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가리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가리트는 현재 시리아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기원전 16세기부터 청동기 시대 말기까지 번영했다. 이집트, 키프로스 등과 활발한 교역을 했으며, 특히 기원전 1400년경에는 설형 문자를 간략화한 독자적인 문자 체계인 우가리트 문자를 개발하여 문학, 종교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기원전 1200년경 바다 민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었으며, 1928년 유적 발굴을 통해 그 존재가 다시 알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발굴 - 녹 문화
녹 문화는 기원전 1500년부터 서기 500년경까지 나이지리아 중부에서 번성한 고대 문화로, 테라코타 조각상과 초기 철기 시대의 야금 및 농경 기술 발달로 알려져 있으며, 약탈로 인해 유적지 파괴 및 정보 손실이 심각하다. - 우가리트 - 모트 (신)
모트는 우가리트 신화에서 죽음을 의인화한 존재로, 바알과 대립하며 계절의 변화, 죽음, 가뭄, 화재를 상징하고, 아나트에게 살해당했다 부활하여 바알과 싸우는 과정을 반복한다. - 우가리트 - 다곤
다곤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숭배되었던 신으로, 곡물을 의미하며 메소포타미아에서 엔릴과 동등하게 여겨졌고 가나안 신화에서는 바알의 아버지로 묘사되었으며, 블레셋의 주요 신으로 숭배되었다.
| 우가리트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토착어 명칭 | 𐎜𐎂𐎗𐎚 |
| 다른 이름 | 라스 샴라 () |
| 위치 | 시리아, 라타키아 주 |
| 지역 | 비옥한 초승달 지대 |
| 유형 | 정착지 |
| 건설 시기 | 기원전 7000년경 |
| 폐허 시기 | 기원전 1185년경 |
| 시대 |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후기, 헬레니즘 시대 |
| 사건 | 청동기 시대 붕괴 |
| 발굴 | 1928–1939, 1950–2008 |
| 고고학자 | 클로드 셰퍼, 앙리 드 콩탕송, 장 마르그롱, 마르그리트 용, 이브 칼베, 바삼 자무스 |
| 상태 | 유적 |
| 소유 | 공공 |
| 일반 공개 | 예 |
| 발견 | |
| 발견 시기 | 1928–1929년 |
| 발견 경위 | 우연히 발견 |
| 언어 | |
| 토착어 | 우가리트어 |
| 고대 도시 | |
| 문화권 | 가나안 |
| 이미지 | |
![]() | |
2. 역사
우가리트는 신석기 시대에 그 기원을 두고 있으며, 기원전 8천년기 말부터 정착지가 존재했고, 채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거쳐 정착지로 존속했다.[2] 후기 청동기 시대에 우가리트는 크게 성장하여 우가리트 왕국이 건설되었다.[3]
이 도시는 히타이트 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으며, 때로는 이집트에 조공을 바치기도 했다. 또한 키프로스(당시 알라시아)와 무역 및 외교 관계를 유지했는데,[4] 이는 우가리트에서 발견된 기록 보관소와 미케네 그리스 및 키프로스 도자기를 통해 알 수 있다. 우가리트는 기원전 1450년경부터 기원전 1185년경 파괴될 때까지 전성기를 누렸다.[5] 이 파괴는 바다 민족의 공격이나 내부 갈등으로 인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우가리트 왕국은 청동기 시대의 붕괴 동안 멸망한 많은 국가 중 하나였다. 우가리트 왕국의 남쪽 경계에 위치한 해안 도시 기발라(텔 트웨이니) 또한 이 시기에 파괴되었다.[81]
2. 1. 초기 역사 (기원전 8천년기 ~ 기원전 16세기)
기원전 8천년기 말부터 우가리트 지역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채석기 시대와 청동기 시대를 거쳐 정착지로 존속했다.[2] 기원전 6000년경에는 도시 전체를 벽으로 둘러싸 방비를 강화했다. 이후 메소포타미아와 문화적 교류가 시작되었고, 기원전 3천년기 후반부터는 서셈족의 도시 국가로 번영하였다. 기원전 18세기에는 후르리인도 우가리트에 합류했다.에블라에서 발견된 기원전 1800년경의 점토판 문서에 우가리트의 이름이 처음 등장한다. 기원전 16세기경부터 우가리트는 이집트의 영향권에 들어가 정치·군사·문화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우가리트에서 출토된 홍옥수 비즈는 이집트 제12왕조의 세누스레트 1세(기원전 1971년 - 기원전 1926년) 시대의 것으로 판단되어 이집트와 교류했음을 보여준다.[6] 세누스레트 3세, 아멘엠하트 3세의 석비나 조각상도 출토되었다. 다만, 이 유물들이 언제 이집트에서 우가리트로 옮겨졌는지는 불분명하다. 기원전 17세기경 힉소스가 이집트를 침입했을 때, 우가리트도 이와 관련된 민족의 지배를 받아 이집트풍의 기념물들이 파괴되었다.
