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에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에니어는 페니키아어에서 파생된 언어로, 기원전 9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카르타고를 중심으로 서부 지중해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카르타고 멸망 이후에는 네오-푸니크어 형태로 변화하여 로마 제국 시대에도 사용되었으며, 라틴 문자로 기록된 형태도 존재했다. 푸니어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사람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로 알려져 있으며, 5세기까지 북아프리카에서 사용되었다. 푸니크어는 2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문법적으로는 명사의 성, 수, 격 변화가 존재하고, 동사는 어근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플라우투스의 희극 《포에눌루스》에 푸니어가 등장하며, 몰타어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도 있었으나, 현대 언어학에서는 아랍어에서 기원한 것으로 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니키아어 - 페니키아 문자
페니키아 문자는 기원전 11세기 중반경 가나안 지역에서 발생한 22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음소 문자로, 지중해 전역에 퍼져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기여하고 정보 접근의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현대 문자 체계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 페니키아어 - 셈어파
셈어파는 아랍어, 히브리어 등을 포함하는 어족으로, 노아의 아들 셈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자음 체계와 어근 활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아프리카의 사어 - 반달어
반달어는 동게르만어에 속하며, 과거 반달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언어학적 증거는 부족하지만 고트어 방언이었다는 설 등이 존재하며, 현재는 단편적인 구절을 통해서만 흔적을 엿볼 수 있다. - 아프리카의 사어 - 관체어
관체어는 카나리아 제도의 원주민인 관체족이 사용했던 사멸한 언어로, 베르베르어와의 연관성이 제기되지만 명확히 확정되지는 않았으며, 14세기 초 10진법 숫자 체계와 실보 고메로어 형태가 확인되고 리비코-베르베르 문자와 푸니 문자의 흔적이 남아있다.
포에니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포에니어 |
다른 이름 | 페니키아-포에니어 카르타고어 |
사용 지역 | 튀니지 알제리 해안 지역 모로코 이베리아 남부 발레아레스 제도 리비아 몰타 시칠리아 서부 사르데냐 남부 및 동부 |
소멸 시기 | 서기 6세기 |
문자 | 페니키아 문자 |
언어 분류 | |
어족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
어파 | 셈어파 |
어군 | 서셈어군 |
세부 분류 | 중앙 셈어 북서 셈어 가나안어 페니키아어 |
조상 언어 | 페니키아어 |
언어 코드 | |
ISO 639-3 | xpu |
Linguist List | xpu |
Glottolog | puni1241 (포에니어) neop1239 (신포에니어) |
2. 역사
플라우투스의 희극 《포에눌루스》 5막은 하노가 자신의 모국어인 푸니어를 사용하며 첫 열 줄을 말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이후 동일한 구절의 다른 버전이 이어진다. 찰스 크라말코프는 처음 열 줄은 신 푸니, 다음 열 줄은 푸니라고 주장한다.[39][40]
크라말코프는 라틴어로 그리스 희극을 자주 번역했던 플라우투스가 이 경우에도 그리스 원작(《카르케도니오스》, ‘카르타고인’, 아테네 희극 시인 알렉시스의 희곡)을 재작업했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했다. 이 경우, 그리스 희극의 푸니 번역본도 존재했을 것이며, 플라우투스는 이 푸니 버전의 일부를 가져와 카르타고인 등장인물의 진솔한 대사를 부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푸니어를 이해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이해하지 못하는 번역가들을 등장시켜 우스꽝스러운 효과를 내는 말장난을 연출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41]
2. 1. 초기 역사 (기원전 9세기 ~ 기원전 2세기)
푸니크어는 카르타고가 마고 1세 치하에서 주요 페니키아 도시가 되면서 페니키아어로부터 점차 분리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방언을 구분하려는 학문적 시도는 정확성이 부족하며 일반적으로 분류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7]푸니인들은 기원전 146년 카르타고의 멸망까지 페니키아 본토와 연락을 유지했다. 처음에는 페니키아어와 푸니크어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기원전 146년 이전의 언어 발전은 카르타고 서기들이 전통적인 페니키아어 정서법을 고수하여 우리에게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기원전 6세기 이후 푸니크어의 음운론과 문법이 페니키아어와 달라지기 시작했다는 암시가 가끔 나타난다. 기원전 5세기부터 서부 지중해 전역의 푸니크 비문에서 공통된 일련의 알파벳, 정서법, 음운 규칙이 발견되는데, 이는 카르타고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푸니크 문학 작품은 기원전 146년 이전에 쓰였다. 예를 들어, 마고는 축산에 관한 28권의 책을 썼다. 로마 원로원은 이 작품을 매우 높이 평가하여 카르타고를 점령한 후 그곳에 서고를 소유한 베르베르 군주들에게 그 작품을 전달했다. 마고의 작품은 우티카 출신의 카시우스 디오니시우스에 의해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 라틴어 버전은 아마도 그리스어 버전에서 번역되었을 것이다. 푸니크 문학 작품의 추가적인 예로는 항해사 하노의 작품이 있는데, 그는 오늘날 아프리카 주변의 해상 여행 중 만남과 이베리아, 북아프리카, 지중해에 새로운 식민지 건설에 대해 썼다.[8]
2. 2. 네오-푸니크어 (기원전 2세기 ~ 기원후 5세기)
카르타고가 멸망하고 로마 제국이 옛 푸니 영토를 정복한 이후, 기원전 146년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사용된 푸니 방언을 네오-푸니크어라고 부른다. 네오-푸니크어는 이전의 푸니어와 비교하여 철자가 다르고, 주로 리비코-베르베르어 또는 이베리아어 기원의 비(非)셈어파 이름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9] 이러한 차이는 푸니어가 북부 베르베르족 사이에서 퍼지면서 겪은 방언 변화 때문이었다.[9]살루스트 (기원전 86년 – 34년)는 푸니어가 "누미디아인과의 통혼으로 변형되었다"고 주장했다.[10] 이는 푸니어에 북아프리카 베르베르족의 영향력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다른 증거와도 일치한다. 예를 들어 에우세비우스의 ''Onomasticon''에는 리비코-베르베르족 이름이 등장한다. 네오-푸니크어는 주로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으며, 서기 92년에 작성된 ''Lepcis Magna N 19'' (=''KAI'' 124)가 대표적이다.

