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함사는 아랍어로 숫자 5와 다섯 손가락을 의미하며, 중동 및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는 부적이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페니키아 등 다양한 문화에서 기원하며, 악의 눈을 막고 행운을 가져다주는 상징으로 여겨진다. 이슬람, 유대교, 기독교 등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보호의 의미로 사용되며, 현대에는 장신구, 장식품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의 상징 - 다윗의 별
다윗의 별은 유대교와 유대인 문화를 상징하는 육각형 별 문양으로, 장식적 모티프, 신비주의적 의미 부여를 거쳐 유대인 공동체의 상징으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이스라엘 국기에 사용되지만 홀로코스트 당시 유대인 식별 표식으로 사용된 아픈 역사의 상징이기도 하다. - 유대교의 상징 - 유다의 사자
유다의 사자는 성경 속 유다 지파를 상징하며 유대교, 기독교, 에티오피아 왕실, 라스타파리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힘, 왕권, 주권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 유대교와 이슬람교 - 쉴레이만 1세
쉴레이만 1세는 오스만 제국의 10대 술탄으로, 활발한 군사 활동과 법률 개혁을 통해 제국의 영토를 확장하고 행정 체계를 정비하여 오스만 제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예술의 황금기를 열었다. - 유대교와 이슬람교 - 이븐 캄무나
이븐 캄무나는 13세기 바그다드에서 활동하며 이슬람 철학 비판,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해석, 세 종교 비교 연구 등 다양한 지적 활동을 펼친 유대인 철학자, 의사, 신비주의자이다. - 주구 - 부적
부적은 재앙을 막고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지는 주술적 물건으로,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발전했으며 종종 해독하기 어려운 문자로 구성된다. - 주구 - 앙크
앙크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유래한 '생명'을 의미하는 상징으로, 기원전 30세기경부터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기원 해석이 존재하고, 고대 이집트에서 생명의 순환을 상징하며 종교와 예술에 널리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장신구 등으로 활용된다.
함사 | |
---|---|
어원 및 명칭 | |
이름 | 함사 (Khamsa) |
다른 이름 | 파티마의 손 (Hand of Fatima) 미리암의 손 (Hand of Miriam) 하메쉬 손 (Hamesh Hand) |
유래 언어 | 아랍어 |
아랍어 표기 | خمسة (khamsa) |
의미 | 다섯 |
문화권 | 중동, 북아프리카 |
용도 | 부적 |
관련 문화권 | 이슬람교 유대교 기독교 |
상징 | |
형태 | 손바닥 모양 |
일반적인 도안 | 눈 별 다비드의 별 히브리어 축복문 |
의미 (이슬람교) | 파티마의 다섯 손가락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 |
의미 (유대교) | 미리암의 손 (모세의 누이) |
상징적 의미 | 행운, 복, 악으로부터의 보호 |
종교적 의미 | |
이슬람교 | 파티마의 손 |
유대교 | 미리암의 손 |
기독교 | 성모 마리아의 손 |
문화적 의미 | |
대중적 사용 | 장신구, 벽걸이 장식, 기타 물품 |
의미 | 행운과 보호를 기원 |
기타 | |
다른 문화권 유사 상징 | 악마의 눈 (Evil Eye) 나자르 본주우 (Nazar Boncuğu) |
2. 어원
함사의 초기 사용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이난나 또는 이슈타르의 부적에서 찾을 수 있다. 열린 오른손의 이미지는 카르타고(오늘날의 튀니지)와 고대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페니키아 식민지에서도 발견된다. 기원전 8세기 이스라엘인 무덤에서 함사 모양의 손 글자가 발견되었다.
함사의 기원은 페니키아의 여신 타니트를 모시는 비석에서 발견되는 손 모양 각인에서 찾을 수 있다. 타니트는 카르타고의 창시자 디도의 상징이기도 했다. 고대 그리스 신 바쿠스 제사에서도 비슷한 상징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함사는 고대 그리스·페니키아 시대 지중해 문화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8] 풍요와 군신의 성격을 가진 타니트 신앙은 고대 로마 시대에 유노 신앙으로 계승되며 손 모양도 함께 전파되었다.
