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대 로마의 빌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대 로마의 빌라는 로마 시대에 존재했던 다양한 유형의 주택을 의미하며, 도시형 빌라(villa urbana)와 농촌형 빌라(villa rustica)로 크게 구분된다. 빌라는 소유주의 사회적 지위와 부를 나타내는 상징이었으며, 농업 생산, 경제 활동, 사교 및 정치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로마 공화국 후기부터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건설이 증가했으며, 제국 시대에는 더욱 웅장하고 호화로운 형태로 발전했다. 로마 제국 멸망 이후 일부 빌라는 수도원으로 전환되어 중세 시대까지 그 역할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의 빌라 - 빌라 아드리아나
    빌라 아드리아나는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가 티볼리 인근에 건설한 별장으로, 다양한 건축 양식과 문화를 반영한 정원, 수영장, 건축물을 갖추었으며,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 고대 로마의 빌라 - 빌라 로마나 델 카살레
    빌라 로마나 델 카살레는 4세기 초 시칠리아에 건설된 로마 시대 빌라 유적으로, 라티푼디움의 중심지였으며 화려한 모자이크와 부대시설을 갖추었으나 12세기에 파괴 후 잊혀졌다가 19세기 재발견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고대 로마의 건축 - 키르쿠스
    키르쿠스는 고대 로마 시대에 전차 경주 등을 위해 건설된 장방형 형태의 대규모 경기장 건축물이며, 중앙 분리대와 회전 지점을 갖추고 신분에 따라 좌석이 배정되었다.
  • 고대 로마의 건축 - 바실리카
    바실리카는 고대 로마 시대에 법정이나 상업 건물로 사용되다가 기독교 교회 건축 양식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가톨릭교회에서 특별한 특권을 가진 교회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고대 로마의 빌라
개요
유형주거 건축
시대기원전 50년경
관련 개념빌라

2. 유형과 분류

고대 로마의 빌라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가졌으며, 현대 학자들은 로마 양식의 장식적 특징을 지닌 시골 저택을 일반적으로 '빌라'라고 부른다.[30][8][9] 고대 로마의 작가들은 활동 시기와 목적에 따라 빌라를 다르게 정의하기도 했지만,[7] 일반적으로 위치와 기능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 주변의 빌라를 크게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구분했다.[30] 첫째는 'villa urbana|빌라 우르바나la'로, 도시 근교에 위치하여 주로 휴식과 사교를 위한 저택이었다. 둘째는 '빌라 루스티카'로, 농업 생산 활동이 이루어지는 농촌 주택 형태였다. 모든 빌라가 모자이크 바닥이나 프레스코화로 화려하게 장식된 것은 아니었다.[30] 이 외에도 농작물을 대량으로 생산하고 판매하는 대규모 상업 농장인 '라티푼디움'이라는 유형도 존재했다.

빌라는 그 목적과 위치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티볼리의 하드리아누스 빌라나 나폴리만이 내려다보이는 헤르쿨라네움의 파피리 빌라처럼 경치 좋은 곳에 지어진 휴양 저택이 있었는가 하면, 서식스의 피시번 궁전처럼 지방 유력자의 거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었다. 제정 시대에는 황제나 부유한 귀족들이 나폴리만 연안, 카프리섬, 안치오, 키르케오산 등 해안가(villa maritima|빌라 마리티마la[21])나 프라스카티 같은 서늘한 언덕에 빌라를 지어 여름 더위를 피하기도 했다. 키케로는 최소 7채, 소 플리니우스는 3~4채의 빌라를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마 제국이 확장되면서 빌라는 갈리아, 브리타니아 등 서방 속주로 퍼져나갔다. 이들 속주의 빌라는 농업적, 정치적 역할을 담당했으며[42], 지역적 특색을 보이기도 했다. 예를 들어, 로마령 갈리아에서는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건축 양식(열주 파사드, 파빌리온, 페이스타일 등)이 달랐으며, 빌라의 규모나 위치는 소유주의 부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었다.[43] 특히 갈리아 지역의 빌라는 포도밭 운영 및 포도주 생산과 밀접하게 연관된 경우가 많았다.[44]

