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해양원핵생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양 원핵생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체로, 세균과 고세균을 포함한다. 이들은 다양한 영양 방식을 통해 생존하며, 편모, 미끄럼 운동, 군집 운동, 부력 조절, 자성주성, 기체주성, 생물 발광 등의 다양한 운동성을 나타낸다. 해양 원핵생물은 해양 먹이 사슬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탄소, 질소, 황 순환과 같은 생지화학적 순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양생물 - 해양 생물
    해양 생물은 지구 생명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 왔고,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해양 생태계가 위협받아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 해양생물 - 딱총새우
    딱총새우는 큰 집게발로 '딱' 소리를 내어 먹이를 기절시키거나 의사소통을 하는 3~5cm 크기의 갑각류로, 전 세계 열대 바다에 서식하며 망둑어와 공생하거나 해면동물 안에서 군집 생활을 하는 등 다양한 생태적 특징을 보인다.
  • 부유생물학 - 식물성 플랑크톤
    식물성 플랑크톤은 해양 및 담수 생태계 표층에서 광합성을 하는 미세한 생물로, 수생 먹이 사슬의 기초를 이루며 지구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 부유생물학 - 석회비늘편모류
    석회비늘편모류는 전 세계 해양에 서식하며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코콜리드를 형성하여 코코스피어 외골격을 만들고 해양 생태계에서 탄소 순환과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세 조류이다.
  • 미생물 - 유용미생물군
    유용미생물군(EM)은 농업, 축산, 환경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지만, 효과에 대한 엄격한 과학적 연구 부족으로 객관적인 평가와 추가 연구가 필요한 미생물 혼합 배양액이다.
  • 미생물 - 필로바이러스과
    필로바이러스과는 특정 영장류에서 출혈열을 유발하고 영장류, 돼지, 박쥐 등을 감염시키는 단일가닥RNA바이러스목의 바이러스 분류군으로, 6개의 속이 있으며 에볼라바이러스 백신 개발과 함께 돌연변이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있다.
해양원핵생물
해양 원핵생물
학문 분야미생물학, 해양생물학
분류세균
고세균
생태
서식지해양 환경
기능영양분 순환
생물 정화
중요성지구화학 과정에 영향
특징
크기미세함
세포 구조원핵 세포
다양성유전적, 대사적 다양성이 높음
연구
방법메타게노믹스, 배양 기반 연구
활용생명공학, 환경 모니터링

2. 역사

지구는 약 45억 4천만 년 전에 생겨났으며,[192][193][194] 지구 생명체에 대한 최초의 확실한 증거는 적어도 35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195][196] 원핵생물은 약 30억~40억 년 전부터 지구에 존재했으며,[200][201] 이후 수십억 년 동안 형태나 세포 조직에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202]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비교


과거의 종들은 화석과 현재 유기체의 비교 해부학을 통해 진화의 역사를 알 수 있다.[199] 그러나 원핵생물은 공통적인 형태가 제한적이라 화석만으로는 조상을 파악하기 어렵다.

진핵생물은 16억~27억 년 전에 출현했으며, 세포 구조의 주요 변화는 세균이 진핵 세포에 의해 삼켜지는 내부공생을 통해 일어났다.[203][204] 이후 남세균과 같은 유기체가 또 다른 내부공생을 통해 조류와 식물에서 엽록체를 형성했다.[206]

생명의 역사는 단세포 생물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역사였으며, 약 6억 1천만 년 전 에디아카라기 시대에 다세포 생물이 바다에 나타나기 시작했다.[200][207]

2. 1. 초기 생명체의 출현

지구는 약 45억 4천만 년 전에 생겨났다.[192][193][194] 지구 생명체에 대한 최초의 확실한 증거는 적어도 35억 년 전, 초시생대 시기 서호주에서 발견된 34억 8천만 년 된 사암 미생물 매트 화석이다.[195][196][197][198] 이는 지질학적 지각이 초기 융용 명왕누대에 따라 굳어지기 시작한 후이다.

살아있는 유기체의 계통 발생 및 공생 유전 나무, 진핵 생물과 원핵 생물의 기원에 대한 견해를 보여준다.


원핵생물은 약 30억~40억 년 전부터 지구에 존재했으며,[200][201] 이후 수십억 년 동안 형태학이나 세포 조직의 명백한 변화는 발생하지 않았다.[202]

2. 2. 원핵생물의 진화

지구는 약 전에 생겨났다.[192][193][194] 지구의 생명체에 대한 최초의 확실한 증거는 적어도 전, 초시생대 시기 서호주에서 발견된 된 사암 미생물 매트 화석이다. 이는 지질학적 지각이 초기 융용 명왕누대에 따라 굳어지기 시작한 후의 일이다.[197][198]

과거의 종들은 진화 역사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화석은 현재 유기체의 비교 해부학과 함께 형태학적 또는 해부학적 기록을 구성한다.[199] 고생물학자들은 현대 종과 멸종된 종의 해부학을 비교하여 해당 종의 계통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껍질, 뼈 또는 이빨과 같은 단단한 신체 부위를 가진 유기체에 가장 성공적이다. 또한, 세균 및 고균과 같은 원핵생물은 제한된 공통 형태를 공유하기 때문에, 그들의 화석은 조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원핵 생물은 약 ~ 전부터 지구에 존재했다.[200][201] 형태학이나 세포 조직의 명백한 변화는 향후 수십억 년 동안 이 유기체에서 발생하지 않았다.[202] 진핵 세포는 에서 전에 나타났다. 세포 구조의 다음 주요 변화는 박테리아가 진핵 세포에 의해 삼켜졌을 때, 내부공생이라고 불리는 협동 조합을 통해 이루어졌다.[203][204] 그 후 삼켜진 박테리아와 숙주 세포는 공진화를 거쳤고, 박테리아는 미토콘드리아나 하이드로게노좀으로 진화했다.[205] 남세균 같은 유기체의 또 다른 삼킴은 조류와 식물에서 엽록체의 형성으로 이어졌다.[206]

생명의 역사는 단세포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역사였고, 약 전 에디아카라기 시대에 다세포 생물이 바다에 나타나기 시작했다.[200][207] 다세포성의 진화해면동물, 갈조류, 남세균, 점균류점액세균 같은 다양한 생물에서 여러 독립적인 사건들에서 일어났다.[208]

2016년에 과학자들은 약 전에 GK-PID라고 불리는 단일 분자의 작은 유전적 변화가 유기체가 단일 세포 유기체에서 많은 세포 중 하나로 갈 수 있게 했을지도 모른다고 보고했다.[209]

이러한 최초의 다세포 생물이 출현한 직후, 캄브리아기 대폭발이라고 불리는 사건으로, 약 에 걸쳐 놀라운 양의 생물학적 다양성이 나타났다. 여기서, 대부분의 종류의 현대 동물들이 화석 기록에 등장했고, 그 후에 멸종된 독특한 계통도 나타났다.[210] 캄브리아기 대폭발은 광합성으로 인한 대기산소의 축적을 포함하여 다양한 계기가 제안되었다.[211]

2. 3. 캄브리아기 대폭발

최초의 다세포 유기체가 출현한 직후, 약 1천만 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생물학적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캄브리아기 대폭발 현상이 일어났다. 이 시기에 현대 동물의 대부분의 문(門)이 화석 기록에 나타났으며,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독특한 생물 계통도 나타났다가 사라졌다.[29] 캄브리아기 대폭발의 원인으로는 광합성으로 인한 대기산소 농도 증가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30]

3. 배경

다른 생물체 및 생체분자와 비교했을 때 원핵생물(세균고세균)과 바이러스의 크기 범위


지구상 생명체에 대한 가장 초기의 증거는 37억 년 전 암석에서 발견된 생물 기원 탄소 지문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다.[218][219] 2015년에는 41억 년 전 암석에서 "생물체의 잔해"가 발견되기도 했다.[220][221] 2017년에는 열수 분출공 침전물에서 화석화된 미생물 형태로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생명체에 대한 증거가 보고되었는데, 이는 42억 8천만 년 전, 즉 바다가 형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44억 년 전, 그리고 지구가 형성된 지 얼마 되지 않은 45억 4천만 년 전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222][223]

해양 미생물을 포함한 바다 안개는 대기 중으로 높이 솟아 올라 에어로플랑크톤이 되어 지구로 다시 떨어지기 전에 전 세계를 이동할 수 있다.


세균고세균이 공존하는 미생물 매트는 초기 시생누대의 지배적인 생명체 형태였으며, 초기 진화의 주요 단계가 이 환경에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된다.[224] 약 35억 년 전 광합성의 진화는 대기 중에 산소 부산물의 축적을 초래하여 약 24억 년 전에 산소 대폭발 사건을 일으켰다.[225]

진핵생물의 가장 초기 증거는 18억 5천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26][227] 이들이 더 일찍 존재했을 수도 있지만, 신진대사에 산소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다양화가 가속화되었다. 이후 약 17억 년 전에 세포 분화된 세포가 전문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다세포 생물이 나타나기 시작했다.[228]

원핵생물을 포함한 공기 중 미생물은 기상 시스템 위, 상업용 비행 경로 아래에서 지구를 순환한다.[232] 일부 미생물은 육상 먼지 폭풍에 휩쓸려 가지만, 대부분은 바다 안개 속의 해양 미생물에서 유래한다. 2018년 과학자들은 매일 수억 개의 바이러스와 수천만 개의 세균이 지구 주변의 모든 제곱미터에 침전된다고 보고했다.[233][234]

해양 생태계에서 바이러스의 역할과 같이 바닷속 미생물 생명체는 다양하지만 여전히 잘 이해되지 않고 있다.[235] 대부분의 해양 바이러스는 박테리오파지이며, 식물과 동물에게는 무해하지만 해수 및 담수 생태계 조절에 필수적이다.[236] 이들은 수생 미생물 군집에서 세균과 고세균을 감염시켜 파괴하며, 해양 환경에서 탄소 순환의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바이러스는 죽은 세균 세포에서 유기 분자를 방출하여 새로운 세균과 조류 성장을 촉진한다.[237] 바이러스 활동은 탄소가 심해에 탄소 격리되는 과정인 생물학적 펌프에도 기여할 수 있다.[238]

3. 1.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구분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어원은 그리스어로 ''pro''는 "전(前)", ''eu''는 "잘" 또는 "진실", ''karyon''은 "견과", "핵"을 의미한다.[212][213][214] 따라서 어원적으로 원핵생물은 "핵 이전"을 의미하고 진핵생물은 "진정한 핵"을 의미한다.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간의 생명체 구별은 미생물학자 로저 스태니어와 C. B. 반 니엘이 1962년에 발표한 논문 ''세균의 개념(The concept of a bacterium)''에서 확고하게 정립되었다.[215] 이러한 분류의 한 가지 이유는 당시 ''남세균'' (현재는 시아노박테리아)이라고 불리던 생물이 식물로 분류되지 않고 세균과 함께 그룹화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1990년 칼 우즈 등은 3역 도메인 시스템을 도입했다.[216][217] 원핵생물은 고세균세균이라는 두 개의 도메인으로 나뉘었고, 진핵생물은 자체적으로 도메인이 되었다. 이전 분류와의 주요 차이점은 고세균이 세균에서 분리된 것이다.

3. 2. 3역 체계

1990년 칼 우즈 등은 3역 체계를 도입했다.[216][217] 원핵생물은 고세균세균 두 영역으로 나뉘었고, 진핵생물은 그 자체로 하나의 영역이 되었다. 이전 분류와의 주요 차이점은 고세균이 세균에서 분리된 것이다.

4. 해양 세균 (Marine Bacteria)

여러 가지 세균의 모양(원형, 막대형, 나선형)과 사람의 머리카락 너비와 비교한 크기.


세균은 원핵생물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몇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길이를 가진 세균들은 구형, 막대형, 나선형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진다. 세균은 지구에서 출현한 최초의 생명체 중 하나이며 지구상의 모든 환경에서 서식한다. 세균은 토양이나 물속, 산성을 띤 온천, 방사성 폐기물[239], 그리고 깊은 땅속에도 서식한다. 또한 동식물과 공생하거나 기생하며 살기도 한다.