서기 4세기경, 푸니크어는 현재의 북부 튀니지와 알제리, 서북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 그리고 지중해에서 여전히 사용되었다. ''라티노-푸니''라고 알려진 푸니크어의 한 형태는 라틴 문자로 기록되었으며, 70개의 텍스트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텍스트에는 1세기의 ''Zliten LP1''과 2세기의 ''Lepcis Magna LP1''이 포함된다. 심지어 4세기 후반의 ''Bir ed-Dreder LP2''까지도 기록되었다.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 (430년 사망)는 푸니크어에 대한 지식을 가진 마지막 주요 고대 작가로 여겨지며, "늦은 푸니크어의 생존에 대한 주요 자료"로 간주된다.[9] 그는 카르타고가 멸망한 지 수 세기가 지난 5세기에도 그의 지역 (북아프리카)에서 푸니크어가 여전히 사용되었으며, 그 당시에도 자신들을 "카나니" ("가나안인")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었다고 기록했다.[9]
아우구스티누스 외에, 이렇게 늦은 시기에 푸니크어를 사용하는 공동체가 존재했다는 유일한 증거는 리비아 시르테의 기독교 지하묘지에서 발견된 일련의 삼중 언어 장례 텍스트이다. 이 묘비에는 고대 그리스어, 라틴어 및 푸니크어가 새겨져 있다.
푸니크어는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 이후에도 생존했을 가능성이 있다. 지리학자 알-바크리는 시르테에서 베르베르어, 라틴어 또는 콥트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묘사했다.[12] 여기서 구어 푸니크어는 문자 사용을 훨씬 넘어 생존했다.[13] 그러나 푸니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정복자들의 언어와 같은 셈어파에 속했기 때문에 아랍화가 촉진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셈어파 언어들은 문법 및 어휘 면에서 많은 유사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9]
3. 음운
푸니어는 비문(대부분 종교적 형식)과 개인 이름 증거를 통해 알려져 있다. 플라우투스의 희극 ''포에눌루스''에는 몇 줄의 통속적인 푸니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비문과 달리 모음을 대부분 보존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다.[17]
후기 푸니 문자 및 후기 페니키아 문자에서는 b와 p가 마찰음화되어 각각 v와 f가 되는 현상이 기원전 3세기에 나타났다. 신(Shin)의 발음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ʃ/로, 다른 학자들은 /s/로 발음했다고 주장한다.[21][22]
푸니 문자 및 신 푸니 문자의 모음은 단모음 ''a'', ''i'', ''u'', 장모음 ''ā'', ''ī'', ''ū'', 그리고 이중 모음 ''ay''와 ''aw''에서 파생된 ''ē''와 ''ō''가 있다. (예: 푸니 문자의 ''mēm'', '물'은 히브리어의 ''mayim''에 해당).