2. 1. 빌라 우르바나 (Villa Urbana)

대 플리니우스는 빌라를 두 종류로 나누었는데, 그중 하나가 '빌라 우르바나'(villa urbanala)이다. 이는 로마나 다른 도시에서 하루나 이틀 밤 사이에 쉽게 갈 수 있는 교외 지역에 위치한 저택을 의미한다.[30] 이는 농사를 주로 하는 빌라 루스티카와는 구분된다. 콜루멜라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도시에 가깝거나 교외에 위치하며 농업 활동이 거의 없는 부동산을 '빌라 수부르바나'(villa suburbanala)라고 불렀다.[11]

빌라 우르바나는 주로 휴식과 오락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부유한 귀족들의 사교 활동과 문화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였다. 모든 빌라가 사치스러운 것은 아니었지만, 일부 빌라 우르바나는 모자이크 바닥이나 프레스코화 같은 화려한 장식을 갖추기도 했다.[30]

이러한 교외 빌라의 예로는 공화정 중기와 후기에 로마의 경계 지역이던 캄푸스 마르티우스에 지어졌던 빌라들이 있다. 또한 폼페이의 도시 외벽 밖에서도 발견되며, 로마의 파르코 델라 무시카[15][31]나 그로타로사에서 발견된 유적[16][32] 역시 빌라 우르바나 또는 수부르바나의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초기 교외 빌라들은 중부 이탈리아 지역 '빌라 수부르바나'의 시초와 전통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지며[16][32], 지역 유지나 유력 가문(겐스)의 수장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소 플리니우스가 소유했던 로렌툼의 빌라도 대표적인 빌라 우르바나의 예시이다.[10]

2. 2. 빌라 루스티카 (Villa Rustica)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 빌라를 두 종류로 구분했는데, 그중 하나가 'Villa Rustica|빌라 루스티카lat'이다. 이는 농촌 주택 형태로, 저택 관리를 맡은 하인들이 상주하며 농장 운영을 담당하는 곳이었다.[30] 로마 제국 전역에 다양한 빌라가 존재했지만, 모든 빌라가 모자이크 바닥이나 프레스코화 같은 호화로운 장식을 갖춘 것은 아니었다. 빌라 루스티카는 주로 농업 생산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빌라 루스티카는 때때로 라티푼디움이라 불리는 대규모 농업 경영지와 연결되어 농작물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이러한 농업 중심 빌라는 카토 (대 카토)가 언급했듯이 사치스러운 시설이 부족한 경우도 있었으나,[7] 바론에 따르면 매우 호화로운 경우도 있었다. 농장 운영에는 주로 노예 노동력이나 지역의 '콜로누스'(소작농)들이 동원되었다.[46] 갈리아와 같은 속주에서는 빌라가 포도밭 및 포도주 생산과 밀접하게 연관되기도 했다.[44]

바론이나 콜루멜라 같은 로마 작가들에 따르면, 빌라 루스티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18][19][20]

빌라 루스티카의 구성 요소
명칭 (라틴어)설명
pars urbana|파르스 우르바나lat소유주와 가족이 거주하는 주거 공간
pars rustica|파르스 루스티카lat농장 관리인(vilicus|빌리쿠스lat)이 운영하며, 농장 노동자와 가축이 머무는 작업 및 서비스 공간
pars fructuaria|파르스 프루크타리아lat기름, 포도주, 곡물 등 농산물을 가공하고 저장하는 공간 (때로는 별도로 존재)



시간이 흐르면서 '빌라'라는 용어의 의미는 변화했다. 4세기경 히에로니무스마르코의 복음서를 번역하면서 겟세마니의 올리브 과수원을 묘사하는 그리스어 'chorion|코리온lat'을 '빌라'로 번역했는데, 이는 특정 주거 시설의 존재 여부와 관계없이 농업 사업체나 농경지 자체를 의미하게 되었음을 시사한다.[33][22]

2. 3. 라티푼디움 (Latifundium)