세균은 한때 분열균(Schizomycetes)을 구성하는 식물로 여겨졌었지만, 현재는 원핵생물로 분류된다. 동물이나 진핵생물의 세포와는 달리, 세균은 세포핵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막성 세포소기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거의 없다. 과거에 '세균'은 모든 원핵생물을 포함하는 용어였으나, 1990년대에 원핵생물이 고대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하였지만 매우 다른 두 가지 유형의 유기체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면서 과학적인 분류가 변화하였다. 이 두 가지 진화 영역을 세균과 고균이라 한다.[240]

4. 1. 세균의 다양성과 분포

]]

  • -|]]|thumb|''Pelagibacter ubique''는 SAR11 계통에 속하며, 바다에서 가장 풍부한 박테리아로, 전 세계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thumb| 해양 세균의 광범위하고 중요한 속인 ''Roseobacter'' 균주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 크기 비교를 위해 막공의 크기는 직경 0.2'' ''μm이다.[60]]]
  • -|]]|thumb|right|''Vibrio vulnificus''는 기수역과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는 독성이 강한 세균]]


세균원핵생물 미생물의 거대한 계를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몇 마이크로미터인 세균은 구형에서 막대형, 나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세균은 지구에 처음 나타난 생명체 중 하나였으며 대부분의 서식지에 존재한다. 세균은 토양, 물, 온천, 방사성 폐기물,[61] 그리고 지각의 깊은 부분에 서식한다. 세균은 또한 식물 및 동물과 공생기생 관계를 유지하며 살아가기도 한다.

과거에는 ''Schizomycetes'' 강을 구성하는 식물로 여겨졌지만, 현재 세균은 원핵생물로 분류된다. 동물 및 다른 진핵생물의 세포와 달리 세균 세포는 세포 핵을 포함하지 않으며,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을 거의 가지고 있지 않다. 전통적으로 "세균"이라는 용어는 모든 원핵생물을 포함했지만, 1990년대에 원핵생물이 고대 공통 조상으로부터 진화한 두 개의 매우 다른 생물군으로 구성된다는 사실이 밝혀진 후 과학적 분류가 변경되었다. 이러한 진화 계통은 ''세균''과 ''고세균''이라고 불린다.[36]

현대 세균의 조상은 약 40억 년 전에 지구에 나타난 생물 기원의 단세포 미생물이었다. 약 30억 년 동안 대부분의 유기체는 현미경적이었고, 세균과 고세균이 주요 생명체 형태였다.[62][63] 세균의 화석스트로마톨라이트가 존재하지만, 뚜렷한 형태가 없기 때문에 세균 진화의 역사를 조사하거나 특정 세균 종의 기원을 추정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유전자 염기 서열은 세균의 계통 발생을 재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세균이 고세균/진핵생물 계통에서 먼저 분기되었음을 보여준다.[64]

세균은 또한 고세균과 진핵생물의 두 번째 대진화 분기에도 관여했다. 여기서 진핵생물은 고대 세균이 진핵세포의 조상(자신도 고세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과의 공생 관계에 진입한 결과였다.[21][65] 이것은 원시 진핵 세포가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공생체를 삼켜 미토콘드리아 또는 수소소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했으며, 이는 여전히 모든 알려진 진핵생물에서 발견된다. 나중에 미토콘드리아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일부 진핵생물은 또한 남세균 유사 유기체를 삼켰다. 이것은 조류와 식물에서 엽록체 형성을 이끌었다. 또한 후기 공생 사건에서 유래한 일부 조류도 있다. 여기서 진핵생물은 "2세대" 색소를 개발한 진핵 조류를 삼켰다.[66][67] 이것은 2차 공생으로 알려져 있다.

세균은 고정된 크기로 성장한 다음 무성 생식의 한 형태인 이분법을 통해 번식한다.[68] 최적의 조건에서 세균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분열할 수 있으며, 세균 개체군은 9.8분마다 배가될 수 있다.[69]

''Pelagibacter ubique''와 그 친척들은 바다에서 가장 풍부한 미생물일 수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세균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되었다. 그들은 모든 미생물 플랑크톤 세포의 약 25%를 차지하며, 여름에는 온대 해양 표층수에 존재하는 세포의 약 절반을 차지할 수 있다. ''P. ubique''와 친척들의 총 풍부도는 약 2 × 1028 미생물로 추정된다.[70] 그러나 2013년 2월 ''네이처''에 ''P. ubique''를 공격하는 세균 바이러스인 HTVC010P가 발견되었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유기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71][72]

''Roseobacter'' 또한 바다에서 가장 풍부하고 다재다능한 미생물 중 하나이다. 연안에서 열린 바다, 해빙에서 해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양 서식지에 분포하며, 연안 해양 세균의 약 25%를 차지한다. ''Roseobacter'' 속의 구성원은 해양 생지화학 순환 및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양 환경 전체 탄소의 상당 부분을 처리한다. 그들은 방향족 화합물을 분해하고 미량 금속을 흡수할 수 있는 공생 관계를 형성한다. 양식업정족수 감지에 널리 사용된다. 조류 번식 동안 원핵생물 군집의 20~30%가 Roseobacter이다.[73][74]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세균인 해양 ''Thiomargarita namibiensis''는 육안으로 볼 수 있으며, 때로는 0.75mm에 달한다.[75][76]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세균인 해양 ''Thiomargarita namibiensis''


세균 ''Marinomonas arctica''는 영하의 온도에서 북극 해빙 내에서 성장한다.


다른 해양 세균은 남세균 외에도 어디에나 존재하거나 해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기회주의적인 영양세균인 ''알테로모나스 마클로디''가 포함된다.

4. 2. 해양 세균의 진화

원핵생물은 약 30억~40억 년 전부터 지구에 서식했다.[200][201] 이 유기체에서는 형태 또는 세포 조직에 뚜렷한 변화가 다음 수십억 년 동안 일어나지 않았다.[202]

현대 세균의 조상은 약 40억 년 전에 지구에 나타난 생물 기원의 단세포 생물이었다. 약 30억 년 동안 대부분의 유기체는 현미경적이었고, 세균과 고세균이 주요 생명체 형태였다.[241][242] 스트로마톨라이트와 같은 세균 화석이 존재하지만, 뚜렷한 형태가 없기 때문에 세균 진화의 역사를 조사하거나 특정 세균 종의 기원을 추정하는 데 사용할 수 없다. 그러나 유전자 염기 서열은 세균의 계통 발생을 재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구는 세균이 고세균/진핵생물 계통에서 먼저 분기되었음을 보여준다.[243]

세균은 또한 고세균과 진핵생물의 두 번째 대진화 분기에도 관여했다. 여기서 진핵생물은 고대 세균이 진핵세포의 조상(자신도 고세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음)과의 공생 관계에 진입한 결과였다.[204][244] 이것은 원시 진핵 세포가 알파프로테오박테리아 공생체를 삼켜 미토콘드리아 또는 하이드로게노좀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했으며, 이는 여전히 모든 알려진 진핵생물에서 발견된다. 나중에 미토콘드리아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일부 진핵생물은 남세균 유사 유기체를 삼켰다. 이것은 조류식물에서 엽록체 형성을 이끌었다. 또한 후기 공생 사건에서 유래한 일부 조류도 있는데, 여기서 진핵생물은 "2세대" 색소체를 개발한 진핵 조류를 삼켰다.[245][246] 이것은 2차 공생으로 알려져 있다.


4. 3. 주요 해양 세균

펠라지박터 유비크(Pelagibacter ubique)는 SAR11 계통에 속하며, 바다에서 가장 풍부한 박테리아로, 전 세계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브리오 불니피쿠스(Vibrio vulnificus)는 기수역과 해안 지역에서 발견되는 독성이 강한 세균이다.


펠라지박터 유비크(Pelagibacter ubique)와 그 근연종은 바다에서 가장 풍부한 미생물일 수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세균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되었다. 그들은 모든 미생물 플랑크톤 세포의 약 25%를 차지하며, 여름에는 온대 해양 표층수에 존재하는 세포의 약 절반을 차지할 수 있다. ''P. ubique''와 근연종의 총 풍부도는 약 2×1028 미생물로 추정된다.[70] 그러나 2013년 2월 네이처에 ''P. ubique''를 공격하는 세균 바이러스인 HTVC010P가 발견되었으며,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유기체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71][72]

로제오박터(Roseobacter) 또한 바다에서 가장 풍부하고 다재다능한 미생물 중 하나이다. 연안에서 열린 바다, 해빙에서 해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양 서식지에 분포하며, 연안 해양 세균의 약 25%를 차지한다. 로제오박터(Roseobacter) 속의 구성원은 해양 생지화학 순환 및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양 환경 전체 탄소의 상당 부분을 처리한다. 그들은 방향족 화합물을 분해하고 미량 금속을 흡수할 수 있는 공생 관계를 형성한다. 양식업과 쿼럼 감지에 널리 사용된다. 조류 번식 동안 원핵생물 군집의 20~30%가 로제오박터이다.[73][74]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세균인 해양 티오마르가리타 나미비엔시스(Thiomargarita namibiensis)는 육안으로 볼 수 있으며, 때로는 0.75mm에 달한다.[75][76]

다른 해양 세균은 시아노박테리아 외에도 어디에나 존재하거나 해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기회주의적인 영양세균인 알테로모나스 마클레오디(Alteromonas macleodii)가 포함된다.

4. 4. 남세균 (Cyanobacteria)

'''해양 남세균 트리코데스미움(''Trichodesmium)'' 군락은 세균들과 상호작용하여 먼지로부터 철을 얻는다. a.''' 질소 고정 트리코데스미움(''Trichodesmium'')은 바다를 중요한 영양소로 비옥하게 하는데 있어서 환경적으로 큰 중요성을 가진다'''. b.''' 트리코데스미움은 먼지를 포획한 후 천천히 녹이는 독특한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먼지 퇴적률은 높지만 영양소는 부족한 해역에서 대증식을 할 수 있다. '''c.''' 군집 내의 세균은 먼지와 반응하여 먼지를 용해시키는 시데로포어(siderophore)를 생성한다. 시데로포어에 의해 복합되고 용해된 철은 트리코데스미움이 획득하고 서로에게 상호이득을 가져다 준다.


사상성 남세균 트리코데스미움(''Trichodesmium'')의 대증식


남세균은 햇빛을 화학 에너지로 바꾸는 능력을 진화시킨 최초의 유기체이다. 남세균은 단세포 세균에서 사상성 세균(Filamentous bacteria)까지 다양하며 군집종을 포함하는 문(Phylum)을 형성한다. 습지, 담수 및 해양 환경, 남극의 암석 등 지구상의 거의 모든 곳에서 발견된다.[256] 특히, 식물성 플랑크톤처럼 어떤 종들은 바다에 떠다니기도 한다. 최초로 광합성을 시작한 생산자는 약 23억년 전의 해양 남세균이었다.[257][258] 남세균의 광합성에 의한 산물인 산소 분자의 방출은 지구 환경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당시 지구상의 대부분의 생명체에게는 산소가 독성이었기 때문에 산소에 내성이 없던 유기체들은 거의 멸종 위기에 처하게 되었고, 이것은 주요 동식물의 진화 방향을 바꾸는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259]

1986년에 발견된 0.6 µm정도의 아주 작은 크기의 해양 남세균인 프로클로로코커스(''Prochlorococcus'')는 오늘날 해양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기초를 형성하고 있으며, 외해의 광합성[260]과 지구 대기 중 산소의 20%를 생산한다고 추정된다.[261] 이 세균은 표면 해수 1mL 당 100,000개 이상 존재하여 아마도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속(Genus)일 것이라 생각된다.[262]

원래 생물학자들은 남세균을 조류로 분류하여 남조류(Blue-green algae)라고 불렀다. 최근에는 남세균은 세균이며 조류(Algae)와 함께 분류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모든 원핵생물을 조류(Algae)로부터 제외시켰고 이에 따라 남세균 또한 조류에서 제외되었다.[263][264]

5. 해양 고세균 (Marine Archaea)

고세균은 처음에는 극한 환경에서 사는 호극성균으로 알려졌으나, 이후 바다를 포함한 광범위한 환경에서 발견되었다.[266] 이들은 세포 내에 핵이나 막으로 둘러싸인 소기관이 없는 원핵생물이다.

고세균은 초기에 박테리아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진핵생물, 박테리아와 함께 생물의 세 영역 중 하나로 분류된다. 고세균은 여러 문(phyla)으로 나뉘는데, 대부분은 실험실에서 배양되지 않아 환경 시료의 핵산 분석을 통해서만 존재가 확인되었다.