2. 2. 전성기 (기원전 16세기 ~ 기원전 13세기)
기원전 16세기부터 기원전 13세기에 걸쳐 우가리트는 전성기를 맞이했는데, 이 시기 이집트와 키프로스와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했다.[4] 기원전 14세기 중기 우가리트 왕 암미탐루 1세, 니크마두 2세 및 그 왕비가 이집트로 보낸 서한이 이집트 아마르나에서 발견되었다. (아마르나 문서)[8] 아마르나 문서에 따르면, 기원전 14세기 중반경 우가리트는 대화재로 파괴되었지만, 이후 이집트의 영향 아래 무역 도시로 부흥했다.기원전 13세기 초, 이집트와 히타이트 사이에 시리아를 둘러싼 세력 다툼이 벌어졌을 때 우가리트는 히타이트 편에 섰다.[11][12][13] 이 시기 우가리트 시내와 주변에서는 많은 묘가 발견되었으며, 부장품을 통해 키프로스, 크레타 섬, 미케네 등 에게 해 주변 출신자들이 우가리트에 거주했음을 알 수 있다.
2. 3. 멸망 (기원전 12세기)

우가리트는 청동기 시대 말기인 기원전 1200년경, '''바다 민족'''의 침입으로 파괴되었다.[5] 이는 청동기 시대의 붕괴 시기에 멸망한 많은 국가 중 하나였다.[81]
우가리트 유적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헤라딕기 후기 IIIB 토기는 발견되었지만, 헤라딕기 후기 IIIC 토기는 출토되지 않았다.[19] 파괴 시기 지층에서는 이집트 제19왕조 메르네프타 (재위 기원전 1212년 - 기원전 1202년)의 명문이 새겨진 칼이 발견되었다.[19] 1986년에 발견된 쐐기 문자 문서에 따르면 우가리트의 파괴는 메르네프타 사후이며, 람세스 3세 치세 8년(기원전 1178년)에는 이미 파괴되어 있었다.[19]
최근의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와 1192년 1월 21일의 일식을 고려하면, 우가리트 파괴 시기는 기원전 1192년에서 1190년 사이로 추정된다.[19]
3. 유적

기원전 12세기 초 파괴된 후, 우가리트의 위치는 1928년 한 농부가 밭을 갈다가 우연히 오래된 무덤을 발견할 때까지 잊혀졌다. 당시 이 지역은 알라위 국가에 속해 있었다. 발견된 지역은 인근 항구 도시 미네트 엘-베이다에 위치한 우가리트의 묘지였다.[29] 이후 발굴을 통해 기원전 6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선사 시대를 가진 도시가 드러났다.[29]
이 유적지는 약 28ha의 면적을 차지하며 아크로폴리스 꼭대기에서 최대 높이 20m에 달한다. 유적지는 요새화된 문이 하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4개의 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다. 후기 청동기 시대 이후 약 50m가 나흐르 츠바예브 강에 의해 유적지 북쪽 끝에서 침식되었다. 언덕의 남쪽 비탈은 오렌지 과수원으로 덮여 있어 발굴이 불가능하다.[30]
1928년 레옹 알바네즈에 의해 미네트 엘-베이다 묘지에서 약탈된 무덤에 대한 간단한 조사가 실시되었고, 그 후 라스 샴라의 주요 언덕을 조사했다.[31] 1929년부터 클로드 셰페르가 이끄는 스트라스부르 고고학 박물관(Musée archéologique)의 프랑스 팀인 미션 드 라스 샴라(Mission de Ras Shamra)가 우가리트 발굴을 수행했다.[32][33][34][35] 제2차 세계 대전 발발로 인해 중단된 1939년까지 작업이 계속되었다.[36][37][38]
