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쿠트어는 시베리아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사하 공화국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핀란드어, 헝가리어 등과 같이 모음 조화 현상을 보이며, 주어-목적어-동사의 어순을 따른다. 야쿠트어는 튀르크어족 언어 중에서도 독자적인 특징을 보이는데, 속격의 부재, 여격과 공통격의 존재, 명령형의 독특한 형태 등이 있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의 29%가 차용어로 구성되어 있다. 문법적으로는 풍부한 격 체계와 다양한 시제를 갖추고 있으며, 모음 조화와 자음 동화 등의 음운 현상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야쿠트 문화 - 막탁 막탁은 다양한 언어로 불리며 양고기, 쇠고기, 말고기 등을 주재료로 채소와 향신료를 넣어 끓인 전통 음식으로, 현대에는 간편하게 즐길 수 있으나 과다 섭취 시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야쿠트 문화 - 크므즈 크므즈는 튀르크어에서 유래된 말젖 발효 음료로, 젖산균과 효모의 작용으로 산성화와 알코올 생성이 일어나며, 전통적으로 유르트에서 발효하여 결핵, 소화기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시베리아의 언어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시베리아의 언어 - 하카스어 하카스어는 튀르크어족 남시베리아어군에 속하며 러시아 하카스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예니세이 키르기스에서 기원하여 모음 조화 현상과 SOV 어순,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며 사가이 방언과 하스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어가 사용된다.
카자흐스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카자흐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역사적으로 야쿠트어는 비교적 일찍 공통 튀르크어 화자 공동체에서 이탈했다.[1] 이 때문에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와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며, 야쿠트어와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 간의 상호 이해도는 낮다.[2]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쿠트어는 장모음 보존과 같이 원시 튀르크어 재구성에 중요한 많은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3] 야쿠트어는 중앙아시아나 튀르크 등에서 사용되는 튀르크어족의 한 갈래이다.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비슷한 점이 많지만, 야쿠트어는 다른 튀르크어와 차이가 크다. (예를 들어 속격이 없고 여격과 공동격이 존재하며, 명령형에 가까운 미래와 먼 미래 시제가 존재하는 등) 야쿠트어와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는 언어로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타이미르 자치구의 타이미르 반도에서 사용되는 돌간어가 있다.
3. 사용자
야쿠트어는 사하 공화국에 많은 수의 사용자가 있다. 하바롭스크 지방에서도 소수 사용자가 있다.[3] 주로 사하 공화국에서 사용되며, 하바롭스크 지방의 야쿠트족과 러시아 연방, 터키 및 기타 세계 지역의 소규모 디아스포라에서도 사용된다.[3]사하 공화국의 다른 소수 민족들에게 공용어로 널리 사용된다.[3] 2002년 러시아 인구 조사 당시 사하에 거주하는 야쿠트족 외 다른 민족의 약 8%가 야쿠트어를 알고 있다고 답했다.[3]
4. 문자
야쿠트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1939년에 도입된 현대 야쿠트어 문자에는 러시아어 문자에 없는 5개의 추가 문자 Ҕҕ, Ҥҥ, Өө, Һһ, Үү가 포함되어 있다.
야쿠트어 키릴 문자
키릴 문자
IPA
А а
/a/
Б б
/b/
В в
/v/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Г г
/ɡ, ɢ/
Ҕ ҕ
/ɣ, ʁ/
Д д
/d/
Дь дь
/ɟ/
Е е
/e, je/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Ё ё
/jo/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Ж ж
/ʒ/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З з
/z/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И и
/i/
Й й
/j, j̃/
활음의 비음화는 표기에 반영되지 않는다.
К к
/k, q/
Л л
/l/
М м
/m/
Н н
/n/
Ҥ ҥ
/ŋ/
Нь нь
/ɲ/
О о
/o/
Ө ө
/ø/
П п
/p/
Р р
/r/
С с
/s/
Һ һ
/h/
Т т
/t/
У у
/u/
Ү ү
/y/
Ф ф
/f/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Х х
/x, χ/
Ц ц
/ts/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Ч ч
/c/
Ш ш
/ʃ/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Щ щ
/ɕː/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Ъ ъ
?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Ы ы
/ɯ/
Ь ь
?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Э э
/e/
Ю ю
/ju/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Я я
/ja/
러시아어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장모음은 모음을 두 번 표기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үүт'''(''üüt'')은 '우유'를 뜻한다.