몇몇 고세균은 ''할로카드라툼 월스비''처럼 독특한 형태를 가지기도 한다.[267] 이들은 전사와 번역 등 일부 대사 경로에서 진핵생물과 유사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세포막의 에테르 지질(알케이올) 등 독특한 생화학적 특징을 보인다.

고세균은 당, 암모니아, 금속 이온, 수소 가스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사용하며, 일부는 햇빛을 이용하거나(할로박테리아) 탄소를 고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식물이나 남세균처럼 광합성과 탄소 고정을 모두 수행하는 고세균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들은 이분법, 단편화, 출아와 같은 방식으로 무성 생식을 하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고세균은 특히 바다에 풍부하며, 플랑크톤 속 고세균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생물군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들은 탄소 순환과 질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크레고균(Thermoproteota)은 해양 환경에서 탄소 고정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268]

2002년 열수 분출공에서 발견된 나노아케움 에퀴탄스는 매우 작은 크기(지름 400nm)와 숙주인 이그니코커스에 의존하는 공생 관계로 주목받는 해양 고세균이다. 이들은 스스로 지질을 합성하지 못하고 숙주로부터 얻는다.[96][97]

해양 고세균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69]

그룹분류군특징
Marine Group I (MG-I)타움고균 (최대 Id까지의 하위 그룹 Ia)
Marine Group II (MG-II)에우리고균, Poseidoniales목, 하위 분류군 IIa ~ IIdIIa는 Poseidoniaceae와 유사, IIb는 Thalassarchaceae와 유사. MGII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는 마그로바이러스로 분류
Marine Group III (MG-III)유리고세균, 해양 해저 그룹 D
Marine Group IV (MG-IV)유리고세균


5. 1. 고세균의 특징과 분류

고세균(그리스어로 ''고대인''[92])은 단세포 생물의 역과 계를 구성한다. 이 미생물은 원핵생물로, 세포에 세포 핵이나 다른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세균은 처음에 세균으로 분류되었지만, 이 분류는 오래되었다.[93] 고세균 세포는 다른 두 생물 역인 세균과 진핵생물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세균은 더 나아가 여러 개의 인정된 문으로 나뉜다. 대부분이 실험실에서 분리되지 않았고, 환경에서 채취한 시료의 핵산 분석을 통해서만 감지되었기 때문에 분류가 어렵다.

세균과 고세균은 일반적으로 크기와 모양이 유사하지만, 몇몇 고세균은 ''Haloquadratum walsbyi''의 납작하고 사각형 모양의 세포와 같이 매우 이상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94] 세균과 이러한 형태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고세균은 진핵생물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자와 몇 가지 대사 경로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전사와 번역에 관련된 효소가 그렇다. 고세균 생화학의 다른 측면은 고유하며, 예를 들어 아키올과 같은 에테르 지질을 세포막에 의존한다. 고세균은 진핵생물보다 더 많은 에너지원을 사용한다. 이 에너지원은 유기 화합물 (예: 당)에서 암모니아, 이온, 또는 심지어 수소 가스까지 다양하다. 염분에 강한 고세균 (할로고세균)은 햇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다른 고세균 종은 탄소 고정을 한다. 그러나 식물과 시아노박테리아와 달리, 고세균 종은 두 가지 모두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고세균은 이분법, 분열, 또는 출아를 통해 무성 생식을 한다. 세균과 진핵생물과 달리, 알려진 종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고세균은 특히 바다에 많으며, 플랑크톤의 고세균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군 중 하나일 수 있다. 고세균은 지구 생명의 중요한 부분이며, 탄소 순환과 질소 순환 모두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rmoproteota (크레나에오타 또는 에오사이트라고도 함)는 해양 환경에서 매우 풍부하고 탄소 고정에 주요 기여자로 여겨지는 고세균의 문이다.[95]

에오사이트는 해양 고세균 중에서 가장 풍부할 수 있다.


Ignicoccus를 숙주로 하는 두 개의 ''Nanoarchaeum equitans'' 세포


''Nanoarchaeum equitans''는 2002년 열수 분출공에서 발견된 해양 고세균의 일종이다. 약 80°C의 온도에서 성장하는 고온균이다. ''Nanoarchaeum''은 고세균인 ''Ignicoccus''에 대한 절대 공생체인 것으로 보인다. ''Nanoarchaeum equitans''는 지질을 합성할 수 없지만 숙주로부터 지질을 얻기 때문에 생존하려면 숙주 생물과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세포의 직경이 400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알려진 가장 작은 세포 생물 중 하나이자 가장 작은 고세균이다.[96][97]

해양 고세균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98][99][100][101][102]

  • Marine Group I (MG-I 또는 MGI): 해양 니트로소스파이로타, 아군 Ia (일명 I.a)에서 Id까지
  • Marine Group II (MG-II): 해양 Euryarchaeota, Poseidoniales목[103], 아군 IIa에서 IId까지 (IIa는 Poseidoniaceae를 닮았고, IIb는 Thalassarchaceae를 닮았음)
    MGII를 기생하는 바이러스는 마그로바이러스로 분류된다.
  • Marine Group III (MG-III): 또한 해양 Euryarchaeota, Marine Benthic Group D[104]
  • Marine Group IV (MG-IV): 또한 해양 Euryarchaeota[105]

5. 2. 주요 해양 고세균

고세균(그리스어로 ''고대인''[92])은 단세포 생물의 역과 계를 구성한다. 이 미생물은 원핵생물로, 세포에 세포 핵이나 다른 막으로 둘러싸인 세포 소기관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세균은 처음에 세균으로 분류되었지만, 이 분류는 오래되었다.[93] 고세균 세포는 다른 두 생물 역인 세균과 진핵생물과 구별되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세균은 더 나아가 여러 개의 인정된 문으로 나뉜다. 대부분이 실험실에서 분리되지 않았고, 환경에서 채취한 시료의 핵산 분석을 통해서만 감지되었기 때문에 분류가 어렵다.

세균과 고세균은 일반적으로 크기와 모양이 유사하지만, 몇몇 고세균은 ''Haloquadratum walsbyi''의 납작하고 사각형 모양의 세포와 같이 매우 이상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94] 세균과 이러한 형태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고세균은 진핵생물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자와 몇 가지 대사 경로를 가지고 있는데, 특히 전사와 번역에 관련된 효소가 그렇다. 고세균 생화학의 다른 측면은 고유하며, 예를 들어 아키올과 같은 에테르 지질을 세포막에 의존한다. 고세균은 진핵생물보다 더 많은 에너지원을 사용한다. 이 에너지원은 유기 화합물 (예: 당)에서 암모니아, 이온, 또는 심지어 수소 가스까지 다양하다. 염분에 강한 고세균 (할로고세균)은 햇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다른 고세균 종은 탄소 고정을 한다. 그러나 식물과 시아노박테리아와 달리, 고세균 종은 두 가지 모두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고세균은 이분법, 분열, 또는 출아를 통해 무성 생식을 한다. 세균과 진핵생물과 달리, 알려진 종은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다.

고세균은 특히 바다에 많으며, 플랑크톤의 고세균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군 중 하나일 수 있다. 고세균은 지구 생명의 중요한 부분이며, 탄소 순환과 질소 순환 모두에서 역할을 할 수 있다. Thermoproteota (크레나에오타 또는 에오사이트라고도 함)는 해양 환경에서 매우 풍부하고 탄소 고정에 주요 기여자로 여겨지는 고세균의 문이다.[95]

''Nanoarchaeum equitans''는 2002년 열수 분출공에서 발견된 해양 고세균의 일종이다. 약 80°C의 온도에서 성장하는 고온균이다. ''Nanoarchaeum''은 고세균인 ''Ignicoccus''에 대한 절대 공생체인 것으로 보인다. ''Nanoarchaeum equitans''는 지질을 합성할 수 없지만 숙주로부터 지질을 얻기 때문에 생존하려면 숙주 생물과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세포의 직경이 400 나노미터에 불과하여 알려진 가장 작은 세포 생물 중 하나이자 가장 작은 고세균이다.[96][97]

해양 고세균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98][99][100][101][102]

  • Marine Group I (MG-I 또는 MGI): 해양 니트로소스파이로타, 아군 Ia (일명 I.a)에서 Id까지
  • Marine Group II (MG-II): 해양 Euryarchaeota, Poseidoniales목[103], 아군 IIa에서 IId까지 (IIa는 Poseidoniaceae를 닮았고, IIb는 Thalassarchaceae를 닮았음)

MGII를 기생하는 바이러스는 마그로바이러스로 분류된다.

  • Marine Group III (MG-III): 또한 해양 Euryarchaeota, Marine Benthic Group D[104]
  • Marine Group IV (MG-IV): 또한 해양 Euryarchaeota[105]

6. 영양 방식 (Trophic mode)

원핵생물은 에너지원, 전자공여체, 성장에 사용되는 탄소원에 따라 영양군으로 분류된다. 해양 원핵생물은 오랜 기간 생존하면서 다양하게 진화했다. 원핵생물의 대사는 진핵생물보다 훨씬 다양하여 여러 종류의 원핵생물로 이어졌다. 예를 들어, 해양 원핵생물은 진핵생물처럼 광합성이나 유기화합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황화 수소 같은 무기화합물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272] 이는 해양 원핵생물이 남극 얼음 표면처럼 혹독한 환경에서 극한 미생물로 자라거나, 해저 열수분출공처럼 뜨겁거나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살 수 있게 한다. 일부 해양 원핵생물은 다른 해양 생물 안이나 위에 공생하며 살아간다.

원핵생물의 영양 방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6. 1. 영양 유형 분류

원핵생물은 에너지원, 전자공여체, 성장에 사용되는 탄소의 공급원 등 3가지 주요 기준에 따라 영양군으로 분류된다.[270][271]

세균 대사의 영양 유형
영양 유형에너지원탄소원
광영양생물햇빛유기화합물(광영양증) 또는 탄소고정(광영양증)남세균, 녹색황세균, 녹만균류 또는 홍색세균
무기영양생물무기화합물유기화합물 또는 탄소고정Thermodesulfobacteriota, Hydrogenophilaceae, 또는 Nitrospirota
유기영양생물유기화합물유기화합물(화학영양생물) 또는 탄소고정(화학영양생물)간균속, 클로스트리듐 또는 장내세균



해양 원핵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매우 다양해졌다. 원핵생물의 대사는 진핵생물의 대사보다 훨씬 다양하여 매우 다른 종류의 원핵생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진핵생물처럼 광합성이나 유기화합물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해양 원핵생물들은 황화수소와 같은 무기화합물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것은 해양 원핵생물들이 남극 얼음 표면과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 극한 환경 미생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며, 저온생물학에서 연구돼 해저 열수분출공처럼 뜨겁거나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성장할 수 있게 한다. 일부 해양 원핵생물들은 다른 해양 유기체들 안이나 몸 위에서 공생적으로 산다.[272]

해산의 측면에서 산화철로 둘러싸인 미생물 매트는 철을 산화시키는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Zetaproteobacteria)의 지배를 받는 미생물 군집을 수용할 수 있다.

