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한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한서는 후한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로, 사마천의 사기, 반고의 한서, 진수의 삼국지와 함께 이십사사의 초기 4대 역사서 중 하나이다. 범엽이 편찬했으며, 본기, 열전, 지(志)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에는 후한 황제들의 통치 시기가, 열전에는 주요 인물들의 행적이, 지에는 제도, 문화, 천문, 지리 등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동이열전에는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고대 국가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어 한국 고대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후한서에는 57년에 왜 노국이 후한에 조공했다는 기록과 107년에 왜왕 율승이 인재를 헌상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여러 차례 번역 작업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문학 - 자치통감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은 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1362년간의 중국 역사를 연대순으로 기록한 294권의 방대한 편년체 역사서로, 통치자들의 흥망성쇠를 통해 정치적 교훈을 제시하고 다양한 시각과 사마광의 역사관을 담아 송대 이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송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후한서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후한서 송나라 소흥 간행본
후한서 송나라 소흥 간행본
저자반엽 등
언어한문
주제고대 중국 역사 (한나라)
발행 연도5세기
서지 정보
중국어 간체后汉书
중국어 병음Hòu Hànshū
웨이드-자일스 표기법Hou Han-shu
민난어Hiō Hàn-su
역사
이전한서
이후삼국지

2. 구성

이 책은 '사기', '한서', '삼국지'와 함께 이십사사의 초기 역사서 4개 중 하나이다. 범엽은 사마천반고의 기록을 포함하여, 여러 자료를 이용했는데, 그 중에는 2세기에 여러 사람이 저술한 '동관한기'나 4세기의 원홍의 '후한기'처럼 이름이 비슷한 책도 있었지만, 대부분 완전한 형태로 전해지지 않는다.

'서역전' 부분은 반용이 (후에 몇몇 내용이 추가되어) 125년경에 한안제에게 제출한 보고서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아마도 그의 아버지 반초의 기록도 포함되었을 것이다.[3] 이 책은 '후한서'의 제88권(혹은 일부 판본에서는 제118권)을 형성하며, 대진 (로마 제국)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 인도와 중앙 아시아에 대한 초기 상세 보고를 포함하여 서역의 문화적, 사회 경제적 자료에 대한 핵심 자료이다. 여기에는 안제의 죽음 이후에 일어난 사건들에 대한 몇몇 언급이 포함되어 있으며, 166년에 로마에서 온 최초의 공식 사절단의 도착에 대한 간략한 기록도 있다.[4]

범엽은 이 서역 부분에 담긴 새로운 정보가 대부분 반용의 보고서를 바탕으로 했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다.

:"반고는 이전 책 ['한서' 혹은 '전한서']에서 각 왕국의 풍속과 습속을 상세히 기록했다. 이제, 이 '서역전'에 기록된 건무 연간 [25-56] 이후의 보고는 이전 [반고의] 보고와 다르다. 이는 안제 [107-125] 말년에 반용의 보고 [에 근거한] 것이며, 등등이다."[5]

『후한서』는 후한 왕조의 영광과 쇠퇴를 기록한 것으로, 문장은 명문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구성에 있어서도 선행하는 사서와 비교하여 현저한 특징이 있다고 여겨진다.

이하, 내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서 후한서의 구성에 대해 기록한다. 후한서는 시간 순서에 따라 쓰여졌기 때문에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어 본기, 열전의 각 권의 개요를 설명하고, "열녀전"처럼 후한 왕조 일대의 여성을 망라한 것은 마지막에 묶었다.

목록은 판본에 따라 광무제기를 상하로 나누는지 여부 등, 차이가 있지만, 중화서국판에 따라 제목을 나타낸다.[30]

2. 1. 본기(本紀)

본기(本紀)는 후한 황제들의 통치 시기를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각 황제의 치적과 주요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서술하고 있다.

#제목번역비고
권 1 (상)卷一上 光武帝紀 第一上광무제기(光武帝紀) 제1한 광무제
권 1 (하)卷一下 光武帝紀 第一下광무제기(光武帝紀) 제1하한 광무제
권 2卷二 顯宗孝明帝紀 第二명제기(顯宗孝明帝紀) 제2한 명제
권 3卷三 肅宗孝章帝紀 第三장제기(肅宗孝章帝紀) 제3한 장제
권 4卷四 孝和孝殤帝紀 第四화제; 상제기(孝和孝殤帝紀) 제4한 화제; 한 상제
권 5卷五 孝安帝紀 第五안제기(孝安帝紀) 제5한 안제
권 6卷六 孝順孝沖孝質帝紀 第六순제; 충제; 질제기(孝順孝沖孝質帝紀) 제6한 순제; 한 충제; 한 질제
권 7卷七 孝桓帝紀 第七환제기(孝桓帝紀) 제7한 환제
권 8卷八 孝靈帝紀 第八영제기(孝靈帝紀) 제8한 영제
권 9卷九 孝獻帝紀 第九헌제기(孝獻帝紀) 제9한 헌제; 유변
권 10 (상)卷十上 皇后紀 第十上황후기(皇后紀) 제10상곽성통; 음려화; 마황후; 가귀인; 두황후; 음황후; 등수
권 10 (하)卷十下 皇后紀 第十下황후기(皇后紀) 제10하안희; 양나; 우미인; 진부인; 염명황태후; 양씨; 등맹녀;

십팔사략에도 채택된 곤양 전투의 묘사는 매우 훌륭하다.[7] 범엽은 광무제와 그를 지지한 운대이십팔장 및 마원에 대해 열전의 전반부에서 그 훌륭함을 기술하고 있다. 문선에 명문으로 채택된 "광무기찬"과 "이십팔장전론"은 광무제와 운대이십팔장을 칭송하는 글이다.