주목할 만한 모음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강세를 받는 장모음 ''ā''는 /''o''/로 변했다. (예: 동사의 접미사 활용 중 3인칭 남성 단수 형태인 ''baròk'', '그는 축복했다' (히브리어 ''baràk'' 비교))
2. 일부 경우에서 /''o''/는 이차적으로 ''ū''로 변했다. (예: ''mū'', '무엇?' < ''mō'' < ''mā'' (히브리어 ''māh'', '무엇?' 비교))
후기 푸니 및 신 푸니 문자의 성문 파열음과 인두음 및 후두음은 더 이상 발음되지 않았다. 따라서 ‘, h, ḥ'는 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아인(ʿ)은 /''a''/ 소리를 나타내는 데 정기적으로 사용되었으며, ''y''와 ''w''는 각각 /''i''/와 /''o, u''/를 나타내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모음을 표기하는 일관된 시스템은 결코 발전하지 못했다.[23]
3. 1. 닿소리 (자음)
푸니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와 마찬가지로 22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수평선 형태였다.[18][19] 이 자음들의 발음은 라틴 문자나 그리스 문자로 쓰인 푸니 및 신 푸니 텍스트(비문, 플라우투스의 희극 ''Poenulus'', '리틀 푸니')에서 재구성할 수 있다.[20]rowspan="2" | | 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연구개음 | 구개수음/인두음 | 성문음 | |||||||
---|---|---|---|---|---|---|---|---|---|---|---|---|
평음 | 인두음화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4" | | colspan="2" | | colspan="2" | | |||||||
파열음 | ~ /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 | colspan="2" | | colspan="2" | | /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표기 | 이름 | 음역 | 발음 | 비고 | ||
---|---|---|---|---|---|---|
신 푸니 문자 | 페니키아 문자 | |||||
![]() | ʾalp | ʾ | 때때로 모음을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
![]() | Bēt | b v | 후기 푸니 문자 및 후기 페니키아 문자에서 b ()는 기원전 3세기에 마찰화되어 v ()가 되었다. | |||
![]() | Gaml | g | 라틴어 음역의 일부 단어는 단어 끝에서 와 같은 파열음화를 보여주며, 이는 일반적인 "gh" 대신 "ẖ"로 표시된다. | |||
![]() | Dalt | d | ||||
![]() | Hē | h | 로마의 영향으로 종종 생략되었지만, 특정 카르타고 단어에서는 여전히 발음되었다. | |||
![]() | Waw | w | 때때로 "u" 모음을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
![]() | Zēn | z | 하스드루발의 "ʿazrubaʿl", heze|일부 푸니 방언에서 사용되는 "이것"xpu의 "esde"와 같이 "sd"로 증명된 몇몇 이름에서, 대부분의 텍스트는 단순한 "s"를 보여준다: zut|후기 푸니 문자에서 "이것"xpu의 "syt" | |||
![]() | Ḥēt | ḥ | 때때로 "a, e, i, o, u"에 대한 모음으로 사용되었으며, Het의 소리는 약화되었고, 일반적으로 그것으로 쓰여진 단어는 후기 푸니 비문에서 종종 Alf 문자로 쓰였다. | |||
![]() | Ṭēt | ṭ | ||||
![]() | Yod | y | 때때로 "i" 모음을 표시하는 데에도 사용되지만, 주로 외래어 이름에 사용된다. | |||
![]() | Kap | k | 라틴어 음역의 일부 단어는 단어 끝에서 와 같은 파열음화를 보여주며, 이는 일반적인 "ch" 대신 "h"로 표시된다. | |||
![]() | Lamd | l | ||||
![]() | Mēm | m | ||||
![]() | Nūn | n | ||||
![]() | Semk | s | ||||
![]() | ʿēn | ʿ | 후기 푸니 문자에서 주로 외래 라틴어 이름에 "a"와 "o" 모음에 자주 사용되었다. | |||
![]() | Pi | p f | 후기 푸니 문자 및 후기 페니키아 문자에서 p ()는 기원전 3세기에 마찰화되어 f ()가 되었다. (대응하는 아랍어 ف 에 일어난 마찰화와 유사). | |||
![]() | Tsadē | ṣ |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 그리고 히타이트어, 리디아어, 에트루리아어 텍스트에서 주로 "ts"로 증명되었다. 일부 라틴어 텍스트에서는 "st"로 증명되었다. | |||
![]() | Qop | q | ||||
![]() | Rūš | r | ||||
![]() | Shin | š | 또는 /s/ | 발음은 논쟁의 대상이다. 일부[21]는 /ʃ/라고 생각하고, 다른[22]는 /s/라고 생각한다. | ||
![]() | 타브 | t |
후기 푸니 문자 및 후기 페니키아 문자에서는 b와 p가 마찰음화되어 각각 v와 f가 되는 현상이 기원전 3세기에 나타났다. 또한, 신(Shin)의 발음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ʃ/로, 다른 학자들은 /s/로 발음했다고 주장한다.[21][22]
3. 2. 홀소리 (모음)
푸니 문자 및 신 푸니 문자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23]- 단모음: ''a'', ''i'', ''u''
- 장모음: ''ā'', ''ī'', ''ū''
- 이중 모음: ''ay''와 ''aw''에서 파생된 ''ē''와 ''ō'' (예: 푸니 문자의 ''mēm'', '물'은 히브리어의 ''mayim''에 해당).
두 가지 모음 변화가 주목할 만하다.
1. 많은 경우 강세를 받는 장모음 ''ā''는 /''o''/로 변했는데, 예를 들어 동사의 접미사 활용 중 3인칭 남성 단수 형태인 ''baròk'', '그는 축복했다' (히브리어 ''baràk'' 비교)에서 볼 수 있다.
2. 일부 경우에서 /''o''/는 이차적으로 ''ū''로 변했는데, 예를 들어 ''mū'', '무엇?' < ''mō'' < ''mā'' (히브리어 ''māh'', '무엇?' 비교)가 있다.
후기 푸니 및 신 푸니 문자의 성문 파열음과 인두음 및 후두음은 더 이상 발음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호 ‘, h, ḥ'는 모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아인(ʿ)은 /''a''/ 소리를 나타내는 데 정기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y''와 ''w''는 각각 /''i''/와 /''o, u''/를 나타내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모음을 표기하는 일관된 시스템은 결코 발전하지 못했다.[23]
4. 문법
이 섹션 "문법"에서[24] '''''XX''''' (xxxx)'' 표기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XX'''''는 푸니 문자(모음 제외)로 표기된 철자이며, ''xxxx''는 라틴 문자나 그리스 문자로 쓰인 푸니 언어 텍스트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발음을 포함한 음성 표기이다.
푸니크어 문법은 이름씨(명사), 대명사, 동사, 수사, 입자 등으로 구성된다.