  • 광영양생물은 세균 분류에서 항상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특히 중요한 표지이다.[273] 호기성 무산소성 광영양 박테리아(AAPB)는 널리 분포하는 해양 플랑크톤으로, 외해 미생물군의 10% 이상을 차지한다.[273] 해양 AAPB는 에리스로박터와 로즈오박터의 2개의 해양 속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특히 과영양 상태에서는 군락의 24%가 될 수 있다.[274] 이러한 종속영양생물들은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빛을 사용하지만, 이산화탄소를 일차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 대부분은 필수적으로 유산소인데, 이것은 그들이 자라기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의 데이터는 해양 박테리아가 며칠의 생성 시간을 갖는다는 것을 제시하는 반면, AAPB가 훨씬 더 짧은 생성 시간을 갖는다는 새로운 증거가 존재한다. 해안이나 선반 수역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AAPB의 양이 많고 그중에는 13.51%까지 높은 것도 있다. 식물 플랑크톤은 AAPB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이 분야에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275] 이들은 또한 세계 해양에서 가장 과영양 적인 체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과영양 조건에서도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276] 이들은 세계적으로 유광층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양 미생물 군집의 지금까지 인식되지 않았던 성분을 나타내고 있어 해양에서의 유기 탄소와 무기 탄소 양쪽 순환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277]

  • 홍색세균:
  •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Zetaproteobacteria): 철산화 호중구성 화학무기독립영양 생물로 전 세계 하구와 해양 서식지에 분포한다.
  • 수소 산화 박테리아는 호기성균과 혐기성균으로 나뉠 수 있는 독립영양생물이다. 전자는 수소를 전자공여체로,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후자는 황산염이나 이산화질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278]

6. 2. 해양 원핵생물의 다양한 영양 방식

해양 원핵생물은 오랜 기간 동안 생존하면서 매우 다양해졌다. 원핵생물의 대사는 진핵생물의 대사보다 훨씬 다양하며, 이는 매우 다른 종류의 원핵생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해양 원핵생물들은 진핵생물처럼 광합성이나 유기화합물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황화 수소와 같은 무기화합물로부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272] 이것은 해양 원핵생물들이 남극 얼음 표면과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 극한 환경 미생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며, 저온생물학에서 연구돼 해저 열수분출공처럼 뜨겁거나 염분이 많은 환경에서도 성장할 수 있게 한다. 일부 해양 원핵생물들은 다른 해양 유기체들 안이나 몸 위에서 공생적으로 산다.

원핵생물 대사는 세 가지 주요 기준, 즉 에너지원, 전자공여체, 성장에 사용되는 탄소의 공급원에 따라 영양군으로 분류된다.[270][271]

세균 대사의 영양 유형
영양 유형에너지원탄소원
광영양생물햇빛유기화합물(광종속영양생물) 또는 탄소 고정(광독립영양생물)남세균, 녹황세균, 녹만균류 또는 홍색세균
화학무기영양생물무기화합물유기화합물(화학종속영양생물) 또는 탄소 고정(화학독립영양생물)Thermodesulfobacteriota, Hydrogenophilaceae, 또는 니트로스피라타
유기영양생물유기화합물유기화합물(화학종속영양생물) 또는 탄소 고정(화학독립영양생물)간균속, 클로스트리듐 또는 장내세균과


  • 광영양생물은 세균 분류에서 항상 중요한 역할을 하는 특히 중요한 표지이다.[273]
  • 호기성 무산소성 광영양 박테리아(AAPB)는 널리 분포하는 해양 플랑크톤으로, 외해 미생물군의 10% 이상을 차지한다.[273] 해양 AAPB는 에리스로박터와 로즈오박터의 두 해양 속으로 분류된다.[274] 특히 과영양 상태에서는 군락의 24%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종속영양생물들은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빛을 사용하지만, 이산화탄소를 일차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없다. 대부분은 필수적으로 호기성인데, 이것은 그들이 자라기 위해 산소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의 데이터는 해양 박테리아가 며칠의 생성 시간을 갖는다는 것을 제시하는 반면, AAPB가 훨씬 더 짧은 생성 시간을 갖는다는 새로운 증거가 존재한다. 해안이나 선반 수역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AAPB의 양이 많고 그중에는 13.51%까지 높은 것도 있다.[275] 식물 플랑크톤은 AAPB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이 분야에서는 거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들은 또한 세계 해양에서 가장 과영양 적인 체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과영양 조건에서도 풍부하게 존재할 수 있다.[276] 이들은 세계적으로 유광층에 분포하고 있으며 해양 미생물 군집의 지금까지 인식되지 않았던 성분을 나타내고 있어 해양에서의 유기 탄소와 무기 탄소 양쪽 순환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277]
  • 홍색세균
  •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Zetaproteobacteria): 철산화 호중구성 화학무기독립영양 생물로 전 세계 하구와 해양 서식지에 분포한다.
  • 수소 산화 박테리아는 호기성균과 혐기성균으로 나뉠 수 있는 독립영양생물이다. 전자는 수소를 전자공여체로,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후자는 황산염이나 이산화질소를 전자수용체로 사용한다.[278]


7. 운동성 (Motility)

운동성은 생물체가 대사 에너지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능력이다.

원핵생물은 주로 편모를 이용해 이동하며, 세균 편모와 고세균 편모(아르켈럼)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트위칭 운동성은 표면 위를 이동하는 데 사용되는 세균 운동성의 한 형태이다. 트위칭은 세포 외부에서 뻗어 나와 주변 고체 기질에 결합하여 수축함으로써 세포를 앞으로 당기는, 갈고리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타입 IV 필리라고 하는 털 모양의 섬유 활동에 의해 매개된다.[125][126][127] ''트위칭 운동성''이라는 이름은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개별 세포의 특징적인 불규칙한(jerky) 움직임에서 유래되었다.[128]

활강 운동성과 군집 운동성, 비운동성 세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관련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7. 1. 편모 운동성 (Flagellar motility)

원핵생물은 주로 편모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 세균 편모는 나선형 필라멘트이며, 각 필라멘트의 기저부에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모터가 있다.[116][117][118] 세균은 여러 종류의 운동성을 가지는데, 편모는 그 중 두 가지를 제공한다.[119][120]
  • 고세균 편모는 ''아르켈라''라고 불리며, 세균 편모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아르켈럼은 구조적으로 세균 편모와 표면적으로는 유사하지만, 많은 세부 사항에서 다르며 상동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21][122]


세균이 사용하는 회전 모터 모델은 전기화학적 기울기의 양성자를 사용하여 편모를 움직인다. 세균 편모의 토크는 편모 기저부 주변에 양성자를 전달하는 입자에 의해 생성된다. 세균 편모의 회전 방향은 편모 모터 주변에 있는 양성자 채널의 점유율에 의해 결정된다.[123]

일부 진핵 세포도 편모를 사용하며, 일부 원생생물과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 세포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진핵생물 편모는 원형 운동 대신 앞뒤로 굽어지는 복잡한 세포 돌출부이다. 원핵생물 편모는 회전 모터를 사용하고, 진핵생물 편모는 복잡한 슬라이딩 필라멘트 시스템을 사용한다. 진핵생물 편모는 ATP 의존적인 반면, 원핵생물 편모는 ATP 의존적(고세균)이거나 양성자 의존적(세균)일 수 있다.[124]

7. 2. 미끄럼 운동성 (Gliding motility)

활강 운동성은 편모나 섬모와 같은 추진 구조에 의존하지 않는 일종의 이동 방식이다.[129] 활강 운동성은 미생물이 얇은 수성 막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운동성의 기작은 아직 부분적으로만 알려져 있다. 활강 속도는 유기체에 따라 다르며, 방향 반전은 일종의 내부 시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보인다.[130] 예를 들어, 아피콤플렉스충류는 1μm/s에서 10μm/s의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Myxococcus xanthus'' 박테리아는 분당 5μm의 속도로 활강한다.[131][132]

7. 3. 군집 운동성 (Swarming motility)

운동성은 생물체가 대사 에너지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능력이다.

세균과 고세균을 포함한 원핵생물은 주로 편모를 사용하여 이동한다.

  • 세균 편모는 나선형 필라멘트이며, 각 필라멘트의 기저부에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모터가 있다.[116][117][118] 이들은 여러 종류의 세균 운동성 중 두 가지를 제공한다.[119][120]
  • 고세균 편모는 아르켈라라고 불리며, 세균 편모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기능한다. 구조적으로 아르켈럼은 세균 편모와 표면적으로 유사하지만, 많은 세부 사항에서 다르며 상동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121][122]


세균이 사용하는 회전 모터 모델은 편모를 움직이기 위해 전기화학적 기울기의 양성자를 사용한다. 세균 편모의 토크는 편모 기저부 주변에 양성자를 전달하는 입자에 의해 생성된다. 세균의 편모 회전 방향은 편모 모터 주변을 따라 있는 양성자 채널의 점유율에 의해 결정된다.[123]

일부 진핵 세포도 편모를 사용하며, 일부 원생생물과 식물뿐만 아니라 동물 세포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진핵생물 편모는 원형 운동 대신 앞뒤로 굽어지는 복잡한 세포 돌출부이다. 원핵생물 편모는 회전 모터를 사용하고, 진핵생물 편모는 복잡한 슬라이딩 필라멘트 시스템을 사용한다. 진핵생물 편모는 ATP 의존적인 반면, 원핵생물 편모는 ATP 의존적일 수 있고(고세균), 양성자 의존적일 수 있다(세균).[124]

군집 운동성은 고체 또는 반고체 표면에서 박테리아 집단의 빠르고(2–10 μm/s) 조정된 이동이며,[133] 세균의 다세포성 및 군집 행동의 예시이다. 군집 운동성은 1972년 Jorgen Henrichsen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128]

7. 4. 부력 조절: 기체 방포 (Gas vacuoles)

일부 해양 원핵생물은 기체 방포를 가지고 있다. 기체 방포는 기체가 자유롭게 투과하여 해양 세균과 고세균이 부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나노구획이다. 방추형의 막으로 둘러싸인 소포 형태를 취하며, 일부 플랑크톤 원핵생물, 특히 일부 ''시아노박테리아''에서 발견된다.[144] 양의 부력은 세포를 물기둥의 상층부에 유지하여 광합성을 계속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기체 방포는 내부 표면이 매우 소수성이어서 물에 불투과성(내부에서 수증기가 응축되는 것을 방지)이지만, 대부분의 기체에는 투과하는 단백질 껍질로 구성된다. 기체 소포는 속이 빈 원통이기 때문에 주변 압력이 증가하면 붕괴되기 쉽다. 자연 선택은 꼬인 호스파이프의 녹색 실과 유사하게 외부 강화 단백질인 GvpC를 포함하여 기체 소포의 구조를 미세 조정하여 좌굴에 대한 저항력을 최대화했다. 기체 소포의 직경과 좌굴이 일어나는 압력 사이에는 간단한 관계가 있는데, 기체 소포가 넓을수록 약해진다. 그러나 넓은 기체 소포는 좁은 기체 소포보다 단백질 단위당 더 많은 부력을 제공하여 더 효율적이다. 서로 다른 종은 서로 다른 직경의 기체 소포를 생성하여 물기둥의 서로 다른 깊이에 서식할 수 있도록 한다. 가장 상층부에는 넓은 기체 소포를 가진 빠르게 성장하고 경쟁력이 높은 종이, 더 깊은 층에는 강하고 좁은 기체 소포를 가진 느리게 성장하고 어둠에 적응된 종이 서식한다.

세포는 기체 소포를 합성하여 물기둥에서 높이를 얻는다. 세포가 위로 올라가면서 광합성을 통해 탄수화물 부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너무 높이 올라가면 세포는 광탈색을 겪고 사망할 수 있지만, 광합성 중에 생성된 탄수화물은 세포의 밀도를 증가시켜 가라앉게 한다. 광합성으로 인한 탄수화물 축적과 어두운 시간 동안의 탄수화물 이화 작용의 일일 주기는 세포의 탄수화물 수준이 낮아 광합성이 필요할 때 세포를 표면으로 끌어올리고, 세포의 탄수화물 수준이 보충되면 유해한 UV 방사선으로부터 가라앉도록 하여 물기둥에서 세포의 위치를 미세 조정하기에 충분하다. 탄수화물이 과도하게 많으면 세포 내부 압력이 크게 변화하여 기체 소포가 좌굴되어 붕괴되고, 세포는 가라앉는다.

큰 방포는 유황 세균의 세 속인 ''Thioploca'', ''Beggiatoa'' 및 ''Thiomargarita''에서 발견된다. 이 속에서 세포질은 극도로 환원되어 있으며 방포는 세포의 40~98%를 차지할 수 있다.[145] 방포에는 높은 농도의 질산염 이온이 포함되어 있어 저장 세포 소기관으로 여겨진다.[146]

8. 방향성 운동 (Taxis)

운동성은 생물체가 대사 에너지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능력이다.

비운동성 종은 스스로 동력을 사용하여 환경을 통해 추진할 수 있는 능력과 구조가 부족하다. 비운동성 세균을 찔러 배양하면 찌른 선을 따라 성장한다. 반면 운동성 세균은 선이 확산되어 배지 안으로 퍼져나가는데, 이는 운동성 세균이 스스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134]

해양 원핵생물의 방향성 운동에는 자기장, 산소 농도 등 다양한 요인이 작용한다.