후한 초기에는 3대에 걸쳐 명군이 이어져 평화로운 시대였다. 요미우리 신문의 연재 소설이었던 미야자키 마사미쓰의 『초원의 바람』[8]으로, 라이트 노벨화도 되었다.[9] 주희는 『동한총론』에서 "다만 당고의 여러 현인들이 죽음에 이르러도 피하지 않은 것은, 광무, 명, 장의 열매를 위함임을 안다"고 논하며, 후한 중기에 쇠퇴해 가는 왕조를 지탱한 사대부는 후한 초기 명군 시대의 유산이라고 논하고 있다.

후한 왕조는 중기부터 귀족 정치의 폐해가 나타났고, 사마광은 "효화(화제) 이후에 이르러 귀척(외척)이 권세를 함부로 휘두르고, 환관이 일을 하고, 상벌이 분명하지 않고, 뇌물이 공공연히 오가며, 현명함과 어리석음이 뒤섞이고, 시비가 뒤바뀌었으니, 혼란하다고 말할 만하다."(『자치통감』)[10]라고 평하는 암흑 시대가 찾아온다. 환관과 외척이 정치를 좌지우지하며 뇌물과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데에 몰두했던 악정의 시대였다. 본기에서는 권4의 "효화효상제기"부터 권6의 "효순효충효질제기"가 이 부분에 해당하며, 열전에서는 권45 "원안전" 이후가 여기에 해당한다.

범엽은 이 시대의 기술에서 외척의 폭정에 저항한 원안, 환관 정치를 탄핵하여 소외된 양진 등 귀족(명사)의 정의로운 인물을 많이 다루고 있다. 명사의 유교에 근거한 격렬한 정치 비판과 반정부 운동(당고의 금에 목숨을 건 반대 운동)을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11] "인의를 숭상하고, 절개를 지키는 것을 으뜸으로 여기는 직선적인 행위, 격렬한 행위에 대한 칭찬"을 볼 수 있다고 한다.[12] 또한, 당고의 금에 저촉된 인물을 "당고전"으로 묶어 놓았다. 명사의 정치 비판은 이상론에 지나지 않는 경우도 많았고, 실효성이 없는 경우도 많았다. 예를 들어 명사 중 한 명인 송효는 양주의 민중 반란을 평정하라는 명령을 받았을 때 "민중 반란이 일어나는 것은 도덕의 문란 때문이다. 국민 모두에게 '효경'을 읽게 하여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을 장려해야 한다"고 말했다.[13] 이는 후세 사람들에게 "너무 미온적이다", "우원한 것이 아닌가"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14], 범엽은 그대로 게재했다.

역대 여러 학자들의 평가는 이 부분에 대해 전혀 평가하지 않는 사람과 절찬하는 사람으로 나뉜다. 에도 시대의 유학자인 중이이헌은 저서 『후한서조제』에서 "후한에는 진짜 유자가 없었다. 정치에 기여하지도 않고, 문장만 가지고 놀았다. 조금은 도움이 되는 일도 했을지 모르지만, 대단한 일은 하지 못했다"고 혹평했다.[15] 반면, 요시다 쇼인은 감격하여 그들에게 시를 헌정했으며,[16] 마오쩌둥은 "아주 잘 쓰여졌고, 읽을 가치가 있다"고 평하며 특히 황경전과 이고전을 칭찬했다.[17]

후한 중기의 외척과 환관의 폐해는 시정되지 않은 채 후한은 마침내 말기 증상을 보이게 된다.

본기에서는 권7 "효환제기"부터 권9 "효헌제기", 열전에서는 권68 "곽부허열전" 이후가 말기의 인물을 그리는 부분이다. 이른바 "동이전"의 "환령의 간"이라고 불리는 난세이다. 왜에도 "왜국 대란"이라고 불리는 혼란이 일어났지만, 이때는 중국 본토에서도 황건적의 난과 같은 민중 반란이 빈발하고 있었다. 후에 촉의 유비와 제갈량이 이 시대를 회상하며, 탄식하고 통석하지 않은 적이 없었다고 하는 시대였다. ( 출사표에 의함) 삼국지연의는 진수의 『삼국지』 외에 범엽의 『후한서』의 해당 부분이 토대가 된 것으로 여겨진다.

범엽의 『후한서』는 민중 반란으로 인해 후한 왕조가 쇠퇴하고, 동탁이나 여포와 같은 군웅이 다툰 후, 헌제를 받들고 제위 찬탈을 꾀하는 조조가 헌제를 박해하는 묘사로 끝난다. 범엽은 인간의 힘을 믿고, "이것은 운명이니 어쩔 수 없다"는 식의 "포기론"을 싫어했던 것으로 보인다.[11] 그래서 조조에 대한 후한 고관의 저항이 그려지지만, 결국 그것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후한은 조조의 아들 조비에 의해 찬탈되어 끝난다. 공융처럼 일마다 조조를 비판하는 인물이 그려진다. 조조는 공융을 미워하여 죄에 빠뜨리고 공융의 어린 아이 둘을 함께 처형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조조가 후한을 찬탈하지 못한 것은 공융과 같은 충신이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하고 있다.[18]

후한 마지막 황제인 헌제의 전기 "효헌제기"는 범엽의 절망을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말로 끝맺는다.