1950년 프랑스 발굴(현재는 미션 아르셰올로지크 프랑세즈 드 라스 샴라-우가리트(Mission Archeologique Française de Ras Shamra-Ougarit))이 재개되었으며, 1970년까지 클로드 셰페르가 다시 이끌었다.[39][40] 그 시점에서 지휘는 장 마르거론에게 넘어갔다.[41][42][43][44][45][46][47] 44번의 발굴 시즌 후 수많은 발견물과 그 발견 지점이 모두 수집되었다.[48][49] 2005년 발굴은 발레리 마토이안과 호자마 알-바훌이 이끄는 프랑스-시리아 공동 노력으로 전환되었다.[50][51] 이 작업은 시리아 내전으로 인해 중단될 때까지 계속되었다.[52]
고고학자들은 발굴을 토대로 유적지에서 여러 점유 층위를 정의했다:[48]
| 층위 | 연대 | 시대 | 비고 |
|---|---|---|---|
| 1 | 기원전 500-300년 | 헬레니즘 시대부터 아라비아 시대까지 | |
| 공백 | 기원전 900-600년 | 점유 없음 | |
| 2 | 기원전 1100-900년 | 철기 시대 | |
| 3 | 기원전 1365-1200년 | 후기 청동기 2 | RS 1/3 = UR 3 |
| 4 | 기원전 1450-1365년 | 후기 청동기 1-2 | RS 1/2 = UR 2 |
| 5 | 기원전 1550-1450년 | 후기 청동기 1 | RS 1/1 = UR 1 |
| 공백 | 기원전 1650-1550년 | 점유 없음 | |
| 6 | 기원전 1750-1650년 | 중기 청동기 '3' | RS 2/3 = UM 2 |
| 7 | 기원전 1900-1750년 | 중기 청동기 '2' | RS 2/2 = UM 2 = 중기 미노스 2 |
| 8 | 기원전 2100-1900년 | 중기 청동기 | RS 2/1 = UM 1 |
| 9 | 기원전 2300-2100년 | 전기 청동기 4 | RS 3/3 or III A; = UA 3 |
| 10 | 기원전 2500-2300년 | 전기 청동기 3 | RS 3/2 or III A 2 + 3; = UA 2 |
| 11 | 기원전 2800년경 | 전기 청동기 1 - 2 | RS 3/1 or III B-C; = UA 1 |
| 12 | 기원전 3300년경 | '우바이드 찰코리틱' | RS 4 A-B (with some RS 3) |
| 13 | 기원전 4000 - 3400년 | 할라프 찰코리틱 | RS 4-C (4 A-B) |
| 14 | 기원전 4000년경 | 토기가 있는 신석기 시대 | RS 5 A-B |
| 15 | 기원전 4500년경 | 도기 이전 신석기 시대 | RS 5-C |
우가리트 요새 내에는 여러 구역이 있었다. 북서쪽 구역에는 다곤과 바알 신전이 있는 아크로폴리스가, 서쪽에는 왕궁을 포함한 왕실 구역이 있었다. 왕실 구역 동쪽과 언덕 남쪽 경사면에는 인구 밀도가 높은 주거 지역이 있었다.[53][54]
3. 1. 주요 유적
1928년 한 농부가 밭을 갈다가 우연히 오래된 무덤을 발견하면서 우가리트 유적 발굴이 시작되었다. 발굴 결과, 여러 주요 유적이 드러났다.- 왕궁: 8개의 안뜰을 중심으로 90개의 방을 갖춘 거대한 건축물이었다. 기원전 15세기에서 기원전 13세기 사이에 여러 단계를 거쳐 건설되었으며, 기원전 12세기 초 도시가 파괴되기 전까지 안뜰을 중심으로 배치된 방들로 구성되었고 면적은 6500m2에 달했다.[68] 잘 지어진 돌 구조물이었고, 보존된 정방형 석재 블록은 최대 4m 높이에 달했다. 나무 가로보도 사용되었고, 벽에는 일반 석고가 두껍게 덮여 있었다. 궁전 서쪽에는 10000m2 규모의 왕실 구역이 있었다.[54][2]
- 개인 저택: 다수의 개인용 대저택이 발견되었다.