  • 자기주성: 자성세균은 자기장을 따라 움직이며, 자성소체라는 세포 소기관을 이용해 최적의 산소 농도를 찾아 이동한다.
  • 기체주성: 세균이 산소 농도 기울기에 따라 움직이는 반응이다.

8. 1. 자기주성 (Magnetotaxis)

자성세균은 자기장의 자기장선을 따라 스스로를 정렬한다.[136] 이러한 정렬은 이들 유기체가 최적의 산소 농도 영역에 도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137]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들 세균은 자기 결정을 포함하는 자성소체라고 불리는 생물 광물화 세포 소기관을 가지고 있다. 미생물이 환경의 자기적 특성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경향을 보이는 생물학적 현상을 자성주성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주성이라는 용어의 다른 모든 적용이 자극-반응 메커니즘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다. 동물의 자기 수용과 달리, 세균은 고정된 자석을 가지고 있어 나침반 바늘처럼 죽은 세포조차도 정렬되도록 강제한다.[137]

해양 환경은 일반적으로 해류와 난류에 의해 일정하게 또는 간헐적으로 움직이는 낮은 농도의 영양분으로 특징지어진다. 해양 세균은 영양 기울기에서 유리한 장소로 이동하기 위해 수영과 방향 감지-반응 시스템 사용과 같은 전략을 개발했다. 자성세균은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층을 이룬 퇴적물이나 수주에서 지속과 증식에 가장 유리한 장소인 산화-무산소 경계면으로 아래쪽으로 헤엄쳐 들어간다.[138]

지구의 자기장


위도와 세균이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인지 남쪽인지에 따라 지구의 자기장은 두 가지 가능한 극성 중 하나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산소가 더 풍부한 표면에서 멀리 떨어진 해양 깊이로 다양한 각도로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기체주성은 세균이 산소 기울기에서 최적의 산소 농도로 이동하는 반응이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자성주성과 기체주성이 자성세균에서 함께 작용한다는 것이 분명히 밝혀졌다. 물방울에서 단방향 수영 자성세균이 환원 반응 조건(최적 산소 포화도 미만)에서 반대 방향으로 수영하여 혐기성 조건(최적 산소 농도 초과)과 반대로 뒤로 수영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형태에 관계없이, 지금까지 연구된 모든 자성세균은 편모를 통해 운동성을 띤다.[139] 특히 해양 자성세균은 수만 개에 달하는 정교한 편모 장치를 갖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의 광범위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자성세균이 자기장 내에서 정렬에 반응하여 편모 모터를 조종하는지 여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138] 일부 해양 원생생물에서 자기 수용에 대한 설명으로 자성세균과의 공생이 제안되었다.[140] 유사한 관계가 척추동물의 자기 수용의 근본 원인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141] 가장 오래된 명확한 자화석은 백악기 영국 남부의 백악질 지층에서 발견되었지만,[142] 자화석에 대한 덜 확실한 보고는 19억 년 전의 건플린 처트까지 이어진다.[143]

8. 2. 기체주성 (Aerotaxis)



위도와 세균이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인지 남쪽인지에 따라 지구의 자기장은 두 가지 가능한 극성 중 하나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산소가 더 풍부한 표면에서 멀리 떨어진 해양 깊이로 다양한 각도로 향하는 방향을 갖는다. 기체주성은 세균이 산소 기울기에서 최적의 산소 농도로 이동하는 반응이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자성주성과 기체주성이 자성세균에서 함께 작용한다는 것이 분명히 밝혀졌다. 물방울에서 단방향 수영 자성세균이 환원 반응 조건(최적 산소 포화도 미만)에서 반대 방향으로 수영하여 혐기성 조건(최적 산소 농도 초과)과 반대로 뒤로 수영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9. 생물 발광 (Bioluminescence)



생물발광 세균은 주로 바닷물, 해양 퇴적물, 부패하는 물고기 표면, 해양 동물의 내장에 존재하는 생물발광 세균이다. 육상 및 담수 세균에서도 드물게 발견된다.[125] 이들은 자유 생활(예: ''Vibrio harveyi'')하거나 하와이보브테일오징어(''Aliivibrio fischeri'') 또는 육상 선충 (''Photorhabdus luminescens'')과 같은 동물과 공생할 수 있다. 숙주 생물은 이 세균에게 안전한 집과 충분한 영양을 제공하며, 그 대가로 숙주는 세균이 생성하는 빛을 위장, 먹이 및/또는 짝을 유인하는 데 사용한다. 생물발광 세균은 두 참여자 모두 거의 동등하게 이익을 얻는 공생 관계를 진화시켰다.[148] 세균이 발광 반응을 사용하는 또 다른 가능한 이유는 세균 세포 밀도에 따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정족수 감지 능력 때문이다.[149]

하와이보브테일오징어는 오징어 외투의 특별한 발광 기관에 서식하는 생물발광 세균 ''Aliivibrio fischeri''와 공생한다. 세균은 오징어로부터 당과 아미노산을 공급받고, 그 대가로 외투 상단에 닿는 빛의 양을 일치시켜 반대조명으로 오징어를 숨겨 아래에서 볼 때 실루엣이 보이지 않게 한다.[150]

''Vibrio harveyi''는 30°C에서 35°C 사이에서 최적으로 성장하는 막대 모양의 운동성(극 편모를 통해) 생물발광 세균이다. 열대 해양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거나, 공생 상태로 해양 동물 내 미생물 군집에 존재하며, 여러 해양 동물의 일차적 및 기회 병원체로 발견된다.[151] 이는 밤에 바닷물에서 균일한 푸른 빛을 내는 유백색 바다 효과의 원인으로 여겨지며, 일부 빛은 약 15539.85km2까지 덮을 수 있다.





광합성 대사는 클로로필, 박테리오클로로필, 레티날의 세 가지 에너지 변환 색소 중 하나에 의존한다. 레티날은 로돕신에서 발견되는 발색단이다. 빛 에너지를 변환하는 클로로필의 중요성은 수십 년 동안 알려져 왔지만, 레티날 색소를 기반으로 한 광영양성은 이제 막 연구되기 시작했다.[153]

2000년, 에드워드 델롱 연구팀은 여러 종의 박테리아에서 로돕신 생산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 이는 해양 탄소 및 에너지 순환에 대한 중요한 발견이었다.[155][156]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이 단백질은 햇빛이 로돕신 분자에 닿아 구조가 바뀌면서 빛 에너지를 생화학적 에너지로 변환하며, 이로 인해 양성자가 세포 내부에서 외부로 펌핑되고 그에 따른 유입이 발생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157] 고세균과 유사한 로돕신은 이후 다양한 분류군(원생생물, 박테리아, 고세균)에서 발견되었지만, 복잡한 다세포 생물에서는 드물다.[4][158][159]

2019년 연구에 따르면, "햇빛을 훔치는 박테리아"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널리 퍼져 있으며 지구 온난화에 의해 해양이 영향을 받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 기존 교과서에서는 해양의 거의 모든 햇빛이 조류의 클로로필에 의해 포착된다고 설명하지만, 로돕신을 갖춘 박테리아는 유기물이 풍부할 때는 유기물에 의해, 영양소가 부족할 때는 햇빛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처럼 기능한다.[160][153]

보라색 지구 가설은 지구상의 초기 생명체가 클로로필 기반이 아닌 레티날 기반이었고, 이로 인해 지구가 녹색이 아닌 보라색으로 보였을 것이라는 우주생물학적 가설이다.[161][162]

9. 1. 생물 발광 세균



생물발광 세균은 주로 바닷물, 해양 퇴적물, 부패하는 물고기 표면, 해양 동물의 내장에 존재하는 생물발광 세균이다. 육상 및 담수 세균에서도 드물게 발견된다.[125] 이들은 자유 생활(예: ''Vibrio harveyi'')을 하거나 하와이보브테일오징어(''Aliivibrio fischeri'') 또는 육상 선충 (''Photorhabdus luminescens'')과 같은 동물과 공생할 수 있다. 숙주 생물은 세균에게 안전한 집과 충분한 영양을 제공하고, 그 대가로 숙주는 세균이 생성하는 빛을 위장, 먹이 및/또는 짝을 유인하는 데 사용한다. 생물발광 세균은 두 참여자 모두 거의 동등하게 이익을 얻는 공생 관계를 진화시켰다.[148] 세균이 발광 반응을 사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세균 세포 밀도에 따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정족수 감지 능력 때문이다.[149]

하와이보브테일오징어는 오징어 외투의 특별한 발광 기관에 서식하는 생물발광 세균 ''Aliivibrio fischeri''와 공생한다. 세균은 오징어로부터 당과 아미노산을 공급받고, 그 대가로 외투 상단에 닿는 빛의 양을 일치시켜 반대조명으로 오징어를 숨겨 아래에서 볼 때 실루엣이 보이지 않게 한다.[150] 오징어는 동물-세균 공생의 모델 유기체로, 세균과의 관계가 널리 연구되었다.

''Vibrio harveyi''는 30°C에서 35°C 사이에서 최적으로 성장하는 막대 모양의 운동성(극 편모를 통해) 생물발광 세균이다. 열대 해양에서 자유롭게 헤엄치거나, 공생 상태로 해양 동물 내 미생물 군집에 존재하며, 여러 해양 동물의 일차적 및 기회 병원체로 발견된다.[151] 이는 밤에 바닷물에서 균일한 푸른 빛을 내는 유백색 바다 효과의 원인으로 여겨진다. 일부 빛은 약 15539.85km2까지 덮을 수 있다.

9. 2. 미생물 로돕신 (Microbial rhodopsin)

광합성 대사는 세 가지 에너지 변환 색소, 즉 클로로필, 박테리오클로로필, 레티날 중 하나에 의존한다. 레티날은 로돕신에서 발견되는 발색단이다. 빛 에너지를 변환하는 클로로필의 중요성은 수십 년 동안 알려져 왔지만, 레티날 색소를 기반으로 한 광영양성은 이제 막 연구되기 시작했다.[153]

2000년, 에드워드 델롱이 이끄는 미생물학자 팀은 해양 탄소 및 에너지 순환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발견을 했다. 그들은 여러 종의 박테리아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단백질인 로돕신의 생산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발견했다.[155][156]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이 단백질은 햇빛이 로돕신 분자에 닿아 구조가 바뀌면서 빛 에너지를 생화학적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양성자가 세포 내부에서 외부로 펌핑되고 그에 따른 유입이 발생하여 에너지를 생성한다.[157] 고세균과 유사한 로돕신은 이후 다양한 분류군(원생생물, 박테리아, 고세균)에서 발견되었지만, 복잡한 다세포 생물에서는 드물다.[4][158][159]

2019년의 연구에 따르면, 이 "햇빛을 훔치는 박테리아"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널리 퍼져 있으며 지구 온난화에 의해 해양이 영향을 받는 방식을 바꿀 수 있다고 한다. 연구 결과는 해양 생태학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과 다르다. 기존 교과서에서는 해양의 거의 모든 햇빛이 조류의 클로로필에 의해 포착된다고 설명하지만, 로돕신을 갖춘 박테리아는 유기물이 풍부할 때는 유기물에 의해, 영양소가 부족할 때는 햇빛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처럼 기능한다.[160][153]

보라색 지구 가설은 지구상의 초기 생명체가 클로로필 기반이 아닌 레티날 기반이었고, 이로 인해 지구가 녹색이 아닌 보라색으로 보였을 것이라는 우주생물학적 가설이다.[161][162]

10. 공생 (Symbiosis)

일부 해양 생물은 세균 또는 고세균과 공생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공생 관계는 생물이 서식지 내에서 제한된 자원을 얻거나, 먹이원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다. 폼페이 벌레는 80°C의 고온 환경에서 서식하며, 등에 있는 털처럼 보이는 박테리아 군집을 통해 단열 효과를 얻고 먹이를 공급받는다.