"하늘이 한나라의 덕에 싫증을 낸 지 오래 되었다." (하늘은 한 왕조를 버렸다.)[11]

『후한서』 본기의 마지막은 황후기 하이다. 이 권은 "효헌제기"보다 더욱 처절함을 더한다. 동탁의 부하 이유에게 독살당한 열여덟 살의 소년 황제 소제 변의 전기도 여기에 들어있다. 독살당하기 전 마지막 연회에서 소제 변과 아내 당희가 슬퍼하며 읊은 노래는, 후지타 시젠이 "후한 왕조의 만가"라고 평했다.[19] 후지타가 "한 왕조의 비운과, 그 남편을 지키려 했던 한 슬픈 여성"[20]이라고 칭한 헌제의 헌목조황후는, 후한 왕조의 선위를 강요한 오빠 조비에게 저항하며, 끝까지 옥새를 넘겨주려 하지 않고, "우리에게는 천운이 없었다!(天不祚爾)"라고 통곡했다. 좌우의 사람들은 모두 비통함에 정시할 수 없었다고 한다. 이처럼 『후한서』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2. 1. 1. 황제

광무제(光武帝)부터 헌제(獻帝)까지 후한의 역대 황제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각 황제의 즉위, 치세, 주요 사건, 사망 등을 연대순으로 기록한다.

황제시기(음력)비고
권1上, 권1下광무제 수(光武帝 秀)23년 1월 ~ 57년 2월
(현한 경시(更始) 원년 ~ 건무중원(建武中元) 2년)
권2효명제 장(孝明帝 莊)57년 2월 ~ 75년 8월
(건무중원(建武中元) 2년 ~ 영평(永平) 18년)
권3효장제 달(孝章帝 炟)75년 8월 ~ 88년 2월
(영평(永平) 18년 ~ 장화(章和) 2년)
권4효화제 조(孝和帝 肇)
효상제 융(孝殤帝 隆)
88년 2월 ~ 106년 8월
(장화(章和) 2년 ~ 연평(延平) 원년)
권5효안제 호(孝安帝 祜)
북향후 의(北鄕侯 懿)
106년 8월 ~ 125년 10월
(연평(延平) 원년 ~ 연광(延光) 4년)
권6효순제 보(孝順帝 保)
효충제 병(孝沖帝 炳)
효질제 찬(孝質帝 纘)
125년 11월 ~ 146년 윤 6월
(연광(延光) 4년 ~ 본초(本初) 원년)
권7효환제 지(孝桓帝 志)146년 윤 6월 ~ 167년 12월
(본초(本初) 원년 ~ 영강(永康) 원년)
권8효령제 굉(孝靈帝 宏)
홍농회왕 변(弘農懷王 辯)
168년 1월 ~ 189년 9월
(건녕(建寧) 원년 ~ 중평(中平) 6년)
권9효헌제 협(孝獻帝 協)189년 9월 ~ 220년 10월
(중평(中平) 6년 ~ 연강(延康) 원년)


2. 1. 2. 후비(后妃)

후한서의 권10은 황후와 후궁들의 전기(傳記)를 모아 놓은 부분이다. 황후들의 가계, 성품, 정치적 영향력 등을 다룬다.

2. 2. 열전(列傳)

wikitext

다음은 《후한서》의 주요 인물 목록이다.

