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베 시영 전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베 시영 전차는 1910년 개통하여 한때 '동양 제일'로 불릴 만큼 발전했으나, 모터리제이션과 적자 누적으로 1971년 전 노선이 폐지된 일본 효고현 고베시의 노면 전차이다. 고베 전기 철도로 시작하여 고베 시 전기국을 거쳐 고베 시 교통국으로 운영 주체가 변경되었다. 1920년대 차량 현대화와 노선 확장을 통해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1930년대 세계 대공황과 전쟁, 1960년대 자동차의 보급으로 인한 승객 감소로 인해 쇠퇴했다. 1971년 전 노선이 폐지되었고, 1977년에는 고베 시영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노면전차 - 도쿄도 전차
    도쿄도 전차는 1882년 마차 철도로 시작해 1903년 전기 철도로 전환, 1911년 도쿄시 전기국에 인수되어 시영 전차로 운영되었으나, 1960년대 이후 교통 변화와 재정 문제로 대부분 폐선되고 현재는 아라카와선(도쿄 사쿠라 트램)만이 유일하게 남아 그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 일본의 노면전차 - 구마모토시 교통국
    구마모토시 교통국은 구마모토시에서 노면 전차와 버스를 운영했던 공영 교통 기관으로, 기술 혁신을 이루었으며 버스 사업은 민간에 이관되었고 현재는 노면 전차를 운영하며 노선 연장 등이 논의되고 있다.
  • 고베시 교통국 - 하버랜드역
    하버랜드역은 2001년 개통한 고베 시영 지하철 해안선의 역으로, 지하 1층 대합실과 지하 2층 섬식 승강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다를 느끼는 모던 시티"를 테마로 듀오 고베와 고베 하버랜드 등의 주변 시설을 이용하는 1일 평균 6,965명의 승객이 이용한다.
  • 고베시 교통국 - 미나토모토마치역
    미나토모토마치역은 2001년 가이간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효고현 고베시에 있는 고베 시영 지하철 가이간선의 지하역이다.
  • 궤도 교통 - 히로시마 전철
    히로시마 전철은 1910년 히로시마 전기궤도로 설립되어 히로시마시에서 총 35.1km의 노면 전철 및 철도 노선을 운영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회사로, 원폭 투하 후 재건에 기여했으며 시설 현대화와 서비스 개선을 추진하고 버스, 부동산 사업도 전개한다.
  • 궤도 교통 - 궤도차
    궤도차는 철도를 이용하여 여객 및 화물 수송, 궤도 유지보수, 안전 관리, 운영 지원, 군사 목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운행되는 차량의 총칭이다.
고베 시영 전차
지도 정보
개요
종류궤도사업 (노면전차)
노선 수8개 노선
총 연장 길이34.0km
궤간1435mm
복선 구간전 노선 복선
전철화 방식직류 600V
차량 수184량
운영 주체고베시 교통국 (기업)
개업1917년 5월 1일
폐지1971년 3월 13일
역사
1917년 5월 1일고베 시 전기국에 의해 개통됨.
1971년 3월 13일전 노선 폐지.
노선
노선 목록본선
가스가노미치선
고토선
미나토가와선
효고선
오쿠히라노선
신카이치선
기타노선

2. 역사

고베 시영 전차는 구 6대 도시 중 가장 늦게 개업했지만, 저상차나 강철 차체를 다른 도시에 앞서 도입하는 등 선진적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했다. 1935년에는 전환 크로스시트를 채용한 로맨스카 700형을 도입했다. 차체 도색은 쇼와 시대 초기, 녹색과 크림색의 투톤 컬러를 채용하여 시민들에게 "초록색 시영 전차"로 불렸다. 여성 차장을 채용하고, 안전을 위해 구조망에 펜더·스트라이커를 설치하여 "동양 제일의 시영 전차[2]"로 칭송받았다.

궤간표준궤(1435 mm), 전압은 직류 600 V였다. 노선망은 롯코 산 남쪽 기슭을 동서로 뻗어 있는 고베 시가지처럼 동서로 길게 뻗어 있었고, "야마테"와 "하마테"의 2개 루트로 나뉘었다. 나가타에서 산요 전철과의 평면 교차 및 데드 섹션은 명물이었다.

개업 당시 차체 도색은 갈색이었으나, 1933년부터 녹색으로 변경되었고, 1935년 700형은 녹색 농담의 투톤 컬러로 변경되어 "초록색 고베 시영 전차" 이미지를 확립했다. 이 도색과 각진 차량 번호 표기는 고베 시영 지하철로 계승되었다.

고무 탄성 바퀴, 로맨스카 700형 운전 등 혁신적인 기술·서비스를 도입했으며, 1920년 일본 최초로 부인 전용 전차를 운행했다. 현재 고베 시영 지하철에서도 연중 1일 1량이 여성 전용 차량으로 운행된다.