손을 기반으로 한 신성한 보호의 다른 상징으로는 비너스의 손(또는 아프로디테), 성모 마리아의 손이 있는데, 이는 여성을 악의 눈으로부터 보호하고 불임과 수유를 증진하며 건강한 임신을 촉진하고 약자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당시에 여성들은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과 기대를 받았다. 여성의 양육은 전적으로 어머니가 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이는 출산을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결혼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보호의 의미로 여겨졌다.
한 이론은 함사와 고대 이집트인에게 두 손가락으로 알려진 부적인 ''마노 판테아''(또는 만신 여신의 손) 사이의 연관성을 가정한다. 이 부적에서 두 손가락은 이시스와 오시리스를, 엄지는 그들의 아이 호루스를 나타낸다. 이것은 부모의 보호 정신을 자녀에게 불러일으키는 데 사용되었다. 또 다른 이론은 함사의 기원을 카르타고 또는 페니키아로 추적하며, 여기서 최고 신 타니트의 손(또는 어떤 경우에는 외음부)은 악의 눈을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
브루노 바바티에 따르면, 당시 이 모티프는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주술적 마법의 상징이었지만, 많은 현대적 표현은 성적 상징주의에서 명백한 기원을 계속해서 보여준다. 이것은 신이 모든 것에 존재한다는 믿음과 관련이 있다.
이 상징의 또 다른 의미는 하늘의 신 호루스와 관련이 있다. 이것은 인간이 양심의 눈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호루스의 눈을 가리킨다. 태양과 달은 호루스의 눈이라고 한다. 파티마의 손은 또한 여성성을 나타내며 여성의 성스러운 손이라고 불린다. 그것은 사람들을 악과 다른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특별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진다.
함사는 아랍어로 "5"를 의미하는 숫자이며, 다섯 개의 손가락을 뜻한다. 히브리어의 하미샤(חֲמִשָּׁה ''chamiššā''|하미샤he), 하메쉬(חָמֵשׁ ''chāmēš''|하메쉬he)에 해당하지만, 지금은 음소가 달라졌다(히브리 문자로 아랍어대로 쓰면 כַמְשַׂ|카므샤he가 된다).
무슬림에게 "5"는 그 행동 규범인 육신오행의 5와 통하며, 하루 동안 행해야 할 예배 횟수 5와도 연결된다. 또한, 유대교 신자에게 "5"는 모세 오경과 통하며, 어느 종교에서든 "5"는 신의 섭리를 나타내는 신비로운 숫자로 여겨진다[38].
3. 역사
3. 1. 기원
함사의 초기 사용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이난나 또는 이슈타르의 부적에서 찾을 수 있다. 열린 오른손의 이미지는 카르타고(오늘날의 튀니지)와 고대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페니키아 식민지에서도 발견된다. 기원전 8세기 이스라엘인 무덤에서 함사 모양의 손 글자가 발견되었다.
손을 기반으로 한 신성한 보호의 다른 상징으로는 비너스의 손(또는 아프로디테), 성모 마리아의 손이 있는데, 이는 여성을 악의 눈으로부터 보호하고 불임과 수유를 증진하며 건강한 임신을 촉진하고 약자를 강화하는 데 사용되었다. 당시에 여성들은 어머니가 되어야 한다는 엄청난 압박과 기대를 받았다. 여성의 양육은 전적으로 어머니가 되는 데 초점을 맞추었고, 이는 출산을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냈다. 또한 결혼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보호의 의미로 여겨졌다.