비음 활음 는 정자법에서 와 구별되지 않으며, 둘 다 로 표기된다. 비음 활음 는 매우 제한적인 분포를 가지며, 매우 적은 단어에서 나타난다.[1]
는 모음 사이에서 탄음 로 발음되며, 단어의 끝에서는 전동음으로 발음된다.[2][3]
는 야쿠트어 고유어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야쿠트어는 여러 면에서 튀르크어족 중 음운론적으로 독특하다. 야쿠트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돌간어는 쉬쉬 자음이 없는 유일한 튀르크어이다. 또한, 야쿠트어와 호라산 튀르크어 이외의 알려진 튀르크어는 경구개 비음 을 가지고 있지 않다.
5. 음운
야쿠트어는 쇼르어, 투바어, 돌간어와 함께 북동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핀란드어, 헝가리어, 튀르키예어처럼 모음 조화 현상이 나타나며, 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 문법적 성은 없으며, 어순은 일반적으로 '주어-목적어-동사' 순서이다. 야쿠트어는 퉁구스어족과 몽골어족의 영향도 받았다.[1]
야쿠트어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이른 시기에 공통 튀르크어에서 분리되었다. 이 때문에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의 상호 이해도가 낮으며, 많은 동계어(cognate)들이 쉽게 인식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쿠트어는 장모음 보존과 같이 원시 튀르크어 재구성에 중요한 특징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야쿠트어는 중앙아시아나 튀르크 등에서 사용되는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들과 큰 차이를 보인다. 예를 들어 속격이 없고 여격과 공동격이 존재하며, 명령형에는 근미래와 원미래 시제가 있다.
야쿠트어는 형태소 경계에서 순행 및 역행 자음 동화가 광범위하게 일어난다.[1] 모든 접미사는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따라 다양한 이형태를 가진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접미사의 경우, 자음의 표면 형태는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따라 결정된다. 이러한 아르키음소 자음에는 'G', 'B', 'T', 'L'의 네 가지가 있다.
야쿠트어 접미사 내 자음 동화[2]
자음 아르키음소
바로 앞의 소리 (예시)
고모음 i, u, ï, ü (kihi)
저모음 a, e, o, ö (oɣo)
(uol)
(kötör)
무성 자음 (tiis)
(ïnaχ)
비음 (oron)
G -GIt
kihigit
oɣoɣut
uolgut
kötörgüt
tiiskit
ïnaχχït
oroŋŋut
B -BIt
kihibit
oɣobut
uolbut
kötörbüt
tiispit
ïnaχpït
orommut
T -TA
kihite
oɣoto
uolla
kötördö
tiiste
ïnaχta
oronnut
L -LArA
kihilere
oɣoloro
uollara
kötördörö
tiistere
ïnaχtara
oronnoro
'사람'
'아이'
'남자아이'
'새'
'이'
'소'
'침대'
로 끝나는 어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형태음운론적 규칙이 있는데, 이는 바로 뒤따르는 순음 또는 연구개음과 조음 위치에서 동화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at'' '말' > ''akkït'' '너희의 말' > ''appït'' '우리의 말'과 같다.
5. 4. 탈구개음화
야쿠트어 초두의 '''s-'''는 돌간어의 '''h-'''에 해당하며, 원시 야쿠트어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결국 '''Ø-''' < '''*h-''' < '''*s-'''로 이어졌다(예: 돌간어 '''h'''uoq과 야쿠트어 '''s'''uox, 둘 다 "아니다"라는 뜻).[4] '''*s'''>''h''의 역사적 변화는 탈구개음화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 언어에서 흔히 나타나는 음운 변화이다.
탈구개음화는 현대 야쿠트어에서도 활발하게 일어나는 음운 현상이다. 모음 사이에서 음소 는 가 된다. 예를 들어, '''кыыс''' (''kïïs'') '소녀'의 /s/는 모음 사이에서 [h]가 된다.[4]
5. 5. 모음 조화
야쿠트어는 쇼르어, 투바어, 돌간어와 함께 북동튀르크어족에 속하며,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전설/후설 모음 조화와 원순/평순 모음 조화의 특징을 보인다. 야쿠트어의 접미사 모음 조화는 튀르크어족에서 가장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4] 모음 조화는 한 음절의 모음이 이전 음절 모음의 특징을 따라가는 동화 현상이다. 야쿠트어에서 후속 모음은 이전 음절 모음의 전설성을 띠고, 모든 비저모음은 입술 둥글기를 띤다.