'''이름씨(명사)'''는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성,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수, 그리고 절대격과 구성격의 두 가지 격을 갖는다.
'''대명사'''에는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 관계 대명사, 한정 대명사, 의문 대명사, 부정 대명사 등 다양한 종류가 있었다.
'''동사'''는 3개 또는 2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어근"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수사'''에는 1부터 10까지, 그리고 10의 배수, 100, 1000, 10000 등을 나타내는 단어가 있었다.
'''입자'''에는 명사가 문장의 목적어(주로 직접 목적어)임을 나타내는 목적격 입자 '''''’YT''' (’et)'' (드물게 '''''’T'''; 일반적으로 정관사 또는 지시 대명사가 있는 명사 앞에 '''''T-''' '')가 있다.[37]
4. 1. 이름씨 (명사)
푸니 및 신(新)푸니 어의 이름씨(명사 및 형용사 포함)는 남성과 여성의 두 가지 성,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수, 그리고 절대격과 구성격의 두 가지 격을 갖는다.[24] 구성격은 뒤따르는 단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종종 "의"로 번역된다. 예를 들어, "한노의 아들들"이라는 조합에서 "의 아들들"은 구성격이 되고, "한노"는 절대격이 된다.'''형태론'''
남성 | (예시) | 여성 | (예시) | |||
---|---|---|---|---|---|---|
단수 | 절대격 | -Ø | BN (bin), '아들' | -T, -’T (-ot, -ut, -īt) | BT (bit), '딸' | |
구성격 | BN (bin), '…의 아들' | BT, B‘T (bit), '…의 딸' | ||||
쌍수 | 절대격 | -M (-ēm) | -M (-ēm) | [YD, 손:] YDM (yadēm), '두 손' | ||
구성격 | -Ø (-ē) | -Ø (-ē) | [‘YN, ‘N, 눈:] ‘N (‘ēnē), '[두] 눈' | |||
복수 | 절대격 | -M, -’M, -YM (-īm, -ēm) | BNM (banīm), '아들들' | -T, -’T (-ūt) | BNT (banūt), '딸들' | |
구성격 | -Ø (-ē) | BN’ (benē), '…의 아들들' | BNT (banūt), '…의 딸들' |
4. 2. 대명사
푸니크어에는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 관계 대명사, 한정 대명사, 의문 대명사, 부정 대명사 등 다양한 종류의 대명사가 있었다.[24]- 지시 대명사: 'this', 'these' 등을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인칭 대명사: '나', '너', '그', '그녀', '우리', '그들' 등을 나타내며, 독립형과 접미사형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관계 대명사: 주로 '''Š ('''’īs''')'''가 사용되었으며, 후기에는 ''' ''M’'' ''' (''mū'')도 사용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한정 대명사: 간접 소유 관계를 나타내는 '''Š- ('''si-''')'''가 '~의'로 번역된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의문 대명사: '누구'를 뜻하는 '''MY''' (미)''와 '무엇'을 뜻하는 '''M’''' (무)''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 부정 대명사: 특정한 부정 대명사는 없었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를 뜻하는 '''’ḤD''' (’ḥḥad), '어떤' 또는 '어떤 사람'을 뜻하는 '''’Š''' (’īs) 또는 '''’DM''' (’adom), '사람', 혹은 '모든'을 뜻하는 '''KL''' (kil)과 같은 단어들로 대체했다.[33]
4. 2. 1. 지시 대명사
'this', 'these'에 해당하는 푸니크어 지시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25]남성 | 여성 | ||
---|---|---|---|
단수 | Z, ’Z (ezdē) | Z (ezdō) | (포에니) |
S (si) ST (sit) | Š’ (sō, sū) ST (sōt) | (신(新)-포에니) | |
복수 | ’L, ’L’ (’llē) | (포에니 및 신(新)-포에니) |
히브리어 ''zèh''(남성), ''zōt''(여성), ''’ēllèh''(복수)와 비교할 수 있다.