폐지 후 잉여 차량 58량은 스마 해안에 인공 어초로 침몰되었으며, 2021년 해저에서 차체 일부가 확인되었다.[3][4][5]

고베 시내 노면 전차 부설 계획은 1890년대 초부터 있었으나, 도로 폭 문제로 시의회에서 반대했다.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업 주체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미즈카미 히로미 고베 시장은 재정 문제로 민영을 선택, 장래 시에 사업 양도를 조건으로 민간 기업 출원을 인정했다. 고베 전기 철도[1] 등 5개 사와 한신 전기 철도가 출원했고, 고베 전기 철도를 중심으로 합자 협력하여 1906년 11월 부설 특허를 받았다.

고베 전기 철도는 궤도, 차량 기지, 공장, 발전소 등 시설 공사를 진행하여, 1910년 4월 5일, 카스가노(후의 카스가노미치) - 효고역 앞 구간을 개통했다. 이후 1912년부터 1913년에 걸쳐 부키 선, 효고 선, 히라노 선을 개업했다. 1913년 5월, 고베 전등과 합병하여 고베 전기라고 개칭했다.

1914년, 계획 노선 조기 부설 요구가 높아져 고베 시는 1916년부터 고베 전기와의 인수 협상을 시작, 1917년 8월에 "고베시 전기국"을 발족시켜, 고베 전기의 궤도・전기 공급 사업을 계승했다.

전기국 발족 후, 1919년 4월에 누노비키 선 잔여 구간을 연장했고, 1920년 한신 급행 전철 고베 선 개통으로 가미쓰쓰이에 오사카 방면 새 터미널이 생겼다. 1920년 5월, 2기선 계획 재검토 후 허가를 받아, 1921년 8월부터 1925년 3월까지 순차적으로 연장하여 "야마테"와 "하마테"를 잇는 시영 전차 네트워크가 확립되었다.

1920년 운전 계통을 "이, 로, 하…" 가타카나로 표시했고, 일본 최초의 부인 전용 전차 운전을 시작했다. 1924년 2월, 계통 표시를 아라비아 숫자로 변경했다.

1920년 일본 최초 저상 보기차 C차(후의 500형) 10량, 1921년-1922년 E차(후의 500형) 20량이 도입되었다. 1923년 일본 최초 강철제 차량 G차 20량과 H차가 도입되어, 이후 차량 현대화를 이끌었다. G차는 펜더 스트라이커를 채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1921년 3기선으로 스마선, 다카마쓰선, 이타야도선, 유메노선, 와키하마선 등을 출원, 1922년 8월 17일 스마선 등 면허가 교부되었다.[8] 1924년-1927년 스마역전까지 스마선 전선이 개통되었고, 1928년 11월 19일 다카마쓰선 전 노선 개통으로 효고 운하 주변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1922년 나가타 공장이 개설되어 차량 자체 제조를 실시하고, 스마, 부키, 가스가노, 나가타의 4개 차고로 집약하여 관리 효율화를 도모했다.

1929년 세계 대공황과 버스, 택시의 등장으로 1928년을 기점으로 이용객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도카이도·산요 본선의 고가화, 한큐·한신 본선의 시내 노선 연장 등 교통 환경도 크게 변화했다.

1930년 고베시는 도쿄 시영 전차 노동 쟁의에 참가한 직원의 해고를 발표, 직원 약 900명이 파업을 실시했다. 해고자의 복직은 실패했지만, 처우 개선을 얻어냈다.[10] 1937년에는 직원 조합 간부 4명에 대한 징계 해고에 항의하며 직원 약 500명이 다시 파업을 일으켰다.[11]

1931년 시영 전차 과선교 철거 및 지상선 전환 공사가 시내 4개소에서 실시되었다.[13] 차량 면에서는 1930년 B차를 시작으로 300형으로의 강체화 개조를 시작, 1932년까지 A차도 완료했다. 1931년-1935년에는 D차, F차를 400형으로, 1932년에는 C차를 600형으로 강체화 개조했다. 1933년에는 차체색을 녹색으로 변경했다.

1932년-1935년 와키하마 선을 동부 국도 선으로 변경, 세관 선과 함께 개통했다. 1937년 이타도리 선 개통으로 유메노 선을 제외한 3기선 부설이 완료되었다.[12]

1929년부터 정류소 안전지대 설치를 시작했고, 1934년부터 운행 속도를 향상시켰다. 1935년에는 여자 차장이 등장했다. 같은 해, 일본 최초의 크로스시트차인 700형 '로맨스카'를 도입하여 전 영업 차량의 강철화를 완료했다.[14] 1933년 제1회 고베 미나토 축제에서 꽃 전차를 운행했다.[17]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 전쟁이 확대되면서, 연료 부족으로 버스 사업이 축소되어 시영 전차 승객은 증가했다. 그러나 물자 부족으로 차량 증비, 노선 연장, 서비스 향상이 어려워졌다. 1938년 7월 5일 한신 대수해로 고베 시내는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1945년 고베 대공습으로 궤도, 가선, 차량기지가 큰 타격을 입었다.

이러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1948년까지 야나기하라 선을 제외한 전 노선과 차고를 복구했다. 1953년 이시야가와 선 전 노선 개통으로 노선망은 최장 35.6km에 달했다.[31] 1942년 5월부터 배전 사업이 간사이 배전으로 이관되면서 관할 부서명을 '교통국'으로 개칭했다.

