 지역에 있는 오지 아크(Aussie Ark)가 운영하는 보호구역에 호주 본토에 재도입되었다. 이는 3,000년 이상 만에 데빌이 호주 본토에 서식하게 된 첫 번째 사례였다.[44] 400ha의 보호 구역에 26마리의 성체 데빌이 방사되었으며, 2021년 4월 말까지 일곱 마리의 조이가 태어났고, 연말까지 최대 20마리가 태어날 것으로 예상되었다.[45]
5. 생태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태즈메이니아 생태계의 핵심종이다.[46] 가재, 게, 물고기, 개구리, 뱀, 도마뱀, 곤충, 쥐, 주머니쥐, 왈라비, 웜뱃, 양, 닭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한 번에 자기 몸무게의 절반에 해당하는 먹이를 섭취할 정도로 식성이 좋으며, 새끼 캥거루를 먹을 수도 있다. 특히 웜뱃은 지방이 많아 선호하는 먹이이며, 태즈메이니아데빌보다 2~3배 이상 큰 웜뱃 성체를 습격한 기록도 있다.[176]
몸집에 비해 큰 머리는 뼈를 씹어 부수는 강한 턱 힘을 만들어내며, 뼈, 가죽, 털, 깃털 등 무엇이든 씹어 먹는다. 턱 힘은 몸집 대비 현생 포유류 중 최강[178]이거나, 회색늑대와 거의 같다는 설[179]도 있다. 하루에 체중의 15% 정도를 먹지만, 30분 만에 체중의 40%까지 먹을 수 있다.[164]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성질이 거칠어 먹이를 두고 싸우는 일이 잦으며, "등골이 오싹해지는" 울음소리를 낸다. 그러나 대형 동물에게는 겁이 많아 으르렁거리는 것은 공격성이 아닌 공포심 때문이다. 영역 의식은 약하며, 여러 개체가 한 먹이에 모여 싸우면서도 함께 먹기도 한다.
암컷은 보통 2세에 성적으로 성숙하며, 3월 또는 4월에 번식 주기가 시작된다. 임신 기간은 21일이며, 한 번에 20~30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무게가 0.18g에서 0.24g 정도로 매우 작고 연분홍색이며 귀가 없다. 어미 주머니 안에서 빠르게 성장하며, 3개월 동안 굴에서 지낸다. 수컷은 암컷을 두고 싸우며, 이긴 수컷은 암컷을 굴로 데려가 번식한다.
5. 1. 행동 양식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야행성이자 황혼](crepuscular)형] 사냥꾼으로, 낮에는 덤불이나 구멍 속에서 시간을 보낸다. 야행성은5. 2. 먹이
태즈메이니아데빌은 가재, 게, 물고기, 개구리, 뱀, 도마뱀, 곤충, 쥐, 주머니쥐, 왈라비, 웜뱃, 양, 닭 등을 먹는다. 한 번에 자기 몸무게의 절반에 해당하는 먹이를 섭취할 정도로 식성이 좋다. 새끼 캥거루를 먹을 수도 있다.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작은 캥거루 크기까지의 먹이를 잡을 수 있지만, 기회주의적이어서 살아있는 먹이보다 동물 사체를 더 자주 먹는다. 데빌은 포획의 용이성과 높은 지방 함량 때문에 웜뱃을 선호하지만, 왈라비,[60] 베통 및 포토루와 같은 모든 작은 토종 포유류, 가축 (양과 토끼 포함),[60] 조류 (펭귄 포함),[61] 물고기, 과일, 채소, 곤충, 올챙이, 개구리 및 파충류도 먹는다. 식단은 매우 다양하며 이용 가능한 음식에 따라 달라진다.[29][62][69][63] 주머니늑대가 멸종되기 전에 태즈메이니아데빌은 부모가 없는 굴에 남겨진 주머니늑대 새끼를 먹었다. 이는 데빌을 먹는 주머니늑대의 멸종을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을 수 있다.[37] 바닷가에서 물쥐를 사냥하고 해안으로 밀려온 죽은 물고기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 신발을 훔쳐 갉아먹을 수 있으며,[62] 나무 양털 깎는 헛간에서 미끄러진 튼튼한 양의 다리를 먹어 그 다리가 아래로 늘어지게 한다.[49] 데빌의 배설물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물질로는 먹어치운 동물의 목걸이와 인식표, 온전한 바늘두더지 가시, 연필, 플라스틱 및 청바지가 있다.[64] 금속 트랩을 물어뜯을 수 있으며, 음식 저장고를 부수기보다는 감옥에서 탈출하기 위해 강력한 턱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64]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왈라비나 토끼를 따라잡을 수는 없지만, 질병으로 인해 느려진 동물을 공격할 수 있다.[62] 10m에서 15m 거리에서 냄새를 맡아 양떼를 조사하고 먹이가 아프면 공격한다. 양들은 힘을 과시하기 위해 발을 구른다.[64]
극단적인 속도 부족에도 불구하고, 데빌이 25km/h의 속도로 1.5km를 달릴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유럽 이민과 가축, 차량 및 로드킬의 도입 전에 그들은 음식을 찾기 위해 다른 토종 동물을 적절한 속도로 쫓아야 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49] 펨버턴은 그들이 일주일에 며칠 밤 동안 "장기간" 평균 10km/h로 달릴 수 있으며, 30분 동안 가만히 있기 전에 먼 거리를 달릴 수 있다고 보고했는데, 이는 매복 포식의 증거로 해석된다.[49]
데빌은 시체를 찾기 위해 땅을 파고, 질병으로 죽은 묻힌 말의 시체를 먹기 위해 땅을 파낸 경우도 있다. 해부학적 구조의 가장 부드러운 부분인 소화 시스템을 먼저 찢어낸 다음 동물 사체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먹는 동안 그들이 남긴 공간에 종종 거주한다.[62]
평균적으로 데빌은 매일 체중의 약 15%를 먹지만, 기회가 생기면 30분 안에 체중의 40%까지 먹을 수 있다. 과식을 한 후 매우 무거워지고 무기력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그들은 천천히 어슬렁거리며 누워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그러한 식습관이 팽창된 개체를 공격할 포식자가 없었기 때문에 가능해졌다는 믿음으로 이어졌다.[69]
태즈메이니아데빌은 뼈와 털을 원한다면 삼키면서 작은 동물의 사체의 모든 흔적을 제거할 수 있다.[65] 이러한 점에서 데빌은 태즈메이니아 농부들의 감사를 받았다. 데빌이 사체를 치우는 속도는 가축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곤충의 확산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66] 데빌이 나중에 먹을 수 있도록 과도한 먹이를 거주지로 운반할 때 이러한 죽은 동물 중 일부가 처리된다.[62]
데빌의 식단은 수컷과 암컷, 계절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크레이들 마운틴(Cradle Mountain)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겨울에는 수컷이 더 큰 포유류보다 중간 크기의 포유류를 선호하며(4:5), 여름에는 더 큰 먹이를 선호한다(7:2). 이 두 범주는 식단의 95% 이상을 차지했다. 암컷은 큰 먹이를 목표로 하는 경향이 적지만 계절적 편향은 동일하다. 겨울에는 대형 및 중형 포유류가 각각 25%와 58%를 차지하고, 소형 포유류는 7%, 조류는 10%를 차지한다. 여름에는 처음 두 범주가 각각 61%와 37%를 차지한다.