- 도서관: 왕궁, 신전 외에 2개의 개인 도서관이 발견되었으며, 다양한 내용의 점토판 문서가 출토되었다. 특히 외교관 라파누(Rapanu)의 개인 도서관에서는 외교 문서, 인접 국가와의 왕복 서한, 재판 문서, 경제 관계 기록, 부동산 거래 기록, 교육용 문서, 문학서, 종교 문서 등 설형 문자로 쓰인 점토판이 다수 발견되었다.[55][56][57][58][59]
- 신전: 도시 정상에는 엘 신의 아들 바알 신전과 다곤 신전 두 곳이 세워져 있었다. 바알 신전은 13세기 중반 지진으로 파괴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재건되지 않았다. 다곤 신전 역시 그 당시에 파괴되었지만 재건되었다.[70]
- 대사제의 집: 다간 신전 서쪽에 위치한 크고 2층으로 된 주거지였다. 신화 시를 담은 점토판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일부 점토판은 필사 연습을 보여주었고 음절 사전과 이중 언어 사전을 포함하고 있어 이 건물이 서기 훈련의 중심지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주요 사원과의 근접성, 그리고 청동 도구, 특히 4개의 작은 끌과 전용 괭이의 발견은 이 건물이 도시의 최고 사제의 거주지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65]
우가리트 북동부에 위치한 아크로폴리스는 바알과 그의 아버지 다간에게 헌정된 도시의 주요 사원을 수용했다. 현존하는 유물들은 청동기 후기에 속하지만, 이 사원들은 중기 청동기 시대에 기원을 두고 있을 수 있다. 이 지역에서 발견된 석비들은 이 신들을 묘사하거나 명명하여 각 종교에 대한 신원을 확인해 준다. 바알 신전 내부에서는 번개를 든 바알을 묘사한 바알의 석비가 발견되었는데, 이는 전형적인 근동 및 이집트 예술 양식으로 묘사되었으며, 사판의 바알에게 헌정된 석비도 발견되었다.[65] 이 부근에서는 이집트인들이 바친 수많은 조각상, 석비, 그리고 16개의 돌 닻이 헌물로 발견되었다.[2][54]

두 사원 모두 북북동에서 남남서 방향으로 정렬된 프로나오스(현관)와 나오스(성소)로 구성되어 있다. 다간 신전은 4~5미터 두께의 기초 벽을 가지고 있다. 바알 신전의 유적에는 포위 벽의 일부, 아마도 안뜰 제단, 높은 프로나오스와 나오스로 이어지는 기념비적인 계단, 그리고 나오스 내부에 또 다른 제단이 포함되어 있다.[2]
3. 2. 출토 유물
1928년 인근 알라위파 농민이 해변 밭에서 우연히 오래된 묘를 발견하면서 우가리트 발굴이 시작되었다. 처음 발견된 곳은 우가리트의 네크로폴리스였다.[55][56][57][58][59] 발굴 결과, 우가리트는 항구 도시이자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 유역으로 향하는 내륙 교역로의 출발점으로, 메소포타미아의 우르, 에리두와 견줄 만한 도시 문명의 중심지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우가리트 유적에서는 기원전 14세기~기원전 13세기의 풍부한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특히 점토판 문서가 중요하다. 왕궁 도서관, 신전 도서관, 그리고 당시 세계에서 드물게 개인 도서관으로 추정되는 두 곳 등 유적 내 여러 곳에서 설형 문자 점토판 묶음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문서는 모두 우가리트 말기인 기원전 1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점토판에 사용된 언어는 다양했다. 이 지역에서 처음 발견된 우가리트어를 비롯하여, 메소포타미아 고전에 사용된 수메르어, 당시 오리엔트 외교 등에 널리 사용된 아카드어, 후르리어, 히타이트어, 고대 이집트어, 설형 문자 루위어, 미노아어 등이 있었다. 사용된 문자 역시 아카드어 설형 문자가 가장 많았지만, 고대 이집트어와 히타이트어의 히타이트 설형 문자, 에게해 지역에서 유래한 음절 문자 등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설형 문자를 간략화한 독자적인 우가리트 문자이다. 이는 우가리트어와 후르리어 표기에 사용되었다. 우가리트 문자 문서에는 경제, 행정, 외교 관련 산문과 우가리트 신화, 제사, 서사시 등의 운문이 있으며, 교과서와 사전도 존재한다. 우가리트 신화집은 가나안 지방의 바알 신 숭배의 근본이 되는 이야기였다.
우가리트에서는 8개의 안뜰을 중심으로 90개의 방을 갖춘 왕궁이 발굴되었다. 도시에는 개인용 대저택 다수와 2개의 개인 도서관(그 중 하나는 라파누라는 외교관의 것)이 있었으며, 외교 문서, 인접 국가와의 왕복 서한, 재판 문서, 경제 관계 기록, 부동산 거래 기록, 교육용 문서, 문학, 종교 문서 등 설형 문자로 쓰인 점토판 다수가 발견되었다.