모음 조화의 두 가지 주요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전설/후설 조화:
## 전설 모음은 항상 전설 모음 다음에 온다.
## 후설 모음은 항상 후설 모음 다음에 온다.
# 원순 조화:
## 평순 모음은 항상 평순 모음 다음에 온다.
## 폐원순 모음은 항상 폐원순 모음 다음에 온다.
## 개평순 모음은 폐원순 모음과 원순에서 '''동화되지 않는다'''.
이중 모음 /ie, ïa, uo, üö/의 특징은 첫 번째 모음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규칙으로 인해 야쿠트어에서 후속 음절의 패턴은 예측 가능하며, 모든 단어는 다음 패턴을 따른다. 접미사는 부착되는 어간에 따라 다양한 변이형을 나타낸다. 두 개의 아키포네메 모음 'I'(기저 고모음)와 'A'(기저 저모음)가 있다.
야쿠트어 모음 조화
분류
어간의 마지막 모음
접미사 모음
평순, 후설
a, aa, ï, ïï, ïa
a, aa, ï, ïï, ïa
평순, 전설
e, ee, i, ii, ie
e, ee, i, ii, ie
원순 후설
u, uu, uo
a, aa, u, uu, uo
원순, 전설, 폐
ü, üü, üö
e, ee, ü, üü, üö
원순, 후설
o, oo
o, oo, u, uu, uo
원순, 개, 저
ö, öö
ö, öö, ü, üü, üö
아키포네메 모음의 모음 조화
아키포네메 모음
선행 모음
전설
후설
평순 (i, ii, ie, e, ee)
원순
평순 (ï, ïï, ïa, a, aa)
원순
고 (ü, üü, üö)
저 (ö, öö)
고 (u, uu, uo)
저 (o, oo)
I
i
ü
ï
u
A
e
ö
a
o
''I''의 예는 1인칭 단수 소유 격 접미사 ''-(I)m''에서 볼 수 있다.
1인칭 단수 소유격 접미사 ''-(I)m'' 예시
aat-ïm|아-틈|내 이름sah
et-im|에-팀|내 고기sah
uol-um|우올-움|내 아들sah
üüt-üm|위-튐|내 우유sah
기저 저모음 음소 ''A''는 3인칭 단수 격 접미사 ''-(t)A''로 표현된다.
3인칭 단수 격 접미사 ''-(t)A'' 예시
aɣa-ta|아가-타|그/그녀의 아버지sah
iỹe-te|이예-테|그/그녀의 어머니sah
oɣo-to|오고-토|그/그녀의 아이sah
töbö-tö|퇴뵈-퇴|그/그녀의 머리sah
uol-a|우올-아|그/그녀의 아들sah
6. 문법
야쿠트어는 교착어이며, 성이 없다. 일반적인 어순은 주어 – 부사 – 목적어 – 동사 순서이고, 소유자 – 피소유자, 형용사 – 명사 순서로 배열된다.
6. 1. 대명사
эһиги|에히기sah - 당신은 (경칭)
эһиги|에히기sah - 당신들은
3인칭
кини|키니sah - 그는 кини|키니sah - 그녀는 ити|이티sah - 그것은
кинилэр|키닐레르sah - 그들은 그녀들은 그것들은
6. 2. 명사의 굴절 (격)
야쿠트어의 명사는 단수와 복수 형태를 가진다. 복수형은 접미사 '-LAr'로 만들어지는데, 이 접미사는 앞선 자음과 모음에 따라 '-лар', '-лэр', '-лөр', '-лор', '-тар', '-тэр', '-төр', '-тор', '-дар', '-дэр', '-дөр', '-дор', '-нар', '-нэр', '-нөр', '-нор' 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복수형은 수량을 나타낼 때뿐만 아니라, 사물의 집합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 야쿠트어 명사는 성을 가지지 않는다.
'кыргыттар'라는 단어는 복합 '-(ы)ттар' 복수 접미사를 제외하고, 우즈벡어 ('qirqin|qirqinuz' '노예 여성'), 바시키르어, 타타르어, 키르기스어 ('кыз-кыркын' '소녀들'), 추바슈어 ('хӑрхӑм|xǎrxǎmcv'), 투르크멘어 ('gyrnak') 및 멸망한 카라한어, 호라즘어 및 차가타이어와 같은 수많은 튀르크어족 언어에서 동족어를 가지고 있다.