1944년 4월 1일부터 전시 운전을 실시하여 차내 좌석을 철거하고, 남녀별 승강, 시리스 운전, 여자 운전기사를 채용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모터리제이션으로 시영 전차 승객이 감소하고 적자 문제가 부상했다. 1966년 세관 선이 폐지되면서 노선 축소가 시작되었다. 1967년 10월, 고베 시의회는 시영 전차 전폐를 전제로 한 '교통 사업 재정 재건 계획안'을 의결했다. 1968년 이후 매년 구간 폐지를 거쳐, 1971년 3월 13일 시영 전차는 운행을 종료했다.

1968년 4월 7일, 한큐, 한신, 산요를 직결하는 고베 고속 철도가 개통되었다. 같은 해 6월 24일, 고베시 교통 사업 심의회는 고속 철도망(지하철) 건설을 보고했다. 1977년 3월 13일, 고베 시영 지하철 첫 개통(세이신 선, 묘다니 역 - 신나가타 역)은 시영 전차 폐지 6년 후였다.


  • 연표

연도사건
1910년 4월 5일가스가노(후의 가스가노도) - 다키미치 - 난코마에 - 효고역앞 5.857km가 고베 전기 철도로서 개업.
1913년 5월 1일고베 전기 철도가 고베 전등과 합병하여 고베 전기로 사명 변경.
1917년 8월 1일고베 전기를 매수, 고베 시 전기국으로 시영 궤도 사업 개시. (궤도 연장 12.27km, 차량 94량)
1920년 10월 30일"이, 로, 하…"의 가타카나 계통판 사용 개시.
1924년 2월 20일계통판을 아라비아 숫자로 변경.
1928년 11월 9일천황 즉위 대전 봉축 꽃 전차 운전.
1933년 4월 1일도색에 녹색 채용.
1935년 1월 1일동부 국도선 개통으로 병행하는 이소카미선 휴지(12월 24일 철거).
1935년 12월 25일일본 최초 크로스 시트차 (로망스카) 700형 투입.
1941년 2월 1일평일 러시아워 때 급행 운전 개시.
1942년 5월 19일고베 시 전기국에서 고베 시 교통국으로 개칭.
1942년 9월 21일급행 운전을 일·공휴일에도 확대, 운전 시간 연장.
1944년 4월 1일전시 운전 실시(차내 좌석 철거, 남녀별 승강, 시리스 운전, 여자 운전사 채용).
1945년 3월 17일효고선 일부 휴지 (1960년 폐지).
1945년 10월 1일환승권 제도 폐지.
1949년 12월 1일전차 여자 차장 제도 폐지.
1951년 3월 31일집전 장치를 뷰겔화.
1951년 12월 20일짐 전차 제도 폐지.
1953년 10월 1일이시야가와선 개통, 노선 길이 35.6km로 최장.
1959년 4월 1일여성 차장 등장.
1966년 5월 1일세관선 폐지. 노선 축소 시작.
1967년 10월 21일시의회, 시영 전차 전폐를 전제로 한 재건 계획안 의결.
1968년 4월 14일원맨 운전 개시.
1971년 3월 13일시영 전차 전 노선 폐지.


2. 1. 여명기 (1910-1917)

1890년대 초, 고베시 내에 노면 전차 부설 계획이 있었으나, 시기상조론과 도로 폭 문제로 시의회의 반대에 부딪혔다.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업 주체를 시영으로 할 것인지 민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지만, 미즈카미 히로미 고베 시장은 재정 문제로 인해 민영을 선택하고, 장래 시에 사업을 양도하는 조건으로 민간 기업의 출원을 인정했다.

이에 고베 전기 철도를 비롯한 5개 회사와 한신 전기 철도가 출원하여 경쟁이 벌어졌다. 결국 고베 전기 철도를 중심으로 합자 협력을 통해 1906년 11월 내무 대신으로부터 부설 특허를 받았다.

고베 전기 철도는 1910년 4월 5일, 가스가노(현 가스가노미치) - 효고역 앞 구간을 개통하여 효고와 고베를 연결했다. 개통 당일에는 전차를 보려는 많은 구경꾼들이 몰려들었고, 연선에는 '축 개업'이라는 붉은 초롱이 걸리는 등 축제 분위기였다.[1] 이후 1912년부터 1913년에 걸쳐 누노비키 선, 효고 선, 평야 선을 개통했다. 1913년 5월에는 고베 전등과 합병하여 회사명을 고베 전기로 변경했다.

2. 2. 전기국 탄생과 발전 (1917-1929)

1910년 4월 5일 가스가노(후의 가스가노도) - 다키미치 - 난코마에 - 효고역앞 구간(5.857km)이 고베 전기 철도로서 개통되었다.[1] 1913년 5월 1일 고베 전기 철도는 고베 전등과 합병하여 고베 전기로 회사명을 변경하였다.[1]

고베시와 고베 전기 철도 사이의 협약에는 "제1기선은 2년 이내, 제2기선은 4년 이내에 준공할 것"이라는 조항이 있었다. 그러나 1914년 노선의 총연장은 약 12.2km로 당초 계획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내무성의 궤도 부설 기준 강화로 넓은 도로 폭이 필요해져 용지 매수 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시민들의 요구와 고베 시의 발전 속도를 고려하여, 1916년 고베 시는 고베 전기 인수 교섭을 시작했다.