4. 문화
우가리트는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으며, 특히 문자와 문학 분야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우가리트 유적에서는 설형 문자로 쓰인 점토판 문서가 다수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왕궁 문서, 외교 서한, 법률 문서, 경제 기록, 문학 작품, 종교 문서 등이 포함된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우가리트 문자의 존재인데, 이는 셈어족에 속하는 우가리트어를 표기하기 위해 쐐기 문자를 간략화하여 만든 독자적인 문자 체계이다.
우가리트에서 발견된 점토판 문서에는 서사시 형식으로 쓰인 신화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케레트의 전설, 아크하트의 전설, 바알 신화 등이 있다. 이러한 문서는 성경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 가나안 신화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며, 구약 성서의 문학적, 신학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우가리트 신화의 시는 고대 오리엔트의 지혜 문학과 공통점이 많으며, 히브리어 시의 특징인 병행법, 운율 등을 포함하고 있다.
4. 1. 문자
우가리트 문자는 기원전 1400년경 우가리트의 서기들이 창안한 것으로 보인다. 점토판에 소리에 해당하는 30개의 문자가 새겨졌는데, 모양은 설형 문자이지만 메소포타미아 설형 문자와는 관련이 없다. 대신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파생된 페니키아 문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페니키아 문자와 형태적으로는 거의 유사성이 없지만, 표준 문자 순서에서 강한 유사성을 보여 두 문자 체계가 완전히 독립적인 발명이 아니었음을 시사한다.[82]쐐기 문자를 바탕으로 한 우가리트 문자는 점토판에 갈대 줄기를 눌러 써서 만들었지만, 수메르어 등의 쐐기 문자와는 달리 모음을 표시하지 않고 자음만을 나타내는 음소 문자(압자드)이며 글자 수는 총 30자밖에 되지 않는다.
알파벳의 기원이 되는 페니키아 문자(원 가나안 문자·원 시나이 문자, 나아가 이집트의 상형 문자를 바탕으로 함)가 먼저 생겨났는지, 우가리트 문자가 먼저 생겨났는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만약 페니키아 문자가 먼저 탄생했다면, 우가리트 문자는 페니키아어의 알파벳을 따라서, 같은 셈어족의 우가리트어를 표기하기 위해 쐐기 문자를 간략화하여 만들어진 것이 된다. 이들 문자의 대부분은 형태가 그다지 닮지 않았지만, 표준적인 문자의 배열 순서(라틴 문자로 말하면, A, B, C, D…에 해당)는 강한 유사성을 보여주며(’a, b, g, ẖ (x) , d, …), 두 문자 체계가 완전히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아님을 시사한다. 페니키아 문자는 그 후 교역을 통해 그리스 등으로 퍼져나가 그리스인들의 손에서 몇몇 문자가 모음을 나타내도록 바뀌어 현재의 그리스 문자로, 더 나아가 로마로 전해져 라틴 문자로 변해갔지만, 우가리트 문자는 현재의 문자 체계로 이어지지 않았다.
4. 2. 문학
우가리트에서 발견된 점토판 문서에는 서사시 형식으로 쓰인 신화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 시들을 기록한 점토판 조각 중 일부는 하나의 서사시로 동일시된다. 현재는 케레트의 전설, 문화 영웅인 다넬(Danel)과 그의 아들 아크하트에 대해 쓰인 아크하트의 전설, 바알(바알 신)(하닷)과 얌·모트 양 신과의 투쟁을 그린 우가리트 신화 등이 알려져 있다.[85][86]이러한 문서의 발견은 성경 연구에도 큰 의의가 있다. 이 문서들은 이스라엘 각 씨족의 가나안 정착에 앞선 시대의 가나안 신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처음으로 밝힌 것으로, 구약 성서에 보이는 히브리어 문학과 신성한 것에 대한 상상력이나 시의 형식 등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우가리트 신화의 시는 고대 오리엔트의 지혜 문학과 공통되는 부분이 많고, 후의 히브리어 시에서 보이는 병행법, 운율 등을 포함하여, 문학 작품으로서의 구약 성서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이끌어냈다.
또한 우가리트에서는 후르리어로 노래로 보이는 것이 쓰인 점토판도 출토되었으며[94], 현재 인류 최고(最古)의 노래이다(고대 음악 참조).