10. 1. 해양 생물과 원핵생물의 공생 예시

일부 해양 생물은 세균 또는 고세균과의 공생 관계를 가지고 있다. 폼페이 벌레는 80°C까지의 온도에서 열수 분출공과 같은 깊은 곳에서 산다. 이 벌레는 털이 많은 등처럼 보이지만, 이 "털"은 실제로 박테리아 군집이며, 이 중에는 ''Nautilia profundicola''가 있는데, 이 박테리아는 벌레에게 어느 정도의 단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벌레의 등에 있는 샘은 박테리아가 먹이를 얻는 점액을 분비하는데, 이는 일종의 공생이다.[163]

내생 공생체 박테리아는 다른 유기체의 몸이나 세포 내에서 사는 박테리아이다. 일부 시아노박테리아는 내생 공생체이며, 질소 고정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65]

일반적으로 유기체는 서식지 내 자원의 제한된 가용성 또는 먹이원의 제한으로 인해 공생 관계를 형성한다. 열수 분출공 근처에 위치한 홍합 (''Bathymodiolus'')과 관련된 화학 합성 공생 박테리아는 에너지원으로 황이나 메탄 대신 수소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166]

''Olavius algarvensis''는 지중해의 연안 퇴적물에서 사는 벌레로, 영양을 위해 공생 박테리아에 의존한다. 이 벌레는 큐티클 아래에 위치한 5가지 다른 종의 박테리아와 함께 산다. 2종의 황화물 산화, 2종의 황산염 환원 박테리아, 그리고 1종의 스피로헤타가 있다. 이 공생 박테리아는 벌레가 수소일산화 탄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말산 및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 화합물을 대사할 수 있게 해준다.[167][168]

''Astrangia poculata'', 북부 별 산호는 미국 동부 해안을 따라 널리 기록된 온대 돌 산호이다. 이 산호는 주산텔라 (조류 공생체)와 함께 살 수도 있고, 없이 살 수도 있어서, 공생 상태와 관련된 미생물 군집 상호 작용을 연구하기에 이상적인 모델 유기체이다. 그러나 주요 미생물 그룹을 보다 구체적으로 표적화하기 위한 프라이머와 분자 탐침을 개발하는 능력은 완전한 길이의 16S rRNA 서열의 부족으로 인해 방해받아왔다. 왜냐하면 Illumina 플랫폼에서 생성된 서열은 프라이머와 탐침 설계를 위한 길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약 250개의 염기쌍).[169] 2019년 Goldsmith 등은 생거 시퀀싱이 더 깊은 차세대 염기 서열 분석에 의해 감지된 생물학적으로 관련된 다양성을 재현할 수 있으며, 탐침 및 프라이머 설계를 위해 연구 커뮤니티에 유용한 더 긴 서열을 생성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170]

11. 해양 먹이 사슬에서의 역할 (Roles in marine food webs)

세계 대양의 대부분은 빛이 들지 않는 심해이며, 얇은 표면층(수심 50~170m 사이의 유광층)에서 일어나는 과정이 지구 생물권에 매우 중요하다. 이 햇빛이 드는 층에 도달하는 태양광의 가시 영역(광합성 유효 복사)은 지구 1차 생산성의 약 절반을 공급하며, 지구 생명체에 필요한 대기 중 산소의 약 절반을 생산한다.[172][173]

해양 원핵생물은 해양 먹이 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종속 영양 세균플랑크톤은 용존 유기물을 소비하며, 햇빛이 비치는 해양 상층부에서 주요 소비자 역할을 한다. 또한, 해양 미생물은 생물학적 펌프를 통해 탄소를 심해에 탄소 격리하는 과정에 기여한다.[57]



위 그림은 해양의 생물학적 펌프와 원양 먹이 사슬 사이의 연결과 이러한 구성 요소를 선박, 위성 및 자율 이동체로부터 원격으로 샘플링하는 기능을 보여준다. 밝은 파란색 물은 유광대이고, 더 어두운 파란색 물은 중심해대를 나타낸다.[176]

11. 1. 원양 먹이 사슬에서의 역할

세계 대양 부피의 대부분은 어둠 속에 있으며, 얇게 빛이 닿는 표면층(수면에서 50~170미터 사이의 유광층)에서 발생하는 과정은 지구 생물권에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이 햇빛이 비치는 층에 도달하는 태양 스펙트럼의 가시 영역(광합성 유효 복사)은 지구 1차 생산성의 약 절반을 공급하고, 지구상 대부분의 생명체에 필요한 대기 중 산소의 약 절반을 담당한다.[172][173]

종속 영양 세균플랑크톤은 원양 해양 먹이 사슬에서 용존 유기물(DOM)의 주요 소비자이며, 이는 해양의 햇빛이 비치는 상층을 포함한다. 자외선 복사(UVR)에 대한 민감성과 최근에 발견된 박테리아가 광합성 유효 복사(PAR)로부터 이점을 얻기 위해 진화한 일부 메커니즘은 자연 햇빛이 해양에서 박테리아의 생지화학적 기능을 조절하는 데 관련 있지만 예측하기 어려운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171]


11. 2. 해양 표층 미생물 군집 (Bacterioneuston)

해양 표면 서식지는 대기와 해양 사이의 경계면에 위치한다. 해양 표면의 생물막과 같은 서식지는 일반적으로 뉴스톤이라고 하는 표면 거주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 광대한 공기-수계면은 지구 표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공기-수 교환 과정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세균뉴스톤이라고 불리는 해양 표면 미세층의 박테리아는 온실 가스의 공기-해양 가스 교환, 기후 활성 해양 에어로졸 생산 및 해양 원격 감지와 같은 실용적인 응용 분야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175] 특히 관심의 대상은 미생물 생화학적 과정을 통한 계면활성제 (표면 활성 물질)의 생산과 분해이다. 열린 바다에서 계면활성제의 주요 공급원은 식물성 플랑크톤,[174] 육상 유출수, 대기 침착 등이 있다.[175]



색깔 있는 조류 번식과 달리, 계면활성제와 관련된 박테리아는 해양 색상 영상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보이지 않는" 계면활성제와 관련된 박테리아를 합성 개구 레이더를 사용하여 감지하는 능력은 구름, 안개 또는 일광과 관계없이 모든 기상 조건에서 엄청난 이점을 제공한다.[175] 이는 특히 바람이 매우 강할 때 중요한데, 이는 가장 강렬한 공기-해양 가스 교환과 해양 에어로졸 생산이 발생하는 조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SAR 위성 영상은 색상 위성 영상 외에도 해양과 대기 사이의 경계면에서의 생물물리적 과정, 공기-해양 온실 가스 교환 및 기후 활성 해양 에어로졸 생산에 대한 전반적인 그림에 대한 추가적인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175]

12. 생지화학적 순환에서의 역할 (Roles in biogeochemical cycling)

원핵생물 대사는 에너지원, 전자 공여체, 성장 탄소원, 이 세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영양 그룹으로 분류된다.[106][107]

세균 대사에서의 영양 유형
영양 유형에너지원탄소원예시
광합성생물햇빛유기 화합물 (광종속영양생물) 또는 탄소 고정 (광독립영양생물)"시아노박테리아", 녹황세균, 클로로플렉수스, 자색세균
화학독립영양생물무기 화합물유기 화합물 (화학종속영양생물) 또는 탄소 고정 (화학독립영양생물)Thermodesulfobacteriota, Hydrogenophilaceae, 니트로스피라타
유기영양생물유기 화합물유기 화합물 (화학종속영양생물) 또는 탄소 고정 (화학독립영양생물)바실루스, 클로스트리디움, 장내세균과



해양 원핵생물은 오랜 기간 다양하게 진화해왔다. 원핵생물 대사는 진핵생물보다 훨씬 다양하여 여러 유형의 원핵생물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진핵생물처럼 광합성이나 유기 화합물을 에너지원으로 쓰는 것 외에도, 해양 원핵생물은 황화 수소 같은 무기 화합물에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해양 원핵생물이 극한 환경 (남극 얼음 표면처럼 차가운 곳, 해저 열수 분출공처럼 뜨거운 곳, 염분 농도가 높은 곳(호염성 미생물))에서 번성할 수 있게 한다.[108]


  • 광영양성은 세균 분류에서 중요한 지표이다.[109]
  • 호기성 무산소 광합성 세균 (AAPB)은 전 세계 해양 플랑크톤에 분포하며, 열린 바다 미생물 군집의 10% 이상을 차지할 수 있다. 해양 AAPB는 ''Erythrobacter''와 ''Roseobacter'' 두 속으로 분류된다.[110]
  • 자색세균:
  • 제타프로테오박테리아: 철 산화 중성 호성 화학 리토 자가영양생물이며, 강어귀와 해양에 분포한다.
  • 수소 산화 세균은 통성 자가영양생물이며 호기성 및 혐기성으로 나뉜다.[115]


고세균은 탄소, 질소, 같은 원소를 다양한 서식지에서 재활용한다.[177] 탄소 순환에서 메탄 생성 고세균은 수소를 제거하며, 혐기성 생태계에서 분해자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분해에 முக்கிய பங்கு வக한다.[183] 황 순환에서 화합물 산화 고세균은 암석에서 황 원소를 방출하여 다른 유기체가 사용하게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산성 광산 배수 등 환경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182]

12. 1. 탄소 순환

해양 원핵생물은 탄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해양 환경에서 죽은 세균 세포에서 방출된 유기 분자는 새로운 세균과 조류의 성장을 자극한다.[56] 바이러스 활동은 탄소 격리를 통해 탄소가 심해로 이동하는 과정인 생물학적 펌프에 기여한다.[57]

''Pelagibacter ubique''와 그 친척들은 모든 미생물 플랑크톤 세포의 약 25%를 차지하며, 여름에는 온대 해양 표층수에 존재하는 세포의 약 절반을 차지할 수 있을 정도로 바다에서 매우 풍부하다.[70] ''Roseobacter'' 속의 구성원들은 해양 생지화학 순환 및 기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해양 환경 전체 탄소의 상당 부분을 처리한다.[73][74]

Thermoproteota(크레나에오타 또는 에오사이트라고도 함)는 해양 환경에서 매우 풍부하며 탄소 고정에 주요 기여자로 여겨지는 고세균의 문이다.[95]

12. 2. 질소 순환

해양 원핵생물은 질소 순환에서 여러 역할을 수행한다. 탈질화 작용과 같이 생태계에서 질소를 제거하는 반응과, 질소 고정과 같이 질소를 생태계로 도입하는 과정 모두에 관여한다.[178][179] 최근에는 암모니아 산화 반응에 고세균이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이러한 반응은 특히 해양에서 중요하다.[180][181]

12. 3. 황 순환

해양 원핵생물은 오랜 생존 기간 동안 다양한 대사 방식을 발달시켜 진핵생물보다 훨씬 다양한 유형으로 분화되었다. 예를 들어, 진핵생물처럼 광합성이나 유기 화합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황화 수소와 같은 무기 화합물에서 에너지를 얻는 화학독립영양생물도 있다. 이러한 대사 다양성 덕분에 해양 원핵생물은 남극 대륙의 얼음 표면처럼 차갑거나, 해저 열수 분출공처럼 뜨겁거나, 염분 농도가 높은 (호염성 미생물) 극한 환경에서도 번성할 수 있다.[108]

  • 황 순환: (주어진 원문에 황 순환과 관련된 특정 내용이 없음)

