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칠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칠기도는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장정리에 위치한 특정도서이다. 대한민국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특정도서 제65호로 지정되었으며, 면적은 11,504m²이다.

2. 특정도서 지정 현황

2. 1. 지역별 특정도서

2. 1. 1.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관할의 섬은 다음과 같다.

2. 1. 2. 인천광역시

각흘도, 광대도, 구지도, 낭각흘도, 대가덕도, 대송도, 멍애섬, 뭉퉁도, 부도, 분지도, 비도, 상바지섬, 서각흘도, 서만도, 석도, 소낭각흘도, 소송도, 소초지도, 소통각흘도, 수리봉, 수시도, 신도, 어평도, 우도, 중바지섬, 중통각흘도, 토끼섬, 통각흘도, 하바지섬, 할미염, 항도

2. 1. 3. 경기도

경기도에는 말육도, 매박섬 등이 있다.

2. 1. 4. 충청남도

곳도(화창도), 나무섬(상목도), 나무섬(하목도), 납작도, 대길산도, 대청도, 동격렬비도, 묘도, 무명도2, 변도, 북격렬비도, 불안도, 서격렬비도, 석도, 소길산도, 솔섬, 아랫노랑이섬, 오도, 오력도, 옥도, 외횡견도, 윗노랑이섬, 중수도, 질마도, 추도(기름암 포함), 횡견도, 흑어도 등

2. 1. 5. 전라북도

내조도, 달루도, 대형제도, 딴정금도, 보농도, 석도, 세항도, 소횡경도, 십이동파도1, 십이동파도2, 십이동파도4, 십이동파도6(병풍도), 십이동파도9, 외조도, 외치도(큰딴치도), 횡경도

2. 1. 6. 전라남도

파식대해식동 발달로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다양한 해안동물 서식하고 있으며, 국내 미기록종인 바다나리류가 발견되었으며, 조간대가 발달하고 해조류가 풍부하여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 특정도서로 지정되었다.

  • 지정번호 : 제65호
  • 면적 : 11,504m2
  • 지번 : 전라남도 완도군 금일읍 장정리 산360


전라남도에 위치한 다른 특정 도서는 다음과 같다.

2. 1. 7. 경상북도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번지에 위치한 독도는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해의 해저산맥에서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 한국에서 가장 먼저 해가 뜨는 곳이다. 독도는 동도와 서도, 그리고 89개의 부속 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가 실효 지배하고 있다.

2. 1. 8. 경상남도

경상남도에는 갈도(갈곳도), 갈도쌍여, 갈산도1, 갈산도2, 고도, 곰섬(웅도), 네바위, 녹운도, 농가도, 대구을비도, 대병대도, 대혈도, 대호도, 돌거칠리도, 등대섬, 딴독섬, 마도, 마안도, 막도, 목도(부도), 문래섬, 백사도, 사도, 상비사도, 상장도, 샛개끝, 세존도, 소구을비도, 소다포도, 소덕도, 소마도, 소목과도, 소병대도, 소지도, 소첨도, 소초도, 소치도, 소치섬, 솔섬(악도), 솔여도, 송도, 악도(장구섬), 안거칠리도, 어유도, 오동도, 외부지도, 우무섬(우무도), 윗대호섬, 자사리제도(5), 장도, 적도, 좌사리도(자사리도), 죽암도(미도), 채도, 춘복도(충복도), 토도(토끼섬), 하비사도, 하서도(수렁여), 학섬(학도), 향기도, 혈도, 홍도 등이 있다.

2. 1. 9. 제주특별자치도

보론섬, 수령섬, 염섬, 직구도, 청도, 흑검도 등이 있다.

3. 특정도서 해제

4. 특정도서 관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