어린 데빌은 때때로 나무를 오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7] 어린 데빌은 작은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 외에도 나무를 올라가 유충과 새의 알을 먹는다.[84] 둥지 안으로 들어가 새를 잡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다. 일년 내내 성체 데빌은 수목 종으로부터 16.2%의 생물량 섭취를 얻으며, 거의 모두 주머니쥐 고기이며, 큰 새는 1.0%에 불과하다. 2월부터 7월까지 아성체 데빌은 수목 생활에서 35.8%의 생물량 섭취를 얻으며, 12.2%는 작은 새이고 23.2%는 주머니쥐이다. 겨울의 암컷 데빌은 주머니쥐 26.7%와 다양한 새 8.9%를 포함하여 수목 종에서 40.0%의 섭취를 얻는다. 이러한 동물 모두가 나무에 있는 동안 잡힌 것은 아니지만, 데빌이 열등한 나무 타기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 계절의 수컷 점박이꼬리쿠올보다 더 높은 이 수치는 특이하다.

혼자 사냥하지만,[29] 한 마리의 데빌이 먹이를 서식지 밖으로 몰아내고 공범이 공격하는 공동 사냥에 대한 근거 없는 주장이 있었다.[62] 먹는 것은 태즈메이니아데빌에게 사회적인 행사이다. 혼자 사는 동물이 공동으로 먹는 이러한 조합은 데빌을 육식동물 중에서 독특하게 만든다.[84] 그 동물에게 기인하는 소리의 대부분은 최대 12마리의 개체가 모일 수 있는 시끄러운 공동 식사의 결과이며, 2~5마리의 그룹이 일반적이다.[68] 이것은 종종 몇 킬로미터 밖에서도 들을 수 있다. 이는 동료에게 식사에 참여하도록 알리는 것으로 해석되어, 음식의 부패를 막고 에너지를 절약한다.[62] 소리의 양은 사체의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다.[62] 데빌은 시스템에 따라 먹는다. 어린 데빌은 해 질 녘에 활동적이므로 성체보다 먼저 그곳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69] 일반적으로 지배적인 동물은 포만감을 느낄 때까지 먹고 그동안 도전을 하는 모든 동물과 싸운다. 패배한 동물은 머리카락과 꼬리를 세운 채 덤불 속으로 달려가고, 정복자는 그 뒤를 쫓아 가능한 경우 희생자의 뒤쪽을 문다. 음식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데빌을 억압하는 것보다 충분한 음식을 얻는 것이 동기인 것처럼 분쟁은 덜 흔하다.[69] 쿠올이 사체를 먹고 있을 때 데빌은 그들을 쫓아내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큰 주머니쥐를 죽이고 데빌이 도착하기 전에 식사를 끝낼 수 없는 점박이꼬리쿠올에게 상당한 문제이다. 반대로, 더 작은 동부쿠올은 훨씬 작은 희생자를 잡아먹고 데빌이 나타나기 전에 먹이를 다 먹을 수 있다. 이것은 점박이꼬리쿠올의 상대적으로 작은 개체수의 가능한 이유로 여겨진다.
야행성으로, 낮에는 굴이나 덤불 속에 숨어 있지만, 밤이 되면 먹이를 찾아 하룻밤에 16km 정도 이동하기도 한다. 식성은 육식이며, 주로 썩은 고기를 먹지만, 대략 육식으로 분류되는 먹이라면 무엇이든 먹으며, 주머니쥐, 소형 왈라비 등의 포유류, 조류, 곤충류 등을 포식한다. 웜뱃은 지방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좋아하는 것으로 보이며, 태즈메이니아데빌보다 2~3배 이상 몸집이 큰 웜뱃의 성체를 습격한 기록도 있다.[176] 야생 데빌의 위에서 멍게가 발견되기도 했다.[177]
몸집에 비해 큰 머리가 뼈를 씹어 부수는 턱의 힘을 만들어내며, 뼈, 가죽, 털, 깃털 등 무엇이든 씹어 먹어버린다. 턱의 힘에 대해서는, 몸집의 크기와 씹는 힘의 비율로 말하면 현생 포유류 중 최강[178], 또는, 태즈메이니아데빌의 6배 이상 큰 회색늑대와 거의 같다[179]는 설도 있다. 표준적으로는 하루에 자신의 체중의 15% 정도의 식사를 필요로 하지만, 체중의 40%에 가까운 먹이를 30분 만에 해치울 수 있다.[164] 동물의 시체를 처리함으로써 공중 위생이나 원활한 먹이 사슬의 회전에 기여하고 있다.
5. 3. 번식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임신 기간은 21일이다. 암컷은 한 번에 20~30마리의 새끼를 낳는데, 새끼의 무게는 0.18g에서 0.24g이다. 갓 태어난 새끼는 연분홍색이며 귀가 없다. 새끼들은 어미의 주머니 안에서 빠르게 자라며, 3개월 동안 굴 안에서 지낸다. 암컷은 마음에 드는 수컷을 발견하면 지칠 때까지 싸운 후, 암컷이 항복하면 굴로 데려가 번식한다.암컷은 보통 만 2세에 성적으로 성숙해 번식을 시작한다. 이때 1년에 한 번 발정기가 찾아오며 여러 개의 난자를 생산한다. 데빌의 생식 주기는 3월 또는 4월에 시작된다.[79]
3월에 짝짓기는 은신처에서 이루어진다. 수컷은 번식기에 암컷을 두고 싸우며, 암컷은 우세한 수컷과 짝짓기를 한다.[29][80] 암컷은 21일 동안 최대 세 번 배란할 수 있으며, 교미는 5일이 걸릴 수 있다. 데빌은 일부일처제가 아니며, 암컷은 여러 수컷과 짝짓기한다. 수컷도 한 시즌에 여러 암컷과 번식한다.[29][80] 암컷은 더 작은 수컷의 접근을 물리치는 등 선택적인 행동을 보인다.[21] 수컷은 짝짓기 상대를 굴에 가두기도 한다.[80]
암컷은 평균 4번의 짝짓기 시즌을 거쳐 12마리의 새끼를 낳는다.[80] 임신율은 높다. 2세 암컷의 80%가 짝짓기 시즌에 주머니에 신생아를 가진 것으로 관찰되었다.[80] 짝짓기 시즌은 2월에서 6월 사이다.[20]
임신은 21일 동안 지속되며, 데빌은 약 0.18g에서 0.24g의 새끼 20~30마리를 낳는다. 태어날 때 앞다리에는 발톱이 있는 잘 발달된 손가락이 있다. 아기 데빌의 발톱은 낙엽성이 아니다. 앞다리가 뒷다리보다 길고, 눈은 점처럼 생겼으며, 몸은 분홍색이다. 귓바퀴나 구멍은 없다. 성별은 출생 시에 결정할 수 있으며, 외부 음낭이 존재한다.
태즈메이니아데빌 새끼는 "강아지",[29] "조이",[82] 또는 "임프"라고 불린다.[83] 새끼가 태어나면 주머니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경쟁이 치열해진다. 주머니 안에 들어가면 각각은 다음 100일 동안 젖꼭지에 달라붙어 있다. 암컷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주머니는 뒤쪽으로 열리기 때문에 암컷이 주머니 안의 새끼와 상호 작용하기가 어렵다. 암컷은 젖꼭지가 4개밖에 없으므로 주머니에서 젖을 먹는 새끼는 4마리를 넘지 않는다. 새끼가 젖꼭지에 닿으면 젖꼭지가 부풀어 올라 신생아 안에 단단히 고정된다.[29][80] 평균적으로 수컷보다 암컷이 더 오래 살아남으며, 새끼의 60%까지는 성체가 될 때까지 살아남지 못한다.[84]
주머니 안에서 새끼는 빠르게 발달한다. 둘째 주에는 코가 뚜렷해지고 색소가 침착된다. 15일째에는 귀의 외부 부분이 보이지만, 머리에 붙어 있으며 약 10주가 될 때까지 열리지 않는다. 귀는 약 40일 후에 검게 변하기 시작하며, 이때 길이가 1cm 미만이고, 귀가 똑바로 설 때쯤에는 1.2cm에서 1.6cm 사이이다. 눈꺼풀은 16일, 수염은 17일, 입술은 20일에 나타난다. 데빌은 8주 후에 찍찍거리는 소리를 낼 수 있으며, 약 10~11주 후에는 입술이 열릴 수 있다. 눈꺼풀이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눈은 3개월 동안 열리지 않지만, 속눈썹은 약 50일에 형성된다. 이때까지 분홍색이던 새끼는 49일에 털이 자라기 시작하여 90일에는 털이 완전히 덮인다.