한 이론은 함사와 고대 이집트인에게 두 손가락으로 알려진 부적인 ''마노 판테아''(또는 만신 여신의 손) 사이의 연관성을 가정한다. 이 부적에서 두 손가락은 이시스와 오시리스를, 엄지는 그들의 아이 호루스를 나타낸다. 이것은 부모의 보호 정신을 자녀에게 불러일으키는 데 사용되었다. 또 다른 이론은 함사의 기원을 카르타고 또는 페니키아로 추적하며, 여기서 최고 신 타니트의 손(또는 어떤 경우에는 외음부)은 악의 눈을 물리치는 데 사용되었다.
브루노 바바티에 따르면, 이 모티프는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주술적 마법의 상징이었지만, 많은 현대적 표현은 성적 상징주의에서 명백한 기원을 계속해서 보여준다. 이것은 신이 모든 것에 존재한다는 믿음과 관련이 있다.
이 상징의 또 다른 의미는 하늘의 신 호루스와 관련이 있다. 이것은 인간이 양심의 눈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호루스의 눈을 가리킨다. 태양과 달은 호루스의 눈이라고 한다. 파티마의 손은 또한 여성성을 나타내며 여성의 성스러운 손이라고 불린다. 그것은 사람들을 악과 다른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특별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어진다.
함사가 부적으로서 널리 퍼지게 된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페니키아의 여신 타니트를 모시는 비석에는 손 모양의 각인이 새겨진 것이 많으며, 타니트의 화신으로 불린 카르타고의 창시자 디도의 상징이기도 하다. 또한, 고대 그리스 신 바쿠스의 제사에도 비슷한 상징이 많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함사는 고대 그리스·페니키아 시대의 지중해 문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38]. 풍요의 여신이자 군신으로서의 성격을 가진 타니트 신앙은, 고대 로마 시대에는 유노 신앙으로 계승되었고, 손 모양도 전파되었다.
3. 2. 유대교에서의 사용
세파라드 유대인들은 악마의 눈에 대한 믿음 때문에 이 부적을 처음 사용한 사람들 중 하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13] 손의 상징은 카발라 필사본과 부적에 나타나며, 히브리어 문자 "신"으로도 사용되어, 샤다이의 첫 글자이자 하나님을 지칭하는 이름 중 하나이다.[14] 유대교 문화에서 함사의 사용은 간헐적으로 나타났으며,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유대인들이 자주 사용했지만,[15] 20세기 중반으로 갈수록 점점 덜 사용되었다. 그러나 보호하는 손에 대한 개념은 성경 시대부터 유대교에 존재했으며, 신명기 5:15에서 언급된 십계명에서 하나님이 이집트에서 히브리인들을 이끄신 "강력한 손"으로 묘사된다.[15] ''함사''는 이후 유대교 예술에서 하늘에서 내려오는 하나님의 손으로 나타난다. 이 시기부터 아슈케나즈 유대인 공동체에서 사용된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중세 스페인 유대인들이 "공감 마법"과 연관하여 함사를 사용했다는 증거도 나타났다.[15] 샬롬 사바르와 같은 역사가들은 1492년 스페인에서 유대인 추방 이후, 추방된 유대인들이 함사를 강제로 이주해야 했던 외국에서 보호 수단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믿고 있지만, 이 추정은 입증하기 어렵다.[15] 사바르에 따르면, 함사는 나중에 유럽의 유대인들이 "사제직의 특징적인 징표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어떤 사람이 사제 혈통임을 보여주고 싶을 때..." 사용되었다.[15]
3. 3. 이슬람 문화에서의 사용