4. 3. 음악
우가리트에서는 후르리어로 쓰인 노래가 점토판으로 출토되었으며,[94] 이는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오래된 노래이다(고대 음악 참조).5. 왕
우가리트의 왕 목록은 우가리트 발굴 초기에 발견된 우가리트어 왕 목록의 부분적인 텍스트와 이후 발견된 완전한 아카드어 번역본을 통해 알려져 있다. 이 목록에는 26명의 통치자가 신격화되어 나열되어 있지만, 텍스트나 알려진 동시대성으로 뒷받침되는 것은 후기 통치자뿐이다.[22][23][24][25][26] 우가리트가 청동기 중기에서 후기 사이에 버려졌다는 점을 감안할 때, 목록에 있는 초기 이름들은 왕이라기보다는 부족장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정된다.[22][23][24][25][26]
정확한 재위 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알려진 왕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니크마두 1세(Niqmaddu I)
- 야쿠룸 1세(Yaqurum I)
- 이비라누 1세(Ibiranu I)
- 암미타무루 1세(Ammittamru I)
- 니크마두 2세영어(Niqmaddu II)
- 아르할바(Arhalba)
- 니크메파영어(Niqmepa)
- 암미스타무루 2세프랑스어(Ammittamru II)
- 이비라누 2세영어(Ibiranu II)
- 니크마두 3세de(Niqmaddu III)
- 암무라피영어(Ammurapi)
- 야쿠룸 2세(Yaqurum II)
5. 1. 주요 왕
| 통치자 | 재위 기간 | 비고 |
|---|---|---|
| 니크마두 1세 | "우가리트 왕, 니크마두의 아들 야카룸"을 언급하는 손상된 인장으로만 알려져 있다.[27] | |
| 야카룸 | "우가리트 왕, 니크마두의 아들 야카룸"을 언급하는 손상된 인장으로만 알려져 있다.[27] | |
| 암미탐루 1세 | 기원전 1350년경 | [28] |
| 니크마두 2세 | 기원전 1350–1315년경 | 히타이트 통치자 수필룰리우마 1세와 동시대 인물 |
| 아르할바 | 기원전 1315–1313년경 | 히타이트 통치자 무르실리 2세와 동시대 인물 |
| 니크메파 | 기원전 1313–1260년경 | 무르실리 2세와의 조약; 니크마두 2세의 아들; 왕비는 아하트밀쿠 |
| 암미탐루 2세 | 기원전 1260–1235년경 | 아무르 왕국 통치자 벤티시나와 동시대 인물; 니크메파의 아들 |
| 이비라누 | 기원전 1235–1225년경 | 피하-왈위의 편지의 수신자 |
| 니크마두 3세 | 기원전 1225–1215년경 | |
| 암무라피 | 기원전 1200년경 | 고대 이집트의 재상 바예와 동시대 인물. 우가리트는 그의 재위 기간에 파괴되었다. |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Ugaritic
https://books.google[...]
Hendrickson Publishers
[2]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https://archive.org/[...]
Routledge
[3]
서적
The City of Ugarit at Tell Ras Shamra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4]
서적
Mycenaean cult buildings: a study of their architecture and function in the context of the Aegean and the Eastern Mediterranean
Norwegian Institute at Athens
1997
[5]
서적
Systemic Risk and Resilience: The Bronze Age Collapse and Recovery
https://library.oape[...]
Springer
2022
[6]
서적
Geography and History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6
[7]
간행물
The Metal Trade of Ugarit and the Problem of Transportation of Commercial Goods
1977
[8]
서적
The El-Amarna Correspondence: A New Edition of the Cuneiform Letters from the Site of El-Amarna based on Collations of all Extant Tablets
BRILL
[9]
간행물
A Population Estimate of Ancient Ugarit
1987
[10]
서적
Ugariti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1]
간행물
A Royal Divorce at Ugarit
1963
[12]
간행물
Ugarit as a Hittite Vassal State
2010
[13]
간행물
The Hittites in the administrative texts of Ugarit
https://digital.csic[...]
2021
[14]
서적
The El-Amarna Correspondence: A New Edition of the Cuneiform Letters from the Site of El-Amarna based on Collations of all Extant Tablets
Brill
[15]
서적
The Amarna Letter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16]
간행물
New Evide
1965
[17]
서적
Ugaritica V. Nouveaux textes accadiens, hourrites et ugaritiques des archives et bibliothèques privées d’Ugarit, commentaires des textes historiques
Paris
1968
[18]
서적
Translation of letter RS 20.18 in "1177 B.C.: The Year Civilization Collapse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19]
간행물
The Sea Peoples, from Cuneiform Tablets to Carbon Dating.
2011
[20]
간행물
La tablette RS 86.2230 et la phase finale du Royaume d’Ugarit
https://www.persee.f[...]