1917년 8월 1일 고베 시는 '고베 시 전기국'을 발족하고 고베 전기의 궤도 및 전기 공급 사업을 계승했다.[1] 이 시점에서 궤도 연장은 12.27km, 차량은 94량(목조 단차 90량, 살수차 4량)이었다.

1919년 4월 누노비키 선 잔여 구간(구마노우치 1초메 - 가미쓰쓰이)이 개통되었고, 1920년 한신 급행 전철 고베선 개통으로 가미쓰쓰이에 오사카 방면 새 터미널이 생겼다.

1920년 5월, 2기선 계획 재검토 후 허가를 받아, 1921년 8월 가노초 3초메 - 오쿠라야마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925년 3월 와다선 나카노시마 - 이마데자에 2초메 구간 개통으로 초기 계획 노선이 완성되었다. 이로써 시영 전차 말기까지 이어지는 "야마테"와 "하마테"를 잇는 시영 전차 네트워크가 확립되었다.

1920년 10월 30일 운전 계통 구별을 위해 "이, 로, 하…" 가타카나 계통판을 사용했고,[1] 1924년 2월 20일 아라비아 숫자로 변경했다.[1] 또, 1920년에는 일본 최초로 부인 전용 전차를 운행했다.

1920년 일본 최초 저상 보기차 C차(후의 500형 501 - 510) 10량, 1921년-1922년 E차(후의 500형 511 - 530) 20량이 도입되었다. 1923년 일본 최초 강철제 차량 G차(Nos.181 - 200, 후 201 - 220) 20량과 H차(Nos.221 - 240)가 도입되어, 이후 차량 현대화를 이끌었다. G차는 펜더 스트라이커를 채용하여 안전성을 높였고, 이후 40년간 인신 사망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다.

1921년 3기선으로 스마선, 다카마쓰선, 이타야도선, 유메노선, 와키하마선 등을 출원했다. 스마선은 효고 전기 궤도와 경합했으나 주민 운동으로 시에 면허가 교부되었다. 1922년 8월 17일 스마선 등 면허가 교부되었다.[26]

1924년-1927년 스마역전까지 스마선 전선이 개통되었고, 1928년 11월 19일 다카마쓰선 전 노선 개통으로 효고 운하 주변 편의성이 향상되었다.

1922년 오사다 공장이 개설되어 차량 자체 제조를 실시하고, 스마, 부키, 가스가노, 나가타의 4개 차고로 집약하여 관리 효율화를 도모했다.

2. 3. 동양 제일의 고베 시전 (1929-1938)

1929년 세계 대공황과 버스, 택시의 등장으로 1928년을 기점으로 고베 시영 전차 이용객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도카이도·산요 본선의 고가화, 한큐·한신 본선의 시내 노선 연장 등 교통 환경도 크게 변화했다.[27]

1930년, 도쿄 시영 전차 노동 쟁의에 참가한 직원의 해고에 항의하여 고베 시영 전차 직원 약 900명이 파업을 실시했다. 해고자의 복직은 실패했지만, 처우 개선을 얻어냈다.[10] 1937년에는 직원 조합 간부 4명에 대한 징계 해고에 항의하며 직원 약 500명이 다시 파업을 일으켰다.[11]

1931년, 시영 전차 과선교 철거 및 지상선 전환 공사가 시내 4개소에서 실시되었다. 이 공사는 하룻밤 만에 완료되었다.[13] 차량 면에서는 1930년 B차를 시작으로 300형으로의 강체화 개조를 시작, 1932년까지 A차도 완료했다. 1931년-1935년에는 D차, F차를 400형으로, 1932년에는 C차를 600형으로 강체화 개조했다. 1933년에는 차체색을 녹색으로 변경했다.

1932년-1935년 와키하마 선을 동부 국도 선으로 변경, 세관 선과 함께 개통했다. 1937년 이타도리 선 개통으로 유메노 선을 제외한 3기선 부설이 완료되었다.[12]

1929년부터 정류소 안전지대 설치를 시작했고, 1934년부터 운행 속도를 향상시켰다. 1935년에는 여자 차장이 등장했다. 같은 해, 일본 최초의 크로스시트차인 700형 '로맨스카'를 도입하여 전 영업 차량의 강철화를 완료했다.[14] 1933년 제1회 고베 미나토 축제에서 꽃 전차를 운행했다.[17]

로망스카 차내


이러한 노력으로 고베 시전은 '동양 제일의 고베 시전'으로 불리며, 1932년에는 시민 1인당 이용 횟수, 1시간당 운전 횟수, 1km당 사업 수입 등에서 다른 도시를 크게 앞섰다.[2]

2. 4. 수해와 전시를 넘어 (1938-1971)

1937년 7월 7일 루거우차오 사건으로 중일 전쟁이 확대되면서, 연료 부족으로 버스 사업이 축소되어 시영 전차 승객은 증가했다. 그러나 물자 부족으로 차량 증비, 노선 연장, 서비스 향상이 어려워졌다. 1938년 7월 5일 한신 대수해로 고베 시내는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다. 1945년 고베 대공습으로 궤도, 가선, 차량기지가 큰 타격을 입었다.