데빌은 완전한 얼굴 진동모와 자뼈 발목을 가지고 있지만, 주두부 진동모는 없다. 셋째 주에는 구레나룻과 자뼈 발목이 먼저 형성된다. 그 후 눈 아래, interramal, 눈 위 및 턱 아래 진동모가 형성된다. 마지막 네 개는 일반적으로 26일에서 39일 사이에 발생한다. 눈은 털이 덮인 후(87~93일 사이) 얼마 지나지 않아 열리고, 입은 100일째에 젖꼭지를 잡는 것을 멈출 수 있다. 태어난 지 105일 후에 주머니를 떠나 부모의 작은 복사본처럼 보이며 무게는 약 200g이다.
새끼 데빌은 밖으로 나온 후 주머니 밖에 머물지만, 약 3개월 동안 굴에 머물면서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처음으로 굴 밖으로 모험을 한 후 1월에 독립한다. 어미가 사냥할 때는 은신처에 머물거나 함께 갈 수 있으며, 종종 어미의 등에 올라탑니다. 이 기간 동안 어미의 젖을 계속 먹는다. 암컷 데빌은 일 년 중 약 6주를 제외하고 새끼를 키우는 데 몰두한다.[85] 주머니를 떠난 후 데빌은 생후 6개월까지 한 달에 약 0.5kg씩 성장한다. 대부분의 새끼는 젖을 뗄 때까지 살아남지만,[20] 데빌의 5분의 3까지는 성체에 도달하지 못한다.[84]
6. 데빌 얼굴 종양 질환 (DFTD)
1996년 태즈메이니아 북동부 마운트 윌리엄에서 처음 발견된 악마얼굴 종양 질환(DFTD)은 태즈메이니아데빌 개체 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질병으로 인해 데블 개체 수는 20%에서 최대 80%까지 감소했으며, 주 전체의 65% 이상이 영향을 받았다.[111][112]
야생 태즈메이니아 데블 개체 수는 질병 확산을 추적하고 질병 유병률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되고 있다. 현장 모니터링에는 특정 지역 내에서 데블을 포획하여 질병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영향을 받은 동물 수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질병의 시간 경과에 따른 확산을 특성화하기 위해 동일한 지역을 반복적으로 방문한다. 단기적으로 이 질병이 한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장기적인 영향 및 개체군 회복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112]
현장 작업자들은 질병 억제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질병에 걸린 데블을 포획하고 제거하는 시도도 하고 있다. 이는 질병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더 많은 데블이 생존 및 번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이다.[112]
2017년 3월, 태즈메이니아 대학교 과학자들은 IFN-γ로 처리하여 MHC-I 발현을 회복시킨 살아있는 암세포를 감염된 데블에 주입, 면역 체계가 질병을 인식하고 싸우도록 자극하여 악마얼굴 종양 질환 치료에 성공했다는 최초의 보고를 발표했다.[117]
2020년에는 마지막 DFTD가 없는 야생 태즈메이니아 데블 개체군 중 하나가 근친 교배 약화 현상을 겪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생식 성공률이 크게 감소했다는 보고도 있었다.[118]
6. 1. 질병의 특징
악마얼굴 종양 질환(DFTD)은 1996년 태즈메이니아 북동부의 마운트 윌리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111][112] 이 질병은 태즈메이니아 야생 데블의 개체 수를 20%에서 최대 80%까지 감소시켰으며, 섬 전체의 65% 이상에 영향을 미쳤다. 주의 서해안과 극북서 지역만이 데블에게 종양이 없는 유일한 지역이다.[111][112] 감염된 데블은 몇 달 안에 사망한다.[113]이 질병은 전염성 암의 일종으로,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전파된다.[114] 종양은 숙주의 면역 체계로부터 반응을 유도하지 않고 숙주 간에 전파될 수 있다.[115] 더 많이 물어뜯는 행동을 하는 우세한 데블이 이 질병에 더 많이 노출된다.[116]
'''데빌 얼굴 종양 질환'''(DFTD)은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얼굴과 목에 발생하는 치명적인 악성 종양(암)이다. 번식이나 먹이를 두고 다툴 때의 물기를 통해 암세포 자체가 장기 이식처럼 다른 데빌에게 직접 전염되는 것으로 보인다.
DFTD는 대부분 입 주위에 발생하며, 점차 머리, 목 등 주변 조직으로 퍼져나가 병변 부위가 커진다. 전이되는 빈도가 높으며, 주로 림프절, 폐, 비장 등이 영향을 받는다.[162] 종양이 커지면서 입이나 눈이 막히고, 먹이를 먹을 수 없게 되어 굶어 죽음에 이르게 된다. 대부분 발병 후 6개월 이내에 사망하지만, 1년에 걸쳐 생존한 사례도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163]
DFTD는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야생 개체 간에 전염성으로 퍼져나가는 특징이 있다. 2010년 연구 결과, 종양은 신체 접촉을 통해 개체에서 개체로 전파되며, 말초 신경을 보호하는 슈반 세포에서 유래된 종양임이 확인되었다.[165][166][167] 또한, 슈반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PRX (gene)|페리아신|periaxin영어 단백질은 DFTD 진단 마커나 치료법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DFTD 암세포의 염색체 핵형 연구에서,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염색체는 보통 7쌍 14개이지만, DFTD 암세포에는 13개밖에 없으며, 성염색체를 포함한 5개의 결실 외에 4개의 이상 염색체가 나타나는 등 복잡한 재구성이 일어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68] 이러한 염색체 이상은 서로 다른 개체에서 채취된 모든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며, 동일 기원의 암세포가 접촉 등으로 인해 다른 개체에 전염된 것의 강력한 증거로 여겨진다.