라티푼디움(Latifundium)은 고대 로마의 빌라 유형 중 하나로, 곡물, 포도주, 올리브유 등 농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여 판매하거나 수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규모 상업적 농업 소유지였다. 이러한 빌라는 카토 (대 카토)가 묘사한 것처럼 사치품이 부족했을 수도 있지만, 바론의 기록처럼 매우 호화로운 시설을 갖춘 경우도 있었다. 라티푼디움은 대규모 농업 경영을 통해 로마 제국의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3. 건축 양식

기원전 1세기 무렵 등장한 '고전적' 로마 빌라는 다양한 건축 형태를 보였다. 많은 빌라에서 빛과 공기가 잘 통하도록 아트리움이나 페리스타일 같은 개방된 공간 구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34] 이러한 개방적 구조는 로마 상류층의 주거 공간에 쾌적함을 더해주었다.

빌라에는 종종 배관 시설을 갖춘 목욕 시설이나 하이포코스트라 불리는 바닥 난방 시스템과 같은 편의 시설이 설치되기도 했다.[36][23] 빌라의 구체적인 공간 구성과 시설에 대해서는 하위 문단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3. 1. 주요 시설

고대 로마의 빌라 단지는 일반적으로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34]

구분설명주요 기능
pars urbana|파르스 우르바나lat빌라 소유주와 가족 거주 공간도시 부유층 저택과 유사, 벽화 장식[35]
pars rustica|파르스 루스티카lat요리사, 노예 거주 및 활동 공간농장 가축 거처, 창고, 병원, 감옥 등 부속 시설 포함
villa fructuaria|빌라 프룩투아리아lat농작물 저장 공간생산된 기름, 포도주, 곡물 등을 보관 후 판매처로 운송



이러한 기본적인 공간 구성 외에도 빌라 내부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기능적 공간들이 마련되었다.


  • 목욕 시설: 많은 빌라에는 배관 시설을 갖춘 목욕탕이 있었으며, 종종 온수 목욕 시설(테르메) 형태를 띠었다.[23]
  • 난방 시설: 하이포코스트(hypocaust)라 불리는 바닥 난방 시스템을 설치하여 추운 날씨에도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했다.[36][23]
  • 기타 공간: 빌라 내에는 업무를 보는 집무실, 종교 의식을 위한 사당, 화장실, 식사를 위한 공간, 음식을 조리하는 부엌 등 다양한 목적의 방들이 포함되었다.[34] villa fructuaria|빌라 프룩투아리아lat는 빌라에서 생산된 농작물을 보관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4. 사회사

고대 로마의 빌라는 단순한 시골 저택을 넘어, 로마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는 복합적인 공간이었다. 그 형태는 나폴리만이 내려다보이는 바이아 해안가의 호화로운 저택이나 티볼리의 하드리아누스 빌라처럼 궁전에 가까운 것부터[41], 스타비아에헤르쿨라네움에서 베수비오산 분화로 보존된 빌라 파피리와 같은 사례까지 매우 다양했다.

티볼리의 하드리아누스 빌라에 있는 해상극장. 빌라는 상류층의 사교 및 여가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사회적으로 빌라는 소유주의 부와 지위를 상징했으며, 사교와 휴양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로마 근교의 티볼리 같은 지역은 여름철 피서지로 인기가 높았고, 키케로나 소 플리니우스 같은 상류층 인사들은 여러 빌라를 소유하며 그곳에서의 생활을 즐겼다. 빌라 내부에는 하이포코스트 난방 시설이나 화려한 모자이크 장식 등 고급 설비가 갖추어지기도 했으며[40], 빌라 파피리의 도서관처럼 문화 및 학문 활동의 공간으로도 활용되었다.