참조

[1] 서적 Collins Dictionary of Human Biology HarperCollins
[2]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https://archive.org/[...] W.H. Freeman
[3] 서적 Macmillan Dictionary of Life Sciences Macmillan Press
[4] 논문 Beyond Prokaryotes and Eukaryotes: Planctomycetes and Cell Organization http://www.nature.co[...] 2010
[5] 웹사이트 Revised Global Burden of Disease (GBD) 2002 Estimates http://www.who.int/h[...] 2007-01-20
[6] 웹사이트 Functions of global ocean microbiome key to understanding environmental changes https://www.scienced[...] 2015-12-11
[7] 논문 The biomass distribution on Earth http://www.pnas.org/[...] 2018
[8] 논문 Why did life develop on the surface of the Earth in the Cambrian?
[9] 웹사이트 Age of the Earth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5-05-31
[10] 논문 The age of the Earth in the twentieth century: a problem (mostly) solved 2001
[11] 논문 Lead isotope study of basic-ultrabasic layered complexes: Speculations about the age of the earth and primitive mantle characteristics 1980-05
[12] 논문 Evidence of Archean life: Stromatolites and microfossils 2007-10-05
[13] 서적 Bi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Education 2002
[14] 논문 Nano−porous pyrite and organic matter in 3.5-billion-year-old stromatolites record primordial life https://discovery.uc[...]
[15] 웹사이트 Earliest signs of life: Scientists find microbial remains in ancient rocks https://phys.org/new[...] 2019-09-26
[16] 논문 The future of the fossil record 1999-06
[17] 논문 Cell evolution and Earth history: stasis and revolution 2006-06
[18] 논문 Archean microfossils: a reappraisal of early life on Earth 2003-11
[19] 논문 Disparate rates, differing fates: tempo and mode of evolution changed from the Precambrian to the Phanerozoic 1994-07
[20] 논문 Evaluating hypotheses for the origin of eukaryotes 2007-01
[21] 논문 Ancient invasions: from endosymbionts to organelles 2004-04
[22] 논문 The missing link between hydrogenosomes and mitochondria 2005-10
[23] 논문 Mitochondrial genome evolution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1999-12
[24] 논문 A new view of the tree of life 2016-04
[25] 논문 Toward automatic reconstruction of a highly resolved tree of life 2006-03
[26] 논문 Environmental diversity of bacteria and archaea 2001-08
[27] 논문 Building a multicellular organism 2001-12
[28] 뉴스 Genetic Flip Helped Organisms Go From One Cell to Many https://www.nytimes.[...] 2016-01-07
[29] 논문 Fossils, molecules and embryos: new perspectives on the Cambrian explosion 1999-02
[30] 논문 Morphological and developmental macroevolution: a paleontological perspective http://www.ijdb.ehu.[...] 2014-12-30
[31] 문서 Campbell, N. "Biology:Concepts & Connections". Pearson Education. San Francisco: 2003.
[32] 문서 prokaryote
[33] 문서 eukaryotic
[34] 논문 The concept of a bacterium
[35] 논문 Phylogenetic structure of the prokaryotic domain: the primary kingdoms 1977-11
[36] 논문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1990-06
[37] 논문 Evidence for biogenic graphite in early Archaean Isua metasedimentary rocks 2014-01
[38] 논문 Rapid emergence of life shown by discovery of 3,700-million-year-old microbial structures 2016-09
[39] 뉴스 Hints of life on what was thought to be desolate early Earth http://apnews.excite[...] Mindspark Interactive Network 2018-10-08
[40] 논문 Potentially biogenic carbon preserved in a 4.1 billion-year-old zircon 2015-11
[41] 논문 Evidence for early life in Earth's oldest hydrothermal vent precipitates 2017-03
[42] 뉴스 Scientists Say Canadian Bacteria Fossils May Be Earth's Oldest https://www.nytimes.[...] 2017-03-02
[43] 논문 Archaean metabolic evolution of microbial mats. 1999-12
[44] 논문 Abiological origin of described stromatolites older than 3.2 Ga 1994-05
[45] 논문 A whiff of oxygen before the great oxidation event? 2007-09
[46] 논문 Eukaryotic organisms in Proterozoic oceans 2006-06
[47] 논문 The origin of the Metazoa in the light of the Proterozoic fossil record http://www.vend.pale[...] 2008-09-02
[48] 논문 The origins of multicellularity
[49] 논문 How many species are there on Earth? 1988-09
[50] 논문 Scaling laws predict global microbial diversity 2016-05
[51] 논문 Microbial Diversity: The Gap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Known 2018-06-13
[52] 뉴스 Living Bacteria Are Riding Earth's Air Currents https://www.smithson[...] 2024-10-07
[53] 뉴스 Trillions Upon Trillions of Viruses Fall From the Sky Each Day https://www.nytimes.[...] 2018-04-14
[54] 논문 Deposition rates of viruses and bacteria above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2018-04
[55] 논문 Viruses in the sea 2005-09
[56] 서적 Understanding viruses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57] 논문 Marine viruses--major players in the global ecosystem 2007-10
[58] 논문 The Unseen World in the River
[59] 논문 Walsby's square bacterium: fine structure of an orthogonal procaryote 1981-10
[60] 논문 Draft genome sequence of marine alphaproteobacterial strain HIMB11, the first cultivated representative of a unique lineage within the Roseobacter clade possessing an unusually small genome 2014-06
[61] 논문 Geomicrobiology of high-level nuclear waste-contaminated vadose sediments at the Hanford site, Washington state
[62] 논문 Disparate rates, differing fates: tempo and mode of evolution changed from the Precambrian to the Phanerozoic
[63] 논문 Environmental diversity of bacteria and archaea
[64] 논문 Archaea and the prokaryote-to-eukaryote transition
[65] 논문 Evaluating hypotheses for the origin of eukaryotes
[66] 논문 Mitochondrial genome evolution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67] 논문 Endosymbiosis and evolution of the plant cell
[68] 논문 Control of the bacterial cell cycle by cytoplasmic growth
[69] 논문 Pseudomonas natriegens, a marine bacterium with a generation time of less than 10 minutes 1962-04
[70] 웹사이트 Candidatus Pelagibacter Ubique http://www.ebi.ac.uk[...]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2012-01-08
[71] 뉴스 Flea market: A newly discovered virus may be the most abundant organism on the planet https://www.economis[...] 2013-02-16
[72] 논문 Abundant SAR11 viruses in the ocean 2013-02
[73] 서적 Bioprospecting Springer, Cham 2017
[74] 웹사이트 Roseobacter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20-05-08
[75] 간행물 The largest Bacterium: Scientist discovers new bacterial life form off the African coast http://www.mpg.de/en[...] 1999-04-08
[76] 웹사이트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 Genus Thiomargarita https://lpsn.dsmz.de[...]
[77] 웹사이트 Changes in oxygen concentrations in our ocean can disrupt fundamental biological cycles https://phys.org/new[...] 2019-11-25
[78] 서적 Oceans and Human Health: Risks and Remedies from the Seas Academic Press 2011-09-02
[79] 웹사이트 The Rise of Oxygen - Astrobiology Magazine http://www.astrobio.[...] 2003-07-30
[80] 논문 Archean tufted microbial mats and the Great Oxidation Event: new insights into an ancient problem 2012
[81] 웹사이트 Understand the evolutionary mechanisms and environmental limits of life http://astrobiology.[...] NASA 2003-09
[82] 논문 Colonies of marine cyanobacteria Trichodesmium interact with associated bacteria to acquire iron from dust
[83] 논문 Diversit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plastids and their hosts
[84] 논문 The cells that rule the seas http://guowei.ccps.t[...] 2003-12
[85] 뉴스 The Most Important Microbe You've Never Heard Of https://www.npr.org/[...]
[86] 논문 Present and future global distributions of the marine Cyanobacteria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2013-06
[87] 서적 Introduction to Botany Pearson Education, Inc
[88] 서적 Algae Oxford University Press
[89] 논문 Biogeography of the ubiquitous marine bacterium Alteromonas macleodii determined by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2008-09
[90] 논문 Genomes of surface isolates of Alteromonas macleodii: the life of a widespread marine opportunistic copiotroph
[91] 논문 Archaea associated with human surfaces: not to be underestimated 2015
[92] 웹사이트 Archaea http://www.etymonlin[...]
[93] 논문 Time for a change 2006-05
[94] 논문 Walsby's square bacterium: fine structure of an orthogonal procaryote 1981-10
[95] 서적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Prentice Hall
[96] 논문 A new phylum of Archaea represented by a nanosized hyperthermophilic symbiont 2002-05
[97] 논문 Nanoarchaea: representatives of a novel archaeal phylum or a fast-evolving euryarchaeal lineage related to Thermococcales? 2005
[98] 논문 Niche differentiation among annually recurrent coastal Marine Group II Euryarchaeota 2019-12
[99] 논문 Environmental Viral Genomes Shed New Light on Virus-Host Interactions in the Ocean
[100] 논문 Novel Abundant Oceanic Viruses of Uncultured Marine Group II Euryarchaeota 2017-05
[101] 논문 Basin Scale Variation on the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Archaea in the Pacific Ocean
[102] 논문 A new class of marine Euryarchaeota group II from the Mediterranean deep chlorophyll maximum 2015-07
[103] 웹사이트 "''Candidatus Poseidoniales'' (order)"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04] 웹사이트 Marine Group III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05] 웹사이트 Marine Group IV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106] 논문 Comparative biochemistry of Archaea and Bacteria 1991-12
[107] 서적 Microbiology: An Evolving Science WW Norton & Company 2013
[108] 서적 Encyclopedia of Earth National Council of Science & the Environment 2010
[109] 논문 Aerobic anoxygenic phototrophic bacteria 1998-09
[110] 논문 High abundances of aerobic an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in the South Pacific Ocean 2007-07
[111] 논문 Comparison of growth rates of aerobic anoxygenic phototrophic bacteria and other bacterioplankton groups in coastal Mediterranean waters 2011-11
[112] 논문 Distinct distribution pattern of abundance and diversity of aerobic anoxygenic phototrophic bacteria in the global ocean 2007-12
[113] 논문 High abundances of aerobic an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in the South Pacific Ocean 2007-07
[114] 논문 Contribution of aerobic photoheterotrophic bacteria to the carbon cycle in the ocean 2001-06
[115] 서적 The Prokaryotes Springer 1981
[116] 논문 Flagellar rotation and the mechanism of bacterial motility 1974-05
[117] 논문 Rapid rotation of flagellar bundles in swimming bacteria
[118] 논문 Bacteria swim by rotating their flagellar filaments 1973-10
[119] 논문 Movement and locomotion of microorganisms
[120] 논문 Bacterial motility on a surface: many ways to a common goal
[121] 서적 Pili and Flagella: Current Research and Future Trends Caister Academic Press
[122] 논문 The archaellum: how Archaea swim 2015-01-27
[123] 논문 Torque and switching in the bacterial flagellar motor. An electrostatic model 1993-04
[124] 논문 Flagellar rotation in the archaeon Halobacterium salinarum depends on ATP
[125] 논문 Direct observation of extension and retraction of type IV pili 2001-06
[126] 논문 Type IV pili and twitching motility 2002
[127] 논문 Pilus retraction powers bacterial twitching motility 2000-09
[128] 논문 Bacterial surface translocation: a survey and a classification 1972-12
[129] 논문 Bacterial Gliding Motility: Rolling Out a Consensus Model 2017-02
[130] 논문 Bacteria that glide with helical tracks 2014-02
[131] 논문 Gliding motility: an efficient mechanism for cell penetration 1998-01
[132] 논문 How apicomplexan parasites move in and out of cells 2010-10
[133] 논문 Bacterial motility on a surface: many ways to a common goal 2003-01-01
[134] 웹사이트 BIOL 230 Lab Manual: Nonmotile Bacteria in Motility Medium http://faculty.ccbcm[...] 2020-05-31
[135] 논문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composition and crystal morphology of magnetosome minerals 2013-11
[136] 논문 Genomic expansion of magnetotactic bacteria reveals an early common origin of magnetotaxis with lineage-specific evolution 2018-06
[137] 서적 Living at micro scale : the unexpected physics of being small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138] 논문 Flagella and Swimming Behavior of Marine Magnetotactic Bacteria 2020-03
[139] 논문 Conservation of proteobacterial magnetosome genes and structures in an uncultivated member of the deep-branching Nitrospira phylum 2011-01
[140] 논문 Ectosymbiotic bacteria at the origin of magnetoreception in a marine protist 2019-07
[141] 논문 Symbiotic magnetic sensing: raising evidence and beyond 2020-09
[142] 논문 The identification and bio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fossil magnetotactic bacteria https://authors.libr[...]
[143] 논문 Magnetofossils, the magnetization of sediments, and the evolution of magnetite biomineralization
[144] 논문 The Permeability of Blue-Green Algal Gas-Vacuole Membranes to Gas
[145] 논문 Novel, attached, sulfur-oxidizing bacteria at shallow hydrothermal vents possess vacuoles not involved in respiratory nitrate accumulation 2004-12