6. 3. 동사의 굴절
야쿠트어는 시제, 상, 법 등 다양한 문법 범주를 나타내는 동사 굴절 체계를 가지고 있다.
사하어(야쿠트어)는 동사의 굴절과 관련하여 격 체계가 풍부하다. 다른 튀르크어족 언어에서는 고(古) 공통격이 도구격이 된 반면, 사하어는 몽골어의 영향으로 고대 튀르크어의 고 공통격을 유지하고 있다.[12] 그러나, 고대 튀르크어의 위치격은 부분격을 나타내게 되어 위치격 기능을 위한 격 형태가 없어졌다. 대신 위치격, 여격, 대격은 공통 튀르크어 여격 접미사를 통해 실현된다.[12] 예를 들어 "-ҕа"는 여격이고, "хайаҕа"는 문자 그대로 "산으로"를 의미한다.
더욱이 (위치격 외에도) 속격과 동격격도 사라졌다. 야쿠트어에는 8개의 격이 있다:[12]주격 (무표), 대격 ''-(n)I'', 여격 ''-GA'', 부분격 ''-TA'', 탈격 ''-(t)tan'', 도구격 ''-(I)nAn'', 공통격 ''-LIIn'', 비교격 ''-TAAɣAr''.
'평화'
'불'
주격
대격
여격
부분격
탈격
도구격
공통격
비교격
부분격 목적어는 객체의 일부분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물을 '''조금''' 마셔라!"는 부분격 표현 Uː-'''ta''' is!sah를 사용한다. 반면 대격으로 목적어를 가진 "물을 '''모두''' 마셔라!"는 Uː-'''nu''' is!sah와 같이 표현하여 전체성을 나타낸다. 부분격은 명령형 또는 필요 표현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물을 조금 가져와야 한다"는 Uː-ta a-γal-ϊaχ-χa naːda.sah와 같이 표현한다. (여기서 'naːda'는 러시아어 'надо'(해야 한다)에서 차용되었다.)
야쿠트어 격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속격이 없다는 것이다.[12] 일부 학자들은 퉁구스어족 언어인 에벤키어와의 역사적인 접촉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소유자는 무표이며, 소유 관계는 소유된 명사 자체에서만 소유 접미사를 통해 실현된다(주어가 대명사인 경우). 또는 부분격 접미사를 통해 실현된다(주어가 다른 명사인 경우). 예를 들어, (a)에서 1인칭 대명사 주어는 속격 표시가 되지 않는다. 또한 완전한 명사 주어(소유자)도 (b)에 표시된 것처럼 아무런 표시를 받지 않는다.
(a) min oɣo-m / bihigi oɣo-but|'내 아들' / '우리 아이'sah
(b) Masha aɣa-ta|'마샤의 아버지'sah
6. 3. 1. 시제
E. I. 코르키나(E. I. Korkina, 1970)는 현재-미래 시제, 미래 시제, 그리고 8가지 형태의 과거 시제(미완료 포함)를 제시했다.[12]
사하어의 미완료 시제는 분석적 형태와 합성적 형태, 두 가지가 있다. 두 형태 모두 모든 튀르크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부정 과거 접미사 ''-Ar''를 기반으로 한다. 합성적 형태는 과거의 양상을 나타냄에도 불구하고, 튀르크어에서 매우 드물게 나타나는 공통 튀르크어 과거 접미사가 없다. 이는 퉁구스어족 언어인 에벤어의 영향으로 여겨진다.
6. 3. 2. 명령법
야쿠트어는 에벤키어/에벤어와의 접촉을 통해 명령법에서 즉시 명령법("지금 해!")과 미래/원격 명령법("나중에 해!")을 구분하여 발전시켰다.