경제적으로 빌라는 자급자족적 농업의 이상을 상징하는 동시에, 현실에서는 대규모 상업 농업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교외의 소규모 빌라들은 딸린 농장, 과수원 등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형태로 운영되었고, 대 카토나 콜루멜라 같은 작가들은 이러한 생활을 이상적인 로마인의 모습으로 묘사했다. 그러나 로마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한 것은 대규모 노예 노동력을 기반으로 한 라티푼디움 형태의 빌라였다. 특히 로마 공화정 후기, 술라의 독재 시기(기원전 81년) 이후 이탈리아에서는 빌라 건설이 크게 늘어났으며[24], 에트루리아의 세테피네스트레 빌라는 이러한 대규모 농장 경영의 대표적 사례이다.[37][25] 이러한 대형 빌라들은 이탈리아 주요 농업 지대뿐 아니라 갈리아, 히스파니아 바이티카, 북아프리카 등 제국 전역에서 농업 생산 외에도 광업, 도자기 제조, 말 사육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의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38][29][40][28]

로마 제국이 쇠퇴하면서 많은 빌라가 버려졌지만, 일부는 그 기능이 변화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특히 대규모 작업 빌라들은 귀족이나 유력자들이 수도사들에게 기증하면서 수도원으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았다. 누르시아의 베네딕토수비아코의 옛 빌라 터에 세운 몬테 카시노 수도원이나, 스타블로 수도원, 베즐레 수도원, 에히터나흐 수도원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처럼 빌라는 고대 후기를 거쳐 중세 전기 유럽 사회와 문화 형성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4. 1. 사회적 기능



고대 로마의 빌라는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소유주의 사회적 지위와 부를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특히 로마 공화정 후기, 술라의 독재 시기(기원전 81년) 이후 이탈리아 내 빌라 건설이 활발해졌는데[24], 이는 빌라가 당시 상류층의 생활 및 사회·정치적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티볼리에 위치한 하드리아누스 빌라처럼 황제가 소유한 빌라나, 나폴리만이 내려다보이는 바이아 해안가의 호화로운 빌라들은 그 규모와 시설 면에서 궁전에 가까웠다. 하드리아누스 빌라는 네로 황제가 팔라티노 언덕에 지으려다 취소된 도무스 아우레아처럼 전원 풍경 속에 계획된 거대한 복합 시설이었다. 키케로나 소 플리니우스 같은 저명한 인사들도 여러 채의 빌라를 소유하고 있었으며[41], 이는 빌라가 로마 상류 사회의 필수적인 요소였음을 보여준다. 소 플리니우스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소유한 빌라들을 상세히 묘사하기도 했다.

빌라는 사교와 휴양의 공간으로도 활발히 기능했다. 로마에서 접근하기 쉬운 티볼리 같은 지역은 여름철 더위를 피하기 좋은 곳으로 인기가 있었으며, 하드리아누스 황제도 이곳에 빌라를 두었다. 해안가 빌라 역시 발달했는데, 폼페이에 있는 마르쿠스 루크레티우스 프론토의 집[26] 벽화에는 해안가를 따라 늘어선 빌라들이 그려져 있다. 이 빌라들은 대부분 전면에 포르티코(주랑)를 갖추고 있으며[41][27], 일부 빌라에는 저녁 바람을 쐴 수 있는 '알타나'(altana)라는 구조물이 꼭대기에 있기도 했다.[41]

빌라는 모자이크가 있는 저온 난방 시스템으로 가열되는 방과 같은 사치품을 갖추고 있었다 (라 올메다, 스페인)


빌라 내부에는 하이포코스트 방식의 난방 시설이나 화려한 모자이크 장식 등 사치스러운 설비들이 갖추어져 있어, 소유주의 부와 취향을 과시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호화로운 빌라들은 아프리카누미디아 등 북아프리카 지역에서도 발굴되었다.[40]

물론 모든 빌라가 호화로운 것은 아니었다. 교외 지역의 소규모 빌라들은 농장, 올리브 과수원, 포도밭 등과 함께 자급자족 형태로 운영되기도 했다. 대 카토, 콜루멜라, 바로와 같은 로마 작가들은 농업 관련 저술에서 이러한 자급자족하는 빌라 생활을 이상적인 로마인의 모습으로 그리곤 했다. 이는 당시 사회가 자작농을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관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대규모 노예 노동력을 이용하고 농업 생산을 통해 수익을 추구하는 라티푼디움 형태의 빌라가 로마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37][25]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많은 빌라가 버려지거나 파괴되었지만, 일부는 그 사회적 기능이 변화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특히 대규모 작업 빌라들은 귀족이나 유력자들이 수도사들에게 기증하여 수도원의 기반이 되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네로 소유였던 수비아코 빌라 폐허에 유명한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세웠다. 이처럼 빌라는 고대 후기를 거쳐 중세 전기 사회 구조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다.