4. 2. 2. 인칭 대명사
푸니크어의 인칭 대명사는 독립형과 접미사형으로 나뉜다. 독립형은 주어로 사용될 때 쓰이며, 접미사형은 직접 목적어('~를'), 간접 목적어('~에게') 또는 소유격('~의')으로 사용될 때 동사, 명사, 전치사에 붙여 쓴다.[27]단수 | (히브리어 참조) | 복수 | (히브리어 참조) | |||
---|---|---|---|---|---|---|
1인칭 | ’NK, ’NKY (’anīki, ’anīk) | ’ānokí | [(’)NḤN' ((’a)náḥnu) ] | ’anáḥnū | ||
2인칭 | ’T (’átta) | [’T' (’atti) ] | ’attā(h); ’at | ’TM (’attím) | ? | ’attèm; ’attēn |
3인칭 | H’ (hū, ū) | H’, HY (hī)'' | hū; hī | HMT (hēmat?) | hēmmā(h); hēnnā(h) |
colspan="2" | | 단수 | (히브리어 참조) | 복수 | (히브리어 참조) | |||
---|---|---|---|---|---|---|---|
1인칭 | (소유격) | -Y (-ī) | -ī | -N (-en, -on) | -nû | ||
(목적격) | -NY (-ni) | -ni | |||||
2인칭 | -K, -K’ (-ka) | -KY, -K (-kī) | -ka; -k | -KM (-kom) | ? | -kem | |
3인칭 | -’, -‘, -‘’ (-o); -Ø, -Y, -Y’ (-yo) | -’, -‘, -‘’ (-a); -Y‘ (-ya)'' | -o; -āh | -M (-om);'' | -M (-am) | -ām, -ēm; -ān | |
-Ø, -Y, -’, -’Y (-i) [< -ih(u)''] | -Y (-i)'' | -hu; -hā | -NM, -N’M, -NHM (-nom)'' | ||||
-M (-im) | align="center" | | — |
- '''ḤN''' (ḥan): '그가 호의를 베풀었다' → '''ḤN’''' (ḥannō): '그에게 호의를 베풀었다(-ō)' = 고유명사 한노[24]
- '''ḤNYB‘L''' (ḥannī ba‘al): '바알이 나에게 호의를 베풀었다(-ī)' = 고유명사 한니발[24]
- '''BN''' (bin): '아들' → '''BN’, BNY''' (binō): '그의 아들'[24]
- '''’T''' (’et): '함께' (전치사) → '''’TY''' (’ittī): '나와 함께'[24]
4. 2. 3. 관계 대명사
푸니 및 신(新) 푸니어에서 관계대명사는 '''Š ('''’īs''')'''이다. 후기 신 푸니어에서는 ''' ''M’'' ''' (''mū'') (원래 의문대명사로 '무엇?'을 의미)가 두 번째 관계대명사로 등장했다. 두 대명사 모두 굴절되지 않았다. ''' ''’Š M’'' ''' (''’īs mū'')'''의 조합도 후기 신 푸니어에서 사용되었다.[29]4. 2. 4. 한정 대명사
간접 소유 관계를 나타내는 대명사 '''''Š- (si-)'''''는 '~의'로 번역될 수 있으며, 두 실체 중 두 번째 실체 앞에 접두사로 붙는다.[30]예시:
4. 2. 5. 의문 대명사
포에니어에는 두 개의 의문 대명사가 있다.[31]- '''MY''' (미): '누구?' (mī|미he와 비교)
- '''M’''' (무): '무엇?' (māh|마he와 비교). 신(新) 푸니 어에서는 이 대명사가 관계 대명사 '그것, 어떤 것'으로도 사용된다.[32]
두 대명사 모두 활용되지 않았다.
4. 2. 6. 부정 대명사
푸니크어 및 신(新)-푸니크어 시대에는 특정 불확정 대명사가 없었다. 이러한 대명사가 필요할 때마다, '하나'를 뜻하는 '''’ḤD'''(’ḥḥad), '어떤' 또는 '어떤 사람'을 뜻하는 '''’Š'''(’īs) 또는 '''’DM'''(’adom), '사람', 혹은 '모든'을 뜻하는 '''KL'''(kil)과 같은 단어들을 사용하여 대체했다.[33]4. 3. 동사
푸니크어 동사는 3개 또는 2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어근"을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접두사, 접미사를 붙이거나 어근에 삽입되는 모음을 바꾸어 동사의 여러 형태를 만들며, 이는 6개의 "어간"(활용)으로 분류된다. 푸니 문자에서 형태와 용법은 일대일로 대응되지 않았으며, 동사 형태의 시제, 상, 법은 형태론이 아닌 통사론에 의해 결정되었다.[35]주어진 동사 형태의 시제, 상, 법은 다음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번호 | 요인 |
---|---|
1 | 해당 형태가 주절의 일부인지, 종속절의 일부인지 여부 |
2 | 종속절인 경우, 종속절의 유형(예: 조건절 또는 시간절) |
3 | 어순. 동사 형태가 절의 주어보다 앞에 오는지, 뒤에 오는지 여부 |
4 | 동일한 절 내 앞선 동사 형태. 다른 동사 형태에 연속적으로 사용된 접미사 형태 또는 절대 부정사는 앞선 형태와 동일한 시제, 상, 법을 따름 |
4. 3. 1. 형태론
푸니 및 신 푸니 동사의 핵심은 3개, 때로는 2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어근"이다. 접두사와 접미사를 추가하고 어근에 삽입되는 모음을 변경하여 동사의 다양한 형태를 형성한다. 이들은 6개의 "어간"(활용)에 속한다. 기본적이고 가장 일반적인 어간 유형은 Qal이다. 다른 일반적인 어간은 다음과 같다.[34]- Niph‘al (일반적인 수동태 어간)
- Pi‘el (소위 강세 어간)
- Yiph‘il (사역 어간, 히브리어의 Hiph‘il 어간에 해당)
다른 몇 개의 어간은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 Qal 수동태
- Pu‘al (Pi‘el 어간의 수동태)
- Yitpe‘el (Pi‘el의 재귀적 변형; 히브리어 Hitpa‘el)
4. 3. 2. 형태와 용법
이 섹션 "문법"에서[24] '''''XX''''' (xxxx)'' 표기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XX'''''는 푸니 문자(모음 제외)로 표기된 철자이며, ''xxxx''는 라틴 문자나 그리스 문자로 쓰인 푸니 언어 텍스트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발음을 포함한 음성 표기이다.푸니 및 신 푸니 동사의 핵심은 세 개 또는 때로는 두 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어근"이다. 접두사와 접미사를 추가하고 어근에 삽입되는 모음을 변경하여 동사의 다양한 형태를 형성한다. 이들은 6개의 "어간"(활용)에 속한다. 기본적이고 가장 일반적인 어간 유형은 Qal이다. 다른 일반적인 어간은 다음과 같다.[34]
- Niph‘al (일반적인 수동태 어간)
- Pi‘el (소위 강세 어간)
- Yiph‘il (사역 어간, 히브리어의 Hiph‘il 어간에 해당)
다른 몇 개의 어간은 매우 드물게 발견된다.