이러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1948년까지 야나기하라 선을 제외한 전 노선과 차고를 복구했다. 1953년 이시야가와 선 전 노선 개통으로 노선망은 최장 35.6km에 달했다.[31] 1942년 5월부터 배전 사업이 간사이 배전으로 이관되면서 관할 부서명을 '교통국'으로 개칭했다.

1944년 4월 1일부터 전시 운전을 실시하여 차내 좌석을 철거하고, 남녀별 승강, 시리스 운전, 여자 운전기사를 채용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모터리제이션으로 시영 전차 승객이 감소하고 적자 문제가 부상했다. 1966년 세관 선이 폐지되면서 노선 축소가 시작되었다. 1967년 10월, 고베 시의회는 시영 전차 전폐를 전제로 한 '교통 사업 재정 재건 계획안'을 의결했다. 1968년 이후 매년 구간 폐지를 거쳐, 1971년 3월 13일 시영 전차는 운행을 종료했다.

1968년 4월 7일, 한큐, 한신, 산요를 직결하는 고베 고속 철도가 개통되었다. 같은 해 6월 24일, 고베시 교통 사업 심의회는 고속 철도망(지하철) 건설을 보고했다. 1977년 3월 13일, 고베 시영 지하철 첫 개통(세이신 선, 묘다니 역 - 신나가타 역)은 시영 전차 폐지 6년 후였다.

3. 노선

고베 시영 전차의 노선망은 롯코산 남쪽 기슭을 동서로 뻗은 고베 시가지의 특징에 따라 동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었으며, 크게 '야마테'와 '하마손'의 두 축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고베로 모여드는 각 사철과의 연결도 담당했는데, 특히 산요 전철과의 평면 교차[32] 및 양 사의 전압 차이로 인해 설치된 데드 섹션은 명물이었다.



1962년 당시 고베 시영 전차 노선도는 아래와 같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으며, 여러 사철 및 국철 노선과 연결되어 있었다.

고베 시영 전차 노선도(1962년 당시)
사철・국철 노선은 1962년 당시의 노선
참고 고베 시 교통국 1962년 발행 전차 운행 계통도에서



1962년 당시 운행 계통은 다음과 같았다.
계통색:


  • 바탕색: ◇ 흰색
  • 문자색: 빨간색


계통구간경유지
1이타야도 - 이타야도 간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와다미사키 - 나카노시마 - 사이반쇼마에 - 오쿠라야마 - 구스노키초 6초메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2이타야도 - 이타야도 간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사이반쇼마에 - 나카노시마 - 와다미사키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3스마역 - 스마역 간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마츠바라 5초메 - 나카노시마 - 사이반쇼마에 - 산노미야 한신마에 - 가노초 3초메 - 오쿠라야마 - 구스노키초 6초메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4스마역 - 스마역 간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산노미야 한신마에 - 사이반쇼마에 - 나카노시마 - 마츠바라 5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14다카토리초 - 쇼군도리 간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가미츠츠이 1초메
15이타야도 - 산노미야 한큐마에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마츠바라 5초메 - 나카노시마 - 사이반쇼마에 - 산노미야 한신마에


계통색:


  • 바탕색: 빨강
  • 문자색: ◇ 흰색


계통구간경유지
5이시야가와 - 이시야가와 간 (순환)가미쓰쓰이 1초메 - 가노초 3초메 - 오쿠라야마 - 사이반쇼마에 - 나카노시마 - 와다미사키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가미쓰쓰이 1초메
6이시야가와 - 효고역가미쓰쓰이 1초메 - 가노초 3초메 - 산노미야 한신 앞 - 사이반쇼마에 - 아리마 가도 - 신가이치
7이시야가와 - 이시야가와 간 (순환)가미쓰쓰이 1초메 - 가노초 3초메 - 오쿠라야마 - 구스노키초 6초메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와다미사키 - 나카노시마 - 사이반쇼마에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가미쓰쓰이 1초메


계통색:


  • 바탕색: ◇ 흰색
  • 문자색: 파란색


계통구간경유지
8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세이칸마에 간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산노미야 한신마에
9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쇼군도리 간나가타 - 미나토가와 공원 - 신가이치 - 아리마 가도 - 사이반쇼마에 - 산노미야 한신마에 - 가노초 3초메 - 가미쓰쓰이 1초메


계통색:


  • 바탕색: 파랑
  • 문자색: ◇ 흰색


계통구간경유지
10와키하마초 - 히라노 간하루히노미치 - 산노미야한신 앞 - 재판소 앞 - 아리마 가도 - 구스노키초 6초메
11히라노 - 효고역구스노키초 6초메 - 아리마 가도 - 신가이치
12와키하마초 - 와키하마초 간 (순환)하루히노미치 - 산노미야한신 앞 - 재판소 앞 - 나카노시마 - 와다미사키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미나토가와 공원 - 신가이치 - 아리마 가도 - 재판소 앞 - 산노미야한신 앞 - 하루히노미치
13와키하마초 - 와키하마초 간 (순환)하루히노미치 - 산노미야한신 앞 - 재판소 앞 - 아리마 가도 - 신가이치 - 미나토가와 공원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와다미사키 - 나카노시마 - 재판소 앞 - 산노미야한신 앞 - 하루히노미치


4. 사철과의 연결

고베 시내의 노면 전차 부설 계획은 1890년대 초부터 있었으나, 시기상조론과 도로 폭 문제로 시의회의 반대에 부딪혔다.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업 주체를 시영으로 할 것인지 민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미즈카미 히로미 고베 시장은 재정 문제로 민간 기업에 의한 부설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고베 전기 철도를 비롯한 5개사와 한신 전기 철도가 노선 면허를 출원하는 등 경쟁이 치열했다. 결국 고베 전기 철도를 중심으로 합자 협력을 하기로 결정하고, 1906년 11월에 내무 대신으로부터 부설 특허를 받았다.

고베 전기 철도는 1910년 4월 5일, 카스가노(후의 카스가노미치) - 효고역 앞 구간을 개통했다. 이후 1913년 5월에는 고베 전등과 합병하여 고베 전기로 사명을 변경했다. 그러나 1914년에도 계획 노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건설이 지연되자, 공영 사업으로 운영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고베시는 1916년부터 고베 전기와 인수 협상을 시작하여 1917년 8월에 고베시 전기국을 발족시켜 궤도 및 전기 공급 사업을 계승했다.

1920년에는 한신 급행 전철 고베선이 개통하여 가미쓰쓰이에 오사카로 가는 새로운 터미널이 탄생했다. 1923년에는 일본 최초의 강철제 차량(스틸카)인 G차 20량(Nos.181 - 200, 후에 201 - 220으로 개번)이 등장하여, 이후 고베 시내로 운행하는 한큐, 한신 양 사철과 철도성을 비롯한 전국 철도 사업자가 강철제 차량을 도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1931년에는 성(省)선의 고가화에 따라 시전의 육교를 철거하고 지상선으로 전환하는 공사가 시내 4곳에서 하룻밤 사이에 완료되었다.[13] 1935년에는 일본 최초의 크로스 시트차(로맨스카)인 700형이 등장하여, 고베 시전은 일본 최초로 전 영업 차량의 강철 차량화를 완료했다.[14]

1933년 11월 8일부터 열린 제1회 고베 미나토 축제에서는, 꽃 전차를 운행하여 축제를 더욱 흥미롭게 했다.[17]

1937년 7월 7일에 발발한 루거우차오 사건으로부터 중일 전쟁이 발발하면서, 전시 색채가 짙어져 연료 부족에 의한 버스 사업의 축소로 시영 전차의 승객은 증가했지만, 물자 부족으로 차량 증비도 노선 연장도 뜻대로 되지 않았다. 1938년 7월 5일에 발생한 한신 대수해와 고베 대공습으로 큰 타격을 입었지만, 1948년까지 복구를 완료하고 1953년에는 노선망이 최장 35.6km에 달했다.

그러나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모터리제이션의 영향으로 시영 전차의 승객은 감소했고, 1967년 10월, 시영 전차 전폐를 전제로 한 '교통 사업 재정 재건 계획안'을 의결했다. 시영 전차는 1971년 3월 13일자로 62년 남짓 (시영으로서는 54년 남짓)의 막을 내렸다.

4. 1. 연결 정류소

神戸市電일본어의 연결 정류소는 다음과 같다.

정류소 이름연결 노선비고
산노미야 한큐 앞한큐 전철1936년 이후, 고베역산노미야역
가미쓰쓰이 1초메한큐 전철한큐 고베 선 개통 당시부터. 이후 고베역가미쓰쓰이역으로 개칭, 1940년에 폐지
다키미치한신 본선다키미치역, 1933년 폐지
산노미야 한신 앞한신 본선산노미야역고베역산노미야역
가스가노미치한신 본선
와키노하마 정한신 국도선국도 선은 히가시 고베 전차 정류장
효고역, 나가타, 이타야도, 스마역산요 전철산요 측의 덴테츠 효고역, 나가타역은 1968년 4월 6일까지 영업
미나토가와 공원고베 전철
하라다한큐 전철한큐는 니시나다역, 후의 오지 공원역


4. 2. 연결 수송

와키노하마 정에서는 한신 국도선과 선로가 연결되어 있어, 매년 11월에 열린 '미나토의 축제' (고베 축제의 전신) 때에는 꽃전차가 동선 야마우치(東線山内)까지 직통 운행했다.[33] 스마역 앞에서는 산요 전철과 선로가 연결되어 있었는데, 전시 수송을 위해 시영 전차 차량이 한신 국도선과 산요 전철에 진입하려 했으나, 산요 측 선로 문제로 시운전만 하고 중단되었다.[33] 종전 직후 산요 전철의 차량 부족 시에는 500형 전차가 이 연결선을 통해 효고-스마데라 구간을 운행하기도 했다.[33]

5. 차량

고베 시영 전차의 차량은 다음과 같다.