  • 유현, 유분자: 후한 건국 이전의 주요 인물
  • 왕랑, 유영, 팽맹, 장보, 왕굉, 이헌, 팽총, 노방: 반란 세력의 지도자
  • 외효, 공손술: 지방 군벌 세력
  • 제무왕 인, 북해정왕 흥, 조효왕 량, 성양공왕 지, 사수왕 흡, 안성효후 사, 성무효후 순, 순양회후 가: 황실 종친, 4명의 왕과 3명의 후작
  • 이통, 왕상, 등신, 래흡, 래습: 후한 건국 공신
  • 등우, 등훈, 등질, 구순, 구영: 후한 건국 공신
  • 풍이, 잠팽, 가복: 후한 건국 공신
  • 오한, 개연, 진준, 장궁: 후한 건국 공신
  • 경엄, 경국, 경병, 경규, 경공: 후한 건국 공신
  • 조기, 왕패, 제준, 제융: 후한 건국 공신
  • 임광, 임외, 이충, 만수, 비동, 유식, 경순: 후한 건국 공신
  • 주후, 경단, 왕량, 두무, 마성, 유륭, 부준, 견심, 마무: 후한 건국 공신
  • 두융, 두고, 두헌, 두장: 외척 세력
  • 마원, 마료, 마방, 마엄, 마릉: 뛰어난 장군
  • 탁무, 노공, 노비, 위패, 유관: 청렴한 관리
  • 복담, 복륭, 후패, 송홍, 송한, 채무, 곽하, 풍근, 조희, 모융, 위표, 위의: 후한 초기 인물
  • 선병, 장담, 왕단, 왕량, 두림, 곽단, 오량, 승궁, 정균, 조전: 후한 초기 인물
  • 환담, 풍연, 풍표: 후한 초기 인물
  • 신도강, 포영, 포욱, 질운, 질수: 후한 초기 인물
  • 소경, 양후, 낭의, 양개: 후한 초기 인물
  • 곽급, 두시, 공분, 장감, 렴범, 왕당, 소장, 소불위, 양속, 가종, 육강: 후한 초기 인물
  • 번굉, 번숙, 번준, 음식, 음흥: 후한 초기 인물
  • 주부, 풍방, 어연, 정홍, 주장]]: 후한 초기 인물
  • 양통, 양송, 양속, 양상, 양기: 외척 세력
  • 장순, 장분, 조포, 정현: 학자 및 문인
  • 정흥, 정중, 범승, 진원, 가규, 장패, 장개, 장령, 장현]]: 학자 및 문인
  • 환영, 환욱, 환언, 환전, 환란, 환엽, 환빈, 정홍: 환관 세력
  • 장종, 법웅, 등무, 풍곤, 도상, 양선: 후한 초기 인물
  • 유평, 조효, 순우공, 강혁, 유반, 유개, 주반, 채순, 조자]]: 후한 초기 인물
  • 반표, 반고: 학자 및 문인
  • 제오륜, 종리의, 송균, 송의, 한랑: 후한 초기 인물
  • 유강, 유보, 유강, 유연, 유언, 유영, 유창, 유형, 유형, 유경]]: 광무제의 아들
  • 주휘, 손무, 악회, 하창: 후한 초기 인물
  • 등표, 장우, 서방, 장민, 호광]]: 후한 초기 인물
  • 원안, 원경, 원창, 원굉, 장부, 한릉, 주영, 주경: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곽궁, 곽진, 진총, 진충: 후한 초기 인물
  • 반초, 반용, 양근, 하희: 뛰어난 장군
  • 양종, 이법, 적부, 응봉, 응소, 곽허, 원연, 서구: 후한 초기 인물
  • 왕충, 왕부, 중장통: 학자 및 문인
  • 유건, 유선, 유공, 유당, 유연, 유창, 유병, 유장]]: 효명제의 아들
  • 이순, 진선, 방참, 진구, 교현: 후한 초기 인물
  • 최인, 최원, 최식, 최렬, 최균: 학자 및 문인
  • 주섭, 황헌, 서치, 강굉, 신도반: 후한 초기 인물
  • 양진, 양병, 양사, 양표, 양수: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유강, 유전, 유경, 유수, 유개, 유숙, 유만세, 유승]]: 장제의 아들
  • 장호, 장강, 왕공, 왕창, 종고, 종대, 종불, 종소, 진구: 후한 초기 인물
  • 두근, 성익세, 난파, 유도, 이운, 유유, 사필: 후한 초기 인물
  • 우욱, 부섭, 개훈, 장홍: 후한 말 군웅
  • 장형: 학자 및 문인
  • 마융: 학자 및 문인
  • 채옹: 학자 및 문인
  • 좌웅, 주거, 주협, 황경, 황완: 후한 초기 인물
  • 순숙, 순상, 순열, 한소, 종호, 진실, 진기]]: 학자 및 문인
  • 이고, 이섭, 두교: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오우, 연독, 사필, 노식, 조기: 후한 초기 인물
  • 황보규, 장환, 단경: 후한 말 군웅
  • 진번, 왕윤: 후한 말 군웅
  • 유숙, 이응, 두밀, 위랑, 하복, 종자, 범방, 윤훈, 채연, 양척, 장검, 심지, 진상, 원강, 단부, 유유, 가표, 하옹: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곽태, 부융, 허소: 후한 초기 인물
  • 두무, 하진: 외척 세력
  • 정태, 공융, 순욱: 후한 말 군벌
  • 황보숭, 주준: 후한 말 군웅
  • 동탁: 후한 말 군웅
  • 유우, 공손찬, 도겸: 후한 말 군벌
  • 원소, 원담, 유표: 후한 말 군벌
  • 유언, 원술, 여포: 후한 말 군벌
  • 위삽, 임연, 왕경, 진팽, 왕환, 허형, 맹상, 제오방, 유거, 유총, 구람, 동회: 순리(循吏, 청렴한 관리)
  • 동선, 번엽, 이장, 주유, 황창, 양구, 왕길]]: 혹리(酷吏, 가혹한 관리)
  • 정중, 채륜, 손정, 조등, 단초, 후람, 조절, 여강, 장양: 환관(宦者)
  • 유곤, 와단, 임안, 양정, 장흥, 대빙, 위만, 구양급, 조증, 진엄, 모장, 송등, 장순, 윤민, 주방, 공희, 양륜: 유림(儒林, 유학자)
  • 고숙, 포함, 위응, 복공, 임말, 경제, 설한, 두부, 양인, 조엽, 장광, 위굉, 동균, 정공, 주택, 주감, 종흥, 견우, 루망, 정증, 장현, 이육, 하휴, 복건, 영용, 사해, 허신, 채현: 유림(儒林, 유학자)
  • 두독, 왕륭, 하고, 부의, 황향, 유의, 이우, 이승, 소순, 유진, 갈궁, 왕일, 최기, 변소: 문원(文苑, 문인)
  • 장승, 조일, 유량, 유정, 변양, 려염, 후근, 고표, 장초, 예형: 문원(文苑, 문인)
  • 초현, 이업, 유모, 온서, 팽수, 색로, 주가, 범식, 이선, 왕둔, 장무, 륙속, 대봉, 이충, 묘융, 진중, 뇌의, 범인, 대취, 장읍, 조포, 향후, 양보, 유익, 왕열: 독행(獨行, 뛰어난 도덕성과 절개를 지킨 인물)
  • 임문공, 곽헌, 허양, 왕교, 사이어, 양유, 이남, 이합, 단계, 요부, 절상, 번영: 방술(方術, 의술, 점술, 천문 등 특수한 기술을 가진 인물)
  • 당단, 공사목, 허만, 조언, 번지장, 단양, 한설, 동부, 곽옥, 화타, 서등, 비장방, 계자훈, 유근, 좌자, 계자훈, 상성공, 해노고, 감시, 왕진, 왕화평: 방술(方術, 의술, 점술, 천문 등 특수한 기술을 가진 인물)
  • 야왕이로, 향장, 봉맹, 주당, 왕패, 엄광, 정단, 양홍, 고봉, 대동, 한강, 교신, 대량, 법진, 한음노부, 진류노부, 방덕공: 일민(逸民, 속세를 떠나 은둔한 인물)
  • 포선의 처, 왕패의 처, 강시의 처, 주울의 처, 조세숙의 처, 낙양자의 처, 정문거의 처, 효녀 조아, 허승의 처, 원외의 처, 방육모, 유장경의 처, 황보규의 처, 음유의 처, 성도의 처, 효녀 숙선웅, 동사처: 열녀(列女, 절개와 덕행을 지킨 여성)