4. 2. 경제적 기능

고대 로마의 빌라는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중요한 경제적 기능을 수행했다. 교외 지역의 소규모 빌라들은 딸려 있는 농장, 올리브 과수원, 포도밭 등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경우가 많았다. 로마의 작가들, 예를 들어 대 카토, 콜루멜라, 바로 등은 농업 관련 저술에서 이러한 자급자족하는 빌라를 이상적인 로마 시민의 생활 방식으로 묘사하며 로마의 전통적 가치를 강조하고자 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로마 제국의 식량 수요를 상당 부분 충족시킨 것은 대규모 노예 노동력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영리 목적의 농장인 라티푼디움(Latifundium)이었다. 이러한 대형 빌라는 특히 로마 공화정 후기, 술라의 독재관 시기(기원전 81년) 이후 이탈리아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건설되었다.[24] 에트루리아 지역의 세테피네스트레 빌라는 이러한 라티푼디움의 대표적인 사례이다.[37][25]

대형 빌라들은 포강 유역, 캄파니아, 시칠리아 등 이탈리아의 주요 농업 지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로마 제국의 영토가 확장됨에 따라 갈리아[42], 브리타니아, 히스파니아, 북아프리카 등 서방 속주들로 확산되었다.[40]

빌라는 단순한 농업 생산 기지를 넘어, 지역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경제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이러한 빌라에서의 생산 활동은 주로 노예나 해당 지역의 소작농인 '콜로누스'(colonus)들의 노동력에 의존했다. 빌라에는 소유주 가족 외에도 생산 및 관리를 책임지는 관리인이 상주하는 경우도 있었다.[46] 빌라의 소유주 계층은 갈리아 정복 이후 로마화된 현지 엘리트들이나, 갈리아의 풍부한 자원을 활용하고자 했던 로마인 및 이탈리아인들로 구성되었다.[45] 빌라의 건축 양식, 위치, 방의 개수 등은 소유주의 부와 사회적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되기도 했다.[43]

4. 3. 문화적 기능

빌라는 단순한 거주 공간이나 농업 시설을 넘어 로마인들의 문화생활 중심지 역할도 수행했다. 헤르쿨라네움에서 화산재로 보존된 채 발견된 빌라 파피리에는 도서관이 있었으며, 이는 빌라가 학문 연구의 장소로도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 소 플리니우스와 같은 로마의 지식인들은 자신의 저서에서 소유한 빌라에 대해 상세히 묘사하며 당시 빌라 생활의 문화적 측면을 기록으로 남겼다. 키케로 역시 여러 채의 빌라를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빌라 내부는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장식되었다. 폼페이에 있는 마르쿠스 루크레티우스 프론토 저택의 벽면 프레스코화에는 해안가 휴양 저택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이는 당시 유행했던 해안 빌라의 모습과 생활상을 엿볼 수 있게 한다.[26][41][27] 로마 말기의 일부 빌라 소유주들은 하이포코스트 난방 시설을 갖춘 방을 화려한 모자이크로 장식하는 등 사치스러운 생활을 누리기도 했다.

로마에서 접근하기 쉬운 티볼리와 같은 특정 지역들은 여름의 열기를 피할 수 있는 시원한 거처를 제공하며 로마인들에게 인기가 있었다.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티볼리에 지은 하드리아누스 빌라는 단순한 별장을 넘어 궁전에 가까운 규모와 복합적인 문화 공간을 갖추고 있었다.