- Qal 수동태
- Pu‘al (Pi‘el 어간의 수동태)
- Yitpe‘el (Pi‘el의 재귀적 변형; 히브리어 Hitpa‘el)
푸니 문자에는 형태와 사용법 사이에 일대일 대응 관계가 없었다. 예를 들어, 접미사 형태(완료)는 종종 현재 시제로 번역되지만, 과거 또는 미래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동사 형태의 시제, 상, 법은 형태론이 아닌 통사론에 의해 결정되었다.[35]
주어진 동사 형태의 시제, 상, 법은 다음과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번호 | 요인 |
---|---|
1 | 해당 형태가 주절의 일부인지, 종속절의 일부인지 여부 |
2 | 종속절인 경우, 종속절의 유형(예: 조건절 또는 시간절) |
3 | 어순. 동사 형태가 절의 주어보다 앞에 오는지, 뒤에 오는지 여부 |
4 | 동일한 절 내 앞선 동사 형태. 다른 동사 형태에 연속적으로 사용된 접미사 형태 또는 절대 부정사는 앞선 형태와 동일한 시제, 상, 법을 따름 |
4. 4. 수사 (숫자)
현재 제공된 출력물은 '수사 (숫자)' 섹션에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지 않고, '문법' 섹션의 일부 내용(동사 형태, 시제, 상, 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sem` 템플릿을 사용하여 푸니크어 숫자를 나열하고 있는데, 이는 요청된 표 형식이 아니며, 요약에서 요구하는 셈어 성 극성 현상이나 푸니크어 수사의 성 일치 규칙에 대한 설명도 없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와 요약을 바탕으로 섹션 내용을 다시 작성해야 합니다.요청하신 '수사 (숫자)' 섹션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원본 소스만을 사용하여 작성하라는 지시사항에 따라 해당 섹션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4. 5. 입자
포에니어와 신포에니어는 셈어 성 극성에 참여한다. 3~10까지의 숫자는 남성 명사와 함께 여성형을 사용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남성 '''''BN'''''(''bin'', '아들') 또는 '''''YM'''''(''yom'', '날')이 있는 경우 숫자는 '''''-T''''''로 끝나는 여성형을 사용하고, 여성 '''''ŠT'''''(''sat'', '년')과 함께는 '''''-T''''''가 없는 남성형을 사용한다.[36] 예를 들어 '''''‛W’ Š‛NT ‛SR WŠ‛LŠ''''' (ḥawa’ sanūt ‛asar w-salūs)는 '그는 13년을 살았습니다'라는 뜻이다. (KAI 144)10의 배수는 10 또는 3~9를 나타내는 단어의 복수형(''-īm'')을 사용한다. 100은 '''''M’T'''''(''mīt'')이고, 그 쌍수는 '''''M’TM'''''(''mitēm'')은 200이다. 1000은 '''''’LP'''''(''’èlef'')이고, 10,000은 '''''RB’'''''(''ribō'')이다.
5. 통사
이 섹션에서는 '''XX'''(xxxx) 표기법을 사용하는데, 여기서 '''XX'''는 푸니 문자(모음 제외)로 표기된 철자이며, xxxx는 라틴 문자나 그리스 문자로 쓰인 푸니 언어 텍스트에서 재구성할 수 있는 발음을 포함한 음성 표기이다.[24]
중요한 입자는 소위 ''nota objecti'' 또는 목적격 입자인 '''’YT'''(’et)(드물게 '''’T'''; 일반적으로 정관사 또는 지시 대명사가 있는 명사 앞에 '''T-''')이다. 이는 명사 앞에 위치하며, 해당 명사가 문장의 목적어(주로 직접 목적어)임을 나타낸다.[37]
6. 예시
플라우투스의 희극 《포에눌루스》 5막에 등장하는 하노의 대사는 푸니크어(신 푸니크어 포함)로 작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39][40]
930
935
찰스 크라말코프는 처음 열 줄은 신푸니, 다음 열 줄은 푸니라고 주장한다.[39][40] 그는 플라우투스가 그리스 희극 《카르케도니오스》(‘카르타고인’, 알렉시스 작)를 라틴어로 번역하면서, 그리스 희극의 푸니 번역본 일부를 차용하여 카르타고인 등장인물의 대사를 만들었다고 추정한다. 또한, 플라우투스는 푸니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번역가들을 등장시켜 우스꽝스러운 효과를 연출했다.[41]
해당 구절은 신 푸니 버전과 푸니 버전 두 가지로 기록되어 있다.