개에게 발생하는 이식성 성기 종양 (CTVT)과의 유사점도 주목받고 있다.[168] CTVT 종양 세포는 정상 개 체세포보다 염색체 수가 적고,[169] 핵형 이상의 특징이 거의 공통적이라는 점에서 DFTD와 유사하다.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유전자 풀은 매우 작고, 면역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집합 영역인 주요 조직 적합 유전자 복합체 (MHC)에는 유전적 다양성이 거의 없다.[170] 이 때문에 최초 한 마리에게 발생한 암세포에 MHC 이상이 있었더라도 다른 개체에게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감염이 성립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1996년 처음 보고된 후 DFTD 감염 지역은 확대되고 있다. 2006년 12월까지 태즈메이니아 동부에서 중부 (섬 면적의 약 ⅔)에서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개체 수는 지난 10년 동안 33~50% 정도 감소했다는 야외 조사도 있다.[171] 1992~1995년과 2002~2005년의 개체 목격 수를 비교하면, 태즈메이니아 주 평균 약 60%, 북동부에서는 약 10%까지 감소했다.[172] 2009년 시점에서 개체 수는 70% 감소하고 서식지의 60%에서 질환 발생이 관찰되는 등, 전문가들은 향후 50년 동안 야생 태즈메이니아데빌이 멸종될 우려가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165][166]
생태 조사에 따르면 포획되는 DFTD 감염 개체의 83%가 성체이다.[172] 이는 주로 먹이를 둘러싼 싸움이나 구애 행동 시의 물기를 통해 감염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6. 2. 전염 경로 및 영향
1996년 태즈메이니아 북동부 마운트 윌리엄에서 처음 발견된 악마얼굴 종양 질환(DFTD)은 태즈메이니아 야생 데블 개체 수를 20%에서 최대 80%까지 감소시켰으며, 주 전체의 65% 이상이 영향을 받았다.[111][112] 이 질병은 전염성 암의 한 예시로,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전파된다.[114] 특히 물어뜯는 행동을 많이 하는 우세한 데블이 더 많이 노출된다.[116]야생 태즈메이니아 데블 개체 수는 질병 확산을 추적하고 유병률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모니터링되고 있다. 현장 모니터링에는 특정 지역 내 데블을 포획하여 질병 존재 여부와 영향을 받은 동물 수를 확인하는 것이 포함된다. 지금까지 이 질병이 한 지역에서 단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심각한 것으로 밝혀졌다.[112]
'''데빌 얼굴 종양 질환'''(DFTD)은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얼굴과 목에 발생하는 치명적인 악성 종양(암)이다. 번식이나 먹이를 두고 다툴 때 무는 행위를 통해 암세포 자체가 장기 이식처럼 다른 데빌에게 직접 전염되는 것으로 보인다. 1996년 처음 발생이 보고된 이후 피해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DFTD는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야생 개체 간 전염되는 특징을 보인다. 처음에는 환경 오염 물질[164]이나 종양 바이러스 감염증이 의심되었으나, 2010년 DFTD 종양 25주의 대규모 유전자 분석 결과, 종양은 신체 접촉을 통해 개체 간 전파되며, 말초 신경을 보호하는 슈반 세포에서 유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165][166][167]
1996년 태즈메이니아 북동부에서 처음 보고된 후 DFTD 감염 지역은 계속 확대되고 있다. 2006년 12월까지 태즈메이니아 동부에서 중부 (섬 면적의 약 2/3)에서 감염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지난 10년 동안 개체 수가 33~50% 감소했다는 야외 조사 결과도 있다.[171] 1992년~1995년과 2002년~2005년의 개체 목격 수를 비교하면, 태즈메이니아 주 평균 약 60%, 북동부에서는 약 10%까지 감소했다.[172]
6. 3. 유전적 요인
태즈메이니아데빌의 게놈은 2010년 웰컴 트러스트 생어 연구소에 의해 해독되었다.[18] 모든 다지유라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데블은 14개의 염색체를 가지고 있다.[19] 데블은 다른 호주 유대류 및 태반 포식동물에 비해 낮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이는데, 이는 창시자 효과와 일치한다. 대립 유전자 다양성은 샘플링된 하위 개체군에서 2.7–3.3으로 측정되었으며, 이형접합성은 0.386–0.467 범위였다. 메나 존스(Menna Jones)의 연구에 따르면, "50km까지 유전자 흐름이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더 큰 규모(150km에서 250km)에서는 유전자 흐름이 감소하지만 거리에 따른 고립에 대한 증거는 없다." 섬 효과 또한 낮은 유전적 다양성에 기여했을 수 있다. 낮은 개체군 밀도 기간은 개체수 병목 현상을 만들어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켰을 수 있다. 낮은 유전적 다양성은 중-홀로세 이후부터 태즈메이니아 데블 개체군의 특징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데블 안면 종양 질환(DFTD)의 발생은 근친 교배의 증가를 야기한다. 주의 북서부에 있는 데블의 하위 개체군은 다른 데블과 유전적으로 구별되지만,[20] 두 집단 간에 어느 정도 교환이 이루어진다.[21]태즈메이니아 전역의 다양한 위치에서 채취한 주요 조직 적합성 복합체 (MHC) 클래스 I 도메인에 대한 단일 가닥 컨포메이션 다형성 분석(OSCP) 결과, 25가지 다른 유형이 나타났으며 태즈메이니아 북서부와 동부에서 서로 다른 MHC 유형 패턴을 보였다. 동부 데블은 MHC 다양성이 적다. 30%는 종양과 동일한 유형(유형 1)이고, 24%는 A형이다. 동부 데블 10마리 중 7마리는 DFTD와 관련된 A, D, G 또는 1형인 반면, 서부 데블은 55%만이 이러한 MHC 범주에 속한다. 25가지 MHC 유형 중 40%는 서부 데블에게만 해당된다. 북서부 개체군은 전체적으로 유전적 다양성이 낮지만, DFTD에 대한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더 높은 MHC 유전자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데블을 혼합하면 질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6. 4. 치료 및 연구 현황
1996년 태즈메이니아 북동부의 마운트 윌리엄에서 처음 발견된 악마얼굴 종양 질환(DFTD)은 태즈메이니아의 야생 데블을 황폐화시켰으며, 주 전체의 65% 이상이 영향을 받았다. 데블 개체 수 감소 추정치는 20%에서 최대 80%에 이른다.[111][112] 감염된 데블은 몇 달 안에 죽는다.[113] 이 질병은 전염성 암의 한 예시로, 한 동물에서 다른 동물로 전파된다.[114] 종양은 숙주의 면역 체계로부터 반응을 유도하지 않고 숙주 간에 전파될 수 있다.[115] 우세한 데블은 더 많은 물어뜯는 행동을 하여 질병에 더 많이 노출된다.[116]
야생 태즈메이니아 데블 개체 수는 질병 확산을 추적하고 유병률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모니터링되고 있다. 현장 모니터링에는 특정 지역 내에서 데블을 포획하여 질병의 존재를 확인하고 영향을 받은 동물의 수를 결정하는 것이 포함된다. 동일한 지역을 반복적으로 방문하여 질병의 시간 경과에 따른 확산을 특성화한다. 이 질병이 한 지역에서 단기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심각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영향이 지속되는지, 아니면 개체군이 회복될 수 있는지 평가하려면 복제된 부지에서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112] 현장 작업자는 질병 억제의 효과를 테스트하기 위해 질병에 걸린 데블을 포획하고 제거하기도 한다. 야생 개체군에서 질병에 걸린 데블을 제거하면 질병 유병률이 감소하고 더 많은 데블이 어린 시절을 넘어 생존하고 번식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112]
2017년 3월, 태즈메이니아 대학교의 과학자들은 악마얼굴 종양 질환에 걸린 태즈메이니아 데블을 성공적으로 치료했다는 최초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IFN-γ로 처리하여 MHC-I 발현을 회복시킨 살아있는 암세포를 감염된 데블에 주입하여 면역 체계가 질병을 인식하고 싸우도록 자극했다.[117] 2020년에는 마지막 DFTD가 없는 야생 태즈메이니아 데블 개체군 중 하나가 근친 교배 우울증을 겪고 있으며 최근 몇 년 동안 생식 성공률이 크게 감소했다고 보고되었다.[118]
7. 인간과의 관계
태즈메이니아데빌은 인간과 오랜 관계를 맺어왔다. 1970년 뉴사우스웨일스주 서부 니치 호에서 발견된 7,000년 전 남성 유골은 49마리의 데빌 이빨 178개로 만든 목걸이를 착용하고 있었는데, 이는 데빌이 이빨 때문에 사냥당했음을 시사한다.[119] 고고학자 조세핀 플러드는 이것이 데빌의 본토 멸종에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한다.[119] 데빌 뼈가 들어있는 고분은 드물지만,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서부 데빌스 레어와 빅토리아주 타워 힐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다.[120] 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은 데빌과 같은 동굴에서 피난처를 찾았으며, "타라바", "포이리나", "파-루-메르-러" 등의 이름으로 불렀다.[121]
태즈메이니아데빌이 인간을 먹는다는 오해가 있지만, 실제로는 죽은 시체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숲에서 길을 잃은 사람을 먹는다는 이야기는 과장된 것이다.[124] 사람에게 붙잡히면 두려워서 물거나 긁을 수도 있지만, 잘 붙잡으면 가만히 있기도 한다.[125] 길들일 수는 있지만, 사회성이 없고 애완동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74] 불쾌한 냄새가 나고 애정을 표현하거나 반응하지 않는다.[126]
1800년대부터 유럽계 주민들은 태즈메이니아데빌을 가금류나 가축을 습격하는 해수로 여겨 기피했다. 1830년에는 민간 기업, 1888년에는 정부가 장려금을 마련하여 구제를 장려했다. 그러나 1936년 주머니늑대가 멸종하자 보호 움직임이 높아져 1941년 보호법이 성립되었다.