2. 2. 1. 주요 인물

다음은 《후한서》의 주요 인물 목록이다.

  • 유현, 유분자: 후한 건국 이전의 주요 인물
  • 왕랑, 유영, 팽맹, 장보, 왕굉, 이헌, 팽총, 노방: 반란 세력의 지도자
  • 외효, 공손술: 지방 군벌 세력
  • 제무왕 인, 북해정왕 흥, 조효왕 량, 성양공왕 지, 사수왕 흡, 안성효후 사, 성무효후 순, 순양회후 가: 황실 종친, 4명의 왕과 3명의 후작
  • 이통, 왕상, 등신, 래흡, 래습: 후한 건국 공신
  • 등우, 등훈, 등질, 구순, 구영: 후한 건국 공신
  • 풍이, 잠팽, 가복: 후한 건국 공신
  • 오한, 개연, 진준, 장궁: 후한 건국 공신
  • 경엄, 경국, 경병, 경규, 경공: 후한 건국 공신
  • 조기, 왕패, 제준, 제융: 후한 건국 공신
  • 임광, 임외, 이충, 만수, 비동, 유식, 경순: 후한 건국 공신
  • 주후, 경단, 왕량, 두무, 마성, 유륭, 부준, 견심, 마무: 후한 건국 공신
  • 두융, 두고, 두헌, 두장: 외척 세력
  • 마원, 마료, 마방, 마엄, 마릉: 뛰어난 장군
  • 탁무, 노공, 노비, 위패, 유관: 청렴한 관리
  • 복담, 복륭, 후패, 송홍, 송한, 채무, 곽하, 풍근, 조희, 모융, 위표, 위의: 후한 초기 인물
  • 선병, 장담, 왕단, 왕량, 두림, 곽단, 오량, 승궁, 정균, 조전: 후한 초기 인물
  • 환담, 풍연, 풍표: 후한 초기 인물
  • 신도강, 포영, 포욱, 질운, 질수: 후한 초기 인물
  • 소경, 양후, 낭의, 양개: 후한 초기 인물
  • 곽급, 두시, 공분, 장감, 렴범, 왕당, 소장, 소불위, 양속, 가종, 육강: 후한 초기 인물
  • 번굉, 번숙, 번준, 음식, 음흥: 후한 초기 인물
  • 주부, 풍방, 어연, 정홍, 주장]]: 후한 초기 인물
  • 양통, 양송, 양속, 양상, 양기: 외척 세력
  • 장순, 장분, 조포, 정현: 학자 및 문인
  • 정흥, 정중, 범승, 진원, 가규, 장패, 장개, 장령, 장현]]: 학자 및 문인
  • 환영, 환욱, 환언, 환전, 환란, 환엽, 환빈, 정홍: 환관 세력
  • 장종, 법웅, 등무, 풍곤, 도상, 양선: 후한 초기 인물
  • 유평, 조효, 순우공, 강혁, 유반, 유개, 주반, 채순, 조자]]: 후한 초기 인물
  • 반표, 반고: 학자 및 문인
  • 제오륜, 종리의, 송균, 송의, 한랑: 후한 초기 인물
  • 유강, 유보, 유강, 유연, 유언, 유영, 유창, 유형, 유형, 유경]]: 광무제의 아들
  • 주휘, 손무, 악회, 하창: 후한 초기 인물
  • 등표, 장우, 서방, 장민, 호광]]: 후한 초기 인물
  • 원안, 원경, 원창, 원굉, 장부, 한릉, 주영, 주경: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곽궁, 곽진, 진총, 진충: 후한 초기 인물
  • 반초, 반용, 양근, 하희: 뛰어난 장군
  • 양종, 이법, 적부, 응봉, 응소, 곽허, 원연, 서구: 후한 초기 인물
  • 왕충, 왕부, 중장통: 학자 및 문인
  • 유건, 유선, 유공, 유당, 유연, 유창, 유병, 유장]]: 효명제의 아들
  • 이순, 진선, 방참, 진구, 교현: 후한 초기 인물
  • 최인, 최원, 최식, 최렬, 최균: 학자 및 문인
  • 주섭, 황헌, 서치, 강굉, 신도반: 후한 초기 인물
  • 양진, 양병, 양사, 양표, 양수: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유강, 유전, 유경, 유수, 유개, 유숙, 유만세, 유승]]: 장제의 아들
  • 장호, 장강, 왕공, 왕창, 종고, 종대, 종불, 종소, 진구: 후한 초기 인물
  • 두근, 성익세, 난파, 유도, 이운, 유유, 사필: 후한 초기 인물
  • 우욱, 부섭, 개훈, 장홍: 후한 말 군웅
  • 장형: 학자 및 문인
  • 마융: 학자 및 문인