차량 형식
100형
200형
300형
400형
500형
600형
700형
750형
800형
900형
1000형
1100형
1150형
A차·B차
D차
C차·E차·I차·J차·K차·L차→500형
G차·H차→200형(초대)
F차
100형(2대)
200형(2대)



1935년에는 좌석에 전환 크로스 시트를 채용한 획기적인 "로맨스카" 700형을 등장시켰다.

1933년부터 차체 도색을 녹색으로 변경, 1935년의 700형에서는 그전까지의 녹색 단색에서 '''녹색의 농담'''으로 변경하여 현재까지 전해지는 "초록색 고베 시영 전차"의 이미지를 확립했고, 그전까지 등장한 차량도 이 투톤 컬러로 변경되었다.

고무가 들어간 탄성 바퀴를 시용하기도 하였다.

일부 차량은 히로시마 전철 등 타 사업자에 양도되어 현재도 운행 중이다.


  • 히로시마 전철 570형 (구·고베 시영 전차 500형) 582호[2]

  • 히로시마 전철 1150형 (구·고베 시영 전차 1150형) 1156호[2]

히로시마 전철 1150형 (2008년 2월)


일부는 고베 시영 지하철 묘다니 차량 기지 등에 보존되어 있다.

  • 고베 시영 지하철 묘다니 차량 기지(스마구) 연 2회 공개일에 관람 가능.
  • 700형 705호. 집전 장치는 트롤리 폴, 차내는 로맨스카라고 불렸던 당시의 크로스 시트로 복원. 단, 이 크로스 시트는 오리지널이 아니라, 전후의 750형에 사용되었던 것을 이용하고 있다.
  • 800형 808호.
  • 700형 760호 외 2량의 컷 바디(전두부)
  • 미사키 공원(효고구・시덴 와다 차고지)
  • 1100형 1103호
  • 고요리 공원(히가시나다구・구 모토야마 교통 공원)
  • 1150형 1155호


6. 1962년 당시 운행 계통

1962년 당시 고베 시영 전차는 스마 차고, 이시야가와 차고, 히가시시리이케 차고, 가스가노 차고 소속으로 총 15개 계통이 운행되었다. 각 계통은 복잡하게 순환하거나 특정 구간을 왕복하는 형태로 운행되었다.[1]

1962년 당시 운행 계통[1]
차고계통색계통 번호구간경유지
스마
차고
◇ 흰색
◆ 빨간색
1이타야도 ↔ 이타야도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와다미사키 - 나카노시마 - 재판소 앞 - 오쿠라야마 - 구스노키초 6초메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 흰색
◆ 빨간색
2이타야도 ↔ 이타야도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재판소 앞 - 나카노시마 - 와다미사키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 흰색
◆ 빨간색
3스마역 ↔ 스마역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마쓰바라 5초메 - 나카노시마 - 재판소 앞 - 산노미야 한신 앞 - 가노초 3초메 - 오쿠라야마 - 구스노키초 6초메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 흰색
◆ 빨간색
4스마역 ↔ 스마역 (순환)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산노미야 한신 앞 - 재판소 앞 - 나카노시마 - 마쓰바라 5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오하시 9초메
◇ 흰색
◆ 빨간색
15이타야도 ↔ 산노미야 한큐 앞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마쓰바라 5초메 - 나카노시마 - 재판소 앞 - 산노미야 한신 앞
이시야가와
차고
◆ 빨강
◇ 흰색
5이시야가와 ↔ 이시야가와 (순환)가미쓰쓰이 1초메 - 가노초 3초메 - 오쿠라야마 - 재판소 앞 - 나카노시마 - 와다미사키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가미쓰쓰이 1초메
◆ 빨강
◇ 흰색
6이시야가와 ↔ 효고역가미쓰쓰이 1초메 - 가노초 3초메 - 산노미야 한신 앞 - 재판소 앞 - 아리마미치 - 신카이치
◆ 빨강
◇ 흰색
7이시야가와 ↔ 이시야가와 (순환)가미쓰쓰이 1초메 - 가노초 3초메 - 오쿠라야마 - 구스노키초 6초메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와다미사키 - 나카노시마 - 재판소 앞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가미쓰쓰이 1초메
히가시시리이케
차고
◇ 흰색
◆ 파란색
8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세관 앞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산노미야 한신 앞
◇ 흰색
◆ 파란색
9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쇼군도리나가타 - 미나토가와 공원 - 신카이치 - 아리마미치 - 재판소 앞 - 산노미야 한신 앞 - 가노초 3초메 - 가미쓰쓰이 1초메
가스가노
차고
◆ 파랑
◇ 흰색
10와키하마초 ↔ 히라노하루히노미치 - 산노미야 한신 앞 - 재판소 앞 - 아리마 가도 - 구스노키초 6초메
◆ 파랑
◇ 흰색
11히라노 ↔ 효고역구스노키초 6초메 - 아리마 가도 - 신카이치
◆ 파랑
◇ 흰색
12와키하마초 ↔ 와키하마초 (순환)하루히노미치 - 산노미야 한신 앞 - 재판소 앞 - 나카노시마 - 와다미사키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미나토가와 공원 - 신카이치 - 아리마 가도 - 재판소 앞 - 산노미야 한신 앞 - 하루히노미치
◆ 파랑
◇ 흰색
13와키하마초 ↔ 와키하마초 (순환)하루히노미치 - 산노미야 한신 앞 - 재판소 앞 - 아리마 가도 - 신카이치 - 미나토가와 공원 - 나가타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와다미사키 - 나카노시마 - 재판소 앞 - 산노미야 한신 앞 - 하루히노미치
스마 차고◇ 흰색
◆ 빨간색
14다카토리초 ↔ 쇼군도리오하시 9초메 - 히가시지리이케 2초메 - 나가타 - 구스노키초 6초메 - 오쿠라야마 - 가노초 3초메 - 가미츠츠이 1초메