최근까지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학자들에게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20세기 초 호바트 동물원 운영자 메리 로버츠는 태즈메이니아데빌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과학적 관심을 유도했다.[130] 테오도르 톰슨 플린은 태즈메이니아 최초의 생물학 교수로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127] 1960년대 중반 길러 교수의 10년간 체계적인 현장 연구는 태즈메이니아데빌에 대한 현대 과학 연구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128]
1996년 공식 보고된 악마얼굴 종양 질환(DFTD)으로 인해 지난 10년 동안 개체수가 30~40% 감소했다. 2006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태즈메이니아데빌을 멸종 위기종 (위급)으로 지정했다.
7. 1. 보존 노력
태즈메이니아데빌이 본토에서 사라진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기후 변화, 호주 원주민과 딩고의 확산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86][87] 다만, 직접적인 사냥, 딩고와의 경쟁, 3000년 전부터의 인간 증가, 또는 이 세 가지의 조합인지는 알 수 없다. 데빌은 본토에서 딩고와 약 3000년 동안 공존했다. 딩고가 없는 태즈메이니아에서는[88] 유럽인 도착 당시 육식성 유대류가 여전히 활동했다. 주머니늑대의 멸종은 잘 알려져 있지만,[89] 태즈메이니아데빌 역시 위협받았다.[100]
서식지 파괴는 어미가 새끼를 키우는 굴을 노출시켜 사망률을 증가시킨다.[90] 암은 데빌의 일반적인 사망 원인이다.[91] 2008년, 태즈메이니아데블에서 잠재적 발암성 난연성 화학 물질이 발견되었다.[92] 'Save the Tasmanian Devil Appeal'은 'Save the Tasmanian Devil Program'의 공식 모금 기관으로, 야생 태즈메이니아데블 생존을 우선 순위로 한다.
기록된 역사에서 최소 두 차례 주요 개체 수 감소가 있었는데, 질병 유행으로 추정된다. 1909년과 1950년에 발생했으며,[24] 1850년대에도 희귀종으로 보고되었다. 1990년대 중반 개체 수는 130,000~150,000마리로 추정되었지만,[20] 과대평가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008년 태즈메이니아 데빌 개체 수는 10,000~100,000마리, 성숙한 개체는 20,000~50,000마리로 추산되었다.[29] 전문가들은 1990년대 중반 이후 개체 수가 80% 이상 감소했으며, 2008년 현재 야생에 약 10,000~15,000마리만 남았다고 추정한다.[93]
2005년 태즈메이니아 ''위협종 보호법 1995''에 따라 취약종, 2006년 호주 ''환경 보호 및 생물 다양성 보존법 1999''에 따라 위협종으로 지정되어,[20] "중장기적" 멸종 위험에 처해 있다.[95] IUCN은 1996년 낮은 위험/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했지만, 2009년 위급종으로 재분류했다.[1]
초기 유럽인 정착민들은 태즈메이니아데빌을 먹었는데, 송아지 고기와 비슷하다고 묘사했다.[96] 1830년 초부터 데빌 제거를 위한 현상금 제도가 도입되었다.[97] 그러나 가축 손실의 진짜 원인은 부실한 토지 관리 정책과 야생 개였다.[97] 1936년 마지막 주머니늑대가 죽은 후,[101] 1941년 6월 태즈메이니아데빌은 법적 보호를 받았고, 개체수는 서서히 회복되었다.[100] 1950년대 개체수 증가 보고에 따라 가축 피해 불만이 제기된 후 데빌 포획 허가가 일부 발급되었다. 1966년 독극물 살포 허가가 발급되었지만, 보호종 해제 시도는 실패했다.[102]
자동차는 태즈메이니아 포유류의 국지적 개체군에 위협이 된다. 2010년 연구에 따르면 데빌은 특히 취약하다. 상향등에서 데빌은 가장 짧은 감지 거리를, 하향등에서는 두 번째로 짧은 감지 거리를 보였다. 로드킬을 피하려면 운전자는 시골 지역에서 현재 제한 속도의 약 절반으로 운전해야 한다.
교통 속도 감소 조치, 대체 경로 제공, 교육 캠페인, 반사경 설치 등이 로드킬 감소에 기여했다. 메나 존스와 보존 자원 봉사자 그룹의 도로변 동물 사체 제거 작업은 데빌 교통 사망자 수를 크게 줄였다.[66] 2009년 '태즈메이니아 데빌 구하기' 단체는 "로드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107] 2015년 9월 25일, 면역된 데빌 20마리가 마이크로칩을 이식받고 나라와타푸 국립 공원에 방사되었으나, 10월 5일까지 네 마리가 차량에 치였다.[108]
1996년 태즈메이니아 북동부 마운트 윌리엄에서 처음 발견된 악마얼굴 종양 질환(DFTD)은 야생 데블을 황폐화시켰으며, 개체 수 감소 추정치는 20%에서 최대 80%에 이른다.[111][112] 감염된 데빌은 몇 달 안에 죽는다.[113] 이 질병은 전염성 암의 한 예시이다.[114]
야생 데블 개체 수는 질병 확산 추적 및 유병률 변화 식별을 위해 모니터링된다. 현장 모니터링에는 질병 존재 확인 및 영향받은 동물 수 결정을 위해 특정 지역 내 데빌 포획이 포함된다. 질병의 장기적 영향 평가를 위해 복제된 부지에서 장기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112] 현장 작업자는 질병 억제 효과 테스트를 위해 질병에 걸린 데빌을 포획, 제거한다. 2017년 3월, 태즈메이니아 대학교 과학자들은 악마얼굴 종양 질환에 걸린 데빌을 성공적으로 치료했다고 보고했다.[117]
현재는 태즈메이니아 섬에만 서식하지만, 과거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도 서식했던 것이 화석으로 밝혀졌으며, 유럽인 도래 이전 14세기 말에 멸종했다.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의 멸종은 주머니늑대처럼 인류가 가져온 개가 야생화된 딩고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1996년 공식 보고된 "DFTD"라는 질병으로 지난 10년 동안 개체수가 30~40% 감소했다. 2006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멸종 위기종 (위급)으로 지정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현재 "멸종 위기"(Endangered)로 분류된다.[185]
- 2007년 11월, 태즈메이니아 대학교 로이 스웨인 박사 위원장의 멸종 위기종 자문 위원회는 "멸종 위기"로 변경을 권고했다.[186]
- 2008년 5월, 태즈메이니아주에서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된다고 발표되었다.[189][190]
태즈메이니아 주 정부 농수산성(DPIW)·대학·자연 공원·동물원 등의 공동 보호 프로그램이 실시된다. 주요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생존 수 조사
- 병리 연구
- 야생 보호 구역
- 인공 사육
DFTD 프로그램은 수시로 자원 봉사자를 모집한다.
야생 데빌 포획·관찰 후 수의사가 진단한다. 릴리스 전 마이크로칩을 장착, 훈련된 자원 봉사자가 마이크로칩 판독기로 개체수나 이동 범위를 특정한다.[184]
섬 남동부 태즈먼 반도와 본섬을 잇는 유일한 다리를 봉쇄, 건강한 데빌을 격리·생존시키려는 시도. 다리에 데빌을 피하기 위한 그물, 센서식 워터 제트·라이트·녹음된 개의 울음소리 설치 등의 아이디어가 있다.
"방주" 프로젝트는 2006년 12월과 2007년 1월 두 차례, 총 48마리 데빌을 오스트레일리아 본토 4개 자연 동물 공원으로 보냈다.