한편, 대 카토, 콜루멜라, 바로 등 로마의 작가들은 농업 관련 저술에서 자급자족하는 빌라에서의 생활을 이상적인 로마 시민의 모습으로 그리며 농경 생활에 문화적, 도덕적 가치를 부여하기도 했다. 이는 대규모 노예 노동에 기반한 라티푼디움이 현실적인 식량 생산을 담당했음에도, 소박한 자작농의 이미지를 통해 로마의 전통적 가치를 강조하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5. 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일부 빌라는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에도 초기 중세 시대까지 명맥을 유지하며 다른 용도로 활용되기도 했다.

5. 1. 수도원으로의 전환

어떤 경우에는 빌라가 서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초기 중세 시대까지 살아남기도 했다. 대규모의 작업 빌라는 귀족이나 영주들이 개별 수도사들에게 기증했으며, 이는 종종 유명한 수도원의 기반이 되었다.

예를 들어, 성 베네딕토네로 황제가 소유했던 수비아코의 빌라 폐허 위에 수도원을 세웠다. 약 590년경, 성 엘리지오는 아키텐리모주 근처 찹텔라(Chaptelat)에 있던 '빌라'에서 고위 갈로-로마 가문의 일원으로 태어났다. 스타블로 수도원은 약 650년에 리에주 근처의 옛 빌라 부지에 세워졌으며, 베즐레 수도원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설립되었다. 698년에는 윌리브로르드가 트리어 시 근처의 로마 빌라(현재 룩셈부르크의 에흐터나흐)에 에흐터나흐 수도원을 설립했는데, 이 빌라는 프랑크 왕 다고베르트 2세의 딸인 이르미나 오브 오렌이 그에게 기증한 것이었다. 이러한 사례들은 고대 로마의 건축 유산이 중세 기독교 문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6. 확인된 로마 빌라

로마 제국의 광대한 영토 곳곳에서 고대 로마 시대의 빌라 유적이 확인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 본토와 시칠리아를 비롯하여, 브리타니아(현재의 영국), 불가리아, 게르마니아(현재의 독일), 히스파니아(현재의 스페인), 멜리타(현재의 몰타) 등 유럽과 지중해 연안 지역에 걸쳐 다양한 형태의 빌라 유적이 남아 있다.[1][2] 이러한 유적들은 당시 로마인들의 생활 방식, 건축 기술, 예술 등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각 지역별 주요 빌라 유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이탈리아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 주변의 빌라를 두 종류로 구분했는데, 하나는 도시에서 하루나 이틀 거리에 위치한 '빌라 우르바나'(villa urbana)이고, 다른 하나는 하인들이 상주하며 관리하는 농촌 주택인 '빌라 루스티카'(villa rustica)이다.[30] 하지만 모든 빌라가 모자이크 바닥과 프레스코화를 갖춘 호화로운 저택은 아니었다.

로마의 파르코 델라 무시카 안에 있는 로마 빌라의 유적지


이탈리아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빌라가 발전했다. 도시 외곽에는 '빌라 수부르바나'(villa suburbana)가 있었는데, 로마의 캄푸스 마르티우스 지역이나 파르코 델라 무시카[31], 그로타로사[32] 등지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으며, 폼페이의 성벽 밖에서도 발견된다. 이런 초기 교외 빌라들은 지역 유지나 유력 가문의 수장들이 거주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한편, 라티푼디움이라 불리는 대규모 농업 생산 단지의 중심 역할을 하는 빌라도 있었는데, 이런 곳은 상대적으로 사치품이 적었을 수 있다.

휴양을 목적으로 지어진 빌라도 많았다. 티볼리의 하드리아누스 빌라나 나폴리만이 내려다보이는 헤르쿨라네움의 파피리 빌라가 대표적이다. 하드리아누스 빌라는 서기 123년경에 지어진 황제의 별장으로, 전원 풍경 속에 자리 잡은 궁궐에 가까운 규모와 형태를 지녔다. 부유한 로마인들은 여름의 더위를 피해 로마 근교 구릉지대, 특히 프라스카티 같은 곳에 빌라를 지었다. 키케로는 최소 7채, 소 플리니우스는 3~4채의 빌라를 소유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나폴리만 연안의 바이아 해안가 비탈이나 안치오, 키르케오산 주변에도 제정 시대 황제들의 빌라 단지가 형성되었다. 폼페이의 마르쿠스 루크레티우스 프론토 저택 프레스코화에는 일련의 해안 휴양 저택들이 묘사되어 있는데, 대부분 바다를 향해 포르티코를 갖추고 있으며, 일부는 꼭대기에 '알타나'라는 구조물을 두어 저녁 바람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41]