  • 채옹: 학자 및 문인
  • 좌웅, 주거, 주협, 황경, 황완: 후한 초기 인물
  • 순숙, 순상, 순열, 한소, 종호, 진실, 진기]]: 학자 및 문인
  • 이고, 이섭, 두교: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오우, 연독, 사필, 노식, 조기: 후한 초기 인물
  • 황보규, 장환, 단경: 후한 말 군웅
  • 진번, 왕윤: 후한 말 군웅
  • 유숙, 이응, 두밀, 위랑, 하복, 종자, 범방, 윤훈, 채연, 양척, 장검, 심지, 진상, 원강, 단부, 유유, 가표, 하옹: 당고의 화에 연루된 인물
  • 곽태, 부융, 허소: 후한 초기 인물
  • 두무, 하진: 외척 세력
  • 정태, 공융, 순욱: 후한 말 군벌
  • 황보숭, 주준: 후한 말 군웅
  • 동탁: 후한 말 군웅
  • 유우, 공손찬, 도겸: 후한 말 군벌
  • 원소, 원담, 유표: 후한 말 군벌
  • 유언, 원술, 여포: 후한 말 군벌
  • 위삽, 임연, 왕경, 진팽, 왕환, 허형, 맹상, 제오방, 유거, 유총, 구람, 동회: 순리(循吏, 청렴한 관리)
  • 동선, 번엽, 이장, 주유, 황창, 양구, 왕길]]: 혹리(酷吏, 가혹한 관리)
  • 정중, 채륜, 손정, 조등, 단초, 후람, 조절, 여강, 장양: 환관(宦者)
  • 유곤, 와단, 임안, 양정, 장흥, 대빙, 위만, 구양급, 조증, 진엄, 모장, 송등, 장순, 윤민, 주방, 공희, 양륜: 유림(儒林, 유학자)
  • 고숙, 포함, 위응, 복공, 임말, 경제, 설한, 두부, 양인, 조엽, 장광, 위굉, 동균, 정공, 주택, 주감, 종흥, 견우, 루망, 정증, 장현, 이육, 하휴, 복건, 영용, 사해, 허신, 채현: 유림(儒林, 유학자)
  • 두독, 왕륭, 하고, 부의, 황향, 유의, 이우, 이승, 소순, 유진, 갈궁, 왕일, 최기, 변소: 문원(文苑, 문인)
  • 장승, 조일, 유량, 유정, 변양, 려염, 후근, 고표, 장초, 예형: 문원(文苑, 문인)
  • 초현, 이업, 유모, 온서, 팽수, 색로, 주가, 범식, 이선, 왕둔, 장무, 륙속, 대봉, 이충, 묘융, 진중, 뇌의, 범인, 대취, 장읍, 조포, 향후, 양보, 유익, 왕열: 독행(獨行, 뛰어난 도덕성과 절개를 지킨 인물)
  • 임문공, 곽헌, 허양, 왕교, 사이어, 양유, 이남, 이합, 단계, 요부, 절상, 번영: 방술(方術, 의술, 점술, 천문 등 특수한 기술을 가진 인물)
  • 당단, 공사목, 허만, 조언, 번지장, 단양, 한설, 동부, 곽옥, 화타, 서등, 비장방, 계자훈, 유근, 좌자, 계자훈, 상성공, 해노고, 감시, 왕진, 왕화평: 방술(方術, 의술, 점술, 천문 등 특수한 기술을 가진 인물)
  • 야왕이로, 향장, 봉맹, 주당, 왕패, 엄광, 정단, 양홍, 고봉, 대동, 한강, 교신, 대량, 법진, 한음노부, 진류노부, 방덕공: 일민(逸民, 속세를 떠나 은둔한 인물)
  • 포선의 처, 왕패의 처, 강시의 처, 주울의 처, 조세숙의 처, 낙양자의 처, 정문거의 처, 효녀 조아, 허승의 처, 원외의 처, 방육모, 유장경의 처, 황보규의 처, 음유의 처, 성도의 처, 효녀 숙선웅, 동사처: 열녀(列女, 절개와 덕행을 지킨 여성)

2. 2. 2. 동이(東夷)

『후한서』 동이전에 왜국을 기록한 부분. 간에이 전기(寛永前期)에 일본에서 활자 인쇄된 책.]]

후한서』 동이열전에는 부여, 읍루, 고구려, 동옥저, 삼한, 왜(倭) 등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고대 국가 및 민족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왜 (후의 일본)에 대한 묘사는 고대 일본의 사료가 되고 있다. 이 "왜조" (소위 "후한서 왜전")는 280년대에 성립된 것으로 여겨지는 『삼국지』의 "위서" 동이전 왜인조 (소위 "위지왜인전")를 기반으로 한 묘사로 여겨진다.