2007년 4월, [http://www.currumbin-sanctuary.org.au/content/home.asp?name=Home 카란빈 자연 동물 공원]에서 인공 사육 데빌 주머니에 새끼 4마리가 확인되었다.
2007년 6월, 뉴사우스웨일스주 고스퍼드에서 데빌 새끼 10마리가 태어났다.
; 여행자의 목격 정보
태즈메이니아데빌의 목격 정보는 서식 지역이나 감염 지역에 관한 중요 정보원이다. 여행 중 데빌 목격 시(생사 불문. 길가 야생동물 사체 2차 피해 사고사 포함) DFTD 프로그램은 다음 정보를 요구한다.
# 성별
# 대략적인 연령, 크기 (고양이, 소형견, 작은 중형견 등 묘사 가능)
## 새끼: 4kg 정도 (고양이 크기), 오래된 흉터 없음.
## 젊은 개체: 4kg~6kg, 흉터 존재 가능.
## 성체: 6kg 이상, 얼굴이나 허리 주변 오래된 흉터 존재.
# 건강 상태 (꼬리가 굵으면 건강)
## 좋음
## 보통
## 나쁨
# 병변 유무, 위치, 크기 (종양 없으면 명시. 사진 있으면 좋음)
# 목격 장소 (GPS 있으면 좌표 정보)
# 발견일
# 명백한 사인 (교통사고 등)
# 생존 시 반응·행동 메모
; 길가 동물 사체 제거
태즈메이니아 시골 간선도로에는 밤에 차에 치인 야생동물 사체가 흩어져 있다. 사체에 이끌린 데빌이 먹이에 정신이 팔려 치이는 사고도 빈번하다. 2차 교통 재해 방지를 위해 길가 동물 사체를 치우는 것도 중요한 보호 활동이다.
; 맥스밸류 토카이
맥스밸류 토카이는 DFTD 프로그램에 태즈메이니아데빌 지원금을 증정한다.[191]
7. 2. 문화적 상징
1970년, 뉴사우스웨일스주 서부 니치 호에서 49마리의 태즈메이니아데빌 이빨 178개로 만든 목걸이를 착용한 남성의 골격이 발견되었다. 이 골격은 7,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목걸이는 그보다 더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고고학자 조세핀 플러드는 태즈메이니아데빌이 이빨 때문에 사냥당했고, 이것이 호주 본토에서 멸종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고 추정한다.[119] 태즈메이니아데빌 뼈가 있는 고분은 드문데,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남서부의 데빌스 레어와 빅토리아주의 타워 힐이 대표적이다.[120] 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은 태즈메이니아데빌과 같은 동굴에서 살았으며, 유럽인들이 기록한 태즈메이니아 원주민의 언어로는 "타라바", "포이리나", "파-루-메르-러" 등으로 불렸다.[121]태즈메이니아데빌이 사람을 먹는다는 오해가 있지만, 실제로는 죽은 시체를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숲에서 길을 잃은 사람을 먹는다는 이야기는 과장된 것이다.[124] 사람에게 붙잡히면 두려워서 물거나 긁을 수도 있지만, 잘 붙잡으면 가만히 있기도 한다.[125] 길들일 수는 있지만, 사회성이 없고 애완동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74] 불쾌한 냄새가 나고 애정을 표현하거나 반응하지 않는다.[126]
20세기 초, 호바트 동물원 운영자 메리 로버츠는 태즈메이니아데빌처럼 끔찍하고 혐오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던 토착 동물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과학적 관심을 유도했다.[130] 테오도르 톰슨 플린은 태즈메이니아 최초의 생물학 교수로, 제1차 세계 대전 전후에 관련 연구를 수행했다.[127] 1960년대 중반, 길러 교수는 연구팀을 구성하여 10년간 태즈메이니아데빌에 대한 체계적인 현장 연구를 시작했는데, 이는 현대 과학 연구의 시작으로 평가받는다.[128]

태즈메이니아데빌은 호주, 특히 태즈메이니아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태즈메이니아 국립공원 및 야생동물 서비스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29] 빅토리아 풋볼 리그의 태즈메이니아 데블스 풋볼 클럽과 호주 전국 농구 리그의 호바트 데블스의 상징으로도 사용되었다.[143][144] 또한, 여러 기념 주화에 등장했으며,[145][146] 캐스케이드 양조장에서는 태즈메이니아데빌이 그려진 진저 비어를 판매한다.[147] 2015년에는 태즈메이니아의 주 상징으로 선정되었다.[148]
태즈메이니아데빌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으며, 멸종 가능성은 호주와 태즈메이니아 관광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149] 론체스턴에는 거대한 태즈메이니아데빌 조형물을 건설하려는 계획도 있었다.[150]
루니 툰의 캐릭터 태즈는 태즈메이니아데빌을 모티브로 만들어졌지만, 실제 동물과는 거의 공통점이 없다.[152] 1990년대에는 ''태즈-매니아''라는 TV 쇼를 통해 다시 인기를 얻었다.[153] 1997년, 워너 브라더스는 "태즈메이니아 데블"이라는 이름을 등록하려 했으나, 태즈메이니아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이미지를 마케팅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연간 수수료를 지불하기로 합의했다.[154][155] 2006년에는 워너 브라더스가 태즈메이니아데빌 질병(DFTD) 연구를 위한 봉제 인형 판매를 허용했다.[156]
7. 3. 마리아 섬 이주 계획과 생태계 영향
2012년, 태즈메이니아데빌의 멸종을 위협하는 요인이었던 얼굴 암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몇 마리의 태즈메이니아데빌이 마리아 섬으로 이주되었다.[192] 그러나, 현지 자연 보호 단체인 "버드라이프 태즈메이니아"에 따르면, 태즈메이니아데빌의 이동으로 인해 2012년에 3,000쌍이 있던 펭귄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192] 또한 학술지 "Biological Conservation"의 2020년 논문은 태즈메이니아데빌이 바닷새의 번식지를 멸종시켰다고 지적하고 있다.[192]참조
[1]
간행물
"''Sarcophilus harrisii''"
2008
[2]
서적
Le Jardin des plantes: Description et mœurs des mammifères de la Ménagerie et du Muséum d'histoire naturelle
Gustave Barba
null
[3]
문서
Owen and Pemberton, p. 79.
[4]
문서
MSW3 Dasyuromorphia
[5]
서적
Three Expeditions into the Interior, Volume II
http://gutenberg.net[...]
T. & W. Boone
[6]
간행물
Growth gradients among fossil monotremes and marsupials {{!}} The Palaeontological Association
http://www.palass.or[...]
1963
[7]
문서
Owen and Pemberton, p. 8.
[8]
문서
Owen and Pemberton, p. 7.
[9]
문서
Owen and Pemberton, p. 34.
[10]
서적
Predators with Pouches: The Biology of Carnivorous Marsupials
CSIRO Publishing
[11]
서적
Prehistoric Mammals of Australia and New Guinea: One Hundred Million Years of 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Press
[12]
문서
Owen and Pemberton, p. 35.
[13]
문서
Owen and Pemberton, p. 36.
[14]
문서
Owen and Pemberton, p. 37.
[15]
문서
Owen and Pemberton, p. 38.
[16]
문서
Owen and Pemberton, p. 39.
[17]
문서
Owen and Pemberton, pp. 40–42.
[18]
뉴스
Completed genome is first step to tackling Tasmanian devil facial tumours
http://www.sanger.ac[...]
Wellcome Trust Sanger Institute
2010-09-16
[19]
문서
Tyndale-Biscoe, p. 143.