베수비오산 분출(서기 79년)로 화산재에 묻혔던 스타비아에, 헤르쿨라네움, 폼페이 등지에서는 당시 빌라의 모습이 잘 보존되어 발견되었다. 특히 헤르쿨라네움의 파피리 빌라에서는 대규모 도서관이 함께 발굴되기도 했다. 폼페이의 신비의 저택은 잘 보존된 벽화로 유명하며, 메나데르 저택 역시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교외의 소규모 빌라나 비상업적 빌라들은 딸린 농장, 올리브 과수원, 포도밭 등을 통해 자급자족하는 경우가 많았다. 로마 작가들은 직접 포도주를 만들고 기름을 짜서 사용하는 자급자족 빌라를 이상적인 로마 시민의 생활 방식으로 묘사하곤 했다. 이는 자신의 땅을 경작하는 자작농이라는 이상적인 로마 시민상과 연결되었다. 물론 현실에서는 노예 노동력을 이용한 대규모 라티푼디움이 식량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했다.

로마 공화정 후기, 특히 술라 집권기(기원전 81년) 이후 이탈리아에서는 빌라 건설 붐이 일었다. 에트루리아에 있는 세테피네스트레 빌라는 대규모 농업 생산과 연계된 라티푼디움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37] 이러한 농업 중심 빌라들은 주거 공간의 화려함은 덜했을 수 있다. 대형 빌라들은 포강 유역, 캄파니아, 시칠리아 등지의 농촌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로마 제국 후기에는 일부 빌라 소유주들이 하이포코스트(바닥 난방 시스템)와 같이 더욱 사치스러운 시설을 갖추기도 했다. 제국이 쇠퇴하면서 일부 빌라는 버려졌지만, 다른 빌라들은 귀족이나 유력자들이 수도원에 기증하면서 수도원의 중심지로 기능하며 고대 후기의 빌라 체계가 중세 전기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예를 들어,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네로 황제의 소유였던 수비아코 빌라의 폐허 위에 몬테 카시노 수도원을 세웠다.

이탈리아에 위치한 주요 로마 빌라 유적은 다음과 같다.

빌라 이름위치비고
하드리아누스 빌라티볼리, 라치오황제 별장, 유네스코 세계유산
빌라 로마나 델 카살레피아차 아르메리나, 시칠리아정교한 모자이크, 유네스코 세계유산
퀸틸리 빌라로마, 라치오아피아 가도 인근 귀족 빌라
신비의 저택폼페이, 캄파니아디오니소스 제의 관련 벽화
메나데르 저택폼페이, 캄파니아부유층 저택, 은식기 발견
파피리 빌라헤르쿨라네움, 캄파니아대규모 파피루스 두루마리 도서관 발견
플리니의 희극과 비극 빌라코모호, 롬바르디아소 플리니우스가 언급한 빌라로 추정


6. 2. 영국

6. 3. 기타 지역

이탈리아와 브리타니아 외 다른 지역에서도 다양한 로마 시대 빌라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 빌라들은 각 지역의 특색과 로마 건축 양식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준다.

  • 빌라 아르미라: 불가리아 이바일로그라드 인근에 위치하며, 발칸 반도 지역의 로마 빌라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다.[1][2]
  • 라 올메다: 스페인 팔렌시아에 위치하며, 이베리아 반도의 로마 빌라 유적 중 하나이다.[1][2]
  • 제이툰 로마 빌라: 몰타에 위치하며, 지중해 섬 지역의 로마 빌라 건축 양식을 엿볼 수 있다.[1][2]
  • 보르크 로마 빌라: 독일에 위치한 로마 시대 빌라 유적이다.[1]
  • 상 쿠쿠파테 로마 유적: 포르투갈에 위치한 로마 시대 유적이다.[2]