7. LRT 구상

구원 기조 시장은 고베 시영 전차 전폐 50주년을 맞이한 2021년 고베 시장 선거에서 3선에 성공한 후, 시의 중심가인 도심, 산노미야 지구의 회유성을 높이기 위해 LRT 도입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밝혔다.[22][23] 예상되는 경로는 산노미야에서 해안을 따라 고베역에 이르는 노선이다.[23]

고베시는 2021년 8월 "LRT가 달리는 미래의 KOBE를 생각하는 좌담회"를 설치하여 3차례 회의를 거친 후, 2022년 3월 31일에 시장에게 보고서를 제출했다.[24]

8. 경쟁 노선

원래 궤도선이었던 다음 노선들과의 경쟁은 고베 시영 전차에 위협이 되었다.



와키하마초에서는 한신 국도선과 선로가 연결되어 있었으며, 매년 11월에 열린 "미나토의 축제" (고베 축제의 전신) 때에는 꽃전차가 동선 야마다이데까지 직통 운전했다. 또한, 스마역 앞부터는 산요 전기철도가 전철 스마역 (현 산요 스마역) 서쪽에서 국도 2호선상에 들어가, 전철 시오야역 (현 산요 시오야역) 동쪽까지 병용 궤도였기 때문에[21], 한때는 산요 전기철도와도 선로가 연결되어 있었다. 전시 하의 1944년, 양쪽 접속점에서 전시 수송을 위해 시영 전차 차량이 한신 국도선·산요 전기철도에 진입하게 되었다. 채소 등의 물자 수송을 주 목적으로 했지만, 한신 측은 별로 실시되지 않았고, 산요 측도 차륜 플랜지 높이가 달랐기 때문에, 포인트에서 전차가 궤도를 이탈하여 시운전 몇 번만으로 중단되었다. 종전 직후 산요 전기철도가 전재나 풍수해로 차량 부족에 빠졌을 때에는, 이 연락선을 사용하여 시영 전차에서 500형이 진입하여 효고 - 스마데라 구간에서 운용된 적이 있었다.

참조

[1] 문서
[2] 뉴스 「東洋一」愛称の神戸市電、広島電鉄へ移籍し半世紀 デザイン復元、節目PR https://www.kobe-np.[...] 神戸新聞 2021-11-07
[3] 뉴스 「出合えたのは運命的」50年前に廃止の神戸市電、魚礁として「第二の人生」 須磨沖の海底で撮影 https://www.kobe-np.[...] 2023-06-17
[4] 뉴스 50年を経て…海底に沈む「神戸市電」発見!?須磨の海で「魚礁」としての役割務める https://www.youtube.[...] 2023-06-17
[5] 뉴스 「海に沈められた神戸市電」の今!? 写真や部品展示 50年前に「魚の住みか」として大量投下 https://trafficnews.[...] 2023-06-17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서적 バスジャパンハンドブックシリーズ R73 神戸市交通局 BJエディターズ/星雲社 2011-05
[10] 뉴스 県当局の仲介で神戸市電スト解決 1930-04-28
[11] 뉴스 交渉決裂・スト突入、従業員は淡路島籠城 1937-07-07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서적 六甲随筆 朝日新聞社 2006
[16] 문서 神戸市交通局八十年史
[17] 뉴스 開港六十六年・神戸の「みなと祭り」開幕 1933-11-08
[18] 문서
[19] 서적 こうべ 市制100周年記念 神戸市 1989
[20] 문서
[21] 문서
[22] 뉴스 神戸市中心部の回遊性向上へ「LRTが必要」 市長選3選の久元氏、三宮の再整備加速 https://www.kobe-np.[...] 2022-04-03
[23] 뉴스 神戸・三宮再開発 次世代路面電車LRT駆ける未来図 阪神大震災27年 https://www.sankei.c[...] 2022-04-03
[24] 웹사이트 LRTが走る未来のKOBEを考える座談会 https://www.city.kob[...] 神戸市 2022-04-03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