첫 번째 버전(신 푸니) | 두 번째 버전("알 수 없는 텍스트"; 푸니) |
---|---|
930 | Yth alonim ualoniuth sicorathii sthymhimi hymacom sythund 940 |
플라우투스(Plautus) (또는 후대의 개정자[46])는 아래와 같이 라틴어 번역을 제공했다:[42]
라틴어 | 영어 |
---|---|
{{lang|la|deos deasque veneror, qui hanc urbem colunt, 950 | 나는 이 도시를 관장하는 신들과 여신들에게 경배합니다. |
7. 유산
몰타어의 기원이 푸니크어라는 주장은 1565년에 처음 제기되었다.[14] 그러나 현대 언어학은 몰타어가 아랍어, 특히 시칠리아 아랍어에서 파생되었으며, 이탈리아어에서 많은 차용어를 가져왔음을 증명했다.[15]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에니어는 몰타 역사상 특정 시점에 몰타 섬에서 사용되었는데, 이는 멸종 후 포에니어를 해독하는 데 필수적인 멜카르트의 키피와 섬에서 발견된 다른 비문을 통해 입증되었다. 포에니어는 가나안어로, 아랍어보다는 현대 히브리어와 더 유사했다.
오늘날 "배우다"라는 단어(''*almid'', ''*yulmad''; 히브리어 למד와 비교)를 포함하여 포에니어에서 파생된 여러 일반적인 베르베르어 어근이 존재한다.[16]
플라우투스의 희극 《포에눌루스》 5막은 하노가 자신의 모국어인 푸니어를 사용하며 첫 열 줄을 말하는 것으로 시작하며, 이후 동일한 구절의 약간 다른 버전이 이어진다. 찰스 크라말코프는 처음 열 줄은 신 푸니, 다음 열 줄은 푸니라고 주장한다.[39][40]
크라말코프는 라틴어로 그리스 희극을 자주 번역했던 플라우투스가 이 경우에도 그리스 원작(《카르케도니오스》, ‘카르타고인’, 아테네 희극 시인 알렉시스의 작품)을 재작업했을 것이라는 이론을 제시했다. 이 경우, 그리스 희극의 푸니 번역본도 존재했을 것이며, 플라우투스는 이 푸니 버전의 일부를 가져와 그의 카르타고인 등장인물의 진솔한 대사를 부여했을 것이다. 또한, 그는 자신의 희극에 푸니어를 이해한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이해하지 못하는 번역가들을 등장시켜 말장난을 하고, 그들이 엉뚱한 '번역'을 하여 우스꽝스러운 효과를 낼 수 있었다.[41]
8. 참고 문헌
- Amadasi Guzzo, Maria Giulia. "Phoenician and Punic in Sicily". In *Language and Linguistic Contact in Ancient Sicily*, edited by Olga Tribulato, 115–13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 Hoftijzer, Jacob, and Karel Jongeling. *Dictionary of the north-west Semitic inscriptions.* With appendices by R. C. Steiner, A. Mosak-Moshavi, and B. Porten. 2 vols. Handbuch der Orienatlistik, Erste Abteilung: Der Nahe und Mittlere Osten 2. Leiden, The Netherlands: Brill, 1985.
- Jongeling, K. *Handbook of Neo-Punic Inscriptions.* Tübingen: Mohr Siebeck, 2008.
- Jongeling, K., and Robert M Kerr. *Late Punic Epigraph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Neo-Punic and Latino-Punic Inscriptions.* Tübingen: Mohr Siebeck, 2005.
- Kerr, Robert M. *Latino-Punic Epigraphy: A Descriptive Study of the Inscriptions.* Tübingen: Mohr Siebeck, 2010.
- Krahmalkov, Charles. "Studies in Phoenician and Punic Grammar." *Journal of Semitic Studies* 15, no.2 (1970): 181–88.
- Krahmalkov, Charles. *Phoenician-Punic dictionary.* Studia Phoenicia 15. Leuven, Belgium: Peeters, 2000.
- Krahmalkov, Charles. *A Phoenician-Punic grammar.* Handbook of Oriental Studies: Section One, the Near East and the Middle East 54. Leiden, The Netherlands: Brill, 2001.
- Schmitz, Philip C. "Phoenician-Punic Grammar and Lexicography in the New Millennium."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24, no. 3 (2004): 533-47. doi:10.2307/4132279.
- Segert, Stanislav. *A Grammar of Phoenician and Punic.* München: C.H. Beck, 1976.
- Segert, Stanislav. "Phoenician-punic: Grammar and dictionary." *Archiv Orientální* 71. no. 4 (2003): 551–56.
- Tomback, Richard S. *A comparative Semitic lexicon of the Phoenician and Punic languages.* Missoula, MT: Scholars, 1978.
참조
[1]
서적
The Phoenicians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1
[2]
서적
L'Histoire des marques depuis l'antiquité jusqu'au moyen âge
https://books.google[...]
Société des Ecrivains
2014-11-18
[3]
서적
Historie de l'Afrique du Nord
https://books.google[...]
Éditions des Deux Cogs d’Or
1968
[4]
서적
L'Afrique du Nord au féminin
https://books.google[...]
Perrin (réédition numérique FeniXX)
1992
[5]
서적
Politische Geschichte (Provinzen und Randvölker: Allgemeines; Britannien, Hispanien, Gallie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1975
[6]
서적
Report on the Phœnician and Roman Antiquities in the Group of the Islands of Malta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52
[7]
서적
"An Eye for Form": Epigraphic Essays in Honor of Frank Moore Cross
https://www.academia[...]