함사는 무슬림들 사이에서도 널리 퍼진 상징으로, 이슬람에서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딸 이름을 따서 파티마의 손으로 알려져 있다. 손의 다섯 손가락은 이슬람의 5가지 기둥과 연관되어 있다.[7] 함사 깃발은 1788년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 당시 오스만 제국에서 사용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함사는 아랍어로 "5"를 의미하며, 다섯 개의 손가락을 뜻한다. 무슬림에게 "5"는 육신오행의 5와 통하며, 하루 동안 행해야 할 예배 횟수 5와도 연결된다. 어느 종교에서든 "5"는 신의 섭리를 나타내는 신비로운 숫자로 여겨진다.[38]
레반트 기독교인들은 이것을 ''마리아의 손''(아랍어: ''Kef Miryam'', 또는 "성모 마리아의 손")이라고 부른다.[16][17]
3. 4. 기독교 문화에서의 사용
''카람사''는 이 지역의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도 행운의 상징으로 인식된다. 레반트 기독교인들은 이것을 ''마리아의 손'' (아랍어: ''Kef Miryam'', 또는 "성모 마리아의 손")이라고 부른다.[16][17] 스페인에서 이슬람 통치가 끝난 지 34년 후, 그 사용이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가 소집한 주교 위원회는 1526년에 파티마의 손과 모든 오른손 부적에 대한 금지령을 내렸다.[6]
4. 상징과 의미
손, 특히 열린 오른손은 보호의 징표이며, 축복, 힘, 강인함을 나타내고 악의 눈을 막는 데 강력한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6][18] 함사는 역사적으로나 전통적으로 중동 지역에서 가장 흔한 금은 보석의 구성 요소 중 하나였으며,[26] 갈탄으로 조각되거나 순수성을 나타내고 마법의 힘을 지닌 것으로 여겨지는 금속인 은으로 만들어졌다.[6][20] 또한 보호를 위해 집 벽에 빨간색으로 칠하거나(때로는 희생된 동물의 피를 사용),[22][27] 임신부나 갓 태어난 아기의 방과 같이 방의 출입구에 칠하거나 걸어놓기도 한다.[6] 손은 악을 물리치기 위해 손가락을 펼쳐 보이거나, 행운을 가져다주기 위해 손가락을 모아 묘사할 수 있다.[19] 손가락을 위로 향하게 하여 물리치거나 아래로 향하게 하여 축복을 내리는 모습으로 묘사할 수도 있다. 매우 양식화된 버전은 손으로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손바닥을 나타내는 중앙 원 주위에 위치한 손가락을 나타내는 다섯 개의 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19]
악의 눈, 즉 질병, 죽음 또는 일반적인 불운을 일으킬 수 있다고 여겨지는 악의적인 시선을 막기 위해, 함사에는 종종 눈 모양이 포함되어 있다.[20][21] 손, 눈 또는 숫자 5를 아랍어(및 베르베르인) 전통으로 묘사하는 것은 "khamsa fi ainek"( "네 눈에 다섯 [손가락]"이라는 의미)이라는 속담에서처럼 악의 눈을 막는 것과 관련이 있다.[21] 손바닥을 보이고 손가락을 약간 벌린 채 오른손을 드는 것은 "공격자를 눈멀게 하려는" 저주의 일부이다.[22] 아랍어로 악의 눈을 막는 또 다른 공식은 손짓 없이 "khamsa wa-khamis"("다섯과 목요일")이다.[23][24] 주의 다섯 번째 날인 목요일은 마법 의식과 존경받는 성인의 무덤으로의 순례에 좋은 날로 여겨지며, 악의 눈의 영향을 막는다.[25]
함사는 아랍 문화와 베르베르 문화 모두에서 중요하기 때문에 알제리의 국장에도 등장하는 알제리의 국가 상징 중 하나이다. 또한 이집트에서 악의 눈을 막기 위한 다양한 부적(눈과 쿠란의 구절이 담긴 은 상자—''Hirz'') 중 가장 인기 있다.[26] "전통적인"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이집트 여성들은 자녀의 머리카락이나 검은색 앞치마에 부착하기 위해 다섯(''khamsa'') 개의 물건으로 구성된 부적인 ''khamaysa''를 종종 만든다. 다섯 개의 물건은 고추, 손, 고리 또는 갈고리에서 매달린 별로 만들 수 있다.[27]