긍정
부정
즉시
-∅/-(I)ŋ
-ma-∅/-ma-(I)ŋ
원격
-A:r/-A:r-(I)ŋ
-(I)m-A:r/-(I)m-A:r-(I)ŋ
즉시 명령법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니콜라이 아틀라소프가 알라디를 굽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라'''|니콜라이 아틀라소프가 올라디를 만드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라'''.sah
6. 3. 3. 명사 파생 동사
야쿠트어는 명사에서 동사를 파생하는 접미사 ''-LA''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우즈베크어에서 ''tish'' '이'라는 명사에서 ''tishla''='' '물다'라는 동사가 파생된다. 야쿠트어에서도 이 접미사가 존재하며(모음 조화로 인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이론적으로는 모든 명사에 이 접미사를 붙여 동사를 만들 수 있다.[12]
예시:
Арай биирдэ, теннистии туран, хараҕым ааһан иһэр кыыска хатана түспүтэ.|옛날 옛적에, 테니스를 치면서, 내 눈은 지나가는 소녀에게 꽂혔다.sah
여기서 "테니스를 치다" (теннистии)라는 단어는 ''теннис'' '테니스'라는 명사에 접미사 ''-тээ''를 붙여 만든 ''теннистээ'', "테니스를 치다"에서 파생되었다.[12]
6. 3. 4. 부동사
사하어의 동사 활용형은 공통 튀르크어의 ''-(I)B''와 달리 ''-(A)n''으로 끝난다. 이들은 동시적 및 순차적 동작을 나타내며, 보조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앞선다.[12]
Күлүгүн кытта охсуһан таҕыстыҥ|퀼류귄 킽타 오흐수한 타흐스팅|당신은 그의 그림자와 계속 싸웠다.sah
동시적 및 순차적 동작은 동사 활용형 접미사 ''-(а(н))''을 통해 표현된다.[12]
Самаан сайын бүтэн, айылҕа барахсан уһун улук уутугар оҥостордуу от-мас хагдарыйан күөх солко симэҕин ыһыктар күһүҥҥү тымныы салгыннаах, сиппэрэҥ күннэр тураллар|사만 사인 뷰텬, 아이을가 바랃산 우훈 울룩 우투가르 오오스토르두 옷마스 학다르이안 큐욛 솔코 시메긴 이힉타르 큐슝규 틤니 살긴나흐, 십페렝 큔냐르 투랄랴르|여름이 지나가고, 대자연이 얕은 물에서 자라는 식물로 만들어진 옷을 입고, 풀과 나무가 말라 푸른 비단을 뿌리는 가을의 매우 춥고 진눈깨비가 내리는 날들이 나타난다.sah
Кэлэн иһэллэр, итириктэр|퀠랸 이헬레르, 이티맄테르|온 후에, 그들은 마시고 취한다.sah
6. 4. 의문문
야쿠트어의 예/아니오 의문문 표지는 후치사 'duo' 또는 'du:'이며, 다른 거의 모든 튀르크어는 '-mI' 유형의 표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그리고 우즈베크어로 같은 문장은 다음과 같다(사하어와 대조적으로 의문 접미사 '''-mi'''에 주목).
: ''To’rg’ay jirini eshit(a)yapsan'''mi'''?''
야쿠트어의 의문사는 문장 내에 위치하며 문장의 앞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의문사로는 туох|tuoxsah '무엇', ким|kimsah '누구', хайдах|xajdaxsah '어떻게', хас|xassah '얼마나; 얼마나 많은', ханна|xannasah '어디', ханнык|xannïksah '어떤 것'이 있다.
사하어의 의문 대명사
대명사
번역
ким
누구
туох
무엇
хаһан
언제
ханна
어디
хайдах
어떻게
хас
얼마나 많은
төһө
얼마나
хайа
어떤 것, 어떻게
хайаа=
무엇을 해?
6. 5. 서수
야쿠트어에서 서수는 숫자에 '-үс'를 붙여서 만든다. 예를 들어, "카잔 - 도이두붓 으'''스''' 테베르 쉬레게"는 "카잔 - 우리나라의 '''세 번째''' 뛰는 심장"을 의미한다.[1]
0
1
2
3
4
5
6
7
8
9
10
нуул|nuulsah
биир|biirsah
икки|ikkisah
үс|ycsah
түөрт|tyørtsah
биэс|biessah
алта|altasah
сэттэ|settesah
аҕыс|aɣɯssah
тоҕус|toɣussah
уон|uonsah
11
20
30
40
50
60
70
80
90
100
1,000
10,000
1,000,000
уон биир|uon biirsah
сүүрбэ|syyrbesah
отут|otutsah
түөрт уон|tyørt uonsah
биэс уон|bies uonsah
алта уон|alta uonsah
сэттэ уон|sette uonsah
аҕыс уон|aɣɯs uonsah
тоҕус уон|toɣus uonsah
сүүс|syyssah
тыһыынча|tɯhɯɯnʧasah
уон тыһыынча|uon tɯhɯɯnʧasah
мөлүйүөн|mølyjyønsah
6. 6. 러시아어의 영향
야쿠트어는 상당수의 러시아어 차용어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구어체에서 러시아어화 현상을 보인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Курууса жарылабын.|나는 닭고기를 튀기고 있다sah
위 문장의 각 단어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것이다.