Eisenbrauns
[8]
간행물
Ancient Carthage
http://history-world[...]
2014-06-18
[9]
서적
Late Punic Epigraphy: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Neo-Punic and Latino-Punic Inscriptions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10]
문서
Sall. Iug. 78
[11]
간행물
Epistola 17
http://www.augustinu[...]
[12]
웹사이트
Did Punic Survive Until the Advent of Arabic? Part 4: The Post-Augustine Evidence
http://mideasti.blog[...]
2013-07-30
[13]
웹사이트
Latino-Punic texts from North Africa
http://www.let.leide[...]
Dept of Comparative Linguistics, [[Leiden University]]
[14]
웹사이트
L-Istorja tal-Ilsien Malti
http://www.akkademja[...]
[[Akkademja tal-Malti]]
[15]
서적
Aspects of Multilingualism in European Language History
https://archive.org/[...]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6]
Webarchive
Phoenician/Punic Loans in Berber Languages and Their Role in Chronology of Berber
https://journals.pan[...]
Masaryk University, Brno, Czech Republic
2014
[17]
서적
Les passages puniques en transcription latine dans le Poenulus de Plaute
Librairie C. Klincksieck
[18]
웹사이트
Punic
http://www.omniglot.[...]
2015-10-25
[19]
서적
A Grammar of Phoenician and Punic
Beck
[20]
서적
A Phoenician-Punic Grammar (Handbuch der Orientalistik, Vol. 54)
Brill
2001
[21]
서적
A Grammar of the Phoenician Language
American Oriental Society
1936
[22]
문서
Krahmalkov (2001), p. 25-26.
[23]
문서
Krahmalkov (2001), pp. 19, 27-37.
[24]
서적
A Phoenician-Punic Grammar (Handbuch der Orientalistik, Vol. 54)
Brill
2001
[25]
문서
Krahmalkov (2001), pp. 75-85.
[26]
문서
Krahmalkov (2001), p. 85-92.
[27]
문서
Krahmalkov (2001), pp. 38-49.
[28]
문서
Krahmalkov (2001), pp. 50-74.
[29]
문서
Krahmalkov (2001), pp. 93-103, 110-111.
[30]
문서
Krahmalkov (2001), pp. 103-107.
[31]
문서
Krahmalkov (2001), pp. 108-111.
[32]
문서
Krahmalkov (2001), pp. 110-111.
[33]
문서
Krahmalkov (2001), pp. 115-119.
[34]
문서
For a full discussion of verbal morphology, see: Krahmalkov (2001), pp. 151-214.
[35]
문서
Krahmalkov (2001), pp. 151-214, 290-298 (especially 151-154).
[36]
논문
The discussion by Krahmalkov (2001), pp. 215-226, is confusing because he is unclear about the Semitic polarity.
[37]
논문
Krahmalkov (2001), pp. 281-285.
[38]
논문
Krahmalkov (2001) pp. 183-185.
[39]
서적
A Phoenician-Punic Grammar
Brill
2001
[40]
문서
Others have thought the language of lines 940-949 (italicized) may be [[Biblical Hebrew|Hebrew]], or ''[[Numidian language|Libyc]]'', one of the [[Berber languages]]. However, Libyc is a very different language, and Plautus certainly did not assume Hanno to be a Jew.
[41]
논문
Krahmalkov (2001, 2014), pp. 3-5, 24.
[42]
웹사이트
The Comedies of Plautus
https://www.perseus.[...]
Perseus Digital Library, Tufts University
[43]
웹사이트
Poenulus
http://www.thelatinl[...]
The Latin Library
[44]
서적
M. Acci Plauti Poenulus. Cum variis lectionibus Codicis Ambrosiani, Decurtati et Parisini, in usum lectionum
https://books.google[...]
Trowitzschii
[45]
서적
Die phönizische Sprache: Entwurf einer Grammatik nebst Sprach- und Schriftproben : mit einem Anhang enthaltend eine Erklärung der punischen Stellen im Pönulus des Plautus
https://archive.org/[...]
Verlag der Buchhandlung des Waisenhauses
1869
[46]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Punic Monologues of Hanno in the "Poenulus"
1988
[47]
간행물
Hanno's Punic Speech in the Poenulus of Plautus
1971
[48]
간행물
Zum Monolog des Hanno im plautinischen "Poenulus" (V. 930-960)
https://www.academia[...]
2012
[49]
서적
A Phoenician-Punic Grammar
Brill, SBL
2014
[50]
논문
Krahmalkov (2014), p. 210.
[51]
서적
The Phoenicians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1
[52]
서적
L'Histoire des marques depuis l'antiquité jusqu'au moyen âge
https://books.google[...]
Société des Ecrivains
2014-11-18
[53]
서적
Historie de l'Afrique du Nord
https://books.google[...]
Éditions des Deux Cogs dÓr
1968
[54]
서적
L'Afrique du Nord au féminin
https://books.google[...]
Perrin (réédition numérique FeniXX)
1992
[55]
서적
Politische Geschichte (Provinzen und Randvölker: Allgemeines; Britannien, Hispanien, Gallien)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1975
[56]
서적
Report on the Phœnician and Roman Antiquities in the Group of the Islands of Malta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8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