1988
[21]
서적
The Impact and Legacy of Alphabetic Cuneiform
Oxbow Books
2021
[22]
간행물
The Origins of the Last Ugaritic Dynasty
2006
[23]
서적
Die Rolle des Königs und seiner Familie nach den Texten von Ugarit
Münster
1994
[24]
간행물
The King List of Ugarit
1977
[25]
간행물
Prolégomènes à la rédaction d’une histoire d'Ougarit, II: Les borderaux de rois divi-nisés
1999
[26]
서적
A Re-evaluation of the Ugaritic King List
Münster: Ugarit-Verlag
1996
[27]
서적
The Ugaritic Baal Cycle: Volume 1. Introduction with Text, Translation and Commentary of KTU 1.1–1.2
Leiden: Brill
1994
[28]
간행물
Ammistamru I of Ugarit
2001
[29]
서적
Introduction: History of Excavation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6
[30]
서적
Ugarit: The Kingdom and the City—Urban Features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7
[31]
간행물
Note sur Ras Shamra
1929
[32]
간행물
Les Fouilles de Ras Shamra-Ugarit. Sixième Campagne (Printemps 1934). Rapport Sommaire
1935
[33]
간행물
Les Fouilles de Ras Shamra-Ugarit. Septième Campagne (Printemps 1935) Rapport Sommaire
1936
[34]
간행물
Les Fouilles de Ras Shamra-Ugarit Huitième Campagne (Printemps 1936): Rapport Sommaire
1937
[35]
간행물
Les Fouilles de Ras Shamra-Ugarit: Neuvième Campagne (Printemps 1937). Rapport Sommaire
1938
[36]
간행물
"Les Fouilles de Ras Shamra-Ugarit. Neuvième Campagne (Printemps 1937): Rapport Sommaire"
Syria
1938
[37]
간행물
"Les Fouilles de Ras Sharma-Ugarit: Dixième et Onzième Campagnes (Automne et Hiver 1938-39). Rapport Sommaire"
Syria
1939
[38]
간행물
"Nouvelles Campagnes de Fouilles à Ras Shamra-Ugarit (IX-X : 1938-1939)"
Revue Archéologique
1939
[39]
간행물
"Les Fouilles de Ras Shamra-Ugarit. Quinzième, Seizième et Dix-Septième Campagnes (1951, 1952 et 1953). Rapport Sommaire"
Syria
1954
[40]
간행물
"Note Additionnelle Sur Les Fouilles Dans Le Palais Nord d’Ugarit"
Syria
1972
[41]
간행물
"La XXXIIIe Campagne de Fouilles a Ras Shamra En 1972. Rapport Préliminaire"
Syria
1973
[42]
간행물
"La XXXIVe Campagne de Fouilles a Ras Shamra En 1973 Rapport Préliminaire"
Syria
1974
[43]
간행물
"Ras Shamra 1975 et 1976 Rapport Préliminaire Sur Les Campagnes d'Automne"
Syria
1977
[44]
간행물
"Ras Shamra-Ougarit, 38, 39 et 40e Campagnes (1978, 1979 et 1980)"
Syria
1982
[45]
간행물
"Fouilles de Ras Shamra-Ougarit 1981-1983 (41e, 42e et 43e Campagnes)"
Syria
1983
[46]
간행물
"Fouilles de Ras Shamra-Ougarit 1984-1987 (44e-47e Campagnes)"
Syria
1987
[47]
간행물
"Fouilles de La 48e Campagne (1988) à Ras Shamra-Ougarit"
Syria
1990
[48]
간행물
"Ugarit Grid, Strata, and Find-Localizations"
Zeitschrift Des Deutschen Palästina-Vereins (1953-)
1973
[49]
간행물
"Ugarit Grid, Strata, and Find-Localizations: A Re-Assessment"
Zeitschrift Des Deutschen Palästina-Vereins (1953-)
1974
[50]
간행물
"Rapport Préliminaire Sur Les Activités De La Mission Syro-Française De Ras Shamra-Ougarit en 2005 et 2006 (65e et 66e Campagnes)"
Syria
2007
[51]
간행물
"Rapport Préliminaire Sur Les Activités De La Mission Syro-Française De Ras Shamra-Ougarit En 2007 et 2008 (67e Et 68e Campagnes)"
Syria
2010
[52]
서적
"Script and Society: The social context of writing practices in Late Bronze Age Ugarit"
https://library.oape[...]