"위지왜인전"에 없는 묘사로, 건무중원 2년에 왜노국이 조공을 바쳤는데 사신이 스스로 대부라고 칭했고, 왜국의 극남쪽 경계라고 했다. 광무제가 인수를 하사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건무중원 2년 (57년)에 왜 노국이 조공했다고 전해진다. 이때 광무제가 하사한 금인 (한왜노국왕인)이 후쿠오카현의 시카노시마에서 출토되었다. 또한, 안제 영초 원년에 왜왕 율승 등이 생구 160명을 헌상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영초 원년 (107년)에 왜왕 율승이 인재 (노동자인가) 160명을 헌상했다고 전해진다. 이것이 사료에 이름이 나오는 최초의 왜인으로, 단 한 구절만 존재하여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또한 "위지왜인전"에 연대 지정이 없는 왜국대란 (위지는 "왜국란"으로 표기)에 대해서도 환제·령제 사이 (147년 - 189년)로, 대략적이지만 연대 지정이 있다.

2. 2. 3. 남만(南蠻)·서남이(西南夷)

후한서의 남만·서남이 열전은 후한의 남쪽과 서남쪽에 있던 이민족에 대한 기록이다.

2. 2. 4. 서강(西羌)

후한서 〈서강전〉은 후한 시대 서쪽 지역에 살았던 강족(羌族)에 대한 기록을 담고 있다.

2. 2. 5. 서역(西域)

후한서의 서역전에는 환제 연희 9년(166년)에 일남에서 상아나 대모 등을 가져온 "대진왕 안돈"의 사자가 왔다는 기록이 있다. 이 "대진왕 안돈"은 로마 제국 황제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안토니누스라는 설이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2. 2. 6. 남흉노(南匈奴)

후한서의 남흉노에 대한 기록은 후한의 북쪽 국경 지대에 거주하던 남흉노에 대한 것이다.

2. 2. 7. 오환(烏桓)·선비(鮮卑)

후한서에는 북쪽 국경 지대에 거주하던 오환족과 선비족에 대한 기록이 없다.

2. 3. 속한지(續漢志)

후한서》의 〈속한지(續漢志)〉는 후한의 제도, 문화, 천문, 지리 등을 다룬다. 목록은 판본에 따라 광무제기를 상하로 나누는지 여부 등, 차이가 있지만, 중화서국판에 따라 제목을 나타낸다.[30]

  • 율력(律曆): 후한서의 율력은 역법과 관련된 기록을 담고 있다. 율력은 상, 중, 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제1 율력 상, 제2 율력 중, 제3 율력 하이다.
  • 예의(禮儀): 후한서의 지(志)는 총 3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권94부터 권96까지는 예의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 권94 예의(禮儀) 상
  • * 권95 예의(禮儀) 중
  • * 권96 예의(禮儀) 하

예의지는 국가의 의례와 제도에 대한 기록이다.

  • 제사(祭祀): 《후한서》의 〈제사지(祭祀志)〉는 제사 의식과 관련된 기록을 담고 있다. 상, 중, 하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제7권, 제8권, 제9권에 해당한다.
  • 천문(天文): 후한서의 지(志) 중 제10 천문(天文) 상, 제11 천문(天文) 중, 제12 천문(天文) 하에 천문 현상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 오행(五行): 후한서에는 오행 사상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후한서의 오행지
제목
권103오행 1
권104오행 2
권105오행 3
권106오행 4
권107오행 5
권108오행 6


  • 군국(郡國):


width=15%|제목항목
권109군국 1
권110군국 2
권111군국 3
권112군국 4
권113군국 5


  • 백관(百官):


#제목번역비고
권 114第二十四 百官一제24 백관(百官) 1
권 115第二十五 百官二제25 백관(百官) 2
권 116第二十六 百官三제26 백관(百官) 3
권 117第二十七 百官四제27 백관(百官) 4
권 118第二十八 百官五제28 백관(百官) 5


  • 여복(輿服): 후한서의 지(志)에는 여복(輿服)에 관한 기록이 상, 하 두 권으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여복지는 복식과 수레 등 의복과 관련된 기록을 담고 있다.


width=15%|제목항목
권119여복(輿服) 상
권120여복 하


2. 3. 1. 율력(律曆)

후한서의 율력(律曆)은 역법과 관련된 기록을 담고 있다. 율력은 상, 중, 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제1 율력 상, 제2 율력 중, 제3 율력 하이다.

2. 3. 2. 예의(禮儀)

후한서의 지(志)는 총 30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권94부터 권96까지는 예의(禮儀)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 권94 예의(禮儀) 상
  • 권95 예의(禮儀) 중
  • 권96 예의(禮儀) 하


예의지는 국가의 의례와 제도에 대한 기록이다.

2. 3. 3. 제사(祭祀)

후한서》의 〈제사지(祭祀志)〉는 제사 의식과 관련된 기록을 담고 있다. 상, 중, 하 세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제7권, 제8권, 제9권에 해당한다.,,

2. 3. 4. 천문(天文)

후한서의 지(志) 중 제10 천문(天文) 상, 제11 천문(天文) 중, 제12 천문(天文) 하에 천문 현상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2. 3. 5. 오행(五行)

후한서에는 오행 사상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후한서의 오행지
제목
권103오행 1
권104오행 2
권105오행 3
권106오행 4
권107오행 5
권108오행 6


2. 3. 6. 군국(郡國)

wikitable

width=15%|제목항목
권109군국 1
권110군국 2
권111군국 3
권112군국 4
권113군국 5


2. 3. 7. 백관(百官)

wikitable

#제목번역비고
권 114第二十四 百官一제24 백관(百官) 1
권 115第二十五 百官二제25 백관(百官) 2
권 116第二十六 百官三제26 백관(百官) 3
권 117第二十七 百官四제27 백관(百官) 4
권 118第二十八 百官五제28 백관(百官) 5


2. 3. 8. 여복(輿服)

후한서의 지(志)에는 여복(輿服)에 관한 기록이 상, 하 두 권으로 나뉘어 수록되어 있다. 여복지는 복식과 수레 등 의복과 관련된 기록을 담고 있다.

width=15%|제목항목
권119여복(輿服) 상
권120여복 하


3. 한국과의 관계

『후한서』 동이전에 왜국을 기록한 부분. 간에이 전기(寛永前期)에 일본에서 활자 인쇄된 책.]]