유대인도 "주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강한 손과 뻗은 팔로 이집트에서 데리고 나오셨다"라는 성경 구절과 관련하여 해석되는 손의 상징을 받아들였다.[28] "강한 손"은 함사를 나타내며, 이는 당시 공동체에서 그 중요성을 보여준다. 돕는 손은 하나님께서 백성을 돕고 고난에서 인도하시려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비잔틴 시대 즈음에 예술가들은 하늘에서 뻗어 나오는 하나님의 손을 묘사하곤 했다.[29] 하늘에서 내려온 하나님의 손은 유대인들을 고난에서 이끌었으며, 유대인들은 곧 함사와 그들의 문화를 연결했다. 손은 유대교 텍스트에서 확인되었으며 공동체 전체에서 영향력 있는 아이콘으로 자리 잡았다. 유대인들에게 ''함사''는 매우 존경받고 신성하며 흔한 상징이다. 케투바 또는 결혼 계약, 토라를 장식하는 품목(예: 포인터), 과월절 하가다의 장식으로 사용되기도 했다.[30] 회당 안팎에서 손을 이미지로 사용하는 것은 유대인들이 함사와 관련하여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했음을 시사한다.[31]
중동 전역에서 현대화가 진행되면서, 함사 상징은 일부 지역에서 세속적인 이상과 양립할 수 없다는 인식 때문에 덜 두드러지게 되었다.[32] 그러나 이후 세속주의의 상징으로 부상하여 "행운" 부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유행하는 부적이 되었다. 오늘날 함사는 목걸이, 열쇠 고리, 엽서, 복권, 광고뿐만 아니라 고급 보석, 장식 타일 및 벽 장식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33]
서양의 "나무를 두드리다" 또는 "나무를 만지다"라는 문구와 유사하게, 중동에서 흔히 사용되는 표현은 "Khamsa, Khamsa, Khamsa, tfu, tfu, tfu"이며, 이는 불운을 막기 위해 침을 뱉는 소리를 흉내 낸 것이다.[34]
비옥함과 번영을 강조하는 축제와 같은 이 지역의 다양한 축제에서 숫자 "5"는 함사 부적과의 연관성을 반영하여 종종 강조된다. 모로코에서 터키에 이르기까지 함사는 불행으로부터 보호하는 널리 퍼진 상징이며, 보석, 가정 장식 및 예술에 광범위하게 통합되어 있다.[35] 이 지역의 많은 여성들은 이 부적의 지속적인 문화적 중요성을 상징하는 함사가 있는 보석을 최소 하나 이상 소유하고 있다.[36]
2021년(유니코드 14.0, 이모지 14.0)에 유니코드에 함사 기호( )가 추가되었다.[37] 함사는 아랍어로 "5"를 의미하는 숫자이며, 다섯 개의 손가락을 뜻한다. 히브리어의 하미샤(חֲמִשָּׁה ''chamiššā), 하메쉬(חָמֵשׁ ''chāmēš''he)에 해당하지만, 지금은 음소가 달라졌다(히브리 문자로 아랍어대로 쓰면 כַמְשַׂhe가 된다).
무슬림에게 "5"는 행동 규범인 육신오행의 5와 통하며, 하루 동안 행해야 할 예배 횟수 5와도 연결된다. 유대교 신자에게 "5"는 모세 오경과 통하며, 어느 종교에서든 "5"는 신의 섭리를 나타내는 신비로운 숫자로 여겨진다.[38] 함사가 부적으로서 널리 퍼지게 된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페니키아의 여신 타니트를 모시는 비석에는 손 모양의 각인이 새겨진 것이 많으며, 타니트의 화신으로 불린 카르타고의 창시자 디도의 상징이기도 하다. 고대 그리스 신 바쿠스의 제사에도 비슷한 상징이 많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함사는 고대 그리스·페니키아 시대의 지중해 문화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38] 풍요의 여신이자 군신으로서의 성격을 가진 타니트 신앙은, 고대 로마 시대에는 유노 신앙으로 계승되었고, 손 모양도 전파되었다.
5. 악의 눈과 함사 (한국의 관점)
중동과 남유럽에서는 파란 눈을 가진 사람이 악마의 눈을 가지고 있으며, 고의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람들에게 저주를 거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어떤 사람에게 보이면 자신이나 그 재산에 해가 미치는 주술적인 신앙이라고도 한다.