[20]
웹사이트
"''Sarcophilus harrisii'' – Tasmanian Devil"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2010-09-30
[21]
웹사이트
Draft Recovery Plan for the Tasmanian devil (''Sarcophilus harrisii'')
http://dpipwe.tas.go[...]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2015-09-03
[22]
간행물
Rapid evolutionary response to a transmissible cancer in Tasmanian devils
2016-08-30
[23]
문서
Owen and Pemberton, pp. 46–47.
[24]
서적
The Australian Museum Complete Book of Australian Mammals
Angus & Robertson
[25]
문서
Owen and Pemberton, p. 118.
[26]
문서
Owen and Pemberton, p. 52.
[27]
문서
Owen and Pemberton, p. 140.
[28]
뉴스
Last Tasmanian devil not in Australia dies
http://www.upi.com/O[...]
2004-05-19
[29]
웹사이트
Tasmanian devil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s://nre.tas.gov.[...]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Tasmania
2022-06-28
[30]
문서
Owen and Pemberton, p. 46.
[31]
문서
Guiler (1970), p. 64.
[32]
웹사이트
The Bite Club: comparative bite force in biting mammals
http://sydney.edu.au[...]
The University of Sydney
2005-04-04
[33]
문서
Owen and Pemberton, p. 20.
[34]
문서
Tasmanian devil (marsupial)
http://www.britannic[...]
2010-03-16
[35]
문서
Tyndale-Biscoe, pp. 142–143.
[36]
서적
Owen and Pemberton
[37]
서적
Owen and Pemberton
[38]
서적
Owen and Pemberton
[39]
논문
High-quality fossil dates support a synchronous, Late Holocene extinction of devils and thylacines in mainland Australia
2018-01
[40]
웹사이트
The Tasmanian Devil – Biology, Facial Tumour Disease and Conservation
https://stors.tas.go[...]
[41]
뉴스
Bringing devils back to the mainland could help wildlife conservation
https://theconversat[...]
2015-08-24
[42]
뉴스
Release of captive bred Tasmanian devils hailed as turning point in fight against disease
http://www.abc.net.a[...]
2015-09-26
[43]
뉴스
Two of 20 immunised Tasmanian devils released into wild killed on road days after release
http://www.abc.net.a[...]
2015-09-30
[44]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return to mainland Australia for first time in 3,000 years
https://web.archive.[...]
2020-10-05
[45]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give birth in semi-wild sanctuary on the mainland
https://www.abc.ne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21-05-27
[46]
뉴스
Hello ... or Goodbye
https://web.archive.[...]
2010-09
[47]
뉴스
Young devil displays gnarly climbing technique
https://web.archive.[...]
2011-05-03
[48]
웹사이트
Tasmanian Devil Facts for Kids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2014-09-01
[49]
서적
Owen and Pemberton
[50]
뉴스
Social Networking Study Reveals Threat To Tasmanian Devils
https://www.scienced[...]
2009-08-19
[51]
웹사이트
Tasmanian Devil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2014-11-13
[52]
서적
Owen and Pemberton
[53]
웹사이트
Advice to the Minister for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from the Threatened Species Scientific Committee (the Committee) on Amendments to the list of Threatened Species under the Environment Prote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ct 1999 (EPBC Act)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54]
서적
Owen and Pemberton
[55]
서적
Tyndale-Biscoe
[56]
서적
Tyndale-Biscoe
[57]
서적
Tyndale-Biscoe
[58]
서적
Tyndale-Biscoe
[59]
서적
Tyndale-Biscoe
[60]
웹사이트
Sarcophilus harrisii (Tasmanian devil)
https://animaldivers[...]
[61]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on tiny Australian island wipe out thousands of penguins
https://www.9news.co[...]
2021-06-22
[62]
서적
Owen and Pemberton
[63]
서적
Owen and Pemberton
[64]
서적
Owen and Pemberton
[65]
서적
Owen and Pemberton
[66]
서적
Owen and Pemberton
[67]
서적
Owen and Pemberton
[68]
서적
Owen and Pemberton
[69]
서적
Owen and Pemberton
[70]
웹사이트
Devils at dinner
https://web.archive.[...]
Save the Tasmanian Devil
2010-12-10
[71]
서적
Guiler (1992), pp. 8–10.
[72]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71–73.
[73]
서적
Tyndale-Biscoe, p. 147.
[74]
서적
Owen and Pemberton, p. 25.
[75]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43–47.
[76]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60–62.
[77]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56–58.
[78]
웹사이트
Mammals evolved at a steady pace
http://planetearth.n[...]
2011-10-26
[79]
서적
Tyndale-Biscoe, p. 152.
[80]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64–66.
[81]
서적
Owen and Pemberton, p. 66.
[82]
뉴스
Save The Tasmanian Devil Newsletter
https://web.archive.[...]
2010-03
[83]
웹사이트
Life Cycle of the Tasmanian Devil
https://web.archive.[...]
Save The Tasmanian Devil Program
[84]
서적
Owen and Pemberton, p. 69.
[85]
서적
Guiler (1992), pp. 16–22.
[86]
간행물
Causes of extinction of vertebrates during the Holocene of mainland Australia: arrival of the dingo, or human impact?
https://journals.sag[...]
2016-07-27
[87]
간행물
An ecological regime shift resulting from disrupted predator–prey interactions in Holocene Australia
https://esajournals.[...]
2014
[88]
서적
Owen and Pemberton, p. 40.
[89]
서적
Owen and Pemberton, p. 43.
[90]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75–76.
[91]
서적
Owen and Pemberton, p. 171.
[92]
뉴스
Cancer agents found in Tasmanian devils
https://web.archive.[...]
News Limited
2008-01-22
[93]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Devil coast
https://web.archive.[...]
2008-10
[94]
웹사이트
EPBC Policy Statement 3.6 – Tasmanian Devil (Sarcophilus harrisii)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2006-07
[95]
웹사이트
Advice to the Minister for the Environment, Heritage and the Arts from the Threatened Species Scientific Committee (the Committee) on Amendment to the list of Threatened Species under the Environment Protection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Act 1999 (EPBC Act) Sarcophilus harrisii (Tasmanian Devil) Listing Advice
http://www.environme[...]
Threatened Species Scientific Committee
[96]
서적
Transactions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97]
서적
Owen and Pemberton, p. 9.
[98]
서적
Owen and Pemberton, p. 19.
[99]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9, 26–27.
[100]
웹사이트
Tasmanian Devil, Sarcophilus harrisii
https://web.archive.[...]
Parks & Wildlife Service Tasmania
[101]
서적
Paddle, p. 195.
[102]
서적
Owen and Pemberton, p. 99.
[103]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01–109.
[104]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18–119.
[105]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20–121.
[106]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27–129.
[107]
웹사이트
Roadkill Project
https://web.archive.[...]
Save the Tasmanian Devil
2015-12-10
[108]
웹사이트
Devil deaths spark renewed plea for drivers to slow down
https://web.archive.[...]
Save the Tasmanian Devil
2015-10-05
[109]
웹사이트
Drivers pose 'significant' threat to endangered Tasmanian devil
http://www.sbs.com.a[...]
2016-05-14
[110]
웹사이트
'Virtual fence' shows promise in reducing road toll of Tasmanian devils
http://www.abc.net.a[...]
2015-12-09
[111]
웹사이트
Devil Facial Tumour Disease Update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2005-06-01
[112]
웹사이트
Tasmanian Devil Facial Tumour Disease (DFTD) Disease Management Strategy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2005-02-01
[113]
웹사이트
Devil Facial Tumour Disease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Parks, Water and Environment
[114]
뉴스
Wildlife: Devils in danger
2006-11
[115]
간행물
Transmission of a fatal clonal tumor by biting occurs due to depleted MHC diversity in a threatened carnivorous marsupial
2007-10-09
[116]
간행물
Infection of the fittest: devil facial tumour disease has greatest effect on individuals with highest reproductive output
https://cronfa.swan.[...]