7. 어휘
야쿠트어 어휘의 약 29%는 차용어이며, 주로 러시아어(17%), 몽골어(10.5%), 에벤키어(1%)에서 빌려왔다.[15] 나머지 0.5%는 다른 언어에서 유래했거나 기원이 불분명하다. 몽골어 차용어는 집, 법과 관련된 단어가 가장 많으며, 다양한 단어 범주에 걸쳐 분포한다. 반면 러시아어 차용어는 현대 세계, 의류, 집에 관련된 단어가 가장 많다.[15]
사하 공화국에 서식하지 않는 동물(예: 낙타, 코끼리)을 가리키는 단어도 많이 존재한다.[22]
8. 구어 및 문어
야쿠트족은 "올롱호"라고 불리는 구전 서사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숙련된 공연자가 공연했다. 주제는 야쿠트 신화와 전설을 기반으로 한다. 19세기부터 많은 올롱호 시의 버전이 기록되고 번역되었지만, 구전 올롱호 전통의 오래된 공연자는 극소수만 남아있다. 그들은 젊은이들에게 이 노래를 그들의 언어로 부르고 부활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시작했지만, 수정된 형태로 진행되었다.[16]
야쿠트어로 된 최초의 인쇄물은 니콜라스 비첸이 1692년 암스테르담에서 출판한 책의 일부였다.[17]
2005년, 러시아/CIS 성서번역원의 마리안 베를레-무어 원장은 신약성경을 야쿠트어로 번역한 공로로 사하 공화국(야쿠티아)으로부터 시민 용기 훈장을 받았다.[18]
2012년에는 사하어로 쓰여진 최초의 이슬람 책이 사하족 개종자에 의해 출판되었으며, 제목은 "Билсиҥ: Ислам"("알아보기: 이슬람")이었다.[19] 표지에는 야쿠츠크의 회중 모스크가 묘사되어 있다. 이 책은 52쪽 분량으로, 사하어로 이슬람의 기본 원리에 대한 간결한 소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도를 설명할 때, 책에는 사하족 소년이 기도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1]
웹사이트
Sakha language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
웹사이트
Yakut
[3]
간행물
6.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кроме русского) населением отдель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республикам,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 и автономным округ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perepis20[...]
2002
[4]
논문
Historical Aspects of Yakut (Saxa) Phonology
http://www.livington[...]
University of Chicago
[5]
문서
2007
[6]
웹사이트
Non-Slavic languages (in Cyrillic Script)
https://www.loc.gov/[...]
2022-03-31
[7]
문서
1962
[8]
웹사이트
дьон
https://sakhatyla.ru[...]
2022-04-02
[9]
웹사이트
айыы
https://sakhatyla.ru[...]
2022-04-02
[10]
웹사이트
Romanization
https://www.eki.ee/k[...]
2019-08
[11]
서적
Saha (Yakut) Türkçesi Grameri
Türk Dil Kurumu
[12]
문서
1962
[13]
서적
Argument Structure and Grammatic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2012-07-18
[14]
서적
Syntactic architecture and its consequences III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21-05-28
[15]
서적
Loanwords in the worlds languages A comprehensive handbook
De Gruyter Mouton
2009
[16]
논문
Sitting "under the mouth": decline and revitalization in the Sakha epic tradition "Olonkho"
University of Georgia
2012
[17]
웹사이트
Предпосылки возникновения якутской книги
http://www.sakhamemo[...]
Память Якутии
2014-10-29
[18]
웹사이트
People
http://ibtrussia.org[...]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Russia/CIS
2016-10-05
[19]
웹사이트
В Якутии издали книгу об исламе на языке саха
https://dumrf.ru/com[...] [20]
간행물
Распространенность владения языками (кроме русского)
http://www.perepis20[...]
2002
[21]
웹사이트
Ethnologue
http://www.ethnologu[...] [22]
서적
マイナス50℃の世界
清流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