몇몇 문화권에서는 악마의 눈을 사람들이 무심코 시선을 돌린 대상에게 불운을 가져다주는 징크스로 여겼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질투의 시선"이 불운을 가져온다고 믿었다.
이슬람교의 우상 부정은 형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유일신을 모독하는 것이라는 교리에 따른 것이지만, 민간에서는 이슬람화 이전에 만들어지고 그려진 성상, 우상의 눈이 악마의 눈을 가져온다는 해석이 생겨나 우상 파괴 시 그 눈 주위만 파괴되는 경우가 많았다.
참조
[1]
서적
Zenner
https://books.google[...]
1988
[2]
서적
World Institute for Advanced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Learning
https://books.google[...]
Belmont, Estados Unidos
1991
[3]
서적
Drazin
https://books.google[...]
2009
[4]
서적
The Complete Book of Amulets & Talismans
https://books.google[...]
Llewellyn Publications
[5]
서적
Bernasek et al.
https://books.google[...]
2008
[6]
서적
Sonbol
https://books.google[...]
2005
[7]
웹사이트
The Hamsa (Khamsa)
https://kashgar.com.[...]
2021-01-10
[8]
웹사이트
The World of Child Labor
http://www.credorefe[...]
Loretta E. Bass
2013-09-15
[9]
서적
Qur'an and Woman
Oxford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Islam and Woman: Where Tradition Meets Modernity": History and Interpretations oyt? Yt? the f Islamic Women's Status
[11]
서적
Silver
https://books.google[...]
2008
[12]
웹사이트
Hand of Fatima Meaning – Origin and Variations
2013-09-29
[13]
서적
The Encyclopedia of Jewish Symbols
Rowman & Littlefield
[14]
웹인용
Angels and Demons
http://jewishmag.com[...]
Jewishmag.com
2013-06-25
[15]
서적
From Sacred Symbol to Key Ring: The Hamsa in Jewish and Israeli Societies
Littman Library of Jewish Civilization
[16]
서적
Perennial Books
https://books.google[...]
1970
[17]
서적
Trumball
https://archive.org/[...]
1896
[18]
서적
Rajab
1989
[19]
서적
Gomez
https://books.google[...]
1996
[20]
서적
Lynch and Roberts
https://books.google[...]
2010
[21]
서적
Ham and Bing
https://books.google[...]
2007
[22]
서적
Schimmel
https://books.google[...]
[23]
서적
Lent et al.
1996
[24]
서적
Shinar
https://books.google[...]
2004
[25]
서적
Houtsma
1993
[26]
서적
Badawi
https://books.google[...]
2004
[27]
서적
Early
https://archive.org/[...]
1993
[28]
문서
Sabar, Shalom From Sacred Symbol to Key Ring: The Hamsa in Jewish and Israeli Societies, 141
[29]
문서
Sabar, Shalom From Sacred Symbol to Key Ring, 142
[30]
문서
Sabar, Shalom From Sacred Symbol to Key Ring, 144
[31]
웹사이트
Universality of the hamsa
https://haam.org/uni[...]
2015-04-26
[32]
웹사이트
The Hamsa Hand: Secret Symbolism and Meanings
https://diamondion.c[...]
2018
[33]
웹사이트
The Hamsa Hand: A Cultural and Religious Symbol
https://www.arabamer[...]
2020-03-18
[34]
웹사이트
Lady Luck
http://www.haaretz.c[...]
2007-04-08
[35]
웹사이트
Turkish Symbols and Their Meanings
https://www.turkeyho[...]
[36]
웹사이트
Moroccan Jewelry
https://moroccanzest[...]
2019-02-21
[37]
웹사이트
🪬 Hamsa Emoji
https://emojipedia.o[...]
2023-02-10
[38]
서적
漂着聖女信仰とユダヤ教徒
勉誠出版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