2017
[117]
간행물
Regression of devil facial tumour disease following immunotherapy in immunised Tasmanian devils
2017-03
[118]
논문
Gooley RM, Hogg CJ, Fox S, Pemberton D, Belov K, Grueber CE. Inbreeding depression in one of the last DFTD-free wild populations of Tasmanian devils. PeerJ. 2020 Jun 16;8:e9220. doi: 10.7717/peerj.9220. PMID: 32587794; PMCID: PMC7304431
[119]
서적
Owen and Pemberton, p. 42.
[120]
서적
Owen and Pemberton, p. 41.
[121]
서적
Owen and Pemberton, p. 3.
[122]
웹사이트
Taraba : Tasmanian Aboriginal Stories
https://www.ncacl.or[...]
2020-10-07
[123]
웹사이트
Native animals should be rechristened with their Aboriginal names
https://www.australi[...]
2017-08-15
[124]
서적
Owen and Pemberton, p. 10.
[125]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5–18.
[126]
서적
Owen and Pemberton, p. 113.
[127]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93–97.
[128]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99–101.
[129]
서적
Owen and Pemberton, p. 4.
[130]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84–93.
[131]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67–69.
[132]
서적
Owen and Pemberton, p. 132.
[133]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01–2.
[134]
뉴스
Mary's little devils
http://www.smh.com.a[...]
2006-04-11
[135]
웹사이트
Ambassador Devils for Overseas Zoos
https://web.archive.[...]
Save the Tasmanian Devil
2014-11-30
[136]
웹사이트
First overseas zoos selected for ambassador devils
https://web.archive.[...]
Save the Tasmanian Devil
2014-11-30
[137]
웹사이트
Auckland Zoo helps raise awareness of Tasmanian devils
https://web.archive.[...]
Save the Tasmanian Devil
2014-11-30
[138]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Returning to Zoo
https://web.archive.[...]
Fort Wayne Children's Zoo
2015-01-27
[139]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are Back at the L.A. Zoo After 20 Years!
https://web.archive.[...]
Los Angeles Zoo and Botanical Gardens
2015-12-14
[140]
웹사이트
New to the St. Louis Zoo: Tasmanian devils
http://www.stltoday.[...]
St. Louis Post-Dispatch
2016-04-20
[141]
웹사이트
Toledo Zoo joins effort to save Tasmanian devils
http://www.toledobla[...]
2015-09-06
[142]
서적
Owen and Pemberton, p. 133.
[143]
뉴스
Welcome
http://www.tassiedev[...]
2008-06
[144]
웹사이트
Most Valuable Player
http://www.nbl.com.a[...]
National Basketball League
[145]
웹사이트
2009 Celebrate Australia $1 coin – Tasmania
http://www.perthmint[...]
The Perth Mint
[146]
웹사이트
2010 $5 Gold Proof Tinga Tasmanian Devil
http://mintissue.ram[...]
Royal Australian Mint
[147]
웹사이트
Cascade Ginger Beer
http://www.fostersgr[...]
Foster's Group
[148]
뉴스
Tasmania backs the devil as the state emblem despite endangered status
http://www.abc.net.a[...]
2015-05-31
[149]
웹사이트
World tourism can help save the Tasmanian Devil, park director tells international conference
http://www.tasmanian[...]
Tasmanian Devil Conservation Park
2008-06-05
[150]
뉴스
Giant Tassie Devil tourist attraction in danger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6-02-03
[151]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22–124.
[152]
서적
Owen and Pemberton, p. 12.
[153]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56–160.
[154]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61–164.
[155]
서적
Owen and Pemberton, pp. 167, 169.
[156]
뉴스
Warner Bros to help save Tassie devils
http://www.smh.com.a[...]
2006-06-20
[157]
간행물
"Sarcophilus harrisii"
2008
[158]
논문
"Sarcophilus harrisii" (Dasyuromorphia: Dasyurida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17
[159]
서적
どこか愛嬌のある"悪魔" タスマニアデビル
朝日新聞社
1992
[160]
웹사이트
どうぶつ奇想天外!(母親の背中に揺られる子デビルのムービーあり)
https://www.tbs.co.j[...]
[161]
논문
To lose both would look like carelessness: Tasmanian devil facial tumour disease
[162]
논문
The pathology of devil facial tumor disease (DFTD) in Tasmanian Devils (Sarcophilus harrisii)
[163]
논문
Time to raise the devil
[164]
서적
Tasmanian Devil: A unique and threatened animal
Allen & Unwin
2005
[165]
웹사이트
タスマニアデビルにとっての悪魔の正体
http://www.sciencema[...]
2010-01-01
[166]
웹사이트
Science Magazine Podcast, 1 January 2010
http://www.sciencema[...]
サイエンス
2010-01-01
[167]
논문
The Tasmanian Devil Transcriptome Reveals Schwann Cell Origins of a Clonally Transmissible Cancer
http://www.sciencema[...]
[168]
논문
Allograft theory: Transmission of devil facial-tumour disease
[169]
논문
Review of canine transmissible venereal sarcoma
[170]
뉴스
Tasmanian devil epidemic: cause isolated?
http://www.cosmosmag[...]
2007-06-27
[171]
논문
A Devil of a Disease
[172]
웹사이트
デビル顔面腫瘍性疾患ニュースレター(2006年12月)
http://www.dpiw.tas.[...]
[173]
논문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asmanian devils, the largest marsupial carnivore
[174]
간행물
Description of two species of Didelphis for Van Diemen's Land
1807
[175]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thylacine (Mammalia:Thylacinidae) among dasyuroid marsupials: evidence from cytochrome ''b'' DNA sequences
1992
[176]
웹사이트
Tasmanian Devils - FAQs
http://www.dpiw.tas.[...]
タスマニア州政府農水省(DPIW:th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
[177]
웹사이트
About Tasmanian Devils
http://www.dpiw.tas.[...]
タスマニア州政府農水省(DPIW:th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
[178]
논문
Bite club: comparative bite force in big biting mammals and the prediction of predatory behaviour in fossil taxa
2005
[179]
뉴스
Dangerous Encounters: Monster Bite
http://www.nationalg[...]
National Geographic Channel Aus/NZ Premiere
2007-06-11
[180]
문서
A native apex predator limits an invasive mesopredator and protects native prey: Tasmanian devils protecting bandicoots from cats(Calum X. Cunningham:2020)
[181]
기타
The Devil's Playground
Natural History New Zealand
2000
[182]
문서
'The Keeping and Breeding of Tasmanian Devils (sarcophilus harrisii)'
1915
[183]
웹사이트
http://www.abc.net.a[...]
[184]
웹사이트
デビル顔面腫瘍性疾患ニュースレター(2007年12月)
http://www.tassiedev[...]
[185]
SPRAT
299
[186]
웹사이트
Intended Changes to Threatened Species Schedules
http://www.dpiw.tas.[...]
タスマニア州政府農水省(DPIW:the Department of Primary Industries and Water)
[187]
뉴스
Extinction warning for Tassie devils
http://www.theage.co[...]
[188]
웹사이트
Insurance Population Strategy
http://www.tassiedev[...]
[189]
뉴스
Tasmanian devil to get endangered species listing
http://afp.google.co[...]
[190]
뉴스
オーストラリアのタスマニアデビル、絶滅危惧種に指定
http://jp.reuters.co[...]
[191]
웹사이트
第2回タスマニアデビル保護支援金の贈呈について
http://www.mv-tokai.[...]
[192]
뉴스
タスマニアデビルを移住させ、島内のペンギン全滅 豪自然保護団体が指摘
https://www.bbc.com/[...]
BBC
2021-06-22
[193]
저널
Sarcophilus harrisii
http://www.iucnredli[...]
IUCN
2016-08-27
[194]
뉴스
'[수요동물원\ ‘3000년만에 부활한 악마’에 호주가 열광하다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