Oxbow Books
2021
[53]
간행물
"Ugarit: The Urban Habitat The Present State of the Archaeological Picture"
Bulletin of the American Schools of Oriental Research
1992
[54]
서적
"Description of the Tell"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6
[55]
간행물
"Les Inscriptions Cunéiformes de Ras Shamra"
Syria
1929
[56]
서적
"The Cuneiform Texts of Ras Shamra-Ugarit"
https://archive.org/[...]
1939
[57]
서적
The Cuneiform Texts of Ras Shamra-Ugarit: The Schweich Lectures of the British Academy 1937
Periodicals Service Co.
1986
[58]
서적
Le Palais Royal D'Ugarit III: Textes Accadiens et Hourrites Des Archives Est, Ouest et Centrales
Imprimerie Nationale
1955
[59]
서적
"À la découverte du royaume d'Ougarit (Syrie du IIe millénaire). Les fouilles de C.F.A. Schaeffer à Minet el-Beida et Ras Shamra (1929‒1937)"
Austrian Academy of Sciences Press
2023
[60]
간행물
"The Scribal Culture of Ugarit"
Journal of Ancient Near Eastern History
2016
[61]
간행물
"The Ugarit Archives"
Archaeology
2021
[62]
간행물
"The "Hunger Years" and the "Sea Peoples":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recently published letters from the "house of Urtenu" Archive at Ugarit"
2021
[63]
서적
"Lettres en akkadien de la "Maison d’Urtēnu": fouilles de 1994 (RSOu. 23)"
Leuven
2016
[64]
간행물
"Nouvelles découvertes à Ras Shamra-Ugarit et à Enkomi-Alasia (Chypre) en 1953"
CRAI
1954
[65]
서적
"Artifacts Illustrating Official and Everyday Life"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06
[66]
간행물
Literaturkontakte Ugarits, Wurzeln und Entfaltungen
https://digital.csic[...]
Zaphon
2021
[67]
간행물
"On the Alphabetic Scribal Curriculum at Ugarit"
The Oriental Institute, Chicago
2008
[68]
간행물
"Rib-Adda of Byblos and the Affairs of Tyre (EA 89)"
Journal of Cuneiform Studies
1950
[69]
간행물
"The 'Libation Installations' of the Tombs at Ugarit"
The Biblical Archaeologist
1994
[70]
서적
"Social Change in Late Bronze Age Ugarit"
Oxbow Books
2021
[71]
간행물
"Ras Ibn Hani I: Le Palais Nord du Bronze Récent"
BAH, Beirut
1998
[72]
간행물
"Ras Ibn Hani II. Les textes en écritures cunéiformes de l’âge du Bronze récent (fouilles 1977 à 2022)"
Syria. Archéologie, art et histoire
2023
[73]
논문
"Ras Shamra-Ugarit and Old Testament Exegesis"
1948
[74]
논문
"The French Excavations at Minet el Beida and Ras Shamra in Syria"
1930
[75]
논문
"Maʾḫadu, the Harbor of Ugarit"
1970
[76]
서적
"Ras Shamra, Minet el-Beida and Ras Ibn Hani: The Material Sources"
Brill
1999
[77]
서적
"Nouvelle réflexion sur le \"dépôt aux 80 jarres\" de Minet el-Beida"
2015
[78]
서적
"Ougarit et le port de Mahadou–Minet el-Beida"
Atlanta
1997
[79]
서적
"Dy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1
[80]
논문
"Les fouilles de Minet-el-Beida et de Ras Shamra. Troisieme campagne (printemps 1931). Rapport sommaire"
1932
[81]
서적
"Cyprus and Ugarit at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insights from Pyla-Kokkinokremos"
Peeters
2021
[82]
간행물
"The Ugaritic Alphabetic Cuneiform Writing System in the Context of Other Alphabetic Systems"
https://isac.uchicag[...]
Oriental Institute
2007
[83]
웹사이트
"Ugaritic Range: 10380–1039F, The Unicode Standard, Version 15.1."
https://unicode.org/[...]
[84]
서적
"A basic Grammar of the Ugaritic Language: with selected texts and glossary"
https://archive.org/[...]
1984
[85]
서적
"Religious texts from Ugarit: the worlds of Ilimilku and his colleagues"
https://archive.org/[...]
Sheffield Academic Press
1998
[86]
서적
A Manual of Ugaritic
Penn State University Press
[87]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88]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89]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90]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91]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92]
문서
Per [[Sumerian King List]]
[93]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94]
웹사이트
The Oldest Song In the World
http://www.amaranth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