잉글랜드 지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로마 빌라 유적이 발굴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oman domestic architecture (villa) (article) https://www.khanacad[...] 2023-08-16
[2] 간행물 Locus Bonus – the relationship of the roman villa to its environment in thE vicinity of Rome http://ethesis.helsi[...] Helsinki University
[3] 문서 Varro, de Rustica, 3,2,3–17
[4] 논문 Ville d’otium dell’Italia antica (II sec. a.C. – I sec. d.C.) Aucnus X
[5] 문서 Columella, de Re Rustica
[6] 문서 Cato, De Agri Cultura
[7] 논문 Ville romane tardoantiche della regione Marche https://www.academia[...] Master's thesis 2013-2014
[8] 서적 Roman Villas in Central Italy: A Social and Economic History Brill
[9]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XIV. Late Antiquity: Empire and Successors A.D. 425-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문서 Pliny epistulae 2.17
[11] 문서 Columella, 1.1.19
[12] 문서 Pliny epistulae 5.6
[13] 웹사이트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1890), VILLA http://www.perseus.t[...] 2023-08-16
[14] 웹사이트 Roman domestic architecture (villa) (article) https://www.khanacad[...] 2023-08-16
[15] 서적 La fattoria e la villa dell'Auditorium nel quartiere Flaminio di Roma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16] 논문 "The Auditorium site and the origins of the Roman villa"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17] 문서 Columella, 1.1.19
[18] 논문 Ville romane tardoantiche della regione Marche https://www.academia[...] Master's thesis 2013-2014
[19] 서적 Houses, Villas, and Palaces in the Roman World https://archive.org/[...] JHU Press 1998-05-01
[20] 문서 Columella I.4 § 6
[21] 문서 Comelius Nepos, Atticus, 25.14.3
[22] 간행물 Gethsemane Catholic
[23] 서적 Life in a Roman Villa https://books.google[...] Heinemann Library
[24] 간행물 The Socio-Economics of Roman Storage: Agriculture, Trade, and Famil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서적 Settefinestre: una villa schiavistica nell'Etruria romana Panini
[26] 웹사이트 House of Marco Lucretius Frontone http://pompeiisites.[...]
[27] 문서 Veyne 1987 ill. p 152
[28] 서적 The Roman Countryside Gerald Duckworth and Company
[29] 문서 Numerous stamped amphorae, identifiable as from Baetica, have been found in Roman sites of northern Gaul.
[3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XIV. Late Antiquity: Empire and Successors A.D. 425-6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서적 La fattoria e la villa dell'Auditorium nel quartiere Flaminio di Roma https://books.google[...] L'ERMA di BRETSCHNEIDER
[32] 논문 "The Auditorium site and the origins of the Roman villa" Journal of Roman Archaeology
[33] 간행물 Gethsemane Catholic
[34] 서적 Houses, Villas, and Palaces in the Roman World https://archive.org/[...] JHU Press 1998-05-01
[35] 서적 A Companion to Roman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3-10-10
[36] 서적 Life in a Roman Villa https://books.google[...] Heinemann Library
[37] 서적 Settefinestre: una villa schiavistica nell'Etruria romana Panini
[38] 서적 The Roman Countryside Gerald Duckworth and Company
[39] 문서 바이티카에서 온 것으로 확인할 수 있는 다량의 각인된 [[암포라]]들이 갈리아 북부의 로마 지역들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40] 서적 Algeria: The Topography and History, Political, Social, and Natural, of French Africa https://archive.org/[...] N. Cooke 1854
[41] 문서 Veyne 1987 ill. p 152
[42] 웹인용 The villa in Roman Gaul http://archeologie.c[...] 2019-02-04
[43] 웹인용 Sumptuous rural residences http://archeologie.c[...] 2019-02-04
[44] 웹인용 Productions and activities http://archeologie.c[...] 2019-02-04
[45] 웹인용 The estate owners http://archeologie.c[...] 2019-02-04
[46] 웹인용 Farm employees and slaves http://archeologie.c[...] 2019-0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