후한서』 동이열전(東夷列傳)에는 부여, 고구려, 옥저, 삼한(마한, 진한, 변한), 왜(倭) 등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고대 국가 및 민족에 대한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한반도 남부의 삼한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 이전의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건무중원 2년(57년)에 왜 노국(倭奴國)이 후한에 조공하고 광무제로부터 금인(金印)을 받았다는 기록은 한일 관계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이 금인(한왜노국왕인)은 후쿠오카현의 시카노시마에서 출토되었다.

영초 원년 (107년)에 왜왕 율승이 인재 (노동자인가) 160명을 헌상했다는 기록이 있다.

3. 1. 한국어 번역

한국에서는 후한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여러 차례 번역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미영은 2013년에 번역본 10권을 출간하였고, 대동상업고등학교(현 대동세무고등학교) 교장을 지낸 진기환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후한서 10권을 번역하여 간행하였다.

『'''후한서'''』
남송 시대의 소흥 연간의 판본. 이현 주.


일본어 번역본으로는 길천충부(깃카와 타다오)의 훈주본(2001-2007)과[23] 와타나베 요시히로의 완역본(2001-2016) 등이[31] 한국 학계에서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4. 평가

범엽(范曄)은 『후한서(後漢書)』에 대해 높은 자부심을 가졌으며, 자신의 유서인 『제생질에게 주는 글(諸甥姪に与うる書)』에서 《한서(漢書)》보다 내용이 뛰어나다고 평가했다.[24] 특히 서(序)와 논(論)은 가의(賈誼)보다 뛰어나며, 찬(賛)은 자신의 문장 중 걸작이라고 자평했다.[25] 이러한 범엽의 주장은 "《한서》보다 위다"라는 점을 제외하고, 후세 사가들에게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당(唐)나라 유지기(劉知幾)는 『사통(史通)』에서 범엽의 『후한서』를 높이 평가했다.

장회태자(章懷太子) 또한 원굉(袁宏)의 『후한기(後漢紀)』보다 범엽의 『후한서』를 높이 평가했다.

후한(後漢) 말에 대한 기술은 남조(南朝) 宋)에서 편찬되었기 때문에 촉한(蜀漢)에 가까운 입장을 보인다. 따라서 서진(西晋)에서 편찬된 진수(陳壽)의 『삼국지(三國志)』에 비해 조조(曹操)의 악행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26] 범엽의 『후한서』에 나타난 조조 악인설은 청(清)나라 조익(趙翼)의 이십이사찰기(二十二史箚記)를 통해 널리 알려졌으나, 현대에는 조익의 주장과 범엽의 사료 편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조조에 대한 평가가 재조명되고 있다.[26]

참조

[1]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W.W. Norton 2013-10-24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1000 BCE-900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3] 간행물 2015
[4] 간행물 2015
[5] 간행물 2015
[6] 웹사이트 東漢總論(朱子全書、『古今図書集成』第379卷より) https://zh.wikisourc[...]
[7] 문서 馬援は功績から言って当然二十八将に入っておかしくはないが、娘が明帝の皇后になったために二十八将から外されている。
[8] 서적 草原の風 中公文庫
[9] 서적 光武大帝伝 宙出版 2020
[10] 서적 三国志と人間学 福村出版 1987
[11] 문서 1968
[12] 문서 2010
[13] 문서
[14] 서적 三国志きらめく群像 ちくま文庫
[15] 논문 '『後漢書』「儒林伝」と『史記』「儒林伝」―直言の系譜―' 大阪公立大学人文学会 2017
[16] 문서 1987
[17] 서적 中国史学入門 研文出版 1987
[18] 서적 漢書・後漢書・三国志列伝選 平凡社・[[中国古典文学大系]] 1968
[19] 서적 後漢書 明徳出版社 1970
[20] 서적 後漢書 明徳出版社 1970
[21] 서적 漢書・後漢書・三国志列伝選 平凡社・[[中国古典文学大系]] 1968
[22] 논문 '『後漢書』李賢注に引く『前書音義』について' 大東文化大学人文科学研究所 2004-03-31
[23] 문서 2004
[24] 논문 '『後漢書』「儒林伝」と『史記』「儒林伝」―直言の系譜―' 大阪公立大学人文学会 2017
[25] 서적 漢書・後漢書・三国志列伝選 平凡社・[[中国古典文学大系]]
[26] 서적 三国志曹操伝, 三国志逍遥
[27] 서적 百衲本後漢書校勘記 商務印書館 1999
[28] 서적 週刊朝日百科 日本の国宝050【国所蔵/国立歴史民俗博物館・東京芸術大学・東北大学・京都大学】 朝日新聞社 1998
[29] 문서 1999
[30] 문서 1999
[31]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