[146] 서적 Inclusions in Prokaryotes
[147] 논문 Analysis of Vibrio harveyi adaptation in sea water microcosms at elevated temperature provides insights into the putative mechanisms of its persistence and spread in the time of global warming 2019-01
[148] 논문 The secret languages of coevolved symbioses: insights from the Euprymna scolopes-Vibrio fischeri symbiosis 2012-02
[149] 논문 Quorum sensing: cell-to-cell communication in bacteria 2005-10-07
[150] 논문 Bioluminescent countershading in midwater animals: evidence from living squid 1976-03
[151] 서적 The Biology of Vibrios ASM Press
[152] 논문 The light-driven proton pump proteorhodopsin enhances bacterial survival during tough times 2010-04
[153] 논문 Microbial rhodopsins are major contributors to the solar energy captured in the sea 2019-08
[154] 논문 Molecular ecology of extremely halophilic Archaea and Bacteria 2002-01
[155] 논문 Bacterial rhodopsin: evidence for a new type of phototrophy in the sea 2000-09
[156] 웹사이트 Interviews with Fellows: Ed Delong http://academy.asm.o[...] 2016-07-02
[157] 문서 Bacteria with Batteries Popular Science 2001-01
[158] 논문 MicRhoDE: a curated database for the analysis of microbial rhodopsin diversity and evolution
[159] 서적 Optogenetics: Light-Sensing Proteins and Their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06-05
[160] 웹사이트 A tiny marine microbe could play a big role in climate change https://pressroom.u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19-08-08
[161] 논문 Early evolution of purple retinal pigments on Earth and implications for exoplanet biosignatures 2018-10-11
[162] 논문 Evolutionary Competition Between Primitive Photosynthetic Systems: Existence of an early purple Earth? 2006-12
[163] 뉴스 Scientists discover methane ice worms on Gulf of Mexico sea floor http://www.publicaff[...]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1997-07-29
[164] 논문 Season, but not symbiont state, drives microbiome structure in the temperate coral Astrangia poculata 2017-09
[165] 논문 Corals form characteristic associations with symbiotic nitrogen-fixing bacteria 2012-05
[166] 논문 Hydrogen is an energy source for hydrothermal vent symbioses 2011-08
[167] 논문 Metaproteomics of a gutless marine worm and its symbiotic microbial community reveal unusual pathways for carbon and energy use 2012-05
[168] 논문 Symbiosis insights through metagenomic analysis of a microbial consortium 2006-10
[169] 웹사이트 USGS scientists publish long-read microbiome sequences from temperate coral, providing community resource for probe and primer design https://www.usgs.gov[...] 2019-03-06
[170] 논문 Stability of temperate coral Astrangia poculata microbiome is reflected across different sequencing methodologies
[171] 논문 Away from darkness: a review on the effects of solar radiation on heterotrophic bacterioplankton activity 2013
[172] 서적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Biogeochemical Cycles Springer Berlin Heidelberg 1980
[173] 논문 An estimate of global primary production in the ocean from satellite radiometer data https://academic.oup[...] 1995
[174] 논문 Surfactant production by marine phytoplankton. 1981-12
[175] 논문 Surfactant-associated bacteria in the near-surface layer of the ocean 2016-01
[176] 논문 Prediction of the Export and Fate of Global Ocean Net Primary Production: The EXPORTS Science Plan
[177] 논문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Archaea in global estuarine ecosystems 2018-10
[178] 논문 Nitrate reduction and the nitrogen cycle in archaea http://mic.sgmjourna[...] 2004-11
[179] 논문 Nitrogen fixation at 92 degrees C by a hydrothermal vent archaeon 2006-12
[180] 논문 New processes and players in the nitrogen cycle: the microbial ecology of anaerobic and archaeal ammonia oxidation 2007-05
[181] 논문 Putative ammonia-oxidizing Crenarchaeota in suboxic waters of the Black Sea: a basin-wide ecological study using 16S ribosomal and functional genes and membrane lipids 2007-04
[182] 논문 Microbial communities in acid mine drainage 2003-05
[183] 논문 Playing scales in the methane cycle: from microbial ecology to the globe 2004-08
[184] 서적 Collins Dictionary of Human Biology HarperCollins 2006
[185] 서적 Lehninger Principles of Biochemistry W.H. Freeman 2005
[186] 서적 Macmillan Dictionary of Life Sciences Macmillan Press 1983
[187] 간행물 Beyond Prokaryotes and Eukaryotes: Planctomycetes and Cell Organization https://www.nature.c[...] Nature Education 2010
[188] 웹사이트 2002 WHO mortality data https://web.archive.[...] 2007-01-20
[189] 웹사이트 Functions of global ocean microbiome key to understanding environmental changes https://www.scienced[...] University of Georgia 2015-12-10
[190] 논문 The biomass distribution on Earth https://www.pnas.org[...] 2018
[191] 논문 Why did life develop on the surface of the Earth in the Cambrian? https://www.scienced[...] 2016
[192] 웹인용 Age of the Earth http://pubs.usgs.gov[...] 미국 지질조사국 2007-07-09
[193] 문서 Dalrymple 2001
[194] 저널 인용 Lead isotope study of basic-ultrabasic layered complexes: Speculations about the age of the earth and primitive mantle characteristics 1980-05
[195] 저널 인용 Evidence of Archean life: Stromatolites and microfossils 2007-10-05
[196] 문서 Raven Johnson 2002
[197] 저널 인용 Nano−porous pyrite and organic matter in 3.5-billion-year-old stromatolites record primordial life https://discovery.uc[...]
[198] 뉴스 Earliest signs of life: Scientists find microbial remains in ancient rocks Phys.org 2019-09-26
[199] 저널 인용 The Future of the Fossil Record https://semanticscho[...] 1999-06-25
[200] 저널 인용 Cell evolution and Earth history: stasis and revolution 2006-06-29
[201] 저널 인용 Archean microfossils: a reappraisal of early life on Earth 2003-11
[202] 저널 인용 Disparate rates, differing fates: tempo and mode of evolution changed from the Precambrian to the Phanerozoic 1994-07-19
[203] 저널 인용 Evaluating hypotheses for the origin of eukaryotes 2007-01
[204] 저널 인용 Ancient Invasions: From Endosymbionts to Organelles https://semanticscho[...] 2004-04-09
[205] 저널 인용 The missing link between hydrogenosomes and mitochondria 2005-10
[206] 저널 인용 Mitochondrial genome evolution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1999-12
[207] 저널 인용 Environmental Diversity of Bacteria and Archaea 2001-08-01
[208] 저널 인용 Building a multicellular organism https://semanticscho[...] 2001-12
[209] 뉴스 Genetic Flip Helped Organisms Go From One Cell to Many https://www.nytimes.[...] 2016-01-07
[210] 저널 인용 Fossils, molecules and embryos: new perspectives on the Cambrian explosion http://dev.biologist[...] 1999-03-01
[211] 저널 The reason for as well as the consequence of the Cambrian explosion in animal evolution 1997-01
[211] 저널 Morphological and developmental macroevolution: a paleontological perspective http://www.ijdb.ehu.[...] 2014-12-30
[212] 서적 Biology:Concepts & Connections Pearson Education
[213] 문서 prokaryote
[214] 문서 eukaryotic
[215] 저널 The concept of a bacterium
[216] 저널 Phylogenetic structure of the prokaryotic domain: the primary kingdoms 1977-11
[217] 저널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1990-06
[218] 저널 Evidence for biogenic graphite in early Archaean Isua metasedimentary rocks 2014-01
[219] 저널 Rapid emergence of life shown by discovery of 3,700-million-year-old microbial structures http://ro.uow.edu.au[...] 2016-09
[220] 뉴스 Hints of life on what was thought to be desolate early Earth http://apnews.excite[...] Mindspark Interactive Network 2015-10-19
[221] 저널 Potentially biogenic carbon preserved in a 4.1 billion-year-old zircon 2015-10-19
[222] 저널 Evidence for early life in Earth's oldest hydrothermal vent precipitates http://eprints.white[...] 2017-03-02
[223] 뉴스 Scientists Say Canadian Bacteria Fossils May Be Earth's Oldest https://www.nytimes.[...] 2017-03-02
[224] 저널 Archaean metabolic evolution of microbial mats 1999-12-07
[225] 저널 A Whiff of Oxygen Before the Great Oxidation Event? 2007-09-28
[226] 저널 Eukaryotic organisms in Proterozoic oceans 2006-06-29
[227] 저널 The origin of the Metazoa in the light of the Proterozoic fossil record http://www.vend.pale[...] 2008-09-02
[228] 저널 The origins of multicellularity
[229] 간행물 How many species are there on earth?
[230] 간행물 Scaling laws predict global microbial diversity
[231] 간행물 Microbial diversity: the gap between the estimated and the known
[232] 웹사이트 Living Bacteria Are Riding Earth’s Air Currents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Magazine 2016-01-11
[233] 뉴스 Trillions Upon Trillions of Viruses Fall From the Sky Each Day https://www.nytimes.[...] 2018-04-14
[234] 저널 Deposition rates of viruses and bacteria above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2018-01-29
[235] 저널 Viruses in the Sea
[236] 문서
[237] 문서
[238] 저널 Marine viruses—major players in the global ecosystem
[239] 간행물 Geomicrobiology of high-level nuclear waste-contaminated vadose sediments at the Hanford site, Washington state
[240] 간행물 Towards a natural system of organisms: proposal for the domains Archaea, Bacteria, and Eucarya
[241] 간행물 Disparate rates, differing fates: tempo and mode of evolution changed from the Precambrian to the Phanerozoic
[242] 간행물 Environmental diversity of bacteria and archaea
[243] 간행물 Archaea and the prokaryote-to-eukaryote transition
[244] 간행물 Evaluating hypotheses for the origin of eukaryotes
[245] 간행물 Mitochondrial genome evolution and the origin of eukaryotes
[246] 논문 Endosymbiosis and evolution of the plant cell https://pubmed.ncbi.[...] 1999
[247] 논문 Control of the bacterial cell cycle by cytoplasmic growth https://pubmed.ncbi.[...] 2002
[248] 논문 Pseudomonas natriegens, a marine bacterium with a generation time of less than 10 minutes https://www.ncbi.nlm[...] 1962-04
[24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ebi.ac.uk[...]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 2022-05-29
[250] 뉴스 Flea market: A newly discovered virus may be the most abundant organism on the planet https://www.economis[...] The Economist 2013-02-16
[251] 논문 Abundant SAR11 viruses in the ocean https://pubmed.ncbi.[...] 2013
[252] 서적 Bioprospecting Springer, Cham 2017
[253] 웹사이트 NCBI Taxonomy Browser: Roseobacter https://www.ncbi.nl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20-05-08
[254] 뉴스 The largest Bacterium: Scientist discovers new bacterial life form off the African coast https://web.archive.[...] Max Planck Institute for Marine Microbiology 1999-04-08
[255] 웹사이트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 Genus Thiomargarita https://lpsn.dsmz.de[...]
[256] 서적 Cyanobacteria and cyanobacterial toxin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1-09-02
[257] 뉴스 The Rise of Oxygen - Astrobiology Magazine Astrobiology Magazine 2003-07-30
[258] 논문 Archean tufted microbial mats and the Great Oxidation Event: new insights into an ancient problem https://www.semantic[...] 2012
[259] 웹사이트 Understand the evolutionary mechanisms and environmental limits of life NASA 2003-09
[260] 논문 The cells that rule the seas https://web.archive.[...] 2003-12
[261] 뉴스 The Most Important Microbe You've Never Heard Of https://www.npr.org/[...] npr.org
[262] 논문 Present and future global distributions of the marine Cyanobacteria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https://www.ncbi.nlm[...] 2013
[263] 서적 Introduction to Botany Pearson Education, Inc. 2004
[264] 서적 The Concise Dictionary of Botany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265] 논문 Diversit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plastids and their hosts https://bsapubs.onli[...] 2004
[266] 논문 Archaea associated with human surfaces: not to be underestimated 2015
[267] 논문 Walsby's square bacterium: fine structure of an orthogonal procaryote 1981-10-01
[268] 서적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Prentice Hall
[269] 논문 Niche differentiation among annually recurrent coastal Marine Group II Euryarchaeota 2019
[270] 논문 Comparative biochemistry of Archaea and Bacteria 1991-12
[271] 서적 Microbiology: An Evolving Science https://archive.org/[...] WW Norton & Company
[272] 서적 Encyclopedia of Earth National Council of Science & the Environment 2010
[273] 논문 Aerobic anoxygenic phototrophic bacteria 1998
[274] 논문 High Abundances of Aerobic An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in the South Pacific Ocean 2007
[275] 논문 Distinct distribution pattern of abundance and diversity of aerobic anoxygenic phototrophic bacteria in the global ocean 2007
[276] 논문 High Abundances of Aerobic Anoxygenic Photosynthetic Bacteria in the South Pacific Ocean 2007
[277] 논문 Contribution of Aerobic Photoheterotrophic Bacteria to the Carbon Cycle in the Ocean 2001
[278] 서적 The Prokaryotes Springer 198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